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253B1 - 퀵 커플러 - Google Patents

퀵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253B1
KR101830253B1 KR1020167022163A KR20167022163A KR101830253B1 KR 101830253 B1 KR101830253 B1 KR 101830253B1 KR 1020167022163 A KR1020167022163 A KR 1020167022163A KR 20167022163 A KR20167022163 A KR 20167022163A KR 101830253 B1 KR101830253 B1 KR 101830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hydraulic cylinder
lock
pin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2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7317A (ko
Inventor
다쿠야 쓰카다
겐이치 히구치
아키라 하시모토
히사오 아사다
쓰요시 요시다
다이지로 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60107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18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two separating hoo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22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a hook and a locking element acting on a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27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a hook and a longitudinal lock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5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redundant latching means, e.g. for safety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63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hydraulically-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71Actuators and supports therefor and protection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Shovels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유압 실린더는, 신장되는 것에 의해 제2 훅을 제1 훅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슬라이딩시킨다. 유압 실린더는, 수축함으로써 제2 훅을 제1 훅에 가까워지도록 슬라이딩시킨다. 연결핀은, 유압 실린더의 제1 단부와 커플러 본체를 연결한다. 커플러 본체는, 지지공을 가진다. 지지공은, 연결핀을 유압 실린더의 신축 방향으로 가동적으로 지지한다. 유압 실린더의 제1 단부는, 연결핀의 가동 범위 내에서 제2 단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함으로써 록 부재를 록 오프 위치로부터 록 온 위치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퀵 커플러{QUICK COUPLER}
본 발명은, 퀵 커플러(quick coupler)에 관한 것이다.
유압 셔블(hydraulic shovel) 등의 작업 차량(work vehicle)에는, 버킷(bucket), 커터, 브레이커, 포크 등의 다양한 부속품(attachment)이 장착된다. 이와 같은 부속품을 작업 차량에 간단하고 용이하게 장착하기 위한 부품으로서, 퀵 커플러가 알려져 있다. 퀵 커플러는, 작업 차량에 장착된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퀵 커플러는, 고정 훅과 가동(可動) 훅을 가지고 있고, 이들 훅이 부속품에 설치된 2개의 핀에 거는 것에 의해, 부속품이 퀵 커플러에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훅에 의해 부속품이 퀵 커플러에 장착되는 경우, 훅에 대하여 핀을 이탈 방지하기 위한 록 부재(lock member)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의 퀵 커플러에서는, 가동 훅에 설치된 보스(boss)에 록핀이 삽입되므로, 훅에 대한 핀의 이탈 방지가 행해진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퀵 커플러에서는, 작업자에 의해 록핀이 장착된다. 그와 같은 작업은 번거로우므로, 부속품의 장착 시에 자동적으로 록 부재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이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 문헌 2의 퀵 커플러에서는, 제1 암과 제2 암이 지지핀을 통하여 서로 요동(搖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1 암과 제2 암에 걸쳐 유압(油壓) 실린더가 장착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가 신장됨으로써, 제1 암과 제2 암과의 사이의 거리가 넓어짐으로써, 부속품의 핀에 제1 암과 제2 암이 연결된다. 또한, 유압 실린더가 신장됨으로써, 유압 실린더가 수평으로 되도록 회전한다. 이 유압 실린더의 회전과 동시에 록 부재가 회전함으로써, 록 부재에 의한 이탈 방지가 행해진다.
일본 공개특허 평7―166571호 일본 공개특허 제2008―174920호
상기한 바와 같이 특허 문헌 2의 퀵 커플러에서는, 부속품의 장착 시에 자동적으로 록 부재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을 작용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록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유압 실린더를 회전시킨다는 큰 동작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퀵 커플러가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부속품의 장착 시에 자동적으로 록 부재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을 작용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소형화가 가능한 퀵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態樣)에 관한 퀵 커플러는, 커플러 본체와, 록 부재와, 제2 훅과, 유압 실린더와, 연결핀을 구비한다. 커플러 본체는, 제1 훅을 가진다. 록 부재는, 록 온 위치와 록 오프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록 온 위치에 있어서, 록 부재는 제1 훅의 개구 내로 돌출한다. 록 오프 위치에 있어서, 록 부재는, 록 온 위치로부터 퇴피한 상태로 된다. 제2 훅은, 커플러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유압 실린더는, 커플러 본체에 접속되는 제1 단부와, 제2 훅에 접속되는 제2 단부(端部)를 가진다. 유압 실린더는, 신장(伸張)되는 것에 의해 제2 훅을 제1 훅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슬라이딩시킨다. 유압 실린더는, 수축함으로써 제2 훅을 제1 훅에 가까워지도록 슬라이딩시킨다. 연결핀은, 유압 실린더의 제1 단부와 커플러 본체를 연결한다. 커플러 본체는, 지지공을 가진다. 지지공은, 연결핀을 유압 실린더의 신축(伸縮) 방향으로 가동적으로 지지한다. 유압 실린더의 제1 단부는, 연결핀의 가동 범위 내에서 제2 단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함으로써, 록 부재를 록 오프 위치로부터 록 온 위치로 이동시킨다.
본 태양에 관한 퀵 커플러에서는, 유압 실린더가 신장되는 것에 의해, 유압 실린더의 제2 단부가, 제1 단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한다. 이로써, 제2 훅이 제1 훅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슬라이딩한다. 그 결과, 제1 훅과 제2 훅과의 각각이 부속품의 핀에 걸려, 부속품이 퀵 커플러에 장착된다.
또한, 커플러 본체의 지지공은, 연결핀을 유압 실린더의 신축 방향으로 가동적으로 지지한다. 그러므로, 유압 실린더가 신장되면, 유압 실린더의 제1 단부도, 연결핀의 가동 범위 내에서 제2 단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한다. 이 제1 단부의 동작에 따라, 록 부재가 록 오프 위치로부터 록 온 위치로 이동한다.
이상과 같이, 본 태양에 관한 퀵 커플러에서는, 부속품의 장착 시에 자동적으로 록 부재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을 작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유압 실린더의 제1 단부를 연결핀의 가동 범위 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록 부재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이 작용한다. 따라서, 제1 단부의 작은 동작으로 록 부재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을 작용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퀵 커플러를 소형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공은, 유압 실린더의 신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구멍이다. 이 경우, 제1 단부는, 긴 구멍을 따라 유압 실린더의 신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록 부재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을 작용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퀵 커플러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퀵 커플러는, 제1 핀과 제2 핀을 통하여 부속품을 장착하기 위한 퀵 커플러로서, 커플러 본체는, 핀 이탈방지부를 더 구비한다. 핀 이탈방지부는, 제2 훅의 개구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2 훅이 제2 핀에 걸린 상태에서, 제2 훅의 선단과 핀 이탈방지부와의 사이의 간극의 폭은, 제2 핀의 직경보다 좁다.
이 경우, 제1 훅이 파손되어도, 제2 훅의 선단과 핀 이탈방지부와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핀이 빠져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써, 부속품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퀵 커플러는, 가압 부재를 더 구비한다. 가압 부재는, 제2 단부가 제1 단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제2 단부를 가압한다. 이 경우, 유압 시스템의 고장 등에 의해, 유압 실린더의 신장력(伸長力)이 없어져도, 제2 훅이 핀에 걸린 상태가 가압 부재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제1 단부가 제2 단부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가압 부재에 의해 유지되므로, 록 부재가 록 온 위치에 유지된다. 이로써, 부속품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압 부재는, 유압 실린더 내에 배치된다. 이 경우, 퀵 커플러의 동작 시에, 가압 부재가, 유압 실린더의 주위에 있는 유압관(油壓管) 등의 다른 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퀵 커플러는, 지지공에 삽입되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 제1 단부가 이동할 때,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저항을 받는다. 이로써, 록 부재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의 작동 또는 해제의 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록 부재는, 기단부(基端部)와, 선단부와, 오목부를 가진다. 기단부는, 커플러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선단부는, 록 온 위치에 있어서 제1 훅의 개구 내로 돌출한다. 오목부는, 기단부와 선단부와의 사이에 위치한다. 유압 실린더의 제1 단부는, 록 부재를 향해 돌출하는 볼록부를 가진다. 볼록부가 오목부 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록 부재는 록 오프 위치에 위치한다.
이 경우, 볼록부가 오목부 내에 위치하도록 한 위치에 제1 단부를 배치함으로써, 록 부재를 록 오프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록 부재는, 오목부에 접속되는 경사면을 가진다. 경사면은, 오목부에 대하여 제2 단부로부터 제1 단부를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볼록부가 오목부로부터 경사면으로 이동하여 경사면을 압압(押壓)함으로써, 록 부재는 록 온 위치로 이동한다.
이 경우, 유압 실린더가 신장되어 제1 단부가 제2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볼록부가 오목부로부터 경사면으로 이동하여 경사면을 압압한다. 이로써, 록 부재를 록 오프 위치로부터 록 온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러 본체는, 벽부를 가진다. 벽부는, 유압 실린더의 신축 방향에 있어서 제1 단부와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 경우, 연결핀이 파손되어도, 벽부에 의해 유압 실린더가 커플러 본체 내에 머문다. 그러므로, 부속품의 핀이 제1 훅 및 제2 훅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써, 부속품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압 실린더의 제1 단부는, 연결핀의 가동 범위 내에서 제2 단부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함으로써, 록 부재를 록 온 위치로부터 록 오프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부속품의 분리 시에 자동적으로 록 부재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유압 실린더의 제1 단부를 연결핀의 가동 범위 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록 부재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이 해제된다. 따라서, 제1 단부의 작은 동작으로 록 부재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을 해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퀵 커플러를 소형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훅은, 돌기부를 가진다. 커플러 본체는, 돌기부가 배치되는 홈을 가진다. 돌기부가 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2 훅이 커플러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한다. 바람직하게는, 홈에는, 제2 훅을 이탈 방지하는 스토퍼 부재가 장착된다. 이 경우, 제2 훅을 더욱 견고하게 이탈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유압 실린더의 일 태양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래, 유압 실린더에는, 내부에 스프링이 설치되고, 작동유가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는 스프링의 힘으로 피스톤 로드의 위치가 소정 위치에 유지되고, 작동유가 공급되면 스프링이 압축되어 피스톤 로드가 수축되는 구성의 것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 평05―256307호 참조).
일본 공개특허 평05―256307호에 나타낸 유압 실린더에서는, 피스톤 로드의 외주(外周)에 스프링 시트를 통하여 스프링이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 시트는, 스프링의 양단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고, 스프링이 지나치게 압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 평05―256307호의 유압 실린더에서는, 스프링을 받는 스프링 시트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2개의 스프링 시트가 접촉하는 위치까지 밖에 스프링을 수축시킬 수 없어, 수축 여유(contraction margin)에 손실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스트로크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유압 실린더 자체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한 유압 실린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본 태양에 관한 유압 실린더는 이하의 특징을 구비해도 된다.
유압 실린더는, 실린더 튜브와, 피스톤 로드와, 피스톤과, 스프링 부재를 구비한다. 피스톤 로드는, 길이 방향이 신축 방향을 따르도록 실린더 튜브 내에 삽입되어 있다. 피스톤은, 피스톤 로드에 고정되어 있고, 실린더 튜브 내를 슬라이딩한다. 스프링 부재는, 피스톤 로드의 신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피스톤 로드를 신장(伸長) 방향으로 가압한다. 피스톤 로드에는, 수축 방향 측의 단면(端面)에 개구를 가지고, 개구로부터 신장 방향을 향해 내측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는, 내측 공간에 삽입되어 있다.
본 태양에 관한 유압 실린더에 의하면, 컴팩트하며 큰 스트로크를 얻는 것이 가능한 유압 실린더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기둥형의 가이드 부재를 더 구비한다. 스프링 부재는, 코일형이다. 가이드 부재는, 길이 방향이 신축 방향을 따르도록 스프링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의 일단은, 피스톤 로드의 단면에 대향하는 실린더 튜브의 바닥면에 유지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부재 중 적어도 일단측은, 통형상이다. 실린더 튜브는, 바닥면으로부터 신장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진다. 통형상의 내측으로 돌출부가 끼워넣어지는 것에 의해 가이드 부재의 일단은 바닥면에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부재는, 코일형이다. 유압 실린더가 가장 신장된 상태에 있어서, 스프링 부재의 길이가 자연 길이보다 짧다.
바람직하게는, 유압 실린더는, 링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있다. 링형 부재는, 가이드 부재의 외주면(外周面)과 내측 공간의 내주면(內周面)의 사이에 배치되고 외주면 및 내주면을 슬라이딩한다. 스프링 부재는, 링형 부재를 협지(sandwich)하여 제1 스프링 부재와 제2 스프링 부재로 나눌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부재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된 돌기를 가진다. 제1 스프링 부재의 신장 방향 측의 단은, 내측 공간의 신장 방향 측의 내면에 맞닿는다. 제2 스프링 부재의 수축 방향 측의 단은, 돌기와 맞닿는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부재는,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부재는, 코일형이다. 실린더 튜브는, 피스톤 로드의 단면에 대향하는 바닥면으로부터 신장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진다. 돌출부는, 스프링 부재의 단의 내측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속품의 장착 시에 자동적으로 록 부재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을 작용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소형화가 가능한 퀵 커플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퀵 커플러가 장착된 유압 셔블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퀵 커플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퀵 커플러의 분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퀵 커플러의 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퀵 커플러의 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퀵 커플러의 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퀵 커플러의 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퀵 커플러의 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9는 지지공과 탄성 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지지공과 탄성 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퀵 커플러의 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12는 유압 실린더의 외관도이다.
도 13은 유압 실린더의 수축 상태에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유압 실린더의 신장 상태에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변형예에서의 유압 실린더의 수축 상태에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유압 실린더의 신장 상태에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변형예에서의 유압 실린더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유압 실린더의 수축 상태에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도 17의 유압 실린더의 신장 상태에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관한 퀵 커플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퀵 커플러(1)가 장착된 작업 차량(100)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작업 차량(100)은, 예를 들면, 유압 셔블이다. 단, 작업 차량(100)은, 유압 셔블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작업 차량이라도 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 차량(100)은, 암(arm)(101)과 링크 부재(102)와 부속품(103)을 가진다. 그리고, 도 1에서는, 부속품(103)의 일례로서의 버킷이 도시되어 있지만, 부속품(103)은, 버킷에 한정되지 않고, 커터, 브레이커, 포크 등 다른 부속품이라도 된다.
퀵 커플러(1)는, 암 핀(arm pin)(104)을 통하여 암(101)에 접속된다. 퀵 커플러(1)는, 링크 핀(105)을 통하여 링크 부재(102)에 접속된다. 퀵 커플러(1)는, 제1 핀(106)과 제2 핀(107)을 통하여 부속품(103)에 접속된다.
도 2는, 퀵 커플러(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퀵 커플러(1)의 분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퀵 커플러(1)는, 커플러 본체(2)와 제2 훅(3)을 가진다. 커플러 본체(2)는, 암 핀 지지공(11)과 링크 핀 지지공(12)을 가진다. 암 핀 지지공(11)에는, 암 핀(104)이 삽입된다. 링크 핀 지지공(12)에는, 링크 핀(105)이 삽입된다.
커플러 본체(2)는, 제1 훅(4)을 가진다. 제1 훅(4)은, 제1 핀(106)에 걸린다. 제2 훅(3)은, 커플러 본체(2)와 별체이다. 제2 훅(3)은, 제2 핀(107)에 걸린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퀵 커플러(1)에 있어서는, 암 핀 지지공(11)에 대하여 링크 핀 지지공(12)이 위치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하고, 그 반대를 후방이라고 한다. 암 핀 지지공(11) 및 링크 핀 지지공(12)에 대하여 제1 훅(4) 및 제2 훅(3)이 위치하는 방향을 아래쪽이라고 하고, 그 반대를 위쪽이라고 한다. 또한, 암 핀 지지공(11)의 축선 및 링크 핀 지지공(12)의 축선이 연장되는 방향을 폭 방향 또는 측방이라고 한다. 단, 이들의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상기한 바와 같이 퀵 커플러(1)를 보았을 때 특정되는 것으로서, 퀵 커플러(1)의 장착 방향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플러 본체(2)는, 제1 측면부(13)와 제2 측면부(14)와 벽부(15)를 가진다. 제1 측면부(13)와 제2 측면부(14)는, 각각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의 형상을 가진다. 제1 측면부(13)와 제2 측면부(14)는,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벽부(15)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1 측면부(13)와 제2 측면부(14)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커플러 본체(2)는, 제1 상측면부(16)와 제2 상측면부(17)를 가진다. 제1 상측면부(16)와 제2 상측면부(17)는, 각각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의 형상을 가진다. 제1 상측면부(16)는, 제1 측면부(13)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 상측면부(17)는, 제2 측면부(14)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암 핀 지지공(11)과 링크 핀 지지공(12)은, 제1 상측면부(16)와 제2 상측면부(17)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퀵 커플러(1)의 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훅(4)과 제2 훅(3)은, 각각, 제1 핀(106)과 제2 핀(107)을 걸기 위해 개구를 구비하고, 만곡된 오목부를 가지는 부재이다. 제1 훅(4)과 제2 훅(3)은, 서로 반대의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훅(4)은, 후방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제2 훅(3)은, 전방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제2 훅(3)은, 제1 훅(4)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커플러 본체(2)는, 핀 이탈방지부(29)를 가지고 있다. 핀 이탈방지부(29)는, 제2 훅(3)의 개구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2 훅(3)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커플러 본체(2)에 지지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측면부(13)의 내측면에는, 전후 방향의 연장되는 홈(1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제2 측면부(14)의 내측면에도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의 연장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훅(3)의 양쪽의 측면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19a, 19b)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훅(3)의 돌기부(19a)는, 제1 측면부(13)의 홈(18) 내에 배치된다. 제2 훅(3)의 돌기부(19b)는, 제2 측면부(14)의 홈 내에 배치된다. 돌기부(19)가 홈(18)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2 훅(3)이 커플러 본체(2)에 대하여 슬라이딩한다. 제2 훅(3)의 오목부의 개구에 이어지는 부위(3a)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측면에서 볼 때, 홈(18)의 전후로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퀵 커플러(1)는, 유압 실린더(5)와, 제1 가압 부재(6)과, 제2 가압 부재(7)와, 록 부재(8)를 구비한다. 유압 실린더(5)는, 유압관(21)을 통하여, 작업 차량(100)의 유압 시스템에 접속된다. 유압 실린더(5)는, 유압관(21)으로부터의 유압에 의해 신축된다.
유압 실린더(5)는, 제1 단부(22)와 제2 단부(23)를 가진다. 제1 단부(22)는, 커플러 본체(2)에 접속된다. 제2 단부(23)는, 제2 훅(3)에 접속된다. 상세하게는, 유압 실린더(5)는, 실린더 튜브(24)와 피스톤 로드(25)를 가진다. 제1 단부(22)는, 실린더 튜브(24)에 포함된다. 제2 단부(23)는, 피스톤 로드(25)에 포함된다.
커플러 본체(2)는, 지지공(26)을 가진다. 지지공(26)은, 제1 측면부(13)와 제2 측면부(14)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단부(22)는, 제1 연결핀(27)을 통하여 커플러 본체(2)에 지지된다. 제1 단부(22)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공(221)을 가진다. 제1 연결핀(27)은, 제1 단부(22)와 지지공(26)에 삽입되어 있다. 제1 연결핀(27)은, 유압 실린더(5)의 제1 단부(22)와 커플러 본체(2)를 연결한다. 지지공(26)은, 유압 실린더(5)의 신축 방향 즉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구멍이다. 그러므로, 지지공(26)은, 제1 연결핀(27)을 유압 실린더(5)의 신축 방향으로 가동적으로 지지한다.
제2 단부(23)는, 제2 연결핀(28)을 통하여 제2 훅(3)에 연결된다. 상세하게는, 제2 단부(23)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공(231)을 가진다. 또한, 제2 훅(3)의 전부(前部)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공(301)을 가진다. 제2 연결핀(28)은, 제2 단부(23)의 관통공(231)과 제2 훅(3)의 관통공(301)에 삽입된다.
도 5는, 유압 실린더(5)가 도 4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신장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유압 실린더(5)가 도 5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더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5)가 신장되는 것에 의해, 제2 단부(23)는 제1 단부(22)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한다. 이로써, 유압 실린더(5)는, 제2 훅(3)이 제1 훅(4)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제2 훅(3)을 슬라이딩시킨다.
도 7은, 유압 실린더(5)가 도 6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8은, 유압 실린더(5)가 도 7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더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5)가 수축함으로써, 제2 단부(23)는 제1 단부(22)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한다. 이로써, 유압 실린더(5)는, 제2 훅(3)을 제1 훅(4)에 가까워지도록 슬라이딩시킨다. 0.
도 3에 나타낸 제1 가압 부재(6)는, 제2 단부(23)가 제1 단부(22)로부터 이격되도록 제2 단부(23)를 가압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가압 부재(6)는, 스프링(31)과, 스프링 커버(32)와, 샤프트(33)를 가진다. 스프링(31)은, 코일 스프링이며, 스프링 커버(32)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커버(32)의 단부(34)는, 연결핀(35)을 통하여 커플러 본체(2)에 지지되어 있다. 스프링 커버(32) 내의 스프링(31)은 압축된 상태이며, 샤프트(33)를 압압하고 있다. 샤프트(33)의 단부(36)는, 스프링 커버(32)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2 훅(3)은, 연결부(37)를 가진다. 연결부(37)는, 제2 훅(3)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샤프트(33)의 단부(36)는, 연결핀(40)을 통하여 연결부(37)에 접속되어 있다. 제2 가압 부재(7)도 제1 가압 부재(6)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벽부(15)는, 유압 실린더(5)와 제1 가압 부재(6)와 제2 가압 부재(7)와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벽부(15)의 일부는, 유압 실린더(5)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유압 실린더(5)의 신축 방향에 있어서 제1 단부(22)와 대향하여 배치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부(15)는, 개구(151)를 가진다. 개구(151)는, 제1 단부(22)의 위쪽에 위치한다. 개구(151)를 통하여, 유압관(21)이 커플러 본체(2) 내에 도입되어 있다.
록 부재(8)는, 제1 훅(4)의 위쪽에 배치된다. 록 부재(8)는, 록 연결핀(48)을 통하여 커플러 본체(2)에 접속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플러 본체(2)는, 관통공(51)을 가진다. 록 부재(8)는 관통공(52)을 가진다. 록 연결핀(48)은, 커플러 본체(2)의 관통공(51)과, 록 부재(8)의 관통공(52)에 삽입된다.
록 부재(8)는, 기단부(38)와 선단부(39)를 가진다. 기단부(38)는, 커플러 본체(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선단부(39)는, 아래쪽을 향해 굴곡된 훅형(hook type)의 형상을 가진다. 즉, 선단부(39)는, 제1 훅(4)을 향해 굴곡된 훅형의 형상을 가진다.
록 부재(8)는, 록 온 위치와 록 오프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4는, 록 부재(8)가 록 오프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록 부재(8)가 록 온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 온 위치에 있어서, 록 부재(8)의 선단부(39)는 제1 훅(4)의 개구 내로 돌출되어 있다. 이로써, 제1 핀(106)이 제1 훅(4)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 오프 위치에 있어서, 록 부재(8)의 선단부(39)는, 록 온 위치로부터 퇴피한 상태로 된다. 상세하게는, 록 오프 위치에 있어서, 록 부재(8)의 선단부(39)는, 제1 훅(4)의 개구 내로부터 퇴피한 상태로 된다.
유압 실린더(5)의 제1 단부(22)는, 제2 단부(23)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함으로써 유지 위치로 이동한다. 도 6은, 제1 단부(22)가 유지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 단부(22)는, 유지 위치에 있어서, 록 부재(8)를 록 온 위치에 유지한다. 반대로, 제1 단부(22)는, 제2 단부(23)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함으로써,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 도 4는, 제1 단부(22)가 해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 단부(22)는, 해제 위치에 있어서, 록 부재(8)의 유지를 해제한다.
상세하게는, 유압 실린더(5)의 제1 단부(22)는, 록 부재(8)를 향해 돌출하는 볼록부(222)를 가진다. 볼록부(222)는,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록 부재(8)는, 오목부(41)와 지지부(42)를 가진다. 오목부(41)와 지지부(42)는, 기단부(38)와 선단부(39)와의 사이에 위치한다. 오목부(41)는, 록 부재(8)의 상면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오목한 형상을 가진다. 지지부(42)는, 오목부(41)의 후방에 위치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부(22)가 유지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볼록부(222)는 지지부(42)에 접촉되어 있고, 볼록부(222)는, 록 부재(8)를 제1 훅(4)을 향해 압압하고 있다. 이로써, 록 부재(8)가 록 온 위치에 유지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부(22)가 해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볼록부(222)는 오목부(41)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써, 록 부재(8)가 록 오프 위치에 유지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록 부재(8)는, 오목부(41)에 접속되는 경사면(43)과 스텝부(段部)(44)를 가진다. 경사면(43)과 스텝부(44)는, 기단부(38)와 선단부(39)와의 사이에 위치한다. 경사면(43)은, 오목부(41)에 대하여 제2 단부(23)로부터 제1 단부(22)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경사면(43)은, 오목부(41)의 후방에 배치된다. 스텝부(44)는, 오목부(41)에 대하여 제1 단부(22)로부터 제2 단부(23)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스텝부(44)는, 오목부(41)의 전방에 배치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부(222)가 오목부(41)로부터 경사면(43)과 이동하여 경사면(43)을 압압함으로써, 록 부재(8)가 회동(回動)하여 록 온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부(222)가 오목부(41)로부터 스텝부(44)로 이동하여 스텝부(44)를 압압함으로써, 록 부재(8)가 회동하여 록 오프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전술한 지지공(26)에는, 도 3에 나타낸 탄성 부재(45)가 삽입된다. 탄성 부재(45)는, 예를 들면, 고무제이다. 단, 탄성 부재(45)는, 탄성력이 생기게 하는 재료이면 되고, 고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재료라도 된다. 탄성 부재(45)는, 지지공(26)을 따른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진다. 도 9는, 지지공(26)과 탄성 부재(45)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부재(45)는, 지지공(26) 내에 있어서 제1 연결핀(27)에 대하여 전방에 배치된다. 즉, 탄성 부재(45)는, 유압 실린더(5)가 수축될 때,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연결핀(27)에 의해 압축되도록 배치된다. 즉, 제1 단부(22)가 유지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 제1 연결핀(27)이 탄성력에 의한 저항을 받도록 탄성 부재(45)가 배치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공(26)은, 커버 부재(46)에 의해 측방으로부터 폐쇄된다.
다음에, 퀵 커플러(1)에 부속품(103)을 장착할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핀(106)을 제1 훅(4)에 걸리게 한다(화살표 A1 참조). 또한, 제1 핀(106)을 중심으로 퀵 커플러(1) 또는 부속품(103)을 회동시킴으로써, 제2 핀(107)을 제2 훅(3)과 핀 이탈방지부(29)와의 사이에 배치한다(화살표 A2 참조). 그리고, 유압 실린더(5)를 신장시킨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5)를 신장시키면, 제1 단부(22)가 제2 단부(23)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공(26)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볼록부(222)가, 록 부재(8)의 오목부(41)로부터 경사면(43)으로 이동하고, 경사면(43)을 압압함으로써 록 부재(8)를 회동시키다(화살표 A3 참조).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부(22)가 더 후방으로 이동하여, 유지 위치에 도달하면, 볼록부(222)가 록 부재(8)의 지지부(42)를 압압한다. 이로써, 록 부재(8)가 록 온 위치에 도달하여, 록 부재(8)에 의해 제1 핀(106)이 제1 훅(4)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볼록부(222)가 지지부(42)를 압압함으로써, 록 부재(8)는 록 온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유압 실린더(5)가 신장되는 것에 의해, 제2 단부(23)가 제1 단부(22)로부터 이격되도록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제2 훅(3)이 핀 이탈방지부(29)에 가까워지도록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제2 핀(107)에 건다(화살표 A4 참조). 제2 훅(3)이 제2 핀(107)에 걸린 상태에서, 제2 훅(3)은 유지된다. 제2 훅(3)은 유압 실린더(5)에 의해 제2 핀(107)에 압력을 가하고 있으므로, 제1 연결핀(27)은 지지공(26) 내의 후방단에 견고하게 유지된다. 그러므로, 록 부재(8)는 록 온 위치에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퀵 커플러(1)에 부속품(103)이 장착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퀵 커플러(1)에 부속품(103)이 장착된 상태에서, 제2 훅(3)은 핀 이탈방지부(29)에 가장 근접하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2 훅(3)의 선단과 핀 이탈방지부(29)와의 사이의 간극의 폭 W1은, 제2 훅(3)의 개구의 폭 W2보다 좁다. 또한, 제2 훅(3)의 선단과 핀 이탈방지부(29)와의 사이의 간극의 폭 W1은, 제2 핀(107)의 직경보다 좁다.
다음에, 퀵 커플러(1)로부터 부속품(103)을 분리할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5)가 수축되면, 제2 단부(23)가 제1 단부(22)에 가까워지도록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제2 훅(3)이 핀 이탈방지부(29)로부터 이격되도록 후방으로 슬라이딩한다(화살표 A5 참조). 이로써, 핀 이탈방지부(29)와 제2 훅(3)과의 사이의 간극이, 제2 핀(107)의 직경보다 넓어진다.
유압 실린더(5)가 수축함으로써, 제2 훅(3)은 후방의 스트로크 단까지 이동한다. 유압 실린더(5)가 더 수축함으로써,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부(22)가 제2 단부(23)에 가까워지도록 지지공(26)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볼록부(222)가, 록 부재(8)의 지지부(42)로부터 경사면(43)을 지나고, 오목부(41)로 이동한다. 그리고, 볼록부(222)가, 더 후방으로 이동하여 스텝부(44)에 걸리는 것에 의해, 록 부재(8)를 회동시킨다(화살표 A6 참조). 이로써, 록 부재(8)가 록 오프 위치로 이동하여, 록 부재(8)에 의한 제1 핀(106)의 이탈 방지가 해제된다.
그 후, 제1 핀(106)을 중심으로 퀵 커플러(1) 또는 부속품(103)을 회동시킴으로써, 제2 핀(107)을 제2 훅(3)과 핀 이탈방지부(29)와의 사이로부터 벗긴다(화살표 A7 참조). 그리고, 제1 훅(4)을 제1 핀(106)으로부터 벗긴다(화살표 A8 참조). 이상과 같이, 퀵 커플러(1)로부터 부속품(103)이 분리(detach)된다.
그리고, 퀵 커플러(1)에 부속품(103)을 장착하는 경우에 있어서, 록 부재(8)의 록 온 위치로의 이동(도 5의 화살표 A3)과 제2 훅(3)의 슬라이딩(도 6의 화살표 A4)과의 순번은 어느 쪽이 먼저라도 된다. 퀵 커플러(1)로부터 부속품(103)을 분리해 내는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록 부재(8)의 록 오프 위치로의 이동(도 8의 화살표 A6)과 제2 훅(3)의 슬라이딩(도 7의 화살표 A5)과의 순번은 어느 쪽이 먼저라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퀵 커플러(1)에서는, 부속품(103)의 장착 시에 자동적으로 록 부재(8)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을 작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유압 실린더(5)의 제1 단부(22)를 제1 지지공(26)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록 부재(8)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을 작용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퀵 커플러(1)를 소형화할 수 있다.
제2 훅(3)이 핀 이탈방지부(29)에 가장 근접한 상태에서, 제2 훅(3)의 선단과 핀 이탈방지부(29)와의 사이의 간극의 폭 W1은, 제2 훅(3)의 개구의 폭 W2보다 좁다. 그러므로, 제1 훅(4)이 파손되어도, 제2 훅(3)의 선단과 핀 이탈방지부(29)와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제2 핀(107)이 빠져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써, 부속품(103)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가압 부재(6)와 제2 가압 부재(7)에 의해, 제2 단부(23)가 제1 단부(22)로부터 이격되도록 제2 단부(23)가 가압된다. 그러므로, 유압 시스템의 고장 등에 의해, 유압 실린더(5)의 신장력이 없어져도, 제2 훅이 제2 핀(107)에 걸린 상태가 제1 가압 부재(6)와 제2 가압 부재(7)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제1 단부(22)가 제2 단부(23)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제1 가압 부재(6)와 제2 가압 부재(7)에 의해 유지되므로, 유압 실린더(5)의 신장력이 없어져도, 록 부재(8)가 록 온 위치에 유지된다. 이로써, 부속품(103)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공(26)에는 탄성 부재(45)가 삽입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 단부(22)가 유지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 제1 연결핀(27)이 탄성력에 의한 저항을 받는다. 이로써, 제1 단부(22)의 해제 위치로의 이동을 지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먼저 제2 핀(107)이 제2 훅(3)으로부터 분리되고, 그 후, 록 부재(8)가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먼저, 록 부재(8)가 해제되고, 그 후, 제2 핀(107)이 제2 훅(3)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탄성 부재(45)가 배치되어도 된다.
커플러 본체(2)의 벽부(15)가, 유압 실린더(5)의 신축 방향에 있어서 제1 단부(22)와 대향하여 배치된다. 그러므로, 제1 연결핀(27)이 파손되어도, 벽부(15)에 의해 유압 실린더(5)가 커플러 본체(2)의 내부에 머문다. 그러므로, 제1 핀(106) 및 제2 핀(107)이 각각 제1 훅(4) 및 제2 훅(3)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써, 부속품(103)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퀵 커플러(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퀵 커플러(10)의 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퀵 커플러(10)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제1 가압 부재(6)와 제2 가압 부재(7)가 생략되어 있고, 대신에 가압 부재를 내장한 유압 실린더(61)가 설치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61)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퀵 커플러(10)에서는, 커플러 본체(2)의 홈(18)에, 제2 훅(3)을 이탈 방지하는 스토퍼 부재(94)가 장착되어 있다. 단, 스토퍼 부재(94)는 생략되어도 된다. 그리고, 도 11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공통의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각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유압 실린더(61)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압 실린더(61)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실시형태의 유압 실린더(6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유압 실린더(61)가 수축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4는 유압 실린더(61)가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유압 실린더(61)는, 실린더 튜브(62)와, 피스톤 로드(63)와, 피스톤(64)과, 가이드 부재(65)와, 제1 가압 부재(66)와, 제2 가압 부재(67)와, 유지링(68)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유압 실린더(61)는, 작동유가 공급되는 것에 의해 피스톤(64)이 실린더 튜브(62) 내를 슬라이딩하고, 피스톤(64)에 연결한 피스톤 로드(63)가 신장 및 수축된다. 피스톤 로드(63)의 신장 방향이 화살표 A로 표시되고, 피스톤 로드(63)가 실린더 튜브(62)로 끌여들여지는 방향(수축 방향이라고 함)이 화살표 B로 나타나 있다. 피스톤 로드(63)의 제2 단부(76)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61)에 의해 구동시키는 부재와의 연결부를 형성한다. 제2 단부(76)는, 관통공(76b)을 가진다. 도 11에 나타낸 제2 연결핀(28)이 관통공(76b)에 삽입된다. 이로써, 제2 단부(76)가 도 11에 나타낸 제2 훅(3)에 연결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가압 부재(66) 및 제2 가압 부재(67)에 의해 피스톤 로드(63)는 신장 방향 A으로 가압되고 있다.
실린더 튜브(62)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관이 대략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며, 통형부(71)와, 제1 단부(72)와, 커버부(73)와, 지지부(92)를 가진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부(71)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통형부(71)의 길이 방향(중심축)은, 피스톤 로드(63)의 신축 방향과 일치한다.
제1 단부(72)는, 원기둥 형상의 부재로서 통형부(71)의 수축 방향 B 측의 단을 막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 단부(72)는, 통형부(71)와 접합되어 있다. 제1 단부(72)의 내측의 면인 바닥면(72a)에는, 신장 방향 A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87)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87)는, 후술하는 가이드 부재(65)와 끼워맞추어져 있다.
커버부(73)는, 통형부(71)의 신장 방향 A의 단을 막도록 설치되어 있다. 커버부(73)는, 피스톤 로드(63)가 삽통하는 삽통공(揷通孔)(88)을 가지는 원통형의 부재이다. 커버부(73)의 삽통공(88)의 에지에는, 실링 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커버부(73)와 피스톤 로드(63)의 사이로부터 작동유가 누출되지 않도록 봉지(封止)되어 있다.
커버부(73)의 수축 방향 B 측의 끝에는, 실린더 튜브(62)의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부(89)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89)의 외주면에는, 나사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통형부(71)의 신장 방향 A 측의 단부(86)의 내측에, 나사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73)를 통형부(71)에 나사 삽입되는 것에 의해, 단부(86)와 삽입부(89)는 나사결합된다.
삽입부(89)의 외주에는, 오목부(90)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90)에 O링 등이 삽입되어 통형부(71)와 커버부(73)의 사이가 봉지되어 있다.
또한,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 튜브(62)에는, 실린더 튜브(62) 내에 작동유를 공급 또는 배출하기 위한 제1 유로(流路)(74) 및 제2 유로(75)(도 12에서는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유로(74)는, 커버부(73)보다 수축 방향 B 측의 통형부(71)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통형부(71)의 내주면(71a)에 개구되어 있다. 제1 유로(74)는, 유압 실린더(61)의 로드측 포트를 형성한다. 제2 유로(75)는, 제1 단부(72)에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72a)에 개구되어 있다. 제2 유로(75)는, 유압 실린더(61)의 보텀측 포트를 형성한다. 제1 유로(74)는, 도 11에 나타낸 제1 유압관(95)에 접속된다. 제2 유로(75)는, 제2 유압관(96)에 접속된다. 제1 유압관(95)과 제2 유압관(96)은, 전술한 유압관(21)에 접속된다.
지지부(92)는, 실린더 튜브(6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제1 단부(72)와 커버부(73)와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세하게는, 지지부(92)는, 실린더 튜브(6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제1 단부(72)와 통형부(71)와의 사이에 위치한다. 지지부(92)는, 제1 실시형태의 볼록부(222)에 상당하는 볼록부(922)를 가진다. 또한, 지지부(92)에는, 제1 실시형태의 제1 연결핀(27)에 상당하는 제1 연결핀(93)이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 튜브(62)는, 제1 연결핀(93)을 통하여 커플러 본체(2)에 지지된다.
피스톤 로드(63)는, 길이 방향(신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커버부(73)의 삽통공(88)에 삽통(揷通)되어 있고, 그 길이 방향이 신축 방향과 일치한다.
피스톤 로드(63)는, 양단에 개구를 가지는 원통 형상의 통형부(77)와, 통형부(77)의 신장 방향 A 측의 개구를 막도록 배치된 제2 단부(76)를 가진다. 이로써, 피스톤 로드(63)에는, 통형부(77)의 수축 방향 B 측의 단면(77b)으로부터 신장 방향 A를 향해 내측 공간(78)이 형성되어 있다.
즉, 내측 공간(78)은, 통형부(77)의 내주면(77a)과, 제2 단부(76)의 수축 방향 B 측의 내면(76a)에 의해 에워싸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 공간(78)은, 수축 방향 B 측에 개구(78a)(도 14 참조)를 가지고 있다.
신장 방향 A 측의 단인 제2 단부(76)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61)에 의해 구동시키는 부재와 연결하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64)은, 원환형(圓環形)의 부재로서, 피스톤 로드(63)의 외주에 고정되어 있다. 피스톤(64)은, 피스톤 로드(63)의 수축 방향 B 측의 단면(77b)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피스톤(64)은, 실린더 튜브(62)의 통형부(71)의 내주면(71a) 상을 슬라이딩한다.
피스톤(64)에 의해 실린더 튜브(62) 내의 공간은, 피스톤(64)보다 신장 방향 A 측의 제1 공간(69)과, 피스톤(64)보다 수축 방향 B 측의 제2 공간(70)으로 나누어진다. 제1 공간(69)에 제1 유로(74)가 접속되고, 제2 공간(70)에 제2 유로(75)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63)는 피스톤(64)을 삽통하고 있고, 도 13에 나타낸 수축 상태에서는, 피스톤 로드(63)의 수축 방향 B 측의 단면(77b)이 바닥면(72a)에 맞닿아 있다.
가이드 부재(65)는, 후술하는 제1 가압 부재(66) 및 제2 가압 부재(67)를 가이드하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길이 방향이 신축 방향을 따르도록 실린더 튜브(62) 내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65)는, 수축된 상태에 있는 유압 실린더(61)(도 13)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63)의 통형부(77)의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65)는, 수축 방향 B의 단(81)에 개구(82)를 가지고 있고, 개구(82)에 돌출부(87)가 끼워넣어져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87)가, 단(81)에 끼워맞추어지는 것에 의해, 가이드 부재(65)의 단(81)이, 바닥면(72a)의 중앙에 유지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65)의 바닥면(72a)의 근방에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기(83)가 일주(一周)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83)에는, 후술하는 제2 가압 부재(67)의 수축 방향 B의 단(85b)이 맞닿는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65)의 신축 방향의 길이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장 피스톤 로드(63)가 신장된 상태에 있어서도 피스톤 로드(63)와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압 부재(66)와 제2 가압 부재(67)는, 코일형이며, 신축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1 가압 부재(66)와 제2 가압 부재(67)는, 코일 스프링이다. 단, 제1 가압 부재(66)와 제2 가압 부재(67)는, 코일 스프링 이외의 부재라도 된다.
제1 가압 부재(66)와 제2 가압 부재(67)는, 중심축이 신축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가압 부재(66) 및 제2 가압 부재(67)는, 피스톤 로드(63)의 내측 공간(78)에 삽입되어 있고, 가이드 부재(65)의 외주면(65a)과 피스톤 로드(63)의 내주면(77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가압 부재(66)가 제2 가압 부재(67)보다 신장 방향 A 측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2 단부(76)의 수축 방향 B 측의 내면(76a)에는, 수축 방향 B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9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91)와 통형부(77)의 사이에 형성되는 링형(ring shape)의 간극에, 제1 가압 부재(66)의 신장 방향 A 측의 단(84a)이 배치되어 있다.
제2 가압 부재(67)의 수축 방향 B 측의 단(85b)은, 돌기(83)와 맞닿아 있다.
유지링(68)은, 가이드 부재(65)를 내측 공간(78)의 대략 중앙에 유지하기 위한 부재이며, 가이드 부재(65)의 외주면(65a)과 피스톤 로드(63)의 내주면(77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유지링(68)은, 제1 가압 부재(66)의 수축 방향 B 측의 단(84b)과, 제2 가압 부재(67)의 신장 방향 A 측의 단(85a)의 사이에 배치되고, 단(84b, 85a)은, 유지링(68)에 맞닿아 있다.
유지링(68)은, 신축 시, 가이드 부재(65)의 외주면(65a) 상과 피스톤 로드(63)의 내주면(77a) 상을 슬라이딩한다. 유지링(68)은, 도 13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65)의 신축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63)가 가장 신장되었을 때, 가이드 부재(65)의 외주면(65a)과 피스톤 로드(63)의 내주면(77a)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유지링(68)이 설치되는 것에 의해, 가이드 부재(65)는 유지링(68)에 의해 피스톤 로드(63)의 대략 중앙에 유지된다. 가이드 부재(65)는, 유지링(68)에 의해 유지되고, 또한 그 단(81)이 돌출부(87)에 의해 바닥면(72a)의 중앙에 유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부재(65)는 2개소에서 지지되고 피스톤 로드(63)의 중앙에 양호한 정밀도로 배치된다.
이상과 같이, 신장 방향 A 측으로부터 순차로 제1 가압 부재(66), 유지링(68) 및 제2 가압 부재(67)가 배치되어 있고, 제1 가압 부재(66) 및 제2 가압 부재(67)는, 피스톤 로드(63)를 신장 방향 A를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있다.
그리고, 제1 가압 부재(66), 제2 가압 부재(67) 및 유지링(68)은, 다른 부재와 접합되어 있지 않고, 가이드 부재(65)에 여유있게 끼워져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65)는, 실린더 튜브(62)의 돌출부(87)에 끼워져 있을뿐이며, 제1 단부(72)와 접합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제2 가압 부재(67), 유지링(68) 및 제1 가압 부재(66)의 순으로 가이드 부재(65)에 배치하는 단계와, 제2 가압 부재(67), 유지링(68) 및 제1 가압 부재(66)가 배치된 가이드 부재(65)를 돌출부(87)에 끼우는 단계와, 피스톤 로드(63)를 삽입하면서 커버부(73)를 통형부(77)에 나사삽입되어 장착하는 단계에 의해, 유압 실린더(61)를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낸 수축 상태에서는, 제1 공간(69) 내에는 작동유가 공급되고 있고, 작동유의 유압에 의해 피스톤(64)에 수축 방향 B 측의 힘이 가해져 있다. 또한, 피스톤 로드(63)는 제1 가압 부재(66)와 제2 가압 부재(67)에 의해 신장 방향 A로 가압되고 있다. 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향하여 피스톤(64)이 수축 방향 B로 가압되고 있다.
도 13에 나타낸 유압 실린더(61)가 수축된 상태로부터, 제2 유로(75)를 통하여 제2 공간(70)으로 작동유가 공급되고, 제1 공간(69)으로부터 작동유가 배출 가능하게 되면, 유압에 의해 피스톤(64)이 실린더 튜브(62) 내를 슬라이딩하여 신장 방향 A로 이동한다(도 14 참조). 이로써, 피스톤(64)과 연결되어 있는 피스톤 로드(63)가 신장 방향 A로 이동한다.
이 때, 피스톤(64)은 유압와 함께 제1 가압 부재(66) 및 제2 가압 부재(67)의 가압력에 의해서도 신장 방향 A로 이동한다.
그리고, 피스톤(64)의 신장 방향 A 측의 단면(64a)이, 커버부(73)의 삽입부(89)의 수축 방향 B 측의 단면(89a)에 맞닿기까지 피스톤 로드(63)와 피스톤(64)은 신장 방향 A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의 유압 실린더(61)에서는, 스트로크 L은 단면(64a)과 단면(89a)의 사이의 길이로 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장된 상태에서는, 제2 공간(70)에 공급된 작동유에 의한 유압과, 제1 가압 부재(66) 및 제2 가압 부재(67)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피스톤 로드(63)가 신장된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또한, 제2 공간(70)으로의 유압이 부여되지 않는 상태로 되었다고 해도, 제1 가압 부재(66) 및 제2 가압 부재(67)에 의해 피스톤 로드(63)는 신장 방향 A로 가압되고 있으므로, 도 14에 나타낸 신장 상태가 유지된다.
즉, 본 실시형태의 유압 실린더(61)는, 제2 공간(70)에 유압이 가해져 있지 않은 경우라도, 신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유압 실린더(61)는, 실린더 튜브(62)와, 피스톤 로드(63)와, 피스톤(64)과, 제1 가압 부재(66) 및 제2 가압 부재(67)(스프링 부재의 일례)를 구비한다. 피스톤 로드(63)는, 길이 방향이 신축 방향(신장 방향 A 및 수축 방향 B)을 따르도록 실린더 튜브(62) 내에 삽입되어 있다. 피스톤(64)은, 피스톤 로드(63)에 고정되어 있고, 실린더 튜브(62)의 내주면(71a)을 슬라이딩한다. 제1 가압 부재(66) 및 제2 가압 부재(67)는, 피스톤 로드(63)의 신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피스톤 로드(63)를 신장 방향 A로 가압한다. 피스톤 로드(63)에는, 수축 방향 B 측의 단면(77b)에 개구(78a)를 가지고, 개구(78a)로부터 신장 방향 A를 향해 내측 공간(78)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압 부재(66) 및 제2 가압 부재(67)는, 내측 공간(78)에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피스톤 로드(63)의 내측에 내측 공간(78)이 형성되고, 그 공간에 제1 가압 부재(66) 및 제2 가압 부재(67)가 삽입되어 있다. 이로써, 제1 가압 부재(66) 및 제2 가압 부재(67)는, 피스톤 로드(63)의 단면(77b)이 실린더 튜브(62)의 바닥면(72a)에 맞닿기까지 밖에 수축되지 않는다. 즉, 스프링 시트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제1 가압 부재(66) 및 제2 가압 부재(67)의 지나친 수축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로써, 유압 실린더를 대형화하지 않아도 큰 스트로크를 얻는 것을 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 로드(63)가 신장 방향 A로 가압되고, 작동유가 공급되지 않을 경우라도 제1 가압 부재(66) 및 제2 가압 부재(67)에 의해 신장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유압 실린더(61)는, 원기둥형의 가이드 부재(65)를 더 구비한다. 제1 가압 부재(66) 및 제2 가압 부재(67)는 코일형이다. 가이드 부재(65)는, 길이 방향이 신축 방향을 따르도록 제1 가압 부재(66) 및 제2 가압 부재(67)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65)의 단(81)(일단의 일례)은, 피스톤 로드(63)의 단면(77b)에 대향하는 실린더 튜브(62)의 바닥면(72a)에 유지되어 있다.
이로써, 가이드 부재(65)에 의해 제1 가압 부재(66) 및 제2 가압 부재(67)를 신축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으므로, 제1 가압 부재(66) 및 제2 가압 부재(67)의 좌굴(座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피스톤 로드(63)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고, 보다 스트로크를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65)의 위치를, 실린더 튜브(62) 내의 소정 위치(예를 들면, 중앙)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유압 실린더(61)는, 가이드 부재(65) 중 적어도 단(81)(일단의 일례) 측은, 통형상이다. 실린더 튜브(62)는, 바닥면(72a)으로부터 신장 방향 A으로 돌출된 돌출부(87)를 가진다. 통형상의 내측으로 돌출부(87)가 끼워넣어지는 것에 의해 가이드 부재(65)의 단(81)(일단)은 바닥면(72a)에 유지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 부재(65)를 돌출부(87)에 끼워넣는 것만의 간단한 조립으로 가이드 부재(65)를 바닥면(72a)에 유지하여,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65)의 단(81)을 바닥면(72a)의 중앙에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유압 실린더(61)는, 제1 가압 부재(66) 및 제2 가압 부재(67)는 코일형이다. 유압 실린더(61)가 가장 신장된 상태에 있어서, 제1 가압 부재(66) 및 제2 가압 부재(67)의 길이가 자연 길이보다 짧다.
이와 같이, 피스톤 로드(63)가 실린더 튜브(62)로부터 가장 신장된 상태에 있어서, 제1 가압 부재(66) 및 제2 가압 부재(67)의 길이가 자연 길이보다 짧으므로, 작동유가 공급되지 않을 경우라도 제1 가압 부재(66) 및 제2 가압 부재(67)에 의해 신장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유압 실린더(61)는, 유지링(68)(링형 부재의 일례)을 더 포함하고 있다. 유지링(68)은, 가이드 부재(65)의 외주면(65a)과 내측 공간(78)의 내주면(77a)의 사이에 배치되고 외주면(65a) 및 내주면(77a)을 슬라이딩한다. 유지링(68)을 협지하여 나누어진 2개의 제1 가압 부재(66)와 제2 가압 부재(67)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지링(68)이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가이드 부재(65)는 바닥면(72a)뿐아니라 유지링(68)에 의해서도 유지되고, 가이드 부재(65)를 더욱 안정적으로 소정 위치에서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65)를 돌출부(87)에 끼워넣어, 유지링(68)을 가이드 부재(65)에 끼우는 것만으로 가이드 부재(65)를 2점 유지하게 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조립으로 가이드 부재(65)를 양호한 정밀도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유압 실린더(61)에서는, 가이드 부재(65)는, 돌기(83)를 가진다. 돌기(83)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제1 가압 부재(66)의 신장 방향 A 측의 단(84a)은, 내측 공간(78)의 신장 방향 A 측의 내면(76a)에 맞닿고, 제2 가압 부재(67)의 수축 방향 B 측의 단(85b)은, 돌기(83)와 맞닿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작동유가 공급되지 않을 경우라도 제1 가압 부재(66) 및 제2 가압 부재(67)에 의해 신장 상태가 유지된다.
피스톤 로드(63)가 신장 방향 A로 가압되고, 제1 가압 부재(66) 및 제2 가압 부재(67)에 의해 신장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2 가압 부재(67)의 단(85b)은, 가이드 부재(65)의 돌기(83)와 맞닿아 있지만, 돌기(83)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바닥면(72a)에 맞닿아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돌기(83)는 바닥면(72a)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3에 나타낸 것보다 신장 방향 A 측으로 돌기(83)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2 단부(76)의 내면(76a)과 돌출부(91)가 형성되고, 제1 가압 부재(66)의 단(84a)이, 돌출부(91)와 통형부(77)의 사이에 끼워져 있지만, 돌출부(91)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단(84a)이, 내면(76a)에 맞닿는 것만으로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지링(68)에 의해 분할된 제1 가압 부재(66)와 제2 가압 부재(67)가 설치되어 있지만, 제1 가압 부재(66) 및 제2 가압 부재(67)가 더 분할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립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가이드 부재(65)를 제1 단부(72)와 접합하지 않고, 제1 가압 부재(66), 제2 가압 부재(67) 및 유지링(68)의 사이도 접합하고 있지 않지만, 용접 등에 의해 접합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지링(68)이 설치되고, 유지링(68)을 협지하여 제1 가압 부재(66)와 제2 가압 부재(67)가 설치되어 있었지만, 유지링(68)이 설치되지 않고, 2개의 가압 부재로 나누어져 있지 않아도 된다. 도 15 및 도 16은, 유지링(68)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유압 실린더(161)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유압 실린더(161)가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6은, 유압 실린더(161)가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유압 실린더(161)의 외관은, 유압 실린더(61)와 같기 때문에 생략한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유압 실린더(161)의 가이드 부재(65)는, 상기 실시형태의 유압 실린더(61)의 가이드 부재(65)와 달리, 실린더 튜브(62)의 제1 단부(7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161)의 제1 단부(72)에는, 유압 실린더(61)의 제1 단부(72)와 달리, 돌출부(87)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원기둥 형상의 가이드 부재(65)가 신장 방향 A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65)의 신축 방향의 길이는, 도 16에 나타낸 신장 상태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63)와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유압 실린더(161)에서는, 유지링(68)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가압 부재를 2개의 가압 부재로 나눌 필요가 없어, 1개의 가압 부재(166)가 설치되어 있다.
가압 부재(166)는, 가이드 부재(65)의 외주면(65a)과 내측 공간(78)의 내주면(77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가압 부재(166)의 신장 방향 A 측의 단(166a)이, 돌출부(91)와 통형부(77)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수축 방향 B 측의 단(166b)이, 제1 단부(72)의 내측의 면인 실린더 튜브(62)의 바닥면(72a)에 맞닿아 있다.
그리고,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유압 실린더(161)에서는, 가이드 부재(65)가 제1 단부(7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지링(68)을 설치하지 않을 경우라도 가이드 부재(65)를 실린더 튜브(62)의 중앙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유압 실린더(161)에서는, 가이드 부재(65)는 제1 단부(7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용접 등에 의해 가이드 부재(65)가 제2 단부(76)에 고정되어도 된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유압 실린더(161)에는, 가이드 부재(65)가 설치되어 있지만, 가이드 부재(65)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도 17은,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유압 실린더(261)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유압 실린더(261)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유압 실린더(261)가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9는, 유압 실린더(261)가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부(72)의 내측의 면인 실린더 튜브(62)의 바닥면(72a)에는, 신장 방향 A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87)가 형성되어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유압 실린더(261)에는, 유압 실린더(161)와 마찬가지로 1개의 가압 부재(266)가 설치되어 있다.
가압 부재(266)의 신장 방향 A 측의 단(266a)은, 돌출부(91)와 통형부(77)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또한, 가압 부재(266)의 수축 방향 B 측의 단(266b)의 내측으에 돌출부(87)가 끼워져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87)가, 가압 부재(266)의 단(266b)(제1 단의 일례)의 내측에 끼워맞추어지는 것에 의해,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장 상태에 있어서도 가압 부재(266)의 위치가 실린더 튜브(62)의 중앙에 유지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유압 실린더(261)에서는, 가이드 부재(65)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가압 부재(166)의 길이를 유압 실린더(161)만큼 길게 할 수 없다. 그러므로, 도 17의 외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 튜브(62)의 통형부(71)가 상기 유압 실린더(161)의 통형부(71)와 비교하면 짧게 형성되어 있지만, 유압 실린더(261)는, 유압 실린더(161)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이 경우라도, 스프링 실링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압 실린더(261)의 사이즈에 대해서는 스트로크를 길게 확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퀵 커플러(10)에서는, 제1 가압 부재(66)와 제2 가압 부재(67)가 유압 실린더(61) 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퀵 커플러(10)의 동작 시에 유압관(21)에 제1 가압 부재(66)와 제2 가압 부재(67)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래 등의 이물질이 제1 가압 부재(66)와 제2 가압 부재(67)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가압 부재를 커플러 본체(2)의 내부에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 및 가압 부재와 유압관(21)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퀵 커플러(10)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제1 연결핀(93)이, 실린더 튜브(62)에 형성되어 있고, 실린더 튜브(62)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제1 단부(72)와 커버부(73)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 연결핀(93)이 실린더 튜브(62)의 제1 단부(72)에 설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유압 실린더(61)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로써, 퀵 커플러(10)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지지공(26)의 형상은, 긴 구멍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지지공(26)이 제1 연결핀(27)보다 큰 원형 또는 타원형이라도 된다.
록 부재(8)는, 전술한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록 부재(8)에 오목부(41), 경사면(43), 또는 스텝부(44)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록 부재(8)는, 회동은 아니고 직선적 또는 곡선적으로 이동함으로써, 록 온 위치와 록 오프 위치로 이동해도 된다.
제2 훅(3)이 핀 이탈방지부(29)에 가장 근접한 상태에서, 제2 훅(3)의 선단과 핀 이탈방지부(29)와의 사이의 간극의 폭은, 제2 훅(3)의 개구의 폭 이상이라도 된다. 또는, 제2 훅(3)의 선단과 핀 이탈방지부(29)가 접촉해도 된다.
가압 부재는,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고, 기체(氣體)나 액체 등의 유체(流體), 또는 탄성 재료 등, 가압력을 생기게 하는 다른 부재로 구성되어도 된다. 가압 부재의 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2개보다 많거나, 또는 1개라도 된다.
탄성 부재(45)가 생략되어도 된다. 커플러 본체(2)의 벽부(15)가 생략되어도 된다.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유압 실린더(61)의 구조가 변경되어도 된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부속품의 장착 시에 자동적으로 록 부재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을 작용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소형화가 가능한 퀵 커플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제1 훅(hook)을 구비하는 커플러 본체;
    상기 제1 훅의 개구 내로 돌출하는 록 온 위치(locking position)와, 상기 록 온 위치로부터 퇴피한 록 오프 위치(unlocking position)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 부재(lock member);
    상기 커플러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훅;
    상기 커플러 본체에 접속되는 제1 단부(端部)와, 상기 제2 훅에 접속되는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신장(伸張)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훅을 상기 제1 훅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슬라이딩시키고, 수축함으로써 상기 제2 훅을 상기 제1 훅에 가까워지도록 슬라이딩시키는 유압(油壓) 실린더;
    상기 유압 실린더의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커플러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핀; 및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2 단부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 본체는, 상기 연결핀을 상기 유압 실린더의 신축(伸縮) 방향으로 가동적(可動的)으로 지지하는 지지공을 가지고,
    상기 유압 실린더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연결핀의 가동 범위 내에서 상기 제2 단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함으로써 상기 록 부재를 상기 록 오프 위치로부터 상기 록 온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유압 실린더 내에 배치되며,
    상기 유압 실린더는, 실린더 튜브와, 피스톤 로드와, 피스톤과, 상기 가압 부재와는 별개의 스프링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는, 길이 방향이 신축 방향을 따르도록 상기 실린더 튜브 내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피스톤 로드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 튜브 내를 슬라이딩하며,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신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를 신장(伸長) 방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피스톤 로드에는, 수축 방향 측의 단면(端面)에 개구를 가지고, 상기 개구로부터 신장 방향을 향해 내측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어 있는,
    퀵 커플러(quick coupler).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공은, 상기 유압 실린더의 신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구멍인, 퀵 커플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퀵 커플러는, 제1 핀과 제2 핀을 통하여 부속품(attachment)을 장착하기 위한 퀵 커플러로서,
    상기 커플러 본체는, 상기 제2 훅의 개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핀 이탈방지부를 더 가지고,
    상기 제2 훅이 상기 제2 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제2 훅의 선단과 상기 핀 이탈방지부와의 사이의 간극의 폭은, 상기 제2 핀의 직경보다 좁은, 퀵 커플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공에 삽입되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는, 퀵 커플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 부재는,
    상기 커플러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기단부(基端部);
    상기 록 온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훅의 개구 내로 돌출하는 선단부; 및
    상기 기단부와 상기 선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압 실린더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록 부재를 향해 돌출하는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 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록 부재는 상기 록 오프 위치에 위치하는, 퀵 커플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록 부재는, 상기 오목부에 접속되는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오목부에 대하여 상기 제2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단부를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기 경사면으로 이동하여 상기 경사면을 압압(押壓)함으로써, 상기 록 부재는 상기 록 오프 위치로부터 상기 록 온 위치로 이동하는, 퀵 커플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 본체는, 상기 유압 실린더의 신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벽부를 구비하는, 퀵 커플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연결핀의 가동 범위 내에서 상기 제2 단부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함으로써, 상기 록 부재를 상기 록 온 위치로부터 상기 록 오프 위치로 이동시키는, 퀵 커플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훅은,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플러 본체는, 상기 돌기부가 배치되는 홈을 가지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 훅이 상기 커플러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하고,
    상기 홈에는, 상기 제2 훅을 이탈 방지하는 스토퍼 부재가 장착되는, 퀵 커플러.
  10. 삭제
  11. 삭제
KR1020167022163A 2014-06-26 2015-06-23 퀵 커플러 KR1018302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31345 2014-06-26
JPJP-P-2014-131345 2014-06-26
JP2015052028 2015-03-16
JPJP-P-2015-052028 2015-03-16
PCT/JP2015/068061 WO2015199081A1 (ja) 2014-06-26 2015-06-23 クイックカプ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317A KR20160107317A (ko) 2016-09-13
KR101830253B1 true KR101830253B1 (ko) 2018-02-20

Family

ID=54938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163A KR101830253B1 (ko) 2014-06-26 2015-06-23 퀵 커플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03091B2 (ko)
JP (2) JP6178509B2 (ko)
KR (1) KR101830253B1 (ko)
CN (1) CN106062283B (ko)
AU (2) AU2015281831B2 (ko)
DE (1) DE112015001153T5 (ko)
WO (1) WO201519908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795B1 (ko) 2018-10-26 2018-12-13 유한회사 대한중공업 굴삭기용 회전링크
KR102213709B1 (ko) 2020-10-12 2021-02-08 황규관 고정후크 잠금 기능이 구비된 퀵 커플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5703A (en) * 2012-09-10 2014-03-12 Geith Internat Ltd A locking mechanism for use in a quick hitch coupling
JP6284445B2 (ja) * 2014-06-26 2018-02-2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クイックカプラ
WO2017079792A1 (en) * 2015-11-09 2017-05-18 Elite Attachments Australia Pty Ltd A piston and cylinder system
WO2018056841A1 (en) * 2016-09-20 2018-03-29 Bruce Archibald Short Quick hitch coupler
DE102018105049A1 (de) 2018-03-06 2019-09-12 Oilquick Deutschland Gmbh Schnellwechsler
GB2610148B (en) * 2018-06-25 2023-08-09 Miller Uk Ltd Coupler
GB2610147B (en) * 2018-06-25 2023-08-09 Miller Uk Ltd Coupler
GB2576131B (en) * 2018-06-25 2023-01-18 Miller Uk Ltd Coupler
KR101955676B1 (ko) * 2018-10-26 2019-03-07 유한회사 대한중공업 직선 운동하는 가동후크가 구비된 퀵 커플러
GB2580109A (en) 2018-12-21 2020-07-15 Geith International Ltd A coupler for coupling an attachment to a dipper arm
EP3770330B1 (de) 2019-07-25 2023-07-12 Rädlinger Maschinen- und Stahlbau GmbH Schnellwechsler
CN110792127A (zh) * 2019-11-29 2020-02-14 烟台迈博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液压式平推全自动双保险快速连接器
US20230193582A1 (en) * 2020-03-17 2023-06-22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Quick coupler with front pin safety lock system
DE102020127481B3 (de) * 2020-10-19 2021-04-15 Béla Cseri Besitzunternehmung GbR (vertretungsberechtigter Gesellschafter: Béla Cseri, 89129 Langenau) Schnellwechsler mit Sperrklappe
KR102237538B1 (ko) * 2020-10-27 2021-04-07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퀵 체인지 디바이스
JP7393317B2 (ja) 2020-11-02 2023-12-06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アタッチメント着脱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建設機械
KR102213444B1 (ko) * 2020-12-07 2021-02-05 손태진 어태치먼트의 추락방지수단을 갖는 굴삭기용 링크
WO2022244896A1 (en) * 2021-05-17 2022-11-24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Quick coupler
DE102021134486B3 (de) 2021-12-23 2022-09-15 Béla Cseri Besitzunternehmung GbR (vertretungsberechtigter Gesellschafter: Béla Cseri, 89129 Langenau) Schnellwechsl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37220A1 (en) * 2001-12-06 2006-02-23 Cunningham Bartholomew J Coupler for coupling an accessory to a dipper arm and a control system for such a coupler
US20070166143A1 (en) 2006-01-13 2007-07-19 Hart Michael D Quick coupler lock system
US20100061799A1 (en) 2008-09-08 2010-03-11 Ian Hill Coupler with gravity operated safety device
JP2010523908A (ja) * 2007-04-05 2010-07-15 トラクト−テヒニー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犠牲要素を有するロッド継手
US20120237283A1 (en) 2011-03-14 2012-09-20 Brandt Industries Ltd. Compact quick coupling mechanism for tool attachment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9035Y1 (ko) * 1967-11-14 1973-03-09
JPS499035Y1 (ko) * 1969-09-25 1974-03-02
JPS601406A (ja) * 1983-05-27 1985-01-07 Riken Seiki Kk 液圧シリンダ構造
JPH01166571A (ja) 1987-12-23 1989-06-30 Hitachi Ltd 半導体装置
US5147173A (en) * 1991-06-03 1992-09-15 Caterpillar Inc. Coupling device
JPH05256307A (ja) 1992-03-11 1993-10-05 Kayaba Ind Co Ltd パワーシリンダ
DE9314409U1 (de) * 1993-09-23 1994-03-10 Lehnhoff Hartstahl Gmbh & Co Schnellwechselvorrichtung
JP2756078B2 (ja) 1993-12-16 1998-05-25 博 小野寺 アタッチメント用カプラ
KR100202087B1 (ko) * 1995-12-30 1999-06-15 토니헬샴 중장비의 어태치먼트 착탈장치
JP4446414B2 (ja) * 1999-12-28 2010-04-07 森精機興産株式会社 工作物供給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6379075B1 (en) * 2000-01-18 2002-04-30 Gh Hensley Industries, Inc. Quick coupler apparatus
PL200100B1 (pl) * 2001-03-09 2008-12-31 Liebherr Hydraulikbagger Szybkozłącze
WO2002088476A1 (en) * 2001-05-02 2002-11-07 Bruce Archibald Short Connection apparatus
KR100430064B1 (ko) * 2001-05-18 2004-05-03 한국기계연구원 굴삭기용 퀵 커플러
CA2473403A1 (en) * 2004-07-09 2006-01-09 Carol Murray Excavation bucket
JP5237561B2 (ja) 2007-01-16 2013-07-17 株式会社室戸鉄工所 アタッチメントカプラ
IES20070351A2 (en) * 2007-05-14 2008-04-16 Geith Patents Ltd A coupler for the working arm(s) of an excavator or the like
US7984575B2 (en) * 2007-07-05 2011-07-26 Caterpillar Inc. Quick coupler assembly
CA2651295A1 (en) * 2009-01-27 2010-07-27 Nye Manufacturing Ltd. Coupler device to connect bucket or tool to boom arm
AU2010301197B2 (en) * 2009-09-29 2015-12-10 Doherty Engineered Attachments Limited A coupler
EP2510159B1 (en) * 2009-12-09 2021-08-11 Hughes Asset Group Pty Ltd Coupler assembly for a soil shifting machine
JP2011236593A (ja) * 2010-05-07 2011-11-24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CN103299002B (zh) * 2010-11-12 2016-02-10 妮科尔·伊丽莎白·波西蒂 液压悬挂总成
US8974137B2 (en) * 2011-12-22 2015-03-10 Caterpillar Inc. Quick coupler
US9217235B2 (en) * 2012-05-30 2015-12-22 Caterpillar Inc. Tool coupler system having multiple pressure sources
EP3060724A4 (en) * 2013-10-22 2017-08-16 Doherty Engineered Attachments Limite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ouplers
GB2541536B (en) * 2013-12-24 2020-06-17 Doherty Engineered Attachments Ltd Improvements to coupler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37220A1 (en) * 2001-12-06 2006-02-23 Cunningham Bartholomew J Coupler for coupling an accessory to a dipper arm and a control system for such a coupler
US20070166143A1 (en) 2006-01-13 2007-07-19 Hart Michael D Quick coupler lock system
JP2010523908A (ja) * 2007-04-05 2010-07-15 トラクト−テヒニー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犠牲要素を有するロッド継手
US20100061799A1 (en) 2008-09-08 2010-03-11 Ian Hill Coupler with gravity operated safety device
US20120237283A1 (en) 2011-03-14 2012-09-20 Brandt Industries Ltd. Compact quick coupling mechanism for tool attach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795B1 (ko) 2018-10-26 2018-12-13 유한회사 대한중공업 굴삭기용 회전링크
KR102213709B1 (ko) 2020-10-12 2021-02-08 황규관 고정후크 잠금 기능이 구비된 퀵 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5281831A1 (en) 2016-09-22
AU2017202314B2 (en) 2018-07-12
DE112015001153T5 (de) 2016-12-22
JP6435023B2 (ja) 2018-12-05
JPWO2015199081A1 (ja) 2017-04-20
JP6178509B2 (ja) 2017-08-09
AU2015281831B2 (en) 2017-02-23
AU2017202314A1 (en) 2017-04-27
CN106062283B (zh) 2018-04-17
JP2017198345A (ja) 2017-11-02
KR20160107317A (ko) 2016-09-13
US20170067223A1 (en) 2017-03-09
CN106062283A (zh) 2016-10-26
US9903091B2 (en) 2018-02-27
WO2015199081A1 (ja)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253B1 (ko) 퀵 커플러
KR101776081B1 (ko) 퀵 커플러
KR101463453B1 (ko) 가이드를 구비한 가스 스프링
CN1075618C (zh) 带有安全阀和卸压阀的快速耦合管件
EP1840442A1 (en) Joint member for pipe joint
KR20190010544A (ko) 조작봉의 연결 구조
JP6758730B1 (ja) ソケットおよびそれを有する管継手
KR101867172B1 (ko) 댐퍼
JP2010236637A (ja) アクチュエータ
GB2613494A (en) Multistage fluid pressure cylinder
CN114483853A (zh) 阻尼器装置
JP6044534B2 (ja) フード跳ね上げ装置
JP2016008478A (ja) クイックカプラ、及びクイックカプラにアタッチメントを取り付ける方法
JP4660156B2 (ja) 燃料逆流防止バルブ
JP6488219B2 (ja) 吐出器および吐出器の製造方法
JP6670678B2 (ja) 蓄圧式吐出器
JP2009236204A (ja) クイックコネクタ
JP2014121956A (ja) 燃料タンク用の給油路
JP6509149B2 (ja) 管状体のロック機構
JP4633614B2 (ja) マスタシリンダ
WO2018216143A1 (ja) 管状体のロック機構
JP2019138379A (ja) 管継手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