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624B1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624B1
KR101844624B1 KR1020137030939A KR20137030939A KR101844624B1 KR 101844624 B1 KR101844624 B1 KR 101844624B1 KR 1020137030939 A KR1020137030939 A KR 1020137030939A KR 20137030939 A KR20137030939 A KR 20137030939A KR 101844624 B1 KR101844624 B1 KR 101844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surface portion
mounting portion
floor member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0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7487A (ko
Inventor
히로시 다베타
쇼고 기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Publication of KR20140057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4Operator's stands or cab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3Arrangements on backhoes for alternate use of different tools
    • E02F3/964Arrangements on backhoes for alternate use of different tools of several tools mounted on one machin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33Improving access, e.g. for maintenance, steps for improving driver's acces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플로어 부재(9)는, 전방측의 레버·페달 설치 부위(10)와, 후방측의 운전석 설치 부위(11)와, 운전석 설치 부위(11)의 하측에서 실내기(24)가 설치되는 실내기 설치면 부위(12)와, 실내기 설치면 부위(12)와 레버·페달 설치 부위(10) 사이에서 도어(22F)측에 설치되고 승강 시에 발을 거는 승강면 부위(15)와, 레버·페달 설치 부위(10)와 실내기 설치면 부위(12)와 승강면 부위(15)에 둘러싸인 발 탑재 부위(16)에 의해 구성한다. 실내기 설치면 부위(12)와 승강면 부위(15)는 레버·페달 설치 부위(10)와 발 탑재 부위(16)보다도 한층 낮은 위치에서, 서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연속 평면을 형성한다.

Description

건설 기계{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플로어 부재 상에 캡 박스를 구비한 건설 기계, 예를 들어 유압 셔블, 유압 크레인 등의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기계의 대표예로서의 유압 셔블은,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 위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상기 상부 선회체의 전방측에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는, 지지 구조체를 형성하는 선회 프레임과, 상기 선회 프레임 위에 설치되고, 운전석이 설치된 플로어 부재와, 상기 플로어 부재의 주위와 상방을 덮어 설치되고 내부에 거주 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좌, 우 방향의 한쪽 외측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를 갖는 캡 박스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유압 셔블에는, 미니 셔블이라고 불리는 소형의 유압 셔블이 있다. 이 소형의 유압 셔블은, 주택지, 골목길 등의 좁은 작업 현장에서도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하부 주행체가 작은 폭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상부 선회체는, 선회 동작했을 때에 협폭한 하부 주행체로부터 크게 밀려나오지 않도록 소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소형의 유압 셔블에서는, 플로어 부재와 캡 박스가 소형화되어 있어, 이 플로어 부재에 탑재되는 기기류, 예를 들어 거주 공간에 조화 공기를 공급하는 공조 유닛의 실내기 등의 설치 스페이스도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소형의 유압 셔블에서는,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발을 탑재하는 플로어 부재의 발 탑재부의 위치에 오목 함몰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 함몰부에 실내기를 수용하고, 그 상측을 폐색판으로 덮는 구성으로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참조).
한편, 플로어 부재의 발 탑재부는, 비교적 작은 바닥 면적밖에 없기 때문에, 실내기를 수용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다른 형식의 소형의 유압 셔블에서는, 운전석을 설치하기 위한 운전석 설치부의 하측에 실내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이 실내기 수용 공간에 실내기를 수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특허문헌 4 참조).
이 경우, 운전석 설치부는, 하측에 실내기 수용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높게 형성되고, 이것에 따라 운전석의 설치 위치도 높아져 버린다.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운전석에 착석했을 때에는 오퍼레이터의 머리와 캡 박스의 천장 사이의 헤드 클리어런스가 작아져, 거북감에 의해 작업 환경이 나빠진다. 이 헤드 클리어런스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캡 박스를 대형화해야 한다.
또한, 다른 종래 기술로서, 실내기의 설치 위치를 낮은 위치로 억제하기 위하여, 운전석 설치부의 하측에 위치하고 플로어 부재에 개구를 형성하고, 이 개구에 하측으로 오목해진 오목 형상의 커버를 설치하고, 상기 오목 형상의 커버 내에 실내기를 수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오목 형상 커버 내에 실내기를 배치함으로써 실내기의 설치 위치를 낮게 억제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5 참조).
국제 공개 WO2004/078562호 국제 공개 WO2005/083186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3033호 공보 국제 공개 WO2009/022510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11942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특허문헌 5에 의한 유압 셔블은, 실내기를 낮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캡 박스 내의 거주 공간을 넓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플로어 부재의 발 탑재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오목 형상 커버를 설치하고, 실내기를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세차 시의 물이나 구두에 부착된 토사가 오목 형상 커버 내에 인입된 경우, 이 물이나 토사는 자연스럽게 배출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오목 형상 커버 내에 물이나 토사가 인입되면, 물이나 토사가 체류, 퇴적되어 실내기나 여기에 접속된 배관, 배선류의 열화가 빨라질 우려가 있다.
한편, 오목 형상 커버 내에 인입된 물이나 토사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저부에 배출용의 구멍을 형성하고, 이 배출용의 구멍을 막는 캡을 개방함으로써, 인입된 물이나 토사를 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캡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운전석 설치부의 하측에 손을 집어 넣어야 되고 작업에 수고를 필요로 한다. 또한, 배출 구멍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나 토사에 의해 선회 프레임 위가 오염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캡 박스 내의 거주 공간을 확대할 수 있음과 함께, 실내기 설치면 부위에 인입된 물이나 토사를 간단한 작업으로 상부 선회체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1)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기계는,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 위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상기 상부 선회체에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선회체는, 지지 구조체를 형성하는 선회 프레임과, 상기 선회 프레임 위에 설치되고 운전석이 설치된 플로어 부재와, 상기 플로어 부재의 주위와 상방을 덮어 설치되고 내부에 거주 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좌, 우 방향의 한쪽 외측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를 갖는 캡 박스와, 상기 플로어 부재에 설치되고 흡입된 공기를 조화 공기로서 상기 거주 공간에 공급하는 공조 유닛의 실내기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상기 플로어 부재는, 전방측에 위치하고 주행용의 레버·페달이 설치되는 레버·페달 설치 부위와, 후방측에 위치하고 좌, 우측의 측면판과 배면판에 둘러싸인 동시에 상, 하 방향의 중간 위치에 수평면으로서 형성된 받침대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대에 상기 운전석이 설치되는 운전석 설치 부위와, 상기 운전석 설치 부위의 받침대 하측의 실내기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실내기가 설치되는 실내기 설치면 부위와, 상기 실내기 설치면 부위와 상기 레버·페달 설치 부위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캡 박스의 도어측에 설치되고 승강 시에 발을 거는 승강면 부위와, 상기 레버·페달 설치 부위와 실내기 설치면 부위와 승강면 부위에 둘러싸여 설치되고 상기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발을 탑재하는 발 탑재 부위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레버·페달 설치 부위와 상기 발 탑재 부위는, 상기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발을 탑재할 수 있는 높이 위치에서 서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연속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실내기 설치면 부위와 상기 승강면 부위는, 상기 레버·페달 설치 부위와 발 탑재 부위의 높이 위치에 비교하여 한층 낮은 위치에서, 서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연속 평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는 데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실내기 설치면 부위는,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발을 탑재할 수 있는 높이 위치에 배치된 발 탑재 부위보다도 한층 낮은 위치에서, 승강면 부위와 서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연속 평면, 즉 동일 평면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실내기는, 발 탑재 부위보다도 한층 낮은 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플로어 부재의 운전석 설치 부위를 낮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형의 캡 박스에서도,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머리와 캡 박스의 천장 사이의 헤드 클리어런스를 크게 할 수 있어, 작업 환경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실내기 설치면 부위를 발 탑재 부위보다도 한층 내린 경우, 이 실내기 설치면 부위에는 물이나 토사가 인입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실내기 설치면 부위는, 승강면 부위와 서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연속 평면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실내기 설치면 부위에 인입된 물이나 토사는 승강면 부위를 통하여 용이하게 소거되거나, 물로 씻어 버릴 수 있다. 이 경우, 물이나 토사는, 승강면 부위로부터 상부 선회체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 결과, 발 탑재 부위보다도 낮은 위치로 내려 실내기 설치면 부위를 설치한 경우에도 물이나 토사는, 승강면 부위를 통하여 간단한 작업으로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기의 주위를 청정하게 할 수 있어, 상기 실내기나 이것에 접속된 배관, 배선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2)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플로어 부재에는, 상기 도어와 반대측의 측면판과 상기 발 탑재 부위 사이에서 상기 실내기 설치면 부위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오목홈 형상의 덕트 설치면 부위를 설치하고, 상기 덕트 설치면 부위는, 상기 실내기 설치면 부위와 서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연속 평면으로서 형성하고, 상기 덕트 설치면 부위에는, 상기 실내기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를 상기 거주 공간의 전방측으로 공급하는 급기 덕트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하는 데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로어 부재에는, 실내기 설치면 부위와 서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연속 평면을 이루는 덕트 설치면 부위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전방으로 연장된 급기 덕트를 공조 유닛의 실내기에 접속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실내기 설치면 부위를 발 탑재 부위보다도 한층 내린 만큼, 급기 덕트의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어, 캡 박스 내의 거주 공간을 넓게 할 수 있다.
(3)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발 탑재 부위는, 상기 실내기 설치면 부위, 상기 승강면 부위 및 상기 덕트 설치면 부위에 둘러싸이고, 상기 레버·페달 설치 부위로부터 후방측을 향하여 사다리꼴 형상으로 연장된 사다리꼴 평면으로서 형성하는 데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실내기 설치면 부위, 승강면 부위 및 덕트 설치면 부위에 둘러싸인 범위를 이용하여, 레버·페달 설치 부위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도록 사다리꼴 평면을 설치할 수 있다. 이 사다리꼴 평면은, 오퍼레이터의 발 탑재 부위로서 전방 확대 평면으로 할 수 있어, 오퍼레이터의 발을 탑재하기 위하여 충분한 넓이를 확보할 수 있다.
(4)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발 탑재 부위에는, 도어측 단부에 하측으로 굴곡된 하강부를 설치하고, 상기 하강부는, 전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후방측을 향하여 상기 캡 박스의 도어와 이격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형성하고, 상기 승강면 부위는, 상기 발 탑재 부위의 하강부와 상기 캡 박스의 도어측의 단부 테두리부 사이에서 삼각 형상을 한 삼각 평면으로서 형성하는 데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승강면 부위는, 전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후방측을 향하여 캡 박스의 도어와 이격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삼각 평면으로서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승강면 부위는, 레버·페달 설치 부위에 배치되는 페달 등을 피하면서, 후방측의 발 탑재 면적을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플로어 부재에 승강할 때에 발이 어긋나도, 발 탑재 면적이 넓은 장소를 이용하여, 발을 승강면 부위에 확실하게 걸 수 있어, 승강 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5)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플로어 부재에는, 운전석 설치 부위의 전방측에서 상기 실내기 수용 공간 내의 상기 실내기를 덮어 가리는 전방 커버를 설치하고, 상기 전방 커버는 상기 발 탑재 부위의 후단부와 접촉하는 구성으로 하는 데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방 커버는 발 탑재 부위의 후단부에 설치함으로써, 실내기 수용 공간 내에 설치한 실내기를 덮어 가릴 수 있다. 한편, 플로어 부재로부터 전방 커버를 분리했을 때에는 실내기의 점검 작업, 수리 작업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유압 셔블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프론트 작업 장치를 생략한 유압 셔블을 전방측으로부터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유압 셔블을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플로어 부재, 운전석, 각종 조작 레버, 페달, 실내기 등을 전방 커버를 설치한 상태에서 확대하여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플로어 부재, 운전석, 각종 조작 레버, 페달, 실내기 등을 전방 커버를 분리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플로어 부재를 전방측으로부터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플로어 부재를 후방측으로부터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은 플로어 부재, 실내기, 급기 덕트 등을 도 4 중의 화살표 VIII-VIII 방향으로부터 본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플로어 부재를 단체로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실내기 설치면 부위와 승강면 부위와 덕트 설치면 부위를 그물코 모양으로 도시하는 도 9와 마찬가지의 위치로부터 본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실내기를 단체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건설 기계로서, 소형의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11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참조 부호 1은 본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건설 기계의 대표예로서의 유압 셔블을 나타내고 있다. 이 유압 셔블(1)은, 좁은 작업 현장에서의 작업에 적합한 미니 셔블이라고 불리는 소형의 유압 셔블이다. 유압 셔블(1)은,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2)와, 상기 하부 주행체(2) 위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3)와, 상기 상부 선회체(3)의 전방측에 설치되고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하는 프론트 작업 장치(4)와, 배토 작업을 행하는 배토 장치(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 선회체(3)는, 하부 주행체(2)의 차폭과 거의 동등한 좌, 우 방향의 폭 치수를 갖고, 또한 상부 선회체(3)가 선회할 때의 선회 반경 내에 수용되도록, 상방으로부터 보아 거의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유압 셔블(1)은, 상부 선회체(3)가 하부 주행체(2) 위에서 선회했을 때에, 후술하는 카운터 웨이트(8)의 후방면이 거의 하부 주행체(2)의 차폭 내에 수용되는 후방 소선회형의 유압 셔블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선회 반경은, 선회 중심부터 카운터 웨이트(8)의 후방면까지의 거리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선회체(3)는,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6)과, 상기 선회 프레임(6) 위에 설치된 후술하는 엔진(7), 플로어 부재(9), 캡 박스(22), 공조 유닛의 실내기(24)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6)의 전방측에는, 프론트 작업 장치(4)가 요동 가능하면서 또한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선회 프레임(6)의 후방측에는 플로어 부재(9)를 구성하는 운전석 설치 부위(11)의 설치판(11E)을 선회 프레임(6)측에 설치하기 위한 지지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6)의 좌측 전방부에는 좌, 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의 지지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상기 각 지지 부재에는, 후술하는 레버·페달 설치 부위(10)의 틸팅 브래킷(10E)이 틸팅(틸트 업, 틸트 다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엔진(7)은 선회 프레임(6)의 후방측에 탑재되고(도 1 중에 점선으로 도시), 상기 엔진(7)은,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엔진(7)은, 유압 펌프(도시하지 않음)를 회전 구동하는 것이다.
카운터 웨이트(8)는 선회 프레임(6)의 후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카운터 웨이트(8)는, 프론트 작업 장치(4)와의 중량 균형을 잡는 것이다. 카운터 웨이트(8)는, 엔진(7)을 후방측으로부터 덮도록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선회 프레임(6) 중, 엔진(7)의 전방측에 설치된 플로어 부재(9)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조 부호 9는 엔진(7)의 전방측에서 선회 프레임(6) 상의 좌측 가까이에 설치된 플로어 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이 플로어 부재(9)는, 전방측 위치가 선회 프레임(6)의 전방측 위치에 틸팅(틸트 업, 틸트 다운)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방측 위치가 선회 프레임(6)의 지지대 위에 설치되고,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어 부재(9)는, 후술하는 레버·페달 설치 부위(10), 운전석 설치 부위(11), 실내기 설치면 부위(12), 실내기 수용 공간(13), 덕트 설치면 부위(14), 승강면 부위(15), 발 탑재 부위(16)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레버·페달 설치 부위(10)는, 플로어 부재(9)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페달 설치 부위(10)는, 후술하는 조작 레버·페달(19) 및 페달(20, 21)이 설치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페달 설치 부위(10)는,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의 평면으로서 설치되고, 그 상면(10A)은 후술하는 발 탑재 부위(16)와 서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연속 평면을 형성하고 있다.
레버·페달 설치 부위(10)는, 후술하는 승강면 부위(15)로부터 상측으로 후술하는 치수 H2만큼 높은 위치가 상면(10A)으로 되어 있다. 이 상면(10A)에는, 좌, 우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고 주행용의 조작 레버·페달(19)을 설치하기 위한 중앙 개구(10B)와, 상기 중앙 개구(10B)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개구(10C)와, 상기 중앙 개구(10B)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개구(10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좌, 우측의 개구(10C, 10D)에는, 프론트 작업 장치(4)를 요동시키거나, 옵션의 유압 기기(도시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페달(20, 21)이 설치되어 있다.
레버·페달 설치 부위(10)의 좌,우 양측에는, 2매를 1조로 하여 틸팅 브래킷(10E)이 설치되어 있다. 이 좌, 우측의 틸팅 브래킷(10E)은, 선회 프레임(6)에 설치된 지지 부재에 연결 핀(도시하지 않음)을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로어 부재(9)는, 전방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후방측을 틸트 업, 틸트 다운할 수 있다.
운전석 설치 부위(11)는 플로어 부재(9)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운전석 설치 부위(11)는, 전방측으로 개구되는 받침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측에 후술하는 운전석(17)이 설치되는 것이다. 운전석 설치 부위(11)는, 좌측에 위치하고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워 설치된 좌측 면판(11A)와, 우측에 위치하고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워 설치된 우측 면판(11B)과, 후방측을 폐색하도록 각 측면판(11A, 11B)의 후방측에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세워 설치된 배면판(11C)과, 상기 각 측면판(11A, 11B)과 배면판(11C)에 둘러싸인 상, 하 방향의 중간 위치에 수평면으로서 형성된 받침대(11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내기 설치면 부위(12)부터 받침대(11D)까지의 높이 치수는 H1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후술하는 운전석(17)에 착석했을 때에, 이 운전석(17)의 시트면부터 발 탑재 부위(16)까지 상, 하 방향 치수가 적합한 높이로 되어 있다. 운전석 설치 부위(11)는, 전체적으로 상방으로 상승된 받침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면판(11C)의 상측에는,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설치판(11E)이 설치되고, 상기 설치판(11E)은, 선회 프레임(6)의 지지대 위에 설치되어 있다.
실내기 설치면 부위(12)는 운전석 설치 부위(11)의 받침대(11D)의 하측에 설치되고, 평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기 설치면 부위(12)는, 후술하는 덕트 설치면 부위(14), 승강면 부위(15)와 연속된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1매의 판체에 의해 또는 복수매의 판체를 접속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실내기 설치면 부위(12)는, 실내기 수용 공간(13) 내의 하측에 위치하고 저면을 형성하고 있다. 즉, 실내기 설치면 부위(12)는, 좌, 우 방향으로 긴 직사각 형상의 평탄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실내기 설치면 부위(12)에는, 복수개의 연통 개구(12A)가 형성되고, 상기 각 연통 개구(12A)는, 후술하는 실내기(24)와 엔진(7)측의 실외기(도시하지 않음)를 접속하는 배관, 배선류를 삽입 관통함으로써, 삽입 관통 상태에서는 기밀하게 밀봉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기 설치면 부위(12)는, 후술하는 발 탑재 부위(16)보다도 한층 내려간 위치, 구체적으로는 레버·페달 설치 부위(10), 발 탑재 부위(16)로부터 상, 하 방향 치수 H2만큼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실내기 설치면 부위(12)는, 발 탑재 부위(16)보다도 상, 하 방향 치수 H2만큼 낮은 위치에 후술하는 실내기(24)를 배치할 수 있다.
실내기 설치면 부위(12)의 좌측 전방측 부위는, 후술하는 승강면 부위(15)의 후방측 부위와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실내기 설치면 부위(12)와 승강면 부위(15)는, 발 탑재 부위(16)보다도 한층 내려간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서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평탄한 연속 평면, 즉 동일 평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실내기 설치면 부위(12)에 세차 시의 물이나 구두에 부착된 토사 등이 인입된 경우에도, 승강면 부위(15)를 통하여 용이하게 소거되거나, 물로 씻어 버릴 수 있다.
실내기 수용 공간(13)은 운전석 설치 부위(11)의 받침대(11D)의 하측에 형성된 공간이며, 상기 실내기 수용 공간(13)은, 운전석 설치 부위(11)의 좌측 면판(11A), 우측 면판(11B), 배면판(11C), 받침대(11D) 및 실내기 설치면 부위(12)에 둘러싸인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공간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실내기 수용 공간(13) 내에는, 후술하는 실내기(24)를 수용할 수 있다. 실내기 수용 공간(13)은, 상기 수용 공간(13)의 저면을 형성하는 실내기 설치면 부위(12)를 레버·페달 설치 부위(10), 발 탑재 부위(16)보다도 한층 낮은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받침대(11D)의 높이 위치를 바꾸지 않고, 실내기 설치면 부위(12)와 받침대(11D) 사이 상, 하 방향의 높이 치수 H1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실내기 수용 공간(13) 내에는, 캡 박스(22)를 높이지 않고, 실내기(24) 및 배관, 배선류를 무리없이 수용할 수 있다.
덕트 설치면 부위(14)는 실내기 설치면 부위(12)의 우측 전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덕트 설치면 부위(14)는, 레버·페달 설치 부위(10), 발 탑재 부위(16)로부터 상, 하 방향 치수 H2만큼 낮게 형성되어 있다. 즉, 덕트 설치면 부위(14)는, 실내기 설치면 부위(12)와 서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연속 평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덕트 설치면 부위(14)는, 실내기 설치면 부위(12)의 전방측 위치로부터 캡 박스(22)의 도어(22F)와 반대측으로 되는 운전석 설치 부위(11)의 우측 면판(11B)과 후술하는 발 탑재 부위(16)의 우측의 하강부(16C) 사이에, 이들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는 오목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덕트 설치면 부위(14)는, 후술하는 거주 공간(23)의 전방측에 조화 공기를 공급하는 전방 급기 덕트(26)의 하측 부분을 수용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덕트 설치면 부위(14)는, 레버·페달 설치 부위(10), 발 탑재 부위(16)보다도 한층 내려간 위치에 배치된 실내기(24)에 대하여 전방 급기 덕트(26)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승강면 부위(15)는 플로어 부재(9)의 좌측 전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승강면 부위(15)는, 실내기 설치면 부위(12)와 레버·페달 설치 부위(10) 사이에 위치하고 캡 박스(22)의 도어(22F)측(좌측)에 설치되고, 승강 시에 발을 거는 스텝을 구성하고 있다. 도 8,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면 부위(15)는, 발 탑재 부위(16)의 좌측의 하강부(16A)와 도어(22F)측의 좌단부 테두리부(15A) 사이에 위치하는 삼각 형상을 한 삼각 평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면 부위(15)는, 레버·페달 설치 부위(10), 발 탑재 부위(16)로부터 상, 하 방향 치수 H2만큼 내려간 위치에, 실내기 설치면 부위(12)와 서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연속 평면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 승강면 부위(15)는, 도어(22F측)의 좌단부 테두리부(15A)가 전, 후 방향으로 거의 똑바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하강부(16A)와의 경계를 이루는 우단부 테두리부(15B)는, 발 탑재 부위(16)의 하강부(16A)를 따르도록, 후방측을 향하여 도어(22F)와 이격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 승강면 부위(15)는, 발 탑재 부위(16)의 하강부(16A)와 캡 박스(22)의 좌단부 테두리부(15A) 사이에서, 후술하는 하강부(16A)의 전단부(16A1)의 위치를 정점으로 하여 후방측을 향하여 광폭으로 되는 삼각 평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삼각 형상으로 함으로써, 승강면 부위(15)는, 후술하는 예비용 조작 페달(20) 등을 피하면서, 후방측의 발 탑재 면적을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플로어 부재(9)에 승강할 때에 발 탑재 면적이 넓은 장소를 이용하여, 발을 승강면 부위(15)에 확실하게 걸 수 있어, 승강 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승강면 부위(15)는, 발 탑재 부위(16)로부터 한층 내린 바닥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하부 주행체(2) 위부터 승강면 부위(15)까지의 높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면 부위(15)는, 캡 박스(22)의 도어(22F)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외부에 달하며, 이 승강면 부위(15)를 개재하여 물, 토사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내기 설치면 부위(12)와 덕트 설치면 부위(14)와 승강면 부위(15)의 범위, 즉 도 10 중에 그물코 모양으로 나타내는 범위는, 모두 레버·페달 설치 부위(10), 발 탑재 부위(16)로부터 높이 치수 H1만큼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실내기 설치면 부위(12)와 덕트 설치면 부위(14)와 승강면 부위(15)는, 서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연속 평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실내기 설치면 부위(12)와 덕트 설치면 부위(14)와 승강면 부위(15)는 동일 평면을 이루고 있다.
발 탑재 부위(16)는 운전석 설치 부위(11)의 전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발 탑재 부위(16)는, 운전석(17)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발을 탑재하는 것이다. 발 탑재 부위(16)는, 레버·페달 설치 부위(10)와 실내기 설치면 부위(12)와 승강면 부위(15)에 둘러싸여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발 탑재 부위(16)는, 실내기 설치면 부위(12), 승강면 부위(15) 및 덕트 설치면 부위(14)에 둘러싸이고, 레버·페달 설치 부위(10)로부터 후방측을 향하여 사다리꼴 형상으로 연장된 사다리꼴 평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발 탑재 부위(16)는, 운전석(17)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발을 탑재할 수 있는 높이 위치에서, 레버·페달 설치 부위(10)와 서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연속 평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발 탑재 부위(16)는, 실내기 설치면 부위(12), 덕트 설치면 부위(14), 승강면 부위(15)보다도 높이 치수 H1만큼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발 탑재 부위(16)의 도어측 단부는, 굴곡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좌측의 하강부(16A)가 되고, 상기 하강부(16A)의 하단부에는, 승강면 부위(15)의 우단부 테두리부(15B)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하강부(16A)는, 그 전단부(16A1)를 기점으로 하여 후방측을 향하여 캡 박스(22)의 도어(22F)와 이격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강부(16A)의 하단부에 접속된 승강면 부위(15)의 우단부 테두리부(15B)는, 후방측을 향하여 좌단부 테두리부(15A)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승강면 부위(15)를 삼각 평면으로서 형성하고 있다. 한편, 발 탑재 부위(16)의 후단부(16B)는, 후술하는 전방 커버(28)의 하단부와 접촉하고, 발 탑재 부위(16)의 도어(22F)와 반대측의 측단부는, 후술하는 전방 급기 덕트(26)와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발 탑재 부위(16)의 우측의 하강부(16C)는, 후단부(16B)를 향하여 우측 면판(11B)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발 탑재 부위(16)는, 전체적으로 후단부(16B)를 향하여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사다리꼴 평면으로 되어 있다. 이 결과, 발 탑재 부위(16)는, 운전석(17)에 착석한 오퍼레이터로부터 보아, 발을 탑재하는 부위로서 전방 확대 평면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발을 각 페달(19, 20, 21)에 건 상태, 뗀 상태, 또한 작업 시 이외에 발을 쉬게 하는 상태에 있어서, 발을 탑재하기에 충분한 넓이를 확보할 수 있다.
운전석(17)은 플로어 부재(9) 위에 설치되고(도 4, 도 5 참조), 상기 운전석(17)은, 운전석 설치 부위(11)를 구성하는 받침대(11D)의 좌, 우 방향의 중앙 위치에 탑재되어 있다. 이 운전석(17)은, 유압 셔블(1)을 조종할 때에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것이다.
좌, 우측의 작업용의 조작 레버(18)는 운전석(17)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각 조작 레버(18)는, 전, 후 방향 또는 좌, 우 방향으로 틸팅시킴으로써, 프론트 작업 장치(4) 등을 조작하는 것이다.
좌, 우측의 주행용의 조작 레버·페달(19)은 운전석(17)의 전방측으로 되는 플로어 부재(9)의 레버·페달 설치 부위(10)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조작 레버·페달(19)은, 유압 셔블(1)을 전진, 후진 조작하는 것이며, 레버·페달 설치 부위(10)의 중앙 개구(10B)에 위치하고 전, 후 방향으로 틸팅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예비용 조작 페달(20)은 조작 레버·페달(19)의 좌측에 위치하고 레버·페달 설치 부위(10)의 좌측 개구(10C)에 설치되어 있다. 이 예비용 조작 페달(20)은, 추가하여 설치되는 유압 기기, 예를 들어 브레이커 등(도시하지 않음)을 구동할 때에 조작하는 것이다. 한편, 스윙용 조작 페달(21)은 조작 레버·페달(19)의 우측에 위치하고 레버·페달 설치 부위(10)의 우측 개구(10D)에 설치되어 있다. 이 스윙용 조작 페달(21)은, 프론트 작업 장치(4)를 좌, 우 방향으로 요동 조작(스윙)하는 것이다.
참조 부호 22는 플로어 부재(9) 위에 설치된 캡 박스이며(도 1 내지 도 3 참조), 상기 캡 박스(22)는, 플로어 부재(9)의 주위와 상방을 덮는 것이다. 캡 박스(22)는, 전방면(22A), 후방면(22B), 좌측면(22C), 우측면(22D) 및 천장면(22E)에 의해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부가 플로어 부재(9)의 주연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캡 박스(22)는, 플로어 부재(9) 위에 오퍼레이터의 거주 스페이스가 되는 거주 공간(23)을 형성하고 있다.
외측면으로 되는 좌측면(22C)에는, 플로어 부재(9)의 발 탑재 부위(16)에 대응하는 전방측 가까이에 위치하고 도어(22F)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도어(22F)를 개방했을 때에는, 승강면 부위(15)에 발을 걸어 거주 공간(23)에 올라탈 수 있고, 또한 하차할 수 있다.
이어서, 플로어 부재(9)에 설치된 공조 유닛의 실내기(24)와 급기 덕트(26, 27)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조 부호 24는 플로어 부재(9)의 실내기 수용 공간(13) 내에 위치하고 실내기 설치면 부위(12) 위에 설치된 공조 유닛의 실내기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내기(24)는, 캡 박스(22) 내의 내기 또는 대기가 되는 외기를 흡입하여, 원하는 온도, 습도로 조정한 조화 공기로서 캡 박스(22) 내의 거주 공간(23)에 공급하는 것이다. 실내기(24)는, 배관, 배선류를 개재하여 엔진(7)측의 실외기와 접속되어 있다.
실내기(24)는,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자형 형상의 케이싱(25) 내에 송풍 팬, 증발기, 히터 코어(모두 도시하지 않음) 등을 수용하고 있다. 케이싱(25)의 상류측으로 되는 좌측은, 내기 또는 외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25A)로 되고, 하류측으로 되는 우측은 조화 공기를 분출하기 위한 분출부(25B)로 되어 있다. 이 분출부(25B)로부터 전방측으로 연장된 선단부에는, 전방측 접속구(25B1)가 형성되고, 후방측에는 후방측 접속구(25B2)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 접속구(25B1)에는 후술하는 전방 급기 덕트(26)가 접속되고, 후방측 접속구(25B2)에는 후술하는 후방 급기 덕트(27)가 접속되어 있다.
전방 급기 덕트(26)는 공조 유닛의 실내기(24)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를 거주 공간(23)의 전방측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이 전방 급기 덕트(26)는, 기단부측이 분출부(25B)의 전방측 접속구(25B1)에 접속되고, 선단측이 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측으로 상승하고 있다. 여기서, 전방 급기 덕트(26)는, 하측 부분이 플로어 부재(9)에 설치한 덕트 설치면 부위(14) 내에 수용되고, 이에 의해, 발 탑재 부위(16)로부터 한층 내려간 위치에 배치된 전방측 접속구(25B1)에 대해서도 접속할 수 있다.
후방 급기 덕트(27)는 실내기(24)로부터의 조화 공기를 거주 공간(23)의 후방측으로 공급하는 것이다(도 8 참조). 이 후방 급기 덕트(27)는, 기단부측이 분출부(25B)의 후방측 접속구(25B2)에 접속되고, 선단측이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방 커버(28)는 운전석 설치 부위(11)의 전방측에 설치되고(도 4 참조), 상기 전방 커버(28)는, 실내기 수용 공간(13) 내의 실내기(24)를 덮어 가리는 것이다. 전방 커버(28)는, 운전석 설치 부위(11)의 받침대(11D)의 전단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고, 그 하단부는, 승강면 부위(15), 발 탑재 부위(16)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방 커버(28)는, 발 탑재 부위(16)로부터 한층 내려간 실내기 설치면 부위(12)와 승강면 부위(15)의 경계 위치도 폐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1)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을 갖는 것으로, 이어서,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오퍼레이터가 거주 공간(23)에 올라타는 경우, 오퍼레이터는, 캡 박스(22)의 도어(22F)를 개방하고, 플로어 부재(9)의 승강면 부위(15)에 발을 건다. 거주 공간(23)에 올라탄 오퍼레이터는, 운전석(17)에 착석하고, 주행용의 조작 레버·페달(19)을 조작함으로써, 하부 주행체(2)를 주행시킨다. 한편, 좌, 우측의 조작 레버(18)를 조작함으로써, 프론트 작업 장치(4) 등을 동작시켜,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유압 셔블(1)의 작업 시에는, 공조 유닛의 실내기(24)를 운전하여, 거주 공간(23)에 조화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거주 공간(23)의 작업 환경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운전석 설치 부위(11)의 하측의 실내기 수용 공간(13) 내에 설치되고 공조 유닛의 실내기(24)가 설치되는 실내기 설치면 부위(12)와, 캡 박스(22)의 도어(22F)측에 설치되고 승강 시에 발을 거는 승강면 부위(15)는, 레버·페달 설치 부위(10), 발 탑재 부위(16)보다도 한층 낮은 위치(상, 하 방향 치수 H2만큼 낮은 위치)에서 서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연속 평면, 즉, 실내기 설치면 부위(12)와 승강면 부위(15)는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실내기 설치면 부위(12)에 인입된 물이나 토사는, 빗자루 등을 사용함으로써 승강면 부위(15)를 통하여 용이하게 소거할 수 있고, 토사 등을 물로 씻어 버릴 수도 있다. 이 경우, 물이나 토사는, 승강면 부위(15)로부터 상부 선회체(3)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 결과, 발 탑재 부위(16)보다도 상, 하 방향 치수 H2만큼 낮은 위치로 내려 실내기 설치면 부위(12)를 설치한 경우에도, 이 실내기 설치면 부위(12)에 인입된 물이나 토사는, 승강면 부위(15)를 통하여 간단한 작업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실내기(24)의 주위를 청정하게 할 수 있어, 상기 실내기(24)나 여기에 접속된 배관, 배선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내기 설치면 부위(12)를 발 탑재 부위(16)보다도 낮은 위치로 내려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기 설치면 부위(12)부터 받침대(11D)까지의 높이 치수를 큰 치수 H1로 하면서, 운전석(17)을 착석한 오퍼레이터에 있어서 적합한 높이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형의 유압 셔블(1)과 같이 캡 박스(22)의 높이 치수를 낮게 억제한 경우에도, 운전석(17)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머리와 캡 박스(22)의 천장면(22E) 사이의 헤드 클리어런스를 크게 할 수 있어, 작업 환경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플로어 부재(9)의 우측 부위에는, 실내기 설치면 부위(12)와 서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연속 평면을 이루는 오목홈 형상의 덕트 설치면 부위(14)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덕트 설치면 부위(14)에 의해 전방 급기 덕트(26)를 실내기(24)의 케이싱(25)을 구성하는 분출부(25B)의 전방측 접속구(25B1)에 접속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방 급기 덕트(26)의 설치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캡 박스(22) 내의 거주 공간(23)을 넓게 할 수 있다.
한편, 실내기 설치면 부위(12), 덕트 설치면 부위(14) 및 승강면 부위(15)에 둘러싸인 범위를 이용하여, 레버·페달 설치 부위(10)로부터 후방측을 향하여 사다리꼴 형상으로 연장된 사다리꼴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발 탑재 부위(16)를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발 탑재 부위(16)에서는, 운전석(17)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발을 탑재할 수 있는 높이 위치에서, 운전 조작할 수 있다. 게다가, 사다리꼴 평면으로서 형성된 발 탑재 부위(16)는, 운전석(17)에 착석한 오퍼레이터로부터 보아, 전방 확대 평면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발을 각 페달(19, 20, 21)에 건 상태, 작업 시 이외에 발을 쉬게 하는 상태에 있어서, 발을 탑재하기에 충분한 넓이를 확보할 수 있다.
승강면 부위(15)는,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여 광폭으로 되는 삼각 평면으로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레버·페달 설치 부위(10)에 배치되는 예비용 조작 페달(20)을 피하면서, 승강면 부위(15)를 전, 후 방향으로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플로어 부재(9)에 승강할 때에, 발 탑재 면적이 넓은 후방측을 이용하여, 승강면 부위(15)에 확실하게 발을 걸 수 있어, 승강 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플로어 부재(9)에는, 운전석 설치 부위(11)의 전방측에 전방 커버(28)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 전방 커버(28)를 플로어 부재(9)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실내기 수용 공간(13) 내에 설치한 실내기(24)를 덮어 가릴 수 있다. 한편, 플로어 부재(9)로부터 전방 커버(28)를 분리했을 때에는 실내기(24)의 점검 작업, 수리 작업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플로어 부재(9)의 승강면 부위(15)를,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여 광폭으로 되는 삼각 형상의 삼각 평면으로서 형성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승강면 부위(15)를, 반원호 형상 평면, 부채 형상 평면 등, 삼각 평면과 유사한 다른 형상을 한 평면으로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는 것이며, 이러한 형상의 평면도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포함되는 것이다.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선회체(3)의 좌측에 플로어 부재(9)와 캡 박스(22)를 배치하고, 이것에 따라 캡 박스(22)의 좌측면(22C)에 승강용의 도어(22F)를 설치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플로어 부재와 캡 박스를 상부 선회체의 우측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도어, 승강면 부위 등은 우측에 배치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건설 기계로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를 구비한 유압 셔블(1)을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휠식의 하부 주행체를 구비한 유압 셔블 등에 적용해도 좋다. 한편, 유압 셔블(1)에 한하지 않고, 유압 크레인 등의 다른 선회식 건설 기계에 적용해도 좋다.
1: 유압 셔블(건설 기계)
2: 하부 주행체
3: 상부 선회체
4: 프론트 작업 장치
6: 선회 프레임
9: 플로어 부재
10: 레버·페달 설치 부위
11: 운전석 설치 부위
11A: 좌측 면판
11B: 우측 면판
11C: 배면판
11D: 받침대
12: 실내기 설치면 부위
13: 실내기 수용 공간
14: 덕트 설치면 부위
15: 승강면 부위
15A: 좌단부 테두리부
15B: 우단부 테두리부
16: 발 탑재 부위
16A, 16C: 하강부
16A1: 전단부
16B: 후단부
17: 운전석
19: 주행용의 조작 레버·페달
22: 캡 박스
22C: 좌측면(외측면)
22E: 천장면
22F: 도어
23: 거주 공간
24: 실내기
26: 전방 급기 덕트
28: 전방 커버
H1: 실내기 설치면 부위부터 받침대까지의 높이 치수
H2: 레버·페달 설치 부위, 발 탑재 부위와 실내기 설치면 부위, 승강면 부위와 상, 하 방향의 치수차

Claims (5)

  1.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 위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상기 상부 선회체에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선회체는, 지지 구조체를 형성하는 선회 프레임과, 상기 선회 프레임 위에 설치되고 운전석이 설치된 플로어 부재와, 상기 플로어 부재의 주위와 상방을 덮어 설치되고 내부에 거주 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좌, 우 방향의 한쪽 외측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를 갖는 캡 박스와, 상기 플로어 부재에 설치되고 흡입한 공기를 조화 공기로서 상기 거주 공간에 공급하는 공조 유닛의 실내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부재는,
    전방측에 위치하고 주행용의 레버·페달이 설치되는 레버·페달 설치 부위와,
    후방측에 위치하고 좌, 우측의 측면판과 배면판에 둘러싸인 동시에 상, 하 방향의 중간 위치에 수평면으로서 형성된 받침대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대에 상기 운전석이 설치되는 운전석 설치 부위와,
    상기 운전석 설치 부위의 받침대 하측의 실내기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실내기가 설치되는 실내기 설치면 부위와,
    상기 실내기 설치면 부위와 상기 레버·페달 설치 부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캡 박스의 도어측에 설치되고 승강 시에 발을 거는 승강면 부위와,
    상기 레버·페달 설치 부위와 실내기 설치면 부위와 승강면 부위에 둘러싸여 설치되고 상기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발을 탑재하는 발 탑재 부위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레버·페달 설치 부위와 상기 발 탑재 부위는, 상기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발을 탑재할 수 있는 높이 위치에서 서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연속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실내기 설치면 부위와 상기 승강면 부위는, 상기 레버·페달 설치 부위와 발 탑재 부위의 높이 위치에 비교하여 한층 낮은 위치에서, 서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연속 평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부재에는, 상기 도어와 반대측의 측면판과 상기 발 탑재 부위 사이에서 상기 실내기 설치면 부위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오목홈 형상의 덕트 설치면 부위를 설치하고,
    상기 덕트 설치면 부위는, 상기 실내기 설치면 부위와 서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연속 평면으로서 형성하고,
    상기 덕트 설치면 부위에는, 상기 실내기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를 상기 거주 공간의 전방측으로 공급하는 급기 덕트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 탑재 부위는, 상기 실내기 설치면 부위, 상기 승강면 부위 및 상기 덕트 설치면 부위에 둘러싸이고, 상기 레버·페달 설치 부위로부터 후방측을 향하여 사다리꼴 형상으로 연장된 사다리꼴 평면으로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 탑재 부위에는, 도어측 단부에 하측으로 굴곡된 하강부를 설치하고,
    상기 하강부는, 전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후방측을 향하여 상기 캡 박스의 도어와 이격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형성하고,
    상기 승강면 부위는, 상기 발 탑재 부위의 하강부와 상기 캡 박스의 도어측의 단부 테두리부 사이에서 삼각 형상을 한 삼각 평면으로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부재에는, 운전석 설치 부위의 전방측에서 상기 실내기 수용 공간 내의 상기 실내기를 덮어 가리는 전방 커버를 설치하고, 상기 전방 커버는 상기 발 탑재 부위의 후단부와 접촉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KR1020137030939A 2011-08-09 2012-06-13 건설 기계 KR1018446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73876 2011-08-09
JP2011173876 2011-08-09
PCT/JP2012/065120 WO2013021725A1 (ja) 2011-08-09 2012-06-13 建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487A KR20140057487A (ko) 2014-05-13
KR101844624B1 true KR101844624B1 (ko) 2018-04-02

Family

ID=47668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939A KR101844624B1 (ko) 2011-08-09 2012-06-13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50801B2 (ko)
EP (1) EP2743408B1 (ko)
JP (1) JP5793193B2 (ko)
KR (1) KR101844624B1 (ko)
CN (1) CN103717807B (ko)
WO (1) WO20130217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9996A (ja) * 2011-12-21 2013-07-04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パイロットバルブ取り付け構造
US10375901B2 (en) 2014-12-09 2019-08-13 Mtd Products Inc Blower/vacuum
JP6511419B2 (ja) * 2016-09-01 2019-05-15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小型油圧ショベル
JP7003107B2 (ja) * 2017-03-02 2022-01-20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US10190286B2 (en) * 2017-03-20 2019-01-29 Deere & Company Debris deflection apparatus for operators station cleanout
CN109235528A (zh) * 2018-11-12 2019-01-18 江苏柳工机械有限公司 装载机驾驶室
JP6952731B2 (ja) * 2019-03-01 2021-10-20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建設機械
CN110950249A (zh) * 2019-12-31 2020-04-03 三一帕尔菲格特种车辆装备有限公司 起重机座椅操作系统及起重机
CN112554252A (zh) * 2021-01-07 2021-03-26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科技分公司 一种地下室工况低矮型装载机
CN113562084A (zh) * 2021-07-28 2021-10-29 江苏徐工工程机械研究院有限公司 驾驶室和工程机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3033A (ja) 2006-07-05 2008-01-24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2010007369A (ja) 2008-06-27 2010-01-14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6236B2 (ja) 2002-01-22 2007-09-12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建設機械における空調装置の配設構造
WO2004078562A1 (ja) 2003-03-04 2004-09-16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建設機械
JP4209787B2 (ja) * 2004-02-26 2009-01-1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CN201033877Y (zh) * 2007-05-29 2008-03-12 徐州徐挖机械制造有限公司 挖掘机驾驶室
US7900996B2 (en) * 2007-08-13 2011-03-08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CN102648319B (zh) * 2009-11-20 2014-10-15 日立建机株式会社 工程机械
US8485589B2 (en) * 2010-03-30 2013-07-16 Kubota Corporation Cabin system
WO2011125415A1 (ja) * 2010-04-06 2011-10-1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CN201762751U (zh) * 2010-08-03 2011-03-16 扬州市扬子钣金制造有限公司 挖掘机驾驶室
US8944493B2 (en) * 2011-09-09 2015-02-03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3033A (ja) 2006-07-05 2008-01-24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2010007369A (ja) 2008-06-27 2010-01-14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70568A1 (en) 2014-03-13
CN103717807B (zh) 2016-01-06
CN103717807A (zh) 2014-04-09
EP2743408A4 (en) 2015-04-08
KR20140057487A (ko) 2014-05-13
EP2743408B1 (en) 2016-08-10
WO2013021725A1 (ja) 2013-02-14
US8950801B2 (en) 2015-02-10
JP5793193B2 (ja) 2015-10-14
JPWO2013021725A1 (ja) 2015-03-05
EP2743408A1 (en)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624B1 (ko) 건설 기계
JP5756861B2 (ja) 建設機械
KR101829796B1 (ko) 건설 기계
CN103764920A (zh) 工程机械
JP4516009B2 (ja) 建設機械
KR20130025360A (ko) 건설기계
KR101764773B1 (ko) 건설기계
JP4555350B2 (ja) 建設機械
JP2007092278A (ja) バックホーの上部構造
JP4468872B2 (ja) 建設機械
JP4550622B2 (ja) 建設機械の排土装置
JP4703334B2 (ja) バックホー
JP2006063686A (ja) 油圧ショベル
JP6618435B2 (ja) 小型油圧ショベル
JP2007092430A (ja) バックホー
JPH09328781A (ja) 建設機械
JP2005307522A (ja) 旋回式建設機械
JP2007092326A (ja) バックホー
JP2001214467A (ja) 旋回式建設機械
JP2007063778A (ja) 建設機械
JPH093972A (ja) 作業機の機体構造
JPH10331198A (ja) 旋回式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