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820B1 - 투명 점착 시트 - Google Patents

투명 점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820B1
KR101824820B1 KR1020167001175A KR20167001175A KR101824820B1 KR 101824820 B1 KR101824820 B1 KR 101824820B1 KR 1020167001175 A KR1020167001175 A KR 1020167001175A KR 20167001175 A KR20167001175 A KR 20167001175A KR 101824820 B1 KR101824820 B1 KR 101824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ensitive adhesive
recording layer
adhesive sheet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1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0544A (ko
Inventor
신이치 오노
히데나오 타케우치
마사히코 요시다
히데노부 하리마
타카유키 키무라
Original Assignee
오사카 시링구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사카 시링구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사카 시링구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0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09J7/243Ethylene or propyl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5Vinyl resins, e.g. polyvinyl chloride [PV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8Hydrophi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04Direct thermal recording [DT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6Backcoats; Back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8Intermediate layers; Layers between substrate and imaging layer
    • C09J2201/122
    • C09J2205/1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83/00Presence of polysiloxane
    • C09J2483/005Presence of polysiloxane in the release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 Heat Sensitive Colour Forming Record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이면측에 점착층을 갖고, 표면측에 박리층을 가지면서도, 사용시에 인쇄가 가능하고, 투명성이 높은 투명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투명 점착 시트는, 투명 재료로 형성된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이면측에 형성된 피착물에 점착시키기 위한 점착제를 사용하여 형성된 점착층과, 상기 기재층의 표면측에 형성됨과 함께 가열에 의해 발색되는 발색 재료를 포함하는 기록층과, 상기 기록층의 더욱 상기 표면측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점착제에 대하여 박리성을 구비하는 박리층을 갖고, 상기 기록층이 발색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투명하다.

Description

투명 점착 시트 {TRANSPARENT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본 발명은, 이면측에 점착층을 갖는 투명성이 우수한 투명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투명 점착 시트는, 예를 들어, 투명 점착 테이프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투명 점착 시트는, 단순히 미관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착물에 첩부한 후에도 피착물을 가리지 않기 때문에, 매우 용도가 넓다.
투명 점착 시트의 상당수는, 이면측에 점착제로 형성된 점착층을 가짐과 함께, 이 점착제에 대하여 박리성을 갖는 박리제를 구비한 박리층을 표면측에 갖는다. 이러한 구성의 장척의 투명 점착 시트가, 심재의 둘레면에 권회되어 시판되고 있다. 권회된 상태에 있어서, 점착제는 한층 더 내측의 박리층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투명 점착 시트끼리가 고착되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박리층에 가착된 점착층을 박리시킴으로써, 투명 점착 시트를 외주측부터 순서대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박리층에 사용되는 박리제에는, 실리콘 수지나 실리콘 오일 등의 발수성이나 발유성의 성분이 첨가되어 있다. 이들 박리제는, 일반적으로, 인쇄 잉크를 튀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박리층 위로부터 인쇄를 실시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박리층에 인쇄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기재가 되는 층 등에 미리 인쇄를 실시한 후에, 박리층 또는 점착층을 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투명 점착 시트를 첩부할 때에 인쇄하고 싶다는 요청에는 대응할 수 없다.
이에,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점착 테이프에 인자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동(同)문헌에는, 이 방법에 의하면, 레이저 빔을 조사함으로써 「다품종 소로트의 개별 인쇄를 간단히 제조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특허문헌 1, 단락 [0001]). 한편, 이후 본 명세서에 있어서, 투명 점착 시트가 사용자에게 공급된 단계에서 이미 실시되어 있는 인쇄를 간단히 「인쇄」라고 하고, 사용자가 예를 들어 사용시 등에 행하는 인쇄를 「인자」라고 한다. 한편, 인자되는 것은 문자뿐만 아니라, 모양, 색채 패턴, 회화, 사진 등도 인자된다.
또한, 감열 발색지의 표면측의 최상층에 박리층을 형성하고, 이면측의 최하층에 점착층을 형성한 후, 가열에 의해 감열 발색지에 인자하는 기술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63520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73403호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은, 적층된 농색 잉크층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조사 부분을 제거하고, 농색 잉크층의 하층측에 적층된 백색 또는 담색 잉크층을 노출시킴으로써 인자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레이저광을 흡수할 수 있는 농색 잉크층을 형성할 필요가 있어, 전체적으로 농색인 투명 점착 시트밖에 만들 수 없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은, 감열층에 의해 투명성이 저해되기 때문에, 투명 점착 시트에는 적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 점착 테이프로서 사용할 수 있는 투명 점착 시트로서, 사용시에 인자가 가능한 투명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투명 점착 시트는, 투명 재료로 형성된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이면측에 형성된 피착물에 점착시키기 위한 점착제를 사용하여 형성된 점착층과, 상기 기재층의 표면측에 형성됨과 함께 가열에 의해 발색되는 발색 재료를 포함하는 기록층과, 상기 기록층의 더욱 상기 표면측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점착제에 대하여 박리성을 구비하는 박리층을 갖고, 상기 기록층이 발색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투명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투명 점착 시트가, 가열에 의해 발색되는 발색 재료를 포함하는 기록층을 갖기 때문에, 사용시에 가열함으로써 인자가 가능하다. 또한, 투명 점착 시트가, 투명 재료로 형성된 기재층과, 발색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투명한 기록층을 갖기 때문에, 투명 점착 테이프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투명이란, 무색 투명의 경우와, 유색 투명의 경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투명 점착 시트는, 사용할 때에, 간편한 방법으로 인자를 행할 수 있어, 인자를 실시한 투명 점착 테이프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투명성이 높기 때문에, 피착물에 첩부해도, 피착체를 은폐하는 일이 없다.
[도 1]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투명 점착 시트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 도 1의 투명 점착 시트를 심재에 권회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도 2의 권회된 투명 점착 시트의 인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투명 점착 시트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투명 점착 시트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 도 5의 투명 점착 시트를 용기에 첩부했을 때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투명 점착 시트의 공급 방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투명 점착 시트의 개략 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에, 도 1~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표면측 및 이면측이란 도면 중에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을 말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투명 점착 시트의 개략 단면도이다. 투명 점착 시트(1)는 투명 재료로 형성된 기재층(2)과, 기재층(2)의 이면측에 형성된 피착물에 점착시키기 위한 점착제를 사용하여 형성된 점착층(6)과, 기재층(2)의 표면측에 형성됨과 함께 가열에 의해 발색되는 발색 재료를 포함하는 기록층(3)과, 기록층(3)의 더욱 표면측에 형성됨과 함께, 점착제에 대하여 박리성을 구비하는 박리층(5)을 갖고 있다. 이 투명 점착 시트(1)는, 기록층(3)의 표면측에, 기록층(3)과 접하도록 배치된 중간층(4)을 더 갖고 있다. 또한, 기록층(3)이 발색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투명 점착 시트(1)는 전체적으로 투명하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투명이란, 투명 점착 시트(1)를 상품 등의 피착물에 첩부했을 때에, 투명 점착 시트(1)를 통하여 피착물을 시인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무색 투명 및 유색 투명을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록층(3)의 발색 전의 상태에서, JIS P8138에 준거한 불투명도가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불투명도가 이러한 범위인 경우, 투명 점착 시트의 투명성이 높다. 불투명도는, 2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불투명도는, 예를 들어, 시판의 반사율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한편, JIS P8138은, 종이의 불투명도의 측정 규격이다. 한편, 투명 점착 시트(1)의 일부에 인쇄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불투명도는, 인쇄된 부분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측정한다.
투명 점착 시트(1)는 장척상으로서, 일반적으로 투명 점착 테이프라 불리는 형상이다. 이 장척상의 투명 점착 시트(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재(8)에 권회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이 심재(8)는 통상적으로 저렴한 종이 등이 사용된다. 단 용도에 따라,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지나 금속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통상적으로 원통형인 것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원기둥형이나 각기둥형, 각통형 기타 투명 점착 시트(1)를 권회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또한, 심재(8)의 길이도 투명 점착 테이프의 폭 방향의 길이와 동일해도 되고, 투명 점착 시트(1)의 권회가 가능한 길이이면, 투명 점착 테이프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짧아도 되고 길어도 된다.
투명 점착 시트(1)가 권회된 상태에서, 점착층(6)의 점착제는 심재(8)에 접하고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 박리층(5)에 접하고 있다. 박리층(5)은 점착제에 대하여 박리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점착제에 의해 투명 점착 테이프가 고착되는 일도 없다. 사용자는, 권회된 외측으로부터 심재(8)측으로 투명 점착 테이프를 필요량만큼 순서대로 떼어냄과 함께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투명 점착 시트(1)의 각 층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재층(2))
기재층(2)은, 투명 재료, 예를 들어, 투명한 수지 필름으로 구성할 수 있다. 기재층(2)을 구성하는 수지로는, 필름이 유연성을 갖고, 투명성이 높은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스티렌 등의 스티렌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카보네이트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재층(2)을 구성하는 수지 필름은, 미연신 필름이어도 되고, 연신 필름이어도 된다. 연신 필름은, 1축 연신 필름 및 2축 연신 필름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한, 기재층(2)은, 단층 필름이어도 되고, 다층 필름이어도 된다.
투명성, 취급성, 다른 층의 형성 용이함, 강도 등의 관점에서, 기재층(2)의 두께는, 예를 들어, 5~150μm, 바람직하게는 10~100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20~70μm이다.
(기록층(3))
기록층(3)은 가열에 의해 발색되기 위한 층으로서, 인자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기록층(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서멀 헤드를 갖는 프린터 등을 사용하여 기록층(3)을 발색시킴으로써, 임의의 타이밍에 문자나 도안 등을 인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기록층(3)은, 가열에 의해 발색되는 발색 재료를 포함한다. 발색 재료로는, 가열에 의해 발색 가능한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단독으로 발색 가능한 염료를 사용해도 되고, 투명 또는 담색의 염료(로이코 염료)와, 이 염료를 가열에 의해 발색시킬 수 있는 현색제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로이코 염료와 현색제를 조합한 발색 재료는, 일반적인 감열 기록지 등에서도 사용되고 있으며, 입수하기 쉬워, 범용성이 높다.
로이코 염료로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트리페닐메탄프탈라이드계, 트리알릴메탄계, 플루오란계, 페노티아진계, 티오플루오란계, 크산텐계, 인도프타릴계, 스피로피란계, 아자프탈라이드계, 크로메노피라졸계, 메틴계, 로다민아닐리노락탐계, 로다민락탐계, 퀴나졸린계, 디아자크산텐계, 비스락톤계 등의 각종 로이코 염료를 들 수 있다. 로이코 염료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지만,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색의 인자가 가능한 기록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로이코 염료 중, 특히, 플루오란계 로이코 염료, 프탈라이드계 로이코 염료가 바람직하다. 플루오란계 로이코 염료로는, 예를 들어, 2-아닐리노-6-디에틸아미노-3-메틸플루오란, 2-아닐리노-6-(N-n-프로필-N-메틸아미노)-3-메틸플루오란, 2-아닐리노-6-(N-sec-부틸-N-에틸아미노)-3-메틸플루오란, 2-아닐리노-6-디(n-부틸)아미노-3-메틸플루오란, 6-(N-이소펜틸-N-에틸)아미노-3-메틸-2-o-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등의 3-알킬-2-아닐리노-6-(N,N-디알킬아미노)플루오란; 2-아닐리노-6-(N-에톡시프로필-N-에틸)아미노-3-메틸플루오란 등의 3-알킬-2-아닐리노-6-(N-알콕시알킬-N-알킬아미노)플루오란; 2-아닐리노-3-메틸-6-(N-시클로헥실-N-메틸아미노)플루오란 등의 3-알킬-2-아닐리노-6-(N-알킬-N-시클로알킬아미노)플루오란; 2-아닐리노-3-메틸-6-(N-메틸-N-p-톨루이디노)플루오란, 2-아닐리노-3-메틸-6-(N-에틸-N-p-톨루이디노)플루오란 등의 3-알킬-2-아닐리노-6-(N-알킬-N-아릴아미노)플루오란; 2-아닐리노-3-메틸-6-피롤리디노플루오란 등의 6위치에 고리형 아미노기를 갖는 2-아닐리노-3-알킬플루오란 화합물; 2-(o-클로로아닐리노)-6-디에틸아미노플루오란 등의 2-할로겐화아닐리노-6-디알킬아미노플루오란; 3-디메틸아미노-5-메틸-7-메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8-메틸플루오란 등의 디알킬아미노-디알킬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브로모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클로로플루오란 등의 디알킬아미노기를 갖는 할로겐화플루오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프탈라이드계 로이코 염료로는, 6-(디메틸아미노)-3,3-비스[p-(디메틸아미노)페닐]프탈라이드(크리스탈바이올렛락톤), 3-[2,2-비스(1-에틸-2-메틸-3-인돌릴)비닐]-3-(4-디에틸아미노페닐)프탈라이드, 3-[1,1-비스(4-디에틸아미노페닐)에틸렌-2-일]-6-디메틸아미노프탈라이드, 3,3-비스(1-n-부틸-2-메틸인돌-3-일)프탈라이드, 3,3-비스(4-디에틸아미노-2-에톡시페닐)-4-아자프탈라이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현색제로는, 산성 물질 등의 전자 수용체를 사용할 수 있다. 현색제는, 로이코 염료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현색제로는, 예를 들어, 산성 무기물(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등), 카르복실산(스테아르산 등의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 옥살산, 말레산 등의 폴리카르복실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숙신산 등의 지방족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 벤조산 등의 방향족 카르복실산 등) 등 외에, 페놀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현색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페놀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아렌(예를 들어, 4-tert-부틸페놀, 4-페닐페놀, β-나프톨 등); 하이드록시아렌카르복실산(살리실산, 3-tert-부틸살리실산, 2-하이드록시-6-나프토산, 2-하이드록시-p-톨릴산, 4-하이드록시프탈산 등); 하이드록시아렌카르복실산에스테르(5-하이드록시프탈산디메틸, 메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4-하이드록시벤조산에틸 등); 살리실아닐리드 등의 하이드록시아렌카르복실산아미드; 하이드록시아렌카르복실산의 금속염(살리실산아연, 2-하이드록시-6-나프토산아연, 3,5-디-tert-부틸살리실산주석 등); 비스페놀류[2,2'-디하이드록시디페닐 등의 하이드록시비페닐; 4,4'-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 4,4'-이소프로필리덴비스(2-클로로페놀) 등]; 노볼락형 페놀 수지; 페놀성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디아릴술폰(디(4-하이드록시페닐)술폰, 4,2'-디하이드록시디페닐술폰 등); 페놀성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디아릴술파이드(비스(4-하이드록시페닐)술파이드 등)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기록층(3) 중에 함유되는 로이코 염료나 현색제 등의 발색 재료는, 통상적으로 입자상이기 때문에, 가령 발색 재료의 입자 자체가 투명해도, 광을 난반사하기 때문에, 투명 점착 테이프의 투명성을 저해한다. 특히 발색 재료의 입자경이 크면, 입자가 광을 한층 더 크게 난반사하기 때문에, 투명 점착 시트(1)의 투명성이 한층 더 저하된다. 이에, 발색 재료의 입자경을 작게 제어함으로써 난반사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투명 점착 시트(1)의 투명성을 크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로이코 염료, 현색제 등의 발색 재료의 평균 입경은, 예를 들어, 0.1~1μm, 바람직하게는 0.1~0.7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6μm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평균 입경이란, 마이크로트랙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도 분석기로 측정한 체적 기준의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50% 평균 입경(메디안 직경)을 의미한다.
발색 재료의 발색 온도는, 발색 재료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인자에 사용하는 서멀 헤드 등의 가열체의 온도 등에 따라, 원하는 발열 온도에서 발열되도록 발색 재료의 종류를 적절히 선택해도 된다.
기록층(3) 중의 발색 재료의 함유량은, 발색 재료가 발색된 상태의 가시광역의 흡광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10~70질량%, 바람직하게는 20~6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50질량%이다. 발색 재료가, 로이코 염료와, 현색제를 포함하는 경우, 로이코 염료에 대한 현색제의 질량비(=현색제/염료)는, 각각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1/1~5/1, 바람직하게는 1.5/1~3/1이다.
기록층(3)은, 발색 재료를 결착하기 위한 결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결착제로는, 수지나 고분자(합성 고분자, 천연 고분자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결착제로는, 친수성 또는 수용성의 결착제, 수분산성의 결착제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착제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 수지 또는 그 비누화물(폴리아세트산비닐, 아세트산비닐-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아세트산비닐-염화비닐 공중합체 등의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PVA), 변성 PVA(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등), 올레핀 수지(이소프로필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이소부틸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디이소부틸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메틸비닐-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과 중합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과의 공중합체 등), 스티렌 수지(폴리스티렌;스티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과 중합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과의 공중합체 등), 폴리아미드 수지(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등), 시안화비닐 수지(폴리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등), 아크릴 수지(폴리(메트)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아크릴산-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메트)아크릴산과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와의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아미드, 변성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아미드 수지 등), 알킬비닐에테르 수지(폴리메틸비닐에테르 등), 염화비닐 또는 염화비닐리덴 수지(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염화비닐 및/또는 염화비닐리덴을 모노머 단위로서 포함하는 공중합체 등), 우레탄 수지(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등), 폴리비닐피롤리돈, 고무상 중합체(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아크릴 고무 등), 고무(아라비아 고무 등), 셀룰로오스 유도체(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에테르 등), 다당류(전분, 변성 전분 등), 단백질(카세인, 젤라틴, 아교 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결착제에 있어서, 공중합성 모노머인 중합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로는, (메트)아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무수 말레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카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공중합성 모노머로서 중합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을 사용함으로써, 수지에 대하여, 카르복실기 또는 산무수물기가 도입되고, 이에 의해, 친수성 또는 수용성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을, (메트)아크릴산이라 총칭하고, 아크릴산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라 총칭한다. 또한, 아크릴아미드 수지에서는, 아미드기나 아미노기가 도입됨으로써, 수지에 대하여 친수성 또는 수용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결착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아크릴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의 비누화물(PVA, 변성 PVA 등), SBR 등의 고무상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세트산비닐 수지의 비누화물은, 높은 친수성 또는 수용성을 갖기 때문에, 발색 재료나 기재층(2)과의 친화성이나 성막성이 높아, 투명성을 높이기 쉽다. 또한, 아크릴 수지나 고무상 중합체를 사용하면, 높은 투명성을 확보하면서도, 결착성을 높이기 쉽다.
결착제의 양은, 발색 재료 100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10~7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20~65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35~60질량부이다.
기록층(3)은, 충전제 및/또는 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제로는, 무기 충전제, 유기 충전제(폴리스티렌(PS) 등의 스티렌 수지, 폴리에틸렌(PE) 등의 올레핀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의 아크릴 수지, 우레아 수지 등의 각종 수지 입자 등)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충전제로는, 광물계 충전제(활성 백토, 카올리나이트 등의 카올린, 탤크, 클레이, 규조토 등), 규소 함유 화합물(화이트 카본, 실리카겔 등의 규소 산화물; 규산알루미늄 등의 규산염 등), 금속 화합물(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금속 산화물;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등의 금속 수산화물;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황산바륨 등의 금속 무기산염 등)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충전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충전제의 양은, 발색 재료 100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5~4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15~30질량부이다.
활제로는, 예를 들어, 왁스(파라핀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등의 에스테르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등의 폴리올레핀 왁스 등); 유지류[올레산 등의 고급 지방산; 고급 지방산염(스테아르산 아연 등의 금속 비누 등); 경유 등의 동물성 유지; 식물성 유지 등]; 실리콘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활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활제의 양은, 발색 재료 100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1~4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5~35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0질량부이다.
결착제, 충전제 및 활제가, 기록층(3)에 입자상으로 포함되는 경우, 입자의 입경은, 발색 재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난반사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소입경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입자의 평균 입경은, 예를 들어, 1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0.5μ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4μm 이하이다. 평균 입경은 작은 편이 바람직하고, 평균 입경의 하한은, 예를 들어, 0.01μm 이상이다.
이 기록층(3)에는, 투명 점착 시트(1)에 있어서의 난반사를 억제하기 위한 제1 난반사 억제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록층(3)에 포함되는 입자의 난반사를 억제함으로써, 투명 점착 시트(1)의 투명도가 한층 더 높아진다.
또한, 이 제1 난반사 억제 성분은, 발색 재료의 발색 온도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록층(3)을 형성하는 공정, 중간층(4)이나 박리층(5) 등을 형성하는 공정 또는 발색 재료를 발색시키는 공정 등에 있어서 가열됨으로써 제1 난반사 억제 성분의 융점 이상의 온도가 되면, 제1 난반사 억제 성분은 용융된다. 용융된 제1 난반사 억제 성분이, 기록층(3)에 포함되는 입자간의 간극이나 기재층(2)과 기록층(3)의 계면에 형성되는 간극에 들어감으로써, 입자간이나 계면에 있어서의 요철이 저감된다. 그 결과, 기록층(3)이나 기재층(2)과 기록층(3)의 계면에 있어서의 난반사가 억제되기 때문에, 투명 점착 시트(1)의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제1 난반사 억제 성분의 융점은 각 층, 특히 기록층(3)을 형성할 때의 온도나 발색 재료의 발색 온도보다 융점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난반사 억제 성분의 융점이, 발색 재료의 발색 온도보다 융점이 낮으면, 적어도 투명 점착 시트(1)에 인자할 때에 제1 난반사 억제 성분이 용융되기 때문에, 상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로는, 유기 재료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 유기 충전제, 왁스, 및/또는 유지류를 들 수 있다. 제1 난반사 억제 성분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특히 파라핀(파라핀 왁스)은 융점이 상이한 많은 종류가 있어, 용융 온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제1 난반사 억제 성분의 융점이, 기록층(3), 중간층(4), 박리층(5) 등을 형성할 때의 온도보다 낮은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융점이 이들 층의 형성 온도보다 낮은 경우, 각 층을 형성할 때에 제1 난반사 억제 성분이 용융되어,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기록층(3)을 형성할 때의 온도보다 낮은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상기 조건에 해당하는 제1 난반사 억제 성분의 융점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80℃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6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다. 제1 난반사 억제 성분의 융점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35℃ 이상이다.
제1 난반사 억제 성분은, 기록층(3) 내에서 용융시키기 전에는 입자상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난반사 억제 성분의 평균 입경은, 예를 들어, 1μm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05~0.5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4μm이다. 평균 입경이 이러한 범위인 경우, 기록층(3) 중에 분산되기 쉬워, 용융시킬 때에도, 비교적 균일하게 용융시킬 수 있다. 또한, 용융되지 않고 입자상의 형태로 기록층(3)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난반사를 억제하기 쉽다.
제1 난반사 억제 성분의 양은, 발색 재료 100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1~4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5~35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0질량부이다. 제1 난반사 억제 성분의 양이 이러한 범위인 경우, 인자의 명료성을 저해하지 않고, 투명 점착 시트(1), 특히, 기록층(3), 혹은 기록층(3)과 기재층(2)의 계면에 있어서의 난반사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난반사 억제 성분으로는, 기록층(3)이 갖는 다른 성분과 상이한 성분이어도 되지만, 다른 기능을 갖는 성분이 제1 난반사 억제 성분으로서 기능해도 된다. 예를 들어, 결착제, 충전제 및 활제 등 중, 비교적 저온에서 용융되는 재료는, 기록층(3)을 형성하는 공정, 중간층(4)이나 박리층(5) 등을 형성하는 공정, 발색 재료를 발색시키는 공정 등에 있어서 용융되기 때문에, 제1 난반사 억제 성분으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 유기 충전제, 왁스, 및 유지류는 결착제로서도, 제1 난반사 억제 성분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기록층(3)은, 예를 들어, 구성 성분을 분산매에 분산시켜 도공액을 조제하고, 기재층(2)의 표면측의 면에 도포하여, 도막을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구성 성분을 분산매에 분산시킬 때에는, 공지된 믹서나, 샌드밀, 비드밀 등의 공지된 분쇄기 등을 사용해도 된다. 분산매로는, 알코올, 케톤, 니트릴 등의 유기 용매를 사용해도 되지만,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막의 건조는, 대기압 하 또는 감압 하에서 행할 수 있다. 건조시에 있어서의 투명 점착 시트(1)의 온도를 제1 난반사 억제 성분의 융점보다 높게 제어하면, 제1 난반사 억제 성분을 용융시킬 수 있기 때문에, 난반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기록층(3)이 감열 반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명 점착 시트(1)의 온도를 과도하게 높아지지 않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동온도는, 예를 들어, 25~100℃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50~1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80~100℃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기재층(2)의 단위 면적당의 기록층(3)의 중량은, 건조 중량으로, 예를 들어, 1~10g/m2,바람직하게는 2~6g/m2이다. 기록층(3)의 중량이 이러한 범위인 경우, 기록층(3)의 두께를 적당한 범위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인자성과 투명성을 양립하기 쉽다.
(중간층 4)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록층(3)의 표면측에, 기록층(3)과 접하도록 중간층(4)을 더 형성하고 있다. 중간층(4)은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지만, 중간층(4)을 형성하여 기록층(3)을 보호함으로써, 투명 점착 시트(1)의 내수성·내유성·내약품성 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중간층(4)의 성막성이 향상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수지로는, 기록층(3)의 결착제로서 예시한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의 비누화물(PVA, 변성 PVA 등), SBR 등의 고무상 중합체를 중간층(4)이 갖고 있으면, 투명 점착 시트(1)의 내수성을 높이기 쉽다. 친수성 수지 또는 수용성 수지, 혹은 수분산성의 수지 등을 사용함으로써 내유성을 높이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중간층(4)은 투명 점착 시트(1)에 있어서의 난반사를 억제하기 위한 제2 난반사 억제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4)에 포함되는 입자의 난반사를 억제함으로써, 투명 점착 시트(1)의 투명도가 한층 더 높아진다. 이러한 제2 난반사 억제 성분으로는, 중간층(4)이 갖는 다른 성분과는 상이한 성분이어도 되지만, 다른 기능을 갖는 성분이 제2 난반사 억제 성분으로서 기능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친수성 수지 또는 수용성 수지는, 성막성이 높고, 기록층(3) 상에 중간층(4)을 형성할 때에, 친수성의 기록층(3) 중에 스며들기 쉽기 때문에, 평활한 중간층(4)을 형성하기가 용이해진다. 평활한 중간층(4)이 형성됨으로써, 기록층(3)이나 기록층(3)과 중간층(4)의 계면 등에 있어서의 난반사가 억제되고, 이에 의해, 투명 점착 시트(1)의 투명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친수성 수지나 수용성 수지는, 투명 점착 시트(1)에 있어서의 난반사를 억제하기 위한 제2 난반사 억제 성분으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친수성 수지 또는 수용성 수지로는, PVA 등의 아세트산비닐 수지의 비누화물 외에, 아크릴 수지(특히, 카르복실기, 산무수물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등의 친수성기가 도입된 아크릴 수지 등)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세트산비닐 수지의 비누화물, 특히 PVA 등의 비누화도가 높은 것은, 하이드록실기를 많이 포함하기 때문에, 높은 친수성 또는 수용성을 갖는다.
이러한 친수성 수지나 수용성 수지는, 코어셸형 입자의 셸 재료로서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의 코어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기에서 예시한 친수성 수지 또는 수용성 수지 등에서 적절히 선택해도 되지만, 가교 수지 등의 소수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가 소수성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셸에 포함되는 친수성 수지 또는 수용성 수지가 기록층(3)에 스며든 후에도, 코어가 중간층(4)에 존재하여,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박리층(5)과의 친화성이 높기 때문에, 중간층(4)과 박리층(5)의 계면 등에 있어서의 난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코어셸형 입자로는, 공지된 것, 예를 들어, 아크릴아미드 수지 등의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코어셸형 입자로서, 상품명 「배리어스타」(미츠이 화학(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중간층(4)은, 수지를 포함하는 도공액을, 기록층(3)의 표면측의 면에 도포하고, 도막을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도공액은, 예를 들어, 분산액이나 에멀션의 형태이다. 도공액에 사용되는 분산매로는, 기록층(3)에 대해 예시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도공액은, 필요에 따라, 계면 활성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지가 수용성 수지 또는 친수성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도막을 건조시킬 때에, 수용성 수지 또는 친수성 수지를 기록층(3) 중에 스며들게 할 수 있다. 건조 조건은, 도공액 중의 분산매를 제거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기록층(3)을 형성할 때의 건조 조건과 동일해도 된다.
기록층(3)의 단위 면적당의 중간층(4)의 중량은, 건조 중량으로, 예를 들어, 0.1~5g/m2,바람직하게는 0.5~3g/m2로 할 수 있다. 중간층(4)의 중량이 이러한 범위인 경우, 투명성을 확보하면서도 배리어성을 확보하기 쉽다.
(점착층(6))
점착층(6)은, 점착제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점착제로는, 공지된 것,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는, 용제형 점착제, 무용제형 점착제, 에멀션형 점착제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점착층(6)은, 점착제를 기재층(2)의 이면측의 면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점착층(6)의 형성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기록층(3)을 형성하기 전에 점착층(6)을 형성해도 되고, 기록층(3), 중간층(4), 또는 박리층(5)을 형성한 후에 점착층(6)을 형성할 수도 있다.
기재층(2)의 단위 면적당의 점착층(6)의 중량은, 건조 중량으로, 예를 들어, 1~20g/m2,바람직하게는 5~15g/m2로 할 수 있다. 점착층(6)의 중량이 이러한 범위인 경우, 적당한 점착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기 쉽다.
(박리층(5))
투명 점착 시트(1)에 있어서, 기록층(3)의 표면측에는 박리층(5)이 형성되어 있다. 박리층(5)은, 권회된 투명 점착 시트(1)를 사용할 때에, 점착층(6)으로부터 박리시키기 위하여 최표면측에 형성된다.
박리층(5)은, 박리제 또는 이형제를 포함한다. 박리제 또는 이형제로는, 박리제 또는 플라스틱 성형용의 이형제 등으로서 알려져 있는 공지된 것,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박리제는, 점착제의 종류에 대응시켜,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박리층(5)은, 필요에 따라, 공지된 첨가제, 예를 들어, 서멀 헤드의 미끄러짐을 좋게 하기 위한 활제 등을 포함해도 된다.
박리층(5)의 형성 영역은, 투명 점착 시트(1)를 권회했을 때에, 점착층(6)의 박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박리층(5)은, 외측 둘레의 점착층(6)과 대향하는 영역에 적어도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최표면측의 일부에 형성해도 되고, 전체에 형성해도 된다.
박리층(5)은, 최표면측에 박리제를 도포하고, 도막을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박리층(5)의 중량은, 건조 중량으로, 예를 들어, 0.1~5g/m2,바람직하게는 0.1~2.5g/m2로 할 수 있다. 박리층(5)의 중량이 이러한 범위인 경우, 박리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기 쉽다.
도 3은, 도 2의 권회된 투명 점착 시트(1)에 인자를 실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한편, 권회된 투명 점착 시트(1)를, 이하, 간단히 권회체(1a)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띠상의 투명 점착 시트(1)를 심재(8)에 권회한 권회체(1a)는, 카세트(9)에 수용된 상태에서, 일부가 도시된 열전사 프린터에 장착된다. 열전사 프린터는, 권회체(1a)로부터 투명 점착 시트(1)를 권출하기 위한 구동 롤러(10b)와, 투명 점착 시트(1)를 가열하기 위한 서멀 헤드(10a)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롤러(10b)에 의해 권회체(1a)로부터 권출된 띠상의 투명 점착 시트(1)는, 서멀 헤드(10a) 부분에 공급되어, 서멀 헤드(10a)와 접촉함으로써 가열된다. 서멀 헤드(10a)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투명 점착 시트(1)의 기록층(3)에 있어서 발색 재료가 발색되고, 이에 의해, 투명 점착 시트(1)에 인자가 실시된다. 인자가 실시된 투명 점착 시트(1)는, 열전사 프린터 밖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투명 점착 시트(1)는, 사용시에 열전사 프린터로 간편하게 인자할 수 있기 때문에, 소량의 상품 등에도 사용하기 쉽다.
이상에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본 실시형태의 투명 점착 시트는, 가열에 의해 발색되는 발색 재료를 포함하는 기록층(3)을 갖기 때문에, 사용시에 가열함으로써 인자가 가능하다.
(2) 본 실시형태의 투명 점착 시트는, 투명 재료로 형성된 기재층(2)과, 발색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투명한 기록층(3)과, 피착물에 점착시키기 위한 점착제를 사용하여 형성된 점착층(6)을 갖기 때문에, 투명 점착 테이프로서 사용할 수 있다.
(3) 본 실시형태의 투명 점착 시트는, 상기 기록층의 발색 전의 상태에서, JIS P8138에 준거한 불투명도가 25% 이하로서 불투명도가 낮다, 즉 투명 점착 시트의 투명성이 높다. 따라서, 피착체를 시인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4) 본 실시형태의 투명 점착 시트는, 기록층이 포함하는 제1 난반사 억제 성분에 의해 난반사가 억제되기 때문에, 투명 점착 시트의 투명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5) 또한, 제1 난반사 억제 성분은, 상기 발색 재료의 발색 온도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유기 재료를 포함하기 때문에, 적어도 발색시에 용해됨으로써 난반사 억제 효과가 발휘된다.
(6) 또한, 유기 재료는 파라핀을 포함한다. 파라핀은 많은 종류가 있어 선택 및/또는 혼합함으로써, 융점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발색 재료의 발색 온도보다 낮은 융점으로 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범용이면서 저렴한 재료이다.
(7) 본 실시형태의 투명 점착 시트는, 중간층(4)이 기록층(3)을 보호하기 때문에, 마찰 등에 의해 기록층이 발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물·기름 기타 외부 환경으로부터 기록층(3)을 보호할 수 있다.
(8) 본 실시형태의 투명 점착 시트는, 중간층(4)이, 제2 난반사 억제 성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투명 점착 시트의 투명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9) 또한, 제2 난반사 억제 성분은 친수성 수지 또는 수용성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기록층(3)이 친수성인 경우, 친수성 수지 또는 수용성 수지가 중간층(4)과의 계면으로부터 친수성의 기록층(3)에 안으로 스며들어 양자의 계면이나 기록층(3)에 있어서의 난반사를 억제한다.
(10) 또한, 제2 난반사 억제 성분이 친수성 수지 또는 상기 수용성 수지를 셸에 포함하는 코어셸형 입자인 경우로서, 기록층(3)이 친수성인 경우, 친수성 수지 또는 수용성 수지의 셸이, 중간층(4)과의 계면으로부터 친수성의 기록층(3)에 안으로 스며들어 양자의 계면이나 기록층(3)에 있어서의 난반사를 억제한다. 또 코어가 소수성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셸에 포함되는 친수성 수지 또는 수용성 수지가 기록층(3)에 스며든 후에도, 코어가 중간층(4)에 존재하여, 내수성을 향상시킬 가능성이 있다.
(11) 본 실시형태의 투명 점착 시트(1)는 통상 또는 기둥상의 심재(8)의 둘레면에 권회되어 있다. 그 때문에, 투명 점착 시트가 장척상이어도, 컴팩트하게 수용할 수 있음과 함께, 보관이나 운반에 편리하다.
[제2 실시형태]
이하에,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제2 실시형태는, 층 구성의 일부가 상이한 것 이외에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투명 점착 시트(1)는, 기록층(3) 또는 중간층(4)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7)을 중간층(4)의 표면측에 갖고 있다.
(보호층(7))
보호층(7)은, 기록층(3)이나 중간층(4)의 보호를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호층(7)은, 인자시에 서멀 헤드 등의 가열체와 투명 점착 시트(1)의 접촉성을 높여, 기록층(3)을 원활하게 발색시키는 기능을 갖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보호층(7)은, 충전제, 결착제, 활제의 전부 또는 어느 것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충전제를 포함함으로써, 보호층(7)은, 적당한 층 강도를 얻을 수 있다. 충전제는, 기록층(3)에 대하여 예시한 것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특히, PS 입자, PMMA 입자 등의 유기 충전제, 탄산칼슘 등의 금속 화합물(금속염 등) 등이 바람직하다.
충전제로서, 산화규소 또는 그 수화물의 콜로이드인 콜로이달실리카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콜로이달실리카는 일반적으로 입경이 작기 때문에, 보호층(7)에 있어서의 난반사가 억제된다. 그 결과, 보호층(7)의 투명성이 향상되어, 보호층(7)보다 이면측에 있는 기록층(3)에 형성된 화상이나 문자를, 보호층(7)을 투과시켜 표면측으로부터 명료하게 확인할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상기 효과를 얻기 위하여, 콜로이달실리카의 평균 입경은, 예를 들어 500nm 이하이고, 4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n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층(7)은, 입도 분포가 상이한 복수의 콜로이달실리카의 입자군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균 입경이 1nm 이상 20nm 미만인 콜로이달실리카와, 평균 입경이, 예를 들어 20~500nm, 바람직하게는 20~100nm인 콜로이달실리카를 병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소입자군과 대입자군을 병용함으로써, 보호층(7)의 강도를 높이면서도, 높은 투명성을 유지하기가 용이해진다.
보호층(7) 중의 콜로이달실리카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10~65질량%, 바람직하게는 10~6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50질량%, 특히 25~50질량%이다. 콜로이달실리카의 함유량이 이러한 범위인 경우, 보호층(7)의 강도와, 높은 투명성을 양립하기 쉽다.
보호층(7)의 결착제로는, 기록층(3)의 결착제로서 예시한 것 외에, 예를 들어, 폴리(메트)아크릴산 등의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로는, 자기 가교성의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해도 되고, 베이스 수지와 가교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조성물로는,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 등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와, 카르복실기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가교제는, 베이스 수지가 갖는 관능기의 종류에 따라, 탄산지르코늄암모늄 등의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열경화성 수지로는, 필요에 따라, 경화제, 경화 촉진제 등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해도 된다. 결착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호층(7) 중의 결착제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10~70질량%, 바람직하게는 20~6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5~50질량%이다. 또한, 보호층(7)에 있어서, 결착제의 양은, 콜로이달실리카 100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50~50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80~200질량부이다.
보호층(7)에 활제를 포함하는 경우, 기록층(3)에 대해 예시한 것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활제의 평균 입경은, 예를 들어, 0.01~7μm, 바람직하게는 0.05~6μm이다.
또한, 콜로이달실리카와 다른 충전제를 더불어 사용하는 경우에는, 콜로이달실리카 이외의 충전제 및 활제의 양은, 콜로이달실리카 100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1~4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5~35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0질량부이다. 충전제 및 활제의 양이 이러한 범위인 경우, 보호층(7)의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투명성을 확보하기 쉽다.
보호층(7)은, 예를 들어, 보호층(7)의 구성 성분을 분산매에 분산시켜 도공액을 조제하고, 기록층(3) 또는 중간층(4)의 표면측의 면에 도포하여, 도막을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도공액에 사용되는 분산매로는, 기록층(3)에 대해 예시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건조 조건은, 도공액 중의 분산매를 제거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기록층(3)을 형성할 때의 건조 조건과 동일해도 된다.
단위 면적당의 보호층(7)의 중량은, 건조 중량으로, 예를 들어, 0.1~5g/m2,바람직하게는 0.5~2.5g/m2로 할 수 있다. 보호층(7)의 중량이 이러한 범위인 경우, 투명성과 적당한 강도를 확보하기 쉽다.
이상에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미 나타낸 (1)~(11)의 효과에 더하여,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2) 본 실시형태의 투명 점착 시트는, 보호층(7)이 기록층(3)을 보호하기 때문에, 마찰 등에 의해 기록층(3)이 발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물·기름 기타 외부 환경으로부터 기록층(3)을 보호할 수 있다.
(13) 또한, 보호층(7)이, 결착제 및 충전제를 포함함으로써, 보호층(7)이 강고해진다.
[제3 실시형태]
이하에, 도 5~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제3 실시형태는, 층 구성의 일부가 상이한 것 이외에 제2 실시형태와, 또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에는, 각각 도면 중에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을 말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점착층(6)은 최이면측 전체면에 형성되어 있었던 반면, 본 실시형태의 투명 점착 시트(1)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면측의 일부에 점착층(6)이 형성되어 있다. 그것에 대응하여, 최이면측에 점착층(6)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대응하는 최표면측의 일부에 박리층(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점착층(6)을 구성하기 위한 점착제나 박리층(5)을 형성하기 위한 박리제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피착체에 점착하는 점착층(6)의 면적이 작기 때문에, 점착층(6)이 최이면 전체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첩착 후의 박리가 용이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피착물에 투명 점착 시트(1)를 일시적으로 첩부할 필요가 있는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점착층(6)을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한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의 두름용 시트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투명 점착 시트(1)를, 용기에 첩부했을 때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덮개체(20a) 및 용기 본체(20b)로 이루어지는 용기(20)에, 투명 점착 시트(1)를 띠상으로 휘감음과 함께, 양단부에 형성된 점착층(6, 6)을 용기 본체 저면부에 첩부함으로써, 용기(20)을 둘러 봉지하고 있다.
이러한 사용 형태에 있어서도, 투명 점착 시트(1)는 투명하기 때문에, 용기(20)를 덮어 가리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내용물을 볼 수 있는 상태에서, 용기(20)의 의장성을 저해하지 않고, 봉지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점착 시트(1)에는 언제나 인자가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 연월일 등을 봉지시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투명 점착 시트(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심재(8)에 권회된 형상으로 공급해도 되지만,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넓은 지면의 시트로서 공급해도 된다. 투명 점착 시트(1)의 가로 방향의 양단부와 중앙부의 이면측에, 점착층(6)이 세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 넓은 지면의 시트를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소정의 간격(D)으로, 가로 방향으로 절단(즉 일점 쇄선(27a)을 절단)함과 함께, 가로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점착층(6)을 분할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절단(일점 쇄선(27b)을 절단)함으로써, 띠상의 투명 점착 시트(1)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미 나타낸 (1)~(11)의 효과, 및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미 나타낸 (12) 및 (13)의 효과에 더하여,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4) 본 실시형태의 투명 점착 시트는, 이면측의 일부에 점착층(6)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점착제를 절감할 수 있다.
(15) 또한, 박리층(5)도 점착층(6)과 대향하는 표면측의 일부에 형성하면 되기 때문에, 박리제도 절약할 수 있다.
(16) 또한, 이면측의 일부에 점착층(6)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점착층(6)이 형성되는 면적을 조정함으로써, 점착 강도를 용이하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7) 또한, 이면측의 양단부에 점착층(6)을 형성한 경우에는, 봉지용의 밴드체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된다.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박리층(5)은 보호층(7) 위에 형성되어 있으나,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리층(5)을 중간층(4)에 접하도록 형성함과 함께 박리층(5)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보호층(7)을 생략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보호층(7) 형성에 필요한 재료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박리층(5)이 보호층(7)과 동등한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라면, 박리층(5)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보호층(7)이 없어도 특별히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최표면측에서 점착층(6)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대응하는 최표면측의 일부에 박리층(5)이 형성되어 있으나, 박리층(5)은 최표면측의 전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박리층(5)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 사이에서 광택에 차이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박리층(5)을 전체면 형성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재층(2), 점착층(6), 기록층(3) 및 박리층(5) 이외의 층은 필수적이지는 않다. 그 이외의 층은 용도에 따라, 임의로 조합하면 된다. 예를 들어, 어느 용도에 대하여 충분한 투명도를 가질 수 있음과 함께, 기록층(3)의 보호가 충분하면, 중간층(4)은 생략해도 된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투명 점착 시트(1)는, 상기 이외의 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기록층(3)과는 달리, 화상이나 문자 등을 사전 인쇄하기 위한 인쇄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인쇄층은 필요에 따라 상기 서술한 각 층 중 어느 것 사이에 형성하면 된다.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투명 점착 시트(1)는, 심재(8)의 둘레면에 권회된 형상으로 공급되어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넓은 지면의 시트상으로 공급되어 있으나, 다른 형상으로 공급되어 있어도 된다. 용도·수송·취급의 편리함 등에 대응하여, 가장 적합한 형상으로 공급하면 된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투명 점착 시트(1)가 갖는 각 층은, 반드시 전체면에 형성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인자할 부분이 결정되어 있는 것이라면, 당해 부분 및 그 근방에만 기록층(3)을 형성하면, 기록층(3) 형성에 필요한 재료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기록층(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중간층(4)이나 보호층(7)을 생략해도 된다.
·상기 각 실시형태는 예시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 있어서, 그 밖의 실시형태를 생각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기록층(3)의 형성
로이코 염료로서의 2-아닐리노-6-디(n-부틸)아미노-3-메틸플루오란(평균 입경 0.5μm) 12질량부와, 현색제로서의 3,3'-디알릴-4,4'-디하이드록시디페닐술폰(평균 입경 0.4μm) 25질량부와, 결착제로서의 SBR(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Tg-3℃) 20질량부와, 충전제로서의 카올린(평균 입경 0.4μm) 10질량부와, 제1 난반사 억제 성분으로서의 파라핀(융점 46℃, 평균 입경 0.2μm) 4질량부를, 적당량의 물에 분산시킴으로써 기록층(3)용의 도공액(도공액 A)을 조제하였다.
도공액 A를, 기재층으로서의 OPP 필름(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두께 40μm)의 표면측의 면 전체에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기록층(3)을 형성하였다. 이 때, 도공액 A는, 건조 후의 중량으로 4.0g/m2가 되는 도포량으로 도포하였다.
(2) 중간층(4)의 형성
제1 난반사 억제 성분으로서의 코어셸형 아크릴 수지를, 적당량의 물에 분산시킴으로써, 중간층(4)용의 도공액(도공액 B)을 조제하였다. 도공액 B를, 상기(1)에서 얻어진 적층체의 기록층(3)의 표면측의 면 전체에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중간층(4)을 형성하였다. 이 때, 도공액 B는, 건조 후의 중량으로 1.8g/m2가 되는 도포량으로 도포하였다.
(3) 보호층(7)의 형성
입경이 수nm인 콜로이달실리카 15질량부, 입경이 수10nm인 콜로이달실리카 30질량부, PE 입자(평균 입경 0.12μm) 10질량부, 스테아르산아연(평균 입경 5.5μm) 5질량부, 및 결착제(아크릴 수지(폴리아크릴산) 50질량부 및 가교제로서의 탄산지르코늄암모늄 5질량부)를, 적당량의 물에 분산시킴으로써 보호층(7)용의 도공액(도공액 C)을 조제하였다.
도공액 C를, 상기 (2)에서 얻어진 적층체의 중간층(4)의 표면측의 면 전체에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보호층(7)을 형성하였다. 이 때, 도공액 C는, 건조 후의 중량으로 1.5g/m2가 되는 도포량으로 도포하였다.
(4) 박리층(5)의 형성
상기 (3)에서 얻어진 적층체의 보호층(7)의 표면측의 면 전체에, 실리콘계 박리제(실리콘 수지)를, 0.5g/m2가 되는 도포량으로 도포함으로써, 박리층(5)을 형성하였다.
(5) 점착층(6)의 형성
상기 (4)에서 얻어진 적층체의 기재층의 이면측의 면 전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10g/m2가 되는 도포량으로 도포함으로써, 점착층(6)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점착 테이프상의 투명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6) 평가
(a) 불투명도
얻어진 투명 점착 시트에 대해, JIS P8138에 준거한 불투명도를, 반사율계(도쿄 덴쇼쿠(주) 제조, TC-6DS/A형 반사율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불투명도는 7.4%였다.
(b) 시인성
투명 점착 시트를 통해 대상물을 시인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 하기의 순서로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대상물로서의 쌀밥으로부터 1.5cm 떨어뜨린 위치에 투명 점착 시트를 배치하였다. 박리층(5)측으로부터, 투명 점착 시트를 통해 육안으로 쌀밥을 관찰했을 때, 쌀밥의 알갱이를 확인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 평가하였다. 평가는, 5명의 피험자로 행하였다. 그 결과, 5명 전원의 피험자가 쌀밥의 알갱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4 및 비교예 1]
기재층의 두께를 조정함과 함께, 각 층의 도포량을 조정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표 1에 나타내는 불투명도를 갖는 투명 점착 시트를 제조하고, 평가를 행하였다.
한편, 상기에서 얻어진 실시예 1~4의 투명 점착 시트는, 기록층(3)의 발색 전의 상태에서 투명했지만, 비교예 1의 투명 점착 시트는, 기록층(3)의 발색 전의 상태에서 불투명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한편, 시인성에 대해서는, 5명의 피험자 중, 대상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던 사람의 인원수로 평가하였다.


불투명도[%]

시인성

실시예 1

7.4

5/5

실시예 2

13.3

5/5

실시예 3

19.6

5/5

실시예 4

24.7

4/5

비교예 1

29.8

0/5
실시예 1~4의 투명 점착 시트는 투명성이 높아, 시인성의 관능 시험에서는, 5명 중 4명 또는 5명이, 투명 점착 시트를 통해 대상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의 투명 점착 시트는, 육안으로도 불투명하여, 5명 중 5명의 피험자가 투명 점착 시트를 통한 상태에서는 대상물을 확인할 수 없었다.
[실시예 5~7]
(2) 중간층(4)의 형성에 있어서, 코어셸형 아크릴 수지 대신에, 아크릴 수지(실시예 5), PVA(실시예 6), 또는 SBR(실시예 7)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중간층(4)을 형성하고, 투명 점착 시트를 형성하였다. 얻어진 투명 점착 시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5~7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투명 점착 시트의 불투명도는, 모두 10% 이하로, 투명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이들 실시예에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높은 시인성이 나타났다.
실시예 1 및 5~7에서 얻어진 투명 점착 시트에 대해, 하기의 순서로 내수성 및 내유성을 평가하였다.
(a) 내수성
투명 점착 시트를, 23℃에서 수돗물에 24시간 침지시키고, 꺼내, 수포 등에 의한 표층의 탈락(표면의 박리)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b) 내유성
열전사 프린터에 의해, 투명 점착 시트의 기록층(3)에 인자를 형성하였다. 인자 상의 투명 점착 시트의 표면에 식용유를 2방울 적하하고, 40℃에서 15시간 방치한 후, 인자의 상태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중간층(4)에 PVA를 사용한 경우, 내수성 평가에 있어서, 표면에 박리가 발생하고, 중간층(4)에 아크릴 수지 또는 SBR을 사용한 경우, 내유성 평가에 있어서, 인자가 없어지는 부분이 발생하였다. 그 때문에, 내수성 및 내유성의 관점에서는, 중간층(4)에 코어셸형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투명 점착 시트
1a…권회체
2…기재층
3…기록층
4…중간층
5…박리층
6…점착층
7…보호층
8…심재
9…카세트
10a…서멀 헤드
10b…구동 롤러
20…용기
20a…덮개체
20b…용기 본체

Claims (14)

  1. 투명 재료로 형성된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이면측에 형성된 피착물에 점착시키기 위한 점착제를 사용하여 형성된 점착층과,
    상기 기재층의 표면측에 형성됨과 함께 가열에 의해 발색되는 발색 재료를 포함하는 기록층과,
    상기 기록층의 더욱 상기 표면측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점착제에 대하여 박리성을 구비하는 박리층을 갖고,
    상기 기록층이 발색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투명하며,
    상기 기록층의 상기 표면측에, 당해 기록층과 접하도록 배치된 중간층을 더 갖고,
    상기 중간층은, 투명 점착 시트에 있어서의 난반사를 억제하기 위한 제2 난반사 억제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난반사 억제 성분은 친수성 수지 또는 수용성 수지를 셸에 포함하는 코어셸형 입자인 투명 점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점착 시트는, 상기 기록층의 발색 전의 상태에서, JIS P8138에 준거한 불투명도가 25% 이하인 투명 점착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층은, 상기 투명 점착 시트에 있어서의 난반사를 억제하기 위한 제1 난반사 억제 성분을 포함하는 투명 점착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난반사 억제 성분은, 상기 발색 재료의 발색 온도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투명 점착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재료는 파라핀을 포함하는 투명 점착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층의 상기 표면측에, 당해 기록층을 보호하는 보호층을 더 갖고,
    상기 보호층은, 결착제 및 충전제를 포함하는 투명 점착 시트.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상 또는 기둥상의 심재의 둘레면에 권회되어 있는 투명 점착 시트.
KR1020167001175A 2013-07-26 2014-07-25 투명 점착 시트 KR1018248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55982 2013-07-26
JPJP-P-2013-155982 2013-07-26
PCT/JP2014/069678 WO2015012386A1 (ja) 2013-07-26 2014-07-25 透明粘着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544A KR20160020544A (ko) 2016-02-23
KR101824820B1 true KR101824820B1 (ko) 2018-03-14

Family

ID=52393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1175A KR101824820B1 (ko) 2013-07-26 2014-07-25 투명 점착 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02131B2 (ko)
EP (1) EP3026089B1 (ko)
JP (1) JP6153272B6 (ko)
KR (1) KR101824820B1 (ko)
CN (1) CN105555893B (ko)
ES (1) ES2879676T3 (ko)
WO (1) WO20150123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53272B6 (ja) 2013-07-26 2018-06-27 大阪シーリング印刷株式会社 透明粘着シート
WO2015072411A1 (ja) 2013-11-15 2015-05-21 大阪シーリング印刷株式会社 感熱記録シート
ES2875999T3 (es) * 2014-07-14 2021-11-11 Osaka Sealing Label Print Cuerpo de registro termosensible
JP2016209126A (ja) * 2015-04-30 2016-12-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WO2017122312A1 (ja) * 2016-01-14 2017-07-20 大阪シーリング印刷株式会社 感熱記録体
CN108463415A (zh) * 2016-01-14 2018-08-28 大阪希琳阁印刷株式会社 包装片材、以及使用该包装片材的包装容器和包装方法
JP2017181910A (ja) * 2016-03-31 2017-10-05 大阪シーリング印刷株式会社 透明シート連続体
WO2017209048A1 (ja) * 2016-05-30 2017-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物、画像記録方法、及び画像記録装置
DE102017131276A1 (de) * 2017-12-22 2019-06-27 Mitsubishi Hitec Paper Europe Gmbh Recyclingfähiges Releasesubstrat
JP7069446B2 (ja) * 2020-12-08 2022-05-18 大阪シーリング印刷株式会社 感熱フィルム
CN114536946A (zh) * 2022-01-17 2022-05-27 东莞市松烁硅胶科技有限公司 一种几何形硅胶胶章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4791A (ja) * 1987-12-11 1989-06-16 Fuji Photo Film Co Ltd 受像材料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H01156062A (ja) * 1987-12-14 1989-06-19 Oji Yuka Gouseishi Kk 半透明のプロピレン系樹脂多層複合フイルム
JPH03156406A (ja) 1989-11-15 1991-07-04 Hitachi Cable Ltd 多心光ロータリジョイント
JP2953630B2 (ja) * 1989-12-28 1999-09-27 三井化学株式会社 感熱記録材料
JP3050634B2 (ja) 1991-04-24 2000-06-12 日本化薬株式会社 感熱記録体
JP2730439B2 (ja) 1993-02-03 1998-03-25 株式会社日本触媒 感熱記録材料用水性樹脂分散液および該分散液を用いた感熱記録材料
US5380693A (en) * 1993-04-02 1995-01-10 Ricoh Company, Ltd. Transparent thermosensitive recording medium
US5840657A (en) * 1994-02-18 1998-11-24 The Standard Register Company Imagable linerles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JPH0825807A (ja) * 1994-07-20 1996-01-30 New Oji Paper Co Ltd 感熱記録体の製造方法
JP3471174B2 (ja) * 1996-06-25 2003-11-25 大阪シーリング印刷株式会社 感熱記録シート
JPH10166730A (ja) * 1996-12-13 1998-06-23 Oji Paper Co Ltd 感熱記録用粘着ラベル
JP3767059B2 (ja) * 1997-01-07 2006-04-19 王子製紙株式会社 粘着シート
US5888929A (en) 1996-12-18 1999-03-30 Oji Paper Co., Ltd. Sheet set for temperature control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H10251591A (ja) 1997-03-14 1998-09-22 Nippon Shokubai Co Ltd 感熱記録材料用水性樹脂分散液、該分散液の製造方法、および該分散液を用いた感熱記録材料
JPH1156062A (ja) 1997-08-25 1999-03-02 Tadakatsu Ogura 草刈装置及び草刈装置用草刈カバー
JP3716084B2 (ja) 1997-09-30 2005-11-16 三菱製紙株式会社 可逆性感熱記録材料
JPH11165464A (ja) 1997-12-04 1999-06-22 Oji Paper Co Ltd 感熱記録体
JP2000273403A (ja) * 1999-03-26 2000-10-03 Lintec Corp 感熱発色テープ
US6921740B1 (en) 1999-08-31 2005-07-26 Mitsubishi Paper Miils Ltd. Electron-receiving compound and thermal recording material
WO2001054917A1 (en) * 2000-01-28 2001-08-02 Sipix Imaging, Inc. Heat sensitive recording material
JP2001353964A (ja) 2000-06-13 2001-12-25 Osaka Sealing Printing Co Ltd 感熱発色記録ラベル
JP2002362027A (ja) 2001-06-07 2002-12-18 Oji Paper Co Ltd 感熱記録ラベル
JP2005040989A (ja) 2003-07-23 2005-02-17 Fuji Photo Film Co Ltd 感熱記録材料
JP2008063520A (ja) 2006-09-11 2008-03-21 Mitsubishi Pencil Co Ltd 粘着テープ
JP2010023252A (ja) 2008-07-16 2010-02-04 Oji Paper Co Ltd 感熱記録体
US8722576B2 (en) 2009-09-03 2014-05-13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Thermosensitive recording label
CN102917883B (zh) 2010-03-30 2015-01-14 三菱制纸株式会社 热敏记录材料的制造方法
JP6153272B6 (ja) 2013-07-26 2018-06-27 大阪シーリング印刷株式会社 透明粘着シート
WO2015072410A1 (ja) 2013-11-15 2015-05-21 大阪シーリング印刷株式会社 透明感熱包装シート、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透明包装容器および包装方法
WO2015072411A1 (ja) 2013-11-15 2015-05-21 大阪シーリング印刷株式会社 感熱記録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02131B2 (en) 2018-02-27
CN105555893A (zh) 2016-05-04
EP3026089B1 (en) 2021-04-21
JP6153272B2 (ja) 2017-06-28
KR20160020544A (ko) 2016-02-23
ES2879676T3 (es) 2021-11-22
US20160159035A1 (en) 2016-06-09
JP6153272B6 (ja) 2018-06-27
WO2015012386A1 (ja) 2015-01-29
EP3026089A4 (en) 2017-03-29
CN105555893B (zh) 2019-02-22
JPWO2015012386A1 (ja) 2017-03-02
EP3026089A1 (en)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820B1 (ko) 투명 점착 시트
JPWO2015012386A6 (ja) 透明粘着シート
WO2015072410A1 (ja) 透明感熱包装シート、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透明包装容器および包装方法
US9878567B2 (en) Thermal recording sheet
JP4995743B2 (ja) 感熱記録材料およびその感熱記録材料を用いた記録方法
JPWO2015072410A6 (ja) 透明感熱包装シート、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透明包装容器および包装方法
TWI818131B (zh) 熱封用薄膜
JP5686168B2 (ja) 中間転写媒体と熱転写シートの組合せ
JP6455043B2 (ja) 保護層転写シート、及び中間転写媒体
KR20240019371A (ko) 감열 기록 물질
JP6714945B2 (ja) 包装シート、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包装容器および包装方法
WO2017122311A1 (ja) 包装シート、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包装容器および包装方法
JP2001039044A (ja) 一体型感熱複写シート
JP6019655B2 (ja) 熱転写シート
JP6443786B1 (ja) 熱転写シート
JP2024523296A (ja) 感熱記録材料
JP2001232956A (ja) 転写可能な記録媒体
JP2000326630A (ja) 2色感熱記録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043295A (ja) 画像形成方法、熱転写シート、及び熱転写受像紙
JP2014030993A (ja) 感熱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