KR102031208B1 - 차량 뒷부분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뒷부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208B1
KR102031208B1 KR1020180030584A KR20180030584A KR102031208B1 KR 102031208 B1 KR102031208 B1 KR 102031208B1 KR 1020180030584 A KR1020180030584 A KR 1020180030584A KR 20180030584 A KR20180030584 A KR 20180030584A KR 102031208 B1 KR102031208 B1 KR 102031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ffset
back panel
lower back
floo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6954A (ko
Inventor
다이스케 시게타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80106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로어 백 패널(16)에 있어서의 타점부(44)와 리어 사이드 멤버(18)와의 접합부(46)와의 사이에는, 오프셋부(40)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50)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로어 백 패널(16)에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의 인장력이 작용하면, 볼록부(50)는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늘여져 볼록부(50)의 돌출 방향의 반대측, 즉, 오프셋 방향의 반대측으로 변위한다. 이 때문에, 경사벽부(42)에 있어서의 타점부(44)에 작용하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중량 및 비용을 억제하면서 토잉 히치 멤버(54)로부터의 하중 입력시의 로어 백 패널(16)과 리어 플로어 팬(14)으로부터의 타점부(44)에 작용하는 응력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뒷부분 구조{VEHICLE REAR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 뒷부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7-99031호에는 토잉 히치 멤버가 개시되어 있다. 이 토잉 히치 멤버에서는, 차량 후방측에 마련되고 또한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된 히치 멤버 본체가, 제 1 연결 부재, 제 2 연결 부재 및 제 3 연결 부재를 개재하여 차체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연결 부재는 리어 사이드 멤버에 고정되고, 제 2 연결 부재는 사이드 멤버 아우터에 고정되고, 제 3 연결 부재는 로어 백 패널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토잉 히치 멤버를 이용한 견인시에 히치 멤버 본체에 입력되는 하중이 리어 사이드 멤버, 사이드 멤버 아우터 및 로어 백 패널에 분산되어 전달된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7-99031호에 개시된 토잉 히치 멤버에서는, 히치 멤버 본체가 제 1 연결 부재, 제 2 연결 부재 및 제 3 연결 부재를 개재하여 차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가 증가되어 중량이나 비용이 증가된다. 따라서, 연결 부재를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결 부재를 적게 하는 경우에는, 차량 골격 부재인 리어 사이드 멤버에 연결 부재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히치 멤버 본체에 견인물로부터 차량 하방측으로의 하중이 입력되면, 하중이 연결 부재를 거쳐 리어 사이드 멤버에 전달됨으로써, 리어 사이드 멤버를 중심으로 리어 사이드 멤버의 차량 폭 방향 내측부를 차량 하방측으로 변위시키는 회전 모멘트가 차체에 작용한다. 이 때, 로어 백 패널의 하단부에는, 차량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작용하는 인장력이 작용한다. 이 로어 백 패널에는, 스페어 타이어의 수납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딥 드로우(deep draw) 가공에 의해 성형된 플로어 팬의 후단(後端)이 접합되어 있지만, 플로어 팬의 후단에는 로어 백 패널과의 접합을 위한 플랜지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 플랜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성형상 플로어 팬의 딥 드로우부에 있어서의 후단을 플로어 팬의 기타 부위에 있어서의 후단부에 대하여 차량 전후 방향에서 오프셋시킬 필요가 있고, 이 오프셋한 부위에 맞추어 로어 백 패널의 일부도 차량 전후 방향으로 오프셋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로어 백 패널의 하단부에 인장력이 작용하면, 로어 백 패널에 있어서의 차량 전후 방향으로 오프셋한 부위로부터 늘여짐으로써 로어 백 패널이 크게 변형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로어 백 패널과 플로어 팬이 접합되는 타점(打點)부에 큰 응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선행 기술은 이러한 점에서 개량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중량 및 비용을 억제하면서 토잉 히치 멤버로부터의 하중 입력시의 로어 백 패널과 리어 플로어 팬의 타점부에 작용하는 응력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련된 차량 뒷부분 구조는, 볼록부와, 차량 뒷부분에 마련되는 리어 플로어 팬의 후단과 한 쌍의 리어 사이드 멤버의 후단에 접합되는 로어 백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리어 사이드 멤버는 상기 리어 플로어 팬의 차량 폭 방향의 양단(兩端)부에 각각 장착된다. 상기 로어 백 패널은,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에 장착되는 토잉 히치 멤버의 연결 부재가 삽통(揷通) 가능하게 된 관통 구멍과,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내측에 형성되고 또한 차량 전후 방향의 일방(一方)측인 오프셋측으로 오프셋된 제 1 오프셋부와,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내측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1 오프셋부와 일반 부위를 연결하는 경사벽부와, 상기 경사벽부에 마련됨과 함께 상기 리어 플로어 팬의 후단의 일부와 용접된 타점부를 갖는다. 상기 일반 부위는, 상기 로어 백 패널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프셋부와 상기 경사벽부 이외의 부위이다. 상기 볼록부는, 상기 타점부와 상기 로어 백 패널의 접합부와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오프셋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상기 접합부는, 상기 로어 백 패널과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가 접합되는 부위이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프셋부는, 상기 오프셋측으로 오프셋된 제 2 오프셋부에 대응하여 상기 오프셋측으로 오프셋되어도 된다. 상기 제 2 오프셋부는, 상기 리어 플로어 팬의 후단에 있어서의 상기 오프셋측으로 오프셋된 부위여도 된다.
상기 태양에 따르면, 로어 백 패널은, 차량 뒷부분에 마련되는 리어 플로어 팬의 후단과 리어 플로어 팬의 차량 폭 방향의 양단부에 장착되는 좌우 한 쌍의 리어 사이드 멤버의 후단에 접합되어 있다. 또, 로어 백 패널은, 리어 사이드 멤버에 장착되는 토잉 히치 멤버의 연결 부재가 삽통 가능하게 된 관통 구멍과, 리어 사이드 멤버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내측에 형성되고 또한 리어 플로어 팬의 후단에 있어서의 차량 전후 방향 일방측으로 오프셋된 오프셋부와, 리어 사이드 멤버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내측에 형성되고 또한 오프셋부와 그 이외의 부위를 연결하는 경사벽부를 갖고 있다. 이 오프셋부는, 리어 플로어 팬의 후단에 있어서의 차량 전후 방향 일방측으로 오프셋된 부위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경사벽부에는, 리어 플로어 팬의 후단의 일부가 용접된 타점부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리어 사이드 멤버에 토잉 히치 멤버가 장착되고 또한 토잉 히치 멤버에 견인물로부터 차량 하방측으로 하중이 입력되면, 리어 사이드 멤버를 중심으로 리어 사이드 멤버의 차량 폭 방향 내측부를 차량 하방측으로 변위시키는 회전 모멘트가 작용한다. 이 회전 모멘트가 차체에 작용하면, 로어 백 패널의 하단부에는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인장력이 작용한다. 이 인장력에 의해 로어 백 패널이 늘여지면, 오프셋부가 오프셋 방향의 반대측으로 변위함과 함께, 오프셋부 이외의 부위는 오프셋 방향으로 변위하기 때문에, 경사벽부에 있어서의 타점부에 응력이 집중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로어 백 패널에 있어서의 타점부와, 리어 사이드 멤버의 접합부와의 사이에는, 오프셋부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로어 백 패널에 인장력이 작용하면, 볼록부는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늘여져 돌출 방향과 반대측, 즉, 오프셋 방향과 반대측으로 변위하여 오프셋부 이외의 부위에 있어서의 오프셋 방향으로의 변위를 대략 캔슬한다. 이에 의해, 로어 백 패널 전체의 차량 전후 방향에서의 변형이 억제되고, 경사벽부에 있어서의 타점부에 작용하는 오프셋 방향으로의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 뒷부분 구조는, 중량 및 비용을 억제하면서 토잉 히치 멤버로부터의 하중 입력시의 로어 백 패널과 리어 플로어 팬의 타점부에 작용하는 응력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로어 백 패널의 아래쪽 가장자리의 일부를 포함한 위치에 마련되어도 된다.
상기 태양에 의하면, 볼록부는, 로어 백 패널의 아래쪽 가장자리의 일부를 포함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즉, 토잉 히치 멤버에 견인물로부터 차량 하방측으로 하중이 입력되면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의 인장력이 가장 작용하는 로어 백 패널의 아래쪽 가장자리에, 볼록부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로어 백 패널의 아래쪽 가장자리 근방의 경사벽부의 타점부에는, 그 이외의 부위와 비교하여 오프셋 방향으로의 응력이 보다 집중되지만, 로어 백 패널의 아래쪽 가장자리의 일부를 포함한 위치에 마련된 볼록부의 변위에 의해 이 로어 백 패널의 아래쪽 가장자리 근방의 타점부에 작용하는 오프셋 방향으로의 응력을 보다 확실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 뒷부분 구조는, 토잉 히치 멤버로부터의 하중 입력시의 로어 백 패널과 리어 플로어 팬의 타점부에 작용하는 응력을 더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차량 하방측을 향함에 따라서 폭이 넓어지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가져도 된다. 상기 볼록부의 하단부가 상기 접합부에 대하여 차량 하방측에 위치해도 된다.
상기 태양에 의하면, 볼록부는 차량 후면에서 보아 차량 하방측을 향함에 따라서 폭이 넓어지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이 되고 또한 하단부가 로어 백 패널과 리어 사이드 멤버와의 접합부의 차량 하방측의 범위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볼록부의 상단부는 로어 백 패널에 있어서의 경사벽부의 타점부와 리어 사이드 멤버와의 접합부와의 사이에 배치됨과 함께, 볼록부의 하단부는 리어 사이드 멤버와의 접합부의 차량 하방측의 범위를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볼록부가 형성되는 범위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볼록부가 돌출 방향과 반대측, 즉, 오프셋 방향과 반대측으로 변위하는 범위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로어 백 패널의 타점부에 작용하는 오프셋 방향으로의 응력을 넓은 범위에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 뒷부분 구조는, 토잉 히치 멤버로부터의 하중 입력시의 로어 백 패널과 리어 플로어 팬의 타점부에 작용하는 응력을 넓은 범위에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중요성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될 것이고,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시한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 뒷부분 구조를 갖는 차량 뒷부분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 뒷부분 구조를 갖는 차량 뒷부분을 차량 하방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Ⅳ-Ⅳ선을 따라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 뒷부분 구조를 갖는 로어 백 패널을 차량 후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6은 대비예에 관련된 차량 뒷부분 구조를 갖는 로어 백 패널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는 도 5의 Ⅵ-Ⅵ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에 대응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 뒷부분 구조를 갖는 로어 백 패널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는 도 5의 Ⅶ-Ⅶ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에 대응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 뒷부분 구조를 갖는 차량 뒷부분을 차량 비스듬히 하방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 뒷부분 구조를 갖는 차량 뒷부분을 차량 후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이하에, 도 1∼도 9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나타내어지는 화살표 FR은 차량 전후 방향의 전측, 화살표 OUT은 차량 폭 방향의 외측, 화살표 UP은 차량 상하 방향의 상측을 각각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차량(10)의 리어 언더 보디(12)는, 리어 플로어 팬(14)과 로어 백 패널(16)을 갖고 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리어 플로어 팬(14)의 차량 하방측 또한 차량 폭 방향의 양단부에는, 각각 리어 언더 보디(12)의 골격의 일부를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리어 사이드 멤버(18)가 마련되어 있다. 이 리어 사이드 멤버(18)는, 각각 차량 전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장설치된 긴 형상의 부재이고, 대략 차량 상하 방향을 판 두께 방향으로 한 저벽부(20)와, 저벽부(20)의 차량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각각 대략 차량 상방측으로 연장설치된 좌우 한 쌍의 측벽부(22)(도 8 참조)와, 각각의 측벽부(22)의 상단으로부터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연장설치되고 또한 대략 차량 상하 방향을 판 두께 방향으로 한 좌우 한 쌍의 플랜지부(24)로 구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차량 상방측을 향하여 개구한 햇(hat)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리어 사이드 멤버(18)의 좌우 한 쌍의 플랜지부(24)가 각각 리어 플로어 팬(14)의 차량 하측면(26)에 접합되어 있다.
리어 사이드 멤버(18)의 차량 전방측에는, 좌우 한 쌍의 리어 서스펜션(도시하지 않음)을 지지하는 리어 서스펜션 멤버(28)의 후단부가 장착되어 있다. 또, 리어 사이드 멤버(18)의 후단에는, 대략 차량 전후 방향을 판 두께 방향으로 하는 플랜지(19)(도 5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리어 플로어 팬(14)은, 차량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의 대략 차량 상하 방향을 판 두께 방향으로 하는 판 형상 부재로 되어 있고, 차량 폭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스페어 타이어 수납부(30)가 딥 드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페어 타이어 수납부(30)는, 리어 플로어 팬(14)의 일반부(32)에 대하여 차량 하방측에 배치된 플로어 팬 저벽부(34)와, 플로어 팬 저벽부(34)와 일반부(32)를 연결하는 플로어 팬 측벽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플로어 팬 측벽부(35)는, 플로어 팬 저벽부(34)에 있어서의 차량 후방측 이외의 범위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즉, 스페어 타이어 수납부(30)는, 차량 상방측 및 차량 후방측으로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리어 플로어 팬(14)의 후단에는, 차량 상방측으로 세워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플랜지는 로어 백 패널(16)에 접합되어 있다. 또, 리어 플로어 팬(14)에 있어서의 플로어 팬 저벽부(34)의 후단은, 딥 드로우 성형시에 후단의 플랜지가 파단하지 않도록 리어 플로어 팬(14)에 있어서의 일반부(32)의 후단보다 차량 후방측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어 백 패널(16)은, 차량 후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로어 백 패널(16)의 차량 상방측은, 차량 후방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6)가 대략 차량 폭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또, 로어 백 패널(16)의 차량 하방측은, 리어 플로어 팬(14)의 플로어 팬 저벽부(34)의 후단에 대응하여 로어 백 패널(16)에 있어서의 일반면(38)보다 차량 후방측으로 오프셋된 오프셋부(40)와, 오프셋부(40)와 일반면(38)을 연결함과 함께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차량 전방측으로 기울여진 좌우 한 쌍의 경사벽부(42)를 갖고 있다. 또한, 로어 백 패널(16)에 있어서의 오프셋부(40)는, 리어 사이드 멤버(18)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로어 백 패널(16)에 있어서의 오프셋부(40)의 하단부는, 리어 플로어 팬(14)의 플로어 팬 저벽부(34)에 있어서의 후단의 플랜지와 스폿 용접되어 있다. 또, 로어 백 패널(16)의 좌우 한 쌍의 경사벽부(42)에 있어서의 오프셋부(40) 이외의 부위의 근방, 즉, 일반면(38)의 근방(경사벽부(42)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 외측)에서는, 리어 플로어 팬(14)의 플로어 팬 측벽부(35)에 있어서의 후단의 플랜지와 스폿 용접된 타점부(44)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 타점부(44)는, 복수의 스폿 타점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차량 상방측으로 기울여져 있다.
로어 백 패널(16)의 일반면(38)에는, 좌우 한 쌍의 리어 사이드 멤버(18)의 후단의 플랜지(19)와 스폿 용접된 접합부(46)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도 2도 참조). 이 접합부(46)는, 일반면(38)에 있어서의 차량 상하 방향 대략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접합부(46)에는, 로어 백 패널(16)의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 구멍(48)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로어 백 패널(16)에 있어서의 리어 사이드 멤버(18)의 좌우 한 쌍의 측벽부(22)(도 8 참조)끼리의 사이에 대응한 위치에 차량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대략 직사각형의 관통 구멍(48)이 형성되어 있다.
로어 백 패널(16)은 차량 후방측으로 돌출된 좌우 한 쌍의 볼록부(50)를 포함한다. 볼록부(50)는 로어 백 패널(16)의 경사벽부(42)에 형성되어 있고, 타점부(44)와, 리어 사이드 멤버(18)가 접합한 접합부(46)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또한, 도 5에서는, 볼록부(50)의 유무를 이해하기 쉽게 나타내기 위하여, 볼록부(50)가 로어 백 패널(16)의 우측만 마련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볼록부(50)는, 차량 후면에서 보아 대략 사다리꼴 형상이 되어 있고, 상단부가 경사벽부(42)의 타점부(44)와 일반면(38)에 있어서의 리어 사이드 멤버(18)와의 접합부(46)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하단부가 경사벽부(42)의 타점부(44)와 일반면(38)에 있어서의 리어 사이드 멤버(18)의 접합부(46)의 차량 하방측의 범위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50)의 하단부는, 로어 백 패널(16)의 아래쪽 가장자리의 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볼록부(50)의 차량 폭 방향 내측의 단부(52)는, 경사벽부(42)의 타점부(44)를 따라서 차량 하방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기울여져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도 3에 나타난 볼록부(50)에 있어서의 위쪽 바닥(50A)의 차량 폭 방향의 치수 WA가 약 27 ㎜로 설정되어 있음과 함께, 아래쪽 바닥(50B)의 차량 폭 방향의 치수 WB가 약 150 ㎜로 설정되어 있다. 또, 도 4에 나타난 볼록부(50)의 차량 후방측으로의 돌출량 P는, 약 3 ㎜로 설정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차량(10)에 장착되는 토잉 히치 멤버(54)는, 히치 멤버 본체(56)와, 좌우 한 쌍의 연결 부재(58)를 갖고 있다. 히치 멤버 본체(56)는, 대략 차량 폭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장설치된 대략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히치 멤버 본체(56)의 차량 폭 방향 중앙부에는, 판 형상의 한 쌍의 브래킷(60)이 장착되어 있다. 브래킷(60)에는 도시하지 않은 히치 핀이 장착된다.
연결 부재(58)는, 히치 멤버 본체(56)의 차량 폭 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각각의 연결 부재(58)는, 차량 전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또한 차량 폭 방향을 판 두께 방향으로 하는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히치 멤버 본체(56)의 차량 폭 방향 양단부로부터 차량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연결 부재(58)는, 로어 백 패널(16)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48)(도 5 참조)에 각각 삽입되어 있음과 함께, 리어 사이드 멤버(18)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벽부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관통 구멍에 삽통된 체결구(62)에 의해서 리어 사이드 멤버(18)에 체결되어 있다. 즉, 토잉 히치 멤버(54)는, 로어 백 패널(16)에 직접 고정되지 않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어 백 패널(16)은, 차량 뒷부분에 마련되는 리어 플로어 팬(14)의 후단과 리어 플로어 팬(14)의 차량 폭 방향의 양단부에 장착되는 좌우 한 쌍의 리어 사이드 멤버(18)의 후단에 접합되어 있다. 또, 로어 백 패널(16)은, 리어 사이드 멤버(18)의 후단부에 장착되는 토잉 히치 멤버(54)의 연결 부재(58)가 삽통 가능하게 된 관통 구멍(48)과, 리어 사이드 멤버(18)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내측에 형성되고 또한 리어 플로어 팬(14)의 후단에 있어서의 차량 전후 방향 일방측으로 오프셋된 오프셋부(40)와, 리어 사이드 멤버(18)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내측에 형성되고 또한 오프셋부(40) 이외의 부위인 일반면(38)과 오프셋부(40)를 연결하는 경사벽부(42)를 갖고 있다. 이 오프셋부(40)는, 리어 플로어 팬(14)의 후단에 있어서의 차량 전후 방향 일방측으로 오프셋된 부위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경사벽부(42)에는, 리어 플로어 팬(14)의 후단의 일부가 용접된 타점부(44)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리어 사이드 멤버(18)에 토잉 히치 멤버(54)가 장착되고 또한 토잉 히치 멤버(54)에 견인물로부터 차량 하방측으로 하중이 입력되면, 좌우 한 쌍의 리어 사이드 멤버(18), 나아가서는 접합부(46)를 중심으로 리어 사이드 멤버(18)의 차량 폭 방향 내측부를 차량 하방측으로 변위시키는 회전 모멘트(M)(도 9 참조)가 각각 작용한다. 이 회전 모멘트(M)가 차체에 작용하면, 로어 백 패널(16)의 하단부에는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인장력(T)(도 9 참조)이 작용한다. 그런데,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어 백 패널(16)에 볼록부(5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성에서는, 로어 백 패널(16)에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의 인장력(T)이 작용하면, 오프셋부(40)가 오프셋 방향과 반대측(차량 전방측)으로 변위함과 함께, 일반면(38)은 오프셋 방향(차량 후방측)으로 변위하기(도면 내의 이점 쇄선) 때문에, 경사벽부(42)에 있어서의 타점부(44)에 응력이 집중된다. 그러나,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로어 백 패널(16)에 있어서의 타점부(44)와 리어 사이드 멤버(18)와의 접합부(46)와의 사이에는, 오프셋부(40)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50)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로어 백 패널(16)에 인장력(T)이 작용하면, 볼록부(50)는 작용하는 인장력(T)에 의해 늘여져 돌출 방향과 반대측, 즉, 오프셋 방향과 반대측으로 변위(도면 내의 이점 쇄선 참조)하여 오프셋부(40) 이외의 부위에 있어서의 오프셋 방향으로의 변위를 대략 캔슬한다. 이에 의해, 로어 백 패널(16) 전체의 차량 전후 방향에서의 변형이 억제되고, 경사벽부(42)에 있어서의 타점부(44)에 작용하는 오프셋 방향으로의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중량 및 비용을 억제하면서 토잉 히치 멤버(54)로부터의 하중 입력시의 로어 백 패널(16)과 리어 플로어 팬(14)의 타점부(44)에 작용하는 응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볼록부(50)는, 로어 백 패널(16)의 아래쪽 가장자리의 일부를 포함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즉, 토잉 히치 멤버(54)에 견인물로부터 차량 하방측으로 하중이 입력되면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의 인장력(T)이 가장 작용하는 로어 백 패널(16)의 아래쪽 가장자리에, 볼록부(50)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로어 백 패널(16)의 아래쪽 가장자리 근방의 경사벽부(42)의 타점부(44)에는, 그 이외의 부위와 비교하여 오프셋 방향으로의 응력이 보다 집중되지만, 로어 백 패널(16)의 아래쪽 가장자리의 일부를 포함한 위치에 마련된 볼록부(50)의 변위에 의해 이 로어 백 패널(16)의 아래쪽 가장자리 근방의 타점부(44)에 작용하는 오프셋 방향으로의 응력을 보다 확실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토잉 히치 멤버(54)로부터의 하중 입력시의 로어 백 패널(16)과 리어 플로어 팬(14)의 타점부(44)에 작용하는 응력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50)는 차량 후면에서 보아 차량 하방측을 향함에 따라서 폭이 넓어지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이 되고 또한 하단부가 로어 백 패널(16)과 리어 사이드 멤버(18)와의 접합부(46)의 차량 하방측의 범위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볼록부(50)의 상단부는 로어 백 패널(16)에 있어서의 경사벽부(42)의 타점부(44)와 리어 사이드 멤버(18)와의 접합부(46)와의 사이에 배치됨과 함께, 볼록부(50)의 하단부는 리어 사이드 멤버(18)와의 접합부(46)의 차량 하방측의 범위를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볼록부(50)가 형성되는 범위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용하는 인장력(T)에 의해 볼록부(50)가 돌출 방향과 반대측, 즉, 오프셋 방향과 반대측으로 변위하는 범위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로어 백 패널(16)의 타점부(44)에 작용하는 오프셋 방향으로의 응력을 넓은 범위에서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토잉 히치 멤버(54)로부터의 하중 입력시의 로어 백 패널(16)과 리어 플로어 팬(14)과의 타점부(44)에 작용하는 응력을 넓은 범위에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리어 플로어 팬(14)에 있어서의 플로어 팬 저벽부(34)의 후단은, 딥 드로우 성형시에 후단의 플랜지가 파단하지 않도록 리어 플로어 팬(14)에 있어서의 일반부(32)의 후단보다 차량 후방측으로 오프셋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플로어 팬 저벽부(34)의 후단이 차량 전방측으로 오프셋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로어 백 패널(16)의 오프셋부(40) 및 볼록부(50)는, 플로어 팬 저벽부(34)의 후단에 대응하여 차량 전방측으로 오프셋(돌출)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볼록부(50)는, 차량 후면에서 보아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직사각형 등 기타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볼록부(50)는, 로어 백 패널(16)의 아래쪽 가장자리의 일부를 포함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로어 백 패널(16)의 아래쪽 가장자리의 일부를 포함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타점부(44)는, 경사벽부(42)에 있어서의 일반면(38)의 근방(경사벽부(42)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 외측)에 마련된 구성이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볼록부(50)가 마련됨으로써 로어 백 패널(16) 전체의 차량 전후 방향에서의 변형이 억제되기 때문에, 경사벽부(42)에 있어서의 그 외의 부위에 타점부(44)가 마련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주요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상기 이외에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4)

  1. 차량 뒷부분 구조에 있어서,
    볼록부(50); 및,
    차량 뒷부분에 마련되는 리어 플로어 팬(14)의 후단과 한 쌍의 리어 사이드 멤버(18)의 후단에 접합되는 로어 백 패널(16) ― 상기 한 쌍의 리어 사이드 멤버(18)는 상기 리어 플로어 팬(14)의 차량 폭 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장착됨 ―;을 포함하며,
    상기 로어 백 패널(16)은,
    토잉 히치 멤버(54)의 연결 부재(58)가 삽통 가능하게 구성된 관통 구멍(48) ― 상기 토잉 히치 멤버(54)는 리어 사이드 멤버(18)에 장착됨 ―;
    제 1 오프셋부(40) ― 상기 제 1 오프셋부(40)는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18)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내측에 형성되고 또한 오프셋측으로 오프셋되어 있고, 상기 오프셋측은 차량 전후 방향의 일방측임 ―;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18)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내측에 형성된 경사벽부 (42) ― 상기 경사벽부(42)는 상기 제 1 오프셋부(40)와 일반 부위(38)를 연결하고, 상기 일반 부위(38)는 상기 로어 백 패널(16)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프셋부(40)와 상기 경사벽부(42) 이외의 부위임 ―; 및,
    상기 경사벽부(42)에 마련되는 타점부(44) ― 상기 타점부(44)는 상기 리어 플로어 팬(14)의 후단의 일부와 용접되어 있음 ―; 를 포함하며,
    상기 볼록부(50)는 상기 타점부(44)와 상기 로어 백 패널(16)의 접합부(46)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볼록부(50)는 상기 오프셋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그리고,
    상기 접합부(46)는 상기 로어 백 패널(16)과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18)가 접합되는 부위인 차량 뒷부분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프셋부(40)는 상기 오프셋측으로 오프셋된 제 2 오프셋부에 대응하여 상기 오프셋측으로 오프셋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 2 오프셋부는 상기 리어 플로어 팬(14)의 후단에 있어서의 상기 오프셋측으로 오프셋된 부위인 차량 뒷부분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50)는, 상기 로어 백 패널(16)의 아래쪽 가장자리의 일부를 포함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차량 뒷부분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50)는, 차량 하방측을 향함에 따라서 폭이 넓어지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갖고, 그리고,
    상기 볼록부(50)의 하단부는 상기 접합부(46)에 대하여 차량 하방측에 위치하는 차량 뒷부분 구조.
KR1020180030584A 2017-03-21 2018-03-16 차량 뒷부분 구조 KR1020312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54598 2017-03-21
JP2017054598A JP6589915B2 (ja) 2017-03-21 2017-03-21 車両後部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954A KR20180106954A (ko) 2018-10-01
KR102031208B1 true KR102031208B1 (ko) 2019-10-11

Family

ID=63450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584A KR102031208B1 (ko) 2017-03-21 2018-03-16 차량 뒷부분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99604B2 (ko)
JP (1) JP6589915B2 (ko)
KR (1) KR102031208B1 (ko)
CN (1) CN108622207B (ko)
DE (1) DE102018204026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5305B2 (en) * 2021-05-27 2022-12-27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body stru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3329A (ja) 2010-04-02 2011-10-27 Suzuki Motor Corp 車体後部の下部構造
JP2011245960A (ja) 2010-05-26 2011-12-08 Suzuki Motor Corp 車体後部の下部構造
JP2012096718A (ja) 2010-11-04 2012-05-24 Suzuki Motor Corp 車体後部構造および車体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5012773D1 (de) * 2004-11-12 2009-04-02 Mazda Motor Heckteilaufbau eines Kraftfahrzeuges
JP4556172B2 (ja) * 2004-11-12 2010-10-06 マツダ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JP4292146B2 (ja) * 2004-12-10 2009-07-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後部車体の溶接方法
JP4404036B2 (ja) * 2005-09-21 2010-01-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後部構造
JP2007099031A (ja) * 2005-10-03 2007-04-19 Toyota Motor Corp トーイングヒッチメンバ
JP5327319B2 (ja) * 2009-05-22 2013-10-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ボディ構造
JP5861361B2 (ja) * 2011-09-29 2016-02-16 スズキ株式会社 車両後部構造
JP5900242B2 (ja) * 2012-08-21 2016-04-0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後部車体構造
JP5983377B2 (ja) 2012-12-10 2016-08-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後部構造
JP6123506B2 (ja) * 2013-06-10 2017-05-10 スズキ株式会社 車両後部構造
DE102013219288A1 (de) * 2013-09-25 2015-03-2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Karosseriestruktur für ein Fahrzeug
DE202014004652U1 (de) * 2014-05-31 2015-09-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 Ges. d. Staates Delaware) Heckseitige Verstärkungsstruktur für eineKraftfahrzeugkarosserie
JP6287722B2 (ja) * 2014-09-19 2018-03-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3329A (ja) 2010-04-02 2011-10-27 Suzuki Motor Corp 車体後部の下部構造
JP2011245960A (ja) 2010-05-26 2011-12-08 Suzuki Motor Corp 車体後部の下部構造
JP2012096718A (ja) 2010-11-04 2012-05-24 Suzuki Motor Corp 車体後部構造および車体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22207B (zh) 2020-10-13
JP2018154296A (ja) 2018-10-04
CN108622207A (zh) 2018-10-09
KR20180106954A (ko) 2018-10-01
JP6589915B2 (ja) 2019-10-16
DE102018204026A1 (de) 2018-09-27
US10399604B2 (en) 2019-09-03
US20180273107A1 (en) 2018-09-27
DE102018204026B4 (de)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0409B2 (ja) 車両用センターピラー
US10112651B2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US7204547B2 (en) Automobile underbody structure
JP4092711B1 (ja) キャブオーバー型車両の前部構造
JP5963060B2 (ja) 車体後部のフロア構造
WO2016208374A1 (ja) 車体前部構造
JPWO2015001973A1 (ja) 車体前部構造
JP6560710B2 (ja) 車体前部構造
US20130049393A1 (en)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11161400B2 (en) Vehicle rear structure
CN108454702B (zh) 车辆的侧部车体构造
JP5115393B2 (ja) シート取付け部構造
JP6340021B2 (ja) バッテリー固定構造
KR102031208B1 (ko) 차량 뒷부분 구조
JP2019014374A (ja) 車体後部構造
JP2011016404A (ja) 牽引用フックブラケットの取り付け構造
JP2018154210A (ja) 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
JP2002154461A (ja) 自動車の後部構造
JP5115386B2 (ja) 車両用フロア構造
JP2012236480A (ja) 車両後部構造
JP2021088269A (ja) 車両前部構造
JP2009113568A (ja) 自動車の前部構造
JP4581621B2 (ja) 車両の燃料タンク支持構造
US10689040B2 (en) Vehicle underbody
JP6722142B2 (ja) 車体前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