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887B1 - 물품 반송 설비 - Google Patents

물품 반송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887B1
KR101736887B1 KR1020127015089A KR20127015089A KR101736887B1 KR 101736887 B1 KR101736887 B1 KR 101736887B1 KR 1020127015089 A KR1020127015089 A KR 1020127015089A KR 20127015089 A KR20127015089 A KR 20127015089A KR 101736887 B1 KR101736887 B1 KR 101736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veling
running
power receiver
connecting shaft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5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8775A (ko
Inventor
요시타카 이누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20098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8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8/00Highways or trackways for toys; Propulsion by special interaction between vehicle and track
    • A63H18/12Electric current supply to toy vehicles through the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5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without mechanical contact between the collector and the power supply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8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llecting current from conductor rails
    • B60L5/39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llecting current from conductor rails from third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4Monorai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연결축에 수전부를 설치하지 않고, 설정 주행 경로의 커브 부위에 있어서도, 공급선으로부터 수전부로의 급전을 적정하게 행할 수 있는 물품 반송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행 레일(1) 및 급전선은, 직선 부위와 커브 부위(5)를 조합시킨 설정 주행 경로에 따라 연장하도록 설치되고, 물품 반송차는, 주행 레일(1)에 접촉해서 수평 방향으로 안내되는 안내륜(15) 및 주행 레일에 접촉해서 회전 구동하는 주행륜(15)을 가지는 주행부(10)를 구비하며, 주행부(10)가 연결축(12)에 의해 차제 본체부(9)에 대해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전부(25)는,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차체 본체부(9)에 지지되고, 물품 반송차에는, 커브 부위(5)를 주행할 때 주행부(10)가 차체 본체부(9)에 대해서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할 때의 연결축(12)의 회전에 따라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커브 부위(5)의 외측에 수전부(25)를 이동시키는 수전부 이동 수단(26)이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물품 반송 설비{ITEM CONVEYANCE INFRASTRUCTURE}
본 발명은, 주행 레일과 그 주행 레일을 따라 설치된 급전선으로부터 무접촉으로 구동용 전력이 급전되는 수전부를 구비하여 상기 주행 레일로 안내되어 주행 가능한 물품 반송차가 설치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물품 반송 설비는, 궤도를 따라 물품을 반송하는 물품 반송 설비이며, 물품 반송차를 주행시키기 위한 구동용 전력을, 주행 레일을 따라 설치된 급전선으로부터 물품 반송차에 구비된 수전부에 무접촉으로 급전하는 것이다. 그리고 급전선으로부터 수전부로의 급전을 적절하게 행하기 위해서는, 급전선과 수전부와의 위치 관계를 급전 가능한 적정 범위(예를 들면 상하 방향으로 수전부와 급전선이 중첩되는 범위) 내에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급전선을 주행 레일을 따라 설치하는 동시에, 물품 반송차를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시킴으로써,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의 급전선과 수전부와의 위치 관계를 급전 가능한 적정 범위 내에 유지하여 물품 반송차를 주행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궤도 반송식의 물품 반송 설비에서는, 물품 반송차를 주행시키는 주행 경로로서, 직선 부위와 커브 부위를 조합시켜 설정 주행 경로가 설정되어 있고, 이 설정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 레일 및 급전선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설정 주행 경로의 커브 부위에 있어서도 물품 반송차가 원활하게 주행 가능하도록, 물품 반송차는, 주행 레일과 맞닿아 수평 방향으로 안내되는 안내륜 및 주행 레일과 맞닿아 회전 구동하는 주행륜을 가지는 주행부를 구비하고 있고, 이 주행부를 연결 축에 의해 차체 본체부에 대하여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이로써, 물품 반송차가 설정 주행 경로의 커브 부위를 주행할 때는, 주행부가 연결 축에 의해 차체 본체부에 대하여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하여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함으로써, 커브 부위에 있어서도 물품 반송차가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브 부위에서는, 주행부가 차체 본체부에 대하여 상하 축심 주위로 회전하여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하므로, 예를 들면, 주행부를 전후 한 쌍 설치한 경우에는, 주행부의 이동 궤적은 커브 부위에 따른 궤적으로 되지만, 차체 본체부의 이동 궤적은 커브 부위에 따르는 궤적으로부터 벗어난 궤적(커브 부위에 따르는 궤적보다 내측에 접근하는 궤적)이 된다. 특히, 예를 들면, 커브 부위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서는, 그 커브 부위의 반경이 작아지는 만큼, 차체 본체부의 이동 궤적은 커브 부위에 따르는 궤적으로부터 크게 내측에 접근하는 궤적이 된다. 이로써, 차체 본체부에 수전부를 구비하면, 커브 부위에서는, 커브 부위에 따라 설치된 급전선에 대해 수전부가 커브 부위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으므로,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의 급전선과 수전부와의 거리가 커진다. 그러므로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의 급전선과 수전부와의 위치 관계를 급전 가능한 적정 범위 내에 유지할 수 없게 되어, 급전선으로부터 수전부로의 급전을 적절하게 행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종래의 물품 반송 설비에서는, 수전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에 의해 차체 본체부에 대하여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전부에는, 주행 레일과 맞닿아 안내되는 롤러 및 그 롤러를 주행 레일과 맞닿은 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특허 문헌 1의 설비에서는, 커브 부위를 주행할 때,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롤러가 주행 레일과 맞닿아 안내됨으로써, 수전부가 차체 본체부에 대하여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하여 주행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커브 부위에서의 수전부의 이동 궤적이, 커브 부위에 따른 궤적으로 되므로, 급전선과 수전부와의 위치 관계를 급전 가능한 적정 범위 내에 유지할 수 있고, 급전선으로부터 수전부로의 급전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3298348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설비에서는, 차체 본체부에 대하여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수전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체 본체부에 대하여 주행부 및 수전부의 양쪽을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통상, 차체 본체부와 주행부를 연결하는 연결 축에 수전부를 설치함으로써, 그 연결 축에 의해 차체 본체부에 대하여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수전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연결 축에 수전부를 설치하면, 수전부를 관통하는 상태로 연결축을 설치하는 것으로 되어, 연결축을 굵게 할 수 없는 것이나, 연결축과 수전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열이 발생하는 등의 연결 축에 수전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한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연결축에 수전부를 설치하지 않고, 설정 주행 경로의 커브 부위에 있어서도, 급전선으로부터 수전부로의 급전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는 물품 반송 설비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물품 반송 설비에서는, 주행 레일과 그 주행 레일을 따라 설치된 급전선으로부터 무접촉으로 구동용 전력이 급전되는 수전부를 구비하여 상기 주행 레일로 안내되어 주행 가능한 물품 반송차가 설치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
상기 주행 레일 및 상기 급전선은, 직선 부위와 커브 부위를 조합시켜 설정된 설정 주행 경로를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물품 반송차는, 차체 본체부와, 상기 주행 레일과 맞닿아 수평 방향으로 안내되는 안내륜 및 상기 주행 레일과 맞닿아 회전 구동하는 주행륜을 가지는 주행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부가 연결 축에 의해 상기 차체 본체부에 대하여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전부는, 상기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차체 본체부에 지지되고, 상기 물품 반송차에는, 상기 커브 부위를 주행할 때 상기 주행부가 상기 차체 본체부에 대하여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할 때의 상기 연결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상기 커브 부위의 외측으로 상기 수전부를 이동시키는 수전부 이동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수전부를, 차체 본체부와 주행부를 연결하는 연결 축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고, 차체 본체부에 구비하고 있고,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차체 본체부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 축에 수전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연결축을 굵게 할 수 없는 것이나, 연결축과 수전부와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열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그리고 커브 부위에서는, 주행부가 차체 본체부에 대하여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하여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하지만, 이때, 수전부 이동 수단이, 주행부가 차체 본체부에 대하여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할 때의 연결축의 회전에 따라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커브 부위의 외측으로 수전부를 이동시킨다. 이로써, 차체 본체부는, 커브 부위의 내측으로 이동하지만, 수전부는, 그 차체 본체부에 대하여 커브 부위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커브 부위에 따라 설치된 급전선에 대하여,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의 급전선과 수전부와의 거리가 커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커브 부위에서는, 수전부 이동 수단이 수전부를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커브 부위의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급전선과 수전부와의 위치 관계를 급전 가능한 적정 범위 내에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차체 본체부가 커브 부위의 내측에 접근할 때의 이동량은, 연결축의 회전량에 대응하는 것으로 되므로, 수전부 이동 수단이 연결축의 회전에 따라 수전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차체 본체부가 커브 부위의 내측에 접근할 때의 이동량에 대응하는 이동량만큼 수전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전부를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 있어서, 연결축의 회전을 이용함으로써, 수전부의 이동량을 관리하고 쉽고, 급전선과 수전부와의 위치 관계를 적정 범위 내에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연결 축에 수전부를 설치하지 않고, 설정 주행 경로의 커브 부위에 있어서도, 급전선으로부터 수전부로의 급전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는 물품 반송 설비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물품 반송 설비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주행 레일이, 상기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의 한쪽과 다른 쪽에 좌우 한 쌍 설치되고, 상기 주행부가, 상기 주행륜에 의해 상기 주행 레일 위를 주행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체 본체부가, 상기 연결 축에 의해 상기 주행부에 대하여 상기 주행 레일보다 하방측으로 현수 지지되어, 상기 연결축이, 상기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상기 좌우 한 쌍의 주행 레일의 간극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급전선이, 상기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상기 연결축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주행 레일이,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의 양측에 좌우 한 쌍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좌우 한 쌍의 주행 레일에 의해 주행부를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어 주행부의 주행을 안정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축이,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좌우 한 쌍의 주행 레일의 간극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차체 본체부를 안정적으로 양호한 밸런스로 현수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급전선은 주행 레일을 따라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주행 레일보다 하방 측에 위치하는 차체 본체부의 상부에 수전부를 구비하고, 그 수전부에 대하여 급전 가능하도록, 급전선을 주행 레일에 지지시키는 것이 유용하다. 그리고 주행부는 주행 레일 위를 주행하고 또한 차체 본체부는 주행 레일보다 하방측으로 현수 지지되어 있으므로, 연결축과 급전선이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병행 상태로 설치하는 것으로 된다. 그래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급전선을,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연결축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급전선의 설치 스페이스로서는, 연결축의 방해가 되지 않는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중앙부로부터 단부측으로 벗어난 한정된 스페이스가 된다. 이와 같이 급전선의 설치 스페이스의 자유도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의 급전선과 수전부와의 위치 관계를 급전 가능한 적정 범위 내에 유지할 수 있도록 급전선의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없다. 그래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브 부위에서는, 수전부 이동 수단이 수전부를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커브 부위의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급전선과 수전부와의 위치 관계를 급전 가능한 적정 범위 내에 유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것으로 된다.
따라서,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차체 본체부를 안정적으로 양호한 밸런스로 현수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연결축을 설치할 수 있고, 그 연결 축에 대하여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급전선을 설치할 수 있으면서, 급전선과 수전부와의 위치 관계를 급전 가능한 적정 범위 내에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물품 반송 설비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급전선은, 상기 연결축으로부터 상기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의 한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된 제1 급전선과, 상기 연결축으로부터 상기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의 다른 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된 제2 급전선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급전선으로서, 1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제1 급전선과 제2 급전선의 2개의 급전선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구동용 전력의 급전을 확실하게 또한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급전선 및 제2 급전선 중, 커브 부위에 있어서 연결축으로부터 커브 부위의 외측으로 접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측의 급전선은, 그 설치 위치를 커브 부위의 외측으로 조정 가능한 범위가 작고, 커브 부위에 의해 차체 본체부가 커브 부위의 내측으로 이동하면, 급전선과 수전부와의 위치 관계를 급전 가능한 적정 범위 내에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제1 급전선과 제2 급전선의 2개의 급전선을 설치하는 경우라도, 커브 부위에서는, 수전부 이동 수단이 수전부를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커브 부위의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급전선 및 제2 급전선의 각각과 수전부와의 위치 관계를 급전 가능한 적정 범위 내에 유지할 수 있어 구동용 전력의 급전을 확실하게 또한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물품 반송 설비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주행부가, 상기 물품 반송차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전후 한 쌍 설치되고, 상기 전후 한 쌍의 주행부의 각각이, 상기 연결 축에 의해 상기 차체 본체부에 대하여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전부 이동 수단이, 상기 전후 한 쌍의 주행부의 한쪽과 상기 차체 본체부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축의 회전만을 따라 상기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상기 수전부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주행부가 물품 반송차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전후 한 쌍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후 한 쌍의 주행부의 각각이 독립적으로 주행 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주행하므로, 커브 부위에서의 더 원활하게 또한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후 한 쌍의 주행부의 각각이, 연결 축에 의해 차체 본체부에 대하여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연결축도 전후 한 쌍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커브 부위를 주행할 때는, 전후 한 쌍의 연결축의 양쪽이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지만, 수전부 이동 수단이, 전후 한 쌍의 연결축의 한쪽의 회전만을 따라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수전부를 이동시키므로, 전후 한 쌍의 연결축의 다른 쪽의 회전에 방해받지 않고, 수전부를 이동시킬 수 있고, 수전부를 급전 가능한 적정 범위 내에 유지할 수 있는 적정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물품 반송 설비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수전부는, 상기 차체 본체부에 구비된 상기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에 의해 상기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수전부 이동 수단이, 상기 연결축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한 피니언부와, 상기 수전부에 상기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부와 서로 맞물리는 랙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수전부는, 가이드 레일에 의해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또한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수전부 이동 수단이, 연결축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한 피니언부와 그 피니언부에 서로 맞물리는 랙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수전부 이동 수단의 구성을 간단한 구성으로 하면서, 피니언부와 랙부와의 맞물림에 의해 이동시킨 수전부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급전선과 수전부와의 위치 관계를 급전 가능한 적정 범위 내에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물품 반송 설비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설정 주행 경로의 도중에는, 적어도 상기 커브 부위의 주행 경로를 포함하는 복수의 주행 경로가 합류하는 합류 부위, 및 주행 경로가 적어도 상기 커브 부위의 주행 경로를 포함하는 복수의 주행 경로로 분기하는 분기 부위 중 적어도 한쪽을 가지고 있고, 상기 주행 레일이, 상기 합류 부위 및 상기 분기 부위에 있어서 상기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의 한쪽 밖에만 설치되고, 또한 상기 합류 부위 및 상기 분기 부위 이외의 부위에 있어서 상기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의 한쪽과 다른 쪽에 좌우 한 쌍 설치되고, 상기 합류 부위 및 상기 분기 부위에는, 상기 주행부에 구비된 피안내륜에 접촉 안내하여, 상기 주행부를 합류 주행시키는 및 상기 주행부를 분기 주행시키는 합류·분기용 주행 레일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합류 부위 및 분기 부위에서는, 주행 레일을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의 한쪽에만 설치하고 있으므로,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의 타단측에 물품 반송차를 통과할 수 있는 스페이스를 만들 수 있고, 주행 레일에 방해받지 않고, 합류 주행 및 분기 주행을 행할 수 있다. 그러나 합류 부위 및 분기 부위에서는, 주행부를 안내하여 주행시키는 것이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의 한쪽의 주행 레일에만 되므로, 주행부의 주행이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본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합류 부위 및 분기 부위에서는, 합류 분기 주행 레일이 설치되고, 이 합류 분기 주행 레일에 의해 주행부를 안내하여 주행시킬 수 있으므로, 합류·분기용 주행 레일 및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의 한쪽의 주행 레일에 의해 주행부를 안내하여 주행시켜, 합류 주행 및 분기 주행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리고 합류 분기 주행 레일 및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의 한쪽의 주행 레일에 의해 주행부를 안내하여 주행시킴으로써, 합류 주행 시 및 분기 주행 시에, 차체 본체부에 대하여 주행부가 뜻하지 않게 상하 축심 주위로 회전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주행부의 뜻하지 않은 회전에 의해 수전부가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해버려, 수전부가 적정한 위치로부터 이동해버리는 것을 정확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합류 부위 및 분기 부위를 가지는 설정 주행 경로라도, 합류 주행 및 분기 주행을 안정적으로 정확하게 행할 수 있으면서, 급전선과 수전부와의 위치 관계를 급전 가능한 적정 범위 내에 유지하여, 급전선으로부터 수전부로의 급전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물품 반송 설비에서의 설정 주행 경로의 개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물품 반송차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물품 반송차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물품 반송차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의 주요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급전선과 수전부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물품 반송차가 직선 부위를 주행할 때의 주행부와 수전부와의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물품 반송차가 커브 부위를 주행할 때의 주행부와 수전부와의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물품 반송차가 커브 부위를 주행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있어서 물품 반송차가 커브 부위를 주행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분기 부위에서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서의 수전부 이동 수단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전부 이동 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물품 반송 설비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형의 주행 경로로 되어 있는 직선 부위(4)와 원호형의 주행 경로로 되어 있는 커브 부위(5)를 조합하여 설정된 설정 주행 경로를 따라 일정 방향(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주행하는 복수의 물품 반송차(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설정 주행 경로는, 복수의 물품 처리부(3)를 경유하는 상태로 설정되어 있고, 물품 반송차(2)가 복수의 물품 처리부(3) 사이에서 물품(7)을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것에서는, 설정 주행 경로로서, 복수의 물품 처리부(3)를 경유하는 환형의 복수의 부주행 경로(6a)와, 이들 복수의 부주행 경로(6a)의 각각에 접속된 환형의 주주행 경로(6b)를 구비하고 있고, 물품 반송차(2)가, 분기 부위(30)에 있어서 주주행 경로(6b)로부터 부주행 경로(6a)로 분기하도록 주행 가능하게, 그리고 합류 부위(31)에 있어서 부주행 경로(6a)로부터 주주행 경로(6b)로 합류하도록 주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주행 레일(travel rail)(1)은, 도 2 ~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정 측에 설정되어 있고, 설정 주행 경로로서의 주주행 경로(6b) 및 복수의 부주행 경로(6a)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정 주행 경로에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주행 레일(1)은, 주행 레일용 브래킷(8)에 의해 천정부에 고정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도면 중 Y 방향)의 한쪽과 다른 쪽에 좌우 한 쌍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도면 중 Y 방향)에 따른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물품 반송차(2)의 전후 방향(도면 중 X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정면도이며, 도 4는 주행 레일(1)보다 상방 측으로부터 본 물품 반송차(2)의 평면도이다.
물품 반송차(2)는, 도 2 ~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 본체부(9)와, 주행 레일(1) 위를 주행하는 주행부(10)와, 물품(7)을 현수 상태로 파지하는 파지부(11)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부(10)는, 물품 반송차(2)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차체 본체부(9)의 전단부에 상당하는 위치와 후단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전후 한 쌍 형성되어 있고, 전후 한 쌍의 주행부(10)의 각각이, 연결축(linking shaft)(12)에 의해 차체 본체부(9)에 대하여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파지부(11)는, 차체 본체부(9)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전후 한 쌍의 주행부(1O)의 각각에는, 전동식의 구동 모터(131)로 회전 구동되어 좌우 한 쌍의 주행 레일(1) 각각의 수평면에 따른 상면을 전동하는 주행륜(14)과, 좌우 한 쌍의 주행 레일(1) 각각의 대향하는 상하 방향에 따른 측면에 맞닿아 자유자재로 회전 가능한 안내륜(15)이 구비되어 있다. 주행륜(14)은,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도면 중 Y 방향)의 양단부에 1개씩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안내륜(15)은,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의 양단부에 물품 반송차(2)의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2개씩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주행부(10)는, 구동 모터(13)에 의해 주행륜(14)이 수평 축심 주위에서 회전 구동되고,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한 안내륜(15)이 한 쌍의 주행 레일(1)에 맞닿아 수평 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에 의해, 주행 레일(1)에 안내되어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후 한 쌍의 주행부(10) 각각은, 연결축(12)에 의해 차체 본체부(9)에 대하여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연결축(12)은,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으로 좌우 한 쌍의 주행 레일(1)의 간극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고,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으로 차체 본체부(9)의 중앙부와 주행부(10)의 중앙부를 연결하고 있다. 이로써, 설정 주행 경로 중 주행 경로가 원호형으로 되어 있는 커브 부위(curved portion)(5)(도 1 참조)에서도, 주행부(travel unit)(10)는, 연결축(12)에 의해 차체 본체부(main body)(9)에 대하여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함으로써, 주행 레일(1)에 따라 주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물품 반송차(2)는, 직선 부위(4)뿐만 아니라, 커브 부위(5)에서도 원활하게 주행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차체 본체부(9)는, 물품 반송차(2)의 전후 방향의 전단 측과 후단측이 하방 측으로 연장하여 하방측이 개방한 コ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방 측으로 연장되는 전단 측과 후단 측 사이에 파지부(1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차체 본체 부(9)에는, 파지부(11)를 승강시키기 위한 전동식의 승강용 모터(16), 파지부(11)를 상하 축심 주위에서 선회시키기 위한 전동식의 선회용 모터(17)가 구비되어 있다.
승강용 모터(16)는, 벨트(18)(벨트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타이밍 벨트나 선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가 감긴 회전 드럼(19)을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벨트(18)를 감거나 또는 풀어냄으로써,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에 파지부(11)를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승 위치와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 본체부(9)에 근접시키는 위치이며, 하강 위치와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바닥면 측에 설치된 물품 처리부(3)의 각각에 대응하는 물품 이송탑재용 스테이션과의 사이에서 물품 이송탑재를 행하기 위한 위치이다. 스테이션은, 물품(7)을 탑재 지지하는 탑재 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물품 처리부(3)에 의해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물품(7)을 물품 반송차(2)로부터 수취하거나 또는 물품 처리부(3)에 의해 소정의 처리를 행한 물품(7)을 물품 반송 차(2)에 받아 건네기 위한 것이다.
파지부(11)는, 차체 본체부(9)의 상단부로부터 하방 측으로 연장되는 선회 축(20)에 의해 차체 본체부(9)에 대하여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선회용 모터(17)는, 한 쌍의 풀 리와 벨트를 가지는 회전 구동력 전달부(21)를 통하여 선회 축(20)을 상하 축심 주위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파지부(11)를 상하 축심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회전 구동력 전달 부(21)는, 복수의 맞추어 만나는 기어로 구성되는 구조 등, 다른 종래 기술에 속하는 것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파지부(11)는, 물품(7)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구(22), 및 물품(7)을 파지하는 파지 자세와 그 파지를 해제하는 파지 해제 자세로 파지구(22)를 자세 전환 조작하기 위한 전동식의 파지용 모터(23)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서는, 파지구(22)가 파지 자세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물품 반송 차(2)에는, 주행부(10)의 주행 작동, 파지부(11)의 승강 작동이나 파지구(22)의 자세 전환 작동 등을 제어하여, 물품 반송차(2)의 운전을 제어하는 대차 측 제어부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대차 측 제어부는, 복수의 물품 반송차(2)의 운행을 관리하는 설비 관리용 컴퓨터로부터 반송 원의 스테이션 및 반송 선의 스테이션을 지정하는 반송 지령을 받으면, 그 반송 지령에 의해 지정된 반송 원의 스테이션으로부터 반송 선의 스테이션에 물품(7)을 반송하는 반송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대차 측 제어부는, 각각의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목표 정지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나 기준점으로부터의 물품 반송차(2)의 주행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등의 각종 센서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지정된 반송 원의 스테이션까지 주행하기 위해, 주행부(10)의 주행 작동을 제어한 후, 파지부(11)의 승강 작동이나 파지구(22)의 자세 전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반송원의 스테이션으로부터 물품(7)을 수취하도록, 물품 반송차(2)의 운전을 제어한다. 그 후, 대차측 제어부는, 각종 센서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지정된 반송원의 스테이션까지 주행하기 위해, 물품 반송차(2)의 주행을 제어하고, 반송선의 스테이션에 물품(7)을 내리도록, 물품 반송차(2)의 운전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물품 반송차(2)에 의해 반송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는, 물품 반송차(2)에 구동용 전력을 급전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물품 반송차(2)에 구동용 전력을 급전하기 위한 급전선(24)이, 좌우 한 쌍의 주행 레일(1)과 마찬가지로, 설정 주행 경로로서의 주주행 경로(6b) 및 복수의 부주행 경로(6a)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정 주행 경로를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급전선(24)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 본체부(9)와 주행부(10)를 연결하는 연결축(12)으로부터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도면 중 Y 방향)의 한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된 제1 급전선(24a)과, 연결축(12)으로부터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도면 중 Y 방향)의 다른 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된 제2 급전선(24b)이 설치되어 있다. 제1 급전선(24a) 및 제2 급전선(24b)의 각각은, 좌우 한 쌍의 주행 레일(1)의 각각에 고정 지지되어 있고, 주행 레일(1)을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물품 반송차(2)의 차체 본체부(9)에는, 도 2 및 상기 도 2의 주요부를 확대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전선(24)으로부터 무접촉으로 구동용 전력이 급전되는 단일의 수전부(25)(수전 코일)(power receiving unit)가 구비되어 있다. 수전부(25)는, 물품 반송차(2)의 전후 방향(도면 중 X 방향)으로 전후 한 쌍의 연결축(12) 사이의 차체 본체부(9)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고,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전부(25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도면 중 Y 방향)으로 차체 본체부(9)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고, 물품 반송차(2)의 전후 방향에 따른 방향에서의 단면 형상이 エ자형(가로 폭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위쪽 부분과 가로 폭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아래쪽 부분과, 위쪽 부분 및 아래쪽 부분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부분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급전선(24)에 교류 전류를 통전함으로써 자계를 발생시키고, 이 자계에 의해 구동용 전력을 수전부(25)에 발생시켜, 무접촉 상태로 급전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급전선(24)으로부터 무접촉으로 구동용 전력을 수전부(25)에 급전함으로써, 물품 반송차(2)가 그 구동용 전력에 의해 주행부(10)의 주행 및 파지부(11)의 승강 등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급전선(24)으로부터 수전부(25)에 무접촉으로 구동용 전력을 급전하는 것이지만, 급전선(24)으로부터 수전부(25)로의 급전을 적절하게 행하기 위해서는, 직선 부위(4)와 커브 부위(5)를 조합시켜 설정된 설정 주행 경로의 전체 길이에 걸쳐, 급전선(24)과 수전부(25)와의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의 위치 관계를 급전 가능한 적정 범위 내에 유지할 필요가 있다. 즉, 직선 부위(4)와 커브 부위(5)를 조합시켜 설정된 설정 주행 경로의 전체 길이에 걸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전부(25)의 급전 가능 영역 K(도면 중 사선에 의해 나타나는 영역, エ자형의 수전부(25)에 있어서 위쪽 부분과 아래쪽 부분에 상하로 끼워 넣어진 영역) 내에 급전선(24)을 위치시킨다고 하는 적정 범위 내에 급전선(24)과 수전부(25)의 위치 관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에서는, 급전선(24)으로부터 수전부(25)로의 급전을 적절하게 행하기 위해, 도 5,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전부(25)가,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차체 본체부(9)에 지지되어 있고, 물품 반송차(2)에는, 커브 부위(5)를 주행할 때 주행부(10)가 차체 본체부(9)에 대하여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할 때의 연결축(12)의 회전에 따라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으로 커브 부위(5)의 외측에 수전부(25)를 이동시키는 수전부 이동 수단(power receiving unit moving means)(26)이 구비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은 주행부(10)와 수전부(25) 및 차체 본체부(9)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직선 부위(4)를 주행하고 있을 때를 나타내고, 도 8은 커브 부위(5)를 주행하고 있을 때를 나타내고 있다.
수전부(25)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 본체부(9)의 상면부에 상방 측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27)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27)은, 물품 반송차(2)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전후 한 쌍 형성되어 있고, 전후 한 쌍의 가이드 레일(27)의 각각이, 수전부(25)의 전후 방향의 양단부의 각각을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로써, 수전부(25)는, 차체 본체부(9)에 대하여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물품 반송차(2)가 커브 부위(5)를 주행할 때는, 주행부(10)가 연결축(12)에 의해 차체 본체부(9)에 대하여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함으로써 주행 레일(1)에 따라 주행하는 것이지만, 수전부 이동 수단(26)은, 이때의 연결축(12)의 회전에 따라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으로 커브 부위(5)의 외측(커브 부위의 만곡 중심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이격되는 방향, 도 8중 화살표 참조)으로 수전부(25)를 이동시키고 있다. 그리고 연결축(121)은 전후 한 쌍 설치되어 있지만, 수전부 이동 수단(26)은, 전후 한 쌍의 주행부(10)의 한쪽과 차체 본체부(9)를 연결하는 연결축(12)의 회전만을 따라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으로 수전부(25)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수전부 이동 수단(26)은, 도 5,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전후 한 쌍의 연결축(12) 중, 한쪽의 연결축(12a)의 회전에 따라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으로 수전부(25)를 이동시킨다.
수전부 이동 수단(26)은, 연결축(12)과 일체로 회전 가능한 피니언부(28)와 수전부(25)에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피니언부(28)와 서로 맞물리는 랙부(29)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연결축(12)이 회전하면, 그 회전과 일체적으로 피니언부(28)가 회전하고, 피니언부(28)가 랙부(29)와 서로 맞물려 수전부(25)가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으로 커브 부위(5)의 외측(도 8중 좌측이며, 도 8중 화살표 참조)으로 이동된다.
급전선(24)과 수전부(25)의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의 위치 관계에 대하여 설명을 가한다.
먼저, 물품 반송차(2)가 직선 부위(4)를 주행할 때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 부위(4)(도면 중 파선으로 나타내는 직선형의 주행 경로)에서는, 주행 레일(1)도 직선 부위(4)에 따라 설치되어 있으므로, 주행부(10)가 차체 본체부(9)에 대하여 상하 축심 주위로 회전하는 무사히 주행한다. 따라서, 주행부(10)의 이동 궤적과 차체 본체부(9)의 이동 궤적은, 직선 부위(4)에 따라 연장되는 동일한 궤적으로 되고, 차체 본체부(9)에 설치된 수전부(25)도, 직선 부위(4)에 따라 연장되는 주행부(10)의 이동 궤적과 동일한 궤적이 된다. 따라서, 차체 본체부(9)(수전부(25))의 이동 궤적이, 직선 부위(4)에 따라 연장되는 궤적으로 되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전부(25)의 급전 가능 영역 K(도면 중 사선에 의해 나타내는 영역) 내에 제1 급전선(24a) 및 제2 급전선(24b)을 위치시킬 수 있어, 급전선(24)으로부터 수전부(25)로의 급전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물품 반송차(2)가 커브 부위(5)를 주행할 때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호형의 커브 부위(5)에서는, 주행 레일(1)이 커브 부위(5)에 따라 설치되어 있으므로, 주행부(10)가 차체 본체부(9)에 대하여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하면서 주행한다. 따라서, 주행부(10)의 이동 궤적은, 커브 부위(512)를 따라 연장되는 궤적이 되지만, 차체 본체부(9) 및 수전부(25)의 이동 궤적은, 커브 부위(5)에 따라 연장되는 궤적은 되지 않고, 커브 부위(5)의 내측에 접근하는 궤적이 된다. 즉, 물품 반송차(2)의 전후 방향을 따라 수전부(25)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 P1은, 전후 한 쌍의 주행부(10)의 연결축(12)끼리를 연결한 직선 P2 상에 위치하게 되지만, 그 직선 P1이, 커브 부위(5)의 내측으로 접근하는 위치로 된다. 따라서, 좌우 한 쌍의 주행 레일(1)의 간극의 중앙부를 커브 부위(5)에 따라 연결한 원호형의 곡선 P3(연결축(12)의 이동 궤적에 상당함)과 직선 P1과의 간격 Q1이 넓어지고, 제1 급전선(24a)과 제2 급전선(24b) 중 커브 부위(5)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제2 급전선(24b)이,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으로 수전부(25)보다 외측으로 불거져 나오게 된다. 그 결과,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급전선(24b)이 수전부(25)의 급전 가능 영역 K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나 버려, ㄱ급전선(24)으로부터 수전부(25)로의 급전을 적절하게 행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에서는, 수전부 이동 수단(26)을 구비함으로써,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부(10)가 차체 본체부(9)에 대하여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하면, 그때의 연결축(12)의 회전에 따라 피니언부(28)가 랙부(29)에 맞물리면서 회전하고, 수전부(25)가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으로 커브 부위(5)의 외측(도 8중 좌측이며, 도 8중 화살표 참조)으로 이동된다. 이로써,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차(2)의 전후 방향에 따라 수전부(25)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 P1은, 전후 한 쌍의 주행부(10)의 연결축(12)끼리를 연결한 직선 P2보다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곡선 P3과 직선 P1과의 간격 Q2는, 전술한 도 9a에서의 간격 Q1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제2 급전선(24b)이,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으로 수전부(25)보다 외측으로 불거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급전선(24a) 및 제2 급전선(24b)을 수전부(25)의 급전 가능 영역 K 내에 유지할 수 있고, 급전선(24)으로부터 수전부(25)로의 급전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차체 본체부(9)가 커브 부위(5)의 내측으로 접근할 때의 이동량은, 연결축(12)의 회전량에 대응하는 것으로 되므로, 수전부 이동 수단(26)이 연결축(12)의 회전에 따라 수전부(25)를 이동시킴으로써, 차체 본체부(9)가 커브 부위(5)의 내측에 접근할 때의 이동량에 대응하는 이동량만큼 수전부(25)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전부(25)를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 있어서, 연결축(12)의 회전을 이용함으로써, 수전부(25)의 이동량을 관리하고 쉽고, 급전선(24)과 수전부(25)의 위치 관계를 적정 범위 내에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 주행 경로의 도중에는, 1개의 주행 경로가 직선 부위(4)의 주행 경로와 커브 부위(5)의 주행 경로로 분기하는 분기 부위(30), 및 직선 부위(4)의 주행 경로와 커브 부위(5)의 주행 경로가 합류하는 합류 부위(31)를 가지고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기 부위(30) 및 합류 부위(31)에서는,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의 한쪽에만 주행 레일(1)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주행부(10)에 구비된 피안내륜(32)에 접촉 안내하여 분기 부위(30)에 의해 분기 주행시키고 및 합류 부위(31)에 의해 합류 주행시키는 합류·분기용 주행 레일(33)이 설치되어 있다. 도 11에서는, 분기 부위(30)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며, 합류 부위(31)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는다.
설명을 부가하면, 분기 부위(30)에는,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의 한쪽에만 주행 레일(1)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주행부(10)의 상부에 구비된 상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한 피안내륜(32)을 안내하는 합류·분기용 주행 레일(33)이 설치되어 있다. 합류·분기용 주행 레일(33)은, 피안내륜(32)을 안내하는 안내면으로서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의 한쪽에 대향하는 면과 다른 쪽에 대향하는 면의 2개의 안내면을 서로 반대 측에 대향하는 상태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합류·분기용 주행 레일(33)의 2개의 안내면의 한쪽이 직선 부위(4)의 주행 경로에 안내하는 제1 안내면(33a)에서 구성되며, 또한 다른 쪽이 커브 부위(5)의 주행 경로로 안내하는 제2 안내면(33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한편, 물품 반송차(2)에는, 전후 한 쌍의 주행부(10)의 각각에,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으로의 합류·분기용 주행 레일(33)에 대한 피안내륜(32)의 위치를 변경하여, 피안내륜(32)이 안내되는 안내면을 제1 안내면(33a)으로 할 것인지 제2 안내면(33b)으로 할 것인지를 전환 가능한 안내면 전환 수단(34)이 구비되어 있다. 피안내륜(32)은, 물품 반송차(2)의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한 쌍 설치되어 있다. 안내면 전환 수단(34)은, 모터 등의 구동부(35)에 의해 상하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한 요동 암(36)과, 요동암(36)의 선단부에 설치된 이동체(37)와, 이동체(37)를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으로 안내 이동시키는 안내 이동부(38)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피안내륜(32)은, 이동체(37)의 선단부에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안내면 전환 수단(34)은, 구동부(35)에 의해 요동 암(36)을 요동시킴으로써 피안내륜(32)의 위치를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변경시켜, 합류·분기용 주행 레일(33)에 있어서 제1 안내면(33a)에 의해 피안내륜(32)을 안내할 것인지 제2 안내면(33b)에 의해 피안내륜(32)을 안내할 것인지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1에서는, 안내면 전환 수단(34)가, 합류·분기용 주행 레일(33)에 있어서 제2 안내면(33b)에 의해 피안내륜(32)을 안내하는 상태로 전환했을 때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합류 부위(31)에 대해서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전술한 분기 부위(30)와 마찬가지로,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의 한쪽 밖에만 주행 레일(1)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피안내륜(32)을 안내하는 합류·분기용 주행 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면 전환 수단(34)이, 합류·분기용 주행 레일에 의해 피안내륜(32)을 안내하도록 피안내륜(32)의 위치를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변경시켜, 합류·분기용 주행 레일에 의해 피안내륜(32)을 안내함으로써, 물품 반송차(2)가 합류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분기 부위(30) 및 합류 부위(31)에서는,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의 한쪽 밖에만 주행 레일(1)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주행부(10)가 차체 본체부(9)에 대하여 상하 축심 주위에서 뜻하지 않게 회전하여 버릴 가능성이 생긴다. 그리고 이 뜻하지 않은 회전이 생기면, 수전부 이동 수단(26)이 그 회전에 따라 수전부(25)를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시켜 버려, 급전선(24)과 수전부(25)와의 위치 관계를 적정한 범위에 유지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에서는, 분기 부위(30) 및 합류 부위(31)에는, 합류·분기용 주행 레일(33)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합류·분기용 주행 레일(33)이 주행부(10)에 구비된 피안내륜(32)을 안내한다. 이로써, 주행부(10)가 차체 본체부(9)에 대하여 상하 축심 주위에서 뜻하지 않게 회전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분기 부위(30) 및 합류 부위(31)를 주행할 때도, 급전선(24)과 수전부(25)의 위치 관계를 적정한 범위에 유지할 수 있고, 급전선(24)으로부터 수전부(25)로의 급전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1)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전부 이동 수단(26)이, 피니언부(28)와 랙부(29)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지만, 피니언부(28)와 랙부(29)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구조를 채용하여 수전부 이동 수단(26)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 및 도 131개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축(12)과 일체적으로 요동 가능한 요동 부(39)와 그 요동 부(39)의 요동에 의해 수전부(25)를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요동 부(39)의 동작과 수전도 25의 동작을 연계시키는 링크부(40)를 구비하여, 수전부 이동 수단(26)을 구성할 수 있다. 링크부(40)는, 그 일단부가 요동 부(39)의 선단부에 축지 연결된 제1 링크부(40a)와, 그 일단부가 제1 링크부(40a)의 타단부에 축지 연결되고, 또한 그 타단부가 수전부(25)에 고정된 제2 링크부(40b)로 구성되어 있다.
이 외에, 수전부 이동 수단으로서, 다른 종래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의 피니언과 랙부 대신에, 서로 마찰하여 맞추어진 한 쌍의 고무 차륜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축(12)의 회전을 계측하는 센서와, 이 센서로부터의 출력에 따라 수전부(25)를 이동시키는 직선 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 명세서에서 기재되는 모터 중 어느 하나로서, 스테핑 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급전선으로서 제1 급전선(24a)과 제2 급전선(24b)의 2개를 설치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1개의 급전선을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된다. 또한, 주행 레일(1)에 대해서도,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의 양측에 설치하여 좌우 한 쌍 설치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1개의 주행 레일을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된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차체 본체부(9)를 주행부(10)에 대하여 주행 레일보다 하방측으로 현수 지지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차체 본체부(9)와 주행부(10)의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 관계를 역회전시키도록, 차체 본체부(9)를 주행부(10)보다 상방 측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주행부(10)에 대해서는, 전후 한 쌍 설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단일의 주행부(10)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창고나 제조 설비 등으로 이용되는 물품 반송 설비로서 이용 가능하다.
[부호의 설명]
(1) 주행 레일
(2) 물품 반송차
(4) 직선 부위
(5) 커브 부위
(7) 물품
(9) 차체 본체부
(10) 주행부
(12) 연결축
(13) 구동 모터
(14) 주행륜
(15) 안내륜
(24) 급전선
(24a) 제1 급전선
(24b) 제2 급전선
(25) 수전부
(26) 수전부 이동 수단
(27) 가이드 레일
(28) 피니언부
(29) 랙부
(30) 합류 부위
(31)분기 부위
(32) 피안내륜
(33) 합류·분기용 주행 레일

Claims (6)

  1. 주행 레일과, 상기 주행 레일을 따라 설치된 급전선(給電線)으로부터 무접촉으로 구동용 전력이 급전되는 수전부(受電部)를 구비하여 상기 주행 레일로 안내되어 주행 가능한 물품 반송차가 설치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
    상기 주행 레일 및 상기 급전선은, 직선 부위와 커브 부위를 조합시켜 설정된 설정 주행 경로를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물품 반송차는, 차체 본체부와, 상기 주행 레일과 맞닿아 수평 방향으로 안내되는 안내륜과 상기 주행 레일과 맞닿아 회전 구동하는 주행륜을 가지는 주행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부가 연결축에 의해 상기 차체 본체부에 대하여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전부는, 상기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차체 본체부에 지지되고,
    상기 물품 반송차에는, 상기 커브 부위를 주행할 때 상기 주행부가 상기 차체 본체부에 대하여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할 때의 상기 연결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상기 커브 부위의 외측으로 상기 수전부를 이동시키는 수전부 이동 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주행부가, 상기 물품 반송차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전후 한 쌍 설치되고,
    상기 전후 한 쌍의 주행부의 각각이, 상기 연결 축에 의해 상기 차체 본체부에 대하여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전부 이동 수단이, 상기 전후 한 쌍의 주행부의 한쪽과 상기 차체 본체부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축의 회전만을 따라 상기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상기 수전부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2. 주행 레일과, 상기 주행 레일을 따라 설치된 급전선(給電線)으로부터 무접촉으로 구동용 전력이 급전되는 수전부(受電部)를 구비하여 상기 주행 레일로 안내되어 주행 가능한 물품 반송차가 설치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
    상기 주행 레일 및 상기 급전선은, 직선 부위와 커브 부위를 조합시켜 설정된 설정 주행 경로를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물품 반송차는, 차체 본체부와, 상기 주행 레일과 맞닿아 수평 방향으로 안내되는 안내륜과 상기 주행 레일과 맞닿아 회전 구동하는 주행륜을 가지는 주행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부가 연결축에 의해 상기 차체 본체부에 대하여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전부는, 상기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차체 본체부에 지지되고,
    상기 물품 반송차에는, 상기 커브 부위를 주행할 때 상기 주행부가 상기 차체 본체부에 대하여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할 때의 상기 연결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상기 커브 부위의 외측으로 상기 수전부를 이동시키는 수전부 이동 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전부는, 상기 차체 본체부에 구비된 상기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에 의해 상기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수전부 이동 수단이, 상기 연결축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한 피니언부와, 상기 수전부에 상기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부와 서로 맞물리는 랙(rack)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레일이, 상기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의 한쪽과 다른 쪽에 좌우 한 쌍 설치되고,
    상기 주행부가, 상기 주행륜에 의해 상기 주행 레일 위를 주행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체 본체부가, 상기 연결 축에 의해 상기 주행부에 대하여 상기 주행 레일보다 하방측에 매달려 지지되고,
    상기 연결축이, 상기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상기 좌우 한 쌍의 주행 레일의 간극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급전선이, 상기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으로 상기 연결축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선은, 상기 연결축으로부터 상기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의 한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된 제1 급전선과, 상기 연결축으로부터 상기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의 다른 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된 제2 급전선이 설치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주행 경로의 도중에는, 적어도 상기 커브 부위의 주행 경로를 포함하는 복수의 주행 경로가 합류하는 합류 부위, 및 주행 경로가 적어도 상기 커브 부위의 주행 경로를 포함하는 복수의 주행 경로로 분기하는 분기 부위 중 적어도 한쪽을 가지고 있고,
    상기 주행 레일이, 상기 합류 부위 및 상기 분기 부위에 있어서 상기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의 한쪽에만 설치되고, 또한 상기 합류 부위 및 상기 분기 부위 이외의 부위에 있어서 상기 물품 반송차의 가로 폭 방향의 한쪽과 다른 쪽에 좌우 한 쌍 설치되고,
    상기 합류 부위 및 상기 분기 부위에는, 상기 주행부에 구비된 피안내륜에 접촉 안내하여, 상기 주행부를 합류 주행시키는 및 상기 주행부를 분기 주행시키는 합류·분기용 주행 레일이 설치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6. 삭제
KR1020127015089A 2009-12-07 2010-10-22 물품 반송 설비 KR1017368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77732 2009-12-07
JP2009277732A JP5141987B2 (ja) 2009-12-07 2009-12-07 物品搬送設備
PCT/JP2010/068722 WO2011070861A1 (ja) 2009-12-07 2010-10-22 物品搬送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775A KR20120098775A (ko) 2012-09-05
KR101736887B1 true KR101736887B1 (ko) 2017-05-17

Family

ID=44145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5089A KR101736887B1 (ko) 2009-12-07 2010-10-22 물품 반송 설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48579B2 (ko)
EP (1) EP2511150B1 (ko)
JP (1) JP5141987B2 (ko)
KR (1) KR101736887B1 (ko)
CN (1) CN102639380B (ko)
SG (1) SG181120A1 (ko)
TW (1) TWI419829B (ko)
WO (1) WO20110708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1987B2 (ja) * 2009-12-07 2013-02-13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5440870B2 (ja) * 2010-08-19 2014-03-12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KR101407414B1 (ko) * 2011-12-20 2014-06-1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마스크 공급시스템
JP5842276B2 (ja) * 2012-02-28 2016-01-13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移載装置
JP5582366B2 (ja) * 2012-05-23 2014-09-03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KR101504145B1 (ko) 2012-12-10 2015-03-1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반송시스템 및 그 대차장치
KR101419357B1 (ko) 2012-12-28 2014-07-1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반송시스템
DE102013100019A1 (de) * 2013-01-02 2014-07-03 Conductix-Wampfler Gmbh Zustelleinheit zur Positionierung einer Stromabnehmereinheit
TWI584840B (zh) 2013-11-28 2017-06-01 卡貝歐洲有限公司 用於藥物輸送裝置的裝置
JP6358142B2 (ja) * 2015-03-26 2018-07-18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6304122B2 (ja) 2015-05-13 2018-04-04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KR102069778B1 (ko) * 2015-08-14 2020-01-23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반송차 시스템
JP6471671B2 (ja) 2015-10-01 2019-02-20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車
JP6642370B2 (ja) * 2016-10-12 2020-02-05 株式会社ダイフク レール検査装置及びレール検査システム
JP6690497B2 (ja) * 2016-10-28 2020-04-28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6677187B2 (ja) 2017-01-31 2020-04-08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6717243B2 (ja) * 2017-03-14 2020-07-01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KR102069587B1 (ko) * 2017-12-04 2020-01-23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송대차 시스템
DE102018128417A1 (de) * 2018-06-07 2019-12-12 Emh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tonomen oder teilautonomen Transportieren und Sortieren von Stückgut
KR102324403B1 (ko) * 2018-09-28 2021-11-12 세메스 주식회사 반송 장치
SG11202109765QA (en) * 2019-04-03 2021-10-28 Murata Machinery Ltd Traveling vehicle system
CN110863412A (zh) * 2019-11-20 2020-03-06 苏秀云 一种建筑用铺设水泥板设备
JP7455008B2 (ja) 2020-06-23 2024-03-25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CN113682751B (zh) * 2021-08-11 2023-12-15 弥费实业(上海)有限公司 一种空中搬运装置及搬运系统
CN113816087A (zh) * 2021-09-30 2021-12-21 弥费实业(上海)有限公司 行走装置及空中运输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7250A (ja) 2000-09-14 2002-03-27 Daifuku Co Ltd 搬送設備
JP2005280946A (ja) 2004-03-30 2005-10-13 Daifuku Co Ltd 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43688A1 (de) * 1975-09-30 1977-03-31 Siemens Ag Aufhaengung fuer einen linearmotor an einem fahrzeug mit drehgestellen
US5123357A (en) * 1989-09-01 1992-06-23 Daifuki Co., Ltd. Conveyor driven by linear motor with rolling surface of rail acting as secondary for the motor
CA2128918C (en) * 1993-07-29 1999-09-21 Eiji Orisaka Conveying system and method for a production line
JP3674069B2 (ja) 1994-12-28 2005-07-20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電動台車の集電装置
JP3298348B2 (ja) * 1995-01-26 2002-07-0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3389757B2 (ja) 1995-11-08 2003-03-24 株式会社ダイフク 自走車使用の搬送装置
JPH09284906A (ja) * 1996-04-15 1997-10-31 Hitachi Kiden Kogyo Ltd 非接触給電式走行台車
JPH10234101A (ja) * 1997-02-18 1998-09-02 Hitachi Kiden Kogyo Ltd 搬送車の非接触給電装置
DE19725644A1 (de) * 1997-06-18 1998-12-24 Alsthom Cge Alcatel Bahn für mittels Weichen verzweigte Schienenstränge
JP2001294061A (ja) * 2000-04-13 2001-10-2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搬送設備
JP4049976B2 (ja) * 2000-08-23 2008-02-20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無人搬送装置
JP3508130B2 (ja) * 2000-09-21 2004-03-22 村田機械株式会社 搬送システム
CN1313209A (zh) * 2001-04-25 2001-09-19 西南交通大学 电力机车车顶状态综合自动检测装置
JP2002359901A (ja) * 2001-05-31 2002-12-13 Itoki Crebio Corp 移動体への給電システム
CN1185120C (zh) * 2001-10-02 2005-01-19 李孝龙 城市城际高架快速交通系统
JP2004217400A (ja) * 2003-01-17 2004-08-05 Nihon Yamamura Glass Co Ltd テーブルトップとこれを用いたテーブルトップチエン、コンベア
CN100333949C (zh) * 2003-07-29 2007-08-29 铁道第一勘察设计院 电气化铁道刚性接触网的悬挂装置及方法
JP4059828B2 (ja) * 2003-09-12 2008-03-1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非接触給電装置
JP2005186842A (ja) * 2003-12-26 2005-07-14 Murata Mach Ltd 有軌道台車システム
JP4148194B2 (ja) * 2004-07-22 2008-09-10 村田機械株式会社 搬送台車システム
JP4720267B2 (ja) * 2005-04-14 2011-07-13 村田機械株式会社 天井走行車システム
JP4441931B2 (ja) * 2005-05-06 2010-03-31 村田機械株式会社 搬送台車システム
JP4264840B2 (ja) * 2006-10-20 2009-05-20 村田機械株式会社 天井走行車
JP2009187867A (ja) * 2008-02-08 2009-08-20 Murata Mach Ltd 走行車システムと走行車の除電方法
JP5686501B2 (ja) * 2009-03-27 2015-03-18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5099454B2 (ja) * 2009-03-27 2012-12-19 株式会社ダイフク 交差部切換設備
US8272331B2 (en) * 2009-09-11 2012-09-25 Autran Corp. Automated transport system
JP5141987B2 (ja) * 2009-12-07 2013-02-13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5472209B2 (ja) * 2011-05-31 2014-04-16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7250A (ja) 2000-09-14 2002-03-27 Daifuku Co Ltd 搬送設備
JP2005280946A (ja) 2004-03-30 2005-10-13 Daifuku Co Ltd 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11150B1 (en) 2017-12-06
EP2511150A4 (en) 2015-03-18
CN102639380B (zh) 2015-04-15
CN102639380A (zh) 2012-08-15
US20120312188A1 (en) 2012-12-13
SG181120A1 (en) 2012-07-30
KR20120098775A (ko) 2012-09-05
JP5141987B2 (ja) 2013-02-13
EP2511150A1 (en) 2012-10-17
TWI419829B (zh) 2013-12-21
JP2011116313A (ja) 2011-06-16
US8448579B2 (en) 2013-05-28
TW201124330A (en) 2011-07-16
WO2011070861A1 (ja)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887B1 (ko) 물품 반송 설비
JP5686501B2 (ja) 物品搬送設備
JP5527619B2 (ja) 天井設置型の物品搬送設備
JP5099454B2 (ja) 交差部切換設備
JP5477651B2 (ja) 物品搬送設備
KR101943928B1 (ko) 물품 반송 설비
KR102018220B1 (ko) 물품 반송 설비
TWI772404B (zh) 物品搬送設備
KR101820815B1 (ko) 물품 반송 설비
KR101975306B1 (ko)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 설비
CN111591695A (zh) 吊顶输送车
JP5344366B2 (ja) 搬送システム
JP2021195063A (ja) 搬送台車及び搬送台車システム
JP4220948B2 (ja) 無軌道式の自動走行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