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081B1 - 퀵 커플러 - Google Patents

퀵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081B1
KR101776081B1 KR1020167031102A KR20167031102A KR101776081B1 KR 101776081 B1 KR101776081 B1 KR 101776081B1 KR 1020167031102 A KR1020167031102 A KR 1020167031102A KR 20167031102 A KR20167031102 A KR 20167031102A KR 101776081 B1 KR101776081 B1 KR 101776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connection pin
hydraulic cylinder
hook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2387A (ko
Inventor
다이지로 이토
쓰요시 요시다
아키라 하시모토
다쿠야 쓰카다
겐이치 히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60142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63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hydraulically-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18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two separating hoo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45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auto-engagement means for automatic snap-on of the tool coupler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Shovels (AREA)

Abstract

가이드공의 에지는,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와, 가이드부를 가진다. 제1 접촉부는, 제2 연결핀이 록 작동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연결핀과 접촉한다. 제2 접촉부는, 제2 연결핀이 록 해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연결핀과 접촉한다. 가이드부는,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와의 사이에 있어서 제2 연결핀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이드부는, 록 작동 위치로부터 록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제2 연결핀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제2 록 부재를 록 온 위치로부터 록 오프 위치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퀵 커플러{QUICK COUPLER}
본 발명은, 퀵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유압 셔블(hydraulic shovel) 등의 작업 차량(work vehicle)에는, 버킷(bucket), 커터, 브레이커, 포크 등의 다양한 부속품(attachment)이 장착된다. 이와 같은 부속품을 작업 차량에 간단하고 용이하게 장착하기 위한 부품으로서, 퀵 커플러가 알려져 있다. 퀵 커플러는, 작업 차량에 장착된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퀵 커플러는, 고정 훅과 가동(可動) 훅을 가지고 있고, 이들 훅이 부속품에 설치된 2개의 핀에 거는 것에 의해, 부속품이 퀵 커플러에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훅에 의해 부속품이 퀵 커플러에 장착되는 경우, 훅에 대하여 핀을 이탈 방지하기 위한 록 부재(lock member)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의 퀵 커플러에서는, 가동 훅에 설치된 보스에 록핀이 삽입되므로, 훅에 대한 핀의 이탈 방지가 행해진다.
일본 공개특허 평7-166571호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퀵 커플러에서는, 작업자에 의해 록핀이 장착된다. 그와 같은 작업은 번거로우므로, 부속품의 장착 시에 자동적으로 록 부재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이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속품의 분리 시에는, 자동적으로 록 부재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이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부속품의 착탈(着脫) 시에 자동적으로 록 부재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의 작용과 해제가 행해지는 퀵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態樣)에 관한 퀵 커플러는, 커플러 본체와, 가동 부재와, 유압(油壓) 실린더와, 제2 연결핀과, 제2 록 부재와, 가압 부재를 구비한다. 커플러 본체는, 제1 훅을 가진다. 가동 부재는, 제2 훅을 가지고, 커플러 본체에 대하여 가동적으로 지지된다. 유압 실린더는, 커플러 본체에 접속되는 제1 단부(端部)와, 가동 부재에 접속되는 제2 단부를 가진다. 유압 실린더는, 신장(伸張)되는 것에 의해 제2 훅이 제1 훅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가동 부재를 이동시킨다. 유압 실린더는, 수축함으로써 제2 훅이 제1 훅에 가까워지도록 가동 부재를 이동시킨다.
제2 연결핀은, 유압 실린더의 제2 단부와 가동 부재를 연결한다. 제2 록 부재는, 록 온 위치와, 록 오프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록 부재는, 록 온 위치에 있어서 제2 훅의 개구 내로 돌출한다. 제2 록 부재는, 록 온 위치에 있어서, 록 온 위치로부터 퇴피한 상태로 된다. 가압 부재는, 제2 록 부재를 록 온 위치를 향해 가압한다.
가동 부재는, 제2 지지공을 가진다. 제2 지지공은, 유압 실린더의 신축(伸縮) 방향에 따른 록 해제 위치와 록 작동 위치와의 사이에서 제2 연결핀을 가동적으로 지지한다. 유압 실린더가 신장됨으로써, 제2 연결핀은, 록 해제 위치로부터 록 작동 위치로 이동한다. 유압 실린더가 수축함으로써, 제2 연결핀은, 록 작동 위치로부터 록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 제2 록 부재는, 제2 지지공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공을 가진다. 제2 연결핀은, 제2 지지공과 가이드공에 삽입되어 있다.
가이드공의 에지는,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와, 가이드부를 가진다. 제1 접촉부는, 제2 연결핀이 록 작동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연결핀과 접촉한다. 제2 접촉부는, 제2 연결핀이 록 해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연결핀과 접촉한다. 가이드부는,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와의 사이에 있어서 제2 연결핀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이드부는, 록 작동 위치로부터 록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제2 연결핀에 의해 압압(押壓)됨으로써,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제2 록 부재를 록 온 위치로부터 록 오프 위치로 이동시킨다.
본 태양에 관한 퀵 커플러에서는, 유압 실린더가 신장되는 것에 의해, 유압 실린더의 제2 단부가, 제1 단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한다. 이로써, 제2 훅이 제1 훅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한다. 그 결과, 제1 훅과 제2 훅과의 각각이 부속품의 핀에 걸려, 부속품이 퀵 커플러에 장착된다.
또한, 유압 실린더가 신장되면, 제2 연결핀은, 록 해제 위치로부터 록 작동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제2 록 부재가 록 오프 위치로부터 록 온 위치로 이동한다. 이로써, 자동적으로 제2 록 부재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이 작용한다.
반대로, 유압 실린더가 수축함으로써, 유압 실린더의 제2 단부가, 제1 단부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한다. 이로써, 제2 훅이 제1 훅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한다. 그 결과, 제1 훅과 제2 훅과의 각각이 부속품의 핀으로부터 벗어나, 부속품이 퀵 커플러로부터 분리(release)된다.
또한, 유압 실린더가 수축되면, 제2 연결핀이, 록 작동 위치로부터 록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 제2 록 부재의 가이드부가, 제2 연결핀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제2 록 부재가,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록 온 위치로부터 록 오프 위치로 이동한다. 이로써, 제2 록 부재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이 자동적으로 해제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지지공은, 유압 실린더의 신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구멍이다. 이 경우, 제2 단부는, 긴 구멍을 따라 유압 실린더의 신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 록 부재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을 작용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퀵 커플러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록 부재는, 록 온 위치와 록 오프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回動) 가능하게 가동 부재에 지지된다. 이 경우, 간단한 구조로 제2 록 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공의 에지는, 제1 코너부와, 제2 코너부와, 제3 코너부와,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와, 제3 접속부를 가진다. 제1 코너부는, 제1 접촉부를 포함한다. 제2 코너부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한다. 제3 코너부는, 제1 코너부에 대하여 제2 록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 접속부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제1 코너부와 제2 코너부를 접속한다. 제2 접속부는, 제2 코너부와 제3 코너부를 접속한다. 제3 접속부는, 제3 코너부와 제1 코너부를 접속한다. 이 경우, 간단한 구조이며 제2 록 부재를 제2 연결핀의 동작에 연동(連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연결핀이 록 작동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제2 록 부재가 록 온 위치로부터 록 오프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공의 제3 코너부는, 록 작동 위치에 위치하는 제2 연결핀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아래쪽에 배치된다.
이 경우, 제2 연결핀이 록 작동 위치에 위치하고 있어도, 제2 록 부재는 록 온 위치로부터 록 오프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부속품의 핀을 제2 훅의 개구의 외측으로부터 제2 록 부재에 가압함으로써, 제2 록 부재를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록 온 위치로부터 록 오프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제2 록 부재가 록 온 위치에 위치하고 있어도, 부속품의 핀을 제2 훅의 개구에 삽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퀵 커플러는, 제1 록 부재와, 제1 연결핀을 더 구비한다. 제1 록 부재는, 록 온 위치와 록 오프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록 부재는, 록 온 위치에 있어서, 제1 훅의 개구 내로 돌출한다. 제1 록 부재는, 록 오프 위치에 있어서, 록 온 위치로부터 퇴피한 상태로 된다. 제1 연결핀은, 유압 실린더의 제1 단부와 커플러 본체를 연결한다.
커플러 본체는, 제1 연결핀을 유압 실린더의 신축 방향으로 가동적으로 지지하는 제1 지지공을 가진다. 유압 실린더의 제1 단부는, 제1 연결핀의 가동 범위 내에서 제2 단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함으로써 제1 록 부재를 록 오프 위치로부터 록 온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유압 실린더가 신장되면, 유압 실린더의 제1 단부가, 제1 연결핀의 가동 범위 내에서 제2 단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한다. 이 제1 단부의 동작에 따라 제1 록 부재가 록 오프 위치로부터 록 온 위치로 이동한다. 이로써, 부속품의 장착 시에 자동적으로 제1 록 부재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을 작용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지지공은, 유압 실린더의 신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구멍이다. 이 경우, 제1 단부는, 긴 구멍을 따라 유압 실린더의 신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록 부재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을 작용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퀵 커플러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퀵 커플러는, 제1 지지공에 삽입되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한다. 탄성 부재는, 제2 단부로부터 제1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1 연결핀을 압압한다. 이 경우, 고장에 의해 유압 실린더의 신장되는 힘이 없어져도, 탄성 부재의 압압력(押壓力)에 의해 제1 연결핀의 위치가 유지된다. 이로써, 제1 록 부재가 록 온 위치에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압 실린더의 제1 단부는, 제1 연결핀의 가동 범위 내에서 제2 단부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함으로써, 제1 록 부재를 록 온 위치로부터 록 오프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부속품의 분리 시에 자동적으로 제1 록 부재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속품의 장착 시에 자동적으로 록 부재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을 작용하게 하는 동시에, 부속품의 분리 시에 자동적으로 록 부재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퀵 커플러가 장착된 유압 셔블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퀵 커플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퀵 커플러의 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4는 퀵 커플러의 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퀵 커플러의 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퀵 커플러의 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퀵 커플러의 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 지지공과 탄성 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제1 지지공과 탄성 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2 록 부재 및 그 주위의 확대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관한 퀵 커플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퀵 커플러(1)가 장착된 작업 차량(100)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작업 차량(100)은, 예를 들면, 유압 셔블이다. 단, 작업 차량(100)은, 유압 셔블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작업 차량이라도 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 차량(100)은, 암(arm)(101)과 링크 부재(102)와 부속품(103)을 가진다. 그리고, 도 1에서는, 부속품(103)의 일례로서의 버킷이 도시되어 있지만, 부속품(103)은, 버킷에 한정되지 않고, 커터, 브레이커, 포크 등 다른 부속품이라도 된다.
퀵 커플러(1)는, 암 핀(arm pin)(104)을 통하여 암(101)에 접속된다. 퀵 커플러(1)는, 링크 핀(105)을 통하여 링크 부재(102)에 접속된다. 퀵 커플러(1)는, 제1 핀(106)과 제2 핀(107)을 통하여 부속품(103)에 접속된다.
도 2는, 퀵 커플러(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퀵 커플러(1)의 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퀵 커플러(1)는, 커플러 본체(2)와 가동 부재(3)를 가진다. 커플러 본체(2)는, 암 핀 지지공(11)과 링크 핀 지지공(12)을 가진다. 암 핀 지지공(11)에는, 암 핀(104)이 삽입된다. 링크 핀 지지공(12)에는, 링크 핀(105)이 삽입된다.
커플러 본체(2)는, 제1 훅(4)을 가진다. 제1 훅(4)은, 제1 핀(106)에 건다. 가동 부재(3)는, 커플러 본체(2)와 별체이다. 가동 부재(3)는, 제2 훅(5)을 가진다. 제2 훅(5)은, 제2 핀(107)에 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퀵 커플러(1)에 있어서는, 암 핀 지지공(11)에 대하여 링크 핀 지지공(12)이 위치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하고, 그 반대를 후방이라고 한다. 암 핀 지지공(11) 및 링크 핀 지지공(12)에 대하여 제1 훅(4) 및 제2 훅(5)이 위치하는 방향을 하방이라고 하고, 그 반대를 상방이라고 한다. 또한, 암 핀 지지공(11)의 축선 및 링크 핀 지지공(12)의 축선이 연장되는 방향을 폭 방향 또는 측방이라고 한다. 단, 이들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상기한 바와 같이 퀵 커플러(1)를 보았을 때 특정되는 것으로서, 퀵 커플러(1)의 장착 방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플러 본체(2)는, 제1 측면부(13)와 제2 측면부(14)와 벽부(15)를 가진다. 제1 측면부(13)와 제2 측면부(14)는, 각각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의 형상을 가진다. 제1 측면부(13)와 제2 측면부(14)는,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벽부(15)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1 측면부(13)와 제2 측면부(14)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암 핀 지지공(11)과 링크 핀 지지공(12)은, 제1 측면부(13)와 제2 측면부(14)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동 부재(3)는, 커플러 본체(2)에 가동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가동 부재(3)는, 링크 핀(105)을 통하여 커플러 본체(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훅(4)과 제2 훅(5)은, 서로 반대의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훅(4)은, 후방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제2 훅(5)은, 전방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제2 훅(5)은, 제1 훅(4)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퀵 커플러(1)는, 유압 실린더(6)과, 제1 연결핀(7)과, 제2 연결핀(8)을 가진다. 유압 실린더(6)는, 유압관(油壓管)(21)을 통하여, 작업 차량(100)의 유압 시스템에 접속된다. 유압 실린더(6)는, 유압관(21)으로부터의 유압에 의해 신축된다.
유압 실린더(6)는, 제1 단부(22)와 제2 단부(23)를 가진다. 제1 단부(22)는, 커플러 본체(2)에 접속된다. 제2 단부(23)는, 가동 부재(3)에 접속된다. 상세하게는, 유압 실린더(6)는, 실린더 튜브(24)와 피스톤 로드(25)를 가진다. 제1 단부(22)는, 실린더 튜브(24)에 포함된다. 제2 단부(23)는, 피스톤 로드(25)에 포함된다.
제1 연결핀(7)은, 유압 실린더(6)의 제1 단부(22)와 커플러 본체(2)를 연결한다. 커플러 본체(2)는, 제1 지지공(26)을 가진다. 제1 지지공(26)은, 제1 측면부(13)와 제2 측면부(14)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핀(7)은 제1 단부(22)에 장착되어 있고, 제1 단부(22)는, 제1 연결핀(7)을 통하여 커플러 본체(2)에 지지된다.
제1 연결핀(7)은, 제1 지지공(26)에 삽입되어 있다. 제1 지지공(26)은, 유압 실린더(6)의 신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구멍이다. 그러므로, 제1 지지공(26)은, 제1 연결핀(7)을 유압 실린더(6)의 신축 방향으로 가동적으로 지지한다.
제2 연결핀(8)은, 유압 실린더(6)의 제2 단부(23)와 가동 부재(3)를 연결한다. 가동 부재(3)는, 제2 지지공(27)을 가진다. 제2 지지공(27)은, 가동 부재(3)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핀(8)은, 제2 단부(23)에 장착되어 있고, 제2 단부(23)는, 제2 연결핀(8)을 통하여 가동 부재(3)에 지지된다. 제2 지지공(27)은, 유압 실린더(6)의 신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구멍이다. 그러므로, 제2 지지공(27)은, 제2 연결핀(8)을 유압 실린더(6)의 신축 방향으로 가동적으로 지지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부(15)는, 개구(151)를 가진다. 개구(151)는, 제1 단부(22)의 위쪽에 위치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151)를 통하여, 유압관(21)이 커플러 본체(2) 내에 도입되어 있다.
도 4는, 유압 실린더(6)가 도 3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유압 실린더(6)가 도 4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더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6)가 신장되는 것에 의해, 제2 단부(23)는 제1 단부(22)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한다. 이로써, 유압 실린더(6)는, 제2 훅(5)이 제1 훅(4)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가동 부재(3)를 커플러 본체(2)에 대하여 회동시킨다.
도 6은, 유압 실린더(6)가 도 5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수축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유압 실린더(6)가 도 6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더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6)가 수축함으로써, 제2 단부(23)는 제1 단부(22)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한다. 이로써, 유압 실린더(6)는, 제2 훅(5)이 제1 훅(4)에 가까워지도록, 가동 부재(3)를 커플러 본체(2)에 대하여 회동시킨다.
그리고,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4 내지 도 7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낸 구성의 일부가 생략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퀵 커플러(1)는, 제1 록 부재(16)와, 제2 록 부재(17)와, 가압 부재(18)를 가진다. 제1 록 부재(16)는, 부속품(103)의 장착 시에 제1 훅(4)을 자동적으로 이탈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하, 제1 록 부재(16)에 관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록 부재(16)는, 제1 훅(4)의 위쪽에 배치된다. 제1 록 부재(16)는, 제1 록 연결핀(31)을 통하여 커플러 본체(2)에 접속되어 있다. 제1 록 부재(16)는, 기단부(基端部)(32)와 선단부(33)를 가진다. 기단부(32)는, 커플러 본체(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선단부(33)는, 아래쪽을 향해 굴곡된 훅형(hook type)의 형상을 가진다. 즉, 선단부(33)는, 제1 훅(4)을 향해 굴곡된 훅형의 형상을 가진다.
제1 록 부재(16)는, 제1 록 온 위치와 제1 록 오프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3은, 제1 록 부재(16)가 제1 록 오프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 및 도 5는, 제1 록 부재(16)가 제1 록 온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록 온 위치에 있어서, 제1 록 부재(16)의 선단부(33)는 제1 훅(4)의 개구 내로 돌출되어 있다. 이로써, 제1 핀(106)이 제1 훅(4)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록 오프 위치에 있어서, 제1 록 부재(16)의 선단부(33)는, 제1 록 온 위치로부터 퇴피한 상태로 된다. 상세하게는, 제1 록 오프 위치에 있어서, 제1 록 부재(16)의 선단부(33)는, 제1 훅(4)의 개구 내로부터 퇴피한 상태로 된다.
유압 실린더(6)의 제1 단부(22)는, 제2 단부(23)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함으로써 유지 위치로 이동한다. 도 5는, 제1 단부(22)가 유지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 단부(22)는, 유지 위치에 있어서, 제1 록 부재(16)를 제1 록 온 위치에 유지한다. 반대로, 제1 단부(22)는, 제2 단부(23)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함으로써,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 도 3은, 제1 단부(22)가 해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 단부(22)는, 해제 위치에 있어서, 제1 록 부재(16)의 유지를 해제한다.
상세하게는, 유압 실린더(6)의 제1 단부(22)는, 제1 록 부재(16)를 향해 돌출하는 볼록부(34)를 가진다. 볼록부(34)는,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제1 록 부재(16)는, 오목부(35)와 지지부(36)를 가진다. 오목부(35)와 지지부(36)는, 기단부(32)와 선단부(33)와의 사이에 위치한다. 오목부(35)는, 제1 록 부재(16)의 상면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오목한 형상을 가진다. 지지부(36)는, 오목부(35)의 후방에 위치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부(22)가 유지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볼록부(34)는 지지부(36)에 접촉되어 있고, 볼록부(34)는, 제1 록 부재(16)를 제1 훅(4)을 향해 압압하고 있다. 이로써, 제1 록 부재(16)가 제1 록 온 위치에 유지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부(22)가 해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볼록부(34)는 오목부(35)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써, 제1 록 부재(16)가 제1 록 오프 위치에 유지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록 부재(16)는, 오목부(35)에 접속되는 경사면(37)과 스텝부(段部)(38)를 가진다. 경사면(37)과 스텝부(38)는, 기단부(32)와 선단부(33)와의 사이에 위치한다. 경사면(37)은, 오목부(35)에 대하여 제2 단부(23)로부터 제1 단부(22)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경사면(37)은, 오목부(35)의 후방에 배치된다. 스텝부(38)는, 오목부(35)에 대하여 제1 단부(22)로부터 제2 단부(23)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스텝부(38)는, 오목부(35)의 전방에 배치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부(34)가 오목부(35)로부터 경사면(37)으로 이동하여 경사면(37)을 압압함으로써, 제1 록 부재(16)가 회동하여 제1 록 온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부(34)가 오목부(35)로부터 스텝부(38)로 이동하여 스텝부(38)를 압압함으로써, 제1 록 부재(16)가 회동하여 제1 록 오프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지지공(26)에는, 탄성 부재(28)가 삽입된다. 탄성 부재(28)는, 예를 들면, 고무제이다. 단, 탄성 부재(28)는, 탄성력을 생기게 하는 재료이면 되고, 고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재료라도 된다. 탄성 부재(28)는, 제1 지지공(26)에 따른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진다.
도 8은, 제1 단부(22)가 유지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도 5 참조)에서의 제1 연결핀(7)과 탄성 부재(28)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탄성 부재(28)는 제1 연결핀(7)을 압압하고 있다. 도 9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부(22)가 유지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제1 연결핀(7)과 탄성 부재(28)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연결핀(7)이 이동함으로써, 탄성 부재(28)가 제1 연결핀(7)에 의해 압축되어 있다. 즉, 탄성 부재(28)는, 유압 실린더(6)가 수축될 때, 제1 연결핀(7)에 의해 압축되도록 배치된다.
다음에, 제2 록 부재(17)에 관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록 부재(17)는, 부속품(103)의 장착 시에 제2 훅(5)을 자동적으로 이탈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록 부재(17)는, 제2 훅(5)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2 록 부재(17)는, 제2 록 연결핀을 통하여 가동 부재(3)에 접속되어 있다. 제2 록 부재(17)는, 제2 록 연결핀(41)을 통하여 가동 부재(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 록 부재(17)는, 제2 록 온 위치와 제2 록 오프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는, 제2 록 부재(17)가 제2 록 오프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제2 록 부재(17)가 제2 록 온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록 부재(17)는, 제2 록 온 위치에 있어서 제2 훅(5)의 개구 내로 돌출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록 부재(17)는, 제2 록 온 위치에 있어서, 제2 록 온 위치로부터 퇴피한 상태로 된다.
가압 부재(18)는, 제2 록 부재(17)를 제2 록 온 위치를 향해 가압한다. 가압 부재(18)는 연결핀(57)을 통하여 가동 부재(3)에 접속되어 있다. 가압 부재(18)는 연결핀(58)을 통하여 제2 록 부재(17)에 접속되어 있다. 가압 부재(18)는, 스프링(42)과, 스프링 커버(43)와, 샤프트(44)를 가진다. 스프링(42)은, 제2 록 온 위치와 제2 록 오프 위치와의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압축된 상태로 되어 있다. 스프링 커버(43)는, 스프링(42)을 수용하고 있다. 스프링 커버(43)는, 연결핀(57)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가동 부재(3)에 접속되어 있다. 샤프트(44)는, 스프링(42)에 의해 압압되어 있고, 스프링 커버(43)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샤프트(44)는, 연결핀(58)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제2 록 부재(17)에 연결되어 있다.
전술한 제2 지지공(27)은, 유압 실린더(6)의 신축 방향에 따른 록 해제 위치와 록 작동 위치와의 사이에서 제2 연결핀(8)을 가동적으로 지지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록 해제 위치는, 제2 록 부재(17)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을 해제하는 위치이다. 록 작동 위치는, 제2 록 부재(17)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을 작동시키는 위치이다. 유압 실린더(6)가 신장됨으로써, 제2 연결핀(8)은, 록 해제 위치로부터 록 작동 위치로 이동한다. 유압 실린더(6)가 수축함으로써, 제2 연결핀(8)은, 록 작동 위치로부터 록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
제2 록 부재(17)는, 가이드공(45)을 가진다. 가이드공(45)은, 제2 연결핀(8)의 축선 방향에서 볼 때, 제2 지지공(27)과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제2 연결핀(8)은, 제2 지지공(27)과 가이드공(45)에 삽입되어 있다. 가이드공(45)은, 3개의 코너부를 가지는 대략 삼각형상을 가진다.
도 10은, 제2 록 부재(17) 및 그 주위의 확대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공(45)의 에지는, 제1 코너부(46)와, 제2 코너부(47)와, 제3 코너부(48)와, 제1 접속부(51)와, 제2 접속부(52)와, 제3 접속부(53)를 가진다.
그리고, 도 10에 있어서 "8a"는, 록 작동 위치에서의 제2 연결핀(8)의 제2 록 부재(17)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8b"는, 록 해제 위치에서의 제2 연결핀(8)의 제2 록 부재(17)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8"은, 록 작동 위치와 록 해제 위치와의 사이의 위치에서의 제2 연결핀(8)의 제2 록 부재(17)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코너부(46)는, 제1 접촉부(54)를 포함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접촉부(54)는, 제2 연결핀(8)이 록 작동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연결핀(8)과 접촉한다. 제2 코너부(47)는, 제2 접촉부(55)를 포함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접촉부(55)는, 제2 연결핀(8)이 록 해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연결핀(8)과 접촉한다. 제3 코너부(48)는, 제1 코너부(46)에 대하여 제2 록 부재(17)의 가동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3 코너부(48)는, 제1 코너부(46)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제3 코너부(48)는, 제2 코너부(47)의 전방에 위치한다.
제1 접속부(51)는, 제1 코너부(46)와 제2 코너부(47)를 접속한다. 제2 접속부(52)는, 제2 코너부(47)와 제3 코너부(48)를 접속한다. 제3 접속부(53)는, 제3 코너부(48)와 제1 코너부(46)를 접속한다. 제1 접속부(51)는, 가이드부(56)를 포함한다.
가이드부(56)는, 제1 접촉부(54)와 제2 접촉부(55)와의 사이에 있어서 제2 연결핀(8)의 이동 방향(화살표 A8 참조)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이드부(56)는, 제2 연결핀(8)이 록 작동 위치(8a)로부터 록 해제 위치(8b)로 이동할 때, 제2 연결핀(8)에 의해 압압된다. 이로써, 제2 록 부재(17)가, 가압 부재(18)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제2 록 온 위치로부터 제2 록 오프 위치로 이동한다.
제3 접속부(53)는, 록 작동 위치(8a)에 위치하는 제2 연결핀(8)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공(45)의 에지는, 록 작동 위치에 위치하는 제2 연결핀(8)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제3 코너부(48)는, 록 작동 위치(8a)에 위치하는 제2 연결핀(8)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아래쪽에 배치된다. 즉, 가이드공(45)은, 록 작동 위치에 위치하는 제2 연결핀(8)의 아래쪽에, 제2 연결핀(8)을 배치 가능한 공간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제2 연결핀(8)이 록 작동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로, 제2 록 부재(17)가 제2 록 온 위치로부터 제2 록 오프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퀵 커플러(1)에 부속품(103)을 장착할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핀(106)을 제1 훅(4)에 걸리게 한다(화살표 A1 참조). 또한, 제1 핀(106)을 중심으로 퀵 커플러(1) 또는 부속품(103)을 회동시킴으로써, 제2 핀(107)을 제2 훅(5)의 전방에 배치한다(화살표 A2 참조). 그리고, 유압 실린더(6)를 신장시킨다.
유압 실린더(6)를 신장시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부(22)가 제2 단부(23)로부터 이격되도록 제1 지지공(26)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한다(화살표 A3 참조). 이로써, 볼록부(34)가, 제1 록 부재(16)의 오목부(35)로부터 경사면(37)으로 이동하고, 경사면(37)을 압압함으로써 제1 록 부재(16)를 회동시킨다(화살표 A4 참조).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부(22)가 해제 위치에 도달하면, 볼록부(34)가 제1 록 부재(16)의 지지부(36)를 압압한다. 이로써, 제1 록 부재(16)가 제1 록 온 위치에 도달하여, 제1 록 부재(16)에 의해 제1 핀(106)이 제1 훅(4)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볼록부(34)가 지지부(36)를 압압함으로써, 제1 록 부재(16)는 제1 록 온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유압 실린더(6)가 신장되는 것에 의해, 제2 단부(23)가 제1 단부(22)로부터 이격되도록 전방으로 이동한다(화살표 A5 참조). 그리고, 유압 실린더(6)가 더 신장되는 것에 의해, 제2 훅(5)이 제1 훅(4)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가동 부재(3)가 커플러 본체(2)에 대하여 회동한다(화살표 A6 참조). 그 결과, 제2 훅(5)이 제2 핀(107)에 건다.
또한, 유압 실린더(6)가 신장되는 것에 의해, 제2 연결핀(8)이 록 해제 위치로부터 록 작동 위치로 이동한다(화살표 A5 참조). 제2 연결핀(8)이 록 작동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제2 연결핀(8)에 의한 제2 록 부재(17)의 제2 록 오프 위치로의 압압이 해제된다. 그러므로, 제2 록 부재(17)는, 가압 부재(18)의 가압력에 의해 제2 록 온 위치로 이동한다(화살표 A7 참조). 그 결과. 제2 록 부재(17)에 의해 제2 핀(107)이 제2 훅(5)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다음에, 퀵 커플러(1)로부터 부속품(103)을 분리할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6)가 수축되면, 제2 단부(23)가 제1 단부(22)에 가까워지도록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제2 연결핀(8)이 록 작동 위치로부터 록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화살표 A8 참조). 이로써,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연결핀(8)이, 제2 록 부재(17)의 가이드부(56)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면서, 제2 록 부재(17)를 제2 록 오프 위치를 향해 압압한다. 그 결과, 제2 록 부재(17)가 제2 록 오프 위치로 회동한다(화살표 A9 참조). 이로써, 제2 록 부재(17)에 의한 이탈 방지가 해제된다.
유압 실린더(6)가 더 수축되면, 제2 훅(5)이 제1 훅(4)에 가까워지도록, 가동 부재(3)가 커플러 본체(2)에 대하여 회동한다(화살표 A10 참조). 이로써, 제2 훅(5)의 제2 핀(107)에 대한 걸림이 해제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6)가 수축함으로써, 제1 단부(22)가 제2 단부(23)에 가까워지도록 제1 지지공(26)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다(화살표 A11 참조). 이로써, 볼록부(34)가, 제1 록 부재(16)의 지지부(36)로부터 경사면(37)을 통하여, 오목부(35)로 이동한다. 그리고, 볼록부(34)가, 더 후방으로 이동하여 스텝부(38)에 거는 것에 의해, 제1 록 부재(16)를 회동시킨다(화살표 A12 참조). 이로써, 제1 록 부재(16)가 제1 록 오프 위치로 이동하여, 제1 록 부재(16)에 의한 제1 핀(106)의 이탈 방지가 해제된다.
그 후, 제1 핀(106)을 중심으로 퀵 커플러(1) 또는 부속품(103)을 회동시킴으로써, 제2 핀(107)을 제2 훅(5)의 개구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이동시킨다(화살표 A13 참조). 그리고, 제1 훅(4)을 제1 핀(106)으로부터 벗겨진다(화살표 A14 참조). 이상과 같이 하여, 퀵 커플러(1)로부터 부속품(103)이 분리된다.
그리고, 퀵 커플러(1)에 부속품(103)을 장착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1 록 부재(16)의 제1 록 온 위치로의 이동(도 4의 화살표 A4)과 제2 훅(5)의 회동(도 5의 화살표 A6)과의 순번은 어느 쪽이 먼저라도 된다. 퀵 커플러(1)로부터 부속품(103)을 분리해 내는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제1 록 부재(16)의 제1 록 오프 위치로의 이동(도 7의 화살표 A12)과 제2 훅(5)의 회동(도 6의 화살표 A10)과의 순번은 어느 쪽이 먼저라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퀵 커플러(1)에서는, 부속품(103)의 장착 시에, 자동적으로 제1 록 부재(16)와 제2 록 부재(17)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을 작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부속품(103)의 분리 시에, 자동적으로 제1 록 부재(16)와 제2 록 부재(17)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록 부재(17)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라도, 부속품(103)의 제2 핀(107)을 제2 훅(5)의 개구의 외측으로부터 제2 록 부재(17)에 가압함으로써, 제2 록 부재(17)를 가압 부재(18)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제2 록 온 위치로부터 제2 록 오프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제2 록 부재(17)가 제2 록 온 위치에 위치하고 있어도, 부속품의 핀을 제2 훅(5)의 개구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핀(107)이 제2 록 부재(17)를 가압하여 제2 훅(5)의 개구에 삽입된 후에는, 가압 부재(18)의 가압력에 의해 제2 록 부재(17)가 제2 록 온 위치로 되돌려진다. 이로써, 제2 핀(107)이 제2 록 부재(17)에 의해 제2 훅(5)에 이탈이 방지된다.
유압 시스템의 고장 등에 의해, 유압 실린더(6)의 신장되는 힘이 없어져도, 제2 록 부재(17)는, 가압 부재(18)의 가압력에 의해 제2 록 온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탄성 부재(28)에 의해, 제1 연결핀(7)이 가압되고 있으므로, 제1 록 부재(16)가 제1 록 온 위치에 유지된다. 이로써, 부속품(103)을 작업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제1 훅(4)이 파손된 경우라도, 제2 록 부재(17)는 가압 부재(18)의 가압력에 의해 제2 록 온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제2 록 부재(17)에 의해 제2 핀(107)이 제2 훅(5)로부터 빠지지 않기 때문에, 부속품(103)이 퀵 커플러(1)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2 훅(5)이 파손된 경우라도, 유압 실린더(6)의 볼록부(34)가 제1 록 부재(16)의 지지부(36)를 압압함으로써, 제1 록 부재(16)는 제1 록 온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제1 록 부재(16)에 의해 제1 핀(106)이 제1 훅(4)으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부속품(103)이 퀵 커플러(1)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제1 지지공(26) 또는 제2 지지공(27)의 형상은, 긴 구멍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지지공(26)이 제1 연결핀(7)보다 큰 원형 또는 타원형이라도 된다. 제2 지지공(27)이 제2 연결핀(8)보다 큰 원형 또는 타원형이라도 된다.
제1 록 부재(16)는, 전술한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록 부재(16)에 오목부(35), 경사면(37), 또는 스텝부(38)가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제1 록 부재(16)는, 회동이 아니고 직선적 또는 곡선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록 온 위치와 제1 록 오프 위치로 이동해도 된다.
제2 록 부재(17)는, 전술한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2 록 부재(17)의 가이드공(45)의 형상이 변경되어도 된다. 가이드공(45)은, 대략 삼각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등의 다른 다각형상, 또는 타원형, 원형이라도 된다. 또는, 가이드공(45)은, 제2 연결핀(8)의 이동의 궤적에 맞춘 형상이라도 된다.
가압 부재(18)는,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고, 기체(氣體)나 액체 등의 유체(流體), 또는 탄성 재료 등, 가압력이 생기게 하는 다른 부재로 구성되어도 된다. 탄성 부재(28)가 생략되어도 된다. 커플러 본체(2)의 벽부(15)가 생략되어도 된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단부(22)는, 실린더 튜브(24)에 포함되어 있고, 제2 단부(23)는, 피스톤 로드(25)에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제1 단부가 피스톤 로드에 포함되고, 제2 단부(23)가 실린더 튜브에 포함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속품의 장착 시에 자동적으로 록 부재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을 작용하게 하는 동시에, 부속품의 분리 시에 자동적으로 록 부재에 의한 이탈 방지 기능을 해제할 수 있다.
4: 제1 훅
2: 커플러 본체
16: 제1 록 부재
5: 제2 훅
22: 제1 단부
23: 제2 단부
6: 유압 실린더
7: 제1 연결핀
8: 제2 연결핀
26: 제1 지지공
27: 제2 지지공
1: 퀵 커플러
28: 탄성 부재
45: 가이드공
54: 제1 접촉부
55: 제2 접촉부
56: 가이드부

Claims (9)

  1. 제1 훅을 구비하는 커플러 본체;
    제2 훅을 구비하고, 상기 커플러 본체에 대하여 가동적으로 지지되는 가동 부재;
    상기 커플러 본체에 접속되는 제1 단부와, 상기 가동 부재에 접속되는 제2 단부를 가지고, 신장됨으로써 상기 제2 훅이 상기 제1 훅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가동 부재를 이동시키고, 수축됨으로써 상기 제2 훅이 상기 제1 훅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가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유압 실린더;
    상기 유압 실린더의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가동 부재를 연결하는 제2 연결핀;
    상기 제2 훅의 개구 내로 돌출하는 록 온 위치와, 상기 록 온 위치로부터 퇴피한 록 오프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록 부재; 및
    상기 제2 록 부재를 상기 록 온 위치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유압 실린더의 신축 방향에 따른 록 해제 위치와 록 작동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2 연결핀을 가동적으로 지지하는 제2 지지공을 구비하고,
    상기 유압 실린더가 신장됨으로써, 상기 제2 연결핀은, 상기 록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록 작동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유압 실린더가 수축됨으로써, 상기 제2 연결핀은, 상기 록 작동 위치로부터 상기 록 해제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2 록 부재는, 상기 제2 지지공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공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연결핀은, 상기 제2 지지공과 상기 가이드공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공의 에지는,
    상기 제2 연결핀이 상기 록 작동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 연결핀과 접촉되는 제1 접촉부;
    상기 제2 연결핀이 상기 록 해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 연결핀과 접촉되는 제2 접촉부; 및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핀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록 작동 위치로부터 상기 록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상기 제2 연결핀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제2 록 부재를 상기 록 온 위치로부터 상기 록 오프 위치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퀵 커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공은, 상기 유압 실린더의 신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구멍인, 퀵 커플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록 부재는, 상기 록 온 위치와 상기 록 오프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상기 가동 부재에 지지되는, 퀵 커플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공의 에지는,
    상기 제1 접촉부를 포함하는 제1 코너부;
    상기 제2 접촉부를 포함하는 제2 코너부;
    상기 제1 코너부에 대하여 상기 제2 록 부재의 가동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 코너부;
    상기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너부와 상기 제2 코너부를 접속하는 제1 접속부;
    상기 제2 코너부와 상기 제3 코너부를 접속하는 제2 접속부; 및
    상기 제3 코너부와 상기 제1 코너부를 접속하는 제3 접속부;
    를 포함하는, 퀵 커플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핀이 상기 록 작동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록 부재가 상기 록 온 위치로부터 상기 록 오프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3 코너부는, 상기 록 작동 위치의 상기 제2 연결핀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아래쪽에 배치되는, 퀵 커플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훅의 개구 내로 돌출하는 록 온 위치와, 상기 록 온 위치로부터 퇴피한 록 오프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록 부재; 및
    상기 유압 실린더의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커플러 본체를 연결하는 제1 연결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 본체는, 상기 제1 연결핀을 상기 유압 실린더의 신축 방향으로 가동적으로 지지하는 제1 지지공을 구비하고,
    상기 유압 실린더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제1 연결핀의 가동 범위 내에서 상기 제2 단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록 부재를 상기 록 오프 위치로부터 상기 록 온 위치로 이동시키는, 퀵 커플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공은, 상기 유압 실린더의 신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구멍인, 퀵 커플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공에 삽입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2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연결핀을 압압하는, 퀵 커플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제1 연결핀의 가동 범위 내에서 상기 제2 단부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록 부재를 상기 록 온 위치로부터 상기 록 오프 위치로 이동시키는, 퀵 커플러.
KR1020167031102A 2014-06-26 2015-06-23 퀵 커플러 KR101776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31346 2014-06-26
JP2014131346A JP6284445B2 (ja) 2014-06-26 2014-06-26 クイックカプラ
PCT/JP2015/068062 WO2015199082A1 (ja) 2014-06-26 2015-06-23 クイックカプ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387A KR20160142387A (ko) 2016-12-12
KR101776081B1 true KR101776081B1 (ko) 2017-09-07

Family

ID=54938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102A KR101776081B1 (ko) 2014-06-26 2015-06-23 퀵 커플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184224B2 (ko)
JP (1) JP6284445B2 (ko)
KR (1) KR101776081B1 (ko)
CN (1) CN106460359B (ko)
AU (1) AU2015281832B2 (ko)
DE (1) DE112015002420T5 (ko)
WO (1) WO20151990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7018B1 (en) * 2016-09-02 2017-02-14 Equipement Vtc Mfg Inc. Tractor front linkage quick attach coupling system
JP6732233B2 (ja) * 2016-12-06 2020-07-29 株式会社田口クリエイト アタッチメント着脱装置
ES2965897T3 (es) 2017-08-04 2024-04-17 Wedgelock Equipment Ltd Acoplador rápido
KR102086686B1 (ko) * 2018-08-09 2020-03-09 장정수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결합링크
WO2020032293A1 (ko) * 2018-08-09 2020-02-13 장정수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결합링크
US12110649B2 (en) * 2018-11-30 2024-10-08 Hughes Asset Group Pty Ltd. Coupler
WO2020162428A1 (ja) 2019-02-04 2020-08-13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ショベル
KR102708666B1 (ko) * 2019-02-15 2024-09-20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쇼벨
JP6880109B2 (ja) * 2019-03-25 2021-06-02 丸山 俊 建設機械のアタッチメント取付け冶具および建設機械
US11702816B2 (en) * 2020-01-30 2023-07-18 Wedgelock Equipment Limited Quick coupler
JP7393317B2 (ja) * 2020-11-02 2023-12-06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アタッチメント着脱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建設機械
CN113431112B (zh) * 2021-05-28 2022-02-18 中联重科土方机械有限公司 挖掘机的铲斗装配方法
KR20240003322A (ko) 2022-06-30 2024-01-08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건설 기계의 어태치먼트 착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설 기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2859A (ja) 2000-02-11 2003-07-29 ミラー ウエルディング エンジニアーズ リミテッド 掘削機バケット用自在カプラ
JP2010523908A (ja) 2007-04-05 2010-07-15 トラクト−テヒニー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犠牲要素を有するロッド継手
WO2011071394A1 (en) 2009-12-09 2011-06-16 S T Couplers Limited Improvements relating to couplers
KR101210833B1 (ko) 2012-07-26 2012-12-11 주식회사 필엔지니어링 퀵커플러의 자동 안전장치
KR101338036B1 (ko) 2013-03-07 2013-12-11 주식회사 필엔지니어링 퀵커플러의 자동 안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6078B2 (ja) 1993-12-16 1998-05-25 博 小野寺 アタッチメント用カプラ
FR2724957A1 (fr) * 1994-09-26 1996-03-29 Radec Sarl Coupleur a verrouillage autobloquant pour l'accouplement d'outils sur engin de chantier
JP2793165B2 (ja) * 1996-02-06 1998-09-03 甲南電機株式会社 油圧ショベルのアタッチメント着脱装置
JP3703090B2 (ja) * 2001-08-21 2005-10-05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クイックカプラ
US6902346B2 (en) * 2002-03-15 2005-06-07 Hendrix Manufacturing, Ltd. Hydraulic coupler
IES20040194A2 (en) * 2003-09-18 2005-03-23 Caroline Mccormick An excavator tool quick attachment device
WO2008029112A2 (en) * 2006-09-04 2008-03-13 Miller Uk Limited Coupler
DE602007010657D1 (de) * 2006-09-13 2010-12-30 Newry Co Down Kupplung für bagger
US7648305B2 (en) * 2007-02-08 2010-01-19 Cws Industries (Mfg.) Corp. Pin grabber coupler
DE102007016822B4 (de) * 2007-04-05 2009-01-15 Tracto-Technik Gmbh & Co. Kg Gestängekupplung mit Zapfen
US7984575B2 (en) * 2007-07-05 2011-07-26 Caterpillar Inc. Quick coupler assembly
US20090282712A1 (en) * 2008-05-15 2009-11-19 Pruszynski Edwin Coupler for excavating machines and the like
US8262310B2 (en) * 2008-11-20 2012-09-11 Paladin Brands Group, Inc. Coupler with secondary lock on front hook
KR101093218B1 (ko) * 2009-08-12 2011-12-13 주식회사 에버다임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
GB2473630B (en) * 2009-09-17 2013-08-07 Gary Miller Fully automatic coupler for excavator arm
US8281506B2 (en) * 2010-02-26 2012-10-09 Caterpillar Inc. Tool coupler assembly
GB2488990A (en) * 2011-03-09 2012-09-19 Miller Int Ltd Excavator coupler with magnetic latch
GB201108376D0 (en) * 2011-05-19 2011-06-29 Shadowfiction Ltd An automatic quick hitch for an extractor
US8974137B2 (en) * 2011-12-22 2015-03-10 Caterpillar Inc. Quick coupler
US8684623B2 (en) * 2012-05-30 2014-04-01 Caterpillar Inc. Tool coupler having anti-release mechanism
US9217235B2 (en) * 2012-05-30 2015-12-22 Caterpillar Inc. Tool coupler system having multiple pressure sources
US8869437B2 (en) * 2012-05-30 2014-10-28 Caterpillar Inc. Quick coupler
US9228314B2 (en) * 2013-05-08 2016-01-05 Caterpillar Inc. Quick coupler hydraulic control system
GB201317354D0 (en) * 2013-10-01 2013-11-13 Oriel Flues Ltd A coupler device
JP6178509B2 (ja) * 2014-06-26 2017-08-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クイックカプラ
AU2014203664B1 (en) * 2014-07-03 2014-10-23 Norm Engineering Pty Ltd A coupler for coupling attachments to excavation machin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2859A (ja) 2000-02-11 2003-07-29 ミラー ウエルディング エンジニアーズ リミテッド 掘削機バケット用自在カプラ
JP2010523908A (ja) 2007-04-05 2010-07-15 トラクト−テヒニー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犠牲要素を有するロッド継手
WO2011071394A1 (en) 2009-12-09 2011-06-16 S T Couplers Limited Improvements relating to couplers
KR101210833B1 (ko) 2012-07-26 2012-12-11 주식회사 필엔지니어링 퀵커플러의 자동 안전장치
KR101338036B1 (ko) 2013-03-07 2013-12-11 주식회사 필엔지니어링 퀵커플러의 자동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9082A1 (ja) 2015-12-30
US20170107687A1 (en) 2017-04-20
JP6284445B2 (ja) 2018-02-28
AU2015281832B2 (en) 2017-04-27
JP2016008477A (ja) 2016-01-18
DE112015002420T5 (de) 2017-03-09
AU2015281832A1 (en) 2016-12-08
US10184224B2 (en) 2019-01-22
CN106460359B (zh) 2018-09-28
KR20160142387A (ko) 2016-12-12
CN106460359A (zh)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081B1 (ko) 퀵 커플러
US7654019B2 (en) Quick coupling mechanism for tool attachment
KR101830253B1 (ko) 퀵 커플러
KR101210833B1 (ko) 퀵커플러의 자동 안전장치
WO2005026454A1 (en) An excavator tool quick attachment device
KR101096085B1 (ko) 굴삭기의 퀵커플러
US20110280648A1 (en) Quick coupling device for work vehicles and machines in general
CN103796872A (zh) 儿童座椅
JP2022510990A (ja) カプラー
KR200416471Y1 (ko)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KR102300892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용 퀵커플러
JP2016008478A (ja) クイックカプラ、及びクイックカプラにアタッチメントを取り付ける方法
EP3567163B1 (en) Safety device for quick coupler
JP6756239B2 (ja) ジブ係留装置
JP4897719B2 (ja) フック付きバケットリンク
US11168461B2 (en) Front loader and work machine
JP2008240344A (ja) フロントローダ
KR101641664B1 (ko) 자동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
JP2019077519A (ja) フック付き作業具リンク、建設機械およびフック付き作業具リンクのフック固定方法
KR20150093360A (ko) 건설기계용 퀵커플러
JP2001303609A (ja) 旋回作業車のアタッチメント脱落防止構造
US20220298742A1 (en) Assembly for securely coupling a tool on a working arm of a public works machine with improved operation
JP2006097348A (ja) 作業具装着装置
JP2018084269A (ja) 支持具と脱着操作治具及び支持具取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