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985B1 - 선회 작업차 - Google Patents

선회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985B1
KR101991985B1 KR1020147030329A KR20147030329A KR101991985B1 KR 101991985 B1 KR101991985 B1 KR 101991985B1 KR 1020147030329 A KR1020147030329 A KR 1020147030329A KR 20147030329 A KR20147030329 A KR 20147030329A KR 101991985 B1 KR101991985 B1 KR 101991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opening
disposed
condenser
clos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0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7324A (ko
Inventor
젠조 우치다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7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8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tractor or load vehicle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17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 B62D33/063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 B62D33/07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of vehicle contro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08Improving mounting or assembling, e.g. frame elements, disposition of all the components on the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선회체 상에 적재하여 설치한 캐빈 내에 운전부를 배치하고, 운전부의 후하방에 원동기부를 배치함과 아울러 캐빈의 후벽 하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원동기부의 일부를 돌출 형상으로 배치하고, 돌출한 원동기부의 일부를 보닛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피복하고, 캐빈의 후벽 하부에는 에어컨용 콘덴서와 리시버 드라이어를 수용하는 에어컨용 콘덴서 등 수용부를 형성했다. 그렇게 함으로써 보닛의 소형화를 도모함과 아울러 선회체의 선회 반경의 소경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했다.

Description

선회 작업차{SWIVELING WORK VEHICLE}
본 발명은 선회 작업차, 상세하게는 선회 작업차의 에어컨용 콘덴서 등 배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선회 작업차의 에어컨용 콘덴서 등 배치 구조의 일형태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즉,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선회 작업차는 주행부 상에 선회체를 선회 가능하게 설치하고, 선회체 상에 캐빈을 적재하여 설치하고, 캐빈 내에 운전부를 배치하고 있다. 운전부의 후하방에는 원동기부를 배치하고 있고, 원동기부는 캐빈의 후벽 하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일부를 돌출 형상으로 배치하고, 돌출된 원동기부의 일부를 보닛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피복하고 있다. 보닛 내에는 에어컨 기기로서의 에어컨용 콘덴서와 컴프레서와 리시버 드라이어를 배치하는 한편, 운전부에는 에어컨 유닛(에어컨 본체)을 배치하고, 냉매 배관을 통해서 에어컨 기기와 에어컨 유닛을 연결해서 냉방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3-285635
그런데, 상기한 선회 작업차에서는 보닛 내에 에어컨용 콘덴서와 컴프레서와 리시버 드라이어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그만큼 선회체 상의 보닛이 대형화되어 선회체의 선회 반경을 소경화함에 있어서 지장이 되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보닛의 직상방에 위치하는 캐빈의 후벽 하부에 에어컨용 콘덴서와 리시버 드라이어를 수용하는 에어컨용 콘덴서 등 수용부를 형성함으로써 보닛의 소형화를 도모함과 아울러 선회체의 선회 반경의 소경화를 도모할 수 있는 선회 작업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선회 작업차는 선회체 상에 적재하여 설치한 캐빈 내에 운전부를 배치하고, 운전부의 후하방에 원동기부를 배치함과 아울러 캐빈의 후벽 하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원동기부의 일부를 돌출 형상으로 배치하고, 돌출된 원동기부의 일부를 보닛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피복하고, 캐빈의 후벽 하부에는 에어컨용 콘덴서와 리시버 드라이어를 수용하는 에어컨용 콘덴서 등 수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선회 작업차에서는 캐빈의 후벽 하부에 형성한 에어컨용 콘덴서 등 수용부에 에어컨용 콘덴서와 리시버 드라이어를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만큼 에어컨용 콘덴서와 리시버 드라이어를 수용하고 있었던 엔진 룸을 삭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엔진 룸의 일부를 덮고 있는 보닛을 소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에어컨용 콘덴서 등 수용부에는 와셔 탱크 등의 유지 보수를 빈번히 행할 필요성이 있는 기기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 유지 보수를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와셔 탱크의 와셔액이 누설된 경우에도 편하게 청소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선회 작업차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컨용 콘덴서 등 수용부에는 개폐 커버의 좌우 중 어느 일측단 가장자리부를 피봇팅하고, 개폐 커버의 좌우 중 어느 타측단 가장자리부측을 개폐 가능하게 하는 한편, 보닛은 개폐 커버의 직하방에 배치함과 아울러 개폐 커버와 동일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선회 작업차에서는 보닛과 그 직하방에 배치한 개폐 커버는 동일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양방을 편하게 개방할 수 있어 원동기부와 에어컨용 콘덴서 등을 동시에 유지 보수할 수 있다. 특히, 에어컨용 콘덴서 등 수용부에 배치한 에어컨용 콘덴서와 원동기부에 배치한 컴프레서를 접속하고 있는 냉매 배관의 유지 보수를 편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선회 작업차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에어컨용 콘덴서 등 수용부에는 개폐 커버의 피봇팅측에 에어컨용 콘덴서를 배치하는 한편, 개폐 커버의 개폐측에 리시버 드라이어와, 와셔 탱크와, 냉매 배관 연결부를 집중시켜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선회 작업차에서는 개폐 커버의 개폐측에 리시버 드라이어와 와셔 탱크와 냉매 배관 연결부를 집중시켜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리시버 드라이어의 확인 작업이나, 와셔 탱크로의 와셔액의 보충 작업이나, 냉매 배관 연결부에 있어서의 냉매 누설 점검 작업으로의 액세스가 용이해져서 이들 작업을 신속하며 또한 견실하게 행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닛의 직상방에 위치하는 캐빈의 후벽 하부에 에어컨용 콘덴서 등 수용부를 형성하고, 에어컨용 콘덴서 등 수용부에 에어컨용 콘덴서나 리시버 드라이어 등을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보닛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선회체의 선회 반경의 소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선회 작업차(굴삭 작업차)의 전면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선회 작업차(굴삭 작업차)의 후면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선회 작업차(굴삭 작업차)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선회 작업차(굴삭 작업차)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선회 작업차(굴삭 작업차)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선회 작업차(굴삭 작업차)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선회 작업차(굴삭 작업차)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캐빈의 전면측 사시도이다.
도 9는 캐빈의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캐빈의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캐빈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캐빈의 배면도이다.
도 13은 캐빈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운전부의 단면 평면 설명도이다.
도 15는 에어컨용 콘덴서 등 수용부의 배면 설명도이다.
도 16은 운전부의 단면 측면 설명도이다.
도 17은 에어컨용 콘덴서의 사시 부착 설명도이다.
도 18은 선회체 상의 냉매 배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9는 냉매 배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0은 냉매 배관 좌측면 설명도이다.
도 21은 냉매 배관 평면 설명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도 7에 나타내는 A는 본 발명에 의한 선회 작업차로서의 굴삭 작업차이다.
[굴삭 작업차 전체의 개요 설명]
굴삭 작업차(A)는 도 1∼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주 가능한 주행 기체(1)와, 주행 기체(1)에 부착한 작업부로서의 굴삭부(2)와 배토부(3)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부의 선단부에 작업용 부속 장치로서 굴삭용 버킷(13)을 장착해서 굴삭부(2)로 하고 있다.
주행 기체(1)는 좌우 한 쌍의 크롤러식 주행부(4, 4)를 각각 정역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전후 방향으로 직진 주행하는 것도, 또한 전후 좌우 방향으로 선회 주행하는 것도, 또한 좌·우측 주행부(4, 4)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서 급선회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주행부(4, 4) 사이에는 베이스대(5)를 개설하고, 베이스대(5) 상에 선회체(6)를 선회 가능하게 적재하여 설치하고 있는 선회체(6)는 중앙부의 상하 방향의 축선 둘레로 좌우 중 어느 방향으로도 선회 작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선회체(6)는 주행부(4, 4)의 좌우측 폭(좌측 주행부(4)의 외측단 가장자리부와 우측 주행부(4)의 외측단 가장자리부의 간격) 내에서 선회 가능한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선회체(6) 상에는 도 14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반부에 운전부(7)와 탱크부(8)를 배치하는 한편, 후반부에 기능부(9)를 배치하고 있고, 운전부(7)와 기능부(9)는 후술하는 캐빈(30)에 의해 위요되어 있다. 선회체(6)의 전단부의 일측 근처(본 실시예에서는 우측 근처) 위치에는 굴삭부 스테이(10)를 전방으로 돌설하고, 굴삭부 스테이(10)에 굴삭부(2)의 기단부를 피봇팅해서 부착하고 있다. 베이스대(5)에는 좌우 한 쌍의 주행부(4, 4) 사이에 있어서 배토부(3)를 부착하고 있다.
굴삭부(2)는 붐(11)과, 암(12)과, 버킷(13)과, 이들을 회동 작동시키는 스윙 실린더(14)와, 붐 실린더(15)와, 암 실린더(16)와, 버킷 실린더(17)를 구비하고 있다.
선회체(6)의 전단부의 우측 근처 위치에 돌설한 굴삭부 스테이(10)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체(18)를 상하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피봇축(23)에 의해 피봇팅하여 피봇축(23)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체(18)를 좌우 요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선회체(6)의 우측 중도부와 요동체(18)의 우측 전방부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 신축 작동하는 스윙 실린더(14)를 개설하고, 스윙 실린더(14)의 신축 작동에 연동해서 요동체(18)가 스윙(좌우 요동) 작동하도록 하고 있다.
요동체(18)에는 측면에서 봤을 때 「へ」자상으로 굴곡해서 상하 방향으로 연신하는 붐(11)의 기단부를 좌우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제 1 피봇축(19)에 의해 피봇팅하고, 제 1 피봇축(19)을 중심으로 해서 붐(11)을 상하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요동체(18)의 전단부와 붐(11)의 앞면 중도부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신축 작동하는 붐 실린더(15)를 개설하고, 붐 실린더(15)의 신축 작동에 연동해서 붐(11)이 상하 회동 작동하도록 하고 있다.
붐(11)의 선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신하는 암(12)의 기단부를 좌우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제 2 피봇축(20)에 의해 피봇팅하고, 제 2 피봇축(20)을 중심으로 해서 암(12)을 전후 회동 가능(상하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는 붐(11)의 상면 중도부에 부착한 제 1 실린더 부착체(21)와, 암(12)의 앞면 기단부에 부착한 제 2 실린더 부착체(22)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신 작동하는 암 실린더(16)를 개설하고, 암 실린더(16)의 신축 작동에 연동해서 암(12)이 전후 회동 작동하도록 하고 있다.
암(12)의 선단부에는 버킷(13)의 베이스부를 좌우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제 3 피봇축(25)에 의해 피봇팅하고, 제 3 피봇축(25)을 중심으로 해서 버킷(13)을 전후 회동 가능(상하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암(12)의 선단부와 버킷(13)의 베이스부 사이에는 버킷 링크(24)를 개설하고, 버킷 링크(24)와 암(12)의 제 2 실린더 부착체(22)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신 작동하는 버킷 실린더(17)를 개설하고, 버킷 실린더(17)의 신축 작동에 연동해서 버킷(13)이 전후 회동(상하 회동)작동하도록 하고 있다.
배토부(3)는 도 1∼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주행부(4) 사이에 있어서, 베이스대(5)에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좌우 한 쌍의 블레이드 암(26, 26)의 기단부를 승강 가능하게 부착하고, 양쪽 블레이드 암(26, 26)의 선단부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연신하는 블레이드(배토판)(27)를 가설해서 구성하고 있다. 블레이드(27)는 주행부(4, 4)의 좌우측 폭과 대략 동일 폭으로 형성하고 있다. 28은 블레이드 실린더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주행 기체(1)는 운전부(7)에서 주행부(4)를 조작함으로써 전후 직진 주행 및 좌우 선회 주행이 적당히 행해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운전부(7)에서 굴삭부(2)를 조작함으로써 굴삭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운전부(7)에서 배토부(3)를 조작함으로써 배토 작업이 행해지도록 하고 있다.
[캐빈의 설명]
캐빈(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선회체(6) 상에 적재하여 설치하고, 탱크부(8)를 제외한 운전부(7)와 기능부(9)를 위요하고 있다. 즉, 캐빈(30)은 도 8∼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벽부(31)와, 좌측벽부(32)와, 우측벽부(33)와, 후벽부(34)와, 천장부(35)로부터 하면 개구의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벽부(31)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신하는 좌우 한 쌍의 전방 기둥체(40, 41)의 하측부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연신하는 가로로 긴 사각형상의 하측 전벽체(42)를 가설하고, 전방 기둥체(40, 41)의 상측부 사이에 세로로 긴 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프론트 유리 프레임체(43)를 가설함과 아울러 프론트 유리 프레임체(43)에 프론트 유리(44)를 장설(張設)해서 형성하고 있다. 45는 와이퍼이다. 좌우 한 쌍의 전방 기둥체(40, 41)는 전저후고의 후경사 형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하부를 전고후저의 전경사 형상으로 굴곡시켜서 형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좌우 한 쌍의 전방 기둥체(40, 41)에 있어서 프론트 유리(44)는 후경사 형상으로 장설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하방의 하측 전벽체(42)는 전경사 형상으로 장설되어 있다. 46은 좌우 한 쌍의 전방 기둥체(40, 41)의 상단부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가설한 전상부 횡부재, 47은 좌측 전방 기둥체(40)에 부착한 난간이다.
좌측벽부(32)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반측벽부(50)와 후반측벽부(51)로 형성되어 있다. 전반측벽부(50)는 도어 프레임체(52)와, 도어 프레임체(52)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한 개폐 도어(53)로 형성되어 있다. 도어 프레임체(52)는 좌측의 전방 기둥체(40)와, 좌측의 전방 기둥체(40)의 상단부로부터 후외방으로 수평으로 연신시켜서 형성한 전반 상부 횡부재(54)와, 전반 상부 횡부재(54)의 후단부에 상단부를 연결해서 상하 방향으로 연신하는 중도 기둥체(55)와, 중도 기둥체(55)의 하단부와 좌측의 전방 기둥체(40)의 하단부를 연결해서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판 형상의 전반 하부 횡부재(56)로부터 좌측면에서 봤을 때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개폐 도어(53)는 도어 프레임체(52)의 내주 가장자리부를 따라 외형상을 형성하고, 중도 기둥체(55)에 상·하 경첩(57, 57)을 통해서 개폐 도어(53)의 후단 가장자리부를 피봇팅·연결하고, 피봇팅·연결부를 중심으로 개폐 도어(53)의 전단 가장자리부측을 회동시켜서 개폐 가능하게 하고 있다.
좌측벽부(32)의 후반측벽부(51)는 중도 기둥체(55)의 상단부로부터 후내방으로 수평으로 연신시켜서 후반 상부 횡부재(58)를 형성하고, 후반 상부 횡부재(58)의 후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신하는 좌측 후방 기둥체(59)의 상단부를 연결하고, 중도 기둥체(55)와, 후반 상부 횡부재(58)와, 좌측 후방 기둥체(59)의 내주 가장자리부의 대부분에 좌측 후반 유리창(60)을 장설함과 아울러 좌측 후반 유리창(60)의 하단 가장자리부에 도어 개방 수용체(61)를 장설하고 있다. 도어 개방 수용체(61)의 하방에는 도어 개방 수용체(61)의 하단 가장자리부와 중도 기둥체(55)의 하반 후단 가장자리부를 따라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한 좌하방 가장자리벽(62)을 장설하고 있다.
우측벽부(33)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벽 형성 프레임체(69)의 상부에 창 프레임체(70)를 통해서 전·후 유리창(71, 72)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하고, 우측벽 형성 프레임체(69)의 하부에 우하방 가장자리벽(73)으로 장설해서 형성하고 있다. 우측벽 형성 프레임체(69)는 전상부 횡부재(46)의 우단부로부터 직후방으로 수평으로 연신시켜서 형성한 우측 상부 횡부재(74)와, 우측 상부 횡부재(74)의 후단부에 상단부를 연결해서 상하 방향으로 연신하는 우측 후방 기둥체(75)와, 우측 후방 기둥체(75)의 하부와 우측의 전방 기둥체(41)의 중도부 사이에 가설해서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우측 중도부 횡부재(76)로 상부를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우측 후방 기둥체(75)와 좌측 후방 기둥체(59)는 좌우 방향으로 대향시켜서 배치하고, 양쪽 기둥체(59, 75)의 하단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연신하는 후방 하부 횡판재(77)를 가로로 설치하고 있다. 우하방 가장자리벽(73)은 우측 후방 기둥체(75)의 하반부 후가장자리부와 우측 중도부 횡부재(76)의 아래 가장자리부와 우측 후방 기둥체(75)의 하부 앞 가장자리부를 따라 장설되어 있고, 우하방 가장자리벽(73)의 하단 가장자리부는 상하로 볼록 형상으로 만곡 형성되어 있다.
후벽부(34)는 도 9,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 창부(80)와 에어컨용 콘덴서 등 수용부(81)를 상하 방향으로 배치해서 형성되어 있다. 후방 창부(80)는 좌·우측 후방 기둥체(59, 75)의 상단부 사이에 후방으로 팽출시켜서 만곡 형성한 후방 상부 횡부재(82)를 가로로 설치하는 한편, 좌·우측 후방 기둥체(59, 75)의 중도부 사이에 후단 가장자리부를 후방으로 팽출시켜서 만곡 형성한 판 형상의 후방 중도부 구획체(83)를 가로로 설치하고, 이들의 내주 가장자리부에 후방 창프레임체(79)를 통해서 배면에서 봤을 때 사각형상이며, 또한 평면에서 봤을 때 후방으로 팽출하는 만곡 형상의 후방 유리창(84)을 장설해서 형성하고 있다. 에어컨용 콘덴서 등 수용부(81)는 좌·우측 후방 기둥체(59, 75)의 하반부와, 후방 중도부 구획체(83)와, 후방 하부 횡판재(77)로 가로로 긴 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 내주 가장자리부에 상자형의 수용부 내벽(85)(도 15∼도 17 참조)을 전방으로 볼록 형상으로 장설하고, 후면 개구에서 오목 형상의 수용 공간(86)(도 14 및 도 15 참조)을 형성하고 있다. 좌측 후방 기둥체(59)의 하반부에는 피봇팅 브래킷(87)(도 15 참조)을 통해서 개폐 커버(88)의 좌측단 가장자리부를 피봇팅·연결하고, 개폐 커버(88)에 의해 수용 공간(86)을 개폐 덮개 가능하게 하고 있다. 개폐 커버(88)와 후방 중도부 구획체(83) 및 후방 하부 횡판재(77)의 후단 가장자리부는 선회체(6)의 후방부 둘레 가장자리부 형상을 따라 만곡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89는 개폐 커버(88)의 우측부에 설치한 개폐용의 손잡이이다.
천장부(35)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상부 횡부재(46)와, 전반 상부 횡부재(54)와, 후반 상부 횡부재(58)와, 후방 상부 횡부재(82)와, 우측 상부 횡부재(74)에 의해 링 형상으로 형성된 내주 가장자리부에 천장판(90)을 장설해서 형성하고 있다. 천장판(90)의 전방부에는 가로로 긴 사각형상의 천창 유리(91)를 설치해서 천창(92)을 형성하고 있다.
평면에서 봤을 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선회체(6)의 좌측 후가장자리부에는 도 3,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것을 따라 만곡시켜서 형성한 좌측 후가장자리벽(100)을 세워서 설치하고, 선회체(6)의 후가장자리부에는 그것을 따라 만곡시켜서 형성한 보닛(101)과 카운터 웨이트(102)를 상하에 배치하고, 선회체(6)의 우측 후가장자리부에는 탱크부(8)를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캐빈(30)은 선회체(6) 상에 있어서, 이들 좌측 후가장자리벽(100)과, 보닛(101)과, 카운터 웨이트(102)와, 탱크부(8)로 운전부(7)와 기능부(9)를 위요하고 있다. 103은 보닛(101)의 우측부에 설치한 보닛 손잡이이며, 보닛 손잡이(103)를 통해서 보닛(101)을 좌측 후방으로 개방 가능하게 하고 있다.
[운전부의 설명]
운전부(7)는 도 14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체(6)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판편(110)의 후단 가장자리부에 좌석 지지대(시트 마운트)(111)의 앞벽을 배치하고, 좌석 지지대(111) 상의 중앙부에 운전석(112)을 적재하여 설치하고 있다. 좌석 지지대(111) 상의 운전석(112)의 좌측에는 좌레버 지지 케이스(113)를 배치하는 한편, 운전석(112)의 우측에는 우레버 지지 케이스(114)를 배치하고 있다. 좌레버 지지 케이스(113) 내에는 좌파일럿 밸브(도시 생략)를 배치하고, 좌레버 지지 케이스(113)의 전방 상부로부터 좌작업부 조작 레버(115)를 상방으로 돌설함과 아울러 좌작업부 조작 레버(115)를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경도 조작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좌레버 지지 케이스(113)는 대략 수평한 사용 위치와, 후방부를 중심으로 후상방으로 튀어오른 불사용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116은 좌레버 지지 케이스(113)의 전단벽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설한 록 레버이다.
우레버 지지 케이스(114) 내에는 우파일럿 밸브(도시 생략)를 배치하고, 우레버 지지 케이스(114)의 전방 상부로부터 우작업부 조작 레버(117)를 상방으로 돌설함과 아울러 우작업부 조작 레버(117)를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경도 조작 가능하게 하고 있다.
운전석(112)의 직전방에는 상판편(110)의 전방 중앙부에 형성한 레버 구멍을 통해서 상하 방향으로 연신하는 좌·우측 주행 레버(120, 120)를 세워서 설치하고 있으며, 각 주행 레버(120, 120)는 전후 방향으로 경도 조작 가능하게 하고 있다. 각 주행 레버(120, 120)에는 주행 제어 밸브(도시 생략)를 통해서 주행부(4, 4)의 주행 유압 모터를 유압 접속하고, 각 주행 레버(120, 120)의 전후 방향의 경도 동작에 주행 유압 모터의 정역회전 동작을 연동시켜서, 주행부(4, 4)를 주행 조작 가능하게 하고 있다. 121은 좌측 주행 레버(120)의 좌측 근방에 위치시켜서 상판편(110) 상에 설치한 증속 페달이며, 증속 페달(121)을 스테핑 조작함으로써 차속이 증속되도록 하고 있다. 122는 우측 주행 레버(120)의 우측 근방에 위치시켜서 상판편(110) 상에 설치한 붐 스윙 조작 페달이다.
우레버 지지 케이스(114)의 우측방에는 전후가 긴 폭이며, 좌우 폭이 짧은 폭으로 형성된 조작 패널부(130)를 인접시켜서 배치하고 있다. 조작 패널부(130)의 상면 전방부에는 액정 모니터(131)를 설치하고, 중도부로부터 블레이드 레버(132)를 전후 방향으로 경도 조작 가능하게 돌출시키고, 후방부에 각종 스위치군(133)을 배치하고 있다. 블레이드 레버(132)에는 블레이드 실린더 제어 밸브(도시 생략)를 통해서 배토부(3)의 블레이드 실린더(28)를 유압 접속하고, 블레이드 레버(132)의 전후 방향의 경도 조작으로 블레이드 실린더(28)의 신축 동작을 연동시켜서 배토부(3)를 승강 작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기능부의 설명]
기능부(9)는 도 14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 지지대(111)의 하방을 엔진 룸(139)으로 이루고, 엔진 룸(139) 내에 원동기부로서의 엔진(E) 등과 지지기 프레임부(141)를 배치하고 있다. 엔진(E)은 좌우 방향으로 축선을 향해서 배치하고 있다. 지지기 프레임부(141)는 엔진(E)의 배후에 세워서 설치하고, 지지기 프레임부(141)의 상단부에 후방 하부 횡판재(77)를 적재함과 아울러 연결해서 캐빈(30)의 후방부를 고정하고 있다.
[탱크부의 설명]
탱크부(8)는 엔진(E)을 구동하기 위한 연료를 수용하는 연료 탱크와, 작동유를 수용하는 작동유 탱크(이들은 도시 생략)를 전후에 인접시켜서 배치하고 있다. 이들 탱크는 선회체(6)의 우측 전방부 상에 만곡 형상으로 굴곡 형성해서 세워서 설치한 전방 탱크 커버체(142)와, 선회체(6)의 전방부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배치한 제 1·제 2 탱크 커버체(143, 144)(도 2 및 도 4 참조)와, 상판편(110)의 우측 내방에 세워서 설치한 내벽체(도시 생략)와, 이들 전방 탱크 커버체(142)와, 제 1·제 2 탱크 커버체(143, 144)와, 내벽체의 상단 가장자리부 상에 배치한 상면 커버체(145)(도 2 및 도 4 참조)에 의해 폐색하고, 상면 커버체(145)에 의해 양쪽 탱크의 상방을 개폐 가능하게 하고 있다.
[에어컨용 콘덴서 등 수용부의 설명]
에어컨용 콘덴서 등 수용부(81)는 도 6, 도 12, 도 14∼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빈(30)의 후벽부(34)의 하부에 형성하고 있다. 에어컨용 콘덴서 등 수용부(81)에는 에어컨 장치(190)의 일부를 구성하는 에어컨용 콘덴서(150)와, 리시버 드라이어(151)와, 와셔 탱크(152) 등을 수용하고 있다. 에어컨용 콘덴서 등 수용부(81)에는 개폐 커버(88)의 좌우 중 어느 일측단 가장자리부(본 실시예에서는 좌측단 가장자리부)를 피봇팅하고, 개폐 커버(88)의 좌우 중 어느 타측단 가장자리부(본 실시예에서는 우측단 가장자리부)측을 개폐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에어컨용 콘덴서 등 수용부(81)에는 개폐 커버(88)의 피봇팅측에 에어컨용 콘덴서(150)를 배치하는 한편, 개폐 커버체(153)의 개폐측에 리시버 드라이어(151)와, 와셔 탱크(152)와 냉매 배관 연결부(154)를 집중시켜서 배치하고 있다.
엔진(E)의 일부인 후방부를 후방으로 돌출 형상으로 배치하고, 돌출한 엔진(E)의 후방부를 보닛(101)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피복하고 있다. 보닛(101)은 개폐 커버(88)의 직하방에 배치함과 아울러 개폐 커버(88)와 동일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좌측단 가장자리부를 피봇팅부로서 우측단 가장자리부측을 좌측후방)으로 개폐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캐빈(30)의 후벽부(34)의 하부에 설치한 에어컨용 콘덴서 등 수용부(81)에 에어컨용 콘덴서(150)와 리시버 드라이어(151)를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만큼 에어컨용 콘덴서(150)와 리시버 드라이어(151)를 수용하고 있던 엔진 룸(139)을 삭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엔진 룸(139)의 일부를 덮고 있는 보닛(101)을 소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에어컨용 콘덴서 등 수용부(81)에는 와셔 탱크(152) 등의 유지 보수를 빈번히 행할 필요성이 있는 기기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 유지 보수를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와셔 탱크(152)의 와셔액이 누설된 경우에도 편하게 청소할 수 있다.
보닛(101)과 그 직하방에 배치한 개폐 커버(88)는 동일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양방을 편하게 개방할 수 있어서 엔진(E)과 에어컨용 콘덴서(150) 등을 동시에 유지 보수할 수 있다. 특히, 에어컨용 콘덴서 등 수용부(81)에 배치한 에어컨용 콘덴서(150)와 엔진(E)에 배치한 컴프레서를 접속하고 있는 냉매 배관의 유지 보수를 편하게 행할 수 있다.
개폐 커버(88)의 개폐측에 리시버 드라이어(151)와, 와셔 탱크(152)와, 냉매 배관 연결부(154)를 집중시켜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리시버 드라이어(151)의 확인 작업이나, 와셔 탱크(152)로의 와셔액의 보충 작업이나, 냉매 배관 연결부(154)에 있어서의 냉매 누설 점검 작업으로의 액세스가 용이하게 되고, 이들의 작업을 신속하며 또한 견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에, 에어컨용 콘덴서 등 수용부(81)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에어컨용 콘덴서 등 수용부(81)는 도 14∼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자형의 수용부 내벽(85)을 가로로 긴 사각형상의 상승벽(160)과, 상승벽(160)의 상단 가장자리부로부터 후방으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시켜서 형성한 상부벽(161)과, 상승벽(160)의 하단 가장자리부로부터 후방으로 대략 수평으로 돌출 형상으로 해서 연결하여 설치한 후방 하부 횡판재(77)와, 상승벽(160)의 좌우측 가장자리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 형상으로 연접시켜서 형성한 좌·우측벽(163, 163)으로 형성하고, 내부에 오목 형상의 수용 공간(86)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좌측벽(163)에는 상하 방향의 축선 둘레에 회전하는 피봇팅 브래킷(87)을 부착하고, 피봇팅 브래킷(87)에 개폐 커버체(153)의 좌측단 가장자리부를 부착하고 있다. 개폐 커버(88)는 가로로 긴 사각형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선회체(6)의 후주단 가장자리부를 따르게 해서 원호 형상으로 만곡시켜서 형성하고 있다. 개폐 커버(88)의 우측단부에는 손잡이(89)를 부착하고(도 12 참조), 손잡이(89)를 통해서 개폐 커버(88)를 좌측 후방으로 개방하는 것도, 또한 폐쇄 록 하는 것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승벽(160)의 좌측부와 중앙부에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콘덴서 지지체(170)를 부착하고, 좌우 한 쌍의 콘덴서 지지체(170)에 브래킷(171)을 통해서 에어컨용 콘덴서(150)를 부착하고 있다. 콘덴서 지지체(170)는 상하 방향으로 연신하는 본편(172)의 상부와, 중도부와, 하부에 각각 전방으로 돌출하는 다리편(173, 174, 175)을 설치하고 있다. 상승벽(160)에는 다리편(173, 174, 175)의 전단부를 연결하여 설치하고, 상승벽에 의해 앞면이 폐색된 다리편(173, 174, 175)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개구하는 통기구(176)를 형성하고 있다. 에어콘용 콘덴서(150)의 후면에는 연결편(177)을 통해서 사각형 통형상의 도풍체(178)를 연결하고, 도풍체(178)의 후단 가장자리부에는 탄성 접촉편(179)을 부착하고 있다. 탄성 접촉편(179)에는 폐색시의 개폐 커버체(153)의 내면(앞면)의 좌우측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신하는 돌출조로 형성한 좌·우 접촉부(164, 164)(도 12 참조)가 접촉하고, 수용 공간(86)이 도풍체(178) 내와 잔여 부분으로 구분되도록 하고 있다. 개폐 커버체(153)의 에어컨용 콘덴서(150)와 대면하는 부분과 그 좌우측부에 각각 망눈 형상의 통기구(180, 181, 182)를 형성하고 있다. 도풍체(178) 내에는 전동 모터 내장 팬(183)을 설치하고, 팬(183)을 전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186은 연결용 나사, 187은 나사 구멍, 188은 연결 볼트이다.
난방시 등과 같이 에어컨용 콘덴서(150)가 불필요한 때에는 연결용 나사(186)를 분리하고, 콘덴서 지지체(170)로부터 에어컨용 콘덴서(150)와 도풍체(178)를 일체적으로 해체함으로써 수용 공간(86)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수용 공간(86) 내에는 공구 상자 등을 수용하여 수용 공간(86)을 유효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팬(183)을 전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수용 공간(86) 내의 공기를 에어컨용 콘덴서(150)→도풍체(178)→통기부(180)를 통해서 기외로 방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외기는 통기부(181, 182)를 통해서 수용 공간(86) 내에 흡입되고, 콘덴서 지지체(170)의 통기구(176)를 통해서 에어컨용 콘덴서(150)에 유입되도록 하고 있다. 그 결과, 에어컨용 콘덴서(150)는 공냉 되도록 하고 있다.
우측의 연결편(177)에는 리시버 부착 브래킷(184)을 통해서 세로로 긴 통 형상 용기로 이루어진 리시버 드라이어(151)를 부착하고 있다. 리시버 드라이어(151)는 에어컨용 콘덴서(150)에 의해 액화된 냉매를 일시적으로 비축해 두는 탱크이며, 내부에는 냉매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스트레이너와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제를 수용하고 있다. 리시버 드라이어(151)의 우측방에는 상승벽(160)에 탱크 부착 브래킷(185)을 통해서 와셔 탱크(152)를 부착해서 배치하고 있다. 189는 개폐 커버체(153)의 폐색 록부이다.
[에어컨 장치의 설명]
에어컨 장치(190)는 도 18∼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방 사이클 기구(191)와 난방 사이클 기구(192)를 구비하고 있다. 냉방 사이클 기구(191)는 엔진(E)에 연동 연결해서 그 후측 상부에 배치한 냉매를 압축하는 컴프레서(193)와, 에어컨용 콘덴서(150)와, 리시버 드라이어(151)와, 익스펜션 밸브(195)와, 냉난기 방출부(194)에 설치한 이배퍼레이터(196)와, 이들을 연통 연결하는 냉매 배관(197)으로 구성되어 있다.
컴프레서(193)는 냉매를 압축하는 것이다. 에어컨용 콘덴서(150)는 압축되어서 고온 고압이 된 냉매를 차게해서 액화하는 것이다. 리시버 드라이어(151)는 내부에 냉매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스트레이너와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제가 수용되어 있고, 에어컨용 콘덴서(150)에 의해 액화된 냉매를 일시적으로 비축해 두는 탱크이다. 익스펜션 밸브(195)는 이배퍼레이터(196)의 입구에 부착되어 있고, 고온 고압의 액화 냉매가 이곳을 지나면 액체로부터 안개 형상의 기체로 변화되어 가서 분사되는 것이다. 이배퍼레이터(196)는 그 안을 기화된 냉매가 열을 빼앗으면서 통과해 가고, 그 자체가 냉각되는 것이다. 냉매 배관(197)은 컴프레서(193)와 에어컨용 콘덴서(150)를 연통 연결하는 제 1 냉매관(220)과, 에어컨용 콘덴서(150)와 리시버 드라이어(151)를 연통 연결하는 제 2 냉매관(221)과, 리시버 드라이어(151)와 익스펜션 밸브(195)를 연통 연결하는 제 3 냉매관(222)과, 익스펜션 밸브(195)와 이배퍼레이터(196)를 연통 연결하는 제 4 냉매관(223)과, 이배퍼레이터(196)와 컴프레서(193)를 연통 연결하는 제 5 냉매관(224)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난방 사이클 기구(192)는 엔진(E)에 연동 연결해서 그 전방 우측 상부에 배치한 워터 펌프(198)와, 냉난기 방출부(194)에 설치해서 열교환기로서 기능하는 히터 코어(210)와, 이들을 연통 연결하는 온수 배관(199)으로 구성되어 있다. 온수 배관(199)은 토출측 온수관(225)과 리턴측 온수관(226)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냉난기 방출부(194)는 운전부(7)의 우측부이며 또한 우레버 지지 케이스(114)의 직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즉, 냉난기 방출부(194)는 운전부(7)의 상판편(110)으로부터 상방으로 앞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사각형 상자형의 냉난기 방출 케이스(200)를 상승시키고, 조작 패널부(130)의 전방부에 냉난기 방출 케이스(200)의 상단부를 연결하여 설치하고 있다. 냉난기 방출 케이스(200)의 좌측벽의 상부와 하부에 좌측 상부 방출구(202)와 좌측 하부 흡기 구멍(201)을 형성하고, 냉난기 방출 케이스(200)의 전벽 상부에 전상부 방출구(203)를 형성하고, 냉난기 방출 케이스(200)의 상단벽에 좌우 연신 상단 방출구(204)와 전후 연신 상단 방출구(205)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방출구(202∼205)에는 루버 등의 방출풍의 방출 방향을 조절 가능하게 한 제 1∼제 4 방출 방향 조절체(206∼209)를 설치하고 있다. 206은 냉난기 방출 케이스(200)의 우측벽에 연통 연결하여 설치한 벤틸레이터이다.
냉난기 방출 케이스(200) 내에는 상부에 히터 코어(210)와 이배퍼레이터(196)를 배치하고, 이 하방에 블로어 팬(211)을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냉방시에는 블로어 팬(211)에 의해 좌측 하부 흡기 구멍(201)으로부터 흡입되어서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압송된 공기가 이배퍼레이터(196)로 냉각되어서(열교환) 냉기가 되어 각 방출구(202∼205)로부터 방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난방시에는 블로어 팬(211)에 의해 좌측 하부 흡기 구멍(201)으로부터 흡입되어서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압송된 공기가 히터 코어(210)에서 따뜻해져서(열교환) 난기가 되어 각 방출구(202∼205)로부터 방출되도록 하고 있다. 212는 드레인 배관이다.
A : 굴삭 작업차 1 : 주행 기체
2 : 굴삭부 3 : 배토부
4 : 주행부 150 : 에어컨용 콘덴서
151 : 리시버 드라이어 152 : 와셔 탱크
153 : 개폐 커버 154 : 냉매 배관 연결부

Claims (3)

  1. 선회체 상에 적재하여 설치한 캐빈 내에 운전부를 배치한 선회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운전부의 후하방에 원동기부를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캐빈의 후벽 하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상기 원동기부의 일부를 돌출 형상으로 배치하고, 돌출한 상기 원동기부의 일부를 보닛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피복하고,
    상기 캐빈의 후벽부는, 후방 창부와, 그 후방 창부의 아래에 형성된 에어컨용 콘덴서 등 수용부를 갖고 있고,
    상기 에어컨용 콘덴서 등 수용부는, 후면 개구에서 오목 형상의 수용 공간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수용 공간을 개폐 커버에 의해 개폐 덮개 가능하게 하고,
    상기 에어컨용 콘덴서 등 수용부의 상기 수용 공간 내에는 상기 원동기부와 연동하는 에어컨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에어컨용 콘덴서와 리시버 드라이어를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 작업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용 콘덴서 등 수용부에는 상기 개폐 커버의 좌우 중 어느 일측단부 가장자리부를 피봇팅하고, 상기 개폐 커버의 좌우 중 어느 타측단 가장자리부측을 개폐 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기 보닛은 상기 개폐 커버의 직하방에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개폐 커버와 동일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 작업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용 콘덴서 등 수용부에는 상기 개폐 커버의 피봇팅측에 상기 에어컨용 콘덴서를 배치하는 한편, 상기 개폐 커버의 개폐측에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와, 상기 에어컨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와셔 탱크와, 냉매 배관 연결부를 집중시켜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 작업차.
KR1020147030329A 2012-05-28 2013-02-19 선회 작업차 KR1019919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21225A JP6121655B2 (ja) 2012-05-28 2012-05-28 旋回作業車
JPJP-P-2012-121225 2012-05-28
PCT/JP2013/053946 WO2013179694A1 (ja) 2012-05-28 2013-02-19 旋回作業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324A KR20150017324A (ko) 2015-02-16
KR101991985B1 true KR101991985B1 (ko) 2019-06-21

Family

ID=49672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0329A KR101991985B1 (ko) 2012-05-28 2013-02-19 선회 작업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165875A1 (ko)
EP (2) EP3868585A1 (ko)
JP (1) JP6121655B2 (ko)
KR (1) KR101991985B1 (ko)
CN (1) CN104349921B (ko)
AU (1) AU2013268935B2 (ko)
WO (1) WO20131796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57957B (zh) * 2014-08-05 2020-11-24 株式会社久保田 作业机
US10543733B2 (en) 2016-11-14 2020-01-28 Cnh Industrial America Llc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of a work vehicle
JP6971773B2 (ja) * 2017-10-20 2021-11-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のキャブ、作業車両およびホイールローダ
TR201808807A2 (tr) * 2018-06-21 2018-08-27 Hidromek Hidrolik Ve Mekanik Makina Imalat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İş maki̇neleri̇ i̇çi̇n geli̇şti̇ri̇lmi̇ş bi̇r kli̇ma (hvac) komplesi̇
JP6997045B2 (ja) * 2018-07-03 2022-01-17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建設機械
JP7163272B2 (ja) * 2019-12-24 2022-10-31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GB2591277B (en) * 2020-01-24 2024-04-10 Bamford Excavators Ltd A superstructure
WO2022163304A1 (ja) * 2021-01-27 2022-08-0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7443273B2 (ja) * 2021-01-27 2024-03-0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7443295B2 (ja) * 2021-06-30 2024-03-0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EP4365375A1 (en) 2021-06-30 2024-05-08 Kubota Corporation Working machine
JP7443293B2 (ja) * 2021-06-30 2024-03-0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7443294B2 (ja) * 2021-06-30 2024-03-0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TWI786948B (zh) * 2021-11-16 2022-12-11 佳謄國際貿易有限公司 工程車輛的配重結構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5051A (ja) * 2004-03-29 2005-11-10 Kubota Corp 旋回作業機
JP2008081953A (ja) 2006-09-26 2008-04-10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
JP2009215700A (ja) * 2008-03-06 2009-09-24 Yanmar Co Ltd 旋回作業車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09115A (en) * 1975-10-16 1978-04-26 Caterpillar Tractor Co Vehicle cab with compartment for air cooling and heating equipment
JPH0251120U (ko) * 1988-10-04 1990-04-10
JPH04108025A (ja) * 1990-08-28 1992-04-09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キャビン空調装置
JP2584374Y2 (ja) * 1992-12-15 1998-10-3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小型ブルドーザの空調装置
JP3572719B2 (ja) * 1995-05-16 2004-10-0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油圧作業機
JPH11158924A (ja) * 1997-11-27 1999-06-15 Kubota Corp バックホウの冷房装置
FR2777639B1 (fr) * 1998-04-20 2000-06-30 Valeo Thermique Moteur Sa Condenseur de climatisation comprenant un reservoir monte sur une embase
JP3375540B2 (ja) * 1998-04-30 2003-02-10 株式会社クボタ バックホーの冷却装置
JP4109401B2 (ja) * 1999-12-22 2008-07-02 ヤンマー株式会社 旋回作業車のボンネット構造
JP4445681B2 (ja) * 2001-02-23 2010-04-0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Rops運転室のエアコン取付構造
DE10159589B4 (de) * 2001-12-05 2006-01-05 Terex Germany Gmbh & Co. Kg Anordnung einer Klimaanlage
JP2003191827A (ja) * 2001-12-26 2003-07-09 Yanmar Co Ltd 建設機械のワイパー装置
US6871697B2 (en) * 2002-01-18 2005-03-29 Clark Equipment Company Integrated fluid reservoir and heat exchanger ducts
JP3920679B2 (ja) 2002-03-27 2007-05-3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クーラ装置
US6966355B2 (en) * 2002-07-12 2005-11-22 Cnh America, Inc. Side mounted condenser for a skid steer loader
US7021074B2 (en) * 2003-03-10 2006-04-04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JP2006028829A (ja) * 2004-07-14 2006-02-02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キャブ
JP4996412B2 (ja) * 2007-10-05 2012-08-08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5051A (ja) * 2004-03-29 2005-11-10 Kubota Corp 旋回作業機
JP2008081953A (ja) 2006-09-26 2008-04-10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
JP2009215700A (ja) * 2008-03-06 2009-09-24 Yanmar Co Ltd 旋回作業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3268935B2 (en) 2015-11-26
EP2857238B1 (en) 2021-04-07
EP2857238A1 (en) 2015-04-08
WO2013179694A1 (ja) 2013-12-05
EP3868585A1 (en) 2021-08-25
KR20150017324A (ko) 2015-02-16
EP2857238A4 (en) 2017-03-08
US20150165875A1 (en) 2015-06-18
AU2013268935A1 (en) 2014-12-18
JP6121655B2 (ja) 2017-04-26
CN104349921B (zh) 2016-06-29
CN104349921A (zh) 2015-02-11
JP2013244910A (ja) 201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985B1 (ko) 선회 작업차
JP4880757B2 (ja) 建設機械
JP5758338B2 (ja) 作業機
KR100602965B1 (ko) 작업차
CN101631914B (zh) 挖掘作业机
KR20130060118A (ko) 작업 차량
KR20140002626A (ko) 건설기계
JP6534955B2 (ja) 作業車
JP5385707B2 (ja) 作業車両のためのエアコン装置及びこのエアコン装置を備えた作業車両
JP5254821B2 (ja) 旋回作業機
US9988790B2 (en) Working machine
JP2006273055A (ja) 旋回作業機
KR101059300B1 (ko) 건설 기계
JP5385708B2 (ja) 作業車両のためのエアコン装置及びこのエアコン装置を備えた作業車両
JP7106406B2 (ja) 作業用車両
JP2001063342A (ja) 車両の空調装置
JP2004268799A (ja) 作業車のエアコン装置
JP7391898B2 (ja) 作業機
JP5497718B2 (ja) 旋回作業機
JP2019038284A (ja) 作業用車両
JP5191189B2 (ja) 旋回作業車
JP2013024012A (ja) 建設機械
JP2004268801A (ja) 作業車
JP2001311180A (ja) 旋回作業車
JP2004268800A (ja) 作業車のエアコ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