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264B1 -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및 듀얼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및 듀얼 베어링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264B1
KR101951264B1 KR1020130004317A KR20130004317A KR101951264B1 KR 101951264 B1 KR101951264 B1 KR 101951264B1 KR 1020130004317 A KR1020130004317 A KR 1020130004317A KR 20130004317 A KR20130004317 A KR 20130004317A KR 101951264 B1 KR101951264 B1 KR 101951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shoe
spool
brake
shaft
bra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4992A (ko
Inventor
아키라 니이쓰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30084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56Radially engag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01K89/01557Centrifug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01K89/01921Frame disassembly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브레이크 슈(brake shoe)가 요동(搖動)하는 스풀 제동(制動) 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 슈를 용이하게 교환 가능하도록 한다. 스풀 제동 장치(23)는,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12)을 원심력에 의해 제동하는 장치이다. 스풀 제동 장치(23)는, 회전 부재(62)와, 적어도 1개의 브레이크 슈(64)와, 브레이크 드럼(66)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 부재(62)는, 스풀(12)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적어도 1개의 브레이크 슈(64)는, 회전 부재(62)에 요동 가능하면서 착탈(着脫) 가능하게 연결된다. 브레이크 드럼(66)은, 브레이크 슈(64)의 직경 방향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되고, 요동하는 브레이크 슈(64)에 접촉 가능한 주위면을 가진다.

Description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및 듀얼 베어링 릴{DUAL-BEARING REEL SPOOL BRAKE DEVICE AND DUAL-BEARING REEL}
본 발명은, 제동(制動) 장치, 특히,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을 제동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및 듀얼 베어링 릴에 관한 것이다.
캐스팅에 사용되는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캐스팅 시에 스풀의 회전 속도가 낚싯줄 송출 속도보다 빠르게 행해지는 것에 의해 생기는 백래시(backlash)를 방지하기 위해, 제동력을 스풀에 작용하게 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이 종류의 스풀 제동 장치로서, 스풀의 회전에 의해 생기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스풀을 제동하고, 또한 제동력을 릴 본체의 외부로부터 조정 가능한 스풀 제동 장치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스풀 제동 장치에 있어서, 릴 본체에 축 방향으로 복수의 위치에 위치 결정 가능하게 장착된 브레이크 드럼을 가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의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브레이크 드럼의 외주면에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브레이크 슈(brake shoe)를 접촉시키고 있다. 브레이크 드럼의 외주면은, 스풀을 향해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브레이크 드럼은, 이동 기구(機構)에 의해 스풀축 방향의 복수의 위치에 위치 결정 가능하다. 브레이크 슈는, 스풀축과 어긋나는 축 주위로 요동(搖動) 가능하다.
특허 문헌 1의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브레이크 슈는, 스풀축에 고정된 브래킷에 설치되는 핀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브레이크 슈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는 선단에서 테이퍼면에 접촉한다. 이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브레이크 슈를 브레이크 드럼의 외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제동력의 조정 범위를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요동하는 브레이크 슈의 외주측에 브레이크 드럼이 배치된 스풀 제동 장치가 종래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2의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브레이크 드럼은 원통형상이며, 이동 기구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브레이크 슈는, 나사에 의해 회전 부재에 고정된 걸림판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1999-299402호 공보의 도 6 일본공개특허 제2000-245314호 공보
특허 문헌 1의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브레이크 슈는, 스풀축에 고정된 브래킷에 설치되는 핀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브레이크 슈를 교환하기 어렵다.
특허 문헌 2의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요동하는 브레이크 슈는, 회전 부재에 나사고정된 걸림판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브레이크 슈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필요로 하므로, 특허 문헌 1과 마찬가지로 브레이크 슈를 교환하기 어렵다.
브레이크 슈를 교환할 수 없으면, 브레이크 슈의 질량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낚시터에서의 상황에 따른 브레이크 특성을 변경할 수 없다. 또한, 마모에 의한 브레이크 슈의 교환 등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없다.
본 발명의 과제는, 브레이크 슈가 요동하는 스풀 제동 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 슈를 용이하게 교환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 1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을 원심력에 의해 제동하는 장치이다. 스풀 제동 장치는, 회전 부재와, 적어도 1개의 브레이크 슈와, 브레이크 드럼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 부재는, 스풀 중 적어도 낚싯줄 송출 방향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적어도 1개의 브레이크 슈는, 회전 부재에 요동 가능하면서 착탈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걸어맞추어진다. 브레이크 드럼은, 브레이크 슈의 직경 방향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되고, 요동하는 브레이크 슈에 접촉 가능한 주위면을 가진다.
이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스풀이 적어도 낚싯줄 송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 부재가 회전하고, 회전 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브레이크 슈가 원심력에 의해 요동한다. 이로써, 브레이크 슈가 브레이크 드럼에 접촉하여 스풀이 제동된다. 여기서는, 회전 부재에 대하여 요동하는 브레이크 슈는, 회전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걸어맞추어져 있다. 그러므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브레이크 슈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 2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1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 슈는, 제1 단(端)과 제1 단과는 반대측의 제2 단을 가지고, 제1 단과 중심(重心)과의 사이에서 회전 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브레이크 드럼은, 브레이크 슈의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브레이크 슈의 제1 단에 접촉 가능한 외주면을 가진다.
이 경우에는, 브레이크 슈는, 요동 축심(軸芯)이 브레이크 드럼에 접촉하는 제1 단과 중심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브레이크 슈의 제2 단이 브레이크 드럼으로부터 이격(離隔)되어 요동 각도가 커질수록, 중심이 브레이크 드럼으로부터 멀어지므로, 원심력은 커진다. 그러나, 원심력의, 중심과 요동 축심을 연결하는 선과 직교하는 요동 방향의 분력(分力)은, 브레이크 슈의 요동 각도가 커질수록 작아진다. 또한, 브레이크 슈의 요동 각도가 클수록 접촉 위치에서 분력에 의한 모멘트에 발생하는 힘의 방향이 브레이크 드럼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진다. 이 결과, 접촉 위치에서 브레이크 드럼의 중심을 향하는 제동력이 작아진다. 그러므로, 중심의 반경 위치뿐아니라, 브레이크 슈의 경사에 의해 제동력이 크게 변화되므로, 안정된 제동력을 광범위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 3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 드럼은, 브레이크 슈의 제1 단에 상이한 직경으로 접촉 가능한 테이퍼면을 가진다. 스풀 제동 장치는, 브레이크 슈와 브레이크 드럼을 스풀의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고, 또한 위치 결정 가능한 이동 기구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브레이크 슈와 브레이크 드럼의 축 방향의 상대 위치가 변화하면, 브레이크 슈와 브레이크 드럼이 접촉하는 직경 방향의 위치가 변화되므로, 제동력을 조정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 4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회전 부재는, 브레이크 슈가 연결되는 요동축을 가진다. 브레이크 슈는, 요동축에 요동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걸린다. 이 경우에는, 브레이크 슈가 요동축에 탄성적으로 걸리므로, 브레이크 슈의 착탈이 용이하다.
본 발명 5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4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 슈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제이다. 브레이크 슈는, 요동축이 끼워맞추어지는 지지공(支持孔)과, 요동축보다 좁은 폭으로 지지공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측면으로 개구되는 슬릿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브레이크 슈를, 슬릿을 넓혀 요동축과 끼워맞춤으로써, 요동축에 탄성적으로 걸릴 수 있으므로, 탄성적 걸림 구조가 간단하며, 또한 비(比)강도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 6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 슈는, 회전 부재에 연결되는 요동축을 가진다. 요동축은, 회전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걸린다. 이 경우에는, 브레이크 슈에 요동축이 설치되므로, 브레이크 슈의 착탈이 용이하고, 회전 부재의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본 발명 7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6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회전 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제이며, 요동축이 끼워맞추어지는 지지공과, 요동축보다 좁은 폭으로 지지공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측면으로 개구되는 슬릿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브레이크 슈의 요동축을, 슬릿을 넓혀 지지공과 끼워맞춤으로써, 요동축이 지지공에 탄성적으로 걸릴 수 있으므로, 탄성적 걸림 구조가 간단하며, 또한 비(比)강도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 8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5 또는 7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지지공은, 요동축에 간극 끼움(clearance fit) 방식으로 끼워맞추어진다. 이 경우에는, 지지공과 요동축이 간극 끼움 방식으로 끼워맞추어지므로, 브레이크 슈의 원심력에 의한 요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본 발명 9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5 내지 8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요동축은, 슬릿에 걸어맞추어져 브레이크 슈의 요동 범위를 규제하기 위해 요동축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규제 돌기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슬릿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슈의 요동 범위를 간단한 구성으로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 10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4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요동축은, 회전축과 어긋나는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브레이크 슈가 회전축과 어긋나는 축 주위로 요동하므로, 브레이크 슈가 주위 방향으로 차지하는 스페이스가 작아져, 브레이크 슈를 많이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 11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4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요동축은, 회전축과 평행한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브레이크 슈가 회전축과 평행한 축 주위로 요동하므로 브레이크 슈가 회전축 방향으로 차지하는 스페이스가 작아져, 듀얼 베어링 릴의 회전축 방향의 치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 12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4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 슈는, 복수 개 설치된다. 요동축은, 회전 부재의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설치된다. 이 경우에는, 브레이크 슈가 복수 개 설치되므로, 제동력의 조정 범위가 넓어진다.
본 발명 13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1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브레이크 슈는, 적어도 1개의 제1 브레이크 슈와, 제1 브레이크 슈와 질량이 상이한 적어도 1개의 제2 브레이크 슈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제1 브레이크 슈와 제2 브레이크 슈가 질량이 상이하므로, 제동력의 조정 범위가 더욱 넓어진다.
본 발명 14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12 또는 13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브레이크 슈 중 적어도 1개를 브레이크 드럼에 접촉 가능한 작동 상태와, 브레이크 드럼에 접촉 불가능한 비작동 상태로 전환 가능한 전환 기구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브레이크 슈를 작동 상태와 비작동 상태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 드럼에 접촉 가능한 브레이크 슈의 수를 변경할 수 있다. 그러므로, 브레이크 슈의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제동력의 조정 범위가 더욱 넓어진다.
본 발명 15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은, 본 발명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스풀 제동 장치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상기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부재에 대하여 요동하는 브레이크 슈는, 회전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걸어맞추어져 있다. 그러므로, 브레이크 슈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듀얼 베어링 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그 좌측면도이다.
도 3은 그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절단선 IV-IV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절단선 V-V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6은 구동축 주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절단선 VII-VII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스풀 제동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스풀 제동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브레이크 슈가 장착된 회전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절단면 XI-XI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1 브레이크 슈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제1 브레이크 슈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제2 브레이크 슈의 측면도이다.
도 15a는 조작 부재를 최소 제동 위치로 조작했을 때의 브레이크 슈의 자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b는 조작 부재를 중간 위치로 조작했을 때의 브레이크 슈의 자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c는 조작 부재를 최대 제동 위치로 조작했을 때의 브레이크 슈의 자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의 도 11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의 도 10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채용한 듀얼 베어링 릴은,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트 캐스팅용의 소형의 로우 프로필(low profile)형의 릴이다. 듀얼 베어링 릴은,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측방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 핸들(2)과, 핸들(2)의 릴 본체(1) 측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의 스타 드래그(star drag)(3)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
릴 본체(1)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5)과, 프레임(5)의 양쪽에 장착된 제1 측 커버(6a) 및 제2 측 커버(6b)를 가지고 있다. 또한, 릴 본체(1)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을 덮는 전방 커버(7)와, 상부를 덮는 썸 레스트(thumb rest)(8)를 가지고 있다. 또한, 릴 본체(1)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측 커버(6a)에 나사멈춤 고정되는 축지지부(9)를 가지고 있다. 릴 본체(1)의 내부에는 와이어 권취용의 스풀(12)이 회전 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5)은,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제1 측판(5a) 및 제2 측판(5b)과, 이들 제1 측판(5a) 및 제2 측판(5b)을 연결하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 개의 연결부를 가지고 있다. 제1 측판(5a)에는, 스풀(12)이 통과할 수 있는 제1 개구부(5c)(도 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측판(5a)의 전방 하부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제2 개구부(5d)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개구부(5d)는, 후술하는 스풀 제동 장치(23)의 제동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작 부재(60)의 외주부를 제1 측판(5a)의 전방 아래쪽으로 노출시키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제1 측 커버(6a)는, 제1 측판(5a) 및 제2 측판(5b)의 후부에 축 방향 이동 가능하고 또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측 커버(6a)는, 도 8에 나타낸 개폐 기구(14)에 의해 개폐 가능하다.
개폐 기구(14)는, 제1 측 커버(6a)에 기단(基端)이 고정된 개폐축(14a)과, 축지지부(9)에 록 위치와 해제 위치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개폐 조작부(14b)를 가지고 있다. 개폐축(14a)은, 제1 측판(5a) 및 제2 측판(5b)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개폐축(14a)은, 제2 측판(5b)을 관통하여 제2 측 커버(6b)의 내측에 선단이 배치되어 있다. 이 선단부에 도시하지 않은,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압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개폐축(14a)은, 가압 부재에 의해 제1 측 커버(6a)가 열리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개폐 조작부(14b)에는, 제1 측판(5a)에 걸어맞추어지는 복수 개의 돌기부(14c)가 외주부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14c)가 꽂는 구조(bayonet structure)로 제1 측판(5a)에 걸어맞추어진다. 또한, 개폐 조작부(14b)의 외주부에는, 개폐 조작용의 개폐 레버(14d)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 조작부(14b)가 록 위치에 배치되면 돌기부(14c)가 제1 측판(5a)에 걸어맞추어진다. 이로써, 제1 측 커버(6a)가 제1 측판(5a)에 고정된다. 또한, 개폐 조작부(14b)가 해제 위치에 배치되면 제1 측판(5a)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된 개폐축(14a)이 제1 측판(5a)으로부터 진출하여, 제1 측 커버(6a)가 열린다.
제2 측 커버(6b)는, 제2 측판(5b)에 나사고정되어 있다. 제2 측 커버(6b)에는, 제1 보스부(6c)(도 4 참조)와 제2 보스부(6d)(도 5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보스부(6c)는, 핸들(2)이 연결되는 후술하는 구동축(30)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제2 보스부(6d)는, 스풀(12)이 고정되는 스풀축(16)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스풀축(16)은, 스풀의 회전축의 일례이다.
전방 커버(7) 및 썸 레스트(8)는, 프레임(5)에 나사멈춤 고정되어 있다. 축지지부(9)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통형의 부재이다. 축지지부(9)의 내주부에는, 스풀축(16)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1 베어링(24a)을 내부에 수납하는 통형의 베어링 수납부(9a)가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수납부(9a)는, 스풀(12) 측에 배치된 대경(大徑)의 제1 외주면(9b)과 제1 측 커버(6a) 측에 배치된 소경(小徑)의 제2 외주면(9c)을 가지고 있다.
프레임(5) 내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12)과, 스풀(12) 내에 낚싯줄을 균일하게 권취하기 위한 레벨 와인드 기구(15)와, 써밍(thumbing)을 행하는 경우의 엄지가 닿는 클러치 조작 부재(17)가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 부재(17)는, 개폐 레버(14d)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스풀(12)은, 제1 측판(5a)의 제1 개구부(5c)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5)과 제2 측 커버(6b)와의 사이에는, 기어 기구(18)와, 클러치 기구(13)와, 클러치 제어 기구(19)와, 드래그 기구(21)와, 캐스팅 컨트롤 기구(22)가 배치되어 있다. 기어 기구(18)는,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12) 및 레벨 와인드 기구(15)에 전달하기 위한 기구이다. 클러치 제어 기구(19)는,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조작에 따라 클러치 기구(13)를 걸거나 분리하는 것 및 제어를 행하기 위한 기구이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2)는, 스풀(12)의 회전 시의 저항력을 조정하기 위한 제동 기구이다. 또한, 프레임(5)과 제1 측 커버(6a)와의 사이에는, 스풀 제동 장치(23)가 배치되어 있다. 스풀 제동 장치(2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풀 제동 장치이며, 캐스팅 시의 백래시를 억제하기 위한 장치이다.
<스풀 및 스풀축>
스풀(12)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에 낚싯줄이 권취되는 통형의 와이어 권취 보디부(12a)와, 좌우 한쌍의 플랜지부(12b)와, 보스부(12c)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부(12b)는, 와이어 권취 보디부(12a)의 양단에 각각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일체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보스부(12c)는, 스풀축(16)에 압입(壓入) 등의 적절한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스풀(12)은, 스풀축(16)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풀축(16)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측판(5b)을 관통하여 제2 측 커버(6b)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풀축(16)의 일단은, 축지지부(9)의 베어링 수납부(9a)에 제1 베어링(24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스풀축(16)의 타단은, 제2 측 커버(6b)에 설치된 제1 보스부(6d) 내에서 제2 베어링(24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스풀축(16)의 중간부는, 제2 측판(5b)에 설치된 보스부(5e)에 제3 베어링(24c)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로써, 스풀축(16)은 릴 본체(1)에 3개소에서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스풀축(16)의 제2 측판(5b)의 관통 부분에는, 클러치 기구(13)를 구성하는 걸어맞춤핀(20)이 고정되어 있다. 걸어맞춤핀(20)은, 직경을 따라 스풀축(16)을 관통하고 있고, 그 양단이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스풀축(16)의 스풀(12)의 고정 부분의 외주면에는, 제1 톱니(16a)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톱니(16a)는, 스풀(12)을 압입할 때의 방지 부재로서 기능한다. 스풀축(16)의 제1 톱니(16a)의 제1 측 커버(6a) 측에는, 대경의 플랜지부(16b)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16b)는, 스풀 제동 장치(23)의 후술하는 회전 부재(62)를 위치 결정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부(16b)의 제1 측 커버(6a) 측의 스풀축(16)의 외주면에는, 제2 톱니(16c)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톱니(16c)는, 회전 부재(62)를 스풀축(16)에 압입할 때의 방지 부재로서 기능한다.
<기어 기구>
기어 기구(18)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2)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축(30)과, 구동축(30)에 장착된 구동 기어(31)와, 구동 기어(31)에 나사결합되는 피니언 기어(32)(도 5 참조)와, 구동축(30)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기어(33)와, 제1 기어(33)에 서로 맞물리는 제2 기어(34)를 가진다. 제2 기어(34)는, 레벨 와인드 기구(15)를 핸들(2)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구동축(30)은, 원웨이 클러치(one way cluch)(40)에 의해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다. 구동축(30)은, 제4 베어링(35a) 및 제5 베어링(35b)에 의해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4 베어링(35a)은, 제2 측 커버(6b)의 제1 보스부(6c)에 장착되어 있다. 제5 베어링(35b)은, 제2 측판(5b)에 장착되어 있다.
구동축(3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장착부(30a)와, 제1 장착부(30a)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2 장착부(30b)와, 제2 장착부(30b)와는 반대측으로 제1 장착부(30a)와 인접하여 설치되는 대경의 플랜지부(30c)와,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홈부(30d)를 가지고 있다. 또한, 구동축(30)은, 핸들(2)이 장착되는 제3 장착부(30e)와, 제1 기어(33)가 장착되는 제4 장착부(30f)를 더 가지고 있다. 제1 장착부(30a)는, 이 실시예에서는, 제2 장착부(30b)보다 대경이다.
제1 장착부(30a)에는, 드래그 기구(21)의 드래그력을 받는 드래그 받이부재로서의 래칫 휠(ratchet wheel)(36)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래칫 휠(36)은, 구동 기어(31)와 플랜지부(30c)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장착부(30a)는, 래칫 휠(36)을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4개의 모따기부(chamfered portion)(30g)를 외주면에 가진다. 래칫 휠(36)은, 드래그 받이부재로서 기능하고, 또한 클러치 기구(13)를 클러치 오프 상태로부터 클러치 온 상태로 되돌리는 클러치 리턴 기구로서도 기능한다. 제1 장착부(30a)의 4개의 모따기부(30g)는, 주위 방향으로 90° 간격으로 형성되는 평면을 각각 가진다.
모따기부(30g)는, 도 7에 파선으로 나타낸 T 슬롯 공구 T1의 선단면을 사용한 기계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T 슬롯 공구 T1은, 축부보다 대경의 날끝부의 선단면에서 가공을 행하는 공구이다. T 슬롯 공구 T1로 모따기부(30g)를 가공할 때, 모따기부(30g)를 플랜지부(30c)와의 경계부까지 확실하게 가공하므로 플랜지부(30c)에 파고들도록 가공한다. 이로써, 슬롯 공구 T1의 날끝부의 축 방향 길이와 같은 홈 폭의 홈부(30d)가 형성된다. 홈부(30d)는, 선단면에서 제1 장착부(30a)를 가공할 때 T 슬롯 공구 T1의 측면에서 플랜지부(30c)의 측면에 가공된다. 따라서, 홈부(30d)가 형성되지 않는 플랜지부(30c)의 측면에는, 플랜지부(30c)를, 예를 들면, 선반에 의해 기계 가공에 의해 형성할 때의 도트로 나타내는 제1 가공면 C1 및 우측 내림 해칭으로 나타낸 제2 가공면 C2가 남는다. 따라서, 제1 가공면 C1과 제2 가공면 C2의 축 방향의 위치는 같은 위치로 된다.
종래에는, 제1 장착부는, 도 7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엔드밀 T2의 측면을 이용하여 기계 가공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엔드밀 T2의 직경은 크기 때문에, 엔드밀 T2에 의해 기계 가공하면, 제1 가공면 C1은 남김없이 엔드밀 T2의 선단면에 의해 가공되어 버린다. 한편, 제2 가공면 C2는 남아 버리므로, 엔드밀 T2에 의해 가공되는 제1 가공면 C1과 가공되지 않는 제2 가공면 C2와의 축 방향의 위치가 상이한 것으로 된다. 이로써, 래칫 휠(36)이 스타 드래그(3)에 의해 압압되면, 단차(段差)에 의해 래칫 휠(36)이 경사지고 또한 구동 기어(31)가 경사지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홈부(30d)가 형성되도록 제1 가공면 C1을 남김으로써, 래칫 휠(36)이 압압되어도, 래칫 휠(36)이 접촉하는 부분에 단차가 생기지 않게 되어, 래칫 휠이 기울지 않게 된다. 이로써, 래칫 휠(36)을 압압하는 구동 기어(31)가 넘어지지 않게 되어, 구동 기어(31)가 경사지는 것에 의한 맞물림 불량이 쉽게 생기지 않게 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장착부(30b)에는, 구동 기어(3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드래그 기구(21)의 드래그 판(37)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제2 장착부(30b)에는, 스타 드래그(3)의 드래그 너트(3a)(도 4 참조)가 나사결합된다. 제2 장착부(30b)에는,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한 환형(環形)의 두께 감소부(thickness reduced portion)(30h)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장착부(30b)의 두께 감소부(30h)의 안쪽(도 6 좌측)에는, 드래그 판(37)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4개의 모따기부(30i)가 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제3 장착부(30e)는, 제2 장착부(30b)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3 장착부(30e)는, 제2 장착부(30b)보다 소경이다. 제3 장착부(30e)에는, 핸들(2)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핸들(2)을 구동축(30)에 고정하기 위한 너트(53)(도 4 참조)가 나사결합된다. 제4 장착부(30f)는, 제1 장착부(30a)와 플랜지부(30c)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제4 장착부(30f)에는, 제1 기어(33)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동 기어(31)는, 0.3 이하의 모듈을 가지는 마이크로 피치 기어형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약간 경사진 것만으로도, 피니언 기어(32)와의 맞물림이 악화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 기어(31)가 쉽게 경사지지 않기 때문에, 맞물림 불량은 쉽게 생기지 않게 된다.
피니언 기어(32)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축(16)이 중심을 관통하는 통형 부재이다. 피니언 기어(32)는,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단이 제2 측판(5b)에 장착된 제6 베어링(38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제2 측 커버(6b)의 제2 보스부(6d)에 장착된 제7 베어링(38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피니언 기어(32)는,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2)의 일단에는, 걸어맞춤핀(20)이 걸어맞추어지는 맞물림 홈(32a)이 직경 상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2)의 타단측에는, 구동 기어(31)에 맞물림 기어 톱니(32b)가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 홈(32a)과 기어 톱니(32b)와의 사이에는 협착부(narrowed portion)(32c)가 형성되어 있다. 협착부(32c)에는, 클러치 제어 기구(19)를 구성하는 클러치 요크(clutch yoke)(39)가 걸어맞추어져 있다. 클러치 요크(39)는, 클러치 조작 부재(17)가 클러치 온 위치에 있으면 도 5에 나타낸 온 위치에 배치되고, 클러치 조작 부재(17)가 클러치 오프 위치에 있으면, 온 위치로부터 도 5의 우측의 오프 위치로 이동한다. 이로써, 걸어맞춤핀(20)이 맞물림 홈(32a)으로부터 벗어나 클러치 기구(13)가 클러치 오프 상태로 된다. 따라서, 클러치 기구(13)는, 걸어맞춤핀(20)과 피니언 기어(32)에 의해 구성된다.
제2 기어(34)는, 레벨 와인드 기구(15)의 도시하지 않은 나사축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드래그 기구>
드래그 기구(21)는, 클러치 온 상태일 때, 구동 기어(31)를 통하여 스풀(12)의 낚싯줄 송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것이다. 드래그 기구(21)는, 스타 드래그(3)에 의해 드래그력이 조정된다. 드래그 기구(21)는,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40)의 내륜(40a)을 통하여 핸들(2)의 회전 및 스타 드래그(3)의 압압력이 전달되는 것이다. 드래그 기구(21)는, 내륜(40a)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드래그 판(37)과 래칫 휠(36)을 가진다. 드래그 판(37)과 구동 기어(31)와의 사이 및 구동 기어(31)와 래칫 휠(36)과의 사이에는, 드래그 작동 시에 구동 기어(31)가 원활하게 미끄러지도록 하기 위해 펠트(felt)제 또는 그래파이트(graphite)제의 제1 드래그 와셔(41a) 및 제2 드래그 와셔(41b)가 장착되어 있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
캐스팅 컨트롤 기구(22)는, 제1 마찰 플레이트(51a) 및 제2 마찰 플레이트(51b)와 제동 캡(52)을 가지고 있다. 제1 마찰 플레이트(51a) 및 제2 마찰 플레이트(51b)는, 스풀축(16)의 양단을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동 캡(52)은, 제1 마찰 플레이트(51a) 및 제2 마찰 플레이트(51b)에 의한 스풀축(16)의 협지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제1 마찰 플레이트(51a)는, 제동 캡(52)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동 캡(52)은, 제2 보스부(6d)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된다. 제2 마찰 플레이트(51b)는, 축지지부(9) 내에 장착되어 있다.
<스풀 제동 장치>
스풀 제동 장치(23)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부재(62)(도 9 참조)와, 복수 개(예를 들면, 6개)의 브레이크 슈(64)와, 브레이크 드럼(66)과, 이동 기구(68)와, 온 오프 전환 기구(70)(전환 기구의 일례)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 제동 장치(23)는 스풀축(16) 및 축지지부(9)에 장착되어 있다. 복수 개의 브레이크 슈(64)는, 회전 부재(62)에 요동 가능한 동시에 착탈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걸어맞추어져 있다. 브레이크 드럼(66)은, 브레이크 슈(64)의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요동하는 브레이크 슈(64)에 접촉 가능한 외주면(66a)을 가지고 있다. 이동 기구(68)는, 브레이크 슈(64)와 브레이크 드럼(66)을 스풀축(16)의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고, 또한 위치 결정 가능하다.
<회전 부재>
회전 부재(62)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등의 합성 수지제로 이루어진 대략 원형의 부재이다. 회전 부재(62)는, 스풀(12) 중 적어도 낚싯줄 송출 방향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회전 부재(62)는, 스풀(12)의 낚싯줄 송출 방향과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회전 부재(62)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축(16)에 압입 등의 적절한 고정 수단에 의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회전 부재(62)는, 이 실시예에서는, 제2 톱니(16c)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회전 부재(62)는 스풀축(16)의 플랜지부(16b)에 의해 축 방향으로 위치결정되어 있다.
회전 부재(62)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주부가 스풀축(16)에 고정되는 보스부(62a)와, 보스부(62a)의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 두꺼운 환형의 슈 장착부(62b)와, 보스부(62a)와, 슈 장착부(62b)를 접속하는 접속부(62c)를 가지고 있다. 보스부(62a)는, 스풀축(16)이 관통하는 단차가 형성된 관통공(62d)을 가지는 통형의 부분이다. 관통공(62d)은, 스풀축(16)의 플랜지부(16b)에 의해 축 방향으로 위치결정되고, 제2 톱니(16c)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슈 장착부(62b)는, 두꺼운 링 형상의 본체부(63a)와, 본체부(63a)에 설치된 복수 개(예를 들면, 6개)의 슈 지지 오목부(63b)와, 슈 지지 오목부(63b)에 설치된 복수 개(예를 들면,6개)의 요동축(63c)과, 요동축(63c)와 간격을 두고 슈 지지 오목부(63b)에 배치되는 슈 유지부(63d)를 가지고 있다. 슈 지지 오목부(63b)는,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슈 지지 오목부(63b)는, 스풀(12)의 회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슈 지지 오목부(63b)는, 브레이크 슈(64)를 배치 가능한 폭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복수 개의 슈 지지 오목부(63b)의 사이에는, 경량화를 위한 복수 개의 두께 감소부(63e)가 형성되어 있다.
요동축(63c)은, 브레이크 슈(64)가 요동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걸리는 축이다. 요동축(63c)은, 스풀축(16)과 어긋나는 방향을 따라 슈 지지 오목부(63b)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요동축(63c)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레이크 슈(64)의 요동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규제 돌기(63f)가,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규제 돌기(63f)는, 브레이크 슈(64)의 브레이크 드럼(66)을 향하는 방향의 요동을 규제하는 것이다. 규제 돌기(63f)는, 삼각형의 부리 형상으로 돌출하고, 브레이크 슈(64)의 후술하는 슬릿(65d)에 접촉하여 브레이크 슈(64)의 브레이크 드럼(66) 측으로의 요동을 규제한다.
슈 유지부(63d)는 온 오프 전환 기구(70)를 구성하고 있다. 온 오프 전환 기구(70)는, 도 11에 실선으로 나타낸 작동 상태와, 도 11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비작동 상태로 브레이크 슈(64)를 전환하는 기구이다. 작동 상태는, 브레이크 슈(64)가 브레이크 드럼(66)에 접촉 가능한 상태이다. 비작동 상태는, 브레이크 슈(64)가 브레이크 드럼(66)에 접촉 불가능한 상태이다. 슈 유지부(63d)는, 스풀축(16)과 어긋나는 방향을 따라 슈 지지 오목부(63b)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슈 유지부(63d)는,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62c)는, 두꺼운 원판형의 부재이며, 보스부(62a)의 외주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62c)의 외주측의 단면에 슈 장착부(62b)의 본체부(63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브레이크 슈>
브레이크 슈(64)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수지 등의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제의 판형의 부재이다. 브레이크 슈(64)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브레이크 슈(64a)와, 제1 브레이크 슈(64a)보다 경량의 제2 브레이크 슈(64b)를 가지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브레이크 슈(64a)와 제2 브레이크 슈(64b)는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제1 브레이크 슈(64a)와 제2 브레이크 슈(64b)의 배치 및 수는 제동 특성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2 브레이크 슈(64b)는, 질량 조정용의 관통공(64c)을 가지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재질 및 그 외의 외형 형상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브레이크 슈(64a)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제1 브레이크 슈(64a)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65a)과, 제1 단(65a)과는 반대측의 제2 단(65b)을 가지고 있다. 제1 브레이크 슈(64a)는, 제1 단(65a)으로부터 제2 단(65b)을 향해 긴 판형 부재이다. 제1 브레이크 슈(64a)는, 제1 단(65a)과 중심(重心) G와의 사이에서 회전 부재(62)의 요동축(63c)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브레이크 슈(64a)는, 요동축(63c)가 끼워맞추어지는 지지공(65c)과, 요동축(63c)보다 좁은 폭으로 지지공(65c)의 내주면으로부터 제1 브레이크 슈(64a)의 외측면으로 개구되는 슬릿(65d)을 가진다. 지지공(65c)은, 제1 단(65a)과 중심 G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제1 브레이크 슈(64a)는, 제2 단(65b) 측에 배치되고, 슈 유지부(63d)에 탄성적으로 걸리는 유지 돌기(65e)를 더 가지고 있다. 유지 돌기(65e)는, 브레이크 슈(64)가 비작동 상태로 배치되면 슈 유지부(63d)를 3방면으로부터 에워싸도록 원호형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온 오프 전환 기구(70)에 의해, 브레이크 드럼(66)에 접촉 가능한 브레이크 슈(64)의 수를 변경함으로써, 또한 광범위하게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지지공(65c)은, 요동축(63c)에 간극 끼움 방식으로 끼워맞추어진다. 슬릿(65d)은, 갈고리형으로 90°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슬릿(65d)의 개구측의 폭 W1은 요동축(63c)의 외경보다 크다. 한편, 슬릿(65d)의 지지공(65c) 측의 폭 W2는, 요동축(63c)의 외경보다 작다. 또한, 슬릿(65d)의 지지공(65c) 측의 부분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로써, 슬릿(65d)의 연장되는 방향이 제1 브레이크 슈(64a)에 힘이 작용하는 방향(직경 방향 외측)과 상이한 방향으로 되고, 또한 그 부분의 폭 W2가 요동축(63c)의 외형보다 작으므로, 제1 브레이크 슈(64a)를 요동축(63c)에 장착하면, 요동축(63c)으로부터 쉽게 벗어나지 않는다. 제1 브레이크 슈(64a)의 제1 단(65a)에는, 브레이크 드럼(66)에 접촉하는 접촉면(65f)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면(65f)은,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다른 부분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지지공(65c)의 외주측에는, 다른 부분으로부터 양측으로 돌출하는 보스부(65g)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65g)는, 슈 지지 오목부(63b)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돌출되어 있다.
제2 브레이크 슈(64b)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브레이크 슈(64a)의 구성에 더하여 관통공(64c)을 가지고 있다. 관통공(64c)의 내경을 변경함으로써, 질량이 상이한 각종 브레이크 슈를 얻을 수 있다.
브레이크 슈(64)는, 스풀(12)이 회전하면, 중심 G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요동 축심 P를 중심으로 하여 도 11의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한다.
<브레이크 드럼>
브레이크 드럼(66)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레이크 슈(64)의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된, 예를 들면, 아연 합금제의 비교적 경질의 금속제의 통형 부재이다. 브레이크 드럼(66)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지지부(9)의 베어링 수납부(9a)의 제1 외주면(9b)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브레이크 드럼(66)은, 스풀(12)에 가까운 회전 부재(62) 측으로부터 순차로 배치된 테이퍼면(66b)과, 평행면(66c)을 가지는 외주면(66a)을 가지고 있다. 즉, 브레이크 드럼(66)은, 상이한 직경으로 브레이크 슈(64)에 접촉 가능한 외주면(66a)을 가지고 있다. 이 테이퍼면(66b) 및 평행면(66c)에 원심력에 의해 요동하는 브레이크 슈(64)의 제1 단(65a)에 형성된 접촉면(65f)이 접촉한다. 테이퍼면(66b)은, 평행면(66c)으로부터 스풀(12)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면(66b)의 소경측 단부의 직경은, 대경측 단부의 직경의 85% 내지 95%의 범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소경측 단부의 직경은, 14.1mm이며, 평행면(66c)의 직경은, 16.2mm이다. 또한, 테이퍼면(66b)의 축 방향 길이는, 5.5mm이다. 따라서, 테이퍼면(66b)의 평행면(66c)에 대한 경사 각도는 예를 들면, 20.8도이다.
브레이크 드럼(66)은, 제1 측 커버(6a) 측에 이동 기구(68)을 구성하는 제1 기어 부재(73)가 고정되는 장착면(66d)을 가지고 있다. 제1 기어 부재(73)는, 장착면(66d)에, 예를 들면, 압입, 접촉 등의 적절한 고정 수단에 의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동 기구>
이동 기구(68)는, 브레이크 슈(64)와 브레이크 드럼(66)을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 또한 위치 결정 가능한 기구이다. 이동 기구(68)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부재(60)와, 브레이크 캠(71)과, 제1 기어 부재(73)와, 제1 기어 부재(73)와 서로 맞물리는 제2 기어 부재(74)와, 제2 기어 부재(74)에 맞물리고, 조작 부재(60)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3 기어 부재(75)를 가지고 있다.
조작 부재(60)는, 합성 수지제의 원판형의 부재이며, 외주부가 제1 측판(5a)의 제2 개구부(5d)로부터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브레이크 캠(71)은, 반원형의 제1 분할 부재(71a)와 제2 분할 부재(71b)로 2분할된,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수지제의 링 형상의 부재이다. 브레이크 캠(71)은, 베어링 수납부(9a)의 제2 외주면(9c)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분할 부재(71a)와 제2 분할 부재(71b)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의 캠홈(71c)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분할 부재(71a)와 제2 분할 부재(71b)의 브레이크 캠(71)의 내주면에는 위치 결정 돌기(71d)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돌기(71d)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어링 수납부(9a)의 제2 외주면(9c)에 관통하여 형성된 위치 결정공(9d)에 걸어맞추어진다. 제1 기어 부재(73)는, 브레이크 드럼(66) 모두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제1 기어 부재(73)는, 브레이크 드럼(66)이 어느 이동 위치에 있어도 제2 기어 부재(74)에 서로 맞물리도록 두께가 두껍게 되어 있다. 제1 기어 부재(73)의 내주면에는, 캠홈(71c)에 걸어맞추어지는, 예를 들면, 2개의 원기둥형으로 돌출하는 캠 돌기(73a)가 형성되어 있다. 캠홈(71c)에 캠 돌기(73a)가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 제1 기어 부재(73)가 회전함으로써, 브레이크 드럼(66)이 회전하면서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 기어 부재(74)는, 제1 측 커버(6a)의 배면에 나사 삽입 고정되는 제1 나사축(7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3 기어 부재(75)는, 제2 기어 부재(74)보다 직경 방향 외측의 위치에서 제1 측 커버(6a)의 배면에 나사 삽입 고정되는 제2 나사축(77)에 의해, 조작 부재(60)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조작 부재(60)는, 위치결정핀(78a)을 가지는 위치 결정 기구(78)에 의해, 복수 단계(예를 들면, 6단계에서 20단계)의 조작 위치로 위치 결정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10단계의 조작 위치로 위치 결정된다. 위치결정핀(78a)은, 조작 부재(60)의 배면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복수 개(예를 들면, 10개)의 오목부에 걸어맞추어진다.
조작 부재(60)를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회동 조작시키면, 제3 기어 부재(75)가 회동하고, 제2 기어 부재(74)를 통하여 제1 기어 부재(73)가 회동하고, 브레이크 드럼(66)이 회동한다. 그리고, 도 9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조작 개시 위치는 가장 제동력이 약한 상태의 브레이크 드럼(66)의 위치이다. 조작 부재(60)를 회동시키면, 브레이크 캠(71)과의 캠 결합에 의해, 브레이크 드럼(66)이 스풀(1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최대의 조작 위치에서 도 9에 나타낸 스풀(12)에 가장 접근한 최대 제동 위치로 브레이크 드럼(66)이 이동한다. 이로써, 스풀 제동 장치(23)의 제동력을 복수 단계로 조정할 수 있다.
<스풀 제동 장치의 동작>
스풀 제동 장치(23)에서는, 조작 부재(60)가, 조작 개시 위치에 있을 때는, 도 1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제 돌기(63f)에 의해 규제된 위치에서 브레이크 슈(64)의 접촉면(65f)이 테이퍼면(66b)의 소경측에 접촉한다. 이 때, 브레이크 슈(64)의 요동 각도 α가 가장 커진다. 이 때 중심 G는, 스풀 축심 C로부터 멀어지므로, 중심 G에 작용하는 원심력 CF1은 커진다. 그러나, 조작 개시 위치에 있어서 요동 각도 α가 최대로 되므로, 요동 중심 SC와 중심 G를 연결하는 직선과 수직인 방향의 원심력 CF1의 분력 F1은, 미소한 것으로 된다. 그러므로, 브레이크 드럼(66)에 작용하는 제동력은 가장 작다. 조작 부재(60)가 중간 위치에 있을 때는,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 각도 α가 조작 개시 위치보다 작아지므로, 원심력 CF2는 조작 개시 위치의 원심력 CF1보다 작아진다. 그러나, 요동 중심 SC와 중심 G를 연결하는 직선과 수직인 방향의 분력 F2는 조작 개시 위치의 분력 F1보다 크게 된다. 그러므로, 브레이크 슈(64)를 압압하는 제동력은, 조작 개시 위치보다 커진다. 조작 부재(60)가 최대 제동 위치에 있을 때, 도 1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 각도 α가 중간 위치보다 더욱 작아지므로, 원심력 CF3는 중간 위치의 원심력 CF2보다 작아진다. 그러나, 요동 중심 SC와 중심 G를 연결하는 직선과 수직인 방향의 분력 F3는 중간 위치의 분력 F2보다 크게 된다. 그러므로 브레이크 슈(64)를 압압하는 제동력은, 최대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스풀 제동 장치(23)에서는, 조작 부재(60)가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회동 조작되면, 제3 기어 부재(7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기어 부재(74)를 통하여 제1 기어 부재(7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도 9는 최대 제동 위치에 즉 조작 종료 위치에 조작 부재(60)가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로써, 브레이크 드럼(66)이 회동하고, 예를 들면, 스풀(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브레이크 드럼(66)이 이동한다. 최대 제동 위치로 조작되면, 브레이크 슈(64)가 평행면(66c)에 접촉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최대 제동 상태로 된다. 반대로, 조작 부재(60)를 반시계 방향으로 조작하면 제동력이 서서히 약해진다.
조정이 종료하고, 캐스팅을 행하면 스풀(12)이 낚싯줄 송출 방향으로 회전한다. 스풀(12)이 회전하면, 원심력이 브레이크 슈(64)의 중심 G에 작용하고, 브레이크 슈(64)가 스풀(12)과 어긋나는 축 주위로 요동하고, 접촉면(65f)이 브레이크 드럼(66)의 외주면의 조정된 위치에 접촉한다. 그러면, 브레이크 슈(64)와 브레이크 드럼(66)과의 마찰에 의해 스풀(12)이 제동된다. 이 때의 제동력은, 접촉 위치에서의 브레이크 드럼(66)의 직경에 의존한다.
여기서는, 스풀 제동 장치(23)의 제동력이 원심력이 아니고, 브레이크 슈(64)의 경사[브레이크 드럼(66)에 접촉하는 위치]에 의존하여 변화되므로, 광범위하게 제동력을 조정 가능하게 된다. 또한, 브레이크 슈(64)가 스풀축(16)과 어긋나는 축 주위로 요동하므로, 스풀축 방향의 길이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어, 브레이크 슈(64)를 요동시켜도, 릴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슈(64)가 회전 부재(62)에 착탈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걸어맞추어져 있다. 그러므로, 요동하는 브레이크 슈(64)라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복수의 실시예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브레이크 슈(64a)와 제2 브레이크 슈(64b)와의 질량을 관통공의 유무에 따라 변화시켰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형상의 일부를 변화시키거나, 추(weight)를 달거나, 비중을 바꾸는 등의 적절한 질량 변경 수단에 의해 질량을 변화시켜도 된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회전 부재(62)에 요동축(63c)을 설치하였으나,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 제동 장치(123)의 브레이크 슈(164)에 요동축(163c)을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회전 부재(162)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부재(162)에는, 지지공(165c) 및 슬릿(165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요동축을 브레이크 슈 및 회전 부재와 별개로 설치해도 된다. 요동축을 별개로 설치하는 경우, 요동축을 브레이크 슈 또는 회전 부재에 축 방향으로 착탈 가능한 동시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춤 가능한 구성으로 하여 브레이크 슈를 착탈 가능하게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요동축과 브레이크 슈 또는 회전 부재와 요동축을 탄성적으로 걸리지 않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브레이크 슈(64)를 스풀축(16)과 어긋나는 축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하였으나,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축(216)과 평행한 축 주위에 스풀 제동 장치(223)의 브레이크 슈(264)를 배치해도 된다. 요동축(263c)은, 회전 부재(262)에 스풀축(216)과 평행하게 세워 설치되어 있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스풀(12)의 화살표 R로 나타내는 낚싯줄 송출 방향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브레이크 드럼(266)에 접촉하는 제1 단(265a)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7에서는 스풀(12) 측으로부터 본 도 10과는 달리, 제1 측 커버(6a) 측으로부터 회전 부재(262)를 보고 있다. 이 경우에도, 질량이 상이한 브레이크 슈를 배치해도 된다. 또한,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브레이크 슈(64a)와 제2 브레이크 슈(64b)를 교호적으로 배치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모든 브레이크 슈(64)가 제1 브레이크 슈(64a)라도 되고, 모든 브레이크 슈(64)가 제2 브레이크 슈(64b)라도 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가 제1 브레이크 슈(64a) 또는 제2 브레이크 슈(64b)라도 된다. 또한, 브레이크 슈의 수는 6개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1개 있으면 된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회전 부재(62)가 스풀축(16)에 장착되어 있지만, 회전 부재를 스풀(12)에 장착해도 된다. 또한, 스풀축(16)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스풀축 또는 스풀과의 사이에 원웨이 클러치를 배치하고, 낚싯줄 송출 방향만 회전 부재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해도 된다.
(f)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동력의 조정 범위를 넓게 하기 위해 요동하는 브레이크 슈의 직경 방향 내측에 브레이크 드럼을 배치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요동하는 브레이크 슈의 직경 방향 외측에 브레이크 드럼을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동력은, 원심력에 따라 변화한다.
<특징>
상기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표현 가능하다.
(A) 스풀 제동 장치(23)는,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12)을 원심력에 의해 제동하는 장치이다. 스풀 제동 장치(23)는, 회전 부재(62)와, 적어도 1개의 브레이크 슈(64)와, 브레이크 드럼(66)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 부재(62)는, 스풀(12) 중 적어도 낚싯줄 송출 방향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적어도 1개의 브레이크 슈(64)는, 회전 부재(62)에 요동 가능하면서 착탈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걸어맞추어진다. 브레이크 드럼(66)은, 브레이크 슈(64)의 직경 방향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되고, 요동하는 브레이크 슈(64)에 접촉 가능한 주위면을 가진다.
이 스풀 제동 장치(23)에서는, 스풀(12)이 적어도 낚싯줄 송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 부재(62)가 회전하고, 회전 부재(62)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브레이크 슈(64)가 원심력에 의해 요동한다. 이로써, 브레이크 슈(64)가 브레이크 드럼(66)에 접촉하여 스풀(12)이 제동된다. 여기서는, 회전 부재(62)에 대하여 요동하는 브레이크 슈(64)는, 회전 부재(62)에 착탈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걸어맞추어져 있다. 그러므로, 브레이크 슈(64)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B) 스풀 제동 장치(23)에 있어서, 브레이크 슈(64)는, 제1 단(65a)과 제1 단(65a)과는 반대측의 제2 단(65b)을 가지고, 제1 단(65a)과 중심 G와의 사이에서 회전 부재(62)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브레이크 드럼(66)은, 브레이크 슈(64)의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브레이크 슈(64)의 제1 단(65a)에 접촉 가능한 외주면(66a)을 가진다.
이 경우에는, 브레이크 슈(64)는, 요동 축심 SC가 브레이크 드럼(66)에 접촉하는 제1 단(65a)과 중심 G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브레이크 슈(64)의 제2 단(65b)이 브레이크 드럼(66)으로부터 이격되어 요동 각도 α가 커질수록, 중심 G가 브레이크 드럼(66)으로부터 멀어지므로, 원심력은 커진다. 그러나, 원심력의, 중심 G와 요동 축심 SC를 연결하는 선과 직교하는 요동 방향의 분력 F는, 브레이크 슈(64)의 요동 각도 α가 커질수록 작아진다. 또한, 브레이크 슈(64)의 요동 각도 α가 클수록 접촉 위치에서 분력에 의한 모멘트에 발생하는 힘의 방향이 브레이크 드럼(66)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진다. 이 결과, 접촉 위치에서 브레이크 드럼(66)의 중심을 향하는 제동력이 작아진다. 그러므로, 중심 G의 반경 위치뿐아니라, 브레이크 슈(64)의 경사에 의해 제동력이 크게 변화되므로, 안정된 제동력을 광범위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C) 스풀 제동 장치(23)에 있어서, 브레이크 드럼(66)은, 브레이크 슈(64)의 제1 단(65a)에 상이한 직경으로 접촉 가능한 테이퍼면(66b)을 가진다. 스풀 제동 장치(23)는, 브레이크 슈(64)와 브레이크 드럼(66)을 스풀축(16)의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고, 또한 위치 결정 가능한 이동 기구(68)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브레이크 슈(64)와 브레이크 드럼(66)의 축 방향의 상대 위치가 변화하면, 브레이크 슈(64)와 브레이크 드럼(66)이 접촉하는 직경 방향의 위치가 변화되므로, 제동력을 조정 가능하게 된다.
(D) 스풀 제동 장치(23)에 있어서, 회전 부재(62)는, 브레이크 슈(64)가 연결되는 요동축(63c)을 가진다. 브레이크 슈(64)는, 요동축(63c)에 요동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걸린다. 이 경우에는, 브레이크 슈(64)가 요동축(63c)에 탄성적으로 걸리므로, 브레이크 슈(64)의 착탈이 용이하다.
(E) 스풀 제동 장치(23)에 있어서, 브레이크 슈(64)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제이다. 브레이크 슈(64)는, 요동축(63c)이 끼워맞추어지는 지지공(65c)과, 요동축(63c)보다 좁은 폭으로 지지공(65c)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측면으로 개구되는 슬릿(65d)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브레이크 슈(64)를, 슬릿(65d)을 넓혀 요동축(63c)과 끼워맞춤으로써, 요동축(63c)에 탄성적으로 걸 수 있으므로, 탄성적 걸림 구조가 간단하며, 또한 비강도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F) 스풀 제동 장치(123)에 있어서, 브레이크 슈(164)는, 회전 부재(162)에 연결되는 요동축(163c)을 가진다. 요동축(163c)은, 회전 부재(162)에 회동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걸린다. 이 경우에는, 브레이크 슈(164)에 요동축(163c)이 설치되므로, 브레이크 슈(164)의 착탈이 용이하고, 회전 부재(162)의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G) 스풀 제동 장치(123)에 있어서, 회전 부재(162)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제이며, 요동축(163c)이 끼워맞추어지는 지지공(165c)과, 요동축(163c)보다 좁은 폭으로 지지공(165c)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측면으로 개구되는 슬릿(165d)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브레이크 슈(164)의 요동축(163c)을, 슬릿(165d)을 넓혀 지지공(165c)과 끼워맞춤으로써, 요동축(163c)을 지지공(165c)에 탄성적으로 걸 수 있으므로, 탄성적 걸림 구조가 간단하며, 또한 비강도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H) 스풀 제동 장치(23)에 있어서, 지지공(65c)은, 요동축(63c)에 간극 끼움 방식으로 끼워맞추어진다. 이 경우에는, 지지공(65c)과 요동축(63c)이 간극 끼움 방식으로 끼워맞추어지므로, 브레이크 슈(64)의 원심력에 의한 요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I) 스풀 제동 장치(23)에 있어서, 요동축(63c)은, 슬릿(65d)에 걸어맞추어져 브레이크 슈(64)의 요동 범위를 규제하기 위해 요동축(63c)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규제 돌기(63f)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슬릿(65d)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슈(64)의 요동 범위를 간단한 구성으로 규제할 수 있다.
(J) 스풀 제동 장치(23)에 있어서, 요동축(63c)은, 스풀축(16)과 어긋나는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브레이크 슈(64)가 스풀축(16)과 어긋나는 축 주위로 요동하므로, 브레이크 슈(64)가 주위 방향으로 차지하는 스페이스가 작아져, 브레이크 슈(64)를 많이 배치할 수 있다.
(K) 스풀 제동 장치(223)에 있어서, 요동축(263c)은, 스풀축(216)과 평행한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브레이크 슈(264)가 스풀축(216)과 평행한 축 주위로 요동하므로 브레이크 슈(264)가 회전축 방향으로 차지하는 스페이스가 작아져, 듀얼 베어링 릴의 회전축 방향의 치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L) 스풀 제동 장치(23)에 있어서, 브레이크 슈(64)는, 복수 개 설치된다. 요동축(63c)은, 회전 부재(62)의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설치된다. 이 경우에는, 브레이크 슈(64)가 복수 개 설치되므로, 제동력의 조정 범위가 넓어진다.
(M) 스풀 제동 장치(23)에 있어서, 복수 개의 브레이크 슈(64)는, 적어도 1개의 제1 브레이크 슈(64a)와, 제1 브레이크 슈(64a)와 질량이 상이한 적어도 1개의 제2 브레이크 슈(64b)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제1 브레이크 슈(64a)와 제2 브레이크 슈(64b)가 질량이 상이하므로, 제동력의 조정 범위가 더욱 넓어진다.
(N) 스풀 제동 장치(23)는, 복수 개의 브레이크 슈(64) 중 적어도 1개를 브레이크 드럼(66)에 접촉 가능한 작동 상태와, 브레이크 드럼(66)에 접촉 불가능한 비작동 상태로 전환 가능한 온 오프 전환 기구(70)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브레이크 슈(64)를 작동 상태와 비작동 상태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 드럼(66)에 접촉 가능한 브레이크 슈(64)의 수를 변경할 수 있다. 그러므로, 브레이크 슈(64)의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제동력의 조정 범위가 더욱 넓어진다.
(O) 듀얼 베어링 릴은, 스풀 제동 장치(23)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상기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1: 릴 본체
12: 스풀
12a: 와이어 권취 보디부
16, 216: 스풀축
23, 123, 223: 스풀 제동 장치
62, 162, 262: 회전 부재
63c, 163c, 263c: 요동축
63f: 규제 돌기
64, 164, 264: 브레이크 슈
64a: 제1 브레이크 슈
64b: 제2 브레이크 슈
65a, 265a: 제1 단
65b: 제2 단
65c, 165c: 지지공
65d, 165d: 슬릿
66, 266: 브레이크 드럼
66a: 외주면
66b: 테이퍼면
66c: 평행면
68: 이동 기구
70: 온 오프 전환 기구

Claims (15)

  1.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을 원심력에 의해 제동(制動)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로서,
    상기 스풀 중 적어도 낚싯줄 송출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또한 착탈(着脫)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걸어맞추어지는 1개 이상의 브레이크 슈(brake shoe); 및
    상기 브레이크 슈의 직경 방향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되고, 요동하는 상기 브레이크 슈에 접촉 가능한 주위면을 구비하는 브레이크 드럼;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브레이크 슈가 연결되는 1개 이상의 요동축(搖動軸)을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크 슈는, 상기 요동축에 요동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걸리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슈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제이며, 상기 요동축이 끼워맞추어지는 지지공과, 상기 요동축보다 좁은 폭으로 상기 지지공의 내주면(內周面)으로부터 외측면으로 개구되는 슬릿(slit)을 구비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3.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을 원심력에 의해 제동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로서,
    상기 스풀 중 적어도 낚싯줄 송출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또한 착탈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걸어맞추어지는 1개 이상의 브레이크 슈; 및
    상기 브레이크 슈의 직경 방향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되고, 요동하는 상기 브레이크 슈에 접촉 가능한 주위면을 구비하는 브레이크 드럼;
    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슈는, 상기 회전 부재에 연결되는 요동축을 구비하고, 상기 요동축은, 상기 회전 부재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걸리고,
    상기 회전 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제이며, 상기 요동축이 끼워맞추어지는 지지공; 및
    상기 요동축보다 좁은 폭으로 상기 지지공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측면으로 개구되는 슬릿을 구비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슈는, 제1 단과 상기 제1 단과는 반대측의 제2 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단과 중심(重心) 사이에서 상기 회전 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브레이크 드럼은, 상기 브레이크 슈의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브레이크 슈의 상기 제1 단에 접촉 가능한 외주면(外周面)을 구비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공은, 상기 요동축에 간극 끼움(clearance fit) 방식으로 끼워맞추어지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축은, 상기 슬릿에 걸어맞추어져 상기 브레이크 슈의 요동 범위를 규제하기 위해 상기 요동축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규제 돌기를 구비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드럼은, 상기 브레이크 슈의 제1 단에 상이한 직경으로 접촉 가능한 테이퍼면을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크 슈와 상기 브레이크 드럼을 상기 스풀의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상대(相對) 이동 가능하면서 또한 위치 결정 가능한 이동 기구(機構)를 더 구비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축은, 상기 회전축과 어긋나는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축은,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슈는, 복수 설치되고,
    상기 요동축은, 상기 회전 부재의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브레이크 슈는,
    1개 이상의 제1 브레이크 슈; 및
    상기 제1 브레이크 슈와 질량이 상이한 1개 이상의 제2 브레이크 슈;를 구비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브레이크 슈 중 하나 이상을 상기 브레이크 드럼에 접촉 가능한 작동 상태와, 상기 브레이크 드럼에 접촉 불가능한 비작동 상태로 전환 가능한 전환 기구를 더 구비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를 포함하는 듀얼 베어링 릴.
  14. 삭제
  15. 삭제
KR1020130004317A 2012-01-18 2013-01-15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및 듀얼 베어링 릴 KR101951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07762 2012-01-18
JP2012007762A JP5926564B2 (ja) 2012-01-18 2012-01-18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992A KR20130084992A (ko) 2013-07-26
KR101951264B1 true KR101951264B1 (ko) 2019-02-22

Family

ID=48779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317A KR101951264B1 (ko) 2012-01-18 2013-01-15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및 듀얼 베어링 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85492B2 (ko)
JP (1) JP5926564B2 (ko)
KR (1) KR101951264B1 (ko)
CN (1) CN103210891B (ko)
MY (1) MY170200A (ko)
TW (1) TWI5567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7550B2 (ja) * 2013-03-15 2017-08-0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JP6284306B2 (ja) * 2013-05-10 2018-02-2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6295033B2 (ja) * 2013-06-25 2018-03-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KR101510729B1 (ko) * 2013-07-09 2015-04-10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정밀 원심 제동시스템을 구비한 낚시릴
KR101607563B1 (ko) * 2014-01-28 2016-03-30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드래그 어셈블리를 구비한 낚시릴
JP6389689B2 (ja) * 2014-08-07 2018-09-1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488098B2 (ja) * 2014-10-10 2019-03-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530615B2 (ja) * 2015-02-26 2019-06-1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514021B2 (ja) * 2015-04-27 2019-05-1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SE539284C2 (en) * 2016-02-16 2017-06-13 Brillianze Sweden Ab Rotational friction brake regulated by angular acceleration
JP6846156B2 (ja) * 2016-10-19 2021-03-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829654B2 (ja) * 2017-06-05 2021-02-10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
JP7094169B2 (ja) * 2018-07-13 2022-07-0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KR102431757B1 (ko) * 2020-04-21 2022-08-16 주식회사 바낙스 튜닝형 브레이크를 구비한 낚시용 릴
US11864543B2 (en) * 2021-01-25 2024-01-09 Cary Hogan JONES Fly fishing reel with brake assembly and methods
US11974558B2 (en) * 2021-12-21 2024-05-07 Accurate Grinding and Mfg. Corp. Star drag fishing reel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7676A (en) * 1955-12-15 1961-01-10 Klingberg Anders Ingemar Braking device for fishing reels
SE432512B (sv) * 1980-03-18 1984-04-09 Abu Ab Centrifugalbromsanordning vid fiskerulle
US4601438A (en) * 1985-04-29 1986-07-22 Charles C. Worth Corporation Bait casting reel with braking device
JP2929517B2 (ja) * 1994-04-01 1999-08-0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バックラッシュ防止装置
JP3159625B2 (ja) * 1995-05-24 2001-04-2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制動装置
JPH10304799A (ja) * 1997-03-06 1998-11-17 Ryobi Ltd 両軸受け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US5996921A (en) * 1997-03-06 1999-12-07 Ryobi Limited Centrifugal braking apparatus for baitcasting reel
JPH11299402A (ja) * 1998-04-21 1999-11-02 Ryobi Ltd 両軸受け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JP2000245314A (ja) * 1999-02-25 2000-09-12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JP2000316438A (ja) * 1999-05-13 2000-11-21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2000354442A (ja) * 1999-06-16 2000-12-26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JP2001069888A (ja) * 1999-06-30 2001-03-21 Ryobi Ltd 両軸受けリールの制動装置
JP3535781B2 (ja) * 1999-10-28 2004-06-0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
US6959886B1 (en) * 2004-11-16 2005-11-01 Yeon Seok Rho Bait casting reel
KR100702066B1 (ko) * 2005-04-28 2007-03-30 연 석 노 베이트 캐스트 릴
KR101063439B1 (ko) * 2008-07-03 2011-09-08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캐스트 릴의 원심 브레이크장치
JP5350881B2 (ja) * 2009-05-15 2013-11-2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5718119B2 (ja) * 2011-03-29 2015-05-13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10891A (zh) 2013-07-24
TW201343069A (zh) 2013-11-01
MY170200A (en) 2019-07-09
US20130181081A1 (en) 2013-07-18
KR20130084992A (ko) 2013-07-26
CN103210891B (zh) 2016-08-03
US8985492B2 (en) 2015-03-24
TWI556728B (zh) 2016-11-11
JP5926564B2 (ja) 2016-05-25
JP2013146201A (ja) 201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1264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및 듀얼 베어링 릴
KR101884773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원심 제동 장치
JP2013146201A5 (ko)
JP6177550B2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JP6376740B2 (ja) 両軸受リール
KR20150077323A (ko) 양 베어링 릴의 피니언 기어 및 양 베어링 릴
EP2749165B1 (en) Dual-bearing reel
JP2014155470A5 (ko)
EP2189059B1 (en) Drag Adjusting Device for Dual -Bearing Reel
JP2014155470A (ja) 両軸受リールのピニオンギア及びそれを備えた両軸受リール
JP2014176360A5 (ko)
JP2015126703A5 (ko)
JP2015065961A5 (ko)
JP6227353B2 (ja) 釣り用リールのローラクラッチ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JP5871493B2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2013000086A5 (ko)
JP6209310B2 (ja) 両軸受リール及びその駆動軸
JP2013146202A5 (ko)
KR100671948B1 (ko)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
US7086621B1 (en) Fishing reel
JP6267874B2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3747431B2 (ja)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JP2001299166A (ja)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戻し装置
JP2005261207A (ja) 片軸受リールの左右巻方向切換機構
JP2004057141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