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919B1 -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일회용 섬유 제품 - Google Patents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일회용 섬유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919B1
KR101779919B1 KR1020167021801A KR20167021801A KR101779919B1 KR 101779919 B1 KR101779919 B1 KR 101779919B1 KR 1020167021801 A KR1020167021801 A KR 1020167021801A KR 20167021801 A KR20167021801 A KR 20167021801A KR 101779919 B1 KR101779919 B1 KR 101779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ibrous
disposable
paper
disposable text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1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4346A (ko
Inventor
기쿠오 야마다
Original Assignee
기쿠오 야마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쿠오 야마다 filed Critical 기쿠오 야마다
Publication of KR20160144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12Protective und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silicone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 B32B3/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spaced apart pieces on the surface of a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8Net structure, e.g. spaced apart filaments bonded at the crossing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32B7/04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5Interconnection of layers the layers not being connected over the whole surface, e.g. discontinuous connection or patterned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32B7/14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applied in spaced arrangements, e.g. in str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07Elastomeric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32B2262/0284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2Co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6Oriented mon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8Weight, e.g. weight per square 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8Hydrophi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5Prin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 B32B2555/02Diapers or napkins

Abstract

수분 증발성, 방열성, 투습성이 뛰어난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생지를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로서 적용하여, 제품의 착용감이나 부드러움이 우수한 동시에, 수분 증발성, 방열성, 투습성이 뛰어난 일회용 섬유 제품을 제공한다.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는 통기성을 갖는 제1 및 제2 섬유상 시트(2, 3)와 제1 및 제2 섬유상 시트(2, 3) 사이에 개재되는 액확산성을 갖는 섬유 재료(4)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섬유상 시트(2, 3)와 상기 섬유 재료(4)를 탄성 부재(5)와 함께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 시트(30)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적층 시트(30)는 통기성을 갖는 섬유층과 액확산성을 갖는 섬유층이 적층된 복합층(31)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적층 시트(30)는 상기 복합층(31)에 의해 요철면이 형성된 주름부(6)를 가지고 있고, 또한 상기 적층 시트(30)에는 탄력성이 부여되어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일회용 섬유 제품{BASE FABRIC FOR DISPOSABLE TEXTILE PRODUCT AND DISPOSABLE TEXTILE PRODUCT USING SAME}
본 발명은 일회용 내의(內衣)나 기저귀 등의 일회용 섬유 제품의 제조에 적용되는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生地)에 관한 것이며, 또한 본 발명은 당해 생지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일회용 섬유 제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는 기저귀, 위생용품 이외, 여행용, 방재용, 아웃도어용, 병원, 시설, 호텔 등에서 간이적으로 혹은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내의, 피복, 침구류 등의 생지로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당해 생지로서는 당해 생지 제품을 신체에 착용했을 때 착용감이 좋은 점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기저귀, 위생용품 혹은 내의의 경우, 신체와의 피트감이 좋은 점, 피부와 접촉하고 있을 때의 접촉 감각이 좋은 점, 통기성(通氣性)이 좋은 점, 땀을 흡수하여 건조시키는 수분 증산성(水分蒸散性)(이하, 간단히 수분 증산성이라고 한다)이 좋은 점 등이 당해 생지에 요구되는 성질로서 중요하다.
일회용 섬유 제품의 하나인 기저귀의 경우, 사용되는 소재 생지는 그 기능에 비추어 부직포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액성 탑 시트(liquid permeable top sheet)와 폴리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불투액성 백 시트(liquid impermeable back sheet) 사이에 면상 펄프 등의 흡수체를 개재시켜 이루어지는 기저귀 본체에 동일하게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액성 탑 시트와 폴리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불투액성 백 시트 사이에 면상 펄프 등의 흡수체를 개재시켜 이루어지는 인너 패드(inner pad)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일회용 종이 기저귀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호텔 등의 숙박객에게 제공되는 일회용 잠옷류의 경우, 피부 케어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종래부터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는, 피부 케어 기능 가공으로서 친유성 보습제를 부직포제 생지에 함침 또는 도포하는 가공을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일회용 잠옷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366726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9-97104호
특허문헌 1에 있어서, 투액성 탑 시트의 소재로서 사용되고 있는 부직포는 통기성을 갖지만, 수분 증발성이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기저귀는, 오줌 등의 배설물이 외부로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불투액성 백 시트가 사용되고 있지만, 이 불투액성 백 시트도 원래 수분 증산 성능이 낮은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기저귀에 있어서 이면 시트에 투습성(透濕性)을 겸비시키는 것도 알려져 있지만, 수분 증산 성능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종이 기저귀에 이용되는 생지 재료는 충분한 수분 증산 성능을 갖고 있지 않고, 땀 등에 의한 수증기가 기저귀 내부에 체류하여 무레감(각주: 통풍이 안 되어 화끈거리고 땀이 차는 느낌)이나 끈끈하게 달라붙는 느낌을 느낀다고 하는 불쾌감을 피할 수 없었다.
더욱이 종래의 종이 기저귀에 사용되는 생지 재료는 신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산하는 방열성도 뒤떨어지고, 기저귀 속에 열이 가득 차서 불쾌감이 생긴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기저귀를 장착했을 때에, 섬유 재료 특유의 피부에 대한 불쾌한 접촉감이 있고, 면 재료와 같은 기분이 좋은 접촉 냉감이나 사각사각한 느낌이 없고, 장착 시의 상쾌감이 결여되는 것이며, 일회용 섬유 제품의 구성 생지로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특허문헌 2에 있어서의 일회용 잠옷류는, 생지 자체가 피부 케어 기능을 갖는 것이 아니고, 친유성 보습제의 함침 또는 도포라고 하는 후가공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피부 케어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며, 제조에 수고를 요하여 비용이 높아지는 결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 소재로서는 생지 자체의 유연성, 전체적인 부드럽게 부풀어 있는 느낌 등이 요구된다. 또한, 여행용, 방재용, 아웃도어용 피복 등의 생지로서는 외관상, 시인상의 관점에서 심미성이 높은 다양한 디자인을 효율적,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도 요구되는 동시에, 메시지나 선전, 광고 등의 매체적 성질을 갖추는 것도 요구된다. 게다가 용도에 따라서 여러 가지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것도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수분 증발성, 방열성, 투습성이 뛰어난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 생지를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로서 적용하여, 제품의 착용감이나 피부의 부드러운 터치(soft touch)가 뛰어난 동시에, 수분 증발성, 방열성, 투습성이 뛰어난 일회용 섬유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디자인이나 메시지를 효율적, 효과적으로 표현 가능하여, 생지의 소재 바로 그것의 감촉을 살리면서, 생지의 전체적인 부드럽게 부풀어 있는 느낌이나 유연성, 사용 시의 쾌적성이 뛰어난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용도에 따라서 여러 가지 기능을 효율적, 효과적으로 부여 가능하고, 또한 제조도 용이한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를 제공하는 동시에, 당해 생지의 특성을 살린 일회용 섬유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는 통기성을 갖는 제1 및 제2 섬유상 시트와 제1 및 제2 섬유상 시트 사이에 개재되는 액확산성(液擴散性)을 갖는 섬유 재료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섬유상 시트와 상기 섬유 재료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 시트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적층 시트는 통기성을 갖는 섬유 구성층과 액확산성을 갖는 섬유 구성층이 적층된 복합층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적층 시트는 상기 복합층에 의해 요철면이 형성된 주름부를 가지고 있고,
또한 상기 적층 시트에는 탄력성이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갖는 것이다.
상기 적층 시트에 탄력성을 부여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섬유 재료와 상기 제2 섬유상 시트 사이에 탄성 부재가 마련된다.
상기 제1 섬유상 시트와 상기 섬유 재료는 탄성 부재를 통해서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제2 섬유상 시트와 상기 섬유 재료는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섬유상 시트와 상기 섬유 재료는 탄성 부재를 통해서 핫 멜트 접착제(hot melt adhesive)에 의해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섬유상 시트와 상기 섬유 재료는 핫 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부재는 신축성을 갖는 복수의 선상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선상 탄성체는 적층 시트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제1 섬유상 시트와 상기 섬유 재료 사이에 접합된다.
상기 선상 탄성체는 적층 시트의 내부에서 전부 영역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고, 혹은 일부 영역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 생지는, 상기 적층 시트에는, 비인장 상태에 있는 상기 선상 탄성체의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주름부가 복수 형성되어, 주름부 열(列)이 패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섬유 재료는 기계적 유연화 처리에 의한 유연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섬유 재료는 취약화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섬유상 시트 및 상기 제2 섬유상 시트는 통기성 및 투습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소재로서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섬유 재료는 액확산성 및 액침투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소재로서 종이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회용 섬유 제품은 상기에 기재한 일회용 제품용 생지를 이용하여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회용 섬유 제품은 내의, 기저귀, 헬스복, 해수욕복, 튜브 톱(tube top), 룸 웨어(room wear), 레인 코트 또는 복대(腹帶)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 생지는 우수한 수분 증발성, 방열성 및 투습성을 가지고, 본 발명 생지를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로서 적용했을 경우, 당해 제품에 양호한 착용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생지는 탄력성을 가지므로 유연성, 신체에 대한 피부의 부드러운 터치도 우수한 동시에, 상기 탄력성에 의해 상기 제품을 프리 사이즈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회용 섬유 제품은 상기한 생지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상쾌한 착용감 및 소프트한 부드러운 터치감을 갖는 동시에, 우수한 수분 증발성, 방열성 및 투습성을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생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생지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에 따르는 절단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 선에 따르는 절단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j는 각각 본 발명의 생지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의 배치 태양을 나타내는 약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생지를 이용하여 구성된, 본 발명의 일회용 섬유 제품인 내의(T 셔츠)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회용 섬유 제품인 의류(튜브 톱)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회용 섬유 제품인 복대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회용 섬유 제품인 우비(rainwear)의 사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발명의 일회용 섬유 제품인 서포터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회용 섬유 제품인 붕대의 사시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 생지에 있어서의 주름부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 생지를 구성하는 적층 시트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2 섬유상 시트와 섬유 재료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6은 섬유 재료의 층 내에 접착제 침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약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회용 섬유 제품인 팬츠 타입의 기저귀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분 증발성 (II) 시험(보켄 규격 BQEA028)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수분 증발성을 나타내는 증산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0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투습성을 나타내는 투습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 실시형태의 생지(1)의 표면 상태를 나타내는 실시형태가 나타내져 있다. 도 1에 있어서, 생지(1)는 제1 방향인 x 방향으로 연속하는 것이다. (5)는 생지 내부에 마련된 탄성 부재를 나타내고, 다수의 탄성 부재(5)에 의해 다수의 요철면이 형성되어 있는 태양(態樣)이 동일한 도면에 나타내져 있다. 이 다수의 요철면에 의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주름부(6)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지(1)는 통기성을 갖는 제1 섬유상 시트(2)와 동일하게 통기성을 갖는 제2 섬유상 시트(3)와 제1 및 제2 섬유상 시트(2, 3) 사이에 개재되는 액확산성을 갖는 섬유 재료(4)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섬유상 시트(2, 3)와 상기 섬유 재료(4)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 시트(30)에 의해 구성된다. 제1 및 제2 섬유상 시트(2, 3)는 통기성을 갖는 섬유층을 구성하는 것이며, 또한 섬유 재료(4)는 액확산성을 갖는 섬유층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적층 시트(30)는 통기성을 갖는 섬유층(통기성 섬유층)과 액확산성을 갖는 섬유층(액확산성 섬유층)이 적층된 복합층(31)을 형성하고 있으며, 복합층(31)은 제1 통기성 섬유층과, 이 제1통기성 섬유층과 이웃이 되는 액확산성 섬유층과, 이 액확산성 섬유층과 이웃이 되는 제2 통기성 섬유층의 3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섬유상 시트(2)와 섬유 재료(4)는 탄성 부재(5)를 통해서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제2 섬유상 시트(3)와 섬유 재료(4)와의 접합도 간헐적인 접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합수단으로서는 접착, 열 융착, 초음파 접합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작업상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접착이 바람직하다. 이하, 접합수단으로서 접착을 채용했을 경우의 본 발명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접합수단으로서의 접착에 있어서, 접착제로서 핫 멜트 접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접착제로서 핫 멜트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의 본 발명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핫 멜트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2 섬유상 시트(3)와 섬유 재료(4)를 간헐적으로 접합하기 위해서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섬유 재료(4)에 핫 멜트 접착제를 간헐적으로 도포하고(혹은 제2 섬유상 시트(3)에 핫 멜트 접착제를 간헐적으로 도포해도 좋다), 양자를 적층하여 접합 일체화한다. 이때 제2 섬유상 시트(3)와 섬유 재료(4) 사이에 접착층(7)이 존재하지 않는 비접착부(8)가 형성되며, 이 비접착부(8)에 의해 공간(9)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섬유상 시트(2)와 섬유 재료(4) 사이에는 탄성 부재(5)가 개재하기 때문에, 탄성 부재(5)의 개소로 제1 섬유상 시트(2)와 섬유 재료(4)를 접합함으로써, 제1 섬유상 시트(2)와 섬유 재료(4)의 간헐적 결합이 수행된다. 즉,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여 다수 배열되어 있는 탄성 부재(5)의 주면(周面)에 핫 멜트 접착제를 세차게 불어서 도포하고, 이 핫 멜트 접착제가 도포된 탄성 부재(5)를, 제2 섬유상 시트(3)와 섬유 재료(4)의 적층체 시트에 있어서의 섬유 재료(4)의 면과 제1 섬유상 시트(2) 사이에 위치시키고, 상기 적층체 시트에서의 섬유 재료(4)의 면과 제1 섬유상 시트(2) 사이에 탄성 부재(5)를 끼워서 적층하고, 접합 일체화한다. 도 14에 있어서 특히 도시하지 않지만, 탄성 부재(5)가 존재하지 않는 제1 섬유상 시트(2)와 섬유 재료(4)와의 대향면은 비접착부(8)가 되어 있고, 이 비접착부(8)에 의해 공간(9)이 형성되어 있다. 도 15에는, 주름부(6)에 있어서 비접착부(8)에 의한 공간(9)이 형성되어 있는 태양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비접착부(8)에 의한 공간(9)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에 의해, 생지(1)에 있어서의 수분 증발성, 방열성 및 투습성의 각 기능이 향상하는 것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 시트(30)에 있어서, 복합층(31)에 의해 요철면이 형성되어 있고, 이 요철면에 의해 주름부(6)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철면에 있어서 볼록부(6a)와 오목부(6b)로 주름부(6)가 형성되어 있고, 볼록부(6a)와 오목부(6b)가 연속하여 형성됨으로써 다수의 주름부(6)가 구성된다.
볼록부(6a)와 오목부(6b)로 이루어지는 주름부(6)를 형성하는 수단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생지(1)의 내부에 탄성 부재(5)가 배치되어 있다. 탄성 부재(5)로서 신축성을 갖는 선상 탄성체(5a)를 이용할 수 있고, 이 선상 탄성체(5a)로서 사상 고무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 탄성 부재(5)로서 선상 탄성체(5a)를 이용하는 경우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상 탄성체(5a)는 그 선이 뻗는 방향이 적층 시트(30)의 길이 방향(도 1, 도 2에 있어서 x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또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선상 탄성체(5a)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즉, 선상 탄성체(5a)는 적층 시트(30)의 폭 방향(도 1, 도 2에 있어서 y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되어 있으며, 다수의 선상 탄성체 열이 형성되어 있다.
선상 탄성체(5a)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섬유상 시트(2)와 섬유 재료(4) 사이에 위치하여 마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위 면적당 선상 탄성체(5a)의 개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선상 탄성체 열에 있어서의 선상 탄성체(5a) 상호의 간격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 1 및 도 2에 있어서의 y 방향(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있는 하나의 주름부(6)를 "일렬의 주름부"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주름부(6)는 도 1 및 도 2에 있어서의 x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주름부(6)에 있어서의 복합층(31)과 선상 탄성체(5a)와의 접합 부위를 주름부 지지점(支持点)이라고 한다. 상기와 같이, 단위 면적당 선상 탄성체(5a)의 개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지만, 선상 탄성체(5a)의 개수를 많게 하여 선상 탄성체(5a) 상호의 간격을 작게 하면, 그것에 의해 일렬의 주름부에 있어서의 주름부 지지점의 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일렬의 주름부(6)에 있어서의 볼록부(6a)와 오목부(6b)를 균일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서 주름부(6)의 형태 붕괴가 없고, 생지(1)의 유연성, 수분 증발성, 방열성 및 투습성을 증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이 된다. 이러한 취지에서, 주름부(6) 상호의 간격, 즉 볼록부(6a) 상호간의 피치 간격은, 2mm∼7mm가 바람직하다. 이 볼록부(6a) 상호간의 피치 간격은, 3.00mm∼6.25mm가 보다 바람직하다. 볼록부(6a) 상호간의 피치 간격을 좁게 함으로써, 아주 작은 주름이 생기므로 외관이 아름다워지고, 또한 1개의 주름당 피부와의 접촉 면적은 작아지므로 촉감이 좋아지고, 게다가 표면적이 커지므로 땀 등의 흡수성이 향상한다. 한편, 볼록부(6a) 상호간의 피치 간격을 넓게 함으로써, 사상 고무의 탄성력을 적당하게 억제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선상 탄성체(5a)로서 사상 고무를 이용하고, 또한 접착제로서 핫 멜트 접착제를 이용하여 본 발명 생지(1)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섬유 재료(4)로서 종이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제1 섬유상 시트(2), 제2 섬유상 시트(3)로서 각각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섬유 재료(4)로서 종이 재료를 이용하고, 제1 섬유상 시트(2), 제2 섬유상 시트(3)로서 각각 부직포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 생지(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제1 섬유상 시트(2)로서 이용하는 부직포를 제1 부직포 시트라고 하고, 제2 섬유상 시트(3)로서 이용하는 부직포를 제2 부직포 시트라고 한다.
먼저, 섬유 재료(4)로서의 종이 재료를 롤 권회체(卷回體)로부터 풀어낸다. 이 종이 재료에는 미리 인쇄층(4a)(도 4, 도 14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풀어낸 종이 재료를 엠보싱 롤에 통과시키고, 롤 사이에서 누름으로써 기계적 유연화 처리를 수행한다. 이 기계적 유연화 처리는 평롤을 이용한 엠보스 처리여도 혹은 롤 면에 다수의 돌기를 갖는 맞물림 롤을 이용한 엠보스 처리여도 좋다. 후자인 엠보스 처리의 경우에는, 종이 재료에 다수의 미세한 구멍이 열린다. 상기 엠보스 처리 후의 종이 재료에 핫 멜트 접착제를 간헐적으로 세차게 분다. 또한, 엠보스 가공 이외의 기계가공을 채용해도 좋다. 한편, 제2 섬유상 시트(3)로서의 제2 부직포 시트를 롤 권회체로부터 풀어내고, 이 제2 부직포 시트와 핫 멜트 접착제가 도포된 종이 재료를 평롤에 통과시켜서 압착하고, 양자를 적층하여 접합체 시트를 제조한다. 이 접합체 시트에 있어서, 제2 부직포 시트와 종이 재료는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다수의 사상 고무를 병렬상으로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롤 권회체로부터 다수 열의 사상 고무를 풀어낸다. 사상 고무는 소정의 인장력으로 인장된 상태에서 풀려진다. 풀려진 사상 고무에 핫 멜트 접착제를 세차게 분다. 이 경우, 사상 고무의 길이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접착제를 세차게 분다. 또한 접착제는 사상 고무의 전주면(全周面)에 도포된다. 한편, 제1 섬유상 시트(2)로서의 제1 부직포 시트를 롤 권회체로부터 풀어내고, 이 제1 부직포 시트를 상기의 접합체 시트와 대향하도록 보내고, 이들 접합체 시트와 제1 부직포 시트 사이에 상기와 같이 접착제가 도포된 사상 고무가 끼워지도록 하여 사상 고무를 공급한다. 이 경우, 사상 고무는 접합체 시트의 종이 재료의 면과 제1 부직포 시트 사이에 공급된다.
사상 고무가 접합체 시트의 종이 재료의 면과 제1 부직포 시트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평롤을 통과한다. 접합체 시트, 사상 고무, 제1 부직포 시트는 평롤에 의해 압착되어 적층 일체화된다. 제1 부직포 시트와 종이 재료는 사상 고무를 개재하는 접합이므로, 양자는 간헐적으로 접합된다. 이렇게 하여, 제2 부직포 시트와 종이 재료가 간헐적으로 접합되며, 또한 제1 부직포 시트와 종이 재료가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구성되는 적층 시트(30)가 제조된다. 필요에 따라 적층 시트(30)를 엠보싱 롤에 통과시켜 기계적 유연화 처리를 수행한다. 이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생지(1)의 유연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제조된 적층 시트(30)는 긴 치수이기 때문에, 적층 시트(30)의 길이 방향(도 1, 도 2에 있어서 x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치수를 소정의 길이로 하기 위한 재단이 행하여진다. 이 재단에 있어서, 제1 부직포 시트, 제2 부직포 시트, 종이 재료 및 사상 고무가 절단된다. 사상 고무의 절단에 의해, 인장 상태에 있었던 사상 고무는 인장력으로부터 해방되어 복원력에 의해 수축한다. 이때의 수축 응력에 의해, 제1 부직포 시트와 제2 부직포 시트와 종이 재료로 구성되는 복합층(31)은 길이가 짧아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기 때문에, 복합층(31)에 요철면이 형성되고, 그것에 의해 주름부(6)가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다수의 주름부(6)를 갖는 생지(1)가 제조된다.
여기서 본 발명 생지(1)의 구성을 설명하면, 선상 탄성체(5a)는 복원력에 의해 주름이 진 상태, 즉 비인장 상태에 있으며, 이 비인장 상태에 있는 선상 탄성체(5a)의 길이 방향(도 1, 도 2에 있어서의 적층 시트(30)의 길이 방향, 즉 x 방향과 동일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 1, 도 2에 있어서의 적층 시트(30)의 폭 방향, 즉 y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뻗는 주름부(6)가 다수 형성되어, 적층 시트(30)에 주름부 열이 패턴 형성되어 있다.
선상 탄성체(5a)는 적층 시트(30)의 내부에 있어서의 전부 영역에 마련되어 있어도 혹은 일부 영역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선상 탄성체(5a)를 적층 시트(30)의 내부에 있어서의 전부 영역에 마련했을 경우에는, 생지(1)에 균질한 탄력성이 부여되므로, 생지(1)를 일회용 팬츠나 종이 기저귀의 피복 시트로서 이용하는 경우, 신체로의 보유가 확실한 것이 되어, 벗어나 떨어질 우려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적층 시트(30)의 내부에 배치된 선상 탄성체(5a)에 의해, 적층 시트(30)에는 탄력성이 부여되어 있다. 따라서 적층 시트(30)에 의해 구성되는 생지(1)를 도 1, 도 2에 있어서 x 방향으로 손으로 잡아 당기면, 선상 탄성체(5a)가 늘어남으로써 생지(1)도 늘어나 넓어지고, 또한 이 상태에서 손을 떼면, 선상 탄성체(5a)는 그 복원력에 의해 수축하고, 그것에 의해 생지(1)도 원래의 치수 상태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생지(1)는 신축성을 가지므로, 생지(1)를 내의, 기저귀 등의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로서 적용했을 경우, 신체에 대한 피트감이 우수한 것이 되는 동시에, 프리 사이즈화 할 수 있다.
또한, 생지(1)는 적층 시트(30) 2장 이상을 적층시켜 구성할 수도 있고, 또한 적층 시트(30) 1장 또는 2장 이상과 다른 시트 1장 또는 2장 이상을 적층시켜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생지(1)는 일회용 섬유 제품용 소재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고, 종래에 없는 우수한 성질을 갖는 소재로서 유익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생지(1)가 적용되는 일회용 섬유 제품이란, 1회의 사용으로 폐기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사용 용도, 목적에 따라, 단기간 내에서 반복하여 이용하는 것도 포함하고, 반복하여 이용하는 것에 있어서는, 수회의 세탁에 견딜 수 있는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
제1 및 제2 섬유상 시트(2, 3)는 모두 통기성 및 투습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통기성 및 투습성을 갖는 섬유 소재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로서는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공지의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섬유가 한 방향 또는 랜덤하게 배향하고 있고, 교락(交絡), 융착(融着), 또는 접착에 의해 섬유 사이가 결합된 섬유 구조를 갖는 공지의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부직포의 섬유 소재로서는 식물 섬유(셀룰로오스 고분자), 동물 섬유(단백질 고분자) 등의 천연 섬유; 리요셀, 텐셀 등의 정제 섬유(精製纖維); 레이온, 비스코오스 레이온 등의 재생 섬유; 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섬유; 나일론, 아크릴 섬유 등의 합성 섬유; PP(폴리프로필렌), PE(폴리에틸렌),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화학섬유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혹은 이들 중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또한 필요에 따라 다른 재료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제1 섬유상 시트(2) 및 제2 섬유상 시트(3)에 사용되는 부직포로서는, 생지(1)가 적용되는 제품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적당히 선택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생지(1)를 일회용 섬유 제품으로서의 의류에 적용하는 경우로, 착용 시에 제1 섬유상 시트(2) 또는 제2 섬유상 시트(3)가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태양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유연성, 감촉성, 땀 흡수성 등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재질의 부직포를 제1 섬유상 시트(2) 또는 제2 섬유상 시트(3)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섬유상 시트(2) 또는 제2 섬유상 시트(3)가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지 않고 의류 표면 측에 위치하는 태양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와는 다른 기능, 예를 들면 방수성 등을 발휘할 수 있는 부직포를 제1 섬유상 시트(2) 또는 제2 섬유상 시트(3)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섬유상 시트(2) 및 제2 섬유상 시트(3)로 사용되는 부직포의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스펀 본드 부직포, 서멀 본드 부직포, 스펀레이스 부직포(spunlace non-woven fabric), 건식 부직포, 습식 부직포, 멜트 블로우 부직포, 케미칼 본드 부직포, 니들 펀치 부직포, 스티치 본드 부직포, 스팀 제트 부직포 등을 들 수 있고, 이 중, 스펀 본드 부직포, 서멀 본드 부직포 및 스펀레이스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섬유상 시트(2) 및 제2 섬유상 시트(3)로 사용되는 부직포의 바람직한 기본 중량은, 5∼60g/m2이 바람직하고, 7∼40g/m2이 보다 바람직하다. 부직포의 기본 중량을 상기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기본 중량이 5g/m2 미만이면, 예를 들면 핫 멜트 접착제가 도포되었을 때에 핫 멜트 접착제가 부직포의 표면에 배어 나올 우려가 있기 때문이며, 또한 기본 중량이 60g/m2을 초과하면, 제품으로서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제조 효율이 나쁘고, 또한 포장 작업이 번거로워지기 때문이다. 부직포의 기본 중량을 7∼40g/m2로 했을 경우, 핫 멜트 접착제에 의한 접합 방법과 히트 시일(heat seal)이나 초음파 접합에 의한 접합 방법을 병용하여 접합 강도를 증대할 수 있다.
제1 섬유상 시트(2) 및 제2 섬유상 시트(3)의 재료로서는 통기성 및 투습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것이라면, 부직포 이외의 재료를 이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의 투기성 시트나 투습성 시트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 생지(1)를 일회용 의류 소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섬유상 시트(3)는 사용자의 피부(200)에 접하는 측에 배치되는 것은 적지만, 생지(1)를 일회용 침구(예를 들면, 시트 등)의 소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2 섬유상 시트(3)는 사용자의 피부(200)에 접하는 측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제2 섬유상 시트(3)가 사람의 신체에 직접 접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유연성, 감촉성, 땀 흡수성 등의 기능을 갖는 부직포를 제2 섬유상 시트(3)의 재료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 재료(4)는 액확산성 및 액침투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액확산성 및 액침투성을 갖는 소재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종이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섬유 재료(4)는 액확산성 및 액침투성을 갖는 소재라면 종이 재료 이외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케나프(kenaf), 대나무 섬유, 짚, 면, 견사, 사탕수수 등의 천연 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섬유 재료(4)로서 종이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므로, 이하, 섬유 재료(4)로서 종이 재료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종이 재료로서는, 펄프 종이 또는 펄프를 주원료로 하는 재료로 형성된 종이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즉, 펄프를 원료로서 이용하고, 초지 공정 등의 종이 제조 공정을 거쳐서 제조되는 종이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원료 펄프로서는 목재 펄프, 합성 펄프, 폐지 펄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펄프 등의 천연 섬유에 한정되지 않고, 레이온 등의 재생 섬유 등도 이용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원료 펄프로서 화장지 재료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적송, 에조 소나무, 토도 소나무, 미송(Douglas-fir), 헴록(hemlock), 스프루스(spruce) 등의 침엽수로부터 얻을 수 있는 침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로 이루어지는 원료 펄프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와 너도밤나무, 졸참나무, 자작나무, 유칼립투스, 떡갈나무, 미루나무, 오리나무 등의 광엽수로부터 얻을 수 있는 광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제조 비용의 문제나 제조 용이성이라는 관점에서 상기 침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 단독을 원료 펄프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이 재료가 펄프를 주원료로 하는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펄프의 배합이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게다가 80%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펄프의 배합을 상기한 비율로 함으로써, 생지(1)의 전체로서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거나, 제조 시의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거나 할 수 있다. 또한, 펄프의 배합 비율을 높게 함으로써, 폐기 후에, 그 폐기물이, 예를 들면 흙 안 등에서 분해되기 쉬울 수 있다. 따라서, 환경 부하(環境負荷)를 보다 저감하고, 환경 면에 대한 배려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이 재료로서는 수해성(水解性)이 양호한 종이 시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섬유 재료(4)를 구성하는 종이 재료는 1장의 종이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성의 것이 바람직하지만, 복수 매의 종이를 중첩하여 이루어지는 복층 구성의 것이라도 좋다. 복층 구성의 것으로 하는 경우, 각 층의 종이의 소재나 두께는 동일한 것이라도 좋고 혹은 상이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섬유 재료(4)를 구성하는 종이 재료는 부직포에 상기 펄프를 배합한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스펀레이스 부직포에 상기 펄프를 배합한 것 또는 에어레이드 부직포(airlaid non-woven fabric)에 상기 펄프를 배합한 것을 종이 재료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섬유 재료(4)를 구성하는 종이 재료의 기본 중량은 7∼50g/m2이 바람직하다. 기본 중량이 7g/m2 미만에서는, 본 발명 생지(1)로 구성되는 일회용 섬유 제품을 착용했을 때의 착용감을 양호한 것으로 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또한 상기 제품에 충분한 수분 증산 성능 및 방열 성능(放熱性能)을 부여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데다가, 생지(1)로서의 강도도 불충분해진다. 기본 중량이 50g/m2을 초과하면, 생지로서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상기한 착용감도 나빠지며, 또한 상기한 수분 증산 성능 및 방열 성능도 저하된다. 또한 제품 두께도 두꺼워지기 때문에, 제품 포장 시에 포장하기 어려워진다. 보다 바람직한 종이 재료의 기본 중량은 10∼30g/m2이다.
섬유 재료(4)를 구성하는 종이 재료로서 색종이를 이용할 수도 있고,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심미성이 높은 생지(1)를 제공할 수 있다.
섬유 재료(4)를 구성하는 종이 재료에는 기계적 유연화 처리에 의해 유연 구조가 부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계적 유연화 처리로서는 엠보스 처리가 채용된다. 엠보스 처리에 이용할 수 있는 엠보싱 롤로서, 롤 면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한 쌍의 엠보싱 롤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엠보싱 롤을 이용하여 엠보스 처리를 수행하면, 종이 재료에 다수의 미세한 구멍이 열리고, 동시에 종이의 조직이 취약화되어 종이 재료에 유연성이 부여된다. 상기 구멍은 원형 구멍이어도, 선상 구멍이어도, 슬릿상 구멍이어도 좋다. 종이 재료에 구멍을 열지 않고, 다수의 요철에 의한 조면(粗面)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도 동일하게 종이 재료에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엠보스 처리에 이용하는 엠보싱 롤은 돌기를 구비한 롤에 한정되지 않고, 돌기가 없고 평활한 롤 면을 갖는 한 쌍의 평롤을 이용해도 좋다. 종이 재료를 평롤 사이에 통과시키고, 롤 사이에서 누름으로써, 종이 조직의 취약화가 행하여진다. 즉, 천공처리가 행하여지지 않아도, 롤 사이의 가압력에 의해 종이 조직은 취약화된다. 종이 재료에 유연 구조를 부여하기 위한 엠보스 처리는 롤 면에 돌기를 구비하는 엠보싱 롤에 의한 엠보스 처리와 평롤에 의한 엠보스 처리를 조합시켜서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종이 재료에 유연 구조가 부여됨으로써, 생지(1) 전체도 유연성이 풍부한 것이 되고, 이러한 생지(1)로 구성되는 일회용 섬유 제품을 착용했을 때의 착용감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제품의 재료로서 종이 재료가 사용되고 있는 것에 의한 위화감을 사용자가 느끼지 않고, 소프트한 착용감에 의한 만족감을 사용자에게 주는 것이다.
종이 재료에 유연 구조가 부여됨으로써, 이하와 같은 효과가 생긴다. 즉, 섬유 재료(4)로서의 종이 재료가 유연 구조라면 적층 시트(30) 전체로서 유연 구조가 되기 때문에 변형이 용이해지고, 그 때문에 선상 탄성체(5a)의 수축 응력에 의해 주름부(6)가 형성될 때, 적층 시트(30)가 용이하게 변형하고, 볼록부(6a)와 오목부(6b)의 형상이 균일한 주름부(6)를 형성할 수 있다. 볼록부(6a)와 오목부(6b)의 형상이 균일한 주름부(6)의 형성에 의해, 생지(1) 전체로서의 유연성도 증대하고, 생지(1)로 구성되는 일회용 섬유 제품에 있어서, 한층 더 소프트한 착용감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다. 또한 종이 재료에 유연성을 줌으로써, 생지(1) 전체에 부드럽게 부풀어 있는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엠보스에 의한 종이 조직의 취약화 처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생지(1)에 대하여 한층 더 뛰어난 수분 증발성, 방열성 및 투습성을 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섬유상 시트(3)와 섬유 재료(4)와의 접합에는 핫 멜트 접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핫 멜트 접착제로서는 EVA(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계, PO(폴리올레핀)계, PA(폴리아미드)계, SR(실리콘 합성 고무)계, ACR(아크릴)계, PUR(폴리우레탄·습기 경화형)계 등의 접착제를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을 이용해도 좋고 혹은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제2 섬유상 시트(3)와 섬유 재료(4)와의 접합에 이용되는 접착제로서는 상기 핫 멜트 접착제 이외에 유기 용매계 접착제, 수용성 접착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2 섬유상 시트(3)와 섬유 재료(4)를 접합하는 형태는 양자의 접촉면 전면에 걸쳐서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간헐적으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 도포보다도 간헐적 도포 쪽이, 생지(1)가 유연해지고, 또한 생지(1)의 수분 증발성, 방열성 및 투습성이 양호해진다. 접착제의 간헐적 도포 방법으로서는 선상, 점상, 스트라이프상, 스파이럴상, 블록상, 패턴상 등으로 도포하는 방법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하나의 방법을 이용해도 혹은 복수의 방법을 조합시켜 이용해도 좋다.
접착제의 간헐 도포에 의해, 제2 섬유상 시트(3)와 섬유 재료(4) 사이에 비접착부(8)가 형성되지만, 비접착부(8)의 면적 비율은 제2 섬유상 시트(3)의 면적에 대하여 5∼85%인 것이 바람직하고, 10∼8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7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비접착부(8)의 면적 비율이 상기 범위 내이면, 생지(1)의 유연성, 수분 증발성, 방열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것이 되고, 생지(1) 전체의 부드럽게 부풀어 있는 느낌도 우수한 것이 된다. 이 점에서, 접착제의 도포량은 소정의 접합 강도를 얻는 데 필요한 양이면 좋고, 도포량은 될 수 있는 한 적은 쪽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선상 탄성체(5a)는 그 선이 뻗는 방향이 적층 시트(30)의 길이 방향(도 1, 도 2에 있어서 x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적층 시트(30)의 폭 방향(도 1, 도 2에 있어서 y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되어 있으며, 다수의 선상 탄성체 열이 형성되어 있다. 다수의 선상 탄성체(5a)를 적층 시트(30)에 배치하는 데에 있어서, 각 선상 탄성체(5a)를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a 내지 도 6j에, 선상 탄성체(5a)의 배치 태양을 나타낸다.
선상 탄성체(5a)의 배치 태양으로서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상의 선상 탄성체(5a)를 평행하게 배열해도 좋고, 도 6b 및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행하게 배열한 직선상의 선상 탄성체(5a)의 전부 또는 일부에 단선부(斷線部)를 마련해도 좋고, 도 6d, 도 6f 및 도 6g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만곡하는 곡선상의 선상 탄성체(5a)를 병렬상으로 배열해도 좋으며, 도 6e 및 도 6j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형(波形)의 곡선상 선상 탄성체(5a)가 불규칙하게 나열되어 있는 태양으로 배열해도 좋다. 또한, 도 6h 및 도 6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상 탄성체(5a)를 망목 패턴으로 배열해도 좋다. 다수의 선상 탄성체(5a)의 배열에 있어서, 각 선상 탄성체(5a)는 동일한 신축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이한 신축률을 갖는 선상 탄성체(5a)의 조합이라도 좋다. 한편, 도시는 생략하지만, 탄성 부재(5)로서 선상 형태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구멍 또는 칼집(cut)을 마련하여 소정의 통기성을 갖추고 있는 시트상 탄성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트상 탄성체로서, 우레탄, 실리콘 등을 베이스로 한 고무, 천연 고무 등의 고무 재료를 소재로 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 부재(5)로서 선상 형태의 선상 탄성체(5a)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상 탄성체(5a)가 제1 섬유상 시트(2)와 섬유 재료(4) 사이에 접합되는 태양은 선상 탄성체(5a)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제1 섬유상 시트(2)와 섬유 재료(4) 사이에 선상 탄성체(5a)가 접합되어 있어도 좋고 혹은 제1 섬유상 시트(2)와 섬유 재료(4)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제1 섬유상 시트(2)와 섬유 재료(4) 사이에 선상 탄성체(5a)가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접착제로서는 상기한 제2 섬유상 시트(3)와 섬유 재료(4)와의 접합에 이용하는 접착제와 동일한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접착제로서는 핫 멜트 접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핫 멜트 접착제는 각 선상 탄성체(5a)의 주면에 세차게 불어서 도포되며, 이 도포된 핫 멜트 접착제가 제1 섬유상 시트(2)와 섬유 재료(4) 사이에 선상 탄성체(5a)를 끼운 상태에서 이들 3자를 접합하는 작용을 하므로, 제1 섬유상 시트(2)와 섬유 재료(4)의 각각에는 핫 멜트 접착제를 도포할 필요가 없다. 또한, 선상 탄성체(5a)에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고, 제1 섬유상 시트(2)와 섬유 재료(4)의 각각에 있어서의, 선상 탄성체(5a)와의 접촉 대향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각 선상 탄성체(5a)의 주면에 세차게 불어서 도포된 핫 멜트 접착제에 의해, 제1 섬유상 시트(2)와 섬유 재료(4) 사이에 선상 탄성체(5a)를 끼운 상태에서 이들 3자가 접합되지만, 이 접합 상태에 있어서, 핫 멜트 접착제의 일부가 섬유 재료(4)의 층 속으로 스며들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제 침투부 Z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착제 침투부 Z는 선상 탄성체(5a) 주면의 핫 멜트 접착제와 일체가 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접착제 침투부 Z는 선상 탄성체(5a)와 섬유 재료(4)와의 접합에 있어서 앵커 작용을 발휘하고, 핫 멜트 접착제에 의한 선상 탄성체(5a)와 섬유 재료(4)와의 접합을 보다 강고한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섬유 재료(4)에는 접착제에 의한 앵커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선상 탄성체(5a)로의 접착제 도포량이 적어도 소정의 접합 강도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생지(1) 전체의 강도가 향상하고, 견뢰도가 풍부한 생지(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있어서, 제2 섬유상 시트(3)와 섬유 재료(4) 사이에 가해진 접착제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종래의 일회용 섬유 제품 생지에 있어서, 부직포끼리를 접착제에 의해 접합할 때, 접착제가 부직포의 섬유 간격을 통하여 생지 표면으로 스며 나온다고 하는 불편함이 있었지만, 본 발명 생지(1)에는 복합층(31)이 형성되어, 복합층(31)에 섬유 재료(4)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섬유 재료(4)에 접착제가 침투함으로써, 생지 표면으로 접착제가 스며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생지(1)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연속하여 제조되는 적층 시트(30)에 대하여, 이것을 소정 치수 길이의 제품으로 하기 위해 재단이 행하여진다. 적층 시트(30)는 긴 치수이기 때문에, 적층 시트(30)의 길이 방향(도 1, 도 2에 있어서 x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치수를 소정의 길이로 하기 위한 재단이 행하여진다. 이 재단의 즈음, 선상 탄성체(5a)가 절단됨으로써, 인장 상태에 있었던 선상 탄성체(5a)는 인장력으로부터 해방되어 복원력에 의해 수축한다. 이때의 수축 응력에 의해, 복합층(31)에 요철면이 형성되는 것이지만, 여기에 있어서 선상 탄성체(5a)와 제1 섬유상 시트(2)와의 접합력 및 선상 탄성체(5a)와 섬유 재료(4)와의 접합력이 작은 경우에는, 선상 탄성체(5a)와 제1 섬유상 시트(2), 섬유 재료(4)와의 상호간에 박리가 일어나고, 당해 선상 탄성체(5a)에 의해 접합하고 있었던 제1 섬유상 시트(2)와 섬유 재료(4)로 이루어지는 복합층(31)에 수축 응력이 미치게 되지 않는, 소위 "고무 빠지기"라고 하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 "고무 빠지기"에 의해, 복합층(31)은 그 길이가 짧아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지 않기 때문에, 복합층(31)에 요철면이 형성되지 않고, 그것에 의해 주름부(6)가 형성되지 않는다고 하는 사태가 생긴다. 여기에 있어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섬유 재료(4)의 층 내에 핫 멜트 접착제에 의한 접착제 침투부 Z가 형성되어 있으면, 섬유 재료(4)와 선상 탄성체(5a)의 접합력이 강고한 것이 되므로, 선상 탄성체(5a) 절단 시에 "고무 빠지기"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생지(1)의 두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얇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생지 두께를 얇게 형성했을 경우에는, 생지(1)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일회용 섬유 제품의 통기성 및 투수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착용감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섬유 재료(4)로서 종이 재료를 이용하는 경우, 종이 재료에는, 도 4,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인쇄층(4a)이 형성된다. 인쇄층(4a)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섬유 재료(4)에 있어서, 제2 섬유상 시트(3)와 대향하는 면 측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부직포에 인쇄를 실시하는 것이 아니고, 종이 재료에 인쇄를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선명한 무늬를 용이하고도 효율적으로 인쇄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다양한 디자인이나 메시지를 효율적이고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종이 재료에 인쇄하는 디자인이나 패턴의 선택, 제2 섬유상 시트(3)에 이용하는 부직포의 선택, 접착층(7)의 형성 방법 등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전체로서, 디자인성, 심미성이 높은 생지(1)를 제공할 수 있다. 종이 재료에 인쇄하는 디자인이나 패턴으로서는, 예를 들면, 무늬, 색채, 모양, 사진 등(이하, "무늬 등"이라고 한다)을 들 수 있다.
섬유 재료(4)로서의 종이 재료에는, 예를 들면, 잉크 젯, 플렉소 인쇄, 그라비아 인쇄 등의 수법에 의해 무늬 등이 인쇄된다. 인쇄층(4a)의 표면은, 예를 들면, 니스칠 가공을 수행하거나, 바인더를 가하거나 함으로써, 탈색 방지 처리가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바인더로서는 PVA(폴리비닐 알코올), CMC(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EVA(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아크릴, 래커 등 공지의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탈색 방지 처리가 이루어져 있는 잉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인쇄층(4a)은 플렉소 인쇄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렉소 인쇄법에서는, 판과 종이 재료 사이의 접촉 면적이 작게 해결되고, 또한 인압(印壓)이 낮은 등의 이점이 있다. 이 때문에, 판으로부터 종이 재료를 벗겨내기 쉽고, 특히 종이 재료의 두께가 얇을 경우, 인쇄층(4a)을 형성하는 데에 적합하다. 또한, 플렉소 인쇄에서는, 사용할 수 있는 잉크의 종류가 많으며, 이 점에 있어서 노즐 등을 통하여 잉크를 토출시키는 잉크젯 인쇄법에 비해 잉크의 점도 등에 영향을 끼친다고 하는 결점이 없다. 인쇄층(4a)에 무늬 등을 나타내는 경우, 판에 의해 인쇄되는 무늬 등은, 적층 시트(30)가 선상 탄성체(5a)의 신축 방향(도 2에 있어서 x 방향)으로 잡아 늘려진 상태에 맞추고, 잡아 늘려진 디자인의 무늬 등으로서 인쇄된다. 그리고 선상 탄성체(5a)의 인장 상태를 해제했을 때에, 본래의 목적으로 하는 디자인(잡아 늘려지지 않은 디자인)의 무늬 등이 표시된다. 상기의 경우, 인쇄되는 무늬 등의 상기 x 방향의 확대율은 선상 탄성체(5a)의 신축률에 의해 정해진다. 예를 들면, 본래의 목적으로 하는 디자인(잡아 늘려지지 않은 디자인)의 무늬 등의 상기 x 방향의 길이를 1.1배∼3.5배로 잡아 늘려서 인쇄할 수 있다.
종이 재료에 엠보스 처리를 실시하여 복수의 오목부나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인쇄층(4a)에 입체적인 무늬 등을 표시할 수 있고, 보는 각도에 따라 상이한 디자인의 무늬 등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간(9)에 위치하여 형성되는 인쇄층(4a)과 접착층(7)에 의해 피복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인쇄층(4a)이 있으며, 이러한 인쇄층(4a)의 조합에 의해 외관에 나타나는 디자인을 변화가 풍부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공간(9)의 비율이 크면, 외관에 나타나는 인쇄층(4a)은 비??(vignette)이 걸린 느낌으로 시인(視認)되며, 또한 공간(9)의 비율이 작으면, 외관에 나타나는 인쇄층(4a)은 선명하게 시인된다.
인쇄층(4a)은 제2 섬유상 시트(3)를 통해서 외부에서 시인되므로, 생지(1)에 있어서 다양한 디자인이나 메시지를 효율적,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인쇄층(4a)을 외부에서 적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게다가 심미성을 갖추도록 하기 위해, 제2 섬유상 시트(3)로서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생지(1)를 이용하여 구성된 일회용 섬유 제품에 있어서는,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땀(300)이 피부(200)에 부착되었을 경우에,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체를 움직임으로써 주름부(6)가 땀(300)을 닦아내도록 작용하고, 이렇게 닦여진 땀(300)은 복합층(31)(도 4 참조)에서의 섬유 재료(4)(종이 재료)에 흡수된다. 또한, 닦여지지 않은 땀(300)은,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름부(6)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속으로 증산되어 동일하게 섬유 재료(4)(종이 재료)에 흡수된다. 이로 인해, 생지(1)는 땀(300)에 의해 피부(200)에 밀착할 일은 없고, 또한, 섬유 재료(4)(종이 재료)에 흡수된 땀(300)은 외부에 효율적으로 증산된다(도 13c). 그 때문에, 땀(300)의 마름도 빠르게 땀(300)에 의한 끈적거리는 느낌이 없고, 기분 좋게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 생지(1)를 일회용 섬유 제품에 적용하는 경우의 제품의 성질에 따라, 각종 첨가제를 생지(1)에 첨가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소취제(消臭劑), 벌레 기피제, 향료, 방수제, 방오제, 항균제, 유연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생지(1)에 첨가할 수 있다. 생지(1)에 첨가하는 태양으로서, 첨가제는 제1 섬유상 시트(2), 제2 섬유상 시트(3), 섬유 재료(4) 중 어느 하나에 첨가되어도 좋고, 또는 이들의 두 가지 이상에 첨가되어도 좋다. 첨가 수단으로서, 첨가제는 제1 섬유상 시트(2), 제2 섬유상 시트(3), 섬유 재료(4)의 표면에 도포된다. 또한, 제1 섬유상 시트(2), 제2 섬유상 시트(3)로의 첨가의 경우, 이들의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에 첨가제를 미리 혼련해 두어도 좋다. 섬유 재료(4)로서의 종이 재료로의 첨가의 경우, 종이를 제조하는 초지 공정에 있어서, 미리 물에 첨가제를 첨가시켜서 초지(抄紙)함으로써 종이에 첨가제를 함유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생지(1)에 인쇄층(4a)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인쇄 잉크에 미리 첨가제를 혼합해 두고, 첨가제를 함유한 인쇄 잉크에 의해 인쇄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소취제의 구체예로서는 카테킨류나 탄닌류 등의 식물로부터의 추출물인 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갈로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레이트,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갈로탄닌, 엘라지탄닌(ellagitannin); 철-아스코르브산 킬레이트 화합물; 지르코늄의 수산화물; 란타노이드의 수산화물; Zn, Cu, Fe 등의 금속염(예를 들면, ZnSO4)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흡착 작용을 갖는 소취제로서, 예를 들면, 활성탄; 제올라이트; 실리카; 세라믹; 응회석; 목탄 고분자; 카본 나노튜브; 카본 나노혼(carbon nanohorn); 구연산, 호박산 등의 유기산; 황산, 붕산, 인산 등의 무기산; 이온교환체; 음이온(anion), 암모니아, 아민류, 알켄, 알킨, 방향족 등의 구핵제; 양이온(cation), 불화붕소, 염화알루미늄, 브롬화철, 염화아연, 아세톤 등의 구전자제(求電子劑)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소취제 중 1종을 이용해도 좋고 혹은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상기 벌레 기피제의 구체예로서는 N,N-디메틸-m-톨루아미드(DEET), 디프로필피리딘-2, 5-디카복실레이트, 피레트린, 디메틸 프탈레이트, 2, 3:4, 5-비스(2-부틸렌)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랄, 시트로넬라, 게라니올, 레몬그라스 오일(정유), 오이게놀, p-멘탄-3,8-디올, 에틸부틸아세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1-피페리딘카복실산, 2-(2-하이드록시에틸)-에스테르 1-메틸프로필-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천연의 식물 정유(精油), 시트로넬라 오일, 레몬그라스 오일, 시나몬 오일, 유칼리 오일, 클로브 오일, 레몬유칼리 오일, 히바 오일, 라벤다 오일, 오렌지 오일, 그레이프 후르츠 오일, 시다우드 오일, 제라늄 오일, 타임 화이트 오일, 박하 오일 등을 벌레 기피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게다가 시트로넬랄, 시트로넬롤, 시트랄, 리날롤, 다이하이드로 리날롤, 테트라하이드로리날롤, 데하이드로리날롤, 테르피네올, 멘톨, 멘탄, p-멘탄-3,8-디올, 캄펜, 메틸 살리실레이트, 피넨, 리모넨, 게라니올, 보르네올, 게라니올 포메이트 등의 성분을 함유하는 정유 등을 벌레 기피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들 벌레 기피제 중 1종을 이용해도 좋고 혹은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상기 향료의 구체예로서는 오렌지, 레몬, 라임, 복숭아 등의 과일; 장미, 라벤더 등의 꽃; 민트, 백단 등(초목)의 정유 등을 들 수 있다. 통상, 방향 성분은 유성 또는 물-알코올 용성(溶性)인 것이다. 유성 향료로서는 페닐에틸 알코올, 리날롤, 쟈스몬, 헥실신남산 알데하이드, α-리네몬, α-피넨, 브롬스티롤, 시트로넬랄, 코로랄(korolal), 테르피오넬, 멘톨, 계피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향료 중 1종을 이용해도 좋고 혹은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상기 항균제로서는, 항균성이 있는 카르벤다짐 유도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방오제 및 유연제로서는 두발(頭髮)의 린스제나 의류의 유연마무리제로서 범용되고 있는 알킬화 4급 암모늄염 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할 수 있고, 이러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디코코일 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알킬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방오제 및 유연제로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유동 파라핀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들 방오제, 유연제 중 1종을 이용해도 좋고 혹은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본 발명 생지(1)는 일회용 섬유 제품의 재료로서 적용되는 것이며, 특히 일회용 팬츠 등의 일회용 내의나 일회용 기저귀의 구성재료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유익하다. 또한 상기 이외에, 본 발명 생지(1)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일회용 섬유 제품으로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내의 또는 T 셔츠(100),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튜브 톱(101),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복대(102),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레인 코트 등의 우비(103), 도 11a 내지 도 11e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신체의 손, 팔, 손목, 무릎, 및 발목 등의 각 부위에 이용하는 서포터(104),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붕대(105)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일회용 섬유 제품으로서의 헬스복, 스포츠복, 땀받이 인너, 해수욕복, 룸 웨어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생지(1)를 일회용 섬유 제품으로서의 모자에 적용했을 경우, 섬유 재료(4)에 물을 포함시켜 뒤집어쓰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물의 기화에 의해 사용자의 두부(頭部)로의 냉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타, 본 발명 생지(1)는 사용 후 기저귀를 수납하는 기저귀 봉투, 여성용 각종 생리용품, 캠프, 야외활동에서 이용하는 각종 일회용 의류, 냉각 또는 보온 머플러, 수건, 병원이나 숙박 시설 등에 있어서, 환자나 손님에게 제공되는 일회용 의류, 침구류, 스테테코(suteteko), 브래지어, 쇼츠, 배스로브(bathrobe), 레그 워머(leg warmer), 머리띠, 헤어 밴드, 마사지복, 간호용 의류 등의 구성재료로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생지(1)를 이용하여 일회용 섬유 제품으로서의 일회용 내의(10)를 구성한 실시형태를 도 17에 나타낸다. 도 17에 나타내는 내의(10)는, 사용자P의 몸통부에 장착하여 이용하는, 소위 팬츠 타입의 기저귀이며, 본 발명 생지(1)로부터 구성되어, 사용자 P의 몸통부 전체를 덮고, 그 하복부를 가볍게 누르는 부분을 포함하는 몸통부 장착부(12)와 몸통부 장착부(12)의 위쪽에 마련되어, 고무 등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사용자 P의 허리 둘레에 장착되는 요부 장착부(14)를 갖는다. 몸통부 장착부(12)의 안쪽(신체에 접하는 측)에는, 몸통부 장착부(12)의 전부(前部)와 후부(後部) 사이에 탄성 시트(16)가 걸쳐 놓여져 있고, 이 탄성 시트(16)의 안쪽(사용자 P의 피부 접촉 측)에는, 배설물 흡수용 흡수체(18)가 장착되어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내의(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저귀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이며, 성인용 기저귀로서도 또는 유아용 기저귀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생지(1)를 이용한 기저귀는 종래의 기저귀에 비하여 유연한 감촉을 가지고, 수분 증발성, 방열성 및 투습성이 뛰어나며, 게다가 바람직한 냉온감성을 갖추고 있다. 본 발명 생지(1)를 이용한 내의(10)는, 착용했을 때의 느낌으로서 통상의 내의(팬츠)에 가까운 감각을 가지고 있고, 사용에 대하여 저항감이 적다고 하는,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에는 없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실금(失禁) 등의 우려가 있는 피보호자나 고연령 출산 후의 여성이나, 경혈(經血)이 새는 일이 있는 여성 등이 일회용 내의로서 저항감 없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생지(1)의 구성재료인 섬유 재료(4)로서 종이 재료를 이용했을 경우, 종이 재료는 마찰에 의한 대전(帶電)이 작기 때문에, 사용 시의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생지 및 본 발명 생지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일회용 섬유 제품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 생지(1)에 있어서 적층 시트(30)에 주름부(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신체의 피부에 대한 촉감이 부드럽고, 생지 전체로서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다고 하는 작용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적층 시트(30)는 통기성을 갖는 제1 섬유상 시트(2), 동일하게 통기성을 갖는 제2 섬유상 시트(3), 액확산성을 갖는 섬유 재료(4)를 적층 구성 재료로서 포함하고, 통기성을 갖는 섬유층과 액확산성을 갖는 섬유층이 서로 이웃하여 존재한다. 이렇게 하여, 통기성을 갖는 섬유층과 액확산성을 갖는 섬유층이 서로 이웃하여 적층된 복합층(31)이 적층 시트(30)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 생지(1)로 이루어지는 일회용 섬유 제품을, 예를 들면 제1 섬유상 시트(2)가 신체의 피부 측에 접하도록 당해 제품을 착용했을 경우, 신체에 발생한 땀은 제1 섬유상 시트(2)를 통하여 섬유 재료(4)의 층 안으로 흡수되고, 땀은 이 섬유 재료(4)의 층 안에서 확산된다. 확산되어 층 안에 널리 분산된 땀은 제2 섬유상 시트(3)를 통해서 외부로 증산된다. 따라서, 땀이 생지에 접촉하고 있는 부위에 국부적으로 체류한다고 하는 일이 없고, 효율적으로 땀의 증산이 행하여진다.
즉, 적층 시트(30)에 있어서의 복합층(31)은 통기성 기능층과 액확산성 기능층이 서로 이웃하여 존재하기 때문에, 통기성 기능층과 액확산성 기능층이 상호작용을 발휘하고, 이 상호작용에 의해 땀의 증산 효율이 비약적으로 증대한다. 즉, 통기성 기능층에 있어서의 수분 통로와 액확산성 기능층에 있어서의 수분 통로가 서로 이웃하여 연속하고 있기 때문에, 땀의 흡수, 건조의 효율이 지극히 큰 것이다. 또한, 적층 시트(30)에 형성되는 주름부(6)는 복합층(31)에 의해 요철면이 형성된 구조의 주름부로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복합층(31)에 있어서의 통기성 기능층과 액확산성 기능층은 요철상 형태가 되고, 그것에 의해 표면적이 큰 상태가 되고 있다. 그 결과, 복합층(31)으로부터의 땀의 증산 효율은 한층 더 향상한다.
본 발명 생지(1)는 신체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산할 수 있고, 방열성이 우수하다. 신체로부터 발산되는 열은 제1 섬유상 시트(2)를 통해서 섬유 재료(4)의 층 안으로 전달되고, 열은 이 섬유 재료(4)의 층 안에서 확산된다. 섬유 재료(4)는 액확산성의 성상을 가지지만, 액확산성을 가짐으로써 동시에 열확산성도 발휘한다. 확산되어 층 안에 널리 분산된 열은 제2 섬유상 시트(3)를 통해서 외부로 방산된다. 따라서, 열이 신체와 생지(1) 사이에 체류한다고 하는 일이 없고, 효율적으로 열의 방산이 행하여진다. 본 발명 생지(1)에 있어서 이러한 우수한 방열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은, 상기한 땀의 증산성 작용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적층 시트(30)가 통기성을 갖는 섬유층과 액확산성을 갖는 섬유층이 서로 이웃하여 적층된 복합층(31)을 가지고, 이 복합층(31)에 있어서, 통기성 기능층과 액확산성 기능층이 상호작용을 발휘하는 것에 의한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 생지(1)는 투습성도 우수하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구성재료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 시트에 있어서, 구성층의 수가 늘어나면 투습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2개의 섬유상 시트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통상의 적층 시트에 비하여 섬유 재료(4)라고 하는 재료층이 가해지고 있으므로 구성층의 수가 많다. 그렇지만, 투습성이 양호한 종래품에 비하여 본 발명 생지(1)는 이외에도 투습성 저하가 보여지지 않고, 투습성이 양호한 종래품과 동등한 투습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구성층의 수가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투습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특유한 효과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층 시트(30)가 통기성을 갖는 섬유층과 액확산성을 갖는 섬유층이 서로 이웃하여 적층된 복합층(31)을 가지고, 이 복합층(31)에 있어서, 통기성 기능층과 액확산성 기능층이 상호작용을 발휘하는 것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 생지(1)에 있어서, 섬유 재료(4)가 종이 재료인 경우, 종이 재료에 상기한 바와 같은 엠보스 처리를 수행하여 종이 조직의 취약화 처리를 하면, 통기성 기능층과 액확산성 기능과의 상호작용이 한층 더 증대하고, 수분 증발성, 방열성 및 투습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생지(1)에 인쇄를 실시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이나 메시지를 효율적,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 실시형태의 생지(1)는 생지의 소재 바로 그것의 감촉을 살리면서, 전체적인 부드럽게 부풀어 있는 느낌이나 유연성이 뛰어나며, 각종 기능을 효율적, 효과적으로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본 발명 생지(1)는 염가로 제조할 수 있고, 제조도 용이한 등의 이점을 갖는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신축성 복합 시트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통기성 시트로서 스펀 본드 부직포를 이용하고, 액확산성 섬유 시트로서 펄프 100%의 종이(화장지용 종이 시트: 기본 중량 18g/m2)를 그대로 인쇄하지 않고 이용하고, 선상 탄성체로서 지름 620데시텍스의 우레탄 고무를 이용했다. 2장의 부직포 사이에 종이와 우레탄 고무를 핫 멜트 접착제(핫 멜트 접착제의 총 기본 중량 1.2g/m2)에 의해 접착하여 수득한 총 기본 중량 38g/m2의 시트 소재를 실시예 1로 했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부직포, 우레탄 고무를 이용하고, 핫 멜트 접착제에 의해, 부직포 사이에 우레탄 고무를 끼워서 접착하여(핫 멜트 접착제의 총 기본 중량 1.2g/m2), 총 기본 중량이 20g/m2인 시트 소재를 비교예 1로 했다.
비교예 2
표면 및 이면의 부직포가 스펀 본드 부직포이며, 부직포 사이에 고무 지름 620데시텍스의 우레탄 고무가 개재되어 있는, 총 기본 중량이 24g/m2인 종래품의 시트 소재를 비교예 2로 했다.
비교예 3
표면 및 이면의 부직포가 서멀 본드 부직포이며, 부직포 사이에 고무 지름 620데시텍스의 우레탄 고무가 개재되어 있는, 총 기본 중량이 22g/m2인 종래품의 시트 소재를 비교예 3으로 했다.
비교예 4
표면 및 이면의 부직포가 서멀 본드 부직포이며, 부직포 사이에 고무 지름 620데시텍스의 우레탄 고무가 개재되어 있는, 총 기본 중량이 22g/m2인 다른 종래품의 시트 소재를 비교예 4로 했다.
비교예 5
표면 및 이면의 부직포가 서멀 본드 부직포이며, 부직포 사이에 고무 지름 620데시텍스의 우레탄 고무가 개재되어 있는, 총 기본 중량이 20g/m2인 종래품의 시트 소재를 비교예 5로 했다.
먼저, 이러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시트 소재의 흡수 속건성(吸水速乾性)(증산성) 및 투습성을 평가했다.
먼저, 흡수 속건성(증산성)은 증산성 (II) 시험(보켄 규격BQEA028)을 수행하고, 흡수성과 속건성 양쪽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시트 소재에 대하여 각각 지름 약 9cm의 시험편을 제작하고, 각 시험편과 샬레(Schale)의 질량(W)을 측정했다. 이어서, 샬레 위로 물 0.1mL을 적하하고, 그 위에 시험편을 얹어 질량(W0)을 측정했다. 이것을 표준상태(20℃, 습도 65% RH) 하에서 방치하고, 소정 시간(5분, 10분, 이하 10마다 60분까지) 경과마다의 질량(Wt)을 측정했다. 측정된 질량 W, W0, Wt로부터 아래 식 (1)을 이용하여, 소정 시간 경과마다의 증산율(%)을 산출했다.
증산율(%) = {(W0-Wt)/(W0-W)}×100····(1)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6077365740-pct00001
표 1에 나타내는 증산율의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비교예 3 내지 5에서는 모두 60분 경과해도 증산율이 20% 이하이며, 비교예 1 및 2에서는 20분 경과해서 증산율이 20% 미만이며, 60분 경과해도 증산율이 40% 이하인 점에 대해서, 실시예 1에서는 10분 경과 후에 증산율이 20%을 넘고, 20분 경과 후에 증산율이 40%을 넘고, 그 후, 30분 경과 후에 증산율이 60%을 넘고, 40분 경과 후에 증산율이 75%을 넘고, 50분 경과 후에는 증산율이 85%을 넘고, 60분 경과 후에는 증산율이 90%을 넘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보켄 규격 BQEA028에 있어서는, 평가의 기준으로서, 시험 시작 후 20분의 증산율이, 스포츠 용도의 경우, 직물에서 50% 이상, 니트에서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일반 용도의 경우, 직물에서 40% 이상, 니트에서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한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시트 소재는 40% 이상의 증산율을 얻는 것이 가능하므로, 스포츠 용도로 해도, 일반 용도로 해도, 쾌적하게 착용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실시예 1의 시트 소재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일회용 의류는 지극히 높은 흡수 속건성(증산성)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어서, 투습성은 JIS-L1099(2012)의 A-1법(염화칼슘법)을 수행하고, 투습도(g/m2·h)를 구해서 평가했다.
또한, 투습도는, 규정의 온도 및 습도에 있어서, 섬유 제품을 투과하는 수증기의 질량(g)을 그 섬유 제품의 1m2×1 시간당 환산한 값으로서 정의된다.
JISL0105의 6.3(포상 시료 및 이의 시험편)에 준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시트 소재로부터 시험편을 채취했다.
이 염화칼슘법에 규정된 투습 컵, 항온·항습 장치, 원형 판, 및 흡습제 등의 장치 및 재료를 준비하고, 실험을 했다.
먼저, 미리 약 40℃로 따뜻하게 한 투습 컵에 흡습제를 약 33g 넣고, 투습 컵에 진동을 가하여 균일하게 한 후, 약숟가락으로 표면을 평평하게 고르고, 원형 판을 이용하여, 흡습제와 시험편의 하면(下面)과의 거리가 3mm가 되도록 조절했다.
이어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시트 소재에 대하여, JISL0105의 6.3(포상 시료 및 이의 시험편)에 따라, 각각 지름 약 70mm의 시험편을 3장 채취했다.
각 시험편의 표면을 흡습제 측을 향하여 투습 컵에 대하여 동심원이 되게 얹고, 패킹 및 링을 순차 장착하고, 나비 너트(butterfly nut)로 고정한 후, 장착 측면을 비닐 점착 테이프로 밀봉하여 시험체로 했다. 이 시험체를 온도 40℃±2℃, 습도 (90±5)% RH의 항온·항습 장치 내의 시험편상 약 10mm 상부의 풍속이 0.8m/s를 넘지 않는 위치에 두었다. 1시간 후에 시험체를 꺼내고, 즉시 질량(a1)을 1mg까지 측정했다. 측정 후, 다시 시험체를 항온·항습 장치의 동일한 위치에 두고, 1시간 후에 시험체를 꺼내고, 즉시 질량(a2)을 1mg까지 측정했다. 측정된 질량 a1, a2로부터 아래 식 (2)을 이용하여 투습도 PA1(g/m2·h)을 산출했다.
투습도 PA1(g/m2·h) = (a2-a1)/SA1····(2)
식(2)에 있어서, a2-a1은 시험체의 1시간당 질량의 변화량(g/h)이며, SA1은 투습 면적(m2)이다.
시험 결과는, 3회의 평균치 JISZ8401의 규칙(사사오입법)에 의해 정수로 사사오입하여 나타냈다. 수득된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6077365740-pct00002
표 2에 나타내는 투습도의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비교예 2, 3 및 5에서는 모두 투습도가 500g/m2·h 이하이지만, 비교예 1에서는 563g/m2·h이며, 비교예 4에서는 투습도가 526g/m2·h이다. 한편, 실시예 1에서는 564g/m2·h이며, 비교예보다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기능성 생지 소재는 안정성이 높고 양호한 투습성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어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에 대하여 투습성 평가 결과, 및 20분 후 및 60분 후의 증산성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에 나타내는 투습성 평가 결과 및 증산성 평가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본 발명 기능성 생지 소재는 비교예 1 내지 5의 기능성 생지 소재에 비해 투습성 및 증산성 양쪽에 있어서, 높은 투습도 및 높은 증산율을 기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 관한 일회용 제품용의 기능성 생지 소재 및 일회용 패브릭 제품의 효과는 명백하다.
Figure 112016077365740-pct00003
또한, 당연히,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모든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어서, 부직포 사이에 종이를 개재시킨 시트 소재와 부직포 사이에 종이가 개재되지 않은 시트 소재의 접촉 냉감(서늘한 감촉) 및 습윤 접촉 냉온감(발한 시 끈끈한 감촉)을 시험했다.
실시예 2 내지 5
실시예 1과 동일한 부직포, 종이, 핫 멜트 접착제, 우레탄 고무를 이용하여 시트 소재를 조정했다. 실시예 2, 3에서 이용한 종이는 한 쌍의 평롤을 이용하여 표 4에 나타내는 회수의 엠보스 처리를 실시했다. 사용한 종이의 기본 중량, 핫 멜트 접착제의 총 기본 중량, 시트 소재의 총 기본 중량을 표 4에 합쳐서 나타낸다. 이 시트 소재에 대하여 이하의 방법으로 접촉 냉감, 습윤 접촉 온열감을 측정했다. 접촉 냉감, 습윤 접촉 냉온감 및 접촉 냉감과 습윤 접촉 냉온감의 비(접촉 냉감/습윤 접촉 냉온감)의 값을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접촉 냉감: 접촉 냉감은 착용했을 때의 차갑고 상쾌한 감각의 크기를 나타내고, 정밀 신속 열물성 측정 장치[가토테크가부시키가이샤(Kato Tech Co., Ltd.) 제품인 KES-F7 서모라보 II]를 이용하여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시트 소재에서 잘라낸 시험편(6cm×6cm)을 20℃의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위에 올려놓는다. 정밀 열 센서가 부착된 열판을 40℃로 가열하고, 20℃의 시험편 위에 열판을 얹고, 열판의 열 센서로 측정한 방열 거동으로부터 접촉 냉감 값(qmax)을 산출했다.
습윤 접촉 냉온감: 습윤 접촉 냉온감은 땀을 흘렸을 때의 끈적끈적한 감촉의 크기를 나타내고, 정밀 신속 열물성 측정 장치(가토테크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인 KES-F7 서모라보 II)를 이용하여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시트 소재에서 잘라낸 시험편(6cm×6cm)에 80g/m2의 물을 흡수시켜 급수시킨 시험편을 20℃의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 올려놓는다. 정밀 열 센서가 부착된 열판을 40℃로 가열하고, 20℃의 시험편 위에 열판을 얹고, 열판의 열 센서로 측정한 방열 거동으로부터 습윤 접촉 냉온감 값(wet-qmax)을 산출했다.
비교예 6
비교예 2와 동일한 시트 소재를 이용하고, 실시예 2 내지 5와 동일하게 접촉 냉감, 습윤 접촉 냉온감을 시험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비교예 7
비교예 4와 동일한 시트 소재를 이용하고, 실시예 2 내지 5와 동일하게 접촉 냉감, 습윤 접촉 냉온감을 시험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비교예 8
비교예 3과 동일한 시트 소재를 이용하고, 실시예 2 내지 5와 동일하게 접촉 냉감, 습윤 접촉 냉온감을 시험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비교예 9
비교예 5와 동일한 시트 소재를 이용하고, 실시예 2 내지 5와 동일하게 접촉 냉감, 습윤 접촉 냉온감을 시험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112016077365740-pct00004
Figure 112016077365740-pct00005
2 제1 섬유상 시트
3 제2 섬유상 시트
4 섬유 재료
5 탄성 부재

Claims (17)

  1. 통기성을 갖는 제1 및 제2 섬유상 시트와 제1 및 제2 섬유상 시트 사이에 개재되는 액확산성을 갖는 섬유 재료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섬유상 시트와 상기 섬유 재료를 탄성 부재와 함께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 시트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적층 시트는 통기성을 갖는 섬유층과 액확산성을 갖는 섬유층이 적층된 복합층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적층 시트는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하여 상기 복합층에 요철면이 형성된 주름부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상기 적층 시트에는 탄력성이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상 시트와 상기 섬유 재료 사이에 마련된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적층 시트에 탄력성이 부여되어 있는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상 시트와 상기 섬유 재료는 탄성 부재를 통해서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섬유상 시트와 상기 섬유 재료는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상 시트와 상기 섬유 재료는 탄성 부재를 통해서 핫 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는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섬유상 시트와 상기 섬유 재료는 핫 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는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신축성을 갖는 복수의 선상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선상 탄성체는 적층 시트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제1 섬유상 시트와 상기 섬유 재료 사이에 접합되어 있는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상 탄성체는 적층 시트의 내부에서 전부 영역 또는 일부 영역에 마련되어 있는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시트에는, 비인장 상태에 있는 상기 선상 탄성체의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주름부가 복수 형성되고, 주름부 열이 패턴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재료는 기계적 유연화 처리에 의한 유연 구조를 가지고 있는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재료는 취약화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상 시트 및 상기 제2 섬유상 시트는 통기성 및 투습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상 시트 및 상기 제2 섬유상 시트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재료는 액확산성 및 액침투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재료는 종이 재료로 이루어지는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를 이용하여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일회용 섬유 제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섬유 제품은 내의, 기저귀, 헬스복, 해수욕복, 튜브 톱, 룸 웨어, 레인 코트 또는 복대로서 구성되는 일회용 섬유 제품.
KR1020167021801A 2015-05-12 2015-11-13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일회용 섬유 제품 KR101779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97780 2015-05-12
JP2015097780 2015-05-12
JPJP-P-2015-123315 2015-06-18
JP2015123315 2015-06-18
JP2015157776 2015-08-07
JPJP-P-2015-157776 2015-08-07
US201562205936P 2015-08-17 2015-08-17
US62/205,936 2015-08-17
PCT/JP2015/082637 WO2016181579A1 (ja) 2015-05-12 2015-11-13 使い捨て繊維製品用生地及びそれを用いた使い捨て繊維製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346A KR20160144346A (ko) 2016-12-16
KR101779919B1 true KR101779919B1 (ko) 2017-09-19

Family

ID=57249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801A KR101779919B1 (ko) 2015-05-12 2015-11-13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일회용 섬유 제품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20160347030A1 (ko)
EP (1) EP3115196B1 (ko)
JP (3) JP6072992B1 (ko)
KR (1) KR101779919B1 (ko)
CN (2) CN109094123A (ko)
AU (1) AU2015351424B2 (ko)
BR (1) BR112017023977B1 (ko)
CA (1) CA2935070C (ko)
MX (1) MX2017010827A (ko)
MY (1) MY177893A (ko)
PH (1) PH12016501027A1 (ko)
RU (1) RU2691358C2 (ko)
SG (1) SG11201604399XA (ko)
TW (1) TWI664955B (ko)
WO (1) WO20161815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334B1 (ko) * 2023-05-31 2023-11-29 이하림 에어 포켓 기반 엠보를 활용한 항균 페이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1305B2 (en) 2011-12-28 2015-04-21 John Inzer Gripper wraps
JP1547533S (ko) * 2015-02-27 2016-04-11
JP1557383S (ko) * 2015-07-10 2016-08-29
EP3384886A4 (en) * 2015-12-04 2019-06-05 Kikuo Yamada DISPOSABLE ARTICLES,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METHOD FOR THE SALE THEREOF
USD834785S1 (en) * 2016-02-12 2018-12-04 Kikuo Yamada Disposable pants
GB2564067A (en) * 2016-04-25 2019-01-02 Yamada Kikuo Composite textile sheet, disposable textile product using composite textile sheet, gloves, raincoa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osable textile product
USD819218S1 (en) * 2016-06-24 2018-05-29 Inzer Advance Designs, Inc. Joint support wrap
USD871779S1 (en) * 2016-10-26 2020-01-07 Kikuo Yamada Nonwoven fabric having shirred pattern
JP1578771S (ko) * 2016-11-14 2020-06-08
JP1577893S (ko) * 2016-11-14 2020-06-01
JP6945328B2 (ja) * 2017-03-09 2021-10-06 山田 菊夫 複合繊維シート、複合繊維シートを用いた使い捨て繊維製品、マスク及び手術着
JP1592702S (ko) * 2017-04-18 2020-12-07
JPWO2018193987A1 (ja) * 2017-04-19 2020-02-27 山田 菊夫 被覆用品
JP6320607B1 (ja) * 2017-07-24 2018-05-09 株式会社ジェイ・エス ウォーマー
JP7341888B2 (ja) * 2017-09-27 2023-09-11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TWI672346B (zh) * 2017-11-30 2019-09-21 財團法人紡織產業綜合研究所 濾材
JP1619993S (ko) * 2018-02-23 2018-12-10
US20200080031A1 (en) * 2018-09-06 2020-03-12 The Clorox Company Multi-layer cleaning and disinfecting wipes having optimal delamination behavior with cleaning lotion
JP1627555S (ja) * 2018-09-21 2019-03-25 伸縮性生地
CN109700604A (zh) * 2019-02-22 2019-05-03 山东爱舒乐卫生用品有限责任公司 一种超吸收、舒爽性、消臭的成人纸尿裤
CN112107429B (zh) * 2019-06-20 2023-03-28 尤妮佳股份有限公司 短裤型吸收性物品和短裤型吸收性物品制造方法
KR102099429B1 (ko) * 2019-11-13 2020-04-09 주식회사 제이앤에스 다리 교정용 라텍스 베개
KR102099431B1 (ko) * 2019-11-13 2020-04-09 주식회사 제이앤에스 목 교정용 라텍스 베개
KR102099427B1 (ko) * 2019-11-13 2020-05-15 주식회사 제이앤에스 코골이 예방 라텍스 베개
CN112455014B (zh) * 2020-12-09 2024-03-19 江苏锦琪昶新材料有限公司 一种三层复合纤维材料及其制备方法、装置、应用
CN112706425A (zh) * 2021-01-27 2021-04-27 镇江博洛加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用碳纤维材料生产用成型装置
JP7357300B2 (ja) 2021-03-22 2023-10-06 アクトインテリア株式会社 冷感生地、それを有する紡織品、及び冷感生地の製造方法
WO2022225708A1 (en) * 2021-04-19 2022-10-27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Textile gas-liquid-solid contactors and biocatalytic materials and methods comprising same
CN113772249A (zh) * 2021-09-22 2021-12-10 苏州融志信新材料有限公司 一种可自然降解无纺布包装袋及其制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9698B2 (ja) * 1995-05-19 2000-10-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動力伝達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6027089A (ja) * 2004-07-16 2006-02-02 Kao Corp 複合伸縮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9949A (en) * 1985-01-10 1987-02-03 Kimberly-Clark Corporation Elastic form-fitting closure constructions for disposable garments
JPS6215302A (ja) * 1985-07-05 1987-01-23 ユニ・チヤ−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4606964A (en) * 1985-11-22 1986-08-19 Kimberly-Clark Corporation Bulked web composit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770656A (en) * 1986-12-31 1988-09-13 Kimberly-Clark Corporation Routing of leg elastic to reduce stresses in a stretchable outer diaper cover
US4847134A (en) * 1987-12-22 1989-07-11 Kimberly-Clark Corporation Stretchable absorbent undergarment
CA2019457C (en) * 1990-04-02 2001-03-20 Anne Marie Fahrenkrug Stretchable shaped absorbent garment
CA2097630A1 (en) * 1992-12-29 1994-06-30 Ann Louise Mccormack Stretch-pillowed, bulked laminate
JP3883220B2 (ja) * 1994-08-18 2007-02-21 花王株式会社 透湿性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EP0850036A1 (en) * 1995-09-01 1998-07-01 McNEIL-PPC, Inc. Absorbent products
JPH09273062A (ja) * 1996-04-03 1997-10-21 Oji Paper Co Ltd 抗菌性複合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3533285B2 (ja) * 1996-05-16 2004-05-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5964973A (en) * 1998-01-21 1999-10-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elastomeric laminate web
JPH11348221A (ja) * 1998-06-10 1999-12-21 Idemitsu Petrochem Co Ltd 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ギャザー
WO2003003961A1 (en) * 2001-07-02 2003-01-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extensibility at waist panel
JP3667267B2 (ja) * 2001-09-26 2005-07-06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U2003266572A1 (en) * 2002-09-26 2004-04-19 Asahi Kasei Fibers Corporation Spun-bonded nonwoven fabric and sanitary supplies
US7588818B2 (en) * 2002-12-16 2009-09-15 Invista North America S.A R.L. High bulk composite sheets
JP3099698U (ja) * 2003-08-06 2004-04-15 株式会社ファンシー 紙シート
JP4568494B2 (ja) * 2003-12-02 2010-10-2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312140B2 (ja) * 2004-10-01 2009-08-12 花王株式会社 通気性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US20060137810A1 (en) * 2004-12-28 2006-06-29 Beck Scott A Method of making an elastic laminate using direct contact thermal rolls for controlling web contraction
JP5041840B2 (ja) * 2007-03-23 2012-10-03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154129B2 (ja) * 2007-03-30 2013-02-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複合シート及び複合シート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2009097104A (ja) 2007-10-15 2009-05-07 Gunze Ltd 使い捨て寝衣類及び寝具カバー類
JP5102119B2 (ja) * 2008-06-10 2012-12-1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2076295B (zh) * 2008-06-30 2013-07-17 大王制纸株式会社 一次性尿布
JP5427405B2 (ja) * 2008-12-26 2014-02-26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5420952B2 (ja) * 2009-03-31 2014-02-19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308242B2 (ja) * 2009-06-09 2013-10-0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120271265A1 (en) * 2011-04-20 2012-10-25 Frederick Michael Langdon Zero-Strain Stretch Laminate with Enhanced Strength, Appearance and Tactile Features, and Absorbent Articles Having Components Formed Therefrom
JP2014009954A (ja) * 2012-06-27 2014-01-20 Osao Makino レインコート
US20140171895A1 (en) * 2012-12-19 2014-06-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aminate and Process For Making Same
CN104869955B (zh) * 2012-12-21 2018-08-14 Sca卫生用品公司 弹性层压件及弹性层压件的制造方法
WO2015046401A1 (ja) * 2013-09-30 2015-04-02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不織布積層体および不織布積層体を有する吸収性物品
JP6249708B2 (ja) * 2013-09-30 2017-12-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オム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9698B2 (ja) * 1995-05-19 2000-10-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動力伝達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6027089A (ja) * 2004-07-16 2006-02-02 Kao Corp 複合伸縮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334B1 (ko) * 2023-05-31 2023-11-29 이하림 에어 포켓 기반 엠보를 활용한 항균 페이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15196A1 (en) 2017-01-11
PH12016501027B1 (en) 2016-07-11
TW201700079A (zh) 2017-01-01
JP2018172845A (ja) 2018-11-08
PH12016501027A1 (en) 2016-07-11
MX2017010827A (es) 2018-01-25
AU2015351424A1 (en) 2016-12-01
MY177893A (en) 2020-09-24
RU2691358C2 (ru) 2019-06-11
US20160347030A1 (en) 2016-12-01
JP2017133143A (ja) 2017-08-03
WO2016181579A1 (ja) 2016-11-17
US20190111655A1 (en) 2019-04-18
CN105899354B (zh) 2018-07-17
RU2017123039A (ru) 2018-12-29
JP6072992B1 (ja) 2017-02-01
EP3115196B1 (en) 2019-10-09
EP3115196A4 (en) 2017-05-17
JP6359621B2 (ja) 2018-07-18
BR112017023977B1 (pt) 2022-03-03
SG11201604399XA (en) 2016-12-29
TWI664955B (zh) 2019-07-11
RU2017123039A3 (ko) 2019-04-04
CN109094123A (zh) 2018-12-28
KR20160144346A (ko) 2016-12-16
CA2935070A1 (en) 2016-11-12
JP6611211B2 (ja) 2019-11-27
CN105899354A (zh) 2016-08-24
JPWO2016181579A1 (ja) 2017-05-25
BR112017023977A2 (pt) 2018-07-17
AU2015351424B2 (en) 2018-05-10
CA2935070C (en) 201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919B1 (ko)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일회용 섬유 제품
JP2018140229A (ja) 使い捨て衣類
WO2017026018A1 (ja) 使い捨て下半身用衣料の製造方法
JP2019063541A (ja) 使い捨て物品
GB2564067A (en) Composite textile sheet, disposable textile product using composite textile sheet, gloves, raincoa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osable textile product
JP2018103483A (ja) 使い捨て繊維製品用生地
WO2016182016A1 (ja) 使い捨て衣類
JP6945328B2 (ja) 複合繊維シート、複合繊維シートを用いた使い捨て繊維製品、マスク及び手術着
WO2017094275A1 (ja) 使い捨て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販売方法
US20190110529A1 (en) Composite textile sheet, disposable textile product using composite textile sheet, glove, raincoa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osable textile product
JP6883964B2 (ja) 加温機能付き使い捨て製品
RU2708598C2 (ru) Тканевая основа для одноразового текстильного изделия и одноразовое текстильное изделие с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WO2016181575A1 (ja) 使い捨て製品用の機能性生地素材
WO2016181576A1 (ja) 使い捨て衣類
WO2016181931A1 (ja) 使い捨て衣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