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408B1 -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408B1
KR101819408B1 KR1020167021275A KR20167021275A KR101819408B1 KR 101819408 B1 KR101819408 B1 KR 101819408B1 KR 1020167021275 A KR1020167021275 A KR 1020167021275A KR 20167021275 A KR20167021275 A KR 20167021275A KR 101819408 B1 KR101819408 B1 KR 101819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link
vehicle
hood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1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5521A (ko
Inventor
소타로 나리타
요시노리 우오즈미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60105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8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means for lifting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8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sliding pins or guides
    • E05D3/186Scissors hinges, with two crossing levers and five parallel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 E05D7/086Braking devices structurally combined with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6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friction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Abstract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20) 는, 차체에 고정되는 힌지 베이스 (24) 와, 힌지 베이스 (24) 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아암 (26) 과, 프론트 후드 (10) 의 차량 후방측의 단부에 고정됨과 함께 제 1 아암 (26) 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아암 (28) 을 구비하고 있다. 또,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20) 는, 제 1 아암 (26) 과 제 2 아암 (28) 의 사이에 형성되고, 작동됨으로써 제 2 아암 (28) 을 제 1 아암 (26) 에 대해 회동시키는 액츄에이터 (30) 와, 액츄에이터 (30) 의 작동 완료 시에 힌지 베이스 (24) 에 대한 제 2 아암 (28) 의 이동을 규제하는 작동 상태로 되는 연결부 (50) 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POP-UP HOOD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 ∼ 특허문헌 7 에는, 후드 (프론트 후드) 의 후단부를 팝업시키거나, 혹은, 후드 전체를 팝업시키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의 문헌에 기재된 팝업 후드 장치에서는, 액츄에이터의 작동력이 후드 힌지를 통하여 후드에 전달되거나, 혹은, 액츄에이터의 작동력이 후드에 직접 전달됨으로써 후드가 팝업되도록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0287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6730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2489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4596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9633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03701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039978호
그러나, 액츄에이터는 소정의 길이로 순간적으로 신장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액츄에이터의 작동력에 의해 후드가 소정의 위치까지 팝업되면, 팝업 완료 시에 후드가 진동하는 것이 생각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팝업 완료 시에 있어서의 후드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제 1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차체에 고정된 힌지 베이스와, 상기 힌지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아암과, 후드의 후부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외측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 1 아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상기 제 1 아암에 대해 회동됨으로써 상기 후드의 후부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외측 단부를 차량 상방측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아암과, 상기 제 1 아암과 상기 제 2 아암의 사이에 형성되고, 작동됨으로써 상기 제 2 아암을 상기 제 1 아암에 대해 회동시켜 상기 후드를 폐지 위치로부터 들어올림 위치로 들어올리는 액츄에이터와, 일단부가 상기 힌지 베이스에 연결됨과 함께 타단부가 상기 제 2 아암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후드의 상기 폐지 위치에 있어서는 격납 상태로 되고,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 완료 시에 있어서는 상기 힌지 베이스에 대한 상기 제 2 아암의 차량 상방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작동 상태로 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보행자 등이 차량의 전부(前部)에 충돌한 것이 검출되어, 액츄에이터가 작동하면, 제 2 아암이 제 1 아암에 대해 회동되고, 후드의 후부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외측 단부가 차량 상방측으로 이동된다. 즉, 후드가 들어올림 위치로 팝업된다.
여기서, 격납 상태로 된 연결부가, 액츄에이터의 작동 완료 시에 작동 상태로 됨으로써, 힌지 베이스에 대한 제 2 아암의 차량 상방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즉, 차체에 있어서 강성이 높은 부위에 고정되는 힌지 베이스에 제 2 아암이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고, 힌지 베이스에 대한 제 2 아암의 차량 상방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로써, 후드의 차폭 방향 외측 단부에 있어서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팝업 완료 시에 있어서의 후드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비작동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암이 상기 힌지 베이스에 대해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연결부가, 상기 격납 상태로부터 회동 규제 상태로 되어, 상기 후드의 회동 범위를 규제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액츄에이터의 비작동 상태에 있어서 제 1 아암이 힌지 베이스에 대해 회동되면, 연결부가 격납 상태로부터 회동 규제 상태가 된다. 이로써, 후드의 회동 범위가 규제된다. 즉, 후드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별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구성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3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제 1 또는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단측을 구성함과 함께, 상기 힌지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링크와, 상기 연결부의 타단측을 구성함과 함께, 상기 제 2 아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링크와, 상기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의 일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의 타방에 형성된 연결공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연결축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연결부가 제 1 링크와 제 2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가 연결축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즉, 연결부가 링크 기구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의 회동 형태에 대응하여, 연결부를 격납 상태로부터 작동 상태로 간이한 구성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제 4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제 3 양태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에 있어서의 차량 상방측으로의 변위를 허용하는 변위 기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들어올림 위치로 들어올려진 상기 후드에 의해 차량 상방측으로의 소정 하중이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에 작용했을 때에 상기 변위 기구가 작동하여,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에 있어서의 차량 상방측으로 변위를 허용함과 함께, 상기 들어올림 위치보다 차량 상방측의 상한 위치로의 상기 제 2 아암의 이동을 허용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들어올려진 후드의 후부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중앙부가 들어올림 위치보다 한층 더 차량 상방측으로 오버 슈트하여, 차량 상방측으로의 소정 하중이 후드에 의해 연결부의 타단부에 작용하면, 변위 기구가 작동한다. 이로써, 연결부의 타단부에 있어서의 차량 상방측으로 변위가 허용됨과 함께, 들어올림 위치보다 차량 상방측의 상한 위치로 제 2 아암이 이동한다. 이 때문에, 후드의 후부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외측 단부가 상한 위치에 있어서 개방된다. 따라서, 오버 슈트함으로써 생기는 후드의 진동을 조기에 감쇠시킬 수 있다.
제 5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제 4 양태에 있어서, 상기 변위 기구는,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가 상기 들어올림 위치로부터 상기 상한 위치로 변위됨으로써, 상기 후드의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기구에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연결부의 타단부가 변위 기구에 의해 차량 상방측으로 변위될 때에, 후드의 진동 에너지가 변위 기구에 의해 흡수된다. 이 때문에, 변위 기구에 의한 진동 감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 6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제 5 양태에 있어서, 상기 변위 기구는, 상기 연결축과, 상기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의 타방에 형성되고 또한 일단부가 상기 연결공에 연통된 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작동 상태에 있어서 상기 홈부가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됨과 함께, 상기 홈부의 폭 치수가 상기 연결축의 직경 치수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변위 기구가, 연결공에 연통된 홈부를 가지고 있고, 작동 상태에 있어서 홈부가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홈부의 폭 치수가 연결축의 직경 치수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변위 기구의 작동 시에는, 연결축이 홈부의 내주면을 슬라이딩하면서 홈부를 따라 차량 상방측으로 이동하여, 연결부의 타단부가 차량 상방측으로 변위된다. 이로써, 연결축과 홈부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후드의 진동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제 7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제 6 양태에 있어서, 상기 변위 기구는, 상기 홈부 타단부에 형성된 유지공을 가지고 있고, 상기 상한 위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이 상기 유지공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한 위치에 있어서 연결축이 홈부의 유지공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후드의 진동을 억제한 상태로, 후드를 상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제 8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제 6 또는 7 양태에 있어서, 상기 변위 기구에서는, 상기 연결축이 상기 홈부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으로 이동할 때의 상기 홈부에 대한 상기 연결축의 슬라이딩 저항이, 상기 연결축이 상기 홈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이동할 때의 상기 홈부에 대한 상기 연결축의 슬라이딩 저항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한 위치에 배치된 후드를 들어올림 위치로 용이하게 되돌릴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후드가 팝업된 상태로 차량을 주행시키는 경우에, 차량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제 9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제 4 양태에 있어서, 상기 변위 기구는, 상기 제 1 링크 및 상기 제 2 링크 중 적어도 일방에 형성된 잉여 길이부가 되고, 상기 변위 기구의 작동 시에는, 상기 잉여 길이부가 소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에 있어서의 차량 상방측으로 변위를 허용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잉여 길이부가 소성 변형됨으로써, 연결부의 타단부가 들어올림 위치로부터 상한 위치로 변위되어, 연결부의 타단부에 있어서의 차량 상방측으로 변위가 허용된다. 이로써, 간이한 구성에 의해, 연결부의 타단부를 들어올림 위치로부터 상한 위치로 변위시킬 수 있음과 함께, 후드의 진동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제 10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제 3 ∼ 제 9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 1 아암 및 상기 제 2 아암에 대해 차폭 방향 일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아암 및 상기 제 2 아암에 대해 차폭 방향 타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팝업 후드 장치의 차폭 방향으로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즉, 만일, 액츄에이터 및 연결부를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에 대해 차폭 방향 일방측에 배치한 경우에는, 액츄에이터와 연결부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에 대한 차폭 방향 일방측의 영역에 있어서, 액츄에이터와 연결부를 차폭 방향으로 오프셋하여 배치시킬 필요가 있다. 이로써, 액츄에이터 및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차폭 방향으로의 치수가 증가한다. 이에 대하여, 제 10 양태의 구성에 의하면, 액츄에이터 및 연결부를,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에 대해 차폭 방향 일방측 및 타방측에 각각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액츄에이터 및 연결부를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을 따라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팝업 후드 장치의 차폭 방향으로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11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제 10 양태에 있어서, 상기 힌지 베이스는, 상기 연결부에 대해 차폭 방향 타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링크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아암과의 연결 부위가,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 2 아암의 연결 부위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1 링크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는,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링크의 길이 방향 양단부를 접속하는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있어서,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의 휨 변형을 연결부에 의해 억제하여, 액츄에이터에 의해 제 2 아암을 들어올림 위치로 효율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제 12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제 3 양태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 및 상기 제 2 링크의 상기 격납 상태와는 반대측으로의 회동이 상기 스토퍼에 의해 제한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가 회동되어 연결부가 격납 상태로부터 작동 상태가 될 때, 작동 상태에 도달한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의 오버 런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가 작동 상태보다 더욱 회동하는 것) 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작동 상태에 있어서 연결부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13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제 1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크의 타단부는 연결 핀에 의해 상기 제 2 아암에 연결되어 있고, 측면에서 보아 상기 연결 핀의 축심을 통과하고 또한 차량 상하 방향을 따른 선을 가상 기준선으로 하고, 상기 격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이 상기 가상 기준선에 대해 차량 전후 방향의 일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 상태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이 상기 가상 기준선에 대해 차량 전후 방향의 타방측에 배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격납 상태에 있어서, 연결축이 가상 기준선에 대해 차량 전후 방향의 일방측에 배치되고, 작동 상태에 있어서, 연결축이 가상 기준선에 대해 차량 전후 방향의 타방측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작동 상태에 있어서 차량 하방측으로의 하중이 연결부의 타단부에 작용했을 때에는,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가 작동 상태의 위치보다 오버 런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고자 한다. 이 때, 스토퍼에 의해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의 회동이 제한된다. 이로써, 스토퍼를 안정적으로 기능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후드를 들어올림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본 개시의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의하면, 팝업 완료 시에 후드가 진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작동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차폭 방향 중앙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작동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차폭 방향 중앙측에서 본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나타내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에 나타내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 는, 도 2 에 나타내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1 에 나타내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있어서의 연결부의 변위 기구의 작동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a 는, 도 1 에 나타내는 차량용 업 후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b 는, 도 6 에 나타내는 차량용 업 후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제 1 실시형태의 차량용 업 후드 장치가 적용된 차량 전부를 나타내는 차폭 방향 중앙측에서 본 개략 측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에 나타내는 후드의 통상 개폐 시에 있어서의 차량용 업 후드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차폭 방향 중앙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0 은, 도 1 에 나타내는 액츄에이터의 작동 전의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은, 도 10 에 나타내는 액츄에이터의 작동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는, 제 1 실시형태의 차량용 업 후드 장치가 작동했을 때의 후드의 거동을 시계열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3a 는, 도 1 에 나타내는 연결부에 있어서의 변위 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b 는, 도 1 에 나타내는 연결부에 있어서의 변위 기구의 변형예의 별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a 는, 도 1 에 나타내는 연결축의 변형예를 연결부의 격납 상태로 나타내는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14b 는, 도 14a 에 나타내는 연결축의 변형예를 연결부의 작동 상태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c 는, 도 1 에 나타내는 연결축의 변형예의 별례를 연결축이 홈부 내에 배치된 상태로 나타내는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15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작동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6 은, 도 15 에 나타내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작동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7 은, 후드의 개폐 시에 있어서의 도 15 에 나타내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8 은, 도 17 에 나타내는 연결부에 차량 하방측의 하중이 작용했을 때의 연결부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9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있어서의 연결부의 작동 상태의 다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제 1 실시형태)
도 1 ∼ 도 12 를 사용하여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20) (이하, 「PUH 장치 (20)」 라고 한다) 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적절히 기재하는 화살표 FR, 화살표 UP, 화살표 LH 는, PUH 장치 (20) 가 적용된 차량의 전방향 (진행 방향), 상방향, 좌방향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하, 단순히 전후, 상하, 좌우의 방향을 사용하여 설명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차량 전후 방향의 전후, 차량 상하 방향의 상하, 차량 좌우 방향 (차폭 방향) 의 좌우, 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PUH 장치 (20) 는, 「후드」 로서의 프론트 후드 (10) 의 후단부 (10R) 를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폐지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내는 들어올림 위치로 팝업시키는 (들어올리는) 기능을 구비한 팝업 기능이 있는 후드 힌지로 되어 있다. 이하, 먼저 프론트 후드 (10) 의 개략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이어서 PUH 장치 (20) 에 대해 설명한다.
(프론트 후드 (10) 의 구성)
프론트 후드 (10) 는, 전후 방향 및 차폭 방향 (좌우 방향) 으로 연장됨과 함께 차량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도시되지 않은 파워 유닛을 수용하는 파워 유닛룸을 상방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또, 프론트 후드 (10) 의 후단부 (10R) 는, 차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1 쌍의 PUH 장치 (20) 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환언하면, 프론트 후드 (10) 의 후단부 (10R) 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PUH 장치 (20) 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프론트 후드 (10) 의 전단부 (10F) 의 차폭 방향 중간부에는, 후드 스트라이커 (12) 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차체의 전단부의 차폭 방향 중간부에 배치된 단일의 후드 로크 장치 (14) 에 후드 스트라이커 (12) 가 걸림으로써, 프론트 후드 (10) 가 폐지 위치에 유지 (즉, 프론트 후드 (10) 의 회동이 규제된다) 되도록 되어 있다.
(PUH 장치 (20))
PUH 장치 (20) 는, 프론트 후드 (10) 의 후단부 (10R) 의 차폭 방향 양단부에 각각 배치 형성됨과 함께,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좌측에 배치된 PUH 장치 (20) 에 대해 설명하고, 우측에 배치된 PUH 장치 (20) 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UH 장치 (20) 는, 프론트 후드 (10) 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드 힌지 (22) 와, 차량과 보행자의 충돌 시에 작동하는 액츄에이터 (30) 와 연결부 (50)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후드 힌지 (22) 에 대해)
후드 힌지 (22) 는, 차체에 고정되는 힌지 베이스 (24) 와 힌지 베이스 (24) 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아암 (26) 과 제 1 아암 (26) 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힌지 볼트 (B1) (도 8 참조) 를 개재하여 프론트 후드 (10) 의 후단부 (10R) 에 고정된 제 2 아암 (28)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힌지 베이스 (24) 는, 강판재에 프레스 가공 등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전방측에서 본 차량 정면에서 보아 대략 역 L 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힌지 베이스 (24) 의 하단부는 장착 벽부 (24-1) 로 되어 있고, 장착 벽부 (24-1) 는, 대략 상하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장착 벽부 (24-1) 에는, 1 쌍의 장착공 (24A) (도 5 참조) 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장착공 (24A) 은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공 (24A) 내에 장착 볼트 (B2) (도 2 ∼ 도 4 참조) 가 삽입되어, 장착 벽부 (24-1) 가 장착 볼트 (B2) 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어 있다.
또, 힌지 베이스 (24) 는 측벽부 (24-2) 를 가지고 있고, 측벽부 (24-2) 는 장착 벽부 (24-1) 의 차폭 방향 외측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측벽부 (24-2) 는, 차량 측면에서 보아 상측으로 기울어져 전방으로 개방된 대략 V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힌지 베이스 (24) 에는, 비드부 (24B) 가 형성되어 있고, 비드부 (24B) 는, 장착 벽부 (24-1) 의 차폭 방향 내측단으로부터 차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됨과 함께, 측벽부 (24-2) 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드부 (24B) 는, 장착 벽부 (24-1) 에 있어서의 1 쌍의 장착공 (24A) 의 사이에 형성된 비드부 (24B-1) 와, 측벽부 (24-2) 에 형성된 비드부 (24B-2)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 아암 (26) 은, 힌지 베이스 (24) 와 마찬가지로 강판재에 프레스 가공 등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아암 (26) 은, 힌지 베이스 (24) 에 대해 차폭 방향 외측에 있어서 대략 차폭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고, 프론트 후드 (10) 의 폐지 위치에 있어서, 전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아암 (26) 의 후단부 (26R) 는, 차폭 방향을 축방향으로 한 제 1 힌지 핀 (HP1) 에 의해 힌지 베이스 (24) 의 측벽부 (24-2) 에 있어서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아암 (26) 은, 제 1 힌지 핀 (HP1) 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힌지 베이스 (24) 에 대해 상하 방향 (도 2 의 화살표 A 방향 및 화살표 B 방향) 으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제 1 아암 (26) 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는, 만곡부 (26A) (도 3 ∼ 도 5 참조) 가 형성되어 있고, 만곡부 (26A) 는, 차량 평면에서 보아 전방측으로 향함에 따라 차폭 방향 외측으로 경사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아암 (26) 의 전부 (만곡부 (26A) 에 대해 전방측의 부분) 가, 제 1 아암 (26) 의 후부 (만곡부 (26A) 에 대해 차량 후방측의 부분) 보다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아암 (26) 의 전부와 힌지 베이스 (24) 사이의 부분 (에어리어) 이, 후술하는 연결부 (50) 를 수용하는 연결부 수용 에어리어 (CA) (도 3 참조) 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 아암 (26) 의 전부에 있어서의 하부에는, 차폭 방향 외측으로 팽출된 제 1 팽출부 (26B) (도 5 참조)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팽출부 (26B) 의 전부에는, 후술하는 액츄에이터 (30) 를 장착하기 위한 제 1 웰드 볼트 (WB1)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제 1 웰드 볼트 (WB1) 는 제 1 아암 (26) 으로부터 차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제 1 아암 (26) 의 전부에는, 제 1 팽출부 (26B) 에 대해 상방측의 위치에 있어서, 도시되지 않은 쉐어 핀이 삽입 통과되는 쉐어 핀 삽입 통과공 (26C) 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제 2 아암 (28) 은, 힌지 베이스 (24) 및 제 1 아암 (26) 과 마찬가지로 강판재에 프레스 가공 등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 2 아암 (28) 은, 제 1 아암 (26) 에 대해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됨과 함께, 정면에서 보아 대략 역 L 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아암 (28) 은, 제 1 아암 (26) 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측벽부 (28-1)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측벽부 (28-1) (제 2 아암 (28)) 의 전단부 (28F) 는, 차폭 방향을 축방향으로 한 제 2 힌지핀 (HP2) 에 의해 제 1 아암 (26) 의 전단부 (26F) 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제 2 아암 (28) 은, 제 2 힌지핀 (HP2) 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제 1 아암 (26) 에 대해 상하 방향 (도 2 의 화살표 C 방향 및 화살표 D 방향) 으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 2 아암 (28) 의 측벽부 (28-1) 에는, 전술한 제 1 아암 (26) 의 쉐어 핀 삽입 통과공 (26C) 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쉐어 핀 삽입 통과공 (28A) (도 1 참조) 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아암 (26) 의 쉐어 핀 삽입 통과공 (26C) 및 제 2 아암 (28) 의 쉐어 핀 삽입 통과공 (28A) 의 내부에 도시되지 않은 쉐어 핀이 끼워 넣어져, 제 2 아암 (28) 이 제 1 아암 (26) 과 결합되어 있다. 이로써, 후술하는 액츄에이터 (30) 의 비작동 상태에서는, 제 2 아암 (28) 의 제 1 아암 (26) 에 대한 상대 회동이 제한되어 있다.
또, 제 2 아암 (28) 은 정상 벽부 (28-2) 를 구비하고 있다. 정상 벽부 (28-2) 는, 측벽부 (28-1) 의 상단으로부터 차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됨과 함께, 프론트 후드 (10) 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정상 벽부 (28-2) 에는, 1 쌍의 장착공 (28B) (도 5 참조) 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힌지 볼트 (B1) (도 8 참조) 가 하측으로부터 당해 장착공 (28B) 에 삽입되고, 정상 벽부 (28-2) 가 프론트 후드 (10) 의 후단부 (10R) 에 체결 (고정) 되어 있다. 이로써, 힌지 베이스 (24) 와 프론트 후드 (10) 가, 제 1 아암 (26) 및 제 2 아암 (28)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2 아암 (28) 에 있어서의 측벽부 (28-1) 의 후단부 (28R) 에는, 후술하는 액츄에이터 (30) 를 장착하기 위한 제 2 웰드 볼트 (WB2) (광의로는, 「액츄에이터용 장착 부재」 로서 파악되는 요소이다)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웰드 볼트 (WB2) 는, 두부(頭部)를 측벽부 (28-1) 에 대해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하여, 측벽부 (28-1) 로부터 차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후드 힌지 (22) 는, 프론트 후드 (10) 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부품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요컨대,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후드 (10) 의 통상적인 개폐 시에는, 제 1 아암 (26) 과 제 2 아암 (28) 의 상대 회동이 제한된 상태로, 제 1 아암 (26) 이 제 1 힌지핀 (HP1) 의 축 둘레로 힌지 베이스 (24) 에 대해 회동함으로써, 프론트 후드 (10) 가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액츄에이터 (30) 에 대해)
도 2 ∼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 (30) 는, 제 2 아암 (28) 의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제 1 아암 (26) 의 제 1 웰드 볼트 (WB1) 와 제 2 아암 (28) 의 제 2 웰드 볼트 (WB2) 를 걸치도록 연장되어 있다. 이 액츄에이터 (30) 는,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32) 와 로드 (40) 와 유지 기구 (48)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실린더 (32) 는 하측으로 개방된 대략 유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실린더 (32) 의 상단부에는, 상단측 장착부 (34)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단측 장착부 (34) 에는, 장착공 (34A) 이 차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 2 아암 (28) 의 제 2 웰드 볼트 (WB2) 가 장착공 (34A) 내에 삽입되어, 상단측 장착부 (34) 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로써, 실린더 (32) 의 상단부가 제 2 아암 (28) 에 대해 상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2 ∼ 도 4 참조).
한편, 실린더 (32) 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내주부에는, 헤드부 (36) 가 형성되어 있고, 헤드부 (36) 는, 대략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실린더 (32) 의 내주부에 고정되어 있다. 헤드부 (36) 의 내주부에는, 유지 기구 (48) 를 구성하는 수용홈 (36A) 이 형성되어 있고, 수용홈 (36A) 은, 헤드부 (36) 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함께, 헤드부 (36) 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 수용홈 (36A) 은, 실린더 (32) 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개방된 단면 대략 U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용홈 (36A) 은, 종단면에서 보아 실린더 (32) 의 축방향 (상하 방향) 을 따라 배치된 저면 (36A1) 과, 저면 (36A1) 의 상단으로부터 실린더 (32) 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향함에 따라 실린더 (32) 의 상단측으로 경사진 상경사면 (36A2) 과, 저면 (36A1) 의 하단으로부터 실린더 (32) 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향함에 따라 실린더 (32) 의 하단측으로 약간 경사진 하경사면 (36A3)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경사면 (36A3) 과 저면 (36A1) 의 경계 부분이 원호상으로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다.
수용홈 (36A) 의 내부에는, 유지 기구 (48) 를 구성하는 로크 링 (38) (광의로는, 「유지 부재」 로서 파악되는 요소이다) 이 배치 (수용) 되어 있다. 로크 링 (38) 은, 단면 원형상의 금속제의 선재에 의해 구성됨과 함께, 일부 개방된 원환상 (링상) 으로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로크 링 (38) 은 대략 C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로크 링 (38) 은, 스프링성을 가짐과 함께, 자체의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 링 (38) 은, 자연 상태 (로크 링 (38) 이 탄성 변형되어 있지 않은 상태) 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후술하는 로드 (40) 의 외주부에 맞닿은 상태로 수용홈 (36A) 내에 수용되어 있다.
로드 (40) 는, 대략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실린더 (32) 와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고, 로드 (40) 의 하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실린더 (32) 내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린더 (32) 가 로드 (40) 의 축선을 따라 로드 (40) 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때에는, 실린더 (32) 와 함께 로크 링 (38) 이 로드 (40) 에 대해 상대 이동하여, 로크 링 (38) 이 로드 (40) 의 외주면 상을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로크 링 (38) 은, 실린더 (32) 와 함께 로드 (40) 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로드 (40) 의 하단부에는, 장착공 (40A) 이 차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공 (40A) 내에 제 1 아암 (26) 의 제 1 웰드 볼트 (WB1) 가 삽입되어, 로드 (40) 의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로드 (40) 의 하단부가 제 1 아암 (26) 에 대해 상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2 ∼ 도 4 참조).
로드 (40) 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는, 대략 원주상의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 (42) (이하, 「MGG (42)」 라고 한다) 가 끼워 넣어져 있다. MGG (42) 는 스퀴브 (점화 장치) 를 구비함과 함께, MGG (42) 내에는, 가스 발생제가 충전되어 있다. 이 MGG (42) 의 하단에는, 와이어 하네스 (44) 가 접속되어 있고, MGG (42) 가 와이어 하네스 (44) 를 개재하여 ECU (60) (도 10 참조) 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ECU (60) 의 제어에 의해 MGG (42) 가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MGG (42) 가 작동하면, MGG (42) 에 의해 발생한 가스가 로드 (40) 내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MGG (42) 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된 와이어 하네스 (44) 는, 로드 (40) 의 내부에 배책됨과 함께, 로드 (40) 의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도출되어 있다. 그리고, 로드 (40) 의 내부에 수지재가 충전되어, 와이어 하네스 (44) 와 로드 (40) 가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로드 (40) 의 상단부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대략 원환상의 대직경부 (40B) 가 형성되어 있고, 대직경부 (40B) 의 외경 치수가, 실린더 (32) 의 내경 치수에 비해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대직경부 (40B) 의 외주부에는, 시일 홈 (40C) 이 형성되어 있고, 시일 홈 (40C) 은, 로드 (40) 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개방되어, 대직경부 (40B) 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함께, 대직경부 (40B) 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일 홈 (40C) 내에는, 고무재 등으로 구성된 O 링 (46) 이 배치되어 있고, 로드 (40) 와 실린더 (32) 의 사이가 O 링 (46) 에 의해 시일되어 있다.
또, 로드 (40) 의 외주부에는, 대직경부 (40B) 에 대해 로드 (40) 의 하단측의 위치에 있어서, 유지 기구 (48) 를 구성하는 유지홈 (40D) 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홈 (40D) 은, 로드 (40) 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개방되어, 로드 (40) 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함께, 로드 (40) 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지홈 (40D) 은, 종단면에서 보아 로드 (40) 의 축방향 (상하 방향) 을 따라 배치된 저면 (40D1) 과 저면 (40D1) 의 상단으로부터 로드 (40) 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면 (40D2) 과 저면 (40D1) 의 하단으로부터 로드 (40) 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로드 (40) 의 하단측으로 경사진 하경사면 (40D3)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MGG (42) 가 작동하면, MGG (42) 에 의해 발생한 가스가 로드 (40) 내에 공급되어, 로드 (40) 내의 가스압에 의해 실린더 (32) 가 액츄에이터 (30) 의 축방향을 따라 상승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제 2 아암 (28) 이, 도 2 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제 1 아암 (26) 에 대해 상방측 (도 2 의 화살표 C 방향) 으로 상대 회동하여, 프론트 후드 (10) 가 들어올림 위치 (도 8 에 나타내는 위치) 로 들어올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때에는, 제 1 아암 (26) 은, 도 2 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힌지 베이스 (24) 에 대해 상방측 (도 2 의 화살표 A 방향) 으로 상대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도 1 참조).
또,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32) 의 하단부에는,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2 지점) 의 가스 빼기 구멍 (32A)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스 빼기 구멍 (32A) 은, 액츄에이터 (30) 의 비작동 상태 (도 10 에 나타내는 상태) 에서는, O 링 (46) 에 대해 액츄에이터 (30) 의 하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 (30) 가 작동하여, 실린더 (32) 가 들어올림 위치로 상승되었을 때에는 (도 11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가스 빼기 구멍 (32A) 이 로드 (40) (O 링 (46)) 보다 액츄에이터 (30) 의 상단측에 배치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액츄에이터 (30) 의 작동 후에는, 실린더 (32) 의 내부와 외부가 가스 빼기 구멍 (32A) 에 의해 연통되어, 실린더 (32) (로드 (40)) 내에 공급된 가스가 가스 빼기 구멍 (32A) 으로부터 배출되도록 (빠진다)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프론트 후드 (10) 의 들어올림 위치에 있어서, 가스압에 의한 액츄에이터 (30) 의 프론트 후드 (10) 에 대한 들어올림이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32) 가 들어올림 위치로 상승했을 때에는, 실린더 (32) 의 수용홈 (36A) 이, 로드 (40) 의 유지홈 (40D) 의 하단부에 대해 액츄에이터 (30) 의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액츄에이터 (30) 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수용홈 (36A) (로크 링 (38)) 과 유지홈 (40D) 의 하단부가 대향 배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이 때에는, 로크 링 (38) 이 직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 (직경 축소) 되어 유지홈 (40D) 내에 들어감으로써, 로크 링 (38) 과 유지홈 (40D) 의 하경사면 (40D3) 이 걸어맞춤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때에는, 로크 링 (38) 의 일부가 로드 (40) 의 외주부보다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유지홈 (40D) 의 홈 깊이와 로크 링 (38) 의 선경이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용홈 (36A) 의 상경사면 (36A2) 및 유지홈 (40D) 의 하경사면 (40D3) 에 의해 로크 링 (38) 이 상하 방향으로 끼워져, 실린더 (32) 가 수용홈 (36A) 의 부위에 있어서 로크 링 (38) 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실린더 (32) 의 후퇴가 제한되어, 들어올림 위치에 있어서의 프론트 후드 (10) 의 하방측으로의 이동이 유지 기구 (48) 에 의해 제한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들어올림 위치로 들어올려진 프론트 후드 (10) 의 거동에 의해, 상방측으로의 소정 하중이 실린더 (32) 의 상단측 장착부 (34) 에 입력되었을 때에는, 로크 링 (38) 이 유지홈 (40D) 의 저면 (40D1) 상을 슬라이딩하면서 실린더 (32) 가 로드 (40) 에 대해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요컨대, 액츄에이터 (30) 에서는, 도 11 에 나타내는 작동 완료 위치보다 실린더 (32) (로크 링 (38)) 를 더욱 상승할 수 있도록, 유지홈 (40D) 의 폭 치수 (저면 (40D1) 의 상하 방향 치수) 가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지홈 (40D) 의 폭 치수 (저면 (40D1) 의 상하 방향 치수) 가, 들어올림 위치와 후술하는 상한 위치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유지홈 (40D) 의 폭 치수가, 후술하는 제 1 링크 (52) 의 연결공 (52D) 과 유지공 (52F)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다.
(연결부 (50) 에 대해)
도 2 ∼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 (50) 는, 힌지 베이스 (24) 와 제 1 아암 (26) 의 전부의 사이 (즉, 연결부 수용 에어리어 (CA)) 에 배치되어, 힌지 베이스 (24) 와 제 2 아암 (28) 의 사이에 걸쳐져 있다. 환언하면, 연결부 (50) 는, 제 1 아암 (26) 의 전부 및 제 2 아암 (28) 에 대해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연결부 (50) 는, 제 1 링크 (52) 및 제 2 링크 (54) 에 의해 구성된 링크 기구를 이룸과 함께, 제 1 링크 (52) 및 제 2 링크 (54) 의 연결 부위에 있어서 변위 기구 (58) 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프론트 후드 (10) 의 폐지 위치에서는, 측면에서 보아 연결부 (50) 가 후방측으로 개방된 대략 V 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상태이며, 이하 이 상태를 「격납 상태」 라고 한다).
제 1 링크 (52) 는, 강판 등의 금속제의 판재에 의해 구성되어, 대략 장척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링크 (52) 는, 연결부 (50) 의 일단측의 부분 (하방측의 부분) 을 구성함과 함께, 차폭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여 힌지 베이스 (24) 의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링크 (52) 는, 격납 상태에 있어서, 측면에서 보아 전방측으로 향함에 따라 상방측으로 약간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링크 (52) 의 일단부 (52A) 가, 차폭 방향을 축방향으로 한 제 1 링크 핀 (LP1) 에 의해 힌지 베이스 (24) 의 측벽부 (24-2) 에 있어서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링크 핀 (LP1) 이 측벽부 (24-2) 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 배치됨과 함께, 힌지 베이스 (24) 를 차체에 장착하는 1 쌍의 장착 볼트 (B2) 중의 후측에 배치된 장착 볼트 (B2) 의 일부와 제 1 링크 핀 (LP1) 이 차량 측면에서 보아 상하 방향으로 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2 참조).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링크 (52) 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는, 「접속부」 로서 제 1 링크 중간부 (52C) 가 형성되어 있고, 제 1 링크 중간부 (52C) 는, 제 1 링크 (52) 의 길이 방향 타방측 (제 1 링크 (52) 의 타단부 (52B) 측) 으로 향함에 따라 차폭 방향 외측으로 경사하면서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평면에서 보아 차폭 방향을 따른 기준선 (L1) 과 제 1 링크 중간부 (52C) 가 이루는 각도 θ 가, 45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링크 (52) 에서는, 그 일단부 (52A) 에 대해 그 타단부 (52B) 가 차폭 방향 외측에 오프셋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링크 중간부 (52C) 가 기준선 (L1) 에 대해 경사져 있기 때문에, 본 개시의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에 있어서의 「접속부 (제 1 링크 중간부 (52C)) 가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란, 접속부 (제 1 링크 중간부 (52C)) 가 차폭 방향에 대해 경사져 연장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 1 링크 (52) 의 타단부 (52B) 는, 연결부 수용 에어리어 (CA) 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중심선 (CL) 보다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 1 링크 (52) 의 타단부 (52B) 가, 중심선 (CL) 에 대해 제 1 아암 (26) 및 제 2 아암 (28) 측에 배치되도록 제 1 링크 중간부 (52C) 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또, 도 1 에 있어서의 부분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링크 (52) 의 타단부 (52B) 에는, 후술하는 제 2 링크 (54) 를 연결하기 위한 원형상의 연결공 (52D) 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링크 (52) 의 타단부 (52B) 에는, 연결공 (52D) 에 대해 제 1 링크 (52) 의 타단측에 있어서, 변위 기구 (58) 를 구성하는 홈부 (52E) 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 (52E) 는, 제 1 링크 (52)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홈부 (52E) 의 일단이 연결공 (52D) 에 연통되어 있다. 환언하면, 홈부 (52E) 는, 연결공 (52D) 으로부터 제 1 링크 (52) 의 타단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홈부 (52E) 의 폭 치수는, 연결공 (52D) 의 직경 치수보다 작게 설정됨과 함께, 홈부 (52E) 의 길이 방향에 걸쳐 일정하게 설정되어 있다. 한편, 홈부 (52E) 의 타단부에는, 변위 기구 (58) 를 구성하는 원형상의 유지공 (52F) 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유지공 (52F) 의 직경 치수가 연결공 (52D) 의 직경 치수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도 2 ∼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링크 (54) 는, 제 1 링크 (52) 와 마찬가지로, 강판 등의 금속제의 판재에 의해 구성되어, 대략 장척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링크 (54) 는, 연결부 (50) 의 타단측의 부분 (상방측의 부분) 을 구성함과 함께, 차폭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여 제 1 링크 (52) 의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부 (50) 의 격납 상태에서는, 제 2 링크 (54) 는, 차량 측면에서 보아 전방측으로 향함에 따라 하방측으로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제 2 링크 (54) 의 일단부 (54A) 는, 제 1 링크 (52) 의 타단부 (52B) 에 대해 차폭 방향 외측에 인접하여 배치됨과 함께, 변위 기구 (58) 를 구성하는 차폭 방향을 축방향으로 한 연결축 (56) 에 의해 제 1 링크 (52) 의 타단부 (52B) 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링크 (54) 의 일단부 (54A) 에 연결축 (56) 이 고정되어 있고, 연결축 (56) 의 축부 (56A) (도 1 의 부분 확대도 참조) 가 일단부 (54A) 로부터 차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연결공 (52D) 내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 연결축 (56) 의 축부 (56A) 는, 단면 대략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축부 (56A) 의 직경 치수가, 연결공 (52D) 의 직경 치수보다 약간 작게 설정됨과 함께, 홈부 (52E) 의 폭 치수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연결축 (56) 이 연결공 (52D) 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제 2 링크 (54) 의 일단부 (54A) 가 제 1 링크 (52) 의 타단부 (52B) 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제 2 링크 (54) 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는, 제 2 링크 중간부 (54C) (도 3 참조) 가 형성되어 있고, 제 2 링크 중간부 (54C) 는, 제 2 링크 (54) 의 길이 방향 타방측 (제 2 링크 (54) 의 타단부 (54B) 측) 으로 향함에 따라 차폭 방향 내측으로 경사되어 있다. 이로써, 제 2 링크 (54) 의 일단부 (54A) 에 대해 제 2 링크 (54) 의 타단부 (54B) 가 차폭 방향 외측에 오프셋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 2 링크 (54) 의 타단부 (54B) 는, 제 2 아암 (28) 의 측벽부 (28-1) 의 차폭 방향 내측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차폭 방향을 축방향으로 한 「연결 핀」 으로서의 제 2 링크 핀 (LP2) 에 의해 제 2 아암 (28) (측벽부 (28-1)) 의 후단부 (28R) 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결부 (50) 의 격납 상태에 있어서, 제 2 링크 (54) 의 타단부 (54B) 가, 제 2 웰드 볼트 (WB2) 에 대해 전방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링크 핀 (LP2) 이 제 2 웰드 볼트 (WB2) 의 직경 방향 외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2 참조).
그리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 (50) 의 격납 상태에서는, 측면에서 보아 제 2 링크 핀 (LP2) 의 축심을 통과하고 또한 상하 방향을 따른 가상선을 가상 기준선 (L2) 으로 하면, 연결축 (56) 이 가상 기준선 (L2) 에 대해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액츄에이터 (30) 가 작동하여 프론트 후드 (10) 가 들어올림 위치로 들어올려졌을 때에는, 제 1 링크 (52) 가 힌지 베이스 (24) 에 대해 상대 회동 (도 2 의 화살표 E 를 참조) 함과 함께, 제 2 링크 (54) 가 제 2 아암 (28) 에 대해 상대 회동 (도 2 의 화살표 F 를 참조) 하여, 연결부 (50) 가 대략 상하 방향을 따른 직선상으로 연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1 및 도 7a 에 나타내는 상태이며, 이하 이 상태를 「작동 상태」 라고 한다).
또한,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도 1 에 나타내는 연결부 (50) 의 작동 상태에 있어서, 들어올림 위치로 들어올려진 프론트 후드 (10) 에 생기는 진동에 의해, 상방측으로의 소정 하중이 연결부 (50) 의 타단부 (제 2 링크 (54) 의 타단부 (54B)) 입력되었을 때에는, 연결공 (52D) 에 의한 연결축 (56) 의 회동 지지 상태가 해제되어, 변위 기구 (58) 가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결부 (50) 의 연결축 (56) 이, 홈부 (52E) 를 폭방향 외측으로 밀어 넓히면서 홈부 (52E) 내를 상방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변위 기구 (58) 의 작동 시에는, 연결축 (56) 이 홈부 (52E) 의 내주면 상을 슬라이딩하면서 홈부 (52E) 를 따라 상방측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1 의 부분 확대도에 있어서 2 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연결축 (56) 을 참조). 또, 홈부 (52E) 를 따라 상방측으로 이동한 연결축 (56) 이 유지공 (52F) 내에 도달하면, 변위 기구 (58) 의 작동이 완료하여, 유지공 (52F) 에 연결축 (56) 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6 및 도 7b 참조). 즉, 프론트 후드 (10) 에 생기는 진동에 의해, 상방측으로의 소정 하중이 연결부 (50) 의 타단부 (제 2 링크 (54) 의 타단부 (54B)) 입력되었을 때에는, 연결부 (50) 의 타단부가 프론트 후드 (10) 와 함께 상방측으로 변위되어, 프론트 후드 (10) 가 들어올림 위치보다 상측의 위치에 있어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6 및 도 7b 에 나타내는 위치이며, 이하 이 위치를 「상한 위치」 라고 한다).
또한, 프론트 후드 (10) 의 들어올림 위치란, 차량과 보행자의 충돌 시에 프론트 후드 (10) 상에 넘어지는 보행자에 대한 보호 성능을 확보하도록, 소정의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 상한 위치는, 들어올림 위치로 들어올려진 프론트 후드 (10) 의 진동을 억제하기 위해서, 이하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즉,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들어올림 위치로 들어올려진 프론트 후드 (10) 는 단진동하게 되어, 프론트 후드 (10) 의 차폭 방향 중앙부가 상사점에 도달한 위치에 있어서, 프론트 후드 (10) 가 대략 수평이 되도록 상한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프론트 후드 (10) 의 통상 개폐 시에는, 제 1 아암 (26) 이 제 1 힌지 핀 (HP1) 의 축 둘레로 힌지 베이스 (24) 에 대해 회동한다. 이 때에는, 제 1 링크 (52) 가 힌지 베이스 (24) 에 대해 상대 회동함과 함께, 제 2 링크 (54) 가 제 2 아암 (28) 에 대해 상대 회동하여, 연결부 (50) 가 도 9 에 나타내는 후드 개방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 그리고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상태가 PUH 장치 (20) 의 비작동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 1 아암 (26) 및 제 2 아암 (28) 이 쉐어 핀에 의해 결합되어 있어, 제 1 아암 (26) 과 제 2 아암 (28) 의 상대 회동이 제한되어 있다. 그리고, 프론트 후드 (10) 의 개폐 시에는, 제 1 아암 (26) 이 제 2 아암 (28) 과 함께 제 1 힌지 핀 (HP1) 의 축 둘레로 힌지 베이스 (24) 에 대해 상방측 (도 2 의 화살표 A 방향) 으로 회동함으로써, 프론트 후드 (10) 가 개폐된다 (도 9 참조).
한편, 프론트 후드 (10) 의 폐지 위치에 있어서 보행자 등의 충돌체와 차량이 전면 충돌하면, 충돌체와 전면 충돌한 것이 충돌 검지 센서 (도시 생략) 에 의해 검지되어 ECU (60) 에 충돌 신호가 출력된다. ECU (60) 에서는, 입력된 충돌 신호에 기초하여 PUH 장치 (20) 를 작동시켜야 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PUH 장치 (20) 를 작동시켜야 한다고 판단하면, ECU (60) 로부터 액츄에이터 (30) 에 작동 신호가 출력된다. 이로써, 액츄에이터 (30) 의 MGG (42) 에 있어서의 스퀴브가 착화되어, 로드 (40) 내에 가스가 공급된다.
로드 (40) 내에 가스가 공급되면, 로드 (40) 내의 가스압에 의해 실린더 (32) 가 가압되어, 실린더 (32) 가 로드 (40) 의 축방향으로 상승한다. 이로써, 실린더 (32) 가 제 2 아암 (28) 의 후단부 (28R) 를 들어올려, 프론트 후드 (10) 의 후단부 (10R) 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들어올림 위치로 들어올려진다 (도 8 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프론트 후드 (10) 를 참조). 또한, 이 때에는, 제 2 아암 (28) 과 제 1 아암 (26) 의 사이를 결합하는 쉐어 핀이 파단되어, 제 2 아암 (28) 이 제 1 아암 (26) 에 대해 상방측 (도 2 의 화살표 C 방향측) 으로 상대 회동함과 함께, 제 1 아암 (26) 이, 힌지 베이스 (24) 에 대해 상방측 (도 2 의 화살표 A 방향측) 으로 상대 회동한다. 이로써, 프론트 후드 (10) 가 들어올림 위치로 들어올려진다. 그리고, 이 때에는, 연결부 (50) 가 격납 상태로부터 작동 상태로 전환되어, 제 2 아암 (28) 의 힌지 베이스 (24) 에 대한 상방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다음으로, 도 12 를 사용하여, 프론트 후드 (10) 의 후단부 (10R) 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양단부를 액츄에이터 (30) 에 의해 들어올렸을 때의, 프론트 후드 (10) 의 거동과 연결부 (50) 의 상태 및 액츄에이터 (30) 의 상태의 관계를 설명한다. 또한, 도 12 에서는, 액츄에이터 (30) 가 프론트 후드 (10) 를 들어올렸을 때의 후방측에서 본 프론트 후드 (10) 의 상태를 시계열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고, 프론트 후드 (10) 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흰색의 동그라미표로 나타내져 있다.
도 12 의 (1) 에서는, 액츄에이터 (30) 가 프론트 후드 (10) 를 들어올리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액츄에이터 (30) 는, 도 10 에 나타내는 비작동 상태에 있고, 연결부 (50) 는, 도 2 에 나타내는 격납 상태가 되어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 (30) 의 작동이 개시하면,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32) 가 로드 (40) 에 대해 순시에 상승하여, 프론트 후드 (10) 가 들어올림 위치로 들어올려진다. 이 때, 실린더 (32) 의 가스 빼기 구멍 (32A) 이 로드 (40) 의 O 링 (46) 보다 액츄에이터 (30) 의 상단측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로드 (40) 의 내부의 가스가 가스 빼기 구멍 (32A) 으로부터 액츄에이터 (30) 의 외부로 방출된다. 이로써, 액츄에이터 (30) 에 의한 프론트 후드 (10) 에 대한 들어올림이 정지된다. 또, 이 상태에서는, 실린더 (32) 와 함께 상승하는 로크 링 (38) 이, 로드 (40) 의 유지홈 (40D) 의 하단부와 실린더 (32) 의 수용홈 (36A) 의 사이에 배치된다.
액츄에이터 (30) 가 작동하여 프론트 후드 (10) 가 들어올림 위치로 들어올려지면, 연결부 (50) 는 격납 상태로부터 작동 상태로 전환된다 (도 2 및 도 5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1 및 도 7a 에 나타내는 상태로 전환된다). 그리고, 연결부 (50) 의 작동 상태에서는, 변위 기구 (58) 의 홈부 (52E) 가, 연결공 (52D) 으로부터 상방측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연결부 (50) 에서는, 제 1 링크 (52) 및 제 2 링크 (54) 를 연결하는 연결축 (56) 의 축부 (56A) 의 직경 치수가, 홈부 (52E) 의 폭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 (50) 의 작동 상태에서는, 연결축 (56) 이 연결공 (52D) 내에 유지된다. 즉, 힌지 베이스 (24) 에 대한 제 2 아암 (28) 의 상방측으로의 변위가 연결부 (50) 에 의해 규제되어, 프론트 후드 (10) 의 후단부 (10R) 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양단부의 상방측으로의 변위가 규제된다.
한편, 프론트 후드 (10) 의 후단부 (10R) 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양단부를 액츄에이터 (30) 에 의해 들어올릴 때는, 프론트 후드 (10) 의 차폭 방향 중앙부는 관성력에 의해 그 위치에 머물고자 한다. 이 때문에, 액츄에이터 (30) 에 의한 프론트 후드 (10) 의 들어올림 초기에는, 프론트 후드 (10) 의 차폭 방향 양단부만이 들어올려진다 (도 12 의 (2) 의 상태를 참조). 그리고, 프론트 후드 (10) 의 차폭 방향 중앙부가 프론트 후드 (10) 의 차폭 방향 양단부보다 늦게 상방측으로 변위된다 (도 12 의 (3) 에 나타내는 화살표를 참조). 또한, 프론트 후드 (10) 의 차폭 방향 중앙부에서는, 상하 방향으로의 변위는 제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방측으로 변위되는 프론트 후드 (10) 의 차폭 방향 중앙부는 관성력에 의해 들어올림 위치보다 상방측으로 변위된다 (오버 슈트한다) (도 12 의 (3) 의 상태를 참조). 이로써, 프론트 후드 (10) 의 들어올림 시에는, 후방측에서 보아, 프론트 후드 (10) 의 차폭 방향 중앙부가 배가 되고, 프론트 후드 (10) 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마디가 되도록, 프론트 후드 (10) 가 단진동하고자 한다.
그리고, 프론트 후드 (10) 의 차폭 방향 중앙부가 들어올림 위치보다 상방측으로 오버 슈트할 때에는, 프론트 후드 (10) 로부터 제 2 아암 (28) 을 개재하여 연결부 (50) 의 타단부 (제 2 링크 (54) 의 타단부 (54B)) 에 상방측으로의 소정 하중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연결부 (50) 의 변위 기구 (58) 가 작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연결공 (52D) 에 의한 연결축 (56) 의 회동 지지 상태가 해제되어, 연결축 (56) 이 홈부 (52E) 의 내주면 상을 슬라이딩하면서 제 1 링크 (52) 에 대해 상방측으로 상대 이동한다 (도 1 및 도 7a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6 및 도 7b 에 나타내는 상태로 전환된다). 이로써, 제 2 아암 (28) 이 제 1 아암 (26) 에 대해 상방측으로 회동하여 힌지 베이스 (24) 에 대해 상방측으로 변위됨과 함께, 연결부 (50) 의 타단부가 프론트 후드 (10) 의 차폭 방향 양단부와 함께 상한 위치로 변위된다.
도 12 를 사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프론트 후드 (10) 의 차폭 방향 중앙부가 상사점 또는 상사점 부근에 도달하면, 프론트 후드 (10) 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상한 위치로 변위된다 (도 12 의 (3) 의 상태로부터 도 12 의 (4) 의 상태가 된다). 그 결과, 후방측에서 보아 프론트 후드 (10) 가 대략 수평이 되도록 프론트 후드 (10) 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개방된다. 따라서, 오버 슈트함으로써 생기는 프론트 후드 (10) 의 진동이 조기에 감쇠된다.
그리고, 프론트 후드 (10) 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상한 위치로 변위되었을 때에는, 연결부 (50) 의 연결축 (56) 이 유지홈 (40D) 내에 유지된다 (도 6 및 도 7b 참조). 이로써, 프론트 후드 (10) 의 진동이 억제된 상태로, 프론트 후드 (10) 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상한 위치에 있어서 유지된다. 또한, 연결부 (50) 의 타단부가 들어올림 위치로부터 상한 위치로 변위될 때에는, 액츄에이터 (30) 의 실린더 (32) 도 로드 (40) 에 대해 들어올림 위치보다 더욱 상승한다. 즉, 로크 링 (38) 이, 유지홈 (40D) 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저면 (40D1) 상을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한다 (도 11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실린더 (32) 가 로드 (40) 에 대해 더욱 상승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PUH 장치 (20) 에 의하면, 프론트 후드 (10) 에 고정된 제 2 아암 (28) 이 연결부 (50) 에 의해 힌지 베이스 (24) 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 (30) 가 작동하여 프론트 후드 (10) 가 들어올림 위치로 들어올려졌을 때에는, 연결부 (50) 는 격납 상태로부터 작동 상태로 전환되어, 힌지 베이스 (24) 에 대한 제 2 아암 (28) 의 상방측으로의 이동 (변위) 이 연결부 (50) 에 의해 규제된다. 즉, 차체에 있어서 강성이 높은 부위에 고정되는 힌지 베이스 (24) 에 제 2 아암 (28) 을 연결부 (50) 에 의해 연결하여, 힌지 베이스 (24) 에 대한 제 2 아암 (28) 의 상방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이로써, PUH 장치 (20) 에 있어서 만일 연결부 (50) 를 생략한 경우와 비교해서, 팝업 완료 시의 프론트 후드 (10) 의 차폭 방향 양단부에 있어서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팝업 완료 시에 있어서의 프론트 후드 (10) 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들어올림 위치에서는, 힌지 베이스 (24) 및 제 2 아암 (28) 이, 작동 상태로 전환된 연결부 (50)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팝업된 프론트 후드 (10) 에 피충돌물이 맞닿았을 때에, 당해 프론트 후드 (10) 가 후방측으로 향하여 후퇴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연결부 (50) 는, 제 1 링크 (52) 및 제 2 링크 (54) 를 갖는 링크 기구로서 구성되어 있고, 제 1 링크 (52) 및 제 2 링크 (54) 가 연결축 (56)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아암 (26) 및 제 2 아암 (28) 의 회동 형태에 대응하여, 연결부 (50) 를 격납 상태로부터 작동 상태로 간이한 구성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 프론트 후드 (10) 의 후단부 (10R) 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중앙부가 들어올림 위치보다 더욱 상방측으로 오버 슈트하여, 상방측으로의 소정 하중이 프론트 후드 (10) 로부터 연결부 (50) (제 2 링크 (54)) 의 타단부에 작용하면, 연결축 (56) 및 홈부 (52E) 에 의해 구성된 변위 기구 (58) 가 작동한다. 이로써, 프론트 후드 (10) 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들어올림 위치보다 상방측의 상한 위치로 이동 (변위) 하는 것이 허용된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차폭 방향 중앙부가 상방측으로 오버 슈트함으로써 생기는 프론트 후드 (10) 의 진동을 조기에 감쇠시킬 수 있다.
또, 연결부 (50) 의 변위 기구 (58) 에서는, 연결축 (56) 의 축부 (56A) 의 직경 치수가 홈부 (52E) 의 폭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변위 기구 (58) 의 작동 시에는, 연결축 (56) (의 축부 (56A)) 이 홈부 (52E) 의 내주면 상을 슬라이딩하면서 연결공 (52D) 으로부터 유지공 (52F) 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변위 기구 (58) 의 작동시에는, 연결축 (56) 과 홈부 (52E) 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프론트 후드 (10) 의 진동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변위 기구 (58) 에 의한 진동 감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변위 기구 (58) 는, 홈부 (52E) 의 타단부에 형성된 유지공 (52F) 을 가지고 있고, 상한 위치에 있어서, 연결축 (56) 이 유지공 (52F) 에 의해 유지된다. 이 때문에, 프론트 후드 (10) 의 진동을 억제한 상태로, 프론트 후드 (10) 를 상한 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또, PUH 장치 (20) 에서는, 액츄에이터 (30) 가, 제 1 아암 (26) 및 제 2 아암 (28) 에 대해 차폭 방향 외측 (일방측) 에 배치되어 있고, 연결부 (50) 가 제 1 아암 (26) (의 전부) 및 제 2 아암 (28) 에 대해 차폭 방향 내측 (타방측) 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PUH 장치 (20) 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즉, 만일, 액츄에이터 (30) 및 연결부 (50) 를 제 1 아암 (26) 및 제 2 아암 (28) 에 대해 차폭 방향 외측 또는 내측에 배치한 경우에는, 액츄에이터 (30) 와 연결부 (50) 의 간섭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제 1 아암 (26) 및 제 2 아암 (28) 에 대한 차폭 방향 외측 또는 내측의 영역에 있어서, 액츄에이터 (30) 와 연결부 (50) 를 차폭 방향으로 오프셋하여 배치시킬 필요가 있다. 이로써, 액츄에이터 (30) 및 연결부 (50) 를 포함하여 구성된 PUH 장치 (20) 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증가한다. 한편, 본 개시의 PUH 장치 (20) 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 (30) 가, 제 1 아암 (26) 및 제 2 아암 (28) 에 대해 차폭 방향 외측 (일방측) 에 배치되어 있고, 연결부 (50) 가 제 1 아암 (26) (의 전부) 및 제 2 아암 (28) 에 대해 차폭 방향 내측 (타방측) 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액츄에이터 (30) 및 연결부 (50) 를 제 1 아암 (26) 의 전부 및 제 2 아암 (28) 을 따라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PUH 장치 (20) 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 (50) 에서는, 제 2 링크 (54) 의 타단부 (54B) 가, 제 2 아암 (28) 에 연결됨과 함께, 액츄에이터 (30) 를 제 2 아암 (28) 에 연결하는 제 2 웰드 볼트 (WB2) 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링크 (52) 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는, 차폭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링크 중간부 (52C)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액츄에이터 (30) 에 의해 프론트 후드 (10) 를 효율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이하, 이 점에 대해 설명한다.
즉, 프론트 후드 (10) 의 들어올림 초기에는, 액츄에이터 (30) 의 상단부로부터 제 2 아암 (28) 의 후단부 (28R) 에 상방측으로의 들어올림 힘이 작용함과 함께, 들어올리는 것에 의한 하방측으로의 반력이 액츄에이터 (30) 의 하단부로부터 제 1 아암 (26) 의 하단부 (상세하게는, 제 1 웰드 볼트 (WB1) (제 1 팽출부 (26B))) 에 작용한다. 그리고, 액츄에이터 (30) 는 제 2 아암 (28) 의 차량 폭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 1 아암 (26) 은 제 2 아암 (28) 에 대해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액츄에이터 (30) 의 작동 초기에는, 차량 정면에서 보아 액츄에이터 (30) 가 기우는 경향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아암 (28) 의 후단부 (28R) 에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하중 (도 4 의 화살표 F1 참조) 이 액츄에이터 (30) 로부터 작용하여, 제 1 아암 (26) 의 전부에 있어서의 하단부에 차폭 방향 내측으로의 하중 (도 4 의 화살표 F2 참조) 이 액츄에이터 (30) 로부터 작용하는 경향이 있다. 이로써, 제 2 아암 (28) 의 후단부 (28R) 가 차폭 방향 외측으로 휨 변형되려고 함과 함께, 제 1 아암 (26) 의 전부가 차폭 방향 내측으로 휨 변형되려고 한다.
여기서, 제 2 링크 (54) 의 타단부 (54B) 가, 제 2 아암 (28) 에 연결됨과 함께, 액츄에이터 (30) 를 제 2 아암 (28) 에 연결하는 제 2 웰드 볼트 (WB2) 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아암 (28) 의 후단부 (28R) 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외측으로 휨 변형이, 힌지 베이스 (24) 가 연결된 연결부 (50) 에 의해 억제된다.
또, 제 1 링크 (52) 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는, 차폭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링크 중간부 (52C)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아암 (26) 의 전부에 차폭 방향 내측으로의 하중이 작용했을 때에는, 힌지 베이스 (24) 에 연결된 제 1 링크 중간부 (52C) 가 제 1 아암 (26) 에 대해 버티도록 작용한다. 이로써, 제 1 아암 (26) 의 전부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내측으로의 휨 변형이 억제된다. 이상에 의해, 액츄에이터 (30) 의 작동 시에 있어서의 제 1 아암 (26) 및 제 2 아암 (28) 의 휨 변형이 억제된다. 따라서, 작동 시에 있어서의 액츄에이터 (30) 의 들어올림 힘을 제 2 아암 (28) (프론트 후드 (10)) 에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액츄에이터 (30) 에 의해 프론트 후드 (10) 를 효율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게다가, 제 1 링크 (52) 의 타단부 (52B) 는, 연결부 수용 에어리어 (CA) 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중심선 (CL) 보다 차폭 방향 외측 (제 1 아암 (26) 및 제 2 아암 (28) 측) 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만일 제 1 링크 (52) 의 타단부 (52B) 를 중심선 (CL) 의 근방에 배치한 경우와 비교해서,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링크 중간부 (52C) 의 연장 길이를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액츄에이터 (30) 의 작동 시에 있어서의 제 1 아암 (26) 의 휨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즉, 연결부 (50) 의 작동 시에는, 제 1 링크 (52) 및 제 2 링크 (54) 가 각각 회동되기 때문에, 제 1 링크 (52) 및 제 2 링크 (54) 의 회동 밸런스를 고려하면, 제 1 링크 (52) 의 타단부 (52B) 및 제 2 링크 (54) 의 일단부 (54A) 를 중심선 (CL) 근방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링크 중간부 (52C) 와 제 2 링크 중간부 (54C) 의 길이를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링크 중간부 (52C) 와 제 2 링크 중간부 (54C) 의 길이를 동일하게 설정하면, 제 1 아암 (26) 에 대해 제 1 링크 중간부 (52C) 가 버티도록 작용하는 효과가 저감된다. 이에 대하여, 제 1 링크 (52) 의 타단부 (52B) 를, 연결부 수용 에어리어 (CA) 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중심선 (CL) 보다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제 1 링크 중간부 (52C) 의 차폭 방향의 연장 길이를 비교적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액츄에이터 (30) 의 작동 시에 있어서의 제 1 아암 (26) 의 휨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1 링크 (52) 의 일단부 (52A) 를 힌지 베이스 (24) 에 연결하는 제 1 링크 핀 (LP1) 이, 힌지 베이스 (24) 에 있어서의 측벽부 (24-2) 의 하단부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힌지 베이스 (24) 를 차체에 장착하는 장착 볼트 (B2) 의 일부와 제 1 링크 핀 (LP1) 이 차량 측면에서 보아 상하 방향으로 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링크 (52) 의 일단부 (52A) 를 장착 볼트 (B2) 의 근방에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힌지 베이스 (24) 에 있어서 지지 강성이 높은 부위에, 제 1 링크 (52) 의 일단부 (52A) 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홈부 (52E) 의 폭 치수가 홈부 (52E) 의 길이 방향에 걸쳐 일정하게 설정되어 있다. 환언하면, 변위 기구 (58) 에서는, 연결축 (56) 이 홈부 (52E) 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이동할 때의 홈부 (52E) 에 대한 연결축 (56) 의 슬라이딩 저항과, 연결축 (56) 이 홈부 (52E) 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으로 이동할 때의 홈부 (52E) 에 대한 연결축 (56) 의 슬라이딩 저항이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 대신에, 연결축 (56) 이 홈부 (52E) 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으로 이동할 때의 홈부 (52E) 에 대한 연결축 (56) 의 슬라이딩 저항이, 연결축 (56) 이 홈부 (52E) 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이동할 때의 홈부 (52E) 에 대한 연결축 (56) 의 슬라이딩 저항보다 낮아 (작아) 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홈부 (52E) 의 폭 치수를 홈부 (52E) 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향함에 따라 (상방으로 향함에 따라) 작게 되도록 설정해도 된다. 또, 예를 들어, 도 14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축 (56) 에 있어서의 축부 (56A) 의 외주부에 대략 L 자 형상으로 절결된 1 쌍의 절결부 (56B) 를 형성하고, 연결축 (56) 이 홈부 (52E) 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으로 이동할 때의 홈부 (52E) 에 대한 연결축 (56) 의 슬라이딩 저항이 작아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연결부 (50) 가 작동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에, 절결부 (56B) 가 연결축 (56) 의 축심에 대해 홈부 (52E) 의 타단측에 배치되도록 설정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상한 위치에 배치된 프론트 후드 (10) 를 들어올림 위치로 용이하게 되돌릴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어, 프론트 후드 (10) 를 팝업한 상태로 차량을 주행시키는 경우에, 프론트 후드 (10) 를 상한 위치로부터 들어올림 위치로 되돌림으로써, 운전자에 대한 차량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또 게다가 연결축 (56) 이 홈부 (52E) 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으로 이동할 때의 홈부 (52E) 에 대한 연결축 (56) 의 슬라이딩 저항을 작게 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프론트 후드 (10) 의 자중에 의해 프론트 후드 (10) 가 상한 위치로부터 들어올림 위치로 돌아가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한 위치에 있어서 진동이 억제된 상태의 프론트 후드 (10) 를, 자체의 자중에 의해 상한 위치로부터 들어올림 위치로 변위시킬 수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 (50) 의 변위 기구 (58) 에 의해 연결부 (50) 의 타단부를 상방측으로 변위시킴과 함께, 변위 기구 (58) 의 연결축 (56) 이 홈부 (52E) 의 내주면 상을 슬라이딩함으로써, 프론트 후드 (10) 에 생기는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고 있지만, 변위 기구 (58) 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변위 기구 (58) 에 있어서의 홈부 (52E) 를 생략하고, 도 13a 및 도 1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링크 (52) 및 제 2 링크 (54) 의 적어도 일방에, 잉여 길이부 (70) 를 형성하고, 잉여 길이부 (70) 를 변위 기구 (58) 로서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3a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1 링크 (52) 에 잉여 길이부 (70) 가 형성되어 있고, 잉여 길이부 (70) 는,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주름 상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3b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1 링크 (52) 및 제 2 링크 (54) 에 잉여 길이부 (70) 가 형성되어 있고, 잉여 길이부 (70) 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주름 상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론트 후드 (10) 의 들어올림 위치에 있어서, 프론트 후드 (10) 로부터 연결부 (50) 의 타단부에 상방측으로의 소정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는, 잉여 길이부 (70) 가 소성 변형됨으로써, 연결부 (50) (제 2 링크 (54)) 의 타단부를 상방측으로 변위시켜도 된다. 즉, 프론트 후드 (10) 로부터 연결부 (50) 의 타단부에 상방측으로의 소정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는, 잉여 길이부 (70) 에 인장 하중이 작용하여, 잉여 길이부 (70) 가 연결부 (50) 의 길이 방향 외측으로 소성 변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당해 구성에 의하면, 마찰력에 의해 프론트 후드 (10) 의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간이한 구성에 의해 프론트 후드 (10) 의 진동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또, 잉여 길이부 (70) 를 소성 변형시키는 하중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 (30) 의 실린더 (32) 와 로드 (40) 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프론트 후드 (10) 의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변위 기구 (58) 에 있어서의 홈부 (52E) 의 폭 치수를 연결축 (56) 의 직경 치수보다 크게 설정한다. 또한, 액츄에이터 (30) 의 로크 링 (38) 의 스프링 정수를 적절히 조정하여, 실린더 (32) 와 함께 이동하는 로크 링 (38) 이 로드 (40) 의 유지홈 (40D) 의 저면 (40D1) 상을 슬라이딩할 때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프론트 후드 (10) 의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연결축 (56) 의 축부 (56A) 가 단면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축부 (56A) 의 단면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4a 및 도 1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 (56A) 의 단면을, 1 쌍의 직선부를 갖는 대략 트랙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1 쌍의 직선부를 스토퍼면 (56C) 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1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 (50) 가 작동 상태로 전환될 때에, 스토퍼면 (56C) 이 홈부 (52E) 의 내주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연결축 (56) 의 방향을 설정한다. 그리고, 1 쌍의 스토퍼면 (56C) 사이의 거리를 홈부 (52E) 의 폭 치수보다 크게 설정한다. 이로써, 변위 기구 (58) 가 작동하여 연결축 (56) 이 홈부 (52E) 내에 삽입되었을 때에는, 스토퍼면 (56C) 과 홈부 (52E) 의 내주면이 걸어맞춤하여, 제 1 링크 (52) 와 제 2 링크 (54) 의 상대 회동이 제한된다. 즉, 연결부 (50) 가 연결축 (56) 의 부위에 있어서 접어 구부러지는 것이 제한된다. 이로써, 연결부 (50) 의 변위 기구 (58) 에 의해 프론트 후드 (10) 의 진동을 억제할 때의 연결부 (50) 의 상태를 안정화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축부 (56A) 의 단면을 D 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스토퍼면 (56C) 을 1 지점 형성해도 된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홈부 (52E) 의 타단부에 유지공 (52F) 이 형성되어 있지만, 홈부 (52E) 의 타단부에 있어서 홈부 (52E) 를 연장하여 유지공 (52F) 을 생략해도 된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연결공 (52D), 홈부 (52E), 유지공 (52F) 이 제 1 링크 (52) 에 형성되어 있고, 연결축 (56) 이 제 2 링크 (54) 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 대신에, 연결공 (52D), 홈부 (52E), 유지공 (52F) 을 제 2 링크 (54) 에 형성하고, 연결축 (56) 을 제 1 링크 (52) 에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연결부 (50) 의 작동 상태에 있어서, 홈부 (52E) 가 연결공 (52D) 으로부터 하방측으로 연장되도록 된다.
(제 2 실시형태)
이하, 도 15 ∼ 도 17 을 사용하여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PUH 장치 (100) 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의 PUH 장치 (100) 에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점을 제외하고 제 1 실시형태의 PUH 장치 (20)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5 ∼ 도 17 에서는, 좌측에 배치된 PUH 장치 (100) 를 차폭 방향 외측에서 본 차량 측면에서 보아 도시하고 있다.
도 15 ∼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 베이스 (24) 에서는, 측벽부 (24-2) 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단차부 (24C) 가 형성되어 있고, 힌지 베이스 (24) 의 상단부가, 그 하단부에 대해 차폭 방향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제 1 아암 (26) 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에는, 차량 측면에서 보아 상방측으로 개방된 오목부 (26E) 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 (26E) 에 제 2 링크 핀 (LP2) 이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제 1 아암 (26) 에서는, 만곡부 (26A) 및 제 1 팽출부 (26B) 가 생략되어 있다.
연결부 (50) 에서는, 제 1 링크 (52) 에 있어서 제 1 링크 중간부 (52C) 가 생략되어 있고, 제 2 링크 (54) 에 있어서 제 2 링크 중간부 (54C) 가 생략되어 있다. 즉, 제 1 링크 (52) 및 제 2 링크 (54) 가 대략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연결부 (50) 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변위 기구 (58) 가 생략되어 있다. 즉, 제 1 링크 (52) 의 타단부 (52B) 에는, 연결공 (52D) (도시 생략) 만이 형성되어 있고, 홈부 (52E) 및 유지공 (52F) 이 생략되어 있다. 이로써,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들어올림 위치에 있어서, 연결부 (50) 의 타단부 (제 2 링크 (54) 의 타단부 (54B)) 가 제 1 링크 (52) (힌지 베이스 (24)) 에 대해 상방측으로 변위 불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 1 링크 (52) 의 일단부 (52A) 는, 힌지 베이스 (24) 의 측벽부 (24-2) 의 전단부에 있어서, 제 1 링크 핀 (LP1) 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제 2 링크 (54) 의 타단부 (54B) 는, 제 2 아암 (28) 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 있어서, 제 2 링크 핀 (LP2) 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 (50) 의 격납 상태에서는, 연결부 (50) 가 차량 측면에서 보아 전방측으로 개방된 대략 V 자 형상을 이루고, 힌지 베이스 (24) 와 제 2 아암 (28) 의 사이에 격납되어 있다. 즉, 연결축 (56) 이 가상 기준선 (L2) 에 대해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 (30) 가 작동하여, 제 2 아암 (28) 이 들어올림 위치로 들어올려지고, 연결부 (50) 가 작동 상태로 전환될 때에는, 제 1 링크 (52) 와 제 2 링크 (54) 가 동일선 상에 배열되어, 연결부 (50) 가 직선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결부 (50) 가, 측면에서 보아 상방측으로 향함에 따라 후방측으로 약간 기울어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작동 상태에서는, 연결축 (56) 이 가상 기준선 (L2) 에 대해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후드 (10) 의 통상 개폐 시에는, 제 1 아암 (26) 이 제 1 힌지 핀 (HP1) 의 축 둘레로 힌지 베이스 (24) 에 대해 상방측 (화살표 A 방향측) 으로 회동한다. 이 때에는, 제 1 링크 (52) 가 힌지 베이스 (24) 에 대해 상대 회동함과 함께, 제 2 링크 (54) 가 제 2 아암 (28) 에 대해 상대 회동하고, 격납 상태로 된 연결부 (50) 가 직선상이 되어, 프론트 후드 (10) 의 개(開)방향의 회동 범위가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이 상태를 「회동 규제 상태」 라고 한다). 또, 연결부 (50) 의 회동 규제 상태에서는, 연결부 (50) 가, 측면에서 보아 상방측으로 향함에 따라 후방측으로 약간 기울어 배치되어 있다.
또, 도 15 ∼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링크 (54) 의 일단부 (54A) 에는, 제 2 링크 (54) 의 폭방향 일방측의 측부에 있어서, 스토퍼 (54D)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 (54D) 는, 제 2 링크 (54) 로부터 차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제 1 링크 (52) 의 폭방향 일방측의 측면에 맞닿음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 (50) 가 격납 상태로부터 작동 상태로 전환되면, 스토퍼 (54D) 가, 제 1 링크 (52) 의 폭방향 일방측의 측면에 맞닿고, 제 1 링크 (52) 및 제 2 링크 (54) 의 격납 상태와는 반대측 (제 1 아암 (26) 에서는 화살표 E 방향측, 제 2 링크 (54) 에서는 화살표 F 방향측) 으로의 회동이 제한되도록 되어 있다. 즉, 작동 상태로 전환되는 제 1 링크 (52) 및 제 2 링크 (54) 의 오버 런 (작동 상태보다 지나쳐, 제 1 링크 (52) 가 화살표 E 방향측 및 제 2 링크 (54) 가 화살표 F 방향측으로 회동하는 것) 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액츄에이터 (30) 에서는, 실린더 (32) 에 있어서의 가스 빼기 구멍 (32A) 이 생략되어 있다. 또, 액츄에이터 (30) 의 유지홈 (40D) 의 폭 치수 (저면 (40D1) 의 상하 치수) 는, 제 1 실시형태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고, 들어올림 위치에서는, 로드 (40) 로부터 상승된 실린더 (32) 가 로크 링 (38) 에 의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실시형태의 PUH 장치 (100) 에 있어서도, 프론트 후드 (10) 에 고정된 제 2 아암 (28) 이 힌지 베이스 (24) 에 연결부 (50)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 (30) 가 작동하여 프론트 후드 (10) 가 들어올림 위치로 들어올려질 때에는, 연결부 (50) 가 격납 상태로부터 작동 상태로 전환되어, 힌지 베이스 (24) 에 대한 제 2 아암 (28) 의 상방측으로의 이동이 연결부 (50) 에 의해 규제된다. 이로써, 차체에 있어서 강성이 높은 부위에 고정되는 힌지 베이스 (24) 에 제 2 아암 (28) 을 연결부 (50) 에 의해 연결하여, 힌지 베이스 (24) 에 대한 제 2 아암 (28) 의 상방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팝업 완료 시에 있어서의 프론트 후드 (10) 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들어올림 위치로 들어올려진 프론트 후드 (10) 의 진동을 조기에 감쇠시킨다는 관점에서 보면,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연결부 (50) 에 있어서 변위 기구 (58) 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예를 들어, 각종 차량에 있어서, 프론트 후드의 휨 강성이 비교적 높게 구성된 경우 등에서는, 프론트 후드의 차폭 방향 양단부를 액츄에이터 (30) 에 의해 들어올렸을 때에, 프론트 후드의 오버 슈트가 비교적 작아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프론트 후드를 갖는 차량의 경우에는, 제 2 실시형태와 같이, 연결부 (50) 에 있어서 변위 기구 (58) 를 생략해도, 팝업 완료 시에 있어서의 프론트 후드 (10) 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액츄에이터 (30) 의 비작동 상태에 있어서, 제 1 아암 (26) 이 제 2 아암 (28) 과 함께 힌지 베이스 (24) 에 대해 회동되면, 연결부 (50) 가 격납 상태로부터 회동 규제 상태로 전환된다. 이로써, 프론트 후드 (10) 의 회동 범위가 규제된다. 따라서, 프론트 후드 (10) 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별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후드 힌지 (22) 의 구성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들어올림 위치에서는, 힌지 베이스 (24) 및 제 2 아암 (28) 이, 작동 상태로 전환된 연결부 (50)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팝업된 프론트 후드 (10) 에 피충돌물이 맞닿았을 때에, 당해 프론트 후드 (10) 가 후방측으로 향하여 후퇴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액츄에이터 (30) 가, 제 1 아암 (26) 및 제 2 아암 (28) 에 대해 차폭 방향 외측 (일방측) 에 배치되어 있고, 연결부 (50) 가 제 1 아암 (26) 및 제 2 아암 (28) 에 대해 차폭 방향 내측 (타방측) 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폭 방향에 있어서 PUH 장치 (100) 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링크 (54) 의 일단부 (54A) 에, 스토퍼 (54D)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제 1 링크 (52) 가 격납 상태로부터 작동 상태로 전환되면, 스토퍼 (54D) 가, 제 1 링크 (52) 의 폭방향 일방측의 측면에 맞닿아, 제 1 링크 (52) 및 제 2 링크 (54) 의 격납 상태와는 반대측으로의 회동이 제한된다. 이로써, 작동 상태로 전환되는 제 1 링크 (52) 및 제 2 링크 (54) 의 오버 런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작동 상태로 전환되는 연결부 (50) 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 (50) 의 격납 상태에서는, 연결부 (50) 가 측면에서 보아 전방측으로 개방된 대략 V 자 형상을 이루며, 연결축 (56) 이 가상 기준선 (L2) 에 대해 후방측 (차량 전후 방향 일방측) 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연결부 (50) 가 작동 상태로 전환되면, 연결부 (50) 가 직선상이 되도록 배치되고, 연결부 (50) 가 가상 기준선 (L2) 에 대해 전방측 (차량 전후 방향 타방측) 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작동 상태에 있어서 차량 하측으로의 하중 (도 18 의 화살표 F3 참조) 이 연결부 (50) 의 타단부에 작용했을 때에는, 제 1 링크 (52) 및 제 2 링크 (54) 가 작동 상태보다 오버 런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고자 한다. 즉, 제 1 링크 (52) (제 2 링크 (54)) 가 화살표 E 방향측 (화살표 F 방향측) 으로 회동하고자 한다. 이 때, 스토퍼 (54D) 가 제 1 링크 (52) 의 측면에 맞닿아, 제 1 링크 (52) 및 제 2 링크 (54) 의 회동이 제한된다. 이로써, 스토퍼 (54D) 를 안정적으로 기능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프론트 후드 (10) 를 들어올림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로드 (40) 에 대해 실린더 (32) 가 뻗어나오는 타입의 액츄에이터 (30) 를 사용하여 PUH 장치 (100) 를 구성한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액츄에이터 (30) 의 구성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탄성 지지된 스프링이 개방됨으로써 제 2 아암 (28) 을 제 1 아암 (26) 에 대해 회동시키는 타입의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PUH 장치 (100) 를 구성해도 된다.
또,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액츄에이터 (30) 및 연결부 (50) 를, 제 1 아암 (26) 및 제 2 아암 (28) 에 대해 차폭 방향 외측 및 내측에 각각 배치한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액츄에이터 (30) 및 연결부 (50) 의 배치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 (30) 및 연결부 (50) 를, 제 1 아암 (26) 및 제 2 아암 (28) 에 대해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해도 되고,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액츄에이터 (30) 및 연결부 (50) 의 배치는, 후드 힌지 (22) 의 주변의 다른 부재와의 클리어런스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액츄에이터 (30) 의 비작동 상태에 있어서, 제 1 아암 (26) 이 제 2 아암 (28) 과 함께 힌지 베이스 (24) 에 대해 회동되면, 연결부 (50) 가 격납 상태로부터 회동 규제 상태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지만,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연결부 (50) 가 격납 상태로부터 회동 규제 상태로 전환되도록 설정해도 된다. 즉, 예를 들어 제 1 링크 (52) 및 제 2 링크 (54) 의 길이 등을 적절히 조정하여, 프론트 후드 (10) 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기능을 연결부 (50) 에 갖게 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프론트 후드 (10) 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기능을 연결부 (50) 에 갖게 한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프론트 후드 (10) 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기능을 연결부 (50) 에 갖게 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 (50) 에 스토퍼 (54D) 를 형성하여, 작동 상태로 전환되는 제 1 링크 (52) 및 제 2 링크 (54) 의 오버 런을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연결부 (50) 에 스토퍼 (54D) 를 형성해도 된다. 이로써,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작동 상태로 전환되는 제 1 링크 (52) 및 제 2 링크 (54) 의 오버 런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작동 상태로 전환되는 제 1 링크 (52) 및 제 2 링크 (54) 의 오버 런을 억제하는 스토퍼를 연결부 (50) 와는 상이한 다른 부재에 형성해도 된다. 이하, 이 예에 대해, 제 1 실시형태를 사용하여 설명하면, 예를 들어, 도 1 의 2 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 베이스 (24) 의 측벽부 (24-2) 에 스토퍼 (24S) 를 형성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스토퍼 (24S) 를, 측벽부 (24-2) 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 있어서의 상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시키고 또한 차폭 방향 외측으로 굴곡시켜, 차량 정면에서 보아 대략 역 L 자 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작동 상태로 전환되는 제 1 링크 (52) 의 폭방향 타방측의 측면에 스토퍼 (24S) 가 맞닿도록 설정한다. 이로써, 작동 상태로 전환되는 제 1 링크 (52) 및 제 2 링크 (54) 의 오버 런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게다가, 힌지 베이스 (24) 에 스토퍼 (24S) 를 형성하는 경우에서는,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 상태로 전환되는 연결부 (50) 가 전방측으로 개방된 대략 V 자 형상이 되도록, 제 1 링크 (52) 및 제 2 링크 (54) 의 길이나 연결축 (56) 의 위치 등을 적절히 설정해도 된다. 즉, 작동 상태의 연결부 (50) 의 형태가, 상하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연결부 (50) 의 길이 방향 중간부의 부위 (연결축 (56) 의 부위) 에서 접어 구부러지는 형태여도 된다.
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링크 (제 1 링크 (52) 및 제 2 링크 (52)) 를 갖는 연결부 (50) 를 사용하여 PUH 장치 (100) 를 구성한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연결부 (50) 의 구성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만곡하는 것이 가능해진 와이어 등을 연결부로서 구성해도 된다.
이상,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PUH 장치 (20, 100) 를 설명했지만, 본 개시의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는, 상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상기 이외에도 여러 가지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13)

  1. 차체에 고정된 힌지 베이스와,
    상기 힌지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아암과,
    후드의 후부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외측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 1 아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상기 제 1 아암에 대해 회동됨으로써 상기 후드의 후부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외측 단부를 차량 상방측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아암과,
    상기 제 1 아암과 상기 제 2 아암의 사이에 형성되고, 작동됨으로써 상기 제 2 아암을 상기 제 1 아암에 대해 회동시켜 상기 후드를 폐지 위치로부터 들어올림 위치로 들어올리는 액츄에이터와,
    일단부가 상기 힌지 베이스에 연결됨과 함께 타단부가 상기 제 2 아암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후드의 상기 폐지 위치에 있어서는 격납 상태로 되고,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 완료 시에 있어서는 상기 힌지 베이스에 대한 상기 제 2 아암의 차량 상방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작동 상태로 되는 연결부를 구비한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비작동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암이 상기 힌지 베이스에 대해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연결부가, 상기 격납 상태로부터 회동 규제 상태로 되어, 상기 후드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단측을 구성함과 함께, 상기 힌지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링크와,
    상기 연결부의 타단측을 구성함과 함께, 상기 제 2 아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링크와,
    상기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의 일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의 타방에 형성된 연결공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연결축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에 있어서의 차량 상방측으로의 변위를 허용하는 변위 기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들어올림 위치로 들어올려진 상기 후드에 의해 차량 상방측으로의 소정 하중이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에 작용했을 때에 상기 변위 기구가 작동하여,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에 있어서의 차량 상방측으로 변위를 허용함과 함께, 상기 들어올림 위치보다 차량 상방측의 상한 위치로의 상기 제 2 아암의 이동을 허용하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기구는,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가 상기 들어올림 위치로부터 상기 상한 위치로 변위됨으로써, 상기 후드의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기구에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기구는, 상기 연결축과, 상기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의 타방에 형성되고 또한 일단부가 상기 연결공에 연통된 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작동 상태에 있어서 상기 홈부가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됨과 함께, 상기 홈부의 폭 치수가 상기 연결축의 직경 치수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기구는, 상기 홈부의 타단부에 형성된 유지공을 가지고 있고,
    상기 상한 위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이 상기 유지공에 의해 유지되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기구에서는, 상기 연결축이 상기 홈부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으로 이동할 때의 상기 홈부에 대한 상기 연결축의 슬라이딩 저항이, 상기 연결축이 상기 홈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이동할 때의 상기 홈부에 대한 상기 연결축의 슬라이딩 저항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기구는, 상기 제 1 링크 및 상기 제 2 링크 중 적어도 일방에 형성된 잉여 길이부가 되고,
    상기 변위 기구의 작동 시에는, 상기 잉여 길이부가 소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에 있어서의 차량 상방측으로 변위를 허용하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 1 아암 및 상기 제 2 아암에 대해 차폭 방향 일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아암 및 상기 제 2 아암에 대해 차폭 방향 타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베이스는, 상기 연결부에 대해 차폭 방향 타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링크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아암과의 연결 부위가,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 2 아암의 연결 부위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1 링크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는,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링크의 길이 방향 양단부를 접속하는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 및 상기 제 2 링크의 상기 격납 상태와는 반대측으로의 회동이 상기 스토퍼에 의해 제한되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크의 타단부는 연결 핀에 의해 상기 제 2 아암에 연결되어 있고,
    측면에서 보아 상기 연결 핀의 축심을 통과하고 또한 차량 상하 방향을 따른 선을 가상 기준선으로 하고,
    상기 격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이 상기 가상 기준선에 대해 차량 전후 방향의 일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 상태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이 상기 가상 기준선에 대해 차량 전후 방향의 타방측에 배치되는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KR1020167021275A 2014-08-07 2015-06-25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KR1018194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61504 2014-08-07
JP2014161504 2014-08-07
PCT/JP2015/068420 WO2016021326A1 (ja) 2014-08-07 2015-06-25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521A KR20160105521A (ko) 2016-09-06
KR101819408B1 true KR101819408B1 (ko) 2018-01-16

Family

ID=55263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275A KR101819408B1 (ko) 2014-08-07 2015-06-25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64711B2 (ko)
EP (1) EP3178708B1 (ko)
JP (1) JP6103132B2 (ko)
KR (1) KR101819408B1 (ko)
CN (1) CN106029454B (ko)
WO (1) WO20160213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017457A1 (de) * 2013-10-21 2015-04-23 Audi Ag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 Frontklappe und zugehöriges Kraftfahrzeug
US9283924B1 (en) * 2014-09-23 2016-03-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inge for a vehicle hood
DE102014015998A1 (de) * 2014-10-29 2016-05-04 Audi Ag Kraftfahrzeug, umfassend eine Frontklappe, die über zwei Scharniergelenke schwenkbar an einer Karosserie angeordnet ist
KR101917330B1 (ko) * 2014-10-29 2018-11-09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커튼 에어백 장치
JP6265185B2 (ja) 2015-09-02 2018-0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6413986B2 (ja) * 2015-09-04 2018-10-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6477376B2 (ja) * 2015-09-15 2019-03-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FR3041315B1 (fr) * 2015-09-17 2018-09-14 Faurecia Bloc Avant Systeme d'ouverture de hayon a deux bielettes
US9956938B2 (en) * 2016-01-20 2018-05-01 Takata Corporation Vehicular pop-up hood device
JP6565764B2 (ja) * 2016-03-30 2019-08-28 豊田合成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US10315612B2 (en) * 2016-08-24 2019-06-11 Honda Motor Co., Ltd. Vehicle hood lift system
CN109906177B (zh) * 2016-09-22 2020-08-21 均胜安全系统收购有限责任公司 发动机罩升降组件
KR102596236B1 (ko) * 2016-11-23 2023-11-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액티브 후드장치
US10100565B2 (en) * 2016-12-22 2018-10-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ctive hood hinge with upstop
FR3062700B1 (fr) * 2017-02-07 2020-05-01 Renault S.A.S Dispositif de transmission de mouvement pour actionneur de passage de vitesses
CN109501868B (zh) * 2017-09-14 2021-06-25 标致雪铁龙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前端及汽车
EP3521111B1 (en) * 2018-02-05 2020-11-11 Volvo Car Corporation Hinge arrangement
CN110439393A (zh) * 2018-05-04 2019-11-12 麦格纳覆盖件有限公司 用于主动式行人安全闩锁的致动机构
CN108820051B (zh) * 2018-05-07 2020-08-25 北京长城华冠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尾门及车辆
JP7078800B2 (ja) 2018-08-30 2022-05-31 シーメンス モビリティー, インク. 持上げ装置
DE102018122135A1 (de) * 2018-09-11 2020-03-1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Antriebsanordnung für eine Klappe eines Kraftfahrzeugs
DE102018215767A1 (de) * 2018-09-17 2020-03-1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charniersystem einer Frontklappe eines Fahrzeugs
DE102018125800A1 (de) * 2018-10-17 2020-04-23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Antriebsanordnung für eine Klappe eines Kraftfahrzeugs
DE102019132161A1 (de) * 2018-11-27 2020-05-28 Magna Closures Inc. AKTIVES FUßGÄNGER-MOTORHAUBENSCHARNIER MIT INTEGRIERTERVERRIEGELUNGSANORDNUNG
JP7064457B2 (ja) * 2019-02-19 2022-05-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7143237B2 (ja) * 2019-03-11 2022-09-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フードポップアップ構造
JP2021138290A (ja) * 2020-03-05 2021-09-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配置構造
KR20220057016A (ko) * 2020-10-29 2022-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
USD1004516S1 (en) * 2021-09-30 2023-11-14 Ringbrothers, Llc Automobile hood hinge
USD998531S1 (en) * 2021-11-03 2023-09-12 Ringbrothers, Llc Automobile hood hinge
US20230294774A1 (en) * 2022-03-18 2023-09-21 Nissan North America, Inc. Hinge assembly for vehicle hood
US20240010161A1 (en) * 2022-07-05 2024-01-11 Hyundai Motor Company Active Hood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0957A (ja) 1999-07-19 2001-02-06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フード装置
JP2004203251A (ja) 2002-12-25 2004-07-22 Aisin Seiki Co Ltd 車両用開閉体の開閉構造
JP2006264559A (ja) 2005-03-24 2006-10-05 Nhk Spring Co Ltd 車両用安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PA01011781A (es) * 1999-05-17 2002-11-04 Edscha Ag Arreglo de cofre o capo frontal.
JP3828342B2 (ja) 2000-07-26 2006-10-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フード装置
US6513617B2 (en) 2000-07-26 2003-02-0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hood apparatus
US6618904B1 (en) * 2000-09-25 2003-09-16 Van-Rob Stampings Inc. Spring loaded vehicle hinge mechanism
GB2384524B (en) * 2002-01-25 2004-01-14 Itw Ltd Cam-assisted lid hinge
JP2006224890A (ja) 2005-02-21 2006-08-31 Mazda Motor Corp 車両の歩行者保護装置
JP4518264B2 (ja) * 2005-03-24 2010-08-04 日本発條株式会社 車両用安全装置
FR2886612B1 (fr) * 2005-06-06 2007-10-12 Renault Sas Dispositif de commande de l'ouverture du capot d'un vehicule, notamment pour proteger la tete d'un pieton en cas de choc.
GB0602586D0 (en) * 2006-02-10 2006-03-22 Ford Global Tech Llc A hinge mechanism
DE102006017730A1 (de) * 2006-04-15 2007-10-25 Daimlerchrysler Ag Motorhaubenscharnier
JP5239253B2 (ja) 2007-08-14 2013-07-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フード跳ね上げ装置
JP4973412B2 (ja) 2007-09-14 2012-07-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ード跳ね上げ装置及びフード跳ね上げ方法
JP2009096339A (ja) 2007-10-17 2009-05-07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のフード跳ね上げ装置
DE102008011722A1 (de) 2008-02-28 2009-09-0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Scharnieranordnung für eine Motorhaube mit Fußgängerschutz
JP5381290B2 (ja) * 2009-04-28 2014-01-08 スズキ株式会社 自動車のトランクリッドの開閉装置
US8484804B2 (en) * 2010-10-11 2013-07-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ood hinge assembly for vehicle
JP5505253B2 (ja) * 2010-10-20 2014-05-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5384537B2 (ja) * 2011-01-14 2014-01-08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自動車の車体部品を持ち上げる装置
US8768574B1 (en) * 2013-02-22 2014-07-01 Ventra Group, Inc. Pedestrian protection vehicle hood hinge assembly
JP5799994B2 (ja) 2013-08-22 2015-10-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6003848B2 (ja) * 2013-08-26 2016-10-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KR101491310B1 (ko) * 2013-09-04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드 장치
JP6032191B2 (ja) * 2013-12-10 2016-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US9701277B2 (en) * 2015-02-25 2017-07-11 Magna Closures Inc. Active hinge with deployed position latc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0957A (ja) 1999-07-19 2001-02-06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フード装置
JP2004203251A (ja) 2002-12-25 2004-07-22 Aisin Seiki Co Ltd 車両用開閉体の開閉構造
JP2006264559A (ja) 2005-03-24 2006-10-05 Nhk Spring Co Ltd 車両用安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29454B (zh) 2018-05-01
EP3178708A1 (en) 2017-06-14
CN106029454A (zh) 2016-10-12
JPWO2016021326A1 (ja) 2017-04-27
JP6103132B2 (ja) 2017-03-29
KR20160105521A (ko) 2016-09-06
WO2016021326A1 (ja) 2016-02-11
EP3178708B1 (en) 2019-05-22
US9764711B2 (en) 2017-09-19
EP3178708A4 (en) 2017-07-26
US20170136985A1 (en) 201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9408B1 (ko)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JP6245235B2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AU2006289596B2 (en) Pedestrian protection automotive hood hinge assembly
JP4973412B2 (ja) 自動車のフード跳ね上げ装置及びフード跳ね上げ方法
JP6364533B2 (ja) フロントフードのための歩行者保護手段が一体化されたヒンジ装置
JP4306485B2 (ja) 跳ね上げ式フード
JP6265185B2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4410823B2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5257395B2 (ja) アクチュエータ
JP2012081843A (ja) 車両のフード跳ね上げ装置
JP5765267B2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2009073274A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6137204B2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6248835B2 (ja) 車両用アクチュエータとフード跳ね上げ装置
JP6413986B2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6311529B2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2017100678A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H10152074A (ja) 跳ね上げ式フード構造
JP6477376B2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6142803B2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2016107729A (ja) フード跳ね上げ装置
JP6380180B2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6656765B2 (ja) ヒンジ構造
JP6337765B2 (ja) フード跳ね上げ装置
JP7010805B2 (ja) フード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