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5694A - 저전력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저전력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5694A
KR20210075694A KR1020190167080A KR20190167080A KR20210075694A KR 20210075694 A KR20210075694 A KR 20210075694A KR 1020190167080 A KR1020190167080 A KR 1020190167080A KR 20190167080 A KR20190167080 A KR 20190167080A KR 20210075694 A KR20210075694 A KR 20210075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nected car
car service
serv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원호
한동희
이희준
이동열
서재암
김선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7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5694A/ko
Priority to US16/839,810 priority patent/US11722866B2/en
Publication of KR20210075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6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3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global position, e.g. by providing GPS coordina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04LAN interconnection over a backbone network, e.g. Internet, Frame R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3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6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062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encryption of the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2Application layer protocols, e.g.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무선망을 통해 서버와 연동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결 제어 유닛과 타차량과 저전력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연결 제어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합 바디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료 상태에서도 타차량과의 저전력 통신을 통해 MT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저전력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A VEHICLE USING LOW POWER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전력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 시동 오프 상태에서도 커넥티드카(Connected Car)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기술과 결합하여 자동차의 스마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키’라고 불리는 ‘키 포브(Key FOB)’의 등장은 자동차 운용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스마트키 시스템은, 운전자가 차량의 키박스에 별도의 키를 삽입하거나, 작동을 위한 특별한 조작 없이도 외부에서 차량 도어의 개폐 및 차량의 시동이 가능한 것으로, 휴대가 용이한 스마트카드 또는 무선통신을 위한 포브(FOB) 등의 스마트키가 사용된다.
스마트키를 소지한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면 스마트키와의 엘에프(LF: Low Frequency) 통신 및 알에프(RF: Radio Frequency) 통신을 통하여 잠금이 자동으로 해제되어 별도의 키를 삽입하지 않더라도 도어를 열 수 있고, 차량에 탑승한 후 시동키를 삽입하는 과정 없이도 시동을 걸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차량에서의 스마트키 시스템은, i) 스마트키에 인증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LF신호의 송신 과정과, ii) 스마트키로부터 인증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RF신호의 수신 과정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RF 신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주파 대역을 갖는 LF 신호의 송신 거리 제한에 의해 스마트키가 차량에 가까이에 있는 경우에만 차량은 스마트키로부터 인증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최근 차량 제조사는 차량 운전자 및 탑승자에 안전 및 편의성을 도모하고, 다양한 정보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하는 커넥티드카 서비스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차량은 차량 시동이 OFF된 상태에서 MT(Mobile Terminated) 커넥티드카 서비스 기능 수행 시 차량의 암전류 문제로 인하여 차량 시동 OFF된 이후 일정 시간 동안만 텔레매틱스 통신 모듈이 텔레매틱스(Telematics) 센터에서 송신하는 데이터를 수신 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였다.
종래 차량은 차량 시동이 OFF된 상태에서 MT(Mobile Terminated) 커넥티드카 서비스 기능 개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는 텔레매틱스 통신 모듈의 동작을 비활성화-즉, 셧다운(shutdown)-하여 MO(Mobile Originated) 커넥티드카 서비스만이 가능하도록 제어하였다.
하지만, 운전자는 차량 시동이 OFF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차량 시동을 다시 ON시킬 때까지 MT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더 이상 제공받을 수 없어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장기 주차 후 차량의 위치 확인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차량 시동 OFF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MT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커넥티드카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시동 OFF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MT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전력 통신을 통해 주변 차량과 연동함으로써, 차량 시동 OFF 후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무선망을 통해 서버와 연동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결 제어 유닛과 타차량과 저전력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연결 제어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합 바디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연결 제어 유닛은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과 차량 상태에 따라 상기 통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하는 커넥티드카 서비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차량 상태는 슬립 상태 및 종료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ACC OFF되면 상기 슬립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슬립 상태 진입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종료 상태로 진입하여 비활성화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커넥티드카 서비스 모듈은 상기 종료 상태로의 진입 이전에 차량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의 요청에 따라 포브키 값을 암호화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차량 위치 정보는 위도 정보, 경도 정보, 고도 정보, 정밀도 정보, ACC OFF된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ACC OFF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종료 상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포브키 값을 요청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통합 바디 유닛은 RF 안테나와 상기 RF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RF 신호를 변복조 처리하는 RF 신호 송수신 모듈과 LF 안테나와 상기 LF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LF 신호를 변복조 처리하는 LF 신호 송수신 모듈과 상기 RF 신호 송수신 모듈 및 상기 LF 신호 송수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종료 상태에서 상기 타차량으로부터 원격 웨이크업 명령이 포함된 상기 RF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위한 소정 제어 신호를 상기 커넥티드카 서비스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제어 신호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커넥티드카 서비스 모듈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통신 모듈을 활성화시켜 상기 서버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세션을 연결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 명령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커넥티드카 서비스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슬립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웨이크업하여 상기 서버로부터의 SMS 메시지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SMS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커텍티드카 서비스 모듈이 차량 전체 시스템을 웨이크업하여 상기 수신된 SMS 메시지에 상응하는 커넥티드카 서비스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망을 통해 차량과 연동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서의 차량 제어 방법은 제1차량으로부터 차량 위치 정보가 포함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차량의 종료 상태 진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종료 상태로의 진입인 경우, 상기 제1차량에 상응하는 포브키 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차량 주변의 원격 웨이크업 기능이 탑재된 타차량을 탐색하는 단계과 상기 탐색된 타차량으로 상기 포브키 값이 포함된 원격 웨이크업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망을 통해 서버와 연동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에서의 차량 제어 방법은 종료 상태에서 타차량으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RF 신호에 따라 구비된 통신 모듈을 웨이크업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 명령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전체 시스템을 웨이크업하여 상기 확인된 커네틱티드카 서비스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통신 모듈은 ACC OFF되면 슬립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슬립 상태 진입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종료 상태로 진입하여 비활성화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차량 제어 방법은 상기 종료 상태로의 진입 이전에 차량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차량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의 요청에 따라 포브키 값을 암호화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차량 위치 정보는 위도 정보, 경도 정보, 고도 정보, 정밀도 정보, ACC OFF된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ACC OFF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종료 상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포브키 값을 요청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차량은 상기 타차량과 저전력 통신을 수행하는 통합 바디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 바디 유닛은 RF 안테나와 상기 RF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상기 RF 신호를 변복조 처리하는 RF 신호 송수신 모듈과 적어도 하나의 LF 안테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F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LF 신호를 변복조 처리하는 LF 신호 송수신 모듈과 상기 RF 신호 송수신 모듈 및 상기 LF 신호 송수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종료 상태에서 상기 타차량으로부터 원격 웨이크업 명령이 포함된 상기 RF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차량은 상기 통합 바디 유닛과 연동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어하는 연결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제어 유닛은 상기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과 이더넷 연결되어 커넥티드카 서비스 수행하는 커넥티드카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주제어기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소정 제어 신호를 상기 커넥티드카 서비스 모듈에 전송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차량 제어 방법은 상기 활성화된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세션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된 세션을 통해 커넥티드카 서비스 명령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커넥티드카 서비스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슬립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웨이크업하여 상기 서버로부터의 SMS 메시지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SMS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커텍티드카 서비스 모듈이 상기 차량의 전체 시스템을 웨이크업하여 상기 수신된 SMS 메시지에 상응하는 커넥티드카 서비스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시동 OFF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MT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시동 OFF 후 저전력 통신을 통해 주변 차량과 연동함으로써 MT 커넥티드카 서비스 가능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 시스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제어 유닛의 커넥티드카 서비스 모듈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포브키 값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제어 유닛(130)이 AVNT로부터 수신하는 맵 매칭 데이터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신호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 시스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제어 장치(100)는 제1 안테나(110), 통합 바디 유닛(IBU: Integrated Body Unit, 120), 연결 제어 유닛(CCU: Connectivity Control Unit, 130) 및 제2 안테나(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합 바디 유닛(20)은 제1 안테나(110)를 통해 포브(50) 및 타차량(6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합 바디 유닛(20)은 연결 제어 유닛(30)과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실시 예로, 통합 바디 유닛(20)은 연결 제어 유닛(30)는 게이트웨이(Gateway)를 통해 CAN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연결 제어 유닛(20)은 제2 안테나(140)를 통해 커넥티드카 서비스 플랫폼(CCSP: Connected Car Service Platform, 7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안테나(110)는 RF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위한 RF 안테나(111)와 LF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위한 LF 안테나(112)를 포함할 수 있다.
RF 안테나(111) 및 LF 안테나(112)는 포브키(50) 및 타차량(60)을 탐지하기 위해 차량 내부, 트렁크, 범퍼, 및 도어 등에 장착될 수 있다.
통합 바디 유닛(120)은 RF 신호 송수신 모듈(121), LF 신호 송수신 모듈(122) 및 주제어기(1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F 신호 송수신 모듈(121)은 RF 안테나(111)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demodulation) 및 복호(decoding) 처리하여 주제어기(123)에 전송하고, 주제어기(123)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인코딩(encoding) 및 변조(modulation) 처리하여 RF 안테나(111)를 통해 무선으로 출력할 수 있다.
LF 신호 송수신 모듈(122)은 LF 안테나(112)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demodulation) 및 복호(decoding) 처리하여 주제어기(123)에 전송하고, 주제어기(123)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인코딩(encoding) 및 변조(modulation) 처리하여 LF 안테나(112)를 통해 무선으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로, LF 신호 송수신 모듈(122)은 포브(6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 확인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LF 안테나(112)를 통해 출력하고, 포브(60)로부터 위치 확인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100)에는 복수의 LF 안테나(112)가 구비될 수 있다. LF 신호 송수신 모듈(122)은 복수의 LF 안테나(112)를 통해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위치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위치 확인 응답 신호가 수신된 LF 안테나(112)를 식별하여 포브(60)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통합 바디 유닛(120)은 바디 제어 기능, 타이어 공기압 제어 기능, 주차 보조 기능, 스마트키 처리 기능 등을 수행하는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ical Control Unit)들을 통합한 장치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통합 바디 유닛(120)은 MT 커넥티드카 서비스 종료 상태(Shutdown State)에서 슬립 상태(Sleep State)의 타차량(50)으로부터 RF 안테나(111)를 통해 소정 RF 신호를 수신하면 CAN 통신을 통해 연결 제어 유닛(130)을 웨이크업(Wakeup)시킬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제어 장치(100)는 차량 시동 OFF 후 일정 시간-예를 들면, 168 시간-동안 슬립 상태를 유지하며 주기적으로 깨어나 CCSP(70)로부터의 SMS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100)는 차량 시동 OFF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슬립 상태에서 MT 커넥티드카 서비스가 비활성화되는 종료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통합 바디 유닛(120)은 연결 제어 유닛(1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종료 상태의 타차량(110)으로 소정 RF 신호를 전송하여 타차량(110)의 비활성화된 MT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다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연결 제어 유닛(130)은 차량 제어 유닛들과 CCSP(70)를 포함하는 외부 데이터 센터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통신 세션을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제어 유닛(130)은 보안 및 인증 기능 뿐만 아니라 CAN 및 이더넷(Ethernet)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연결 제어 유닛(130)은 외부 통합 차량 안테나인 제2 안테나(140)를 통해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표준 규격 등에 기반한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기능, 차량 상태 보고 및 차량 원격 진단/제어를 위한 텔레매틱스 통신 기능, 이동 통신 기능, 글로벌항법위성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신호 처리 기능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이동 통신 기능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신호 처리 기능, LTE(Long-Term Evolution) 신호 처리 기능, NR(New Radio) 신호 처리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CCSP(70)은 차량과 스마트 기기, 교통 인프라를 하나로 연결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CCSP(70)은 운전자에게 각종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차량으로부터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CCSP(70)는 형성된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학습하여 유의한 정보로 재생산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서버들과 연동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자신의 모바일 기기 이용하여 MT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CCSP(70)은 해당 서비스 요청 명령을 수신하여 해당 차량으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CCSP(70)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또는 SMS(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해당 명령을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제어 유닛(130)은 커넥티드카 서비스 모듈(131) 및 통신 모듈(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티드카 서비스 모듈(131)과 통신 모듈(132)은 차량 이더넷으로 연결되어 상호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커넥티드카 서비스 모듈(131)은 는 차량 시동이 OFF-즉, ACC OFF-되면, 통신 모듈(132)을 슬립 상태로 진입시키고, 슬립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통신 모듈(132)를 웨이크업하여 CCSP(70)로부터 수신되는 MT 커넥티드카 서비스 명령-즉, SMS 메시지- 처리할 수 있다.
통신 모듈(132)은 다양한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모뎀은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IS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제어 유닛의 커넥티드카 서비스 모듈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커넥티드카 서비스 모듈(131)은 제1 통신부(210), 제어부(220), 제2 통신부(230), 위치 수집부(240), 암호화부(250) 및 이벤트 생성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할 수 있다.
그렇지만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210)는 커넥티드카 서비스 모듈(131)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100)의 전자 제어 유닛들에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통신부(210)는 통합 바디 유닛(120)과 CAN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통신부(220)는 연결 제어 유닛(130)의 통신 모듈(132)과 이더넷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수집부(240)는 통신 모듈(132)로부터 획득된 GPS 수신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0)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위치 수집부(240)는 차량 시동 OFF에 따라 슬립 상태 진입 후 일정 시간-예를 들면, 168시간-이 경과하여 종료 상태로 진입하기 이전에 차량(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제어부(21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위치 정보는 차량 내 장착된 AVNT(Audio Video Navigation Telematics) 장치로부터 획득된 지도 정보와 GNSS 신호로부터 계산된 위치 정보(위도/경도/고도)에 기초하여 결정된 지도 매핑 데이터(Map Matching Data), 시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시간 데이터는 차량 시동 OFF된 시점을 지시할 수 있다.
암호화부(250)는 차량(100)의 포브키 값을 암호화하여 제어부(210)에 제공할 수 있다.
포브키 값은 하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식별자(UserID), 카운터(Counter) 및 버튼 값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암호화부(250)는 포브키로부터 RF 신호 수신 시 수신된 카운터를 1만큼 증가시킨 후 암호화하여 RKE(Remote Keyless Entry)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벤트 생성부(260)는 구비된 타이머를 이용하여 각종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실시 예로, 이벤트 생성부(260)는 슬립 상태 진입 후 일정 주기로 제1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켜 통신 모듈(132)을 웨이크업시킬 수 있다. 통신 모듈(132)은 제1 이벤트 신호에 따라 주기적으로 깨어나 CCSP(70)로부터의 SMS 메시지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이벤트 생성부(260)는 슬립 상태 진입 후 종료 타이머(Shutdown Timer)가 만료되기 제1 시간 이전에 제2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어부(210)는 제2 이벤트 신호에 따라 현재 위치 정보 및 암호화된 RKE 데이터를 통신 모듈(132)을 통해 CCSP(7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모듈(132)이 종료 상태로 진입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모바일을 통해 MT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 차량(100)은 해당 서비스 요청에 응답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의 모바일에서는 응답 미수신에 따른 타임아웃(Timeout)이 발생될 수 있다.
CCSP(70)는 차량(100)으로부터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에 포함된 시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100)이 종료 상태로 진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CCSP(70)는 제1 차량이 종료 상태에 진입한 것이 확정되면, 제1 차량의 현재 위치 주변에 배치된 제2 차량을 식별하고, 식별된 제2 차량이 제1 차량을 웨이크업시킬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제1 차량의 웨이크업이 가능하면, CCSP(70)는 제2 차량으로 제1 차량의 포브키 값을 전달하고, 포브키 값을 전달받은 제2 차량은 수신된 포브키 값을 RF 신호에 실어 송출할 수 있다.
제1 차량을 웨이크업시킬 수 있는 제2 차량이 서비스 필요 시점에 제1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난 경우, 제1 차량은 제2 차량에 의해 웨이크업될 수 없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CCSP(70)는 슬립 상태 진입 후 168 시간이 경과되어 종료(Shutdown) 상태로 진입한 제1 차량의 현재 위치 주변에 배치되고, 제1 차량을 원격 웨이크업시킬 수 있는 커넥티드카 서비스가 활성화된 타차량을 지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관리할 수 있다.
CCSP(70)는 제1 차량의 포브키 값을 전달받은 제2 차량이 서비스 가능 지역을 벗어나 것을 확인하면, 제1 차량을 웨이크업시킬 수 있는 제3 차량을 탐색하고, 탐색된 제3 차량으로 제1 차량의 포브키 값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CCSP(70)는 사용자가 커넥티드카 서비스 가입 시점-즉, 프로비저닝(Provisioning) 시점-에 타차량 원격 웨이크업 기능이 포함된 원격 제어 서비스(MT)에 가입할 경우, 해당 기능에 대한 설정 값을 디폴트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디폴트 값은 비활성화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CCSP(70)는 슬립 상태 진입 후 168 시간이 경과되어, 타차량 웨이크업 기능을 활성화하기 전에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소정 앱을 통해 해당 기능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을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타차량 웨이크업 기능의 최종 활성화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CCSP(70)는 웨이크업 대상 차량의 현재 위치의 일정 반경 이내-예를 들면, 저전력 RF 통신 범위 ex. 20m-에 위치되어 주변 타차량의 웨이크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을 모니터링하여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차량 배터리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 내 구비된 통신 단말을 통해 CCSP(70)에 타차량 웨이크업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도록 요청할 수 있다.
CCSP(70)는 대상 차량에 타차량 웨이크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주변 타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상 차량에 상응하는 사용자 단말에 타차량 웨이크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음을 지시하는 소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CCSP(70)는 커넥티드카 서비스 확대를 위해 타 OEM 차량을 관리하는 서버와 상호 연동될 수 있다. 이때, OEM 별 FOB 키 값을 전달하기 위한 통신 규격-예를 들면, 메시지 규격-은 상이할 수 있다. CCSP(70)는 타 OEM 서버와 연동 시 메시지의 포맷을 변환하는 프록시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포브키 값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포브키 값(300)은 사용자 식별자(310), 카운터(320) 및 버튼 값(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식별자(310)는 차량 또는 차량 소유주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 시리얼 넘버일 수 있다.
카운터(320)는 동기 획득을 위한 값으로, 소정 암호화키로 암호화된 후 전송되는 정보일 수 있다.
버튼 값(330)은 포브(60)에 구비된 버튼들 중 어느 버튼이 눌렸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버튼 입력 정보이다. 즉, 버튼 값(330)은 사용자에 의한 차량 제어 명령을 식별하기 위한 값일 수 있다.
일 예로, 버튼 값(330)은 4비트로 표현될 수 있으며, 버튼 값(330)을 통해 DOOR LOCK BUTTON, DOOR UNLOCK BUTTON, PANIC BUTTON, ESCORT BUTTON 등의 버튼 입력이 식별될 수 있다.
커넥티드카 서비스 모듈(131)은 포브(50)가 송신하는 RF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식별자(310), 카운터(320) 및 버튼 값(330)이 포함된 암호화된 RKE 데이터를 생성하여 CCSP(7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티드카 서비스 모듈(131)은 포브(50)가 전송한 카운터(320) 값에 1만큼 증가시킨 후 CCSP(7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제어 유닛(130)이 AVNT로부터 수신하는 맵 매칭 데이터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맵 매칭 데이터(400)는 지도 매칭된 위도 값(Map_GNSS_LatPos), 지도 매핑된 경도 값(Map_GNSS_LongPos), 지도 매칭된 고도 값(MAP_GNSS_AltPos), GPS의 천구상의 배치상태에 따른 정도 열화를 표시하는 계수로서 위치 측위 정확도를 의미하는 위치 정도 저하율(Position Dilution of Precision), GPS의 천구상의 배치상태에 따른 정도 열화를 표시하는 계수로서 수평 측위 결과 정확도를 의미하는 수평 정도 저하율(Horizintal Dilution of Precision), GNSS 헤딩 값(GNSS Heading Value) 및 차량의 시동 OFF-즉, ACC OFF-된 시점을 의미하는 시간(Time)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세하게, 도 5는 저전력 통신을 이용하여 MT 커텍티드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상기 도 1 및 5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차량 시동 OFF-즉, ACC OFF-된 경우, 슬립 상태로 천이한 후 종료 타이머(Shutdown Time)를 구동시킬 수 있다(S501 내지 S502).
차량(100)은 종료 타이머가 만료되면, 암호화된 RKE 데이터를 생성하여 CCSP(70)로 전송할 수 있다(S504).
실시 예에 따른 CCSP(70)는 암호화된 RKE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호하고, 복호된 RKE 데이터에 포함된 ACC OFF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0)이 종료 상태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종료 상태로 진입한 경우, CCSP(70)는 복호된 RKE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0) 주변의 웨이크업 기능이 탑재된 다른 차량을 탐색할 수 있다.
CCSP(70)는 탐색된 차량-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타차량이라 명함-으로 차량(100)의 원격 웨이크업을 지시하는 원격 웨이크업 명령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원격 웨이크업 명령 메시지는 차량(100)에 상응하는 포브키 값 및 해당 메시지가 원격 웨이크업 명령 메시지임을 지시하는 소정 명령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명령 인디케이터를 원격 웨이크업 비트(Remote Wakeup Bit)와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일 예로, 명령 인디케이터의 길이는 1비트이고, 비트 값이 1이면, 원격 웨이크업 명령이 활성화되었음을 의미하고, 0이면 비활성화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타차량은 저전력 통신(RF 통신)을 이용하여 종료 상태의 차량(100)을 웨이크업시킬 수 있다.
차량(100)은 타차량 스마트키 시스템(SMK: SMart Key system)에 의해 출력된 RF 신호에 의해 웨이크업된 경우, RF 신호를 복호하여 원격 웨이크업 비트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505 및 S506).
확인 결과, 원격 웨이크업 비트가 활성화된 경우, 차량(100)은 CCSP(70)와 HTTP 세션을 연결하여 커텍티드카 서비스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S507).
차량(100)은 확인된 명령을 수행한 후 해당 명령 수행이 완료되었음을 지시하는 완료 메시지를 CCSP(70)로 전송할 수 있다(S508 및 S509).
CCSP(70)는 차량(100)으로부터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원격 웨이크업 기능 수행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지시하는 알림 메시지를 타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한 503 단계에서. 종료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 차량(100)은 일정 주기로 자동 웨이크업하여 CCSP(70)로부터 MT 커텍티드카 서비스 요청을 위한 SMS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S510).
SMS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차량(100)은 SMS 메시지에 기반하여 MT 커넥티드카 서비스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S511 및 S512).
상기한 506 단계에서 원격 웨이크업 비트가 비활성화된 경우, 차량(100)은 LF 통신을 통해 포브 위치 확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513).
본 발명은 아파트 주차장이나 공영 주차장과 같은 특정 장소에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웨이크업 기능이 탑재된 차량이 다수 존재하는 경우, 차량 간 협조를 통해 슬립 상태의 차량이 종료 상태의 차량을 웨이크업시켜 MT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신호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제1 차량(640)과 제2 차량(650)은 원격 웨이크업 기능이 탑재된 차량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차량(610)은 차량 시동 OFF에 따라 슬립 상태로 천이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예를 들면, 168시간-이 경과하면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601 및 S602).
제1 차량(610)은 수집된 차량 위치 정보가 포함된 제1 메시지를 CCSP(660)에 전송할 수 있다(S603).
CCSP(660)는 수신된 차량 위치 정보에 포함된 ACC OFF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차량이 종료 상태로의 진입 예정인 경우, 포브키 값 요청 메시지를 제1 차량(640)에 전송할 수 있다(S604).
제1 차량(640)은 미리 저장된 자신의 포브키 값을 소정 암호키로 암호화할 수 있다(S605).
제1 차량(640)은 암호화된 포브키 값이 포함된 응답 메시지를 CCSP(660)에 전송한 후 종료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S606).
CCSP(660)는 외부 사용자 디바이스(670)로부터 제1 차량(640)에 대한 커넥티드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607). 여기서, 커넥티드카 서비스 요청은 제1 차량 찾기 명령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도어 잠금 해제 명령, 원격 시동 명령 등일 수도 있다.
CCSP(660)는 제1 차량 주변에 위치한 타차량을 탐색할 수 있다(S606). 여기서, CCSP(660)는 커넥티드카 서비스에 가입된 차량들에 대해 미리 수집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차량(640)과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한 차량을 식별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차량(640) 주변에 제2 차량(650)이 위치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CCSP(660)는 원격 웨이크업 기능의 제공 여부를 묻는 소정 캐퍼빌러티 요청 메시지를 제2 차량(650)에 전송할 수 있다(S609).
제2 차량(650)은 원격 웨이크업 기능이 지원됨을 지시하는 캐퍼빌러티 응답 메시지를 CCSP(660)로 전송할 수 있다(S610).
CCSP(660)는 제2 차량(650)이 원격 웨이크업 기능을 지원함을 확인한 경우, 제1 차량의 포브키 값이 포함된 원격 웨이크업 명령 메시지를 제2 차량(650)에 전송할 수 있다(S611).
제2 차량(650)은 제1 차량 포브키 값을 기반으로 제1 차량(640)을 웨이크업하기 위한 RF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S612).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 A(710)의 통신 모듈은 ACC OFF되면 슬립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슬립 상태로 전환된 차량 A(710)의 통신 모듈은 주기적으로 웨이크업하여 SMS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차량 A(710)는 SMS 메시지가 수신되면 차량 A(710) 전체 시스템이 웨이크업하여 SMS 메시지에 상응하는 커넥티비티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슬립 상태로의 전환 후 일정 시간-예를 들면, 168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ACC ON되지 않은 경우, 차량 A(710)는 측위 위성(750) 신호 및 차량 A(710)에 장착된 AVNT-또는 헤드 유닛-와 연동하여 맵 매칭된 차량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위치 정보는 위도 정보, 경도 정보, 고도 정보, 정밀도 정보 및 ACC OFF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A(710)는 수집된 차량 위치 정보를 통신망(770)을 통해 CCSP(760)로 전송할 수 있다.
CCSP(760)는 수신된 차량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A(710)가 종료 상태로 전환됨을 판단할 수 있다.
CCSP(760)가 소정 포브키 값 요청 메시지를 차량 A(710)로 전송하면, 차량 A(710)는 자신의 포브키 값을 미리 저장된 특정 키로 암호화한 후 암호화된 포브키 값을 CCSP(760)로 전송할 수 있다.
CCSP(760)는 차량 A(710)의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하고 원격 웨이크업 기능이 탑재된 차량을 탐색할 수 있다.
커넥티드카 서비스에 가입된 차량은 차량 시동 OFF 시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CCSP(760)로 전송할 수 있다.. CCSP(760)는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차량 별 현재 위치 정보를 유지하고, 필요 시 해당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대상 차량으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의 타차량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반경은 RF 통신이 가능한 거리로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차량 B(720), 차량 C(730) 및 차량 D(740)는 차량 A(710)의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하고 커넥티드카 서비스에 가입된 차량이라고 가정한다.
이때, 차량 B(720) 및 차량 C(730)는 원격 웨이크업 기능이 탑재되지 않은 차량이고, 차량 D(740)는 원격 웨이크업 기능이 탑재되지 않은 차량일 수 있다.
CCSP(760)는 탐색된 차량 D(740)로 차량 A(710)의 포브키 값이 포함된 원격 웨이크업 명령 메시지를 슬립 상태(또는 ACC ON 상태)의 차량 D(740)로 전송할 수 있다.
차량 D(740)는 수신된 포브키 값을 기반하으로 RF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차량 A(710)는 차량 D(740)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에 따라 웨이크업한 후 CCSP(760)에 HTTP 세션을 연결하여 커텍티드카 서비스 명령을 확인하고, 확인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 및/또는 스토리지)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무선망을 통해 서버와 연동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결 제어 유닛; 및
    타차량과 저전력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연결 제어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합 바디 유닛
    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제어 유닛은,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및
    차량 상태에 따라 상기 통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하는 커넥티드카 서비스 모듈
    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는 슬립 상태 및 종료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ACC OFF되면 상기 슬립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슬립 상태 진입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종료 상태로 진입하여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티드카 서비스 모듈은 상기 종료 상태로의 진입 이전에 차량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의 요청에 따라 포브키 값을 암호화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위치 정보는 위도 정보, 경도 정보, 고도 정보, 정밀도 정보, ACC OFF된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ACC OFF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종료 상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포브키 값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바디 유닛은,
    RF 안테나;
    상기 RF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RF 신호를 변복조 처리하는 RF 신호 송수신 모듈;
    LF 안테나;
    상기 LF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LF 신호를 변복조 처리하는 LF 신호 송수신 모듈; 및
    상기 RF 신호 송수신 모듈 및 상기 LF 신호 송수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기
    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종료 상태에서 상기 타차량으로부터 원격 웨이크업 명령이 포함된 상기 RF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위한 소정 제어 신호를 상기 커넥티드카 서비스 모듈로 전송하는 차량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티드카 서비스 모듈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통신 모듈을 활성화시켜 상기 서버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세션을 연결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 명령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커넥티드카 서비스 명령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슬립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웨이크업하여 상기 서버로부터의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SMS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커텍티드카 서비스 모듈이 차량 전체 시스템을 웨이크업하여 상기 수신된 SMS 메시지에 상응하는 커넥티드카 서비스 명령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1. 무선망을 통해 차량과 연동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서의 차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차량으로부터 차량 위치 정보가 포함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차량의 종료 상태 진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종료 상태로의 진입인 경우, 상기 제1차량에 상응하는 포브키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차량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차량 주변의 원격 웨이크업 기능이 탑재된 타차량을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타차량으로 상기 포브키 값이 포함된 원격 웨이크업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버에서의 차량 제어 방법.
  12. 무선망을 통해 서버와 연동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에서의 차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종료 상태에서 타차량으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RF 신호에 따라 구비된 통신 모듈을 웨이크업하는 단계;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 명령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전체 시스템을 웨이크업하여 상기 확인된 커네틱티드카 서비스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에서의 차량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ACC OFF되면 슬립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슬립 상태 진입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종료 상태로 진입하여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차량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 상태로의 진입 이전에 차량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차량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의 요청에 따라 포브키 값을 암호화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차량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위치 정보는 위도 정보, 경도 정보, 고도 정보, 정밀도 정보, ACC OFF된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ACC OFF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종료 상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포브키 값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차량 제어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타차량과 저전력 통신을 수행하는 통합 바디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 바디 유닛은,
    RF 안테나;
    상기 RF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상기 RF 신호를 변복조 처리하는 RF 신호 송수신 모듈;
    적어도 하나의 LF 안테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LF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LF 신호를 변복조 처리하는 LF 신호 송수신 모듈; 및
    상기 RF 신호 송수신 모듈 및 상기 LF 신호 송수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기
    를 포함하는 차량에서의 차량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종료 상태에서 상기 타차량으로부터 원격 웨이크업 명령이 포함된 상기 RF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에서의 차량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통합 바디 유닛과 연동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어하는 연결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제어 유닛은 상기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과 이더넷 연결되어 커넥티드카 서비스 수행하는 커넥티드카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주제어기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소정 제어 신호를 상기 커넥티드카 서비스 모듈에 전송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차량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세션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세션을 통해 커넥티드카 서비스 명령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커넥티드카 서비스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에서의 차량 제어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슬립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웨이크업하여 상기 서버로부터의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SMS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커텍티드카 서비스 모듈이 상기 차량의 전체 시스템을 웨이크업하여 상기 수신된 SMS 메시지에 상응하는 커넥티드카 서비스 명령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차량 제어 방법.
KR1020190167080A 2019-12-13 2019-12-13 저전력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7569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080A KR20210075694A (ko) 2019-12-13 2019-12-13 저전력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16/839,810 US11722866B2 (en) 2019-12-13 2020-04-03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ehicle using low power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080A KR20210075694A (ko) 2019-12-13 2019-12-13 저전력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694A true KR20210075694A (ko) 2021-06-23

Family

ID=76317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080A KR20210075694A (ko) 2019-12-13 2019-12-13 저전력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722866B2 (ko)
KR (1) KR2021007569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76126B2 (en) * 2020-03-24 2023-02-07 Qualcomm Incorporated Wakeup signaling identification
CN113411771B (zh) * 2021-08-20 2021-11-09 湖北亿咖通科技有限公司 车辆的蓝牙控制方法和装置
CN114928817A (zh) * 2022-04-25 2022-08-19 浙江零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加密短信的车辆远程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9452B1 (en) * 1998-12-31 2001-05-08 Westinghouse Air Brake Technologies Corporation ECP train line communications for railway freight car brakes
US6819269B2 (en) * 2000-05-17 2004-11-16 Omega Patents, L.L.C. Vehicle tracker including battery monitoring feature and related methods
JP2008213514A (ja) * 2007-02-28 2008-09-18 Denso Corp 電子キーシステム、及び携帯機
DE102007020434B4 (de) * 2007-04-19 2011-01-05 Navigon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Einrichtung
US20080268866A1 (en) * 2007-04-24 2008-10-30 Webtech Wireless Inc. Configurable telematics and location-based system
CN101470182B (zh) * 2007-12-24 2013-07-03 卡特彼勒公司 一种省电的管理移动实体通讯的系统和方法
CA2874395A1 (en) * 2012-05-24 2013-12-19 Douglas H. Lundy Threat detection system having multi-hop, wifi or cellular network arrangement of wireless detectors, sensors and sub-sensors that report data and location non-compliance, and enable related devices while blanketing a venue
US8953436B2 (en) * 2012-09-20 2015-02-10 Broadcom Corporation Automotive neural network
JP2014079956A (ja) * 2012-10-17 2014-05-08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768567B2 (en) * 2012-10-29 2014-07-01 Broadcom Corporation Intelligent power and control policy for automotive applications
KR102080117B1 (ko) 2013-09-16 2020-02-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마트 키 시스템의 동작 성능 향상을 위한 포브 장치
US20150123762A1 (en) * 2013-11-05 2015-05-07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of opening and closing door of vehicle
US20150130641A1 (en) * 2013-11-14 2015-05-14 Qualcomm Incorporated Low-cost and low-power smart parking system utilizing a wireless mesh network
US10078811B2 (en) * 2013-11-29 2018-09-18 Fedex Corporate Services, Inc. Determining node location based on context data in a wireless node network
US20160036596A1 (en) * 2014-08-04 2016-02-04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515724B2 (en) * 2015-02-05 2016-12-06 Iridium Satellite Llc Position-based communication
JP6451441B2 (ja) * 2015-03-25 2019-01-16 株式会社デンソー ユーザ識別システム、車両用携帯機
CN113507308A (zh) * 2015-04-08 2021-10-15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实现用于设备到设备(d2d)通信的移动中继
JP6430896B2 (ja) * 2015-06-05 2018-11-28 アルパイ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のスタンバイ処理制御装置およびスタンバイ処理制御方法
US9656621B2 (en) * 2015-09-14 2017-05-23 Pearl Automat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sensor module power management
KR101792046B1 (ko) * 2015-10-29 2017-1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단말기,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715331B1 (ko) 2016-01-19 2017-03-27 울산과학기술원 복수의 통신 방식을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차량용 통신 송수신기
US10517115B2 (en) * 2016-03-29 2019-12-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and associated terminal device
US20180043876A1 (en) * 2016-08-11 2018-02-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rake-by-wire system
KR102003940B1 (ko) * 2016-11-11 2019-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 주행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876166B1 (ko) 2016-12-14 2018-07-09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 및 방법
US10532737B2 (en) * 2017-05-17 2020-01-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operative park assist
JP6838843B2 (ja) * 2017-09-06 2021-03-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588607B2 (en) * 2017-12-08 2020-03-17 Clarius Mobile Health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power in an ultrasound imaging machine
US20190297798A1 (en) * 2017-12-22 2019-10-03 Michael R. Levine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ed Irrigation Controllers that Adjust Watering Schedules in Response to Rainfall
US10609346B2 (en) * 2018-06-29 2020-03-31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of starting information-capturing device
CN110733496A (zh) * 2018-07-18 2020-01-31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记录介质
US11059474B2 (en) * 2018-10-09 2021-07-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ybrid vehicle with electrical power outlet
US11153721B2 (en) * 2018-12-27 2021-10-19 Intel Corporation Sensor network enhancement mechanisms
WO2020148959A1 (ja) * 2019-01-15 2020-07-23 ソニー株式会社 サーバおよび学習システム
US11657656B2 (en) * 2019-01-25 2023-05-23 Thor Tech, Inc. Smart vehicle travel preparation and location-based servicing features for mobile device tools and methods of use
US10992752B2 (en) * 2019-03-28 2021-04-27 Intel Corporation Sensor network configuration mechanisms
US11299013B2 (en) * 2019-06-24 2022-04-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e vehicle cabin occupant protec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22866B2 (en) 2023-08-08
US20210185495A1 (en)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21470B2 (en) A tracking and theft-recovery system for mobile assets
CN107872512B (zh) 车辆访问认证
US10538220B1 (en) User activated/deactivat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SRWC) auxiliary key fob
US8027789B2 (en) Wireless locating and monitoring system
US10654447B2 (en) Vehicle sharing accessory module and system
KR20210075694A (ko) 저전력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9031712B2 (en) Remote management and control of vehicular functions via multiple networks
EP1906199B1 (en) System and methods for secure communications using an enhanced GPS receiver
WO2015067217A1 (zh) 汽车信息处理系统、方法、车载装置以及存储介质
US20040203340A1 (en) Method of communicating with a quiescent vehicle
CN104890623A (zh) 车载智能终端控制系统及控制方法
US10103996B2 (en) Dynamic status update solicitation
US201001614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the privacy of responder information
US8527015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to a mobile platform
WO2021140890A1 (en) Vehicle controlled polling reduction at mobile device based on motion status reported by mobile device
CN115668324A (zh) 用于授权通信系统以控制远程装置的系统
CN112005537B (zh) 为移动无线电设备授权的方法,通讯模块,车辆及系统
CN109152088B (zh) 无线装置连接管理方法
US11856497B2 (en) Tracking and theft-recovery system for mobile assets
US20200143678A1 (en) Leading system, lead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leading system
WO2014155763A1 (ja) 機械の稼動情報を収集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CN111746465A (zh) 一种自动车锁系统及其自动锁车方法和解锁方法
CN115915062A (zh) 车辆解锁方法及相关装置、解锁系统和存储介质
US11470447B2 (en) Issuing remote commands to tracking devices
US20190164426A1 (en) Notification system, notification device, and notif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