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552B1 - 시일 부재,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시일 부재,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552B1
KR102007552B1 KR1020160066203A KR20160066203A KR102007552B1 KR 102007552 B1 KR102007552 B1 KR 102007552B1 KR 1020160066203 A KR1020160066203 A KR 1020160066203A KR 20160066203 A KR20160066203 A KR 20160066203A KR 102007552 B1 KR102007552 B1 KR 102007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seal portion
support
developing roll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384A (ko
Inventor
히로오미 마츠자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03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03G15/0898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for preventing toner scattering during operation, e.g. se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regulating means, e.g. structure of doctor bla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lateral sealing at both sides of the donor member with respect to the developer carrying dir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using seals, e.g. to prevent scattering of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Abstract

현상제를 수용하는 수용 용기와 상기 수용 용기에 조립되는 부재 사이를 시일링하는 시일 부재가, 엘라스토머 수지 재료 또는 고무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 용기 및 상기 부재 각각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시일 형성부; 및 상기 시일 형성부의 재료보다도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 용기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시일 형성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일 부재,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SEALING MEMBER,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시일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전자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이용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이른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방식이 채용되는 경우가 있어 왔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방식은 드럼의 전자사진 감광체(이하, 감광 드럼이라 함)와, 이 감광 드럼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을 카트리지로서 일체로 조립하고, 그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는, 시일 부재를 카트리지 프레임과 감광 드럼 또는 현상 롤러 등의 회전가능 부재의 단부 사이에 설치하여 현상제가 카트리지 프레임으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하는 방식이 널리 채용되어 왔다. 시일 부재로서는, 고무 재료 등의 탄성체를 이용한 것, 파일(pile) 또는 펠트(felt) 등의 섬유를 이용한 것, 자성 재료를 이용한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부재 가운데, 탄성체를 이용한 시일링의 예로서는, 회전가능 부재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체의 시일 부재가 제안되어 있다(미국특허 제6,487,383호 공보). 이 구성에서는, 단일의 탄성 재료에 의해 단일의 부품으로서 시일 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현상제를 수용하는 수용 용기와 상기 수용 용기에 조립되는 부재 사이를 시일링하는 시일 부재(sealing member)로서, 엘라스토머(elastomer) 수지 재료 또는 고무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 용기 및 상기 부재 각각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시일 형성부; 및 상기 시일 형성부의 재료보다도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 용기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시일 형성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시일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유닛으로서, 현상제를 수용하는 수용 용기; 상기 수용 용기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제 담지체; 상기 수용 용기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 사이를 시일링하며, 엘라스토머 수지 재료 또는 고무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 용기 및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각각 밀착하는 시일 형성부와, 상기 시일 형성부의 재료보다도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 용기에 고정되어 상기 시일 형성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시일 부재; 및 상기 수용 용기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조립되어,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축의 상기 축선 방향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시일 부재를 상기 수용 용기에 대해 상기 축선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고정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착탈 가능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유닛으로서, 현상제를 수용하는 수용 용기; 상기 수용 용기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제 담지체;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접촉하는 블레이드; 상기 수용 용기와 상기 블레이드 사이를 시일링하며, 엘라스토머 수지 재료 또는 고무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 용기 및 상기 블레이드에 각각 밀착하는 시일 형성부와, 상기 시일 형성부의 재료보다도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 용기에 고정되어 상기 시일 형성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시일 부재; 및 상기 수용 용기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조립되어,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축의 상기 축선 방향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시일 부재를 상기 수용 용기에 대해 상기 축선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고정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착탈 가능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로서, 현상제를 수용하는 수용 용기; 상기 수용 용기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제 담지체; 상기 수용 용기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 사이를 시일링하며, 엘라스토머 수지 재료 또는 고무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 용기 및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각각 밀착하는 시일 형성부와, 상기 시일 형성부의 재료보다도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 용기에 고정되어 상기 시일 형성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시일 부재; 및 상기 수용 용기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조립되어,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축의 상기 축선 방향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시일 부재를 상기 수용 용기에 대해 상기 축선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고정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로서, 현상제를 수용하는 수용 용기; 상기 수용 용기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제 담지체;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접촉하는 블레이드; 상기 수용 용기와 상기 블레이드 사이를 시일링하며, 엘라스토머 수지 재료 또는 고무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 용기 및 상기 블레이드에 각각 밀착하는 시일 형성부와, 상기 시일 형성부의 재료보다도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 용기에 고정되어 상기 시일 형성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시일 부재; 및 상기 수용 용기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조립되어,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축의 상기 축선 방향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시일 부재를 상기 수용 용기에 대해 상기 축선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고정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이 명확하게 된다.
도 1에서,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시일 부재의 주요부와 그 주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주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주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시일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에서, (a) 내지 (c)는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시일 부재 및 그 주변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에서, (a) 및 (b)는 본 발명에서의 현상 유닛의 조립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에서, (a) 및 (b)는, 각각, 실시예 3의 변형예 1 및 2에 있어서의 시일 부재 및 그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시일 부재 및 그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9에서, (a) 및 (b)는, 각각,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시일 부재 및 그 주변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에서, (a) 및 (b)는 실시예 4의 변형예 3 및 4에 있어서의 시일 부재 및 그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현상 유닛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2에서, (a) 내지 (c)는 종래예에서의 시일 부재 및 현상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3에서, (a) 및 (b)는 실시예 4의 변형예 5 및 6에 있어서의 시일 부재 및 그 주변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요소의 치수, 재료, 형상 및 그 상대적인 배치 등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기기)의 구조 및 각종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범위를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취지는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은 현상 장치, 현상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들 부재를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상 장치는, 현상제를 그 표면에 담지하는 현상 롤러(현상제 담지체)를 포함하며, 현상제로 감광 드럼(상 담지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가시상화하는 장치이다. 현상 카트리지는, 상기 현상 장치를 카트리지(유닛)로 일체적으로 조립하여 마련되고나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해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감광 드럼과 이 감광 드럼에 작용하는 현상 장치를 카트리지(유닛)로 일체적으로 조립하여 마련되고나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해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이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방식을 이용하여 기록 재료(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한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전자사진 복사기, 전자사진 프린터(LED 프린터, 레이저 빔 프린터 등), 팩시밀리기 및 워드 프로세서 등이 포함된다.
도 1 내지 도 3, 도 6,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감광 드럼(62) 및 드럼(62)에 평행으로 설치된 현상 롤러(32)의 각각의 회전 축선 방향을 D1이라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 및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화상 형성 장치는 장치 본체 A와 프로세스 카트리지 B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장치 본체 A는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구성으로부터 카트리지 B를 제외하여 이루어지는 구성 부분이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카트리지 B를 화상 형장 장치의 장치 본체 A에 착탈 가능하게 한 전자사진 기술을 이용한 레이저 빔 프린터이다.
카트리지 B가 장치 본체 A에 장착되었을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상방에, 노광 장치(3)(레이저 스캐너 유닛)가 위치된다. 또한, 카트리지 B의 하방에, 화상 형성 대상으로서의 기록 재료(시트재 P)를 수용하는 시트(피딩) 트레이(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장치 본체 A에는, 시트재 P의 급송 방향 E를 따라, 픽업 롤러(5a), 급송 롤러 쌍(5b), 반송 롤러 쌍(5c), 전사 가이드(6), 전사 롤러(7), 반송 가이드(8), 정착기(9), 배출 롤러 쌍(10), 배출 트레이(11) 등이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 프로세스>
프린트 개시 신호에 기초하여, 드럼(62)은 도 2에서 화살표 R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주속도(周速度; 프로세스 속도)를 갖고 회전 구동된다. 대전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 대전 롤러(66)는 드럼(62)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드럼(62)의 외주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킨다. 노광 장치(3)는 화상 정보에 따른 레이저 광 L을 출력한다. 이 레이저 광 L은 카트리지 B의 상측면에 설치되는 노광 창부(74)를 통과하여, 드럼(62)의 외주면을 주사 노광한다. 그 결과, 드럼(62)의 외주면에는,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정전 상)이 형성된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장치로서의 현상 장치 유닛(20)에서, 토너 챔버(29) 내의 토너 T(현상제)는 급송 부재(43)의 회전에 의해 교반 및 급송되어, 토너 공급실(28)로 보내진다. 토너 T는 자석 롤러(34)(고정 자석)의 자력에 의해 현상 롤러(현상 슬리브)(32)의 표면에 담지된다. 토너 T는 현상 블레이드(42)에 의해서, 마찰 대전되면서 현상 롤러(32)의 주면(周面) 상의 층 두께가 규제된다. 토너 T는 정전 잠상에 따라 드럼(62)으로 전사되고, 따라서 정전 잠상이 토너 상(현상제 상)으로서 가시상화(현상)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저 광 L의 출력 타이밍과 동기하여 장치 본체 A의 하부에 설치된 시트 트레이(4)에 수납된 시트재 P가 시트 트레이(4)로부터 급송된다. 이어서, 시트재 P가 전사 가이드(6)를 경유하여 드럼(62)과 전사 롤러(7) 사이의 전사 위치(전사 닙(nip))로 반송된다. 이 전사 위치에서, 토너 상은 드럼(62)으로부터 시트재 P 위로 차례로 전사된다. 토너 상이 전사된 시트재 P는, 정착 장치(9)의 가열 부재(9a)와 가압 부재(9b) 사이에 형성되는 정착 닙부에서 협지(nipped) 반송됨으로써, 가압 및 가열 정착 프로세스가 행해지고, 따라서 토너 상은 시트재 P에 정착된다. 토너 상이 정착된 시트재 P는, 배출 롤러 쌍(10)으로 반송되고, 이어서 배출 트레이(11)로 배출된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사 후의 드럼(62)은, 클리닝 블레이드(77)에 의해 외주면 상의 폐 토너가 제거되고, 다시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서 사용된다. 드럼(62)으로부터 제거된 폐 토너는 클리닝 유닛(60)의 폐 토너 챔버(71b)에 저장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대전 롤러(66), 현상 롤러(32) 및 클리닝 블레이드(77)가 드럼(62)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이다.
<카트리지의 전체 구성>
도 3을 참조하여, 카트리지 B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카트리지 B는, 클리닝 유닛(60)과 현상 장치 유닛(20)을 결합함으로써 구성된다. 클리닝 유닛(60)은, 클리닝 프레임(71), 드럼(62), 대전 롤러(66) 및 클리닝 블레이드(77) 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현상 장치 유닛(20)은 현상 용기(23), 제1 및 제2 사이드 부재(도시하지 않음), 현상 블레이드(42), 현상 롤러(32), 자석 롤러(34), 급송 부재(43), 토너 T 등으로 이루어진다. 클리닝 유닛(60)과 현상 장치 유닛(20)을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카트리지 B가 구성된다.
<클리닝 유닛의 구성>
도 3을 참조하여 클리닝 유닛(6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클리닝 블레이드(77)는 드럼(62)과 접촉하여, 드럼(62)의 외주면으로부터 폐 토너를 제거한다. 제거된 토너는 클리닝 유닛(60)의 폐 토너 챔버(71b)에 저장된다. 대전 롤러(66)는 드럼(62)에 대해 가압됨과 더불어, 드럼(62)의 회전에 따라 피동 회전한다. 드럼(62)은 클리닝 프레임(7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현상 장치의 구성>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현상 장치 유닛(2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현상 블레이드(42)는 금속판으로 형성된 지지 부재(42a)와 우레탄 고무 재료 등의 탄성 재료로 형성된 탄성체(42b)로 구성되며, 현상제를 수용하는 수용 용기로서의 현상 용기(23)에 대해, 지지 부재(42a)의 길이방향 단부들을 스크류(150)로 고정함으로써 미리 결정된 위치에 고정된다. 탄성체(42b)는 현상 용기(23)의 개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가능 부재인 현상 롤러(32)와 접촉하고, 현상 롤러(32)의 주면 상의 토너량을 규제(한정)함과 함께 토너에 마찰대전 전하를 부여한다.
<현상 용기 및 시일 부재>
도 1, 도 6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시일 부재(100)에 대해 설명한다. 시일 부재(100)는 현상 블레이드(42)의 단부에 설치되며, 현상 용기(23)의 내부로부터 토너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일 부재이다. 도 1에서, (a)는 시일 부재(100)가 현상 용기(23)에 수용된 후의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b)는 시일 부재(100)가 현상 용기(23)에 조립되기 전의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에서, (a)는 시일 부재(100)가 조립된 후에 현상 블레이드(42)가 조립된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b)는 현상 블레이드(42)가 조립된 후에 현상 롤러(32)와 현상 롤러 지지 부재(110)가 조립된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현상 롤러 지지 부재(110)가 조립된 후에 현상 장치 유닛(20)의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일 부재(100)는 시일 형성부(101)와 지지부(102)를 포함한다. 시일 형성부(101)는 현상 롤러 시일부(100a)(제1 표면)와 블레이드 시일부(100b)(제3 시일부)를 포함한다. 현상 롤러 시일부(100a)는 현상 롤러(32)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현상 롤러(32) 위 및 현상 용기(23) 내의 현상제가 현상 용기(23)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블레이드 시일부(100b)는 현상 블레이드(42)에 접촉하여 현상 용기(23) 내의 현상제가 현상 용기(23)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부(102)에는 결합부로서의 구멍(103)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구멍(103)에 대응하여, 피결합부로서의 보스(23a)가 현상 용기(23)에 설치되어 있다. 보스(23a) 각각은 길이 방향(D1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되는 형상을 갖고, 구멍(103)들 중 하나는 그 구멍(103)이 D1 방향으로 관통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일 부재(100)의 현상 용기(23)에의 조립은 구멍(103)에 보스(23a)를 삽입하고 나서 D1 방향으로 시일 부재(100)를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의 시일 부재(100)는 구멍(103a)을 적어도 2개 구비하고 있으며, 그 하나의 구멍은 라운드 구멍(원형 구멍)이고, 다른 구멍은 회전을 멈추기 위한 기다란 구멍이다. 구멍(103a)에 대응하여, 현상 용기(23)는 최소한 2개의 보스(23a)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구멍(103a)과 보스(23a)를 결합함으로써, 시일 부재(100)가 현상 용기(23)를 향해 D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시일 부재(100)는, 현상 용기(23)에 있어서 D1 방향으로 대향하는 벽(23b)에 부딪힐 때까지 보스(23a)를 따라 조립된다. 이때, 벽(23b)과 접촉하는, 시일 형성부(101)의 측면(제2 시일부)이, 벽(23b)에 밀착하여, 현상 용기(23)와 시일 부재(100) 사이를 시일링한다.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일 부재(100)가 현상 용기(23)의 단부들에 조립된 후, 현상 블레이드(42)가 조립된다. 그리고나서,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용기(23)에 대한 미리 결정된 위치에 현상 롤러(32)를 지지 및 유지하기 위해, 현상 롤러 지지 부재(110)를 D1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조립한다. 현상 롤러 지지 부재(110)를 조립한 후의 상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현상 롤러 지지 부재(110) 각각은 현상 롤러(32)의 축을 축 지지하는 축 구멍과 현상 용기(23)의 피결합부(23a)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있어서 축 구멍에 현상 롤러(32)의 축이 삽입됨과 함께 결합부가 피결합부(23a)에 관해 결합될 수 있도록 D1 방향으로 조립된다.
시일 부재(100)의 시일 형성부(101)는 고무 재료 등의 탄성체로 구성되며 지지부(102)의 재료는 시일 형성부(101)의 재료보다도 경질의 재질, 예를 들면 수지 재료나 금속 재료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시일 형성부(101)에 이용하는 재료로서는 스티렌계, 올레핀계, 염화비닐계, 우레탄계, 아미드계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나 천연 고무 재료, 합성 고무 재료 등의 고무 재료가 적합하다. 시일 형성부(101)와 지지부(102) 사이의 결합은, 생산량 등의 제조상의 사정이나 형상 등의 설계상의 사정에 의해 접착제나 접착 테이프 등으로 접합하거나, 요철 등으로 끼워 맞추는 결합으로 하여도 된다(도시하지 않음).
위와 같이, 시일 부재(100)가 탄성체의 시일 형성부(101)와 시일 형성부(101)보다도 경질의 지지부(102)로 구성됨으로써,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연질의 재질만으로 시일 부재가 만들어진 경우에는, 시일 부재 자신의 무게에 따른 변형이나 파지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여, 현상 용기(23)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시일 부재를 끼워 맞추어, 현상 용기(23)에 시일 부재를 조립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시일 형성부(101)보다도 경질의 지지부(102)에 의해서, 시일 형성부(101)의 자세가 유지되어 시일 부재(100)의 변형이 억제됨으로써, 시일 부재(100)의 미리 결정된 조립 위치에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도 12에서, (a) 내지 (c)는 종래예에서의 시일 부재(400)의 조립에 대해 설명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2에서, (a)는 시일 부재(400)의 변형 전의 상태이고, (b)는 시일 부재(400)를 변형시켰을 때의 상태이고, (c)는 변형시킨 시일 부재(400)를 현상 용기(23)에 조립할 때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1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탄성을 가진 시일 부재(400)는, 길이 방향(D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D5로부터 조립되는 경우, 시일 부재(400)를 변형시키지 않으면 당해 시일 부재(400)를 조립할 수 없어서, 시일 부재(400)를 조립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종래예의 경우와 같은 시일 부재(100)의 변형을 필요로 하지 않고 현상 용기(23)에 시일 부재(100)를 조립할 수 있다(도 1).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시일 부재(100)를 현상 용기(23)에 대하여, 그 길이 방향(D1 방향)을 따라 조립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음으로써, 종래예와 비교하여, 조립성의 향상이 구현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시일 부재(100)를, 변형을 수반하지 않고, 현상 용기(23)에 조립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결과, 시일 부재(100)를, 변형이 일어나기 어려운 경질 재료의 부재로 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시일 부재(100)를, 시일링성 확보를 위해 연질의(변형을 시키기 쉬운) 탄성체로 형성된 시일 형성부(101)와, 시일 형성부(101)의 재료보다도 경질의 수지 재료나 금속 재료 등의 재료로 형성된 지지부(102)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시일 부재를 현상 용기에 대하여 일 방향에서 조립하는 구성에 있어서도, 종래의 탄성체만으로 구성된 시일 부재보다도, 본 실시예와 같이 경질의 지지부로 연질의 시일부를 지지하는 구성 쪽이,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즉, 조립 중의 시일 부재의 파지를, 변형에 의해서 자세가 변화하기 쉬운 연질의 시일부가 아니라, 안정된 자세로 시일 부재의 파지가 가능한 경질의 지지부에서 행함으로써, 시일 부재의 현상 용기에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시일 부재(100)는, 시일 형성부(101)와 지지부(102)를 2색 성형(two-color molding)(동시사출 성형)이나 인서트 성형 등의 일체 성형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2색 성형이란, 시일 형성부(101)와 지지부 중 어느 일방을 미리 제1 재료로 성형하여 두고, 그 성형된 부분을 금형 내에 잔류시키면서 제2 재료를 성형하는 방법이다. 또한, 인서트 성형이란, 먼저 성형한 부분을 별개의 몰드에 넣고 나서 제2 재료를 성형하는 방법이다. 이 외에, 상이한 재료의 시일 형성부(101)와 지지부(102)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는 각종 성형법에 의해, 시일 부재를 성형하여도 좋다. 특히, 2색 성형에 의하면, 시일 형성부(101)와 지지부(102)를 한번에 성형할 수 있어, 저비용화를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 도 4, 도 5,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3은, 현상 용기(23)와 시일 부재(100)의 조립 및 양자 사이의 시일 구성에 특징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여기서 설명하지 않는 사항은, 상기 실시예들과 마찬가지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관한 시일 부재(100)의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사시 도이다. 도 5에서, (a) 내지 (c)는 각각 도 4의 일점 쇄선 H에 있어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a)는 시일 부재(100)를 현상 용기(23)에 조립하기 전, (b)는 시일 부재(100)를 현상 용기(23)에 조립한 후 현상 롤러 지지 부재(110)를 현상 용기(23)에 조립하기 전, (c)는 현상 롤러 지지 부재(110)를 현상 용기(23)에 조립한 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7에서, (a) 및 (b)는 실시예 3의 변형예의 구성으로서, 도 4의 일점 쇄선 H의 단면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시일 부재(100)뿐만 아니라 현상 롤러 지지 부재(110)도 현상 용기(23)에 조립된 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7에서, (a)는 변형예 1을, 그리고 (b)는 변형예 2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시일 부재(100)를 D1 방향으로 이동시켜 현상 용기(23)에 조립한다. 그리고나서,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일 부재(100)를 현상 용기(23)에 있어서 D1 방향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한 벽(23b)에 부딪칠 때까지 D1 방향으로 삽입한다. 현상 용기(23)의 벽(23b)에 부딪치는 측면부(측면 시일부(105), 제2 시일부)에 의해, 현상 용기(23)와 시일 부재(100) 사이의 부분이 시일링된다. 다음으로,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롤러 지지 부재(110)를 현상 용기(23)에 대하여 외측으로부터 D1 방향을 따라 조립한다.
여기서, 현상 롤러 지지 부재(110)는 시일 부재를 길이 방향(D1 방향)으로 벽(23)에 대해 가압하는 가압부(110a)를 포함하고 있다. 즉, 현상 롤러 지지 부재(110)는, 현상 롤러(32)를 지지하는 기능과 더불어, 시일 부재(100)를 현상 용기(23)에 대하여 가압하여 시일 부재(100)와 현상 용기(23) 사이의 밀착성을 높이는 가압 부재로서의 기능도 갖추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일 부재(100)는, 현상 롤러 지지 부재(110)에 의해 가압되어 현상 용기(23)의 벽(23b)으로부터 받는 반력에 의해 변형하는 변형부(104)를 포함한다. 여기서, 변형부(104)는, 시일 부재(100)와 현상 용기(23)와의 사이의 시일링을 위한 시일부인 측면 시일부(105)를 겸하고 있고, 시일 부재(100)의 측면으로부터 벽(23b)과의 대향 방향(D1 방향)으로 돌출하는 리브(rib) 형상의 돌출부에 의해 구성된다. 리브 형상의 변형부(104)(측면 시일부(105))는, 현상 용기(23)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현상제의 누설을 억제하기 위해 현상 용기(23)와 현상 롤러(32)와 현상 블레이드(42) 사이를 시일링할 수 있도록 시일 부재(100)의 측면의 에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롤러 지지 부재(110)는, 현상 용기(23)의 양단부 각각에 조립된 후, 스크류(150)에 의해 현상 용기(23)에 대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가압부(100a)를 설치한 현상 롤러 지지 부재(110)를 이용함으로써, 측면 시일부(105)를 벽(23b)에 대하여 길이 방향(D1 방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시일 부재(100)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시일 부재(100)와 현상 용기(23) 사이의 시일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길이 방향(D1 방향)에 있어서의 "시일 부재(100)의 폭" 및 "벽(23b)과 가압부(110a) 사이의 간극의 거리"에 각각 공차가 제조상 발생한다. 이 공차분은, 측면 시일부(105)이기도 한 변형부(104)의 압축 변형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변형부(104)에 의한 공차 흡수 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해, 가압부(110a)가 항상 변형부(104)를 압축할 수 있도록, 각 부재의 형상 및 치수가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변형부(104)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길이 방향(D1 방향)의 시일 부재(100)와 벽(23b)과 가압부(110a) 사이의 현상제의 누출 방지와, 제조상의 정밀도 완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롤러 지지 부재(110)가, 현상 롤러(32)를 지지하는 기능과, 시일 부재(100)를 현상 용기(23)에 대해서 가압하는 기능을 단일의 부재로서 그 자체로 발휘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2개의 기능은, 현상 롤러 지지 부재(110)를 2개의 부재로 기능적으로 분할함으로써 마련되는, 별개의 부재에 의해 각각 발휘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용기(23)의 피결합부(23a)에 결합되는 현상 롤러 지지 부재의 결합부(원통형 돌출부)의 자유단 면이, 가압부(100a)로서 기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결합부와는 별도로 시일 부재를 가압하는 구성을 제공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부(110a)에 의해서 시일 형성부(101)와 지지부(102)의 양방이 가압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당해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7의 (a)에 나타내는 변형예 1에서와 같이, 지지부(102)의 D1 방향의 치수를 시일 형성부(101)의 치수보다도 외향 방향으로 크게 하여, 가압부(110a)에 의해서 가압되는 부위가 지지부(102)가 되도록 하는 구성도 채용될 수 있다. 혹은, 도 7의 (b)에 나타내는 변형예 2에서와 같이, 시일 형성부(101)의 D1 방향의 치수를 지지부(102)의 치수보다도 외향 방향으로 크게 하여, 가압부(110a)에 의해서 가압되는 부위가 시일 형성부(101)가 되도록 하는 구성도 채용될 수 있다.
[실시예 4]
도 8,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4는, 현상 용기(23)와 시일 부재(100)의 조립 및 양자 사이의 시일링 구성에 특징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 1 내지 4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여기서 설명하지 않는 사항은, 상기 실시예들과 마찬가지이다.
도 8은, 시일 부재(100)를 현상 용기(23)에 조립하기 전의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에서, (a) 및 (b) 각각은 도 8의 일점 쇄선 H에 있어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a)는 시일 부재(100)를 현상 용기(23)에 조립하기 전의 상태를, 그리고 (b)는 시일 부재(100)를 현상 용기(23)에 조립한 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10에서, (a) 및 (b) 각각은 실시예 4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8의 일점 쇄선 H를 따라 취한 단면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현상 롤러 지지 부재(110)를 현상 용기(23)에 조립한 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10에서, (a)는 변형예 3을, 그리고 (b)는 변형예 4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시일 부재(100)에 변형부(104)가 설치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변형부(104)가 D1 방향에 있어서 시일 부재(100)의 현상 롤러 지지 부재(110)측에 설치되어 있다(도 9).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부(104)는, 시일 부재(100)를 가압하는 현상 롤러 지지 부재(110)의 조립에 의해 가압부(110a)에 의해 가압되어 변형된다. 여기서, D1 방향에 있어서, 시일 부재(100)에 있어서의 변형부(104)가 설치된 측면과는 반대측의 측면이, 측면 시일부(105)(제2 시일부)로서, 현상 용기(23)의 벽(23b)에 접촉하여 밀착하고, 따라서 시일 부재(100)와 현상 용기(23) 사이를 시일링한다.
여기서,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D1 방향에 있어서, 변형부(104)와 측면 시일부(105)의 위치가 서로 중첩하는 배치로 하고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가압부(110a)의 가압에 의한 압축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변형부(104)의 탄성 반발력이, 직접적(직선적)으로 측면 시일부(105)에 작용하고, 즉, 가압부(110a)의 가압력을 측면 시일부(105)로 직선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효율 좋게 측면 시일부(105)를 벽(23b)에 가압시킬 수 있어, 추가적인 현상제의 누출 방지와 추가적인 제조상의 정밀도 완화가 구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변형부(104)와 측면 시일부(105)를, 시일 부재(100)에 있어서의 서로 반대의 면에 별개로 설치하고 있다. 즉, 실시예 3의 변형부(104)는 측면 시일부(105)를 겸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실시예 4)의 변형부(104)는 측면 시일부(105)에 대해서 가압부(110a)의 가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즉, 가압력에 의한 압축 변형 상태(탄성 반발력)를 확실하게 형성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측면 시일부(105)는, 변형부(104)의 경우에서와 같은 큰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서, 그 표면에서 현상 용기(23)에 대해 가압되고, 시일 부재(100)와 현상 용기(23) 사이를 시일링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시일 부재(100)와 현상 용기(23) 사이의 시일링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변형예 3에서와 같이, 지지부(102)의 일부를 D5 방향으로 돌출시킴으로써, D1 방향에 있어서 변형부(104)와 측면 시일부(105)와 지지부(102)가 직선상에 서로 중첩하도록 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이러한 중첩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측면 시일부(105)의 가압력을 직선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효율 좋게 측면 시일부(105)를 벽(23b)에 대해 가압시킬 수 있다. 또한, 가압력을 전달하는 라인 상에, 강도 부재로서의 지지부(102)가 개재함으로써, 가압력의 전달에 의한 시일 부재(100) 전체의 과도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변형예 4에서와 같이, 변형부(104)를 시일 형성부(101)와 분리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시일 형성부(101)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엘라스토머 수지 재료나 고무 재료 등의 탄성체로 형성되고, 지지부(102)에 의해 지지되고, 현상 롤러 지지 부재(110)와의 접촉에 의해 D1 방향으로 압축 변형되는 변형부(104)를, 시일 형성부(101)와는 별개의 부재로서 설치하는 구성이다. 본 구성의 경우, 변형부(104)를, 지지부(102)의 재료보다도 연질의 재질로서 시일 형성부(101)의 재료와는 상이한 재료로 구성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변형부(104)의 변형이 시일 부재(100)의 다른 부분(특히, 다른 시일부)에 대해서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의 변형예)
도 13에서, (a) 및 (b)는 실시예 1의 변형예의 구성을 각각 나타내고, 도 8의 일점 쇄선 H를 따라 취한 단면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현상 롤러 지지 부재(110)를 현상 용기(23)에 조립한 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13에서, (a)는 변형예 5를, 그리고 (b)는 변형예 6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의 (a)에 나타내는 변형예 5에서와 같이, 시일 부재(100)의 시일 형성부(101)를 압축 변형하기 쉬운 연질의 탄성체로 형성하여, 시일 형성부(101) 전체가 변형부(104)의 역할을 겸하게 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도 7의 (a)에 나타내는 변형예 1에서와 마찬가지로, 지지부(102)의 D1 방향의 치수를 시일 형성부(101)의 치수보다도 외향 방향으로 크게 하고, 가압부(110a)에 의해 가압되는 부위가 지지부(102)가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변형예 5에서는, 벽(23b)에 시일 형성부(101)의 측면 전체가 접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시일 부재(100)는, 시일 형성부(101) 전체에서, 현상 용기(23)의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현상제의 누설을 억제하기 위해 현상 용기(23)의 벽(23b)과 접촉하여 변형한다. 즉, 시일 형성부(101) 전체가, 변형부(104)로서뿐만 아니라, 시일 부재(100)와 현상 용기(23)와의 사이의, 시일 부재(100)에 있어서의, 시일부인 측면 시일부(105)를 겸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의 (b)에 나타내는 변형예 6에서와 같이, 시일 부재(100)의 시일 형성부(101)를 압축 변형하기 쉬운 연질의 탄성체로 하고, 시일 형성부(101)의 D1 방향의 치수를 지지부(102)의 치수보다도 외향 방향 및 내향 방향으로 크게 해도 좋다. 그 결과, 변형예 5에서와 마찬가지로, 시일 형성부(101) 전체가 변형부(104)와 측면 시일부(105)의 역할을 겸하게 할 수 있다. 즉, 도 7의 (b)에 나타내는 변형예 2에서와 마찬가지로, 시일 형성부(101)의 D1 방향의 치수를 지지부(102)의 치수보다도 외향 방향으로 크게 하고 가압부(110a)에 의해 가압되는 부위가 시일 형성부(101)가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D1 방향의 시일 형성부(101)의 치수도, 내향 방향으로도, 지지부(102)의 치수보다도 크도록 구성하고, 시일 형성부(101)가 벽(23b)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시일 형성부(101) 전체가, 현상 용기(23)의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현상제의 누설을 억제하기 위해서, 가압부(110a)에 의한 가압과 현상 용기(23)의 벽(23b)으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가압부(110a)와 벽(23b) 사이에서 압축 변형된다. 즉, 시일 형성부(101) 전체가, 변형부(104)로서뿐만아니라, 시일 부재(100)에 있어서의 현상 용기(23)와의 사이의 시일부인 측면 시일부(105)를 겸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예는, 각각의 구성을 가능한 한 서로 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 4의 시일 형성부(101)의 측면 전체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 시일부(105)를, 실시예 3의 변형부를 겸한 리브 돌출부 형상의 측면 시일부(105)로서, 변형부를 축선 방향의 양측 각각에 설치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는, 현상 유닛의 시일 부재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적용예를 나타낸 것인지만,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구성은 상기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클리닝 유닛에 있어서 폐 토너 챔버(71b)로부터의 폐 토너의 누설을 방지하는 시일링 구성, 즉, 클리닝 프레임(71)에 설치되고, 클리닝 블레이드(77)나 감광 드럼(62)과 접촉 또는 슬라이딩 접촉하는 시일 부재에도 본 발명은 적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 나타낸 피결합부와 결합부 사이의 구성, 즉, 현상 용기(23)와 시일 부재(100) 사이의 결합 구성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돌출 형상과 오목 형상 사이의 상호 결합에 의한 결합 구성을, 상기 각 실시예와는 역의 관계의 구성, 즉, D1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시일 부재(100)에 설치하고, 이 돌출부에 결합 가능한 오목부를 현상 용기(23)에 설치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로서의 구멍(103)을 지지부(102)에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시일부(101)에 결합부로서의 관통 구멍 또는 구멍을 설치하여도 좋고, 지지부(102)와 시일부(101)의 각각에 결합부로서의 관통 구멍 또는 구멍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현상 롤러(32)의 축선 방향 양단부 중 일방의 단부에 있어서의 시일링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타방의 단부에 있어서의 시일링 구성도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즉, 타방의 단부에 있어서의 시일링 구성은, 상기 양단부 중 일방의 단부에 있어서의 시일링 구성에 대하여, 축선 방향의 배치(구성) 등이 대칭(역의) 관계로 될 뿐이며, 기능 등에 있어서 상이한 바는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상 용기에 대한 시일 부재의 조립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들의 범위는 그러한 모든 변형과 등가의 구조 그리고 기능을 아우르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9)

  1. 현상제를 수용하는 수용 용기와 상기 수용 용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현상 롤러를 포함하는 현상 장치에서 사용되는 시일 부재(sealing member)로서,
    상기 시일 부재는,
    엘라스토머(elastomer) 수지 또는 고무로 형성되며 상기 현상 롤러의 주면(周面)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접촉면을 구비한 시일부; 및
    상기 시일부보다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접촉면에 반대되는 상기 시일부의 표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시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과 교차하는 측면을 구비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일부는, 제1 시일부, 및 상기 측면의 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일부에 인접하는 제2 시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일부는, 상기 접촉면을 갖고, 상기 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기 측면 내부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중첩하고,
    상기 제2 시일부는 상기 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기 측면 외부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중첩하지 않는,
    시일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와 상기 지지부는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시일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일부의 폭은 상기 제1 시일부의 폭보다 가느다란, 시일 부재.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일부 및 상기 제2 시일부는 상기 현상 롤러의 주면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시일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현상 롤러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일단부에 배치된 제1 구멍과, 상기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에 배치된 제2 구멍을 포함하는, 시일 부재.
  6.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로서,
    현상제를 수용하는 수용 용기;
    상기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된 현상 롤러;
    상기 현상 롤러와 상기 수용 용기 사이의 간극을 시일하는 시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시일 부재는,
    엘라스토머(elastomer) 수지 또는 고무로 형성되며 상기 현상 롤러의 주면(周面)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접촉면을 구비한 시일부; 및
    상기 시일부보다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접촉면에 반대되는 상기 시일부의 표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시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면을 구비한 지지부로서, 상기 지지면과 교차하는 측면을 갖고 또한 상기 수용 용기에 고정되는 상기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일부는, 제1 시일부, 및 상기 현상 롤러의 회전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일부에 인접하는 제2 시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일부는, 상기 접촉면을 갖고, 상기 회전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기 측면 내부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회전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중첩하고,
    상기 제2 시일부는, 상기 회전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기 측면 외부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회전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중첩하지 않는,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롤러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일부의 폭은 상기 제1 시일부의 폭보다 좁은, 카트리지.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일부 및 상기 제2 시일부는 상기 현상 롤러의 주면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카트리지.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현상 롤러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일단부에 배치된 제1 구멍과, 상기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에 배치된 제2 구멍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용 용기의 일단부에 부착되고 상기 회전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용 용기에 대항하여 상기 시일 부재를 가압하는 사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시일부는 상기 회전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부재에 반대되는 상기 제1 시일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 용기와 상기 제1 시일부 사이에서 압축되는, 카트리지.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용 용기의 일단부에 부착되고 상기 회전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용 용기에 대항하여 상기 시일 부재를 가압하는 사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시일부는 상기 회전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부재와 동일한 상기 제1 시일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 부재와 상기 제1 시일부 사이에서 압축되는, 카트리지.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롤러는 현상제 담지부와 축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부재는 상기 현상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현상 롤러의 축을 지지하는, 카트리지.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부재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용기는 상기 수용 용기에 대해 상기 회전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사이드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제1 결합부와 상기 사이드 부재의 제2 결합부의 양쪽 모두와 결합하는 피결합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와 상기 지지부는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카트리지.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60066203A 2015-06-30 2016-05-30 시일 부재,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0075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32104 2015-06-30
JP2015132104A JP7013113B2 (ja) 2015-06-30 2015-06-30 シール部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384A KR20170003384A (ko) 2017-01-09
KR102007552B1 true KR102007552B1 (ko) 2019-10-21

Family

ID=57683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203A KR102007552B1 (ko) 2015-06-30 2016-05-30 시일 부재,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57733B2 (ko)
JP (1) JP7013113B2 (ko)
KR (1) KR1020075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29904S1 (en) * 2016-01-13 2018-10-02 MRI Interventions, Inc. Curved bracket for surgical navigation systems
US10376333B2 (en) 2016-01-14 2019-08-13 MRI Interventions, Inc. Devices for surgical navigation systems
US10423120B2 (en) 2016-02-18 2019-09-24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roller supported by roller supporting portions
KR102128342B1 (ko) 2016-07-04 2020-07-0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현상 장치의 재생산 방법
EP4033304A4 (en) 2019-09-17 2023-09-13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APPARATUS AND IMAGE PRODUCING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9146A (ja) * 2000-09-25 2002-04-05 Canon Inc 磁性体シール部材、これを用いた現像装置及び帯電装置、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20150402A1 (en) 2001-04-12 2002-10-17 Buchanan John Andrew Dynamic end-seal for toner development unit
US20130330099A1 (en) * 2012-06-07 2013-12-12 Carlos Gutierrez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3372A (ja) * 1989-10-06 1991-05-27 Canon Inc 現像装置
JPH06308819A (ja) * 1993-04-19 1994-11-04 Canon Inc シール部材及び前記シール部材を用い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093918B2 (ja) * 1993-11-25 2000-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H10222041A (ja) 1996-12-03 1998-08-21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63727B2 (ja) 1996-12-12 2003-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及び廃トナー容器の組立方法
JPH10228224A (ja) 1997-02-14 1998-08-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228223A (ja) 1997-02-14 1998-08-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45111B2 (ja) 1997-03-18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結合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
JP2000019841A (ja) 1998-07-02 2000-01-21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0098729A (ja) 1998-09-22 2000-04-07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098809A (ja) 1998-09-24 2000-04-07 Canon Inc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プロセスカ−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098855A (ja) 1998-09-24 2000-04-0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131945A (ja) 1998-10-26 2000-05-12 Canon Inc 現像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372932B2 (ja) 1999-05-20 2003-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549736B2 (en) 2000-01-19 2003-04-15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ngaging member therefor and method for mounting developing roller and magnet
JP3432208B2 (ja) 2000-11-17 2003-08-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装着方法
JP3564080B2 (ja) 2001-04-27 2004-09-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840063B2 (ja) 2001-04-27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542569B2 (ja) 2001-04-27 2004-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936582B2 (ja) * 2001-12-25 2007-06-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661644B2 (ja) * 2001-12-28 2005-06-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617122B2 (ja) 2004-09-08 2011-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搬送部材、現像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448122B2 (ja) * 2006-11-15 2010-04-0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420249B2 (ja) * 2007-06-25 2010-02-24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035283B2 (ja) * 2009-03-25 2012-09-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
JP5420025B2 (ja) 2011-07-14 2014-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N103688224B (zh) 2011-07-14 2017-10-31 佳能株式会社 显影剂容纳单元、处理盒和电子照相成像设备
WO2013008955A1 (ja) 2011-07-14 2013-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420026B2 (ja) 2011-07-14 2014-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N202230301U (zh) * 2011-08-23 2012-05-23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一种显影辊端部密封件以及显影盒
JP5911275B2 (ja) 2011-11-29 2016-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157078B2 (ja) 2012-09-04 2017-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066841B2 (ja) 2012-09-10 2017-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116162B2 (ja) 2012-09-10 2017-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容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980061B2 (ja) 2012-09-11 2016-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198524B2 (ja) * 2012-09-27 2017-09-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を備え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6245932B2 (ja) 2012-11-06 2017-12-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116254B2 (ja) 2013-01-11 2017-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US20140270842A1 (en) * 2013-03-14 2014-09-18 Wazana Brothers International, Inc. d/b/a/ Micro Solutions Enterprises Image Forming Apparatus
JP6282149B2 (ja) 2013-06-05 2018-02-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及び現像装置並びに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6127862B2 (ja) * 2013-09-20 2017-05-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ユニット
JP6584138B2 (ja) * 2014-06-17 2019-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9146A (ja) * 2000-09-25 2002-04-05 Canon Inc 磁性体シール部材、これを用いた現像装置及び帯電装置、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20150402A1 (en) 2001-04-12 2002-10-17 Buchanan John Andrew Dynamic end-seal for toner development unit
US20130330099A1 (en) * 2012-06-07 2013-12-12 Carlos Gutierrez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57733B2 (en) 2018-01-02
JP2017015904A (ja) 2017-01-19
US20170003622A1 (en) 2017-01-05
JP7013113B2 (ja) 2022-01-31
KR20170003384A (ko) 201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7552B1 (ko) 시일 부재,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JP4450848B2 (ja) 露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40356020A1 (en) Developer container, developing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348264B2 (en) Unit, cleaning unit,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3122489A (ja) カートリッジ及びユニット
JP2017072703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4952895B2 (ja) トナーシール
JP2006208552A (ja) 現像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066639B2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929663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
CN107810449B (zh) 密封部件、单元和成像设备
JP4944481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866885B2 (ja) 感光体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003496B2 (ja) ブレード部材の取り付け構造並びにそれを用いた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903805B2 (ja) 現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86485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装置の組み立て方法
US10451996B2 (en) Developing blade, developing device, and cartridge
JP5081209B2 (ja) 露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072176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7083538A (ja) 現像剤収容装置
JP6213237B2 (ja) 現像装置
JP2019020551A (ja)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370335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19020552A (ja)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406980B2 (ja) 現像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