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407B1 - 점착 시트 - Google Patents

점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407B1
KR101912407B1 KR1020120109098A KR20120109098A KR101912407B1 KR 101912407 B1 KR101912407 B1 KR 101912407B1 KR 1020120109098 A KR1020120109098 A KR 1020120109098A KR 20120109098 A KR20120109098 A KR 20120109098A KR 101912407 B1 KR101912407 B1 KR 101912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meth
adhesive sheet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5963A (ko
Inventor
고지 시타라
히로코 이케나가
히로아키 기시오카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5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 필름을 소량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터치 패널, 표시 소자 등에 대해 우수한 자외선 보호 특성을 가지면서 광학 특성을 보유하는 표시 장치 또는 입력 장치를 실현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총 광 투과율이 85% 이상이고, 파장 380 nm에서의 광 투과율이 5% 이하이고, 헤이즈가 3% 이하이다. 점착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중합체 및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점착 시트{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본 발명은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같은 표시 장치, 또는 이러한 표시 장치와 조합하여 이용되는 입력 장치, 예를 들어 터치 패널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 또는 입력 장치에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광학 부재를 적층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투명한 점착 시트는 터치 패널과 다양한 표시 부재 또는 광학 부재를 적층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내지 3 참조).
이러한 표시 장치 또는 입력 장치에 사용되는 광학 부재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의 자외선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종종 자외선 흡수성(자외선 보호 특성, UV 보호 특성)을 갖도록 요구될 수 있다.
이러한 광학 부재로는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광학 필름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4 참조).
JP 2003-238915A JP 2003-342542A JP 2004-231723A JP 2011-126986A
그러나, 표시 장치 또는 입력 장치에서 광학 필름을 사용하지 않거나 또는 단지 소량으로 사용하는 일부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표시 장치 또는 입력 장치가 그 안의 터치 패널, 표시 소자 등에 대해 보다 우수한 자외선 보호 특성을 가지면서도 이들의 광학 특성을 유지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장치 또는 입력 장치가 광학 필름을 소량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서도 터치 패널, 표시 소자 등에 대해 우수한 자외선 보호 특성을 가지면서도 광학 특성을 유지하는, 터치 패널, 표시 소자 등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또는 입력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이 예의 검토한 결과, 터치 패널, 표시 소자 등에 사용되는 점착 시트가 소정의 값 이상의 총 광 투과율을 갖고, 소정 값 이하의 파장 380 nm에서의 광 투과율을 갖고, 소정 값 이하의 헤이즈값을 갖는 경우, 터치 패널, 표시 소자 등에 대한 우수한 자외선 보호 특성을 가지면서 광학 특성을 유지하는 표시 장치 또는 입력 장치가 광학 필름을 소량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실현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본 발명은 총 광 투과율이 85% 이상이고, 파장 380 nm에서의 광 투과율이 5% 이하이고, 헤이즈가 3% 이하인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점착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중합체 및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점착제층을 함유한다.
점착 시트에서, 아크릴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단량체 단위로서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알콕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한다.
점착 시트에서,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비율과 알콕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비율의 총합은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중합체를 형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100 중량%)을 기준으로 30 중량% 이상이다.
점착 시트에서, 아크릴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단량체 단위로서 분자 내에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단량체를 함유한다.
점착 시트에서, 분자 내에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단량체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중합체를 형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100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이다.
점착 시트에서, 아크릴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단량체 단위로서 분자 내에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를 함유한다.
점착 시트에서, 분자 내에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중합체를 형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100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5 중량%이다.
점착 시트에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10 중량부이다.
점착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광학용 점착 시트이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상기 기재된 구성을 가져서, 이들의 터치 패널, 표시 소자 등에의 적층은 광학 필름을 소량으로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서도 터치 패널, 표시 소자 등에 대한 우수한 자외선 보호 특성(UV 보호 특성)을 가지면서 광학 특성을 유지하는 표시 장치 또는 입력 장치를 실현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의 파장 280 내지 780 nm 범위에서의 광 투과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적어도 하나의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총 광 투과율이 85% 이상이고, 파장 380 nm에서의 광 투과율이 5% 이하이고, 헤이즈가 3% 이하인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점착 시트"는 "점착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미한다. 또한,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의 표면은 "점착 표면"이라고 부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점착 표면이 점착 시트의 양 표면에 포함되는 양면 점착 시트, 또는 점착 표면이 점착 시트의 오직 한 표면에만 포함되는 편면 점착 시트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2개의 부재를 적층시키는 관점에서 양면 점착 시트이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기재(기재층)를 갖지 않는 "기재 미포함 유형"의 점착 시트일 수 있거나, 또는 기재를 갖는 점착 시트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 미포함 유형" 점착 시트는 "기재 미포함 점착 시트"라고 불릴 수 있고, 기재를 갖는 점착 시트는 "기재를 갖는 점착 시트"라고 불릴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본 발명의 점착 시트가 피착체, 부재 등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각종 피착체, 부재 등에의 적층시에 사용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기재 미포함 점착 시트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점착제층(특히, 이후 기재되는 본 발명의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진 양면 점착 시트이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총 광 투과율은 8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총 광 투과율은 파장 범위가 400 nm 내지 780 nm인 가시 범위에서의 광 투과율을 의미한다. 총 광 투과율은 예를 들어 JIS K 7361-1에 따라 헤이즈 미터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헤이즈는 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헤이즈는 예를 들어 JIS K 7136에 따라 헤이즈 미터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파장 380 nm에서의 광 투과율은 5% 이하,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파장 330 nm에서의 광 투과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하, 특히 더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이들 광 투과율은 예를 들어 JIS K 7361-1에 따라 헤이즈 미터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점착 시트에서, 파장 330 nm 내지 380 nm의 전체 범위의 광 투과율은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파장 330 내지 380 nm의 전체 범위에서의 광 투과율은 예를 들어 JIS K 7361-1에 따라 헤이즈 미터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b*값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5이다. b*값이 2.0 이하인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본 발명의 점착 시트가 사용되는 제품(특히 이후 기재되는 광학 제품)의 외관에 악영향을 덜 미치는 경향이 있어서, 바람직하다. b*값은 JIS Z 8729에 따른 L*a*b* 표색계에서 b*값이고, 간이형 분광색차계(상품명 "DOT-3C", 무라카미 컬러 리서치 래보라토리사(Murakami Color Research Laboratory Co., Ltd.) 제조)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1) 점착제층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적어도 하나의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총 광 투과율 85% 이상이고, 파장 380 nm에서의 광 투과율이 5% 이하이고, 헤이즈가 3% 이하이다. 또한, "총 광 투과율 85% 이상이고, 파장 380 nm에서의 광 투과율이 5% 이하이고, 헤이즈가 3% 이하인 점착제층"은 본원에서 종종 "본 발명의 점착제층"으로서 불린다. 또한, 아크릴 점착제층인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종종 "본 발명의 아크릴 점착제층"으로서 불린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총 광 투과율이 85%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총 광 투과율은 예를 들어 JIS K 7361-1에 따라 헤이즈 미터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헤이즈는 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헤이즈는 예를 들어 JIS K 7136에 따라 헤이즈 미터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파장 380 nm에서의 광 투과율은 5% 이하, 바람직하게는 1%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파장 330 nm에서의 광 투과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이러한 광 투과율은 예를 들어 JIS K 7361-1에 따라 헤이즈 미터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점착제층에서, 파장 330 nm 내지 380 nm의 전체 범위에서의 광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파장 330 내지 380 nm의 전체 범위에서의 광 투과율은 예를 들어 JIS K 7361-1에 따라 헤이즈 미터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b*값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5이다. b*값이 2.0 이하인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본 발명의 점착 시트가 사용되는 제품(특히 이후 기재되는 광학 제품)의 외관에 악영향을 덜 미치는 경향이 있어서, 바람직하다. b*값은 JIS Z 8729에 따른 L*a*b* 표색계에서 b*값이고, 간이형 분광색차계(상품명 "DOT-3C", 무라카미 컬러 리서치 래보라토리사 제조)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에 포함된 점착제층(특히, 본 발명의 점착제층)에 포함된 점착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이들의 예로는 아크릴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비닐 알킬 에테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폴리아미드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불소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로서, 아크릴 점착제는 내후성, 비용 및 점착제의 디자인 용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주성분으로서 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 점착제 (특히, 본 발명의 아크릴 점착제)를 포함한다. 이들 점착제는 단독으로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에 포함된 점착제는 임의의 형태를 갖는 점착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에 포함된 점착제는 에멀젼형 점착제, 용매형(용액형) 점착제, 활성 에너지 선-경화성 점착제, 핫멜트형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생산성 및 자외선 흡수제와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용매형 점착제 및 활성 에너지 선-경화성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아크릴 점착제의 아크릴 중합체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점착제의 전체 양(100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예를 들어 70 내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중량% 이상(예를 들어 85 내지 100 중량%)이다.
(아크릴 중합체)
아크릴 점착제층은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점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아크릴 점착 조성물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이들의 예로는 필수 성분으로서 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 필수 성분으로서 아크릴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의 혼합물 (일부 경우에서 "단량체 혼합물"로서 불림) 또는 이들의 부분적으로 중합된 생성물을 포함하는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전자의 아크릴 점착제로서, 이들의 예로는 소위 용매형 점착제 조성물을 들 수 있고, 후자의 아크릴 점착제로서, 이들의 예로는 소위 활성 에너지 선-경화성 점착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은 필요하다면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점착제 조성물"이라는 용어는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단량체 혼합물"이라는 용어는 중합체를 형성하는 오직 단량체 성분으로만 이루어진 혼합물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부분적으로 중합된 생성물"이라는 용어는 단량체 혼합물의 구성 성분으로부터 하나의 성분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이 부분적으로 중합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아크릴 중합체는 필수 단량체 성분으로서 아크릴 단량체를 포함하는 성분으로부터 형성된 중합체이다. 아크릴 중합체의 단량체 성분으로서 공중합성 단량체가 포함될 수 있다.
아크릴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필수 단량체 성분으로서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알콕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으로부터 형성된다. 즉, 아크릴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단량체 구성 단위로서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알콕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단순하게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 불릴 수 있고;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 ("아크릴"과 "메타크릴" 중 하나 또는 둘다)를 의미하고, 이는 이후에 적용될 것이다. 아크릴 중합체는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단량체 성분(들)으로부터 형성된다.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 이들의 예로는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s-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운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사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타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나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에이코실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특히,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EHA), n-부틸 아크릴레이트 (BA)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MMA)가 보다 바람직하다.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단독으로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알콕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이들의 예로는 2-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3-에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4-메톡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4-에톡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특히, 알콕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 알콕시알킬 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2-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MEA)가 보다 바람직하다. 알콕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단독으로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크릴 중합체를 형성하는 총 단량체 성분(100 중량%)을 기준으로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비율과 알콕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비율의 총합[(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비율)+(알콕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비율)]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상이고 (예를 들어 30 내지 99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이다 (예를 들어 50 내지 99 중량%).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알콕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전자:후자의 중량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25:75,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50:50이다.
아크릴 중합체는 단량체 성분으로서 공중합성 단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아크릴 중합체의 단량체 구성 단위로서, 공중합성 단량체가 포함될 수 있다.
공중합성 단량체의 예는 바람직하게는 고습 환경 내에서의 백탁화(cloudiness)의 억제 및 내구성 향상, 자외선 흡수제와의 상용성을 나타내는 점착제층을 제공한다는 관점에서 분자 내에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단량체, 및 분자 내에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를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즉, 아크릴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단량체 단위로서 분자 내에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단량체를 함유한다. 또한, 아크릴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단량체 단위로서 분자 내에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를 함유한다.
분자 내에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단량체는 그의 분자 내에 (이들의 한 분자 내에) 하나 이상의 질소 원자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분자 내에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단량체"는 일부 경우에 "질소 함유 단량체"라고 불린다. 질소 원자 함유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보다 특히, 질소 원자 함유 단량체의 예는 N-비닐 시클릭 아미드, (메트)아크릴 아미드 등을 포함한다.
N-비닐 시클릭 아미드로서, 이들의 예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N-비닐 시클릭 아미드를 들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79647572-pat00001
(화학식 1에서, R1은 2가 유기기를 나타냄)
화학식 1에서, R1은 2가 유기기이고, 바람직하게는 2가 포화 탄화수소기 또는 2가 불포화 탄화수소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2가 포화 탄화수소기(예를 들어, 3 내지 5개의 탄소 원자 등을 갖는 알킬렌기)이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N-비닐 시클릭 아미드의 예로는 N-비닐-2-피롤리돈, N-비닐-2-피페리돈, N-비닐-3-모르폴리논, N-비닐-2-카프로락탐, N-비닐-1,3-옥사진-2-온, N-비닐-3,5-포르폴린 디온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아미드의 예로는 (메트)아크릴아미드, N-알킬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알킬 (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N-알킬 (메트)아크릴아미드의 예로는 N-에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아미드, N-n-부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옥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N-알킬 (메트)아크릴아미드의 예로는 아미노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아미드, 예를 들어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아미드, 디에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아미드 및 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아미드를 들 수 있다. N,N-(메트)아크릴아미드의 예로는 N,N-디메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프로필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n-부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t-부틸) (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아미드는 다양한 N-히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아미드를 포함한다. N-히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아미드의 예로는 N-메틸롤 (메트)아크릴아미드, N-(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아미드, N-(1-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아미드, N-(3-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아미드, N-(2-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3-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N-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아미드는 또한 다양한 N-알콕시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를 포함한다. N-알콕시알킬 (메트)아크릴아미드의 예로는 N-메톡시메틸 (메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 (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N-비닐 시클릭 아미드 및 (메트)아크릴아미드 이외에 질소 원자 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예를 들어 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t-부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시아노기 함유 단량체,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 헤테로시클리 고리 함유 단량체,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로일 모르폴린, N-비닐피페라진, N-비닐피롤, N-비닐이미다졸, N-비닐피라진, N-비닐모르폴린, N-비닐피라졸, 비닐피리딘, 비닐피리미딘, 비닐옥사졸, 비닐이속사졸, 비닐티아졸, 비닐이소티아졸, 비닐피리다진, (메트)아크릴로일 피롤리돈, (메트)아크릴로일 피롤리딘, (메트)아크릴로일 피페리딘 및 N-메틸비닐피롤리돈;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를 포함한 이미드기 함유 단량체, 예를 들어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N-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N-라우릴말레이미드 및 N-페닐말레이미드, 이타콘임드계 단량체, 예를 들어 N-메틸이타콘이미드, N-에틸이타콘이미드, N-부틸이타콘이미드, N-옥틸이타콘이미드, N-2-에틸헥실이타콘이미드, N-라우릴이타콘이미드 및 N-시클로헥실이타콘이미드, 숙신이미드계 단량체, 예를 들어 N-(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렌 숙신이미드, N-(메트)아크릴로일-6-옥시헥사메틸렌 숙신이미드 및 N-(메트)아크릴로일-8-옥시옥타메틸렌 숙신이미드;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단량체, 예를 들어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질소 원자 함유 단량체로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N-비닐 시클릭 아미드 및 (메트)아크릴아미드가 바람직하고, N-비닐-2-피롤리돈 (NVP), N-비닐-2-카프로락탐, N,N-디메틸 (메트)아크릴아미드 및 N,N-디에틸 (메트)아크릴아미드가 보다 바람직하고, N-비닐-2-피롤리돈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아크릴 중합체를 형성하는 총 단량체 성분(100 중량%)을 기준으로 질소 원자 함유 단량체의 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총 광 투과율 및 아크릴 점착제층의 헤이즈를 제어함으로써 높은 투과율의 아크릴 점착제층을 제공하고, 자외선 흡수제와 우수한 상용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제공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5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 중량%이다.
분자 내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는 그의 분자에 (이들의 한 분자에)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기를 갖는다. 그러나, 이들 분자에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에서, 질소 원자 함유 단량체는 포함되지 않는다. 즉, 본 명세서에서 이들의 분자에 질소 원자 및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는 "질소 원자 함유 단량체"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이들의 분자에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는 일부 경우에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라고 불린다.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의 예로는 히드록실기 함유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 알코올, 알릴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로서, 히드록실기 함유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HEA) 및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4HBA)가 보다 바람직하다.
아크릴 중합체를 형성하는 총 단량체 성분(100 중량%)을 기준으로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의 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아크릴 점착제층의 총 광 투과율 및 헤이즈를 제어함으로써 높은 투과율의 아크릴 점착제층을 제공하고, 적당한 응집력을 발생시켜 응집력 파괴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이다.
질소 원자 함유 단량체 및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이외에 공중합성 단량체로서, 다관능성 단량체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다관능성 단량체로서, 이들의 예로는 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에폭시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다관능성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관능성 단량체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아크릴 중합체를 형성하는 총 단량체 성분(100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하 (예를 들어 0 중량% 내지 0.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 중량% 내지 0.1 중량%이다.
또한, 공중합성 단량체의 예로는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 (예를 들어,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등); 술포네이트기 함유 단량체 (예를 들어, 나트륨 비닐 술포네이트 등); 포스페이트기 함유 단량체;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시클로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등);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페닐 (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트)아크릴레이트 등); 비닐 에스테르 (예를 들어,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필오네이트 등); 방향족 비닐 화합물 (예를 들어, 스티렌, 비닐 톨루엔 등); 올레핀 또는 디엔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이소프렌, 이소부틸렌 등); 비닐 에테르 (예를 들어, 비닐 알킬 에테르 등); 비닐 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 중합체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아크릴 중합체의 중합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이들의 예로는 용액 중합법, 에멀젼 중합법, 벌크 중합법 및 활성 에너지 선 조사에 의한 중합법 (활성 에너지 선 중합법)을 들 수 있다. 특히, 투과율 및 점착제층의 가격의 관점으로부터 용액 중합법 및 활성 에너지 선 중합법이 바람직하고, 용액 중합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크릴 중합체의 중합시, 다양한 종류의 범용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매의 예로는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에스테르, 예컨대 에틸 아세테이트 및 n-부틸 아세테이트; 방향족 탄화수소, 예컨대 톨루엔 및 벤젠; 지방족 탄화수소, 예컨대 n-헥산 및 n-헵탄; 지환족 탄화수소, 예컨대 시클로헥산 및 메틸시클로헥산; 및 케톤, 예컨대 메틸에틸케톤 및 메틸이소부틸케톤을 들 수 있다.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크릴 중합체의 중합시, 중합 개시제, 예를 들어 열 중합 개시제 또는 광중합 개시제(광개시제)는 중합 반응의 종류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열 중합 개시제의 예로는 아조계 개시제, 퍼옥시드계 중합 개시제 (예를 들어 디벤조일 퍼옥시드, tert-부틸퍼말레에이트 등), 산화환원계 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개시제 중에서, JP 2002-69411 A에 개시된 아조계 개시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아조계 개시제로서, 이들의 예로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AMBN), 디메틸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르산 등을 들 수 있다.
아조계 개시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아크릴 중합체를 형성하는 총 단량체 성분 100 중량%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중량부 내지 0.3 중량부이다.
아크릴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 점착 조성물의 코팅 특성의 관점으로부터 일반적으로 100,000 내지 3,000,000, 바람직하게는 300,000 내지 1,5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00 내지 1,100,000이다.
(자외선 흡수제)
점착제층(특히, 본 발명의 아크릴 점착제층)은 파장 380 nm에서의 광 투과율을 제어함으로써 높은 자외선 흡수성을 제공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흡수제(UVA)를 함유한다. 자외선 흡수제의 예로는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및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자외선 흡수제는 단독으로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자외선 흡수제는 자외선 흡수성 뿐만 아니라 아크릴 중합체와의 높은 상용성을 나타내고 아크릴 점착제층의 총 광 투과율 및 헤이즈를 제어함으로써 높은 투과성을 갖는 아크릴 점착제층을 용이하게 제공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보다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실기 함유 트리아진 자외선 흡수제,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페닐 트리아진 자외선 흡수제이다. 즉,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언급된 아크릴 중합체 및 트리아진 자외선 흡수제(특히, 히드록시페닐 트리아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의 예는 2,4-디페닐-6-(2-히드록시-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6-(2-히드록시-4-에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2-히드록시-4-프로폭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2-히드록시-4-프로폭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2-히드록시-4-부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6-(2-히드록시-4-부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6-(2-히드록시-4-헥실옥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6-(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6-(2-히드록시-4-도데실옥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6-(2-히드록시-4-벤질옥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6-(2-히드록시-4-부톡시에톡시)-1,3,5-트리아진, 2,4-비스(2-히드록시-4-부톡시페닐)-6-(2,4-부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4-에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4-프로폭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4-부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4-부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4-헥실옥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4-도데실옥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4-벤질옥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4-에톡시에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4-부톡시에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4-프로폭시에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4-메톡시카르보닐프로필옥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4-에톡시카르보닐에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4-(1-(2-에톡시헥실옥시)-1-옥소프로판-2-일옥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3-메틸-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3-메틸-4-에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3-메틸-4-프로폭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3-메틸-4-부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3-메틸-4-부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3-메틸-4-헥실옥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3-메틸-4-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3-메틸-4-도데실옥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3-메틸-4-벤질옥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3-메틸-4-에톡시에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3-메틸-4-부톡시에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3-메틸-4-프로폭시에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3-메틸-4-메톡시카르보닐프로폭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3-메틸-4-에톡시카르보닐에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3-메틸-4-(1-(2-에톡시헥실옥시)-1-옥소프로판-2-일옥시)페닐)-1,3,5-트리아진을 들 수 있다.
또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제품은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의 예로는 "티누빈(TINUVIN) 400" (바스프(BASF) 제조, 2-(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2-일)-5-히드록시페닐과 [(C10- 내지 C16-, 주로 C12- 내지 C13-알콕시옥시)메틸]옥시란)의 반응 생성물), "티누빈 405" (바스프 제조, 2-(2,4-디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과 (2-에틸헥실)-글리시드산 에스테르의 반응 생성물), "티누빈 460" (바스프 제조, 2,4-비스-[2-히드록시-4-부톡시페닐]-6-(2,4-디부톡시페닐)-1,3,5-트리아진), "티누빈 1577" (바스프 제조,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티누빈 479" (바스프 제조, 2-(2-히드록시-4-[1-옥틸옥시카르보닐에톡시]페닐)-4,6-비스(4-페닐페닐)-1,3,5-트리아진), "티누빈 477" (바스프 제조, 2,4-비스(2,4-디메틸페닐)-6-[2-히드록시-4-(3-알킬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5-α-큐밀페닐)-2-트리아진 주쇄 (알킬옥시: 장쇄 알킬옥시기, 예를 들어 옥틸옥시, 노닐옥시 및 데실옥시))를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점착제층(특히, 본 발명의 아크릴 점착제층) (또는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에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의 함량은 아크릴 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중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 중량부이다. 1 중량부 이상의 함량이 바람직한데, 이는 파장 380 nm에서의 광 투과율이 낮아질 수 있고, 이로써 점착제층에서의 우수한 자외선 흡수성을 용이하게 제공하기 때문이다. 10 중량부 이하의 함량 역시 바람직한데, 이는 아크릴 점착제층의 총 광 투과율 및 헤이즈가 제어될 수 있고, 이로써 높은 투과성의 아크릴 점착제층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점착제층에 블렌딩된 다량의 자외선 흡수제는 상용성이 악화될 수 있어, 자외선 흡수제를 침전시킴으로써 투명성을 저하시키거나 접착력과 같은 점착 특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
(광 안정화제)
점착제층 (특히, 본 발명의 아크릴 점착제층)은 바람직하게는 광 안정화제를 함유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된 자외선 흡수제와 함께 광 안정화제를 함유한다. 광 안정화제는 광산화에서 생성된 라디칼을 포착할 수 있어서, 광(특히, 자외광)에 대한 점착제층의 내성을 향상시킨다. 광 안정화제는 단독으로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광 안정화제는 바람직하게는 제한되지 않지만, 입체장애 아민계 광 안정화제(HALS)이다. 입체장애 아민계 광 안정화제의 예로는 디메틸 숙시네이트와 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딘 에탄올의 중합 생성물 (상표명 "티누빈 622", 바스프 제조), 디메틸 숙시네이트와 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딘 에탄올의 중합 생성물의 N,N',N'',N'''-테트라키스-(4,6-비스-(부틸-(N-메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트리아진-2-일)-4,7-디아자데칸-1,10-디아민 (이들의 중량비는 1:1임)과의 반응 생성물 (상표명 "티누빈 119", 바스프 제조), 디부틸아민·1,3-트리아진·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6-헥사메틸렌디아민과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부틸아민의 중축합 생성물 (상표명 "티누빈 2020", 바스프 제조),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 (상표명 "티누빈 944", 바스프 제조),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와 메틸-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 세바케이트의 혼합물 (상표명 "티누빈 765", 바스프 제조),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상표명 "티누빈 770", 바스프 제조), 데칸이산 비스(2,2,6,6-테트라메틸-1-(옥틸옥시)4-피페리디닐)에스테르(1,1-디메틸에틸히드로퍼옥시드)와 옥탄의 반응 생성물 (상표명 "티누빈 123", 바스프 제조),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3,5-비스(1,1-디메틸에틸)-4-히드록시페닐메틸]부틸말로네이트 (상표명 "티누빈 144", 바스프 제조), 2-아미노에탄올의 시클로헥산과 N-부틸-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아민-2,4,6-트리클로로-1,3,5-트리아진 퍼옥시드의 반응 생성물과의 반응 생성물 (상표명 "티누빈 152", 바스프 제조),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와 메틸-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 세바케이트의 혼합물 (상표명 "티누빈 292", 바스프 제조)를 들 수 있다.
아크릴 점착제층 (특히, 본 발명의 아크릴 점착제층) (또는 아크릴 점착 조성물)에서 광 안정화제 (특히, 입체장애 아민계 광 안정화제)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아크릴 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중량부이다. 0.1 중량부 이상의 광 안정화제 함량이 바람직한데, 광에 대한 내성을 용이하게 나타내기 때문이다. 3 중량부 이하의 광 안정화제 함량이 또한 바람직한데, 광 안정화제에 의한 착색이 덜 발생하고, 이로써 높은 총 광 투과율 및 낮은 헤이즈를 갖는 점착제층을 용이하게 제공하기 때문이다.
(가교제)
점착제층 (특히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피착체에 대한 충분한 접착 신뢰성을 제공하는 관점에서 가교제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아크릴 점착제층의 아크릴 중합체는 겔 분률을 제어하도록 가교될 수 있다. 가교제는 단독으로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가교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이들의 예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퍼옥시드계 가교제, 우레아계 가교제, 금속 알콕시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금속염계 가교제,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아민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와 에폭시계 가교제가 바람직하고,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 이들의 예로는 저급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1,2-에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부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시클로펜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수소화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예를 들어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제품, 예를 들어 트리메틸롤프로판/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니폰 폴리우레탄 인더스트리사(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 Ltd.) 제조, 상표명 "코로네이트(CORONATE) L"), 트리메틸롤프로판/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니폰 폴리우레탄 인더스트리사 제조, 상표명 "코로네이트 HL"), 트리메틸롤프로판/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미츠이 케미칼스사(Mitsui Chemicals Co., Ltd., 상표명 "다케나테(TAKENATE) D-110N")일 수 있다.
에폭시계 가교제(다관능성 에폭시 화합물)로서, 이들의 예로는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렌디아민, 디글리시딜 아닐린,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6-헥산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네오펜틸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소르비톨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폴리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소르비탄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트리메틸롤프로판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아디프산 디글리시딜 에스테르, o-프탈산 디글리시딜 에스테르, 트리글리시딜-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레소르신 디글리시딜 에테르, 비스페놀-S-디글리시딜 에테르 및 분자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에폭시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에폭시계 가교제는 예를 들어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제품, 예를 들어 미츠비시 가스 케미컬사(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에서 제조된 상표명 "테트라드(TETRAD) C"일 수 있다.
점착제층(특히 본 발명의 아크릴 점착제층)에서의 가교제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아크릴 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이다.
(실란 커플링제)
점착제층 (특히, 본 발명의 아크릴 점착제층)은 유리에 대한 접착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는 단독으로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이들의 예로는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트리메톡시실란을 들 수 있고, N-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실란 커플링제로서, 예를 들어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제품, 예컨대 상표명 "KBM-403" (신-에츠 케미칼사(Shin-Etsu Chemical Co., Ltd.) 제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특히 본 발명의 아크릴 점착제층) (또는 아크릴 점착 조성물)에서의 실란 커플링제의 함량은 아크릴 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부 내지 1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이다.
(기타 첨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화제, 가교제 및 실란 커플링제 이외에, 필요하다면 점착제층(특히 본 발명의 아크릴 점착제층)에 첨가제, 예컨대 가교 촉진제, 점착 수지(로진(rosin) 유도체, 폴리테르펜 수지, 페트롤륨 수지 및 유용성 페놀), 노화방지제, 충전제, 착색제 (염료 또는 안료), 산화방지제, 사슬 전달제, 가소제, 연화제, 계면활성제 및 대전 방지제가 본 발명의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한 사용될 수 있다.
점착제층(특히 본 발명의 아크릴 점착제층)의 형성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점착제층은 기판 또는 이형 라이너 상에 점착 조성물(특히, 아크릴 점착 조성물)을 적용함으로써, 필요하다면 적용된 점착 조성물을 건조 및/또는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아크릴 점착 조성물은 필요한 한 첨가제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화제 등)를 아크릴 중합체 또는 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는 용액에 추가로 혼합시킴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점착 조성물의 코팅시, 공지된 코팅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터, 예컨대 그라비어 롤 코터(gravure roll coater), 리버스 롤 코터(reverse roll coater), 키스 롤 코터(kiss roll coater), 딥 롤 코터(dip roll coater), 바 코터(bar coater), 나이프 코터(knife coater), 분무 코터(spray coater), 콤마 코터(comma coater) 및 다이렉트 코터(direct coater)가 사용될 수 있다.
점착제층(특히 본 발명의 아크릴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광 투과율 및 헤이즈를 제어하고 피착체에 대한 접착 신뢰성을 제공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 ㎛,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이다.
점착제층(특히 본 발명의 아크릴 점착제층)의 겔 분률(용매 불용성 물질의 비)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피착체에 대한 접착 신뢰성 또는 점착제층의 가요성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내지 9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내지 95 중량%이다.
겔 분률은 에틸 아세테이트 중 불용성 물질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침지전 샘플에 대해 점착제층이 에틸 아세테이트에 23℃로 7일 동안 침지된 후의 불용성 물질의 중량 분률(단위: 중량%)로서 측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겔 분률(용매 불용성 성분)은 예를 들어 하기 기재되는 "겔 분률의 측정 방법"에 의해 계산된 값이다.
(겔 분률의 측정 방법)
점착 시트로부터 점착제층 약 0.1 g을 샘플링하고, 평균 공극 크기가 0.2 ㎛인 다공성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상표명 "NTF1122", 니토덴코사(Nitto Denko Corporation) 제조)로 감싸고, 연실(kite string)으로 묶고 이 때 중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중량을 침지 전 중량으로서 표시한다. 침지 전 중량은 점착제층 (상기 샘플링한 점착제층),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 및 연실의 총 중량이다.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 및 연실의 총 중량을 또한 측정하고, 이 중량을 래퍼(wrapper) 중량이라고 표시한다.
그 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로 감싸고 연실로 묶은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후 "샘플"이라고 부름)은 에틸 아세테이트로 채워진 50 ml 부피 용기에 넣은 후, 23℃에서 7일 동안 유지한다. 이어서 샘플(에틸 아세테이트 처리 후)을 용기로부터 꺼내고, 알루미늄제 컵으로 옮긴 후, 건조기에서 130℃로 2시간 동안 건조하여 에틸 아세테이트를 제거하고, 중량을 측정하고, 이 중량을 침지 후 중량을 표시한다.
겔 분률은 하기 식에 따라 계산된다:
겔 분률(중량%)=((X-Y)/(Z-Y))×100
(식 중, X는 침지 후 중량이고, Y는 래퍼 중량이고, Z는 침지 전 중량임).
아크릴 점착제층의 겔 분률은 예를 들어 단량체 조성물 및 아크릴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 가교제의 사용량(첨가량) 등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소정 값 이상의 총 광 투과율, 소정 값 이하의 파장 380 nm에서의 광 투과율 및 소정 값 이하의 헤이즈를 특성으로 갖는 바람직한 특정 실시양태는 상기 언급된 아크릴 중합체와 상기 언급된 트리아짐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아크릴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이는 아크릴 중합체와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가 고도로 상용성이어서 높은 투과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자외선 흡수성을 나타내는 아크릴 점착제층이 얻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높은 자외선 흡수성 및 높은 투명성의 관점에서 적어도 아크릴 중합체와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아크릴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언급된 질소 원자 함유 단량체 및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가 아크릴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 성분으로 사용되는 경우,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특히, 히드록시페닐 트리아진 자외선 흡수제)를 갖는 아크릴 중합체의 전자친화도는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아크릴 중합체와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의 상용성이 향상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높은 자외선 흡수성 및 높은 투과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바람직한 특정 실시양태는 필수 단량체 성분으로서 적어도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알콕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분자내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단량체, 및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특히, 히드록시페닐 트리아진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성분으로부터 형성되는 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는 아크릴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상기 특히 바람직한 특정 실시양태의 아크릴 점착제층에서, 아크릴 점착제층에 함유된 아크릴 중합체는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특히, 히드록시페닐 트리아진 자외선 흡수제)와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아크릴 중합체를 형성하는 총 단량체 성분(100 중량%)을 기준으로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알콕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30 내지 99 중량%(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9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9 중량%)의 이들의 비율 총합으로 함유하고, 질소 원자 함유 단량체를 1 내지 30 중량%(바람직하게는 3 내지 2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 중량%)의 비율로 함유하고,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를 0.5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의 비율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상기 특정 실시양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양태로서, 본 발명은 아크릴 중합체와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적어도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 시트의 실시양태를 포함한다.
(II) 다른 점착제층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본 발명의 점착제층과 함께 본 발명의 점착제층 이외의 점착제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점착제층은 공지된 점착제로부터 형성된 공지된 또는 공통의 점착제층, 예를 들어 우레탄계 점착제, 아크릴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폴리아미드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및 불소계 점착제를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점착제는 단독으로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III) 기재
본 발명의 점착제는 또한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들의 예로는 다양한 광학 필름,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필름, 반사방지(AR) 필름, 편광 플레이트 및 위상차(retardation) 필름을 들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 등의 재료로서, 이들의 예로는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수지,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아크릴 수지, 예컨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르보네이트;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폴리술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이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시클릭 올레핀계 중합체, 예컨대 상표명 "ARTON (시클릭 올레핀계 중합체; JSR 제조)" 및 상표명 "ZEONOR (시클릭 올레핀계 중합체; 니폰 제논사(Nippon Zeon Co., Ltd.) 제조)"를 들 수 있다. 플라스틱 재료는 단독으로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재"는 점착 시트가 피착체(광학 부재 등)에 적층될 때 점착제층과 함께 피착체에 적층된 부분이다. 점착 시트의 사용(적층)시 박리되는 세퍼레이터(이형 라이너)는 "기재"에 포함되지 않는다.
기재는 바람직하게는 투명 기재이다. 기재의 가시관 파장 구역에서의 총 광 투과율(JIS K 7361-1에 따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8% 이상이다. 기재의 헤이즈(JIS K7136에 따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트명 기판이 PET 필름 또는 비배향 필름, 예를 들어 상표명 "ARTON", 및 상표명 "ZEONOR"일 수 있다.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12 ㎛ 내지 75 ㎛이다. 기재는 단일층 형상 또는 다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재의 표면 상에, 예를 들어 공지된/일반적인 표면 처리, 예를 들어 물리적 처리, 예컨대 코로나 방전 처리 및 플라즈마 처리 및 화학 처리, 예컨대 언더코트 처리가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다.
(IV) 본 발명의 점착 시트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적어도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이들의 표면 둘다가 점착 표면인 양면 점착 시트일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의 한 표면만 점착 표면인 편면 점착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기재 미포함 점착 시트일 수 있거나, 또는 시트를 갖는 점착 시트일 수 있다. 이들 중, 기재 미포함 점착 시트가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진 양면 점착 시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가 기재 미포함 점착 시트인 경우, 특정 구조의 예는 예를 들어 점착제층 (특히, 본 발명의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진 양면 점착 시트 및 본 발명의 점착제층 및 다른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양면 점착 시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가 기재를 갖는 점착 시트인 경우, 특정 구조의 예는 기재의 한 면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편면 점착 시트,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양면 점착 시트, 및 기재의 한 면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 및 기재의 다른 면에 다른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양면 점착 시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점착 표면에, 사용시까지 세퍼레이터(이형 라이너)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가 양면 점착 시트인 경우, 각 점착 표면은 각각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보호되거나, 또는 표면이 양면이 이형 표면인 하나의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롤 형태로 권취되는 방식으로 보호될 수 있다. 세퍼레이터는 점착제층의 보호 물질로서 사용되고, 점착제층이 피착체에 적층될 때 박리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가 기재 미포함 점착 시트인 경우, 세퍼레이터는 점착제층의 지지체로서 기능한다. 세러페이터는 제공될 수 없다.
세퍼레이터로서, 임의의 공지된 이형지가 사용될 수 있다. 세러페이터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이형 처리층, 불소 중합체로 구성된 저 접착 기재, 또는 비극성 중합체로 구성된 저 접착 기재를 갖는 기재일 수 있다. 이형 처리층을 갖는 기재로서, 이들의 예로는 표면이 이형제, 예컨대 규소 유형, 장쇄알킬 유형, 불소유형 및 몰리브덴 술피드로 처리된 플라스틱 필름 또는 종이를 포함한다. 불소 중합체로 구성된 저 접착 기재에서 불소계 중합체로서, 이들의 예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로로에틸렌,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비극성 중합체로서, 이들의 예로는 올레핀계 수지(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세퍼레이터는 공지된/일반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두께 (총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00 ㎛ 내지 2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1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이다.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두께에 포함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점착 시트의 공지된 및 일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가 기재 미포함 점착 시트인 경우, 점착 시트는 상기 언급된 방법에 의해 세퍼레이터(이형 필름)에서 점착제층(특히,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가 기재를 포함하는 경우, 점착제층 (특히,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기재의 표면 상에 직접 형성될 수있거나 (직접 주사 방법), 또는 또한 세퍼레이터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 형성된 점착제층 (특히,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기재에 전달(적층)으로써 기재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전달 방법).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소정 값 이상의 총 광 투과율, 소정 값 이하의 파장 380 nm에서의 광 투과율 및 소정값 이하의 헤이즈를 갖고, 따라서, 투과성이 우수하고 자외선 흡수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광학 필름의 사용량이 적거나 또는 광학 필름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서도 광학 특성을 유지하면서 터치 패널, 표시 소자 등에 대하여 그 안에 우수한 자외선 보호 특성을 갖는 표시 장치 또는 입력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표시 장치의 예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전계 발광) 표시 장치, PDP(플라즈마 표시 패널) 및 전자 종이를 포함한다. 입력 장치의 예로는 터치 패널을 들 수 있다.
상기 기재된 특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광학 용도에 사용된다. 즉,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광학용 점착 시트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서로 광학 부재를 적층하기 위한 용도 또는 광학 부재가 사용되는 제품(광학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용도에서 사용되는 광학용 점착 시트이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가 자외선 흡수성에서 우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점착 시트를 함유하는 광학 제품에서 자외광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경우, 본 발명의 점착 시트 이외의 부재가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해서는 안 되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투명성에서 우수하고, 따라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를 함유하는 광학 제품의 외관에 악영향을 덜 미치는 경향이 있다.
부재, 예를 들어 광학 필름에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는 소량의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매우 높은 비용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부여된 자외선 보호 특성을 갖고, 따라서 다른 광학 부재, 예를 들어 광학 필름에 첨가된 자외선 흡수제를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비용 이점을 갖는 자외선 흡수 성능을 용이하게 부여할 수 없다.
광학 부재는 광학 특성 (예를 들어, 평광 특성, 광굴절 특성, 광산란 특성, 광반사 특성, 광투과 특성, 광 흡수 특성, 광회절 특성, 광학 회전 특성 및 시인성)을 갖는 부재를 지칭한다. 광학 부재는 광학 부재가 광학 특성을 갖는 부재, 장치, 예를 들어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 및 입력 장치를 구성하는 부재이거나, 또는 장치에 사용된 부재가 예시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들의 예로는 평관 플레이트, 파장 플레이트, 위상차 플레이트, 광학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도광 플레이트, 반사 필름, 반사 방지 필름, 투명 전도성 필름 (예를 들어 ITO 필름), 디자인 필름, 장식 필름, 표면 보호 필름, 프리즘, 렌즈, 컬러 필터, 투명 기재, 및 이들이 적층되는 부재 (총칭해서 일부 경우에 "기능성 필름"이라고 불림)를 들 수 있다. "플레이트" 및 "필름" 각각은 플레이트 형상, 필름 형상 및 시트 형상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평광 필름"은 "편광 플레이트" 및 "편광 시트를 포함한다.
광학 부재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유리, 아크릴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금속 박막 등의 부재(예를 들어 시트 형상, 필름 형상 또는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 부재"는 또한 장식 또는 보호용 부재(디자인 필름, 장식 필름, 표면 보호 필름 등)을 포함하고, 피착체로서 표시 장치 또는 입력 장치의 시인성을 유지한다.
실시예
본 발명은 실시에 따라 하기에 상세하게 기재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단량체 성분으로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63 중량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 9 중량부, N-비닐-2-피롤리돈(NVP) 15 중량부 및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13 중량부, 및 중합 용매로서 에틸 아세테이트 175 중량부를 개별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1 시간 동안 질소 기체를 도입하였다. 따라서, 중합계 내에 산소를 제거한 후,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 중량부를 중합 개시제로서 첨가하고, 온도를 63℃로 상승시켜 계를 10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고체 농도가 36 중량%인 아크릴 중합체의 용액을 제공하였다.
상기 아크릴 중합체 용액 중 아크릴 중합체는 85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졌다.
이어서, 상기 아크릴 중합체 용액에, 아크릴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상표명 "TAKENATE D110N", 미츠이 케미칼스사 제조, 활성 성분 함량: 75%) 0.528 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 (상표명 "KBM403", 신-에츠 케미칼사 제조, 활성 성분 함량: 100%) 0.054 중량부, 자외선 흡수제 (상표명 "티누빈 477", 바스프 제조, 활성 성분 함량: 80%, 히드록시페닐 트리아진 자외선 흡수제) 2.700 중량부, 및 광 안정화제 (상표명 "티누빈 123", 바스프 제조, 활성 성분 함량: 100%) 0.360 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아크릴 점착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이어서, 아크릴 점착 조성물을 박리 처리 표면을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세퍼레이터(PET 세퍼레이터)(상표명 "MRF75", 미츠비시 플라스틱스사 제조)의 이형 처리 표면 상에 적용하고, 건조 후 두께가 50 ㎛가 되었고, 60℃에서 1분 및 140℃에서 1분 동안 가열하고 건조한 후, 추가로 23℃에서 120시간 동안 숙성시켜 점착 시트(기재 미포함 점착 시트가 아크릴 점착제층/이형필름의 구조를 가짐)를 제공하였다.
비교 실시예 1
아크릴 중합체 용액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득하였다.
이어서, 상기 아크릴 중합체 용액에, 아크릴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상표명 "TAKENATE D110N", 미츠이 케미칼스사 제조, 활성 성분 함량: 75%) 0.528 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 (상표명 "KBM403", 신-에츠 케미칼사 제조, 활성 성분 함량: 100%) 0.054 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아크릴 점착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이어서, 점착 조성물을 사용하여, 점착 시트 (이형 필름의 한 면 상에 점착제층을 갖는 기재 미포함 점착 시트)를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득하였다.
(측정)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수득된 점착 시트에 대해 하기 측정을 수행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1) 헤이즈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 표면을 슬라이드 유리(상표명 "MICRO SLIDE GLASS", 모델 "S", 마츠나미 글래스 인더스트리사(Matsunami Glass Ind., Ltd.) 제조, 두께: 1.3 mm, 총 광 투과율: 91.8%, 헤이즈: 0.1%, 연마 연부)에 적층하고, 온도 23℃ 및 습도 50% RH의 환경 하에서 30분 동안 놔두었다. 이후, 이형 필름을 제거하여 시험편을 제공하였다.
시험편의 헤이즈는 헤이즈 미터(상표명 "HM-150", 무라카미 컬러 리서치 래보라토리사 제조)를 사용하여 23℃ 및 50% RH의 환경에서 측정하였다.
헤이즈의 측정은 JIS K 7136에 따라 수행하였다.
(2) 총 광 투과율 (파장 400 내지 780 nm(가시광)에서의 광 투과율) 및 파장 380 nm에서의 광 투과율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 표면을 슬라이드 유리(상표명 "MICRO SLIDE GLASS", 모델 "S", 마츠나미 글래스 인더스트리사, 두께: 1.3 mm, 총 광 투과율: 91.8%, 헤이즈: 0.1%, 연마 연부)에 적층하고, 온도 23℃ 및 습도 50% RH의 환경 하에서 30분 동안 놔두었다. 이후, 이형 필름을 제거하여 시험편을 제공하였다.
시험편의 각 파장에서의 광 투과율은 헤이즈 미터(상표명 "HM-150", 무라카미 컬러 리서치 래보라토리사 제조)를 사용하여 23℃ 및 50% RH의 환경에서 측정하였다.
광 투과율의 측정은 JIS K 7361-1에 따라 수행하였다.
(3) 접착력 (180° 박리 접착력)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 표면을 백킹(backing) 기재에 적층하여 채우고(line) 20 mm 폭 및 100 mm 길이의 크기로 절단하여 시험편을 제공하였다.
이형 필름을 시험편으로부터 제거하고, 2 kg 롤러를 앞뒤 1회 왕복함으로써 시험편을 피착체(유리 플레이트 또는 PET 필름)에 압착하고, 23℃ 및 50% RH의 분위기 하에서 30분 동안 숙성시켰다.
이후, 접착력(180° 박리 접착력)(N/20 mm)을 JIS Z0237 (2000)에 따라 23℃ 및 50% RH의 분위기 하에서 인장 시험기(상표명 "TG-1kN")를 사용하여 인장 속도 300 mm/분의 인장 속도 및 박리 각도 180°의 조건 하에서 시험편을 피착제로부터 박리시킴으로써 측정하였다.
상기 사용된 유리 플레이트는 소다-석회 유리(미츠나미 글래스 인더스트리사 제조)이었고, 상기 사용된 PET 필름은 PET 필름(상표명 "LUMIRROR-S-10#100", 도레이 인더스트리즈사(Toray Industries, Inc.) 제조)이었다.
백킹 기재로서, 유리 플레이트에 대한 접착력을 측정할 경우 PET 필름(상표명 "LUMIRROR-S-10#25", 도레이 인더스트리즈사 제조)을 사용하였고, PET 필름에 대한 접착력을 측정할 경우 PET 필름(상표명 "A4100" 도요보사(Toyobo Co, Ltd.) 제조, 용이한 접착력을 얻기 위해 표면 처리된 PET 필름, 두께: 125 ㎛)을 사용하였다.
(4) 겔 분률
겔 분률은 상기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겔 분률 측정법).
(5) b*값 (L*a*b* 표색계의 b*값)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 표면은 슬라이드 유리(상표명 "MICRO SLIDE GLASS", 모델 "S", 마츠나미 글래스 인더스트리사, 두께: 1.3 mm, 총 광 투과율: 91.8%, 헤이즈: 0.1%, 연마 연부)에 적층하고, 온도 23℃ 및 습도 50% RH의 환경 하에 놔두었다. 이후, 이형 필름을 제거하여 시험편을 제공하였다.
시험편의 b*값은 간이형 분광색차계(상품명 "DOT-3C", 무라카미 컬러 리서치 래보라토리사 제조)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b*값의 측정은 JIS K 8729에 따라 수행되었다.
2.0 이하의 b*값은 점착 테이프가 사용되는 제품의 외관에 악영향을 덜 미치므로, 바람직하다.
Figure 112012079647572-pat00002
실시예 1 및 비교 실시예 1로부터 얻어진 점착 시트의 경우, 280 내지 780 nm 범위의 각 파장에서의 광 투과율은 상기 "(2) 총 광 투과율 (파장 400 내지 780 nm(가시광)에서의 광 투과율) 및 파장 380 nm에서의 광 투과율"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이들의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아크릴 중합체와 자외선 흡수제의 상용성에 대한 참고 시험)
아크릴 중합체와 자외선 흡수제의 상용성에 대한 참고 시험의 예를 하기 나타낸다.
상용성에 대한 예비시험
하기 표 2에 나타낸 단량체의 조성물 비율을 얻도록 단량체 성분(2-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2MEA),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4HBA), 에틸 아크릴레이트(EA),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 N-비닐-2-피롤리돈(NVP), 및/또는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을 선택하여, 중합 용매로서 에틸 아세테이트 200부 중 단량체 성분 100 중량부의 단량체 혼합물 용액을 제공하였다.
단량체 혼합물 용액을 개별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질소 기체를 도입하면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와 같이 중합계 내의 산소를 제거한 후,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 중량부를 중합 개시제로서 참가하고, 온도를 63℃로 상승시켜 계를 10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고체 농도가 36 중량%인 중합체 용액 (중합체 A의 중합체 용액, 중합체 B의 중합체 용액, 또는 중합체 C의 중합체 용액)을 제공하였다.
이어서, 자외선 흡수제 4 중량부를 중합체 용액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육안 관찰에 의해 백탁의 존재 또는 부재를 측정하였다.
백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용성은 "양호"로서 평가하였고, 백탁이 발생하는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2079647572-pat00003
Figure 112012079647572-pat00004
표 3에서, "단파장"은 "파장이 330 nm인 광"을 의미하고, "장파장"은 "파장이 380 nm인 광"을 의미한다. 자외선 흡수성의 열에서 "양호"는 우수한 광 흡수성을 나타내고 "불량"은 불량한 광 흡수성을 나타낸다.
표 3에서 "-"는 평가가 수행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표 3의 약어는 하기를 의미한다.
Tinuvin 326: 벤조트리아졸 자외선 흡수제 (상표명 "티누빈 326", 바스프 제조)
Tinuvin 477: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 자외선 흡수제 (상표명 "티누빈 477", 바스프 제조)
Tinuvin 384-2: 벤조트리아졸 자외선 흡수제 (상표명 "티누빈 384-2", 바스프 제조)
Tinuvin 479: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 자외선 흡수제 (상표명 "티누빈 479", 바스프 제조)
Chimassorb 81: 벤조페논 자외선 흡수제 (상표명 "키마조브(CHIMASSORB) 81, 바스프 제조)
Tinuvin 109: 벤조트리아졸 자외선 흡수제(상표명 "티누빈 109", 바스프 제조)
Sumisorb 130: 벤조페논 자외선 흡수제(상표명 "수미조브(SUMISORB) 130", 스미토모 케미칼사(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제조)
Sumisorb 300: 벤조트리아졸 자외선 흡수제(상표명 "수미조브 300", 스미토모 케미칼사 제조)
Sumisorb 350: 벤조페논 자외선 흡수제(상표명 "수미조브 350", 스미토모 케미칼사 제조)
Tinuvin 400: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 자외선 흡수제(상표명 "티누빈 400", 바스프 제조)
Tinuvin PS: 벤조트리아졸 자외선 흡수제(상표명 "티누빈 PS", 바스프 제조)
Tinuvin 405: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 자외선 흡수제(상표명 "티누빈 405", 바스프 제조)
상기 실시예 1은 중합체 C 및 자외선 흡수제(상표명 "티누빈 477", 히드록시페닐 트리아진 자외선 흡수제, 바스프 제조)를 사용하여 수행되었고, 아크릴 중합체와 자외선 흡수제의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내는 조합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아크릴 중합체와 자외선 흡수제의 조합 이외에 우수한 용해성을 나타내는 아크릴 중합체와 자외선 흡수제의 특정한 조합은 실시예 1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즉, 통상의 기술자는 상기 결과로부터 실시예 1에 기재된 특정 조합 이외에 다른 조합으로도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참고 시험)
점착 시트의 경우, 하기 광 내성 시험을 수행하여 광 내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광 내성에 대해, 광 내성에 대한 광 안정화제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광 내성 시험시, 실시예 2 내지 6의 점착 시트가 추가로 제조되었다. 시험 결과는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점착 시트(이형 필름의 한 면 상에 점착제층을 갖는 기재 미포함 점착 시트)는 아크릴 점착 조성물을 적용하여 건조 후 두께가 12 ㎛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얻어졌다.
실시예 3
점착 시트(이형 필름의 한 면 상에 점착제층을 갖는 기재 미포함 점착 시트)는 광 안정화제(상표명 "티누빈 123", 바스프 제조)를 아크릴 중합체 용액에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얻어졌다.
실시예 4
점착 시트(이형 필름의 한 면 상에 점착제층을 갖는 기재 미포함 점착 시트)는 광 안정화제(상표명 "티누빈 123", 바스프 제조) 대신에 산화방지제(상표명 "이르가녹스(IRGANOX) 1010", 바스프 제조)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얻어졌다.
실시예 5
점착 시트(이형 필름의 한 면 상에 점착제층을 갖는 기재 미포함 점착 시트)는 광 안정화제(상표명 "티누빈 123", 바스프 제조)의 양을 0.720 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얻어졌다.
실시예 6
점착 시트(이형 필름의 한 면 상에 점착제층을 갖는 기재 미포함 점착 시트)는 광 안정화제(상표명 "티누빈 123", 바스프 제조)의 양을 1.080 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얻어졌다.
광 내성 시험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 표면을 PET 필름(상표명 "LUMIRROR-S-10#25", 도레이 인더스트리즈사 제조)에 적층하고, 20 mm 폭 및 100 mm 길이의 크기로 절단하고 온도 23℃ 및 습도 50% RH의 환경 하에서 30분 동안 놔두어 적층체(PET 필름/아크릴 점착제층/이형 필름)를 제공하였다.
적층체를 선샤인 카본 아크(sunshine carbon arc) 내후성 시험기(상표명 "WEL-3SUN-H", 스가 테스트 인스트루먼츠사(Suga Test Instruments Co., Ltd.) 제조)에 탑재하고 광을 조사하여 시험을 시작하였다. 내후성 시험의 시작 시점을 내후성 시험의 "초기 시간"으로서 설정하였다.
신장(파단 시장)은 하기 기재된 신장 시험(파단 신장 시험)에 의해 "초기 시간", "시험 시작 후 200 시간" (200 시간 후), "시험 시작 후 500 시간" (500 시간 후) 및 "시험 시작 후 1000 시간" (1000 시간 후)에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PET 필름의 열화가 발생 및 열화의 정도가 이들 시간에서의 신장으로부터 추측되고, 점착 시트의 내후성은 필름의 열화 발생 및 열화의 정도로부터 추정된다. 이러한 추정은 우수한 내후성이 PET 필름의 열화를 작게 하고, 불량한 내후성이 PET 필름의 열화를 많이 시킨다는 가정에 기초한다.
신장 시험(파단 신장 시험)
신장(파단 신장)(%)은 JIS K 6767의 인장 강도 및 신장 항목에 따라 인장 시험기(상표명 "TG-1kN", 미네베아사(Minebea Co., Ltd.) 제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장 시험 수행시 시험편은 PET 필름/점착제층의 적층체 구조를 갖고, 이는 상기 언급된 적층체(PET 필름/아크릴 점착제층/이형 필름의 적층체)로부터 이형 필름을 배제함으로써 얻어진 구조이다.
Figure 112012079647572-pat00005
상기 결과로부터, 광 안정화제의 첨가가 내후성(광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양태를 참고하여 자세하게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그 안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출원은 그의 전체 주제가 본원에 참고로 삽입된, 2011년 9월 3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1-216301호에 기초한다.
본 발명은 하기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1) 총 광 투과율이 85% 이상이고;
파장 380 nm에서의 광 투과율이 5% 이하이고;
헤이즈가 3% 이하인 점착 시트.
(2) (1)에 있어서, 아크릴 중합체 및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 시트.
(3) (2)에 있어서, 아크릴 중합체가 단량체 단위로서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알콕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것인 점착 시트.
(4) (3)에 있어서,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비율과 알콕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비율의 총합이 아크릴 중합체를 형성하는 총 단량체 성분(100중량%)을 기준으로 30 중량% 이상인 점착 시트.
(5)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아크릴 중합체가 단량체 단위로서 분자 내에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단량체를 함유하는 것인 점착 시트.
(6) (5)에 있어서, 분자 내에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단량체의 비율이 아크릴 중합체를 형성하는 총 단량체 성분(100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인 점착 시트.
(7) (2)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아크릴 중합체가 단량체 단위로서 분자 내에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를 함유하는 것인 점착 시트.
(8) (7)에 있어서, 분자 내에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의 비율이 아크릴 중합체를 형성하는 총 단량체 성분(100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5 중량%인 점착 시트.
(9) (2)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의 함량이 아크릴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10 중량부인 점착 시트.
(10)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광학용 점착 시트인 점착 시트.

Claims (10)

  1. 총 광 투과율이 85% 이상이고;
    파장 380 nm에서의 광 투과율이 5% 이하이며;
    헤이즈가 3% 이하인 점착 시트로서,
    상기 점착 시트는 아크릴 중합체 및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 중합체는 단량체 단위로서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알콕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분자 내에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를 함유하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비율과 알콕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비율의 총합은 아크릴 중합체를 형성하는 총 단량체 성분(100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상이고,
    분자 내에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의 비율은 아크릴 중합체를 형성하는 총 단량체 성분(100중량%)을 기준으로 13 내지 25 중량%인 점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제로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것인 점착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가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이들 둘 다인 점착 시트.
  4. 제2항에 있어서,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가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이들 둘 다인 점착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크릴 중합체가 단량체 단위로서 분자 내에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단량체를 함유하는 것인 점착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분자 내에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단량체의 비율이 아크릴 중합체를 형성하는 총 단량체 성분(100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인 점착 시트.
  7. 삭제
  8. 삭제
  9.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의 함량이 아크릴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10 중량부인 점착 시트.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학용 점착 시트인 점착 시트.
KR1020120109098A 2011-09-30 2012-09-28 점착 시트 KR1019124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16301 2011-09-30
JP2011216301A JP5945393B2 (ja) 2011-09-30 2011-09-30 粘着シー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111A Division KR102046555B1 (ko) 2011-09-30 2018-10-22 점착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963A KR20130035963A (ko) 2013-04-09
KR101912407B1 true KR101912407B1 (ko) 2018-10-29

Family

ID=47993199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098A KR101912407B1 (ko) 2011-09-30 2012-09-28 점착 시트
KR1020180126111A KR102046555B1 (ko) 2011-09-30 2018-10-22 점착 시트
KR1020180172730A KR102066679B1 (ko) 2011-09-30 2018-12-28 점착 시트
KR1020200002133A KR20200006147A (ko) 2011-09-30 2020-01-07 점착 시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111A KR102046555B1 (ko) 2011-09-30 2018-10-22 점착 시트
KR1020180172730A KR102066679B1 (ko) 2011-09-30 2018-12-28 점착 시트
KR1020200002133A KR20200006147A (ko) 2011-09-30 2020-01-07 점착 시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045670B2 (ko)
JP (1) JP5945393B2 (ko)
KR (4) KR101912407B1 (ko)
CN (1) CN103031071B (ko)
TW (1) TWI5105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WO2013028047A2 (ko) * 2011-08-25 2013-0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JP6057600B2 (ja) * 2012-08-09 2017-01-1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粘着剤層、および粘着シート
KR101742845B1 (ko) 2013-09-30 2017-06-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외선 차단 기능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CN105393145B (zh) * 2013-05-30 2018-01-26 Lg化学株式会社 具有优异紫外线阻挡性质的光学膜和含有该光学膜的偏振片
EP2889351B1 (en) * 2013-06-19 2020-10-14 LG Chem, Ltd. Adhesive composition
EP2886623B1 (en) * 2013-06-19 2020-11-04 LG Chem, Ltd. Adhesive composition
KR20150016878A (ko) * 2013-08-05 2015-0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방법
DE102013217785A1 (de) * 2013-09-05 2015-03-05 Tesa Se Verwendung von Haftklebebändern für optische Anwendungen
JP2015125168A (ja) * 2013-12-25 2015-07-0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誘電体多層膜フィルム
JP6357012B2 (ja) * 2014-05-23 2018-07-1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パターン電極シート
JP6762079B2 (ja) * 2014-06-06 2020-09-30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シート
KR101816966B1 (ko) * 2014-08-04 2018-01-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101892324B1 (ko) * 2014-09-30 2018-08-28 주식회사 엘지화학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US10613260B2 (en) * 2014-11-11 2020-04-07 Samsung Sdi Co., Ltd. Window film for displa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JP6535924B2 (ja) * 2014-12-17 2019-07-0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ウィンドウフィルム
JP6635727B2 (ja) * 2015-01-22 2020-01-29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シート
JP6592254B2 (ja) * 2015-02-26 2019-10-16 日東電工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紫外線硬化型アクリル系粘着剤層、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紫外線硬化型アクリル系粘着剤層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6157077A (ja) * 2015-02-26 2016-09-0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6498991B2 (ja) * 2015-03-31 2019-04-1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JP6654362B2 (ja) * 2015-06-04 2020-02-2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1821801B1 (ko) * 2015-06-18 2018-01-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376817B1 (ko) * 2015-08-28 2022-03-21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648801B1 (ko) 2015-12-25 2024-03-1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el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유기 el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을 갖는 편광 필름, 및 유기 el 표시 장치
JP6830350B2 (ja) 2015-12-25 2021-02-17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
JP2017165941A (ja) 2015-12-25 2017-09-21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組成物、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及び有機el表示装置
JP2017120363A (ja) * 2015-12-25 2017-07-0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KR20240050450A (ko) 2015-12-25 2024-04-1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층을 갖는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CN114973928A (zh) * 2016-04-29 2022-08-30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
US20170317316A1 (en) * 2016-04-29 2017-11-02 Samsung Display Co., Ltd. Polarization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6897305B2 (ja) * 2016-05-20 2021-06-30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無溶剤型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
CN115524778A (zh) 2016-06-15 2022-12-27 日东电工株式会社 带粘合剂层的偏振膜和图像显示装置
TWI700521B (zh) * 2016-06-15 2020-08-01 日商日東電工股份有限公司 附黏著劑層之偏光薄膜及影像顯示裝置
KR102311394B1 (ko) 2016-06-15 2021-10-1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계 점착제층, 점착제층을 갖는 편광 필름,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276077B1 (ko) * 2016-06-17 2021-07-13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수지 조성물, 경화막, 경화막의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KR101766284B1 (ko) * 2016-06-23 2017-08-08 주식회사 엘엠에스 자외선 차단 기능이 우수한 점착 조성물, 점착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6742176B2 (ja) * 2016-07-14 2020-08-19 ソマール株式会社 工程用再剥離型の粘着シート
KR20180075779A (ko) 2016-12-26 2018-07-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099256B (zh) * 2017-03-20 2020-11-10 苏州凡赛特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uv阻隔光学胶粘剂以及光学胶膜、触摸屏和显示器
CN108624252A (zh) * 2017-03-22 2018-10-09 日东电工株式会社 表面保护膜
JP7252697B2 (ja) * 2017-03-22 2023-04-05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6510113B2 (ja) * 2017-05-09 2019-05-0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用組成物、光学部材及び画像表示装置
WO2018207701A1 (ja) * 2017-05-09 2018-11-15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用組成物、光学部材及び画像表示装置
JP6832246B2 (ja) * 2017-06-22 2021-02-24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組成物、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CN110799867B (zh) * 2017-06-27 2022-09-13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膜
CN110799864A (zh) * 2017-06-27 2020-02-14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膜
KR20230113849A (ko) * 2017-06-27 2023-08-0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시트 및 점착제층 부착 필름
CN110997849B (zh) * 2017-08-01 2023-04-14 三菱化学株式会社 粘合片、图像显示装置构成用层叠体和图像显示装置
EP3665236B1 (en) * 2017-08-10 2024-01-10 Soken Chemical & Engineering Co., Ltd.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sheet
KR102009148B1 (ko) 2017-09-01 2019-08-12 주식회사 엘엠에스 자외선 차단 기능이 우수한 점착 시트, 점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7193227B2 (ja) 2017-09-06 2022-12-20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組成物、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及び有機el表示装置
KR102475857B1 (ko) * 2017-09-18 2022-1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229464B1 (ko) * 2017-10-20 2021-03-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조성물, 점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JP2019112505A (ja) 2017-12-21 2019-07-11 日東電工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付き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096511B1 (ko) 2017-12-29 2020-04-02 주식회사 엘엠에스 2종 이상의 염료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 점착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A3017592C (en) * 2018-01-16 2023-05-02 Hood Packaging Corporation Uv-resistant roofing shingles film, roll, and package
JP2018199811A (ja) * 2018-06-13 2018-12-2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パターン電極シート
JP2020066153A (ja) 2018-10-23 2020-04-30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WO2020110772A1 (ja) * 2018-11-28 2020-06-0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フォルダブルデバイス、および、ローラブルデバイス
JP7132875B2 (ja) 2019-03-01 2022-09-07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組成物、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及び有機el表示装置
JP6727370B2 (ja) * 2019-04-15 2020-07-22 日東電工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紫外線硬化型アクリル系粘着剤層、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紫外線硬化型アクリル系粘着剤層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JP6726789B2 (ja) * 2019-06-28 2020-07-22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シート
JP2019179271A (ja) * 2019-07-05 2019-10-1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2021015219A (ja) * 2019-07-12 2021-02-12 凸版印刷株式会社 調光デバイス
KR102475967B1 (ko) * 2019-07-19 2022-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EP3786242A1 (en) 2019-08-27 2021-03-03 Nitto Belgium N.V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ith improved weatherability
JP2021127413A (ja) 2020-02-14 2021-09-02 日東電工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付き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787985B2 (en) * 2020-03-16 2023-10-17 Samsung Sdi Co., Ltd. Adhesive film for polarizing plates,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JP7104742B2 (ja) * 2020-05-12 2022-07-21 ソマール株式会社 工程用再剥離型の粘着シート
JP7064533B2 (ja) * 2020-06-25 2022-05-10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シート
JP7064532B2 (ja) * 2020-06-25 2022-05-10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シート
WO2022131306A1 (ja) * 2020-12-18 2022-06-23 日東電工株式会社 転写用両面粘着シート
WO2023126786A1 (en) * 2021-12-30 2023-07-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rosslinkable compositions including a latent uv-absorber
JP2023126056A (ja) * 2022-02-28 2023-09-07 日東電工株式会社 Oled表示装置用粘着フィルム
JP2023126057A (ja) * 2022-02-28 2023-09-07 日東電工株式会社 Oled表示装置用光学積層体
JP7220855B1 (ja) 2022-03-31 2023-02-13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偏光板レス型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用粘着シート、粘着剤、積層体、およびディスプレイ
WO2023233218A1 (en) * 2022-06-03 2023-12-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lease liners and adhesive articles having variable light transmittan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8770A (ja) * 2007-11-27 2009-06-11 Nof Corp 紫外線吸収性を有する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75053A (ja) * 2010-02-24 2011-09-08 Saiden Chemical Industry Co Ltd 電子ペーパー用粘着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0140A (ja) 1996-10-07 1998-04-28 Sekisui Chem Co Ltd 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JP3880418B2 (ja) 2002-02-21 2007-02-14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の表示装置への貼着固定方法
JP4151828B2 (ja) 2002-05-29 2008-09-17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4493273B2 (ja) 2003-01-29 2010-06-30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US7927703B2 (en) * 2003-04-11 2011-04-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blends, articles, and methods
JP5258177B2 (ja) * 2005-08-18 2013-08-07 日東電工株式会社 ガラス面貼付用感圧性接着シート類およびガラス製光学部材
KR101177912B1 (ko) * 2005-11-03 2012-08-2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우수한 신뢰성과 자외선 흡수성을 구비한 감압성 접착제조성물
JP4869748B2 (ja) 2006-03-14 2012-02-08 日東電工株式会社 ガラス保護用粘着シートおよび自動車ガラス用保護フィルム
JP4140736B2 (ja) 2006-03-15 2008-08-2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フィルム、積層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881208B2 (ja) 2007-03-30 2012-02-2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日射遮蔽フィルム用粘着剤及び日射遮蔽フィルム
JP4994413B2 (ja) 2009-04-01 2012-08-08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両面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粘着型光学的機能性フィルムおよび粘着型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5528861B2 (ja) * 2009-04-15 2014-06-25 株式会社イーテック 紫外線硬化型粘着剤組成物
WO2010147047A1 (ja) * 2009-06-18 2010-12-23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シート
JP5518436B2 (ja) * 2009-11-09 2014-06-11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シート
JP5546235B2 (ja) 2009-12-17 2014-07-09 株式会社日本触媒 光学フィルム
WO2011111576A1 (ja) 2010-03-10 2011-09-15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シート
CN102812100B (zh) 2010-03-25 2015-06-17 日东电工株式会社 光学用丙烯酸类粘合剂组合物及光学用丙烯酸类粘合带
CN103649256B (zh) 2011-07-15 2016-11-16 三菱树脂株式会社 具有直线偏光消除功能的双面透明粘合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8770A (ja) * 2007-11-27 2009-06-11 Nof Corp 紫外線吸収性を有する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75053A (ja) * 2010-02-24 2011-09-08 Saiden Chemical Industry Co Ltd 電子ペーパー用粘着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85215A1 (en) 2013-04-04
JP5945393B2 (ja) 2016-07-05
TW201319208A (zh) 2013-05-16
TWI510590B (zh) 2015-12-01
CN103031071B (zh) 2017-04-12
JP2013075978A (ja) 2013-04-25
KR20180118095A (ko) 2018-10-30
KR20200006147A (ko) 2020-01-17
KR102046555B1 (ko) 2019-11-19
US20150197670A1 (en) 2015-07-16
US9580624B2 (en) 2017-02-28
CN103031071A (zh) 2013-04-10
KR20130035963A (ko) 2013-04-09
KR20190002410A (ko) 2019-01-08
US9045670B2 (en) 2015-06-02
KR102066679B1 (ko)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6679B1 (ko) 점착 시트
CN107636499B (zh) 两面附带粘合剂层的偏振膜和图像显示装置
JP6722267B2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シート、光学部材、及びタッチパネル
CN110710328B (zh) 有机el显示装置用粘合剂组合物、粘合剂层、带粘合剂层的偏振膜、及有机el显示装置
KR102203147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 시트, 광학 부재 및 터치 패널
JP6635727B2 (ja) 光学用粘着シート
KR102639483B1 (ko) 광학용 점착 시트, 점착제층 구비 편광 필름, 및 액정 표시 장치
JP6762079B2 (ja) 光学用粘着シート
KR101926877B1 (ko)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
KR20150118580A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 시트, 광학 부재 및 터치 패널
KR20130000358A (ko) 광학용 양면 감압 점착 시트
JP6726789B2 (ja) 光学用粘着シート
TW201333146A (zh) 壓感性黏著片材
KR20190019922A (ko) 양면 점착제층 부착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JP6870930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KR20120122941A (ko)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
JP4507774B2 (ja) アクリ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用途
CN107163867B (zh) 光学用粘合片、带粘合剂层的偏振膜和液晶显示装置
JP7064533B2 (ja) 光学用粘着シート
CN114207066A (zh) 粘着片、结构体及结构体的制造方法
JP7121785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KR20220018090A (ko) 점착제층을 갖는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JP6870929B2 (ja) 光学用両面粘着テープ
JP2020169333A (ja) 光学用粘着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