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772B1 - 보닛 및 보닛을 구비하는 트랙터 - Google Patents
보닛 및 보닛을 구비하는 트랙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3772B1 KR101943772B1 KR1020177002194A KR20177002194A KR101943772B1 KR 101943772 B1 KR101943772 B1 KR 101943772B1 KR 1020177002194 A KR1020177002194 A KR 1020177002194A KR 20177002194 A KR20177002194 A KR 20177002194A KR 101943772 B1 KR101943772 B1 KR 1019437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nnet
- upper cover
- center
- tractor
- rear e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1—Steering by means of optical assistance, e.g. television camera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2—Ridge-marking or like devices; Checkrow wires; Accessorie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B60J10/86—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arranged on the opening pan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52—Radiator or grille guards ; Radiator gril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B62D49/06—Tractors adapted for multi-purpose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프론트 그릴(23), 라이트 유니트(24·25) 및 상부 커버(21)를 갖는 트랙터(1)의 보닛(2)에 있어서, 센터 필러(51)를 구비하고, 상기 프론트 그릴(23)은 상기 센터 필러(51)에 장착되고, 상기 라이트 유니트(24·25)는 상기 프론트 그릴(23)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 커버(21)는 상기 센터 필러(51)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52)과 하부 커버(22)를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52)은 상기 센터 필러(51)에 장착되고, 상기 하부 커버(22)는 적어도 상기 상부 커버(21)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52)에 장착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닛 및 보닛을 구비하는 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농지에서 사용되는 트랙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이와 같은 트랙터는 앞 부분에 보닛이 마련되고, 그 보닛에 엔진이 수납된다. 보닛은 프론트 그릴을 갖고 있다.
그런데, 프론트 그릴의 근방에는 라이트 유니트가 배치된다. 또한, 라이트 유니트의 근방에는 상부 커버나 하부 커버가 배치된다. 이 때문에, 보닛은 이들 구성 부품의 장착 위치의 어긋남에 의해 전체적으로 조립 정밀도가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구성 부품의 장착 위치가 쉽게 어긋나지 않아 조립 정밀도를 향상시킨 보닛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뛰어난 조작감을 실현하기 위해, 더욱 강성을 높인 보닛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트랙터는 진흙땅이나 경사지를 주행할 때, 주행 방향이 어긋나기 쉽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어긋난 주행 방향을 수정하면서 목적지까지 조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목표 루트가 이랑을 따라 있는 경우 등에서는, 주행 방향이 조금 어긋나는 것에 의해서도 농작물을 밟아 버리게 되는 일이 있다. 따라서, 주행 방향을 정하기 쉽고 적절하게 주행 방향의 어긋남을 수정할 수 있는 트랙터가 요구되고 있다. 나아가서는, 쉽게 조종할 수 있는 트랙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구성 부품의 장착 위치가 쉽게 어긋나지 않아 조립 정밀도가 향상된 보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뛰어난 조작감을 실현하기 위해, 더욱 강성을 높인 보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주행 방향을 정하기 쉽고 적절하게 주행 방향의 어긋남을 수정할 수 있는 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서는, 쉽게 조종할 수 있는 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프론트 그릴, 라이트 유니트 및 상부 커버를 갖는 트랙터의 보닛에 있어서, 센터 필러(center pillar)를 구비하고, 상기 프론트 그릴은 상기 센터 필러에 장착되고, 상기 라이트 유니트는 상기 프론트 그릴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센터 필러에 의해 지지된다.
발명의 제2 형태는, 제1 형태에 따른 보닛에 있어서, 사이드 프레임 및 하부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센터 필러에 장착되고, 상기 하부 커버는 적어도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제3 형태는, 제1 또는 제2 형태에 따른 보닛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의 중간부 이면에 고정되는 중간 부재, 상기 상부 커버의 후단부 이면에 고정되는 후단 부재, 센터 빔 및 보닛 힌지를 구비하고, 상기 센터 빔은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후단 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보닛 힌지는 상기 후단 부재와 상기 센터 빔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제4 형태는, 제3 형태에 따른 보닛에 있어서, 웨더 스트립(weather strip)을 구비하고, 상기 웨더 스트립은 상기 후단 부재에 부착되고, 그 후단 부재의 근방에 배치되는 에어컷 플레이트(aircut plate)에 접한다.
본 발명의 제5 형태는, 제3 형태에 따른 보닛에 있어서, 웨더 스트립 및 상기 상부 커버의 후단부 이면에 고정되는 서포트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웨더 스트립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부착되고, 그 서포트 플레이트의 근방에 배치되는 에어컷 플레이트에 접한다.
본 발명의 제6 형태는, 제1 또는 제2 형태에 따른 보닛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는 센터 마크를 구비하고, 상기 센터 마크는 목표 루트를 보는 오퍼레이터의 시선을 따라 배치되고, 그 능선은 위쪽으로 볼록한 호를 그린다.
본 발명의 제7 형태는, 제6 형태에 따른 보닛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를 덮는 디자인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센터 마크는 상기 디자인 패널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8 형태는, 제1 내지 제7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따른 보닛을 구비하는 트랙터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닛은 프론트 그릴, 라이트 유니트 및 상부 커버를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닛은, 센터 필러를 구비한다. 프론트 그릴은 센터 필러에 장착되고, 라이트 유니트는 프론트 그릴에 장착되고, 상부 커버는 센터 필러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따라, 본 형태에 따른 보닛은 센터 필러에 대해 프론트 그릴의 장착 위치가 쉽게 어긋나지 않아 조립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센터 필러에 대해 라이트 유니트의 장착 위치가 쉽게 어긋나지 않아 조립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센터 필러에 대해 상부 커버의 장착 위치가 쉽게 어긋나지 않아 조립 정밀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닛은 사이드 프레임과 하부 커버를 구비한다. 사이드 프레임은 센터 필러에 장착되고, 하부 커버는 적어도 상부 커버와 사이드 프레임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본 형태에 따른 보닛은 센터 필러에 대해 하부 커버의 장착 위치가 쉽게 어긋나지 않아 조립 정밀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닛은 상부 커버의 중간부 이면에 고정되는 중간 부재, 상부 커버의 후단부 이면에 고정되는 후단 부재, 센터 빔 및 보닛 힌지를 구비한다. 센터 빔은 중간 부재와 후단 부재를 연결하고, 보닛 힌지는 후단 부재와 센터 빔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본 형태에 따른 보닛은 상부 커버의 강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모멘트에 의한 응력이 후단 부재의 근방에 집중되지 않고 중간 부재의 근방에 분산되므로, 보닛에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닛은, 웨더 스트립을 구비한다. 웨더 스트립은 후단 부재에 부착되고, 그 후단 부재의 근방에 배치되는 에어컷 플레이트에 접한다. 이에 따라, 이와 같은 보닛은 웨더 스트립의 부착 위치가 명확하고, 웨더 스트립의 부착 작업이 쉬워진다. 또한, 오퍼레이터가 상부 커버의 내측을 들여다 보아도 웨더 스트립에 의해 차폐되어 있으므로, 엔진 등이 보이지 않아 보닛의 뛰어난 외관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닛은, 웨더 스트립 및 상부 커버의 후단부 이면에 고정되는 서포트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웨더 스트립은 서포트 플레이트에 부착되고, 그 서포트 플레이트의 근방에 배치되는 에어컷 플레이트에 접한다. 이에 따라, 본 형태에 따른 보닛은 웨더 스트립의 부착 위치가 명확하고, 웨더 스트립의 부착 작업이 쉬워진다. 또한, 오퍼레이터가 상부 커버의 내측을 들여다 보아도 웨더 스트립에 의해 차폐되어 있으므로, 엔진 등이 보이지 않아 보닛의 뛰어난 외관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닛은, 상부 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는 센터 마크를 구비한다. 센터 마크는 목표 루트를 보는 오퍼레이터의 시선을 따라 배치되고, 그 능선은 위쪽으로 볼록한 호를 그린다. 이에 따라, 본 형태에 따른 보닛을 구비한 트랙터는 오퍼레이터의 신장에 관계없이 센터 마크의 연장선상에 목표 루트를 파악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7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닛은, 상부 커버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개구부를 덮는 디자인 패널을 구비한다. 센터 마크는 디자인 패널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본 형태에 따른 보닛을 구비한 트랙터는 센터 마크가 손잡이가 되므로, 디자인 패널의 탈착 작업이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8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보닛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본 트랙터는 종래의 트랙터보다 전술한 점에서 우위가 된다.
도 1은 트랙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X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화살표 Y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화살표 Z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는 보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화살표 X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화살표 Y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화살표 Z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9는 센터 마크와 디자인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화살표 X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화살표 Y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의 화살표 Z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3은 오퍼레이터의 시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오퍼레이터의 시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디자인 패널의 탈착 작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보닛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보닛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보닛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보닛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보닛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보닛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보닛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보닛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보닛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보닛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보닛이 완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도 26의 화살표 M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8은 도 26의 화살표 N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9는 도 28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보닛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보닛을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도 31에서의 영역 P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3은 닫은 상태의 보닛을 캐빈으로부터 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2개의 하부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하부 커버를 장착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하부 커버를 장착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각 보닛이 완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X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화살표 Y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화살표 Z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는 보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화살표 X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화살표 Y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화살표 Z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9는 센터 마크와 디자인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화살표 X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화살표 Y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의 화살표 Z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3은 오퍼레이터의 시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오퍼레이터의 시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디자인 패널의 탈착 작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보닛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보닛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보닛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보닛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보닛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보닛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보닛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보닛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보닛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보닛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보닛이 완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도 26의 화살표 M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8은 도 26의 화살표 N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9는 도 28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보닛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보닛을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도 31에서의 영역 P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3은 닫은 상태의 보닛을 캐빈으로부터 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2개의 하부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하부 커버를 장착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하부 커버를 장착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각 보닛이 완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모든 농업 기계 차량이나 건설 기계 차량에도 적용할 수 있다.
우선, 트랙터(1)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도 1은 트랙터(1)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X로부터 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화살표 Y로부터 본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화살표 Z로부터 본 도면이다. 한편, 도면에는 트랙터(1)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나타낸다.
트랙터(1)는 주로 섀시 프레임(11), 엔진(12), 트랜스미션(13), 전륜축(14) 및 후륜축(15)으로 구성된다. 또한, 트랙터(1)에는 오퍼레이터를 비바람으로부터 지키는 캐빈(16) 외에, 엔진(12)을 비바람으로부터 지키는 보닛(2)이 마련된다.
섀시 프레임(11)은 트랙터(1)의 골격을 이룬다. 이하에 설명하는 엔진(12) 등은 섀시 프레임(11)에 장착된다.
엔진(12)은 연료를 연소시켜 얻은 열 에너지를 운동 에너지로 변환한다. 즉, 엔진(12)은 연료를 태움으로써 회전 동력을 만들어낸다. 한편, 엔진(12)에는 제어 장치가 접속된다. 제어 장치는 오퍼레이터가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 엔진(12)의 운전 상태를 변경한다. 또한, 엔진(12)에는 배기 정화 장치(12E)가 구비된다. 배기 정화 장치(12E)는 배기에 포함되는 입자(PM; Paticle Matter)나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를 산화시킨다.
트랜스미션(13)은 엔진(12)의 회전 동력을 전륜축(14)이나 후륜축(15)에 전달한다. 트랜스미션(13)에는 연결 기구를 통해 엔진(12)의 회전 동력이 입력된다. 한편, 트랜스미션(13)에는 무단 변속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무단 변속 장치는 오퍼레이터가 시프트 레버를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 트랜스미션(13)의 작동 상태를 변경한다.
전륜축(14)은 엔진(12)의 회전 동력을 전방 타이어(141)에 전달한다. 전륜축(14)에는 트랜스미션(13)을 통해 엔진(12)의 회전 동력이 입력된다. 한편, 전륜축(14)에는 조타 장치가 나란히 마련되어 있다. 조타 장치는 오퍼레이터가 핸들을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 전방 타이어(141)의 타각을 변경한다.
후륜축(15)은 엔진(12)의 회전 동력을 후방 타이어(151)에 전달한다. 후륜축(15)에는 트랜스미션(13)을 통해 엔진(12)의 회전 동력이 입력된다. 한편, 후륜축(15)에는 PTO 출력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PTO 출력 장치는 오퍼레이터가 스위치를 조작하면, 견인하는 작업 기계에 회전 동력을 입력한다.
다음으로, 보닛(2)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보닛(2)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도 5의 화살표 X로부터 본 도면이고, 도 7은 도 5의 화살표 Y로부터 본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도 5의 화살표 Z로부터 본 도면이다. 한편, 도면에는 트랙터(1)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나타낸다.
보닛(2)은 상부 커버(21)와, 한 쌍의 하부 커버(22)를 갖고 있다. 또한, 보닛(2)은 그 전면에 프론트 그릴(23)을 갖고 있다.
상부 커버(21)는 엔진(12)의 상방을 덮는 외장 부품이다. 상부 커버(21)는 그 전방 끝점(Ua)으로부터 위쪽으로 상승하고, 중앙점(Ub)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꺾어진다. 그리고, 개구부(21h)보다 후방에서는, 후방 끝점(Uc)에 걸쳐 매끄러운 곡선을 그린다. 또한, 상부 커버(21)는 그 전방 끝점(Ua)으로부터 측방으로 퍼져, 측방 끝점(Uw) 부분을 최대폭으로 하는 매끄러운 곡선을 그린다. 한편, 상부 커버(21)에는 전방 끝점(Ua)으로부터 중앙점(Ub)까지 캐릭터 라인(C1)이 형성되고, 중앙점(Ub)으로부터 측방으로 퍼지도록 캐릭터 라인(C2)이 형성된다. 개구부(21h)는 2개의 캐릭터 라인(C2) 사이에 대략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개구부(21h)는 디자인 패널(41)에 의해 막혀 있다.
하부 커버(22)는 엔진(12)의 측방을 덮는 외장 부품이다. 하부 커버(22)는 그 전방 끝점(La)으로부터 측방으로 퍼져, 측방 끝점(Lw) 부분을 최대폭으로 하는 매끄러운 곡선을 그린다. 또한, 하부 커버(22)의 상반 부분은 바깥쪽으로 볼록한 곡면을 기조로 하는데 비해, 하부 커버(22)의 하반 부분에서는 안쪽으로 오목한 곡면을 기조로 한다. 한편, 하부 커버(22)에는 전방 끝점(La)으로부터 측방 끝점(Lw)을 지나는 캐릭터 라인(C3)이 형성된다. 개구부(22ha)는 캐릭터 라인(C3)의 위쪽에 대략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구부(22hb)는 캐릭터 라인(C3)의 아래쪽에 대략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하부 커버(22)의 앞쪽 상부는 상향등 라이트 유니트(24)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된다. 또한, 하부 커버(22)의 앞쪽 하부는 하향등 라이트 유니트(25)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된다.
프론트 그릴(23)은 엔진(12)의 전방을 덮는 외장 부품이다. 프론트 그릴(23)은 그릴 프레임(231)에 메탈 메쉬(232)를 접합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릴 프레임(231)은 그 소정점(Sp)으로부터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되는 빔부(231L·231R)와, 그 소정점(Sp)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필러부(231P)를 갖는다. 빔부(231L·231R) 및 필러부(231P)는 소정점(Sp)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서서히 가늘어져, 프레임부(231G)에 연결된다. 메탈 메쉬(232)는 빔부(231L·231R)와 프레임부(231G)로 둘러싸인 범위 외에, 빔부(231L), 필러부(231P) 및 프레임부(231G)로 둘러싸인 범위, 그리고 빔부(231R), 필러부(231P) 및 프레임부(231G)로 둘러싸인 범위의 세 부분을 덮고 있다. 또한, 프론트 그릴(23)의 상부 양측은 상향등 라이트 유니트(24)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된다. 또한, 프론트 그릴(23)의 하부 양측은 하향등 라이트 유니트(25)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닛(2)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즉, 상부 커버(21)의 상부에는, 개구부(21h)를 종단하도록 대략 I자 형상의 센터 마크(31)가 배치된다. 또한, 프론트 그릴(23)의 전면에는 빔부(231L·231R)와 필러부(231P)를 가리도록 대략 Y자 형상의 심볼 마크(32)가 배치된다. 한편, 센터 마크(31)와 심볼 마크(32)에는 광택이 있는 도금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이는 뛰어난 디자인성을 도입함과 동시에, 제3자에게 강한 인상을 주어 피시인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음으로, 센터 마크(31)와 디자인 패널(41)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센터 마크(31)와 디자인 패널(41)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도 9의 화살표 X로부터 본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의 화살표 Y로부터 본 도면이다. 또한, 도 12는 도 9의 화살표 Z로부터 본 도면이다. 한편, 도면에는 트랙터(1)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나타낸다.
본 트랙터(1)에 있어서, 센터 마크(31)는 디자인 패널(41)에 고정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센터 마크(31)는 그 중심선(31L)과 디자인 패널(41)의 중심선(41L)이 겹치도록 디자인 패널(41)에 고정된다(도 12 참조). 이 때문에, 센터 마크(31)는 디자인 패널(41)이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면, 보닛(2)의 중심선(2L)과 겹쳐져 배치되게 된다(도 8 참조). 나아가서, 트랙터(1)의 중심선(1L)과 겹쳐져 배치된다(도 4 참조).
본 트랙터(1)에 있어서, 센터 마크(31)는 금속 형성 부품이다. 센터 마크(31)는 그 전방 끝점(Ca)으로부터 위쪽으로 상승하고, 중앙점(Cb)에 걸쳐 서서히 완만해지는 곡선을 그린다. 그리고, 중앙점(Cb)보다 후방에서는, 후방 끝점(Cc)에 걸쳐 하방으로 낮아지는 원호상의 곡선을 그린다. 즉, 전방 끝점(Ca)으로부터 후방 끝점(Cc)에 이를 때까지의 능선(31R)은 위쪽으로 볼록한 호를 그린다. 한편, 능선(31R)은 그 능선(31R)으로부터 좌우로 내려오는 2개의 곡면(31Sa·31Sb)에 의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센터 마크(31)는 캐빈(16) 안에서 보면, 상방으로 뾰족한 형상으로 보이게 된다(도 13 참조).
본 트랙터(1)에 있어서, 디자인 패널(41)은 수지 형성 부품이다. 디자인 패널(41)은 그 전방 끝점(Da)으로부터 위쪽으로 상승하고, 후방 끝점(Db)에 걸쳐 완만한 곡선을 그린다. 또한, 디자인 패널(41)은 그 전방 끝점(Da)으로부터 측방으로 펼쳐진 대략 쐐기 형상이 되어 있다. 한편, 디자인 패널(41)에는 그 이면측에 복수의 걸림 고리(41C)가 마련된다. 이 때문에, 디자인 패널(41)은 상부 커버(21)의 개구부(21h)에 걸림 고리(41C)를 건 상태로 장착되게 된다. 또한, 디자인 패널(41)에는 복수의 관통공(41h)이 마련된다. 이 때문에, 디자인 패널(41)은 보닛(2)의 내부에서 외부로, 혹은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를 통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16 참조).
다음으로, 센터 마크(31)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오퍼레이터의 시야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오퍼레이터의 시선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2점 쇄선 DH는 신장이 큰 오퍼레이터의 시선을 나타내고, 2점 쇄선 DL은 신장이 작은 오퍼레이터의 시선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센터 마크(31)는 트랙터(1)의 중심선(1L)과 겹쳐져 배치된다. 이 때문에, 센터 마크(31)는 오퍼레이터로부터 보면, 항상 트랙터(1)의 주행 방향을 지시한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목표 루트(Tr)에 센터 마크(31)가 겹치도록 조종함으로써 주행 방향을 정할 수 있다. 한편, 센터 마크(31)는 위쪽으로 뾰족한 형상으로 보이므로, 목표 루트(Tr)의 폭이 좁아도 중첩시키기가 용이하다. 예를 들면, 이랑(r)과 이랑(r)의 좁은 틈새가 목표 루트(Tr)라도 중첩시키기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오퍼레이터는 목표 루트(Tr)로부터 센터 마크(31)가 벗어났을 때, 주행 방향이 어긋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오퍼레이터는 다시 목표 루트(Tr)에 센터 마크(31)가 겹치도록 조종함으로써 적절하게 주행 방향의 어긋남을 수정할 수 있다. 한편, 센터 마크(31)는 위쪽으로 뾰족한 형상으로 보이므로, 목표 루트(Tr)의 폭이 좁아도 센터 마크(31)가 벗어난 것을 알기 쉽다. 예를 들면, 이랑(r)과 이랑(r)의 좁은 틈새가 목표 루트(Tr)라도, 센터 마크(31)가 벗어난 것을 알기 쉽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닛(2)은 상부 커버(21)의 상부에 배치되는 센터 마크(3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센터 마크(31)는 오퍼레이터가 주행 방향을 정하기 위한 조준기(sight)가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닛(2)을 구비한 트랙터(1)는 주행 방향을 정하기 쉽고, 적절하게 주행 방향의 어긋남을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트랙터(1)는 조종이 쉬워진다.
또한, 트랙터(1)에서는 센터 마크(31)의 연장선상에 오퍼레이터가 탑승한다. 이 때문에, 센터 마크(31)는 목표 루트(Tr)를 보는 오퍼레이터의 시선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자연스러운 자세로 센터 마크(31)를 볼 수 있다. 한편, 센터 마크(31)는 능선(31R)이 위쪽으로 볼록한 호를 그리고 있으므로, 그 센터 마크(31)를 보는 각도가 달라도 위쪽으로 뾰족한 형상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센터 마크(31)는 신장이 큰 오퍼레이터에게는 점 Ra를 정점으로 하는 뾰족한 형상으로 보이고, 신장이 작은 오퍼레이터에게는 점 Rb를 정점으로 하는 뾰족한 형상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센터 마크(31)는 목표 루트(Tr)를 보는 오퍼레이터의 시선을 따라 배치된다. 그리고, 그 능선(31R)은 위쪽으로 볼록한 호를 그린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닛(2)을 구비한 트랙터(1)는 오퍼레이터의 신장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센터 마크(31)의 연장선상에 목표 루트(Tr)를 파악하기 쉬워진다.
다음으로, 센터 마크(31)의 다른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디자인 패널(41)의 탈착 작업을 나타내고 있다. 탈착 작업이란, 제조시의 설치 작업 외에, 정비시의 제거 작업 및 설치 작업을 가리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센터 마크(31)는 디자인 패널(41)에 고정된다. 또한, 디자인 패널(41)은 상부 커버(21)의 개구부(21h)에 걸림 고리(41C)를 건 상태로 장착된다. 이 때문에, 센터 마크(31)와 디자인 패널(41)은 일체가 된 상태에서, 상부 커버(21)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때, 작업자는 센터 마크(31)를 잡고 탈착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닛(2)은 개구부(21h)를 막는 디자인 패널(41)을 구비한다. 그리고, 센터 마크(31)는 디자인 패널(41)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닛(2)을 구비한 트랙터(1)는 센터 마크(31)가 손잡이가 되므로, 디자인 패널(41)의 탈착 작업이 쉬워진다.
또한, 이와 같은 보닛(2)을 구비한 트랙터(1)는 센터 마크(31)가 손잡이가 되므로, 제조시나 정비시의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센터 마크(31)나 디자인 패널(41)이 파손된 경우에도 쉽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센터 마크(31)나 디자인 패널(41)이 오염된 경우에도 쉽게 청소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자인 패널(41)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보닛(2)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면에서의 화살표 Fa·Fb는 보닛(2)에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고, 화살표 Fc·Fd는 보닛(2)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자인 패널(41)에는 복수의 관통공(41h)이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디자인 패널(41)은 보닛(2)의 내부에서 외부로 혹은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를 통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디자인 패널(41)에서 관통공(41h)은 직경이 작은 둥근 구멍(직경 2㎜의 둥근 구멍)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사각 구멍이나 삼각 구멍이라도 된다. 또한, 관통공(41h)의 수는 하나라도 되고 복수 개라도 된다. 즉, 디자인 패널(41)은 공기를 통하게 할 수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이, 디자인 패널(41)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관통공(41h)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닛(2)을 구비한 트랙터(1)는 디자인 패널(41)이 통풍로가 되므로, 엔진(12)의 열이 빠져나오기 쉽다.
또한, 이와 같은 보닛(2)을 구비한 트랙터(1)는 디자인 패널(41)이 통풍로가 되므로, 엔진(12)의 히트밸런스(heat balance) 성능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윤활유 온도가 적정하게 유지되어 엔진(12)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연료 온도가 적정하게 유지되어 엔진(12)의 출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디자인 패널(41)은 디자인에 정교한 설계가 이루어져 있다. 이것은 뛰어난 디자인을 도입함과 동시에, 제3자에게 강한 인상을 주어 피시인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보닛(2)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 내지 도 25는 보닛(2)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6은 보닛(2)이 완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7은 도 26의 화살표 M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도 28은 도 26의 화살표 N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또한, 도 29는 도 28의 A-A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여기에서는 주요 공정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또한, 공정의 순서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공정은, 센터 필러(51)에 사이드 프레임(52)과 언더 스페이서(53)를 장착하는 공정이다(도 17 참조). 상세하게 설명하면, 센터 필러(51)에 사이드 프레임(52)을 장착하고, 사이드 프레임(52)에 언더 스페이서(53)를 장착하는 공정이다. 사이드 프레임(52)은 센터 필러(51)의 하단에 볼트(52B)를 이용해 고정된다. 언더 스페이서(53)는 사이드 프레임(52)의 하면에 볼트(53B)를 이용해 고정된다.
제2 공정은, 제1 공정에서 조립된 모듈(M1)에 프론트 그릴(23)과 심볼 마크(32)를 장착하는 공정이다(도 18 참조). 상세하게 설명하면, 센터 필러(51)에 프론트 그릴(23)을 장착하고, 프론트 그릴(23)에 심볼 마크(32)를 장착하는 공정이다. 프론트 그릴(23)은 센터 필러(51)의 전면에 볼트(23B)를 이용해 고정된다. 심볼 마크(32)는 프론트 그릴(23)의 전면에 볼트(32B)를 이용해 고정된다.
제3 공정은, 제2 공정에서 조립된 모듈(M2)에 상향등 라이트 유니트(24)와 하향등 라이트 유니트(25)를 장착하는 공정이다(도 19 참조). 상세하게 설명하면, 프론트 그릴(23)에 상향등 라이트 유니트(24)를 장착하고, 마찬가지로 프론트 그릴(23)에 하향등 라이트 유니트(25)를 장착하는 공정이다. 상향등 라이트 유니트(24)는 프론트 그릴(23)의 이면에 볼트(24B)를 이용해 고정된다. 하향등 라이트 유니트(25)도 프론트 그릴(23)의 이면에 볼트(25B)를 이용해 고정된다. 한편, 하향등 라이트 유니트(25)는 상향등 라이트 유니트(24)의 후면에도 나사(25S)를 이용해 고정된다.
제4 공정은, 상부 커버(21)에 팁(tip) 부재(61), 중간 부재(62) 및 후단 부재(63)를 장착하는 공정이다(도 20 참조).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부 커버(21)에 팁 부재(61)를 장착하고, 마찬가지로 상부 커버(21)에 중간 부재(62)를 장착하고, 마찬가지로 상부 커버(21)에 후단 부재(63)를 장착하는 공정이다. 팁 부재(61)는 상부 커버(21)의 선단부 이면에 접착제를 이용해 고정된다. 중간 부재(62)는 상부 커버(21)의 중간부 이면에 접착제와 고정구(fastener)(62F)(도 29 참조)를 이용해 고정된다. 후단 부재(63)는 상부 커버(21)의 후단부 이면에 접착제와 고정구(63F)(도 29 참조)를 이용해 고정된다. 한편, 후단 부재(63)에는 미리 센터 빔(631)이 용접되어 있다. 센터 빔(631)은 중간 부재(62)의 하면에 볼트(631B)를 이용해 고정된다.
제5 공정은, 제4 공정에서 조립된 모듈(M4)에 서포트 플레이트(64)와 보닛 힌지(65)를 장착하는 공정이다(도 21 참조).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부 커버(21)에 서포트 플레이트(64)를 장착하고, 후단 부재(63)에 보닛 힌지(65)를 장착하는 공정이다. 서포트 플레이트(64)는 상부 커버(21)의 후단부 이면에 접착제와 고정구(64F)(도 27 참조)를 이용해 고정된다. 보닛 힌지(65)는 후단 부재(63)의 하면에 볼트(65B)를 이용해 고정된다. 한편, 보닛 힌지(65)는 센터 빔(631)의 하면에도 볼트(65B)를 이용해 고정된다.
제6 공정은, 제3 공정에서 조립된 모듈(M3)과 제5 공정에서 조립된 모듈(M5)을 합체시키는 공정이다(도 22 참조). 상세하게 설명하면, 모듈(M3)을 구성하는 센터 필러(51)와 모듈(M5)을 구성하는 팁 부재(61)를 연결해 하나의 모듈(M6)로 하는 공정이다. 센터 필러(51)와 팁 부재(61)는 볼트(51B)를 이용해 연결된다.
제7 공정은, 제6 공정에서 조립된 모듈(M6)에 하부 커버(22)를 장착하는 공정이다(도 23 참조).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부 커버(21)나 사이드 프레임(52), 후단 부재(63) 등에 하부 커버(22)를 장착하는 공정이다. 하부 커버(22)는, 상부 커버(21)나 사이드 프레임(52), 후단 부재(63)에 고정구(22F)를 이용해 고정된다. 한편, 하부 커버(22)는 상향등 라이트 유니트(24)에도 너트(22N)(도 29 참조)를 이용해 고정된다. 또한, 하부 커버(22)는 하향등 라이트 유니트(25)에도 고정구(22F)(도 29 참조)를 이용해 고정된다. 또한, 하부 커버(22)는 언더 스페이서(53)에도 고정구(22F)(도 28, 도 29 참조)를 이용해 고정된다.
제8 공정은, 제7 공정에서 조립된 모듈(M7)에 웨더 스트립(66·67·68·69)을 부착하는 공정이다(도 24 참조). 상세하게 설명하면, 언더 스페이서(53)나 하부 커버(22), 후단 부재(63) 등에 웨더 스트립(66·67·68·69)을 부착하는 공정이다. 웨더 스트립(66)은 언더 스페이서(53)와 하부 커버(22)의 하변에 끼워진다. 웨더 스트립(67)은 하부 커버(22) 안쪽의 리브에 끼워진다. 또한, 웨더 스트립(68)은 후단 부재(63)의 후방변(보닛 힌지(65)보다 우측에만)에 끼워진다. 그리고, 웨더 스트립(69)은 서포트 플레이트(64)의 후방변(보닛 힌지(65)보다 좌측에만)에 끼워진다.
제9 공정은, 제8 공정에서 조립된 모듈(M8)에 디자인 패널(41)을 장착하는 공정이다(도 25 참조).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부 커버(21)의 개구부(21h)에 디자인 패널(41)을 장착하는 공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자인 패널(41)은 상부 커버(21)의 개구부(21h)에 걸림 고리(41C)를 건 상태로 장착된다. 한편, 디자인 패널(41)에는 미리 센터 마크(31)가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보닛(2)이 완성된다(도 26 내지 도 29 참조).
다음으로, 본 보닛(2)의 구조상의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제1 특징으로서, 본 보닛(2)은 센터 필러(51)를 갖고 있다. 센터 필러(51)는 보닛(2)을 구성하는 각 부품 또는 부품군(위에서는 '모듈'이라고 하였다)의 조립 기준이 된다. 이하에 설명하는 사이드 프레임(52) 등은 센터 필러(51)에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장착된다.
제2 특징으로서, 사이드 프레임(52)은 센터 필러(51)에 장착된다(도 17 참조). 즉, 사이드 프레임(52)은 조립 기준인 센터 필러(51)에 직접 장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닛(2)은 사이드 프레임(52)을 갖고 있다. 그리고, 사이드 프레임(52)은 센터 필러(51)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닛(2)은 센터 필러(51)에 대해 사이드 프레임(52)의 장착 위치가 쉽게 어긋나지 않아 조립 정밀도가 향상된다.
제3 특징으로서, 언더 스페이서(53)는 사이드 프레임(52)에 장착된다(도 17 참조).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보닛(2)은 조립 기준인 센터 필러(51)에 사이드 프레임(52)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언더 스페이서(53)는 사이드 프레임(52)에 장착된다. 즉, 언더 스페이서(53)는 조립 기준인 센터 필러(51)에 간접적으로 장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닛(2)은 언더 스페이서(53)를 갖고 있다. 그리고, 언더 스페이서(53)는 사이드 프레임(52)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닛(2)은 사이드 프레임(52)에 대해 언더 스페이서(53)의 장착 위치가 쉽게 어긋나지 않아 조립 정밀도가 향상된다. 나아가서, 센터 필러(51)에 대해 언더 스페이서(53)의 장착 위치가 쉽게 어긋나지 않아 조립 정밀도가 향상된다. 한편, 언더 스페이서(53)는 센터 필러(51)에 직접 장착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제4 특징으로서, 프론트 그릴(23)은 센터 필러(51)에 장착된다(도 18 참조). 즉, 프론트 그릴(23)은 조립 기준인 센터 필러(51)에 직접 장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닛(2)은 프론트 그릴(23)을 갖고 있다. 그리고, 프론트 그릴(23)은 센터 필러(51)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닛(2)은 센터 필러(51)에 대해 프론트 그릴(23)의 장착 위치가 쉽게 어긋나지 않아 조립 정밀도가 향상된다.
제5 특징으로서, 상향등 라이트 유니트(24)와 하향등 라이트 유니트(25)는 프론트 그릴(23)에 장착된다(도 19 참조).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보닛(2)은 조립 기준인 센터 필러(51)에 프론트 그릴(23)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향등 라이트 유니트(24)와 하향등 라이트 유니트(25)는 프론트 그릴(23)에 장착된다. 즉, 상향등 라이트 유니트(24)와 하향등 라이트 유니트(25)는 조립 기준인 센터 필러(51)에 간접적으로 장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닛(2)은 라이트 유니트(상향등 라이트 유니트(24) 및 하향등 라이트 유니트(25))를 갖고 있다. 그리고, 라이트 유니트(24·25)는 프론트 그릴(23)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닛(2)은 프론트 그릴(23)에 대해 라이트 유니트(24·25)의 장착 위치가 쉽게 어긋나지 않아 조립 정밀도가 향상된다. 나아가서, 센터 필러(51)에 대해 라이트 유니트(24·25)의 장착 위치가 쉽게 어긋나지 않아 조립 정밀도가 향상된다. 한편, 라이트 유니트(24·25)는 센터 필러(51)에 직접 장착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제6 특징으로서, 상부 커버(21)는 센터 필러(51)에 의해 지지된다(도 22 참조). 즉, 상부 커버(21)는 조립 기준인 센터 필러(51)에 의해 직접 지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닛(2)은 상부 커버(21)를 갖고 있다. 그리고, 상부 커버(21)는 센터 필러(51)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닛(2)은 센터 필러(51)에 대해 상부 커버(21)의 장착 위치가 쉽게 어긋나지 않아 조립 정밀도가 향상된다.
제7 특징으로서, 하부 커버(22)는 적어도 상부 커버(21)와 사이드 프레임(52)에 장착된다(도 23 참조).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보닛(2)은 조립 기준인 센터 필러(51)에 상부 커버(21)가 지지된다. 또한, 조립 기준인 센터 필러(51)에 사이드 프레임(52)이 장착된다. 그리고, 하부 커버(22)는 적어도 상부 커버(21)와 사이드 프레임(52)에 장착된다. 즉, 하부 커버(22)는 조립 기준인 센터 필러(51)에 간접적으로 장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닛(2)은 하부 커버(22)를 갖고 있다. 그리고, 하부 커버(22)는 적어도 상부 커버(21)와 사이드 프레임(52)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닛(2)은 상부 커버(21)와 사이드 프레임(52)에 대해 하부 커버(22)의 장착 위치가 쉽게 어긋나지 않아 조립 정밀도가 향상된다. 나아가서, 센터 필러(51)에 대해 하부 커버(22)의 장착 위치가 쉽게 어긋나지 않아 조립 정밀도가 향상된다. 한편, 본 보닛(2)에서, 하부 커버(22)는 라이트 유니트(24·25)나 언더 스페이서(53)에도 장착된다. 이것은 하부 커버(22)의 강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하, 보닛(2)을 개폐 가능하게 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0은 보닛(2)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1은 보닛(2)을 닫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2는 도 31에서의 영역 P를 확대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3은 닫은 상태의 보닛(2)을 오퍼레이터가 본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보닛(2)의 내부에는 에어컷 플레이트(26)가 수납된다. 에어컷 플레이트(26)는 보닛(2)의 후단을 막도록 배치되어, 엔진(12)의 열이나 소음이 캐빈(16)으로 전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에어컷 플레이트(26)는 보닛 힌지(65)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닛(2)의 내부에는 사이드 빔(27)이 수납된다. 사이드 빔(27)은 에어컷 플레이트(26)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어, 엔진(12)의 열교환기(12R)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사이드 빔(27)은 차열판(12H)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닛(2)의 내부에는 가스 스프링(28)이 수납된다. 가스 스프링(28)은 그 일단부가 사이드 빔(27)에 부착된다. 또한, 가스 스프링(28)은 그 타단부가 중간 부재(62)에 부착된다. 그리고, 가스 스프링(28)은 중간 부재(62)를 위쪽으로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하중을 가한다. 이 때문에, 가볍게 밀어올려 주면 보닛(2)을 열 수 있다.
그런데, 상부 커버(21)에는 자중(自重)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하려고 하는 모멘트(M1)가 작용한다(도 30 참조). 반대로, 상부 커버(21)에는 가스 스프링(28)에 의해 위쪽으로 회동하려고 하는 모멘트(M2)가 작용한다(도 30 참조). 따라서, 상부 커버(21)는 상대적인 2개의 모멘트(M1·M2)에 의해서도 뒤틀리지 않는 강성이 요구된다. 또한, 상부 커버(21)의 강성이 낮은 경우, 뛰어난 조작감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보닛(2)을 닫았을 때 그 보닛(2)이 미세하게 진동하거나 보닛(2)을 닫았을 때 소음이 발생한다.
다음으로, 본 보닛(2)의 구조상의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제1 특징으로서, 센터 빔(631)은 중간 부재(62)와 후단 부재(63)를 연결하고 있다(도 20 참조). 즉, 센터 빔(631)은 그 일단이 중간 부재(62)에 장착되고, 그 타단이 후단 부재(63)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닛(2)은 센터 빔(631)을 구비한다. 그리고, 센터 빔(631)은 중간 부재(62)와 후단 부재(63)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닛(2)은 상부 커버(21)의 강성이 향상되므로, 보닛(2)에 뒤틀림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보닛(2)의 뛰어난 조작감을 실현할 수 있다.
제2 특징으로서, 보닛 힌지(65)는 후단 부재(63)와 센터 빔(631)에 장착되어 있다(도 21 참조). 즉, 보닛 힌지(65)는 그 일단이 후단 부재(63)에 장착되고, 그 타단이 센터 빔(631)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닛(2)은 보닛 힌지(65)를 구비한다. 그리고, 보닛 힌지(65)는 후단 부재(63)와 센터 빔(631)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닛(2)은 모멘트(M1·M2)에 의한 응력이 후단 부재(63)의 근방에 집중되지 않고 중간 부재(62)의 근방에 분산되므로, 보닛(2)에 뒤틀림이 생기지 않는다.
제3 특징으로서, 웨더 스트립(68)은 후단 부재(63)에 부착되고, 그 후단 부재(63)의 근방에 배치되는 에어컷 플레이트(26)에 접한다(도 27, 도 32 참조). 즉, 웨더 스트립(68)은 후단 부재(63)에 부착된 상태로, 그 후단 부재(63)와 에어컷 플레이트(26)의 틈새를 막는다. 한편, 에어컷 플레이트(26)는 보닛 힌지(65)의 우측과 좌측에서 전후 방향의 위치가 다르다(도 27 참조). 에어컷 플레이트(26)에서의 보닛 힌지(65)의 우측을 '에어컷 플레이트(26R)'라고 했을 때, 웨더 스트립(68)은 후단 부재(63)와 에어컷 플레이트(26R)의 틈새를 막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닛(2)은 웨더 스트립(68)을 구비한다. 그리고, 웨더 스트립(68)은 후단 부재(63)에 부착되고, 그 후단 부재(63)의 근방에 배치되는 에어컷 플레이트(26)(26R)에 접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닛(2)은 웨더 스트립(68)의 부착 위치가 명확하고, 웨더 스트립(68)의 부착 작업이 쉬워진다. 또한, 오퍼레이터가 상부 커버(21)의 내측을 들여다 보아도 웨더 스트립(68)에 의해 차폐되어 있으므로 엔진(12) 등이 보이지 않아, 보닛(2)의 뛰어난 외관을 실현할 수 있다(도 33 참조).
또한, 이와 같은 보닛(2)을 구비한 트랙터(1)는, 웨더 스트립(68)의 형상을 고려함으로써(웨더 스트립(68)의 길이를 짧게 해 의도적으로 틈새를 마련하는 등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부터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단 부재(63)와 에어컷 플레이트(26)(26R)의 틈새가 통풍로가 되므로, 엔진(12)의 열이 빠져나가기 쉬워진다. 이 경우, 상부 커버(21)에 통풍로를 마련한 것에 비해 물이나 먼지가 보닛(2)의 내부에 침입하지 않는다.
제4 특징으로서, 웨더 스트립(69)은 서포트 플레이트(64)에 부착되고, 그 서포트 플레이트(64)의 근방에 배치되는 에어컷 플레이트(26)에 접한다(도 27, 도 32 참조). 즉, 웨더 스트립(69)은 서포트 플레이트(64)에 부착된 상태로, 서포트 플레이트(64)와 에어컷 플레이트(26)의 틈새를 막는다. 한편, 에어컷 플레이트(26)는 보닛 힌지(65)의 우측과 좌측에서 전후 방향의 위치가 다르다(도 27 참조). 에어컷 플레이트(26)에서의 보닛 힌지(65)의 좌측을 '에어컷 플레이트(26L)'라고 했을 때, 웨더 스트립(68)은 후단 부재(63)와 에어컷 플레이트(26L)의 틈새를 막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닛(2)은 웨더 스트립(69)과 서포트 플레이트(6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웨더 스트립(69)은 서포트 플레이트(64)에 부착되고, 그 서포트 플레이트(64)의 근방에 배치되는 에어컷 플레이트(26)(26L)에 접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닛(2)은 웨더 스트립(69)의 부착 위치가 명확하고, 웨더 스트립(69)의 부착 작업이 쉬워진다. 또한, 오퍼레이터가 상부 커버(21)의 내측을 들여다 보아도 웨더 스트립(69)에 의해 차폐되어 있으므로 엔진(12) 등이 보이지 않아, 보닛(2)의 뛰어난 외관을 실현할 수 있다(도 33 참조).
또한, 이와 같은 보닛(2)을 구비한 트랙터(1)는 웨더 스트립(69)의 형상을 고려함으로써(웨더 스트립(69)의 길이를 짧게 해 의도적으로 틈새를 마련하는 등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부터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서포트 플레이트(64)와 에어컷 플레이트(26)(26L)의 틈새가 통풍로가 되므로, 엔진(12)의 열이 빠져나가기 쉬워진다. 이 경우, 상부 커버(21)에 통풍로를 마련한 것에 비해 물이나 먼지가 보닛(2)의 내부에 침입하지 않는다.
이하, 보닛(2)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4는 2개의 하부 커버(22A·22B)를 나타내고 있다. 도 35는 하부 커버(22A)를 장착하는 공정을 나타내고, 도 36은 하부 커버(22B)를 장착하는 공정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37은 각 보닛(2)이 완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하부 커버(22)는 하방으로 연장된 스커트부(22S)를 갖고 있다. 본 하부 커버(22)에서는 스커트부(22S)가 긴 것과, 스커트부(22S)가 짧은 것이 존재한다. 여기에서는, 스커트부(22S)가 긴 것을 '하부 커버(22A)'라고 하고(도 34의 (A) 참조), 스커트부(22S)가 짧은 것을 '하부 커버(22B)'라고 한다(도 34의 (B) 참조).
하부 커버(22A)는 스커트부(22S)가 길고, 스커트부(22S)의 하변이 언더 스페이서(53)의 하변과 같은 높이가 되어 있다. 환언하면, 하부 커버(22A)는 그 하변이 언더 스페이서(53)의 하변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선(Lv)에 접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하부 커버(22A)를 이용해 구성되는 보닛(2)은 언더 스페이서(53)가 필요하다. 따라서, 하부 커버(22A)를 장착하는 공정에서는, 프론트 그릴(23)의 하방에 언더 스페이서(53)가 배치되고 있다(도 35 참조).
하부 커버(22B)는 스커트부(22S)가 짧고, 스커트부(22S)의 하변이 프론트 그릴(23)의 하변과 같은 높이가 되어 있다. 환언하면, 하부 커버(22B)는 하변이 프론트 그릴(23)의 하변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선(Lv)에 접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하부 커버(22B)를 이용해 구성되는 보닛(2)은 언더 스페이서(53)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하부 커버(22B)를 장착하는 공정에서는, 프론트 그릴(23)의 하방에 언더 스페이서(53)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도 36 참조).
이상으로부터, 상부 커버(21)와 프론트 그릴(23)은 적어도 2개의 기종에서 겸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부 커버(21)와 프론트 그릴(23) 외에, 라이트 유니트(24·25)에 대해서도 적어도 2개의 기종에서 겸용할 수 있다(도 37 참조). 또한, 보닛(2)을 구성하는 센터 필러(51)나 사이드 프레임(52)에 대해서도 당연히 겸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보닛(2)의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제1 특징으로서, 상부 커버(21)와 프론트 그릴(23)은 하부 커버(22)에서의 스커트부(22S)의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적어도 2개의 기종에서 겸용할 수 있다(도 34 내지 도 37 참조). 따라서, 상부 커버(21)와 프론트 그릴(23)은 적어도 2개의 기종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므로, 생산량이 증가해 비용의 절감이 예상된다(양산 효과라고 한다).
이와 같이, 상부 커버(21)와 프론트 그릴(23)은 하부 커버(22)에서의 스커트부(22S)의 길이를 바꿈으로써 적어도 2개의 기종에서 겸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닛(2)은 상부 커버(21)와 프론트 그릴(23)의 양산 효과에 의해 비용 절감이 가능해진다.
제2 특징으로서, 스커트부(22S)가 긴 경우, 프론트 그릴(23)의 하방에 언더 스페이서(53)를 배치한다. 그리고, 하부 커버(22A)는 그 하변이 언더 스페이서(53)의 하변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선(Lv)에 접한다(도 34 참조). 따라서, 보닛(2)의 높이 치수가 커지므로, 큰 엔진(12)이 탑재되는 기종에도 적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커트부(22S)가 긴 경우, 하부 커버(22)(22A)는 그 하변이 언더 스페이서(53)의 하변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선(Lv)에 접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닛(2)은 큰 엔진(12)이 탑재되는 기종의 외관을 해치지 않고 대응할 수 있고, 상부 커버(21)나 프론트 그릴(23)을 겸용할 수 있다.
제3 특징으로서, 스커트부(22S)가 짧은 경우, 프론트 그릴(23)의 하방에 언더 스페이서(53)를 배치하지 않는다. 그리고, 하부 커버(22B)는 그 하변이 프론트 그릴(23)의 하변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선(Lv)에 접한다(도 34 참조). 따라서, 보닛(2)의 높이 치수가 작아지므로, 작은 엔진(12)이 탑재되는 기종에도 적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커트부(22S)가 짧은 경우, 하부 커버(22)(22B)는 그 하변이 프론트 그릴(23)의 하변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선(Lv)에 접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닛(2)은 작은 엔진(12)이 탑재되는 기종의 외관을 해치지 않고 대응할 수 있고, 상부 커버(21)나 프론트 그릴(23)을 겸용할 수 있다.
제4 특징으로서, 언더 스페이서(53)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관통공(53h)이 마련되어 있다(도 35, 도 37 참조). 따라서, 언더 스페이서(53)는 보닛(2)의 내부에서 외부로 혹은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를 통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언더 스페이서(53)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관통공(53h)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닛(2)은 언더 스페이서(53)가 통풍로가 되므로, 엔진(12)의 열이 빠져나가기 쉬워진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보닛 및 보닛을 구비하는 트랙터의 기술에 이용 가능하다.
1: 트랙터
11: 새시 프레임
12: 엔진
13: 트랜스미션
14: 전륜축
15: 후륜축
16: 캐빈
2: 보닛
21: 상부 커버
21h: 개구부
22, 22A, 22B: 하부 커버
22S: 스커트부
23: 프론트 그릴
231: 그릴 프레임
232: 메탈 메쉬
24: 상향등 라이트 유니트(라이트 유니트)
25: 하향등 라이트 유니트(라이트 유니트)
26: 에어컷 플레이트
27: 사이드 빔
28: 가스 스프링
31: 센터 마크
31R: 능선
32: 심볼 마크
41: 디자인 패널
41h: 관통공
51: 센터 필러
52: 사이드 프레임
53: 언더 스페이서
53h: 관통공
61: 팁 부재
62: 중간 부재
63: 후단 부재
631: 센터 빔
64: 서포트 플레이트
65: 보닛 힌지
66, 67, 68, 69: 웨더 스트립
Tr: 목표 루트
r: 이랑
11: 새시 프레임
12: 엔진
13: 트랜스미션
14: 전륜축
15: 후륜축
16: 캐빈
2: 보닛
21: 상부 커버
21h: 개구부
22, 22A, 22B: 하부 커버
22S: 스커트부
23: 프론트 그릴
231: 그릴 프레임
232: 메탈 메쉬
24: 상향등 라이트 유니트(라이트 유니트)
25: 하향등 라이트 유니트(라이트 유니트)
26: 에어컷 플레이트
27: 사이드 빔
28: 가스 스프링
31: 센터 마크
31R: 능선
32: 심볼 마크
41: 디자인 패널
41h: 관통공
51: 센터 필러
52: 사이드 프레임
53: 언더 스페이서
53h: 관통공
61: 팁 부재
62: 중간 부재
63: 후단 부재
631: 센터 빔
64: 서포트 플레이트
65: 보닛 힌지
66, 67, 68, 69: 웨더 스트립
Tr: 목표 루트
r: 이랑
Claims (10)
- 프론트 그릴, 라이트 유니트 및 상부 커버를 갖는 트랙터의 보닛에 있어서,
센터 필러를 구비하고,
상기 프론트 그릴은 상기 센터 필러에 장착되고,
상기 라이트 유니트는 상기 프론트 그릴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센터 필러에 의해 직접 고정되어 지지되고,
사이드 프레임 및 하부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센터 필러에 장착되고,
상기 하부 커버는 적어도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보닛.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의 중간부 이면에 고정되는 중간 부재, 상기 상부 커버의 후단부 이면에 고정되는 후단 부재, 센터 빔 및 보닛 힌지를 구비하고,
상기 센터 빔은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후단 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보닛 힌지는 상기 후단 부재와 상기 센터 빔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보닛. - 제3항에 있어서,
웨더 스트립을 구비하고,
상기 웨더 스트립은 상기 후단 부재에 부착되고, 그 후단 부재의 근방에 배치되는 에어컷 플레이트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보닛. - 제3항에 있어서,
웨더 스트립 및 상기 상부 커버의 후단부 이면에 고정되는 서포트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웨더 스트립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부착되고, 그 서포트 플레이트의 근방에 배치되는 에어컷 플레이트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보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는 센터 마크를 구비하고,
상기 센터 마크는 목표 루트를 보는 오퍼레이터의 시선을 따라 배치되고,
그 능선은 위쪽으로 볼록한 호를 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보닛.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를 덮는 디자인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센터 마크는 상기 디자인 패널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보닛. - 제1항에 기재된 보닛을 구비하는 트랙터.
- 제3항에 기재된 보닛을 구비하는 트랙터.
- 제6항에 기재된 보닛을 구비하는 트랙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4135328A JP2016013719A (ja) | 2014-06-30 | 2014-06-30 | トラクタのボンネット |
JP2014135326A JP2016013717A (ja) | 2014-06-30 | 2014-06-30 | トラクタのボンネット |
JPJP-P-2014-135328 | 2014-06-30 | ||
JPJP-P-2014-135327 | 2014-06-30 | ||
JP2014135325A JP2016013716A (ja) | 2014-06-30 | 2014-06-30 | トラクタのボンネット |
JPJP-P-2014-135325 | 2014-06-30 | ||
JP2014135327A JP6297431B2 (ja) | 2014-06-30 | 2014-06-30 | トラクタのボンネット |
JPJP-P-2014-135326 | 2014-06-30 | ||
PCT/JP2015/067837 WO2016002552A1 (ja) | 2014-06-30 | 2015-06-22 | ボンネット及びボンネットを備えるトラクタ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0916A KR20170020916A (ko) | 2017-02-24 |
KR101943772B1 true KR101943772B1 (ko) | 2019-01-29 |
Family
ID=55019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02194A KR101943772B1 (ko) | 2014-06-30 | 2015-06-22 | 보닛 및 보닛을 구비하는 트랙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3) | US10689039B2 (ko) |
EP (1) | EP3162670B1 (ko) |
KR (1) | KR101943772B1 (ko) |
CN (1) | CN106660593B (ko) |
WO (1) | WO201600255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377424B2 (en) * | 2014-10-24 | 2019-08-13 | Yanmar Co., Ltd. | Tractor bonnet |
KR101953504B1 (ko) * | 2015-03-11 | 2019-02-28 |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 작업차 |
JP1623546S (ko) * | 2018-07-06 | 2019-02-04 | ||
USD976968S1 (en) * | 2019-03-22 | 2023-01-31 | Deere & Company | Work vehicle hood |
USD926826S1 (en) * | 2020-03-09 | 2021-08-03 | Zimeno, Inc. | Illuminated tractor hood |
US11555289B2 (en) * | 2020-06-30 | 2023-01-17 | Caterpillar Inc. | Construction vehicle |
JP7542431B2 (ja) * | 2020-12-24 | 2024-08-30 | 株式会社クボタ | 作業車 |
USD971274S1 (en) | 2021-07-05 | 2022-11-29 | Zimeno, Inc. | Illuminated tracto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076486A (ja) * | 2008-09-24 | 2010-04-08 | Kubota Corp | 走行車輌のボンネット装置 |
JP2011126531A (ja) * | 2011-01-11 | 2011-06-30 | Kubota Corp | トラクタ |
US20140070569A1 (en) * | 2011-03-11 | 2014-03-13 | Agco International Gmbh | Engine Hood Arrangement |
Family Cites Families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22562A (ja) | 1983-07-14 | 1985-02-05 | Iseki & Co Ltd | 農用トラクタのボンネツトシ−ル装置 |
JPS61153651U (ko) * | 1985-03-18 | 1986-09-24 | ||
DE4105844A1 (de) * | 1991-02-25 | 1992-09-03 | Deere & Co | Verkleidung fuer den motorbereich eines kraftfahrzeuges |
JPH04303077A (ja) | 1991-03-29 | 1992-10-27 | Iseki & Co Ltd | 移動農機キャビン室の防音装置 |
JPH0789456A (ja) | 1993-09-24 | 1995-04-04 | Iseki & Co Ltd | トラクタのフロントグリル |
CA2317241A1 (en) | 1999-11-23 | 2001-05-23 | Deere & Company | Tractor engine enclosure assembly |
US6401851B1 (en) | 2000-09-14 | 2002-06-11 | Deere & Company | Hood assembly |
JP4077655B2 (ja) * | 2002-05-02 | 2008-04-16 |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 作業車両のボンネット構造 |
JP2004224307A (ja) * | 2003-01-27 | 2004-08-12 | Kubota Corp | トラクタ |
US20040216934A1 (en) | 2003-01-27 | 2004-11-04 | Kubota Corporation | Working vehicle having a hood |
JP4388297B2 (ja) * | 2003-04-16 | 2009-12-24 | 三菱農機株式会社 | 農作業機のフロントグリル構造 |
US7575081B2 (en) * | 2004-03-29 | 2009-08-18 | Kubota Corporation | Work vehicle |
JP4456919B2 (ja) * | 2004-04-16 | 2010-04-28 | 株式会社クボタ | トラクタのボンネット構造 |
JP4613082B2 (ja) * | 2005-03-14 | 2011-01-12 | ヤンマー株式会社 | 作業車両のボンネット構造 |
JP2006076571A (ja) * | 2005-12-06 | 2006-03-23 |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 移動農機 |
JP4995748B2 (ja) * | 2008-01-29 | 2012-08-08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車両用前照灯装置及び車両用前照灯装置の制御方法 |
JP5245574B2 (ja) | 2008-06-27 | 2013-07-24 | 井関農機株式会社 | 作業車両 |
JP5245651B2 (ja) | 2008-08-28 | 2013-07-24 | 井関農機株式会社 | トラクタ |
JP5129724B2 (ja) | 2008-11-18 | 2013-01-30 | 株式会社クボタ | 作業機のボンネット構造 |
ITTO20080909A1 (it) * | 2008-12-05 | 2010-06-06 | Cnh Italia Spa | Trattore con una griglia di raffreddamento perfezionata |
JP5435965B2 (ja) | 2009-01-15 | 2014-03-05 | ヤンマー株式会社 | トラクタ |
JP5356103B2 (ja) | 2009-04-15 | 2013-12-04 | 株式会社クボタ | 走行車両のボンネット支持構造 |
JP5459017B2 (ja) * | 2010-03-30 | 2014-04-02 | 井関農機株式会社 | 作業車両 |
JP5681584B2 (ja) | 2011-08-03 | 2015-03-11 | 株式会社クボタ | 作業車のボンネット開閉構造 |
JP5905349B2 (ja) | 2012-06-29 | 2016-04-20 |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 作業車両 |
-
2015
- 2015-06-22 WO PCT/JP2015/067837 patent/WO201600255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6-22 KR KR1020177002194A patent/KR10194377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6-22 CN CN201580035382.4A patent/CN106660593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5-06-22 EP EP15814956.7A patent/EP3162670B1/en active Active
- 2015-06-22 US US15/322,583 patent/US10689039B2/en active Active
-
2020
- 2020-06-03 US US16/891,887 patent/US11634183B2/en active Active
-
2023
- 2023-03-22 US US18/124,935 patent/US20230219630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076486A (ja) * | 2008-09-24 | 2010-04-08 | Kubota Corp | 走行車輌のボンネット装置 |
JP2011126531A (ja) * | 2011-01-11 | 2011-06-30 | Kubota Corp | トラクタ |
US20140070569A1 (en) * | 2011-03-11 | 2014-03-13 | Agco International Gmbh | Engine Hood Arrange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634183B2 (en) | 2023-04-25 |
US10689039B2 (en) | 2020-06-23 |
US20170129542A1 (en) | 2017-05-11 |
US20230219630A1 (en) | 2023-07-13 |
EP3162670A1 (en) | 2017-05-03 |
KR20170020916A (ko) | 2017-02-24 |
WO2016002552A1 (ja) | 2016-01-07 |
CN106660593B (zh) | 2019-07-23 |
EP3162670A4 (en) | 2018-03-21 |
CN106660593A (zh) | 2017-05-10 |
US20200290684A1 (en) | 2020-09-17 |
EP3162670B1 (en) | 2024-0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43772B1 (ko) | 보닛 및 보닛을 구비하는 트랙터 | |
JP4846792B2 (ja) | 建設機械の冷却装置 | |
EP1924467B1 (en) | frame structure for construction machine | |
CN106103248A (zh) | 作业车辆 | |
KR20210128389A (ko) | 동력기계용 유압 서브-조립체 | |
US10377424B2 (en) | Tractor bonnet | |
JP6770801B2 (ja) | トラクタ | |
JP6575447B2 (ja) | 作業車両 | |
JP6297431B2 (ja) | トラクタのボンネット | |
JP2016013716A (ja) | トラクタのボンネット | |
JP6292198B2 (ja) | 建設機械のフロントガード構造 | |
JP2016013717A (ja) | トラクタのボンネット | |
JP2016013719A (ja) | トラクタのボンネット | |
JP2014117963A (ja) | 作業車輌 | |
JP6522424B2 (ja) | 作業車 | |
JP7052815B2 (ja) | 作業車両 | |
JP3108609B2 (ja) | 作業車 | |
JP7474402B2 (ja) | 作業車両 | |
JP6690856B2 (ja) | 防塵部材を備えた作業機 | |
JP3138386B2 (ja) | 作業車の操縦パネル | |
KR101240036B1 (ko) | 휠 굴삭기 도저블레이드의 조립구조 | |
KR20240050756A (ko) | 농업용 작업 차량 | |
JP2023073581A (ja) | 作業車両 | |
JP2017180207A (ja) | 作業車両 | |
JP2005059658A (ja) | 建設機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