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306B1 -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 설비 - Google Patents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306B1
KR101975306B1 KR1020120148278A KR20120148278A KR101975306B1 KR 101975306 B1 KR101975306 B1 KR 101975306B1 KR 1020120148278 A KR1020120148278 A KR 1020120148278A KR 20120148278 A KR20120148278 A KR 20120148278A KR 101975306 B1 KR101975306 B1 KR 101975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veling
rail
joining
path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0543A (ko
Inventor
시게토 무라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30070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0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conveyors of the suspended, e.g. trolley, type
    • B65G47/61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conveyors of the suspended, e.g. trolley, type for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22Tracks for railways with the vehicle suspended from rigid supporting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22Tracks for railways with the vehicle suspended from rigid supporting rails
    • E01B25/26Switches; Cros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15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onveying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3Overhead conve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주행 경로의 레이아웃(1ayout)의 제약이 적은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搬送) 설비를 제공한다. 레일 가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둔 좌우 한쌍의 레일부(1a)를 구비하여, 물품 반송차(2)의 가이드 레일(1)이 배치된다. 가이드 레일(1)은, 주행 경로(4)의 3방향 분기부(分岐部) M3에서, 직진 경로 DS, 좌측 분기로 DL, 우측 분기로 DR로 분기된다. 직진 경로 DS를 따르는 좌우 한쌍의 레일부 (1a)는, 3방향 분기부 M3의 상류측 주행 경로 DK를 따르는 좌우 한쌍의 레일부 (1a)에 대하여, 경로 길이 방향으로 이격(離隔)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류측 주행 경로 DK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1a)와 직진 경로 DS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1a)와의 사이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搬送車)(2)를 캐치(catch) 지지하는 보조 캐치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 설비{CEILLING INSTALLATION TYPE ARTICLE TRANSPORT FACILITY}
본 발명은,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搬送) 설비에 관한 것이다.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 설비는, 예를 들면, 청정실 내의 천정부에 설치되어, 반도체 기판 등의 기판을 수납하는 수납 용기를 물품으로서 반송하는 용도에 사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는, 주행 경로에 분기부(分岐部)나 합류부를 설치하여, 물품 반송차(搬送車)를 각종 형태로 주행시키는 것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환형(環形)의 주행 경로로부터 분기하여, 기판에 대하여 복수 종류의 처리를 행하는 복수의 기판 처리 장치의 반출입부를 경유한 후, 다시 환형의 주행 경로에 합류하는 U자형의 주행 경로를 설치하는 것이 행해지는 등, 주행 경로에 분기부나 합류부를 설치하여, 물품 반송차를 주행시키는 것이 행해진다.
일반적으로, 물품 반송차는, 승강 가능[승강 자재(自在)]인 물품 파지부를 구비하여, 기판 처리 장치의 반출입부(搬出入部)에 대하여 물품을 이송탑재(transfer)할 때는, 기판 처리 장치의 반출입부에 대응하는 개소에서 정지한 상태에서, 물품 파지부를 승강시키게 된다.
일본공개특허 제2002―37059호 공보(특허 문헌 1)에는, 직진 경로와 좌우의 한쪽으로 분기하는 분기 경로를 가지는 2방향 분기부가 주행 경로에 설치된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 설비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 2방향 분기부의 구성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사용하여, 직진 합류로와 좌우의 한쪽으로부터 합류하는 합류로를 구비하는 2방향 합류부를 주행 경로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본공개특허 제2002―37059호 공보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 주행 경로에 설치하는 분기부가, 2방향 분기부이며, 또한 주행 경로에 설치하는 합류부가 2방향 합류부인 경우에는, 물품 반송차를 주행시키기 위한 주행 경로의 레이아웃(1ayout)을 설정하는 데 있어서, 그 설정에 제약이 생기게 된다.
예를 들면, 주행 경로의 분기부에 있어서, 좌우의 양측으로 분기 가능하게 되면 주행 경로의 레이아웃의 설정을 제약이 적은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주행 경로의 합류부에 있어서, 좌우의 양측으로부터 합류 가능하게 되면 주행 경로의 레이아웃의 설정을 제약이 적은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천정 설치형의 반송 설비에는, 새로운 개선이 요구된다.
즉, 주행 경로의 레이아웃의 설정을 제약이 적은 상태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한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 설비의 제공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 설비의 제1 특징적 구성은, 주행부와, 그 주행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물품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부의 전후 양측 개소(箇所)의 각각에, 좌우의 주행륜을 구비하는 물품 반송차와,
상기 물품 반송차의 주행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이, 레일 가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로 좌우 한쌍의 레일부를 구비하고,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가, 상기 주행륜이 주행하는 주행면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주행 경로를 상기 주행 경로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류측 주행 경로로부터 하류측 주행 경로를 향해 3방향으로 분기하는 3방향 분기부와, 상기 3방향 분기부로부터 각각 분기하여 신장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직진 경로와, 좌측 분기로와, 우측 분기로를 가지고,
상기 직진 경로는, 상기 직진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가, 상기 3방향 분기부에서의 상기 상류측 주행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에 연속되지 않고, 경로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직진 레일 간격으로 이격(離隔)되는 상태로 구성되며,
상기 좌측 분기로는, 상기 좌측 분기로를 따라 설치되는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 중 좌측의 레일부가, 상기 상류측 주행 경로의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 중 좌측의 레일부에 연속되는 상태로 구성되며,
상기 우측 분기로는, 상기 우측 분기로를 따라 설치되는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 중 우측의 레일부가, 상기 상류측 주행 경로의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 중 우측의 레일부에 연속되는 상태로 구성되며,
상기 물품 반송차는, 상기 주행부의 상기 주행륜보다 상방측 개소에 장비된 경로 전환용의 피(被)안내체와, 상기 피안내체가 안내되는 상태를 전환하는 주행 방향 전환 기구를 가지고,
상기 물품 반송 설비는, 상기 피안내체를 캐치(catch)하는 상부 가이드 레일과, 상기 3방향 분기부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주행 경로의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와 상기 직진 경로의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와의 사이를 주행하는 상기 물품 반송차를 캐치 지지하는 보조 캐치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상부 가이드 레일은, 상기 좌측 분기로를 따라 상기 물품 반송차를 분기 주행시키는 좌측 분기 주행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좌측 분기용 안내면과, 상기 우측 분기로를 따라 상기 물품 반송차를 분기 주행시키는 우측 분기 주행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우측 분기용 안내면과, 상기 물품 반송차를 직진 주행시키는 비(非)분기 주행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비분기용 안내면을 구비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주행 방향 전환 기구(機構)는, 상기 피안내체가 안내되는 상태를, 상기 피안내체가 상기 좌측 분기용 안내면에 의해 안내되는 좌측 분기 안내 상태, 상기 피안내체가 상기 우측 분기용 안내면에 의해 안내되는 우측 분기 안내 상태, 및 상기 피안내체가 상기 비분기용 안내면에 의해 안내되는 비분기 안내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좌측 분기용 안내면은, 상기 좌측 분기 주행 상태의 상기 물품 반송차가 우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는 상태에서, 상기 피안내체를 캐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우측 분기용 안내면은, 상기 우측 분기 주행 상태의 상기 물품 반송차가 좌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는 상태에서, 상기 피안내체를 캐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보조 캐치 기구는, 상기 비분기 주행 상태로 상기 상류측 주행 경로의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와 상기 직진 경로의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와의 사이를 주행하는 상기 물품 반송차를 캐치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 설비의 제2 특징적 구성은, 주행부와, 그 주행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물품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부의 전후 양측 개소의 각각에, 좌우의 주행륜을 구비하는 물품 반송차와,
상기 물품 반송차의 주행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이, 레일 가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로 좌우 한쌍의 레일부를 구비하고,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가, 상기 주행륜이 주행하는 주행면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주행 경로를 상기 주행 경로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류측 주행 경로로부터 하류측 주행 경로를 향해 3방향으로부터 합류하는 3방향 합류부와, 상기 3방향 합류부에 각각 접속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직진 합류로와, 좌측 합류로와, 우측 합류로를 가지고,
상기 직진 합류로는, 상기 직진 합류로를 따라 설치되는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가 상기 3방향 합류부에서의 상기 하류측 주행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에 대하여 연속되지 않고, 경로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직진 레일 간격으로 이격되는 상태로 구성되며, 상기 좌측 합류로는, 상기 좌측 합류로를 따라 설치되는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 중의 좌측의 레일부가, 상기 하류측 주행 경로의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 중 좌측의 레일부에 연속되는 상태로 구성되며,
상기 우측 합류로는, 상기 우측 합류로를 따라 설치되는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 중 우측의 레일부가, 상기 하류측 주행 경로의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 중 우측의 레일부에 연속되는 상태로 구성되며,
상기 물품 반송차는, 상기 주행부의 상기 주행륜보다 상방측 개소에 장비된 합류용의 피안내체와, 상기 피안내체가 안내되는 상태를 전환하는 합류 상태 전환 기구를 가지고,
상기 물품 반송 설비는, 상기 피안내체를 캐치하는 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과, 상기 3방향 합류부에 있어서 상기 직진 합류로의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와 상기 하류측 주행 경로의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와의 사이를 주행하는 상기 물품 반송차를 캐치 지지하는 합류용 보조 캐치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은, 상기 좌측 합류로로부터 상기 하류측 주행 경로에 상기 물품 반송차를 합류시키는 좌측 합류용 안내면과, 상기 우측 합류로로부터 상기 하류측 주행 경로에 상기 물품 반송차를 합류시키는 우측 합류용 안내면과, 상기 직진 합류로로부터 상기 하류측 주행 경로에 상기 물품 반송차를 합류시키는 직진 합류용 안내면을 구비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합류 상태 전환 기구는, 상기 피안내체가 상기 좌측 합류용 안내면에 의해 안내되는 좌측 합류 안내 상태, 상기 피안내체가 상기 우측 합류용 안내면에 의해 안내되는 우측 합류 안내 상태, 및 상기 피안내체가 상기 직진 합류용 안내면에 의해 안내되는 직진 합류 안내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좌측 합류용 안내면은, 상기 좌측 합류로로부터 상기 하류측 주행 경로에 합류하는 좌측 합류 주행 상태의 상기 물품 반송차가 우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는 상태에서, 상기 피안내체를 캐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우측 합류용 안내면은, 상기 우측 합류로로부터 상기 하류측 주행 경로에 합류하는 우측 합류 주행 상태의 상기 물품 반송차가 좌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는 상태에서, 상기 피안내체를 캐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합류용 보조 캐치 기구는, 상기 직진 합류로로부터 상기 하류측 주행 경로에 합류하는 직진 합류 주행 상태로 상기 직진 합류로의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와 상기 하류측 주행 경로의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와의 사이를 주행하는 상기 물품 반송차를 캐치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상기 제1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물품 반송차를, 3방향 분기부에 있어서, 비분기 주행 상태로 직진 주행시키는 것에 더하여, 좌측 분기 주행 상태로 분기 주행시키는 것이나, 우측 분기 주행 상태로 분기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3방향 합류부에 있어서, 직진 합류로로부터 하류측 주행 경로에 합류하는 직진 합류 주행 상태로 물품 반송차를 주행시키는 것, 좌측 합류로로부터 하류측 주행 경로에 합류하는 좌측 합류 주행 상태로 물품 반송차를 주행시키는 것, 및 우측 합류로로부터 하류측 주행 경로에 합류하는 우측 합류 주행 상태로 물품 반송차를 주행시킬 수 있다.
즉, 물품 반송차를, 주행 경로에서의 3방향 분기부를 주행시킬 때는, 주행 방향 전환 기구에 의해, 좌측 분기 안내 상태, 우측 분기 안내 상태, 비분기 안내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3방향 분기부에 있어서, 좌측 분기 주행시키는 것, 우측 분기 주행시키는 것, 및 직진 주행시키는 것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물품 반송차가 직진 합류로를 주행할 때는, 피안내체를 직진 합류용 안내면에 의해 안내하는 직진 합류 안내 상태로 전환하고, 물품 반송차가 좌측 합류로를 주행할 때는, 피안내체를 좌측 합류용 안내면에 의해 안내하는 좌측 합류 안내 상태로 전환하고, 물품 반송차가 우측 합류로를 주행할 때는, 피안내체를 우측 합류용 안내면에 의해 안내하는 우측 합류 안내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물품 반송차를, 직진 합류 주행 상태, 좌측 합류 주행 상태, 및 우측 합류 주행 상태로 주행시킬 수 있다.
그런데, 물품 반송차의 주행부는, 주행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이, 레일 가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로 좌우 한쌍의 레일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좌우 한쌍의 레일부의 사이의 공간을, 주행부에 대하여 물품 유지부를 현수(懸垂)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 또는 물품 유지부의 상측 부분이 삽통(揷通)되는 공간으로서 이용하면서, 물품 반송차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주행시키게 된다.
따라서, 물품 반송차가, 주행 경로의 3방향 분기부에 있어서, 비분기 주행 상태로 직진 주행하는 경우, 좌측 분기 주행 상태로 분기 주행하는 경우, 및 우측 분기 주행 상태로 분기 주행하는 경우 중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주행부에 대하여 물품 유지부를 현수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 또는 물품 유지부의 상측 부분이 삽통되는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물품 반송차가, 주행 경로의 3방향 합류부에 있어서, 직진 합류 주행 상태로 주행하는 경우, 좌측 합류 주행 상태로 주행하는 경우, 및 우측 합류 주행 상태로 주행하는 경우 중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주행부에 대하여 물품 유지부를 현수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 또는 물품 유지부의 상측 부분이 삽통되는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제1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직진 경로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와 상류측 주행 경로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와의 사이의 공간이, 상류측 주행 경로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가 좌측 분기 경로를 따라 분기 주행하는 경우나 상류측 주행 경로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가 우측 분기 경로를 따라 분기 주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주행부에 대하여 물품 유지부를 현수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 또는 물품 유지부의 상측 부분이 삽통되는 공간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물론, 직진 경로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와 상류측 주행 경로와의 사이의 공간은, 물품 반송차가 직진 주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주행부에 대하여 물품 유지부를 현수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 또는 물품 유지부의 상측 부분이 삽통되는 공간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제2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직진 합류로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와 하류측 주행 경로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와의 사이의 공간이, 물품 반송차가 좌측 합류 주행 상태로 주행하는 경우나 물품 반송차가 우측 합류 주행 상태로 주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주행부에 대하여 물품 유지부를 현수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 또는 물품 유지부의 상측 부분이 삽통되는 공간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물론, 직진 합류로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와 하류측 주행 경로와의 사이의 공간은, 물품 반송차가 직진 합류 주행 상태로 주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주행부에 대하여 물품 유지부를 현수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 또는 물품 유지부의 상측 부분이 삽통되는 공간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3방향 분기부에 있어서는, 물품 반송차의 주행부의 좌우의 주행륜을, 가이드 레일의 좌우의 레일부에 의해, 캐치 지지할 수 없게 되지만, 물품 반송차를 적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3방향 합류부에 있어서, 물품 반송차의 주행부의 좌우의 주행륜을, 가이드 레일의 좌우의 레일부에 의해, 캐치 지지할 수 없게 되지만, 물품 반송차를 적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류측 주행 경로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가 좌측 분기 경로를 따라 분기 주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주행부의 좌우의 주행륜 중 좌측의 주행륜은, 레일부의 주행면에 탑재되는 상태를 유지할뿐, 주행부의 좌우의 주행륜 중 우측의 주행륜이, 레일부에 의해 캐치할 수 없는 부상(浮上) 상태로 되므로, 물품 반송차가 우측으로 경사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좌측 합류로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가 좌측 합류 주행 상태로 주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주행부의 좌우의 주행륜 중 좌측의 주행륜은, 레일부의 주행면에 탑재되는 상태를 유지할뿐, 주행부의 좌우의 주행륜 중 우측의 주행륜이, 레일부에 의해 캐치할 수 없는 부상 상태로 되므로, 물품 반송차는 우측으로 경사지게 된다.
이에 대응하여, 제1 특징적 구성에, 좌측 분기용 안내면이, 좌측 분기 주행 상태의 물품 반송차가 우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는 상태에서, 피안내체를 캐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물품 반송차가, 상류측 주행 경로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가 좌측 분기 경로를 따라 분기 주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주행부의 좌우의 주행륜 중 좌측의 주행륜이, 레일부의 주행면에 탑재되는 상태에서, 주행부의 좌우의 주행륜 중 우측의 주행륜이, 레일부에 의해 캐치할 수 없는 부상 상태로 되었을 때, 물품 반송차가 우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좌측 합류용 안내면이, 좌측 합류 주행 상태의 물품 반송차가 우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는 상태에서, 피안내체를 캐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물품 반송차가 좌측 합류 주행 상태로 주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주행부의 좌우의 주행륜 중 좌측의 주행륜이, 레일부의 주행면에 탑재되는 상태에서, 주행부의 좌우의 주행륜 중 우측의 주행륜이, 레일부에 의해 캐치할 수 없는 부상 상태로 되었을 때, 물품 반송차가 우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좌측 방향으로의 분기 및 좌측 방향으로부터의 합류와 마찬가지로, 상류측 주행 경로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가 우측 분기 경로를 따라 분기 주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주행부의 좌우의 주행륜 중 우측의 주행륜은, 레일부의 주행면에 탑재되는 상태를 유지할뿐, 주행부의 좌우의 주행륜 중 좌측의 주행륜이, 레일부에 의해 캐치할 수 없는 부상 상태로 되므로, 물품 반송차가 좌측으로 경사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우측 합류로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가 우측 합류 주행 상태로 주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주행부의 좌우의 주행륜 중 우측의 주행륜은, 레일부의 주행면에 탑재되는 상태를 유지할뿐, 주행부의 좌우의 주행륜 중 좌측의 주행륜이, 레일부에 의해 캐치할 수 없는 부상 상태로 되므로, 물품 반송차는 좌측으로 경사지게 된다.
이에 대응하여, 제1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우측 분기용 안내면이, 우측 분기 주행 상태의 물품 반송차가 좌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는 상태에서, 피안내체를 캐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물품 반송차가, 상류측 주행 경로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가 우측 분기 경로를 따라 분기 주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주행부의 좌우의 주행륜 중 우측의 주행륜이, 레일부의 주행면에 탑재되는 상태에서, 주행부의 좌우의 주행륜 중 좌측의 주행륜이, 레일부에 의해 캐치할 수 없는 부상 상태로 되었을 때, 물품 반송차가 좌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우측 합류용 안내면이, 우측 합류 주행 상태의 물품 반송차가 좌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는 상태에서, 피안내체를 캐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물품 반송차가 우측 합류 주행 상태로 주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주행부의 좌우의 주행륜 중 우측의 주행륜이, 레일부의 주행면에 탑재되는 상태에서, 주행부의 좌우의 주행륜 중 좌측의 주행륜이, 레일부에 의해 캐치할 수 없는 부상 상태로 되었을 때, 물품 반송차가 좌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3방향 분기부에 있어서, 상류측 주행 경로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가 직진 주행하는 경우에는, 주행부의 좌우의 주행륜은, 상류측 주행 경로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에 의한 캐치 지지가 없게 되면, 직진 경로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에 의해 캐치 지지될 때까지의 동안은, 부상 상태로 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3방향 합류부에 있어서, 물품 반송차가 직진 합류 주행 상태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주행부의 좌우의 주행륜은, 직진 합류로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에 의한 캐치 지지가 없게 되면, 하류측 주행 경로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에 의해 캐치 지지될 때까지의 동안은, 부상 상태로 되게 된다.
이에 대응하여, 제1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보조 캐치 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류측 주행 경로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가 비분기 주행 상태로 직진 주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주행부의 좌우의 주행륜이, 상류측 주행 경로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나 직진 경로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에 의해 캐치 지지되지 않게 되어도, 보조 캐치 기구가, 물품 반송차를 캐치 지지하게 된다. 또한, 제2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보조 캐치 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물품 반송차가 직진 합류 주행 상태로 주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주행부의 좌우의 주행륜이, 직진 합류로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나 하류측 경로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에 의해 캐치 지지되지 않게 되어도, 보조 캐치 기구에 의해, 물품 반송차를 캐치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물품 반송차를, 3방향 분기부에 있어서, 직진 주행시키는 것에 더하여, 좌측 분기 주행시키거나, 우측 분기 주행시킬 수 있으므로, 주행 경로의 레이아웃의 설정을 제약이 적은 상태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물품 반송차를, 3방향 합류부에 있어서, 직진 합류로로부터 하류측 주행 경로에 합류하는 직진 합류 주행 상태로 주행시키거나, 좌측 합류로로부터 하류측 주행 경로에 합류하는 좌측 합류 주행 상태로 주행시키거나, 및 우측 합류로로부터 하류측 주행 경로에 합류하는 우측 합류 주행 상태로 주행시킬 수 있으므로, 주행 경로의 레이아웃의 설정을 제약이 적은 상태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제1 및 제2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주행 경로의 레이아웃의 설정을 제약이 적은 상태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한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일 태양(態樣; aspect)으로서, 상기 물품 반송차는, 상기 주행부의 상측 개소에, 보조 차륜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 차륜은, 상기 3방향 분기부의 상측 개소에 설치된 보조 가이드 레일에 캐치 지지되는 피(被)캐치 위치와 상기 보조 가이드 레일에 캐치할 수 없는 퇴피 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보조 캐치 기구는, 상기 보조 가이드 레일에 의해 상기 보조 차륜을 캐치함으로써, 상기 물품 반송차를 상기 보조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현수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품 반송차는, 상기 주행부 상측 개소에, 보조 차륜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 차륜은, 상기 3방향 합류부의 상측 개소에 설치된 보조 가이드 레일에 캐치 지지되는 피캐치 위치와 상기 보조 가이드 레일에 캐치할 수 없는 퇴피 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합류용 보조 캐치 기구는, 상기 보조 가이드 레일에 의해 상기 보조 차륜을 캐치함으로써, 상기 물품 반송차를 상기 보조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현수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류측 주행 경로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를 직진 주행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주행부의 상측 개소에 설치한 보조 차륜을 피캐치 위치로 전환하여, 보조 가이드 레일에 의해 보조 차륜을 캐치 지지함으로써, 주행부의 좌우의 주행륜이, 상류측 주행 경로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나 직진 경로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에 의한 캐치 지지가 되지 않아도, 물품 반송차를 보조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현수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류측 주행 경로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를 좌측 분기 주행시키는 경우나 우측 분기 주행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는, 주행부의 상측 개소에 설치한 보조 차륜을 퇴피 위치로 전환하여, 보조 가이드 레일에 의해 보조 차륜이 캐치 지지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물품 반송차를 좌측 분기 주행시키는 것이나 우측 분기 주행시키는 것을, 보조 가이드 레일과 보조 차륜과의 간섭을 회피한 상태로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직진 합류로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를 직진 합류 주행 상태로 주행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주행부의 상측 개소에 설치한 보조 차륜을 피캐치 위치로 전환하여, 보조 가이드 레일에 의해 보조 차륜을 캐치 지지시킴으로써, 주행부의 좌우의 주행륜이, 직진 합류로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나 하류측 주행 경로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에 의한 캐치 지지되지 않게 되어도, 물품 반송차를 보조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현수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물품 반송차를 좌측 합류 주행 상태나 우측 합류 주행 상태로 주행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는, 주행부의 상측 개소에 설치한 보조 차륜을 퇴피 위치로 전환하여, 보조 가이드 레일에 의해 보조 차륜이 캐치 지지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좌측 합류 주행 상태나 우측 합류 주행 상태로 물품 반송차를 주행시키는 것을, 보조 가이드 레일과 보조 차륜과의 간섭을 회피한 상태로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보조 캐치 기구가, 보조 가이드 레일에 의해 보조 차륜을 캐치함으로써, 물품 반송차를 보조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현수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구성되는 것이므로, 설비의 전체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기 용이하게 된다.
예를 들면, 보조 캐치 기구로서, 주행부의 좌우의 주행륜을 캐치하는 가동 레일을, 캐치 작용 위치와 퇴피 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설치하여, 좌우의 주행륜을 캐치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구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구성의 경우에 있어서는, 주행 경로 중에 복수의 3방향 분기부나 3방향 합류부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3방향 분기부나 3방향 합류부의 각각에, 가동 레일 및 그 가동 레일을 캐치 작용 위치와 퇴피 위치로 전환하는 액추에이터를 장비함으로써, 설비의 전체 구성이 복잡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주행 경로 중의 3방향 분기부에 대해서는, 보조 가이드 레일을 고정 상태로 설치하여, 물품 반송차에는, 피캐치 위치와 퇴피 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보조 차륜을 장비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주행 경로 중에 복수의 3방향 분기부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이들 3방향 분기부의 각각에는, 보조 가이드 레일을 고정 상태로 설치하면 되고, 설비의 전체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기 용이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주행 경로 중의 3방향 합류부에 대해서는, 보조 가이드 레일을 고정 상태로 설치하여, 물품 반송차에는, 피캐치 위치와 퇴피 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보조 차륜을 장비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주행 경로 중에 복수의 3방향 합류부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이들 3방향 합류부의 각각에는, 보조 가이드 레일을 고정 상태로 설치하면 되고, 설비의 전체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기 용이하게 된다.
그 결과, 설비의 전체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기 용이한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일 태양으로서, 상기 비분기용 안내면이, 상기 상부 가이드 레일의 연장 방향을 따른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斷面)에서 볼 때, 상방향의 경사면으로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피안내체가, 상기 단면에서 볼 때, 상기 비분기용 안내면과 평행한 회전 축심(軸心) 주위에서 회전하는 륜체(輪體)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상부 가이드 레일이, 상기 보조 가이드 레일로서 기능하고, 또한 상기 피안내체가, 상기 보조 차륜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직진 합류용 안내면이, 상기 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의 연장 방향을 따른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 상방향의 경사면으로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피안내체가, 상기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직진 합류용 안내면과 평행한 회전 축심 주위에서 회전하는 륜체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이, 상기 보조 가이드 레일로서 기능하고, 또한 상기 피안내체가, 상기 보조 차륜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품 반송차의 주행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것이나, 물품 반송차를 합류 주행시키기 위해 설치한 상부 가이드 레일이나 피안내체를, 보조 캐치 기구의 구성 부재로서 이용하는 것이므로, 물품 반송차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형태로 보조 캐치 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또한 물품 반송차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형태로 보조 캐치 기구를 구성할 수 있는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태양으로서, 상기 보조 차륜으로서 기능하는 상기 피안내체가, 상기 비분기용 안내면과 평행한 상기 회전 축심 방향에 대한 이동에 따라, 상기 피캐치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일 태양으로서, 상기 보조 차륜으로서 기능하는 상기 피안내체가, 상기 직진 합류용 안내면과 평행한 상기 회전 축심 방향에 대한 이동에 따라, 상기 피캐치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조 차륜으로서 기능하는 피안내체를, 비분기용 안내면이나 직진 합류용 안내면과 평행한 회전 축심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피캐치 위치와 퇴피 위치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물품 반송차를 3방향 분기부나 3방향 합류부에 의해 정지시킨 상태에 있어서, 유지보수 등의 목적으로, 피안내체를 피캐치 위치와 퇴피 위치로 전환하는 등, 피안내체를 피캐치 위치와 퇴피 위치로 전환하는 것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물품 반송차를 3방향 분기부나 3방향 합류부에 의해 정지시킨 상태에 있어서, 피안내체가 피캐치 위치와 퇴피 위치로 전환할 때는, 물품 반송차를 다른 수단에 의해 캐치 지지할 필요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또한 피안내체를 피캐치 위치와 퇴피 위치로 전환하는 것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일 태양으로서, 상기 직진 레일 간격은, 상기 물품 반송차의 상기 주행부에 설치된 상기 주행륜의 전후 방향의 간격인 차륜 전후 간격보다도 짧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단한 구성에 의해 양호하고 또한 확실하게 보조 캐치 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 설비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물품 반송차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물품 반송차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3방향 분기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물품 반송차의 3방향 분기부에서의 직진 주행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물품 반송차의 3방향 분기부에서의 우측 분기 주행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의 3방향 합류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물품 반송차의 3방향 합류부에서의 직진 합류 주행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물품 반송차의 3방향 합류부에서의 우측 합류 주행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의 상부 가이드 레일을 나타낸 종단 정면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형태의 직진용 레일을 나타낸 종단 정면도이다.
도 12는 제4 실시형태의 3방향 분기부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동 형태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동 형태의 주요부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제5 실시형태의 3방향 분기부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제6 실시형태의 3방향 분기부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동 형태의 주요부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동 형태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 설비의 제1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을 구비한 주행 가이드부 L이, 청정실의 천정측에 설치되고, 주행 가이드부 L을 따라 주행하는 복수의 물품 반송차(2)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물품 반송차(2)는, 반도체 기판을 수납한 용기를 물품 B로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가이드부 L이, 복수의 물품 처리부 P를 경유하는 복수의 환형의 서브 주행 경로(3), 및 환형의 주행 경로(4)를 형성하고, 또한 주행 경로(4)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2)를 서브 주행 경로(3)로 분기 주행시키는 분기 접속 경로(5A), 서브 주행 경로(3)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2)를 주행 경로(4)에 합류 주행시키는 합류 접속 경로(5B), 및 환형의 주행 경로(4)에서의 좌우 한쌍의 직선형의 경로(경로의 일부분)를 접속하는 단락(短絡) 경로(6)를 형성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환형의 서브 주행 경로(3) 및 환형의 주행 경로(4)는, 좌우 한쌍의 직선형의 경로를 원호형의 경로에 의해 접속한 긴 원형(육상경기장의 트랙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품 반송차(2)는, 일방향을 향해 주행하면서, 주행 경로(4)나 서브 주행 경로(3)를 순환 주행하는 것, 주행 경로(4)로부터 서브 주행 경로(3)로 분기 주행하는 것, 서브 주행 경로(3)로부터 주행 경로(4)에 합류 주행하는 것, 및 단락 경로(6)를 통해 단락 주행하는 것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있어서는, 물품 반송차(2)의 주행 방향을,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물품 반송차(2)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방향을 향해 주행하면서, 물품 처리부 P로부터 받은 물품 B를, 다른 처리를 행하는 물품 처리부 P에 반송하는 작업을 행하게 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서브 주행 경로(3)나 주행 경로(4)의 일부의 개소에, 물품 B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복수의 보관부가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각 물품 반송차(2)는, 물품 처리부 P로부터 받은 물품 B를, 보관부에 반송하는 작업, 및 보관부로부터 받은 물품 B를, 물품 처리부 P에 반송하는 작업도 행하게 된다.
도 1에 있어서는, 분기부 M으로서, 주행 경로(4)에 대하여 분기 접속 경로(5A)가 접속된 개소, 및 서브 주행 경로(3)에 대하여 합류 접속 경로(5B)가 접속된 개소가 존재하고, 합류부 N으로서, 서브 주행 경로(3)에 대하여 분기 접속 경로(5A)가 접속된 개소, 및 주행 경로(4)에 대하여 합류 접속 경로(5B)가 접속된 개소가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단락 경로(6)가, 분기부 M 중, 주행 경로(4)에 대하여 분기 접속 경로(5A)가 접속된 분기부 M과 합류부 N 중, 주행 경로(4)에 대하여 합류 접속 경로(5B)가 접속되는 합류부 N을 접속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분기부 M 중, 단락 경로(6)가 분기되는 분기부 M이, 3방향 분기부 M3로 되고, 합류부 N 중, 단락 경로(6)가 합류되는 합류부 N이, 3방향 합류부 N3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3방향 분기부 M3에는, 직진 경로 DS, 좌측 분기로 DL, 및 우측 분기로 DR이 신장되는 상태로 설치되게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직진 경로 DS는 주행 경로(4)에 상당하며, 좌측 분기로 DL은 분기 접속 경로(5A)에 상당하며, 우측 분기로 DR은, 단락 경로(6)에 상당하게 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3방향 합류부 N3에는, 직진 합류로 GS, 좌측 합류로 GL 및 우측 합류로 GR이 접속되는 상태로 설치되게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직진 합류로 GS는 주행 경로(4)에 상당하며, 좌측 합류로 GL은 합류 접속 경로(5B)에 상당하며, 우측 합류로 GR은 단락 경로(6)에 상당하게 된다.
다음에,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한다. 주행 가이드부 L의 가이드 레일(1)은, 주행 경로(4)나 서브 주행 경로(3)를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레일용 지지체(8)에 의해 천정부에 현수 상태로 설치되고, 또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 가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로 좌우 한쌍의 레일부(1a)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을 차체 가로 폭 방향이라고 약칭하고, 물품 반송차(2)의 전후 폭 방향을 차체 전후 폭 방향이라고 약칭하고, 물품 반송차(2)의 상하 폭 방향을 차체 상하 폭 방향이라고 약칭한다.
물품 반송차(2)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가이드부 L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차체 본체부(9)와, 주행 가이드부 L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10)로 구성되어 있고, 차체 본체부(9)에는, 물품 B를 현수한 상태로 파지하는 파지부(11)가 구비되어 있다. 주행부(10)가, 전후로 배열된 전방 주행부(10F)와 후방 주행부(10R)로 구성되고, 이들 전방 주행부(10F) 및 후방 주행부(10R)의 각각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상하 방향을 따르는 연결축(12)이,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 사이를 통해 아래쪽으로 신장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차체 본체부(9)가, 전방 주행부(10F) 및 후방 주행부(10R)의 각각에 대하여, 연결축(12)의 축심 주위에서 상대 회전 가능(상대 회전 자재)한 상태로, 연결축(12)에 의해 현수 지지되어 있다.
전방 주행부(10F) 및 후방 주행부(10R)의 각각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식의 구동 모터(13)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좌우의 주행륜(14)이,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 각각의 상면에 의해 형성되는 주행면(1r)을 주행하는 상태로 장비되고, 또한 차체 상하 폭 방향을 따른 축심 주위(상하 축심 주위)로 자유 회전하는 좌우의 안내륜(15)이,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에서의 내측의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안내면(1g)과 맞닿은 상태로 장비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안내륜(15)은, 전방 주행부(10F) 및 후방 주행부(10R)의 각각에 대하여, 대차(臺車; carriage)의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2개씩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물품 반송차(2)는, 전방 주행부(10F) 및 후방 주행부(10R)의 안내륜(15)이 한쌍의 레일부(1a, 1a)에 의해 안내되는 것에 의해, 차체 가로 폭 방향에서의 위치를 규제하면서, 전방 주행부(10F) 및 후방 주행부(10R)의 주행륜(14)이 회전 구동되는 것에 의해, 가이드 레일(1)을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물품 반송차(2)는, 차체 본체부(9)에 대하여 전방 주행부(10F) 및 후방 주행부(10R)가 연결축(12)의 축심 주위(차체 상하 폭 방향을 따른 축심 주위)에서 굴곡되는 것에 의해, 주행 경로(4)의 원호형의 경로나 서브 주행 경로(3)의 원호형의 경로 등의 원호형 경로도 양호하게 주행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차체 본체부(9)는, 전술한 파지부(11)를 승강 조작 가능(승강 조작 자재)하게, 또한 선회 조작 가능(선회 조작 자재)하게 구비하는 것이지만, 그 구성은 주지(周知)이므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물품 반송차(2)에는, 전방 주행부(10F) 및 후방 주행부(10R)의 주행 작동, 파지부(11)의 승강 작동 및 선회 작동 등을 제어하여, 물품 반송차(2)의 운전을 제어하는 대차측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고, 그 대차측 제어부가, 복수의 물품 반송차(2)의 운행을 관리하는 설비 관리용 컴퓨터로부터, 무선 통신 등에 의해, 반송원(搬送元)의 스테이션 및 반송선(搬送先)의 스테이션을 지정하는 반송 지령을 받으면, 그 반송 지령에 의해 지정된 반송원의 스테이션으로부터 반송선의 스테이션에 물품 B를 반송하는 반송 처리를 행하게 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지만, 주행 가이드부 L에는, 물품 반송차(2)에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좌우 한쌍의 급전선이,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와 마찬가지로, 주행 경로(4)나 서브 주행 경로(3) 등을 따라 연장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물품 반송차(2)의 차체 본체부(9)에는, 좌우의 급전선으로부터 무접촉으로 구동용 전력이 급전되는 수전부(受電部)(수전 코일)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급전선에 교류 전류를 통전함으로써 자계를 발생시키고, 이 자계에 의해 수전부에 구동용 전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무접촉 상태로 물품 반송차(2)에 급전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물품 반송차(2)를 분기부 M에 의해 분기 주행시키고, 또한 합류부 N에 의해 합류 주행시키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2방향으로 분기하는 분기부 M에 있어서는, 3방향 분기부 M3에 있어서 물품 반송차(2)를 분기 주행시키기 위한 일부의 구성을 사용하여 분기 주행시키는 것이며, 또한 2방향으로부터 합류하는 합류부 N에 있어서는, 3방향 합류부 N3에 있어서 물품 반송차(2)를 합류 주행시키기 위한 일부의 구성을 사용하여 합류 주행시키는 것이므로, 먼저, 3방향 분기부 M3에 있어서 물품 반송차(2)를 분기 주행시키기 위한 구성, 및 3방향 합류부 N3에 있어서 물품 반송차(2)를 합류 주행시키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3방향 분기부 M3에 있어서는, 그 3방향 분기부 M3로부터 신장되는 직진 경로 DS를 따라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가, 주행 경로(4)에서의 3방향 분기부 M3의 상류측 주행 경로 DK를 따라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에 대하여, 경로 길이 방향(주행 경로의 직진 연신 방향)으로 이격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직진 경로 DS를 따라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와 상류측 주행 경로 DK를 따라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와의 간격(직진 레일 간격)은, 전방 주행부(10F)가 장비하는 주행륜(14)과 후방 주행부(10R)가 장비하는 주행륜(14)과의 간격(차륜 전후 간격)보다 작은 간격이다.
또한, 3방향 분기부 M3로부터 신장되는 좌측 분기로 DL을 따라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 중 좌측의 레일부(1a)가, 상류측 주행 경로 DK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 중 좌측의 레일부(1a)에 연속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3방향 분기부 M3로부터 신장되는 좌측 분기로 DL을 따라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 중 우측의 레일부(1a)가, 직진 경로 DS를 따라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 중 좌측의 레일부(1a)에 접속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지만, 이 접속을 행하지 않는 형태로 실시해도 된다.
또한, 3방향 분기부 M3로부터 신장되는 우측 분기로 DR을 따라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 중 우측의 레일부(1a)가, 상류측 주행 경로 DK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 중 우측의 레일부(1a)에 연속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3방향 분기부 M3로부터 신장되는 우측 분기로 DR을 따라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중 좌측의 레일부(1a)가, 직진 경로 DS를 따라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중 우측의 레일부(1a)에 접속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지만, 이 접속을 행하지 않는 형태로 실시해도 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3방향 합류부 N3에 있어서는, 그 3방향 합류부 N3에 접속되는 직진 합류로 GS를 따라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가, 주행 경로(4)에서의 3방향 합류부 N3의 하류측 주행 경로 GJ를 따라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에 대하여, 경로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3방향 합류부 N3에 접속되는 좌측 합류로 GL을 따라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 중 좌측의 레일부(1a)가, 하류측 주행 경로 GJ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 중 좌측의 레일부(1a)에 연속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3방향 합류부 N3에 접속되는 좌측 합류로 GL을 따라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중 우측의 레일부(1a)가, 직진 합류로 GS를 따라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중 좌측의 레일부(1a)에 접속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지만, 이 접속을 행하지 않는 형태로 실시해도 된다.
또한, 3방향 합류부 N3에 접속되는 우측 합류로 GR을 따라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중 우측의 레일부(1a)가, 하류측 주행 경로 GJ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중 우측의 레일부(1a)에 연속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3방향 합류부 N3로부터 접속되는 우측 합류로 GR을 따라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중 좌측의 레일부(1a)가, 직진 합류로 GS를 따라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중 우측의 레일부(1a)에 접속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지만, 이 접속을 행하지 않는 형태로 실시해도 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주행부(10F) 및 후방 주행부(10R)에서의 주행륜(14)보다 상방측 개소에는, 분기부 M에 있어서 경로 전환용의 피안내체로서 기능하고, 또한 합류부 N에 있어서, 합류용의 피안내체로서 기능하는 륜체 R이 장비되어 있다.
즉, 상기 륜체 R로서, 3방향 분기부 M3에 있어서 좌측 분기용으로서 기능하고, 또한 3방향 합류부 N3에 있어서 좌측 합류용으로서 기능하는 제1 륜체(16)와, 3방향 분기부 M3에 있어서 우측 분기용으로서 기능하고, 또한 3방향 합류부 N3에 있어서, 우측 합류용으로서 기능하는 제2 륜체(17)와, 3방향 분기부 M3에 있어서 직진용으로서 기능하고, 또한 3방향 합류부 N3에 있어서, 직진용으로서 기능하는 좌우 한쌍의 제3 륜체(18)가,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즉, 제1 륜체(16)를 차체 가로 폭 방향의 좌측에 위치시키고, 제2 륜체(17)를 차체 가로 폭 방향의 우측에 위치시키고, 그리고, 제1 륜체(16)와 제2 륜체(17)와의 사이에, 제3 륜체(18)를 위치시키는 상태로, 제1 륜체(16), 제2 륜체(17), 및 제3 륜체(18)가,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륜체(16)가, 위쪽으로 갈수록 차체 내측으로 경사진 제1 회전 축심 X1 주위에서 회전 가능(회전 자재)하게, 또한 그 제1 회전 축심 X1을 따라 승강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고, 마찬가지로, 제2 륜체(17)가, 위쪽으로 갈수록 차체 내측으로 경사진 제2 회전 축심 X2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또한 그 제2 회전 축심 X2를 따라 승강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제3 륜체(18) 중, 좌측의 제3 륜체(18)가, 위쪽으로 갈수록 우측으로 경사진 우측 경사 회전 축심 Y1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또한 그 우측 경사 회전 축심 Y1을 따라 승강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한쌍의 제3 륜체(18) 중, 우측의 제3 륜체(18)가, 위쪽으로 갈수록 좌측으로 경사진 좌측 경사 회전 축심 Y2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또한 그 좌측 경사 회전 축심 Y2를 따라 승강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륜체(16)를 제1 회전 축심 X1을 따라 승강 조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은, 제1 륜체(16)의 지지축(16A)을, 주행부(10)에 설치한 통체(19)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하고, 지지축(16A)에 형성한 랙(rack)에 걸어맞추어지는 피니언(20)을, 전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세히 설명은 하지 않지만, 제2 륜체(17) 및 제3 륜체(18)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구성에 의해 승강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2 륜체(17) 및 제3 륜체(18)에 대해서도, 승강 조작용의 피니언(20)이, 전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3방향 분기부 M3에는, 륜체 R을 캐치하는 상부 가이드 레일 U가, 가이드 레일(1)의 천정부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부 가이드 레일 U가, 좌측 분기용 레일 UL, 우측 분기용 레일 UR, 및 직진용 레일 US를 구비하고 있다. 즉, 좌측 분기용 레일 UL이 주행 경로(4)의 좌측에 설치되고, 우측 분기용 레일 UR이 주행 경로(4)의 우측에 설치되고, 직진용 레일 US가, 좌측 분기용 레일 UL과 우측 분기용 레일 UR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서는 3방향 분기부 M3에 있어서 륜체 R을 캐치 레일을 상부 가이드 레일 U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은, 3방향 합류부 N3에 있어서 륜체 R을 캐치 레일(합류용 상부 레일 W)도 포함하여 "상부 가이드 레일"이라고 해도 된다. 즉, 부호 "U"로 나타내는 상부 가이드 레일을 "분기용 상부 레일"이라고 하고, 후술하는 부호 "W"로 나타내는 상부 가이드 레일을 "합류용 상부 레일"이라고 하고, 양자를 총칭(總稱)하여 "상부 가이드 레일"이라고 해도 된다. 또한, 여기서는 3방향 분기부 M3에 있어서 직진하는 상부 가이드 레일 U를 직진용 레일 US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은, 3방향 합류부 N3에 직진하여 합류하는 가이드 레일(직진 합류용 레일 WS)도 포함하여 "직진용 레일"이라고 해도 된다. 즉, 부호 "US"로 나타내는 상부 가이드 레일을 "직진 분기용 레일"이라고 하고, 후술하는 부호 "WS"로 나타내는 상부 가이드 레일을 "직진 합류용 레일"이라고 하고, 양자를 총칭하여 "직진용 레일"이라고 해도 된다.
좌측 분기용 레일 UL은,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상류측 주행 경로 부분 DK로부터 좌측 분기로 DL을 따라 만곡형으로 신장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우측 분기용 레일 UR은,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상류측 주행 경로 DK로부터 우측 분기로 DR을 따라 만곡형으로 신장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직진용 레일 US는,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상류측 주행 경로 DK로부터 직진 경로 DS를 따라 직선형으로 신장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진용 레일 US, 좌측 분기용 레일 UL, 우측 분기용 레일 UR의 각각은, 연장 방향을 따른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이등변 삼각형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직진용 레일 US, 좌측 분기용 레일 UL, 우측 분기용 레일 UR의 측면은, 상부 가이드 레일 U의 연장 방향을 따른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상부 가이드 레일 U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에 의해, 상방향의 경사면으로 된다.
또한, 좌우의 제3 륜체(18)의 우측 경사 회전 축심 Y1 및 좌측 경사 회전 축심 Y2가, 상부 가이드 레일 U의 연장 방향을 따른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상부 가이드 레일 U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직진용 레일 US의 좌우의 측면과 평행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륜체(16)의 제1 회전 축심 X1이, 좌측 분기용 레일 UL의 측면과 평행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며, 제2 륜체(17)의 제2 회전 축심 X2가, 우측 분기용 레일 UR의 측면과 평행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 분기용 레일 UL에서의 좌측의 측면이, 물품 반송차(2)를 좌측 분기로 DL을 따라 분기 주행시키는 좌측 분기 주행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좌측 분기용 안내면 SL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우측 분기용 레일 UR에서의 우측의 측면이, 물품 반송차(2)를 우측 분기로 DR을 따라 분기 주행시키는 우측 분기 주행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우측 분기용 안내면 SR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직진용 레일 US의 좌우의 측면이, 물품 반송차(2)를 직진 주행시키는 비분기 주행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비분기용 안내면 SS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방 주행부(10F) 및 후방 주행부(10R)의 각각에 있어서의 제1 륜체(16)가, 전동 모터에 의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되는 피니언(20)에 의해 승강 조작되는 것에 의해, 좌측 분기용 레일 UL의 좌측 분기용 안내면 SL에 의해 캐치할 수 있는 피캐치 위치와 캐치할 수 없는 퇴피 위치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륜체(17)가, 전동 모터에 의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되는 피니언(20)에 의해 승강 조작되는 것에 의해, 우측 분기용 레일 UR의 우측 분기용 안내면 SR에 의해 캐치할 수 있는 피캐치 위치와 캐치할 수 없는 퇴피 위치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한쌍의 제3 륜체(18)가, 전동 모터에 의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되는 피니언(20)에 의해 승강 조작됨으로써, 좌우의 비분기용 안내면 SS에 의해 캐치할 수 있는 피캐치 위치와 캐치할 수 없는 퇴피 위치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1 륜체(16), 제2 륜체(17), 및 좌우의 제3 륜체(18) 중 1개를 피캐치 위치로 전환하고, 또한 나머지를 퇴피 위치로 전환함으로써, 제1 륜체(16)가 좌측 분기용 안내면 SL에 의해 안내되는 좌측 분기 안내 상태, 제2 륜체(17)가 우측 분기용 안내면 SR에 의해 안내되는 우측 분기 안내 상태, 및 제3 륜체(18)가 비분기용 안내면 SS에 의해 안내되는 비분기 안내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좌측 분기 안내 상태, 우측 분기 안내 상태, 및 비분기 안내 상태로 전환하는 주행 방향 전환 기구(주행 방향 전환 수단)가, 제1 륜체(16), 제2 륜체(17), 및 제3 륜체(18)를 승강 조작하는 피니언(20)을 주요부로서 구성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좌측 분기용 안내면 SL이, 좌측 분기 주행 상태의 물품 반송차(2)가 우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는 상태에서, 제1 륜체(16)를 캐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좌측 분기 주행 상태의 물품 반송차(2)는, 전방 주행부(10F) 및 후방 주행부(10R)의 각각에 있어서의 좌우의 주행륜(14) 중 좌측의 주행륜(14)이 레일부(1a)에 탑재될뿐, 우측의 주행륜(14)이 레일부(1a)에 탑재되지 않기 때문에, 우측으로 경사지게 되지만, 좌측 분기용 안내면 SL에 의해 제1 륜체(16)를 캐치하는 것에 의해, 좌측 분기 주행 상태의 물품 반송차(2)가 우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우측 분기용 안내면 SR이, 우측 분기 주행 상태의 물품 반송차(2)가 좌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는 상태에서, 제2 륜체(17)를 캐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우측 분기 주행 상태의 물품 반송차(2)는, 좌우의 주행륜(14) 중 우측의 주행륜(14)이 레일부(1a)에 탑재될뿐, 좌측의 주행륜(14)이 레일부(1a)에 탑재되지 않기 때문에, 좌측으로 경사지게 되지만, 우측 분기용 안내면 SR에 의해 제2 륜체(17)를 캐치하는 것에 의해, 우측 분기 주행 상태의 물품 반송차(2)가 좌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분기용 안내면 SS 및 좌우 한쌍의 제3 륜체(18)를 사용하여, 비분기 주행 상태로 상류측 주행 경로 DK의 좌우 한쌍의 레일(1a, 1a)와 직진 경로 DS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와의 사이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2)를 캐치 지지하는 보조 캐치 기구 E(보조 캐치 수단)가 구성되어 있다. 즉, 좌우의 비분기용 안내면 SS가, 전술한 바와 같은, 상부 가이드 레일 U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상방향의 경사면으로 되고, 또한 좌우의 제3 륜체(18)가, 상부 가이드 레일 U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비분기용 안내면 SS와 평행한 회전 축심 주위에서 회전하는 륜체로 되므로, 비분기 안내 상태에 있어서, 상부 가이드 레일 U의 직진용 레일 US에 의해 좌우의 제3 륜체(18)를 캐치함으로써, 물품 반송차(2)를 상부 가이드 레일 U의 직진용 레일 US에 의해 현수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서는 3방향 분기부 M3에서의 기구로서, 보조 캐치 기구 E를 설명하고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은, 3방향 합류부 N3에 설치되는 기구(합류용 보조 캐치 기구 F)도 포함하여 "보조 캐치 기구"라고 해도 된다. 즉, 부호 "E"로 나타내는 기구를 "분기용 보조 캐치 기구"라고 하고, 후술하는 부호 "F"로 나타내는 기구를 "합류용 보조 캐치 기구"라고 하고, 양자를 총칭하여 "보조 캐치 기구"라고 해도 된다.
설명을 추가하면, 보조 캐치 기구 E가, 좌우의 제3 륜체(18)를, 주행부(10)의 상측 개소에 장비하는 보조 차륜으로서 기능하게 하여, 상부 가이드 레일 U의 직진용 레일 US를, 3방향 분기부 M3의 상측 개소에 설치하는 보조 가이드 레일로서 기능하게 하여, 상부 가이드 레일 U의 직진용 레일 US에 의해 좌우의 제3 륜체(18)를 캐치함으로써, 물품 반송차(2)를 상부 가이드 레일 U의 직진용 레일 US에 대하여 현수 지지하는 기구(수단)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3방향 합류부 N3에는, 륜체 R을 캐치하는 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 W가, 가이드 레일(1)의 천정부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 W가, 좌측 합류용 레일 WL, 우측 합류용 레일 WR, 및 직진 합류용 레일 WS를 구비하고 있다. 즉, 좌측 합류용 레일 WL이 주행 경로(4)의 좌측에 설치되고, 우측 합류용 레일 WR이 주행 경로(4)의 우측에 설치되고, 직진 합류용 레일 WS가, 좌측 합류용 레일 WL과 우측 합류용 레일 WR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좌측 합류용 레일 WL은,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좌측 합류로 GL로부터 하류측 주행 경로 GJ를 따라 만곡형으로 신장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우측 합류용 레일 WR은,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우측 합류로 GR로부터 하류측 주행 경로 GJ를 따라 만곡형으로 신장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직진 합류용 레일 WS는,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직진 합류로 GS로부터 하류측 주행 경로 GJ를 따라 직선형으로 신장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진 합류용 레일 WS, 좌측 합류용 레일 WL, 및 우측 합류용 레일 WR의 각각은, 연장 방향을 따른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이등변 삼각형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직진 합류용 레일 WS, 좌측 합류용 레일 WL, 우측 합류용 레일 WR의 측면은, 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 W의 연장 방향을 따른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 W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상방향의 경사면으로 된다.
또한, 좌우의 제3 륜체(18)의 우측 경사 회전 축심 Y1 및 좌측 경사 회전 축심 Y2가, 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 W의 연장 방향을 따른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 W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직진 합류용 레일 WS의 좌우의 측면과 평행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륜체(16)의 제1 회전 축심 X1이, 좌측 합류용 레일 WL의 측면과 평행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고, 제2 륜체(17)의 제2 회전 축심 X2가, 우측 합류용 레일 WR의 측면과 평행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 합류용 레일 WL에서의 좌측의 측면이, 좌측 합류로 GL로부터 하류측 주행 경로 GJ에 물품 반송차(2)를 합류시키는 좌측 합류용 안내면 TL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우측 합류용 레일 WR에서의 우측의 측면이, 우측 합류로 GR로부터 하류측 주행 경로 GJ로 물품 반송차(2)를 합류시키는 우측 합류용 안내면 TR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직진 합류용 레일 WS의 좌우의 측면이, 직진 합류로 GS로부터 하류측 주행 경로 GJ로 물품 반송차(2)를 합류시키는 직진 합류용 안내면 TS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륜체(16)가, 전동 모터에 의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되는 피니언(20)에 의해 승강 조작되는 것에 의해, 좌측 합류용 레일 WL의 좌측 합류용 안내면 TL에 의해 캐치할 수 있는 피캐치 위치와 캐치할 수 없는 퇴피 위치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륜체(17)가, 전동 모터에 의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되는 피니언(20)에 의해 승강 조작되는 것에 의해, 우측 합류용 레일 WR의 우측 합류용 안내면 TR에 의해 캐치할 수 있는 피캐치 위치와 캐치할 수 없는 퇴피 위치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한쌍의 제3 륜체(18)가, 전동 모터에 의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되는 피니언(20)에 의해 승강 조작됨으로써, 좌우의 직진 합류용 안내면 TS에 의해 캐치할 수 있는 피캐치 위치와 캐치할 수 없는 퇴피 위치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1 륜체(16), 제2 륜체(17), 및 좌우의 제3 륜체(18) 중 1개를 피캐치 위치로 전환하고, 또한 나머지를 퇴피 위치로 전환함으로써, 제1 륜체(16)가 좌측 합류용 안내면 TL에 의해 안내되는 좌측 합류 안내 상태, 제2 륜체(17)가 우측 합류용 안내면 TR에 의해 안내되는 우측 합류 안내 상태, 및 제3 륜체(18)가 직진 합류용 안내면 TS에 의해 안내되는 직진 합류 안내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좌측 합류 안내 상태, 우측 합류 안내 상태, 및 직진 합류 안내 상태로 전환하는 합류 상태 전환 기구(합류 상태 전환 수단)가, 제1 륜체(16), 제2 륜체(17), 및 제3 륜체(18)를 승강 조작하는 피니언(20)을 주요부로서 구성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좌측 합류용 안내면 TL이, 좌측 합류로 GL로부터 하류측 주행 경로 GJ로 합류하는 물품 반송차(2)가 우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는 상태에서, 제1 륜체(16)를 캐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좌측 합류 주행 상태의 물품 반송차(2)는, 좌우의 주행륜(14) 중 좌측의 주행륜(14)이 레일부(1a)에 탑재될뿐, 우측의 주행륜(14)이 레일부(1a)에 탑재되지 않기 때문에, 우측으로 경사지게 되지만, 좌측 합류용 안내면 TL에 의해 제1 륜체(16)를 캐치하는 것에 의해, 좌측 합류 주행 상태의 물품 반송차(2)가 우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우측 합류용 안내면 TR이, 우측 합류로 GR로부터 하류측 주행 경로 GJ로 합류하는 물품 반송차(2)가 좌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는 상태에서, 제2 륜체(17)를 캐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우측 합류 주행 상태의 물품 반송차(2)는, 좌우의 주행륜(14) 중 우측의 주행륜(14)이 레일부(1a)에 탑재될뿐, 좌측의 주행륜(14)이 레일부(1a)에 탑재되지 않기 때문에, 좌측으로 경사지게 되지만, 우측 합류용 안내면 TR에 의해 제2 륜체(17)를 캐치하는 것에 의해, 우측 합류 주행 상태의 물품 반송차(2)가 좌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직진 합류용 안내면 TS 및 좌우 한쌍의 제3 륜체(18)를 사용하여, 직진 합류로 GS로부터 하류측 주행 경로 GJ로 합류하는 직진 합류 상태로 직진 합류로 GS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와 하류측 주행 경로 GJ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와의 사이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2)를 캐치 지지하는 합류용 보조 캐치 기구 F(합류용 보조 캐치 수단)가 구성되어 있다. 즉, 좌우의 직진 합류용 안내면 TS가, 전술한 바와 같은, 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 W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상방향의 경사면으로 되고, 또한 좌우의 제3 륜체(18)가, 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 W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직진 합류용 안내면 TS와 평행한 회전 축심 주위에서 회전하는 륜체이므로, 직진 합류 안내 상태에 있어서, 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 W의 직진 합류용 레일 WS에 의해 좌우의 제3 륜체(18)를 캐치함으로써, 물품 반송차(2)를 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 W의 직진 합류용 레일 WS에 의해 현수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합류용 보조 캐치 기구 F가, 좌우의 제3 륜체(18)를, 주행부(10)의 상측 개소에 장비하는 보조 차륜으로서 기능하게 하고, 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 W의 직진 합류용 레일 WS를, 3방향 합류부 N3의 상측 개소에 설치하는 보조 가이드 레일로서 기능하게 하여, 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 W의 직진 합류용 레일 WS에 의해 좌우의 제3 륜체(18)를 캐치함으로써, 물품 반송차(2)를 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 W의 직진 합류용 레일 WS에 대하여 현수 지지하는 기구(수단)로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주행 경로(4)에 대하여 분기 접속 경로(5A)가 접속된 개소의 2방향의 분기부 M, 및 서브 주행 경로(3)에 대하여 합류 접속 경로(5B)가 접속된 개소의 2방향의 분기부 M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3방향 분기부 M3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좌측 분기용 레일 UL, 우측 분기용 레일 UR, 및 직진용 레일 US를 구비하는 상부 가이드 레일 U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주행 경로(4)에 대하여 분기 접속 경로(5A)가 접속된 개소의 2방향의 분기부 M에서는, 좌측 분기용 레일 UL, 및 직진용 레일 US를 구비하는 상부 가이드 레일 U를 설치하고, 또한 서브 주행 경로(3)에 대하여 합류 접속 경로(5B)가 접속된 개소의 2방향의 분기부 M에서는, 우측 분기용 레일 UR, 및 직진용 레일 US를 구비하는 상부 가이드 레일 U를 설치한다.
또한, 2방향의 분기부 M에 있어서는, 가이드 레일(1)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 중, 좌측 분기로 DL 또는 우측 분기로 DR이 존재하는 분기로 측의 레일부(1a)를, 분기부 M의 형성 개소에 있어서 분단하도록 하고, 또한 좌측 분기로 DL 또는 우측 분기로 DR로부터 이격되는 쪽에 위치하는 분기로 이격측의 레일부(1a)를, 분기부 M의 형성 개소에 있어서도 일련으로 연속되도록 한다. 그리고,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 중, 분기로 측의 레일부(1a)에, 좌측 분기로 DL 또는 우측 분기로 DR에서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를 접속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직진 주행시키는 경우에는, 제3 륜체(18)를 직진용 레일 US에 의해 캐치 안내하고, 그리고, 분기 주행시키는 경우에는, 제1 륜체(16) 또는 제2 륜체(17)를, 좌측 분기용 레일 UL 또는 우측 분기용 레일 UR에 의해 캐치 안내하게 된다. 또한, 2방향의 분기부 M에 있어서는,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 중, 분기로 이격측의 레일부(1a)가, 분기부 M의 형성 개소에 있어서도 일련으로 연속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므로, 직진 주행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는, 물품 반송차(2)가 분기로 측의 레일부(1a)의 위치하는 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좌우의 제3 륜체(18) 중 한쪽만을, 직진용 레일 US에 의해 캐치 안내되는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다음에, 서브 주행 경로(3)에 대하여 분기 접속 경로(5A)가 접속된 개소의 2방향의 합류부 N, 및 주행 경로(4)에 대하여 합류 접속 경로(5B)가 접속된 개소의 2방향의 합류부 N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3방향 합류부 N3는, 좌측 합류용 레일 WL, 우측 합류용 레일 WR, 및 직진 합류용 레일 WS를 구비하는 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 W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서브 주행 경로(3)에 대하여 분기 접속 경로(5A)가 접속된 개소의 2방향의 합류부 N에서는, 우측 합류용 레일 WR, 및 직진 합류용 레일 WS를 구비하는 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 W를 설치하고, 또한 주행 경로(4)에 대하여 합류 접속 경로(5B)가 접속된 개소의 2방향의 합류부 N에서는, 좌측 합류용 레일 WL, 및 직진 합류용 레일 WS를 구비하는 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 W를 설치한다.
또한, 2방향의 합류부 N에 있어서는, 가이드 레일(1)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 중, 좌측 합류로 GL 또는 우측 합류로 GR이 존재하는 합류로 측의 레일부(1a)를, 합류부 N의 형성 개소에 있어서 분단하도록 하고, 또한 좌측 합류로 GL 또는 우측 합류로 GR로부터 이격되는 쪽에 위치하는 합류로 이격측의 레일부(1a)를, 합류부 N의 형성 개소에 있어서도 일련으로 연속되도록 한다. 그리고,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 중, 합류로 측의 레일부(1a)에, 좌측 합류로 GL 또는 우측 합류로 GR에서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를 접속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물품 반송차(2)를 직진 합류 주행시키는 경우에는, 제3 륜체(18)를 직진 합류용 레일 WS에 의해 캐치 안내하고, 그리고, 물품 반송차(2)를 좌측 합류 주행 또는 우측 합류 주행시키는 경우에는, 제1 륜체(16) 또는 제2 륜체(17)를, 좌측 합류용 레일 WL 또는 우측 합류용 레일 WR에 의해 캐치 안내하게 된다. 또한, 2방향의 합류부 N에 있어서는, 좌우 한쌍의 레일(1a, 1a) 중, 합류로 이격측의 레일부(1a)가, 합류부 N의 형성 개소에 있어서도 일련으로 연속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므로, 직진 합류 주행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는, 물품 반송차(2)가 합류로 측의 레일부(1a)의 위치하는 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좌우의 제3 륜체(18) 중 한쪽만을, 직진 합류용 레일 WS에 의해 캐치 안내되는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3방향 분기부 M3 및 3방향 합류부 N3를 설치함으로써, 물품 반송차(2)를 반송원으로부터 반송선으로 주행시킬 때, 그 주행 루트로서 짧은 루트를 설정하여 효율적으로 주행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좌측 분기용 안내면 SL 및 좌측 합류용 안내면 TL을 상방향의 경사면에 형성하여, 제1륜체(16)를 경사지는 축심 주위에서 회전시키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좌측 분기용 안내면 SL 및 좌측 합류용 안내면 TL을 연직 방향을 따른 면에 형성하여, 제1 륜체(16)을 연직 방향을 따른 축심(軸芯) 주위에서 회전시키도록 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우측 분기용 안내면 SR 및 우측 합류용 안내면 TR을 상방향의 경사면에 형성하여, 제2 륜체(17)를 경사지는 축심 주위에서 회전시키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우측 분기용 안내면 SR 및 우측 합류용 안내면 TR을 연직 방향을 따른 면에 형성하여, 제2 륜체(17)를 연직 방향을 따른 축심 주위에서 회전시키도록 해도 된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도 10에 기초하여,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하지만, 이 제2 실시형태는, 상부 가이드 레일 U 및 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 W의 구성이 상이한 것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중복된 기재를 생략하기 위해, 상부 가이드 레일 U 및 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 W의 구성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부 가이드 레일 U가,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십자형의 프레임체로 되도록 형성되고, 상부측에, 좌측 분기용 레일 UL과 우측 분기용 레일 UR이 좌우로 배열된 상태로 형성되고, 하부측에, 직진용 레일 US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상부 가이드 레일 U와 마찬가지로, 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 W가,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십자형의 프레임체로 되도록 형성되고, 상부측에 좌측 합류용 레일 WL과 우측 합류용 레일 WR이 좌우로 배열된 상태로 형성되고, 하부측에 직진 합류용 레일 WS가 형성되게 된다.
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부 가이드 레일 U가, 좌측 분기용 레일 UL, 우측 분기용 레일 UR, 및 직진용 레일 US를 구비하는 1개의 프레임체형으로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 W가, 좌측 합류용 레일 WL, 우측 합류용 레일 WR, 및 직진 합류용 레일 WS를 구비하는 1개의 프레임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상부 가이드 레일 U나 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 W의 설치가 행하기 용이하게 된다.
〔제3 실시형태〕
다음에, 제3 실시형태를 설명하지만, 이 제3 실시형태는, 상부 가이드 레일 U에서의 직진용 레일 US 및 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 W의 직진 합류용 레일 WS의 구성, 및 제3 륜체(18)의 구성이 상이한 것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중복된 기재를 생략하기 위해, 상부 가이드 레일 U에서의 직진용 레일 US 및 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 W의 직진 합류용 레일 WS의 구성, 및 제3 륜체(18)의 구성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이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가이드 레일 U에서의 직진용 레일 US가,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역T자형으로 형성되어, 좌우 한쌍의 상방향의 면 E1, 및 좌측, 우측 한쌍의 가로 방향의 면 E2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한쌍의 제3 륜체(18)의 각각이, 수평 방향을 따른 축심 주위에서 회전하여, 상방향의 면 E1을 주행하는 제1 륜체 부분(18A)과, 연직 방향을 따른 축심 주위에서 회전하여, 가로 방향의 면 E2와 맞닿은 제2 륜체 부분(18B)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 W의 직진 합류용 레일 WS가, 상부 가이드 레일 U에서의 직진용 레일 US와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역T자형으로 형성되어, 제3 륜체(18)의 제1 륜체 부분(18A)이 주행하는 좌우 한쌍의 상방향의 면과, 제3 륜체(18)의 제2 륜체 부분(18B)이 맞닿는 좌우 한쌍의 가로 방향의 면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조 캐치 기구 E가, 제3 륜체(18)의 제1 륜체 부분(18A)이 직진용 레일 US에 의해 캐치 지지되는 것에 의해, 물품 반송차(2)를 현수 지지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며, 또한 합류용 보조 캐치 기구 F가, 제3 륜체(18)의 제1 륜체 부분(18A)이 직진 합류용 레일 WS에 의해 캐치 지지되는 것에 의해, 물품 반송차(2)를 현수 지지하는 수단으로 구성되게 된다.
〔제4 실시형태〕
다음에, 제4 실시형태를 설명하지만, 이 제4 실시형태는, 보조 캐치 기구 E의 구성이 상이한 것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중복된 기재를 생략하기 위해, 이하,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에 대하여 설명하고, 제1 실시형태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3방향 분기부 M3로부터 직진 상태로 신장되는 직진 경로 DS에서의 좌우의 레일부(1a)의 각각에, 슬라이드식의 가동 레일(21)이 장비되어 있다. 즉, 가동 레일(21)은, 3방향 분기부 M3의 상류측 주행 경로 DK의 레일부(1a)에 연속되는 돌출 상태와, 직진 경로 DS에서의 좌우의 레일부(1a)의 내부에 퇴피하는 상태로, 전동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21A)에 의해 슬라이드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 레일(21)은, 주행륜(14)의 가로 폭 내에 위치하는 좌우 한쌍의 레일 부분(21a)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그 레일 부분(21a)이, 가이드 레일(1)의 레일부(1a)의 상면부에 형성한 홈 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슬라이드 이동자재)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레일 부분(21a)의 종단면 형상은, 아래쪽 부분이 상측 부분보다 광폭(廣幅)으로 되는 것이며, 레일 부분(21a)이 레일부(1a)로부터 부상하는 것이 저지되고 있다.
따라서, 보조 캐치 기구 E가, 물품 반송차(2)를 직진 주행시키는 비분기 안내 상태에 있어서는, 가동 레일(21)을 돌출 상태로 전환하여, 주행륜(14)을 가동 레일(21)에 의해 캐치하는 기구(수단)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부 가이드 레일 U에서의 직진용 레일 US의 비분기용 안내면 SS를 연직 방향을 따른 면에 형성하여, 제3 륜체(18)를, 연직 방향을 따른 축심 주위에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지만, 합류용 보조 캐치 기구 F를, 보조 캐치 기구 E와 마찬가지로, 가동 레일(21)을 사용하여 구성해도 된다.
〔제5 실시형태〕
다음에, 제5 실시형태를 설명하지만, 이 제5 실시형태는, 보조 캐치 수단 E의 구성이 상이한 것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중복된 기재를 생략하기 위해, 이하,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에 대하여 설명하고, 제1 실시형태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분기로 DL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중 좌측의 레일부(1a)의 3방향 분기부 M3에 근접하는 부분이, 좌측 분기로 DL을 따라 만곡되는 만곡 상태와, 직진 경로 DS를 향해 직선형으로 신장되는 직선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우측 분기로 DR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중 우측의 레일부(1a)의 3방향 분기부 M3에 근접하는 부분, 우측 분기로 DR을 따라 만곡되는 만곡 상태와, 직진 경로 DS를 향해 직선형으로 신장되는 직선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레일부(1a)를 만곡 상태와 직선 상태로 전환하는 구체적 구성으로서는, 레일부(1a)를, 복수의 레일 구성 부재를 굴곡 가능(굴곡 자재)하게 연결하여 구성하고, 그리고, 도시하지 않지만, 만곡 상태와 직선 상태로 전환 조작하는 액추에이터를 장비하고 있다.
따라서, 보조 캐치 기구 E가, 물품 반송차(2)를 직진 주행시키는 비분기 안내 상태에 있어서는, 좌측 분기로 DL의 좌측의 레일부(1a)에서의 3방향 분기부 M3, 및 우측 분기로 DR의 우측의 레일부(1a)의 3방향 분기부 M3에 근접하는 부분을, 직선 상태로 전환하여, 주행륜(14)을 캐치하는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지만, 합류용 보조 캐치 기구 F를, 이 제5 실시형태의 보조 캐치 기구 E와 마찬가지로 구성해도 된다.
〔제6 실시형태〕
다음에, 제6 실시형태를 설명하지만, 이 제6 실시형태는, 보조 캐치 기구 E의 구성이 상이한 것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중복된 기재를 생략하기 위해, 이하,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에 대하여 설명하고, 제1 실시형태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 내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차(2)의 주행륜(14)의 가로측부에, 주행륜(14)보다 소경(小徑)인 소형 륜(23)이, 주행륜(14)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3방향 분기부 M3의 상류측 주행 경로 DK의 좌우의 레일부(1a)의 상부에는, 소형 륜(23)이 주행하는 슬라이드 레일(24)이, 상류측 주행 경로 DK의 좌우의 레일부(1a)와 직진 경로 DS의 좌우의 레일부(1a)에 이르는 돌출 상태와, 상류측 주행 경로 DK의 좌우의 레일부(1a)의 위쪽으로 퇴피하는 퇴피 상태로, 전동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슬라이드 조작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보조 캐치 기구 E가, 물품 반송차(2)를 직진 주행시키는 비분기 안내 상태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레일(24)을 돌출 상태로 전환하여, 소형 륜(23)을 캐치하는 기구(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지만, 합류용 보조 캐치 기구 F를, 이 제6 실시형태의 보조 캐치 기구 E와 마찬가지로 구성해도 된다.
〔다른 실시형태〕
(1) 상기 제1 내지 제6 실시형태에서는, 물품 반송차(2)의 주행부(10)가, 분할된 전방 주행부(10F) 및 후방 주행부(10R)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주행부(10)를 분할하지 않는 형태로 구성하여 실시해도 된다.
(2) 상기 제1 내지 제6 실시형태에서는, 환형의 주행 경로(4)의 가로측 옆에, 물품 처리부 P를 경유하는 서브 주행 경로(3)가 배치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물품 반송차(2)를 주행시키기 위한 경로의 형태는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3) 상기 제1 내지 제6 실시형태에서는, 3방향 분기부 M3와 3방향 합류부 N3가 병설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3방향 분기부 M3만을 설치하는 형태나, 3방향 합류부 N3만을 설치하는 형태로 실시해도 된다.
(4) 상기 제1 내지 제6 실시형태에서는, 제1 륜체(16), 제2 륜체(17), 및 한쌍의 제3 륜체(18)를 구비하게 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한쌍의 제3 륜체(18)를,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 조작 가능(이동 조작 자재)하게 설치하는 등에 의해, 좌측의 제3 륜체(18)를, 제1 륜체(16)과 겸용하고, 우측의 제3 륜체(18)를, 제2 륜체(17)와 겸용하도록 해도 된다.
(5)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륜체(16), 제2 륜체(17), 및 한쌍의 제3 륜체(18)를, 회전 축심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피캐치 위치와 퇴피 위치로 전환하도록 했지만, 차체 가로 폭 방향의 이동과 차체 상하 폭 방향의 이동을 조합한 형태로, 피캐치 위치와 퇴피 위치로 전환하도록 하는 등, 피캐치 위치와 퇴피 위치로 전환하는 구체적 구성은 각종 변경할 수 있다.
1: 가이드 레일
1a: 레일부
1g: 안내면
1r: 주행면
2: 물품 반송차
4: 주행 경로
10: 주행부
14: 주행륜
18: 제3 륜체(보조 차륜)
DS: 직진 경로
DL: 좌측 분기로
DR: 우측 분기로
DK: 상류측 주행 경로
E: 보조 캐치 기구
F: 합류용 보조 캐치 기구
GS: 직진 합류로
GL: 좌측 합류로
GR: 우측 합류로
GJ: 하류측 주행 경로
M3: 3방향 분기부
N3: 3방향 합류부
P: 물품 유지부
R: 륜체(피안내체)
SL: 좌측 분기용 안내면
SR: 우측 분기용 안내면
SS: 비분기용 안내면
TL: 좌측 합류용 안내면
TR: 우측 합류용 안내면
TS: 직진 합류용 안내면
U: 상부 가이드 레일
US: 직진용 레일(보조 가이드 레일)
W: 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
WS: 직진 합류용 레일(보조 가이드 레일)

Claims (10)

  1.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搬送) 설비로서,
    주행부와, 상기 주행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물품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부의 전후 양측 개소의 각각에, 좌우의 주행륜을 구비하는 물품 반송차(搬送車);
    상기 물품 반송차의 주행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레일 가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로 좌우 한쌍의 레일부를 구비하고,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는, 상기 주행륜이 주행하는 주행면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주행 경로를 상기 주행 경로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류측 주행 경로로부터 하류측 주행 경로를 향해 3방향으로 분기(分岐)되는 3방향 분기부와, 상기 3방향 분기부로부터 각각 분기하여 신장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직진 경로와, 좌측 분기로(分岐路)와, 우측 분기로를 가지고,
    상기 직진 경로는, 상기 직진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가, 상기 3방향 분기부에서의 상기 상류측 주행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에 연속되지 않고, 경로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직진 레일 간격으로 이격(離隔)되는 상태로 구성되며,
    상기 좌측 분기로는, 상기 좌측 분기로를 따라 설치되는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 중 좌측의 레일부가, 상기 상류측 주행 경로의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 중 좌측의 레일부에 연속되는 상태로 구성되며,
    상기 우측 분기로는, 상기 우측 분기로를 따라 설치되는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 중 우측의 레일부가, 상기 상류측 주행 경로의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 중 우측의 레일부에 연속되는 상태로 구성되며,
    상기 물품 반송차는, 상기 주행부의 상기 주행륜보다 상방측 개소에 장비된 경로 전환용의 피(被)안내체와, 상기 피안내체가 안내되는 상태를 전환하는 주행 방향 전환 기구를 가지고,
    상기 물품 반송 설비는, 상기 피안내체를 캐치(catch)하는 상부 가이드 레일과, 상기 3방향 분기부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주행 경로의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와 상기 직진 경로의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와의 사이를 주행하는 상기 물품 반송차를 캐치 지지하는 보조 캐치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상부 가이드 레일은, 상기 좌측 분기로를 따라 상기 물품 반송차를 분기 주행시키는 좌측 분기 주행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좌측 분기용 안내면과, 상기 우측 분기로를 따라 상기 물품 반송차를 분기 주행시키는 우측 분기 주행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우측 분기용 안내면과, 상기 물품 반송차를 직진 주행시키는 비분기 주행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비분기용 안내면을 구비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주행 방향 전환 기구는, 상기 피안내체가 안내되는 상태를, 상기 피안내체가 상기 좌측 분기용 안내면에 의해 안내되는 좌측 분기 안내 상태, 상기 피안내체가 상기 우측 분기용 안내면에 의해 안내되는 우측 분기 안내 상태, 및 상기 피안내체가 상기 비분기용 안내면에 의해 안내되는 비분기 안내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좌측 분기용 안내면은, 상기 좌측 분기 주행 상태의 상기 물품 반송차가 우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는 상태에서, 상기 피안내체를 캐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우측 분기용 안내면은, 상기 우측 분기 주행 상태의 상기 물품 반송차가 좌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는 상태에서, 상기 피안내체를 캐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보조 캐치 기구는, 상기 비분기 주행 상태로 상기 상류측 주행 경로의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와 상기 직진 경로의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와의 사이를 주행하는 상기 물품 반송차를 캐치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물품 반송차는, 상기 주행부의 상측 개소에, 보조 차륜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 차륜은, 상기 3방향 분기부의 상측 개소에 설치된 보조 가이드 레일에 캐치 지지되는 피(被)캐치 위치와 상기 보조 가이드 레일에 캐치할 수 없는 퇴피(退避) 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보조 캐치 기구는, 상기 보조 가이드 레일에 의해 상기 보조 차륜을 캐치함으로써, 상기 물품 반송차를 상기 보조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현수(懸垂)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非)분기용 안내면은, 상기 상부 가이드 레일의 연장 방향을 따른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斷面)에서 볼 때, 상방향의 경사면으로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피안내체는, 상기 단면에서 볼 때, 상기 비분기용 안내면과 평행한 회전 축심(軸心) 주위에서 회전하는 륜체(輪體)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상부 가이드 레일은, 상기 보조 가이드 레일로서 기능하고, 또한 상기 피안내체는, 상기 보조 차륜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 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차륜으로서 기능하는 상기 피안내체는, 상기 비분기용 안내면과 평행한 상기 회전 축심 방향에 대한 이동에 따라, 상기 피캐치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 설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진 레일 간격은, 상기 물품 반송차의 상기 주행부에 설치된 상기 주행륜의 전후 방향의 간격인 차륜 전후 간격보다도 짧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는,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 설비.
  5.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 설비로서,
    주행부와, 상기 주행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물품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부의 전후 양측 개소의 각각에, 좌우의 주행륜을 구비하는 물품 반송차;
    상기 물품 반송차의 주행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레일 가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로 좌우 한쌍의 레일부를 구비하고,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는, 상기 주행륜이 주행하는 주행면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주행 경로를 상기 주행 경로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류측 주행 경로로부터 하류측 주행 경로를 향해 3방향으로부터 합류하는 3방향 합류부와, 상기 3방향 합류부에 각각 접속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직진 합류로와, 좌측 합류로와, 우측 합류로를 가지고,
    상기 직진 합류로는, 상기 직진 합류로를 따라 설치되는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가 상기 3방향 합류부에서의 상기 하류측 주행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에 대하여 연속되지 않고, 경로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직진 레일 간격으로 이격(離隔)되는 상태로 구성되며,
    상기 좌측 합류로는, 상기 좌측 합류로를 따라 설치되는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 중 좌측의 레일부가, 상기 하류측 주행 경로의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 중 좌측의 레일부에 연속되는 상태로 구성되며,
    상기 우측 합류로는, 상기 우측 합류로를 따라 설치되는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 중 우측의 레일부가, 상기 하류측 주행 경로의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 중 우측의 레일부에 연속되는 상태로 구성되며,
    상기 물품 반송차는, 상기 주행부의 상기 주행륜보다 상방측 개소에 장비된 합류용의 피안내체와, 상기 피안내체가 안내되는 상태를 전환하는 합류 상태 전환 기구를 가지고,
    상기 물품 반송 설비는, 상기 피안내체를 캐치하는 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과, 상기 3방향 합류부에 있어서 상기 직진 합류로의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와 상기 하류측 주행 경로의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와의 사이를 주행하는 상기 물품 반송차를 캐치 지지하는 합류용 보조 캐치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은, 상기 좌측 합류로로부터 상기 하류측 주행 경로에 상기 물품 반송차를 합류시키는 좌측 합류용 안내면과, 상기 우측 합류로로부터 상기 하류측 주행 경로에 상기 물품 반송차를 합류시키는 우측 합류용 안내면과, 상기 직진 합류로로부터 상기 하류측 주행 경로에 상기 물품 반송차를 합류시키는 직진 합류용 안내면을 구비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합류 상태 전환 기구는, 상기 피안내체가 상기 좌측 합류용 안내면에 의해 안내되는 좌측 합류 안내 상태, 상기 피안내체가 상기 우측 합류용 안내면에 의해 안내되는 우측 합류 안내 상태, 및 상기 피안내체가 상기 직진 합류용 안내면에 의해 안내되는 직진 합류 안내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좌측 합류용 안내면은, 상기 좌측 합류로로부터 상기 하류측 주행 경로 부분에 합류하는 좌측 합류 주행 상태의 상기 물품 반송차가 우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는 상태에서, 상기 피안내체를 캐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우측 합류용 안내면은, 상기 우측 합류로로부터 상기 하류측 주행 경로 부분에 합류하는 우측 합류 주행 상태의 상기 물품 반송차가 좌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는 상태에서, 상기 피안내체를 캐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합류용 보조 캐치 기구는, 상기 직진 합류로로부터 상기 하류측 주행 경로에 합류하는 직진 합류 주행 상태로 상기 직진 합류로의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와 상기 하류측 주행 경로 부분의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와의 사이를 주행하는 상기 물품 반송차를 캐치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물품 반송차는, 상기 주행부의 상측 개소에, 보조 차륜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 차륜은, 상기 3방향 합류부의 상측 개소에 설치된 보조 가이드 레일에 캐치 지지되는 피캐치 위치와 상기 보조 가이드 레일에 캐치할 수 없는 퇴피 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합류용 보조 캐치 기구는, 상기 보조 가이드 레일에 의해 상기 보조 차륜을 캐치함으로써, 상기 물품 반송차를 상기 보조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현수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 설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직진 합류용 안내면은, 상기 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의 연장 방향을 따른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 상방향의 경사면으로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피안내체는, 상기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직진 합류용 안내면과 평행한 회전 축심 주위에서 회전하는 륜체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합류용 상부 가이드 레일은, 상기 보조 가이드 레일로서 기능하고, 또한 상기 피안내체는, 상기 보조 차륜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 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차륜으로서 기능하는 상기 피안내체는, 상기 직진 합류용 안내면과 평행한 상기 회전 축심 방향에 대한 이동에 따라, 상기 피캐치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 설비.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진 레일 간격은, 상기 물품 반송차의 상기 주행부에 설치된 상기 주행륜의 전후 방향의 간격인 차륜 전후 간격보다도 짧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는,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 설비.
  9. 삭제
  10. 삭제
KR1020120148278A 2011-12-19 2012-12-18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 설비 KR1019753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77565A JP5630661B2 (ja) 2011-12-19 2011-12-19 天井設置型の物品搬送設備
JPJP-P-2011-277565 2011-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543A KR20130070543A (ko) 2013-06-27
KR101975306B1 true KR101975306B1 (ko) 2019-05-07

Family

ID=48582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278A KR101975306B1 (ko) 2011-12-19 2012-12-18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 설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61839B2 (ko)
JP (1) JP5630661B2 (ko)
KR (1) KR101975306B1 (ko)
CN (1) CN103159027B (ko)
TW (1) TWI6108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17568A (zh) * 2013-08-24 2015-03-18 江苏雄宇重工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防护轨道小车
DE102014209378A1 (de) * 2014-05-16 2015-11-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Transport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Gütern
JP6319069B2 (ja) * 2014-12-02 2018-05-09 株式会社ダイフク 走行設備
GB201509921D0 (en) * 2015-06-08 2015-07-22 Ocado Innovation Ltd Object storage, handling and retrieving system and method
US10497594B2 (en) * 2016-03-03 2019-12-03 Murata Machinery, Ltd. Conveyance system
US11476141B2 (en) * 2016-08-26 2022-10-18 Murata Machinery, Ltd. Rail-guided trolley system, and rail-guided trolley
KR102210177B1 (ko) * 2016-10-18 2021-02-01 봅스트 맥스 에스에이 플레이트 형상의 요소를 위한 스위칭 및 배출 기기와 방법
CN106743254A (zh) * 2016-12-27 2017-05-31 昆明昆船逻根机场物流系统有限公司 一种双轨智能小车合流装置
JP6677187B2 (ja) * 2017-01-31 2020-04-08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US11039969B2 (en) 2017-07-31 2021-06-22 Liko Research & Development Ab Overhead lift units, systems, and methods for mounting and transporting an overhead lift unit
JP6906754B2 (ja) * 2017-10-31 2021-07-21 村田機械株式会社 搬送システム
JP7070704B2 (ja) * 2018-11-28 2022-05-18 村田機械株式会社 走行車システム
JP7103265B2 (ja) * 2019-02-21 2022-07-20 株式会社ダイフク 天井搬送車
CN109733224B (zh) * 2019-03-08 2023-08-25 重庆陈氏清洁服务有限公司 带灭弧功能的车辆动态行驶受电器
KR102351005B1 (ko) * 2019-12-09 2022-01-14 제닉스주식회사 이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송 방법
TWI733528B (zh) * 2020-04-08 2021-07-11 盟立自動化股份有限公司 懸吊式搬運設備、及懸吊式搬運設備的導引裝置與方向保持模組
TWI733529B (zh) * 2020-04-08 2021-07-11 盟立自動化股份有限公司 懸吊式搬運設備
CN115140506B (zh) * 2021-03-31 2024-01-09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匹配轨道小车可承受冲击载荷的方法
CN114111889A (zh) * 2021-11-02 2022-03-01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保定供电分公司 一种配电网设备用实时监测装置
TWI824903B (zh) * 2022-01-24 2023-12-01 盟立自動化股份有限公司 高空行走式自動搬運車系統、自動搬運車及移動套件
TWI831449B (zh) * 2022-11-01 2024-02-01 張榮傑 懸吊式天車搬運裝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8173A (ja) * 2010-02-18 2011-09-01 Murata Machinery Ltd 有軌道台車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45776A1 (de) * 1972-09-18 1974-04-11 Schaefer Foerderanlagen Schwerkraftfoerderbahn mit signaleinrichtung
DE3122428C2 (de) * 1981-06-05 1985-11-21 Franz 8741 Unterelsbach Gärtner Auf einer Laufschiene bewegbares Förderelement
DE3721658A1 (de) * 1987-07-01 1989-01-12 Schierholz Kg Louis Laufschienenanordnung eines haengefoerdersystems
DE3817910A1 (de) * 1988-05-26 1989-11-30 Veit Transpo Gmbh Haengefoerdersystem
US5445080A (en) * 1993-10-21 1995-08-29 Austin; Robert Free ranging monotrack sortveyor with selectively lockable article carrying tilt tray
JP4224872B2 (ja) * 1998-06-18 2009-02-18 アシスト テクノロジーズ ジャパン株式会社 搬送設備
JP2000067940A (ja) * 1998-08-24 2000-03-03 Yazaki Corp 分割型ユニットケーブル
JP2002037059A (ja) 2000-07-24 2002-02-06 Murata Mach Ltd 分岐を備えた有軌道台車システム
US6321138B1 (en) * 2000-09-15 2001-11-20 Woodson Incorpor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with automated order make up
TWI233913B (en) * 2002-06-06 2005-06-11 Murata Machinery Ltd Automated guided vehicle system
KR100520061B1 (ko) 2002-12-06 2005-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버헤드타입 이송장치
JP5527619B2 (ja) * 2011-11-24 2014-06-18 株式会社ダイフク 天井設置型の物品搬送設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8173A (ja) * 2010-02-18 2011-09-01 Murata Machinery Ltd 有軌道台車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26913A (ja) 2013-06-27
JP5630661B2 (ja) 2014-11-26
US9061839B2 (en) 2015-06-23
CN103159027A (zh) 2013-06-19
TW201331106A (zh) 2013-08-01
KR20130070543A (ko) 2013-06-27
US20140090954A1 (en) 2014-04-03
CN103159027B (zh) 2016-06-29
TWI610867B (zh) 201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306B1 (ko)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 설비
JP5527619B2 (ja) 天井設置型の物品搬送設備
TWI687368B (zh) 物品搬送設備
KR101736887B1 (ko) 물품 반송 설비
JP5686501B2 (ja) 物品搬送設備
JP5477651B2 (ja) 物品搬送設備
KR101820815B1 (ko) 물품 반송 설비
KR101943928B1 (ko) 물품 반송 설비
KR20160115721A (ko) 물품 반송 설비
US20170183827A1 (en) Intersecting track and switching device
KR20160134508A (ko) 물품 반송 설비
KR101407418B1 (ko) 반송 시스템
JP6620707B2 (ja) 物品搬送設備
KR20190015130A (ko) 물품 반송 설비
JP5953090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とその制御方法
JP2008163566A (ja) シールド掘進機後方の坑内作業設備
JP2004314740A (ja) 有軌道搬送装置
JP4224792B2 (ja) 走行台車用運転制御装置
JP2007038732A (ja) 有軌道台車システム
JP2011168173A (ja) 有軌道台車システム
JP6430818B2 (ja) 重量物の搬送装置
JP2005153681A (ja) 荷物搬送台車の走行経路切替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