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166B1 -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166B1
KR101876166B1 KR1020160170623A KR20160170623A KR101876166B1 KR 101876166 B1 KR101876166 B1 KR 101876166B1 KR 1020160170623 A KR1020160170623 A KR 1020160170623A KR 20160170623 A KR20160170623 A KR 20160170623A KR 101876166 B1 KR101876166 B1 KR 101876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vehicle
vehicle communication
program module
control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8687A (ko
Inventor
성기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60170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166B1/ko
Publication of KR20180068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7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according to available power supply, e.g. switching off when a low battery condition is detec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외부의 단말기와 통신하는 차량 내부의 통신 단말기를 운영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내부의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량을 관리하는 기술에 관련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는, 차량 통신 단말기가 설치된 차량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 프로그램 모듈, 및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로 판단되면 차량 통신 단말기가 외부 단말기와 연결하여 통신하는 주행 모드(driving mode)로 동작하고, 차량이 주차 중인 경우로 판단되면 차량 통신 단말기가 슬립(sleep)하는 슬립 모드(sleep mode) 및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하여 외부 단말기와 연결하여 통신하는 절전 모드(power save mode)로 동작하는 제어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 및 방법{APP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VEHIC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차량 외부의 단말기와 통신하는 차량 내부의 통신 단말기를 운영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내부의 통신 단말기를 간헐적으로 동작시켜 배터리 소모량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련된다.
최근 V2X (Vehicle to Everything) 통신이 개발되고 있으며, V2X 통신은 차량과 차량 간의 통신인 V2V(Vehicle to Vehicle), 차량과 인프라 간의 통신인 V2I (Vehicle to Infrastructure), 차량과 노매딕 디바이스간의 통신인 V2N (Vehicle to Nomadice device)를 포함한다.
V2X 통신은 차량과 차량 간, 차량과 인프라 간, 차량과 노매딕 디바이스 간 통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각종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교통 정보, 길 안내,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을 공유하여 교통 안전을 보장하고 혼잡을 방지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V2X 단말기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 동작하고, 차량이 주차 중이거나 정차 중인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운전자 또는 V2X 인터페이스의 관리자의 필요에 의해 차량이 주차 중이거나 정차 중인 경우에도 V2X 단말기가 활성화될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V2X 단말기가 주행, 주차, 정차 중인 경우 모두 활성화되는 경우, V2X 단말기 또는 차량의 배터리가 빠르게 소진되는 문제가 있으며, 과다한 배터리 사용에 의해 충전 용량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2110호
차량의 동작 상태에 따라 차량 통신 단말기가 간헐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에서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은 차량 통신 단말기가 설치된 차량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 프로그램 모듈, 및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로 판단되면 차량 통신 단말기가 외부 단말기와 연결하여 통신하는 주행 모드(driving mode)로 동작하고, 차량이 주차 중인 경우로 판단되면 차량 통신 단말기가 슬립(sleep)하는 슬립 모드(sleep mode) 및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하여 외부 단말기와 연결하여 통신하는 절전 모드(power save mode)로 동작하는 제어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 에서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은 차량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는 배터리 확인 프로그램 모듈, 배터리 잔량이 제1 기준보다 낮은 경우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알람 생성 프로그램 모듈, 및 배터리 잔량이 제2 기준보다 낮은 경우 차량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프로그램 모듈은 차량 통신 단말기와 외부 단말기 사이의 통신 연결 상태를 판단하고, 단말기 사이의 통신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차량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슬립 모드에서 동작하는 시간을 늘릴 수 있다.
제어 프로그램 모듈은 차량 통신 단말기와 외부 단말기 사이의 통신이 소정의 횟수 이상 실패하는 경우 단말기 사이의 통신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 프로그램 모듈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차량 통신 단말기가 차량의 위치, 배터리 잔량, 전력 사용량, 진동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외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방법은 차량 통신 단말기가 설치된 차량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로 판단되면 차량 통신 단말기가 외부 단말기와 연결하여 통신하는 주행 모드(driving mode)로 동작하고, 차량이 주차 중인 경우로 판단되면 차량 통신 단말기가 슬립(sleep)하는 슬립 모드(sleep mode) 및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하여 외부 단말기와 연결하여 통신하는 절전 모드(power save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방법은 차량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는 단계, 배터리 잔량이 제1 기준보다 낮은 경우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배터리 잔량이 제2 기준보다 낮은 경우 차량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방법은 차량 통신 단말기가 설치되어 있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와 주차 중인 경우의 동작을 달리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방법은 차량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잔량을 고려하여 차량 통신 단말기가 간헐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차량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방법은 주차 및 비 운영상태에서도 차량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하면서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는 목적으로 운영하는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차량 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차량 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판단 단계(51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은 판단 프로그램 모듈(110) 및 제어 프로그램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통신 단말기는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V2X의 X는 everything, 즉, Infra/Vehicle/Nomadic/..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차량에 적용 가능한 모든 형태의 통신방식을 지칭하며, 일반용어로서 'Connected Vehicle' 또는 'Networked Vehicle'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통신기술을 의미한다. 이때, V2X 통신은 크게 세 가지 범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차량과 인프라 간(Vehicle to Infrastructure), 차량 간(Vehicle to Vehicle), 그리고 차량과 모바일 기기 간(Vehicle to Nomadic devices) 통신으로 구분되며, 다른 형태의 통신 범주가 추가될 수 있다.
판단 프로그램 모듈(110)은 차량 통신 단말기가 설치된 차량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동작 상태는 차량이 주행 중인지, 주차 중인지, 또는 정차 중인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판단 프로그램 모듈(110)은 속도 데이터, 시각 데이터, 및 위치 데이터, 기어 설정,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차량 탑승 또는 하차 여부 등을 고려하여 차량 통신 단말기가 설치된 차량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판단 프로그램 모듈(110)은 속도 데이터, 시각 데이터, 및 위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판단 프로그램 모듈(110)은 전술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센서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 프로그램 모듈(110)은 속도 데이터의 수집을 위해 가속도 센서 또는 차량의 바퀴 부근에 설치된 엔코더와 연결될 수 있고, 시각(time) 데이터 및 위치 데이터의 수집을 위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판단 프로그램 모듈(110)은 차량 통신 단말기가 설치된 차량의 주변 차량으로부터 주변 차량의 주행 정보(속도 데이터, 시각 데이터, 위치 데이터 등)를 무선으로 수집할 수 있다.
또한, 판단 프로그램 모듈(110)은 차량의 동작 상태가 판단되면, 판단 결과를 제어 프로그램 모듈(12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 프로그램 모듈(120)는 다른 차량에 설치된 제어 장치 또는 임의의 외부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 프로그램 모듈(120)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 파이(Wi-Fi),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포함될 수 있고,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Wideban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제어 프로그램 모듈(120)은 판단 프로그램 모듈(110)에 의해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로 판단되면 차량 통신 단말기가 외부 단말기와 연결하여 통신하는 주행 모드(driving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제어 프로그램 모듈(120)은 주행 모드의 경우 차량 통신 단말기와 외부 단말기 사이의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송신 전력을 최대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어 프로그램 모듈(120)은 판단 프로그램 모듈(110)에 의해 차량이 주차 중인 경우로 판단되면 차량 통신 단말기가 슬립(sleep)하는 슬립 모드(sleep mode) 및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하여 외부 단말기와 연결하여 통신하는 절전 모드(power save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 프로그램 모듈(110)에 의해 차량이 주차 중인 경우로 판단되면 차량 통신 단말기는 10분 동안 슬립 모드를 유지하고, 이후 1분 동안 웨이크업하여 외부 단말기와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 프로그램 모듈(120)은 차량의 위치, 배터리 잔량을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외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10분" 또는 "1분"은 하나의 예시를 든 것에 불과하고, 차량 통신 단말기가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시간, 또는 웨이크업하여 외부 단말기와 연결하여 통신하는 시간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거나 차량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프로세서에 의해 소정의 기준에 따라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이 낮을 수록 슬립 모드가 유지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웨이크업하여 외부 단말기와 연결하여 통신하는 시간은 짧아지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 프로그램 모듈(120)은 차량 통신 단말기의 전력 사용량, 진동 정보 등의 차량 정보를 외부 단말기에 더 전송할 수 있으며, 절전 모드에서 제어 프로그램 모듈(120)이 전송할 차량 정보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거나 차량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프로세서에 의해 소정의 기준에 따라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100)는 차량 통신 단말기가 설치된 차량이 주차 중인 경우 또는 정차 중인 경우처럼 배터리 소비 전력을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슬립 모드와 절전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차량이 주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낮은 전력으로만 차량 통신 단말기를 운영하여 배터리 소비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 프로그램 모듈(120)은 차량에 구비된 전장품 및/또는 제어유닛들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프로그램 모듈(12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 플렉스레이(Flex-Ray) 통신 등의 차량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프로그램 모듈(120)은 V2X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제어 프로그램 모듈(120)은 차량 주변에 위치한 노변장치 및 주변차량들의 통신기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모듈과, 각 통신기기로 송신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100)는 차량 내부의 다른 기기와 인터페이스되는 내부 기기 인터페이스부,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차량 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은 판단 프로그램 모듈(210), 제어 프로그램 모듈(220), 배터리 확인 프로그램 모듈(230), 알람 생성 프로그램 모듈(240), 및 전원 차단 프로그램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200), 판단 프로그램 모듈(210), 및 제어 프로그램 모듈(220)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차량 통신 단말기(100), 판단 프로그램 모듈(110), 및 제어 프로그램 모듈(120)일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여 기 설명한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배터리 확인 프로그램 모듈(230)은 차량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는 니켈-카드뮴, 리튬 이온, 니켈-수소, 리튬폴리머 등의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일 수 있다. 또한, 배터리 확인 프로그램 모듈(230)은 차량 통신 단말기 배터리의 충전 전류, 전력 사용량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알람 생성 프로그램 모듈(240)은 차량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이 제1 기준보다 낮은 경우 알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알람 신호는 광 신호, 진동 신호, 소리 신호 등을 포함하는 신호일 수 있다. 한편, 알람 생성 프로그램 모듈(240)은 배터리 잔량에 따라 상이한 알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알람 생성 프로그램 모듈(240)은 배터리 잔량이 낮을수록 적색을 띄고, 배터리 잔량이 높을수록 녹색을 띄는 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알람 생성 프로그램 모듈(240)은 배터리 잔량을 미리 녹음된 사람의 음성 또는 문자를 읽어주는 소프트웨어에서 생성된 음성을 알람 신호로서 생성할 수도 있고, 경고음, 비상벨 또는 짧은 길이의 음악과 같은 효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200)는 광 신호를 시각화하는 경고등,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장치, 소리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스피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람 생성 프로그램 모듈(240)를 통하여 생성된 알람 신호는 제어 프로그램 모듈(220)을 통하여 차량 밖에 있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 또는 차량 외부의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전원 차단 프로그램 모듈(250)은 차량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이 제2 기준보다 낮은 경우 차량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은 제1 기준보다 낮은 값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라 제1 기준이 70%, 제 2 기준이 60%로 설정된 경우를 예시로 들면, 차량이 주차 중인 경우로 판단되어 슬립 모드 및 절전 모드로 동작하면서 배터리가 소모됨에 따라 배터리 잔량이 70%에 도달한 경우 알람 생성 프로그램 모듈(240)은 알람 신호를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배터리 잔량이 70%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배터리가 더 소모됨에 따라 배터리 잔량이 70%에 도달한 경우 알람 생성 프로그램 모듈(240)은 알람 신호를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배터리 잔량이 70%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며, 전원 차단 프로그램 모듈(250)은 차량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단, 여기서 서술한 제1 기준 및 제2 기준의 값은 임의로 설정한 것에 불과하고, 전술한 값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거나 차량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프로세서에 의해 소정의 기준에 따라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200)는 차량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이 제1 기준보다 낮은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를 하고, 차량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이 제2 기준보다 낮은 경우 차량 통신 단말기의 차단함으로써, 차량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 프로그램 모듈(220)은 차량 통신 단말기와 외부 단말기 사이의 통신 연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프로그램 모듈(220)은 차량 통신 단말기와 외부 단말기 사이의 통신이 소정의 횟수 이상 실패하는 경우 단말기 사이의 통신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 프로그램 모듈(220)은 단말기 사이의 통신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차량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슬립 모드에서 동작하는 시간을 늘릴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 프로그램 모듈(220)은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 주행 모드(driving mode), 절전 모드(power save mode), 또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프로그램 모듈(220)은 배터리의 잔량이 max인 경우 주행 모드(driving mode)로 동작하고, 배터리의 잔량이 normal인 경우 절전 모드(power save mode)로 동작하고, 배터리의 잔량이 low인 경우 슬립 모드(sleep mode)로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모드 설정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거나 차량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프로세서에 의해 소정의 기준에 따라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200)는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설정값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200)는 진동 센서 또는 충격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알람 생성 프로그램 모듈(240)은 진동 센서에 의해 진동이 검출되는 경우 또는 충격 센서에 의해 충격이 검출되는 경우 알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알람 생성 프로그램 모듈(240)은 진동 센서에 의해 진동이 검출되거나 충격 센서에 의해 충격이 검출되었을 당시에 획득된 블랙박스 영상 및 음성, 속도 데이터, 시간 데이터, 및 위치 데이터 등을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알람 생성 프로그램 모듈(240)은 운전자가 차량 밖으로 나온 경우, 또는 주차 중에 소정의 시간보다 긴 시간 동안 차량의 실내등, 전조등, 안개등, 네비게이션, 블랙박스 등을 켜놓은 경우 알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차량 내부의 다른 기기와 인터페이스되는 내부 기기 인터페이스부,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차량에 장착되어 외부 단말기와 연결되어 통신하는 차량 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방법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100)는 차량 통신 단말기가 설치된 차량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310). 여기서 차량의 동작 상태는 차량이 주행 중인지, 주차 중인지, 또는 정차 중인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100)는 속도 데이터, 시각 데이터, 및 위치 데이터, 기어 설정,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차량 탑승 또는 하차 여부 등을 고려하여 차량 통신 단말기가 설치된 차량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100)는 속도 데이터, 시각 데이터, 및 위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100)는 차량 통신 단말기가 설치된 차량의 주변 차량으로부터 주변 차량의 주행 정보(속도 데이터, 시각 데이터, 위치 데이터 등)를 무선으로 수집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100)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로 판단되면 차량 통신 단말기가 외부 단말기와 연결하여 통신하는 주행 모드(driving mode)로 동작할 수 있다(320).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100)는 주행 모드의 경우 차량 통신 단말기와 외부 단말기 사이의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송신 전력을 최대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100)는 차량이 주차 중인 경우로 판단되면 차량 통신 단말기가 슬립(sleep)하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330),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하여 외부 단말기와 연결하여 통신하는 절전 모드(power save mode)로 동작할 수 있다(340). 예를 들어, 차량이 주차 중인 경우로 판단되면 차량 통신 단말기는 10분 동안 슬립 모드를 유지하고, 이후 1분 동안 웨이크업하여 외부 단말기와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100)는 차량의 위치, 배터리 잔량을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외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10분" 또는 "1분"은 하나의 예시를 든 것에 불과하고, 차량 통신 단말기가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시간, 또는 웨이크업하여 외부 단말기와 연결하여 통신하는 시간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거나 차량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프로세서에 의해 소정의 기준에 따라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이 낮을 수록 슬립 모드가 유지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웨이크업하여 외부 단말기와 연결하여 통신하는 시간은 짧아지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100)는 차량 통신 단말기의 전력 사용량, 진동 정보 등의 차량 정보를 외부 단말기에 더 전송할 수 있으며, 절전 모드에서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100)가 전송할 차량 정보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거나 차량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프로세서에 의해 소정의 기준에 따라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100)는 차량 통신 단말기가 설치된 차량이 주차 중인 경우 또는 정차 중인 경우처럼 배터리 소비 전력을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슬립 모드와 절전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차량이 주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낮은 전력으로만 차량 통신 단말기를 운영하여 배터리 소비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200)는 차량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410). 또한,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200)는 차량 통신 단말기 배터리의 충전 전류, 전력 사용량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200)는 배터리 잔량이 제1 기준보다 낮은 경우 알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420). 여기서 알람 신호는 광 신호, 진동 신호, 소리 신호 등을 포함하는 신호일 수 있다. 한편,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200)는 배터리 잔량에 따라 상이한 알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200)는 배터리 잔량이 낮을수록 적색을 띄고, 배터리 잔량이 높을수록 녹색을 띄는 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200)는 배터리 잔량을 미리 녹음된 사람의 음성 또는 문자를 읽어주는 소프트웨어에서 생성된 음성을 알람 신호로서 생성할 수도 있고, 경고음, 비상벨 또는 짧은 길이의 음악과 같은 효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200)는 배터리 잔량이 제2 기준보다 낮은 경우 차량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430). 여기서 제2 기준은 제1 기준보다 낮은 값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라 제1 기준이 70%, 제 2 기준이 60%로 설정된 경우를 예시로 들면, 차량이 주차 중인 경우로 판단되어 슬립 모드 및 절전 모드로 동작하면서 배터리가 소모됨에 따라 배터리 잔량이 70%에 도달한 경우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200)는 알람 신호를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배터리 잔량이 70%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배터리가 더 소모됨에 따라 배터리 잔량이 70%에 도달한 경우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200)는 알람 신호를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배터리 잔량이 70%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며,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200)는 차량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단, 여기서 서술한 제1 기준 및 제2 기준의 값은 임의로 설정한 것에 불과하고, 전술한 값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거나 차량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프로세서에 의해 소정의 기준에 따라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200)는 차량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이 제1 기준보다 낮은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를 하고, 차량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이 제2 기준보다 낮은 경우 차량 통신 단말기의 차단함으로써, 차량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200)는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 주행 모드(driving mode), 절전 모드(power save mode), 또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200)는 배터리의 잔량이 max인 경우 주행 모드(driving mode)로 동작하고, 배터리의 잔량이 normal인 경우 절전 모드(power save mode)로 동작하고, 배터리의 잔량이 low인 경우 슬립 모드(sleep mode)로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모드 설정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거나 차량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프로세서에 의해 소정의 기준에 따라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200)는 차량 통신 단말기와 외부 단말기 사이의 통신 연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510).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200)는 단말기 사이의 통신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차량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슬립 모드에서 동작하는 시간을 늘릴 수 있다(520, 530).
도 6은 도 5의 판단 단계(51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200)는 차량 통신 단말기와 외부 단말기 사이의 통신이 실패하는 횟수가 소정의 횟수보다 많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610).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200)는 차량 통신 단말기와 외부 단말기 사이의 통신이 소정의 횟수 이상 실패하는 경우 단말기 사이의 통신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620).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200: 차량 통신 단말기
110, 210: 판단 프로그램 모듈
120, 220: 제어 프로그램 모듈
230: 배터리 확인 프로그램 모듈
240: 알람 생성 프로그램 모듈
250: 전원 차단 프로그램 모듈

Claims (7)

  1.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에서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이 :
    차량 통신 단말기가 설치된 차량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 프로그램 모듈; 및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로 판단되면 차량 통신 단말기가 외부 단말기와 연결하여 통신하는 주행 모드(driving mode)로 동작하고, 차량이 주차 중인 경우로 판단되면 차량 통신 단말기가 슬립(sleep)하는 슬립 모드(sleep mode) 및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하여 외부 단말기와 연결하여 통신하는 절전 모드(power save mode)로 동작하는 제어 프로그램 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 프로그램 모듈은 차량 통신 단말기와 외부 단말기 사이의 통신 연결 상태를 판단하고, 단말기 사이의 통신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차량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슬립 모드에서 동작하는 시간을 늘리는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에서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이 :
    차량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는 배터리 확인 프로그램 모듈;
    배터리 잔량이 제1 기준보다 낮은 경우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알람 생성 프로그램 모듈; 및
    배터리 잔량이 제2 기준보다 낮은 경우 차량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 프로그램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그램 모듈은
    차량 통신 단말기와 외부 단말기 사이의 통신이 소정의 횟수 이상 실패하는 경우 단말기 사이의 통신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로 판단하는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그램 모듈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차량 통신 단말기가 차량의 위치, 배터리 잔량, 전력 사용량, 진동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는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
  6. 차량 내부의 다른 기기와 인터페이스되는 내부 기기 인터페이스부,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차량에 장착되어 외부 단말기와 연결되어 통신하는 차량 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방법에 있어서,
    차량 통신 단말기가 설치된 차량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로 판단되면 차량 통신 단말기가 외부 단말기와 연결하여 통신하는 주행 모드(driving mode)로 동작하고, 차량이 주차 중인 경우로 판단되면 차량 통신 단말기가 슬립(sleep)하는 슬립 모드(sleep mode) 및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하여 외부 단말기와 연결하여 통신하는 절전 모드(power save mode)로 동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방법은 차량 통신 단말기와 외부 단말기 사이의 통신 연결 상태를 판단하고, 단말기 사이의 통신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차량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슬립모드에서 동작하는 시간을 늘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차량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는 단계;
    배터리 잔량이 제1 기준보다 낮은 경우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배터리 잔량이 제2 기준보다 낮은 경우 차량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방법.
KR1020160170623A 2016-12-14 2016-12-14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 및 방법 KR101876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623A KR101876166B1 (ko) 2016-12-14 2016-12-14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623A KR101876166B1 (ko) 2016-12-14 2016-12-14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687A KR20180068687A (ko) 2018-06-22
KR101876166B1 true KR101876166B1 (ko) 2018-07-09

Family

ID=62768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623A KR101876166B1 (ko) 2016-12-14 2016-12-14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1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22866B2 (en) 2019-12-13 2023-08-08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ehicle using low power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1695A (ja) * 2002-03-22 2003-10-03 Denso Corp 無線端末、状態管理センター、および状態通知システム
KR20090061224A (ko) * 2007-12-11 2009-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텔레매틱스용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28834A (ko) * 2013-04-29 2014-11-06 팅크웨어(주)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관리 방법
JP2015020497A (ja) * 2013-07-17 2015-02-02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車載用通信端末
KR101526415B1 (ko) * 2013-12-24 2015-06-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력 절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절감 방법
KR20150121591A (ko) * 2014-04-21 2015-10-29 주식회사 디엠씨시스 Obd 단말기 및 그의 전원 제어 방법
KR101612829B1 (ko) * 2014-11-27 2016-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기 방전을 방지하는 텔레매틱스 단말, 텔레매틱스 센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04314A (ko) * 2015-02-26 2016-09-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배터리 방전 방지를 위한 차량용 모뎀 동작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321B1 (ko) 2013-08-22 2021-05-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및 이의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1695A (ja) * 2002-03-22 2003-10-03 Denso Corp 無線端末、状態管理センター、および状態通知システム
KR20090061224A (ko) * 2007-12-11 2009-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텔레매틱스용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28834A (ko) * 2013-04-29 2014-11-06 팅크웨어(주)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관리 방법
JP2015020497A (ja) * 2013-07-17 2015-02-02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車載用通信端末
KR101526415B1 (ko) * 2013-12-24 2015-06-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력 절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절감 방법
KR20150121591A (ko) * 2014-04-21 2015-10-29 주식회사 디엠씨시스 Obd 단말기 및 그의 전원 제어 방법
KR101612829B1 (ko) * 2014-11-27 2016-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기 방전을 방지하는 텔레매틱스 단말, 텔레매틱스 센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04314A (ko) * 2015-02-26 2016-09-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배터리 방전 방지를 위한 차량용 모뎀 동작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22866B2 (en) 2019-12-13 2023-08-08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ehicle using low power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687A (ko) 2018-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91847A1 (en) Performing actions associated with a connected vehicle
US10972975B2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communication signal related to pedestrian safety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10869276B1 (en) Idle vehicle communication based on available energy resources
US20220123570A1 (en) Vehicl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US10442432B2 (en) Lead vehicle monitoring for adaptive cruise control
WO2018169606A1 (en) Safe-driving support via automotive hub
CN110341549B (zh) 汽车蓄电池的监控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1252032B (zh) 用于车辆的控制方法及装置
CN105652763B (zh) 防止车辆放电的远程信息处理终端和远程信息处理中心及其控制方法
JP2019091433A (ja) 電動車両のための充電プロファイルを決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1876166B1 (ko) 차량 통신 단말기 운영 장치 및 방법
JP6973120B2 (ja) なりすまし検出装置、検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307578B2 (en) Manual drive changing no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107867244A (zh) 车载设备智能管理系统及车载设备智能管理方法
KR20160060945A (ko) 텔레매틱스 단말, 텔레매틱스 센터 및 그 제어 방법
KR102490736B1 (ko) 슬립 모드에서의 차량 배터리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10144352A (ja) 車両キーレス装置における電池警告システム
JP2020055512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CN210605464U (zh) 车载系统状态监控追踪器
CN112312356B (zh) 车载通信装置
JP7131461B2 (ja) 情報収集端末装置
CN116802588A (zh) 车辆通信和监控
Mishr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nergy-Efficient Wireless Tire Sensing System with Delay Analysis for Intelligent Vehicles
JP4403015B2 (ja) 車両制御装置および車両制御方法
KR20230082473A (ko) 전기이륜차의 엔진 모사음 출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