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996A -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996A
KR20220039996A KR1020200122663A KR20200122663A KR20220039996A KR 20220039996 A KR20220039996 A KR 20220039996A KR 1020200122663 A KR1020200122663 A KR 1020200122663A KR 20200122663 A KR20200122663 A KR 20200122663A KR 20220039996 A KR20220039996 A KR 20220039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hole
coupling
lift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3137B1 (ko
Inventor
남기성
Original Assignee
남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기성 filed Critical 남기성
Priority to KR1020200122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137B1/ko
Publication of KR20220039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22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a hook and a locking element acting on a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18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two separating hoo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5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electrically-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의 로더에서 착탈되는 버킷의 높이와 길이에 상관없이 다양한 트랙터제조사에서 제조된 버킷을 자유롭게 원터치식으로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한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
후방 양측에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된 연결브라켓과, 양 상기 연결브라켓의 상,하부에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된 상,하부 결합핀으로 구비된 버킷과; 트랙터의 로더에 후방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결합핀이 결착되는 하부안착홈을 갖는 하부연결부를 하부에 복수개로 형성된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의 측면에 양 상기 하부안착홈의 내부에 안착되는 상기 하부결합핀을 고정 및 해제하도록 설치된 록킹수단을 구비한 하부부착유닛과, 상기 로더에 후방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부착유닛에서 승강수단으로 승강되고, 상부에 상기 상부결합핀이 결착되는 상부안착홈을 상부연결부가 형성된 하부본체로 구비된 상부승강부착유닛으로 구성된 버킷승강결착유닛부와; 양 상기 버킷승강결착유닛부의 사이에 설치된 수평길이조절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One-touch multi-connection device for bucket}
본 발명은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터의 로더에서 착탈되는 버킷의 높이와 길이에 상관없이 다양한 트랙터제조사에서 제조된 버킷을 자유롭게 원터치식으로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한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5-0051011호(2015년 05월 11일 등록)의 "작업기의 연결장치"는 로더의 선단에 결합되고 상부와 하부 일측에 각각 결합부(13)와 걸이핀삽입홈(14)이 형성된 부착구(12)를 양측 에 각각 구비한 부착유닛(10)과, 작업기에 결합되고 상기 부착구(12)에 장착되도록 상부와 하부 일측에 각각 체결부(22)와 걸이핀(24)이 형성된 장착유닛(20)과, 상기 부착유닛(10)에 장착유닛(20)을 록킹 또는 록킹해제시키 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작업기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부착구(12)의 내측에 회전축(35)으로 연결되어 회전되게 마련되고 상기 걸이핀삽입홈(14)에 삽입된 걸이핀(24)을 결속 또는 결속해제하는 록크뭉치(30)와, 상기 부착구(12)의 일측 외부에 상기 회전축(35)의 일단과 연결되어 그 회전축(35)을 회전 동작시키는 조절레버(40)와, 상기 부착구(12)의 일측 외면에 상기 록크뭉치(30)의 결속 또는 결속해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조절레버(40)의 결속을 위해 제1결속홈(52)과 제2결속홈(54)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결속부(50)와, 상기 제1결속홈(52) 또는 제2결속홈(54)에 상기 조절레버(40)가 결속되게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60)로 구성하여 오동작없이 정확한 동작으로 탈부착작업을 수행하도록 한 작업기 연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 다른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7-0059822호(2017년 05월 31일 등록)의 "로드셀이 장착된 작업기 연결장치"는 서로 이격되어 고정대(120)에 의해 결합되는 2개의 플레이트(110)로 형성되고, 그 플레이트(100)의 후방에는 로더와의 결합을 위해 다수개의 로더결합공(130)이 형성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연결프레임(150)에 의해 폭조절되게 마련되는 한 쌍의 로더결합부재(100); 상기 한 쌍의 로더결합부재(100)의 전방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에는 작업기와의 결합을 위해 작업기결합공(210)이 형성된 작업기결합부재(200); 상기 한 쌍의 로더결합부재(100)에 각각 설치되어 작업기결합부재(200)를 록킹 또는 록킹해제시키는 록킹수단(300);으로 이루어진 작업기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결합부재(200)의 전방 상부와 중앙부에는 각각 걸림고리(220)와 걸림홈(230)이 형성되고, 전방 하부에는 상기 록킹수단(300)의 록크뭉치(310)에 결속되도록 결속봉(240)이 형성되며, 상기 로더결합부재(100)의 상부에는 상기 플레이트(110)의 사이공간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상기걸림고리(220)가 걸려져 작업기결합부재(200)가 지지되도록 하는 제1로드셀(400)이 설치되고, 로더결합부재(100)의 중앙부에는 상기 플레이트(110)의 사이공간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상기 걸림홈(230)으로 삽입되는 제2로드셀(410)이 설치되며, 로더결합부재(100)의 하부에는 상기 결속봉(240)이 삽입되도록 삽입홈(140)이 형성되고, 상기 제1로드셀(400)과 제2로드셀(410)이 상기 플레이트(110)의 사이공간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로드셀 고정수단(500)과, 상기 제1로드셀(400)과 제2로드셀(410)에 연결되어 검출된 무게를 표출하는 표시부(550)를 구성하여 작업기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들어올리는 과정을 통해 그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음으로써 무게측정작업이 단시간내에 용이하고 편리하게 수행할수 있는 로드셀이 장착된 작업기 연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작업기 연결장치의 상기 장착유닛(20)에만 맞게 결합되게 제조된 버킷과, 이 버킷의 높이와 길이에 맞춰서 상기 장착유닛(20)에 결합되게 하여서, 하나의 규격에 맞게 제조되어 구비된 버킷만을 상기 장착유닛(20)에 설치하도록하여 다양한 높이와 길이를 갖는 다양한 종류의 버킷을 자유롭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없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로드셀이 장착된 작업기 연결장치의 상기 작업기 결합부재(200)에만 맞게 결합되게 제조된 버킷과, 이 버킷의 높이와 길이에 맞춰서 상기 작업기 결합부재(200)에 결합되게 하여서, 하나의 규격으로 구비된 버킷만을 상기 작업기 결합부재(200)에 설치하도록하여 다양한 높이와 길이를 갖는 다양한 종류의 버킷을 자유롭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없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5-0051011호(2015년 05월 11일 등록)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7-0059822호(2017년 05월 31일 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트랙터의 로더에 장착되고 버킷의 하부결합편이 결합되는 하부부착유닛과, 트랙터의 로더에 장칙되고 버킷의 상부결합핀 결합되는 상부승강부착유닛과, 하부부착유닛에서 승강수단으로 하부부착유닛에서 상부승강부착유닛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고, 상부승강부착유닛 및하부부착유닛으로 구성된 버킷승강결착유닛부의 사이에서 다양한 버킷의 길이에 맞게 수평길이조절수단으로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서, 다양한 트랙터의 제조사에서 제조되어 장착되는 다양한 높이와 갈이를 갖는 버킷에 맞춰 버킷승강결착유닛부에 자유롭게 원터식으로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하도록 한 새로운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후방 양측에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된 연결브라켓과, 양 상기 연결브라켓의 상,하부에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된 상,하부 결합핀으로 구비된 버킷과; 트랙터의 로더에 후방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결합핀이 결착되는 하부안착홈을 갖는 하부연결부를 하부에 복수개로 형성된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의 측면에 양 상기 하부안착홈의 내부에 안착되는 상기 하부결합핀을 고정 및 해제하도록 설치된 록킹수단을 구비한 하부부착유닛과, 상기 로더에 후방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부착유닛에서 승강수단으로 승강되고, 상부에 상기 상부결합핀이 결착되는 상부안착홈을 갖는 상부연결부가 형성된 하부본체로 구비된 상부승강부착유닛으로 구성된 버킷승강결착유닛부와; 양 상기 버킷승강결착유닛부의 사이에 설치된 수평길이조절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하부본체의 상부에 기립형성된 승강안내수직부와, 상기 승강안내수직부의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중앙승강안내홈과, 상기 중앙승강안내홈내의 양측에 양측이 결합고정되고 승강나사공을 갖는 승강안내편과, 상기 상부본체의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중앙홈과, 상기 중앙홈의 상,하부에 형성된 상,하부나사공과, 상기 상,하부나사공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그 중앙이 상기 승강나사공에 결합된 승강나사볼트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안내수직부의 전방에서 상기 상부본체가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나사볼트가 삽입되게 중앙나사공을 형성하고, 상기 중앙나사공의 양측에 형성된 측나사공을 형성하며, 상기 측나사공에 고정나사볼트가 결합되고, 상기 중앙나사공의 후방에 인접하여 형성된 고정나사공을 구비한 상부고정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고정편의 상부에 하부가 안착되고, 상기 중앙나사공에 결합된 상기 승강나사볼트의 두부가 삽입되게 두부고정공을 형성하고 상기 두부고정공의 후방에 상기 고정나사공과 일치되게 후방고정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나사공과 상기 후방고정나사공에 조립고정나사볼트가 삽입되어 구비된 승강나사볼트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안내편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돌기는 상기 중앙승강안내홈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상부결합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홈의 하부에 기립수직봉이 상,하부로 관통되어 설치된 기립수직봉으로 구비된 스토퍼부와, 상기 기립수직봉은 상기 스토퍼부의 상,하부에 상기 기립수직봉의 상,하부가 노출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하부본체에 형성된 양 상기 하부연결부와 상기 하부본체가 연결된 부위에 각각 형성된 회동공과, 양 상기 회동공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회동바와, 양 상기 회동공에 삽입되어 양 상기 회동공의 사이에 위치한 상기 회동바의 중앙에 상기 하부결합홈에 결합된 상기 하부결합핀의 외측둘레에 결착되게 결착홈을 갖는 결착고정편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바의 타측의 후방에는 회동레버가 기립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레버에 상부에 형성된 결합통공과, 하부에 결합공을 갖는 상부회동바와, 상기 결합통공과 상기 결합공에 힌지가 결합되고, 상기 회동레버의 일측중앙에 형성된 중앙돌출부에 형성된 제1조립공과, 상기 상부회동바의 상부 타측에 상부돌출부에 형성된 제2조립공과, 상기 회동레버에 수직으로 기립되었다가 복원되어 상기 회동레버의 상부면에 상기 상부회동바의 하부면이 맞닿게 위치할시 상기 상부회동바가 상기 회동레버상에서 유동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1조립공과 상기 제2조립공에 고정핀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핀의 상부에는 고리손잡이가 관통되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길이조절수단은 양 상기 버킷승강결착유닛부중 타측에 위치한 상기 버킷승강결착유닛부에 일측면에 타측이 수평으로 고정설치되고, 일측에 입출공을 구비한 안내관부재와, 상기 입출공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입출부재와, 상기 입출부재의 일측이 양 상기 버킷승강결착유닛부중 일측에 위치한 상기 버킷승강결착유닛부의 타측면에 수평으로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트랙터의 로더에 장착되고 버킷의 하부결합편이 결합되는 하부부착유닛과, 트랙터의 로더에 장칙되고 버킷의 상부결합핀 결합되는 상부승강부착유닛과, 하부부착유닛에서 승강수단으로 하부부착유닛에서 상부승강부착유닛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고, 상부승강부착유닛 및하부부착유닛으로 구성된 버킷승강결착유닛부의 사이에서 다양한 버킷의 길이에 맞게 수평길이조절수단으로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서, 다양한 트랙터의 제조사에서 제조되어 장착되는 다양한 높이와 갈이를 갖는 버킷에 맞춰 버킷승강결착유닛부에 자유롭게 원터식으로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승강결착유닛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승강결착유닛부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승강결착유닛부의 부분단면을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고정판을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나사볼트고정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작용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승강결착유닛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승강결착유닛부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승강결착유닛부의 부분단면을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고정판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나사볼트고정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작용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는 버킷(10)과, 버킷승강결착유닛부(20)와, 수평길이조절수단(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버킷(10)은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버킷(10)은 트랙터의 전방에 설치된 로더(10a)와, 이 상기 로더(10a)에 전방설치되고 후술되는 양 버킷승강결착유닛부(20)에 연결설치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버킷(10)은 전방에 수용공간부(12)가 형성되고, 그 후방에는 복수개의 연결브라켓(11)이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11)의 후방 상,하부에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된 상,하부 결합핀(11a,11b)으로 구성된다.
양 상기 상부 결합핀(11a)은 후술되는 양 상부승강부착유닛(20b)에 형성된 상기 상부 결합홈(21b)에 결합 및 이탈되도록 구성된다.
양 상기 하부 결합핀(11b)은 후술되는 양 하부부착유닛(20a)에 형성된 하부 결합홈(21a)에 결합 및 이탈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버킷승강결착유닛부(20)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버킷승강결착유닛부(20)는 하부부착유닛(20a)과, 상부승강부착유닛(20b)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부착유닛(20a)은 상기 하부결합핀(11b)이 결착되는 하부안착홈(21a)을 갖는 하부연결부(22a)를 하부에 복수개로 형성된 하부본체(23a)로 구성된다.
양 상기 하부연결부((22a)에 각각 상기 하부안착홈(21a)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하부부착유닛(20a)은 복수개로 서로 구성하여 그 사이에 후술되는 수평길이조절수단(30)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부착유닛(20a)의 상부에는 후술되는 상기 상부승강부착유닛(20b)이 승강수단(a)에 의해서 상기 하부부착유닛(20a)상에서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양 상기 하부안착홈(21a)에는 상기 버킷(10)에 구비된 상기 하부결합핀(11b)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본체(23a)의 측면에 양 상기 하부안착홈(21a)의 내부에 안착되는 상기 하부결합핀(11b)을 고정 및 해제하도록 설치된 록킹수단(b)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록킹수단(b)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안착홈(21a)의 내측에 입출되는 상기 하부결합핀(11a)을 상기 하부안착홈(21a)의 내측에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여 상기 하부결합핀(11a)이 상기 하부안착홈(21a)내에서 결합 또는 이탈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록킹수단(b)은 상기 하부본체(23a)에 형성된 양 상기 하부연결부(22a)와 상기 하부본체(23a)가 연결된 부위에 각각 형성된 회동공(b1)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양 상기 회동공(b1)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회동바(b2)로 구성된다.
또한, 양 상기 회동공(b1)에 수평으로 삽입되어 양 상기 회동공(b1)의 사이에 위치한 상기 회동바(b2)의 중앙에 양 상기 하부결합홈(21a)에 결합된 상기 하부결합핀(11b)의 외측둘레에 결착되게 결착홈(b3)을 갖는 결착고정편(b4)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결착고정편(b4)의 상기 결착홈(b3)은 상기 하부안착홈(21a)에 입출되는 상기 버킷(10)의 하부결합핀(11b)을 상기 하부안착홈(21a)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거나, 상기 하부안착홈(21a)내에 안착된 상기 하부결합핀(11b)의 이탈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결착고정편(b4)은 상기 회동바(b2)의 중앙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하게 복개로 설치된 양 상기 결착고정편(b4)은 양 상기 하부안착홈(21a)내에 안착된 상기 하부결합핀(11b)을 양 상기 하부안착홈(21a)내에서 고정 및 고정해제를 보다 정밀하고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회동레버(b5)에 상부에 형성된 결합통공(b5-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하부에 결합공(b5-2)을 갖는 상부회동바(b5-3)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통공(b5-1)과 상기 결합공(b5-2)에 힌지(h)가 결합되어 상기 회동레버(b5)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상부회동바(b5-3)가 상기 회동레버(b5)의 상부에서 회동게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회동레버(b5)의 일측중앙에 형성된 중앙돌출부(b5-4)에 형성된 제1조립공(b5-5)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회동바(b5-3)의 상부 타측에 상부돌출부(b5-6)에 형성된 제2조립공(b5-7)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레버(b5)에 수직으로 기립되었다가 복원되어 상기 회동레버(b5)의 상부면에 상기 상부회동바(b5-3)의 하부면이 맞닿게 위치할시 상기 상부회바(b5-3)가 상기 회동레버(b5)상에서 유동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1조립공(b5-5)과 상기 제2조립공(b5-7)에 상기 제1고정핀(b5-8)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b5-8)의 상부에는 고리손잡이(b5-9)가 관통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고리손잡이(b5-9)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손쉽게 잡아서 상기 고정핀(b5-8)을 상기 제1조립공(b5-5)과 상기 제2조립공(b5-7)에 용이하게 결합 및 이탈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회동레버(b5)에서 상부로 기립회동되는 상기 상부회동바(b5-3)를 설치하는 것은, 사용자가 손쉽게 상기 회동레버(b5)의 상부에 기립되어 회동된 상기 상부회동바(b5-3)를 손쉽게 잡고 작은힘으로 상기 회동레버(b5)를 회동시켜서 상기 회동레버(b5)와 연계된 상기 회동바(b2)에 설치된 상기 결착고정편(b4)의 상기 결착홈(b3)이 상기 하부안착홈(21a)에 안착된 상기 하부결합핀(11b)을 용이하게 고정 및 고정해제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부승강부착유닛(20b)은 상부에 상기 상부결합핀(11a)이 결착되는 상부안착홈(21b)을 상부연결부(22b)가 형성된 하부본체(23a)로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안착홈(21b)은 상기 상부연결부(22b)에 복수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승강부착유닛(10b)에 구비된 양 상기 상부안착홈(21b)에는 상기 버킷(10)에 구비된 상기 상부결합핀(11a)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부착유닛(20a)에서 상기 상부승강부착유닛(20b)은 승강수단(a)으로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하부부착유닛(20a)에서 상기 상부승강부착유닛(20b)은 승강수단(a)으로 승강되어 상기 하부부착유닛(20a)상에서 상기 상부승강부착유닛(20b)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다양한 트랙터 제조사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규격을 갖는 상기 버킷(10)의 후방에 구비된 양 상기 연결브라켓(11) 후방 상,하부설치된 상기 상,하부결합핀(11a,11b)의 사이의 높이에 따라 상기 하부부착유닛(20a)에서 상기 상부승강부착유닛(20b)을 승강수단(a)으로 상기 하부부착유닛(20a)상에서 상기 상부승강부착유닛(20b)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다양한 규격의 상기 버킷(10)을 상기 하부부착유닛(20a)과 상기 상부승강부착유닛(20b)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승강수단(a)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본체(23a)의 상부에 기립형성된 승강안내수직부(a1)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승강안내수직부(a1)의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중앙승강안내홈(a2)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중앙승강안내홈(a2)내의 양측에 양측이 결합고정되고 승강나사공(a3)을 갖는 승강안내편(a4)으로 구성된다.
또한,상기 상부본체(23b)의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중앙홈(a5)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중앙홈(a5)의 상,하부에 형성된 상,하부나사공(a6,a7)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하부나사공(a6,a7)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그 중앙이 상기 승강나사공(a3)에 결합된 승강나사볼트(a8)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안내수직부(a1)의 전방에서 상기 상부본체(23b)가 승강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안내편(a4)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돌기(a4-1)는 상기 중앙승강안내홈(a2)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상부결합홈(a2-1)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승강안내편(a4)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돌기(a4-1)는 상기 중앙승강안내홈(a2)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상부결합홈(a2-1)에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은,
상기 승강안내편(a4)의 양측에 형성된 양 상기 결합돌기(a4-1)가 상기 중앙승강안내홈(a2)의 양 상기 상부결합홈(a2-1)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서, 상기 승강안내편(a4)에 형성된 상기 승강나사공(a3)의 내측둘레에서 상기 승강나사볼트(a8)의 외측둘레가 안정적으로 승강되게 하여 상기 승강나사볼트(a8)를 갖는 상기 상부승강부착유닛(20b)이 상기 하부부착유닛(20a)상에서 상기 승강수단(a)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본체(23b)의 상부에 상부고정편(c)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상부고정편(c)은 상기 승강나사볼트(a8)가 삽입되게 중앙나사공(c1)을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중앙나사공(c1)의 양측에 형성된 측나사공(c2)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나사공(c2)에 고정나사볼트(c3)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나사공(c1)의 후방에 인접하여 형성된 고정나사공(c4)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상부본체(23b)의 상부에 상부고정편(c)을 설치하는 것은, 상기 중앙홈(a5)의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으로 관통결합된 상기 승강나사볼트(a8)의 상부를 상기 상부본체(23b)상에서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상기 승강나사볼트(a3)의 회동을 상기 상,하부나사공(a6,a7)내에서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고정편(c)의 상부에 상기 승강나사볼트(a8)의 두부를 고정하기 위해서 승강나사볼트고정수단(d)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승강나사볼트고정수단(d)은 상기 상부고정편(c)의 상부에 상기 승강나사볼트고정수단(d)의 하부가 안착되어 결합구성된다.
상기 승강나사볼트고정수단(d)은 상기 중앙나사공(c1)에 결합된 상기 승강나사볼트(a8)의 두부가 삽입되게 두부고정공(d1)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두부고정공(d1)의 하부는 상기 중앙나사공(b5-8)의 상부와 일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두부고정공(d1)의 후방에 상기 고정나사공(c4)과 일치되게 후방고정나사공(d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나사공(c4)과 상기 후방고정나사공(d2)에 조립고정나사볼트(d3)가 삽입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상부고정편(c)의 상부에 상기 승강나사볼트(a8)의 두부를 고정하기 위해서 승강나사볼트고정수단(d)을 설치하는 것은.
상기 승강나사볼트(a8)를 갖는 상기 상부승강부착유닛(20b)을 상기 하부부착유닛(20)의 상부에서 상기 승강수단(a)으로 다양한 제조사에 제조된 상기 버킷(10)의 후방에 설치된 양 상,하부펼합핀(11a,11b)의 사이 높이에 맞게 상기 상부승강부착유닛(20b)과 상기 하부부착유닛(20a)의 높이조절하고 난 다음에, 조절된 높이가 수정되지 않게 상기 승강나사볼트(a8)가 상기 중앙승강안내홈(a2)내에서 회동되는 것을 원초적으로 방지하여 상기 승강수단(a)으로 높이가 조절된 상기 상부승강부착유닛(20b)과 상기 하부부착유닛(20a)의 높이가 수정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중앙홈(a5)의 하부에 기립수직봉(e1)이 상,하부로 관통되어 설치된 기립수직봉(e1)으로 구비된 스토퍼부(e)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스토퍼부(e)의 상기 기립수직봉(e1)은 상기 스토퍼부(e)의 상,하부에 상기 기립수직봉(e1)의 상,하부가 노출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스토퍼부(e)를 상기 상부본체(23b)에 형성된 상기 중앙홈(a5)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은,
상기 중앙홈(a5)내에 수직으로 기립되어 회동되는 상기 승강나사볼트(a8)의 외축둘레가 상기 승강안내편(a4)의 상기 승강나사공(a3)의 내측둘레에서 회동되어 상승시, 상기 상부본체(23b)의 상기 중앙홈(a5)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스토퍼(e) 상기 기립수직봉(s1)의 상부가 상기 승강안내편(a4)의 하부에 직접맞닿아 상기 상부승강부착유닛(20b)이 상기 하부부착유닛(20a)상에서 더이상 상승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평길이조절수단(30)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길이조절수단(30)은 양 상기 버킷승강결착유닛부(20)의 사이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평길이조절수단(30)은 양 상기 버킷승강결착유닛부(20)중 타측에 위치한 상기 버킷승강결착유닛부(20)에 일측면에 타측이 수평으로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일측에 입출공(31a)을 구비한 안내관부재(31)와, 상기 입출공(31a)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입출부재(32)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입출부재(32)의 일측이 양 상기 버킷승강결착유닛부(20)중 일측에 위치한 상기 버킷승강결착유닛부(20)의 타측면에 수평으로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양 상기 버킷승강결착유닛부(20)의 사이에 상기 수평길이조절수단(30)이 설치되어는 것은,
다양한 트랙터 제조사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규격을 갖는 상기 버킷(10)의 후방에 구비된 양 상기 연결브라켓(11) 후방 상,하부설치된 상기 상,하부결합핀(11a,11b)의 사이의 길이에 따라 상기 수평길이조절수단(30)으로 양 상기 버킷승강결착유닛부(20)의 사이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다양한 규격의 상기 버킷(10)의 길이에 맞춰 양 상기 버킷승강결착유닛부(20)의 사이를 상기 수평길이조절수단(30)으로 자유롭게 조절하여 다양한 길이규격을 갖는 상기 버킷(10)을 양 상기 버킷승강결착유닛부(20)에 용이하게 결합 및 이탈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하부부착유닛(20a)에서 상기 승강수단(a)으로 상기 상부승강부착유닛(20b)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고, 상기 하부부착유닛(20a)과, 상기 상부승강부착유닛(20b)으로 구성된 상기 버킷승강결착유닛부(20)를 복수개로 구성하고 그 사이에 상기 수평길이조절수단(30)으로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길이와 높이가 다른 다양하게 제조된 버킷을 본 발명의 양 상기 버킷승강결착유닛부(20)에 용이하게 결합 및 이탈되게 하고 한번에 버킷을 양 상기 버킷승강부유닛부(20)에 용이하게 결합 및 이탈되게 한다.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다양한 제조사에서 제조된 트랙터에 설치되는 상기 버킷(10)의 후방에 구비된 양 상기 연결브라켓(11)의 후방 상,하부에 설치된 상기 상,하부결합핀(11a,11b)의 사이 수직높이에 맞게 상기 중앙승강안내홈(a2)의 상부에 결합된 상기 승강안내편(a4)의 상기 승강나사공(a3)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승강부착유닛(20b)의 상기 중앙홈(a5)에 설치된 상기 승강나사볼트(a8)를 상승 또는 하강하여 승강나사볼트(a8)가 설치된 상기 상부승강부착유닛(20b)을 상기 하부부착유닛(20a)에서 승강하여서, 다양한 제조사에서 제조된 트랙터에 설치되는 상기 버킷(10)의 후방에 구비된 양 상기 연결브라켓(11)의 후방 상,하부에 설치된 상기 상,하부결합핀(11a,11b)의 사이 수직높이를 맞춘다.
그리고 다시 다양하게 제조된 트랙터에 설치된 상기 버킷(10)의 후방에 구비된 양 상기 연결브라켓(11)의 후방 상,하부에 설치된 상기 상,하부결합핀(11a,11b)의 수평길이에 맞게 양 상기 버킷승강결착유닛부(20)의 사이의 길이를 조절하여서,다양하게 제조된 트랙터에 설치된 상기 버킷(10)의 후방에 구비된 양 상기 연결브라켓(11)의 후방 상,하부에 설치된 상기 상,하부결합핀(11a,11b)의 수평길이를 맞춘다.
상기와 같이, 다양하게 제조된 상기 버킷(10)의 상기 상,하부결합핀(11a,11b)의 수직높이와 수평길이가 조절이 되면 양 상기 버킷승강결착유닛부(20)의 양 상기 상부승강부착유닛(20b)의 상기 상부안착홈(21b)에 상기 버킷(10)의 양 상기 상부결합핀(11a)을 한번에 원터치식으로 결합하고 난 다음에, 다시 양 상기 하부부착유닛(20a)의 상기 하부안착홈(21a)에 상기 버킷(10)의 양 상기 하부결합핀(11b)을 한번에 원터치식으로 결합하여서 트랙터의 상기 로더(10a)에 결합되는 상기 버킷(10)이 다양한 높이와 길이로 제작된 것에 맞춰 본 발명의 양 상기 버킷승강결착유닛부(20)로 자유롭게 그 길이와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버킷(10)을 양 상기 버킷승강결착유닛부(20)에 용이하게 설치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버킷 11: 연결브라켓
11a: 상부결합핀 11b:하부결합핀
20: 버킷승강결착유닛부 20a: 하부부착유닛
20b: 상부승강부착유닛 21a: 하부안착홈
21b: 상부안착홈 22a: 하부연결부
22b: 상부연결부 23a: 하부본체
23b: 상부본체 30: 수평길이조절수단
31: 안내관부재 31a: 입출공
32: 입출부재 a: 승강수단
a1: 승강수직안내부 a2: 중앙승강안내홈
a2-1: 상부결합홈 a3: 승강나사공
a4: 승강안내편 a4-1: 결합돌기
a5: 중앙홈 a6: 상부나사공
a7: 하부나사공 a8: 승강나사볼트
b: 록킹수단 b1: 회동공
b2: 회동바 b3: 결학홈
b4: 결착고정편 b5: 회동레버
b5-1: 결합통공 b5-2: 결합공
b5-3: 상부회동바 b5-4: 중앙돌출부
b5-5: 제1조립공 b5-6: 상부돌출부
b5-7: 제2조립공 b5-8: 고정핀
b5-9: 고리손잡이 c: 상부고정판
c1: 중앙나사공 c2: 측나사공
c3: 고정나사볼트 c4: 고정나사공
d: 승강나사볼트고정수단 d1: 두부고정공
d2: 후방고정나사공 d3: 조립고정나사볼트
e: 스토퍼부 e1: 기립수직봉
h: 힌지

Claims (9)

  1. 후방 양측에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된 연결브라켓(11)과, 양 상기 연결브라켓(11)의 상,하부에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된 상,하부 결합핀(11a,11b)으로 구비된 버킷(10)과;
    트랙터의 로더(10a)에 후방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결합핀(11b)이 결착되는 하부안착홈(21a)을 갖는 하부연결부(22a)를 하부에 복수개로 형성된 하부본체(23a)와, 상기 하부본체(23a)의 측면에 양 상기 하부안착홈(21a)의 내부에 안착되는 상기 하부결합핀(11b)을 고정 및 해제하도록 설치된 록킹수단(b)을 구비한 하부부착유닛(20a)과, 상기 로더(10a)에 후방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부착유닛(20a)에서 승강수단(a)으로 승강되고, 상부에 상기 상부결합핀(11a)이 결착되는 상부안착홈(21b)을 갖는 상부연결부(22b)가 형성된 하부본체(23a)로 구비된 상부승강부착유닛(20b)으로 구성된 버킷승강결착유닛부(20)와;
    양 상기 버킷승강결착유닛부(20)의 사이에 설치된 수평길이조절수단(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a)은 상기 하부본체(23a)의 상부에 기립형성된 승강안내수직부(a1)와, 상기 승강안내수직부(a1)의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중앙승강안내홈(a2)과, 상기 중앙승강안내홈(a2)내의 양측에 양측이 결합고정되고 승강나사공(a3)을 갖는 승강안내편(a4)과, 상기 상부본체(23b)의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중앙홈(a5)과, 상기 중앙홈(a5)의 상,하부에 형성된 상,하부나사공(a6,a7)과, 상기 상,하부나사공(a6,a7)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그 중앙이 상기 승강나사공(a3)에 결합된 승강나사볼트(a8)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안내수직부(a1)의 전방에서 상기 상부본체(23b)가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23b)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나사볼트(a8)가 삽입되게 중앙나사공(c1)을 형성하고, 상기 중앙나사공(c1)의 양측에 형성된 측나사공(c2)을 형성하며, 상기 측나사공(c2)에 고정나사볼트(c3)가 결합되고, 상기 중앙나사공(c1)의 후방에 인접하여 형성된 고정나사공(c4)을 구비한 상부고정편(c)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편(c)의 상부에 하부가 안착되고, 상기 중앙나사공(c1)에 결합된 상기 승강나사볼트(a8)의 두부가 삽입되게 두부고정공(d1)을 형성하고 상기 두부고정공(d1)의 후방에 상기 고정나사공(c4)과 일치되게 후방고정나사공(d2)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나사공(c4)과 상기 후방고정나사공(d2)에 조립고정나사볼트(d3)가 삽입되어 구비된 승강나사볼트고정수단(d)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안내편(a4)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돌기(a4-1)는 상기 중앙승강안내홈(a2)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상부결합홈(a2-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홈(a5)의 하부에 기립수직봉(e1)이 상,하부로 관통되어 설치된 기립수직봉(e1)으로 구비된 스토퍼부(e)와, 상기 기립수직봉(e1)은 상기 스토퍼부(e)의 상,하부에 상기 기립수직봉(e1)의 상,하부가 노출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b)은 상기 하부본체(23a)에 형성된 양 상기 하부연결부(22a)와 상기 하부본체(23a)가 연결된 부위에 각각 형성된 회동공(b1)과, 양 상기 회동공(b1)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회동바(b2)와, 양 상기 회동공(b1)에 삽입되어 양 상기 회동공(b1)의 사이에 위치한 상기 회동바(b2)의 중앙에 상기 하부결합홈(21a)에 결합된 상기 하부결합핀(11b)의 외측둘레에 결착되게 결착홈(b3)을 갖는 결착고정편(b4)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바(b2)의 타측의 후방에는 회동레버(b5)가 기립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레버(b5)에 상부에 형성된 결합통공(b5-1)과, 하부에 결합공(b5-2)을 갖는 상부회동바(b5-3)와, 상기 결합통공(b5-1)과 상기 결합공(b5-2)에 힌지(h)가 결합되고, 상기 회동레버(b5)의 일측중앙에 형성된 중앙돌출부(b5-4)에 형성된 제1조립공(b5-5)과, 상기 상부회동바(b5-3)의 상부 타측에 상부돌출부(b5-6)에 형성된 제2조립공(b5-7)과, 상기 회동레버(b5)에 수직으로 기립되었다가 복원되어 상기 회동레버(b5)의 상부면에 상기 상부회동바(b5-3)의 하부면이 맞닿게 위치할시 상기 상부회동바(b5-3)가 상기 회동레버(b5)상에서 유동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1조립공(b5-5)과 상기 제2조립공(b5-7)에 고정핀(b5-8)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핀(b5-8)의 상부에는 고리손잡이(b5-9)가 관통되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길이조절수단(30)은 양 상기 버킷승강결착유닛부(20)중 타측에 위치한 상기 버킷승강결착유닛부(20)에 일측면에 타측이 수평으로 고정설치되고, 일측에 입출공(31a)을 구비한 안내관부재(31)와, 상기 입출공(31a)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입출부재(32)와, 상기 입출부재(32)의 일측이 양 상기 버킷승강결착유닛부(20)중 일측에 위치한 상기 버킷승강결착유닛부(20)의 타측면에 수평으로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
KR1020200122663A 2020-09-23 2020-09-23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 KR102473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663A KR102473137B1 (ko) 2020-09-23 2020-09-23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663A KR102473137B1 (ko) 2020-09-23 2020-09-23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996A true KR20220039996A (ko) 2022-03-30
KR102473137B1 KR102473137B1 (ko) 2022-11-30

Family

ID=80948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663A KR102473137B1 (ko) 2020-09-23 2020-09-23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13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081Y1 (ko) * 2005-09-02 2005-11-24 김철복 트랙터 로더용 작업기 연결장치
KR200413755Y1 (ko) * 2006-01-10 2006-04-13 김문수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KR200416471Y1 (ko) * 2006-03-03 2006-05-15 김문수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KR200427300Y1 (ko) * 2006-07-07 2006-09-22 이정용 작업장치의 어태치먼트 연결장치
KR100853824B1 (ko) * 2007-05-28 2008-08-22 이리중 트랙터용 보조작업기 연결장치
KR20100044365A (ko) * 2008-10-22 2010-04-30 김문수 트랙터 작업기용 수동식 연결장치
KR20150051011A (ko) 2013-11-01 201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170059822A (ko) 2015-11-23 2017-05-31 (주)송현 로드셀이 장착된 작업기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081Y1 (ko) * 2005-09-02 2005-11-24 김철복 트랙터 로더용 작업기 연결장치
KR200413755Y1 (ko) * 2006-01-10 2006-04-13 김문수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KR200416471Y1 (ko) * 2006-03-03 2006-05-15 김문수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KR200427300Y1 (ko) * 2006-07-07 2006-09-22 이정용 작업장치의 어태치먼트 연결장치
KR100853824B1 (ko) * 2007-05-28 2008-08-22 이리중 트랙터용 보조작업기 연결장치
KR20100044365A (ko) * 2008-10-22 2010-04-30 김문수 트랙터 작업기용 수동식 연결장치
KR20150051011A (ko) 2013-11-01 201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170059822A (ko) 2015-11-23 2017-05-31 (주)송현 로드셀이 장착된 작업기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137B1 (ko) 2022-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92792A (ko) 프레임 조립 비계에서의 난간 설치방법
KR20100129182A (ko) 승강식 비계장치
KR100998112B1 (ko)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
SG193084A1 (en) Subsea wellhead protection structure, canopy and installation
CN201395931Y (zh) 安装电梯用组合式吊篮
KR20220039996A (ko)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
CN111424954A (zh) 一种附着式升降脚手架及其附墙导向座、使用方法
KR102501849B1 (ko) 버킷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
WO2022083457A1 (zh) 爬升架及其安装结构以及顶升装置
CN105947111A (zh) 一种可快速拆卸栏杆及底座和使用方法
CN208631927U (zh) 一种换热器专用设备吊装机构
CN210507121U (zh) 一种大型桥梁排水管安装装置
KR20220064688A (ko) 베일집게용 원터치식 멀티연결장치
CN209409141U (zh) 一种应用于模具安拆中的防撞平衡机构
CN217516480U (zh) 一种电梯底坑撑杆组件
CN216766740U (zh) 一种爬架支撑结构用紧固装置
CN220664670U (zh) 一种海洋钻井平台井口设备吊装架
CN213869791U (zh) 一种用于拖撬的前框架
CN213294611U (zh) 一种手拉葫芦升降装置
CN217648377U (zh) 一种农机维修吊装装置
KR20160004480U (ko) 비계 수직봉 연장 설치용 지지대
CN212176545U (zh) 一种用于爬模的附墙导向座
CN214455960U (zh) 一种用于电梯维修的防坠落保护装置
CN215112294U (zh) 一种具有挂钩组件的三防灯
KR200249639Y1 (ko) 자전거의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