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420B1 -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420B1
KR101907420B1 KR1020150109311A KR20150109311A KR101907420B1 KR 101907420 B1 KR101907420 B1 KR 101907420B1 KR 1020150109311 A KR1020150109311 A KR 1020150109311A KR 20150109311 A KR20150109311 A KR 20150109311A KR 101907420 B1 KR101907420 B1 KR 101907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line
power
circuit
cp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6698A (ko
Inventor
미치오 후쿠시마
에이지 오하라
다이스케 수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5898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603611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5898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6035712A/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6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1Switching on or off, e.g. for saving power when not in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1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conne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6Control thereof using a low-power mode, e.g. standb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7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functio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슬립 모드로의 이행을 위한 조건이 만족될 때 슬립 모드로의 통신 이행을 수행하도록 복수의 회선에 연결될 수 있으며, 슬립 모드가 계속되는 동안의 시간을 측정한다. 통신 장치는 측정된 시간이 사전에 결정된 시간에 도달할 때 슬립 모드로부터 복귀하고, 통신 장치가 복수의 회선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었는지를 판정한다. 통신 장치가 복수의 회선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것으로 판정되면, 통신 장치는 전력이 오프되지 않는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장치는 전력 소비를 추가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통신 장치의 전력 소비를 추가로 감소시키기 위해, 대기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 이외에도, 통신 장치가 LAN 또는 전화 회선을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고 소정의 시간 동안 사용되지 않았을 때, 전력 소모가 크게 감소된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번호 2006-254384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화상 형성 장치가 네트워크와의 연결 상태를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기초로 네트워크 기능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유럽의 환경 규제(Lot 26)에서는, 이와 같은 전력 관리가 필수적으로 고려되고 있으며 근래에 법제화될 것이다. Lot 26은 모든 무선 네트워크 포트가 중지되고 모든 유선 네트워크 포트의 연결이 단절된 경우(장치가 어떠한 네트워크에도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 전력 소비가 0.5W 이하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기초로,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검지하고 장치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았을 경우 전력 관리를 수행하는 장치가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 또한, 예컨대, Lot 26에서 규정된 전력 소비의 목표 값 0.5W를 달성하기 위해, 장치가 네트워크에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았을 때 전체 장치의 전원을 오프하는 것이 고려된다.
도 2a 및 도 2b는 Lot 26에 의해 요구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전력 추이의 일 예를 각각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2a는 장치가 네트워크 또는 회선에 연결되었을 때 전력 관리의 시간 추이를 도시한다. 도 2b는 장치가 네트워크 또는 회선에 연결되지 않았을 때 전력 관리의 시간 추이를 도시한다.
장치는 사용 가능 상태인 대기 모드로부터 일정 시간 후(시간(t2)에서) 슬립 모드 중 하나인 딥 슬립 모드로 이행된다. 이때,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가 회선에 연결된 경우, 장치는 딥 슬립 모드를 계속 유지한다.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가 시간(t3)에서 네트워크 또는 회선으로부터 단절될 때, 장치는 자신의 전력을 오프하는 전력-오프 모드로 이행된다. 딥 슬립 모드는 슬립 상태로부터 복귀하기 위한 요인을 생성하는 최소회로에만 전력을 공급하는 슬립 모드이다.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 딥 슬립 모드에서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이 확인될 수 있는 네트워크 및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이 확인될 수 없는 네트워크 모두가 존재한다. 도 2a 및 도 2b에서 전력 소비는 대기 모드에서 수십 와트, 딥 슬립 모드에서 수 와트, 그리고 전력-오프 모드에서 거의 영 와트인 것으로 추산된다.
상술된 예에서, 장치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았을 때, 회선과의 연결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딥 슬립 모드를 계속 유지할 것인지 또는 전력-오프 모드로 이행할 것인지를 판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상술된 바와 같이 딥 슬립 모드에서는 수신을 검지하기 위한 회로 이외의 다른 구성 요소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딥 슬립 모드에서는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검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장치가 딥 슬립 모드에서 네트워크로부터 단절된 경우에도, 딥 슬립 모드에서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검지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장치는 전력-오프 모드로 이행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의 기술이 갖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장치가 슬립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회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회선에 대한 연결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장치가 회선에 연결되지 않았을 때만 전력-오프 모드로 장치를 이행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서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회선에 연결될 수 있는 통신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슬립 상태로의 이행을 위한 조건이 만족될 때 슬립 상태로 통신 장치를 이행하기 위한 이행 수단과, 슬립 상태가 계속되는 동안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 수단과,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시간이 사전에 결정된 시간에 도달했을 때 통신 장치를 슬립 상태로 복귀시키고 통신 장치가 회선에 연결되었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수단과, 판정 수단이, 통신 장치가 회선에 연결되었다고 판정하면 통신 장치의 전력을 오프하지 않고 판정 수단이 통신 장치가 회선에 연결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 통신 장치의 전력을 오프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통신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통신 장치는 회선 전압의 변화를 검지하기 위한 전압 검지 수단과,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 수단과, 회선과의 연결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검지 수단과, 슬립 모드로의 이행을 위한 조간이 만족되었을 때 슬립 모드로 통신 장치를 이행하기 위한 이행 수단과, 전압 검지 수단이 슬립 모드에서 회선 전압의 변화를 검지할 때 통신 장치를 대기 모드로 복귀시키고 검지 수단으로 하여금 회선과의 연결 상태를 검지하게 하여,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연결 상태가 단절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 변경될 때, 전력-오프 모드로의 이행을 위한, 타이머 수단에 의한 시간의 측정을 중지하고 통신 장치를 슬립 모드로 이행시키고,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연결 상태가 연결 상태로부터 단절 상태로 변경될 때 전력-오프 모드로의 이행을 위한, 타이머 수단에 의한 시간의 측정을 시작하고 장치를 슬립 모드로 이행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회선에 연결될 수 있는 통신 장치를 위한 제어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슬립 상태로의 이행을 위한 조건이 만족될 때 슬립 상태로 통신 장치를 이행하는 단계와, 슬립 상태가 계속되는 동안의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시간이 사전에 결정된 시간에 도달할 때, 통신 장치를 슬립 상태로부터 복귀시키고, 통신 장치가 회선에 연결되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정 단계에서 통신 장치가 회선에 연결된 것으로 판정되면 통신 장치의 전력을 오프하지 않고, 상기 판정 단계에서 통신 장치가 복수의 회선 중 어느 회선에도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통신 장치의 전력을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통신 장치를 위한 제어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회선 전압의 변화를 검지하는 단계와,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회선과의 연결 상태를 검지하는 단계와, 슬립 모드로의 이행을 위한 조건이 만족될 때 통신 장치를 슬립 모드로 이행시키는 단계와, 회선 전압의 변화가 슬립 모드에서 검지될 때 통신 장치를 대기 모드로 복귀시키도록 제어하고 회선과의 연결 상태를 검지하는 단계로서, 검지된 연결 상태가 단절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 변경될 때 전력-오프 모드로의 이행을 위한 시간의 측정을 중지하고 통신 장치를 슬립 모드로 이행시키며, 검지된 연결 상태가 연결 상태로부터 단절 상태로 변경될 때 전력-오프 모드로의 이행을 위한 시간의 측정을 시작하고 통신 장치를 슬립 모드로 이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립 모드로부터 장치를 복귀시키는 회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장치가 회선에 연결되지 않았을 때만 전력-오프 모드로 장치를 이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 실시예의 후속하는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며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선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Lot 26에 의해 요구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전력 추이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회선의 회선 전압의 일 예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전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선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원 회로의 전원 출력의 상태 추이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력 소비의 추이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 9a는 CPU에 의한 처리를 도시하고, 도 9b는 I/F 유닛에 의한 처리를 도시한다.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력 추이의 일 예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1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제6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선도이다.
도 13은 전화 회선에 대한 디지털 복합기(digital multifunction peripheral)의 연결을 검지한 결과에 따른 전력 관리의 시간 추이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이다.
도 14는 팩시밀리 장치가 제6 실시예에 따른 회선을 포착할 때 통신 회선의 회선 전압의 변화의 일 예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5는 제6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의 DC 포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블록선도이다.
도 16은 제6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 내의 전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선도이다.
도 17은 제6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의 상태에 대응하는 전원 회로의 전원 출력의 상태 추이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18 및 도 19는 제6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의 동작 상태의 추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팩시밀리 장치가 도 19의 단계 S1916에서 슬립 모드로 이행할 때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1은 제6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의 전력 추이의 일 예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22는 제6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의 전력 추이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후속하는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았으며,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의 조합 모두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설명될 실시예에서, 복합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로 예시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선도이다.
시스템온칩(system-on-chip)(SOC)(101)이 CPU(200)를 포함하고,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40)가 SOC(101)에 연결되고 CPU(200)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주 저장 디바이스로 기능하며, CPU(200)의 워크 메모리 및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로 사용된다. 메모리(140)는 또한 팩시밀리 전송 또는 수신 시 화상 데이터 및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로 사용되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SDAA 프로그램(202)은 모뎀(102)의 DSP(205)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며, 모뎀(102)으로 전송되고 RAM(204)으로 로드된 후에 DSP(205)에 의해 실행된다.
조작 패널(118), 판독 유닛(121), 기록 유닛(122) 및 I/F 유닛(123)은 SOC(101)에 연결된다. 동작 패턴(118)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하는 디스플레이(119) 및 키보드 세트(1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9)는 장치의 상태, 메뉴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키보드 세트(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다양한 지시를 받아들이기 위한 10-키보드 패드 및 버튼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이 키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설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판독 유닛(121)은 문서의 화상을 판독하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화상 데이터는 통신 회선(130)을 통해 파트너 장치로 팩시밀리 전송되거나 기록 유닛(122)에 의해 프린트될 수 있다. I/F 유닛(123)은 다양한 정보 디바이스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기능한다. I/F 유닛(123)은 예컨대, 네트워크 I/F(127)을 포함하고, LAN(근거리 네트워크)(240)에 연결된다. 네트워크 I/F(127)에 대한 연결이 전송 경로 및 연결 목표의 상태를 확인하고 데이터 전송/수신이 네트워크의 기초 프로토콜의 데이터 링크층 내에서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확인된다. 네트워크 I/F(127)는 LAN 컨트롤러로 기능하며, 예컨대 CSMA/CD(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Carrier Sense Multiple Access)/충돌 감지(Collision Detection)) 통신 방식에 의해 외부 게이트웨이로/로부터 데이터를 송신/수신한다.
모뎀(102)은 ROM(203), RAM(204), DSP(205) 및 레지스터(206)를 포함하고 SOC(101)의 제어 하에서 동작하는 변조기/복조기이다. 모뎀(102)은 판독 유닛(121)에 의해 판독되어 팩시밀리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변조 처리를 실행하고 통신 회선(130)을 통해 수신된 신호의 복조 처리를 실행한다. 모뎀(102)은 절연 소자(103)를 통해 SDAA(104)(즉, 실리콘 데이터 액세스 배열(Silicon Data Access Arrangement))에 연결된다. ROM(203)은 DSP(205)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호스트로부터 전송된 SDAA 프로그램(202) 및 ROM(203)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RAM(204)에 로드되고 DSP(205)에 의해 실행된다. DSP(205)는 모뎀(10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RAM(204)에 로드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레지스터(206)는 SOC(101)로부터의 지시 또는 SDAA(104)의 상태를 저장한다.
SDAA(104)는 네트워크 제어를 위한 회로의 일 예인 반도체 NCU(네트워크 제어 유닛)으로, 회선 포착 회로(105), 전압 검지 회로(150), 전류 검지 회로(151) 및 AC 필터 회로(201)를 포함한다. SDAA(104)는 통신 회선(130)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컨트롤러로서, 화상 형성 장치(100)와 외부 통신 회선(130) 사이의 인터페이스로 기능한다. 통신 회선(130)을 통해 파트너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할 때, SDAA(104)는 회선의 연결(포착) 상태를 제어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에 외부 부착된 전화기(128)는 또한 통신 회선(130)에 연결된다. 전화기(128)는 H-릴레이(110)를 통해 통신 회선(130)에 연결되고, SDAA(104)는 전화기(128)와 병렬로 통신 회선(130)에 연결된다. SDAA(104)는 팩시밀리 전송/수신을 수행할 때 통신을 제어하기 위해 회선을 포착할뿐만 아니라 전화기(128)가 통신 회선(130)을 통해 파트너 장치와의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때 회선의 포착 상태를 제어한다. SDAA(104)는 SOC(101)의 제어 하에서 그러한 제어 동작들을 실행한다.
SDAA(104)는 회선 포착 회로(105)를 이용하여 회선의 DC 포착 상태를 제어한다. 회선 포착 회로(105)가 DC 포착 동작을 수행할 때의 DC 임피던스는 가변적이다. 이 임피던스는 DC 전압에 대해 사전 설정된 전류 특성(DC-VI 특성으로 지칭됨)을 기초로 획득된다. 전압 검지 회로(150)는 통신 회선(130) 상의 전압을 감시하기 위한 회로이다. 전류 검지 회로(151)는 통신 회선(130) 상의 전류를 감시하기 위한 회로이다. AC 필터 회로(201)는 전압 검지 회로(150) 또는 전류 검지 회로(151)의 선행 스테이지에 연결되고 DC 전압 또는 전류를 검지할 때 AC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검지 오류를 방지한다.
DC 포착 회로(152)는 SDAA(104)의 주변 회로로서, 전류 소스의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DC 포착 동작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SDAA(104)의 제어에 의해 DC 임피던스를 조절한다. DC 포착 회로(152)는 또한 회선 개방 상태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며, 회선을 위한 일종의 선택 신호로서 다이얼 펄스를 송출한다. 정류기 회로(155)는 다이오드 브릿지를 포함하고, 통신 회선(130)으로부터의 신호를 정류하여 SDAA(104)에 전송한다. 수신 I/F 회로(153)가 통신 회선(130)을 통해 수신된 팩시밀리 수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이다. AC 임피던스 정합 회로(154)는 AC 임피던스를 예컨대, 일본에서 600Ω으로 조절하기 위한 회로이다. 노이즈 제거 회로(156)는 통신 회선(130)으로부터의 낙뢰 서지, 전자기 노이즈 등을 억제하고, 화상 형성 장치(100)의 노이즈가 통신 회선(130)을 통해 송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CI 검지 회로(108)가 통신 회선(130)에 연결되고 통신 회선(130)으로부터 수신된 호출 신호(이하에서, CI 신호로도 지칭됨)를 검지한다. 통신 회선으로부터 CI 신호를 검지할 때, CI 검지 회로(108)는 그를 나타내는 CI 검지 신호(109)를 SOC(101)에 공급한다. CI 검지 신호(109)를 기초로, SOC(101)는 CI 신호가 통신 회선(130)으로부터 수신되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H-릴레이(110)는 DC 전원(113) 또는 통신 회선(130) 어느 한쪽에, 후크 검지 회로(117)를 통해 연결된 외부 전화기(128)를 연결한다. H-릴레이(110)는, 외부 전화기(128)가 통신 회선(130)에 연결된 연결 상태와 외부 전화기(128)가 통신 회선(130)으로부터 단절된 단절 상태 사이를 스위칭한다. SOC(101)는 H-릴레이 구동 신호(111)를 이용하여 H-릴레이(110)를 제어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기(128)가 H-릴레이(110)에 의해 통신 회선(130)으로부터 단절될 때, CI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도, 전화기(128)는 울리지 않는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소위 무명동 착신 상태(non-ringing incoming call state)로 설정된다. DC 전원(113)은 후크 검지 회로(117)로 전류를 공급한다.
후크 검지 회로(117)는 전화기(128)에 연결되고, 전화기(128)의 오프-후크(off-hook) 또는 온-후크(on-hook) 상태를 검지한다. 후크 검지 회로(117)는 후크 검지 신호(114)를 이용하여 SOC(101)에 전화기(128)의 오프-후크 또는 온-후크 상태 검지 결과를 전송한다. SOC(101)는 후크 검지 신호(114)를 기초로 전화기(128)의 후크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후크 검지 회로(117)는, 전화기(128)가 H-릴레이(110)에 의해 통신 회선(130)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 및 전화기(128)가 DC 전원(113)에 연결되는 경우 모두에서 전화기(128)로 흐르는 전류를 검지한다. 따라서, 전화기(128)의 온-후크 또는 오프-후크 상태가 검지될 수 있다.
의사 CI 송출 회로(116)는 전화기(128)에 의사 CI 신호(126)를 송출한다. 의사 CI 신호(126)는 CI 신호가 통신 회선(130)을 통해 파트너 장치로부터 수신될 때 전화기(128)가 울리도록 통신 회선(130)으로부터 단절된 전화기(128)에 송출되는 신호이다. 의사 CI 송출 회로(116)는 SOC(101)로부터의 의사 CI 구동 신호(115)에 의한 송출 지시에 응답하여 전화기(128)에 의사 CI 신호(126)를 송출한다. PSTN(210)은 공중 스위치식 전화기 네트워크이며, 파트너 FAX(220)는 PSTN(210)을 통해 연결되는 파트너 장치의 역할을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보호 소자(230)는 퓨즈를 포함하는 전류 보호 소자이다.
타이머 회로(124)가 SOC(101)에 연결되고, 사전 설정된 시간을 측정한다. SOC(101)는 시간의 설정 및 초기화(clearing)를 제어한다. 타이머 회로(124)는 제1 전원 시스템(후술됨)에 의해 동작되며, 슬립 모드(딥 슬립 모드)로 이행한 후 전원 회로(125)에 전력 공급 신호(161)를 출력한다. 딥 슬립 모드로 이행하기 전에, 타이머 회로(124)는 CPU(200)에 의해 지시된 전원 시스템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전력 공급 신호를 출력한다. 타이머 회로(124)에서 설정된 시간은 장치가 딥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때로부터 장치가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확인하기 위해 딥 슬립 모드로부터 복귀할 때까지의 시간으로, 통상적으로 약 20분이다. 다른 시간이 설정될 수도 있다.
전원 회로(125)는 화상 형성 장치(100) 내에서 회로 블록에 공급된 전력을 생성하기 위한 회로이다. 100V의 AC 전압이 예컨대, 복수의 시스템의 전원 출력(163 내지 165)을 생성하기 위해 전원 플러그(250)로부터 공급된다.
이 실시예에서, 슬립 상태로부터 복귀하는데 필요한 전원 시스템은 제1 전원 시스템이다. 제1 전원 시스템은 예컨대, CI 검지 회로(108), 후크 검지 회로(117) 및 전원 회로(125)를 포함한다. 대기에 필요한 전원 시스템은 제2 및 제3 전원 시스템이다. 제2 전원 시스템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제1 전원 시스템이 아닌 회로, SOC(101), 모뎀(102) 및 SDAA(104)를 포함한다. 제3 전원 시스템은 회선 추가 유닛(260)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전원 시스템은 전원 출력(163)을 공급받으며 이중선으로 지시되고, CI 검지 회로(108), 후크 검지 회로(117), I/F 유닛(123), 타이머 회로(124) 및 전원 회로(125)를 포함한다. 제2 전원 시스템은 전원 출력(164)을 공급받으며 도 1에서 실선으로 지시된다. 제3 전원 시스템은 전원 출력(165)을 공급받으며 도 1에서 점선으로 지시되고, 회선 추가 유닛(260)의 회로를 포함한다.
전원 회로(125)는 제1 전원 시스템의 회로로부터 제어 신호(d1, d2, d3, d4) 및 SOC(101)로부터의 제어 신호(c)를 이용하여 전원 출력(163 내지 165)의 출력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 신호(d1)는 CI 신호가 검지되었을 때의 CI 검지 신호(109)이다. 제어 신호(d2)는 네트워크 I/F(127)에 의해 검지된 착신 신호이다. 제어 신호(d3)는 타이머 회로(124)로부터 출력된 검지 신호이며 사전에 결정된 시간의 경과를 나타낸다. 제어 신호(d1, d2, d3, d4)는 논리화가 취해지고 전원 회로(125)에 인터럽트 신호(161)로서 공급된다.
회선 추가 유닛(260)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추가로 부착되는 유닛이며, 화상 형성 장치(100)를 위한 팩시밀리 회선을 추가할 수 있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회선(130)의 회선 전압의 일 예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301에서, DC 포착 회로(152)는 온-후크 상태에 있는데, 즉 DC 포착 회로(152)는 DC 포착 상태가 아니다. 이때, 전압 값은 약 48V이다. PSTN(210)으로부터 조망할 때 DC 저항 값(Z)은 1MΩ 이상이다. 302에서, 오프-후크 동작이 개시되며, DC 포착 회로(152)는 전류 소스의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DC 포착 동작을 수행하면서 SDAA(104)의 제어 하에서 DC 임피던스를 조절한다. 이때, PSTN(210)의 DC 저항은 약 50 내지 550Ω이다. 전류 소스의 전류의 증가에 따라 발생하는 전압 강하는 회선 전압을 점진적으로 강하시킨다. 303에서, DC 임피던스의 조절이 종료되고, PSTN(210)으로부터 조망될 때 DC 저항 값은 오프-후크를 수행할 때 약 50 내지 300Ω으로 조절된다. DC 임피던스의 조절 후, 오프-후크 상태에서의 전압 값(303)은 대체로 강하되는데, 이는 전류 값이 PSTN(210)의 전류 제한 기능에 의해 20 내지 120mA로 제한되기 때문이다. 예컨대, 회선 전류(I)는 60mA이며 PSTN(210)으로부터 조망될 때 DC 저항 값(Z)은 300Ω으로 가정된다. 이 경우, 회선 전압의 값은 18V인데, 즉 약 48V에서 18V로 약 30V의 전압 강하가 발생한다.
통신 회선(130)이 단절 상태에 있는 경우가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이 경우, 통신 회선(130)은 PSTN(210)으로부터 단절되고, PSTN(210)보다 48V의 전압이 공급되지 않으며, 통신 회선(130)의 회선 전압은 거의 0V로 유지된다. 한편, 통신 회선(130)이 DC 포착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PSTN(210)에 연결될 때, 회선 전압은 상술된 바와 같이 강하되지만, 사전에 결정된 일정한 전압에서 유지된다. 그 결과, 예컨대 역치 전압(304)의 설정 값(A1)은 약 3V로 설정된다. 회선 전압이 3V 미만이면, 오프-후크 또는 온-후크 동작과 달리, 통신 회선(130)이 PSTN(210)보다 48V의 전압을 공급되지 않는다는 것, 즉 통신 회선(130)이 PSTN(210)에 연결되지 않았다는 것이 판정될 수 있다.
통신 회선(210)(이하에서 공중 회선으로 지칭됨)이 연결된 DC 포착 동작에서의 회선 전압 및 통신 회선(130)이 공중 회선(210)에 대해 단절된 단절 상태에서의 회선 전압이 상술된 관계를 갖는다.
따라서, 통신 회선(130)의 전압을 감시함으로써, 통신 회선(130)이 공중 회선(210)에 연결되었는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는 SDAA(104)의 전압 검지 회로(1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역치 전압(304)의 설정 값(A1)은 모뎀(102)의 레지스터(206) 내에 미리 보유된다. 따라서, SDAA(104)의 전압 검지 회로(150)에 의해 검지된 회선 전압의 전압 값은 역치 전압의 설정 값(A1)과 비교된다. 전압 값이 역치 전압의 설정 값(A1)보다 작은 경우, 통신 회선(130)이 PSTN(210)과 단절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레지스터(206) 내에 보유된다. SOC(101)의 CPU(200)는 상기 플래그를 참조하여 PSTN(210)에 대한 연결 또는 PSTN으로부터의 단절을 판정하며, 판정 결과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 내의 전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선도이다.
전원 회로(125)는 유출구(250)를 통해 공급된 100V의 상용 AC 전압으로부터 복수의 시스템의 전원 전압을 생성하여, 이를 화상 형성 장치(100) 등의 회로에 공급한다. 전원 회로(125)에 의해 생성된 전원 출력(163)은 제1 전원 시스템 회로(4001)에 공급되고, 전원 출력(164)은 제2 전원 시스템 회로(4002)에 공급되고, 전원 출력(165)은 제3 전원 시스템 회로(4003)에 공급된다. 제1 전원 시스템 회로(4001)는 딥 슬립 모드에서 전력이 연속적으로 공급될 필요가 있는 회로 블록을 나타낸다. 예컨대, CI 검지 회로(108)는 제1 전원 시스템 회로(4001)에 속한다. CI 신호가 딥 슬립 모드에서 통신 회선(130)으로부터 수신될 때, CI 검지 회로(108)는 딥 슬립 모드로부터 대기 모드로 장치를 복귀시키기 위해 인터럽트 신호(d1)를 생성한다. 타이머 회로(124)도 제1 전원 시스템 회로(4001)에 속한다. 타이머 회로(124) 내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타이머 회로(124)는 딥 슬립 모드로부터 대기 모드로 장치를 복귀시키기 위해 인터럽트 신호(d3)를 생성한다. 네트워크 I/F(127)는 제1 전원 시스템 회로(4001)에 속하며, 네트워크 케이블의 연결의 존재/부재를 검지할 때 또는 딥 슬립 모드에서 LAN(240)을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0)를 위해 예정된 패킷을 수신할 때 인터럽트 신호(d2)를 생성한다. 이는 딥 슬립 모드로부터 대기 모드로 장치를 복귀시킨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1 전원 시스템 회로(4001)는 딥 슬립 모드로부터의 복귀를 위한 요인을 검지하기 위한 회로이다.
한편, 딥 슬립 모드로의 이행을 위한 조건이 충족되고 장치가 딥 슬립 모드로 이행할 때, 제2 전원 시스템 회로(4002) 및 제3 전원 시스템 회로(4003)에 대한 전력 공급이 중지된다. 예컨대, 화상 형성 장치(100)의 대부분의 회로 블록은 제2 전원 시스템 회로(4002) 또는 제3 전원 시스템 회로(4003)에 속한다. SOC(101), 모뎀(102), SDAA(104) 등은 제2 전원 시스템 회로(4002)에 속한다. 그 결과, 딥 슬립 모드에서 공중 회선(210)에 대한 연결이 검지될 수 없다. 회로 블록들이 제2 전원 시스템 회로(4002) 및 제3 전원 시스템 회로(4003)로 분리된 이유는 네트워크의 구성 회로에 대한 전원이 분리되기 때문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를 대기 모드로부터 딥 슬립 모드로 이행할 때, 제2 전원 시스템 회로(4002)에 속한 SOC(101)는 전원 회로(125)에 전원 출력 제어 신호(167)를 공급한다. 이는 전원 회로(125)에 의해 생성된 전원 출력(164, 165)를 중지시켜서, 장치를 딥 슬립 모드로 이행시킨다.
딥 슬립 모드로부터 전력-오프 모드로 장치를 이행할 때, 제2 전원 시스템 회로(4002)에 속한 SOC(101)는 전원 회로(125)에 전원 출력 제어 신호(167)를 공급한다. 이는 전원 회로(125)에 의해 생성된 모든 전원 출력(163 내지 165)를 중지시켜서, 장치를 전력-오프 모드로 이행시킨다.
제3 전원 시스템 회로(4003)만을 중지시킬 때, SOC(101)는 전원 회로(125)에 의해 전원 출력(165)을 중지시키기 위해 전원 회로(125)에 제어 신호(167)를 공급한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원 회로(125)의 전원 출력의 상태 추이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5는 각 모드에서의 전원 회로(125)의 전원 출력의 상태를 도시한다. 대기 모드(2)에서, 전원 출력(163, 164)은 온이고, 전원 출력(165)은 오프이다. 즉, 전력은 제1 전원 시스템 회로(4001) 및 제2 전원 시스템 회로(4002)에 공급되고, 제3 전원 시스템 회로(4003)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대기 모드(1)에서는, 모든 전원 출력(163 내지 165)이 온이며 전력은 제1 전원 시스템 회로(4001), 제2 전원 시스템 회로(4002) 및 제3 전원 시스템 회로(4003)에 공급된다. 딥 슬립 모드에서는, 전원 출력(163)만이 온이며 제1 전원 시스템 회로(4001)에만 전력이 공급된다. 전력-오프 모드에서, 모든 전원 출력(163 내지 165)은 오프이며, 사용자는 장치를 대기 모드로 이행하기 위해 전원 스위치(도시 생략)를 수동으로 켤 필요가 있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메모리(140) 내에 저장된다. CPU(200)가 상기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할 때, 상기 흐름도에 도시된 처리가 수행된다.
이 처리는 장치의 전력이 온일 때 또는 타이머에 의한 시간 측정에 의해 기동될 때 시작된다. 단계 S601에서, CPU(200)는 메모리(140)로부터 프로그램을 로드하고 실행하여, 처리를 기동한다. 처리는 단계 S602로 진행하고, CPU(200)는 기동 요인이 타이머 회로(124)로부터의 지시인지를 타이머 회로(124)에 문의함으로써 확인한다. CPU(200)가 단계 S602에서 복귀 요인이 타이머 회로(124)라는 것을 판정하면, 프로세스는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확인하기 위해 단계 S603으로 진행된다. 한편, CPU(200)가 단계 S602에서 복귀 요인이 타이머 회로(124)가 아니라는 것을 판정하면, 프로세스는 단계 S604로 진행한다. 단계 S604에서, CPU(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기능이 수행된 후에 경과된 시간을 확인한다. 사전에 결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다면, 프로세스는 단계 S607로 진행하고, CPU(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딥 슬립 모드로 이행시켜서 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장치가 딥 슬립 모드로 이행할 때부터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확인하기 위해 복귀할 때까지의 시간을 타이머 회로(124)가 측정할 때 프로세스는 단계 S603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CPU(200)는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검지한다. 프로세스는 단계 S605로 진행하고, CPU(200)는 장치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장치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것으로 판정되면, 프로세스는 단계 S607로 진행하고, CPU(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딥 슬립 모드로 이행시켜서, 이 처리를 종료한다. CPU(200)가 단계 S605에서 장치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 프로세스는 단계 S606으로 진행하고, CPU(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전력을 오프하여 이 처리를 종료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장치가 딥 슬립 모드로 이행할 때부터 복귀할 때까지의 시간이 측정되면,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이 검지된다. 장치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것으로 판정되면, 화상 형성 장치(100)는 딥 슬립 모드로 이행하지만 전력-오프 상태로 이행하는 것은 금지된다. 한편, 장치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전력-오프 상태로 이행된다.
이 처리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가 딥 슬립 모드 내의 네트워크로부터 단절될 때, 장치는 사전에 결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전력-오프 모드로 이행할 수 있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력 소비의 추이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이다. 도 7은 장치가 공중 회선(210)에 연결되지 않았을 때 전력 관리의 시간 추이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각 단계에서 주요 부분만이 설명될 것이다.
사용자가 시간(t1)에서 대기 모드의 화상 형성 장치(100)를 사용한 후에 사용자가 사전에 결정된 시간(t2 - t1) 동안 화상 형성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장치는 시간(t2)에서 딥 슬립 모드로 이행된다. 딥 슬립 모드로의 이행 이후에 사전에 결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 장치는 시간(t3)에서 딥 슬립 모드로부터 복귀한다. 이후,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이 시간(t4)에서 판정된다. 장치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장치는 시간(t5)에서 전력-오프 모드로 이행된다. 한편, 시간(t4)에서 장치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것으로 판정되면, 장치는 시간(t5) 이후에도 딥 슬립 모드로 유지된다. 장치가 시간(t2)에서 딥 슬립 모드로 이행한 때부터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이 시간(t3)에서 판정될 때까지의 기간(t3 - t2)은 타이머 회로(124) 내에 설정된 시간이며, 예컨대 20분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100)가 복수의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네트워크 중 하나에 대한 연결이 딥 슬립 모드로의 이행 이후에 확인된다. 네트워크 중 하나에 대한 연결이 확인되면, 장치는 딥 슬립 모드로의 이행 이후에 사전에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에도 전력-오프 모드로 이행하는 것이 금지된다. 이 처리에서, 복수의 네트워크의 각각에 대한 연결은 확인되지 않으며, 따라서 각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확인하기 위해 장치가 딥 슬립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대기 상태에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LAN에 대한 연결은 딥 슬립 모드에서도 확인될 수 있다. 하지만, 공중 회선에 대한 연결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장치를 딥 슬립 모드로부터 대기 모드로 일시적으로 복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장치가 공중 회선에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하는 횟수가 증가되어, 대기 상태에서의 전력 소비를 증가시킨다. 하지만,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이 확인될 수 있을 때 장치가 전력-오프 모드로 이행하는 것을 금지함으로써 이 문제는 해결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제2 실시예에서, 제2 전원 시스템 회로(4002) 또는 제3 전원 시스템 회로(4003)에 속하는 회로가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단지 제2 전원 시스템 회로(4002)만이 전원 시스템에 속한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판정하기 위해 기동된다. 제3 전원 시스템 회로(4003)에 속한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이 판정되지 않으면, 제3 전원 시스템 회로(4003)를 기동하지 않고 전력 소비를 억제한다.
전력이 제1 전원 시스템 회로(4001), 제2 전원 시스템 회로(4002) 및 제3 전원 시스템 회로(4003)에 공급되는 상태가 도 5를 참조로 설명된 대기 모드(1)에 대응한다. 전력이 제1 전원 시스템 회로(4001) 및 제2 전원 시스템 회로(4002)에만 공급되는 상태가 도 5를 참조로 설명된 대기 모드(2)에 대응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의 배열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것과 동일하며,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메모리(140)에 저장된다. CPU(200)가 상기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할 때, 상기 흐름도에 도시된 처리가 수행된다.
이 처리는 장치가 전력-온이 될 때 또는 타이머 회로(124)로부터의 인터럽트에 의해 기동된다. 단계 S801에서, CPU(200)는 장치를 기동하기 위해 상기 프로그램을 로드한다. 프로세스는 단계 S802로 진행하고, CPU(200)는 기동 요인이 타이머 회로(124)로부터의 인터럽트인지를 판정한다. 타이머 회로(124)는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판정하는 처리가 기동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이다. 판정 처리는 장치가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판정하기 위해 기동되었는지를 판정하는 처리이다. 이 상태에서,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대기 모드(2)에서 기동되는데, 이때 전력은 제1 전원 시스템 회로(4001) 및 제2 전원 시스템 회로(4002)에 공급된다. 장치가 이때 대기 모드(2)에서 기동되는 이유는 후술될 것이다.
CPU(200)가 단계 S802에서 장치가 타이머 회로(124)로부터의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기동되었다는 것을 판정하면, 프로세스는 단계 S804로 진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단계 S803으로 진행한다. 단계 S803에서, CPU(200)는 사전에 결정된 시간의 경과 동안 대기한 후에, 프로세스를 단계 S810으로 진행시킨다. 단계 S810에서, CPU(200)는 장치가 딥 슬립 모드로부터 대기 모드로 복귀할 때 전원 회로가 전력을 공급받도록 타이머 회로(124)에 대해 지시한다. 이 예에서, CPU(200)는 제2 전원 시스템 회로(4002)에만 복귀를 지시한다. 상술된 단계 S801에서 기동할 때, 전력은 딥 슬립 모드에서 연속적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제1 전원 시스템 회로(4001)에 추가하여 제2 전원 시스템 회로(4002)에 공급되어, 장치는 상술된 도 5에 도시된 대기 모드(2)에서 기동된다. 프로세스는 단계 S811로 진행하고, CPU(200)는 제2 전원 시스템 회로(4002) 및 제3 전원 시스템 회로(4003)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지하고 장치를 딥 슬립 모드로 이행시켜, 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장치가 타이머 회로(124)로부터의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기동되었다면, 프로세스는 단계 S804로 진행하고, CPU(200)는 이미 전력이 공급된 제2 전원 시스템 회로(4002)에 속하는 회로와 네트워크 사이의 연결을 확인한다. 단계 S805에서, CPU(200)는 장치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장치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것으로 판정되면, 프로세스는 단계 S810으로 진행하고, CPU(200)는 복귀 시점에서 전원 시스템이 전력을 공급받도록 타이머 회로(124)에 대해 지시하고, 프로세스를 단계 S811로 진행시킨다. 단계 S811에서, CPU(200)는 장치를 딥 슬립 모드로 이행시켜서, 이 처리를 종료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미 전력이 공급된 제2 전원 시스템 회로(4002)에 속하는 회로와 네트워크 사이의 연결이 확인되면,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전력이 오프되지 않는다.
한편, CPU(200)가 단계 S805에서 제2 전원 시스템 회로(4002)에 속하는 회로와 네트워크가 서로 연결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 프로세스는 단계 S806으로 진행하고, CPU(200)는 제3 전원 시스템 회로(4003)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는 도 5에 도시된 대기 모드(1)로 장치를 설정하는데, 이때 전력은 모든 전원 시스템 회로(4001 내지 4003)에 공급된다. 프로세스는 단계 S807로 진행하고, CPU(200)는 네트워크와 제3 전원 시스템 회로(4003)에 속하는 회로 사이의 연결을 확인하는데, 이는 단계 S804에서 확인되지 않았었다. CPU(200)가 단계 S808에서 제3 전원 시스템 회로(4003)에 속하는 회로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었다고 판정하면, 프로세스는 단계 S810으로 진행하고, CPU(200)는 복귀 시점에 전원 시스템이 전력을 공급받도록 타이머 회로(124)에 대해 지시한 후, 프로세스를 단계 S811로 진행시킨다. 단계 S811에서, CPU(200)는 장치를 딥 슬립 모드로 이행시켜서, 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CPU(200)가 단계 S808에서, 네트워크와 제3 전원 시스템 회로(4003)에 속하는 회로가 서로 연결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 프로세스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원을 오프하기 위해 단계 S809로 진행하여, 이 처리를 종료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네트워크와 제2 전원 시스템 회로(4002) 또는 제3 전원 시스템 회로(4003) 중 어느 하나에 속한 회로 사이의 연결이 확인되면, 장치는 딥 슬립 모드로부터 전력-오프 모드로 이행하는 것이 금지된다.
제2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판정하기 위한 CPU(200)가 제2 전원 시스템 회로(4002)에 속하기 때문에, 제2 전원 시스템 회로(4002)는 CPU(200)가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판정하도록 기동된다. 전원 시스템이 추가로 분리되고 제3 내지 제6 전원 시스템 회로도 존재한다면, CPU(200)는 전력이 공급될 전원 시스템의 우선 순위를 보유한다. CPU(200)는 장치를 딥 슬립 모드로 이행시키기 전에 타이머 회로(124)에 상기 우선 순위를 지시한다. 이 처리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100)가 딥 슬립 모드로부터 복귀할 때, 전력이 공급될 전원 시스템 회로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며, 네트워크와 전력이 공급되는 전원 시스템 회로에 속한 회로 사이의 연결을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원 시스템에 연결된 복수의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경우,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연결이 확인될 때, 장치는 딥 슬립 모드로부터 전력-오프 모드로 이행하는 것이 금지된다. 이는 각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확인하기 위해 모든 전원 시스템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에 비해 전력 소비를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생성한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제3 실시예에서는, LAN(240)과 제1 전원 시스템 회로(4001)에 속한 네트워크 I/F(127) 사이의 링크가 확립된 경우가 모든 시간에서 검지될 수 있는 경우가 설명될 것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의 배열은 상술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열과 동일하며,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a는 CPU(200)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도시하고, 도 9b는 I/F 유닛(123)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도시한다.
도 9a의 단계 S901 내지 단계 S906에서의 프로세스는 도 6의 단계 S601 내지 단계 S606에서의 프로세서와 동일하며,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CPU(200)가 단계 S905에서 장치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었다고 판정하면, 프로세스는 단계 S907로 진행하고, CPU(200)는 연결이 딥 슬립 모드에서 확인될 수 있는 네트워크가 존재한다는 것을 판정한다. CPU(200)가 단계 S907에서 연결이 딥 슬립 모드에서 확인될 수 있는 네트워크가 존재한다고 판정하면, 프로세스는 단계 S908로 진행하고, CPU(200)는 딥 슬립 모드에서 타이머 회로(124)에 의한 시간 측정을 중지한 후, 프로세스를 단계 S909로 진행시킨다. 단계 S909에서, CPU(200)는 장치를 딥 슬립 모드로 이행시켜서 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CPU(200)가 단계 S907에서 연결이 딥 슬립 모드에서 확인될 수 있는 네트워크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면, 프로세스는 단계 S909로 진행하고, CPU(200)는 타이머 회로(124)에 의한 시간 측정을 중지하지 않고 딥 슬립 모드로 장치를 이행시켜서 이 처리를 종료한다. 연결이 딥 슬립 모드에서 확인될 수 있는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의 일 예는 I/F 유닛(123)과 LAN(240) 사이의 연결이다.
도 9b에 도시된 흐름도가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딥 슬립 모드에서도 전력이 I/F 유닛(123)에 공급되기 때문에, I/F 유닛(123)은 단계 S910에서 장치가 딥 슬립 모드에서 LAN(240)에 연결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연결이 확인될 수 있는 경우, 단계 S910가 실행되고, 딥 슬립 모드에서 LAN(240)에 대한 연결을 확인하는 처리가 연속적으로 실행된다. 단계 S901에서 장치가 LAN(240)에 연결되지 않았다는 것이 판정되면, 프로세스는 단계 S911로 진행하고, I/F 유닛(123)은 인터럽트 신호(d2)를 생성하고 복귀 신호(161)를 전원 회로(125)에 송출한다.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력 추이의 일 예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장치는 철야 전원(all-night power supply)에 의해 연결 가능한 LAN(240)에 연결된 상태에서, 시간(t2)에서 딥 슬립 모드로 이행된다. 이 딥 슬립 모드에서, LAN(240)에 대한 연결은 시간(t4)에서 더 이상 확인되지 않는다. LAN(240)에 대한 연결이 연결 상태에서 단절 상태로 변경된 것이 검지되면, I/F 유닛(123)은 인터럽트 신호(d2)를 생성한다. 이는 장치를 딥 슬립 모드로부터 대기 모드로 이행시킨다. 시간(t5)에서, 제2 전원 시스템 회로(4002)는 LAN(240)에 대한 연결을 확인한다. 장치가 LAN(240)에 연결된 것이 판정되면, 장치는 시간(t6)에서 딥 슬립 모드로 이행된다. 한편, 장치가 LAN(240)에 연결되지 않은 것이 판정되면, 장치는 시간(t6)에서 전력-오프 모드로 이행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딥 슬립 모드에서도 전력이 공급되는 회로가 딥 슬립 모드에서 LAN(240)에 대한 연결을 판정한다. 장치가 LAN(240)으로부터 단절될 때, 장치는 딥 슬립 모드로부터 복귀한다. 이후, LAN(240)에 대한 연결이 대기 모드에서 확인된다. 장치가 LAN(240)에 연결된 것이 판정되면, 장치는 딥 슬립 모드로 이행된다. 한편, 장치가 LAN(240)에 연결되지 않은 것이 판정되면, 장치는 전력-오프 모드로 이행된다.
제4 실시예
본 발명의 제4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의 배열은 상술된 제1 실시예의 배열과 동일하며,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딥 슬립 모드로부터 대기 모드로의 복귀에 의해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확인할 때, 장치의 설치 시간에서의 네트워크 연결 확인 시간은 설치 후 약간의 시간이 경과한 때의 네트워크 연결 확인 시간과 다를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가 설치된 후, 그 상태는 크게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설치 후 약간의 시간이 경과한 때, 장치가 딥 슬립 모드로부터 대기 모드로의 복귀에 의해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확인하는 빈도수가 감소된다. 이는 딥 슬립 모드로부터 대기 모드로의 복귀에 의해 유발되는 전력 소비의 증가를 억제한다.
도 11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 처리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력-온 상태에서 시작한다. 단계 S1101에서, CPU(200)는 프로그램을 로드하고 사용 플래그가 온인지를 판정한다. 이 사용 플래그는 공장으로부터 선적 당시 꺼져있으며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100)가 사용되었다는 것을 판정할 때 켜지는 플래그로서, 메모리(140) 내에 저장된다. 사용 플래그가 오프이면, 프로세스는 단계 S1102로 진행하고, CPU(200)는 사용 플래그를 켠다. 이후 프로세스는 단계 S1103으로 진행하고 타이머 회로(124)에서 설정되는 시간이 W0로 설정되어, 이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CPU(200)가 단계 S1101에서 사용 플래그가 온이라고 판정하면, 프로세스는 단계 S1104로 진행하고 CPU(200)는 타이머 회로(124)의 측정된 시간이 시간(A) 이하인지를 판정한다. 측정된 시간이 시간(A) 이하이면, 프로세스는 단계 S11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106에서, CPU(200)는 타이머 회로(124)의 시간 설정을 W1(W1 < W0)으로 설정하여, 이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104에서 측정된 시간이 시간(A)보다 긴 것으로 판정되면, 프로세스는 단계 S1105로 진행하고, CPU(200)는 측정된 시간이 시간(B)(B > A) 이하인지를 점검한다. 측정된 시간이 시간(B) 이하이면, 프로세스는 단계 S1107로 진행하고 CPU(200)는 타이머 회로(124)의 시간 설정을 W2(W2 < W1))로 설정하여, 이 처리를 종료한다. CPU(200)가 단계 S1105에서 측정된 시간이 시간(B)보다 긴 것으로 판정하면, 프로세스는 단계 S1108로 진행하고 CPU(200)는 타이머 회로(124)의 시간 설정을 W3(W3 < W2)으로 설정하여, 이 처리를 종료한다.
일반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100)가 설치된 후 경과된 시간이 길면, 더 긴 시간(W0 < W1 < W2 < W3)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러한 시간(W1, W2, W3)은 단지 시간(A, B)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설정되면 되고 항상 W1 < W2 < W3을 만족할 필요는 없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가 딥 슬립 모드로부터 대기 모드로 복귀할 때까지의 시간은 화상 형성 장치(100)가 설치된 후 경과된 시간에 따라 설정된다. 이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사용 상태의 안정화와 함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5 실시예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100)를 고의로 네트워크에 연결하지 않은 경우가 고려된다. 이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0)가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확인하기 위해 딥 슬립 모드로부터 복귀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연결된 네트워크의 각각의 사용/비사용을 선택하는 메뉴가 제공된다. 비사용이 선택된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딥 슬립 모드로부터 대기 모드로 화상 형성 장치(100)를 복귀시킴으로써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확인하는 처리가 실행되지 않는다.
이는 장치가 딥 슬립 모드로부터 불필요하게 복귀하는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서,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확인하는데 요구되는 전력 소비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제6 실시예
본 발명의 제6 및 제7 실시예가 도 12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3은 상술된 바와 같이 Lot 26에 의해 규정된 전력 소비의 목표 값 0.5W의 전력 관리를 달성하기 위해 디지털 복합기에 전력을 오프하는 전력 관리가 수행될 때 고려되는 도 2와는 다른 전력 추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디지털 복합기 내의 전화선에 대한 연결을 검지한 결과에 따른 전력 관리의 시간 추이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이다.
디지털 복합기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서 대기 모드에서 전화선에 연결되었는지가 검지되고, 디지털 복합기가 전화선에 연결되지 않은 것이 시간(t1)에서 검지된다. 디지털 복합기가 전화선에 연결되지 않은 소정 시간(t4 - t1)동안 사용되지 않았다면, 디지털 복합기는 시간(t4)에서 디지털 복합기를 전력 오프하는 전력-오프 모드로 이행된다. 이 경우, 전력 절감의 관점에서, 디지털 복합기는 시간(t2)에서 슬립 모드로 이행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번호 2006-254384에 개시된 제어 방법이 슬립 모드에서 실행되면, 슬립 모드에서 슬립 모드 등으로부터의 복귀를 위한 요인을 감시하기 위한 팩시밀리 수신 검지 유닛 또는 네트워크로부터의 프린트 요청을 검지하기 위한 유닛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이 경우, 통신 회선이 예컨대 슬립 모드에서 시간(t3)에 공중 회선에 재연결되는 경우에도, 디지털 복합기의 CPU는 연결을 검지할 수 없다. 따라서, 통신 회선이 공중 회선에 연결된다 하더라도 디지털 복합기는 시간(t4)에서 전력-오프 모드로 이행된다. 이는 디지털 복합기가 전화선에 연결되지 않은 것이 시간(t1)에서 검지된 경우, 디지털 복합기가 시간(t2)에서 슬립 모드로 이행한 후 시간(t2)과 시간(t4) 사이의 시간(t3)에서 전화선에 연결된 경우에도 적용된다. 전력 소비는 대기 모드에서 수십 와트이고 슬립 모드에서 수 와트이고 전력-오프 모드에서 0 와트인 것으로 추산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컨대 슬립 모드에서 전력이 슬립 모드로부터의 복귀를 위한 요인을 감시하기 위해 회로, 네트워크로부터의 프린트 요청을 검지하기 위한 회로 또는 팩시밀리 착신을 검지하기 위한 회로에 공급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력이 SDAA, 팩시밀리 장치의 착신을 검지하기 위한 모뎀 등에 공급된다. SDAA는 전화선과 모뎀 사이에 배열되고 반도체로 형성되는 네트워크 제어 유닛(NCU)이다. 이때, 전력은 팩시밀리 장치의 CPU에 공급되지만, CPU의 동작은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중지된다. 이러한 처리에 있어서, CPU의 동작이 중지되어, 전화선에 대한 연결이 슬립 모드에서 연결 상태에서 단절 상태로 변경된 것을 판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전화선이 슬립 모드에서 연결되었으며 상태가 단절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 변경되었다는 것을 판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제6 및 제7 실시예에서, 슬립 모드에서 회선과의 연결 상태의 변화를 검지함으로써 전력-오프 모드로의 이행을 제어하는 기술이 제공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1200)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선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로 예시될 것이다. 이 통신 장치는 팩시밀리 장치로 제한되지 않으며, 복합기 또는 PC와 같은 정보 처리기 일 수 있다.
SOC(101)는 CPU(200)를 포함하고 팩시밀리 장치(12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40)는 SOC(101)에 연결되고, CPU(200)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주 저장 디바이스 및 보조 저장 디바이스로 기능하고, CPU(200)의 워크 메모리 또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로 사용된다. 또한, 메모리(140)는 팩시밀리 전송 또는 수신 시에 화상 데이터 및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로도 사용되며,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SDAA 프로그램(202)은 모뎀(102)의 DSP(205)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다. SDAA 프로그램(202)은 모뎀(102)으로 전송되고 RAM(204)에 로드된 후, DSP(205)에 의해 실행된다. RAM, 하드 디스크 또는 플래시 메모리는 메모리(140)로 사용될 수도 있다.
조작 패널(118), 판독 유닛(121), 기록 유닛(122) 및 I/F 유닛(123)은 SOC(101)에 연결된다. 조작 패널(118)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하는 디스플레이(119) 및 키보드 세트(1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9)는 장치의 상태, 메뉴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키보드 세트(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다양한 정보를 받아들이기 위한 10-키 패드 및 버튼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이 키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설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판독 유닛(121)은 문서의 화상을 판독하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화상 데이터는 통신 회선(130) 및 공중 회선(210)을 통해 파트너 장치로 팩시밀리 전송되거나 기록 유닛(122)에 의해 프린트될 수 있다. I/F 유닛(123)은 다양한 정보 디바이스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기능한다. I/F 유닛(123)은 예컨대, 네트워크 I/F(127)을 포함하고, LAN(근거리 네트워크)(240)에 연결된다. 네트워크 I/F(127)에 대한 연결이 전송 경로 및 연결 목표의 상태를 확인하고 데이터 전송/수신이 네트워크의 기초 프로토콜의 데이터 링크층 내에서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확인된다. 네트워크 I/F(127)는 LAN 컨트롤러로 기능하며, 예컨대 CSMA/CD(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충돌 감지) 통신 방식에 의해 외부 게이트웨이로/로부터 데이터를 송신/수신한다.
모뎀(102)은 ROM(203), RAM(204), DSP(205) 및 레지스터(206)를 포함하고 SOC(101)의 제어 하에서 동작하는 변조기/복조기이다. 모뎀(102)은 판독 유닛(121)에 의해 판독되어 팩시밀리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변조 처리를 실행하고 통신 회선(130) 및 공중 회선(210)을 통해 수신된 신호의 복조 처리를 실행한다. 모뎀(102)은 절연 소자(103)를 통해 SDAA(104)(즉, 실리콘 데이터 액세스 배열)에 연결된다. ROM(203)은 DSP(205)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호스트로부터 전송된 SDAA 프로그램(202) 및 ROM(203)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RAM(204)에 로드되고 DSP(205)에 의해 실행된다. DSP(205)는 모뎀(10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RAM(204)에 로드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레지스터(206)는 SOC(101)로부터의 지시 또는 SDAA(104)의 상태를 저장한다.
SDAA(104)는 네트워크 제어를 위한 회로의 일 예인 반도체 NCU(네트워크 제어 유닛)으로, 회선 포착 회로(105), 전압 검지 회로(150), 전류 검지 회로(151) 및 AC 필터 회로(201)를 포함한다. SDAA(104)는 통신 회선(130)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컨트롤러로서, 팩시밀리 장치(1200)와 외부 통신 회선(130) 사이의 인터페이스로 기능한다. 통신 회선(130)을 통해 파트너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할 때, SDAA(104)는 회선의 연결(포착) 상태를 제어한다. 팩시밀리 장치(1200)에 외부 부착된 전화기(128)는 또한 통신 회선(130)에 연결된다. 전화기(128)는 H-릴레이(110)를 통해 통신 회선(130)에 연결되고, SDAA(104)는 명동 착신 대기 상태(ringing incoming call standby state)에서 전화기(128)와 병렬로 통신 회선(130)에 연결된다. SDAA(104)는 팩시밀리 전송/수신을 수행할 때 통신을 제어하기 위해 회선을 포착할뿐만 아니라 전화기(128)가 통신 회선(130)을 통해 파트너 장치와의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때 회선의 포착 상태를 제어한다. SDAA(104)는 SOC(101)의 제어 하에서 그러한 제어 동작들을 실행한다.
SDAA(104)는 회선 포착 회로(105)를 이용하여 회선의 DC 포착 상태를 제어한다. 회선 포착 회로(105)가 DC 포착 동작을 수행할 때의 DC 임피던스는 가변적이다. 이 임피던스는 DC 전압에 대해 사전 설정된 전류 특성(DC-VI 특성으로 지칭됨)을 기초로 획득된다. 전압 검지 회로(150)는 통신 회선(130) 상의 전압을 감시하기 위한 회로이다. 전류 검지 회로(151)는 통신 회선(130) 상의 전류를 감시하기 위한 회로이다. AC 필터 회로(201)는 전압 검지 회로(150) 또는 전류 검지 회로(151)의 선행 스테이지에 연결되고 DC 전압 또는 전류를 검지할 때 AC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검지 오류를 방지한다.
DC 포착 회로(152)는 SDAA(104)의 주변 회로로서, 전류 소스의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DC 포착 동작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SDAA(104)의 제어에 의해 DC 임피던스를 조절한다. DC 포착 회로(152)는 또한 회선 개방 상태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며, 회선을 위한 일종의 선택 신호로서 다이얼 펄스를 송출한다. 정류기 회로(155)는 다이오드 브릿지를 포함하고, 통신 회선(130)으로부터의 신호를 정류하여 SDAA(104)에 전송한다. 수신 I/F 회로(153)가 통신 회선(130)을 통해 수신된 팩시밀리 수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이다. AC 임피던스 정합 회로(154)는 AC 임피던스를 예컨대, 일본에서 600Ω으로 조절하기 위한 회로이다. 노이즈 제거 회로(156)는 통신 회선(130)으로부터의 낙뢰 서지, 전자기 노이즈 등을 억제하고, 팩시밀리 장치(1200)의 노이즈가 통신 회선(130)을 통해 송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6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가 CI 검지 회로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통신 회선(130)으로부터 수신된 호출 신호(CI 신호)가 회선 전압 입력 회로(157)를 통해 SDAA(104)에 입력되고 SDAA(104)의 전압 검지 회로(150)에 의해 검지된다. 모뎀(102)은 회선 전압 값을 이용하여 CI 신호를 검지한다. 일본에서 PSTN 교환기는 CI 신호로서, 약 48V의 DC 전압에 중첩된 75Vrms의 AC 전압을 팩시밀리 장치(1200)로 송출한다. 이러한 동작에 있어서, SDAA(104)의 전압 검지 회로(150)에 의해 검지된 회선 전압 값을 이용하여, 모뎀(102)이 CI 장면을 수신하였는지가 판정된다.
H-릴레이(110)는 외부 전화기(128)가 통신 회선(130)에 연결된 연결 상태와 외부 전화기(128)가 통신 회선(130)으로부터 단절된 상태 사이의 스위치를 수행한다. SOC(101)는 H-릴레이 구동 신호(111)를 이용하여 H-릴레이(110)를 제어한다. 전화기(128)가 H-릴레이(110)에 의해 통신 회선(130)으로부터 단절되면, 팩시밀리 장치(1200)는, CI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도 전화기(128)가 울리지 않는 소위 무명동 착신 상태로 설정된다. 도 12에 도시된 팩시밀리 장치는 포토커플러 등을 이용하는 후크 검지 회로를 포함하지 않는다. 통신 회선(130)으로부터 공급된 약 48V의 DC 전압이 후크 검지 전압으로 사용되고 외부 전화기(128)가 DC 포착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오프-후크인 경우, 회선 저항으로 인해 48V에서 약 8V로 회선 전압이 강하된다. 외부 전화기(128)가 회선을 해제하기 위해 온-후크인 경우, 회선 전압은 48V로 복귀한다. 회선 전압이 회선 전압 입력 회로(157)를 통해 SDAA(104)에 입력되고, 모뎀(102)은 외부 전화기(128)가 온-후크였는지 또는 오프-후크였는지를 검지하기 위해 SDAA(104)의 전압 검지 회로(150)에 의해 검지된 회선 전압 값을 이용한다. 외부 전화기(128)의 오프-후크 또는 온-후크를 검지한 결과가 모뎀(102)으로부터 SOC(101)로 전송된다. 후크 검지 회로는 당연히 H-릴레이(110)의 일 단부로부터 후크 검지 DC 전압 송출 회로 또는 의사 CI 송출 회로를 연결함으로써 포함될 수 있다.
파트너 팩시밀리 장치(220)는 PSTN(공중 회선)(210)을 통해 연결된다. 타이머 회로(124)는 SOC(101)에 연결된다. 타이머 회로(124)는 SOC(101)로부터 설정된 시간을 측정한 후에 이를 인터럽트 등에 의해 CPU(200)에 통지한다. SOC(101)는 타이머 회로(124)의 기동을 설정하고 타이머의 초기화를 제어한다. 전원 회로(125)는 팩시밀리 장치(1200) 내의 회로 블록에 공급되는 전력을 생성하기 위한 회로이다. 일본에서, 100V의 AC 전압이 예컨대, 복수의 시스템의 전원 출력(163, 164)을 생성하기 위해 상용 전원(250)으로부터 공급된다. SOC(101)의 전원 컨트롤러(207)로부터 전원 회로(125)에 공급되는 전원 출력 제어 신호(167)는 전원 출력(163, 164)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모뎀(102), 네트워크 I/F(127), 타이머 회로(124) 및 키보드 세트(120)에 의해 생성되는 인터럽트 신호(d5, d6, d7, d8)는 전원 컨트롤러(207)에 공급된다. 인터럽트 신호 중 하나가 입력될 때, 전원 컨트롤로(207)는 슬립 모드로부터 복구하기 위한 요인이 발생되었다는 것을 CPU(200)에 통지한다. 복귀 요인의 발생에 응답하여, CPU(200)는 동작이 중지되는 중지 상태로부터 복귀하고 프로그램의 실행을 재개한다. CPU(200)는 전력 출력 제어 신호(167)를 이용하여 전원 회로(125)의 전원 출력(164)을 출력하도록 전원 컨트롤러(207)를 제어한다. 중지 상태로 복귀한 후, CPU(200)는 전원 컨트롤러(207)에 액세스하고 복귀 요인을 생성한 회로를 판정하여, 인터럽트 요인을 초기화한다.
인터럽트 신호(d5)는 모뎀(102)이 회선 전압의 변화를 검지할 때 출력된 인터럽트 신호이다. 인터럽트 신호(d6)는 네트워크 I/F(127)가 이 팩시밀리 장치(1200)에 예정된 프린트 작업을 검지할 때 생성되는 인터럽트 신호이다. 인터럽트 신호(d7)는 사전에 결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 타이머 회로(124)에 의해 출력되는 인터럽트 신호이다. 인터럽트 신호(d8)는 키보드 세트(120)의 키보드의 눌림을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이다. 인터럽트 신호(d5, d6, d7, d8)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논리화가 취해지고 인터럽트 신호(d)로서 SOC(101)의 전원 컨트롤러(207)에 공급된다. 이 경우, 인터럽트 신호(d)로 인해 중지 상태로부터 복귀한 후에 CPU(200)는 모뎀(102), 네트워크 I/F(127), 타이머 회로(124) 및 키보드 세트(120) 중 어느 것이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였는지를 판정한다.
도 14는 제6 실시예에 따라 팩시밀리 장치(1200)가 통신 회선을 포착할 때 통신 회선(130)의 회선 전압의 변화의 일 예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DC 포착 동작이 통신 회선(130)을 공중 회선(210)에 연결하기 위해 수행될 때의 회선 전압과 통신 회선(130)이 공중 회선(210)에 연결되지 않았을 때의 회선 전압은 후술되는 관계를 갖는다.
도 14를 참조하면, 1401에서, DC 포착 회로(152)는 DC 포착 상태(온-후크)에 있지 않으며, 이때의 전압 값은 약 48V이다. 공중 회선(210)으로부터 조망될 때의 DC 저항 값은 1MΩ 이상이다. 1402에서, 오프-후크 동작이 시작되고, DC 포착 회로(152)는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DC 포착 동작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SDAA(104)의 제어에 의해 DC 임피던스를 조절한다. 이때, 공중 회선(210)의 회선 저항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압 강하는 회선 전류의 증가와 함께 회선 전압이 점진적으로 강하되게 한다. 1403에서, DC 임피던스의 조절이 종료되고 공중 회선(210)으로부터 조망되었을 때의 DC 저항 값은 일정한 값이다. 상태 1403에서, 팩시밀리 장치(1200)로부터 조망되었을 때의 회선 전압은 회선 저항에 의해 유발되는 전압 강하로 인해 감소된다. 예컨대, DC 임피던스가 약 266Ω이고 30mA의 회선 전류가 흐를 때, 교환기의 내부 저항 및 회선 저항은 약 1,333Ω이고 30 [mA] × 1,333 [Ω]
Figure 112015074958463-pat00001
40 [V]의 전압 강하가 발생한다. 공중 회선(210)이 일정한 전압 제어를 받으면, 약 48V에서 약 40V로의 전압 강하가 발생하고, 팩시밀리 장치(1200)로부터 조망될 때의 회선 전압은 약 8V가 된다. 외부 전화기(128)가 SDAA(104)에 의한 회선 포착 동작을 수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오프-후크인 경우에도 동일한 사항이 적용된다.
도 15는 제6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1200)의 DC 포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다. 도 15에 도시되지 않은 정류기 회로(155) 등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약 48V의 DC 전압이 공중 회선(210)의 스테이션측 변환기로부터 팩시밀리 장치(1200)로 공급된다. 48V의 DC 전압이 스테이션-측 교환기의 내부 저항(Z0)(1503) 및 회선 저항(Z1)(1504) 또는 회선 저항(Z2)(1505)을 통해서 통신 회선(130)에 연결된 DC 포착 회로(152)에 공급된다. DC 포착 회로(152)는 내부 DC 임피던스를 변경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 또는 저항과 같은 회로를 포함하며, SDAA(104)의 제어 하에서 공중 회선(210)으로부터 공급된 전류 값(I)을 조절한다. DC 포착 회로(152)의 DC 임피던스(Z)(Z는 V/I로 표시됨)가 SDAA(104)의 제어 하에서 증가하면 회선 전류는 감소한다. 반면에, DC 임피던스(Z)가 감소하면 회선 전류가 증가한다.
SDAA(104)는 DC 포착 회로(152)를 가로지르는 전압 및 전류를 감시할 수 있으며, 규정된 DC 전압(V)과 전류(I) 간의 특성(DC-VI 특성)과 일치하도록 DC 포착 회로(152)의 DC 임피던스(Z)를 조절할 수 있다. 공중 회선(210)의 스테이션-측 교환기는 전압 소스 또는 전류 소스를 포함한다. 전류 소스는 스테이션-측 변환기가 내부 저항(Z0)(1503)을 제어할 때 형성된다.
팩시밀리 장치(1200)의 DC 포착 동작을 시작할 때, 팩시밀리 장치(1200)의 회선들(L1, L2) 사이의 전압은 회선 저항(Z1)(1504)과 회선 저항(Z2)(1505)(수 백 내지 수 천Ω)으로 인해 크게 강하된다. 전압이 강하한다는 전제를 기초로, DC 임피던스(Z)는 규정된 DC-VI 특성을 만족하도록 제어된다. 예컨대, 팩시밀리 장치(1200)의 회선들(L1, L2) 사이의 전압은 DC 포착 동작 이전에 48V의 DC 전압이 경우에도 DC 포착 동작 후에 전압 강하로 인해 약 8V까지 감소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이때, 팩시밀리 장치(1200)의 DC 포착 회로(152)를 포함함으로써 얻어지는 직류 임피던스(Z)는 DC 포착 동작 이전에 1MΩ 이상인 경우에도 DC 포착 동작 후에 수 십 Ω 내지 수 백 Ω으로 감소되도록 SDAA(104)에 의해 제어된다.
팩시밀리 장치(1200)가 통신 회선(130)을 통해 공중 회선(210)에 연결되었는지를 판정하는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통신 회선(130) 및 공중 회선(210)이 서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 장치는 공중 회선(210)으로부터 단절되어, 공중 회선(210)보다 48V가 공급되지 않는다. 그 결과, 통신 회선(130)의 회선 전압은 거의 0V가 된다. 한편, 통신 회선(130) 및 공중 회선(210)이 서로 연결되고 SDAA(104)가 DC 포착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회선 전압은 상술된 바와 같이 강하하지만 0V가 되지는 않으며 사전에 결정된 일정한 전압에서 유지된다. 그 결과, 예컨대 도 14에 도시된 역치 전압(1404)의 설정 값(A1)은 약 3V로 설정된다. SDAA(104)가 회선을 포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회선 전압이 역치 전압(3V)보다 낮은 경우, 통신 회선(130)은 공중 회선(210)에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통신 회선(130)이 공중 회선(210)에 연결되고 SDAA(104)가 회선을 포착하지 않은 경우에도, 외부 전화기(128)가 오프-후크였다면, 회선 전압은 강하하고 사전에 결정된 일정 전압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예컨대 역치 전압(1404)의 설정 값(A1)은 약 3V로 설정되고, 다른 역치 전압(1405)의 설정 값(A2)은 약 20V로 설정되고, 전압이 역치 전압(A1)으로부터(A1 포함) 역치 전압(A2)까지(A2 포함)의 범위 내에 있다면, 외부 전화기(128)가 회선을 포착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SDAA(104)의 전압 검지 회로(150)는 회선 전압을 감시함으로써, 통신 회선(130)이 공중 회선(210)에 연결되었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회선 전압 검지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즉, 모뎀(102)의 레지스터(206)는 미리 역치 전압(1404, 1405)의 설정 값(A1, A2)을 보유한다. SDAA(104)가 전압 검지 회로(150)에 의해 검지된 회선 전압을 역치 전압 값과 비교하여 회선 전압이 역치 전압의 설정 값(A1)보다 낮으면, 통신 회선(130)이 공중 회선(210)에 연결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레지스터(206) 내에 보유된다. 역치 전압의 설정 값(A1)으로부터(A1 포함) 역치 전압의 설정 값(A2)까지(A2 포함)의 범위 내에 있을 경우, 통신 회선(130)에 연결된 외부 전화기(128)가 회선을 포착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레지스터(206) 내에 보유된다. 그 결과, CPU(200)는 이러한 플래그를 참조하여, 통신 회선(130) 및 공중 회선(210)이 서로 연결되거나, 외부 전화기(128)가 회선을 포착하고 있거나, 통신 회선(130) 및 공중 회선(210)이 서로 연결되지 않았다는 것을 판정할 수 있다. 그 상황에 따라 팩시밀리 장치(1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6은 제6 실시예에 다른 팩시밀리 장치(1200) 내의 전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선도이다.
전원 회로(125)는 유출구(250)를 통해 상용 전원으로부터 100V의 AC 전압을 공급받으며, 100V의 AC 전압을 기초로 복수의 시스템의 전원 전압을 생성하고, 팩시밀리 장치(1200)의 회로 블록에 전원 전압을 공급한다. 전원 회로(125)에 의해 생성된 전원 출력(163)은 제1 전원 시스템 회로(1601)으로 공급되고, 전원 회로(125)에 의해 생성된 전원 출력(164)은 제2 전원 시스템 회로(1602)으로 공급된다. 제1 전원 시스템 회로(1601)는 슬립 모드에서도 연속적으로 전력이 공급될 필요가 있는 회로이다. 이는 모뎀(102), 타이머 회로(124), 네트워크 I/F(127), 키보드 세트(120), 메모리(140) 및 SOC(101)를 포함하며, 이들 모드는 도 12에 도시된다. 모뎀(102)은 절연 소자(103)를 통해 SDAA(104)에 전력을 공급한다. 슬립 모드에서, 팩시밀리 장치(1200) 내에, 전력은 모뎀(102) 및 SDAA(104)에 공급되지만, 모뎀(102)은 단지 최소 처리가 수행될 수 있는 낮은 전력 소비 모드로 이행하도록 제조된다. 이때, 모뎀(102)의 동작 클럭의 주파수가 감소되고, 동작하지 않는 모뎀(102)의 일 부분에 대한 전력 공급이 차단된다. H-릴레이(110)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H-릴레이 구동 신호(111)는, 외부 전화기(128) 및 통신 회선(130)이 서로 연결된 명동 착신 상태로 이행하도록 제어된다. 후크 검지 회로가 H-릴레이(110)의 일 단부로부터 후크 검지 DC 전압 송출 회로 또는 의사 CI 송출 회로를 연결함으로써 포함되는 경우, 후크 검지 회로는 무명동 착신 상태에 잔류하는 상태에서 외부 전화기(128)의 오프-후크를 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호출 신호(CI 신호)가 슬립 모드에서 통신 회선(130)으로부터 수신되면, 통신 회선(130)으로부터 수신된 CI 신호는 회선 전압 입력 회로(157)를 통해 SDAA(104)에 입력되고, SDAA(104)의 전압 검지 회로(150)에 의해 검지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슬립 모드에서, 모뎀(102)은 단지 최소 처리만이 수행될 수 있는 낮은 전력 소비 모드로 이행되었으며, 따라서 회선 전압을 이용하여 CI 신호의 수신을 판정할 수 없다. 전압 검지 회로(150)가 전압의 변화를 검지하고 CI 신호를 검지할 때, 인터럽트 신호(d5)는 슬립 모드로부터 대기 모드로 장치를 복귀시키기 위해 SOC(101)에 공급된다.
타이머 회로(124) 내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때, 타이머 회로(124)는 인터럽트 신호(d7)를 SOC(101)에 공급하여, 사전에 결정된 동작 모드로의 이행의 타이밍을 통지한다. 장치가 대기 모드로부터 슬립 모드로 이행할 수 있는 타이밍을 SOC(101)가 통지받을 때, 타이머 값(M1)이 타이머 회로(124)에 설정되고, 타이머 회로(124)가 기동된다. 대안적으로, 통신 회선(130)이 공중 회선(210)에 연결되지 않은 동안의 시간이 측정되고 SOC(101)는 장치가 전력-오프 모드로 이행할 수 있는 타이밍을 통지 받을 때, 타이머 값(M2)이 타이머 회로(124) 내에 설정되고 타이머 회로(124)가 기동된다.
LAN(240)을 통해 슬립 모드에서 팩시밀리 장치(1200)에 대해 예견된 프린트 작업을 수신할 때, 네트워크 I/F(127)는 슬립 모드로부터 대기 모드로 장치를 복귀시키기 위해 SOC(101)에 인터럽트 신호(d6)를 공급한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다양한 지시를 수신할 때, 키보드 세트(120)는 슬립 모드로부터 대기 모드로 장치를 복귀시키기 위해 SOC(101)에 인터럽트 신호(d8)를 공급한다.
제1 전원 시스템 회로(1601)는 슬립 모드에서 복귀 요인을 생성하기 위한 회로로서, 슬립 모드에서도 전력을 공급받는다.
한편, 제2 전원 시스템 회로(1602)는, 제1 전원 시스템 회로(1601)가 아닌 회로를 나타내며, 전력 공급이 슬립 모드에서 중지된다. 예컨대, 팩시밀리 장치(1200)의 판독 유닛(121) 및 기록 유닛(122)은 제2 전원 시스템 회로(1602) 내에 포함되며, 이들에 대한 전력 공급은 슬립 모드에서 중지된다.
제6 실시예에 따라 팩시밀리 장치(1200)를 대기 모드로부터 슬립 모드로 이행할 때, SOC(101)는 전원 출력 제어 신호(167)를 전원 회로(125)에 공급하고, 전원 회로(125)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출력(164)의 출력을 중지한다. 이는 팩시밀리 장치(1200)의 제2 전원 시스템 회로(160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지하여, 슬립 모드로 장치를 이행시킨다.
팩시밀리 장치(1200)를 대기 모드로부터 전력-오프 모드로 이행시킬 때, 제1 전원 시스템 회로(1601)에 속하는 SOC(101)는 전원 출력 제어 신호(167)를 전원 회로(125)에 공급한다. 이는 전원 회로(125)로부터의 전원 출력(163, 164)을 중지시켜서, 장치를 전력-오프 모드로 이행시킨다. 팩시밀리 장치(1200)를 슬립 모드로부터 전력-오프 모드로 이행시킬 때, SOC(101)는 전원 출력 제어 신호(167)를 전원 회로(125)에 공급하고, 전원 회로(125)로부터의 전원 출력(163)을 중지한다. 이때, 전원 출력(164)은 이미 중지되었으며, 따라서 팩시밀리 장치(1200)는 전력-오프 모드로 이행된다.
도 17은 제6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1200)의 상태에 대응하는 전원 회로(125)로부터의 전원 출력의 상태 추이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17은 팩시밀리 장치(1200)의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전원 회로(125)로부터의 전원 출력의 상태를 도시한다.
대기 모드에서, 전원 출력(163, 164) 모두는 온 상태이다. 슬립 모드에서는, 단지 제1 전원 시스템 회로(1601)에 대한 전원 출력(163)만이 온 상태이다. 전력-오프 모드에서, 전원 출력(163, 164)은 오프 상태이고, 작동자는 팩시밀리 장치를 전력-오프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이행시키기 위해 팩시밀리 장치(1200)의 전원 스위치를 다시 켜야 한다.
도 18 및 도 19는 제6 실시예에 다른 팩시밀리 장치(1200)의 동작 상태의 추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메모리(140) 내에 저장된다. CPU(200)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흐름도에 도시된 처리가 수행된다. 이 처리는 팩시밀리 장치(1200)의 전력을 온 시킬 때 시작되며, CPU(200)는 메모리(140)의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로드된 설정 및 프로그램에 따라 모뎀(102) 및 SDAA(104)의 리셋 및 초기 설정을 수행한다. 모뎀(102) 및 SDAA(104)가 리셋될 때, 모뎀(102)의 레지스터(206)는 기본 값으로 복귀한다.
단계 S1801에서는, SDAA(104)가 DC 포착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상태에서, CPU(200)가 통신 회선(130)이 공중 회선(210)에 연결되었는지를 판정하고, 모뎀(102)의 레지스터(206)의 플래그 및 메모리(140)에 검지 결과를 보유한다.
프로세스는 단계 S1802로 진행하고, CPU(200)는 통신 회선(130)이 공중 회선(210)에 연결되었는지를 판정한다. 통신 회선(130) 및 공중 회선(210)이 서로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프로세스는 단계 S1803으로 진행하고, CPU(200)는 타이머 회로(124) 내에서 타이머 값(M2)을 설정하고 프로세스를 단계 S1805로 진행시킨다. 타이머 값(M2)이 설정되는 이유는 통신 회선(130)이 공중 회선(210)에 연결되지 않은 동안의 시간이 장치를 파워-오프 모드로 이행시키기 위해 측정되기 때문이다. 즉, 통신 회선(130) 및 공중 회선(210)이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가 계속되고 팩시밀리 장치(1200)가 타이머 값(M2)이 경과할 때까지 계속 작동하지 않을 때, CPU(200)는 팩시밀리 장치(1200)를 전력-오프 모드로 이행시킨다.
한편, 단계 S1802에서 통신 회선(130) 및 공중 회선(210)이 서로 연결된 것으로 판정되면, 프로세스는 단계 S1804로 진행하고 타이머 회로(124)에 설정된 타이머 값(M2)는 초기화된다. 이는 통신 회선이 공중 회선(210)에 연결된 때 팩시밀리 장치(1200)가 작동하지 않는 동안의 시간이 계속되는 경우에도 팩시밀리 장치(1200)가 전원-오프 모드로 이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행된다. 타이머 값(M2)이 타이머 회로(124)에 설정되고 타이머 값이 측정되지 않은 경우에도, 이러한 초기화 처리(clear processing)가 실행된다.
프로세스는 단계 S1805로 진행하고, CPU(200)는 대기 모드로 장치를 이행시키고 다양한 작업을 위해 대기의 처리를 수행한다. 조작 패널(118)을 통한 사용자 조작, 네트워크 I/F(127)로부터의 작업의 수신, 공중 회선(210)으로부터의 호출 및 외부 전화기(128)의 오프-후크가 감시된다. 다양한 작업 등이 입력되지 않는 상태가 계속되는 동안, 타이머 회로(124) 및 메모리(140)가 감시 처리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예컨대, 작업이 입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CPU(200)는 타이머 회로(124)를 액세스함으로써 측정된 시간을 획득하고 그 시간을 메모리(140)에 보유한다. 작업이 없는 상태가 계속되는 동안,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다시 타이머 회로(124)에 액세스하고 경과된 시간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스는 단계 S1806으로 진행하고, CPU(200)는 타이머 회로(124)에 액세스하여, 슬립 모드로의 이행을 위한 타이머 값(M1)의 측정이 시작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이 타이머 값(M1)은 작업 부재 상태가 계속되는 동안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 값이다. 대안적으로, CPU(200)는 타이머 회로(124)를 액세스 한 후에 메모리(140) 내에 타이머 값(M1)의 기동 상태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인터럽트 신호가 타이머 회로(124)로부터 입력되기 전에 타이머 회로(124)의 동작이 변경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어떠한 사용자 조작, 다양한 작업의 입력, 공중 회선(210)으로부터의 호출 또는 소정 시간 동안의 외부 전화기(128)의 오프-후크도 없을 때, 팩시밀리 장치(1200)는 타이머 값(M1)의 측정을 시작한다. 단계 S1806에서, 타이머 값(M1)이 시작되었다는 것을 판정하면, 프로세스는 단계 S1807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단계 S1809로 진행한다. 단계 S1809에서, CPU(200)는 작업 부재 상태가 계속되는지를 판정한다. 작업 부재 상태가 계속되면, 프로세스는 단계 S1810으로 진행하고, CPU(200)는 타이머 회로(124)가 타이머 값(M1)의 측정을 하게 하며, 프로세스를 단계 S1901로 진행시킨다(도 19). 한편, 단계 S1809에서 작업 존재 상태가 팩시밀리 장치(1200)를 위한 사용자 조작, 다양한 작업의 입력, 공중 회선(210)으로부터의 호출, 외부 전화기(128)의 오프-후크 등에 의해 설정된 것이 판정되면, 프로세스는 단계 S1901로 진행한다.
CPU(200)가 단계 S1807에서 작업 부재 상태가 계속된다는 것을 판정하면, 프로세스는 단계 S1901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1807에서 작업 존재 상태가 팩시밀리 장치(1200)를 위한 사용자 조작, 다양한 작업의 입력, 공중 회선(210)으로부터의 호출 및 외부 전화기(128)의 오프-후크 중 하나에 의해 설정된 것이 판정되는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S1808로 진행한다. 단계 S1808에서, CPU(200)는 타이머 회로(124)에 의한 타이머 값(M1)의 측정을 중지시키고, 타이머 값을 초기화한다. 프로세스는 단계 S1901로 진행하고, 사용자 조작 또는 다양한 작업의 접수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동작이 공중 회선(210)으로부터의 호출인지 또는 외부 전화기(128)의 오프-후크인지를 판정하는 처리가 단계 S1907(후술됨)에서 수행된다.
도 19에 도시된 흐름도가 설명될 것이다.
단계 S1901에서, CPU(200)는 통신 회선(130)의 회선 전압이 변경되었는지를 판정한다. 회선 전압이 변경된 경우, 모뎀(102)은 SOC(101)에 인터럽트 신호(d5)를 입력한다. 이로 인해, 회선 전압이 변경되었는지를 인터럽트 신호(d5)를 기초로 판정할 수 있다. 회선 전압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S1914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프로세스는 단계 S1902로 진행한다. 단계 S1902에서, CPU(200)는 모뎀(102)을 액세스함으로써 통신 회선(130)과 공중 회선(210) 사이의 연결 상태를 검지한다. 이때, 모뎀(102)을 액세스함으로써, 통신 회선(130) 및 공중 회선(210)이 서로 연결되지 않았거나 외부 전화(128)가 오프-후크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뿐만 아니라 회선 전압 값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스는 단계 S1903으로 진행하고, CPU(200)는 통신 회선(130)과 공중 회선(210) 사이의 연결 상태가 연결 상태로부터 단절 상태로 변경되었는지를 판정한다. 통신 회선(130)이 공중 회선(210)에 연결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이미 메모리(140)에 보유되어 있기 때문에, 메모리(140)에 액세스하고 현재 연결 상태와 상기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판정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1903에서, 공중 회선(210)과의 연결 상태가 연결 상태에서 단절 상태로 변경되는 것이 판정되면, 프로세스는 단계 S1904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단계 S1905로 진행한다. 단계 S1904에서, CPU(200)는 타이머 회로(124) 내에 타이머 값(M2)을 설정하고 시간 측정을 시작한다. 이는 통신 회선(130)이 공중 회선(210)에 연결되지 않은 동안의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장치가 전력-오프 모드로 이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수행된다. 이때, 통신 회선(130)이 공중 회선(210)에 연결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메모리(140) 내에 보유된다. 이후, 프로세스는 단계 S1805(도 18)로 복귀한다.
단계 S1905에서, CPU(200)는 통신 회선(130)과 공중 회선(210) 사이의 연결 상태가 단절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 변경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연결 상태가 변경되었다면, 프로세스는 단계 S1906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단계 S1907로 진행한다. 단계 S1906에서, CPU(200)는 타이머 회로(124)에 설정된 타이머 값(M2)을 초기화한다. 이는 장치를 전력-오프 모드로 이행시킬 필요를 제거하기 위해 통신 회선(130)이 공중 회선(210)에 연결되기 때문에 수행된다. 이때, 통신 회선(130) 및 공중 회선(210)이 서로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메모리(140) 내에 보유된다. 이후, 프로세스는 단계 S1805(도 18)로 복귀한다.
단계 S1907에서, 통신 회선(130)과 공중 회선(210) 사이의 연결 상태가 변경되지 않았기 때문에, CPU(200)는 통신 회선(130)의 전압 변화가 외부 전화기(128)의 오프-후크 또는 CI 신호의 수신에 의해 유발되었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모뎀(102)을 제어한다. 통신 회선(130)의 전압 변화가 CI 신호의 수신에 의해 유발된 경우, 모뎀(102)은 CI 신호 검지 플래그를 켠다. 대안적으로, 통신 회선(130)의 전압이, SDAA(104)가 DC 포착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있지만 역치 전압의 설정 값(A1)(A1 포함)으로부터 역치 전압의 설정 값(A2)(A2 포함)까지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외부 전화기(128)가 회선을 포착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모뎀(102)의 레지스터(206)에 설정된다. 또한, 모뎀(102)에 액세스함으로써 회선 전압 값을 획득하고 판정 처리를 위해 그 값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스는 단계 S1908로 진행하고, CPU(200)는 CI 신호가 검지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단계 S1907에서, CI 신호 검지 플래그가 모뎀(102) 내에 설정되었다면, CI 신호의 수신이 판정되어, 프로세스는 단계 S1911로 진행하고 CPU(200)는 팩시밀리 수신 처리를 수행한다. 이 처리는 통상적인 처리이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수신 처리가 종료되면, CPU(200)에 의해 처리는 단계 S1805로 진행한다.
한편, CI 신호의 수신이 단계 S1908에서 판정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S1909로 진행하고, CPU(200)는 외부 전화기(128)의 오프-후크가 검지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오프-후크 검지 플래그가 단계 S1907에서 모뎀(102)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면, 전압의 변화가 외부 전화기(128)의 오프-후크에 의해 유발되었으며, 따라서 프로세스는 단계 S1912로 진행한다. 모뎀(102)에 액세스함으로써 회선 전압 값을 획득하고 이를 오프-후크 판정 처리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계 S1912에서, CPU(200)는 팩시밀리의 외부 전화기(128)에 의해 음성 통신 처리를 수행한다. 이는 통상의 처리이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음성 통신 처리가 종료되면, CPU(200)에 의해 처리는 단계 S1805로 진행한다. CPU(200)가 단계 S1909에서 전압 변화가 외부 전화기(128)의 오프-후크에 의해 유발되지 않았다는 것을 판정하면, 프로세스는 단계 S19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1910에서의 처리는, 단계 S1903, 단계 S1905, 단계 S1908 및 단계 S1909에서 '아니오'가 판정될 때 수행된다. 이때, CPU(200)는 통신 회선(130)의 전압 변화가 노이즈에 의해 유발되었으며 통신 회선(130)의 상태는 변경되지 않았다는 것을 판정하고, 타이머 회로(124)에 의한 타이머 값(M2)의 측정을 계속하고, 장치를 대기 모드로 이행시켜서, 프로세스를 단계 S1805로 복귀시킨다.
단계 S1914에서, CPU(200)는 타이머 값(M1, M2)의 측정이 완료되었는지를 판정한다. CPU(200)는 타이머 회로(124)에 액세스함으로써 판정 처리를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타이머 회로(124)가 SOC(101)에 인터럽트 신호(d7)을 입력할 때 타이머 회로(124)에 액세스함으로써 판정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1915를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타이머 값(M1)의 측정이 완료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메모리(140) 내에 보유될 수 있으며, 판정 처리가 메모리(140) 액세스 결과를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타이머 값(M1, M2)의 측정이 완료된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S1917로 진행한다. 단계 S1917에서의 처리는 팩시밀리 장치(1200)가 동작하지 않았으며 소정 시간 동안 작업이 입력되지 않았을 때 수행되며, 통신 회선(130)과 공중 회선(210)이 서로 연결되지 않았다는 것이 판정된다. 따라서, 단계 S1917에서, 다양한 종료 프로세스가 실행된 후에, CPU(200)는 전원 회로(125)에 연결된 전원 출력 제어 신호(167)를 변경하고, 장치를 전력-오프 모드로 이행시키기 위해 전원 회로(125)로부터의 전원 출력(163, 164)을 중지한다. 전력-오프 시, CPU(200)는 리셋되어, 그 작동이 중지되며, 그로 인해 처리가 종료된다. 이후에, 팩시밀리 장치(1200)는 전원 스위치가 수동으로 켜질 때까지 복귀하지 않는다.
반면에, 단계 S1914에서 타이머 값(M1, M2)의 측정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S1915로 진행하고, CPU(200)는 타이머 값(M1)의 측정이 완료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이때, CPU(200)는 타이머 회로(124)에 액세스함으로써 판정 처리를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인터럽트 신호(d7)가 SOC(101)에 입력될 때 타이머 회로(124)에 액세스함으로써 판정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CPU(200)는 인터럽트 신호(d7)가 SOC(101)에 입력될 때 타이머 회로(124)에 액세스할 수 있으며, 타이머 값(M1)의 측정이 완료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메모리(140) 내에 보유할 수 있으며, 메모리(140) 액세스의 결과를 기초로 판정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타이머 값(M1)의 측정이 완료된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S1916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도 18의 단계 S1805로 복귀한다.
단계 S1916에서의 처리는 팩시밀리 장치(1200)가 슬립 모드로의 이행을 위한 조건을 만족할 때 실행된다. 단계 S1916에서, CPU(200)는 장치를 슬립 모드로 이행시키기 위해 다양한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슬립 모드에서, 전력은 모뎀(102) 및 SDAA(104)에 공급되지만, 모뎀(102) 및 SDAA(104)는 최소 처리만이 수행되는 낮은 전력 소비 모드로 이행하게 된다. H-릴레이(110)의 전력 소비를 억제하기 위해, H-릴레이 구동 신호(111)는 외부 전화기(128) 및 통신 회선(130)이 연결된 착신 상태로 장치를 이행하도록 제어된다. CPU(200)는 전력 회로(125)로부터의 전원 출력(164)을 중지하기 위해 전력 컨트롤러(207)로부터 전력 회로(125)로 연결된 전원 출력 제어 신호(167)를 변경한다.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태는 신호가 전원 컨트롤러(207)로부터 입력될 때까지 CPU(200) 자체가 정지되는 상태로 이행된다. 이 처리에 의해, CPU(200)는 인터럽트 신호가 전원 컨트롤러(207)에 입력될 때까지 프로그램의 실행을 중지한다.
도 20a 및 도 20b는 팩시밀리 장치(1200)가 도 19의 단계 S1916에서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CPU(200)가 중지되고 슬립 모드에서 판정 처리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전원 컨트롤러(207)는 단계 S2002, 단계 S2003 및 단계 S2004에서 판정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입력된 인터럽트 신호의 존재/부재를 기초로, 전원 컨트롤러(207)는 장치가 슬립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지를 판정한다. 전원 컨트롤러(207)는 인터럽트 신호(d5, d6, d7, d8) 중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처리를 변경할 수 있다.
단계 S2001에서, CPU(200) 및 전원 컨트롤러(207)는 절전 모드를 시작한다. CPU(200) 및 전원 컨트롤러(207)에 의해 처리는 단계 S2002로 이행된다. 단계 S2002에서, CPU(200) 및 전원 컨트롤러(207)는,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 요인이 키보드 세트(120) 또는 네트워크 I/F(127)로부터 송출되었는지를 판정한다. 팩시밀리 장치(1200)를 위한 사용자 조작이 수행되거나 또는 다양한 작업이 네트워크 I/F(127)로부터 입력되는 경우, CPU(200) 및 전원 컨트롤러(207)에 의해 처리는 단계 S2018로 진행하여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단계 S2018에서, CPU(200) 및 전원 컨트롤러(207)는 사용자 조작 또는 네트워크 I/F(127)로부터의 다양한 작업 입력을 처리하기 위해 슬립 모드로부터의 복귀 처리를 실행한다. 이때 전원 컨트롤러(207)는 인터럽트 신호가 생성된 것을 CPU(200)에게 통지한다. 인터럽트가 발생한 것을 검지하면, CPU(200)는 중지 상태로부터 복귀하여 프로그램의 실행을 재개한다. CPU(200)는 중지 상태로부터 복귀한 후 인터럽트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전원 컨트롤러(207)에 액세스하고, 이후에 그 요인을 초기화한다. CPU(200)는 어떤 회로가 기동 요인을 생성하였는지를 확인하고, 예컨대 정상 상태(normal state)로 모뎀(102)을 복귀시키는 다양한 초기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후, CPU(200)는 전원 출력 제어 신호(167)를 변경하기 위해 전원 컨트롤러(207)를 제어하고 전원 회로(125)로부터 전원 출력(164)을 출력하여(켜서), 장치를 대기 모드로 이행시킨다.
한편, 단계 S2002에서 슬립 모드로부터 복귀하기 위한 요인이 없다고 판정되면, 프로세스는 단계 S2003으로 진행하고, CPU(200) 및 전원 컨트롤러(207)는 모뎀(102)이 회선 전압 변화에 의해 유발된, 슬립 모드로부터의 복귀를 위한 요인을 송출하였는지를 판정한다. CI 신호가 공중 회선(210)으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전화기(128)가 오프-후크일 때, 회선 전압은 변경되고, 인터럽트 신호(d5)가 모뎀(102)으로부터 전원 컨트롤러(207)로 생성되고, 회선 전압이 변경되었다는 것이 판정된다. 이때, 모뎀(102)은 낮은 전력 소비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전압 변화가 CI 신호의 수신, 오프-후크 또는 공중 회선(210)에 대한 연결의 변화에 의해 유발되었는지를 판정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슬립 모드에서 회선 전압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회선 전압이 변경되었다는 것이 판정되면, CPU(200) 및 전원 컨트롤러(207)에 의해 처리는 단계 S2006로 이행되어, 장치를 슬립 모드로부터 대기 모드로 복귀시킨다.
한편, 단계 S2003에서 회선 전압이 변경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CPU(200) 및 전원 컨트롤러(207)에 의해 처리는 단계 S2004로 이행된다. 단계 S2004에서, CPU(200) 및 전원 컨트롤러(207)는 타이머 값(M1, M2)의 측정이 완료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인터럽트 신호(d7)가 타이머 회로(124)로부터 생성되고 전원 컨트롤러(207)에 입력될 때, 전원 컨트롤러(207)는 타이머 값(M2)의 측정이 종료되었다고 판정한다. 전원 컨트롤러(207)가 인터럽트 신호가 생성되었다는 것을 CPU(200)에 통지할 때, CPU(200)는 인터럽트의 발생을 검지하고, 프로그램의 실행을 개시하기 위해 중지 상태로부터 복귀한다. CPU(200)가 중지 상태로부터 복귀한 후, CPU(200)는 인터럽트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전원 컨트롤러(207)에 액세스하고, 이후 인터럽트 요인을 초기화한다. CPU(200)는 어떤 회로가 기동 요인을 생성하였는지를 확인한다. CPU(200)는 타이머 값(M2)의 측정이 종료되었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타이머 회로(124)에 액세스한다. 이때, 장치는 슬립 모드로 이행된 상태이며, 타이머 값(M1)의 측정이 완료된다. 대안적으로, CPU(200)는 타이머 값(M1, M2)의 측정이 완료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메모리(140) 내에 보유할 수 있으며, 판정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140)에 액세스할 수 있다. 타이머 값(M1, M2)의 측정이 완료되면, CPU(200) 및 전원 컨트롤러(207)에 의해 처리는 단계 S2005로 이행된다. 단계 S2005에서의 처리는 팩시밀리 장치(1200)가 동작하지 않았으며 작업이 소정의 사간 동안 입력되지 않았을 때 그리고 통신 회선(130) 및 공중 회선(210)은 서로 연결되지 않았다고 판정될 때 실행된다. 단계 S2005에서, CPU(200)는 전원 출력 제어 신호(167)를 이용하여 전원 회로(125)의 전원 출력(164)을 켜기 위해 전원 컨트롤러(207)를 제어하여, 장치를 대기 모드로 이행시킨다. 다양한 종료 프로세스를 수행한 후에, CPU(200)는 전원 출력 제어 신호(167)를 전원 회로(125)에 출력하고, 전원 회로(125)로부터의 전원 출력(163, 164)을 중지하고, 장치를 전력-오프 모드로 이행시킨다. 전력-오프 시, CPU(200)는 리셋되어, 그 동작이 중지되고, 따라서 흐름도에 따른 처리가 종료된다. 이후에, 팩시밀리 장치(1200)는 전원 스위치가 수동으로 켜질 때까지 복귀하지 않는다. 단계 S2004에서, 타이머 회로(124)로부터의 인터럽트 신호(d7)가 변경되었다는 것이 판정되면, CPU(200) 및 전원 컨트롤러(207)에 의해 처리는 단계 S2002로 이행된다.
한편, 단계 S2003에서 회선 전압이 변경된 것으로 판정되면, 프로세스는 단계 S2006으로 진행하고, CPU(200) 및 전원 컨트롤러(207)는 팩시밀리 장치(1200)가 공중 회선(210)에 연결되었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장치를 슬립 모드로부터 대기 모드로 일시적으로 복귀시킨다. 이러한 처리에 있어서, 전원 컨트롤러(207)는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CPU(200)에 통지하고, CPU(200)는 프로그램의 실행을 재개하기 위해 인터럽트에 의해 중지 상태로부터 복귀하고 예컨대, 정상 모드로 모뎀(102)을 복귀시키는 다양한 초기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후, CPU(200)는 전원 회로(125)에 전원 출력 제어 신호(167)를 제공하고, 전원 회로(125)로부터의 전원 출력(164)을 켜서, 장치를 대기 상태로 이행시킨다. CPU(200)에 의해 처리는 단계 S2007로 이행된다.
단계 S2007에서, CPU(200)는 통신 회선(130)과 공중 회선(210) 사이의 연결 상태를 검지하기 위해 모뎀(102)에 액세스한다. 이때, CPU(200)가 모뎀(102)에 액세스하면, 통신 회선이 공중 회선(210)에 연결되었는지 또는 외부 전화기(128)가 오프-후크였다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 외에도, 모뎀(102)이 정상 상태로 복귀하였기 때문에 통신 회선(130)의 전압 값을 취득할 수 있다. 처리는 단계 S2008로 진행하고, CPU(200)는 공중 회선(210)과의 연결 상태가 연결 상태로부터 단절 상태로 변경되었는지를 판정한다. 통신 회선(130)이 공중 회선(210)에 연결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단계 S1801에서 메모리(140)에 보유되었기 때문에, 데이터를 처리하고 그 데이터를 현재 상태와 비교함으로써 판정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공중 회선(210)과의 연결 상태가 연결 상태로부터 단절 상태로 변경되었다고 판정되면, 프로세스는 단계 S200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단계 S2010로 진행한다. 단계 S2009에서, CPU(200)는 타이머 회로(124)에 타이머 값(M2)을 설정하고 시간 측정을 시작한다. 이는 통신 회선(130)이 공중 회선에 연결되지 않은 동안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수행된다. 이때, CPU(200)는 메모리(140)에, 통신 회선(130)이 공중 회선(210)에 연결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보유하고, 단계 S2019에서 장치를 슬립 모드로 이행시키는 처리를 실행한다. 공중 회선(210)과의 연결 상태가 단절 상태로 변경될 때, CPU(200)는 전력-오프 모드로의 이행을 위한 시간(타이머 값(M2))의 측정을 시작하여, 장치를 슬립 모드로 이행시킨다.
단계 S2010에서, CPU(200)는 통신 회선(130)과 공중 회선 사이의 연결 상태가 단절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 변경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연결 상태가 변경되었다면, CPU(200)에 의해 처리는 단계 S2011로 이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CPU(200)에 의해 처리는 단계 S2012로 이행된다. 단계 S2011에서, CPU(200)는 타이머 회로(124)에 설정된 타이머 값(M2)을 초기화한다. 통신 회선(130)과 공중 회선(210)이 서로 연결되어 전력-오프 모드로 장치를 이행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에 이러한 처리가 수행된다. 이때, 통신 회선(130) 및 공중 회선(210)이 서로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메모리(140)에 보유되고, 프로세스는 단계 S2019로 이행된다. 단계 S2019에서, CPU(200)는 장치를 슬립 모드로 즉시 이행시킨다. 장치를 슬립 모드로 이행시키기 위해, CPU(200)는 단계 S1916에서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한다. 공중 회선(210)과의 연결 상태가 연결 상태로 변경될 때, CPU(200)는 전원-오프 모드로의 이행을 위한 시간(타이머 값(M2))의 측정을 중지하여, 장치를 슬립 모드로 이행시킨다.
단계 S2008에서 '예'가 판정된 후 단계 S2009를 거쳐 처리를 단계 S2019로 진행시키는 것은 공중 회선(210)과의 연결 상태가 슬립 모드에서 단절 상태로 변경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경우, 장치가 단계 S2006에서 대기 상태로 일시적으로 복귀한 경우에도, 프로세스는 타이머 값(M1)의 측정을 위해 대기하지 않고 슬립 모드로 장치를 즉시 이행시키기 위해 단계 S2019로 진행한다. 이는 장치가 전력-오프 모드로 이행되기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서,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단계 S2010에서 '예'가 판정된 후 단계 S2011을 거쳐 처리를 단계 S2019로 진행시키는 것은 통신 회선이 슬립 모드에서 공중 회선과 연결 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장치가 단계 S2006에서 대기 상태로 일시적으로 복귀한 경우에도, 장치를 슬립 모드로 즉시 이행시킴으로써, 전력 소비가 억제된다. 단계 S2019에서의 처리가 실행된 후, 프로세스는 단계 S2002로 복귀한다.
단계 S2010에서, 통신 회선(130)과 공중 회선(210) 사이의 연결 상태가 단절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 변경되었다고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 S2012로 진행한다. 단계 S2012에서의 처리는, 회선 전압이 통신 회선(130)과 공중 회선(210) 사이의 연결 상태 변화가 아닌 다른 요인에 의해 변경될 때 실행된다. 따라서, 단계 S2012에서 CPU(200)는 통신 회선(130)의 전압 변화가 CI 신호의 수신 또는 외부 전화기(128)의 오프-후크를 나타내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모뎀(102)을 제어한다. 통신 회선(130)의 전압 변화가 CI 신호의 수신을 나타내는 경우, 모뎀(102)은 CI 신호 검지 플래그를 켠다. 대안으로, SDAA(104)가 DC 포착 동작을 수행하고 있지 않았지만 통신 회선(130)의 전압이 설정 값(A1)(역치)으로부터(A1 포함) 설정 값(A2)(역치)까지(A2 포함)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모뎀(102)은 외부 저화기(128)가 회선을 포착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켠다. 이때, 모뎀(102)은 정상 상태로 복귀하였기 때문에, 모뎀(102)에 액세스함으로써 회선 전압 값을 획득할 수도 있으며, 판정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CPU(200)에 의해 처리는 단계 S2013으로 이행된다.
단계 S2013에서, CPU(200)는 CI 신호의 수신이 검지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단계 S2012에서, CI 신호 검지 플래그가 모뎀(102) 내에서 온 상태라고 판정되면, CPU(200)에 의해 처리는 단계 S2014로 이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CPU(200)에 의해 처리는 단계 S2015로 이행된다. 단계 S2014에서, CPU(200)는 팩시밀리 수신 처리를 실행하고 팩시밀리 수신 처리의 완료 시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는 통상의 처리로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단계 S2015에서, CPU(200)는 외부 전화기(128)의 오프-후크가 검지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단계 S2012에서, 오프-후크 검지 플래그가 모뎀(102) 내에서 온 상태인 것으로 판정되면, CPU(200)에 의해 처리는 단계 S2016으로 이행된다. 이때, 모뎀(102)에 액세스함으로써 회선 전압 값을 획득하여, 이를 판정 처리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단계 S2016에서, CPU(200)는 팩시밀리의 외부 전화기(128)에 의한 음성 통신 처리를 수행하고, 음성 통신 처리의 종료 시 본 처리를 종료한다. 본 처리는 통상의 처리로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단계 S2015에서, 오프-후크가 검지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CPU(200)에 의해 처리는 단계 S2017로 이행된다. 단계 S2017에서의 처리는, 단계 S2008, 단계 S2010, 단계 S2013 및 단계 S2015에서 '아니오'가 판정될 때 실행된다. 단계 S2017에서, CPU(200)는 통신 회선(130)의 전압 변화가 노이즈에 의해 유발되었으며 통신 회선(130)의 상태가 변경되지 않았다는 것을 판정하고, 타이머 값(M2)의 측정을 계속하고, 대기 상태를 유지하면서 대기 모드로 장치를 이행시킨다.
도 21은 제6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1200)의 전력 추이의 일 예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21은 통신 회선이 대기 모드에서 공중 회선(210)에 연결되지 않고 슬립 모드에서 공중 회선(210)에 연결되었을 때 전력 추이를 도시한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된 각 단계에서의 주요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이 설명될 것이다.
대기 모드에서 시간(t10)에서의 회선 전압의 변화를 검지할 때(도 19의 단계 S1901에서의 '예'에 대응함), 공중 회선(210)과의 연결 상태는 시간(t11)에서 검지된다(단계 S1902). 이전 상태와 비교하여 공중 회선(210)과의 연결 상태가 대기 모드에서 단절 상태로 변경되었다고 판정되면(S1903에서의 '예'에 대응함), 타이머 회로(124)는 타이머 값(M2)와 함께 기동된다(시간(t11), 단계 S1904).
장치는 시간(t2)에서 슬립 모드로 이행된다(단계 S1915에서 '예'에 대응함). 시간(t3)에서 슬립 모드에서의 회선 전압 변화가 검지되면(단계 S2003에서 '예'에 대응함), 장치는 슬립 모드로부터 대기 모드로 일시적으로 복귀한다(단계 S2006). 공중 회선(210)과의 연결 상태는 대기 모드에서의 시간(t31)에서 검지된다(단계 S2007). 이전 상태와 비교하여 공중 회선(210)과의 연결 상태가 연결 상태로 변경되었다는 것이 판정되면(단계 S2010에서 '예'), 타이머 회로(124)에 의한 타이머 값(M2)의 측정이 중지된다(단계 S2011). 시간(t32)에서, 장치는 슬립 모드로 즉시 이행된다(단계 S2019).
제6 실시예에서, 공중 회선(210)과의 연결 상태가 연결 상태로 변경될 때, 전력-오프 모드로의 이행을 위한 시간의 측정이 중지되어, 통신 회선이 공중 회선에 연결되었을 때 슬립 모드인 경우에도 장치가 전력-오프 모드로 이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타이머 값(M1)의 측정을 위한 대기없이 시간(t32)에서 슬립 모드로 장치를 즉시 이행시키는 것은 대기 모드의 시간을 단축시켜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2는 제6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1200)의 전력 추이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22는 통신 회선이 대기 모드에서 공중 회선(210)에 연결되지만 슬립 모드에서는 공중 회선(210)으로부터 단절될 때의 전력 추이를 도시한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된 각 단계에서의 주요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이 설명될 것이다.
장치는 시간(t2)에서 슬립 모드로 이행된다(단계 S1915에서 '예'에 대응함). 슬립 모드에서의 시간(t3)에서 통신 회선(130)의 회선 전압 변화를 검지할 때(단계 S2003에서 '예'에 대응함), 장치는 슬립 모드로부터 대기 상태로 일시적으로 복귀한다(단계 S2006). 공중 회선(210)과의 연결 상태는 대기 모드에서의 시간(t31)에서 검지된다(단계 S2007). 시간(t32)에서, 공중 회선(210)에 대한 연결이 슬립 모드에서의 이전 상태와 비교하여 단절 상태로 변경되었다는 것이 판정되면(단계 S2008에서 '예'에 대응함), 타이머 값(M2)이 시간 측정을 시작하기 위해 타이머 회로(124) 내에 설정된다(단계 S2009). 장치는 슬립 모드로 즉시 이행된다(단계 S2019).
이는 시간(t32)에서 타이머 값(M2)과 함께 시간 측정을 시작하기 때문에, 시간 측정은 공중 회선(210)과의 연결 상태가 슬립 모드에서 단절 상태로 변경되었다는 것이 판정되었을 때 시작할 수 있으며, 장치는 시간(t4)에서 전력-오프 모드로 이행될 수 있다. 시간(t32)에서, 장치는 타이머 값(M1)의 측정을 위한 대기 없이 슬립 모드로 즉시 이행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에서, 공중 회선(210)과의 연결 상태가 단절 상태로 변경될 때, 전력-오프 모드로의 이행을 위한 시간은 즉시 계측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슬립 모드에서도, 사전에 결정된 시간이 측정될 때, 장치는 전력-오프 모드로 이행될 수 있다.
시간(t32)에서 타이머 값(M1)의 측정을 위한 대기 없이 장치를 슬립 모드로 즉시 이행시킴으로써, 대기 모드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된 제6 실시예에서는, 전력 관리가 통신 회선(130)과 공중 회선(210) 사이의 연결 상태를 기초로 제어되는 경우가 설명되었다. LAN(240)에 대한 연결의 존재/부재가 구체적으로 기술되지 않았지만, 회선과의 연결 상태를 위한 제어 동작과 동일한 제어 동작이 LAN(240)에 대한 연결의 존재/부재를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상술된 제6 실시예가 LAN(240)으로/으로부터의 연결/단절과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I/F(127)가 제1 전원 시스템 회로(1601)에 속하고 따라서 슬립 모드에서도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LAN(240)으로부터 수신 패킷을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LAN(240)과의 링크가 슬립 모드에서도 확립되었는지를 검지함으로써, LAN(240)과의 연결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제7 실시예
본 발명의 제7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LAN(240)과의 연결 상태를 검지함으로써, LAN(240)에 연결되었을 때 팩시밀리 장치(1200)를 전력-오프 모드로 이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7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의 배열은 상술된 제6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며,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제7 실시예에서, 장치가 LAN(240)에 연결된 것으로 판정될 때, 타이머 값(M2)으로의 시간 측정이 초기화되고, 타이머 값(M2)으로의 시간 측정은 장치가 LAN(240)으로부터 단절된 후에만 시작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장치가 LAN(240)에 연결될 때,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타이머 값(M2)을 측정하는 기동 설정 처리의 실행이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동작에 있어서, 프린트 작업이 LAN(240)으로부터 입력되기 전에 장치가 전력-오프 모드로 이행되기 때문에, 팩시밀리 장치의 전원 스위치를 수동으로 켜는 것이 필요한 상황을 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더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도 지칭됨) 상에 기록되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예컨대,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독출하고 실행하고 및/또는 상술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회로(예컨대, 특정 용도 집적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컨대 상술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로부터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독출 및 실행함으로써 및/또는 상술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컨대,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 처리 유닛(MPU))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독출 및 실행하기 위해 개별 컴퓨터들 또는 개별의 프로세서들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예컨대, 네트워크 또는 저장 장치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컨대,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읽기 전용 메모리(ROM), 분포식 컴퓨팅 시스템의 저장부, 광학 디스크(예컨대,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본 발명은 예시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술된 예시적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후속하는 청구항의 범주는 모든 그러한 변경 및 균등한 구조와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은 해석에 따라야 한다.

Claims (18)

  1. 통신 장치이며,
    외부 장치로부터 회선을 통해 신호의 수신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상기 통신 장치의 상태를, 사전에 결정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가 가능한 제1 상태에서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가 불가능한 제2 상태로 이행시키는 이행 수단과,
    상기 통신 장치가 회선에 연결되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의 이행이 상기 이행 수단에 의해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통신 장치가 턴 오프(turn off)된 상태인,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사전에 결정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이행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의 이행 처리가 개시되기 전에 상기 판정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행 수단은,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회선에 연결되지 않았다고 상기 판정 수단이 판정한 경우에 상기 통신 장치의 상태를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이행시키는, 통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검지 수단으로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도록 하는,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 수단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 수단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통신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지 수단에는 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판정 수단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사전에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판정 수단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전력 공급이 개시된 후에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회선에 접속되었는지를 판정하는, 통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회선에 접속되었다고 상기 판정 수단이 판정한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에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도록 하는, 통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경과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사전에 결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때에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회선에 접속되었는지를 판정하는, 통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수단은 상기 제2 상태가 개시된 이후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통신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선은 공중 전화 회선인, 통신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선으로부터의 입력 전압과 상기 회선으로의 출력 전압 간의 전압차를 검지하는 제2 검지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제2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상기 전압차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회선에 연결되었는지를 판정하는, 통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제2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전압차가 사전에 결정된 임계값보다 낮을 경우에는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회선에 연결되지 않았다고 판정하고, 상기 제2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전압차가 사전에 결정된 임계값보다 낮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회선에 연결되었다고 판정하는, 통신 장치.
  14. 외부 장치로부터 회선을 통해 신호의 수신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통신 장치의 상태를, 사전에 결정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가 가능한 제1 상태에서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가 불가능한 제2 상태로 이행시키는 이행 단계와,
    상기 통신 장치가 회선에 연결되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 단계와,
    상기 판정 단계에서의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의 이행이 상기 이행 단계에서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15. 외부 장치로부터 회선을 통해 신호의 수신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이며,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통신 장치의 상태를, 사전에 결정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가 가능한 제1 상태에서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가 불가능한 제2 상태로 이행시키는 이행 단계와,
    상기 통신 장치가 회선에 연결되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 단계와,
    상기 판정 단계에서의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의 이행이 상기 이행 단계에서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50109311A 2014-08-04 2015-08-03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074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58988A JP2016036117A (ja) 2014-08-04 2014-08-04 通信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158989A JP2016035712A (ja) 2014-08-04 2014-08-04 通信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4-158988 2014-08-04
JPJP-P-2014-158989 2014-08-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698A KR20160016698A (ko) 2016-02-15
KR101907420B1 true KR101907420B1 (ko) 2018-10-12

Family

ID=53761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311A KR101907420B1 (ko) 2014-08-04 2015-08-03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036596A1 (ko)
EP (1) EP2983349B1 (ko)
KR (1) KR101907420B1 (ko)
CN (1) CN1053384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2736B2 (ja) * 2014-11-25 2016-10-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9544448B2 (en) * 2015-03-20 2017-01-10 Ricoh Company, Lt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connection
JP6468064B2 (ja) * 2015-05-11 2019-02-13 株式会社リコー 通信制御装置、通信装置、画像形成装置、通信制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6525719B2 (ja) * 2015-05-11 2019-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590722B2 (ja) * 2016-02-10 2019-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81598B2 (ja) * 2016-09-23 2018-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US10341526B2 (en) * 2016-11-02 2019-07-02 Konica Minolta, Inc. Facsimile communication device, line disconnection judg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readable program
KR20210075694A (ko) * 2019-12-13 2021-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저전력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14860637A (zh) * 2021-01-20 2022-08-05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电路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6174A (ja) * 2006-06-14 2007-1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力線通信端末装置および電力線通信回路
KR100802681B1 (ko) * 2004-07-27 2008-02-12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정보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2668B2 (en) * 2001-05-22 2006-07-04 Geospatial Technologies, Inc. Durable global asset-tracking devic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JP3961934B2 (ja) * 2001-12-20 2007-08-22 株式会社リコー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6254384A (ja) 2005-03-14 2006-09-21 Ricoh Co Ltd デジタル複合機
JP4196964B2 (ja) * 2005-03-25 2008-12-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装置
US7795877B2 (en) * 2006-11-02 2010-09-14 Current Technologies, Llc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power distribution parameter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JP4827802B2 (ja) * 2007-07-05 2011-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源制御装置
JP5328662B2 (ja) * 2007-10-02 2013-10-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画像処理装置
JP5328225B2 (ja) * 2008-05-14 2013-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バイス監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デバイス監視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329014B1 (ko) * 2008-10-30 2013-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스위칭 회로의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JP5882591B2 (ja) * 2011-03-08 2016-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5853551B2 (ja) * 2011-09-30 2016-02-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5780105B2 (ja) * 2011-10-17 2015-09-16 村田機械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省電力モードの管理方法
JP2014035624A (ja) * 2012-08-08 2014-02-24 Canon Marketing Japan Inc 電源管理装置、電源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910408B2 (ja) * 2012-08-09 2016-04-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681B1 (ko) * 2004-07-27 2008-02-12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정보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JP2007336174A (ja) * 2006-06-14 2007-1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力線通信端末装置および電力線通信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83349B1 (en) 2018-03-28
US20160036596A1 (en) 2016-02-04
EP2983349A1 (en) 2016-02-10
KR20160016698A (ko) 2016-02-15
CN105338468B (zh) 2019-08-23
CN105338468A (zh)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7420B1 (ko)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9083663A (ja) 受電装置、受電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770825B2 (ja) 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186752A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6381598B2 (ja) 画像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US9544448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connection
US9049331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30250333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2016035712A (ja) 通信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51913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7271990B2 (ja) 情報処理装置
JP2016036116A (ja) 通信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45166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184500B2 (en)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same, and storage medium
US9338272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that detects improper connection of cabl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JP7415055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149605A (ja)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9065265A (ja) 通信システム及び電力線通信装置
JP2016036117A (ja) 通信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79983B2 (ja) 通信装置及び接続判定方法
JP2016158174A (ja) 通信装置
JP2009111648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023009B2 (ja) 端末網制御装置
JP2017091505A (ja) 機器、動作モード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9106678A (ja) 通信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