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626A - 건설기계 - Google Patents

건설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626A
KR20140002626A KR1020137009103A KR20137009103A KR20140002626A KR 20140002626 A KR20140002626 A KR 20140002626A KR 1020137009103 A KR1020137009103 A KR 1020137009103A KR 20137009103 A KR20137009103 A KR 20137009103A KR 20140002626 A KR20140002626 A KR 20140002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ox body
indoor unit
box
floo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9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1390B1 (ko
Inventor
쇼고 기무라
도모유키 다나카
히로시 다베타
하지메 이시이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2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8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tractor or load vehicle cab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movable, tiltable or pivoting, e.g. movable seats, dampening arrangements of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21Devices in the floor or side wall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상부 선회체(3)를, 선회 프레임(5)과, 선회 프레임(5) 상에 설치되어 전측이 오퍼레이터가 발을 얹어놓는 발판부(11)가 된 플로어 부재(9)와, 플로어 부재(9) 상에 운전실(18)을 형성하는 캡 박스(17)와, 플로어 부재(9)에 배치되어 흡입한 공기를 조화 공기로서 공급하는 실내 유닛(23)을 구비하고 있다.
플로어 부재(9)의 발판부(11)의 하면(11B) 측을 유닛 장착면(12)으로서 형성하고, 실내 유닛(23)은, 박스체(24)를 유닛 장착면(12)의 하측에 배치하고, 이 상태에서, 복수 개의 볼트(32)를 사용하여 박스체(24)를 유닛 장착면(12)에 장착한다.

Description

건설기계{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플로어 부재에 실내 유닛을 구비한 유압 셔블 등의 건설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기계로서의 유압 셔블은, 자주(自走)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당해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당해 상부 선회체의 전측에 부앙동(俯仰動)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는, 지지구조체를 형성하는 선회 프레임과, 당해 선회 프레임의 후측에 설치되어 유압펌프를 구동하는 엔진과, 당해 엔진의 전측에 위치하고 상기 선회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후측이 운전석을 장착하는 운전석 장착부가 되며 전측이 오퍼레이터가 발을 얹어놓는 발판부가 된 플로어 부재와, 당해 플로어 부재 상에 운전실을 형성하기 위해 당해 플로어 부재의 주위와 위쪽을 덮어 설치된 캡 박스와, 상기 운전실의 작업환경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상기 운전실 내에 조화 공기를 공급하는 공조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공조 장치는, 엔진측의 실외 유닛과 플로어 부재측의 실내 유닛을 냉매배관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엔진측의 실외 유닛은, 냉매배관의 도중에 위치하여 상기 엔진의 냉각 팬에 의한 냉각풍으로 냉매를 냉각하는 콘덴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플로어 부재측의 실내 유닛은, 운전실 내를 향하는 공기의 흐름을 만드는 팬과, 압축된 냉매가 팽창할 때에 열교환하여 팬에 의한 공기를 냉각하는 이배퍼레이터 및/또는 엔진 냉각수가 유통하는 난방용의 히터 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압 셔블에는, 좁은 작업 현장에서의 작업에 적합한 미니 셔블로 불리는 소형의 유압 셔블이 있고, 이 소형의 유압 셔블에서는, 좁은 장소에서도 선회 할 수 있도록 상부 선회체가 작게 형성되어 있다.
소형의 유압 셔블에서는, 운전실이 좁기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발밑에 실내 유닛을 배설하고 있다. 즉, 플로어 부재의 발판부에 큰 개구를 설치하고, 이 개구에 아래쪽을 향해 움푹 패인 바닥이 있는 상자 형상의 트레이를 장착한다. 이 트레이 내에 실내 유닛을 배설하고, 당해 실내 유닛의 상측을 덮개체로 덮어 가리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특허 문헌1).
특개 2006-2479호 공보
그런데, 유압 셔블은, 황무지나 진창지에서 작업하는 것이며, 운전실 내는 오퍼레이터의 구두에 부착된 진흙 등이 떨어져 더럽혀지기 때문에, 운전실 내를 물로 세척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특허 문헌 1에 의한 유압 셔블에서는, 플로어 부재의 발판부의 개구에 상자 형상의 트레이를 설치하여, 이 트레이 내에 실내 유닛을 수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발판부와 덮개체와의 사이에는, 운전실 내를 물로 세척한 경우에도 실내 유닛에 물이 침입하지 않도록, 시일 부재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 된다. 게다가, 특허 문헌 1에 의한 것으로는, 실내 유닛을 배설하기 위해, 플로어 부재의 발판부에 개구를 가공하고, 이 개구에 장착하는 상자 형상의 트레이를 제조하고, 또한 실내 유닛의 상측을 덮는 덮개체를 제조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수나 가공 공정수가 증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실 내를 물로 세척할 때의 물이 실내 유닛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적은 부품수, 가공 공정수로 플로어 부재의 발판부에 실내 유닛을 배설할 수 있도록 한 건설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에 의한 건설기계는, 자주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당해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당해 상부 선회체에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선회체는, 지지구조체를 형성하는 선회 프레임과, 당해 선회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후측이 운전석을 장착하는 운전석 장착부가 되고 전측이 오퍼레이터가 발을 얹어놓는 발판부가 되는 플로어 부재와, 당해 플로어 부재 상에 운전실을 형성하기 위해 당해 플로어 부재의 주위와 위쪽을 덮어 설치되어 하나의 측면에 오퍼레이터가 승강할 때에 개폐되는 도어를 가지는 캡 박스와, 상기 플로어 부재에 배치되어 흡입된 공기를 조화 공기로서 상기 운전실 내로 공급하는 공조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실내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상기 발판부는, 그 하면측을 상기 실내 유닛을 장착하기 위한 유닛 장착면으로서 사용하고, 상기 실내 유닛은, 당해 유닛 장착면에 대해 체결 부재를 사용하여 장착함으로써 당해 유닛 장착면에 매다는 상태로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로어 부재의 발판부의 하면측을 유닛 장착면으로 하고, 당해 유닛 장착면에 하측으로부터 실내 유닛을 당접시켜, 이 상태에서, 체결 부재를 사용하여 실내 유닛을 유닛 장착면에 장착한다. 이것에 의해, 실내 유닛은, 발판부의 하면(유닛 장착면)에 대하여 매다는 상태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플로어 부재의 발판부는, 하면측의 유닛 장착면에 실내 유닛을 장착할 수 있으면 좋기 때문에, 특별한 가공이나 부품을 추가할 필요가 없어, 단순한 평탄면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이 결과, 플로어 부재의 발판부에는, 실내 유닛을 배설하기 위한 개구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별도 시일 부재 등을 설치하지 않고, 운전실 내를 물로 세척할 때의 물이 실내 유닛에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운전실 내를 물로 세척할 때에는, 실내 유닛에 물이 튀는 것을 배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세정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시일 부재, 트레이, 덮개체 등의 부품수, 발판부를 가공하기 위한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2). 본 발명은, 상기 발판부에는 상기 유닛 장착면의 주위에 위치하여 복수 개의 암나사 구멍을 설치하고, 상기 실내 유닛에는 당해 각 암나사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 부재 삽통(揷通) 구멍을 설치하고, 상기 실내 유닛은 상기 체결 부재 삽통 구멍에 삽통한 상기 체결 부재를 상기 암나사 구멍에 돌려 장착함으로써 상기 유닛 장착면에 체결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발판부의 하면측의 유닛 장착면에 하측으로부터 실내 유닛을 당접시켜, 발판부의 유닛 장착면의 주위에 설치한 각 암나사 구멍과 실내 유닛의 체결 부재 삽통 구멍을 위치 맞춤한다. 이 상태에서, 체결 부재를 체결 부재 삽통 구멍에 삽통하여 암나사 구멍에 돌려 장착한다. 이것에 의해, 실내 유닛을 체결 부재를 사용하여 유닛 장착면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고, 또 체결 부재를 느슨하게 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떼어낼 수 있다.
(3).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실내 유닛은, 그 외각(外殼)을 형성하기 위해 하면, 주위면 및 상면을 구비한 폐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박스체와, 당해 박스체 내에 배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만드는 팬과, 상기 박스체 내에 배치되어 공기를 조화하는 이배퍼레이터 및/또는 히터 코어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실내 유닛은, 상기 박스체의 상면을 상기 발판부의 유닛 장착면에 대면시킨 상태에서 당해 유닛 장착면에 장착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실내 유닛은, 그 외각을 형성하는 폐 구조체를 한 박스체의 상면을 발판부의 유닛 장착면에 대면시킴으로써, 이 상태에서 유닛 장착면에 매단 상태로 장착할 수 있다.
(4).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실내 유닛은, 그 외각을 형성하기 위해 하면과 주위면을 가지는 동시에 상면이 개구한 프레임 형상 구조의 박스체와, 당해 박스체 내에 배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만드는 팬과, 상기 박스체 내에 배치되어 공기를 조화하는 이배퍼레이터 및/또는 히터 코어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발판부의 유닛 장착면은, 상기 박스체를 상기 유닛 장착면에 장착했을 때 상기 박스체의 상면을 폐색하는 폐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면이 개구한 박스체를, 발판부의 유닛 장착면에 장착함으로써, 당해 유닛 장착면을 폐색면으로서 이용하여 박스체의 상면을 폐색할 수 있다. 따라서, 상면을 생략한 분만큼 박스체의 상, 하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부 선회체의 높이 치수를 낮게 억제하여 주행시, 작업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선회 프레임 상에서 플로어 부재의 하측의 수용 스페이스를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유닛의 점검 작업, 수리 작업을 행할 경우에는, 실내 유닛을 발판부로부터 떼어내는 것만으로, 박스체를 분해하지 않고, 내부의 팬, 이배퍼레이터, 히터 코어 등을 점검하거나, 수리하거나 할 수 있다.
(5). 본 발명은, 상기 박스체는, 평면시에서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박스체에는, 상기 캡 박스의 도어측에 위치하여 공기를 취입하는 공기 취입구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도어와는 반대측에 위치하여 조화 공기를 취출하는 공기 취출구를 설치하고, 상기 이배퍼레이터 및/또는 히터 코어는, 상기 박스체 내의 상기 공기 취입구와 공기 취출구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박스체는, 캡 박스의 도어측에 설치한 공기 취입구로부터 공기를 취입할 수 있다. 공기 취입구로부터 취입된 공기는, 이배퍼레이터, 히터 코어에 의해 원하는 온도로 조정할 수 있고, 이 조화 공기는, 도어와 좌, 우 방향의 반대측에 배치한 공기 취출구로부터 취출되어 운전실에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적용되는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유압 셔블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일부 파단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작업 장치와 캡 박스를 생략한 유압 셔블을 플로어 부재를 틸트 업한 상태로 후측에서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플로어 부재, 운전석, 각종 조작 레버, 페달 등을 상부 전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플로어 부재를 상부 전측으로부터 단체(單體)로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플로어 부재를 하부 전측으로부터 단체로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플로어 부재의 발판부의 하면측에 실내 유닛을 장착한 상태를 도 6과 같은 위치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은, 발판부의 하면측에 대한 실내 유닛의 장착상태를 도 7 중의 화살표 Ⅷ-Ⅷ방향으로부터 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플로어 부재의 발판부로부터 실내 유닛을 분리한 상태를 도 6과 같은 위치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실내 유닛을 볼트와 함께 확대하여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11은, 플로어 부재의 발판부 상에 각 공조 덕트를 설치한 상태를 도 5와 같은 위치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12는, 플로어 부재의 발판부로부터 각 공조 덕트를 분리한 상태를 도 5와 같은 위치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공조 장치의 실외 유닛과 실내 유닛을 엔진과 함께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이다.
도 14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플로어 부재의 발판부와 실내 유닛을 도 8과 같은 위치로부터 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 중의 실내 유닛을 볼트와 함께 확대하여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적용되는 건설기계로서, 캡 사양(仕樣)의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13을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는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건설기계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실내 유닛의 박스체를 하면, 주위면 및 상면을 구비한 폐 구조체로서 형성하고, 실내 유닛은, 박스체의 상면을 발판부의 유닛 장착면에 대면시킨 상태에서 장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본 실시형태에 적용되는 건설기계로서의 캡 사양의 유압 셔블로, 당해 유압 셔블(1)은, 좁은 작업 현장에서의 작업에 적합한 미니 셔블로 불리는 소형의 유압 셔블이다. 유압 셔블(1)은, 자주가능한 하부 주행체(2)와, 당해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3)와, 당해 상부 선회체(3)의 전, 후 방향의 전측에 설치되어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하는 작업 장치(4)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선회체(3)는, 하부 주행체(2)의 차폭과 대략 같은 좌, 우 방향의 폭 치수를 가지며, 또한 선회 중심(O)을 중심으로 한 선회 반경(R)의 가상 원(C) 내에 들어가도록, 위쪽으로부터 보아 대략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압 셔블(1)은, 상부 선회체(3)가 하부 주행체(2) 상에서 선회 중심(O)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했을 때에, 후술하는 카운터 웨이트(36)의 후면이 대략 하부 주행체(2)의 차폭 내로 들어가는 뒤쪽의 작은 선회형의 유압 셔블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선회 반경(R)은, 선회 중심(O)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36)의 후면까지의 거리에 의해 규정되며, 상술한 가상 원(C)은, 상부 선회체(3)의 선회시에 있어서의 카운터 웨이트(36)의 후면의 궤적으로 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3)는, 후술한 선회 프레임(5), 플로어 부재(9), 운전석(14), 캡 박스(17), 실내 유닛(23), 볼트(32), 공조 덕트(33), 카운터 웨이트(36)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5)은, 하부 주행체(2) 상에 장착된 상부 선회체(3)의 지지구조체를 형성하고 있다. 선회 프레임(5)의 전측에는, 작업 장치(4)가 요동(搖動) 가능 및 부앙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엔진(6)은 선회 프레임(5)의 후측에 탑재되며, 당해 엔진(6)은, 예를 들면 좌, 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로 놓임 상태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6)의 우측에는, 냉각 팬(6A)에 대면하여 열교환장치(7)가 설치되며, 좌측에는 유압펌프(8)가 배설되어 있다. 열교환장치(7)는, 엔진(6)을 냉각하기 위한 워터 재킷(6B)에 접속된 라디에이터(7A)와, 각종 액추에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작동유를 냉각하는 오일 쿨러(7B)와, 후술하는 실외 유닛(20)의 콘덴서(21)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9는 선회 프레임(5) 상의 좌측 가까이에 설치된 플로어 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플로어 부재(9)는, 전측 위치가 선회 프레임(5)의 전측 위치에 경전(傾轉) 가능하게 지지되며, 후측 위치가 후술의 카운터 웨이트(36)의 상부에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플로어 부재(9)는, 운전석(14), 캡 박스(17), 실내 유닛(23), 공조 덕트(33) 등과 함께 전측 위치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틸트 업(도 3의 상태), 틸트 다운(도 1의 상태) 할 수 있다. 플로어 부재(9)가 틸트 다운했을 때에는, 후술의 장착판(10D)이 카운터 웨이트(36) 상에 방진(防振) 상태로 지지된다. 여기에서, 플로어 부재(9)는,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의 운전석 장착부(10)와 발판부(11)와 레버·페달 장착부(13)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운전석 장착부(10)는 플로어 부재(9)의 후측에 위치하여 스텝 형상으로 형성되며, 당해 운전석 장착부(10)는, 후술의 운전석(14)이 장착되는 것이다. 이 운전석 장착부(10)는, 발판부(11)의 후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전판(10A)과, 당해 전판(10A)의 상부로부터 후측으로 연장되어 운전석(14)을 재치하는 대략 평탄한 재치판(10B)과, 당해 재치판(10B)의 후부로부터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등판(10C)과, 당해 등판(10C)의 상부로부터 후측으로 연장되는 장착판(10D)과, 상기 전판(10A)으로부터 재치판(10B), 등판(10C)의 좌단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후측으로 연장되는 좌측 면판(10E)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운전석 장착부(10)의 전판(10A)에는, 운전석(14)의 전측에 위치하고, 예를 들면 후술하는 실내 유닛(23)에 공급하는 내기중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내기 필터(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따라, 재치판(10B)의 전부에는, 내기 필터를 향해 내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내기 유입구(10F)가 설치되어 있다. 이 내기 유입구(10F)는, 재치판(10B)에 설치함으로써, 발밑의 차가워진 공기를 흡입하기 어려워, 어느 정도 따뜻해진 공기를 후술의 실내 유닛(23)에 흡입하게 하는 것으로 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플로어 부재(9)의 발판부(11)는, 운전석(14)에 앉은 오퍼레이터가 발을 얹어놓는 것으로, 운전석 장착부(10)의 전측에 설치되어 있다. 발판부(11)는, 좌, 우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평탄한 판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발판부(11)는, 오퍼레이터의 발이 실어지는 상면(11A)과, 후술의 실내 유닛(23)이 장착되는 하면(11B)을 가지고 있다.
발판부(11)의 우단측에는, 예를 들면 3개의 취출구 장착개구(11C,11D,11E)가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3개의 취출구 장착개구(11C,11D,11E) 중, 전측에 위치하는 취출구 장착개구(11C)에는, 후술하는 운전실(18)의 전측 및 운전석(14)에 앉은 오퍼레이터를 향하는 조화 공기를 유출하는 실내 유닛(23)의 박스체(24)의 전측 공기 취출구(24J)가 배치된다. 취출구 장착개구(11C)의 후측에 위치하는 취출구 장착개구(11D)에는, 오퍼레이터의 발밑을 향하는 조화 공기를 유출하는 발밑측 공기 취출구(24K)가 배치된다. 또한, 취출구 장착개구(11D)의 좌측에 위치하는 취출구 장착개구(11E)에는, 운전실(18)의 후측을 향하는 조화 공기를 유출하는 후측 공기 취출구(24L)가 배치된다.
발판부(11)의 상면(11A)에는, 실내 유닛(23)을 장착하기 위한 후술의 볼트(32)가 돌려 장착되는 암나사 구멍(11F)이 복수개, 예를 들면 도 5, 도 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유닛 장착면(12)의 주위에 위치하여 6군데 설치되어 있다. 이것들 6군데의 암나사 구멍(11F)은, 후술하는 박스체(24)의 주위에 설치한 6군데의 볼트 삽통 구멍(24G)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암나사 구멍(11F)은, 예를 들면 발판부(11)에 뚫어서 설치한 관통 구멍 상에 용접 너트를 용접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캡 박스(17)의 도어(17F) 측이 되는 발판부(11)의 좌단은, 오퍼레이터가 운전실(18)에 타고 내릴 때에 발을 올려놓는 스텝 형상의 발 디딤부(11G)로 되어 있다.
유닛 장착면(12)은 발판부(11)의 하면(11B) 측에 설치되며, 당해 유닛 장착면(12)은, 후술의 실내 유닛(23)이 장착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유닛 장착면(12)은, 발판부(11)의 하면(11B) 중, 실내 유닛(23)의 박스체(24)가 당접하는 범위, 즉, 도 6 중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범위에 설치되어 있다. 이 유닛 장착면(12)에는, 박스체(24)가 대면하도록 하여 실내 유닛(23)이 매달린 상태로 직접적으로 장착된다.
레버·페달 장착부(13)는 발판부(11)의 전측에 설치되며, 당해 레버·페달 장착부(13)는, 발판부(11)의 전단에 따라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레버·페달 장착부(13)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주행용의 조작 레버·페달(16) 등이 장착되어 있다.
운전석(14)은 플로어 부재(9) 상에 설치되며, 당해 운전석(14)은, 운전석 장착부(10)를 구성하는 재치판(10B)의 좌, 우 방향의 중앙위치에 재치되어 있다. 이 운전석(14)은, 유압 셔블(1)을 조종할 때에 오퍼레이터가 앉는 것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석(14)의 좌, 우 양측에는, 작업 장치(4) 등을 조작하기 위한 작업용의 조작 레버(15)가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다. 운전석(14)의 전방에 위치하는 레버·페달 장착부(13)에는, 하부 주행체(2)를 주행시킬 때에 수동조작 또는 발조작에 의해 조작하는 주행용의 조작 레버·페달(16) 등이 설치되어 있다.
캡 박스(17)는 플로어 부재(9) 상에 설치되며, 당해 캡 박스(17)는, 플로어 부재(9)의 주위와 위쪽을 덮는 것이다. 캡 박스(17)는, 전면 패널(17A), 후면 패널(17B), 좌측면 패널(17C), 우측면 패널(17D) 및 천장면 패널(17E)에 의해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부가 플로어 부재(9)의 주연(周緣)에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캡 박스(17)는, 플로어 부재(9) 상에 오퍼레이터의 거주 스페이스가 되는 운전실(18)을 형성하고 있다.
캡 박스(17)의 측면이 되는 좌측면 패널(17C)에는, 플로어 부재(9)의 발판부(11)에 대응하는 전측 가까이에 위치하여 도어(17F)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도어(17F)는, 발판부(11)의 좌측에 설치된 승강구를 개폐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운전실(18) 내에 조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부 선회체(3)에 설치된 공조 장치(19)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19는 제 1 실시형태에 사용하는 공조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공조 장치(19)는, 엔진(6) 측에 설치된 실외 유닛(20)과, 플로어 부재(9) 측에 설치된 실내 유닛(23)과, 실외 유닛(20)과 실내 유닛(23)을 접속하는 냉매배관(30), 온수배관(3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실외 유닛(20)은 엔진(6) 측에 설치되며, 당해 실외 유닛(20)은, 라디에이터(7A)의 전면측에 배설되어 있다. 이 실내 유닛(20)은, 기화한 냉매를 냉각하여 액화시키는 콘덴서(21)와, 당해 콘덴서(21)의 하류측에 설치되며, 액화된 냉매를 일시적으로 축적하면서 기체와 액체를 분리하는 리시버 드라이(22)와, 후술의 히터 코어(27)에 온수를 공급하는 열교환장치(7)의 라디에이터(7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23은 공조 장치(19)를 구성하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실내 유닛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내 유닛(23)은, 플로어 부재(9)의 발판부(11)의 하면(11B) 측에 설치된 유닛 장착면(12)에 매달린 상태로 직접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실내 유닛(23)은, 상술한 실외 유닛(20)과 함께 공조 장치(19)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실내 유닛(23)은, 운전실(18) 내의 내기 또는 운전실(18) 밖의 외기를 흡입하여, 원하는 온도, 습도로 조정한 조화 공기로 하여, 후술의 공조 덕트(33)로부터 운전실(18)에 공급하는 것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내 유닛(23)은, 외각을 형성하는 박스체(24)와, 당해 박스체(24) 내의 상류측에 설치되며, 당해 박스체(24) 내에 흡입된 공기를 공조 덕트(33)를 향해 토출하는 팬(25)과, 당해 팬(25)의 하류측에 위치하여 상기 박스체(24)에 수용된 이배퍼레이터(26)와, 당해 이배퍼레이터(26)의 하류측에 배치된 히터 코어(27)와, 당해 히터 코어(27)의 하류측에 위치하여 조화 공기의 공급처를 전환하는 취출(吹出) 전환기구(2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실내 유닛(23)의 박스체(24)는, 평면시에서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좌, 우 방향으로 긴 상, 하 방향에 편평한 직육면체 형상의 폐 구조체를 이루는 상자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박스체(24)는, 저부에 위치하여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하면부(24A)와, 당해 하면부(24A)의 주위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주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24B), 후면부(24C), 좌측면부(24D) 및 우측면부(24E)와, 이것들 각 측면부(24B∼24E)의 상단을 폐색하는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상면부(24F)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박스체(24)에는, 발판부(11)의 6개의 암나사 구멍(11F)에 대응하는 6군데에 체결 부재 삽통 구멍으로서의 볼트 삽통 구멍(24G)이 형성되며, 당해 각 볼트 삽통 구멍(24G)에는 후술의 볼트(32)가 삽통된다. 박스체(24)의 상면부(24F)는, 발판부(11)의 하면(11B)에 형성된 유닛 장착면(12)에 당접 또는 근접한 상태로 대면하고 있다.
캡 박스(17)의 도어(17F) 측에 위치하는 좌측면부(24D)는, 박스체(24) 내의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좌측면부(24D)에는, 박스체(24) 내에 공기를 취입하기 위한 공기 취입구(24H)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캡 박스(17)의 도어(17F)와 좌, 우 방향의 반대측으로 이루어지는 박스체(24)의 하류측, 즉, 상면부(24F)의 우단측에는, 박스체(24)로부터 조화 공기를 취출하기 위한 전측 공기 취출구(24J), 발밑측 공기 취출구(24K), 후측 공기 취출구(24L)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전측 공기 취출구(24J), 발밑측 공기 취출구(24K), 후측 공기 취출구(24L)는, 발판부(11)의 상면(11A)보다 상측으로 돌출하도록, 상측을 향해 프레임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면부(24F)의 전측에 위치하는 전측 공기 취출구(24J)는, 운전실(18)의 전측 및 운전석(14)에 앉은 오퍼레이터를 향하는 조화 공기를 유출하는 것으로, 후술의 전측 공급 덕트(35A)가 접속된다. 전측 공기 취출구(24J)의 후측에 위치하는 발밑측 공기 취출구(24K)는, 오퍼레이터의 발밑을 향하는 조화 공기를 유출하는 것으로, 후술의 발밑 공급 덕트(35B)가 접속된다. 또한, 발밑측 공기 취출구(24K)의 좌측에 위치하는 후측 공기 취출구(24L)는, 운전석(14)의 후측을 향하는 조화 공기를 유출하는 것으로, 후술의 후측 공급 덕트(35C)가 접속된다.
냉각 팬(25)은 박스체(24) 내의 상류측(좌측)에 설치되며, 당해 팬(25)은, 공기 취입구(24H)로부터 취입된 공기를 공기 취출구(24J,24K,24L)를 향해 유통시키는 것이다.
이배퍼레이터(26)는 박스체(24) 내에 수용되며, 당해 이배퍼레이터(26)는, 팬(25)의 하류측(우측)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이배퍼레이터(26)는, 냉매가 기화했을 때의 기화열을 이용하여 공기를 식히는 것으로, 후술의 냉매배관(30)을 통하여 실외 유닛의 콘덴서(21), 리시버 드라이(22) 등에 접속되어 있다.
난방용의 히터 코어(27)는 박스체(24) 내에 수용되며, 당해 히터 코어(27)는, 이배퍼레이터(26)의 하류측(우측)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히터 코어(27)는, 엔진(6)에 의해 따뜻해진 엔진 냉각수를 이용하여 공기를 따뜻하게 하는 것으로, 후술의 온수배관(31)을 통하여 라디에이터(7A)에 접속되어 있다.
취출 전환기구(28)는 히터 코어(27)와 공기 취출구(24J,24K,24L)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박스체(24)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 취출 전환기구(28)는, 조화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 취출구(24J,24K,24L)를 전환하는 것이다.
또한, 도 7,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내 유닛(23)에는, 박스체(24)의 좌단부에 위치하여 내외기(內外氣) 전환기구(29)가 장착되어 있다. 이 내외기 전환기구(29)는, 팬(25)이 흡입하는 공기를 운전실(18) 내의 내기와 외부의 외기로 전환하는 것이다.
냉매배관(30)은 실외 유닛(20)의 콘덴서(21)와 실내 유닛(23)의 이배퍼레이터(26)를 접속하는 것이다. 온수배관(31)은 실외 유닛(20)의 라디에이터(7A)와 실내 유닛(23)의 히터 코어(27)를 접속하는 것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냉매배관(30)과 온수배관(31)은, 플로어 부재(9)를 틸트 업 했을 때에도 상시 접속되어 있어, 메인터넌스 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선회 프레임(5)의 전측 위치에서 접어 겹치도록 연장되어 있다.
32는 체결 부재를 형성하는 복수개, 예를 들면 6개의 볼트이다. 이 볼트(32)는, 박스체(24)의 각 볼트 삽통 구멍(24G)에 하측으로부터 삽통되며, 그 선단측을 발판부(11)의 암나사 구멍(11F)에 돌려 장착함으로써, 실내 유닛(23)을 발판부(11)의 하면(11B)(유닛 장착면(12))에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내 유닛(23)은, 플로어 부재(9)의 발판부(11)의 하면(11B)에 형성된 유닛 장착면(12)에 하측으로부터 당접시킨다. 이 상태에서, 박스체(24)의 각 볼트 삽통 구멍(24G)에 삽통한 각 볼트(32)를 발판부(11)의 암나사 구멍(11F)에 돌려 장착한다. 이것에 의해, 실내 유닛(23)은, 볼트(32)를 사용하여 유닛 장착면(12)에 대해 매달린 상태로 직접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33은 플로어 부재(9)의 발판부(11)의 우단측에 설치된 공조 덕트(도 4, 도 11 참조)로, 당해 공조 덕트(33)는, 덕트 커버(34)와 전측 공급 덕트(35A)와 발밑 공급 덕트(35B)와 후측 공급 덕트(35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덕트 커버(34)는, 운전석(14)의 우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그 좌측면측에는, 조화 공기를 운전실(18)의 전측을 향해 취출하는 전측 취출구(34A)가 설치되며, 상부측에는, 조화 공기를 운전석(14)에 앉은 오퍼레이터를 향해 취출하는 운전석측 취출구(34B)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전측 취출구(34A)보다 후측에는, 조화 공기를 오퍼레이터의 발밑을 향해 취출하는 발밑 취출구(34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석(14)의 후측에는, 덕트 커버(34)와는 별개로, 운전실(18) 전체에 조화 공기를 취출하기 위한 후측 취출구(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공조 덕트(33)의 전측 공급 덕트(35A)는, 실내 유닛(23)으로부터의 조화 공기를 전측 취출구(34A)와 운전석측 취출구(34B)로 안내하는 것이다. 발밑 공급 덕트(35B)는, 실내 유닛(23)으로부터의 조화 공기를 발밑 취출구(34C)로 안내하는 것이다. 또한, 후측 공급 덕트(35C)는, 실내 유닛(23)으로부터의 조화 공기를 후측 취출구로 안내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공조 덕트(33)를 구성하는 전측 공급 덕트(35A)의 기단부는, 발판부(11)의 취출구 장착개구(11C)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한 실내 유닛(23)의 박스체(24)의 전측 공기 취출구(24J)에 외감(外嵌)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발밑 공급 덕트(35B)의 기단부는, 발판부(11)의 취출구 장착개구(11D)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한 박스체(24)의 발밑 공기취출구(24K)에 외감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후측 공급 덕트(35C)의 기단부는, 발판부(11)의 취출구 장착개구(11E)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한 박스체(24)의 후측 공기 취출구(24L)에 외감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발판부(11)를 물로 세척한 경우에도, 박스체(24)의 각 유출구(24J,24K,24L)에 세정수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36은 선회 프레임(5)의 후부에 설치된 카운터 웨이트(도 2, 도 3 참조)로, 당해 카운터 웨이트(36)는, 작업 장치(4)와의 중량 밸런스를 취하는 것이다. 카운터 웨이트(36)는, 엔진(6)을 후측으로부터 가리도록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카운터 웨이트(36)는, 플로어 부재(9)를 구성하는 운전석 장착부(10)의 장착판(10D)을 선회 프레임(5) 측에 장착하기 위한 지지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1)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다음에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운전실(18)에 올라타서 운전석(14)에 앉은 오퍼레이터는, 주행용의 조작 레버·페달(16)을 조작함으로써, 하부 주행체(2)를 주행시킨다. 또한, 좌, 우의 작업용의 조작 레버(15)를 조작함으로써, 작업 장치(4) 등을 동작시켜,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작업시에는, 운전실(18) 내의 환경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공조 장치(19)의 실내 유닛(23)을 구동한다. 이때에, 실내 유닛(23)은, 운전실(18) 내 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이 공기를 박스체(24) 내의 이배퍼레이터(26)로 식히고, 또는 히터 코어(27)로 따뜻하게 하여 조화 공기로 한다. 취출구 전환기구(28)에 의해 공급처를 선택함으로써, 운전실(18) 내의 원하는 위치에 조화 공기를 취출할 수 있으며, 운전실(18)을 적당한 온도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유닛(23)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경우에는, 운전석(14), 실내 유닛(23) 등과 함께 플로어 부재(9)를 전측을 지점으로 하여 후측을 틸트 업함으로써, 실내 유닛(23)을 노출시킬 수 있다(도 3 참조). 이 상태에서, 볼트(32)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실내 유닛(23)을 떼어내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플로어 부재(9)를 형성하는 발판부(11)의 하면(11B) 측을 유닛 장착면(12)으로 하고, 당해 유닛 장착면(12)에 하측으로부터 실내 유닛(23)의 박스체(24)를 당접한다. 이 상태에서, 볼트(32)를 사용하여 실내 유닛(23)의 박스체(24)를 직접적으로 유닛 장착면(12)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실내 유닛(23)은, 볼트(32)를 사용한 간단한 장착구조에 의해, 발판부(11)의 유닛 장착면(12)에 대해 매달린 상태로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플로어 부재(9)의 발판부(11)는, 하면(11B) 측의 유닛 장착면(12)에 볼트(32)를 사용하여 실내 유닛(23)을 장착할 수 있으면 좋기 때문에, 특별한 가공이나 부품을 추가할 필요가 없다. 즉, 발판부(11)는, 암나사 구멍(11F)을 설치하는 것 뿐의 단순한 평탄면 형상의 판체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이 결과, 플로어 부재(9)의 발판부(11)에는, 실내 유닛(23)을 배설하기 위한 개구를 설치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 개구를 밀폐하기 위한 시일 부재를 설치할 필요도 없고, 운전실(18) 내를 물로 세척할 때의 물이 실내 유닛(23) 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운전실(18) 내를 물로 세척할 때에는, 실내 유닛(23)에 물이 튀는 것을 배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세정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필요했던 시일 부재, 트레이, 덮개체 등의 부품수, 발판부를 가공하기 위한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플로어 부재(9)의 발판부(11)에는, 우측의 안쪽에 위치하여 취출구 장착개구(11C,11D,11E)를 설치하고 있다. 이것으로, 각 취출구 장착개구(11C,11D,11E)에는, 실내 유닛(23)의 박스체(24)의 각 유출구(24J,24K,24L)를 상측으로 돌출하도록 장착, 당해 각 유출구(24J,24K,24L)에 공조 덕트(33)의 공급 덕트(35A,28B,28C)를 외감 상태로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발판부(11)를 물로 세척한 경우에도, 박스체(24)의 각 유출구(24J,24K,24L)에 세정수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공조 장치(19)의 수명이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플로어 부재(9)는, 선회 프레임(5)에 대하여 전측 위치를 경전 지점으로 하여 틸트 업, 틸트 다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플로어 부재(9)를 틸트 업한 상태에서는, 실내 유닛(23)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어, 착탈 작업, 점검 작업, 수리 작업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실내 유닛의 박스체를 상면이 개구한 프레임 형상구조로 형성하고, 발판부의 유닛 장착면은, 박스체를 유닛 장착면에 장착했을 때 박스체의 상면을 폐색하는 폐색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14에 있어서, 41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플로어 부재의 발판부이다. 이 발판부(41)는,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발판부(11)와 대략 마찬가지로, 좌, 우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평탄한 판체로서 형성되며, 오퍼레이터가 발을 얹어놓는 상면(41A)과, 후술의 실내 유닛(43)이 장착되는 하면(41B)을 가지고 있다. 발판부(41)의 상면(41A)에는, 실내 유닛(43)을 장착하기 위한 볼트(32)가 장착되는 암나사 구멍(41C)이 복수개(2개만 도시)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42는 발판부(41)의 하면(41B) 측에 설치된 유닛 장착면이고, 당해 유닛 장착면(42)은, 후술하는 실내 유닛(43)의 박스체(44)의 상면을 폐색하는 폐색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유닛 장착면(42)에는, 실내 유닛(43)의 박스체(44)를 매단 상태로 직접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이 장착상태에서는, 유닛 장착면(42)이 박스체(44)의 상면을 폐색하고 있다.
43은 발판부(41)에 설치된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실내 유닛을 나타내고 있다. 이 실내 유닛(43)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각을 형성하는 박스체(44)와, 당해 박스체(44) 내에 설치된 팬(25), 이배퍼레이터(26), 히터 코어(27) 및 취출 전환기구(28)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박스체(44)는,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하면부(44A)와, 당해 하면부(44A)의 주위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주위면이 되는 전면부(44B), 후면부(44C), 좌측면부(44D) 및 우측면부(44E)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박스체(44)는, 전체로서 좌, 우 방향으로 긴 상, 하 방향으로 편평한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상측이 개방된 바닥이 있고, 또한 상면 개구의 프레임 형상 구조체(상자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박스체(44)에는, 발판부(41)의 각 암나사 구멍(41C)에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 부재 삽통 구멍으로서의 볼트 삽통 구멍(44F)이 형성되며, 당해 각 볼트 삽통 구멍(44F)에는 볼트(32)가 삽통된다.
캡 박스(17)의 도어(17F) 측으로 이루어지는 상류측에 위치하는 좌측면부(44D)에는, 박스체(44) 내에 공기를 취입하기 위한 공기 취입구(44G)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박스체(44)의 하류측으로 이루어지는 우측의 상부에는, 전측 공기 취출구(44H), 발밑측 공기 취출구(44J), 후측 공기 취출구(44K)가 설치되어 있다.
전측에 위치하는 전측 공기 취출구(44H)는, 운전실(18)의 전측 및 운전석(14)에 앉은 오퍼레이터를 향하는 조화 공기를 유출하는 것으로, 당해 전측 공기 취출구(44H)에는, 발판부(41)를 사이에 두고 전측 공급 덕트(35A)가 접속된다. 전측 공기 취출구(44H)의 후측에 위치하는 발밑측 공기 취출구(44J)는, 오퍼레이터의 발밑을 향하는 조화 공기를 유출하는 것으로, 당해 발밑측 공기 취출구(44J)에는, 발판부(41)를 사이에 두고 발밑 공급 덕트(35B)가 접속된다. 또한, 발밑측 공기 취출구(44J)의 좌측에 위치하는 후측 공기 취출구(44K)는, 운전석(14)의 후측을 향하는 조화 공기를 유출하는 것으로, 당해 후측 공기 취출구(44K)에는, 발판부(41)를 사이에 두고 후측 공급 덕트(35C)가 접속된다.
여기에서, 박스체(44)는, 상면이 개구하고 있지만, 발판부(41)의 유닛 장착면(42)을 상면부로서 이용하고, 프레임 형상구조체로서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박스체(44)는, 상면부를 생략한 분만큼 상, 하 방향 치수를 작게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박스체(44)를 발판부(41)로부터 떼어낸 것만으로, 내부의 팬(25), 이배퍼레이터(26), 히터 코어(27) 등의 점검 작업, 수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실내 유닛(43)은, 그 박스체(44)를, 발판부(41)의 유닛 장착면(42)에 하측으로부터 당접시킨다. 이 상태에서, 박스체(44)의 각 볼트 삽통 구멍(44F)에 삽통한 각 볼트(32)를 발판부(41)의 암나사 구멍(41C)에 돌려 장착한다. 이것에 의해, 실내 유닛(43)은, 볼트(32)를 사용하여 유닛 장착면(42)에 대해 매달린 상태로 직접적으로 장착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는, 박스체(44)의 상측 개구를 유닛 장착면(42)(발판부(41))에 의해 폐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이와 같이 구성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실내 유닛(43)의 박스체(44)를, 하면부(44A)와 주위면으로 이루어지는 전면부(44B), 후면부(44C), 좌측면부(44D) 및 우측면부(44E)에 의하여 상측이 개구한 바닥이 있는 형상의 용기로서 형성하고, 이 박스체(44)를 발판부(41)의 유닛 장착면(42)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실내 유닛(43)은, 발판부(41)의 유닛 장착면(42)을 박스체(44)의 상면부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 결과, 상면부를 생략한 분만큼 실내 유닛(43)(박스체(44))의 높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부 선회체(3)의 높이 치수를 낮게 억제하여 주행시, 작업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선회 프레임(5) 상에서 플로어 부재(9)의 하측의 수용 스페이스를 넓게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어 밸브 등의 탑재 기기를 효율 좋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유닛(43)의 점검 작업, 수리 작업을 행할 경우에는, 실내 유닛(43)을 발판부(41)로부터 떼어내는 것만으로, 박스체(44)를 분해하지 않고, 내부의 팬(25), 이배퍼레이터(26), 히터 코어(27) 등을 점검하거나, 수리하거나 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실내 유닛(23)의 박스체(24) 내에, 공기를 식히는 이배퍼레이터(26)와 공기를 따뜻하게 하는 히터 코어(27)의 양쪽을 설치했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기온이 낮은 작업 현장에서 사용하는 유압 셔블은, 이배퍼레이터를 생략하여 히터 코어만을 설치한 난방 전용으로 해도 좋다. 또, 기온이 높은 작업 현장에서 사용하는 유압 셔블은, 히터 코어를 생략하여 이배퍼레이터 만을 설치한 냉방 전용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은, 제 2 실시형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발판부(11)의 암나사 구멍(11F)과 박스체(24)의 볼트 삽통 구멍(24G)을 각각 6군데에 설치하고, 6개의 볼트(32)에 의해 박스체(24)를 발판부(11)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발판부(11)의 암나사 구멍(11F)과 박스체(24)의 볼트 삽통 구멍(24G)을 각각 5군데 이하 또는 7군데 이상에 설치하여, 이것에 대응한 개수의 볼트(32)에 의해 박스체(24)를 발판부(11)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은, 제 2 실시형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건설기계로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를 구비한 캡 사양의 유압 셔블(1)을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휠 식의 하부 주행체를 구비한 유압 셔블 등에 적용해도 좋다.
1. 유압 셔블(건설기계) 2. 하부 주행체
3. 상부 선회체 4. 작업 장치
5. 선회 프레임 9. 플로어 부재
10. 운전석 장착부 11,41. 발판부
11A,41A. 상면 11B,41B. 하면
11C,11D,11E. 취출구 장착개구 11F,41C. 암나사 구멍
12,42. 유닛 장착면 14. 운전석
17. 캡 박스 17A. 전면 패널
17B. 후면 패널
17C. 좌측면 패널(1의 측면) 17D. 우측면 패널
17E. 천장면 패널 17F. 도어
18. 운전실 19. 공조 장치
20. 실외 유닛 21. 콘덴서
23,43. 실내 유닛 24,44. 박스체
24A,44A. 하면부 24B,44B. 전면부(주위면)
24C,44C. 후면부(주위면)
24D,44D. 좌측면부(주위면)
24E,44E. 우측면부(주위면) 24F. 상면부
24G,44F. 볼트 삽통 구멍(체결 부재 삽통 구멍) 24H,44G. 공기 취입구
24J,44H. 전측 공기 취출구
24K,44J. 발밑공기 취출구
24L,44K. 후측공기 취출구 25. 팬
26. 이배퍼레이터 27. 히터 코어
30. 냉매배관 31. 온수배관
32. 볼트(체결 부재) 33. 공조 덕트
34. 덕트 커버 35A. 전측 공급 덕트
35B. 발밑 공급 덕트 35C. 후측 공급 덕트

Claims (5)

  1. 자주(自走) 가능한 하부 주행체(2)와, 당해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3)와, 당해 상부 선회체(3)에 부앙동(俯仰動)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4)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선회체(3)는, 지지구조체를 형성하는 선회 프레임(5)과, 당해 선회 프레임(5) 상에 설치되어 후측이 운전석(14)을 장착하는 운전석 장착부(10)로 이루어지며 전측이 오퍼레이터가 발을 얹어놓는 발판부(11,41)로 이루어지는 플로어 부재(9)와, 당해 플로어 부재(9) 상에 운전실(18)을 형성하기 위해 당해 플로어 부재(9)의 주위와 위쪽을 덮어 설치되어 하나의 측면(17C)에 오퍼레이터가 승강할 때에 개폐되는 도어(17F)를 가지는 캡 박스(17)와, 상기 플로어 부재(9)에 배치되어 흡입된 공기를 조화 공기로서 상기 운전실(18) 내에 공급하는 공조 장치(19)의 일부를 구성하는 실내 유닛(23,43)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11,41)는, 그 하면(11B,41B) 측을 상기 실내 유닛(23,43)을 장착하기 위한 유닛 장착면(12,42)으로서 사용하고,
    상기 실내 유닛(23,43)은, 당해 유닛 장착면(12,42)에 대해 체결 부재(32)를 사용하여 장착함으로써 당해 유닛 장착면(12,42)에 매달린 상태로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11,41)에는 상기 유닛 장착면(12,42)의 주위에 위치하여 복수 개의 암나사 구멍(11F,41C)을 설치하고, 상기 실내 유닛(23,43)에는 당해 각 암나사 구멍(11F,41C)에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 부재 삽통(揷通) 구멍(24G,44F)을 설치하고, 상기 실내 유닛(23,43)은 상기 체결 부재 삽통 구멍(24G,44F)에 삽통한 상기 체결 부재(32)를 상기 암나사 구멍(11F,41C)에 돌려 장착함으로써 상기 유닛 장착면(12,42)에 체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건설기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유닛(23)은, 그 외각(外殼)을 형성하기 위해 하면(24A), 주위면(24B,24C,24D,24E) 및 상면(24F)을 구비한 폐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박스체(24)와, 당해 박스체(24) 내에 배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만드는 팬(25)과, 상기 박스체(24) 내에 배치되어 공기를 조화하는 이배퍼레이터(26) 및/또는 히터 코어(27)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실내 유닛(23)은, 상기 박스체(24)의 상면(24F)을 상기 발판부(11)의 유닛 장착면(12)에 대면시킨 상태로 당해 유닛 장착면(12)에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건설기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유닛(43)은, 그 외각을 형성하기 위해 하면(44A)과 주위면(44B,44C,44D,44E)을 가지는 동시에 상면이 개구한 프레임 형상구조의 박스체(44)와, 당해 박스체(44) 내에 배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만드는 팬(25)과, 상기 박스체(44) 내에 배치되어 공기를 조화하는 이배퍼레이터(26) 및/또는 히터 코어(27)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발판부(41)의 유닛 장착면(42)은, 상기 박스체(44)를 상기 유닛 장착면(42)에 장착했을 때 상기 박스체(44)의 상면을 폐색하는 폐색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건설기계.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체(24,44)는, 평면시에서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박스체(24,44)에는, 상기 캡 박스(17)의 도어(17F) 측에 위치하여 공기를 취입하는 공기 취입구(24H,44G)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도어(17F)와는 반대측에 위치하여 조화 공기를 취출하는 공기 취출구(24J,24K,24L,44H,44J,44K)를 설치하고, 상기 이배퍼레이터(26) 및/또는 히터 코어(27)는, 상기 박스체(24,44) 내의 상기 공기 취입구(24H,44G)와 공기 취출구(24J,24K,24L,44H,44J,44K)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기계.
KR1020137009103A 2010-11-29 2011-10-20 건설기계 KR1018313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65080 2010-11-29
JPJP-P-2010-265080 2010-11-29
PCT/JP2011/074132 WO2012073611A1 (ja) 2010-11-29 2011-10-20 建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626A true KR20140002626A (ko) 2014-01-08
KR101831390B1 KR101831390B1 (ko) 2018-02-22

Family

ID=46171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9103A KR101831390B1 (ko) 2010-11-29 2011-10-20 건설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67309B2 (ko)
EP (1) EP2647771B1 (ko)
JP (1) JP5341264B2 (ko)
KR (1) KR101831390B1 (ko)
CN (1) CN103189575B (ko)
WO (1) WO20120736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9996A (ja) * 2011-12-21 2013-07-04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パイロットバルブ取り付け構造
NL2008634C2 (nl) * 2012-04-13 2013-10-16 Hudson Bay Holding B V Mobiele inrichting.
JP5803981B2 (ja) * 2013-06-07 2015-11-0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バルブ装置
JP5949730B2 (ja) * 2013-11-07 2016-07-13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電装品配設構造
CN103741751A (zh) * 2013-12-26 2014-04-23 柳州正菱集团有限公司 一种整体驾驶室的加工方法
JP2016098592A (ja) * 2014-11-25 2016-05-30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建設機械のエアコンディショナ
US9708792B2 (en) * 2015-04-27 2017-07-18 Kobelco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having cooling function
DK178988B1 (en) * 2015-12-15 2017-07-31 Staal Ind Ivs Selvkørende universalkøretøj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12826A1 (fr) * 1998-08-31 2000-03-09 Yanmar Diesel Engine Co., Ltd. Machine de terrassement a tres petit pivotement
JP3702991B2 (ja) * 1998-12-25 2005-10-05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
JP3681923B2 (ja) * 1999-06-18 2005-08-10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JP3418361B2 (ja) * 1999-08-19 2003-06-2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の運転室空気調和装置の取付構造
JP4113925B2 (ja) * 2000-01-19 2008-07-09 ヤンマー株式会社 バックホーのキャビン
EP1489234B1 (en) * 2002-03-26 2012-02-29 Kobelco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Small swing type shovel
JP2004142663A (ja) * 2002-10-25 2004-05-20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4072898B2 (ja) * 2002-11-21 2008-04-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ハイブリッド式建設機械の機器配置構造
WO2004076265A1 (ja) * 2003-02-27 2004-09-10 Komatsu Ltd. 後端小旋回油圧ショベル
KR100646269B1 (ko) * 2003-03-04 2006-11-23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건설 기계
US7021074B2 (en) * 2003-03-10 2006-04-04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US7287810B2 (en) * 2003-10-14 2007-10-30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JP4057542B2 (ja) * 2004-02-04 2008-03-05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4209787B2 (ja) * 2004-02-26 2009-01-1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4484582B2 (ja) * 2004-05-21 2010-06-16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JP2005330772A (ja) * 2004-05-21 2005-12-02 Kubota Corp 旋回作業機
JP4291221B2 (ja) * 2004-06-18 2009-07-08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EP1845205A4 (en) * 2005-01-31 2013-01-02 Komatsu Mfg Co Ltd SERVICE VEHICLE
EP1849688B1 (en) * 2005-01-31 2011-06-15 Komatsu Ltd. Working vehicle with tilt floor
JP4607778B2 (ja) * 2006-01-27 2011-01-05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08087530A (ja) * 2006-09-29 2008-04-17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における空調装置
JP4880757B2 (ja) * 2007-08-13 2012-02-2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4472763B2 (ja) * 2008-05-14 2010-06-02 株式会社アイメック 建機車輌
JP4952661B2 (ja) * 2008-06-16 2012-06-13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4976594B2 (ja) * 2009-11-20 2012-07-18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47771B1 (en) 2019-01-23
KR101831390B1 (ko) 2018-02-22
EP2647771A1 (en) 2013-10-09
CN103189575B (zh) 2015-06-10
JPWO2012073611A1 (ja) 2014-05-19
WO2012073611A1 (ja) 2012-06-07
EP2647771A4 (en) 2017-10-04
CN103189575A (zh) 2013-07-03
JP5341264B2 (ja) 2013-11-13
US8967309B2 (en) 2015-03-03
US20130236281A1 (en) 201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2626A (ko) 건설기계
JP4880757B2 (ja) 建設機械
KR100646269B1 (ko) 건설 기계
JP6121655B2 (ja) 旋回作業車
JP5758338B2 (ja) 作業機
WO2016189939A1 (ja) 作業車
JP2007062573A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2006273055A (ja) 旋回作業機
JP5384454B2 (ja) 建設機械
JP4347730B2 (ja) 建設機械
JP4291221B2 (ja) 建設機械
JP6257541B2 (ja) 建設機械
JP2001063342A (ja) 車両の空調装置
JP2009255919A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2008296615A (ja) 建設機械
JP2005330772A (ja) 旋回作業機
JP6449719B2 (ja) 作業車
JPH0762690A (ja) 建設機械
JP2005330771A (ja) 旋回作業機
JP2009255920A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WO2016189941A1 (ja) 作業車
JP5191189B2 (ja) 旋回作業車
JPH11343636A (ja) バックホーの冷房装置
JP6475089B2 (ja) 作業車
JP2011168198A (ja) 旋回作業機のエアコン用送気ダク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