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9300B1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9300B1
KR101059300B1 KR1020080115453A KR20080115453A KR101059300B1 KR 101059300 B1 KR101059300 B1 KR 101059300B1 KR 1020080115453 A KR1020080115453 A KR 1020080115453A KR 20080115453 A KR20080115453 A KR 20080115453A KR 101059300 B1 KR101059300 B1 KR 101059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floor member
air conditioning
conditioning unit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3271A (ko
Inventor
히로시 다베따
쇼오고 기무라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3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movable, tiltable or pivoting, e.g. movable seats, dampening arrangements of cab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플로어 부재를 틸트 동작하였을 때에, 찌부러지거나 손상되는 호스를 폐지하여 공조 유닛의 드레인을 외부로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공조 유닛(22)에는 내부에서 발생한 드레인을 플로어 부재(10)의 하측에 배출하기 전, 후의 드레인 배출구(22D, 22E)를 설치하고, 선회 프레임(6)에는 각 드레인 배출구(22D, 22E)로부터 하측으로 배출되는 드레인을 받는 제1 드레인 받이(23)를 설치하고, 이 제1 드레인 받이(23)에는 모은 드레인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호스(24)를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따라서, 종래기술과 같이 선회 프레임(6)과 공조 유닛(22)을 긴 호스로 연결하지 않고, 공조 유닛(22)의 드레인을 선회 프레임(6)측의 제1 드레인 받이(23)에 모을 수 있고, 드레인 받이(23)로부터 배출 호스(24)를 통해 상부 선회체(4)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드레인 받이, 공조 유닛, 배출 호스, 플로어 부재

Description

건설 기계 {CONSTRU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캡 내에 조화 공기를 공급하는 공조 유닛을 구비한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기계의 대표예인 유압 셔블은 자체 주행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상기 상부 선회체의 전방측에 부앙동(俯仰動 ; erecting/laying motion)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선회체는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과, 상기 선회 프레임 상에 설치된 플로어 부재와, 상기 플로어 부재 상에 설치되어 조작자가 착좌하는 운전석과, 상기 운전석을 둘러싸고 상기 플로어 부재에 설치된 캡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캡을 구비한 유압 셔블에는, 캡 내의 온도 등을 적정하게 조정하기 위한 공조 유닛이 탑재되어 있다. 이 캡 사양의 유압 셔블은 공조 유닛으로부터 유출되는 드레인을 배출 호스를 사용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002479호 공보
또한, 이 소형의 유압 셔블은 선회 프레임 상의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플로어 부재의 전방측이 선회 프레임의 전방측에 대해 틸팅 동작(틸트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로어 부재는 틸트 기구에 의해 운전석, 캡 등과 함께 후방측을 들어올려 틸팅(틸트 업)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선회 프레임 상에 큰 작업 공간이 형성되므로, 유지 보수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특허문헌 1에 의한 유압 셔블에서는, 틸트 기구에 의해 플로어 부재의 후방측을 선회 프레임으로부터 들어올리도록 틸팅(틸트 업)시키고 있으므로, 공조 유닛용 배출 호스는 플로어 부재가 올라가는 것을 고려하여 길게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긴 배출 호스는 플로어 부재를 내린 틸트 다운의 상태에서, 사이에 끼여 찌부러지거나, 비틀어져 손상될 우려가 있고, 드레인의 막힘, 호스의 손상에 의한 드레인의 누설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배출 보스의 일부가 주위의 부재에 걸린 상태에서 틸트 업한 경우에는, 배출 호스에 과도한 인장력이 작용하여 배출 호스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로어 부재를 틸트 동작한 경우라도 호스의 변형에 의한 공조 유닛의 드레인의 막힘, 호스의 손상에 의한 드레인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고, 공조 유닛의 드레인을 외부로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기계는, 자체 주행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상기 상부 선회체의 전방측에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선회체는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과, 상기 선회 프레임의 전방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선 회 프레임 상에서 틸팅 가능하게 설치된 플로어 부재와, 상기 플로어 부재 상에 설치되어 조작자가 착좌하는 운전석과, 상기 운전석을 둘러싸고 상기 플로어 부재에 설치된 캡과, 상기 플로어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캡 내에 조화 공기를 공급하는 공조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상기 공조 유닛에는 내부에서 발생한 드레인을 상기 플로어 부재의 하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배출구를 설치하고, 상기 선회 프레임에는 상기 드레인 배출구로부터 상기 플로어 부재의 하측으로 배출되는 드레인을 받는 드레인 받이를 설치하고, 상기 드레인 받이에는 모은 드레인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호스를 접속하여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공조 유닛에는 상기 드레인 배출구를 복수개 설치하고, 상기 선회 프레임에는 드레인 받이를 1개 설치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드레인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드레인을 1개의 드레인 받이에서 모아 상기 배출 호스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공조 유닛에는 건설 작업 중에 차체가 기울어진 경우라도 드레인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드레인 배출구를 2개 설치하고, 상기 선회 프레임에 설치된 상기 드레인 받이를 한쪽의 드레인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드레인을 받는 제1 드레인 받이로 하고, 상기 플로어 부재에는 다른 쪽의 드레인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드레인을 받는 제2 드레인 받이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드레인 배출구는 상기 플로어 부재에 마련된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플로어 부재의 하면측으로 연장되는 관체(管體)에 의해 구성한 것에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르면, 선회 프레임에는 공조 유닛의 드레인 배출구로부터 하측으로 배출되는 드레인을 받는 드레인 받이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선회 프레임과 공조 유닛을 긴 호스로 연결하지 않고, 상기 공조 유닛으로부터 플로어 부재의 하측으로 배출된 드레인을 선회 프레임측의 드레인 받이에 모을 수 있고, 상기 드레인 받이로부터 배출 호스를 통해 상부 선회체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게다가, 드레인 받이는 플로어 부재 상에 설치된 공조 유닛과 별개가 되도록 선회 프레임측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선회 프레임에 대해 플로어 부재를 틸팅 동작(틸트 업, 틸트 다운)해도 드레인 배출구를 드레인 받이와 독립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결과, 플로어 부재를 틸트 동작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라도, 선회 프레임과 공조 유닛 사이를 연결하는 호스를 배제함으로써, 호스의 손상에 의한 드레인의 막힘, 드레인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공조 유닛 내에서 발생하는 드레인을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르면, 공조 유닛에 드레인 배출구를 복수개 설치한 경우라도, 이들 복수개의 드레인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드레인은 1개의 드레인 받이에 의해 모을 수 있고, 상기 드레인 받이로부터 배출 호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적은 부품수로 드레인을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르면, 공조 유닛에는 드레인 배출구를 2개 설치하고 있으므로, 건설 작업 중에 차체가 기울어진 경우라도 어느 한쪽의 드레인 배출구로부터 드레인을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드레인 배출구 중, 한쪽의 드레인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드레인은 선회 프레임에 설치한 제1 드레인 받이로 받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쪽의 드레인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드레인은 플로어 부재에 설치한 제2 드레인 받이로 받을 수 있다. 이 결과, 플로어 부재에 2개의 드레인 배출구를 설치한 경우라도, 제1 드레인 받이와 제2 드레인 받이에 의해 드레인을 모아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르면, 관체로부터 이루어지는 드레인 배출구는 플로어 부재의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플로어 부재의 하면측으로 연장할 수 있고, 선회 프레임측의 드레인 받이를 향해 드레인을 배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건설 기계의 대표예로서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첨부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1 내지 도11은 본 발명의 본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1 내지 도4에 있어서, 1은 본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건설 기계로서의 캡 사양의 유압 셔블을 나타내고 있다. 이 유압 셔블(1)은 자체 주행 가능한 하부 주행체(2)와, 상기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장치(3)를 통해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4)와, 상기 상부 선회체(4)의 전방측에 요동 가능 및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윙식 의 작업 장치(5)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선회체(4)는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6)과, 상기 선회 프레임(6)의 후방부측에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배치 상태로 탑재된 엔진(7)과, 상기 엔진(7)의 좌측에 설치된 유압 펌프(8)와, 열교환기, 작동유 탱크, 연료 탱크(모두 도시 생략)와, 이들을 덮는 외장 커버(9)와, 후술하는 플로어 부재(10), 운전석 받침대(16), 운전석(17), 캡(20), 공조 유닛(22), 제1 드레인 받이(23), 배출 호스(24), 제2 드레인 받이(25) 등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선회 프레임(6)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가 두꺼운 강판 등을 사용하여 형성된 바닥판(6A)과, 상기 바닥판(6A) 상에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기립 설치된 좌측 세로판(6B), 우측 세로판(6C)과, 상기 각 세로판(6B, 6C)의 좌, 우 양측에 전, 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좌측 사이드 프레임(6D), 우측 사이드 프레임(6E)과, 상기 세로판(6B, 6C)과 사이드 프레임(6D, 6E)을 접속하는 복수개의 돌출 빔(6F)과, 상기 각 세로판(6B, 6C)의 전단부에 설치되고, 스윙식의 작업 장치(5)를 지지하는 원통 형상의 지지 브래킷(6G)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선회 프레임(6)의 좌측부에는 캡 지지 프레임(6H)이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캡 지지 프레임(6H)에는 후술하는 플로어 부재(10)의 바닥판(11)의 전방부가 플로어 전방 지지부(15)를 통해 상, 하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좌측 세로판(6B)은 비스듬히 연장된 도중 부위(6J)가 플로어 부재(10)의 바닥판(11)의 하측에 위치하고, 이 도중 부위(6J)에는 후술하는 제1 드레인 받이(23)가 설치되어 있다.
10은 선회 프레임(6) 상에 설치된 플로어 부재이다. 이 플로어 부재(10)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캡(20)의 하측이 설치되는 것이며, 운전실의 하측을 폐색하는 것이다. 또한, 플로어 부재(10)는 도7 내지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바닥판(11), 분리판(12)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11은 플로어 부재(10)의 전방측 부분을 구성하는 바닥판이고, 상기 바닥판(11)은 선회 프레임(6) 상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바닥판(11)은, 도8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방측 부위가 운전석(17)에 착좌한 조작자가 발을 얹는 발 얹음부(11A)로 되어 있다. 한편, 바닥판(11)의 후방측 부위는 받침대 설치부(11B)로 되어 있다.
여기서, 받침대 설치부(11B)는 후술하는 운전석 받침대(16), 공조 유닛(22) 등을 설치하는 것으로, 좌, 우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도8, 도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으로서의 호스 관통 구멍(11C, 11D)이 전, 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호스 관통 구멍(11C, 11D)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조 유닛(22)의 드레인을 받침대 설치부(11B)의 하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공조 유닛(22)의 드레인 배출구(22D, 22E)가 삽입 통과하는 것이다.
12는 바닥판(11)의 후방측에 설치된 격벽판으로, 상기 분리판(12)은 바닥판(11)의 후방측으로 기립되어 형성되고, 플로어 부재(10)를 선회 프레임(6)에 설치하였을 때에 엔진(7)의 전방측과 상측을 덮는 것이다. 또한, 13은 플로어 부재(10)의 좌측에 위치하여 바닥판(11)과 분리판(12) 사이에 설치된 좌측판, 14는 플로어 부재(10)의 우측에 위치하여 바닥판(11)과 분리판(12) 사이에 설치된 우측 판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15는 선회 프레임(6)의 전방측에 지지점으로서 설치된 2세트의 플로어 전방 지지부(도2 중에 좌측의 일부만 도시)를 나타내고 있다. 이 플로어 전방 지지부(15)는 선회 프레임(6)의 캡 지지 프레임(6H)에 플로어 부재(10)의 전방측 부위를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좌, 우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플로어 전방 지지부(15)는 플로어 부재(10), 캡(20) 등을 상측 내지 전방측으로 틸트 업시키거나, 하측 내지 후방측으로 틸트 다운시킬 수 있다.
16은 바닥판(11) 상에 설치된 운전석 받침대(도6 등 참조)이고, 상기 운전석 받침대(16)는 바닥판(11)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받침대 설치부(11B) 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 운전석 받침대(16)는 중공(中空)의 상자 형상을 이루고, 그 내부에는 후술하는 공조 유닛(22)이 배치되어 있다.
17은 운전석 받침대(16) 상에 탑재된 운전석으로, 상기 운전석(17)은 유압 셔블(1)의 건설 작업, 예를 들어 주행 작업, 굴착 작업 등을 행할 때에 조작자가 착좌하는 것이다. 또한, 운전석(17)의 좌, 우 양측에는 작업 장치(5) 등을 조작하기 위한 작업 레버(18)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운전석(17)의 전방측에는 바닥판(11)의 발 얹음부(11A)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하부 주행체(2)를 주행시키기 위한 주행 레버 페달(19)이 배치되어 있다.
20은 선회 프레임(6)의 좌측에 위치하여 플로어 부재(10) 상에 설치된 캡이다. 이 캡(20)은 운전석(17)의 주위와 상부를 덮음으로써, 조작자가 각종 조작을 행하는 운전실을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캡(20) 내에는 조화 공기를 불어내는 취 출구(21A, 21B) 등을 구비한 공조 덕트(21)가 설치되어 있다.
22는 캡(20) 내에 냉기, 난기 등의 조화 공기를 공급하는 실내기가 되는 공조 유닛(도7 참조)으로, 상기 공조 유닛(22)은 운전석 받침대(16) 내에 위치하여 바닥판(11)의 받침대 설치부(11B) 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공조 유닛(22)은 엔진(7)측에 설치된 압축기, 응축기(모두 도시 생략) 등의 실외기와 함께 공조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공조 유닛(22)은 흡입한 공기를 냉기 또는 난기로 조정하고, 이 조화 공기를 공조 덕트(21) 등을 통해 캡(20) 내를 향해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공조 유닛(22)은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자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측의 흡기부(22A) 내에는 송풍 팬(도시 생략) 등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중앙의 본체부(22B) 내에는 증발기, 히터 코어(모두 도시 생략) 등이 수용되고, 우측은 공조 덕트(21)에 연결되는 송기부(22C)로 되어 있다.
또한, 공조 유닛(22)에는, 도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22B) 내에 발생하는 드레인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배출구(22D, 22E)가 예를 들어 2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드레인 배출구(22D, 22E), 전, 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직선 형상의 관체, 예를 들어 수지관, 금속관, 고무 호스, 수지 호스 등으로 이루어지고, 바닥판(11)의 각 호스 관통 구멍(11C, 11D)을 통해 바닥판(11)의 하면측으로 돌출되어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 다른 쪽 드레인 배출구가 되는 전방측 드레인 배출구(22D)는 후술하는 제2 드레인 받이(25) 내에 개방되므로 짧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드레인 배출구가 되는 후방측 드레인 배출구(22E)는 후술하는 제1 드레인 받이(23)의 근방까지 도달하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 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드레인 배출구(22D, 22E)는 각종 건설 작업, 예를 들어 경사지를 주행하거나, 굴착 작업 등을 행하여 차체가 기울어 있었다고 해도, 공조 유닛(22) 내에서 발생하는 드레인을 기울어진 상태에서 하측이 되는 드레인 배출구(22D, 22E)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공조 유닛(22)은 송풍 팬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흡기부(22A) 내에 공기를 흡입하고, 이 공기를 본체부(22B) 내의 증발기로 차게 하고, 또는 히터 코어로 따뜻하게 하여 조화 공기로 한다. 그리고, 이 조화 공기를 송기부(22C)로부터 공조 덕트(21)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공조 덕트(21)의 취출구(21A, 21B)로부터 캡(20)에 공급하여 상기 캡(20) 내를 적절한 온도로 조정한다.
다음에, 공조 유닛(22) 내에 발생한 드레인을 상부 선회체(4)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23은 선회 프레임(6)에 설치된 1개의 제1 드레인 받이(도3, 도4 참조)를 나타내고, 상기 드레인 받이(23)는 플로어 부재(10)의 후방측 부위의 하방에 위치하는 좌측 세로판(6B)의 도중 부위(6J)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드레인 받이(23)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드레인 배출구가 되는 공조 유닛(22)의 후방측 드레인 배출구(22E)로부터 하측으로 배출되는 드레인을 받는 것이다. 또한, 제1 드레인 받이(23)는 다른 쪽의 드레인 배출구가 되는 공조 유닛(22)의 전방측 드레인 배출구(22D)로부터 배출되는 드레인을, 후술하는 제2 드레인 받이(25)를 경유하여 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드레인 받이(23)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으로 개방되어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상자체 형상을 이루고, 그 저면(23A)은 전방측을 향해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저면(23A)의 가장 깊은 부분에는, 후술하는 배출 호스(24)가 접속되는 호스 접속구(23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드레인 받이(23)는 후술하는 제2 드레인 받이(25)에 의해 전방측 드레인 배출구(22D)로부터 유출하는 드레인을, 후방측 드레인 배출구(22E)의 근방까지 안내(이동)함으로써, 작고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드레인 받이(23)는 상기 저면(23A)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설치 지지 기둥(23C)을 갖고, 상기 설치 지지 기둥(23C)이 선회 프레임(6)을 구성하는 좌측 세로판(6B)의 도중 부위(6J)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이 설치 지지 기둥(23C)은 드레인 받이(23)를 후방측 드레인 배출구(22E), 제2 드레인 받이(25)에 근접하는 높은 위치에 지지함으로써, 드레인의 누설, 주위로의 비산을 방지하고 있다.
24는 제1 드레인 받이(23)에 접속하여 설치된 배출 호스를 나타내고, 상기 배출 호스(24)는 제1 드레인 받이(23)가 모은 드레인을 상부 선회체(4)의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예를 들어 고무 호스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 호스(24)는 일단부가 드레인 받이(23)의 저면(23A)의 가장 깊은 부분에 설치된 호스 접속구(23B)에 접속되고, 예를 들어 타단부가 선회 장치(3)를 피해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선회 프레임(6)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25는 플로어 부재(10)에 설치된 제2 드레인 받이를 나타내고, 상기 드레인 받이(25)는 다른 쪽 드레인 배출구가 되는 공조 유닛(22)의 전방측 드레인 배출구(22D)로부터 배출되는 드레인을 받아 이 드레인을 제1 드레인 받이(23)에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제2 드레인 받이(25)는 후방측을 향해 하측으로 경사진 홈통 형상을 이루고, 그 전방측 부위에서 전방측 드레인 배출구(22D)를 덮도록, 바닥판(11)의 받침대 설치부(11B)의 하면측에 볼트 고정 등의 수단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드레인 받이(25)는 도9,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조 유닛(22)의 전방측 드레인 배출구(22D)로부터 하측으로 배출되는 드레인을 받아 이 드레인을 후방측으로 이동시키고, 제1 드레인 받이(23)에 공급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바닥판(11)에 전, 후 방향으로 이격하여 2개의 드레인 배출구(22D, 22E)를 설치한 경우라도, 이들로부터 유출되는 드레인을 1개의 제1 드레인 받이(23)로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드레인 받이(23), 배출 호스(24) 및 제2 드레인 받이(25)를 사용하여 공조 유닛(22)으로부터 배출되는 드레인의 배출 경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공조 유닛(22)의 후방측 드레인 배출구(22E)로부터 유출된 드레인은 제1 드레인 받이(23)에 적하하고, 경사진 저면(23A)을 따라 전방측으로 흘러, 배출 호스(2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공조 유닛(22)의 전방측 드레인 배출구(22D)로부터 유출된 드레인은 제2 드레인 받이(25)에 적하되고, 상기 제2 드레인 받이(25)를 따라 후방측으로 흘러, 제1 드레인 받이(23)로부터 배출 호스(2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1)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이며, 다음에 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유압 셔블(1)을 사용하여 건설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운전석(17)에 착좌한 조작자가 작업 레버(18), 주행용 레버 페달(19) 등을 조작한다. 이에 의해, 조작자는 하부 주행체(2)를 주행시키거나, 상부 선회체(4)를 선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작업 장치(5)를 작동시켜 토사의 굴착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작자가 공조 장치의 스위치를 온 하였을 때에는, 공조 유닛(22)의 증발기나 히터 코어에 의해 냉풍과 온풍이 조화된 조화 공기가 발생하고, 이 조화 공기는 공조 덕트(21) 등을 경유하여 각 취출구(21A, 21B)로부터 캡(20) 내로 취출하므로, 캡(20) 내를 적당한 온도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공조 유닛(22)의 작동시에는, 증발기 등의 저온의 부위에서 공기 중의 수분이 응결하고, 본체부(22B) 내에서 드레인이 발생한다. 이 드레인은, 예를 들어 차체의 경사 등에 따라서 전방측 드레인 배출구(22D) 또는 후방측 드레인 배출구(22E) 중 어느 하나로부터 하측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공조 유닛(22)의 후방측 드레인 배출구(22E)로부터 유출된 드레인은 제1 드레인 받이(23)에 적하한다. 또한, 전방측 드레인 배출구(22D)로부터 유출된 드레인은, 제2 드레인 받이(25)를 따라 후방측으로 흘러, 제1 드레인 받이(23)에 적하한다. 이에 의해, 제1 드레인 받이(23)는 모은 드레인을 배출 호스(24)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다음에, 유압 셔블(1)의 유지 보수 작업을 행하기 위해, 플로어 부재(10) 등을 틸트 업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플로어 부재(10)를 선회 프레임(6) 측에 고정하고 있는 로크를 해제하고, 도2,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의 플로어 전방 지지부(15)를 지지점으로 하여 플로어 부재(10)의 후방측을 들어올려 상측 또는 전방측으로 틸팅시킨다. 이에 의해, 선회 프레임(6) 상에 넓은 작업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각종 유지 보수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게다가, 공조 유닛(22)의 드레인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설치한 제1 드레인 받이(23)와 제2 드레인 받이(25)는 독립되어 있으므로, 플로어 부재(10)의 틸트 업, 틸트 다운의 동작에 의해 손상되는 일도 없다.
이리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조 유닛(22)에는 본체부(22B) 내에서 발생한 드레인을 플로어 부재(10)의 하측으로 배출하기 전, 후의 드레인 배출구(22D, 22E)를 설치하고, 선회 프레임(6)에는 각 드레인 배출구(22D, 22E)로부터 하측으로 배출되는 드레인을 받는 제1 드레인 받이(23)를 설치하고, 상기 제1 드레인 받이(23)에는 모은 드레인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호스(24)를 접속하여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종래 기술과 같이 선회 프레임(6)과 플로어 부재(10)를 긴 호스로 연결하지 않고, 공조 유닛(22)으로부터 유출된 드레인을 선회 프레임(6)측의 제1 드레인 받이(23)에 모을 수 있고, 상기 드레인 받이(23)로부터 배출 호스(24)를 통해 상부 선회체(4)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드레인 받이(23)는 공조 유닛(22)이 설치된 플로어 부재(10)와 별개가 되도록 선회 프레임(6)측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선회 프레임(6)에 대해 플로어 부재(10)를 틸트 업, 틸트 다운한 경우에, 제1 드레인 받이(23)와 독립하여 드레인 배출구(22D, 22E)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결과, 플로어 부재(10)를 틸트 동작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라도, 선회 프레임(6)과 플로어 부재(10) 사이에서 호스에 의한 접속 구조를 배제할 수 있고, 호스의 손상에 의한 드레인의 막힘, 드레인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공조 유닛(22)의 드레인을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고, 유압 셔블(1)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조 유닛(22)의 본체부(22B)에 2개의 드레인 배출구(22D, 22E)를 설치한 경우라도, 이들 2개의 드레인 배출구(22D, 22E)로부터 배출되는 드레인은 1개의 제1 드레인 받이(23)에 의해 모아 배출 호스(24)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적은 부품수로 공조 유닛(22)의 드레인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공조 유닛(22)에는 2개의 드레인 배출구(22D, 22E)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건설 작업 중에 차체가 기울어진 경우라도, 어느 한쪽의 드레인 배출구(22D, 22E)로부터 드레인을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후방측 드레인 배출구(22E)로부터 배출되는 드레인은 선회 프레임(6)에 설치한 제1 드레인 받이(23)로 받을 수 있다. 또한, 전방측 드레인 배출구(22D)로부터 배출되는 드레인은 플로어 부재(10)에 설치한 제2 드레인 받이(25)로 받을 수 있다. 이 결과, 공조 유닛(22)에 2개의 드레인 배출구(22D, 22E)를 설치한 경우라도, 제1 드레인 받이(23)와 제2 드레인 받이(25)에 의해 드레인을 모아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바닥판(11)의 받침대 설치부(11B)의 하면에 전방측 호스 관통 구멍(11C), 전방측 드레인 배출구(22D)를 덮도록 제2 드레인 받이(25)를 설치하고, 이 제2 드레인 받이(25)에 의해 전방측 드레인 배출구(22D)로부터 하측으로 배출되는 드레인을 받아 이 드레인을 후방측으로 이동시켜 제1 드레인 받이(23)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12에 도시하는 제1 변형예와 같이, 제2 드레인 받이(25)를 폐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제1 변형예에서는, 공조 유닛(31)의 전방측 드레인 배출구(31D)를 수지관, 금속관 등의 형상을 고정할 수 있는 관체에 의해 형성하고, 바닥판(11)의 하측에서 후방측으로 절곡함으로써, 드레인을 제1 드레인 받이(23)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후방측 드레인 배출구(31E)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전방측으로 절곡할 수도 있고, 제1 드레인 받이(23)를 보다 한층 소형화할 수도 있다.
또한, 도13에 도시하는 제2 변형예와 같이, 공조 유닛(22)의 전방측 드레인 배출구(22D)와 후방측 드레인 배출구(22E)의 양방으로부터 배출되는 드레인을 받을 수 있도록 전, 후 방향으로 긴 제1 드레인 받이(41)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공조 유닛(22)의 후방측 드레인 배출구(22E)로부터 배출되는 드레인을 받는 제1 드레인 받이(23)는 그 저면(23A)을 전방측을 향해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하고, 공조 유닛(22)의 전방측 드레인 배출구(22D)로부터 배출되는 드레인을 받는 제2 드레인 받이(25)는 후방측을 향해 하측에 경사진 홈통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14에 도시하는 제3 변형예와 같이, 실시 형태와 전, 후 방향의 배치를 반전하여 제1 드레인 받이(51)에서 공조 유닛(22)의 전방측 드레인 배출구(22D)로부터 배출되는 드레인을 받고, 제2 드레인 받이(52)에서 후방측 드레인 배출구(22E)로부터 배출되는 드레인을 받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플로어 부재(10)를 틸트 업하였을 때의 경사를 이용하여 제2 드레인 받이(52)에 잔존하는 드레인을 제1 드레인 받이(51)에 적극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실시 형태에서는, 공조 유닛(22)에 전, 후 방향으로 이격하여 2개의 드레인 배출구(22D, 22E)를 설치한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로어 부재의 드레인 배출구를 1개 또는 3개 이상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드레인 배출구는, 예를 들어 전, 후 방향과 좌, 우 방향으로 이격하여 4개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공조 유닛(22)에 2개의 드레인 배출구(22D, 22E)를 설치하고, 플로어 부재(10)의 바닥판(11)에도 드레인 배출구(22D, 22E)와 같은 수의 호스 관통 구멍(11C, 11D)을 마련한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호스 관통 구멍을 전, 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1개의 긴 구멍으로서 형성하고, 이 1개의 호스 관통 구멍에 2개의 드레인 배출구(22D, 22E)를 관통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건설 기계로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를 구비한 유압 셔블(1)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휠식의 하부 주행체를 구비한 유압 셔블 등에 적용해도 좋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유압 셔블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2는 도1 중의 플로어 부재와 캡을 틸트 업한 상태의 유압 셔블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3은 상부 선회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일부 파단의 정면도.
도4는 상부 선회체를 외장 커버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5는 선회 프레임과 제1 드레인 받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플로어 부재, 운전석 받침대, 운전석, 캡 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7은 플로어 부재, 공조 유닛 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8은 도7 중의 플로어 부재를 단일 부재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9는 도7 중의 플로어 부재 등을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10은 공조 유닛의 드레인의 배출 경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11은 도10의 드레인의 배출 경로를 틸트 업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의한 드레인의 배출 경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의한 드레인의 배출 경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에 의한 드레인의 배출 경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압 셔블(건설 기계)
2 : 하부 주행체
3 : 선회 장치
4 : 상부 선회체
5 : 작업 장치
6 : 선회 프레임
10 : 플로어 부재
11 : 바닥판
11A : 발 얹음부
11B : 받침대 설치부
11C : 전방측 호스 관통 구멍
11D : 후방측 호스 관통 구멍
15 : 플로어 전방 지지부
16 : 운전석 받침대
17 : 운전석
20 : 캡
22, 31 : 공조 유닛
22D, 31D : 전방측 드레인 배출구
22E, 31E : 후방측 드레인 배출구
23, 41, 51 : 제1 드레인 받이
24 : 배출 호스
25, 52 : 제2 드레인 받이

Claims (4)

  1. 자체 주행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상기 상부 선회체의 전방측에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선회체는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과, 상기 선회 프레임의 전방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선회 프레임 상에서 틸팅 가능하게 설치된 플로어 부재와, 상기 플로어 부재 상에 설치되어 조작자가 착좌하는 운전석과, 상기 운전석을 둘러싸고 상기 플로어 부재에 설치된 캡과, 상기 플로어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캡 내에 조화 공기를 공급하는 공조 유닛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공조 유닛에는 내부에서 발생한 드레인을 상기 플로어 부재의 하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배출구를 설치하고,
    상기 선회 프레임에는 상기 공조 유닛과 별개로 되어 상기 드레인 배출구로부터 상기 플로어 부재의 하측으로 배출되는 드레인을 받는 드레인 받이를 설치하고,
    상기 드레인 받이에는 모은 드레인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호스를 접속하여 설치하고 상기 선회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플로어 부재를 틸팅 동작했을 때에, 상기 드레인 배출구는 상기 드레인 받이와 독립하여 이동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유닛에는 상기 드레인 배출구를 복수개 설치하고, 상기 선회 프레임에는 드레인 받이를 1개 설치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드레인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드레인을 1개의 드레인 받이로 모아 상기 배출 호스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유닛에는 건설 작업 중에 차체가 기울어진 경우라도 드레인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드레인 배출구를 2개 설치하고,
    상기 선회 프레임에 설치된 상기 드레인 받이를 한쪽의 드레인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드레인을 받는 제1 드레인 받이로 하고,
    상기 플로어 부재에는 다른 쪽의 드레인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드레인을 받는 제2 드레인 받이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배출구는 상기 플로어 부재에 마련된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플로어 부재의 하면측으로 연장되는 관체에 의해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KR1020080115453A 2008-01-29 2008-11-20 건설 기계 KR1010593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17719A JP4555350B2 (ja) 2008-01-29 2008-01-29 建設機械
JPJP-P-2008-017719 2008-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271A KR20090083271A (ko) 2009-08-03
KR101059300B1 true KR101059300B1 (ko) 2011-08-24

Family

ID=40945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453A KR101059300B1 (ko) 2008-01-29 2008-11-20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555350B2 (ko)
KR (1) KR101059300B1 (ko)
CN (1) CN1014981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49437B2 (ja) * 2010-09-22 2013-11-20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NL2008634C2 (nl) * 2012-04-13 2013-10-16 Hudson Bay Holding B V Mobiele inrichting.
JP6257541B2 (ja) * 2015-02-09 2018-01-10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建設機械
CN108482203A (zh) * 2018-04-28 2018-09-04 泰铂(上海)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微型压缩机空调汽车座椅
JP7201536B2 (ja) * 2019-05-31 2023-01-10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建設機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4804A (ja) 1998-11-17 2000-05-26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の燃料装置
JP2003211942A (ja) * 2002-01-22 2003-07-30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における空調装置の配設構造
JP2006002479A (ja) 2004-06-18 2006-01-05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5837B2 (ja) * 2000-08-07 2010-07-0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油受け装置
US7021074B2 (en) * 2003-03-10 2006-04-04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JP2004268802A (ja) * 2003-03-10 2004-09-30 Kubota Corp 作業車
JP2004268801A (ja) * 2003-03-10 2004-09-30 Kubota Corp 作業車
JP4494956B2 (ja) * 2004-12-24 2010-06-3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4804A (ja) 1998-11-17 2000-05-26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の燃料装置
JP2003211942A (ja) * 2002-01-22 2003-07-30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における空調装置の配設構造
JP2006002479A (ja) 2004-06-18 2006-01-05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98137A (zh) 2009-08-05
KR20090083271A (ko) 2009-08-03
CN101498137B (zh) 2012-07-04
JP4555350B2 (ja) 2010-09-29
JP2009179959A (ja) 200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6269B1 (ko) 건설 기계
KR101478851B1 (ko) 건설 기계
CN103358857B (zh) 工程机械
KR101059300B1 (ko) 건설 기계
JP6121655B2 (ja) 旋回作業車
CN103764921B (zh) 工程机械
KR101844624B1 (ko) 건설 기계
JP4209787B2 (ja) 建設機械
US9273447B2 (en) Cab for construction machine and construction machine
WO2016024641A1 (ja) 作業車両
US20130017048A1 (en) Construction machine
KR20140002626A (ko) 건설기계
WO2014088033A1 (ja) 建設機械
KR20130038180A (ko) 건설기계
JP4291221B2 (ja) 建設機械
JP6257541B2 (ja) 建設機械
JP2017025668A (ja) 油圧ショベル
JP2005336829A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6726126B2 (ja) 作業車
JP6571052B2 (ja) 小型油圧ショベル
JP6498592B2 (ja) 小型の建設機械
JPH0960041A (ja) 旋回作業機
JP2007092326A (ja) バックホ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