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969B1 - 트랙터 - Google Patents

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969B1
KR101677969B1 KR1020140070920A KR20140070920A KR101677969B1 KR 101677969 B1 KR101677969 B1 KR 101677969B1 KR 1020140070920 A KR1020140070920 A KR 1020140070920A KR 20140070920 A KR20140070920 A KR 20140070920A KR 101677969 B1 KR101677969 B1 KR 101677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speed
gear
brak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7695A (ko
Inventor
토모유키 이시다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7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7/00Combinations of couplings and brakes; Combinations of clutches and brakes
    • F16D67/02Clutch-brake combinations
    • F16D67/06Clutch-brake combinations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A01B71/06Special adaptations of coupling means between power take-off and transmission shaft to the implement or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 B60T1/06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acting otherwise than on tread, e.g. employing rim, drum, disc, or transmission or on double wheels
    • B60T1/06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acting otherwise than on tread, e.g. employing rim, drum, disc, or transmission or on double wheels acting on transmission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62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characterised by specified functions of the control system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7/00Systems of clutches, or clutches and couplings, comprising devices of types grouped under at least two of the preceding guide headings
    • F16D47/06Systems of clutches, or clutches and couplings, comprising devices of types grouped under at least two of the preceding guide headings of which at least one is a clutch with a fluid or a semifluid as power-transmit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0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 F16H61/024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characterised by initiating reverse gearshi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4Combinations of toothed gearings only
    • F16H2037/049Forward-reverse units with forward and reverse gears for achieving multiple forward and reverse gears, e.g. for work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에서는 클러치 페달을 조작하지 않고 브레이크 페달 단독의 조작으로 주행·정지를 행할 수 있는 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엔진(5)으로부터 전륜(2)과 후륜(3) 등의 주행 장치에의 동력 전동 경로에 전후진과 중립을 스위칭하는 전후진 클러치(48)를 설치하고, 브레이크 페달(19L, 19R)의 밟기 조작에 따라 주행 장치에 브레이크(135)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전후진 클러치(48)의 접속 작동압을 저하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기체가 주행 정지 상태에서는 전후진 클러치(48)를 소정 저압의 정지 작동압으로 유지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로 한다.

Description

트랙터{TRACTOR}
본 발명은 농업 기계인 트랙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랙터에 있어서의 제동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트랙터는 엔진의 동력을 전륜 및 후륜 등의 주행 장치에 전동(傳動)하기 위해서 동력 전동 장치 내에 복수의 클러치와 변속 장치 등을 설치하고 있다. 기체에는 액셀 페달, 브레이크 페달, 클러치 페달을 설치하고 있다. 주행 정지시에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서 브레이크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클러치 페달을 밟아서 클러치를 오프하는 조작을 행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주행과 정지를 빈번히 행하는 주행 중에는 클러치의 오프 조작과 브레이크 조작을 빈번히 행하는 것이 번거로우므로 브레이크 조작만으로 자동적으로 클러치를 오프하여 기체를 정지시키고, 브레이크 페달을 개방해서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클러치를 온 상태로 해서 주행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12-116301호 공보에 기재된 작업 차량의 제동 제어 장치에서는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 조작에 따라서 동력 전동 장치의 동력 전동 클러치를 자동으로 오프 작동시켜서 기체를 정차시키는 구성으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2-116301호 공보
상기 작업 차량의 제동 제어 장치에서는,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에 따라 유압 다판 클러치의 오프 동작이 자동적으로 행하여질 때에 유압 다판 클러치의 접속 압력을 제로로 하고 있었으므로, 이어서 기체를 발진시킬 때에 유압 다판 클러치의 접속 반응이 나쁘므로 발진이 늦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브레이크 조작으로 주행·정지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과제는 다음의 기술 수단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은, 엔진(5)으로부터 전륜(2)과 후륜(3) 등의 주행 장치에의 동력 전동 경로에 전후진과 중립을 스위칭하는 전후진 클러치(48)를 설치하고, 브레이크 페달(19L, 19R)의 밟기 조작에 따라 주행 장치에 브레이크(135)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전후진 클러치(48)의 접속 작동압을 저하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기체가 주행 정지 상태에서는 전후진 클러치(48)를 소정 저압의 정지 작동압으로 유지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전후진 클러치(48)의 정지 작동압을 부변속 레버(15)의 변속 위치가 고속측일수록 높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브레이크 페달(19L, 19R)의 조작으로 정지 가능한 상태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146)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브레이크 페달(19L, 19R)의 밟기를 해제했을 때에 전후진 클러치(48)의 접속 작동압을 전체압으로 되돌리는 승압률을 부변속 레버(15)의 변속 위치가 고속측일수록 높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브레이크 페달(19L, 19R)의 밟기를 해제 후에 액셀 페달(18)의 밟기 조작을 행하면 브레이크 페달(19L, 19R)의 밟기를 해제했을 때의 승압률보다 높은 승압률로 정지 작동압을 전체압의 접속 작동압으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로 한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 브레이크 페달(19L, 19R)을 밟기 조작하면 전후진 클러치(48)를 완전히 오프하지 않고 접속 작동압을 저하시켜서 정지 작동압의 저압으로 압력을 유지한다. 그리고, 주행 장치에 브레이크(135)가 작동한다.
이렇게, 기체가 정지하고 있어도 전후진 클러치(48)에는 저압이 작동하고 있으므로 정지 상태로부터 주행을 개시할 경우에 있어서 전후진 클러치(48)가 신속하게 완전히 접속하므로 원활한 발진을 할 수 있다.
또한, 전후진 클러치(48)의 정지 작동압을 부변속 레버(15)의 변속 위치가 고속측일수록 높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목표로 하는 속도가 고속일수록 빠르게 목표 속도에 도달 가능해진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 브레이크 페달(19L, 19R)의 밟기를 해제했을 때에 전후진 클러치(48)의 접속 작동압을 전체압으로 되돌리는 승압률을 부변속 레버(15)의 변속 위치가 고속측일수록 높게 설정했으므로 목표로 하는 속도가 고속일수록 빠르게 목표 속도에 도달 가능해진다.
삭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 브레이크 페달(19L, 19R)의 밟기를 해제 후에 액셀 페달(18)의 밟기 조작을 행하면 브레이크 페달(19L, 19R)의 밟기를 해제했을 때의 승압률보다 높은 승압률로 정지 작동압을 전체압의 접속 작동압으로 되돌리므로 신속하게 목표로 하는 속도에 도달할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작업 차량으로서 나타내는 트랙터의 전체 측면도이고, (b)는 브레이크 페달과 액셀 페달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엔진으로부터 전후륜 및 PTO축에의 동력 전동선도이다.
도 3은 미션 케이스의 단면 전개도이다.
도 4는 미션 케이스의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미션 케이스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프런트 패널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스티어링 핸들의 좌측부 사시도이다.
도 8은 자동 제어 블럭도이다.
도 9는 클러치 유지압의 제어 플로 차트도이다.
도 10은 노클러치 브레이크의 제어 플로 차트도이다.
도 11은 브레이크시의 변속단 제어 플로 차트도이다.
도 12는 노클러치 브레이크 해제시의 제어 플로 차트도이다.
도 13은 전후진 클러치 작동 유압의 전체압 복귀의 그래프이다.
작업 차량의 일례로서 트랙터에 있어서의 실시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작업 차량의 전진 방향을 향해서 좌우 방향을 각각 좌, 우라고 하고, 전진 방향을 전, 후진 방향을 후라고 한다.
트랙터(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의 전후부에 전륜(2, 2)과 후륜(3, 3)을 구비하고, 기체의 전방부에 탑재한 엔진(5)의 엔진 출력축(20)의 회전을 미션 케이스(8) 내의 변속 장치에 의해 적절하게 감속하고, 이들 전륜(2, 2)과 후륜(3, 3)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후륜(3, 3)에 대해서는 크롤러라도 좋다.
기체 중앙에서의 핸들 포스트(6)에는 스티어링 핸들(7)이 설치되고, 그 후방에는 시트(9)가 설치되어 있다. 스티어링 핸들(7)의 하방 좌측에는 기체의 진행 방향을 전진 방향과 후진 방향으로 스위칭하는 전후진 레버(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후진 레버(10)를 전방측으로 시프트하면 기체는 전진하고, 후방측으로 시프트하면 후진하는 구성이다. 전후진 레버(10)는 스티어링 핸들(7)을 파지한 채 손끝으로 조작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핸들 포스트(6)로부터 돌출된 전후진 레버(10)의 돌출부(10a)는 굴절부(10b)를 갖고 상방을 향해 파지부(10c)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파지부(10c) 부분은 스티어링 핸들(7)을 파지한 채의 상태에서 손끝으로 조작할 수 있다. 전후진 레버(10)를 조금 인상시켜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전진 위치가 되고, 전후진 레버(10)를 조금 인상시켜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후진 위치가 된다.
또한, 핸들 포스트(6)를 사이에 두고 전후진 레버(10)의 반대측에는 엔진 회전수를 조절하는 액셀 레버(11)가 설치되고, 또한 스텝 플로어(13)의 우측 코너부에는 마찬가지로 엔진 회전수를 조절하는 액셀 페달(18)과, 좌우의 후륜(3, 3)의 각각에 설치하는 브레이크(135)를 작동시키는 좌브레이크 페달(19L)과 우브레이크 페달(19R)이 설치되어 있다.
좌브레이크 페달(19L)과 우브레이크 페달(19R)을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브레이크 연결 레버(94)를 설치하고, 이 브레이크 연결 레버(94)로 연결한 상태에서 좌브레이크 페달(19L)이나 우브레이크 페달(19R) 중 어느 한쪽을 밟으면 트랙터(1)의 주행이 정지하지만, 그 정지 제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브레이크 연결 레버(94)를 비연결의 상태로 하면 좌브레이크 페달(19L)과 우브레이크 페달(19R)은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해지고, 포장 내에서의 선회시에 선회 내측의 브레이크 페달을 밟기 조작함으로써 선회 반경을 작게 해서 선회할 수 있다(수동의 브레이크턴).
핸들 포스트(6)를 사이에 두고 좌브레이크 페달(19L)과 우브레이크 페달(19R)의 반대측에는 클러치 페달(1002)을 설치하고 있다.
핸들 포스트(6) 상부의 스티어링 핸들(7) 전방측에 도 1에 나타내는 프런트 미터 패널(16)이 설치되어 있고, 이 프런트 미터 패널(16)의 중앙부에 액정 표시부(1001)를 설치하고 있다. 액정 표시부(1001)의 좌측에 태코미터(136)를 설치하고, 액정 표시부(1001)의 우측에 표시등 패널(145)을 설치하고 있다.
엔진 회전수가 태코미터(136)에 표시되고, 표시등 패널(145)에 노클러치 표시등(146)과 저압 경고등(147)을 설치하고 있다. 도 7과 같이, 핸들 포스트(6)의 좌측 하부에 노클러치 스위치(126)를 설치하고 있다. 이 노클러치 스위치(126)의 우측에는 표시 스위칭 스위치(1000)를 설치하고 있고, 이 표시 스위칭 스위치(1000)를 누름 조작할 때마다 상기 액정 표시부(1001)에 표시되는 내용이 스위칭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1속에서부터 8속까지 변속하는 주변속 레버(14)는 시트(9)의 좌전방 측부에 있고, 초저속, 저속, 중속, 고속의 4단 및 중립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부변속 레버(15)는 그 후방에 있고, 또한 그 우측에 4단으로 변속하는 PTO 변속 레버(12)를 설치하고 있다.
트랙터(1)의 기체 후방부에는 로터리 작업기(17)를 장착하고, 미션 케이스(8)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PTO 출력축(111)에 의해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프론트 케이스(8F)와 리어 케이스(8R)를 일체로 장착한 미션 케이스(8) 내의 변속 장치의 동력 전동 기구를 나타내는 전동선도이고, 엔진(5)으로부터 전륜(2)과 후륜(3) 및 로터리 작업기(17)에의 PTO 출력축(111)에의 변속 전동 기구를 설명한다.
엔진(5)의 엔진 출력축(20)의 회전이 미션 케이스(8) 내의 입력축(21)에 전동된다. 이 입력축(21)에 고착된 제 1 입력 기어(22)와 제 2 입력 기어(23)가 각각 제 1 고·저 클러치(24)의 제 1 저속 기어(26)와 제 2 고·저 클러치(25)의 제 2 저속 기어(27) 및 제 1 고·저 클러치(24)의 제 1 고속 기어(30)와 제 2 고·저 클러치(25)의 제 2 고속 기어(31)에 맞물려서 회전을 전동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고·저 클러치(24)를 제 1 저속 기어(26)측에 연결하면 제 1 저속 기어(26)로부터 제 1 클러치축(28)으로 전동되고, 제 1 고속 기어(30)측에 연결하면 제 1 고속 기어(30)로부터 제 1 클러치축(28)으로 전동되고, 제 2 고·저 클러치(25)를 제 2 저속 기어(27)측에 연결하면 제 2 저속 기어(27)로부터 제 2 클러치축(29)으로 전동되고, 제 2 고속 기어(31)측에 연결하면 제 2 고속 기어(31)로부터 제 2 클러치축(29)으로 전동된다.
제 1 고·저 클러치(24)와 제 2 고·저 클러치(25)는 동일한 유압 다판 클러치에 의해 각각 입력축(21)의 회전을 동일 감속비로 고·저의 2단으로 감속해서 제 1 클러치축(28)과 제 2 클러치축(29)으로 전동하게 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고·저 클러치(24)와 제 2 고·저 클러치(25)는 윤활 오일에 잠기고, 그 제 1 클러치축(28)과 제 2 클러치축(29)이 윤활 오일의 액면(OL)보다 약간 위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클러치축(28)과 제 2 클러치축(29)을 미션 케이스(8)에 지지하는 전방 칸막이벽(181)에 형성한 빌드업부(181a)에 케이스의 좌우 개구부측으로부터 드릴로 가공한 급유 구멍(8b)을 형성하고, 이 급유 구멍(8b)으로부터 제 1 고·저 클러치(24)와 제 2 고·저 클러치(25)의 축에 급유하고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고·저 클러치(24)와 제 2 고·저 클러치(25)는 미션 케이스(8)의 하향 경사부(8c)의 하부에서 좌우로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제 1 클러치축(28)에 고착된 제 1 기어(113)가 저속 전동축(34)에 고착된 제 2 기어(35)와 맞물려서 감속해서 전동되고, 제 2 클러치축(29)에 고착된 제 3 기어(149)가 고속 전동축(32)에 고착된 제 4 기어(33)와 맞물려서 증속해서 전동된다.
여기까지의 변속 전동에서 저속 전동축(34)이 저속으로 2단으로, 고속 전동축(32)이 고속으로 2단으로 각각 변속됨으로써 합계 4단으로 변속되게 된다.
저속 전동축(34)과 고속 전동축(32)의 회전이 각각 제 1 싱크로 체인지(42)와 제 2 싱크로 체인지(36)에 전동되고, 제 1 싱크로 체인지(42)의 제 1 싱크로 소기어(43)와 제 2 싱크로 체인지(36)의 제 2 싱크로 소기어(37)가 제 1 전동축(39)의 제 5 기어(40)와 맞물리고, 제 1 싱크로 체인지(42)의 제 1 싱크로 대기어(44)와 제 2 싱크로 체인지(36)의 제 2 싱크로 대기어(38)가 제 1 전동축(39)의 제 6 기어(41)와 맞물려서 전동한다.
제 1 싱크로 체인지(42)의 제 1 싱크로 소기어(43)와 제 1 싱크로 대기어(44) 및 제 2 싱크로 체인지(36)의 제 2 싱크로 소기어(37)와 제 2 싱크로 대기어(38)는 완전히 동일한 기어이고, 저속 전동축(34)이 저속 회전하고 고속 전동축(32)이 고속 회전하고 있으므로 제 1 싱크로 체인지(42)를 스위칭하면 저속으로 또한 2단으로 변속되고, 제 2 싱크로 체인지(36)를 스위칭하면 고속으로 또한 2단으로 변속된다. 즉, 제 1 입력축(21)의 회전이 제 1 전동축(39)에서 저속 4단과 고속 4단으로 변속되게 된다.
제 1 싱크로 체인지(42)와 제 2 싱크로 체인지(36)는 시프터 스테이와 시프터를 서브 장착해서 미션 케이스(8) 내에 수용되고, 그 변속 조작부의 케이스 개구부가 케이스의 좌우 측면에 형성되고, 미션 케이스(8)의 윤활 오일의 액면(OL)보다 상측에 설치된다.
여기까지의 주변속부(150)에서 조종자가 조작하는 주변속 레버(14)의 변속 위치를 판독하고, 주행계 ECU(120)에서 자동적으로 고·저 유압 다판 클러치(24, 25)와 제 1·제 2 싱크로 체인지(36, 42)를 제어해서 저속 4단과 고속 4단까지 변속(8단 변속)된다.
또한, 미션 케이스(8) 내에서 제 1 고·저 클러치(24)와 제 2 고·저 클러치(25)가 좌우로 배치되고, 그 하측에 제 1 싱크로 체인지(42)를 장착하는 저속 전동축(34)과 제 2 싱크로 체인지(36)를 장착하는 고속 전동축(32)이 좌우로 배치됨으로써 미션 케이스(8)의 좌우 폭이 좁고 높이가 낮은 콤팩트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전동축(39)은 제 2 전동축(45)에 축연결로 연결되어 있다. 이 제 2 전동축(45)에는 제 7 기어(46)와 제 8 기어(47)가 고착되고, 유압 다판의 전후진 클러치(48)의 정전(正轉) 클러치 기어(49)와 역전축(52)의 역전(逆轉) 기어(51)에 맞물리고, 역전 기어(51)가 전후진 클러치(48)의 역전 클러치 기어(50)와 맞물려 있다.
따라서, 전후진 클러치(48)의 전진 클러치(48a)를 접속해서 정전 클러치 기어(49)에 연결하면 정전 상태(전진)에서 전후진 클러치(48)에 연결된 부변속축(53)으로 전동되고, 전후진 클러치(48)의 후진 클러치(48b)를 접속해서 역전 클러치 기어(50)에 연결하면 역전 상태(후진)에서 부변속축(53)으로 전동된다. 정전과 역전에서는 감속비가 다르고, 역전쪽이 저속이 된다. 전후진 레버(10)를 전진 위치로 하면 전진 클러치(48a)가 접속되고, 전후진 레버(10)를 후진 위치로 하면 후진 클러치(48b)가 접속된다.
또한, 전후진 클러치(48)의 지지축을 미션 케이스(8)에 지지하는 후방 칸막이벽(182)에 형성한 빌드업부(182a)에 케이스의 케이스 외측으로부터 드릴로 가공한 급유 구멍(182b)을 형성하고, 이 급유 구멍(182b)으로부터 전후진 클러치(48)의 지지축에 급유하고 있다.
또한, 전륜 증속 클러치(79)나 PTO 메인 클러치(97)에의 급유 구멍도 미션 케이스(8)의 내측에 설치한 빌드업부에 형성하고 있다.
이이서, 부변속부(154)를 설명한다.
부변속축(53)에는 제 9 기어(54)와 제 10 기어(55)가 고착되고, 각각 제 3 싱크로 체인지(58)의 제 3 싱크로 대기어(56)와 제 3 싱크로 소기어(59)에 맞물려 있다. 따라서, 제 3 싱크로 체인지(58)를 제 3 싱크로 대기어(56)측에 연결하면 제 9 기어(54)로부터 제 3 싱크로 대기어(56)로 전동한 회전에 의해 제 5 전동축(60)이 증속해서 고속으로 구동되고, 제 3 싱크로 체인지(58)를 제 3 싱크로 소기어(59)측에 연결하면 제 10 기어(55)로부터 제 3 싱크로 소기어(59)로 전동한 회전에 의해 제 5 전동축(60)이 감속해서 중속으로 구동된다.
또한, 제 3 싱크로 체인지(58)의 제 3 싱크로 소기어(59)측에는 제 11 기어(57)를 고착하고, 제 4 싱크로 체인지(71)의 제 4 싱크로 소기어(69)와 맞물려 있다. 그리고, 제 4 싱크로 소기어(69)측에는 제 15 기어(70)를 고착하고, 이 제 15 기어(70)가 제 2 통축(114)의 제 17 기어(75)와 맞물려서 제 2 통축(114)에 고착된 제 18 기어(76)로부터 제 4 싱크로 대기어(72)로 전동하고 있다. 제 4 싱크로 체인지(71)를 장착한 제 1 통축(73)에는 제 16 기어(74)를 고착하고 있다.
따라서, 제 3 싱크로 체인지(58)를 중립으로 하면 제 10 기어(55)의 회전이 제 3 싱크로 소기어(59)로 전동되고, 제 3 싱크로 소기어(59)측에 고착된 제 11 기어(57)로부터 제 4 싱크로 소기어(69)로 전동된다.
이 상태에서, 제 4 싱크로 체인지(71)를 제 4 싱크로 소기어(69)측에 연결하면 제 4 싱크로 소기어(69)의 회전이 제 16 기어(74)의 회전이 되어서 저속이 되고, 제 4 싱크로 체인지(71)를 제 4 싱크로 대기어(72)측에 연결하면 제 4 싱크로 소기어(69)의 회전이 제 15 기어(70)로부터 제 17 기어(75)와 제 18 기어(76)와 제 4 싱크로 대기어(72)로 전동되어서 제 16 기어(74)가 극저속이 된다.
또한, 제 3 싱크로 체인지(58)를 제 3 싱크로 대기어(56)측 또는 제 3 싱크로 소기어(59)측에 연결할 경우에는 제 4 싱크로 체인지(71)를 중립으로 해 둔다.
따라서, 주변속부(150)에서 변속된 저속 4단과 고속 4단이 부변속부(154)에서 4단으로 변속됨으로써 저속 16단과 고속 16단으로 변속(합계 32단)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전후진 클러치(48)를 스위칭함로써 전진 32단, 후진 32단 변속이 된다.
또한, 제 16 기어(74)는 상기 제 5 전동축(60)에 고착된 제 12 기어(61)와 맞물려서 제 5 전동축(60)을 구동한다. 이 제 5 전동축(60)의 축 끝에 고착된 제 1 베벨 기어(62)가 리어 베벨 케이스(64)의 제 2 베벨 기어(63)와 맞물려 있고, 리어 베벨 케이스(64)의 베벨 출력축(65)으로부터 제 13 기어(66)와 제 14 기어(67)를 통해서 후륜 출력축(68)을 회전해서 후륜(3)을 구동한다. 좌우의 후륜 출력축(68)에는 우브레이크 페달(19R)과 좌브레이크 페달(19L)에 의해 각각 작동하는 브레이크(135)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제 5 전동축(60)에는 제 21 기어(117)가 고착되고, 부변속축(53)에 축지지된 제 2 통축(119)에 고착된 제 22 기어(118)와 제 22 기어(148)를 통해서 제 1 전륜 구동축(78)의 제 19 기어(77)로 전동하고, 상기 제 16 기어(74)의 저속 16단과 고속 16단의 회전이 제 1 전륜 구동축(78)으로 전동되고 있다.
이 제 1 전륜 구동축(78)으부터 전륜 증속 클러치(79)를 통해서 제 2 전륜 구동축(84)으로 전동하고, 제 3 전륜 구동축(85)과 제 4 전륜 구동축(86)과 전륜 구동 베벨축(87)으로 이어지면서 전동하고, 전륜 구동 베벨축(87)의 축 끝에 고착된 제 1 전방 베벨 기어(88)가 전방 베벨 케이스(89)의 제 2 전방 베벨 기어(115)와 맞물려 있고, 전방 베벨 케이스(89)의 전방 베벨 출력축(90)으로부터 제 1 전방 베벨 기어 세트(91)와 전방 세로축(116)과 제 2 전방 베벨 기어 세트(92)를 통해서 전륜 출력축(93)을 회전시켜 전륜(2)을 구동한다.
전륜 증속 클러치(79)의 증속 클러치(79b)를 접속시키면 제 1 증속 클러치 기어(82), 제 1 증속 기어(83), 제 2 증속 기어(83), 제 2 증속 클러치 기어(80), 제 2 전륜 구동축(84)으로 전동되어 가고, 이 흐름은 후륜에 대하여 전륜을 증속하는 전동이 된다. 전륜 증속 클러치(79)의 4WD 클러치(79a)를 접속시키면 제 1 증속 클러치 기어(82)의 회전은 제 2 전륜 구동축(84)으로 전동된다. 이 흐름은 전륜을 후륜과 같은 속도로 하는 4WD 구동이 된다. 상기 증속 클러치(79b)와 4WD 클러치(79a) 모두 접속하지 않은 경우에는 후륜 구동만의 2WD 주행이 된다.
부변속부(154)가 부변속 레버(15)의 변속 위치를 판독하고, 주행계 ECU(120)에서 자동적으로 제 3 싱크로 체인지(58)와 제 4 싱크로 체인지(71)를 제어해서 변속된다.
또한, 제 4 싱크로 체인지(71)를 장착한 제 1 통축(73)은 제 3 싱크로 체인지(58)를 장착한 제 5 전동축(60)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어 미션 케이스(8)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제 3 싱크로 체인지(58)와 제 4 싱크로 체인지(71)에 대해서는 부변속 레버(15)와 링크 기구 등으로 접속해서 메커니컬 체인지로 구성해도 좋다.
이어서, PTO 출력축(111)의 전동 경로를 설명한다.
상기 제 2 입력 기어(23)에 PTO 메인 클러치(97)의 메인 클러치 기어(96)를 맞물리게 하고, PTO 메인 클러치(97)로 동력의 단속(斷續)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PTO 메인 클러치(97)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고·저 클러치(24)와 제 2 고·저 클러치(25)의 하측에 위치하고, 미션 케이스(8)의 내부에 고인 윤활 오일에 의해 냉각·윤활 된다.
PTO 메인 클러치(97)를 장착한 제 1 PTO축(95)에는 다음과 같이 PTO 변속부(157)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PTO 기어(98)와 제 2 PTO 기어(99)와 제 5 싱크로 체인지(151)의 제 5 싱크로 소기어(100)와 제 5 싱크로 대기어(101)를 장착하고, 제 2 PTO축(104)에 제 20 기어(102)와 제 23 기어(152)를 제 21 기어(103)와 제 24 기어(153)를 고착하고, 카운터축(106)에서 PTO 역전 기어(105)를 축지지하고 있다.
제 1 PTO 기어(98)를 슬라이드해서 제 20 기어(102)에 맞물리게 하면 제 3 PTO축(107)이 2속이 되고, 제 1 PTO 기어(98)를 슬라이드해서 제 2 PTO 기어(99)에 맞물리게 하면 제 1 PTO축(95)의 회전이 제 2 PTO 기어(99)와 제 23 기어(152)를 통해서 제 3 PTO축(107)으로 전해져서 4속이 되고, 제 5 싱크로 체인지(151)를 제 5 싱크로 소기어(100)에 연결하면 제 5 싱크로 소기어(100)로부터 제 21 기어(103)로 전동해서 1속이 되고, 제 5 싱크로 체인지(151)를 제 5 싱크로 대기어(101)에 연결하면 제 5 싱크로 대기어(101)로부터 제 24 기어(153)로 전동해서 3속이 되고, PTO 역전 기어(105)를 제 1 PTO 기어(98)와 제 20 기어(102)에 맞물리게 하면 제 1 PTO축(95)의 회전이 제 1 PTO 기어(98)로부터 PTO 역전 기어(105)를 경유해서 제 20 기어(102)로 전동되어서 제 3 PTO축(107)으로 전해져서 역회전이 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PTO 기어(98)와 제 2 PTO 기어(99)와 제 5 싱크로 체인지(151)는 상기 제 1 고·저 클러치(24) 및 제 2 고·저 클러치(25)와 제 1 싱크로 체인지(42) 및 제 2 싱크로 체인지(36) 사이에서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3 PTO축(107)의 회전은 제 4 PTO축(156)을 통해서 제 5 PTO축(108)으로 전동하고, 제 1 PTO 출력 기어(109)로부터 제 2 PTO 출력 기어(110)로의 전동에 의해 더 감속해서 PTO 출력축(111)을 구동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8)의 좌우 중앙에 입력축(21)과 제 4 전륜 구동축(86)이 위치하고, 제 1 고·저 클러치(24)와 제 2 고·저 클러치(25), 고속 전동축(32)과 저속 전동축(34) 및 제 4 PTO축(156)과 부변속축(53)이 좌우 대칭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4 PTO축(156)과 부변속축(53)과 제 4 전륜 구동축(86)은 미션 케이스(8)의 내부 하방 위치에서 정면으로 볼 때 대략 이등변 삼각형의 배치로 되어 있다.
도 8은 미션 케이스(8) 내의 변속을 제어하는 자동 제어의 제어 블럭도이고, 주행계 ECU(120)에의 제어 데이터의 입력은 클러치 페달 센서(121)로부터의 온·오프 신호, 차속 센서(122)의 주행 속도와, 우브레이크 센서(123R)의 온·오프 신호와, 좌브레이크 센서(123L)의 온·오프 신호와, 전후진 스위칭 스위치(124)의 스위칭 신호와, 브레이크 연결 센서(125)의 온·오프 신호와 노클러치 스위치(126)의 온·오프 신호이다.
주행계 ECU(120)로부터의 제어 출력은 전진 솔레노이드(127)와 후진 솔레노이드(128)에의 작동 신호와, 브레이크 비례 솔레노이드(129)에의 작동 신호와, 우브레이크 솔레노이드(130R)와 좌브레이크 솔레노이드(130L)에의 작동 신호와, 고속 비례 솔레노이드(132)와 저속 비례 솔레노이드(133)에의 작동 신호이다.
이어서, 제동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좌브레이크 페달(19L)과 우브레이크 페달(19R)은 각각을 밟음으로써 밟은 측의 브레이크(135)를 작동시켜서 그 작동측으로 선회한다.
그리고, 좌브레이크 페달(19L)과 우브레이크 페달(19R)을 브레이크 연결 레버(94)로 연결한 것을 브레이크 연결 센서(125)가 검출하고, 노클러치 스위치(126)를 온한 것을 검출하면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표시등 패널(145)의 노클러치 표시등(146)이 점등한다. 또한, 브레이크 연결 센서(125)가 비연결 상태일 때에는 노클러치 표시등(146)이 점멸해서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가 기능하고 있지 않은 것을 알린다.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란 클러치 페달을 밟지 않아도 기체의 정지와 발진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메인키 스위치를 정지로 해도 노클러치 스위치(126)를 온의 경우에는 온 상태로 기억하고 있으므로 다시 메인키 스위치를 온으로 하면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로 되고, 노클러치 표시등(146)이 점등한다. 이때, 브레이크 연결 센서(125)가 비연결 상태일 때는 노클러치 표시등(146)이 점멸한다.
주행 중에 있어서,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에서 우브레이크 페달(19R)이나 좌브레이크 페달(19L)을 밟고, 즉 좌우의 브레이크 페달(19L, 19R)을 동시에 밟으면 우브레이크 센서(123R)나 좌브레이크 센서(123L)가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 조작을 검출한다. 상기 전후진 클러치(48)의 전진 클러치(48a) 또는 후진 클러치(48b)의 선택되어 있는 측의 클러치가 저압 상태(반클러치 상태)가 된다. 이 반클러치 상태에서 좌우의 브레이크(135)를 작동시켜서 기체를 정지 상태로 한다.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에 표시등 패널(145)의 저압 경고등(147)을 점등시킨다. 우브레이크 센서(123R)와 좌브레이크 센서(123L)는 온·오프식의 센서이다.
이 저압 정지 상태는 길게 계속하면(약 2분) 유온이 높아지게 되므로 상기 저압 경고등(147)의 점등 상태를 점멸 상태로 해서 조종자에게 알린다. 이때는, 클러치 페달(1002)을 밟기 조작하면, 또는 전후진 레버(10)를 중립 위치로 하면 전후진 클러치(48)의 전진 클러치(48a) 또는 후진 클러치(48b)의 선택되어 있는 측의 클러치의 저압 상태가 해제되어서 반클러치 상태로부터 완전한 중립 상태가 된다.이때, 노클러치 표시등(146)은 소등한다.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에서 기체가 정지 중에 있고 다시 발진하기 위해서는 브레이크 페달로부터 발을 떼어 브레이크 페달을 개방 상태로 하면, 상기 저압 정지 상태(반클러치)의 상태에서 동력 전달되므로 응답성이 좋아서 원활하게 발진을 개시한다. 그 후에, 압력이 조금씩 승압되어 가고, 규정 시간 후에 완전히 클러치가 접속된다. 빠르게 가속하고 싶을 때에는 액셀 페달(18)을 밟아서 엔진 회전수를 상승시킴으로써 급가속을 할 수 있다.
초기 상태에서의 발진시에 있어서, 부변속이 중립 위치일 때에는 노클러치 스위치(126)를 온해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기 조작한다. 그리고, 클러치 페달(1002)을 밟고서 부변속 레버(15)를 변속 조작한다. 주변속 레버(14)도 변속 조작한다. 그 후, 전후진 레버(10)를 전진 또는 후진으로 조작한다. 그리고, 클러치 페달(1002)로부터 발을 떼고 클러치 페달(1002)을 개방시킨다. 이 상태에서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에서 기체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을 때 클러치 페달(1002)을 밟기 조작하면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는 기능하지 않게 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과 클러치 페달(1002)의 양쪽이 밟기 조작되어 있을 때에 있어서, 노클러치 스위치(126)를 누름 조작하면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는 해제되어서 기능하지 않게 된다.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과 클러치 페달(1002)의 양쪽이 밟기 조작되어 있지 않을 때에 있어서, 노클러치 스위치(126)를 누름 조작하면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는 해제되어서 기능하지 않게 된다.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정지하고 있지 않을 때에 있어서 브레이크 연결 센서(125)가 비연결 상태가 되면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의 기능으로 일시 중단한다.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정지하고 있을 때에 있어서 브레이크 연결 센서(125)가 비연결 상태가 되어도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의 기능은 일시 중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한다. 그 후,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 조작이 개방되면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의 기능으로 일시 중단하는 구성으로 한다. 단,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 조작이 개방될 때에 브레이크 연결 센서(125)가 다시 연결되면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의 기능을 일시 중단으로 하지 않는 구성으로 한다.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의 기능을 일시 중단하고 있을 때에 있어서, 노클러치 스위치(126)를 누름 조작해도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의 기능은 유지한다.
노클러치 표시등(146)은「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의 기능이 온이고, 브레이크 페달에 의해 정지하고 있지 않을 때에 점등한다. 브레이크 페달에 의해 정지하면 점멸한다. 또한,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 기능이 오프되거나, 또는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 기능이 일시 중단되어 있을 때에 있어서는 소등한다.
저압 경고등(147)은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의 기능이 온이고, 브레이크 페달에 의해 정지하면 점멸한다. 브레이크 페달의 정지 상태가 2분간 이상 계속되면 고속으로 점멸한다.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에서의 전후진 클러치(48)의 저압 정지 압력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변속 레버(15)의 변속 위치를 부변속 센서(134)로 판독하고, 그 변속 위치에 따라 변경하고 있다. 즉, 극저속과 저속에서는 1.5㎏/㎠, 중속에서는 2.0㎏/㎠, 고속에서는 2.3㎏/㎠로 하고, 피드백 제어를 행한다. 저압 정지 압력은 외부 통신 기기 등에서 변경 가능하게 한다. 이 클러치 압력의 피드백 제어는 제어 출력 후 일정 시간 후부터 행한다. 도 13에는 이 저압 유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B1은 부변속 레버(15)의 변속 위치가 중속일 경우의 저압 유지를 나타내고 있다. B2는 부변속 레버(15)의 변속 위치가 극저속과 저속일 경우의 저압 유지를 나타내고 있다. C는 부변속 레버(15)의 변속 위치가 고속일 경우의 저압 유지를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저압으로 유지하고 있으므로 정지 상태로부터 주행 상태로의 이행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부변속이 고속으로 될수록 저압 유지 압력을 높게 하고 있으므로 다시 발진할 때에 원활하게 발진할 수 있다.
이 피드백 제어는 전후진 클러치(48)의 전진측과 후진측의 양쪽에 압력 센서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압력 센서에서 피드백 제어를 행하고, 어느 한쪽(후진측)에 압력 센서가 없는 경우에는 어느 다른쪽(전진측)의 압력 센서의 최신값으로 피드백 제어를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염가의 구성이 된다.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에 차속이 소정 속도 이상(3km/h)을 초과하고 있을 때는 소정 시간(약 1초간)은 제 1 고·저 클러치(24)와 제 2 고·저 클러치(25)를 오프로 함으로써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1초간 끊게 되므로 감속을 원활하게 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차속이 (3km/h) 이하가 될 때까지는 1초간에 한하지 않고 제 1 고·저 클러치(24)와 제 2 고·저 클러치(25)의 오프를 유지한다.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에 있어서, 주변속이 5속 이상일 경우에는 자동으로 4속으로 함으로써 원활한 감속과 정지를 할 수 있다. 이때, 주변속 레버(14)의 위치는 5속 이상이므로 액셀 페달(18)을 밟고서 그 지시값이 1350rpm 이상으로 되면(다시 주행 개시) 1단 어긋나는 원래의 변속 위치[주변속 레버(14)의 위치]로 증속해서 돌아가는 구성으로 한다. 단, 부변속의 조작이 있으면 증속은 해제한다. 그리고, 주변속 레버(14)의 위치와 미션 내의 주변속의 변속단의 위치가 일치하면 증속을 해제하고, 그 후에는 주변속 레버(14)의 변속에 의한 변속으로 이행한다. 또한, 주변속 레버(14)의 위치와 미션 내의 주변속의 변속단의 위치가 일치할 때까지 주변속 레버(14)가 조작되면 그 변속 위치로 되도록 미션 내의 주변속의 변속단을 스위칭하지만, 1단 어긋나는 증감속해도 되고, 단숨에 변속해도 된다. 이때는, 주변속의 유압 클러치의 접속을 완만하게 해서 변속 충격을 방지한다.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서 정차하고 있을 때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로부터 발을 뗀 후의 전후진 클러치(48) 승압은 부변속의 위치에서 승압 커브를 다르게 하는 구성으로 한다(도 13). 이때, 액셀 페달의 조작이 있으면 다른 승압 커브로 승압하는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브레이크 페달로부터 발은 떼었을 때의 승압 커브와 액셀 페달(18)을 밟기 조작했을 때의 승압 커브를 비교하여 높은 쪽의 승압 커브를 선택해서 승압하는 구성으로 한다.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서 정차하고 있을 때에 있어서, 클러치 페달(1002)의 밟기 조작[동력을 끊기 위해서 전후진 클러치(48)의 지시 압력은 제로]이 있으면 지시압이 낮은 쪽, 즉 클러치 페달(1002)의 지시 압력을 선택한다.
또한, 상술과 같이 브레이크 페달로부터 발을 떼었을 때의 승압 커브와 액셀 페달(18)을 밟기 조작했을 때의 승압 커브를 비교하여 높은 쪽의 승압 커브를 선택해서 승압하고 있을 때에 있어서, 클러치 페달(1002)의 밟기 조작[동력을 끊기 위해서 전후진 클러치(48)의 지시 압력은 제로]이 있으면 지시압이 낮은 쪽, 즉 클러치 페달(1002)의 지시 압력을 선택한다. 또한, 클러치 페달(1002)의 클러치 페달 센서(121)는 포지션 센서이므로 그 밟기량에 따라 전후진 클러치(48)에의 지시압을 리니어로 변경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지시압이 낮은 쪽을 선택해서 출력한다.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에서는 클러치 페달 센서(121)의 온 신호 즉 클러치 페달의 밟기가 있어도 제 1 고·저 클러치(24)와 제 2 고·저 클러치(25)를 작동시키지 않고, 전후진 클러치(48)를 오프 작동시킨다.
노클러치 스위치(126)을 눌러서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이어도 브레이크 연결 레버(94)를 풀면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를 중단하고, 전후진 클러치(48)를 저압 정지 상태로는 하지 않는다.
도 10과 같이,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에서 우브레이크 페달(19R)이나 좌브레이크 페달(19L)을 밟았을 때는 전후진 클러치(48)를 저압 유지 상태로 하지만, 차속이 3km/h를 초과하고 있을 경우에는 접속하고 있는 제 1 고·저 클러치(24)나 제 2 고·저 클러치(25)를 1초간 오프로 하고, 여전히 차속이 3km/h를 초과하고 있으면 그 이하가 될 때까지 클러치 오프를 지속해서 동력을 끊도록 한다.
클러치 페달 센서(121)와 우브레이크 센서(123R)와 좌브레이크 센서(123L)가 모두 온 또는 오프일 경우에 노클러치 스위치(126)를 오프하면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를 해제한다.
도 11과 같이, 변속 레버의 주행 변속 위치가 5속 이상에서 노클러치 정지를 행하면 변속단을 자동으로 4속으로 변경한다. 또한, 변속 레버의 주행 변속 위치가 5속 이상일 경우에 주행을 개시하면 도 12와 같이 엔진 회전이 1350rpm이 되면 1단씩 승단해서 원래의 변속단으로 복귀한다. 그리고, 원래의 변속단으로 복귀하면 자동 변속을 해제한다. 그때에 부변속을 변경하면 자동 복귀를 중지한다.
우브레이크 센서(123R)와 좌브레이크 센서(123L)가 함께 오프 상태에서 브레이크 연결 센서(125)가 오프가 되면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를 중단하지만, 우브레이크 센서(123R)와 좌브레이크 센서(123L)의 어느 쪽인가가 온 즉 정지 상태에서 브레이크 연결 센서(125)를 온 해도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를 해제하지 않는다. 그러나, 브레이크 연결 센서(125)를 오프한 채로 우브레이크 센서(123R)와 좌브레이크 센서(123L)가 오프가 되면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를 해제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노클러치 표시등(146)과 저압 경고등(147)은 다음 조건으로 점등한다.
노클러치 표시등(146)은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에서 점등하고,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를 해제 또는 중단하면 소등한다.
저압 경고등(147)은 노클러치 브레이크 작동 상태에서 노클러치 브레이크 정지가 되면 점등 또는 통상 점멸이 되고, 이 상태가 2분간 이상이 되면 고속 점멸해서 노클러치 브레이크를 길게 계속하지 않도록 경고하고, 다른 상태에서는 소등한다.
도 13은 전후진 클러치(48)의 승압 패턴이고, A는 액셀 페달(18)을 밟고서 발진한 경우, 또는 브레이크 정지 상태로부터 주행으로 돌아갈 경우 액셀 페달(18)을 밟고서 발진한 경우이고, 단시간에 소정의 전압으로 한다. B1은 부변속 레버(15)의 변속 위치가 중속일 경우에 브레이크 정지 상태로부터 브레이크 해제에 의해 주행으로 돌아가는 경우이다. B2는 부변속 레버(15)의 변속 위치가 극저속과 저속일 경우에 브레이크 정지 상태로부터 브레이크 해제에 의해 주행으로 돌아가는 경우이다. C는 부변속 레버(15)의 변속 위치가 고속일 경우에 브레이크 정지 상태로부터 브레이크 해제에 의해 주행으로 돌아가는 경우이다. 그리고, 브레이크 해제에 의해 전체압으로 돌아가는 도중에 액셀 페달(18)을 밟으면 A의 승압 패턴으로 이행해서 급속하게 승압한다. 이것에 의해, 부변속이 고속으로 될수록 높은 승압 패턴으로 승압되므로 목표로 하는 속도에 신속하게 도달할 수 있다.
액셀 페달(18)을 밟기 조작했을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A의 승압 패턴에 대하여 B1의 승압 패턴 또는 B2의 승압 패턴 또는 C의 승압 패턴을 각각 비교하여 높은 쪽의 압력을 선택해서 승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 조작을 해제하고 즉시 액셀 페달(18)을 밟기 조작하면 승압 커브 A1이 선택되지만,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 조작을 해제한 후에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하고 있으면 이미 B1의 승압 패턴 또는 B2의 승압 패턴 또는 C의 승압 패턴은 승압이 진행되고 있으므로, A의 승압 패턴보다 B1의 승압 패턴 또는B2의 승압 패턴 또는 C의 승압 패턴 쪽이 높은 압력으로 되므로, B1의 승압 패턴 또는 B2의 승압 패턴 또는 C의 승압 패턴의 압력이 선택된다. 단, 시간의 경과와 함께 A의 승압 패턴이 높아지면 A의 승압 패턴의 압력이 선택되어서 출력된다.
상기 승압 패턴이나 저압 유지압(저압 작동압)은 부변속의 위치에 따라서 변경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주변속의 위치에 따라서 변경해도 좋다. 또한, 부변속과 주변속의 조합에 의해 변경해도 좋다. 이 경우도, 고속일수록 높은 압력으로 한다.
상기 주변속 레버(14)는 중립 위치로부터 기체 전방측을 향해서 1속으로부터 8속까지 일직선으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주변속 레버(14)를 중립 위치로부터 기체 후방측의 「자동 변속 위치」로 이동시키면 자동 변속이 개시된다. 이 「자동 변속 위치」로의 주변속 레버(14)의 이동은 일단 가로 방향(기체 우측 방향 또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나서 기체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주변속 레버(14)를 「자동 변속 위치」로 하면 미션 내의 주변속은 4속으로 설정된다. 클러치 페달을 밟아서 부변속을 선택한다. 전후진 레버(10)를 전진 위치로 한다. 그 후, 클러치 페달로부터 발을 떼면 주행을 개시한다. 액셀 페달(18)을 밟아 가면 엔진 회전과 함께 차속이 증속해 간다. 그리고, 엔진 회전이 상승함에 따라 미션 내의 주변속은 증속해 간다. 액셀 페달(18)의 밟기를 적게 하면 주변속은 감속해 간다. 클러치 페달(1002)을 밟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서 기체를 정차시키면 주변속은 4속으로 돌아간다. 또한, 발진 전이라도 주행 중이라도 전후진 레버(10)를 후진으로 하면 자동 변속 기능은 일시 중단되고, 주변속은 4속을 유지한다.
2: 전륜 3: 후륜
5: 엔진 14: 주변속 레버
15: 부변속 레버 18: 액셀 페달
19L: 좌브레이크 페달 19R: 우브레이크 페달
48: 전후진 클러치 135: 브레이크
146: 통지 수단(노클러치 표시등)

Claims (6)

  1. 엔진(5)으로부터 주행 장치에의 동력 전동 경로에 전진, 후진 또는 중립으로 스위칭하는 전후진 클러치(48)를 설치하고, 전후진 클러치(48)의 전진측 또는 후진측이 접속하고 있는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19L, 19R)을 밟기 조작하면 주행 장치에 브레이크(135)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전후진 클러치(48)의 접속 작동압을 저하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기체가 주행 정지 상태에서는 전후진 클러치(48)를 소정 저압의 정지 작동압으로 유지하는 구성으로 하며, 상기 전후진 클러치(48)의 정지 작동압을 부변속 레버(15)의 변속 위치가 고속측일수록 높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19L, 19R)의 밟기를 해제했을 때에 전후진 클러치(48)의 접속 작동압을 전체압으로 되돌리는 승압률을 부변속 레버(15)의 변속 위치가 고속측일수록 높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19L, 19R)의 밟기를 해제 후에 액셀 페달(18)의 밟기 조작을 행하면 브레이크 페달(19L, 19R)의 밟기를 해제했을 때의 승압률보다 높은 승압률로 정지 작동압을 전체압의 접속 작동압으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070920A 2013-06-19 2014-06-11 트랙터 KR101677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28747A JP5668794B2 (ja) 2013-06-19 2013-06-19 トラクタ
JPJP-P-2013-128747 2013-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695A KR20140147695A (ko) 2014-12-30
KR101677969B1 true KR101677969B1 (ko) 2016-11-21

Family

ID=50979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920A KR101677969B1 (ko) 2013-06-19 2014-06-11 트랙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66303B2 (ko)
EP (1) EP2815938B1 (ko)
JP (1) JP5668794B2 (ko)
KR (1) KR101677969B1 (ko)
CN (1) CN104228813B (ko)
AU (1) AU2014203260B2 (ko)
TW (1) TWI5847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5725B2 (ja) * 2013-12-16 2018-01-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及び作業車両の制御方法
JP6503854B2 (ja) * 2015-04-09 2019-04-24 井関農機株式会社 トラクタ
JP6044668B2 (ja) * 2015-04-09 2016-12-14 井関農機株式会社 トラクタ
JP6202070B2 (ja) * 2015-10-30 2017-09-27 井関農機株式会社 トラクタ
GB201601877D0 (en) * 2016-02-02 2016-03-16 Agco Int Gmbh Vehicle linkage control system
US9856973B1 (en) * 2016-07-07 2018-01-02 Deere &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with creeper mode selection
US10935109B2 (en) * 2017-06-22 2021-03-02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transmission and work vehicle having the same
JP7242435B2 (ja) 2019-06-11 2023-03-2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両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2379A (ja) * 2001-12-10 2003-06-20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トラクタ
KR100854214B1 (ko) 2007-05-23 2008-08-2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트랙터의 전후진 변속기 및 그의 클러치 동작 제어 방법
JP2010078104A (ja) * 2008-09-29 2010-04-08 Iseki & Co Ltd 作業車両の変速装置
JP2012116301A (ja) 2010-11-30 2012-06-21 Iseki & Co Ltd 動力車両の制動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9641A (en) 1972-08-14 1976-12-28 Caterpillar Tractor Co. Vehicle transmission neutralizing system
FR2559720B1 (fr) * 1984-02-17 1992-01-03 Honda Motor Co Ltd Dispositif de commande a couplage pour les organes de freinage et d'embrayage dans des machines de travail montees sur un tracteur
CN1898114B (zh) 2004-09-15 2010-05-12 株式会社小松制作所 作业车辆的输入离合器的控制装置
JP2007296958A (ja) * 2006-04-28 2007-11-15 Toyota Motor Corp 車両の制御装置
JP5515282B2 (ja) * 2008-12-09 2014-06-11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機
JP2010257231A (ja) 2009-04-24 2010-11-11 Iseki & Co Ltd トラクタ
WO2014054724A1 (ja) * 2012-10-04 2014-04-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始動制御装置
US9651144B2 (en) * 2012-10-31 2017-05-16 Allison Transmission, Inc. Method of controlling a hydraulic pressurization system of a transmiss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2379A (ja) * 2001-12-10 2003-06-20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トラクタ
KR100854214B1 (ko) 2007-05-23 2008-08-2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트랙터의 전후진 변속기 및 그의 클러치 동작 제어 방법
JP2010078104A (ja) * 2008-09-29 2010-04-08 Iseki & Co Ltd 作業車両の変速装置
JP2012116301A (ja) 2010-11-30 2012-06-21 Iseki & Co Ltd 動力車両の制動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84721B (zh) 2017-06-01
AU2014203260B2 (en) 2016-01-07
EP2815938A1 (en) 2014-12-24
AU2014203260A1 (en) 2015-01-22
CN104228813A (zh) 2014-12-24
EP2815938B1 (en) 2021-04-21
US9366303B2 (en) 2016-06-14
JP2015003555A (ja) 2015-01-08
TW201507595A (zh) 2015-03-01
US20140379226A1 (en) 2014-12-25
JP5668794B2 (ja) 2015-02-12
CN104228813B (zh) 2017-05-24
KR20140147695A (ko) 2014-12-30
NZ626298A (en) 2015-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969B1 (ko) 트랙터
JP5761437B2 (ja) トラクタ
JP2015004439A5 (ko)
JP2014156919A (ja) 車両
JP3495316B2 (ja) 作業車の走行変速構造
JP2002178781A (ja) 作業車両の変速制御装置
JP2017180773A (ja) トラクタの走行制御装置
JP2010213604A (ja) 作業車両
JP6164174B2 (ja) トラクターの制御装置
JP4396468B2 (ja) 移動車両の変速制御装置
JP4389047B2 (ja) 移動車両
JP5962618B2 (ja) 車両
JP3234447B2 (ja) 車輌の動力伝達装置の制御方法
JP2010210016A (ja) 作業車輌
JP5954289B2 (ja) 作業車両
JP5280220B2 (ja) 作業車両の制御装置
JP2006070921A (ja) 移動車両の変速制御装置
JP3495094B2 (ja) 作業車の走行変速構造
JPH08338525A (ja) 作業車の走行変速装置
JP6260646B2 (ja) 車両
JPH0820258A (ja) 作業車の走行変速構造
JP2002106697A (ja) 作業車の走行変速構造
JP4947091B2 (ja) 移動車両
JP2005016560A (ja) 走行車両の変速制御装置
JP2000110934A (ja) 走行用伝動装置の変速操作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