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471Y1 -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6471Y1 KR200416471Y1 KR2020060005865U KR20060005865U KR200416471Y1 KR 200416471 Y1 KR200416471 Y1 KR 200416471Y1 KR 2020060005865 U KR2020060005865 U KR 2020060005865U KR 20060005865 U KR20060005865 U KR 20060005865U KR 200416471 Y1 KR200416471 Y1 KR 20041647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ader
- work machine
- work
- pin
- coupl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A01B59/06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for connection to the front of the tracto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627—Devices to connect beams or arms to tractors or similar self-propelled machines, e.g. driv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측에 상부핀과 하부핀이 구비된 작업기와 로더의 사이에 형성되어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공지의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부에는 상기 상부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핀 걸림홈이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다수의 결합공을 구비한 걸림부재와, 전방에는 상기 결합공과 체결구에 의해서 결합하기 위해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다수의 간격 조절공을 형성하고 후방에는 상기 로더의 선단부와 결합하기 위해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다수의 로더 결합공을 구비한 몸체를 형성하되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핀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핀 삽입홈을 형성한 한 쌍의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연결프레임과, 상기 몸체의 사이에 형성되어 하부핀을 고정 및 유동시키기 위한 로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의 사이에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축을 형성하되 상기 연결축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락킹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축과 연결프레임의 사이에는 인장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형성한 락킹부재로 구성되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종래 작업자가 작업기와 로더의 협소한 공간 내부에 들어가 탈부착 레버를 조작하던 방식을 배제하고 작업기의 외측에서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기와 로더의 탈부착 시간을 단축시켜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작업자가 작업 기와 로더의 협소한 공간 내부에 들어갈 필요가 없으므로 중량물인 작업기의 추락 및 이탈로 인해 발생하던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본 고안은 제조사별로 규격이 서로 다른 작업기 및 로더의 연결위치 및 설치간격에 따라서 손쉽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의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기존에 불필요하게 낭비되던 작업기와 로더의 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농가의 경제적인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트랙터, 로더, 작업기, 연결, 체결, 탈부착, 장치
Description
도 1 - 본 고안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 - 본 고안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3 -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 - 본 고안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5 - 본 고안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 또는 도 7 - 본 고안에 있어서 락킹부재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
도 8 내지 도 11 - 본 고안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작업기를 체결하기 위한 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
도 12 - 본 고안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 13 - 본 고안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고안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110: 걸림부재
111: 상부핀 걸림홈 112: 결합공
120: 결합부재
121: 몸체 121a: 로더 결합공
122: 간격 조절공 122a: 체결구
122b: 너트 123: 하부핀 삽입홈
124: 고정구 125: 안전핀
126: 걸림돌기
130,131: 연결프레임
140: 락킹부재 141: 로크(Lock)
142: 스프링 143,144: 연결축
145: 락킹레버
A: 작업기(버켓, 베일집게, 포크) B: 상부핀
C: 하부핀 D: 로더(loader)
E: 트랙터
본 고안은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켓 및 베일집게 등과 같은 작업기를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트랙터의 로더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기의 규격 및 형상에 관계없이 효율적으로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활용범위를 증대시키기 위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E)의 전방에는 관절운동을 통해 전후,상하동작을 하기 위한 로더(D)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로더(D)의 선단부에는 상부핀(B)과 하부핀(C)이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작업기(A)가 사용목적 및 용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로더(D)와 작업기(A)는 제작사에 따라서 규격 및 체결방식이 서로 상이하여 호환(互換)이 불가능하므로 이를 농가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하게 동일한 제작사의 로더 및 작업기를 구입해야 하거나, 또는 부득이하게 로더(D)와 작업기(A)를 별도의 개조작업을 통해서 사용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특히 상기와 같이 로더(D)와 작업기(A)의 구입비용 및 개조작업을 위해서 소요되는 비용이 그대로 농가에 전가되므로 이로 인해 경제적인 부담이 이중으로 가중되는 폐단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함은 물론 로더(D)와 작업기(A)를 효율적으로 탈부착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트랙터용 프론트로우더 제2절 프레임과, 상기 제2절 프레임에 장착되는 작업기 커플러와 작업기를 구비하고, 좌우 제2절 프레임을 연결하는 저부 지지봉과 제2 절 프레임의 내측판을 연장한 지지판과, 지지판에 부설한 상부 걸대와, 지지판의 내측에 부설하고 조립핀 안내관을 구비하는 지지판과, 지지판의 구멍에 삽입된 조립핀과, 조립핀의 개폐장치와, 걸대에 부합시킨 작업기측 걸개와, 지지판의 조립핀에 대응시킨 작업기측 조립구멍으로 작업기 개폐장치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조립핀의 개폐장치로서 안내관과 조립핀에 록커를 설치한 2상태 안정 개폐장치로 구성되는 "로우더 커플러 장치"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12761호로 안출된 바 있다.
즉, 종래의 "로우더 커플러 장치"는 작업기와 로더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작업자가 작업기와 로더의 중앙부 위치한 핸들을 조작함으로써 힌지축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조립핀이 안내관의 내부로 삽입되어 작업기와 로더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한 "로우더 커플러 장치"는 작업자가 로더와 작업기의 협소한 공간 사이에 들어가 내부에 형성된 핸들을 조작하여야 하는데, 이때 작업기의 하중 및 마모 또는 부식으로 인해 로더와의 결속력이 해지되어 추락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므로 핸들 조작을 위한 작업자의 신변을 위협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아울러 상기한 "로우더 커플러 장치"는 핸들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작업기와 로더의 협소한 공간에 작업자가 들어가야 하므로 작업의 번거로움 및 불편함으로 인해 작업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협소한 공간에서 불완전한 자세로 핸들을 조작할 경우 연령이 많은 작업자의 경우에는 허리와 같은 관절부위에 심한 신체적인 무리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단점을 갖게 되었다.
특히 상기한 "로우더 커플러 장치"는 규격이 서로 다른 작업기와 로더를 연결시키기 위한 좌우 및 상하방향의 간격 조절수단이 형성되어 있지 못하므로, 결국 호환성 및 적용성이 전혀 감안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이로 인해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가 극히 제한될 수밖에 없는 한계를 갖게 되었다.
따라서 사용이 편리하면서 작업기와 로더의 탈부착 조작을 더욱 안전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기와 로더의 규격에 관계없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종래 작업자가 작업기와 로더의 협소한 공간에 들어가 핸들을 조작하던 불편하고 비효율적인 구조를 탈피하여 작업자가 작업기의 외측에서 간단하고 편리하게 조작하여 작업기와 로더를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효율 및 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작업기 및 로더의 규격 및 형태에 관계없이 선택적으로 설치간격 및 위치를 조절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활용범위 및 사용상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100)는 일측에 상부핀(B)과 하부핀(C)이 구비된 작업기(A)와 로더(D)의 사이에 형성되어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공지의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부에는 상기 상부핀(B)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핀 걸림홈(111)이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다수의 결합공(112)을 구비한 걸림부재(110)와, 전방에는 상기 결합공(112)과 체결구(122a)에 의해서 결합하기 위해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다수의 간격 조절공(122)을 형성하고 후방에는 상기 로더(D)의 선단부와 결합하기 위해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다수의 로더 결합공(121a)을 구비한 몸체(121)를 형성하되 상기 몸체(121)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핀(C)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핀 삽입홈(123)을 형성한 한 쌍의 결합부재(120)와, 상기 결합부재(120)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연결프레임(130,131)과, 상기 몸체(121)의 사이에 형성되어 하부핀(C)을 고정 및 유동시키기 위한 로크(141)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141)의 사이에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축(143) 을 형성하되 상기 연결축(143)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재(12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락킹레버(145)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축(143,144)과 연결프레임(130,131)의 사이에는 인장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프링(142)을 형성한 락킹부재(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부재(110)는 작업기(A)의 일측에 형성된 상부핀(B)과 결합하여 로더(D)와의 탈부착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즉 작업기(A)의 제조사 및 규격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설치 간격(승하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걸림홈(111)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절개되는 형태를 갖는 것으로, 이는 상기 상부핀(B)이 내부에 안착되어 작업기(A)의 물리적인 하중을 지지 및 지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작업기(A)가 지면을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게 된다.
상기 결합부재(120)는 로더(D)의 선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걸림부재(11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탈부착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를 위해 상기 간격 조절공(122)은 작업기(A)의 규격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작업기(A)의 제조사별로 규격 및 설치간격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걸림부재(110)의 결합공(112)과 결합부재(120)의 간격 조절공(122)의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체결구(122a)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높낮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규격을 갖는 작업기(A)를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구(122a)는 체결력 확보 및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공지의 너트(122b)를 사용하였다.
한편, 상기 로더 결합공(121a)은 몸체(121)의 후방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로더(D)의 규격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부핀 삽입홈(123)은 하부핀(C)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전방에서 후방으로 절개되는 형태를 갖으며, 이때 상기 몸체(121)의 사이에 형성된 로크(141)가 회전하여 상기 하부핀(C)을 고정 및 유동시킴으로써 상기 작업기(A)와 로더(D)의 탈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120)의 외측에는 상기 락킹레버(145)의 조작편의성 및 회전반경을 결정하기 위한 고정구(124)와 걸림돌기(126)가 각각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구(124)는 로크(141)가 하부핀(C)을 고정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락킹레버(145)를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며, 반대로 상기 걸림돌기(126)는 상기 락킹레버(145)를 상기 로크(141)가 하부핀(C)을 분리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락킹레버(145)를 유도함은 물론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도록 스톱퍼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상기 락킹레버(145)의 형성각도는 작업자의 사용상 편의성을 위해서 상기 작업기(A)와 로더(D)의 연결상태일 경우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구(124)를 형성하였으며, 반대로 상기 걸림돌기(126)는 상기 작업기(A)와 로더(D)를 분리시키기 위해서 작업자가 전방으로 밀어서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120)의 몸체(121)의 전방 외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기(A)와 로더(D)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락킹레버(145)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잡아서 당기면 되고, 반대로 작업기(A)와 로더(D)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락킹레버(145)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밀면 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124)는 락킹레버(145)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전방에는 삽입된 락킹레버(14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핀(125)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안전핀(125)은 락킹레버(145)를 고정구(124)에 고정시켜 작업자의 부주의 및 장치의 노후로 인해 상기 락킹레버(145)가 전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핀(C)과 로크(141)의 고정이 해지됨으로써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전핀(125)은 작업자가 손쉽게 손으로 잡아서 상기 고정구(124)에 삽입 및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프레임(130)은 한 쌍의 결합부재(120)를 지지하고 연결시킴은 물론 작업기(A) 또는 로더(D)의 규격 변화에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120)의 설치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연결프레임(130)은 중앙을 기준으로 양분하되 일측의 연결프레임(130)의 내부에 타측의 연결프레임(131)이 삽입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110) 및 결합부재(120)의 설치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락킹부재(140)는 작업자가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작업기(A)와 로더 (D)를 탈부착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몸체(121)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로크(141)의 동작으로 상기 하부핀 삽입홈(123)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하부핀(C)을 고정 및 유동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로크(141)의 사이에는 연결축(143,1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에는 작업자가 조작하여 상기 로크(141)를 전방 및 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락킹레버(145)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로크(141)는 갈고리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하부핀(C)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고정 및 유동의 작업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로크(141)는 상기 결합부재(120)의 몸체(121) 사이에 각각 형성됨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결합부재(120)의 외측 방향으로 노출되는 상기 락킹레버(145)를 동작시켜 상기 로크(141)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상기 하부핀(C)을 고정 및 유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결국 작업기(A)와 로더(D)를 탈부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기존에 작업자가 작업기(A)와 로더(D)의 사이에 들어가서 레버를 조작하면서 발생하던 안전사고의 발생원인을 사전에 차단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프링(142)은 인장력을 발생시켜 상기 하부핀(C)의 고정과정에서 상기 로크(141)를 항상 상부방향으로 당기게 되어 이탈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142)은 상기 연결프레임(130,131)과 연결축(143,144)의 사이에 직접 연결하거나 또는 별도의 연결 브라켓을 형성하여 간격 및 설치공간을 조절한 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축(143,144)은 로크(142)를 서로 지지하고 연결시킴은 물론 작업기(A) 또는 로더(D)의 규격 변화에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120)의 설치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연결축은 중앙을 기준으로 양분하되 일측의 연결축(142)의 내부에 타측의 연결축(144)이 삽입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걸림부재(110) 및 결합부재(120)의 설치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락킹레버(145)는 결합부재(12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작업자가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직접 작업기(A)와 로더(D)의 사이에 들어가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기(A)의 추락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100)의 작동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고안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작업기를 체결하기 위한 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재(110)는 상부핀(B)의 위치에 따라서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결합부재(120)에 결합된 상태로 로더(D)의 선단부 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핀(B)을 상부핀 걸림홈(111)의 내부에 삽입시킨 후, 상기 로더(D)를 전방으로 밀착시키게 되면 상기 하부핀(C)이 하부핀 삽입홈(123)의 내부에 삽입되어 서로 맞닿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핀(C)과 하부핀 삽입홈(123)이 밀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락킹레버(145)를 전방으로 밀게 되면 상기 로크(141)가 연결축(143,144)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하부핀(C)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므로 이로 인해 상기 작업기(A)와 로더(D)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축(143,144)과 연결프레임(130,131)의 사이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스프링(142)으로 인해 상기 로크(141)가 항상 상부방향으로 인장력을 받기 때문에 이탈 및 분리를 방지하여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작업기(A)와 로더(D)를 분리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작업순서에 반대로 진행함으로써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분리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은 도 12 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규격 및 형태를 갖는 작업기(A)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효율 및 작업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은 종래 작업자가 작업기와 로더의 협소한 공간 내부에 들어가 탈부착 레버를 조작하던 방식을 배제하고 작업기의 외측에서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기와 로더의 탈부착 시간을 단축시켜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작업자가 작업기와 로더의 협소한 공간 내부에 들어갈 필요가 없으므로 중량물인 작업기의 추락 및 이탈로 인해 발생하던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본 고안은 제조사별로 규격이 서로 다른 작업기 및 로더의 연결위치 및 설치간격에 따라서 손쉽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의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기존에 불필요하게 낭비되던 작업기와 로더의 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농가의 경제적인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 일측에 상부핀과 하부핀이 구비된 작업기와 로더의 사이에 형성되어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공지의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 있어서,상부에는 상기 상부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핀 걸림홈을 구비하고 하부 일측에는 다수의 결합공을 형성한 걸림부재와, 전방에는 상기 결합공과 체결구에 의해서 결합하기 위해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다수의 간격 조절공을 형성하고 후방에는 상기 로더의 선단부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로더 결합공을 구비한 몸체를 형성하되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핀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핀 삽입홈을 형성한 한 쌍의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몸체의 사이에 형성되어 하부핀을 고정 및 유동시키기 위한 로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의 사이에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축을 형성하되 상기 연결축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락킹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축과 연결프레임의 사이에는 인장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형성한 락킹부재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측에는 락킹레버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구를 구비하되 상기 고정구와 락킹레버의 사이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핀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양분하되 일측의 연결프레임이 타측의 연결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하여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은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양분하되 일측의 연결축이 타측의 연결축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하여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5865U KR200416471Y1 (ko) | 2006-03-03 | 2006-03-03 |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5865U KR200416471Y1 (ko) | 2006-03-03 | 2006-03-03 |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6471Y1 true KR200416471Y1 (ko) | 2006-05-15 |
Family
ID=41765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5865U KR200416471Y1 (ko) | 2006-03-03 | 2006-03-03 |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6471Y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9175B1 (ko) | 2007-07-20 | 2008-07-30 | 조원일 |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 |
KR100849176B1 (ko) * | 2008-03-21 | 2008-07-30 | 조원일 |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 |
KR100853824B1 (ko) | 2007-05-28 | 2008-08-22 | 이리중 | 트랙터용 보조작업기 연결장치 |
KR101013496B1 (ko) | 2008-11-08 | 2011-02-10 | 정길동 | 트랙터 로더 버켓 탈부착 장치 |
KR101137431B1 (ko) * | 2010-02-03 | 2012-04-20 | 장진만 | 작업기용 분리형 트랙터 결속구 |
KR20220039996A (ko) * | 2020-09-23 | 2022-03-30 | 남기성 |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 |
KR20220064687A (ko) * | 2020-11-12 | 2022-05-19 | 남기성 |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 |
-
2006
- 2006-03-03 KR KR2020060005865U patent/KR20041647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3824B1 (ko) | 2007-05-28 | 2008-08-22 | 이리중 | 트랙터용 보조작업기 연결장치 |
KR100849175B1 (ko) | 2007-07-20 | 2008-07-30 | 조원일 |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 |
KR100849176B1 (ko) * | 2008-03-21 | 2008-07-30 | 조원일 |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 |
KR101013496B1 (ko) | 2008-11-08 | 2011-02-10 | 정길동 | 트랙터 로더 버켓 탈부착 장치 |
KR101137431B1 (ko) * | 2010-02-03 | 2012-04-20 | 장진만 | 작업기용 분리형 트랙터 결속구 |
KR20220039996A (ko) * | 2020-09-23 | 2022-03-30 | 남기성 |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 |
KR102473137B1 (ko) * | 2020-09-23 | 2022-11-30 | 남기성 |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 |
KR20220064687A (ko) * | 2020-11-12 | 2022-05-19 | 남기성 |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 |
KR102501849B1 (ko) | 2020-11-12 | 2023-02-20 | 남기성 |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13755Y1 (ko) |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 |
KR200416471Y1 (ko) |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 |
US7654019B2 (en) | Quick coupling mechanism for tool attachment | |
US7364181B2 (en) | Self locking coupling device | |
KR101210833B1 (ko) | 퀵커플러의 자동 안전장치 | |
KR101776081B1 (ko) | 퀵 커플러 | |
KR200413756Y1 (ko) | 트랙터 작업기용 유압식 연결장치 | |
CA2524151C (en) | Self locking coupling device | |
KR100994763B1 (ko) | 작업기 탈부착장치 | |
KR101446760B1 (ko) | 퀵 커플러용 안전 잠금장치 | |
US5713687A (en) | Coupling for connecting scaffolding components | |
US5590862A (en) | Devic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a support | |
KR101013496B1 (ko) | 트랙터 로더 버켓 탈부착 장치 | |
JP6938132B2 (ja) | 車両のハンドル装置 | |
KR101739486B1 (ko) | 그리퍼 통합형 레일 돌리 | |
KR101628984B1 (ko) | 퀵 커플러용 안전 잠금장치 | |
KR101954885B1 (ko) | 오토바이용 슬라이드형 짐받이 | |
US20200080577A1 (en) | Safety device for quick coupler | |
JP2014033635A (ja) | トラクタの牽引装置 | |
KR20150051022A (ko) | 작업기 연결장치 | |
KR100961612B1 (ko) | 트랙터용 농기구 연결장치 | |
KR20120123936A (ko) | 중장비 작업기의 퀵체인지 구조 | |
KR101995300B1 (ko) | 다목적 관리기용 작업기 탈부착장치 | |
KR100446254B1 (ko) | 트랙터용 연결장치 | |
KR101870713B1 (ko) | 건설기계용 퀵 커플러 연결구조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429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