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325B1 - 엔지니어링 툴 - Google Patents

엔지니어링 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325B1
KR101682325B1 KR1020157029986A KR20157029986A KR101682325B1 KR 101682325 B1 KR101682325 B1 KR 101682325B1 KR 1020157029986 A KR1020157029986 A KR 1020157029986A KR 20157029986 A KR20157029986 A KR 20157029986A KR 101682325 B1 KR101682325 B1 KR 101682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error
plc
network
engineer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9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2546A (ko
Inventor
겐지 도보리
신스케 가와사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2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2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0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8Safety,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0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 G05B23/0216Human interface functionality, e.g. monitoring system providing help to the user in the selection of tests or in its configur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2Presentation of monitored results, e.g. selection of status reports to be displayed; Filt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9Root cause analysis, i.e. error or fault diagno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1Display for diagnostics, e.g. diagnostic result display, self-test user interfa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4Plc safety
    • G05B2219/14097Display of error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Test And Diagnosis Of Digital Computers (AREA)

Abstract

PLC(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10)을 구성하는 PLC(11)와의 접속의 유무를 감시하여, PLC와의 접속을 검지하면, PLC 시스템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하는 접속 감시 처리부(6)와, 접속 감시 처리부가 취득한 PLC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서, 에러의 탐색에 사용 가능한 기능의 일람을 표시하고, 일람으로부터의 기능의 선택을 접수하는 기능 선택 화면 표시부(4)와, 일람으로부터 선택된 기능에 의해서 취득된 에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 화면 표시부(5)를 가진다.

Description

엔지니어링 툴{ENGINEERING TOOL}
본 발명은 엔지니어링 툴, 특히 PLC(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에 에러의 원인을 탐색하는 엔지니어링 툴에 관한 것이다.
종래, PLC 시스템 내에서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 PLC 시스템의 유저는, 퍼스널 컴퓨터 등에 인스톨되어 있는 엔지니어링 툴의 진단 기능이나 모니터 기능을 에러의 원인의 탐색에 사용하여, 에러를 해소하고 있다. PLC 시스템으로서는, 2개 이상의 PLC가 1개 이상의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제어 시스템이나, 1개 이상의 PLC로 이루어지며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구성되는 제어 시스템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프로그램의 실행 이력 표시에 관해, 이상 종료 프로그램 등을 지정하면, 지정 프로그램에 관련되는 기능의 리스트가 표시되고, 표시로부터 선택된 기능의 조작 실행을 스탠 바이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제어용 표시장치에 관해, 타겟 디바이스에 있어서의 이상의 발생 등의 이력을 기억하고, 요구에 따라 이력을 일람 표시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평 9-91173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개 2002-182889호 공보
엔지니어링 툴이 인스톨되어 있는 퍼스널 컴퓨터는, USB 케이블 등에 의해서 PLC에 접속된다. 유저는 PLC에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에 있어서 엔지니어링 툴을 활성화시키면, 에러의 원인의 탐색을 위한 복수의 기능, 예를 들면, 접속처 설정, 데이터 판독, 모니터(monitoring), 시스템 진단, 유닛 개별 진단 등의 기능을, 퍼스널 컴퓨터로 기동(start up)한다. 유저는, 이들 기능의 구사에 의해서 진단이나 모니터를 실시하여, 에러를 해소한다. 에러의 원인을 탐색하는 종래의 수법에서는, 에러의 발생에서부터 해소까지, 유저에 의한 많은 조작을 필요로 하여 시간이 드는 것이 과제가 된다.
상기의 특허 문헌 1의 기술에 의하면, 어느 프로그램과 관계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프로그램이 리스트 표시의 대상이 된다. 특허 문헌 1 및 2 중 어느 기술도, 타겟 디바이스인 PLC의 상태에 대한 기능, 예를 들면 진단 기능이나 모니터 기능 등을 다루는 것이 아니어서, 에러의 원인의 탐색에 대한 상술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PLC 시스템에 있어서의 에러의 원인을, 유저에 의한 간이(簡易)한 조작에 의해서 탐색 가능하게 하는 엔지니어링 툴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PLC 시스템을 구성하는 PLC와의 접속의 유무를 감시하여, 상기 PLC와의 접속을 검지하면, 상기 PLC 시스템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하는 접속 감시 처리부와, 상기 접속 감시 처리부가 취득한 상기 PLC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서, 에러의 탐색에 사용 가능한 기능의 일람(一覽)을 표시하여, 상기 일람으로부터의 기능의 선택을 접수하는 기능 선택 화면 표시부와, 상기 일람으로부터 선택된 기능에 의해서 취득된 상기 에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 화면 표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지니어링 툴은, PLC와의 접속을 접속 감시 처리부가 검지하고, 당해 PLC를 포함하는 PLC 시스템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접속 감시 처리부가 취득한다. 엔지니어링 툴은 에러의 탐색에 사용 가능한 기능의 일람을 기능 선택 화면 표시부에서 표시한다. 엔지니어링 툴이 인스톨되어 있는 하드웨어가, 유저에 의해서 PLC에 접속됨으로써, 엔지니어링 툴은 에러의 원인의 탐색에 사용 가능한 기능의 제시까지를 자동적으로 행한다. 유저는 기능 일람으로부터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에러의 진단이나 모니터를 즉시 개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PLC 시스템에 있어서의 에러의 원인을, 유저에 의한 간이한 조작에 의해서 탐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엔지니어링 툴에 있어서의 조작 및 처리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엔지니어링 툴에 있어서의 조작 및 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상태·기능 대응 데이터 관리부가 유지하는 관리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엔지니어링 툴에 있어서의 조작 및 처리의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기능 선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진단 기능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엔지니어링 툴에 있어서의 조작 및 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상태·기능 대응 데이터 관리부가 유지하는 관리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엔지니어링 툴의 조작 및 처리의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네트워크 진단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엔지니어링 툴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엔지니어링 툴에 있어서의 조작 및 처리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PLC(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란, 1개의 베이스(및 증설 유닛)에 PLC CPU 유닛, 인텔리전트 유닛(intelligent unit) 및 네트워크 유닛 등을 장착한 기기를 가리킨다. PLC 시스템이란, 1개 이상의 PLC나 서보 등의 FA 기기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시스템을 가리킨다.
PLC 시스템에 어떠한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에, PLC 시스템의 유저는, PLC 시스템을 구성하는 PLC(11)가 구비하는 통지 수단, 예를 들면 LED(14)의 점등(点燈)에 의해서, 에러가 발생한 것을 파악한다.
퍼스널 컴퓨터(12)는 엔지니어링 툴이 인스톨되어 있는 하드웨어이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12)에는 시퀀서 시스템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 에러의 원인을 탐색하는 기능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엔지니어링 툴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가 포함된다. 유저는 에러의 발생을 파악함으로써, PLC 시스템(10)을 구성하는 PLC(11)에 퍼스널 컴퓨터(12)를 접속한다(제1 유저 조작). 퍼스널 컴퓨터(12)와 PLC(11)의 접속에는, 예를 들면, USB 등의 전송 수단을 사용한다. 접속선(13)은, 예를 들면 USB 케이블이다.
퍼스널 컴퓨터(12)가 PLC(11)에 접속되면, 엔지니어링 툴은 퍼스널 컴퓨터(12)의 디스플레이(15)에, 기능 선택 화면(21)을 표시한다. 기능 선택 화면(21)은, 에러의 탐색에 사용 가능한 기능의 일람 표시를 포함한다. 유저는 기능 선택 화면(21)으로부터, 원하는 기능을 선택한다(제2 유저 조작).
유저가 기능 선택 화면(21)으로부터 기능을 선택하면, 엔지니어링 툴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접속처 설정, 및 PLC(11)가 유지하는 데이터의 판독을 자동적으로 실행한다. 엔지니어링 툴은 PLC(11)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를 기초로, 디스플레이(15)에 기능 화면을 표시한다.
기능 화면은 기능 선택 화면(21)에서 선택된 기능에 따른 화면으로 한다. 예를 들면, 기능 선택 화면(21)에서 진단 기능이 선택되었을 경우, 엔지니어링 툴은 기능 화면으로서 진단 기능 화면(22)을 표시한다. 유저는, 진단 기능 화면(22)에서 에러 내용, 처치 방법, 부가 정보 등을 확인하여, 에러 지점 수정 화면에서 적당히 에러 지점을 수정한다. 예를 들면, 어느 파라미터에 에러가 있었을 경우, 엔지니어링 툴은, 에러 지점 수정 화면으로서 파라미터 설정 화면(23)을 표시한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엔지니어링 툴에 있어서의 조작 및 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엔지니어링 툴(1)은 퍼스널 컴퓨터(12)상의 소프트웨어로서 실현된다. 퍼스널 컴퓨터(12)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2), 외부 인터페이스(I/F)(3) 및 디스플레이(15)(도 1 참조)를 가진다. 외부 I/F(3)는 접속선(13)을 통해서 PLC(11)에 접속된다. 외부 I/F(3)는 PLC(11)로부터의 외부 입력을 접수한다. 외부 I/F(3)는 예를 들면 USB 포트이다.
퍼스널 컴퓨터(12) 및 PLC(11)의 접속에는, USB 이외의 전송 수단, 예를 들면 RS 232C 등의 시리얼 케이블 등을 이용해도 좋다. 퍼스널 컴퓨터(12) 및 PLC(11)의 접속은, 접속선(13)을 통하는 유선 통신에 의한 경우를 대신하여, 예를 들면 무선 LAN, Bluetooth(등록상표) 등의 무선 통신에 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엔지니어링 툴(1)은 기능 선택 화면 표시부(4), 기능 화면 표시부(5), 접속 감시 처리부(6) 및 상태·기능 대응 데이터 관리부(7)를 가진다. 기능 선택 화면 표시부(4)는, 접속 감시 처리부(6)가 취득한 PLC 시스템(10)의 상태에 따라서, 에러의 탐색에 사용 가능한 기능의 일람을 기능 선택 화면(21)에 표시한다. 기능 선택 화면 표시부(4)는, 기능 선택 화면(21)에 표시하고 있는 일람으로부터의, 기능의 선택을 접수한다.
기능 화면 표시부(5)는 일람으로부터 선택된 기능에 의해서 취득된 에러에 관한 정보를 기능 화면에 표시한다. 접속 감시 처리부(6)는, PLC 시스템(10)을 구성하는 PLC(11)와의 접속의 유무를 감시한다. 접속 감시 처리부(6)는 PLC(11)와의 접속을 검지하면, PLC 시스템(10)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한다.
상태·기능 대응 데이터 관리부(7)는 PLC 시스템(10)의 상태와 엔지니어링 툴(1)의 기능을 대응시킨 관리 데이터를 유지한다.
도 3은 상태·기능 대응 데이터 관리부가 유지하는 관리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능명」과「PLC 시스템의 상태」를 대응시킨 관리 데이터의 표에 있어서, 「가능(enabled)」은 그 기능명의 기능이, 그 PLC 시스템(10)의 상태에 있어서 선택될 수 있는 기능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불가능(disabled)」은 그 기능명의 기능이, 그 PLC 시스템(10)의 상태에서는 선택될 수 없는 기능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관리 데이터에서는, 「(A) 모니터」는 PLC 시스템(10)의 상태가 「(1) 정상 동작」 및 「(2) CPU 에러 발생」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선택될 수 있는 기능으로 되어 있다. 「(B) PC 진단」은 「(1) 정상 동작」일 때는 선택될 수 없지만 「(2) CPU 에러 발생」일 때는 선택될 수 있는 기능으로 되어 있다. 「(C) 네트워크 진단」은 「(1) 정상 동작」 및 「(2) CPU 에러 발생」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선택될 수 없는 기능으로 되어 있다.
도 4는 엔지니어링 툴에 있어서의 조작 및 처리의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유저는 외부 I/F(3)에 접속되어 있는 접속선(13)을, PLC(11)에 접속한다(스텝 S1). 스텝 S1은 제1 유저 조작이다. 접속 감시 처리부(6)는 PLC(11)와의 접속을 검지하면, PLC(11)를 포함하는 PLC 시스템(1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PLC(11)로부터 취득한다(스텝 S2).
접속 감시 처리부(6)는 상태·기능 대응 데이터 관리부(7)의 관리 데이터를 참조하여, 스텝 S2에서 파악한 PLC 시스템(10)의 상태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고 되어 있는 기능명을 판독한다. 이것에 의해, 접속 감시 처리부(6)는 기능 선택 화면 표시부(4)에 있어서 일람으로서 표시할 기능명을 취득한다(스텝 S3).
예를 들면, 접속선(13)을 접속한 PLC(11) 자체가 CPU 에러 발생 상태였다고 한다. 접속 감시 처리부(6)는 도 3에 도시하는 관리 데이터에 있어서, 「(2) CPU 에러 발생」에 대해 「가능」이라고 되어 있는 기능명 「(A) 모니터」, 「(B) PC 진단」을 취득한다.
기능 선택 화면 표시부(4)는 스텝 S3에서 접속 감시 처리부(6)가 취득한 기능에 대한 정보를, 사용 가능한 기능의 일람으로서 기능 선택 화면(21)에 표시한다(스텝 S4). 유저는 스텝 S4에서 표시된 기능의 일람으로부터, 실행할 기능을 선택한다(스텝 S5). 유저는 입력 장치(2)의 조작에 의해서, 기능을 선택한다.
도 5는 기능 선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능 선택 화면(21)에는, 「PLC가 접속되었습니다. 」, 「실행할 동작을 선택해 주십시오. 」의 메시지와 함께, 선택 다이얼로그(31)가 표시된다. 선택 다이얼로그(31)에 있어서, 각 기능은, 실행할 동작의 설명으로서 나타내져 있다. 선택 다이얼로그(31)는 기능의 일람 표시에 상당한다. 선택 다이얼로그(31)는 유저에 의한 동작의 선택을 접수한다.
예를 들면, 「툴로 PC 신규 판독을 실행한다. 」는「(A) 모니터」를 실행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툴로 진단한다. 」는 「(B) PC 진단」을 실행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유저는 선택 다이얼로그(31)의 일람으로부터 동작을 선택함으로써, 실행할 기능을 선택한다. 유저는, 예를 들면, 선택 다이얼로그(31)의 선택 사항으로부터 「툴로 진단한다. 」를 특정하고, 이어서 「OK」를 클릭함으로써, 「(B) PC 진단」의 실행을 선택한다. 또한, 「항상 선택한 동작을 행한다. 」의 문두(文頭)에 있는 박스에 체크하는 경우, 한 번 선택된 기능이 항상 실행된다. 선택 다이얼로그(31)는 기능에 의해서 실행하는 동작을 일람 표시하는 것 이외에, 예를 들면 기능명 등을 일람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접속 감시 처리부(6)는 스텝 S5에서 선택된 기능에 관해서, 기능 화면 표시부(5)에 있어서의 표시를 위한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6). 예를 들면, 「(B) PC 진단」이 선택되면, 접속 감시 처리부(6)는 「(B) PC 진단」에 대한 기능 화면인 진단 기능 화면(22)에서의 표시를 위한 데이터를 PLC(11)로부터 취득한다. 접속 감시 처리부(6)는 진단 기능 화면(22)에서의 표시를 위한 데이터로서, PLC 시스템(10)의 에러 발생 지점, 에러 내용, 처치 방법 등의 정보를 취득한다.
기능 화면 표시부(5)는 스텝 S6에서 접속 감시 처리부(6)가 취득한 정보를, 기능 화면에 표시한다(스텝 S7). 「(B) PC 진단」에 대한 정보를 접속 감시 처리부(6)가 취득하면, 기능 화면 표시부(5)는, 접속 감시 처리부(6)가 취득한 정보를 진단 기능 화면(22)에 표시한다. 또한, 진단 기능 화면(22)에서 표시하는 처치 방법의 정보는, 엔지니어링 툴(1)이 미리 유지하고 있는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도 6은 진단 기능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진단 기능 화면(22) 중, 「접속처 경로」의 란(32)은, 엔지니어링 툴(1)의 접속처 경로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시리얼 통신 CPU 접속(USB)」 등)을 표시한다.
표시란(33)은 현재 발생 중인 에러의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란(33)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상태」의 항목에는, 범례(凡例)에 나타내는 마크에 의해서 에러의 정도를 나타낸다. 에러 번호 「No. 」의 항목에는, 에러에 부여된 번호를 나타낸다. 또, 「현재 에러」의 항목으로서, 에러의 내용의 개략(예를 들면, 「PARAMETER ERROR」등)과, 상세(예를 들면, 「경도 에러」등)가 나타내진다. 이 외, 표시란(33)에는, 에러가 발생한 일시에 대한 데이터가 나타내져 있다.
표시란(34)은 과거에 발생한 에러의 이력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란(34)에 있어서의 항목은, 예를 들면, 표시란(33)에 있어서의 항목과 마찬가지로 한다. 표시란(35)은, 현재 발생 중인 에러의 원인이나 처치 방법에 대한 정보나, 에러에 관한 부가 정보를 표시한다. 유저는 진단 기능 화면(22)으로부터, PLC 시스템(10)의 에러 발생 지점, 에러 내용, 처치 방법 등의 정보를 확인한다.
유저가, 예를 들면 표시란(33)에 표시되어 있는 현재 발생 중인 에러 중 어느 것을 선택하고, 표시란(33) 아래에 표시된 「에러 JUMP」 아이콘을 누르면, 엔지니어링 툴(1)은 에러에 따른 에러 지점 수정 화면을 표시한다. 엔지니어링 툴(1)은 표시란(34)에 표시되어 있는 이력으로부터 에러가 선택되고, 표시란(34) 아래의 「에러 JUMP」 아이콘이 눌린 경우도, 에러 지점 수정 화면을 표시한다. 유저는 진단 기능 화면(22)에 표시되어 있는 처치 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단서로 하여, 에러 지점 수정 화면에서 에러 지점을 수정한다.
예를 들면, 파라미터의 설정 이상에 의한 에러가 선택되었을 경우, 엔지니어링 툴(1)은, 에러 지점 수정 화면으로서, 파라미터 설정 화면(23)(도 1 참조)을 표시한다. 유저는 파라미터 설정 화면(23)에 있어서, 에러 지점인 파라미터의 설정을 수정한다. 이상에 의해, 엔지니어링 툴(1)은 에러의 발생에서부터 해소까지에 있어서의 일련의 동작을 종료한다.
종래의 툴에 의하면, 유저는, 에러의 발생을 검지하여 툴을 기동시키고 나서, 접속처 설정과, PLC(11) 내에 유지되어 있은 데이터의 판독을 실행한다. 추가로, 유저는 모니터, 시스템 진단, 유닛 개별 진단 등의 각종 기능을 적당히 동작시킴으로써, 에러의 원인을 탐색해 가게 된다.
실시 형태 1에 따른 엔지니어링 툴(1)은, 엔지니어링 툴(1)이 인스톨되어 있는 하드웨어가 PLC(11)에 접속된 것에 의해서, 에러의 원인의 탐색에 사용 가능한 기능의 제시까지를 자동적으로 행한다. 유저는 엔지니어링 툴(1)이 인스톨되어 있는 하드웨어를 PLC(11)에 접속하는 조작과, 일람으로부터 기능을 선택하는 조작을 행한다. 유저는, 간이한 조작에 의해서, 에러의 원인을 즉시 탐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PLC 시스템(10)에 있어서의 에러의 원인을, 유저에 의한 간이한 조작에 의해서 탐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스텝 S3에 있어서 접속 감시 처리부(6)가 취득한 기능이 1개였을 경우, 엔지니어링 툴(1)은, 스텝 S4에서의 기능 일람의 표시와, 스텝 S5에서의 기능의 선택을 생략해도 좋다. 이 경우, 엔지니어링 툴(1)은, 그 1개의 기능에 관해, 기능 화면 표시부(5)에 있어서의 표시를 위한 정보를 즉시 취득한다(스텝 S6). 이것에 의해, 유저에 의한 조작을 추가로 간략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엔지니어링 툴(1)은 에러의 검색 및 해소를 위한 처리에 있어서, PLC(11)로부터의 에러에 관한 신호를 수취하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는다. 엔지니어링 툴(1)은, PLC(11)에 접속되어 있는 표시기나 센서 등으로부터의, 에러에 관한 신호를 수취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엔지니어링 툴(1)은 PLC(11) 이외의 기기인 표시기나 센서 등으로부터, 에러에 관한 신호를 직접 취득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실시 형태 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엔지니어링 툴에 있어서의 조작 및 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을 적당히 생략한다. PLC 시스템(40)은 복수의 네트워크(4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에, 실시 형태 2에 따른 엔지니어링 툴(41)에 있어서의 조작 및 처리의 개요를 설명한다. 유저는 PLC 시스템(40)에 있어서의 어떠한 에러의 발생을 파악함으로써, 엔지니어링 툴(41)이 인스톨되어 있는 하드웨어인 퍼스널 컴퓨터(12)를, PLC 시스템(40)을 구성하는 PLC(11)에 접속한다(제1 유저 조작). 퍼스널 컴퓨터(12)를 접속하는 PLC(11)는, 어느 네트워크(42)상의 PLC(11)여도 좋다.
퍼스널 컴퓨터(12)가 PLC(11)에 접속되면, 엔지니어링 툴(41)은 퍼스널 컴퓨터(12)의 디스플레이(15)(도 1 참조)에, 기능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에러의 탐색에 사용 가능한 기능의 일람 표시에는, 네트워크 진단의 기능이 포함된다. 유저는 기능 선택 화면으로부터, 원하는 기능을 선택한다(제2 유저 조작).
예를 들면, 유저가 기능 선택 화면으로부터 네트워크 진단을 선택하면, 엔지니어링 툴(41)은 PLC 시스템(40)의 네트워크 구성에 대한 정보를, PLC(11)로부터 취득한다.
엔지니어링 툴(41)은 PLC(11)로부터 취득한 네트워크 구성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15)에 네트워크 진단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네트워크 진단 이외의 기능을 선택했을 경우, 엔지니어링 툴(4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엔지니어링 툴(1)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시한다.
유저는 네트워크 진단의 대상으로 할 네트워크(42)를, 네트워크 진단 화면으로부터 선택한다(제3 유저 조작). 유저가 네트워크(42)를 선택하면, 엔지니어링 툴(41)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접속처 설정, 및 PLC(11)가 유지하는 데이터의 판독을 자동적으로 실행한다. 엔지니어링 툴(41)은 PLC(11)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를 기초로, 디스플레이(15)에 진단 기능 화면을 표시한다. 유저는 진단 기능 화면에 있어서 에러 내용, 처치 방법, 부가 정보 등을 확인한다. 유저는 에러 지점 수정 화면에서 적당히 에러 지점을 수정한다.
엔지니어링 툴(41)은 퍼스널 컴퓨터(12)상의 소프트웨어로서 실현된다. 도 7에 도시하는 것처럼, 엔지니어링 툴(41)은 기능 선택 화면 표시부(4), 기능 화면 표시부(5), 접속 감시 처리부(6), 상태·기능 대응 데이터 관리부(7), 네트워크 구성 정보 취득부(43) 및 네트워크 구성 에러 지점 표시부(44)를 가진다.
네트워크 구성 정보 취득부(43)는, PLC 시스템(40)에 있어서의 복수의 네트워크(42)의 구성에 대한 정보를 취득한다. 네트워크 구성 에러 지점 표시부(44)는, 네트워크 구성 정보 취득부(43)가 취득한 복수의 네트워크(42)의 구성과, 복수의 네트워크(42)에 있어서의 에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네트워크 구성 에러 지점 표시부(44)는, 복수의 네트워크(42) 중 네트워크 진단의 대상으로 할 네트워크(42)의 선택을, 네트워크 진단 화면에서 접수한다.
도 8은 상태·기능 대응 데이터 관리부가 유지하는 관리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능명」과「PLC 시스템의 상태」를 대응시킨 관리 데이터의 표에 있어서, 「가능」은 그 기능명의 기능이, 그 PLC 시스템(40)의 상태에 있어서 선택될 수 있는 기능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불가능」은 그 기능명의 기능이, 그 PLC 시스템(40)의 상태에서는 선택될 수 없는 기능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관리 데이터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관리 데이터의 내용에, PLC 시스템(40)의 상태로서 「(3) 네트워크상의 유닛 에러 발생」이 추가되어 있다. 「(C) 네트워크 진단」은 PLC 시스템(40)의 상태가 「(3) 네트워크상의 유닛 에러 발생」일 때에 선택될 수 있는 기능으로 되어 있다. 「(3) 네트워크상의 유닛 에러 발생」일 때는, 「(A) 모니터」 및 「(B) PC 진단」은 선택될 수 없는 기능으로 되어 있다.
도 9는 엔지니어링 툴의 조작 및 처리의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유저는 외부 I/F(3)에 접속되어 있는 접속선(13)을, PLC(11)에 접속한다(스텝 S11). 스텝 S11는 제1 유저 조작이다. 접속 감시 처리부(6)는, PLC(11)와의 접속을 검지하면, PLC(11)를 포함하는 PLC 시스템(4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PLC(11)로부터 취득한다(스텝 S12).
접속 감시 처리부(6)는 상태·기능 대응 데이터 관리부(7)의 관리 데이터를 참조하여, 스텝 S12에서 파악한 PLC 시스템(40)의 상태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고 되어 있는 기능명을 판독한다. 이것에 의해, 접속 감시 처리부(6)는, 기능 선택 화면 표시부(4)에 있어서 일람으로서 표시할 기능명을 취득한다(스텝 S13).
예를 들면, 복수의 네트워크(42) 중 어느 것에 있어서의 PLC(11)가 「네트워크상의 유닛 에러 발생」의 상태였다고 한다. 접속 감시 처리부(6)는, 도 8에 도시하는 관리 데이터에 있어서, 「(3) 네트워크상의 유닛 에러 발생」에 대해 「가능」이라고 되어 있는 기능명 「(C) 네트워크 진단」을 취득한다.
기능 선택 화면 표시부(4)는, 스텝 S13에서 접속 감시 처리부(6)가 취득한 기능에 대한 정보를, 사용 가능한 기능의 일람으로서 기능 선택 화면(21)에 표시한다(스텝 S14). 유저는, 스텝 S14에서 표시된 기능의 일람으로부터, 실행할 기능을 선택한다(스텝 S15). 유저는, 입력 장치(2)의 조작에 의해서, 기능을 선택한다. 스텝 S15는 제2 유저 조작이다.
스텝 S15에 있어서 유저가 네트워크 진단을 선택했다고 하면, 네트워크 구성 정보 취득부(43)는 PLC 시스템(40)에 있어서의 네트워크(42)의 구성에 대한 정보와, 네트워크(42)에 있어서의 에러의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PLC(11)를 통해서 취득한다(스텝 S16).
또한, 「(3) 네트워크상의 유닛 에러 발생」에 대해서는 선택 가능한 기능이 「(C) 네트워크 진단」 하나이기 때문에, 엔지니어링 툴(41)은, 스텝 S14에서의 기능 일람의 표시와, 스텝 S15에서의 기능의 선택을 생략해도 좋다. 이 경우, 엔지니어링 툴(41)은 네트워크 구성과 에러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즉시 취득한다(스텝 S16). 이것에 의해, 유저에 의한 조작을 추가로 간략하게 할 수 있다.
네트워크 구성 에러 지점 표시부(44)는, 스텝 S16에서 네트워크 구성 정보 취득부(43)가 취득한 정보를, 네트워크 진단 화면에 표시한다(스텝 S17). 유저는 네트워크 진단 화면으로부터, 네트워크 진단을 실시할 네트워크(42)를 선택한다(스텝 S18). 유저는 입력 장치(2)의 조작에 의해서, 네트워크(42)를 선택한다. 스텝 S18는 제3 유저 조작이다.
도 10은 네트워크 진단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네트워크 진단 화면(50) 중 「접속처 경로」의 란(51)은, 엔지니어링 툴(41)의 접속처 경로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시리얼 통신 CPU 접속(USB)」등)을 표시한다.
표시란(52)은 네트워크(42)의 구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란(52)에는, PLC 시스템(40)을 구성하는 각 네트워크(42)에 대해서, 예를 들면 네트워크 번호, 슬롯 번호 및 네트워크명의 각 항목을 표시한다. 또, 「상태」의 항목에는, 각 네트워크(42)에 있어서의 에러의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에러가 발생해 있는 네트워크(42)에 대해서는, 범례에 도시하는 것처럼 에러의 정도를 나타내는 마크가 부여되어 있다.
표시란(52)에 표시되어 있는 네트워크(42) 중 어느 것을 선택하면, 선택된 네트워크(42)의 구성에 대해 상세한 정보가 표시란(53)에 표시된다. 표시란(53) 아래에 표시된 「선택국 진단」의 아이콘을 누르면, 접속 감시 처리부(6)는 스텝 S18에서 선택된 네트워크(42)에 대해서, 진단 기능 화면에서의 표시를 위한 데이터를 PLC 시스템(40)으로부터 취득한다(스텝 S19).
기능 화면 표시부(5)는, 접속 감시 처리부(6)가 취득한 정보를 진단 기능 화면에 표시한다(스텝 S20). 유저는, 진단 기능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처치 방법 등의 정보를 단서로 하여, 에러 지점 수정 화면에서 에러 지점을 수정한다. 이상에 의해, 엔지니어링 툴(41)은 에러의 발생에서부터 해소까지에 있어서의 일련의 동작을 종료한다.
실시 형태 2에 따른 엔지니어링 툴(41)은, 엔지니어링 툴(41)이 인스톨되어 있는 하드웨어가 PLC 시스템(40)에 접속되고, 네트워크 진단의 기능이 선택되는 것에 의해서, 네트워크 구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유저는 네트워크 구성의 표시로부터, 네트워크 진단의 대상으로 할 네트워크(42)를 선택한다. 유저는 복수의 네트워크(42) 중 어느 것에 발생해 있는 에러를, 간이한 조작에 의해서 즉시 탐색할 수 있다.
종래의 툴에 의하면, 복수의 네트워크(42) 중 어느 것에 있어서 PLC(11)의 에러가 있었을 경우에, 에러가 발생해 있는 네트워크(42)를 찾는 조작이 필요하다. 실시 형태 2에 따른 엔지니어링 툴(41)에 의하면, 유저는 가까이 있는 PLC(11)에 엔지니어링 툴(41)을 접속함으로써, 각 네트워크(42)에 대한 진단을 실시할 수 있다. 유저는, 자신의 현재 위치에서 먼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PLC(11)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진단을 실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진단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유저에 의한 간이한 조작에 의해서 에러의 원인을 탐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엔지니어링 툴(41)은, 에러의 검색 및 해소를 위한 처리에 있어서, PLC(11)로부터의 에러에 관한 신호를 수취하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는다. 엔지니어링 툴(41)은 PLC(11)에 접속되어 있는 표시기나 센서 등으로부터의, 에러에 관한 신호를 수취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엔지니어링 툴(41)은 PLC(11) 이외의 기기인 표시기나 센서 등으로부터, 에러에 관한 신호를 직접 취득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1: 엔지니어링 툴, 2: 입력 장치,
4: 기능 선택 화면 표시부, 5: 기능 화면 표시부,
6: 접속 감시 처리부, 7: 상태·기능 대응 데이터 관리부,
10: PLC 시스템, 11: PLC,
12: 퍼스널 컴퓨터, 13: 접속선,
15: 디스플레이, 21: 기능 선택 화면,
22: 진단 기능 화면, 23: 파라미터 설정 화면,
31: 선택 다이얼로그, 32: 란,
33, 34, 35: 표시란, 40: PLC 시스템,
41: 엔지니어링 툴, 42: 네트워크,
43: 네트워크 구성 정보 취득부, 44: 네트워크 구성 에러 지점 표시부,
50: 네트워크 진단 화면, 51: 란,
52, 53: 표시란.

Claims (3)

  1. 시퀀서 시스템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 에러의 원인을 탐색하는 기능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엔지니어링 툴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PLC(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을 구성하는 PLC와의 접속의 유무를 감시하여, 상기 PLC와의 접속을 검지하면, 상기 PLC 시스템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하는 접속 감시 처리부와,
    상기 PLC 시스템의 상태와 상기 엔지니어링 툴의 기능을 대응시킨 관리 데이터를 유지하는 상태·기능 대응 데이터 관리부와,
    상기 접속 감시 처리부가 취득한 상기 PLC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서, 에러의 원인의 탐색에 사용 가능한 기능의 일람을 표시하고, 상기 일람으로부터의 기능의 선택을 접수하는 기능 선택 화면 표시부와,
    상기 일람으로부터 선택된 기능에 의해서 취득된 상기 에러의 원인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 화면 표시부로 상기 컴퓨터를 기능시키고,
    상기 접속 감시 처리부는, 상기 접속을 검지하고 나서 취득된 상기 PLC 시스템의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엔지니어링 툴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명을, 상기 관리 데이터를 참조하여 판독함으로써, 상기 기능 선택 화면 표시부에 상기 일람으로서 표시할 기능명을 취득하고, 상기 일람으로부터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접속 감시 처리부는, 선택된 상기 기능에 관해서, 상기 기능 화면 표시부에 있어서의 표시를 위한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지니어링 툴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LC 시스템은, 복수의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의 구성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네트워크 구성 정보 취득부와,
    상기 네트워크 구성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의 구성과,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상기 에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네트워크 구성 에러 지점 표시부로 추가로 상기 컴퓨터를 기능시키고,
    상기 기능 선택 화면 표시부에서, 네트워크 진단의 기능이 상기 일람으로부터 선택되면, 상기 네트워크 구성 정보 취득부는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의 구성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네트워크 구성 에러 지점 표시부는,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중 상기 네트워크 진단의 대상으로 할 네트워크의 선택을 접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지니어링 툴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3. 삭제
KR1020157029986A 2013-03-26 2013-03-26 엔지니어링 툴 KR1016823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58754 WO2014155517A1 (ja) 2013-03-26 2013-03-26 エンジニアリングツ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546A KR20150132546A (ko) 2015-11-25
KR101682325B1 true KR101682325B1 (ko) 2016-12-05

Family

ID=51175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9986A KR101682325B1 (ko) 2013-03-26 2013-03-26 엔지니어링 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011578A1 (ko)
JP (1) JP5529351B1 (ko)
KR (1) KR101682325B1 (ko)
CN (1) CN105051701B (ko)
DE (1) DE112013006758T5 (ko)
TW (1) TWI498844B (ko)
WO (1) WO20141555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09313B (zh) * 2016-02-24 2017-12-21 三菱電機股份有限公司 工程工具程式及工程工具
KR20170114643A (ko) * 2016-04-05 2017-10-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lc용 통신 시스템
JP6693540B2 (ja) * 2018-07-31 2020-05-13 横河電機株式会社 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122236B2 (ja) * 2018-11-28 2022-08-19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検査装置、メンテナンス方法、及びプログラム
LU101274B1 (de) * 2019-06-17 2020-12-18 Phoenix Contact Gmbh & Co Automatische Überwachung von Prozesssteuerung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8803A (ja) 2004-12-24 2006-07-06 Fujitsu Support & Service Kk 診断システムおよび診断方法
JP2008522785A (ja) 2004-12-13 2008-07-03 バイエル・ヘルスケア・エルエルシー 測定器接続のエラー状況検出に伴うヘルプ情報の自動表示を実現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5432A (ja) * 1989-09-20 1991-05-02 Hitachi Ltd 電子計算機システム監視方法
JPH08221295A (ja) * 1995-02-13 1996-08-30 Mitsubishi Electric Corp 障害支援装置
JPH0991173A (ja) * 1995-09-21 1997-04-04 Fuji Electric Co Ltd プログラムの実行履歴表示方法
JP4234251B2 (ja) * 1999-03-15 2009-03-04 三菱重工パーキング株式会社 機械設備における遠隔故障診断システム
JP2002049508A (ja) * 2000-05-29 2002-02-15 Mirae E Net Co Ltd インターネットを通した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診断方法
JP2002182889A (ja) * 2000-12-15 2002-06-28 Digital Electronics Corp 制御用表示装置
JP4706890B2 (ja) * 2001-05-08 2011-06-22 マツダ株式会社 車載の遠隔故障診断装置
US7257620B2 (en) * 2001-09-24 2007-08-14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Method for providing engineering tool services
JP4143335B2 (ja) * 2002-05-27 2008-09-03 Necフィールディング株式会社 顧客システムの保守方式、保守装置、保守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094771A (ja) * 2002-09-03 2004-03-25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故障診断方法および故障診断システム
US7860874B2 (en) * 2004-06-08 2010-12-28 Siemens Industry, Inc. Method for searching across a PLC network
JP2006059266A (ja) * 2004-08-23 2006-03-02 Fujitsu Ltd 障害解析方法及びその装置
US7934076B2 (en) * 2004-09-30 2011-04-26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limiting exposure of hardware failure information for a secured execution environment
JP2007172131A (ja) * 2005-12-20 2007-07-05 Nec Fielding Ltd 障害予測システム、障害予測方法、障害予測プログラム
JP2007280135A (ja) * 2006-04-07 2007-10-25 Fuji Xerox Co Ltd 故障診断システム及び故障診断方法
JP4609405B2 (ja) * 2006-10-11 2011-01-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故障診断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故障診断プログラム
KR100908918B1 (ko) * 2007-05-31 2009-07-23 주식회사 디스엔지니어링 Plc 모듈의 원격 감시 시스템
JP4912284B2 (ja) * 2007-12-03 2012-04-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ンジニアリングツール
JP2009206850A (ja) * 2008-02-28 2009-09-10 Fuji Xerox Co Ltd 故障診断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129725B2 (ja) * 2008-11-19 2013-01-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装置異常診断方法及びシステム
US9014825B2 (en) * 2009-06-16 2015-04-21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System and method for sequentially distributing power among one or more modules
JP5635873B2 (ja) * 2010-11-08 2014-12-03 アズビル株式会社 エンジニアリング装置およびポイント情報作成方法
DE112010006057T5 (de) * 2010-12-09 2013-10-10 Mitsubishi Electric Corp. Industrielle Vorrichtung für eine automatische Diagno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2785A (ja) 2004-12-13 2008-07-03 バイエル・ヘルスケア・エルエルシー 測定器接続のエラー状況検出に伴うヘルプ情報の自動表示を実現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6178803A (ja) 2004-12-24 2006-07-06 Fujitsu Support & Service Kk 診断システムおよび診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29351B1 (ja) 2014-06-25
US20160011578A1 (en) 2016-01-14
DE112013006758T5 (de) 2015-11-12
TWI498844B (zh) 2015-09-01
WO2014155517A1 (ja) 2014-10-02
TW201437946A (zh) 2014-10-01
CN105051701A (zh) 2015-11-11
CN105051701B (zh) 2018-04-10
JPWO2014155517A1 (ja) 2017-02-16
KR20150132546A (ko)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2325B1 (ko) 엔지니어링 툴
JP5701458B1 (ja) 作画装置および制御システム
JP2015176370A (ja) 制御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07533323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系统以及信息处理程序
JP4962725B2 (ja) マルチplc・分散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ツール装置
EP3511832A1 (en) Log transmission device and log collection system
JP201808817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5460928B1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および実行エラー情報作成方法
JP2017107330A (ja) 支援装置、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181572A (ja) Plcシステム
JP2015032195A (ja) 構造解析装置、構造解析方法及び構造解析プログラム
JP5808861B1 (ja) エラー処理システム
JP5962086B2 (ja) Plcシステム、情報表示方法、plc、および保守装置
JP4953859B2 (ja) 多光軸光電センサシステム、多光軸光電センサ、異常特定装置、異常特定方法及び記憶媒体
US11151016B2 (en) Control-program-development supporting apparatus, control-program-development supporting system, control-program-development support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15032068A (ja) 情報処理画面出力装置、情報処理画面出力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画面出力システム
JP2010118766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故障診断方法
JP6027410B2 (ja) プラント監視制御システム、およびプラント監視制御方法
JP5916647B2 (ja) 保守装置
JP2018504880A (ja) 変電所部品の1以上の動作パラメータを取得する方法
JP2017107372A (ja) 障害予兆検出システムおよび障害予兆検出方法
JPWO2016052588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90097869A1 (en) Notification control device, notification control system, notifica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6133410A (ja) 配線検査システムおよび配線検査方法
JP2020181437A (ja) 監視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