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132B1 - 릴 다리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릴 다리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132B1
KR101844132B1 KR1020160031248A KR20160031248A KR101844132B1 KR 101844132 B1 KR101844132 B1 KR 101844132B1 KR 1020160031248 A KR1020160031248 A KR 1020160031248A KR 20160031248 A KR20160031248 A KR 20160031248A KR 101844132 B1 KR101844132 B1 KR 101844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moving hood
moving
prepreg sheet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7189A (ko
Inventor
히데유키 나이토
마사루 아키바
가츠히로 오이카와
요시하루 기요타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013559A external-priority patent/JP67300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013560A external-priority patent/JP6730036B2/ja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7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6Devices for fixing reels 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ishing Rod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조작 너트와 이동 후드의 연결부에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이동 후드의 두께 박육화 및 경량화를 효과적으로 또한 효율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릴 다리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릴 다리 고정 장치는, 이동 후드(15)의 단부에 설치되는 굴곡된 걸림부(15f)를 조작 너트(18)의 단부 오목부(18g)에 결합시킴으로써 조작 너트(18)와 이동 후드(15)가 연결된다. 이동 후드(15)는, 강화 섬유(42)에 합성 수지를 함침시킨 섬유 강화 수지재로서의 프리프레그 시트(40)에 의해 형성되고, 적어도 축 방향으로 지향하는 강화 섬유(42)가 적어도 조작 너트(18)와 이동 후드(15)의 연결부(20)에서 연속해서 연장되어 있다.

Description

릴 다리 고정 장치{APPARATUS FOR FIXING REEL FOOT}
본 발명은, 낚싯대에 장착되고, 각종 낚시용 릴을 장착 가능하게 하는 릴 다리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축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는 이동 후드와 고정 후드를 구비하고, 릴 다리의 일단부를 고정 후드에 삽입함과 함께 릴 다리의 타단부를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후드로 압박함으로써 낚시용 릴을 고정하는 타입의 릴 다리 고정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경우, 고정 후드 및 이동 후드는 낚싯대의 원대의 외주에 피착되는 파이프 형상의 릴 시트에 배치되어 있고, 이동 후드에 인접 배치된 조작 너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동 후드를 고정 후드에 대해 접근/이반시키고, 이에 의해, 낚시용 릴의 착탈이 이루어진다. 통상,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이동 후드(이하, 후드부라고도 칭함)는 금속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아, 삽입되는 릴 다리가 접촉하는 부분(후드부의 내면)에 합성 수지에 의한 패드부를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낚싯대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어, 상기한 바와 같이 후드부를 금속 재료로 형성하는 것은, 경량화의 방해가 되어 버린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는, 합성 수지에 의해 후드부를 성형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소57-187064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9-65868호
전술한 바와 같이, 릴 다리 고정 장치는, 이동 후드에 인접 배치된 조작 너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동 후드를 고정 후드에 대해 접근/이반시키지만, 그러한 접근/이반은, 구체적으로는, 조작 너트의 선단부를 이동 후드의 기단부와 연결시킴과 함께, 조작 너트를 체결하는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였을 때, 이동 후드를 회전시키는 일 없이 고정 후드측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조작 너트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였을 때, 이동 후드를 회전시키는 일 없이 고정 후드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경우, 조작 너트의 선단부와 이동 후드의 기단부의 연결은, 일반적으로, 특허문헌 2에도 개시되는 바와 같이, 조작 너트(18)의 선단부에 환형의 오목 함몰부를 형성하고, 이동 후드의 기단부에 환형을 이루어 설치되는 굴곡된 훅 형상의 걸림 돌기를 상기 오목 함몰부 내에 결합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조작 너트와 이동 후드의 이러한 연결부에는, 조작 너트를 체결하여 릴 다리를 이동 후드와 고정 후드 사이에서 압박할 때, 큰 압박력이 작용함과 함께, 그렇게 압박한 상태로부터 조작 너트를 해제하여 이동 후드를 고정 후드로부터 분리할 때에도 큰 인장력이 작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힘은, 연결부, 특히 이동 후드의 훅 형상의 걸림 돌기의 굴곡부에 응력 집중을 발생시켜, 걸림 돌기를 오목 함몰부로부터 이탈시키는 직경 확장 방향의 변형을 이동 후드의 기단부에 야기시키려고 한다.
그로 인해, 전술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이동 후드를 합성 수지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 연결부, 특히 이동 후드의 걸림 돌기에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즉, 경량화를 위해 이동 후드를 수지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응력 집중을 야기하기 쉬운 이러한 연결부에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 불가결하고, 그렇지 않으면 연결부(특히, 이동 후드의 걸림 돌기)에서 파단을 야기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강도 확보를 위해 두께가 지나치게 커지면, 중량 증가를 초래하여, 경량화의 흐름으로부터 역행하는 결과가 된다. 즉, 경량화에 있어서도 가능한 한 두께 박육화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강도 확보를 포함한 효율적이고 또한 효과적인 경량화가 요망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조작 너트와 이동 후드의 연결부에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이동 후드의 두께 박육화 및 경량화를 효과적이고 또한 효율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릴 다리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낚시용 릴의 릴 다리를 수용할 수 있는 개구를 형성하도록 팽출하는 팽출부를 갖는 통 형상의 이동 후드를 조작 너트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릴 다리 고정 장치이며, 상기 이동 후드의 단부에 설치되는 굴곡된 걸림부를 상기 조작 너트의 단부의 오목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조작 너트와 상기 이동 후드가 연결되는 릴 다리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후드는 강화 섬유에 합성 수지를 함침시킨 섬유 강화 수지재에 의해 형성되고, 적어도 축 방향으로 지향하는 상기 강화 섬유가 적어도 상기 조작 너트와 상기 이동 후드의 연결부에서 연속해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릴 다리 고정 장치에 의하면, 강화 섬유에 합성 수지를 함침시킨 섬유 강화 수지재에 의해 이동 후드가 형성되므로, 이동 후드를 합성 수지에 의해서만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따라서, 필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두께 박육화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즉, 이동 후드에 관하여,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두께 박육화 및 경량화를 효과적으로 또한 효율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적어도 축 방향으로 지향하는 강화 섬유가 적어도 응력 집중을 야기하기 쉬운 조작 너트와 이동 후드의 연결부에서 연속해서 연장되어 있으므로, 연결부에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 연결부에서 파손 등을 피할 수 있다. 즉, 축 방향으로 지향하는 강화 섬유가 연결부에서 연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연결부(특히, 굴곡부)에서 축 방향으로 지향하는 강화 섬유의 층이 직경 방향으로 2개 이상의 층으로 나뉘어 있는 경우에는, 조작 너트를 체결할 때, 또는 해제할 때, 이동 후드에 작용하는 전술한 고유의 압박력 또는 인장력에 기초하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힘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나뉜 층끼리가 그 계면에서 축 방향을 따라 파단될 우려가 있지만, 본 발명에 관한 상기 구성에서는, 연결부에 고유의 이러한 작용력에 대항하기 위해, 축 방향으로 지향하는 강화 섬유가 연결부에서 연속해서 연장되어 있으므로, 그러한 파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굴곡부에서는 연속되는 축 방향 섬유가 주위 방향(직경 방향)으로도 연장되는 결과가 되므로, 연결부 전체에서는 연속되는 섬유가 축 방향 및 주위 방향의 양방향에서 연장되게 되어, 축력 및 비틀림력에 대해 강한 고강성의 연결부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조작 너트와 이동 후드의 연결부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하는 섬유 강화 수지재의 외주 또는 내주에, 연결부에서의 이동 후드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을 억제하는 보강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연결부에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 연결부에서 파손 등을 피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 너트를 체결할 때, 또는 해제할 때에는, 이동 후드의 연결부에 작용하는 고유의 압박력 또는 인장력에 기초하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힘에 의해, 섬유 강화 수지재를 구성하는 강화 섬유의 양이나 지향 방향에 따라서는, 연결부에 대응하는 섬유 강화 수지재의 부위에서 파단이 발생할 우려가 있지만, 본 발명에 관한 상기 보강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연결부에 고유의 이러한 작용력에 대항하기 위해, 연결부에 위치하는 섬유 강화 수지재의 외주 또는 내주에, 연결부에서의 이동 후드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을 억제하는 보강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러한 파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 너트와 이동 후드의 연결부에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이동 후드의 두께 박육화 및 경량화를 효과적으로 또한 효율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릴 다리 고정 장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릴 다리 고정 장치가 장착된 낚싯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릴 다리 고정 장치에 있어서, 이동 후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4의 (a)는 도 3의 주요부 확대도, (b)는 도 4의 (a)에 도시하는 이동 후드를 개구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이동 후드의 성형 방법의 제1 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a)는 이동 후드를 형성하는 프리프레그 시트를 맨드럴에 권회하려고 하는 상태의 개략 사시도, (b)는 프리프레그 시트가 권회된 맨드럴의 측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하는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이동 후드의 성형 방법의 제2 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a)는 이동 후드를 형성하는 프리프레그 시트를 맨드럴에 권회하려고 하는 상태의 개략 사시도, (b)는 프리프레그 시트가 권회된 맨드럴의 사시도.
도 7의 (a)는 도 5 또는 도 6의 성형 방법에 의해 형성된 이동 후드를 조작 너트에 접속한 사시도, (b)는 (a)의 측단면도.
도 8의 (a)는 이동 후드를 조작 너트에 접속한 사시도, (b)는 (a)의 측단면도, (c)는 이동 후드의 성형 방법의 일 양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이동 후드 및 그것에 연결되는 조작 너트의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이동 후드 및 그것에 연결되는 조작 너트의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이동 후드 및 그것에 연결되는 조작 너트의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이동 후드 및 그것에 연결되는 조작 너트의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의 실시 형태에 관한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이동 후드 및 그것에 연결되는 조작 너트의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이동 후드 및 그것에 연결되는 조작 너트의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이동 후드 및 그것에 연결되는 조작 너트의 측단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하는 이동 후드의 성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a)는 이동 후드의 보강 부재를 형성하는 주위 방향 섬유층 및 테플론(등록 상표) 테이프를 맨드럴에 권회하려고 하는 상태의 개략 사시도, (b)는 이동 후드를 형성하는 프리프레그 시트 및 보강 부재 및 테플론(등록 상표) 테이프가 권회된 맨드럴의 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이동 후드 및 그것에 연결되는 조작 너트의 측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릴 다리 고정 장치가 장착되는 낚싯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낚싯대(1)는, 복수의 장대를 연결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대(3), 중간대(5) 및 초릿대(7)의 3개의 장대를 병계식으로 연결하고 있다. 중간대(5)에 대해서는 없는 구성이어도 되고, 4개 이상 연결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낚싯대는, 병계식 이외에도, 단일식, 진출식, 인터라인식 등, 그 구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다.
원대(3)에는, 낚시용 릴(70)이 장착되는 릴 다리 고정 장치(10)가 설치되고, 각 장대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낚시용 릴로부터 조출되는 낚싯줄을 안내하는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8)(초릿대(7)의 선단부는 톱 가이드(8a))가 장착되어 있다. 낚싯줄 가이드(8)에 대해서는, 장대에 대해 고정되는 고정 가이드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장대를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한 유동 가이드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원대(3), 중간대(5) 및 초릿대(7)는, 강화 섬유(주로 탄소 섬유나 유리 섬유 등)에, 에폭시 수지 등의 합성 수지를 함침한 섬유 강화 수지재로 구성되어 있고, 관상체, 혹은 중실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원대(3)에 설치되는 릴 다리 고정 장치(10)는, 고정 후드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후드를 구비하고 있고, 낚시용 릴의 릴 다리를 고정 후드에 삽입한 상태에서, 이동 후드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낚시용 릴을 탈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고정 후드는 초리측에 있어도 되고, 기단부측에 있어도 된다.
이하, 도 2∼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릴 다리 고정 장치(10)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릴 다리 고정 장치(10)는, 원대(3)에 대해 외부 끼움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 릴 시트 본체(이하, 단순히 본체라고 칭함)(11)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11)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형성되어 있고, 낚시용 릴(70)의 릴 다리(71)가 적재되는 적재면(12)과, 적재면(12)의 초리측에 배치된 고정 후드(13)와, 적재면(12)의 기단부측에 배치된 이동 후드(15)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후드(13)는, 본체(11)에 일체 형성되고, 릴 다리(71)의 선단부측 다리부(71a)를 수용할 수 있도록 팽출한 후드부(13A)를 구비하고 있고, 릴 다리(71)의 선단부측 다리부(71a)는 후드부(13A)의 개구(13a)를 통해 삽입된다. 또한, 후드부(13A)는, 후술하는 이동 후드의 후드부와 마찬가지로, 본체(11)와 별체로서 형성되고, 본체(11)와 일체화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동 후드(15)는,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본체(11)와 별체로서 형성된 후드부(15A)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후드부(15A)는, 릴 다리(71)의 기단부측 다리부(71b)를 수용할 수 있도록 팽출한 팽출부(15a)와, 팽출부(15a)의 기단부측에 일체 형성된 원통부(15b)를 구비하고 있다. 즉, 팽출부(15a)는 원통부(15b)의 외주의 소정 범위의 원호 영역이 초리측으로 이행함에 따라 점차 상승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릴 다리(71)의 기단부측 다리부(71b)는, 그러한 팽출부(15a)의 개구(15c)를 통해 삽입된다.
팽출부(15a)의 내측에는, 삽입되는 릴 다리(71)의 기단부측 다리부(71b)의 표면과 압접하도록 패드 부재(16)가 배치되어 있다. 이 패드 부재(16)는, 이동 후드(15)가 고정 후드(13)측을 향해 이동되었을 때, 릴 다리(71)의 기단부측 다리부(71b)의 표면에 압박되는 부분이며, 릴 다리(71)를 강고하게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패드 부재(16)는, 릴 다리(71)의 기단부측 다리부(71b)의 표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돌기(16a)를 이동 후드(15)의 팽출부(15a)에 형성된 구멍(15d)에 끼워 맞춤으로써 팽출부(15a)의 내면과 일체화된다.
본체(11)의 기단부측에는, 수나사부(11a)가 일체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나사부(11a)에는, 회전 조작함으로써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조작 너트(18)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조작 너트(18)는, 그 선단부가 이동 후드(15)(후드부(15A)의 원통부(15b))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의 연결 관계는, 조작 너트(18)를 체결하는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였을 때, 이동 후드(15)를 회전시키는 일 없이 고정 후드측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조작 너트(18)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였을 때, 이동 후드(15)를 회전시키는 일 없이 고정 후드(13)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너트(18)의 원통부(15b)측의 단부 테두리(18e)에 환형 돌기(18a)를 형성하고, 이 선단부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18f)를 형성함으로써, 조작 너트(18)의 선단부 외주면에 환형의 오목부(18g)를 형성함과 함께, 이동 후드(15)의 원통부(15b)의 조작 너트(18)측의 단부 테두리(기단부 테두리)(15e)에,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훅 형상으로 굴곡된 걸림부로서의 환형의 걸림 돌기(15f)를 형성하고, 걸림 돌기(15f)를 오목부(18g)에 걸리게 함으로써, 조작 너트(18)와 이동 후드(15)가 연결된다. 그 연결부가 도 4의 (a)에 참조 부호 20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러한 조작 부재(18)와 후드부(15A)(원통부(15b))의 결합(연결) 관계에 따르면, 조작 너트(18)를 체결하는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조작 너트(18)는 고정 후드(13)측을 향해 나사 전진함과 함께, 이동 후드(15)(후드부(15A)의 원통부(15b))는 회전하는 일 없이, 단부 테두리(18e)와 단부 테두리(15e)의 접촉 관계에 의해 고정 후드(13)측을 향해 이동된다. 즉, 적재면(12)에 적재된 릴 다리(71)는, 고정 후드(13)와 이동 후드(15) 사이에서 체결 고정된다. 또한, 조작 너트(18)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조작 너트(18)는 고정 후드(13)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나사 전진함과 함께, 이동 후드(15)(후드부(15A)의 원통부(15b))는 회전하는 일 없이, 걸림 돌기(15f)와 오목부(18g)의 결합 관계에 의해 고정 후드(13)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을 향해 이동된다. 즉, 적재면(12)에 적재된 릴 다리(71)를 고정 후드(13) 및 이동 후드(15)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구성의 이동 후드(15)(후드부(15A))는, 일정한 강도가 유지되어 경량화가 도모되도록, 강화 섬유(예를 들어, 탄소 섬유나 유리 섬유 등)에 합성 수지를 함침시킨 섬유 강화 수지재로 구성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프리프레그 시트(40)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프리프레그 시트(40)는, 강화 섬유가 적어도 축 방향(축 방향에 대해 90°를 이루는 주위 방향이나 축 방향에 대해 90°미만의 각도를 이루는 경사 방향을 포함해도 됨)으로 정렬된 시트 형상, 혹은 강화 섬유가 편성된 시트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열가소성 수지(예를 들어,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페닐술피드, 열가소 폴리우레탄)나 열경화성 수지(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매트릭스 수지로서 함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5는, 이동 후드(15)의 성형 방법의 제1 예를 나타내고, 이 경우, 도 5의 (a)는 이동 후드(15)를 형성하는 프리프레그 시트(40)를 맨드럴(50)에 권회하려고 하는 상태의 개략 사시도, (b)는 프리프레그 시트(40)가 권회된 맨드럴(50)의 측단면도이다. 이동 후드(15)는,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맨드럴(50)에, 프리프레그 시트(40)를 권회하고, 이것을 가열하여 합성 수지를 경화한 후, 맨드럴(50)을 탈심함으로써 성형된다. 도 5(이후의 도면 전부에 있어서 마찬가지)에서는, 축 방향으로 정렬된 강화 섬유(42)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맨드럴(50)은 연결부(20)에 대응하는 이동 후드(15)의 걸림 돌기(15f)의 굴곡부(44)를 형성하기 위한 단차(52)를 갖기 위해 대직경의 원기둥부(50a)와 소직경의 원기둥부(50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축 길이 방향 섬유층을 형성하는 프리프레그 시트(40)는, 적어도 축 방향으로 지향하는 강화 섬유(42)가 적어도 조작 너트(18)와 이동 후드(15)의 연결부(20)에서 도중에 끊어지는 일 없이 연속해서 연장되도록(예를 들어, 축 방향으로 지향하는 강화 섬유(42)가 이동 후드(15)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도중에 끊어지는 일 없이 연속해서 연장되도록), 소정의 길이의 것이 준비되어, 맨드럴(50)의 단차(52)를 걸치도록 맨드럴(50)에 권회된다. 이 경우, 프리프레그 시트(40)의 기단부 테두리(40a)는 실제의 이동 후드(14)의 기단부(연결부(20)측의 단부)보다도 길어지도록 맨드럴(50) 상에 위치 정렬되어도 된다. 그 경우에는, 맨드럴 탈심 후에 도 5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절단선 C1(C2)에서 필요한 길이로 커트된다.
이와 같이 하여 프리프레그 시트(40)가 맨드럴(50)에 권회되면, 계속해서, 프리프레그 시트(40)의 외주에 도시하지 않은 체결 테이프를 권취하여 프리프레그 시트(40)를 체결함으로써, 단차(52)에서 강화 섬유(42)를 굴곡시켜 도 5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굴곡부(44)를 형성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열하여 합성 수지를 경화한 후, 맨드럴(50)을 탈심하고, 필요에 따라서 프리프레그 시트(40)를 커트한다.
또한, 프리프레그 시트(40)가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강화 섬유만을 갖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 프리프레그 시트(40)의 외측 또는 내측에, 강화 섬유가 예를 들어 주위 방향(혹은, 축 방향에 대해 90°미만의 각도를 이루는 경사 방향이어도 됨)으로 정렬된 도시하지 않은 프리프레그 시트를 축 방향에 걸쳐 권회함으로써 예를 들어 주위 방향 섬유층(경사 방향 섬유층, 예를 들어 직포 형상의 섬유층이어도 됨)이 적어도 배치되도록 해도 된다.
도 6은, 이동 후드(15)의 성형 방법의 제2 예를 나타내고, 이 경우, 도 6의 (a)는 이동 후드를 형성하는 프리프레그 시트를 맨드럴에 권회하려고 하는 상태의 개략 사시도, 도 6의 (b)는 프리프레그 시트가 권회된 맨드럴의 사시도이다. 이 성형 방법에서는,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직경을 갖는 맨드럴(50A)이 사용됨과 함께, 도 6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리프레그 시트(40)의 기단부 테두리(40a)에 걸림 돌기(15f)의 길이에 거의 대응하는 길이의 슬릿(47)을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형성하고(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부(20)를 구성하는 이동 후드(15)의 기단부의 전체 주위에 걸쳐 등간격으로 슬릿이 존재하도록 형성하고), 프리프레그 시트(40)를 맨드럴(50A)에 권회한 상태에서 슬릿(47)을 이용하여 도 6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리프레그 시트(40)의 기단부를 맨드럴(50A)의 기단부면(50Aa)에 충돌하도록 절곡함으로써 굴곡부(44)를 형성하도록 한다(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 테이프를 권취함으로써 행해도 됨). 그 후, 이것을 가열하여 합성 수지를 경화한 후, 맨드럴(50A)을 탈심한다.
도 7에는, 적어도 연결부(20)에 대응하는 부위가 도 5의 성형 방법에 의해 성형되어 절단선 C1(도 5의 (b) 참조)에서 커트된, 혹은 도 6의 성형 방법에 의해 성형된 이동 후드(15)를 조작 너트(18)에 접속(연결)한 사시도(도 7의 (a)) 및 측단면도(도 7의 (b))가 도시되어 있다. 이 연결 상태에 대해서는 도 4의 (b)에 관련하여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도 7의 (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동 후드(15)는, 적어도 축 방향으로 지향하는 강화 섬유(42)가 적어도 조작 너트(18)와 이동 후드(15)의 연결부(20)에서(예를 들어, 이동 후드(15)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도중에 끊어지는 일 없이 연속해서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 적어도 축 방향으로 지향하는 강화 섬유(42)는, 걸림 돌기(15f)의 선단부(이동 후드(15)의 기단부에서 직경 방향 내측에 면하는 단부면)로부터 걸림 돌기(15f)의 굴곡부(44)를 경유하여 팽출부(15a)측을 향해 도중에서 끊어지는 일 없이 연속해서 연장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릴 다리 고정 장치(10)에 의하면, 강화 섬유에 합성 수지를 함침시킨 섬유 강화 수지재에 의해 이동 후드(15)가 형성되므로, 이동 후드(15)를 합성 수지에 의해서만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따라서, 필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두께 박육화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즉, 이동 후드(15)에 관하여,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두께 박육화 및 경량화를 효과적으로 또한 효율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어도 축 방향으로 지향하는 강화 섬유(42)가 적어도 응력 집중을 일으키기 쉬운 조작 너트(18)와 이동 후드(15)의 연결부(20)에서 연속해서 연장되어 있으므로, 연결부(20)에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 연결부(20)에서 파손 등을 피할 수 있다. 즉, 축 방향으로 지향하는 강화 섬유(42)가 연결부(20)에서 연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연결부(20)(특히 굴곡부(44))에서 축 방향으로 지향하는 강화 섬유의 층이 직경 방향으로 2개 이상의 층으로 나뉘어 있는 경우에는, 조작 너트(18)를 체결할 때, 또는 해제할 때, 이동 후드(15)에 작용하는 고유의 압박력 또는 인장력에 기초하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힘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나뉜 층끼리가 그 계면에서 축 방향을 따라 파단될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연결부(20)에 고유의 이러한 작용력에 대항하기 위해, 축 방향으로 지향하는 강화 섬유(42)가 연결부(20)에서 연속해서 연장되어 있으므로, 그러한 파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굴곡부(44)에서는 연속되는 축 방향 섬유가 주위 방향(직경 방향)으로도 연장되는 결과가 되므로(도 7의 (b) 참조), 연결부(20) 전체에서는 연속되는 섬유가 축 방향 및 주위 방향의 양방향으로 연장되게 되어(특히, 후술하는 도 9의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그 경향이 현저함), 축력 및 비틀림력에 대해 강한 고강성의 연결부를 실현할 수 있다.
전술한 도 4에 관한 구성의 이동 후드(15)(후드부(15A))는, 일정한 강도가 유지되어 경량화가 도모되도록, 강화 섬유(예를 들어, 탄소 섬유나 유리 섬유 등)에 합성 수지를 함침시킨 섬유 강화 수지재로 구성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리프레그 시트(40)(도 8의 (b), (c) 참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프리프레그 시트(40)는, 강화 섬유가 예를 들어 축 방향, 축 방향에 대해 90°를 이루는 주위 방향, 혹은 축 방향에 대해 90°미만의 각도를 이루는 경사 방향으로 정렬된, 혹은 편성된 시트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열가소성 수지(예를 들어,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페닐술피드, 열가소 폴리우레탄)나 열경화성 수지(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매트릭스 수지로서 함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동 후드(15)를 프리프레그 시트(40)로 형성하는 경우, 이동 후드(15)는,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맨드럴에 프리프레그 시트(40)를 권회하고, 이것을 가열하여 합성 수지를 경화한 후, 맨드럴을 탈심함으로써 성형된다. 또한, 이 경우, 맨드럴은, 예를 들어 연결부(20)에 대응하는 이동 후드(15)의 걸림 돌기(15f)의 도 8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굴곡부(44)를 형성하기 위한 단차를 갖기 위해 대직경의 원기둥부와 소직경의 원기둥부를 갖는다. 또한, 상기 단차에서 탄소 섬유를 굴곡시켜 굴곡부(44)를 형성하기 위해, 프리프레그 시트(40)의 외주에 도시하지 않은 체결 테이프를 권취하여 프리프레그 시트(40)를 체결해도 된다. 또한, 프리프레그 시트(40)는, 이동 후드(15)의 형상이나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 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각 층에 있어서의 강화 섬유의 배치(방향성, 편성 상태 등)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의 (a), (b)에는, 이와 같이 하여 프리프레그 시트(40)에 의해 성형된 이동 후드(15)를 조작 너트(18)에 접속(연결)한 사시도(도 8의 (a)) 및 측단면도(도 8의 (b))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 연결 상태에 대해서는 도 4의 (b)에 관련하여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도 8의 (b)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이동 후드(15)를 형성하는 프리프레그 시트(40)를 복수 층으로 하고, 각 층에 있어서의 강화 섬유(42)가 축 방향으로 지향되어 있다. 특히, 이 예에서는, 연결부(20)(특히 굴곡부(44))에서 축 방향으로 지향하는 강화 섬유(42)의 층이 직경 방향으로 2개의 층(40A, 40B)으로 나뉘어 있다. 이러한 2층 구조는, 예를 들어 도 8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정 형상으로 성형한 후, 프리프레그 시트(40)의 내면 소정의 부위 C1, C2를 예를 들어 절삭 가공함으로써 얻어져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부(20)에 위치하는 섬유 강화 수지재(프리프레그 시트(40))의 외주에, 연결부(20)에서의 이동 후드(15)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을 억제하는 보강 부재(60)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후드(15)의 걸림 돌기(15f)의 외주(굴곡부(44)의 곧은 선단부측(팽출부(15a)를 향하는 측))에, 금속제의 링 형상의 부재(금속 링)로 구성되는 보강 부재(60)가 끼움 장착되어 있고, 이 보강 부재(60)는, 이 부위의 프리프레그 시트(40)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을 억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즉, 이러한 링 형상의 부재에 의한 보강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연결부의 부위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는 일은 없고, 또한 오목부(18g)로부터의 걸림 돌기(15f)의 이탈도 방지한다. 또한, 보강 부재(60)는, 금속 링이 아니라, 주위 방향으로 지향하는 강화 섬유를 갖는 프리프레그 시트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릴 다리 고정 장치(10)에 의하면, 강화 섬유에 합성 수지를 함침시킨 섬유 강화 수지재에 의해 이동 후드(15)가 형성되므로, 이동 후드(15)를 합성 수지에 의해서만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따라서, 필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두께 박육화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즉, 이동 후드(15)에 관하여,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두께 박육화 및 경량화를 효과적으로, 또한 효율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너트(18)와 이동 후드(15)의 연결부(20),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하는 섬유 강화 수지재(프리프레그 시트(40))의 외주에, 연결부(20)에서의 이동 후드(15)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을 억제하는 보강 부재(6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연결부(20)에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 연결부에서 파손 등을 피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의 경우와 같이 축 방향으로 지향하는 강화 섬유(42)가 연결부(20)에서 연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구체적으로는 도 8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연결부(20)(특히 굴곡부(44))에서 축 방향으로 지향하는 강화 섬유의 층이 직경 방향으로 2개 이상의 층(40A, 40B)으로 나뉘어 있는 경우에는, 조작 너트(18)를 체결할 때, 또는 해제할 때, 이동 후드(15)의 연결부(20)에 작용하는 고유의 압박력 또는 인장력에 기초하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힘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나뉜 층(40A, 40B)끼리가 그 계면에서 축 방향을 따라 파단될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연결부(20)에 고유의 이러한 작용력에 대항하기 위해, 연결부(20)에 위치하는 섬유 강화 수지재(프리프레그 시트(40))의 외주에, 연결부(20)에서의 이동 후드(15)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을 억제하는 보강 부재(6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러한 파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이동 후드(15) 및 그것에 연결되는 조작 너트(18)의 측단면도가 도시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동 후드(15)는, 도 5의 (b)의 절단선 C2에서 프리프레그 시트(40)가 커트됨으로써 적어도 연결부(20)에 대응하는 부위가 도 5의 제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너트(18)의 오목부(18g')가 제1 실시 형태의 오목부(18g)보다도 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이것에 대응하여 오목부(18g')에 걸리는 이동 후드(15)의 걸림 돌기(15f')도 굴곡부(44)로부터 기단부측이 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짐과 함께, 연결부(20)의 연결 상태(걸림 상태)가 더욱 강고해져, 연결부(20)의 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이동 후드(15) 및 그것에 연결되는 조작 너트(18)의 측단면도가 도시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연결부(20)에 위치하는 섬유 강화 수지재의 외주에, 연결부(20)에서의 이동 후드(15)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을 억제하는 보강 부재(60)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이동 후드(15)의 걸림 돌기(15f')의 외주(굴곡부(44)의 곧은 기단부측)에, 금속제의 링 형상의 부재(금속 링)로 이루어지는 보강 부재(60)가 끼움 장착되어 있고, 이 보강 부재(60)는, 이 부위의 프리프레그 시트(40)의 변형, 특히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을 억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즉, 이러한 링 형상의 부재에 의한 보강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연결부의 부위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는 일은 없고, 또한 오목부(18g')로부터의 걸림 돌기(15f')의 이탈도 방지한다. 또한, 보강 부재(60)는 금속 링이 아니라, 주위 방향으로 지향하는 강화 섬유를 갖는 프리프레그 시트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그러한 주위 방향 지향의 강화 섬유를 갖는 프리프레그 시트에 의해서도 프리프레그 시트(40)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이동 후드(15) 및 그것에 연결되는 조작 너트(18)의 측단면도가 도시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연결부(20)에 위치하는 섬유 강화 수지재(프리프레그 시트(40))의 외주에, 연결부(20)에서의 이동 후드(15)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을 억제하는 보강 부재(64)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이동 후드(15)의 걸림 돌기(15f)의 외주에, 더욱 구체적으로는, 굴곡부(44)를 걸치도록, 금속 링 등으로 구성되는 보강 부재(64)가 끼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보강 부재(64)는 굴곡부(44)의 선단부측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부(64a)와, 굴곡부(44)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굴곡 플랜지(64b)를 갖는다. 이러한 보강 부재(64)는, 이 부위의 프리프레그 시트(40)의 직경 방향 외측 및 축 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을 억제함으로써 이 부위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따라서, 오목부(18g)로부터의 걸림 돌기(15f)의 이탈도 방지한다. 또한, 보강 부재(64)는 금속 링이 아니라, 주위 방향으로 지향하는 강화 섬유를 갖는 프리프레그 시트 등으로 구성해도 된다. 그러한 주위 방향 지향의 강화 섬유를 갖는 프리프레그 시트에 의해서도 프리프레그 시트(40)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이동 후드(15) 및 그것에 연결되는 조작 너트(18)의 측단면도가 도시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너트(18)의 오목부(18g')가 제1 실시 형태의 오목부(18g)보다 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이것에 대응하여 오목부(18g')에 걸리는 이동 후드(15)의 걸림 돌기(15f')도 굴곡부(44)로부터 기단부측이 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짐과 함께, 연결부(20)의 연결 상태(걸림 상태)가 더욱 강고해져, 연결부(20)의 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이 구성에 추가하여 또한, 연결부(20)에 위치하는 섬유 강화 수지재(프리프레그 시트(40))의 외주에, 연결부(20)에서의 이동 후드(15)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을 억제하는 보강 부재(66)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후드(15)의 걸림 돌기(15f')의 외주(굴곡부(44)로부터 조작 너트(18)측의 외주)에, 금속 링 등으로 구성되는 보강 부재(66)가 끼움 장착되어 있고, 이 보강 부재(66)는, 이 부위의 프리프레그 시트(40)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을 억제하여 이 부위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오목부(18g')로부터의 걸림 돌기(15f')의 이탈도 방지한다. 또한, 보강 부재(65)는 금속 링이 아니라, 주위 방향으로 지향하는 강화 섬유를 갖는 프리프레그 시트 등으로 구성해도 된다. 그러한 주위 방향 지향의 강화 섬유를 갖는 프리프레그 시트에 의해서도 프리프레그 시트(40)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이동 후드(15) 및 그것에 연결되는 조작 너트(18)의 측단면도가 도시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연결부(20)에 위치하는 섬유 강화 수지재의 외주에, 연결부(20)에서의 이동 후드(15)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을 억제하는 보강 부재(62)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이동 후드(15)의 걸림 돌기(15f)의 외주(굴곡부(44)의 곧은 선단부측(팽출부(15a)를 향하는 측))에, 금속 링으로 이루어지는 보강 부재(62)가 끼움 장착되어 있고, 이 보강 부재(62)도, 이 부위의 프리프레그 시트(40)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을 억제함으로써 이 부위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따라서, 오목부(18g)로부터의 걸림 돌기(15f)의 이탈도 방지한다. 또한, 보강 부재(62)는 금속 링이 아니라, 주위 방향으로 지향하는 강화 섬유를 갖는 프리프레그 시트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이동 후드(15) 및 그것에 연결되는 조작 너트(18)의 측단면도가 도시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연결부(20)에 위치하는 섬유 강화 수지재의 외주에, 연결부(20)에서의 이동 후드(15)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을 억제하는 보강 부재(64)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이동 후드(15)의 걸림 돌기(15f)의 외주에, 더욱 구체적으로는, 굴곡부(44)를 걸치도록, 금속 링으로 이루어지는 보강 부재(64)가 끼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보강 부재(64)는, 굴곡부(44)의 선단부측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부(64a)와, 굴곡부(44)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굴곡 플랜지(64b)를 갖는다. 이러한 보강 부재(64)는, 이 부위의 프리프레그 시트(40)의 직경 방향 외측 및 축 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을 억제함으로써 이 부위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따라서, 오목부(18g)로부터의 걸림 돌기(15f)의 이탈도 방지한다. 또한, 보강 부재(64)는, 금속 링이 아니라 주위 방향으로 지향하는 탄소 섬유를 갖는 프리프레그 시트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도 15에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이동 후드(15) 및 그것에 연결되는 조작 너트(18)의 측단면도가 도시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연결부(20)의 근방에 위치하는 섬유 강화 수지재의 내주에, 연결부(20)에서의 이동 후드(15)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을 억제하는 보강 부재(66)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이동 후드(15)의 걸림 돌기(15f)(굴곡부(44))보다도 선단부측의 프리프레그 시트(40)의 내주에, 주위 방향으로 지향하는 강화 섬유를 갖는 주위 방향 섬유층(예를 들어, 프리프레그 시트)이 보강 부재(66)로서 적층(또는 끼움 장착)되어 있다.
도 16에는, 도 15에 도시하는 이동 후드(15)의 성형 방법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고, 이 경우, 도 16의 (a)는 이동 후드(15)의 보강 부재(66)를 형성하는 주위 방향 섬유층(예를 들어, 프리프레그 시트) 및 스페이서로서의 테플론(등록 상표) 테이프(67)를 맨드럴(50B)에 권회하려고 하는 상태의 개략 사시도, 도 16의 (b)는 이동 후드(15)를 형성하는 프리프레그 시트(40) 및 보강 부재(66) 및 테플론(등록 상표) 테이프(67)가 권회된 맨드럴(50B)의 측단면도이다. 또한, 이 경우의 맨드럴(50B)은, 이동 후드(15)의 팽출(15a)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는 테이퍼 형상의 대직경 원기둥부(50Ba)와, 이동 후드(15)의 걸림 돌기(15f)의 굴곡부(44)를 형성하기 위한 단차(52)를 통해 대직경 원기둥부(50Ba)로부터 연장되는 소직경 원기둥부(50Bb)를 갖는다.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보강 부재(66)를 프리프레그 시트(40)(이동 후드(15))의 내주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도 16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직경 원기둥부(50Bb)의 외주에, 보강 부재(66)를 단차(52)에 충돌하도록 권회하고, 이것에 인접하여 소직경 원기둥부(50B)의 기단부측에 테플론(등록 상표) 테이프(67)를 권취하고, 또한 이 부재(66, 67)의 외측으로부터 전술한 바와 같이 프리프레그 시트(40)를 맨드럴(50B)의 외주에 권회하여(전술한 체결 테이프에 의한 체결에 의해 굴곡부(44)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해도 됨) 가열·탈심하면 된다. 또한, 성형 후, 테플론(등록 상표) 테이프(67)는, 프리프레그 시트(40)로부터 제거되고, 그것에 의해, 조작 너트(18)의 걸림 돌기(18f)가 들어가는 환형의 오목부가 프리프레그 시트(40)의 내면에 남는다.
이러한 보강 부재(66)도, 이 부위의 프리프레그 시트(40)의 직경 방향 외측 및 축 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을 억제함으로써 이 부위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따라서, 오목부(18g)로부터의 걸림 돌기(15f)의 이탈도 방지한다.
도 17에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이동 후드(15) 및 그것에 연결되는 조작 너트(18)의 측단면도가 도시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 후드(15)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15f, 15f')가 조작 너트(18)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목부(18g, 18g')에 걸려 있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 후드(15)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환형의 걸림 돌기(15f")가 조작 너트(18)의 내주면에 형성된 환형의 오목부(18g")에 걸린 반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오목부(18g")를 형성하는 조작 너트(18)의 선단부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환형의 걸림 돌기(18f')는, 이동 후드(15)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환형의 오목부(15g)에 걸린다. 또한, 연결부(20)에 위치하는 섬유 강화 수지재의 내주에는, 연결부(20)에서의 이동 후드(15)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을 억제하는 보강 부재(69)가 설치된다. 보강 부재(69)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 같이, 금속 링이어도 되고, 혹은 주위 방향으로 지향하는 강화 섬유를 갖는 프리프레그 시트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또한, 축 방향으로 지향하는 강화 섬유(42)는, 연결부(20)에서 도중에 끊어지는 일 없이 연속해서 연장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직경 방향으로 2층으로 나뉘어 있어도 상관없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전술한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 후드나 조작 너트의 형태, 및 걸림 돌기나 오목부의 형태 등은 임의이고, 요컨대, 적어도 축 방향으로 지향하는 강화 섬유가 적어도 조작 너트와 이동 후드의 연결부에서 연속해서 연장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 후드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가 조작 너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걸려 있었지만, 이동 후드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환형의 걸림 돌기가 조작 너트의 내주면에 형성된 환형의 오목부에 걸린 반대의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10 : 릴 다리 고정 장치
13 : 고정 후드
15 : 이동 후드
15a : 팽출부
15b : 원통부
15c : 개구
15f, 15f', 15f" : 걸림 돌기(걸림부)
18 : 조작 너트
18g, 18g', 18g" : 오목부
20 : 연결부
40 : 프리프레그 시트(섬유 강화 수지재)
40A : 층
40B : 층
42 : 강화 섬유
44 : 굴곡부
60, 62, 64, 66, 69 : 보강 부재
70 : 낚시용 릴
71 : 릴 다리

Claims (8)

  1. 낚시용 릴의 릴 다리를 수용할 수 있는 개구를 형성하도록 팽출하는 팽출부를 갖는 통 형상의 이동 후드를 조작 너트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릴 다리 고정 장치이며, 상기 이동 후드의 단부에 설치되는 굴곡된 걸림부를 상기 조작 너트의 단부의 오목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조작 너트와 상기 이동 후드가 연결되는 릴 다리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후드는, 강화 섬유에 합성 수지를 함침시킨 섬유 강화 수지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섬유 강화 수지재의 강화 섬유 중 축 방향으로 지향하는 강화 섬유는 적어도 상기 조작 너트와 상기 이동 후드가 연결되는 부분인 이동 후드의 연결부에서 연속해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다리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축 방향으로 지향하는 상기 강화 섬유는, 상기 걸림부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걸림부의 굴곡부를 경유하여 상기 팽출부측을 향해 연속해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다리 고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축 방향으로 지향하는 상기 강화 섬유는, 상기 이동 후드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속해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다리 고정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 및 상기 오목부가 환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다리 고정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강화 수지재는, 강화 섬유에 합성 수지를 함침시켜 시트 형상으로 형성한 프리프레그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다리 고정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하는 상기 섬유 강화 수지재의 외주 또는 내주에는, 상기 연결부에서의 상기 이동 후드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을 억제하는 보강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다리 고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가 금속제의 링 형상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다리 고정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주위 방향으로 지향하는 강화 섬유를 갖는 프리프레그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다리 고정 장치.
KR1020160031248A 2015-03-31 2016-03-16 릴 다리 고정 장치 KR1018441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72565 2015-03-31
JP2015072566 2015-03-31
JPJP-P-2015-072566 2015-03-31
JPJP-P-2015-072565 2015-03-31
JP2016013559A JP6730035B2 (ja) 2015-03-31 2016-01-27 リール脚固定装置
JPJP-P-2016-013559 2016-01-27
JPJP-P-2016-013560 2016-01-27
JP2016013560A JP6730036B2 (ja) 2015-03-31 2016-01-27 リール脚固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189A KR20160117189A (ko) 2016-10-10
KR101844132B1 true KR101844132B1 (ko) 2018-03-30

Family

ID=55527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248A KR101844132B1 (ko) 2015-03-31 2016-03-16 릴 다리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97202B2 (ko)
EP (1) EP3075243B1 (ko)
KR (1) KR101844132B1 (ko)
CN (1) CN1059942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3063A (ja) * 2013-12-27 2015-07-0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固定フードに繊維強化樹脂シートを備えるリールシート及び該リールシートを備えた釣竿
EP2933093B1 (en) * 2014-03-26 2018-10-24 Globeride, Inc. Reel leg fixing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hood portion of the reel leg fixing apparatus
JP7133503B2 (ja) * 2019-03-26 2022-09-0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リール固定装置
JP7395439B2 (ja) * 2020-07-28 2023-12-1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リールシー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2776B2 (ja) * 1999-06-08 2005-06-2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のリール装着装置
JP2010035428A (ja) * 2008-07-31 2010-02-18 Globeride Inc リールシート
JP4979489B2 (ja) * 2007-07-09 2012-07-1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ルアーロッド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9662Y2 (ko) * 1975-07-17 1978-09-26
US4061806A (en) * 1976-04-12 1977-12-06 Shakespeare Company Flexible hollow fishing rod
US4178713A (en) * 1977-10-17 1979-12-18 Kenichi Higuchi Fishing rod made of fiber reinforced synthetic resin
JPS57187064A (en) 1981-05-14 1982-11-17 Nissan Motor Co Ltd Automatic coating device
JPS57187064U (ko) 1981-05-22 1982-11-27
US4485580A (en) 1981-05-22 1984-12-04 Fuji Kogyo Co., Ltd. Reel mount assembly of cylindrical structure
JPS5921662Y2 (ja) 1981-09-10 1984-06-27 富士工業株式会社 筒型リ−ル取付装置
IT1187392B (it) * 1985-12-03 1987-12-23 Reglass Spa Struttura mulistrato per la realizzazione di elementi tubolari estremamente leggeri e resistenti,in particolare per la costruzione di canne da pesca
JPH0246291Y2 (ko) * 1985-12-28 1990-12-06
JP2545537B2 (ja) * 1987-05-11 1996-10-23 リョービ株式会社 釣竿及び釣竿の製造法
JPH0642810B2 (ja) * 1989-03-29 1994-06-0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リール固定装置
JPH081661Y2 (ja) * 1990-11-14 1996-01-2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のリール脚固定装置
DE69327603T2 (de) * 1992-04-03 2000-05-31 Daiwa Seiko Inc Gerät zum Festsetzen eines Angelwindes auf einer Angelrute
JP2726964B2 (ja) * 1992-04-28 1998-03-11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リールシート
JP2717337B2 (ja) * 1992-04-30 1998-02-18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リ−ルシ−ト
JP3038290B2 (ja) * 1994-06-09 2000-05-08 富士工業株式会社 釣り用リールシートの摺動フード
US5529839A (en) * 1994-07-13 1996-06-25 Caine Corporation Elongate composite structural member and method of making
JP3235964B2 (ja) * 1996-06-14 2001-12-0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管状体
US6176034B1 (en) * 1997-06-06 2001-01-23 Stuart Collins Fishing rod butt and reel seat assembly
JP3157124B2 (ja) * 1997-06-20 2001-04-16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リールシート
JP2000041541A (ja) * 1998-05-29 2000-02-15 Daiwa Seiko Inc リ―ル装着式釣竿
JP2000032882A (ja) 1998-07-16 2000-02-02 Ryobi Ltd 釣り竿のリールシート
JP3706767B2 (ja) 1999-06-04 2005-10-1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
US7888275B2 (en) * 2005-01-21 2011-02-15 Filtrona Porous Technologies Corp. Porous composite materials comprising a plurality of bonded fiber component structures
JP4068388B2 (ja) * 2002-02-07 2008-03-26 メガバス株式会社 釣り竿
JP4159404B2 (ja) * 2003-05-16 2008-10-01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リールの取り付け構造及び釣竿用可動フード体
US20060288630A1 (en) * 2005-05-25 2006-12-28 Ming-Yi Lin Device for fastening fishing reel
JP4850802B2 (ja) 2007-09-11 2012-01-11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リールシート
US8413366B2 (en) * 2009-04-01 2013-04-09 Winthrop Tool Llc Adjustable butt and reel seat for a fishing rod
CN202014524U (zh) * 2010-12-07 2011-10-26 东莞宝熊渔具有限公司 组合式卷线器主体之改良结构
KR101892780B1 (ko) 2011-11-15 2018-08-28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및 그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
US20130283665A1 (en) * 2012-04-05 2013-10-31 Justin Poe Seat for Spinning Reel
JP5905352B2 (ja) 2012-07-04 2016-04-20 株式会社シマノ 釣竿用リールシートの筒状フード及び釣竿用リールシート並びに釣竿
KR101466540B1 (ko) * 2013-09-10 2014-11-27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릴 시트용 가동 후드,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DE102013111702A1 (de) * 2013-10-24 2015-04-3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aserverbundbautei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Faserverbundbauteils
JP6148172B2 (ja) * 2013-12-27 2017-06-1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
JP6133205B2 (ja) * 2013-12-27 2017-05-2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固定フードに繊維強化樹脂シートを備えるリールシート及び該リールシートを備えた釣竿
EP2933093B1 (en) 2014-03-26 2018-10-24 Globeride, Inc. Reel leg fixing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hood portion of the reel leg fixing apparatus
JP6730036B2 (ja) 2015-03-31 2020-07-2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リール脚固定装置
JP6730035B2 (ja) 2015-03-31 2020-07-2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リール脚固定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2776B2 (ja) * 1999-06-08 2005-06-2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のリール装着装置
JP4979489B2 (ja) * 2007-07-09 2012-07-1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ルアーロッド
JP2010035428A (ja) * 2008-07-31 2010-02-18 Globeride Inc リール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94205A (zh) 2016-10-12
EP3075243B1 (en) 2018-06-13
US11497202B2 (en) 2022-11-15
US20160286773A1 (en) 2016-10-06
KR20160117189A (ko) 2016-10-10
CN105994205B (zh) 2019-02-19
EP3075243A1 (en)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132B1 (ko) 릴 다리 고정 장치
EP2888938B1 (en) Reel seat having fiber-reinforced resin sheet in fixed hood and fishing rod having the reel seat
US10952417B2 (en) Reel leg fixing apparatus, method of fabricating the reel leg fixing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hood portion of the reel leg fixing apparatus
KR102436855B1 (ko) 낚싯대
KR20150045913A (ko) 낚싯대
EP3520610B1 (en) Fishing rod
JP6730035B2 (ja) リール脚固定装置
JP5905352B2 (ja) 釣竿用リールシートの筒状フード及び釣竿用リールシート並びに釣竿
JP6730036B2 (ja) リール脚固定装置
JP5923363B2 (ja) 釣竿及び物品取付構造
JP5984299B2 (ja) 釣竿用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JP6253472B2 (ja) リール脚固定装置
JP2010154780A (ja) 釣り用スプ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121937B2 (ja) リール脚固定装置、及びリール脚固定装置のフード部の製造方法
JP3948693B2 (ja) リールシート
WO2024089945A1 (ja) リール脚固定用部材及び釣竿
JP4229302B2 (ja) リール係止構造
JP4354087B2 (ja) 釣竿
JP2015188443A (ja) リール脚固定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AU2021438460A1 (en) Fishing line guide and fishing rod equipped with said fishing line guide
JP2007151441A (ja) 振出竿
JPH05137480A (ja) 釣竿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