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873B1 - 점착제 조성물, 광학필름 및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점착제 조성물, 광학필름 및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873B1
KR101748873B1 KR1020090011824A KR20090011824A KR101748873B1 KR 101748873 B1 KR101748873 B1 KR 101748873B1 KR 1020090011824 A KR1020090011824 A KR 1020090011824A KR 20090011824 A KR20090011824 A KR 20090011824A KR 101748873 B1 KR101748873 B1 KR 101748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ic copolymer
weight
sensitive adhesive
pressure
reactive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6951A (ko
Inventor
신야 핫토리
히로토 나카노
카모이 아키라
나오미 후루에
Original Assignee
닛뽕 카바이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 카바이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뽕 카바이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26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광학필름의 첩착에 사용되고 고온 고습의 환경하에 있어도 우수한 내구성을 나타냄과 함께, 빛샘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는 광학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제가 붙어있는 광학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아크릴계 공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이상 30중량부 이하, 첨가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 조성물

Description

점착제 조성물, 광학필름 및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ADHESIVE COMPOSITION, OPTICAL FILM AND FABRICATION METHOD FOR ADHESIVE COMPOSITION}
본 발명은 편광필름, 위상차필름 등의 광학필름을, 액정셀 등의 피착체에 첩착하는 것에 이용하는 광학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당해 점착제가 붙어있는 광학필름, 및 당해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고온 고습 하에서도 우수한 내구성을 보이는 것과 함께, 빛샘 현상이 발생하기 어려운 특성을 가지는 광학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당해 점착제가 붙어있는 광학필름, 및 당해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통상, 글래스 등의 2매의 지지기판 사이에, 소정의 방향으로 배향한 액정성분을 협지한 액정셀과, 편광필름이나 위상차필름, 휘도향상 필름 등의 광학필름으로 구성되어 있고, 광학필름끼리의 적층이나 광학필름을 액정셀에 첩착할 때에 점착제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액정표시장치는, 퍼스널 컴퓨터나 텔레비전, 카 네비게이션 등의 표시장치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에 따라 고온 고습 하와 같은 가혹한 환경하에서의 사용에 있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즉, 장기간의 사용에 있어서도 벗겨짐이나 기포발생 등이 발생하지 않는 점착제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고온 고습 하와 같은 가혹한 환경하에 있어 광학필름은 수축이나 팽창 등의 수치변화가 크고, 당해 수치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을 점착제층이 완화하지 못하여, 광학필름의 잔류응력이 불균일하게 된다. 그 결과, 액정표시장치의 주변부로부터 빛이 새어 나와 하얗게 되는, 이른바 [빛샘 현상]이 문제로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점착제 조성물에 저분자량 중합체를 첨가하는 것에 의하여 응력완화성을 지니게 한 점착제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특개평 10-279907호 공보)에는, 고분자량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중량 평균 분자량이 3만 이하의 저분자량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다관능성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당해 점착제 조성물은 편광판의 수치변화에 추종하기에 빛샘 현상이 발생하기 어렵다고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점착제 조성물에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3만 이하의 저분자량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첨가량이 많기 때문에, 고온 고습 하에서의 발포나 벗겨짐을 막기는 어렵다.
또한, 특허문헌 2(특개 2006-133606호 공보)에는, 관능기함유 단량체가 0.5중량% 이하인 저(低) 글래스 전이온도(Tg)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관능기함유 단량체가 6중량% 이상인 고(高)글래스 전이온도(Tg)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혼합물과, 관능기와 반응 가능한 가교제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겔분율 30중량% 미만의 점착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 점착제 조성물은 고글래스 전이온도(Tg)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분자 내에 가교구조를 형성하고, 저글래스 전이온 도(Tg)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분자 간을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다량체로 구속하는 것에 의하여 응집력을 발현하고 있다. 하지만, 이 점착제 조성물은 분자 간에 가교구조가 거의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빛샘 현상이 발생하기 어렵지만, 고온 하에서의 응집력이 낮고, 내구성 평가에 있어서 발포나 벗겨짐의 발생을 억제하기는 어렵다.
또한, 특허문헌 3(특개 2004-224873호 공보)에는, 카르복실기와 수산기를 가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0.3~3중량부 첨가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당해 점착제 조성물은 내구성 및 빛샘 현상의 억제가 우수하다고 기재되어 있다. 이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공개 공보의 실시예에 있는 소형의 액정표시장치에 이용하는 경우는, 내구성 및 빛샘 현상의 억제가 우수하다. 하지만, 대형의 액정표시장치에 이용하는 경우는, 내구성 및 빛샘 현상의 억제는 뒤떨어지므로, 보다 우수한 내구성과 보다 높은 레벨의 빛샘 현상의 억제를 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근년, 액정표시장치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광학필름의 사이즈도 커지고 있다. 광학필름의 팽창이나 수축 등의 수치변화는, 사이즈가 커질수록 커지기 때문에, 보다 높은 내구성과 빛샘 현상의 억제가 요구되고 있다. 대화면의 액정표시장치에 이용하여도 내구성을 만족하는 점착제로서 응집력을 높게 한 점착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4(특개평 9-113724호 공보)에는 카르복실기 또는 아미드기를 함유하고, 수산기를 함유하지 않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카르복실기 또는 아미드기와 수산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B)를 20/80~50/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혼합물에,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 특허문헌 4에 기재되는 점착제 조성물은 고온 고습 하에서의 발포나 벗겨짐을 억제할 수는 있어도, 응력완화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빛샘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특허문헌 1] 특개평 10-279907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개 2006-133606호 공보
[특허문헌 3] 특개 2004-224873호 공보
[특허문헌 4] 특개평 9-113724호 공보
특허문헌 1~4의 점착제 조성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구성과 빛샘 현상의 억제를 양립할 수 있는 광학필름을 제공하는 것은 곤란하다. 예를 들면, 대화면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에 이용하는 광학필름의 사이즈는, 근년, 점점 더 증대하고 있어, 사이즈의 증대에 수반하여, 고온 고습 하에 있어서의 광학필름의 수치변화도 증대하므로, 더욱 높은 레벨로 내구성과 빛샘 현상을 억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충분히 내구성과 빛샘 현상의 억제를 아울러 발현할 수 있는 광학필름은, 아직 제공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구성과 빛샘 현상 억제의 양립을 목적으로 하며, 특히 사이즈가 큰 광학필름을 사용했을 때에서도 고온 고습 하에서의 내구성이 우수하고, 빛샘 현상을 억제하는 광학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당해 점착제가 붙어있는 광학필름, 및 당해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하의 구성을 갖추는 점착제 조성물, 광학필름, 및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1)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아크릴계 공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이상 30중량부 이하, 첨가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2) 아크릴계 공중합체(A)는, 반응성 관능기로서의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카르복실기함유 단량체 0.5중량% 이상 5중량% 이하를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상기 (1) 기재의 점착제 조성물.
(3) 아크릴계 공중합체(A)는, 반응성 관능기로서의 수산기를 함유하는 수산기함유 단량체 0.001중량% 이상 1중량% 이하를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더 함유하는 상기 (2) 기재의 점착제 조성물.
(4)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는 다른,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C)를 더 포함하고,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은,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아크릴계 공중합체(C)와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첨가되는 상기 (1) 기재의 점착제 조성물.
(5) 아크릴계 공중합체(A)는, 반응성 관능기로서의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카르복실기함유 단량체 0.5중량% 이상 5중량% 이하를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아크릴계 공중합체(C)는, 반응성 관능기로서의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카르복실기함유 단량체 0.1중량% 이상 5중량% 이하와, 반응성 관능기로서의 수산기를 함유하는 수산기함유 단량체 0.01중량% 이상 5중량% 이하를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상기 (4) 기재의 점착제 조성물.
(6) 아크릴계 공중합체(A) 및 아크릴계 공중합체(C) 각각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만 이상 250만 이하인 상기 (5) 기재의 점착제 조성물.
(7)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아크릴계 공중합체(C)가 50/50 이상 99/1 이하의 중량비로 함유되어 있는 상기 (6) 기재의 점착제 조성물.
(8)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반응성 관능기에 가 교반응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과, 반응성 관능기에 가교하지 않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로 형성되는 반응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9)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은, 반응성 관능기 1당량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당량이 1을 넘는 양인 상기 (8) 기재의 점착제 조성물.
(10) 상기(1)~(9)의 어느 한 항에 기재의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가지는 광학필름.
(11)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반응성 관능기에 가교반응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을 혼합하는 공정을 갖추고, 혼합하는 공정은, 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반응성 관능기의 당량보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당량이 많아지는 양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을 아크릴계 공중합체(A)에 혼합하는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광학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당해 점착제가 붙어있는 광학필름, 및 당해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응집력과 응력완화성의 밸런스가 양호하기 때문에, 고온 고습의 환경하에 있어서도 내구성이 우수하고 빛샘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전심으로 연구를 거듭한 결과,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특정 양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을 첨가한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내구성과 빛샘 현상의 억제 양립을 도모할 수 있는 점 착제 조성물(이하, [단독계 점착제 조성물]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찾아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고자 전심으로 연구를 거듭한 결과,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는 다른,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C)와의 혼합물에 특정 양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C)을 첨가한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내구성과 빛샘 현상의 억제 양립을 도모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이하, [혼합계 점착제 조성물]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찾아냈다.
[제 1 실시형태]
(단독계 점착제 조성물)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은,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특정 양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을 함유한다. 제 1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반응성 관능기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이 가교반응함과 함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의 가교반응에 기여하지 않았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환경 중의 물과 반응하는 것에 의하여 생성되는 반응물로서의 다량체를 형성하고, 그것에 의해 양호한 점착특성을 가진다고 생각된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계 공중합체(A)란, 공중합체 중에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이하, [아크릴]을 포함하는 단어와[메타크릴]을 포함하는 단어를 병기하는 경우에는[(메타)아크릴]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주성분으로 하고,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를 공중합시킨 공중합체이다. 아크릴계 공중합체(A)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가 80중량% 이상 포함되는 공중합체를 의미하고, 90중량% 이상 포함되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로서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구조를 가지는 것이라면 특히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i-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i-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i-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n-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n-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의 탄소수 1~18의 직쇄 혹은 분지 알킬에스테르, 더욱이 이들의 각종 유도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아크릴계 공중합체(A) 중의 구성성분으로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을 반응시키는 목적으로,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인 것도,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정의할 때의, 아크릴계 공중합체(A) 중에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함유되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의 양으로서 카운트된다.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카르복실기함유 단량체, 수산기함유 단량체, 글리시딜기함유 단량체, 아미드기, N-치환 아미드기함유 단량체, 3급 아미노기함유 단량체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카르복실기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인산, 무수 말레인산, 포말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계피산, 호박산 모노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말레인산모노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포말산모노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탈산모노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1, 2-디카르복시시클로헥산모노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다이머, ω-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수산기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3-메틸-3-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1,1-디메틸-3-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1,3-디메틸-3-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2,4-트리메틸-3-히드록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3-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N-메티롤아크릴아미드, 아릴알콜, 메탈릴알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글리시딜기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비닐에테르, 3,4-에폭시시클로헥실비닐에테르, 글리시딜(메타)아릴에테르,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타)아릴에테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아미드기, N-치환 아미드기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에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프로폭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tert-부틸아크릴아미드, N-옥틸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3급 아미노기함유 단량체로서는,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공중합체 성분으로서의 각종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 중, 카르복실기함유 단량체, 또는, 카르복실기함유 단량체 및 수산기함유 단량체가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아크릴계 공중합체(A)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르복실기함유 단량체가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포함되는 비율은, 점착제의 응집력을 증가시켜 점착제 조성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아크릴계 공중합체(A)에 대하여 0.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으로 한다. 또한, 카르복실기함유 단량체가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포함되는 비율은, 점착제 조성물의 접착력이 너무 높아지는 것의 억제를 목적으로, 아크릴계 공중합체(A)에 대하여 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하로 한다.
수산기함유 단량체가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포함되는 비율은, 빛샘 현상을 억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아크릴계 공중합체(A)에 대하여, 0.00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으로 한다. 또한, 수산기함유 단량체가 공중합체 성분으로 서 포함되는 비율은, 내구성 시험에서의 벗겨짐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1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하로 한다.
제 1 실시형태의 아크릴계 공중합체(A)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정의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이외의 단량체를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이외의 단량체로서는, 일 예로, 포화지방산비닐에스테르, 방향족비닐에스테르, 시안화비닐 단량체, 말레인산 혹은 포말산의 디에스테르를 이용할 수 있다. 포화지방산비닐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포름산비닐, 초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바사틱산비닐](상품명) 등 (바람직하게는 초산비닐);방향족비닐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등; 시안화비닐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말레인산 혹은 푸말산의 디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디메틸말레이트, 디-N-부틸말레이트, 디-2-에틸헥실말레이트, 디-N-옥틸말레이트, 디메틸푸말레이트, 디-N-부틸푸말레이트, 디-2-에틸헥실푸말레이트, 디-N-옥틸푸말레이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중량 평균분자량(Mw)은, 점착제 조성물에 충분한 응집력을 부여하여, 기포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100만 이상, 바람직하게는 120만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40만 이상으로 한다. 또한, 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중량 평균분자량(Mw)은, 점착제 조성물의 도공 작업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250만 이하로 한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분자량(Mw)은, 아래와 같은 방법에 의해 측정 된 값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Mw)의 측정방법)
하기의 (1)~(3)에 따라 측정한다.
(1) 아크릴계 공중합체 용액을 박리지에 도포하고, 100℃에서 2분간 건조하고, 필름상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얻는다.
(2) 상기 (1)에서 얻어진 필름상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테트라히드로퓨란으로 고형분 0.2%가 되도록 용해시킨다.
(3) 하기 조건에서,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PC)를 이용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분자량(Mw)을 측정한다.
(조건)
GPC: HLC-8220 GPC [Tosoh Corporation제(製)]
칼럼: TSK-GEL GMHXL 4본 사용
이동상 용매: 테트라히드로퓨란
유속: 0.6m1/분 칼럼온도: 40℃
제 1 실시형태의 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글래스 전이온도(Tg)는, 점착제 조성물에 충분한 응집력을 부여하여 충분한 내구성을 발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으로 한다. 또한, 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글래스 전이온도(Tg)는, 지지기판에 대한 충분한 밀착성을 점착제 조성물에 발휘시켜, 벗겨짐 등이 발생하지 않는 내구성을 발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이하로 한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글래스 전이온도(Tg)는 하기의 식 1의 계산에 의해 구할 수 있는 온도(K)를 (℃)로 환산한 값이다.
식 1: [1/Tg=M1/Tg1+M2/Tg2+M3/Tg3+…+Mn/Tgn]
식에 있어서, Tg1, Tg2, Tg3…및 Tgn은, 성분 1, 성분 2, 성분 3…및 성분n 각각의 호모폴리머의 글래스 전이온도(K)를 나타낸다. 또한, 식에 있어서, M1, M2, M3…및 Mn은 각종 성분의 몰분율을 나타낸다.
제 1 실시형태에 이용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합방법은, 특히 제한되지 않고, 용액중합, 유화중합, 현탁중합 등의 방법에 의해 중합할 수 있다. 또,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공중합체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제 1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처리공정이 비교적 간단하고, 더욱이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용액중합에 의하여 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액중합은, 일반적으로, 중합조 내에 소정의 유기용매, 단량체, 중합개시제, 및 필요에 따라 이용되는 연쇄이동제를 넣고, 질소기류 중 또는 유기용매의 환류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수시간 가열반응시키는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중량 평균분자량은, 반응온도, 시간, 용제량, 촉매의 종류나 양을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소망한 분자량으로 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공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하여, 5~30중량부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을 함유한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로서는, 예를 들면, 크실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트릴렌디이소시아네 이트 등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당해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수소첨가물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 그들의 이소시아네이트의 2 량체 혹은 3 량체 또는 이들 이소시아네이트와 트리메티롤프로판 등의 폴리올과의 어덕트체 등의 각종 이소시아네이트에 유래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은, 예를 들면 [콜로네이트L], [콜로네이트HX], [콜로네이트HL-S], [콜로네이트 2234]〔이상 일본 폴리우레탄공업(주) 제(製)〕, [디스모듈N3400]〔스미토모(住友) 바이엘우레탄(주) 제(製)〕, [듀라네이트E-405-80T], [듀라네이트TSE-100]〔아사히(旭) 화성공업(주) 제(製)〕, [타케네이트D-110N], [타케네이트D-120N], [타케네이트M-631N]〔이상 미쯔이타케다(三井武田)케미컬(주) 제(製)〕 등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을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로서 내구성과 빛샘 현상성의 관점으로부터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에서 유래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에서 유래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공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의 사용량은, 빛샘 현상을 억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5중량부 이상으로 한다. 또한, 아크릴계 공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의 사용량은,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의 상용성(相溶性)을 확보하고, 점착제로서 충분한 끈적임을 발생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30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20중 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이하로 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은 공중합체와의 가교에 기여하고 있지 않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환경 중의 물과 반응하는 것에 의하여 다량체를 형성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물의 반응성은 비교적 높아, 수지의 반응성 관능기에 대하여 과잉량으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넣지 않아도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일부는 환경 중의 물과 반응하는 것에 의하여 다량체를 형성한다고 생각되지만, 빛샘 현상의 억제와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많은 다량체를 형성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반응성 관능기의 합계 1당량에 대하여 1당량보다 많게, 바람직하게는 1.2당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5당량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사용한다.
제 1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 이외의 가교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 이외의 가교제로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반응해 가교구조를 형성하는 것인 한,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아지리딘화합물, 에폭시화합물, 멜라민포름알데히드축합물, 금속염, 금속킬레이트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B) 이외의 가교제는 각각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B) 이외의 가교제로서 아지리딘화합물, 및/또는 에폭시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지리딘화합물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과 에틸렌이민과의 반응생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상기에서 예시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 트리메티롤프로판이나 펜타에리트리톨 등의 폴리올과 (메타)아크릴산 등과의 다가(多價)에스테르에 에틸렌이민을 부가시킨 화합물도 알려져 있고, 사용할 수 있다.
아지리딘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N,N'-헥사메틸렌비스(1-아지리딘카르보아미드), 메틸렌비스[N-(1-아지리디닐카르보닐)-4-아닐린], 테트라메티롤메탄-트리스(β-아지리디닐프로피오나이트),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스(β-아지리디닐프로피오나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여기서, 이들 중, 예를 들면[TAZO], [TAZM]〔이상 상호(相互) 약공(주) 제(製)〕, [케미타이트PZ-33]〔(주) 일본촉매 제(製)〕등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을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롤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롤트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레졸신디글리시딜에테르, 2,2-디브로모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소르비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아디핀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프탈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트리스(글리시딜)이소시아눌레이트, 트리스(글리시독시에틸)이소시아눌레이트, 1,3-비스(N, N-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리렌디아민 등 을 이용할 수 있다.
에폭시화합물 중, 세 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에폭시화합물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트리스(글리시딜)이소시아눌레이트, 트리스(글리시독시에틸)이소시아눌레이트, 1,3-비스(N, N-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N, N, N', 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리렌디아민 등의 에폭시화합물의 사용이 더 바람직하고, 1,3-비스(N,N-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리렌디아민의 사용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에폭시화합물은, 예를 들면 [TETRAD-C], [TETRAD-X]〔미쯔비시가스화학(주) 제(製)〕등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을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또 실란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란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메르캅토기함유 실리콘알콕시올리고머, 에폭시기 함유 실리콘알콕시올리고머, 아미노기함유 실리콘알콕시올리고머, 페닐기함유 실리콘알콕시올리고머, 메틸기함유 실리콘알콕시올리고머 등의 유기치환기함유 실리콘알콕시올리고머, 예를 들면,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디메톡시메틸실란 등의 메르캅토기함유 실란화합물; 예를 들면,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지환식 에폭시기 함유 실란화합물; 예를 들면, 메틸트리(글리시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에폭시기 함유 실란화합물; 예를 들면, 3-트리에톡시시릴프로필호박산(무수물), 3-트리메톡시시릴프로필호 박산(무수물), 3-메틸디메톡시시릴프로필호박산(무수물), 메틸디에톡시시릴프로필호박산(무수물), 1-카르복시-3-트리에톡시시릴프로필호박산(무수물) 등의 카르복실기함유 실란화합물; 예를 들면,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아미노기함유 실란화합물; 예를 들면, γ-히드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히드록실기함유 실란화합물; 예를 들면, γ-아미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아미드기함유 실란계 화합물; 예를 들면, γ-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실란 화합물; 예를 들면, 트리스(3-트리메톡시시릴프로필)이소시아눌레이트, 트리스(3-트리에톡시시릴프로필)이소시아눌레이트 등의 이소시아눌레이트 골격함유 실란화합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실란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은, 내구성의 향상에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공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한 실란화합물의 사용량은, 점착제 조성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0.01~3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2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1중량부로 한다.
제 1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은, 상술한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이외의 가교제, 실란화합물 외에, 제 1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이 발휘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의 양으로, 각종 첨가제, 용제, 내후성(耐候性) 안정제, 점착부여제(tackifier), 가소제, 연화 제, 염료, 안료, 무기충전제 등을 적의 배합할 수 있다.
내후성 안정제, 점착부여제, 가소제, 연화제, 염료, 안료, 무기 충전제 등의 배합량의 범위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해, 30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하로 한다. 배합량을 상기의 범위 내로 하는 것에 의하여, 점착제 조성물의 접착력, 젖음성(Wettability), 내열성, 호전착성(糊轉着性)의 밸런스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고, 양호한 각종 물성을 나타내는 점착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반응성 관능기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이 가교구조를 형성하고, 가교반응에 기여하지 않았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환경 중의 물과 반응하는 것에 의하여 다량체를 형성한다고 생각된다. 가교구조 및 다량체가 형성된 후에 있어서 겔분은, 내구성 평가에 있어서, 발포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6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이다. 또한, 가교구조 및 다량체가 형성된 후에 있어서의 겔분은, 내구성 평가에 있어서 벗겨짐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95중량% 이하이다.
겔분은, 하기와 같이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의 겔분의 측정)
하기와 같이 (1)~(6)에 따라서 측정한다.
(1) 점착제 조성물의 용액을 실리콘계 이형제(離型劑)로 표면처리된 박리시트에, 건조 후의 도공량이 25g/㎡이 되도록 도포하고, 100℃에서 90초간 열풍순환 식 건조기로 건조하고, 필름상의 감압 접착제층을 형성한다.
(2) 형성된 감압 접착제층을 23℃, 습도 65%RH로 10일간 양성한다.
(3) 정칭(精秤)한 250메쉬의 철망(100㎜×100㎜)에 (2)에서 얻은 필름상 점착제층을 약 0.25g 첩부하고, 겔분이 새지 않도록 싼다. 그 후, 정밀 천칭으로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시료를 제작한다.
(4) 상기 철망을 초산에틸 용액에 3일간 침지한다.
(5) 침지 후, 철망을 취출하여 소량의 초산에틸로 세정하고, 120℃에서 24시간 건조한다. 그 후, 정밀 천칭으로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한다.
(6) 하기의 식에 의해 겔분을 계산한다.
겔분(중량%)=(C-A)/(B-A)×100
단, A는 철망의 중량(g), B는 점착제를 첩부한 철망의 중량(점착제중량)(g), C는 침지 후, 건조시킨 철망의 중량(겔 수지중량)(g)이다.
제 1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은, 적어도,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반응성 관능기에 가교반응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을 혼합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그리고 이 혼합하는 공정에 있어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반응성 관능기의 당량보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당량이 많아지는 양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이 아크릴계 공중합체(A)에 혼합된다. 구체적으로는,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를 준비하는 공정과, 반응성 관능기에 가교반응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을 준비하는 공정과, 준비한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준비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을 혼합 하는 공정을 거쳐 합성된다. 그리고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을 준비하는 공정은, 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반응성 관능기의 당량보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당량이 많아지는 양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을 준비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광학필름은, 제 1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점착제층을 가지는 광학필름이다. 그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박리 시트상에 제 1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하는 것에 의하여 박리 시트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박리 시트상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광학필름에 전사(轉寫)하고, 그 다음에 양생시켜 제작할 수 있다.
박리 시트로서는, 불소계 수지, 파라핀 왁스, 실리콘 등의 이형제로 이형처리를 한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박리 시트상에 형성되는 점착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건조 후의 두께로 1~100㎛, 바람직하게는 5~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30㎛ 정도의 두께로 한다.
박리 시트상에 도포된 점착제 조성물은, 열풍 건조기로 70~120℃, 1~3분 정도의 가열조건으로 건조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 이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가지는 광학필름의 피착체에 대한 접착력은, 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반응성 관능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 등의 종류나 양을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소망하는 접착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제 1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 이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이루어지는 점착제 층을 가지는 광학필름은, 상술한 구성을 갖추므로, 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반응성 관능기와 가교제의 반응에 의한 화학가교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의 가교반응에 기여하고 있지 않은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양생 환경에 있는 수분과 반응하여 다량체를 형성하고,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분자쇄(분자사슬)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물리가교에 의하여 높은 응집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내구성이 양호하고, 분자사슬의 움직임을 구속하고 있는 물리가교 부분에는 유동성도 있기 때문에 응력완화성도 우수하다고 생각되어, 내구성과 빛샘 현상의 억제를 높은 수준으로 겸비할 수 있다.
즉, 제 1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반응성 관능기의 당량보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당량이 많아지는 양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을 이용하므로, 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반응성 관능기와 가교제와의 반응에 의한 화학가교뿐만 아니라, 아크릴계 공중합체(A)에 첨가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 중, 아크릴계 공중합체(A)에 반응하지 않았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에서 유래하는 다량체가 생성된다. 이에 의해, 제 1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반응성 관능기와 가교제와의 반응에 의한 화학가교에 의하여 생성된 분자사슬의 엉킨 구조 중에,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의 다량체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은, 반응성 관능기와 가교제와의 반응에 의한 화학가교에 의하여 생성된 분자사슬의 엉킨 구조 중에 다량체가 불균일하게 분산하고 있어, 예를 들면, 가시광선에 대하여 양호한 투명성을 확보하면서, 내구성과 빛샘 현상의 억제를 높은 수준으로 실현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혼합계 점착제 조성물)
제 2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은,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는 다른,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C)와 특정 양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을 함유한다. 즉, 제 2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공중합체(C)를 더 함유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과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갖춘다. 따라서, 차이점을 제외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제 2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도, 아크릴계 공중합체(A) 및 아크릴계 공중합체(C)의 반응성 관능기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이 가교반응하는 것과 함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 중 가교반응에 기여하지 않았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환경 중의 물과 반응하는 것에 의하여 생성되는 반응물로서의 다량체를 형성하고, 이에 의하여 양호한 점착 특성을 가진다고 생각된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공중합체 성분으로서의 각종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 중, 특히 카르복실기함유 단량체가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아크릴계 공중합체(A)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계 공중합체(C)는, 공중합체 내에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하고,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및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를 공중합시킨 공중합체이고, 아 크릴계 공중합체(A)와는 다르다. 제 2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은 수지성분으로서,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아크릴계 공중합체(C)와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응집력과 응력완화성을 양호한 밸런스로 조정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아크릴계 공중합체(C)의 공중합체 성분으로서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 및 그 외의 단량체로서 아크릴계 공중합체(A)로 예시한 공중합체성분과 동양의 공중합체성분을 이용할 수 있다.
공중합체성분으로서의 각종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 중, 카르복실기함유 단량체 및 수산기함유 단량체가,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아크릴계 공중합체(C)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공중합체(C)에 카르복실기함유 단량체 및 수산기함유 단량체가 포함되어 있으면, 높은 응집력을 가짐과 함께, 수지성분의 응집력과 응력완화성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아크릴계 공중합체(C)를 실현할 수 있다.
카르복실기함유 단량체가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포함되는 비율은, 점착제의 응집력을 증가시켜 점착제 조성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아크릴계 공중합체(C)에 대하여 0.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3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상으로 한다. 또한, 카르복실기함유 단량체가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포함되는 비율은, 점착제 조성물의 접착력이 너무 높아지는 것의 억제를 목적으로, 아크릴계 공중합체(C)에 대하여 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하로 한다.
수산기함유 단량체가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포함되는 비율은, 빛샘 현상을 억 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아크릴계 공중합체(C)에 대하여, 0.0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3중량% 이상으로 한다. 또한, 수산기함유 단량체가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포함되는 비율은, 내구성 시험에서의 벗겨짐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로 한다.
제 2 실시형태의 아크릴계 공중합체(C)의 중량 평균분자량(Mw)은, 점착제 조성물에 충분한 응집력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100만 이상, 바람직하게는 120만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40만 이상으로 한다. 또한, 아크릴 공중합체(C)의 중량 평균분자량(Mw)은, 점착제 조성물의 도공 작업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250만 이하로 한다.
제 2 실시형태의 아크릴계 공중합체(C)의 글래스 전이온도(Tg)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글래스 전이온도와 동일하지만, 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글래스 전이온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글래스 전이온도(Tg)와 아크릴계 공중합체(C)의 글래스 전이온도(Tg)가 상기 관계라면, 아크릴계 공중합체(C)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 이상의 응집력을 가지고 있어, 수지성분의 응집력과 응력완화성의 밸런스를 취하기가 쉽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C)의 글래스 전이온도는, 점착제 조성물에 충분한 응집력을 부여하여 충분한 내구성을 발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으로 한다. 또한, 아크릴계 공중합체(C)의 글래스 전이온도는, 지지기판에 대한 충분한 밀착성을 점착제 조성물에 발휘시켜, 벗겨짐 등이 발생하지 않는 내구성을 발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0℃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이하로 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이용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C)의 중합방법은, 특히 제한되지 않고,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같은 방법으로 중합할 수 있다. 또, 중합에 의하여 얻어지는 공중합체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제 2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처리공정이 비교적 간단할 뿐만 아니라,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는 것이기에 용액 중합에 의하여 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용액 중합은,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실시형태의 아크릴계 공중합체(C)의 중량 평균분자량에 있어서도, 반응온도, 시간, 용제량, 촉매의 종류나 양을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소망의 분자량으로 할 수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용해성 파라미터(SPA)와 아크릴계 공중합체(C)의 용해성 파라미터(SPB)와의 차이(△SP=SPA-SPB)는 -0.5~0.5가 바람직하고, -0.4~0.4가 더욱 바람직하고, -0.2~0.2가 특히 바람직하다. 용해성 파라미터의 차이(△SP)가 상기 범위내이면,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아크릴계 공중합체(C)와의 상용성(相溶性)이 극히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용해성 파라미터는 Fedor의 방법으로 계산된다. Fedor의 방법은, 예를 들면, [SP값 기초·응용과 계산방법](야마모토히데기(著) 주식회사정보기구 발행, 2005년)에 기재되어 있다. Fedor의 방법에 있어서, 용해성 파라미터는 하기식 2에 의하여 산출된다.
식 2: 용해성 파라미터=[ΣECoh/ΣV]^2
식 2중에서, ECoh는 응집 에너지 밀도, V는 몰분자부피이다. 원자단별로 결정된 ECoh, 및 V에 근거하여, 고분자의 반복 단위에 있어서의 ECoh 및 V의, 총합ΣECoh 및 ΣV를 구하는 것에 의하여, 용해성 파라미터를 산출할 수 있다. 공중합체의 용해성 파라미터는, 상기 식 2에 의하여 그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각 구성단위 각각의 단독 공중합체의 용해성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이러한 SP값의 각각에, 각 구성 단위의 몰분율을 곱한 것을 합산하여 산출된다.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아크릴계 공중합체(C)를 혼합하는 비율은, 내구성 시험에서의 벗겨짐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중량비(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중량/아크릴계 공중합체(C)의 중량)로 50/5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3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20 이상으로 한다. 또한,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아크릴계 공중합체(C)를 혼합하는 비율은, 내구성 시험에서의 발포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중량비(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중량/아크릴계 공중합체(C)의 중량)로 99/1 이하, 바람직하게는 95/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90/10 이하로 한다.
그리고 제 2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아크릴계 공중합체(C)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5~30중량부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을 함유한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양의 화합물을 이용한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아크릴계 공중합체(C)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의 사용량은, 빛샘 현상을 억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5중량부 이상으로 한다. 또한,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아 크릴계 공중합체(C)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의 사용량은, 공중합체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과의 상용성(相溶性)을 확보하고, 점착제로서 충분한 끈적임을 발생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30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이하로 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도, 제 1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과 동양으로 공중합체와의 가교에 기여하고 있지 않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환경 중의 물과 반응하는 것에 의하여 다량체를 형성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빛샘 현상의 억제와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많은 다량체를 형성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아크릴계 공중합체(C)와의 반응성 관능기의 합계 1당량에 대하여 1당량보다 많게, 바람직하게는 1.01당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2당량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이용한다.
또한,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아크릴계 공중합체(C)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한 실란화합물의 사용량은, 점착제 조성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0.01~3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2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1중량부로 한다. 더욱이, 제 2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은, 상술한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아크릴계 공중합체(C)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이외의 가교제와, 실란화합물 이외의, 제 2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이 발휘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의 양으로, 제 1 실시형태와 동양으로, 각종 첨가제 등을 적당 배합할 수 있다.
더욱이, 제 2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아크릴계 공중합체(A) 및 아크릴계 공중합체(C)의 반응성 관능기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이 가교구조를 형성하고, 가교반응에 기여하지 않았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환경 중의 물과 반응하는 것에 의하여 다량체를 형성한다고 생각된다. 가교구조 및 다량체가 형성된 후에 있어서의 겔분은, 내구성 평가에 있어서 발포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6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이다. 또한, 가교구조, 및 다량체가 형성된 후에 있어서의 겔분은, 내구성 평가에 있어서 벗겨짐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95중량% 이하이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명한다. 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한 시험편의 제작, 및 각종 시험방법, 및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시험용 광학필름의 제작
광학필름의 일 예로서 편광필름을 사용하여 점착제층을 가지는 편광필름을 제작하였다. 실리콘계 이형제로 표면처리된 박리 필름상에, 건조 후의 도공량이 25g/㎠가 되도록,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다음으로, 100℃에서 90초간 열풍 순환식 건조기로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편광 베이스필름[폴리비닐알콜(PVA) 필름을 주체(主體)로 하는 편광자의 양면에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TAC) 필름을 라미네이트 한 것; 약 190㎛]의 이면에 점착제층 면을 붙이고, 가압 닙롤을 통하여 압착하였다. 압착 후, 23℃, 65%RH에서 10일간 양성시켜 점착제층을 가지는 편광필름을 얻었다.
(2) 접착력의 측정
[(1) 시험용 광학필름의 제작]에서 제작한 편광필름을 25㎜×50㎜로 커트한 후, 이 편광필름편을, 탁상 라미네이트기를 이용하여 두께 0.7㎜ 코닝사 제의 무 알칼리 글래스판[#1737]에 압착하여 시험샘플로 하였다. 이 샘플을 오토크레이브(autoclave) 처리(50℃, 5㎏/㎠, 20분)하였다. 다음으로 이 샘플을, 23℃, 65%RH의 조건하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180도 박리에 있어서의 접착력(박리속도: 300㎜/분)을 측정하였다.
(3) 내구성의 평가
[(1) 시험용 광학필름의 제작]에서 제작한 편광필름을, 흡수 축에 대하여 장변이 45°가 되도록 커트한 140㎜×260㎜(장변)의 시험편을 이용하여, 0.7㎜ 코닝사 제의 무 알칼리 글래스판[#1737]의 편면(片面)에 라미네이트를 이용하여 첩부하였다. 다음으로, 이 샘플에 오토크레이브(autoclave) 처리(50℃, 5㎏/㎠, 20분)를 실시하고, 23℃, 65%RH의 조건하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그 후, 다음의 온도, 및 습도 조건하에서 1000시간 방치하고, 발포, 벗겨짐, 뜸의 상태를 눈으로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내구성 평가 기준)
a) 발포
◎:발포가 전혀 안 보인다.
○:발포가 거의 안 보인다.
×:발포가 현저하게 보인다.
b) 벗겨짐
◎:4변에 있어서 벗겨짐이 없는 것.
○:4변에 있어서 외주 단부로부터 0.8㎜ 이상의 위치에 벗겨짐이 없는 것.
×:4변의 어느 한 변에 있어서 외주 단부로부터 0.8㎜ 이상의 위치에 벗겨짐이 있는 것.
(4) 빛샘 현상의 평가시험
[(3) 내구성의 평가]와 동양의 사이즈의 점착제층을 가지는 편광필름을 0.7㎜ 코닝사 제의 무 알칼리 글래스판[#1737]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가지는 편광을, 그 편광축이 서로 직교하도록 첩부한 시험샘플을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이 샘플에 오토크레이브(autoclave) 처리(50℃, 5kg/㎠, 20분)를 실시하고, 23℃, 65%RH의 조건하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그 후, 80℃, 드라이의 조건하에 500시간 방치하였다. 방치 후, 23℃, 65%RH의 조건하에서 균일광원을 사용하여, 빛샘 현상 상태를 눈으로 관찰하였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 빛샘이 전혀 인정되지 않음.
○: 빛샘이 거의 인정되지 않음.
×: 빛샘이 큼.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제조예 1)
온도계, 교반기, 질소도입관 및 환류냉각관을 구비한 반응기(反應器) 내에, n-부틸아크릴레이트(BA) 97중량부, 아크릴산(AA) 3중량부, 초산에틸(EAc) 100중량 부, 및 아조비스소부티로니트릴(AIBN) 0.2중량부를 넣고, 당해 반응용기의 공기를 질소가스로 치환한 후, 교반 하에 질소 분위기 중에서, 당해 반응용기의 내용물 온도를 65℃로 승온시켜 6시간 반응시키고, 더욱이 70℃로 승온시켜 2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EAc 20중량부에 AIBN O.4중량부를 용해시킨 용액을 1시간에 걸쳐 적하(滴下) 하고, 나아가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 혼합물을 톨루엔으로 희석하고, 고형분 22.68중량%, 점도 51400mPa·s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분자량은 172만이었다.
(제조예 8)
제조예 1과 동양의 반응기 내에, n-부틸아크릴레이트(BA) 98.975중량부, 아크릴산(AA) 1중량부,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EA) 0.025중량부, 초산에틸(EAc) 100중량부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2중량부를 넣고, 당해 반응용기의 공기를 질소가스로 치환한 후, 교반 하에 질소분위기 중에서, 당해 반응용기의 내용물 온도를 65℃로 승온시켜 6시간 반응시키고, 더욱이 70℃로 승온시켜 2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EAc 20중량부에 AIBN 0.4중량부를 용해시킨 용액을 1시간에 걸쳐 적하(滴下)하고, 나아가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 혼합물을 톨루엔으로 희석하고, 고형분 19.79중량%, 점도 12200mPa·s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분자량은 141만이었다.
(제조예 2-7, 및 제조예 9)
제조예 1에서 사용한 공중합체 조성 대신에, 공중합체 조성을 표 1의 각 제조예에 나타낸 단량체 조성으로 한 이외는 제조예 1과 동양으로 하여 중합을 실시 하였다. 표 1에, 각 제조예의 공중합체 조성, 고형분, 글래스 전이온도(Tg), 용해성 파라미터(SP값), 중량 평균분자량(Mw), 점도(mPa·s)를 나타냈다.
Figure 112009009015851-pat00001
(광학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아크릴계 공중합체(A)로서 제조예 1에서 합성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용액을 397중량부(아크릴계 공중합체(A)로서 90중량부), 아크릴계 공중합체(C)로서 제조예 5에서 합성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용액을 51중량부(아크릴계 공중합체(C)로서 1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로서 콜로네이트L 13.4중량부(일본폴리우레탄사제(製)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유효성분 10중량부), 실란 화합물로서 트리스(3-트리메톡시시릴프로필) 이소시아눌레이트를 0.2중량부(신에쯔(信越) 화학사 제(製) 실란화합물, 상품명 X-12-965, 유효성분 0.2중량부)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0.05중량부(신에쯔(信越) 화학사 제(製) 실란 화합물, 상품명 KBM-403, 유효성분 0.05중량부)를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아크릴계 공중합체(C)의 반응성 관능기의 합계 1당량에 대한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양(표 2, 표 3, 표 4에, [NCO/수지 관능기]로 기재)은 1.6당량이었다.
(실시예 11)
또한, 아크릴계 공중합체(A)로서 제조예 1에서 합성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용액을 505중량부(아크릴계 공중합체(A)로서 10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로서 콜로네이트L 13.4중량부(일본 폴리우레탄사 제(製)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유효성분 10중량부), 실란 화합물로서 트리스(3-트리메톡시시릴프로필) 이소시아눌레이트를 0.2중량부(신에쯔(信越)화학사 제(製) 실란 화합물, 상품명 X-12-965, 유효성분 0.2중량부)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0.05중량부(신에쯔(信越)화학사 제(製) 실란 화합물, 상품명 KBM-403, 유효성분 0.05중량부)를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반응성 관능기의 합계 1당량에 대한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양(표 2, 표 3, 표 4에, [NCO/수지 관능기]로 기재)은 2.96당량이었다.
(실시예 2~10, 실시예 12~17, 비교예 1~6)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배합조성 대신에, 표 2, 및 표 3에 나타낸 각 실시예, 및 표 4에 나타낸 비교예의 배합조성을 채용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 11과 동양으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실시예 2~10, 실시예 12~17의 점착제 조성물, 및 비교예 1~6의 점착제 조성물)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술한 시험용 광학필름의 제작방법에 의하여 시험용 광학필름을 제작하고, 상술한 각종 측정을 실시하였다. 실시예에 대한 결과를 표 5, 및 표 6에 나타내고, 비교예에 대한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Figure 712016003957236-pat00008
Figure 712016003957236-pat00009
Figure 712016003957236-pat00010
또, 표 2 ~ 표 4에 있어서의 각 배합물의 약호(略號)는 하기와 같으며, 각 성분의 첨가량은 유효성분의 중량부이다.
콜로네이트L: 일본폴리우레탄사 제(製)의 트리메티롤프로판의 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유효성분 75중량%,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
TMSI: 신에쯔(信越) 화학사 제(製)의 실란화합물, 상품명: X-12-965, 화학명:트리스(3-트리메톡시시릴프로필)이소시아눌레이트, 유효성분 100중량%, 실란 화합물
KBM-403: 신에쯔(信越) 화학사 제(製)의 실란화합물, 상품명: KBM-403, 화학명: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유효성분 100중량%, 실란 화합물
TETRAD-X: 미쯔비시가스화학(주) 제(製)의 에폭시 화합물, 상품명: TETRAD-X, 화학명: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렌디아민, 유효성분 100중량%, 에폭시 화합물
TAZM: 상호(相互) 약공(주) 제(製)의 아지리딘 화합물, 상품명: TAZM, 화학명: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스(β-아지리디닐프로피오나이트), 유효성분 100%, 아지리딘 화합물
X-41-1805: 신에쯔(信越) 화학사 제(製)의 실란 화합물, 상품명: X-41-1805, 유기치환기로서 메르캅토기, 알콕시기로서 메톡시기와 에톡시기를 함유하는 실리콘알콕시올리고머, 유효성분 100중량%, 실란 화합물
Figure 112009009015851-pat00005
Figure 712016003957236-pat00011
Figure 712016003957236-pat00012
또, 제 1 및 제 2 실시형태, 및 실시예와 관련되는 광학필름용 점착제를 가지는 광학필름은, 내구성이 양호하고, 빛샘 현상이 억제되기 때문에, 퍼스널 컴퓨터, 텔레비전, 카네비게이션 등의 표시장치에 이용되는 광학필름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및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기에 기재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관한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 중에 설명한 특징의 조합 전부가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필요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Claims (11)

  1.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하여, 6중량부 이상 30중량부 이하, 또한, 상기 반응성 관능기의 1당량에 대한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당량이 1.5 이상이 되도록 첨가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광학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단, 가교 부위를 갖지 않는 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A)는, 상기 반응성 관능기로서의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카르복실기함유 단량체 0.5중량% 이상 5중량% 이하를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광학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A)는, 상기 반응성 관능기로서의 수산기를 함유하는 수산기함유 단량체 0.001중량% 이상 1중량% 이하를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더 함유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광학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4.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는 다른,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C)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C)와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6중량부 이상 30중량부 이하, 또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C)의 상기 반응성 관능기의 합계 1당량에 대한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당량이 1.59 이상이 되도록 첨가되는 이소시아네트 화합물(B)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광학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A)는, 상기 반응성 관능기로서의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카르복실기함유 단량체 0.5중량% 이상 5중량% 이하를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C)는, 상기 반응성 관능기로서의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카르복실기함유 단량체 0.1중량% 이상 5중량% 이하와, 상기 반응성 관능기로서의 수산기를 함유하는 수산기함유 단량체 0.01중량% 이상 5중량% 이하를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광학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A) 및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C) 각각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만 이상 250만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광학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C)가 50/50 이상 99/1 이하의 중량비로 함유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광학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상기 반응성 관능기에 가교반응하는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과,
    상기 반응성 관능기에 반응하지 않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와 물의 반응물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광학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9. 삭제
  10.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되는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광학필름용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가지는 광학필름.
  11.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상기 반응성 관능기에 가교반응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을 혼합하는 공정을 갖추고,
    상기 혼합하는 공정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상기 반응성 관능기의 당량에 대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당량이 1.5배 이상이되는 양의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을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A)에 혼합하는, 제 1항 내지 제 3항 및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되는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광학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90011824A 2008-09-01 2009-02-13 점착제 조성물, 광학필름 및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748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23347 2008-09-01
JP2008223347 2008-09-01
JPJP-P-2008-232771 2008-09-11
JP2008232771 2008-09-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951A KR20100026951A (ko) 2010-03-10
KR101748873B1 true KR101748873B1 (ko) 2017-06-19

Family

ID=42178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824A KR101748873B1 (ko) 2008-09-01 2009-02-13 점착제 조성물, 광학필름 및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5923231B2 (ko)
KR (1) KR101748873B1 (ko)
TW (1) TWI4877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2433B2 (ja) * 2009-08-06 2014-06-18 Dic株式会社 粘着剤、それを用いて得られる粘着フィルム及び積層体
JP5526645B2 (ja) * 2009-08-07 2014-06-18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光学用粘着剤および該光学用粘着剤を用いた光学用粘着シート
JP5465079B2 (ja) * 2010-04-26 2014-04-09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粘着剤付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5635299B2 (ja) * 2010-04-30 2014-12-03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層、その製造方法、粘着型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5562173B2 (ja) * 2010-08-19 2014-07-3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CN103025837B (zh) * 2010-08-24 2016-05-04 日本电石工业株式会社 粘合剂组合物
JP5561053B2 (ja) * 2010-09-13 2014-07-30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剤及びそれを用いた粘着フィルム
JP5678531B2 (ja) * 2010-09-13 2015-03-04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剤及びそれを用いた粘着フィルム
JP5697023B2 (ja) * 2010-12-14 2015-04-08 サイデン化学株式会社 粘着剤層付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063691A (ja) * 2014-10-16 2015-04-09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層、その製造方法、粘着型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6386408B2 (ja) * 2015-03-30 2018-09-05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JP6886401B2 (ja) 2015-08-18 2021-06-16 綜研化学株式会社 偏光板用の粘着剤層および粘着剤組成物
JP6580506B2 (ja) * 2016-03-29 2019-09-25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剤層付偏光板
KR101992002B1 (ko) * 2016-11-25 2019-06-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6151A (ja) * 2003-11-17 2005-06-09 Soken Chem & Eng Co Ltd 保護シート用感圧接着剤
JP2008144126A (ja) * 2006-11-17 2008-06-26 Fujifilm Corp アクリレート系粘着剤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3724A (ja) * 1995-10-16 1997-05-02 Sekisui Chem Co Ltd 粘着型偏光板
JPH08259922A (ja) * 1995-03-17 1996-10-08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粘着剤組成物
JPH1054906A (ja) * 1996-08-09 1998-02-24 Sekisui Chem Co Ltd 位相差板及び楕円偏光板
JP3533589B2 (ja) * 1997-04-09 2004-05-31 綜研化学株式会社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偏光板
JP4673957B2 (ja) * 2000-05-30 2011-04-2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及び粘着性光学部材
JP2003193014A (ja) * 2001-06-27 2003-07-09 Nippon Carbide Ind Co Inc 偏光フィルム用感圧接着剤組成物
JP2003049141A (ja) * 2001-08-03 2003-02-21 Saiden Chemical Industry Co Ltd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
JP4447234B2 (ja) * 2002-04-05 2010-04-07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用感圧接着剤組成物及び偏光フィルム
JP2003329832A (ja) * 2002-05-13 2003-11-19 Nitto Denko Corp 粘着型光学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5115028A (ja) * 2003-10-08 2005-04-28 Saiden Chemical Industry Co Ltd 粘着剤層と偏光板又は位相差板からなる積層体
JP4635151B2 (ja) * 2004-04-14 2011-02-16 綜研化学株式会社 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光学部材用粘着フィルム、ならびにこれらを用いた光学部材
KR100668943B1 (ko) * 2004-04-23 2007-0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JP2006036843A (ja) * 2004-07-23 2006-02-09 Diatex Co Ltd 耐熱湿粘着剤及び粘着シート
JP4521522B2 (ja) * 2004-11-08 2010-08-11 綜研化学株式会社 光学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282687A (ja) * 2005-03-31 2006-10-19 Nippon Carbide Ind Co Inc 偏光フィルム用感圧接着剤組成物
JP2007119667A (ja) * 2005-10-31 2007-05-17 Sumitomo Chemical Co Ltd 粘着剤
JP5039333B2 (ja) * 2006-07-26 2012-10-0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剤、粘着剤付き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5091440B2 (ja) * 2006-08-17 2012-12-05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光学部材表面保護フィルム用感圧接着剤組成物及び光学部材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8069202A (ja) * 2006-09-12 2008-03-27 Nippon Carbide Ind Co Inc 光学部材表面保護フィルム用感圧接着剤組成物及び光学部材表面保護フィルム
JP5083805B2 (ja) * 2007-05-08 2012-11-28 綜研化学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
JP2009108113A (ja) * 2007-10-26 2009-05-21 Toyo Ink Mfg Co Ltd 感圧式接着剤および感圧式接着フィルム
JP2009221324A (ja) * 2008-03-14 2009-10-01 Soken Chem & Eng Co Ltd 光学部材用粘着剤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光学部材用保護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6151A (ja) * 2003-11-17 2005-06-09 Soken Chem & Eng Co Ltd 保護シート用感圧接着剤
JP2008144126A (ja) * 2006-11-17 2008-06-26 Fujifilm Corp アクリレート系粘着剤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23231B2 (ja) 2016-05-24
JP2010090354A (ja) 2010-04-22
JP2015025132A (ja) 2015-02-05
JP5972326B2 (ja) 2016-08-17
TW201011081A (en) 2010-03-16
TWI487763B (zh) 2015-06-11
KR20100026951A (ko)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873B1 (ko) 점착제 조성물, 광학필름 및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638207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 및 광학필름
JP5484035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光学フィルム
KR101718558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0839631B1 (ko) 편광판
JP5887066B2 (ja) 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の加工製品
KR101840072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1512195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광학필름
KR101587804B1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편광판
KR20110076839A (ko) 점착제용 바인더,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및 광학 부재
CN104379694B (zh) 偏振板用粘接剂组合物、带有粘接剂的偏振板和显示装置
JP5557438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光学フィルム
CN105102572A (zh) 粘合剂组合物
KR102423737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JP5528159B2 (ja) 粘着剤組成物、光学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0947970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JP2019014901A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TWI637973B (zh) 丙烯酸共聚物和包含丙烯酸共聚物的黏著劑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