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569B1 - 커피 농축 조성물 - Google Patents

커피 농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569B1
KR101850569B1 KR1020137006197A KR20137006197A KR101850569B1 KR 101850569 B1 KR101850569 B1 KR 101850569B1 KR 1020137006197 A KR1020137006197 A KR 1020137006197A KR 20137006197 A KR20137006197 A KR 20137006197A KR 101850569 B1 KR101850569 B1 KR 101850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concentrate composition
extraction
solid content
dry so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6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8291A (ko
Inventor
신지 야마모토
기요시 가타오카
야스시 시오야
요시카즈 오구라
히로시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8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5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8Drying or concentrating coffee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10Treating roasted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43Liquid, semi-liquid or non-dried semi-solid coffee extract preparations; Coffee gels; Liquid coffee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6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36Further treatment of dried coffee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36Further treatment of dried coffee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coffee
    • A23F5/38Agglomerating, flaking or tabletting or gran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36Further treatment of dried coffee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coffee
    • A23F5/38Agglomerating, flaking or tabletting or granulating
    • A23F5/385Tablets or other similar 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36Further treatment of dried coffee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coffee
    • A23F5/40Further treatment of dried coffee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coffee using organic additives, e.g. milk, suga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46Coffee flavour; Coffee oil; Flavouring of coffee or coffee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4Methods of roasting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고농도의 클로로겐산류를 함유하고, 풍미가 양호한 커피 농축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커피 농축 조성물은, 다음의 성분 (A) 및 (B) ;
(A) 클로로겐산류 : 건조 고형분 중에 100 ∼ 300 ㎎/g, 및
(B)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 : 건조 고형분 중에 0.33 ㎎/g 이하를 함유하고, 건조 고형분이 10 ∼ 100 질량% 이다.

Description

커피 농축 조성물{CONCENTRATED COFFEE COMPOSITION}
본 발명은 커피 농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커피 제품에는, 폴리페놀의 일종인 클로로겐산, 카페산, 페룰라산 등의 클로로겐산류가 함유되어 있고, 클로로겐산류는 우수한 생리 활성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생리 활성을 충분히 발현시키려면, 클로로겐산류를 보다 많이 섭취하는 것이 유효하다. 클로로겐산류는 생커피콩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생커피콩으로부터의 추출물은 커피 풍미가 부족하다. 한편, 커피콩을 배전하면 풍미는 양호해지지만 클로로겐산류가 감소된다.
그래서, 고농도의 클로로겐산류를 함유하고, 커피 풍미를 높인 커피 제품으로서, 예를 들어, 생커피콩과 배전 커피콩을 일정한 비율로 함유하는 혼합물을 분쇄, 추출하여 얻어진 커피 제품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또, 강배전 커피콩과 약배전 커피콩으로부터 각각 얻어진 추출액을 혼합하여, 클로로겐산류와 탄닌의 비율, 및 디클로로겐산류와 클로로겐산류의 비율을 일정한 비율로 한 추출액에, 부원료를 혼합하여, 용기에 충전 후, 살균한 용기에 담은 커피 음료, 또는 용기에 담은 밀크 커피 음료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 및 3).
한편,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 또는 5-하이드록시메틸푸란-2-카르복실산을 일정량 이상 함유시켜, 본래의 풍미를 저해하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통상의 생활에서 섭취 가능하고, 또한 고지혈증, 당뇨병, 동맥 경화, 혈전, 폐렴 등의 생활 습관병의 원인의 발생을 예방하여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식품 또는 음료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4).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8-535506호 일본 특허 제4012560호 일본 특허 제401256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93933호
본 발명은 다음의 성분 (A) 및 (B) ;
(A) 클로로겐산류 : 건조 고형분 중에 100 ∼ 300 ㎎/g, 및
(B)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 : 건조 고형분 중에 0.33 ㎎/g 이하를 함유하고, 건조 고형분이 10 ∼ 100 질량% 인 커피 농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 L 값 14 ∼ 20 의 제 1 배전 커피콩과, L 값 25 ∼ 40 의 제 2 배전 커피콩을 포함하고, L 값의 평균값이 21 ∼ 28.5 가 되는 배전 커피콩의 혼합물을, 다단계 추출하여 농축시키는, 커피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배전 커피콩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어진 커피 제품은, 구수한 커피 풍미가 풍부하여 환영받는 것이지만, 추출 프로세스가 불편하다. 그래서, 커피 추출액을 고농도화 또는 분말화한 인스턴트 커피 등의 커피 농축 조성물이나, 캔에 담긴 커피 등의 용기에 담은 커피 음료가 개발되어, 그에 따라 소비자는 커피 제품을 간편하게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또, 클로로겐산류를 고함유시켜 풍미가 양호한 커피 제품을 얻기 위해, 상기 종래 기술에 있는 바와 같이, 생커피콩과 배전 커피콩을 혼합 후에 추출하거나, 강배전 커피콩과 약배전 커피콩으로부터 각각 얻어진 추출액을 혼합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생커피콩을 이용하여 클로로겐산류 함량을 높인 커피 농축 조성물은, 생커피콩 형태의 다른 맛을 갖는다는 과제를 알아내었다. 여기서, 종래 기술로서 강배전 커피콩과 약배전 커피콩으로부터 각각 얻어진 추출액을 조합한 용기에 담은 커피 음료 기술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용기에 담은 커피 음료는, 제조시에 pH 조정제 등의 부원료를 첨가하여 원하는 풍미로 적절히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원료 유래의 풍미에는 그다지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한편, 커피 농축 조성물은, 음용시에 더운 물, 물 또는 우유 등으로 희석하여 음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원료의 커피 추출액의 풍미의 특징이 직접 반영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커피 농축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종래 기술에 기재된 용기에 담은 커피 음료와 같이 단순히 강배전 커피콩과 약배전 커피콩으로부터 얻어진 추출액을 조합한 것만으로는, 커피 풍미로서 중요한 진한 맛과 쓴 맛이 불충분하여, 음용 후에 입안에 남는 잡미가 강해진다는 과제가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농도의 클로로겐산류를 함유하고, 풍미가 양호한 커피 농축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고농도의 클로로겐산류를 함유하는 커피 농축 조성물의 풍미에 대하여 여러 가지 검토한 결과, 단순히 배전도 (L 값) 가 상이한 2 종 이상의 배전 커피콩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진 커피 추출액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는, 풍미의 개선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견을 얻었다. 본 발명자들은, 더욱 상세하게 검토한 결과, 커피 농축 조성물 중에 함유되는 특정 성분의 함유량을 일정량 이하로 제어함으로써 커피 풍미가 향상되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 그와 같은 커피 농축 조성물을 사용하면, 배전 커피콩 특유의 향이 증강되고, 진한 맛과 쓴 맛이 양호하여, 음용 후의 입안에 남는 잡미가 억제된 커피 제품이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한, 이와 같은 커피 농축 조성물을 효율적으로 제조하려면, L 값을 특정 범위 내로 제어한 2 종의 배전 커피콩을 필수 성분으로서 조합하여, 혼합 후의 배전 커피콩의 L 값을 특정 범위 내로 제어한 후, 그것을 다단계 추출하여 농축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농도의 클로로겐산류를 함유하고, 풍미가 양호한 커피 농축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은 기호성이 높은 커피 농축 조성물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커피 농축 조성물)
본 발명의 커피 농축 조성물은, 건조 고형분이 10 ∼ 100 질량% 인데, 핸들링의 관점에서, 20 ∼ 99.9 질량%, 나아가 25 ∼ 99 질량%, 더 나아가 30 ∼ 98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커피 농축 조성물」이란, 배전 커피콩으로부터 얻어진 커피 추출액을 농축, 또는 건조시킨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음용되는 커피 음료보다 고형분 농도가 높은 것을 말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커피 농축 조성물」에는, 인스턴트 커피는 포함되지만, 배전 커피콩은 포함되지 않는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건조 고형분」의 측정 조건은, 다음에 게재하는 실시예의 「건조 고형분의 측정」의 기재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커피 농축 조성물은, 당해 커피 농축 조성물의 건조 고형분 중에 (A) 클로로겐산류를 100 ∼ 300 ㎎/g 함유하는데, 풍미, 안정성 및 생리 효과의 관점에서, 102 ∼ 250 ㎎/g, 나아가 105 ∼ 200 ㎎/g, 더 나아가 108 ∼ 180 ㎎/g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클로로겐산류」란, 3-카페오일퀸산, 4-카페오일퀸산 및 5-카페오일퀸산의 (A1) 모노카페오일퀸산과, 3-페룰라퀸산, 4-페룰라퀸산 및 5-페룰라퀸산의 (A2) 모노페룰라퀸산과, 3,4-디카페오일퀸산, 3,5-디카페오일퀸산 및 4,5-디카페오일퀸산의 (A3) 디카페오일퀸산을 아우른 총칭이다. 클로로겐산류의 함유량은, 상기 9 종의 합계량에 기초하여 정의된다. 또한, 「클로로겐산류의 함유량」의 측정 조건은, 다음에 게재하는 실시예의 「클로로겐산류의 측정」의 기재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커피 농축 조성물은, 당해 커피 농축 조성물의 건조 고형분 중의 (A3) 디카페오일퀸산과, (A) 클로로겐산류의 함유 질량비[(A3)/(A)]가, 안정성과 풍미의 밸런스를 제어하기 쉬은 점에서, 0.05 ∼ 0.16, 나아가 0.06 ∼ 0.14, 더 나아가 0.07 ∼ 0.13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커피 농축 조성물은, (B)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함유한다. (B)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은, 커피콩의 배전에 의해 생성되는 성분으로, 생커피콩 중에는 함유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B)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이 음용 후의 입안에 남는 잡미에 관여하는 것을 알아내어, 커피 농축 조성물 중의 (B)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의 함유량을 커피 추출액에 통상 함유되는 양보다 저감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B)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의 함유량은, 당해 커피 농축 조성물의 건조 고형분 중에 0.33 ㎎/g 이하인데, 풍미의 관점에서, 0.3 ㎎/g 이하, 나아가 0.27 ㎎/g 이하, 더 나아가 0.2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함유량의 하한은, 제조 효율의 관점에서, 0.001 ㎎/g, 나아가 0.005 ㎎/g, 더 나아가 0.01 ㎎/g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의 함유량」의 측정 조건은, 다음에 게재하는 실시예의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의 측정」의 기재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커피 농축 조성물은, 커피콩의 배전에 의해 생성되는 향이 풍부한 (C) 2-메틸피라진과, 향을 저하시키는 원인 물질인 (D) 3-메틸부타날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커피 농축 조성물은, (D) 3-메틸부타날에 대한 (C) 2-메틸피라진의 함유 비율이 높은 것이, 커피 농축 조성물의 양호한 향을 증강시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D) 에 대한 성분 (C) 의 함유 비율은, 당해 커피 농축 조성물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질량 분석법 (GC/MS 법) 으로 분석했을 때의 (C) 2-메틸피라진과 (D) 3-메틸부타날의 피크 면적비[(D)/(C)]로 측정할 수 있고, 당해 면적비는, 0.1 이하, 나아가 0.080 이하, 더 나아가 0.0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한은, 제조 효율의 관점에서, 0.0001, 나아가 0.0005, 더 나아가 0.00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율[(D)/(C)]」의 측정 조건은, 다음에 게재하는 실시예의 「2-메틸피라진, 3-메틸부타날의 측정」의 기재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피 농축 조성물에는, 원하는 바에 따라, 쓴 맛 억제제, 산화 방지제, 향료, 각종 에스테르류, 유기산류, 유기산 염류, 무기산류, 무기산 염류, 무기 염류, 색소류, 유화제, 보존료, 조미료, 산미료, 품질 안정제, pH 조정제, 식물 유지, 단백질, 캐러멜, 커피콩 미분쇄물, 코코아 파우더 등의 첨가제를 1 종 또는 2 종 이상 배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커피 농축 조성물의 형태로서는, 액체, 분말, 과립, 정제 등이 예시되고,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피 농축 조성물은, 그대로, 또는 필요에 따라 물로 희석하는 등의 환원 조작 후,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커피 농축 조성물이 액체인 경우, 포션 타입의 희석 음료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커피 농축 조성물이 분말인 경우, 인스턴트 커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형태로서는, 스푼으로 계량하여 조제하는 것, 투과성 침출 패키지 또는 컵 한 잔분마다 작게 나눈 스틱 타입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피 농축 조성물이 액체인 경우,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시킴으로써, 인스턴트 커피로 가공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커피 농축 조성물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알루미늄 증착 필름 등을 재질로 하는 레토르트팩으로 제공해도 되고, 또한 금속캔, PET 보틀, 유리 용기와 같은 형태로 제공해도 된다. 이 경우, 밀봉 용기 내에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를 충전하는 것이 품질을 유지하는 데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 예를 들어, 금속캔과 같은 용기에 충전 후, 가열 살균할 수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적용되어야 하는 법규 (일본에 있어서는 식품 위생법) 에 정해진 살균 조건으로 제조할 수 있다. PET 보틀, 종이 용기와 같이 레토르트 살균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미리 상기와 동등한 살균 조건, 예를 들어 플레이트식 열교환기 등으로 고온 단시간 살균 후, 일정한 온도까지 냉각시켜 용기에 충전하는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용기에 담은 커피 음료)
본 발명의 용기에 담은 커피 음료는, 상기 본 발명의 커피 농축 조성물을 그대로 용기에 충전하거나, 혹은 필요에 따라 희석하여 용기에 충전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에 담은 커피 음료는, 용기에 담은 블랙 커피 음료로 해도 되고, 용기에 담은 밀크 커피 음료로 해도 된다. 용기에 담은 밀크 커피 음료로 하는 경우, 유(乳)성분으로서, 생유, 우유, 전분유, 탈지분유, 생크림, 농축유, 탈지유, 부분 탈지유, 연유 등을 배합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첨가제를 배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용기에 담은 커피 음료는, 상기와 동일한 포장 용기에 충전하여, 가열 살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커피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커피 농축 조성물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먼저 배전도 (L 값) 가 특정 범위 내로 각각 제어된 제 1 배전 커피콩과 제 2 배전 커피콩을 선택한다.
제 1 배전 커피콩으로서, L 값이 14 ∼ 20 인 배전 커피콩 (강하게 볶은 콩) 을 사용하는데, 풍미의 관점에서, L 값은 15 ∼ 19, 나아가 16 ∼ 18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2 배전 커피콩으로서, L 값이 25 ∼ 40 인 배전 커피콩 (약하게 볶은 콩) 을 사용하는데, 풍미의 관점에서, L 값은 25.5 ∼ 39, 나아가 26 ∼ 38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L 값의 측정 방법은, 다음에 게재하는 실시예의 「L 값의 측정」의 기재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배전 커피콩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혼합 후의 배전 커피콩의 L 값의 평균값이 특정 범위 내가 되도록, 제 1 배전 커피콩과 제 2 배전 커피콩을 혼합한다. 혼합 후의 배전 커피콩의 L 값의 평균값은 21 ∼ 28.5 인데, 풍미의 관점에서, 21.5 ∼ 28, 나아가 22 ∼ 27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L 값의 평균값」은, 사용하는 배전 커피콩의 L 값에, 당해 배전 커피콩의 함유 질량 비율을 곱한 값의 총합으로서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혼합 후의 배전 커피콩의 L 값의 평균값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제 1 및 제 2 배전 커피콩 이외의 제 3 배전 커피콩을 사용해도 된다. 제 3 배전 커피콩으로서는, 예를 들어, 라이트, 시나몬, 미디엄, 하이, 시티, 풀 시티, 프렌치, 이탈리안 등의 배전도의 커피콩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 제 3 배전 커피콩의 혼합 비율도 혼합 후의 L 값의 평균값이 21 ∼ 28.5 가 되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배전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직화식, 열풍식, 반열풍식 등의 공지된 방법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데, 이들 배전 방식에 회전 드럼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전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0 ∼ 300 ℃, 나아가 150 ∼ 25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전 후에는, 풍미의 관점에서, 배전 후 1 시간 이내에, 바람직하게는 0 ∼ 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60 ℃ 까지 냉각시킨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커피콩종으로서는, 예를 들어, 아라비카종, 로부스타종 등이 예시된다. 커피콩의 산지로서는, 예를 들어, 브라질, 콜롬비아, 과테말라, 탄자니아, 에티오피아, 자메이카, 인도네시아, 인도, 베트남 등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커피다운 쓴 맛과 진한 맛의 관점에서, 로부스타종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동일한 L 값을 갖는 이종 (異種) 의 커피콩을 블렌드하여 사용해도 된다.
배전 커피콩은 분쇄한 것을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어, 분쇄 정도로서, 매우 곱게 갈기 (0.250-0.500 ㎜), 곱게 갈기 (0.300-0.650 ㎜), 중간 굵기로 곱게 갈기 (0.530-1.000 ㎜), 중간 갈기 (0.650-1.500 ㎜), 중간 굵기로 굵게 갈기, 굵게 갈기 (0.850-2.100 ㎜), 매우 굵게 갈기 (1.000-2.500 ㎜), 혹은 평균 입경 3 ㎜, 동 5 ㎜ 또는 동 10 ㎜ 정도의 컷품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및 제 2 배전 커피콩을 포함하고, L 값의 평균값이 21 ∼ 28.5 가 되는 배전 커피콩의 혼합물을 다단계 추출한다. 「다단계 추출」이란, 복수의 독립된 추출탑을 배관으로 직렬로 연결한 장치를 사용하는 추출 방법이다. 각 추출탑에 배전 커피콩의 혼합물을 충전하고, 초단의 추출탑으로부터 배출된 추출액을, 차례로 다음의 추출탑의 추출용 용매로서 사용하여 추출액을 얻는다. 다단계 추출에 있어서는, 추출 용매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의 상승류, 혹은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의 하강류로 공급할 수 있는데, 풍미의 관점에서, 연속상이 액체와 기체의 혼합계가 되는 하강류보다, 연속상이 액체가 되는 상승류가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이 경우, 추출 용매는, 밀폐계에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다단계 추출은,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추출 용매를 개방계에서 공급하는 드립 추출과는 추출 방법이 완전히 상이하다.
다단계 추출에서는, 전단계의 추출액이 다음의 추출에 반복하여 제공된다. 그 때문에, 다단계 추출에 의해 얻어진 커피 추출액은, 예를 들어, 드립 추출에 의해 얻어진 커피 추출액이나 교반식의 추출액과는, 동일 농도로 조정했다고 해도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 등의 조성이 상이하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커피 농축 조성물은, 드립 추출 등에 의해 얻어진 커피 추출액을 사용한 커피 농축 조성물과는 풍미가 상이한 것이 된다. 즉,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배전 커피콩 특유의 향이 증강되고, 진한 맛과 쓴 맛이 양호하여, 음용 후의 입안에 남는 잡미가 억제된 커피 농축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다단계 추출은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다음의 방법이 예시된다. 배전 커피콩의 혼합물을, 복수의 독립된 추출탑 각각에 투입하고, 1 단계째의 추출탑에 추출 용매를 공급하여 그 추출탑으로부터 커피 추출액을 배출시킨다. 이어서, 1 단계째의 추출탑으로부터 배출된 커피 추출액을 2 단계째의 추출탑에 공급하여 그 추출탑으로부터 커피 추출액을 배출시킨다. 또한, 3 단계째 이후의 추출탑을 갖는 경우, 전단계의 추출탑으로부터 배출된 커피 추출액을 다음 단계의 추출탑에 공급하여 커피 추출액을 배출시키는 조작을 반복하여 실시한다. 그리고, 최종 단계의 추출탑으로부터 배출된 커피 추출액을 회수한다. 여기서, 「독립된 추출탑」이란, 추출탑이 완전히 차단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배전 커피콩의 이동은 제한되지만, 추출 용매 또는 제조 도중의 커피 추출액을 다음 단계의 추출탑에 송액 가능한 연결 수단을 갖는 1 개의 추출탑을 말한다. 또, 추출탑으로부터 배출된 커피 추출액은, 모든 추출탑을 연속하여 통과시킬 뿐만 아니라, 추출탑으로부터 배출된 커피 추출액을 일단 탱크 등에 저류해도 되고, 저류된 커피 추출액을 다음 단계의 추출탑에 공급해도 된다. 또한, 추출에 사용하는 추출탑의 단 수는 2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하는 풍미가 얻어지도록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추출 용매로서는, 물 또는 에탄올 등의 알코올 함유 수용액 등이 예시되고, 그 중에서도, 풍미의 관점에서, 물이 바람직하다. 추출 용매의 pH (25 ℃) 는, 풍미의 관점에서, 4 ∼ 10, 나아가 5 ∼ 7 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용매의 온도는, 풍미의 관점에서, 통상 다단 추출에서 채용되는 온도 (170 ∼ 180 ℃) 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35 ℃,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 특히 바람작히게는 100 ℃ 이다. 한편,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 이다.
추출 압력 (게이지압) 은, 풍미 및 추출 효율의 관점에서, 0.1 ∼ 1.5 ㎫, 나아가 0.2 ∼ 1.3 ㎫, 더 나아가 0.4 ∼ 1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배율은 바람작하게는 0.5 ∼ 2,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 1.8, 특히 바람직하게는 0.7 ∼ 1.6 이다. 여기서, 「추출 배율」이란, 추출에 의해 얻어진 추출액과 추출에 사용한 배전 커피콩의 질량비[(추출액 질량)/(배전 커피콩 질량)]를 말한다.
1 단계 당의 추출액의 체류 시간은 추출 스케일 등에 따라 균일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0 분 ∼ 3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분 ∼ 2 시간이다.
다음으로, 얻어진 커피 추출액을 농축한다. 농축 조작은, 공지된 방법 및 장치로 실시하면 되고,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감압 농축, 역침투막 농축이 예시된다. 또, 분체의 형태가 바람직한 경우에는, 분무 건조, 동결 건조 등에 의해 분체상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은 하기의 [1-1] ∼ [2-8] 을 포함하는 것이다.
[1-1] 다음의 성분 (A) 및 (B) ;
(A) 클로로겐산류 : 건조 고형분 중에 100 ∼ 300 ㎎/g, 및
(B)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 : 건조 고형분 중에 0.33 ㎎/g 이하를 함유하고, 건조 고형분이 10 ∼ 100 질량% 인 커피 농축 조성물.
[1-2] 당해 커피 농축 조성물의 건조 고형분은, 바람직하게는 20 ∼ 99.9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99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98 질량% 인, 상기 [1-1] 에 기재된 커피 농축 조성물.
[1-3] (A) 클로로겐산류의 함유량은, 당해 커피 농축 조성물의 건조 고형분 중에 바람직하게는 102 ∼ 250 ㎎/g,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 ∼ 20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8 ∼ 180 ㎎/g 인, 상기 [1-1] 또는 [1-2] 에 기재된 커피 농축 조성물.
[1-4]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의 함유량은, 당해 커피 농축 조성물의 건조 고형분 중에 바람직하게는 0.001 ∼ 0.3 ㎎/g,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 0.27 ㎎/g,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 0.2 ㎎/g 인, 상기 [1-1] ∼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커피 농축 조성물.
[1-5] 당해 커피 농축 조성물의 건조 고형분 중의 (A3) 디카페오일퀸산류와 (A) 클로로겐산류의 함유 질량비[(A3)/(A)]는, 바람직하게는 0.05 ∼ 0.16, 보다 바람직하게는 0.06 ∼ 0.14, 더욱 바람직하게는 0.07 ∼ 0.13 인, 상기 [1-1] ∼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커피 농축 조성물.
[1-6] 당해 커피 농축 조성물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질량 분석법 (GC/MS 법) 으로 분석했을 때의 (C) 2-메틸피라진과 (D) 3-메틸부타날의 피크 면적비[(D)/(C)]는, 바람직하게는 0.0001 ∼ 0.1,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5 ∼ 0.080, 0.0010 ∼ 0.070 인, 상기 [1-1] ∼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커피 농축 조성물.
[2-1] L 값 14 ∼ 20 의 제 1 배전 커피콩과, L 값 25 ∼ 40 의 제 2 배전 커피콩을 포함하고, L 값의 평균값이 21 ∼ 28.5 가 되는 배전 커피콩의 혼합물을, 다단계 추출하여 농축시키는 커피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
[2-2] 제 1 배전 커피콩의 L 값은, 바람직하게는 15 ∼ 19,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 18 인, 상기 [2-1] 에 기재된 커피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
[2-3] 제 2 배전 커피콩 L 값은, 바람직하게는 25.5 ∼ 39, 더욱 바람직하게는 26 ∼ 38 인, 상기 [2-1] 또는 [2-2] 에 기재된 커피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
[2-4] 배전 커피콩의 혼합물의 L 값의 평균값은, 바람직하게는 21.5 ∼ 28,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 27 인, 상기 [2-1] ∼ [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커피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
[2-5] 다단계 추출에 있어서의 추출 용매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50 ∼ 1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135 ℃,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120 ℃,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100 ℃ 인, 상기 [2-1] ∼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커피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
[2-6] 다단계 추출에 있어서의 추출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0.5 ∼ 2,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 1.8,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 1.6 인, 상기 [2-1] ∼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커피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
[2-7] 다단계 추출에 있어서, 1 단계 당의 추출액의 체류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0 분 ∼ 3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분 ∼ 2 시간인, 상기 [2-1] ∼ [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커피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
[2-8] 다단계 추출에 있어서의 추출 용매가 물 또는 알코올 수용액인, 상기 [2-1] ∼ [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커피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
[2-9] 다단계 추출에 있어서의 추출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0.1 ∼ 1.5 ㎫,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1.3 ㎫,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 1 ㎫ 인, 상기 [2-1] ∼ [2-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커피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
실시예
(클로로겐산류의 측정)
클로로겐산류의 측정법은 다음과 같다. 분석 기기는 HPLC 를 사용하였다.
장치의 구성 유닛의 형번은 다음과 같다.
UV-VIS 검출기 : L-2420 ((주) 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즈),
칼럼 오븐 : L-2300 ((주) 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즈),
펌프 : L-2130 ((주) 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즈),
오토 샘플러 : L-2200 ((주) 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즈),
칼럼 : Cadenza CD-C18 내경 4.6 ㎜ × 길이 150 ㎜, 입경 3 ㎛. (인택트 (주)).
분석 조건은 다음과 같다.
샘플 주입량 : 10 ㎕,
유량 : 1.0 ㎖/min,
UV-VIS 검출기 설정 파장 : 325 ㎚,
칼럼 오븐 설정 온도 : 35 ℃,
용리액 A : 0.05 M 아세트산, 0.1 mM 1-하이드록시에탄-1,1-디술폰산, 10 mM 아세트산나트륨, 5 (V/V) % 아세토니트릴 용액,
용리액 B : 아세토니트릴.
농도 구배 조건
시간 용리액 A 용리액 B
0.0 분 100 % 0 %
10.0 분 100 % 0 %
15.0 분 95 % 5 %
20.0 분 95 % 5 %
22.0 분 92 % 8 %
50.0 분 92 % 8 %
52.0 분 10 % 90 %
60.0 분 10 % 90 %
60.1 분 100 % 0 %
70.0 분 100 % 0 %
HPLC 에서는, 시료 1 g 을 정밀 칭량 후, 용리액 A 로 10 ㎖ 로 메스업하여, 멤브레인 필터 (GL 크로마토디스크 25 A, 구멍 직경 0.45 ㎛., 지엘 사이언스 (주)) 로 여과 후, 분석에 제공하였다.
클로로겐산류의 유지 시간 (단위 : 분) 9 종의 클로로겐산류
(A1) 모노카페오일퀸산 : 5.3, 8.8, 11.6 의 합계 3 점
(A2) 모노페룰라퀸산 : 13.0, 19.9, 21.0 의 합계 3 점
(A3) 디카페오일퀸산 : 36.6, 37.4, 44.2 의 합계 3 점.
여기서 구한 9 종의 클로로겐산류의 면적값으로부터 5-카페오일퀸산을 표준 물질로 하여, 질량% 를 구하였다.
(L 값의 측정)
시료를 색차계 ((주) 닛폰 덴쇼쿠사 제조 스펙트로포토미터 SE2000)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건조 고형분의 측정)
건조 고형분이란, 커피 농축 조성물을 동결 건조시켜 얻어지는 건조물의 질량과, 커피 농축 조성물의 질량 비율로서, (동결 건조물의 질량/커피 농축 조성물의 질량) × 100 으로 정의된다. 커피 농축 조성물 약 20 g 을 전용 유리 용기에 정밀 칭량하였다. 이 용기를 -80 ℃ 의 에탄올 배스 중에서 회전시키면서 커피 농축 조성물을 동결시켰다. 동결 후, 동결 건조기 (토쿄리카 기계사 제조 FD-81) 로 동결 건조시켰다. 동결 건조의 조건은, 압력 0.08 Torr 로 한 후, 실온에 20 시간 방치하였다.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의 측정)
후술하는 각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얻어진 커피 농축 조성물을 동결 건조시킨 커피 추출 고형물을 이용하여, 하기에 기재한 방법에 의해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동결 건조기는 FD-81 형 (토쿄리카 기계 (주) 사 제조) 을 사용하였다.
시료 1 g 을 정밀 칭량하여, 메스 플라스크를 이용하여 순수로 20 ㎖ 로 정용 (定容) 하였다. 순수 5 ㎖ 를 이용하여 예비 세정한 고상 칼럼 (Bond Elut SCX, 및 SAX 를 연결한 것) 에, 먼저 정용한 시료 용해액 6 ㎖ 를 공급하고, 초류액 4 ㎖ 를 폐기 후, 용출액을 얻었다. 용출액 1 ㎖ 를 10 ㎖ 의 메스 플라스크에 분취하여, 순수를 이용하여 10 ㎖ 로 정용하였다. 얻어진 조제액의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량을 HPLC 로 측정하였다. 또한 이 때,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 (토쿄 화성 공업 (주) 사 제조) 을 표준 물질로 하여, 리텐션 타임 10.3 분의 피크 면적값으로부터 커피 건조 고형분 중의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의 질량% 를 구하였다.
HPLC 의 장치의 구성 유닛의 형번은 다음과 같다.
기종 : LC-10AS ((주) 시마즈 제작소)
UV-VIS 검출기 : SPD-10AV ((주) 시마즈 제작소),
칼럼 : CAPCELL PAK C18 내경 4.6 ㎜ × 길이 250 ㎜, 입경 3 ㎛. ((주) 시세이도).
분석 조건은 다음과 같다.
샘플 주입량 : 10 ㎕,
유량 : 0.7 ㎖/min,
UV-VIS 검출기 설정 파장 : 285 ㎚,
칼럼 오븐 설정 온도 : 35 ℃,
용리액 : 물 및 메탄올의 혼액 (5 : 1).
(2-메틸피라진, 3-메틸부타날의 측정)
후술하는 각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얻어진 커피 농축 조성물을 동결 건조시킨 커피 추출 고형물을 이용하여, 하기에 기재한 방법에 의해 2-메틸피라진, 3-메틸부타날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샘플 조제
시료 1 g 을 정밀 칭량하여, 이온 교환수를 이용하여 용해시켜 50 g 으로 메스업하였다. 시료 용해액 1 ㎖ 를 0.5 g 의 NaCl 을 첨가한 20 ㎖ 의 스크루 바이알병에 칭량하였다. 얻어진 조제액의 3-메틸부타날과 2-메틸피라진의 함유량을 GC/MS 로 분석하였다.
GC 조건
기종 : GCMS-QP2010 ((주) 시마즈 제작소)
사용 칼럼 : DB-1 (Agilent J&W 사 제조) 길이 60 m × 내경 0.25 ㎜ 막두께 0.25 ㎛.
고상 마이크로 추출 (SPME) 대응의 오토 인젝터 : AOC-5000 ((주) 시마즈 제작소)
SPME 화이버 : DVB/CarboxenTM/Polidimethylsiloxane (슈펠코 시그마 알드리치사) 승온 조건 ; 40 ℃ (4 min. hold) -6 ℃/min. -60 ℃ -3 ℃/min. -280 ℃ (20 min. hold)
MS 조건
MS : 스캔모드 ; m/z 40 ∼ 400, EI ; 70 eV,
SPME : 평형 조건 ; 40 ℃, 25 min./흡착 조건 ; 40 ℃, 35 min.
GC/MS 측정에 의해 얻어진 피크의 매스 스펙트럼과 유지 시간부터, 유지 시간 10.9 분의 피크를 3-메틸부타날, 및 유지 시간 16.9 분의 피크를 2-메틸피라진으로 동정하고, 3-메틸부타날은 m/z 44, 2-메틸피라진은 m/z 94 의 피크의 면적값을 이용하여, 3-메틸부타날/2-메틸피라진 면적비를 구하였다.
(관능 평가)
후술하는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인스턴트 커피를, 건조 고형분 1.4 질량% 가 되도록 85 ℃ 로 가온한 이온 교환수로 희석하여, 그들을 전문 패널 5 명이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고, 그 후 협의에 의해 최종 스코어를 결정하여 평가값으로 하였다.
(Ⅰ) 향에 관한 평가 기준
5 : 커피의 향이 강하다.
4 : 커피의 향이 약간 강하다.
3 : 어느 쪽도 아니다.
2 : 커피의 향이 약간 약하다.
1 : 커피의 향이 약하다.
(Ⅱ) 진한 맛에 관한 평가 기준
5 : 커피의 진한 맛이 강하다.
4 : 커피의 진한 맛이 약간 강하다.
3 : 어느 쪽도 아니다.
2 : 커피의 진한 맛이 약간 약하다.
1 : 커피의 진한 맛이 약하다.
(Ⅲ) 쓴 맛에 관한 평가 기준
5 : 커피다운 쓴 맛이 강하다.
4 : 커피다운 쓴 맛이 약간 강하다.
3 : 어느 쪽도 아니다.
2 : 커피다운 쓴 맛이 약간 약하다.
1 : 커피다운 쓴 맛이 약하다.
(Ⅳ) 음용 후의 입안에 남는 잡미에 관한 평가 기준
5 : 커피 음용 후의 입안에 남는 잡미가 없다.
4 : 커피 음용 후의 입안에 남는 잡미가 거의 없다.
3 : 어느 쪽도 아니다.
2 : 커피 음용 후의 입안에 남는 잡미가 약간 강하다.
1 : 커피 음용 후의 입안에 남는 잡미가 강하다.
(Ⅴ) 생커피 형태의 다른 맛에 관한 평가 기준
5 : 생커피 형태의 다른 맛이 없다.
4 : 생커피 형태의 다른 맛이 거의 없다.
3 : 어느 쪽도 아니다.
2 : 생커피 형태의 다른 맛이 약간 강하다.
1 : 생커피 형태의 다른 맛이 강하다.
실시예 1 ∼ 10, 비교예 1 및 2
표 1 에 기재한 품종 및 L 값의 배전 커피콩을 이용하여 각각 표 1 에 나타낸 질량 비율이 되도록 혼합하고, 원통형 추출탑 (내경 160 ㎜ × 높이 660 ㎜) 5 개에 1 탑 당의 충전량이 4.2 ㎏ 이 되도록 충전하였다. 이어서, 95 ℃ 의 열수를 1 단계째의 추출탑 하부로부터 상부로 송액하였다. 1 단계째의 추출탑 상부로부터 배출된 커피 추출액을, 2 단계째의 추출탑 하부로부터 상부로 송액하였다. 이 조작을 3 단계째 이후의 추출탑에 대하여 반복 실시하여, 5 단계째의 추출탑의 상부로부터 배출된 커피 추출액을 신속하게 냉각시킴과 함께 회수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커피 추출액을 로터리 이베포레이터 (N-1100V 형, 토쿄리카 기계 (주) 사 제조) 를 이용하여, 30 torr, 50 ℃ 에서 감압 가열 농축시켜, 건조 고형분이 30 질량% 인 커피 농축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커피 농축 조성물을, 분무 건조기 (Pulvis GB22, 야마토 과학 (주) 사 제조) 로, 인렛 온도 170 ℃, 아울렛 온도 102 ℃ 의 조건으로 분말화하여, 인스턴트 커피를 얻었다.
커피 농축 조성물의 분석, 및 인스턴트 커피의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3 ∼ 5
표 1 에 나타낸 품종 및 L 값의 배전 커피콩을 이용하여 각각 표 1 에 나타낸 질량 비율로 400 g 이 되도록 혼합하고, 이것을 원통형 칼럼형 추출기 (내경 76 ㎜ × 높이 680 ㎜) 에 투입하였다. 이어서, 95 ℃ 의 열수를 추출기 하부로부터 100 ㎖/min 의 유도 (流度) 로 2 분 29 초간 송액하였다. 이어서, 95 ℃ 의 열수를 추출기 상부로부터 100 ㎖/min 의 유도로 10 분 12 초간 샤워하였다. 이어서, 샤워를 정지하고 10 분간 가만히 정지시켰다. 10 분 후, 95 ℃ 의 열수를 100 ㎖/min 의 유도로 추출기 상부로부터 샤워함과 함께, 추출기 하부로부터 100 ㎖/min 의 유도로 커피 추출액을 뽑아내어, 신속하게 냉각시켰다. 얻어진 커피 추출액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농축시켜, 건조 고형분이 30 질량% 인 커피 농축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커피 농축 조성물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말화하여 인스턴트 커피를 얻었다.
커피 농축 조성물의 분석, 및 인스턴트 커피의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3021004702-pct00001
표 1 로부터, 고농도의 (A) 클로로겐산류를 함유하는 커피 농축 조성물 중의 (B)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의 함유량을 일정량 이하로 제어함으로써, 배전 커피콩 특유의 향이 증강되고, 진한 맛과 쓴 맛이 양호하여, 음용 후의 입안에 남는 잡미가 억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이와 같은 커피 농축 조성물은 다단계 추출에 의해 얻을 수 있고, 드립 추출에 의해 얻어진 커피 추출액을 사용한 커피 농축 조성물과는 조성 및 풍미가 상이한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6
표 2 에 기재한 브라질산 아라비카종의 L 값 16.5 의 배전 커피콩을 단독으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 배전 커피콩 추출액을 얻어,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 농축시켰다. 다음으로, 베트남산 로부스타종의 미배전 원료로서 생커피콩 엑기스 P (오리자 유화 (주)) 의 분말을, 먼저 얻어진 배전된 커피 농축 조성물 중의 고형분과의 비율이, 표 2 에 기재한 비율이 되도록 혼합하여, 건조 고형분이 30 질량% 인 커피 농축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커피 농축 조성물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말화하여 인스턴트 커피를 얻었다.
커피 농축 조성물의 분석, 및 인스턴트 커피의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3021004702-pct00002
표 2 로부터, 배전 커피콩 추출액과 생커피콩 추출액을 블렌드하여 얻어진 인스턴트 커피는, 생커피콩 추출액에서 기인되는 생커피 형태의 다른 맛이 느껴져, 커피 풍미가 저해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Claims (15)

  1. 다음의 성분 (A) 및 (B) ;
    (A) 클로로겐산류 : 건조 고형분 중에 100 ∼ 300 ㎎/g, 및
    (B)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 : 건조 고형분 중에 0.33 ㎎/g 이하를 함유하고, 건조 고형분이 10 ∼ 100 질량% 이고, 배전 커피콩으로부터 추출 용매에 의해 추출된 커피 추출액을 농축 또는 건조시켜 이루어지는 커피 농축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당해 커피 농축 조성물의 건조 고형분 중의 (A3) 디카페오일퀸산류와 (A) 클로로겐산류의 함유 질량비[(A3)/(A)]가 0.05 ∼ 0.16 인 커피 농축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A) 클로로겐산류의 함유량이 당해 커피 농축 조성물의 건조 고형분 중에 105 ∼ 200 ㎎/g 인 커피 농축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의 함유량이 당해 커피 농축 조성물의 건조 고형분 중에 0.005 ∼ 0.27 ㎎/g 인 커피 농축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당해 커피 농축 조성물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질량 분석법 (GC/MS 법) 으로 분석했을 때의 (C) 2-메틸피라진과 (D) 3-메틸부타날의 피크 면적비[(D)/(C)]가 0.1 이하인 커피 농축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당해 커피 농축 조성물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질량 분석법 (GC/MS 법) 으로 분석했을 때의 (C) 2-메틸피라진과 (D) 3-메틸부타날의 피크 면적비[(D)/(C)]가 0.0010 ∼ 0.070 인 커피 농축 조성물.
  7. 하기의 2 종의 배전 커피콩;
    (a) L 값 14 ∼ 20 의 제 1 배전 커피콩 40 ~ 65 질량%, 및
    (b) L 값 25 ∼ 40 의 제 2 배전 커피콩 60 ~ 35 질량% 의 혼합물로서, L 값의 평균값이 21 ∼ 28.5 가 되는 배전 커피콩의 혼합물을, 65 ~ 95 ℃ 의 추출 용매에서 다단계 추출하여 농축시키는 커피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계 추출에 있어서의 추출 배율이 0.5 ∼ 2 인 커피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계 추출에 있어서의 추출 용매가 물 또는 알코올 수용액인 커피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계 추출에 있어서의 추출 압력이 0.1 ∼ 1.5 ㎫ 인 커피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농축 조성물이, 다음의 성분 (A) 및 (B) ;
    (A) 클로로겐산류 : 건조 고형분 중에 100 ∼ 300 ㎎/g, 및
    (B)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 : 건조 고형분 중에 0.33 ㎎/g 이하를 함유하고, 건조 고형분이 커피 농축 조성물의 10 ∼ 100 질량% 인, 커피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37006197A 2010-10-05 2011-10-05 커피 농축 조성물 KR101850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25440 2010-10-05
JPJP-P-2010-225440 2010-10-05
PCT/JP2011/072975 WO2012046766A1 (ja) 2010-10-05 2011-10-05 コーヒー濃縮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291A KR20140008291A (ko) 2014-01-21
KR101850569B1 true KR101850569B1 (ko) 2018-04-19

Family

ID=45927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6197A KR101850569B1 (ko) 2010-10-05 2011-10-05 커피 농축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840948B2 (ko)
EP (1) EP2625962B1 (ko)
JP (2) JP5222986B2 (ko)
KR (1) KR101850569B1 (ko)
CN (1) CN103140139B (ko)
BR (1) BR112013008359B1 (ko)
RU (1) RU2587626C2 (ko)
WO (1) WO20120467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00561B2 (en) 2012-01-20 2020-10-13 Koffeefruit Pte. Ltd. Preparation of coffee-based extracts and powders
SG11201508068YA (en) * 2013-03-29 2015-11-27 Kao Corp Coffee beverage
CN105813466B (zh) 2013-12-18 2020-01-14 花王株式会社 咖啡浓缩组合物
BR112016014764B1 (pt) * 2013-12-23 2022-02-01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Processo para preparação de partículas de café solúvel aromatizado, café instantâneo, e, uso de grãos inteiros de café torrados
WO2016016101A1 (en) * 2014-08-01 2016-02-04 Illycaffe' Spa Roasted laurina coffee, method for its preparation, and use for preventing metabolic syndrome
US20170332655A1 (en) 2014-12-02 2017-11-23 Kao Corporation Roasted coffee beans
JP2015091271A (ja) * 2015-02-12 2015-05-14 花王株式会社 コーヒー飲料
JP6572002B2 (ja) * 2015-06-17 2019-09-04 花王株式会社 希釈用コーヒー組成物の製造方法
JP6572003B2 (ja) * 2015-06-17 2019-09-04 花王株式会社 希釈用コーヒー組成物の製造方法
PL3313194T3 (pl) * 2015-06-23 2021-12-13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Proces przygotowania zachowującej zapach kawy rozpuszczalnej
NL2015070B1 (en) 2015-07-01 2017-01-30 Douwe Egberts Bv A froth wand.
KR101611812B1 (ko) * 2015-08-24 2016-04-14 주식회사 루왁코리아 액상 커피 제조 방법
US10709149B2 (en) 2015-09-04 2020-07-14 Koffeefruit Pte. Ltd. Preparation of coffee fruit extracts and powders
JP6767748B2 (ja) * 2016-02-08 2020-10-14 キリンビバレッジ株式会社 容器詰めコーヒー飲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727053B2 (ja) * 2016-07-21 2020-07-22 ザ コカ・コーラ カンパニーThe Coca‐Cola Company コーヒーの製造方法
JP6795539B2 (ja) * 2017-05-18 2020-12-02 花王株式会社 食品組成物
BR112020006674A2 (pt) 2017-10-06 2020-10-06 Cargill, Incorporated composição de glicosídeo de esteviol prontamente dissolvível, e, composição seca de glicosídeo de esteviol prontamente dissolvível
BR112021019811A2 (pt) 2019-04-06 2021-12-07 Cargill Inc Composição de glicosídeo de esteviol, bebida, métodos para reduzir um atributo sensorial indesejável de uma solução aquosa de glicosídeo de esteviol, para reduzir a persistência de doçura de um componente de glicosídeo de esteviol em uma composição comestível e para reduzir o amargor de um componente de glicosídeo de esteviol em uma composição comestível, e, soluções aquosa de glicosídeo de esteviol com reduzida persistência de doçura e aquosa de glicosídeo de esteviol com reduzido amargor
JP7391993B2 (ja) 2019-04-06 2023-12-05 カーギ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植物抽出組成物を作製するための方法
EP3845071B1 (en) * 2019-12-30 2023-03-22 Haanong Foods. Co., Ltd Coffee additive using black garlic extrac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22050048A1 (ja) * 2020-09-07 2022-03-10 味の素株式会社 希釈用コーヒー飲料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4755A (ja) * 2002-01-15 2003-07-22 Kao Corp 容器詰コーヒー飲料
JP2005040068A (ja) * 2003-07-23 2005-02-17 Ito En Ltd コーヒー飲料の製造方法
JP2008187931A (ja) * 2007-02-02 2008-08-21 Kao Corp 容器詰コーヒー飲料
JP2009501545A (ja) * 2005-07-18 2009-01-22 クラフト・フーヅ・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酵素支援による可溶性コーヒーの生成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3388A (en) * 1966-11-30 1970-02-03 Procter & Gamble Process for preparing instant coffee
US4392187A (en) 1981-03-02 1983-07-05 Vari-Lite, Ltd. Computer controlled lighting system having automatically variable position, color, intensity and beam divergence
JPS59139194A (ja) 1983-01-25 1984-08-09 Seiko Epson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4798730A (en) * 1987-06-01 1989-01-17 General Foods Corporation Hydrolysis of a partially extracted roasted and ground coffee
JPH0412560A (ja) 1990-05-01 1992-01-17 Futaba Corp Icリード端子の矯正方法
JPH0412561A (ja) 1990-05-02 1992-01-17 Toshiba Corp Ic用リードフレーム
JPH0488947A (ja) * 1990-07-30 1992-03-23 Haroo Gutsuzu:Kk 水出しコーヒーの製造方法
DE4038526A1 (de) * 1990-12-03 1992-06-04 Jacobs Suchard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oeslichem kaffee
CA2105018C (en) * 1992-09-10 1998-06-23 Mary R. Jensen High-yield roasted coffee with balanced flavor
JPH08154584A (ja) * 1994-12-09 1996-06-18 Kirin Brewery Co Ltd コーヒー抽出液の製造方法
JP2000175623A (ja) * 1998-12-16 2000-06-27 Nihon Canpack コーヒー飲料の製造方法
US20030017251A1 (en) * 2002-08-23 2003-01-23 Kirkpatrick Steven Jacob Novel roasted coffee with a balanced flavor and a process for making it
PL1716757T3 (pl) * 2004-01-30 2009-12-31 Kao Corp Kompozycja napoju kawy
CN100566583C (zh) * 2004-01-30 2009-12-09 花王株式会社 咖啡饮料组合物
JP4440014B2 (ja) * 2004-07-01 2010-03-24 石光商事株式会社 コーヒー製品
EP1632135A1 (en) * 2004-08-18 2006-03-08 Nestec S.A. Inert, glassy matrices for the stabilization of aroma in soluble coffee
JP4488850B2 (ja) * 2004-09-15 2010-06-23 キーコーヒー株式会社 コーヒー生豆加工物,飲料抽出用加工物及びその加工物を用いた飲料
JP2006174746A (ja) * 2004-12-22 2006-07-06 Kao Corp 脱カフェインされた生コーヒー豆抽出物の製造方法
TWI469737B (zh) * 2005-01-28 2015-01-21 Suntory Beverage & Food Ltd Can be processed into high green base of coffee beans method
TWI362245B (en) * 2005-01-31 2012-04-21 Kao Corp Packaged coffee beverage
EP1712137A1 (en) 2005-04-12 2006-10-18 Nestec S.A. Coffee product
TWI396507B (zh) 2005-07-29 2013-05-21 Kao Corp Containers with black coffee drinks
TWI391099B (zh) 2005-07-29 2013-04-01 Kao Corp 容器裝牛奶咖啡飲料
WO2007013616A1 (ja) 2005-07-29 2007-02-01 Kao Corporation 容器詰ミルクコーヒー飲料
JP4548844B2 (ja) * 2005-12-30 2010-09-22 株式会社 伊藤園 容器詰コーヒー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4896863B2 (ja) * 2006-12-27 2012-03-14 花王株式会社 精製焙煎コーヒー豆
JP4803819B2 (ja) 2007-02-09 2011-10-26 タマティーエルオー株式会社 5−ヒドロキシメチルフルフラールまたは5−ヒドロキシメチルフラン−2−カルボン酸を含む食品及び容器詰飲料、並びに5−ヒドロキシメチルフルフラールを含む食品及び飲料の製造方法
JP4012561B1 (ja) 2007-02-20 2007-11-21 花王株式会社 容器詰ミルクコーヒー飲料
JP4953949B2 (ja) * 2007-07-12 2012-06-13 花王株式会社 容器詰コーヒー飲料の製造方法
JP5475945B2 (ja) 2007-11-20 2014-04-16 花王株式会社 容器詰コーヒー飲料
JP5015755B2 (ja) * 2007-12-26 2012-08-29 花王株式会社 精製焙煎コーヒー豆の製造方法
JP5015758B2 (ja) * 2007-12-27 2012-08-29 花王株式会社 容器詰コーヒー飲料の製造方法
JP2009219488A (ja) * 2008-02-20 2009-10-01 Unicafe Inc コーヒーカラメルと、コーヒーカラメル入り食品、及びコーヒーカラメル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4755A (ja) * 2002-01-15 2003-07-22 Kao Corp 容器詰コーヒー飲料
JP2005040068A (ja) * 2003-07-23 2005-02-17 Ito En Ltd コーヒー飲料の製造方法
JP2009501545A (ja) * 2005-07-18 2009-01-22 クラフト・フーヅ・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酵素支援による可溶性コーヒーの生成
JP2008187931A (ja) * 2007-02-02 2008-08-21 Kao Corp 容器詰コーヒー飲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22986B2 (ja) 2013-06-26
US8840948B2 (en) 2014-09-23
EP2625962A4 (en) 2015-06-24
CN103140139B (zh) 2015-04-01
EP2625962B1 (en) 2017-06-21
BR112013008359A2 (pt) 2016-06-14
CN103140139A (zh) 2013-06-05
JP6193562B2 (ja) 2017-09-06
BR112013008359B1 (pt) 2018-12-18
RU2013120342A (ru) 2014-11-20
RU2587626C2 (ru) 2016-06-20
EP2625962A1 (en) 2013-08-14
JP2012095647A (ja) 2012-05-24
KR20140008291A (ko) 2014-01-21
WO2012046766A1 (ja) 2012-04-12
JP2013046640A (ja) 2013-03-07
US20130216685A1 (en) 201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569B1 (ko) 커피 농축 조성물
CN105813466B (zh) 咖啡浓缩组合物
JP6259016B2 (ja) コーヒー抽出液の製造方法
JP5390309B2 (ja) 精製焙煎コーヒー豆の製造方法
JP5875241B2 (ja) 焙煎コーヒー豆
EP3533346B1 (en) Refined chlorogenic acid-containing composition
TWI563921B (zh) Concentrated coffee extract
JP2011182749A (ja) 焙煎コーヒー豆
WO2018230032A1 (ja) クロロゲン酸類含有組成物
EP3087845A1 (en) Soluble coffee
JP5965479B2 (ja) コーヒー飲料
JP4876179B2 (ja) 濃縮コーヒー抽出液の製造方法
KR20170102316A (ko) 액체 에스프레소 농축물
CN107404896B (zh) 液体意式咖啡浓缩物
JP2011000129A (ja) クロゲン酸類含有飲料
JP2015091271A (ja) コーヒー飲料
JP5930830B2 (ja) インスタントコーヒーの製造方法
KR20120016067A (ko) 배전 커피 원두로부터 항산화 물질을 얻는 방법, 얻어진 항산화 물질, 및 그것을 포함하는 식품
CN103415215A (zh) 煎焙咖啡豆
EP4381952A1 (en) Coffee bean extract with improved flavor, food or beverage, packaged beverage and method for producing coffee bean extract
JP2018186711A (ja) クロロゲン酸類含有組成物
WO2015181952A1 (ja) 焙煎コーヒー豆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