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081B1 -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 - Google Patents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081B1
KR101818081B1 KR1020110021987A KR20110021987A KR101818081B1 KR 101818081 B1 KR101818081 B1 KR 101818081B1 KR 1020110021987 A KR1020110021987 A KR 1020110021987A KR 20110021987 A KR20110021987 A KR 20110021987A KR 101818081 B1 KR101818081 B1 KR 101818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posture
cable
bending
connect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1235A (ko
Inventor
쇼이치로 코미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110111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1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8Chains having special overall characteristics
    • F16G13/20Chains having special overall characteristics stiff; Push-pull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59Ducts; Conduits; Hollow tubes for air blown fibres
    • G02B6/4461Articula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7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non-circular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다수의 케이블 삽입용 관형부로 이루어진 가요성 벨트 부재와의 굴곡 자세가 순조롭고, 굴곡 자세를 동반하는 케이블류를 확실히 보호하고 원활히 안내 유도함과 동시에 부품 수가 적고, 사용 상황에 따른 잘라 이어 붙이기가 간편한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복수의 케이블 삽입용 관형부(b)를 병렬 상태로 일체 형성한 가요성 벨트 부재(FB)의 직선 자세와 굴곡 자세를 케이블 삽입용 관형부(b)의 적어도 하나에 상호 요철 감합하여 굴곡이 자재롭게 연결된 다수의 블록체(110)를 삽입하여 규제 지지함과 동시에 다수의 블록체(110)가 굴곡 자세의 굴곡 원호 반경 (R)과 같은 곡률의 굴곡 외주측 곡면(111)을 각각 구비하는 케이블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부재(100)이다.

Description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CABLES AND THE LIKE PROTECTING AND GUIDING MULTI-JOINT SUPPORTING MEMBER}
본 발명은, 공작 기계, 전자 기기, 산업용 로봇, 운반 기계 등에 사용되며, 이들 이동하는 기계, 혹은 기계의 이동부에 전력 공급, 급액(給液), 공기 공급 등을 행하는 전선 케이블, 광파이버 케이블, 유체 공급 호스 등과 같은 가요성 케이블이나 호스 등(이하, "케이블류"라고 칭함)을 보호하고 유도 안내하는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에 관한 것이다.
공작 기계, 토목 기계, 반송 장치 등과 같은 이동체에 케이블류를 접속하면, 이동에 따라서 케이블류에 무리한 뒤틀림이나 당김이 발생하여, 케이블류를 손상시키거나 외관도 지저분해지기 때문에, 이들 케이블류를 지지하고 유도 안내하는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가 사용되고 있다.
그래서, 종래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로서, 도체(導體), 가스 등을 반송(搬送)하는 도관(導管)과 일련의 비운동 동작 제한 고형물을 구비한 연속 재료 스트립(strip)으로 이루어진 지지 부재를 복수의 채널 내에 봉입하여 평행하게 배치한 어셈블리용 지지 부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4157096호 공보(특허 청구 범위, 단락[0031] 내지 단락[0034], 도21)
그러나, 종래의 어셈블리용 지지 부재에서는, 이 어셈블리용 지지 부재를 구성하는 가요성 재료가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재료나 판용수철 등이기 때문에, 굴곡 자세를 이룰 때에 정확한 굴곡 반경을 유지할 수 없고, 굴곡 반경이 커져, 근접한 위치에 장해물 등에 접촉되거나 하여 소정의 공간 내에 설치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가요성 재료로서 스테인리스강 재료를 이용한 경우에는, 장기간 사용에 의한 노후로 파괴 및 단열이 발생하여 사용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어셈블리용 지지 부재를 구성하는 가요성 재료가 스테인리스강 재료나 판용수철인 것에 의해, 스테인리스강 재료나 판용수철은 간단히 잘라 이어 붙이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어셈블리용 지지 부재의 길이를 길게 변경할 경우에 다른 새로운 어셈블리용 지지 부재로 바꿔야 하며, 어셈블리용 지지 부재의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굴곡할 때에 뒤틀림 강성(剛性)이 낮기 때문에, 공진을 일으켜 굴곡 자세나 직선 자세의 동작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스테인리스강 재료나 판용수철에 수지로 이루어진 피스(piece)를 한 개씩 사출형성해야 하며, 제조시에 많은 부담과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어, 대량으로 생산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어셈블리용 지지 부재가 이들 피스에 의해 다각 형상으로 굴곡함으로써 굽힘 응력이 집중하기 쉬운 단속적 또는 간헐적인 굴곡에 의한 각부(角部)를 일으키기 때문에, 이와 같은 단속적 또는 간헐적인 굴곡에 의한 각부가 채널 내에 봉입한 도체, 가스 등을 반송하는 도관을 압박하거나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을 뿐만이 아니라, 이와 같은 단속적 또는 간헐적인 굴곡에 의한 각부가 굴곡 자세시에 채널을 간헐적으로 밀어 올려서 채널 자체를 파손시키거나 유도 안내하는 바닥면과의 간헐적인 접촉음을 일으켜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케이블 삽입용 관형부로 이루어진 가요성 벨트 부재와의 굴곡 자세가 순조롭고, 굴곡 자세를 동반하는 케이블류를 확실히 보호하고 원활하게 안내 유도함과 동시에 부품 수가 적고, 사용 상황에 따른 잘라 이어 붙임이 간편한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관련된 본 발명은, 복수의 케이블 삽입용 관형부를 병렬 상태로 일체 형성한 가요성 벨트 부재의 직선 자세와 굴곡 자세를 상기 케이블 삽입용 관형부의 적어도 하나에 상호 요철(凹凸) 감합(嵌合)하여 굴곡이 자재롭게 연결된 다수의 블록체를 삽입하여 규제 지지하는 케이블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로, 상기 블록체가 상기 블록체의 연결에서 규정되는 굴곡 자세의 굴곡 원호 반경과 같은 곡률의 굴곡 외주측 곡면을 각각 구비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2에 관련된 본 발명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상기 블록체의 전방 측면 부위에 구비된 연결핀이 선행하는 블록체의 후방 측면 부위에 구비된 연결 핀 구멍에 요철 감합하여 굴곡이 자재롭게 연결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더 해결하는 것이다.
청구항 3에 관련된 본 발명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상기 전방 측면 부위의 연결핀을 후방 측면 부위의 연결핀 구멍을 향하여 요철 감합시키는 테이퍼(taper)형으로 잘라낸 감입부(嵌入部)가, 상기 후방 측면 부위의 연결핀 구멍에 연속하여 오목하게 구비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청구항 4에 관련된 본 발명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상기 블록체가 상기 블록체 끼리를 직선 상태로 유지하는 직선 자세 유지면과 상기 블록체 끼리를 굴곡 상태로 유지하는 굴곡 자세 유지면을 구비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청구항 5에 관련된 본 발명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는, 청구항1 내지 청구항 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상기 블록체가 합성수지 재료로 형성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청구항 6에 관련된 본 발명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상기 블록체가 길이 방향을 따라 네 모서리를 라운딩한 직사각형 단면을 갖음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이에, 본 출원의 청구항 1에 관련된 발명인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에 의하면, 복수의 케이블 삽입용 관형부를 병렬 상태로 일체 형성한 가요성 벨트 부재의 직선 자세와 굴곡 자세를 케이블 삽입용 관형부의 적어도 하나에 상호 요철 감합하여 굴곡이 자재롭게 연결된 다수의 블록체를 삽입하여 규제 지지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스테인리스강 재료나 판용수철에 피스를 한 개씩 사출형성할 필요도 없고, 블록체만을 반복하여 연결하는 것만으로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스테인리스강 재료로 이루어진 잘라 이어 붙이기 곤란한 지지 부재를 구성하는 가요성 재료와 비교하면 사용 상황에 따른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의 잘라 이어 붙이기를 간편하게 달성할 수 있고, 다수의 블록체가 상호 요철 감합하여 굴곡이 자재롭게 연결되기 때문에, 굴곡 자세나 직선 자세를 동반하는 케이블류를 확실히 보호하여 안내 유도할 수 있고, 나아가 종래와 같은 사용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장단 길이를 보유해야 했던 어셈블리용 지지 부재와 비교하면 부품 수가 적어지기 때문에, 부품 관리 부담을 현저히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체가 상기 블록체의 연결에서 규정되는 굴곡 자세의 굴곡 원호 반경과 같은 곡률의 굴곡 외주측 곡면을 각각 구비함으로써, 가요성 벨트 부재의 굴곡 자세가 연속적인 단일의 매끄러운 원호를 이루기 때문에, 다수의 케이블 삽입용 관형부로 이루어진 가요성 벨트 부재와의 굴곡 자세가 순조롭고, 나아가 가요성 벨트 부재 내에 삽입한 케이블류에 대해서 굴곡 응력을 집중시키지 않고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때문에, 가요성 벨트 부재 및 케이블류에 대해서 굴곡 부하를 큰 폭으로 경감하여 손상도 없고 유도 안내하는 바닥면과의 간헐적인 접촉음도 큰 폭으로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련된 본 발명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가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블록체의 전방 측면 부위에 구비된 연결핀이 선행하는 블록체의 후방 측면 부위에 구비된 연결핀 구멍에 요철 감합하여 굴곡이 자재롭게 연결됨으로써, 후속하는 블록체의 연결핀이 선행하는 블록체의 연결핀 구멍으로 회전이 자재롭게 축이 지지되기 때문에, 블록체가 상호 직선 자세에서 굴곡 자세로 원활히 이행하거나 굴곡 자세에서 직선 자세로 원활히 이행하여 케이블류를 원활히 안내 유도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련된 본 발명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에 의하면, 청구항 2에 기재된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가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전방 측면 부위의 연결핀을 후방 측면 부위의 연결핀 구멍을 향하여 요철 감합시키는 테이퍼형으로 잘라낸 감입부가 후방 측면 부위의 연결핀 구멍에 연속하여 오목하게 구비됨으로써, 블록체 끼리를 잘라 이어 붙일 때에, 후속하는 블록체의 연결핀이 선행하는 블록체의 테이퍼형으로 잘라낸 감입부를 경유하여 연결핀 구멍에 과대한 감입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장착되기 때문에, 사용 상황에 따른 잘라 이어 붙이기를 간편하게 달성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련된 본 발명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에 의하면,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가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블록체가 블록체 끼리를 직선 상태로 유지하는 직선 자세 유지면과 블록체 끼리를 굴곡 상태로 유지하는 굴곡 자세 유지면을 구비함으로써, 직선 자세 유지면 및 굴곡 자세 유지면이 직선 자세 혹은 굴곡 자세로 확실하게 위치 결정 및 유지되기 때문에, 설령 장해물 등이 근접한 비좁은 설치 공간이라도, 이 비좁은 설치 공간에서 굴곡 자세나 직선 자세를 동반하는 케이블류를 확실히 보호하여 안내 유도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관련된 본 발명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가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블록체가 합성수지 재료로 형성됨으로써, 블록체를 구성하는 전방 측면 부위의 연결핀, 후방 측면 부위의 연결핀 구멍, 직선 상태로 유지하는 직선 자세 유지면, 굴곡 상태로 유지하는 굴곡 자세 유지면, 연결핀을 요철 감합시키는 잘라낸 감입부 등의 형태가 가공 성형하기 쉬워 지기 때문에, 사용 상황에 따라서 잘라 이어 붙이기 가능한 경량의 블록체를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관절 지지 부재로서 합성수지 재료가 자기 윤활 작용을 발휘하기 때문에, 서로 연결하는 상호 블록체가 연결핀과 연결핀 구멍과의 지탱하는 축 부분을 중심으로 원활히 회동(回動)하여 굴곡 자세와 직선 자세 사이의 이행 동력 부담을 큰 폭으로 경감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관련된 본 발명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가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블록체가 길이 방향을 따라 네 모서리를 라운딩한 직사각형 단면을 갖음으로써, 블록체가 가요성 벨트 부재의 측방 관형부 내에서 상하 좌우로 상대적으로 변위해도 블록체의 네 모서리에서 측방 관형부 내에 걸리지 않게 되기 때문에, 다수 연결된 블록체가 가요성 벨트 부재의 측방 관형부 내에서 굴곡 자세와 직선 자세를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인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의 사용 양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블록체의 전방 경사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블록체의 후방 경사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의 조립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의 굴곡 상태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6은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의 직선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의 굴곡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케이블 삽입용 관형부를 병렬 상태로 일체 형성한 가요성 벨트 부재의 직선 자세와 굴곡 자세를 케이블 삽입용 관형부의 적어도 하나에 상호 요철 감합하여 굴곡이 자재롭게 연결된 다수의 블록체를 삽입하여 규제 지지하는 케이블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로, 블록체가 블록체의 연결에서 규정되는 굴곡 자세의 굴곡 원호 반경과 같은 곡률의 굴곡 외주측 곡면을 각각 구비하고, 다수의 케이블 삽입용 관형부로 이루어진 가요성 벨트부재와의 굴곡 자세가 순조롭고, 굴곡 자세를 동반하는 케이블류를 확실히 보호하고 원활히 안내 유도함과 동시에 부품 수가 적고, 사용 상황에 따른 잘라 이어 붙임이 간편한 것이라면, 그 구체적인 실시 형태는 어떠한 것이어도 아무런 상관이 없다.
즉, 본 발명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에 이용하는 블록체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다수의 블록체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굴곡 자세의 굴곡 원호 반경과 같은 곡률의 굴곡 외주측 곡면을 구비하면 되고, 예를 들면, 블록체의 전방 측면 부위에 구비된 연결핀이 선행하는 블록체의 후방 측면 부위에 구비된 연결핀 구멍에 요철 감합하여 굴곡이 자재롭게 연결되는 것, 혹은 블록체의 후방 측면 부위에 구비된 연결핀이 후속하는 블록체의 전방 측면 부위에 구비된 연결핀 구멍에 요철 감합하여 굴곡이 자재롭게 연결되는 것은 다 좋지만 특히 전자가 바람직하다.
또한, 다관절 지지 부재를 구성하는 블록체의 소재에 대해서는, 전방 측면 부위의 연결핀, 후방 측면 부위의 연결핀 구멍, 직선 상태로 유지하는 직선 자세 유지면, 굴곡 상태로 유지하는 굴곡 자세 유지면, 연결핀을 요철 감합시키는 잘라낸 감입부 등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합성 수지 재료면 되고, 예를 들면, 유리 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66 수지, 폴리아세탈수지, ABS수지가 바람직하고, 특히 유리 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66 수지를 이용한 경우에는, 다관절 지지 부재의 강성과 내마모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장기간 반복하여 사용해도 충분히 긴 수명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를 삽입하는 가요성 벨트 부재는 케이블류를 각각 삽입하는 복수의 케이블 삽입용 관형부를 병렬 상태로 일체 형성한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관형물을 병렬 배치한 상태로 일체 형성한 것, 2장의 시트의 상호 간에 겉과 안에 팽출시켜 이루어진 복수의 관형부 공간을 병렬 배치한 상태에서 적층한 것 등 어느 것이어도 좋다.
또한, 케이블 삽입용 관형부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원형 단면을 갖는 것,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어도 좋고, 또한, 그 설치 수에 대해서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이면 되고, 케이블류마다 삽입 가능한 수라면 케이블류의 상호 접촉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가요성 벨트 부재의 소재에 대해서는, 복수의 케이블 삽입용 관형부를 형성할 수 있는 합성수지 재료면 좋고, 예를 들면, 신축층의 겉과 안 양면에 불소 수지층을 적층한 것을 이용한 경우에는, 신축층이 가요성 벨트 부재의 신축성을 발휘함과 동시에 불소 수지층이 가요성 벨트 부재의 접동성(摺動性)을 발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인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인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의 사용 양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블록체의 전방 경사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블록체의 후방 경사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의 조립 분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의 굴곡 상태를 설명하는 도이고, 도 6은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의 직선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의 굴곡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1실시예인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100)는, 공작 기계, 전자 기기, 산업용 로봇, 운반 기계 등에 사용되고, 이들 이동하는 기계, 혹은 기계의 이동부에 전력 공급, 급액(給液), 공기 공급 등을 행하는 전선 케이블, 광파이버 케이블, 유체 공급 호스 등과 같은 가요성 케이블이나 호스 등(이하, "케이블류 C"라고 칭함)을 보호하고 유도 안내하는 것이다.
우선, 본 실시예인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100)는,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6개의 케이블 삽입용 관형부(b)를 병렬 상태로 일체 형성한 가요성 벨트 부재(FB)의 직선 자세와 굴곡 자세를, 이들 6개의 케이블 삽입용 관형부(b)의 좌우 양측 2개에 상호 요철 감합하여 굴곡이 자재롭게 연결된 다수의 블록체(110)를 삽입하여 규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종래와 같은 스테인리스강 재료나 판용수철에 피스를 한 개씩 사출형성할 필요도 없고, 블록체(110)만을 반복하여 연결하는 것만으로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110)를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가요성 벨트 부재(FB)는 도 1에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폴리우레탄 수지층의 겉과 안 양면에 불소 수지층을 적층한 2장의 시트를 이용하여, 상술한 것처럼 이들 시트의 사이에 케이블류C와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110)를 각각 삽입하는 6개의 케이블 삽입용 관형부(b)를 겉과 안에 팽출시켜 일체 형성한 것이다.
이로써, 폴리우레탄 수지층이 가요성 벨트 부재(FB)의 신축성을 발휘함과 동시에 불소 수지층의 자기 윤활 작용이 가요성 벨트 부재(FB)의 접동성을 발휘하여 케이블류C등을 저항없이 보호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100)가 가장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110)의 상세한 형태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7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상술한 다수의 블록체(110)에는, 도 2 내지 도 3, 도 5,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블록체(110)의 연결에서 규정되는 굴곡 자세의 굴곡 원호 반경(R)과 같은 곡률의 굴곡 외주측 곡면(11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가요성 벨트 부재(FB)의 굴곡 자세가 연속적인 단일의 매끄러운 원호를 이루기 때문에, 가요성 벨트 부재(FB)와의 굴곡 자세가 순조롭고, 나아가 가요성 벨트 부재(FB) 내에 삽입한 케이블류C에 대해서 굴곡 응력을 잡중시키지 않고 균일하게 분산한다.
또한, 도 1, 도 5, 도 7에 있어서 부호 O는 굴곡 원호 반경(R)의 중심이다.
그리고, 상술한 블록체(110)의 전방 측면 부위에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좌우 한 쌍의 연결핀(112)이 구비됨과 동시에, 그 후방 측면 부위에는 좌우 한 쌍의 연결핀 구멍(113)이 구비된다.
이로써, 블록체(110)의 연결핀(112)이 선행하는 블록체(110)의 후방 측면 부위에 구비된 연결핀 구멍(113)에 요철 감합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축이 지지되어, 상호 블록체(110)가 굴곡이 자재롭게 연결된다.
또한 블록체(110)의 후방 측면 부위에는, 상술한 연결핀(112)을 연결핀 구멍(113)을 향해 요철 감합시키는 테이퍼형으로 잘라낸 감입부(114)가 후방 측면 부위의 연결핀 구멍(113)에 연속하여 오목하게 구비되어 있다.
이로써, 블록체(110) 끼리를 잘라 이어 붙일 때에,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후속하는 블록체(110)의 연결핀(112)이 선행하는 블록체(110)의 잘라낸 감입부(114)를 경유하여 연결핀 구멍(113)에 과대한 감입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장착되어, 사용 상황에 따른 잘라 이어 붙이기를 간편하게 달성하고 있다.
또한, 블록체(110)의 전방측의 다른 위치에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앞뒤의 블록체(110) 끼리를 상호 상하 방향에서 당접한 상태에서 위치 지어 직선 상태로 유지하는 직선 자세 유지면(115)을 각각 구비함과 동시에, 블록체(110)의 후방측의 다른 위치에는 앞뒤의 블록체(110) 끼리를 상호 전후 방향에서 당접한 상태에서 위치 지어 굴곡 상태로 유지하는 굴곡 자세 유지면(116)을 각각 구비한다.
이로써, 직선 자세 유지면(115) 및 굴곡 자세 유지면(116)이 각각 요구되는 직선 자세와 굴곡 자세에 위치 지어 유지되고, 설령 장해물 등이 근접한 비좁은 설치 공간이라도, 도 4 또는 도 6에 도시한 직선 자세나 도 5 또는 도 7에 도시한 굴곡 자세를 동반하여 케이블류C를 확실히 보호하여 안내 유도한다.
또한, 상술한 블록체(110)는,길이 방향을 따라 네 모서리의 각(角) 부분을 라운딩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이로써, 블록체(110)는 가요성 벨트 부재(FB)의 케이블 삽입용 관형부(b) 내에서 상하 좌우로 상대적으로 변위해도 블록체(110)의 네 모서리로 케이블 삽입용 관형부(b) 내에 걸리지 않고, 다수 연결된 블록체(110)가 가요성 벨트 부재(FB) 케이블 삽입용 관형부(b) 내에서 굴곡 자세와 직선 자세를 원활히 이루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블록체(110)는, 유리 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66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블록체(110)를 구성하는 굴곡 외주측의 굴곡 외주측 곡면(111), 전방 측면 부위의 연결핀(112), 후방 측면 부위의 연결핀 구멍(113), 연결핀(112)을 요철 감합시키는 잘라낸 감입부(114), 직선 상태로 유지하는 직선 자세 유지면(115), 굴곡 상태로 유지하는 굴곡 자세 유지면(116) 등의 형태를 가공 성형하기 쉽게 하여, 사용 상황에 따라서 잘라 이어 붙이기 가능한 경량의 블록체(110)를 간편하게 제작할 뿐만 아니라, 유리 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66 수지의 자기윤활 작용을 발휘하여, 연결핀(112)과 연결핀 구멍(113)의 지탱하는 축 부분을 원활히 회동하여, 굴곡 자세와 직선 자세의 사이의 이행 동력을 큰 폭으로 경감하고 있다.
이렇게 얻어진 본 실시예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10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가요성 벨트 부재(FB)의 직선 자세와 굴곡 자세를 이 가요성 벨트 부재(FB)를 구성하는 케이블 삽입용 관형부(b)의 2개에 상호 요철 감합하여 굴곡이 자재롭게 연결된 다수의 블록체(110)를 삽입하여 규제 지지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스테인리스강 재료나 판용수철에 피스를 한 개씩 사출형성할 필요도 없고, 사용 상황에 따른 잘라 이어 붙이기를 간편하게 달성함과 동시에, 굴곡 자세나 직선 자세를 동반하는 케이블류를 확실히 보호하여 안내 유도할 수 있고, 블록체(110)가 굴곡 자세의 굴곡 원호 반경(R)과 같은 곡률의 굴곡 외주측 곡면(111)을 구비함으로써, 가요성 벨트 부재(FB)의 굴곡 자세가 연속적인 단일의 매끄러운 원호를 이루기 때문에, 가요성 벨트 부재(FB)와의 굴곡 자세가 순조롭고, 가요성 벨트 부재(FB) 및 케이블류C에 대해서 굴곡 부하를 큰 폭으로 경감하여 손상도 없고 유도 안내하는 바닥면과의 간헐적인 접촉음도 큰 폭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110)가 상호 요철 감합하여 굴곡이 자재롭게 연결되는 다수의 블록체(110)만으로 구성됨으로써, 종래와 같은 사용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장단 길이를 보유해야 하는 지지 부재와 비교하면 부품 수가 적어지기 때문에, 부품 관리 부담을 현저히 경감할 수 있는 등 그 효과는 심히 크다.
100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
110 블록체
111 굴곡 외주측 곡면
112 연결핀
113 연결핀 구멍
114 테이퍼형으로 잘라낸 감입부
115 직선 자세 유지면
116 굴곡 자세 유지면
FB 가요성 벨트 부재
b 케이블 삽입용 관형부
C 케이블류
R 굴곡 자세의 굴곡 원호 반경
O 굴곡 원호 반경의 중심

Claims (6)

  1. 복수의 케이블 삽입용 관형부를 병렬 상태로 일체 형성한 가요성 벨트 부재의 직선 자세와 굴곡 자세를 상기 케이블 삽입용 관형부의 적어도 하나에 상호 요철 감합하여 굴곡이 자재롭게 연결된 다수의 블록체를 삽입하여 규제 지지하는 케이블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로,
    상기 가요성 벨트 부재는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신축층의 겉과 안 양면에 자기 윤활 작용을 갖는 불소 수지층을 적층한 2장의 시트의 상호간에 케이블 삽입용 관형부를 팽출시켜 형성되고,
    상기 블록체가 상기 블록체의 연결에서 규정되는 굴곡 자세의 굴곡 원호 반경과 같은 곡률의 굴곡 외주측 곡면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의 전방 측면 부위에 구비된 연결핀이 선행하는 블록체의 후방 측면 부위에 구비된 연결핀 구멍에 요철 감합하여 굴곡이 자재롭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측면 부위의 연결핀을 후방 측면 부위의 연결핀 구멍을 향하여 요철 감합시키는 테이퍼형으로 잘라낸 감입부가 상기 후방 측면 부위의 연결핀 구멍에 연속하여 오목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가 상기 블록체 끼리를 직선 상태로 유지하는 직선 자세 유지면과 상기 블록체 끼리를 굴곡 상태로 유지하는 굴곡 자세 유지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가 합성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가 길이 방향을 따라 네 모서리를 라운딩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케이블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
KR1020110021987A 2010-04-02 2011-03-11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 KR101818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85693 2010-04-02
JP2010085693A JP4749494B1 (ja) 2010-04-02 2010-04-02 ケーブル類保護案内用多関節支持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235A KR20110111235A (ko) 2011-10-10
KR101818081B1 true KR101818081B1 (ko) 2018-01-15

Family

ID=44597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987A KR101818081B1 (ko) 2010-04-02 2011-03-11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82052B2 (ko)
JP (1) JP4749494B1 (ko)
KR (1) KR101818081B1 (ko)
CN (1) CN102235550B (ko)
DE (1) DE102011015119B4 (ko)
TW (1) TWI4878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03509A (en) * 2008-10-21 2010-04-22 Asml Netherlands Bv Guiding device and guiding assembly for guiding cables and/or hoses, and a lithographic apparatus.
JP5414704B2 (ja) 2011-01-21 2014-02-1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多関節型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6032125B2 (ja) * 2013-05-17 2016-11-24 住友電装株式会社 スライドシート用のワイヤハーネス配索装置
JP6002656B2 (ja) * 2013-12-04 2016-10-0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フラット状伝送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672239B1 (ko) * 2014-07-14 2016-11-03 김건우 칫솔 패드의 교체가 가능한 자유 절곡형 진동칫솔
US9567166B2 (en) 2014-10-10 2017-02-14 Goodrich Corporation Compact centrifugal air blowers for air cushion supported cargo loading platform
US9764840B2 (en) 2014-10-10 2017-09-19 Goodrich Corporation Air cushion aircraft cargo loading systems and wireless charging unit
US9511860B2 (en) 2014-10-10 2016-12-06 Goodrich Corporation Air cushion aircraft cargo loading systems a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US9643723B2 (en) 2014-10-10 2017-05-09 Goodrich Corporation Slide bushing supported aircraft cargo loading systems and methods
US9511861B2 (en) 2014-10-10 2016-12-06 Goodrich Corporation Noise reduction barrier for air cushion supported aircraft cargo loading robot
US9555888B2 (en) 2014-10-10 2017-01-31 Goodrich Corporation Pressure compensating air curtain for air cushion supported cargo loading platform
US10196146B2 (en) 2014-10-10 2019-02-05 Goodrich Corporation Self propelled air cushion supported aircraft cargo loading systems and methods
US10393225B2 (en) * 2015-01-05 2019-08-27 Goodrich Corporation Integrated multi-function propulsion belt for air cushion supported aircraft cargo loading robot
US9580250B2 (en) 2015-01-30 2017-02-28 Goodrich Corporation Bushing cleaner systems and methods
JP6317291B2 (ja) * 2015-04-27 2018-04-2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及び固定部材
JP6458654B2 (ja) * 2015-06-09 2019-01-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
JP6301876B2 (ja) * 2015-07-29 2018-03-2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用屈曲制限アタッチメント
US11329470B2 (en) 2018-01-19 2022-05-10 Junkosha Inc. Supporting member, conduit supporting device, and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JP6640255B2 (ja) * 2018-02-20 2020-02-05 矢崎総業株式会社 湾曲規制部材及び給電装置
EP3575841A1 (en) * 2018-05-30 2019-12-04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re cable guide
KR102106697B1 (ko) * 2018-05-31 2020-05-04 윤종철 케이블 유닛
US10935106B2 (en) * 2018-06-14 2021-03-02 Serapid, Inc. Block chain with monolithic links
KR101995232B1 (ko) * 2018-11-01 2019-07-02 주식회사 브라이트코리아 전송라인 슬리브용 지지모듈
US11655916B2 (en) 2018-12-28 2023-05-23 Junkosha Inc. Conduit support device
EP3912243B1 (de) * 2019-01-14 2024-03-20 Igus GmbH Kompakte leitungsschutzführung für reinraumanwendungen, sowie hülleinheit und klemmvorrichtung hierfür
KR102272965B1 (ko) * 2019-01-16 2021-07-05 윤종철 케이블 지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유닛
KR102211417B1 (ko) * 2019-05-22 2021-02-02 최민행 케이블 가이드 체인용 링크
DE202019106979U1 (de) 2019-12-13 2021-01-18 Igus Gmbh Leitungsführungsvorrichtung für Reinraumanwendungen sowie Stützkette und Kettenglied hierfür
JP7396016B2 (ja) * 2019-12-17 2023-12-1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2464643B1 (ko) 2020-09-22 2022-11-08 삼원액트 주식회사 다관절 지지부재
CN112946844B (zh) * 2021-03-19 2023-01-06 岳阳飞鹏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通信用光纤端部夹持定位保护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5155A (ja) * 2005-03-29 2006-10-12 Tsubakimoto Chain Co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157096B2 (ja) * 2002-11-22 2008-09-24 ゴア エンタープライズ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アセンブリ用支持部材
US20090074149A1 (en) 2006-05-17 2009-03-19 Koninklijke Phillips Electronics N.V. Medical diagnostic apparatus and hose suitable for guiding connections in a medical diagnostic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52270A5 (ko) * 1969-06-26 1971-04-09 Kabelschlepp Gmbh
US4455720A (en) * 1982-06-14 1984-06-26 Sutton Bailous C Clamp apparatus
DE3333543C3 (de) * 1983-09-16 1995-02-09 Ernst Klein Selbsttragender Energieleitungsträger
DE9203633U1 (ko) 1991-08-17 1992-05-27 Elocab Sonderkabel Gmbh & Co. Kg, 8544 Georgensgmuend, De
DE19544931A1 (de) * 1995-12-01 1997-06-05 Kabelschlepp Gmbh Kettenglied einer Energieführungskette mit Zusatzkörper
DE19701706C1 (de) 1997-01-21 1998-09-03 Igus Gmbh Energiezuführungskette
WO1999042743A1 (de) * 1998-02-20 1999-08-26 Igus Spritzgussteile für die Industrie GmbH Energieführungskette
DE19837231A1 (de) * 1998-08-17 2000-02-24 Kabelschlepp Gmbh Leitungsführungsanordnung
US6107565A (en) * 1998-11-17 2000-08-22 A&A Manufacturing Co., Inc. Covered energy transmission line carrier
DE29913063U1 (de) * 1999-07-30 2000-02-17 Igus Gmbh Energiezuführungskette
DE19957021A1 (de) 1999-11-26 2001-05-31 Kabelschlepp Gmbh Energieführungseinheit
JP3356754B2 (ja) * 2000-05-01 2002-12-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の可撓支持案内装置
JP3349146B1 (ja) * 2001-09-06 2002-11-2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の保護案内ガイド
JP3722477B2 (ja) 2002-04-02 2005-11-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ガイド
JP2004019870A (ja) * 2002-06-19 2004-01-22 Toray Eng Co Ltd 塗布装置
JP2004129479A (ja) * 2002-08-07 2004-04-22 Yazaki Corp ハーネス用外装部材とそれを用いたハーネス配索構造
JP3717071B2 (ja) * 2002-11-05 2005-11-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密閉型ケーブルドラグチェーン
US6858797B2 (en) * 2002-11-22 2005-02-22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Support member for an assembly
JP3717168B2 (ja) * 2003-04-28 2005-11-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3716989B2 (ja) * 2003-05-07 2005-11-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3897351B2 (ja) * 2003-08-05 2007-03-2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2005147233A (ja) * 2003-11-13 2005-06-09 Tsubakimoto Chain Co 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
JP4136905B2 (ja) * 2003-11-13 2008-08-2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水平設置型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
JP4121446B2 (ja) * 2003-11-17 2008-07-23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
US7784259B2 (en) * 2004-01-23 2010-08-31 A&A Manufacturing Co., Inc. Monolithic enclosed cable carrier
JP4235134B2 (ja) * 2004-03-11 2009-03-1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低騒音型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US7344197B2 (en) * 2004-07-30 2008-03-18 Brian Matthew Sanderson Rollable supporting device
AT501848B1 (de) * 2005-04-15 2007-04-15 Wien Kanal Abwassertech Gmbh Kabelkanal
JP4493559B2 (ja) * 2005-07-08 2010-06-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用スケートユニット
US7240477B1 (en) * 2006-03-20 2007-07-10 Dade Behring Inc. Flexible router for liquid tubes and electrical ribbon cables
JP4118308B2 (ja) * 2006-04-14 2008-07-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5052073B2 (ja) * 2006-09-04 2012-10-1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350735B2 (ja) * 2006-09-20 2009-10-2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折り曲げ式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118311B2 (ja) * 2006-11-28 2008-07-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118314B1 (ja) * 2007-04-27 2008-07-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540722B2 (ja) * 2008-04-24 2010-09-0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US8598461B2 (en) * 2008-05-12 2013-12-03 Howard Lind Flexible self supporting encased silicone cable system and method
US7635009B1 (en) * 2008-06-25 2009-12-22 J. G. Starew Innovative Solutions, L.L.C. Unified conduit array
JP4757288B2 (ja) * 2008-08-28 2011-08-2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用ガイドレール
JP4658221B1 (ja) 2009-11-26 2011-03-23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多関節型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7096B2 (ja) * 2002-11-22 2008-09-24 ゴア エンタープライズ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アセンブリ用支持部材
JP2006275155A (ja) * 2005-03-29 2006-10-12 Tsubakimoto Chain Co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US20090074149A1 (en) 2006-05-17 2009-03-19 Koninklijke Phillips Electronics N.V. Medical diagnostic apparatus and hose suitable for guiding connections in a medical diagnost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49494B1 (ja) 2011-08-17
DE102011015119A1 (de) 2011-10-06
TW201204959A (en) 2012-02-01
US20110240805A1 (en) 2011-10-06
DE102011015119B4 (de) 2024-04-25
JP2011214704A (ja) 2011-10-27
TWI487854B (zh) 2015-06-11
KR20110111235A (ko) 2011-10-10
US8882052B2 (en) 2014-11-11
CN102235550B (zh) 2014-07-02
CN102235550A (zh) 201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8081B1 (ko)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
KR101560788B1 (ko) 다관절형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KR101074440B1 (ko) 다관절형 케이블 보호안내장치
KR101764856B1 (ko) 다관절형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KR101451314B1 (ko) 다관절형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KR101184113B1 (ko)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US7132602B1 (en) Cable or the like clamp member for cable or the lik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US10018249B2 (en) Device for guiding long object
JP2005344916A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1683951B1 (ko)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JP4136905B2 (ja) 水平設置型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
EP3633233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components
US9765852B2 (en) Device for guiding long object
KR100863661B1 (ko) 케이블 보호안내장치
CN107850185B (zh) 链条用限制弯曲附件
JP2011112224A (ja) 多関節型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20170043605A (ko) 긴 물체의 안내 장치
JP5341021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