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8180A - 건설기계 - Google Patents

건설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8180A
KR20130038180A KR1020127010411A KR20127010411A KR20130038180A KR 20130038180 A KR20130038180 A KR 20130038180A KR 1020127010411 A KR1020127010411 A KR 1020127010411A KR 20127010411 A KR20127010411 A KR 20127010411A KR 20130038180 A KR20130038180 A KR 20130038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seat
plate
door
floo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0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4773B1 (ko
Inventor
히로시 다베타
하지메 이시이
쇼고 기무라
도모유키 다나카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8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17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 B62D33/067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til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33Improving access, e.g. for maintenance, steps for improving driver's acces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movable, tiltable or pivoting, e.g. movable seats, dampening arrangements of cabins

Abstract

하부 주행체(2) 상에는 상부 선회체(3)를 설치하고, 이 상부 선회체(3)의 선회 프레임(5) 상에는 플로어 부재(9)와 캡 박스(21)를 설치한다. 플로어 부재(9)는, 후측이 운전석(16)을 장착하는 운전석 장착부(10)가 되고, 전측이 발을 얹어놓는 발판부(11)가 되며, 발판부(11)의 전측은 레버·페달 장착부(15)가 되어 있다. 발판부(11)는, 운전석(16)의 전측에 설치되어 오퍼레이터가 발을 얹어놓는 평탄한 운전석 전판(12)과, 운전석 전판(12) 중 캡 박스(21)의 좌측 단부(12A)로부터 내려간 하강판(13)과, 하강판(13)의 하부로부터 도어(21F)를 향하여 좌측으로 연장되어 오퍼레이터가 운전실(22)에 타고 내릴 때에 발을 올려놓는 평탄한 디딤판(14)으로 구성한다.

Description

건설기계{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플로어 부재 상에 캡 박스를 구비한 유압 셔블 등의 건설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기계로서의 유압 셔블은, 자주(自走)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당해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당해 상부 선회체의 전측(前側)에 부앙동(俯仰動)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선회체는,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과, 당해 선회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후측이 운전석을 장착하는 운전석 장착부가 되고 전측이 오퍼레이터가 발을 얹어놓는 발판부가 된 플로어 부재와, 당해 플로어 부재 상에 운전실을 형성하기 위하여 당해 플로어 부재의 주위와 상방을 덮어 설치된 캡 박스를 구비하고 있다. 또, 캡 박스의 외주 측에는, 발판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승강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또, 미니 셔블이라고 불리는 소형의 유압 셔블에서는, 플로어 부재에 스페이스를 두고, 이 스페이스에 운전실에 조화 공기를 공급하는 공조 장치의 실내기를 배치하고 있다. 이 플로어 부재는, 실내기가 재치(載置)되는 하부 상판(床板)의 상측에, 당해 실내기를 덮도록 상부 상판을 배치함으로써 2중 상판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 경우, 상부 상판은, 하부 상판으로부터 실내기가 돌출된 분만큼 높은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부 상판의 승강구 측에는, 비스듬하게 하측으로 절곡함으로써 1단 내려간 단차부를 설치하고, 승강 시에는 단차부에 발을 올려놓도록 하고 있다(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제2005-226307호 공보).
그런데, 상기 서술한 특허문헌 1에 의한 유압 셔블은, 하부 상판의 상측에 상부 상판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부 상판의 승강구 측을 비스듬하게 절곡하여 형성한 단차부는, 하부 상판의 높이까지밖에 낮출 수 없다. 따라서, 하부 주행체로부터 단차부까지의 높이 치수가 커서, 타고 내리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 하부 상판과 상부 상판의 2중 상판 구조에서는, 부품 수가 많아, 조립 작업에도 수고가 든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로어 부재의 도어 측을 충분히 낮게 함으로써, 발을 올려놓기 쉽게 하여 운전실에 간단히 타고 내릴 수 있게 한 건설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에 의한 건설기계는,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당해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당해 상부 선회체에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선회체는, 지지 구조체를 형성하는 선회 프레임과, 당해 선회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후측이 운전석을 장착하는 운전석 장착부가 되고 전측이 오퍼레이터가 발을 얹어놓는 발판부가 된 플로어 부재와, 당해 플로어 부재 상에 운전실을 형성하기 위하여 당해 플로어 부재의 주위와 상방을 덮어 설치된 캡 박스를 구비하고, 당해 캡 박스에는 상기 플로어 부재의 발판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운전실에 출입하기 위한 도어를 설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상기 운전실 안이 되는 상기 플로어 부재의 발판부는, 상기 운전석의 전측에 설치되어 오퍼레이터가 발을 얹어놓는 평탄한 운전석 전판(前板)과, 당해 운전석 전판의 도어 측 단부(端部)로부터 내려간 하강판과, 당해 하강판의 하부로부터 상기 캡 박스의 도어를 향하여 연장되어 오퍼레이터가 상기 운전실에 타고 내릴 때에 발을 올려놓는 평탄한 디딤판으로 구성한 것에 있다.
이렇게 구성한 것에 의해, 하강판을 하측까지 연장시킴으로써, 디딤판의 위치를 운전석 전판으로부터 크게 낮춘 저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주행체 상에서 발판부의 디딤판까지의 높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하부 주행체 상에서 운전실에 올라탈 때에, 디딤판에 발을 간단히 올려놓을 수 있다. 또, 운전실로부터 하차할 때는, 디딤판에서 하부 주행체 상으로 간단히 내려올 수 있다.
이 결과, 플로어 부재를 구성하는 발판부에는, 충분히 낮은 위치에 디딤판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실로의 승강 동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디딤판은, 발판부의 도어 측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운전석에 착좌한 오퍼레이터가 발을 얹어놓는 운전석 전판을 크게(넓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디딤판은, 캡 박스에 둘러싸인 운전실 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눈, 먼지 등이 체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캡 박스의 도어를 원활하게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운전석 전판과 디딤판 사이는, 대략 수직이 되는 하강판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한정된 스페이스를 유효 이용하여 운전석 전판과 디딤판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2) 본 발명은, 상기 플로어 부재의 운전석 장착부 중 도어 측 부위는, 상기 작업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레버를 구비한 콘솔 장치를 장착하는 콘솔 장착부가 되고, 상기 발판부의 디딤판은, 당해 콘솔 장착부의 전측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운전석 장착부의 도어 측 부위에 설치되는 콘솔 장치의 전측은, 운전석에 착좌한 오퍼레이터가 발을 놓는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다. 따라서, 콘솔 장치의 전측에 디딤판을 설치함으로써, 이 디딤판을 승강 시에 발을 올려놓기 쉽고, 또 조작 시에 방해를 받지 않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게다가, 디딤판을 콘솔 장착부의 전측에 설치한 것에 의해, 이 디딤판의 좌, 우 방향의 폭 치수를, 콘솔 장착부의 폭 치수와 동일한 정도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디딤판의 면적을 넓게 형성할 수 있어, 발을 확실하게 올려놓을 수 있다.
(3) 본 발명은, 상기 플로어 부재의 발판부의 전측에는, 조작용의 레버, 페달을 장착하기 위한 레버·페달 장착부를 설치하고, 당해 레버·페달 장착부 중 도어 측의 단부에는, 상기 운전석 전판의 도어 측의 앞모서리부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도어를 향해 비스듬하게 컷아웃한 컷아웃부를 형성하며, 상기 하강판의 전측 부위에는, 당해 컷아웃부의 단부를 따라 비스듬하게 절곡된 절곡판부를 형성하고, 상기 디딤판의 전측 부위에는, 상기 컷아웃부에 대응하여 확대한 확대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레버·페달 장착부의 도어 측의 단부에는 도어를 향하여 비스듬하게 컷아웃하여 컷아웃부를 형성함과 함께, 하강판의 전측 부위에는 컷아웃부의 단부를 따른 절곡판부를 설치함으로써, 디딤판의 전측에 확대부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디딤판의 전측에 위치하는 페달을 피하면서, 상기 확대부를 설치한 분만큼 디딤판을 전, 후 방향으로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이 결과, 운전석 장착부의 전측의 좁은 부위이어도, 오퍼레이터는, 디딤판에 확실하게 발을 올려놓을 수 있다.
(4) 본 발명은, 상기 플로어 부재의 발판부의 이면 측에는, 상기 운전석 전판과 디딤판 사이에 설치된 상기 하강판의 높이 치수를 이용하여 플로어 이면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당해 플로어 이면 수용 공간에는, 흡입한 공기를 냉기 또는 난기로 조정하기 위한 공조 장치의 실내기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발판부의 이면 측에는, 운전석 전판과 디딤판 사이의 고저차, 즉, 하강판의 높이 치수를 이용하여 플로어 이면 수용 공간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플로어 부재의 이면 측에는, 플로어 이면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여 공조 장치의 실내기를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압 셔블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작업 장치와 캡 박스를 생략한 유압 셔블을 플로어 부재를 틸트업한 상태로 후측에서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상부 선회체를 전측으로부터 확대하여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부 선회체를 도어를 연 상태로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플로어 부재, 운전석, 각종 조작 레버, 페달, 캡 박스 등을 도 1 중의 화살표 VI-VI 방향으로부터 본 횡단면도이다.
도 7은 플로어 부재, 운전석, 각종 조작 레버, 페달 등을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은 플로어 부재를 단체(單體)로 전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9는 플로어 부재를 단체로 후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건설기계로서, 캡 사양의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9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1은 본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건설기계로서의 캡 사양의 유압 셔블로, 당해 유압 셔블(1)은, 좁은 작업 현장에서의 작업에 적합한 미니 셔블이라고 불리는 소형의 유압 셔블이다. 그리고, 유압 셔블(1)은,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2)와, 당해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3)와, 당해 상부 선회체(3)의 전, 후 방향 전측에 설치되어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하는 작업 장치(4)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 주행체(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 우의 트랙 사이드 프레임(2A)을 가지고, 당해 트랙 사이드 프레임(2A)에는, 전, 후 위치의 유동륜(2B), 구동륜(2C)을 통하여 무한궤도(2D)가 권회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 선회체(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주행체(2)의 차폭과 대략 동일한 좌, 우 방향의 폭 치수를 가지고, 또한 선회 중심 O를 중심으로 한 선회 반경 R의 가상 원 C 내에 들어가도록, 상방에서 보아 대략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압 셔블(1)은, 상부 선회체(3)가 하부 주행체(2) 상에서 선회 중심 O를 중심으로 하여 선회하였을 때에, 후술하는 카운터 웨이트(8)의 후면이 대략 하부 주행체(2)의 차폭 내에 들어가는 후방 소(小)선회형의 유압 셔블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선회 반경 R은, 선회 중심 O로부터 카운터 웨이트(8)의 후면까지의 거리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서술한 가상 원 C는, 상부 선회체(3)의 선회 시에 있어서의 카운터 웨이트(8)의 후면의 궤적이 되어 있다. 또, 이 가상 원 C는, 하부 주행체(2)의 좌, 우 방향의 차폭에 들어가도록 설정되고, 이 가상 원 C가 차폭으로부터 돌출되었다고 해도, 그 돌출량은, 작은 치수이다.
여기서, 상부 선회체(3)는, 후술의 선회 프레임(5), 카운터 웨이트(8), 플로어 부재(9), 운전석(16), 캡 박스(21)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하 이것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5는 상부 선회체(3)의 지지 구조체를 구성하는 선회 프레임이다. 이 선회 프레임(5)은,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 우 방향의 중간부를 전, 후 방향으로 연장한 평판 형상의 바닥판(5A)과, 당해 바닥판(5A)의 상면 측에 좌, 우 방향으로 이간하여 대략 V자 형상으로 세워 설치된 좌측 세로판(5B), 우측 세로판(5C)과, 당해 각 세로판(5B, 5C)의 전단부(前端部)에 설치되고, 작업 장치(4)를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5D)과, 좌측 전부(前部)에 위치하여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후술하는 플로어 부재(9)의 전측 부위가 장착되는 프런트빔(5E)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6은 선회 프레임(5)의 후측에 탑재된 엔진(도 1 중에 점선으로 도시)으로, 당해 엔진(6)은, 유압 펌프를 회전 구동하는 것이다. 또, 7은 선회 프레임(5)의 좌전측(左前側)에 탑재된 제어 밸브 장치(도 3 참조)로, 당해 제어 밸브 장치(7)는, 후술하는 플로어 부재(9)의 발판부(11)[실내기(25)]의 하측, 즉, 선회 프레임(5)의 좌측 세로판(5B)의 좌측에 위치하여 바닥판(5A) 상에 탑재되어 있다. 이 경우, 제어 밸브 장치(7) 및 당해 제어 밸브 장치(7)에 접속되는 배관류는, 플로어 부재(9)를 틸트다운하였을 때에 실내기(25)의 바로 아래 위치하지만, 이 실내기(25)와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이유로 서로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클리어런스가 설치되어 있다.
8은 선회 프레임(5)의 후부에 설치된 카운터 웨이트로, 당해 카운터 웨이트(8)는, 작업 장치(4)와의 중량 밸런스를 취하는 것이다. 이 카운터 웨이트(8)는, 엔진(6)을 후측으로부터 덮도록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운터 웨이트(8)에는, 후술의 플로어 부재(9)를 구성하는 운전석 장착부(10)의 장착판부(10D)를 선회 프레임(5) 측에 장착하기 위한 플로어 장착부(8A)가 설치되어 있다.
9는 선회 프레임(5) 상의 좌측 근처에 설치된 플로어 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이 플로어 부재(9)는, 전측 위치가 선회 프레임(5)의 프런트빔(5E)에 경전(傾轉)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측 위치가 카운터 웨이트(8)의 상부에 플로어 장착부(8A)를 개재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플로어 부재(9)는, 운전석(16), 캡 박스(21) 등과 함께 전측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틸트업(도 3의 상태), 틸트다운(도 1의 상태)할 수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어 부재(9)는, 후술의 운전석 장착부(10)와 발판부(11)와 레버·페달 장착부(15)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10은 플로어 부재(9)의 후측에 위치하여 스텝 형상으로 형성된 운전석 장착부로, 당해 운전석 장착부(10)는, 후술의 운전석(16)이 장착되는 곳이다. 여기서, 운전석 장착부(10)는, 발판부(11)의 후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전판부(10A)와, 당해 전판부(10A)의 상부로부터 후측으로 연장되어 운전석(16)을 재치하는 대략 평탄한 운전석 재치판부(10B)와, 당해 운전석 재치판부(10B)의 후부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연장된 배판부(背板部)(10C)와, 당해 배판부(10C)의 상부로부터 후측으로 연장된 장착판부(10D)로 구성되어 있다. 장착판부(10D)는, 플로어 부재(9)를 틸트다운하였을 때에 카운터 웨이트(8) 상의 플로어 장착부(8A)에 방진 상태로 지지된다.
또, 운전석 장착부(10) 중, 후술하는 캡 박스(21)의 도어(21F) 측이 되는 좌측 부위는, 후술하는 좌측의 콘솔 장치(17)를 장착하기 위한 콘솔 장착부(10E)가 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콘솔 장착부(10E)의 전측은, 전판부(10A)의 좌측에 위치하여 전면부(前面部)(10E1)가 되어 있다. 전면부(10E1)의 좌, 우 방향의 폭 치수는, 내부에 운전 조작 모드 절환 밸브(도시 생략) 등을 배치할 수 있도록 큰 치수 W(도 8 참조)로 설정되어 있다.
11은 운전석(16)에 착좌한 오퍼레이터가 발을 얹기 위하여 운전석 장착부(10)의 전측에 설치된 발판부를 나타내고 있다. 이 발판부(11)는, 캡 박스(21)의 도어(21F)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발판부(11)는, 작업 시에 오퍼레이터가 발을 얹어놓는 부분과 승강 시에 발을 올려놓는 부분의 양방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발판부(11)는, 후술의 운전석 전판(12)과 하강판(13)과 디딤판(14)에 의해 스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12는 발판부(11) 중 운전석(16)의 전측에 설치된 운전석 전판이다. 이 운전석 전판(12)은, 운전석 장착부(10)의 우측 단부로부터 콘솔 장착부(10E)까지의 넓은 범위, 즉, 운전석 재치판부(10B)의 좌, 우 방향 폭의 범위로 설치된 직사각형 형상의 평탄한 판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운전석 전판(12)은, 도어(21F) 측이 되는 좌측 단부(12A)가 콘솔 장착부(10E)의 우측 단부와 대략 일치하고 있다.
여기서, 운전석 전판(12)의 좌, 우 방향의 폭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석(16)의 좌석의 폭보다 광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발을 얹어놓기에 충분한 넓이가 되어 있다. 한편, 운전석 전판(12)의 좌측은, 예비용 조작 페달(19)의 대략 중앙 위치까지 이르고 있기 때문에, 이 운전석 전판(12) 상에는, 조작 페달(19)을 조작하는 왼발을 놓을 수 있다.
13은 운전석 전판(12)의 좌측 단부(12A)로부터 수직으로 내려 설치된 하강판이다. 이 하강판(13)은, 상기 좌측 단부(12A)를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판부(13A)와, 당해 직선판부(13A)의 전단부로부터 후술의 레버·페달 장착부(15)의 컷아웃부(15D)의 단부를 따라 비스듬하게 절곡된 절곡판부(13B)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절곡판부(13B)는, 레버·페달 장착부(15)의 컷아웃부(15D)에 대응하는 각도로 절곡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 하강판(13)은, 수직으로 내려 형성함으로써, 운전석 전판(12)과 디딤판(14)의 양방을 낭비 없이 크게 형성할 수 있다.
14는 하강판(13)의 하부로부터 도어(21F) 측(좌측)을 향하여 연장하여 설치된 평탄한 디딤판을 나타내고 있다. 이 디딤판(14)은, 오퍼레이터가 운전실(22)에 타고 내릴 때에 발을 올려놓는 곳이다. 여기서,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딤판(14)은, 운전석 전판(12)으로부터 크게 내려간 위치, 구체적으로는, 레버·페달 장착부(15)의 하단부(下端部)와 동등한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디딤판(14)은, 발판부(11)의 운전석 전판(12)의 높이 위치에 구속되지 않고, 이 운전석 전판(12)으로부터 크게 내려간 저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하부 주행체(2)의 무한궤도(2D) 상에서 디딤판(14)까지의 높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한편, 디딤판(14)은, 운전실(22) 내에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눈, 먼지 등의 퇴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딤판(14)의 전측 위치에는, 레버·페달 장착부(15)의 컷아웃부(15D)와 동일한 확개(擴開) 각도로 도어(21F)를 향하여 넓어진 확대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즉, 확대부(14A)를 설치한 것에 의해, 디딤판(14)은, 전측으로 연장된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디딤판(14)의 전측 위치를 확대부(14A)로 함으로써, 이 확대부(14A)에 의해 예비용 조작 페달(19)을 피하면서, 당해 디딤판(14)을 전측까지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디딤판(14)은, 운전석(16)에 착좌한 오퍼레이터가 발을 놓는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는 장소, 구체적으로는, 운전석 장착부(10)의 콘솔 장착부(10E)[좌측의 콘솔 장치(17)]의 전측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콘솔 장착부(10E)의 전측에 배치된 디딤판(14)은, 콘솔 장착부(10E)의 전면부(10E1)의 폭 치수 W와 동일한 정도의 폭 치수로 설치되어 있다[단, 확대부(14A) 측에서는 폭 치수가 약간 좁아져 있다]. 이것에 의해, 디딤판(14)은, 타고 내릴 때의 방향으로 광폭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승강 시에 발을 올려놓기 쉽고, 또 작업 시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석 전판(12)과 하강판(13)과 디딤판(14)은, 예를 들면, 직사각형 형상의 판재를 크랭크 형상으로 절곡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방법, 또는 복수 장의 판재를 용접 수단으로 고착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방법이 채용되어 있다.
15는 발판부(11)의 전측에 설치된 레버·페달 장착부로, 당해 레버·페달 장착부(15)는, 운전석 전판(12)의 전단을 따라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레버·페달 장착부(15)에는, 좌, 우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여 후술하는 주행용의 조작 레버·페달(18)을 장착하기 위한 중앙 개구(15A)와, 당해 중앙 개구(15A)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개구(15B)와, 상기 중앙 개구(15A)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개구(15C)가 설치되어 있다. 이 좌, 우의 개구(15B, 15C)에는, 작업 장치(4)를 요동하거나, 옵션인 유압기기(도시 생략)를 구동하기 위한 후술의 페달(19, 20)이 장착되어 있다.
또, 레버·페달 장착부(15)의 도어(21F) 측의 단부에는, 운전석 전판(12)의 좌측 단부(12A)의 앞모서리부(12A1)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도어(21F)를 향하여 비스듬하게 컷아웃한 컷아웃부(15D)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레버·페달 장착부(15) 중, 좌측의 단부를 컷아웃부(15D)로 함으로써, 예비용 조작 페달(19)을 피하면서, 디딤판(14)을 전측까지 넓게 형성할 수 있다.
16은 플로어 부재(9) 상에 설치된 운전석으로, 당해 운전석(16)은, 운전석 장착부(10)를 구성하는 운전석 재치판부(10B)의 좌, 우 방향의 중앙 위치에 재치되어 있다. 그리고, 운전석(16)은, 유압 셔블(1)을 조종할 때에 오퍼레이터가 착좌하는 곳이다.
17은 운전석(16)의 좌, 우 양측에 배치된 콘솔 장치로, 당해 각 콘솔 장치(17)는, 각종 스위치, 표시기 등이 설치된 콘솔(17A)의 전측 위치에 작업용의 조작 레버(17B)를 구비하고 있다. 이 조작 레버(17B)는, 전, 후 방향으로, 또는 좌, 우 방향으로 경전 조작함으로써, 작업 장치(4) 등을 조작하는 것이다. 여기서, 좌측의 콘솔 장치(17)는, 플로어 부재(9)를 구성하는 운전석 장착부(10)의 콘솔 장착부(10E)에 장착되고, 우측의 콘솔 장치(17)는, 운전석 장착부(10)의 운전석 재치판부(10B)의 우측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18은 운전석(16)의 전측이 되는 플로어 부재(9)의 레버·페달 장착부(15)에 설치된 주행용의 조작 레버·페달이다. 이 조작 레버·페달(18)은, 레버·페달 장착부(15)의 중앙 개구(15A)에 위치하여 전, 후 방향으로 경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19는 조작 레버·페달(18)의 좌측에 위치하여 레버·페달 장착부(15)의 좌측 개구(15B)에 설치된 예비용 조작 페달로, 당해 조작 페달(19)은, 추가하여 설치되는, 예를 들면, 브레이커 등의 유압기기(도시 생략)를 구동할 때에 조작하는 것이다. 또, 20은 조작 레버·페달(18)의 우측에 위치하여 레버·페달 장착부(15)의 우측 개구(15C)에 설치된 스윙용 조작 페달로, 당해 조작 페달(20)은, 작업 장치(4)를 좌, 우 방향으로 요동 조작(스윙)하는 것이다.
21은 플로어 부재(9) 상에 설치된 캡 박스로(도 4 내지 도 6 참조), 당해 캡 박스(21)는, 후술하는 플로어 부재(9)의 주위와 상방을 덮는 것이다. 이 캡 박스(21)는, 전면부(21A), 후면부(21B), 좌측면부(21C), 우측면부(21D) 및 천정면부(21E)에 의해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부가 플로어 부재(9)의 주연(周緣)에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캡 박스(21)는, 플로어 부재(9) 상에 오퍼레이터의 거주 스페이스가 되는 운전실(22)을 형성하고 있다.
또, 좌측면부(21C)에는, 플로어 부재(9)의 발판부(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운전실(22)에 출입하기 위한 도어(21F)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도어(21F)는, 발판부(11)의 좌측에 설치된 승강구(23)을 개폐하는 것으로, 도어 하단부(21F1)는, 디딤판(14)과 동일한 높이 위치가 되어 있다. 여기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21F)를 열었을 때에는, 승강구(23)을 통하여 운전실(22)에 올라탈 수 있고, 또 하차할 수 있다. 이때에, 오퍼레이터는, 낮은 위치에 설치된 발판부(11)의 디딤판(14)에 발을 올려놓음으로써, 용이하게 타고 내릴 수 있다.
24는 발판부(11)의 이면 측에 설치된 플로어 이면 수용 공간으로(도 3 참조), 당해 플로어 이면 수용 공간(24)은, 발판부(11)의 운전석 전판(12)과 디딤판(14) 사이에 설치된 하강판(13)의 높이 치수(H)를 이용하여, 운전석 전판(12)의 이면 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플로어 이면 수용 공간(24)은, 후술하는 공조 장치의 실내기(25)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좌, 우 방향의 폭 치수를 가지고 있다.
또, 플로어 이면 수용 공간(24)은, 운전석 전판(12)과 디딤판(14) 사이의 고저차, 즉, 하강판(13)의 높이 치수(H)를 이용한 것이기 때문에, 실내기(25)가 하측으로 돌출하는 치수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플로어 부재(9)를 틸트다운한 경우에도, 플로어 이면 수용 공간(24)에 설치한 실내기(25)와 당해 실내기(25)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어 밸브 장치(7)나 배관류 사이에 클리어런스를 설치할 수 있어,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25는 플로어 부재(9)의 이면 측에 설치된 공조 장치의 실내기로, 당해 실내기(25)는, 이배퍼레이터, 히터, 송풍 팬(모두 도시 생략)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실내기(25)는, 플로어 이면 수용 공간(24)에 위치하여 발판부(11)의 운전석 전판(12)의 이면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실내기(25)는, 흡입한 공기를 냉기 또는 난기로 조정하고, 이 조화 공기를 플로어 부재(9)의 우측에 설치한 공조 덕트(26)(도 7 참조) 등을 거쳐서 운전실(22) 내에 공급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1)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다음으로,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운전실(22)에 올라타는 경우, 오퍼레이터는, 캡 박스(21)의 도어(21F)를 열어, 하부 주행체(2)의 무한궤도(2D) 상에 올라가, 이 무한궤도(2D)로부터 플로어 부재(9)의 발판부(11)에 형성한 디딤판(14)에 발을 올려놓는다. 이때에, 디딤판(14)은, 운전석 전판(12)보다 내려간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무한궤도(2D)로부터 디딤판(14)에 간단히 발을 올려놓을 수 있고, 승강구(23)를 통하여 운전실(22) 내에 올라탈 수 있다. 운전실(22)에 올라탄 오퍼레이터는, 디딤판(14)으로부터 운전석 전판(12)에 올라가 운전석(16)에 착좌한다.
운전석(16)에 착좌한 오퍼레이터는, 주행용의 조작 레버·페달(18)을 조작 함으로써, 하부 주행체(2)를 주행시킨다. 또, 좌, 우의 콘솔 장치(17)의 조작 레버(17B)를 조작함으로써, 작업 장치(4) 등을 동작시켜,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운전실(22)에서 내려가는 경우, 오퍼레이터는, 디딤판(14)에 발을 올려놓음으로써, 하부 주행체(2)의 무한궤도(2D) 상에 용이하게 발을 뻗을 수 있고, 이 무한궤도(2D)를 거쳐서 지면으로 내려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캡 박스(21)에 둘러싸인 운전실(22) 내에 설치한 플로어 부재(9)의 발판부(11)는, 운전석(16)의 전측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오퍼레이터가 발을 얹어놓는 평탄한 운전석 전판(12)과, 당해 운전석 전판(12)의 도어(21F) 측이 되는 좌측 단부(12A)로부터 내려간 하강판(13)과, 당해 하강판(13)의 하부로부터 도어(21F)를 향하여 좌측으로 연장되어 오퍼레이터가 상기 운전실(22)에 타고 내릴 때에 발을 올려놓는 평탄한 디딤판(14)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실(22)에 타고 내릴 때에 발을 올려놓는 위치에서, 운전석 전판(12)보다 내려간 위치에 디딤판(14)을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딤판(14)은, 하강판(13)을 하측까지 연장시킴으로써 운전석 전판(12)으로부터 크게 낮춘 저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하부 주행체(2)의 무한궤도(2D) 상에서 디딤판(14)까지의 높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무한궤도(2D) 상에서 운전실(22)에 올라탈 때에, 디딤판(14)에 발을 간단히 올려놓을 수 있다. 또, 운전실(22)로부터 하차할 때는, 디딤판(14)에서 무한궤도(2D) 상으로 간단히 내려올 수 있다.
이 결과, 플로어 부재(9)의 발판부(11)에는, 충분히 낮은 위치에 디딤판(14)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실(22)로의 승강 동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디딤판(14)은, 발판부(11) 중, 캡 박스(21)의 도어(21F) 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석(16)에 착좌한 오퍼레이터가 발을 놓기 위한 스페이스, 즉, 넓은 면적을 가진 운전석 전판(12)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디딤판(14)은, 캡 박스(21)에 둘러싸인 운전실(22) 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눈, 먼지 등이 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캡 박스(21)의 도어(21F)를 원활하게 개폐할 수 있다.
또, 운전석 전판(12), 하강판(13), 디딤판(14)은, 예를 들면, 판재를 절곡 가공하거나, 또는 판 형상의 부품을 용접 가공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결과, 운전석 전판(12), 하강판(13), 디딤판(14) 등은, 모두 단일의 부품으로서 취급할 수 있어, 구성을 간략화하여 조립 작업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운전석 전판(12)과 디딤판(14)을 연결하는 하강판(13)은, 대략 수직으로 내려져 있기 때문에, 운전실(22) 내의 한정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운전석 전판(12)과 디딤판(14)의 양방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발판부(11)의 디딤판(14)은, 운전석 장착부(10)의 콘솔 장착부(10E)의 전측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좌측의 콘솔 장치(17)의 전측은, 운전석(16)에 착좌한 오퍼레이터가 발을 놓는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기 때문에, 당해 디딤판(14)은, 승강 시에 발을 올려놓기 쉽고, 또 조작 시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게다가, 디딤판(14)을 콘솔 장착부(10E)의 전측에 배치함으로써, 이 디딤판(14)은, 콘솔 장착부(10E)의 전면부(10E1)의 폭 치수 W와 동일한 정도의 폭 치수로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디딤판(14)은, 승강 방향으로 광폭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넓은 면적의 디딤판(14)에 확실하게 발을 올려놓을 수 있다.
또, 플로어 부재(9)의 발판부(11)의 전측에는, 조작 레버·페달(18)을 장착하기 위한 레버·페달 장착부(15)를 설치하고, 이 레버·페달 장착부(15)의 좌측의 단부에는, 운전석 전판(12)의 좌측 단부(12A)의 앞모서리부(12A1)와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도어(21F)를 향하여 비스듬하게 컷아웃한 컷아웃부(15D)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하강판(13)의 전측 부위에는, 컷아웃부(15D)의 단부를 따라 절곡된 절곡판부(13B)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컷아웃부(15D)와 절곡판부(13B)에 의하여, 디딤판(14)의 전측 부위에는 확대부(14A)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결과, 디딤판(14)은, 확대부(14A)의 분만큼 면적을 넓게 형성할 수 있어, 오퍼레이터는, 디딤판(14)에 확실하게 발을 올려놓을 수 있다. 게다가, 확대부(14A)는, 레버·페달 장착부(15)의 좌측에 배치되는 예비용 조작 페달(19)을 피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플로어 부재(9)의 발판부(11)의 이면 측에는, 운전석 전판(12)과 디딤판(14) 사이에 설치된 하강판(13)의 높이 치수(H)를 이용하여, 플로어 이면 수용 공간(24)을 형성할 수 있다. 이 플로어 이면 수용 공간(24)은, 하강판(13)의 높이 치수(H), 즉, 운전석 전판(12)과 디딤판(14)의 고저차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디딤판(14)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하는 치수를 작게 억제한 상태로, 공조 장치의 실내기(25)를 수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선회 프레임(5) 측에 탑재되는 제어 밸브 장치(7) 등의 기기류와 실내기(25) 사이에 배관류를 배치하거나, 메인터넌스하기 위한 클리어런스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플로어 부재(9)를, 선회 프레임(5)에 대하여 전측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틸트업, 틸트다운 가능하게 구성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선회 프레임에 대하여 플로어 부재를 고정하여 설치하는 형식의 유압 셔블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 실시 형태에서는, 건설기계로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를 구비한 캡 사양의 유압 셔블(1)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휠식의 하부 주행체를 구비한 유압 셔블 등에 적용해도 된다.
1 : 유압 셔블(건설기계) 2 : 하부 주행체
3 : 상부 선회체 4 : 작업 장치
5 : 선회 프레임 7 : 제어 밸브 장치
9 : 플로어 부재 10 : 운전석 장착부
10B : 운전석 재치판부 10E : 콘솔 장착부
11 : 발판부 12 : 운전석 전판
12A : 좌측 단부(도어 측 단부) 12A1 : 앞모서리부
13 : 하강판 13A : 직선판부
13B : 절곡판부 14 : 디딤판
14A : 확대부 15 : 레버·페달 장착부
15D : 컷아웃부 16 : 운전석
17 : 콘솔 장치 17A : 콘솔
17B : 조작 레버 19 : 예비용 조작 페달
21 : 캡 박스 21F : 도어
22 : 운전실 23 : 승강구
H : 하강판의 높이 치수

Claims (4)

  1.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2)와, 당해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3)와, 당해 상부 선회체(3)에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4)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선회체(3)는, 지지 구조체를 형성하는 선회 프레임(5)과, 당해 선회 프레임(5) 상에 설치되어 후측이 운전석(16)을 장착하는 운전석 장착부(10)가 되고 전측이 오퍼레이터가 발을 얹어놓는 발판부(11)가 된 플로어 부재(9)와, 당해 플로어 부재(9) 상에 운전실(22)을 형성하기 위하여 당해 플로어 부재(9)의 주위와 상방을 덮어 설치된 캡 박스(21)를 구비하고, 당해 캡 박스(21)에는 상기 플로어 부재(9)의 발판부(11)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운전실(22)에 출입하기 위한 도어(21F)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 운전실(22) 안이 되는 상기 플로어 부재(9)의 발판부(11)는, 상기 운전석(16)의 전측에 설치되어 오퍼레이터가 발을 얹어놓는 평탄한 운전석 전판(12)과, 당해 운전석 전판(12)의 도어 측 단부(12A)로부터 내려간 하강판(13)과, 당해 하강판(13)의 하부로부터 상기 캡 박스(21)의 도어(21F)를 향하여 연장되어 오퍼레이터가 상기 운전실(22)에 타고 내릴 때에 발을 올려놓는 평탄한 디딤판(14)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부재(9)의 운전석 장착부(10) 중 도어(21F) 측 부위는, 상기 작업 장치(4)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레버(17B)를 구비한 콘솔 장치(17)를 장착하는 콘솔 장착부(10E)가 되고,
    상기 발판부(11)의 디딤판(14)은, 당해 콘솔 장착부(10E)의 전측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기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부재(9)의 발판부(11)의 전측에는, 조작용의 레버, 페달(18)을 장착하기 위한 레버·페달 장착부(15)를 설치하고,
    당해 레버·페달 장착부(15) 중 도어(21F) 측의 단부에는, 상기 운전석 전판(12)의 도어(21F) 측의 앞모서리부(12A1)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도어(21F)를 향해 비스듬하게 컷아웃한 컷아웃부(15D)를 형성하며,
    상기 하강판(13)의 전측 부위에는, 당해 컷아웃부(15D)의 단부를 따라 비스듬하게 절곡된 절곡판부(13B)를 형성하고,
    상기 디딤판(14)의 전측 부위에는, 상기 컷아웃부(15D)에 대응하여 확대한 확대부(14A)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기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부재(9)의 발판부(11)의 이면 측에는, 상기 운전석 전판(12)과 디딤판(14) 사이에 설치된 상기 하강판(13)의 높이 치수를 이용하여 플로어 이면 수용 공간(24)을 형성하고, 당해 플로어 이면 수용 공간(24)에는, 흡입한 공기를 냉기 또는 난기로 조정하기 위한 공조 장치의 실내기(25)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기계.
KR1020127010411A 2010-03-24 2011-02-15 건설기계 KR101764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67791 2010-03-24
JPJP-P-2010-067791 2010-03-24
PCT/JP2011/053133 WO2011118285A1 (ja) 2010-03-24 2011-02-15 建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180A true KR20130038180A (ko) 2013-04-17
KR101764773B1 KR101764773B1 (ko) 2017-08-03

Family

ID=44672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0411A KR101764773B1 (ko) 2010-03-24 2011-02-15 건설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011232A1 (ko)
EP (1) EP2554753B1 (ko)
JP (1) JP5313398B2 (ko)
KR (1) KR101764773B1 (ko)
CN (1) CN102667012B (ko)
WO (1) WO20111182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6110B2 (ja) * 2010-07-29 2015-04-22 プレス工業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フレーム構造
US10375901B2 (en) 2014-12-09 2019-08-13 Mtd Products Inc Blower/vacuum
JP6450221B2 (ja) * 2015-03-05 2019-01-0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SE539198C2 (en) * 2015-09-09 2017-05-09 BAE Systems Hägglunds AB Vehicle frame for a tracked amphibious vehicle
JP7473305B2 (ja) * 2019-07-10 2024-04-2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キャブおよび作業車両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7525A (ja) * 2001-07-23 2003-01-29 Komatsu Ltd 建設車両の運転室支持装置
US7559601B2 (en) * 2003-03-04 2009-07-14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JP4201186B2 (ja) * 2003-08-27 2008-12-24 キャタピラージャパン株式会社 ホイール式建設機械
JP2005213935A (ja) * 2004-01-30 2005-08-11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及び建設機械の運転室
JP4313220B2 (ja) * 2004-02-12 2009-08-1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4209787B2 (ja) * 2004-02-26 2009-01-1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7347488B2 (en) * 2005-08-31 2008-03-25 Caterpillar Inc. Vehicle cab including centrally-located “A post”
JP4945122B2 (ja) * 2005-12-01 2012-06-0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用キャブ
US7900996B2 (en) * 2007-08-13 2011-03-08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4773B1 (ko) 2017-08-03
CN102667012A (zh) 2012-09-12
JPWO2011118285A1 (ja) 2013-07-04
WO2011118285A1 (ja) 2011-09-29
CN102667012B (zh) 2015-04-01
EP2554753A1 (en) 2013-02-06
EP2554753A4 (en) 2015-07-08
US20130011232A1 (en) 2013-01-10
EP2554753B1 (en) 2016-12-07
JP5313398B2 (ja) 2013-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2789B2 (en) Loader work machine
JP5865384B2 (ja) 小型の建設機械
JP4976594B2 (ja) 建設機械
US8925663B2 (en) Construction machine
KR101844624B1 (ko) 건설 기계
KR20130038180A (ko) 건설기계
KR20130025360A (ko) 건설기계
JP2006233643A (ja) 建設機械
US9327772B2 (en) Cabin device of working machine
US7975793B1 (en) Tilting foot pod for the operator cab of a skid steer vehicle
US20140017053A1 (en) Construction machine
JP2009235799A (ja) 作業機の操縦部構造
JP2007092278A (ja) バックホーの上部構造
US20220379811A1 (en) Stowing device, cab, and working machine
JP5259470B2 (ja) 建設機械
JP4746642B2 (ja) 作業機の操縦部構造
JP4246028B2 (ja) エンジンルームのカバー装置
JP2000291069A (ja) 旋回式建設機械
JP2007092327A (ja) バックホー
JP4381364B2 (ja) バックホー
JP3737998B2 (ja) 旋回作業機
JP4703334B2 (ja) バックホー
JP2009235797A (ja) 作業機の操縦部構造
JP2021169710A (ja) キャブを備えた作業機械
JP2007092326A (ja) バックホ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