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6821B1 - 레이저 빔 간의 상대 위치를 보정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빔 간의 상대 위치를 보정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821B1
KR101646821B1 KR1020130043510A KR20130043510A KR101646821B1 KR 101646821 B1 KR101646821 B1 KR 101646821B1 KR 1020130043510 A KR1020130043510 A KR 1020130043510A KR 20130043510 A KR20130043510 A KR 20130043510A KR 101646821 B1 KR101646821 B1 KR 101646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data
image
light emitting
laser beam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1026A (ko
Inventor
야스토모 후루타
슌사쿠 곤도
šœ사쿠 곤도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1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 G03G15/043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by introducing an optical element in the optical path, e.g. a fil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Abstract

레이저 빔의 주사 방향으로 감광 드럼을 주사하는 레이저 빔 간의 노광 위치에서의 상대 위치를 보정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반도체 레이저는 제1 및 제2 레이저 빔을 출사하기 위한 제1 및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이러한 소자들은 레이저 빔이 부 주사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감광 드럼 위의 위치를 노광하도록 배열된다. 다각형 미러는 감광 드럼을 주사하기 위해 레이저 빔을 편향시킨다. 제1 및 제2 레이저 빔에 의한 노광에 의해 감광 드럼 위에 형성될 화상 간의 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상대 위치는 보정 데이터에 기초해서 보정된다. 화상 데이터 생성부는 각 발광 소자와 관련된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반도체 레이저 구동 회로는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반도체 레이저가 제1 및 제2 레이저 빔을 출사시키도록 한다.

Description

레이저 빔 간의 상대 위치를 보정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CORRECTING RELATIVE POSITION BETWEEN LASER BEAMS}
본 발명은 복수의 레이저 빔에 감광체를 노광시키는 전자 사진 방식에 기초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레이저 프린터나 복사기 등의 전자 사진 방식에 기초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레이저 빔을 출사하는 광 빔 주사 디바이스가 감광 드럼(감광체) 위에 정전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자 사진 방식에 기초한 화상 형성 장치는 광 빔 주사 디바이스를 이용한다. 광 빔 주사 디바이스는 다각형 미러(polygon mirror)를 이용하여, 콜리메이터 렌즈(collimator lens)에 의해 시준된(collimated) 레이저 빔으로 변환된 레이저 빔을 편향시키고, 이 편향된 레이저 빔을 긴 f-θ 렌즈를 통과시켜 감광 드럼 위에 화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유형의 광 빔 주사 디바이스는 인쇄 속도의 고속화나 고해상도화에 적응하기 위해서, 복수의 레이저 빔을 동시에 주사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복수의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감광 드럼 위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장치에 있어서는 감광 드럼의 회전 방향(부 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의 레이저 빔의 상대적 화상 형성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 장치의 조립시에 레이저 디바이스의 회전 조정이 수행된다. 레이저 디바이스의 회전 조정을 수행함으로써, 정전 잠상을 현상하여 얻어진 부 주사 방향으로의 화소 간격이 해상도에 부합되게 할 수 있다.
최근의 화상 형성 장치는 고해상도의 화상을 출력하도록 요구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감광 드럼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의 레이저 빔의 화상 형성 위치의 간격이 해상도에 맞도록 레이저 디바이스를 회전 조정한다. 복수의 레이저 빔이 감광 드럼을 주사하는 방향(주 주사 방향)으로 어긋난 감광 드럼 위의 위치를 노광하면,레이저 빔에 의해 형성된 화소 간에는 주 주사 방향으로의 시프트가 발생한다. 따라서, 주 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레이저 빔의 시프트에 의해, 레이저 빔에 의해 형성된 화소 간의 주 주사 방향의 시프트가 생기지 않도록, 레이저 디바이스로부터의 레이저 빔 각각의 출사 타이밍이 제어된다.
한편, 복수의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감광 드럼 위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원하는 위치 관계로부터 각 레이저 빔에 의해 형성된 도트(화소) 간의 상대 위치 관계의 편차가 주기적인 화상 시프트를 발생시키는데, 이는 화상에 므와레(moire)와 같은 유해한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장치의 조립 중에는 레이저 디바이스를 고정밀도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일본 특개평 09-11538호 공보에서는 복수의 레이저 빔 간의 주사 길이의 차이를 레이저 빔마다 조정하고, 각각의 레이저 빔의 기입 개시 위치를 레이저 빔마다 조정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주 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레이저 빔 간의 노광 위치에서의 시프트는 주 주사 방향에서의 각 위치에 따라 상이한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 전체 주사 길이의 조정 및 기입 개시 위치의 조정만으로는 도트 위치 시프트의 조정에 충분하지 않다. 이하에서는, 레이저 빔 간의 노광 위치 시프트량이 주사 위치마다 변동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레이저 빔을 렌즈를 통해 감광 드럼 위에 집광하는 광 빔 주사 디바이스에 있어서는 렌즈 성형 상태에 따라, 주사면 위의 각각의 위치마다 초점 위치가 변하는 현상인 상면 만곡(field curvature)이 발생하고, 상면 만곡은 또한 노광 위치 시프트를 발생시킨다.
도 9a 내지 도 9c는 초점 위치 시프트와, 복수의 레이저 빔에 의해 형성되는 각 화소의 위치에서의 주 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시프트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서, 4개의 레이저 빔(1, 2, 3 및 4)에 의해 감광 드럼을 노광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 서술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각 레이저 빔(1, 2, 3 및 4)을 사용하여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감광 드럼을 노광함으로써 그 감광 드럼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정전 잠상을 현상해서 취득된 4개의 화소를 도시한다. 도 9d는 주 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레이저 빔의 초점 위치와 감광 드럼면의 위치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9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 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감광 드럼면의 위치에 따라 레이저 빔의 초점 위치는 변한다. 감광 드럼면 위에 레이저 빔의 초점이 맞춰지면, 화상을 형성하는 각 레이저 빔을 사용하여 감광 드럼을 노광함으로써 감광 드럼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정전 잠상을 현상해서 취득된 4개의 화소는 주 주사 방향(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도 9a에 도시된 상태는 각 레이저 빔에 의해 형성된 화소가 주 주사 방향으로 시프트되지 않은 이상적인 상태이다. 그러나, 레이저 빔의 초점 위치가 감광 드럼면의 (감광 드럼면에 대하여 가까운 측으로) 앞쪽에 있으면, 복수의 레이저 빔의 광학 경로 길이가 변하기 때문에, 레이저 빔의 노광 위치 간의 상대 위치 관계가 적절한 상대 위치 관계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 경우, 각 레이저 빔에 의해 노광됨으로써 감광 드럼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해서 형성된 4개의 화소는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 주사 방향으로 시프트된다. 마찬가지로, 레이저 빔 초점 위치가 감광 드럼면의 (감광 드럼면에 대하여 먼 측으로) 뒤쪽에 있으면, 각 레이저 빔에 의해 노광됨으로써 감광 드럼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해서 형성된 4개의 화소는 또한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 주사 방향으로 시프트된다.
다각형 미러를 이용한 주사 광학계에서는 주사면에 대한 초점 위치는 예를 들어, f-θ 렌즈에 의해 대략 일정하게 된다. 그러나, f-θ 렌즈에 의한 초점 위치의 조정에는 한계가 있고, 따라서 상기 상면 만곡이 발생하며, 즉 초점 위치는 주사면 위의 각각의 위치에 따라 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에는 감광 드럼의 노광면의 위치에 대하여 레이저 빔의 초점 위치가 시프트되면, 화소 위치가 시프트된다.
본 발명은 레이저 빔의 주사 방향에 있어서 감광 드럼을 주사하는 복수의 레이저 빔 간의 노광 위치에서의 시프트를 보정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있어서는,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감광체; 제1 레이저 빔을 출사하는 제1 발광 소자와 제2 레이저 빔을 출사하는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기록 매체 위에 형성될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해서 감광체를 노광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제1 레이저 빔과 제2 레이저 빔이 감광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상기 감광체 위의 각각의 위치를 노광할 수 있도록 제1 발광 소자 및 제2 발광 소자가 배열되는 광원; 제1 레이저 빔과 제2 레이저 빔이 감광체를 주사할 수 있게,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제1 레이저 빔과 제2 레이저 빔을 편향하도록 구성된 편향 유닛; 편향 유닛에 의해 편향된 제1 레이저 빔과 제2 레이저 빔을 감광체에 유도하도록 구성된 렌즈; 렌즈를 통과한 상기 제1 레이저 빔으로 감광체를 노광함으로써 감광체 위에 형성될 제1 화상과, 렌즈를 통과한 제2 레이저 빔으로 감광체를 노광함으로써 감광체 위에 형성될 제2 화상 간의, 제1 레이저 빔과 제2 레이저 빔이 주사하는 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시프트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 유닛; 입력 화상 데이터에 기초해서 제1 발광 소자 및 제2 발광 소자 각각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데이터를 발광 소자 각각과 관련하여 생성하고, 제1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데이터에 기초해서 제1 발광 소자와 관련된 구동 신호를 생성하며, 제2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데이터와 출력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보정 데이터에 기초해서 제2 발광 소자와 관련된 구동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유닛; 및 제1 발광 소자 및 제2 발광 소자 각각과 관련하여 생성 유닛에 의해 생성된 구동 신호에 기초해서, 광원이 제1 레이저 빔 및 제2 레이저 빔을 출사시키도록 구성된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있어서는,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감광체; 기록 매체 위에 형성될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해서 감광체를 노광하는 복수의 레이저 빔을 출사하고, 레이저 빔이 감광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감광체 위의 각각의 위치를 노광할 수 있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광원; 레이저 빔이 감광체를 주사할 수 있게,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복수의 레이저 빔을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편향 유닛; 편향 유닛에 의해 편향된 레이저 빔을 감광체에 유도하도록 구성된 렌즈; 렌즈를 통과한 복수의 레이저 빔에 의해 노광됨으로써 감광체 위에 형성될 화상 간의, 레이저 빔이 주사하는 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시프트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를, 복수의 발광 소자마다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 유닛; 입력 화상 데이터에 기초해서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데이터를 복수의 발광 소자마다 생성하고, 복수의 발광 소자마다 생성된 구동 데이터와, 복수의 발광 소자마다 출력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보정 데이터에 기초해서, 각각 복수의 발광 소자와 관련된 구동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유닛; 및 생성 유닛에 의해 생성된 구동 신호에 기초해서, 광원이 복수의 레이저 빔을 출사시키도록 구성된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레이저 빔에 의해 화상이 형성되면, 레이저 빔 간의 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노광 위치 시프트를 적절히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다음과 같은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다.
도 2는 광 빔 주사 디바이스의 사시도다.
도 3은 도트 위치 조정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각 빔과 관련된 화상 내에/으로부터의 보조 화소의 삽입/제거의 타이밍도다.
도 4b는 보조 화소의 삽입/제거에 의한 조정 전후의 도트 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각 주 주사 위치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도트 위치에 대한 도트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표다.
도 5b는 각 주 주사 위치에 있어서의 레이저 빔과 관련된 도트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표다.
도 5c는 각 주 주사 위치에 있어서의 도트 위치 정보로서의 도트 위치의 기울기 정보를 나타내는 표다.
도 5d는 온도와 노광 위치 시프트량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인쇄 작업(job) 실행 처리의 플로우 챠트다.
도 7은 도트 위치 조정을 행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은 제2 실시 형태에서 실행된 인쇄 작업 실행 처리의 플로우 챠트다.
도 8b는 도 8a의 단계에서 실행된 화상 형성 처리의 플로우 챠트다.
도 9a 내지 도 9c는 초점 위치 시프트와 노광 위치 시프트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d는 광 빔 주사 디바이스의 레이저 빔의 초점 위치와 드럼면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제 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다.
우선, 화상 형성 장치(100)에 의해 수행된 제어의 개요를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레이저 빔이 주사되는 방향인 주 주사 방향의 주사 위치에 따라 레이저 빔(광 빔) 간의 주 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도트 위치를 조정한다. 도트 위치는 빔마다 기입 개시 위치를 조정하고, 주 주사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영역 각각마다 배율 조정 (이후, 부분 배율 조정이라고 부른다)을 행함으로써 조정된다. 다음에, 제어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복수 색의 토너를 이용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디지털 풀 컬러 프린터(컬러 화상 형성 장치)로서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 빔 주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색의 토너 (예를 들면, 블랙 토너)만을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광 빔 주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화상 형성 장치(100)에는 4개의 화상 형성부(101Y, 101M, 101C 및 101Bk)이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색을 나타내는 첨자로서 참조 번호 101로 부기된 Y, M, C 및 Bk은 각각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을 나타낸다. 화상 형성부(101Y, 101M, 101C 및 101Bk)는 각각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토너를 이용해서 화상 형성을 행한다.
화상 형성부(101Y, 101M, 101C 및 101Bk)에는 감광체로서 각각의 감광 드럼(102Y, 102M, 102C 및 102Bk)이 제공되어 있다. 감광 드럼(102Y, 102M, 102C 및 102Bk) 각각의 주위에는, 대전 장치(103Y, 103M, 103C 및 103Bk) 중 관련된 것 하나, 광 빔 주사 디바이스(104Y, 104M, 104C 및 104Bk) 중 관련된 것 하나, 및 현상 장치(105Y, 105M, 105C 및 105Bk) 중 관련된 것 하나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드럼 클리닝 디바이스(106Y, 106M, 106C 및 106Bk)는 각각의 감광 드럼(102Y, 102M, 102C 및 102Bk)에 근접 배치되어 있다.
감광 드럼(102Y, 102M, 102C 및 102Bk)의 아래쪽에는, 무단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 벨트(107)가 연장되어 있다. 중간 전사 벨트(107)는 구동 롤러(108)와 종동 롤러(109 및 110) 사이에 걸쳐져 있고, 화상 형성 중에는 도 1의 화살표 B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한다. 중간 전사 벨트(107)를 통해 각각의 감광 드럼(102Y, 102M, 102C 및 102Bk)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1차 전사 디바이스(111Y, 111M, 111C 및 111Bk)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에는 중간 전사 벨트(107) 위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 S 위에 전사하기 위한 2차 전사 디바이스(112), 및 기록 매체 S 위에 토너 화상을 정착하기 위한 정착 디바이스(113)가 제공된다.
이제, 상기 구성의 화상 형성 장치(100)에 의해 수행된 대전 공정으로부터 현상 공정까지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각 화상 형성부(101)에 의해 수행된 화상 형성 프로세스는 동일하다. 따라서, 화상 형성부(101Y)에 의해 수행된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예로 해서 다음에 설명하고, 다른 화상 형성부(101M, 101C 및 101Bk)에 의해 각각 수행된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회전 구동되는 감광 드럼(102Y)은 화상 형성부(101Y)의 대전 장치(103Y)에 의해 대전된다. 대전된 감광 드럼(102Y)은 광 빔 주사 디바이스(104Y)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빔(레이저 빔)에 노광된다. 결과적으로, 회전하는 감광 드럼(102Y) 위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그 후,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105Y)에 의해 옐로우 토너 화상으로서 현상된다.
이하, 전사 공정 이후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가 어떻게 처리되는 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1차 전사 디바이스(111Y, 111M, 111C 및 111Bk) 각각이 중간 전사 벨트(107)에 전사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한다. 이로 인해서, 각 화상 형성부의 감광 드럼(102Y, 102M, 102C 및 102Bk) 위에 형성된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토너 화상은 각각 중간 전사 벨트(107) 위에 전사된다. 이에 따라, 중간 전사 벨트(107) 위에는 각 색의 토너 화상이 서로 겹쳐지게 된다.
중간 전사 벨트(107) 위에 4색 토너 화상이 전사된 후,중간 전사 벨트(107) 위에 전사된 4색 토너 화상은 2차 전사 디바이스(112)에 의해 다시 전사된다. 특히, 수동 급지 카세트(114) 또는 급지 카세트(115)로부터 2차 전사 디바이스(112)로 이송된 기록 매체 S 위에 4색 토너 화상이 전사된다. 그 다음, 기록 매체 S 위의 토너 화상은 정착 디바이스(113)에 의해 가열 정착된 다음, 기록 매체 S는 배출부(116) 위로 배출된다. 따라서, 풀 컬러 화상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기록 매체 S가 얻어진다.
전사가 종료된 후, 각각의 감광 드럼(102Y, 102M, 102C 및 102Bk)은 드럼 클리닝 디바이스들(106Y, 106M, 106C 및 106Bk) 중 연관된 하나에 의해 잔류 토너가 제거되고, 그 후, 상기 화상 형성 프로세스가 계속 행해진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2는 1개의 광 빔 주사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2를 참조하여, 광 빔 주사 디바이스(104Y, 104M, 104C 및 104Bk)를 설명한다. 광 빔 주사 디바이스(104)는 구성이 동일하므로, 특히 구별할 필요가 없을 경우, 참조 번호(Y, M, C 또는 Bk)를 생략한다.
광 빔 주사 디바이스(104)는 광원으로서의 반도체 레이저(401), 콜리메이터 렌즈(402), 조리개(403), 원통형 렌즈(404), 및 회전 다각형 미러(405)(편향 유닛)를 포함한다. 또한, 광 빔 주사 디바이스(104)는 f-θ 렌즈(406)(406-a 및 406-b), 및 광학 센서로서의 BD 센서(410)를 포함한다. 반도체 레이저(401)는 도시되지 않는 시퀀스 컨트롤러(sequence controller)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해서 원하는 양의 레이저 빔을 출사하고, 이 출사된 레이저 빔은 콜리메이터 렌즈(402), 조리개(403) 및 원통형 렌즈(404)를 통과함으로써, 레이저 빔의 자속 전체가 광축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시준된 레이저 빔으로 변환된다. 시준된 레이저 빔은 소정의 빔 직경으로 다각형 미러(405)에 입사된다.
다각형 미러(405)는 도시되지 않는 다각형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서 등각 속도로 회전한다. 다각형 미러(405)에 입사한 레이저 빔이 편향되고, 편향된 레이저 빔은 입사한 레이저 빔의 광로에 대하여 광학 경로의 각도를 연속적으로 변경한다. 편향된 레이저 빔은 f-θ 렌즈(406)를 통과하여, 감광 드럼(102)의 표면을 등속으로 주사한다.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0)는 멀티 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특히, 반도체 레이저(401)에서, 예를 들어, 레이저 다이오드에 의해 구현된 4개의 발광 소자는 부 주사 방향으로 (즉, 발광 소자가 감광 드럼(102)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각각의 상이한 위치를 노광하도록) 배열되어, 동시에 레이저 빔을 출사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반도체 레이저(401)에는 4개의 발광 소자가 제공되더라도, 발광 소자의 수는 4개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복수일 수 있다.
이후, 반도체 레이저(401)의 4개의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빔은, 발광 소자의 배열 순에 따라 각각 "레이저 빔 1, 2, 3, 및 4" 또는 "빔 1, 2, 3, 및 4"로 약기한다. 빔 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레이저 빔에 해당하고, 빔 1, 3, 및 4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레이저 빔에 해당한다. 빔 2을 출사하는 발광 소자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발광 소자에 해당하고, 각 레이저 빔 1, 3, 및 4을 출사하는 발광 소자는 제2 발광 소자에 해당한다. 또한,레이저 빔 2에 의해 형성된 화상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화상에 해당하고, 레이저 빔 1, 3, 및 4에 의해 형성된 화상들은 제2 화상에 해당한다.
BD 센서(410)는, 다각형 미러에 의해 편향되어 f-θ 렌즈(406)를 통과한 후에 반사 미러(409)로부터 반사된 레이저 빔이 입사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BD 센서(410)는 레이저 빔이 입사한 것에 응답하여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후술하는 CPU가 동기 신호를 기준으로 해서 레이저 빔의 출사 타이밍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BD 센서(410)는 4개의 빔 1 내지 4 중 적어도 1개(예를 들면, 빔 1)를 수광한 것에 응답하여 동기 신호를 출력한다.
도 3은 도트 위치 조정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제어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 블록은 CPU(501), 화상 데이터 생성부(502), 도트 위치 조정부(510) 및 광 빔 주사 디바이스(104)를 포함한다. 광 빔 주사 디바이스(104) 내에는, 메모리(509), BD 센서(410), 써미스터(507)(검출 유닛), 다각형 모터 구동 회로(506) 및 반도체 레이저 구동 회로(505)(구동 유닛)가 제공된다.
CPU(501) 및 메모리(509)는 각각,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어 유닛 및 기억 유닛에 해당하고, 이것들이 협동해서 출력 유닛을 구성한다. 또한,화상 데이터 생성부(502) 및 도트 위치 조정부(510)가 생성 유닛을 형성한다.
화상 데이터 생성부(502)는 CPU(50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화상 형성 전에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주사 라인마다 화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여기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는 입력 화상 데이터에 기초해서 각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데이터이다. CPU(501)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송신 지시는 BD 센서(410)로부터 CPU(501)로 BD (빔 검출) 신호(동기 신호)의 송신 후 일정 주기로 이루어진다.
스크린 화상을 생성하기 위해서, CPU(501)는 스크린 각도 및 라인 번호를 지정한다. 화상 데이터 생성부(502)는 각 빔과 관련된 구동 데이터로서의 화상 데이터를 도트 위치 조정부(510)에 송신한다.
도트 위치 조정부(510)는 기입 개시 조정부(503)와 부분 배율 조정부(504)를 포함하고, 수신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빔마다 시간 조정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1 화소보다 미세한 단위로 각 화소의 시간 폭을 제어함으로써 주 주사 방향으로 도트 위치를 시프트시켜, 도트 위치 조정(도트들 간의 상대 위치의 보정)을 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1 화소를 20 조각으로 분할해서 제어할 경우, 하나의 원하는 화소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20분의 1 화소 단위의 데이터 (이후, "보조 화소"라고 칭함)를 삽입 또는 제거함으로써, 각 화소의 점등 시간 폭이 조정된다. 용어 "보조 화소의 삽입/제거"는 보조 화소를 화상에 삽입(추가) 또는 화상으로부터 제거(추출)하는 것을 말한다.
기입 개시 조정부(503)는 CPU(501)에 의해 지정된 레이저-빔 특정 기입 개시 타이밍에 따라서 보조 화소를 삽입/제거한다. 부분 배율 조정부(504)는 CPU(501)에 의해 지정된 각 빔마다, 및 분할 주사 영역마다, 보조 화소를 삽입/제거한다. 도트 위치 조정부(510)는 보조 화소의 삽입/제거 후의 화상 데이터를 구동 신호로서 생성하고, 구동 신호로서의 화상 데이터를 반도체 레이저 구동 회로(505)에 송신한다. 반도체 레이저 구동 회로(505)는 구동 신호로서의 수신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반도체 레이저(401)의 각 발광 소자가 레이저 빔을 출사하게 한다.
다각형 모터 구동 회로(506)는 다각형 모터(도시되지 않음)의 회전속도가 일정 속도가 되도록, CPU(5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해서 다각형 모터를 제어한다. 써미스터(507)는 광 빔 주사 디바이스(104)의 내부에 배치되어, 광 빔 주사 디바이스(104) 내부의 환경 온도를 검출한다. 그 검출된 값은 도시되지 않는 A-D 컨버터를 통해 CPU(501)에 의해 판독된다. 메모리(509)는 각 빔 및 각 주 주사 위치와 관련된 도트 위치 정보 D2 (도 5b를 참조하여 후술)를 기억하고 있다. 도트 위치 정보 D2는 CPU(501)에 의해 판독된다. 도트 위치 정보 D2는 각 빔 및 각 주 주사 위치와 관련된 노광 위치 시프트량을 나타내며, 미리 공장에서 측정된 노광 위치 시프트량의 값에 기초한다. 각 빔 및 각 주 주사 위치와 관련된 도트 위치 정보 D2는 주 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각 빔의 노광 위치 시프트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로서 사용된다.
그 다음에, 각 빔에 대한 기입 개시 위치 조정과, 각 분할 주 주사 영역에서의 부분 배율 조정을 통해 수행되는, 주 주사 방향의 도트 위치 조정의 한 예를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각 레이저 빔에 의해 형성되는 화상의 화상 데이터에 보조 화소에 해당하는 화상 데이터를 삽입하거나, 그로부터 보조 화소에 해당하는 화상 데이터를 삭제함으로써, 주 주사 영역 A1, A2, A3, A4 및 A5의 영역 각각에 있어서의 화소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설명하는 데 유용한 타이밍도다. 도 4b는 보조 화소의 삽입/제거에 의한 조정 전후의 도트 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와 도 4b에 있어서, 좌측은 주 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에 해당한다.
우선,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은 레이저 빔 1, 2, 3 및 4에 따르는 화상 영역 내에 각각 형성된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 제어의 개념에 따르면, 감광 드럼(102)의 표면을 빔이 주사하는 주 주사 방향의 화상 영역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이 예에서는, 화상 영역은 5개의 주 주사 영역 A1, A2, A3, A4 및 A5로 분할된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 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는 주 주사 위치 h (h1 내지 h6)로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레이저 빔은 주 주사 위치 h1로부터 주 주사 위치 h6쪽으로 감광 드럼(102)의 표면을 주사하므로, 도 4a와 도 4b 각각의 우측은 주 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에 해당한다. 각각의 주 주사 위치 h는 주 주사 방향에 있어서, 분할 영역으로서 주 주사 영역 A 중 관련된 한 영역의 상류측의 단부에 해당한다. 특히, 주 주사 영역 A1 내지 A5의 각각은 주 주사 위치 h1 내지 h5 중 관련된 한 위치를 선두 위치(상류측의 단부 위치)로 하는 분할 영역이며, 예를 들어, 주 주사 위치 h1로부터 주 주사 위치 h2까지의 영역은 주 주사 영역 A1에 해당한다.
기입 개시 위치는, 레이저 빔을 감광 드럼(102)에 주사함으로써 감광 드럼(102) 위에 정전 잠상을 기입하는 경우에 화상 기입이 개시되는 주 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다. 따라서, 각 주 주사 영역 A1 내지 A5의 기입 개시 위치는 각각, 주 주사 위치 h1 내지 h5로서 정의되고, 화상 전체의 기입 개시 위치는 주 주사 위치 h1로서 정의된다.
도트 위치 조정에 있어서는, 4개의 레이저 빔 중 1개는 기준 레이저 빔으로서 설정된다. 4개의 레이저 빔 중 어느 하나가 기준으로서도 설정될 수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레이저 빔 2이 기준 레이저 빔으로서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조 화소의 삽입/제거에 의해, 각 주 주사 영역 A1 내지 A5에 있어서의 레이저 빔 1, 3 및 4의 선두 위치는 기준 레이저 빔 2의 선두 위치와 정렬된다. 즉, 각 레이저 빔 1, 3 및 4의 기입 개시 위치는 레이저 빔 2의 기입 개시 위치와 정렬된다. 이것은 주 주사 영역 A1 내지 A5, 또는 주 주사 영역 A1에 인접한 상류측 영역에 있어서 보조 화소를 삽입/제거함으로써 달성된다. 이 예에서는, 레이저 빔 2의 도트 위치가 기준 위치로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레이저 빔 2와 관련된 화상에 대하여는 보조 화소의 삽입/제거를 행하지 않는다.
보조 화소는 백 데이터 또는 흑 데이터에 해당한다. 백 데이터는 레이저 소등 상태에 대응하고, 흑 데이터는 레이저 점등 상태에 대응한다. 삽입될 보조 화소는 상류측 인접 화소를 복사함으로써 생성된다. 인접 화소가 흑 데이터이면, 삽입될 보조 화소는 흑 데이터로서 결정되고, 인접 화소가 백 데이터이면, 삽입될 보조 화소는 백 데이터로서 결정된다.
각 레이저 빔에 대한 기입 개시 위치 조정에서, 레이저 빔의 기입 개시 타이밍(주 주사 위치 h1에 있어서의 도트 위치)은 레이저 빔 2와 비교해서 앞선 방향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시프트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주 주사 영역 A1에 인접한 상류측 영역 내에는 백 데이터로서 하나 이상의 보조 화소가 삽입된다. 구체적으로는, 주 주사 영역 A1에 인접한 상류측 영역 내에 백 데이터로서 하나 이상의 보조 화소를 삽입함으로써, 기입 개시 타이밍이 지연된다. 이에 따라, 레이저 빔과 관련된 화상 전체는 기입 단부측(하류측)으로 시프트된다.
한편, 기입 개시 타이밍이 레이저 빔 2와 비교해서 지연된 방향(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시프트되면, 주 주사 영역 A1에 인접한 상류측 영역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보조 화소가 제거된다. 구체적으로는, 주 주사 영역 A1에 인접한 상류측 영역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보조 화소를 제거함으로써, 기입 개시 타이밍이 앞서게 된다. 이에 따라, 레이저 빔과 관련된 화상 전체가 기입 개시측(상류측)으로 시프트된다.
예를 들면, 도 4b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레이저 빔 3 및 4 각각의 기입 개시 타이밍은 레이저 빔 2보다도 앞서므로, 주 주사 영역 A1에 인접한 상류측 영역 내에는 백 데이터로서 하나 이상의 보조 화소가 삽입된다. 반면에, 레이저 빔 1의 기입 개시 타이밍은 레이저 빔 2보다도 느리므로, 주 주사 영역 A1에 인접한 상류측 영역으로부터 백 데이터로서 하나 이상의 보조 화소가 제거되는 것에 의해, 레이저 빔 1과 관련된 화상은 기입 개시측으로 시프트된다. 이렇게 기입 개시 위치 조정을 행함으로써, 화상 영역 내의 각 레이저 빔 1, 3 및 4의 기입 개시 단부측 도트 위치가 조정되어, 각 레이저 빔 1, 3 및 4의 기입 개시 위치가 레이저 빔 2의 기입 개시 위치와 정렬된다.
분할 영역으로서 각 주 주사 영역마다의 부분 배율 조정에서는, 각 레이저 빔과 관련된 주 주사 영역 A1 내지 A5 각각에 있어서, 보조 화소가 삽입/제거됨으로써, 배율 조정이 이루어진다. 특히, 레이저 빔과 관련된 영역 폭이 레이저 빔 2와 관련된 영역 폭보다 좁을 경우, 보조 화소를 삽입하는 것으로 영역 폭을 넓힌다. 한편, 레이저 빔과 관련된 영역 폭이 레이저 빔 2와 관련된 영역 폭보다 넓을 경우, 보조 화소를 제거하는 것으로 영역 폭을 좁힌다.
예를 들면, 도 4b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레이저 빔 1과 관련된 주 주사 영역 A3은 영역 폭이 넓으므로, 보조 화소를 제거하는 것으로 배율을 축소한다. 한편, 레이저 빔 4와 관련된 주 주사 영역 A3은 영역 폭이 좁으므로, 보조 화소를 삽입하는 것으로 배율을 확대한다.
이에 의해, 주 주사 영역 A3보다 하류의 레이저 빔 1 및 4와 관련된 주 주사 영역 A은 각각, 기입 개시측(상류측) 및 기입 단부측(하류측)으로 시프트되므로, 주 주사 영역 A4의 상류측에 있어서의 각 레이저 빔의 기입 개시 위치가 서로 정렬된다.
부수적으로, 기입 개시 위치 조정 및 부분 배율 조정은, 실질적으로, 각 주 주사 위치 h에 있어서의 주 주사 방향의 각 레이저 빔의 도트 위치를 기준 레이저 빔에 정렬함으로써 수행된다. 분할 영역으로서 주 주사 영역 A의 영역 폭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것은 인접하는 하류측 주 주사 영역 A의 기입 개시 위치를 각각 지연시키거나 앞서는 방향으로 시프트시킨다.
또한,기입 개시 위치 조정 및 부분 배율 조정을 위해 보조 화소의 삽입/제거가 수행되는 위치의 하류측의 주 주사 영역 A 각각에 있어서는, 더 이상의 조정이 수행되지 않는 한 기입 개시 위치는 삽입/제거된 화소의 수만큼 시프트된다. 그 때문에, 각 주 주사 영역 A의 부분 배율 조정에 있어서는, 삽입 또는 제거될 보조 화소의 수는 영역 폭을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해서 삽입 또는 제거될 보조 화소의 수를 카운팅함으로써 결정되고, 또한 상류측 주 주사 영역 A 내에서 삽입 또는 제거될 보조 화소에 의해 야기된 도트 위치의 시프트를 상쇄하도록 삽입 또는 제거될 보조 화소의 수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면, 도 4a와 도 4b의 레이저 빔 1을 예로 든다. 주 주사 영역 A1에서의 레이저 빔 1의 부분 배율 조정에 있어서는, 주 주사 위치 h2에서의 노광 위치(도트 위치) 시프트는 없으므로, 주 주사 위치 h2에서의 도트 위치 보정(노광 위치 보정)을 위해 삽입 또는 제거될 보조 화소의 수는 0이다. 그러나, 주 주사 영역 A1에 인접한 상류측 영역으로부터 보조 화소가 1개 제거되기 때문에, 주 주사 영역 A1 내지 A5 각각은 기입 개시 위치측 (즉, 상류측)으로 시프트된다. 따라서, 추가 조정이 없으면, 주 주사 위치 h2에서의 도트 위치는 시프트된 상류측에 남아 있게 된다. 이러한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서, 1개의 보조 화소가 주 주사 영역 A1 내에 삽입되어, 보조 화소 제거에 의한 시프트를 상쇄한다. 이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 주사 위치 h2에서 도트 위치가 시프트되는 것을 방지하고, 주 주사 영역 A1의 영역 폭은 레이저 빔 2와 관련된 것과 동일하게 된다.
주 주사 영역 A4에서의 레이저 빔 1의 부분 배율 조정에 있어서, 주 주사 위치 h5에서 도트 위치의 상류측 시프트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도트 위치의 상류측 시프트를 보정하기 위해 1개의 보조 화소를 삽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주 주사 영역 A4에 인접한 상류측 주 주사 영역 A3로부터 보조 화소 1개가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주 주사 영역 A4 및 A5 각각은 기입 개시 위치측(즉, 상류측)으로 시프트된다. 따라서, 추가 조정이 없다면, 주 주사 위치 h5에서의 도트 위치는 시프트된 상류측에 남아 있게 된다. 따라서,이러한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서는, 주 주사 위치 h5에서의 도트 위치의 상류측 시프트를 보정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주 주사 영역 A4에 있어서의 1개의 보조 화소의 삽입 이외에도, 상류측 주 주사 영역 A3 내에서 제거된 보조 화소에 의해 야기된 시프트를 상쇄하도록 1개의 보조 화소를 삽입한다. 이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 주사 위치 h5에서 도트 위치가 시프트되는 것을 방지하고, 주 주사 영역 A4의 영역 폭은 레이저 빔 2와 관련된 것과 동일하게 된다.
보정 전의 노광 위치(즉, 각 주 주사 영역 A에 있어서의 기입 개시측의 위치)는 BD (빔 검출) 타이밍을 기초로 해서 특정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기준 빔 이외의 다른 빔이 관련되는 한, 기입 개시 위치 및 부분 배율은 도트 위치 정보 D2에 기초해서 보정된다.
그 다음에,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메모리(509)에 기억되는 데이터를 설명한다.
도 5a는 각 주 주사 위치 h1 내지 h6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도트 위치에 대한 도트 위치 정보 D1를 도시하는 표다. 도 5b은 각 주 주사 위치 h1 내지 h6에 있어서의 각 레이저 빔과 관련된 도트 위치에 대한 도트 위치 정보 D2를 도시하는 표다. 도트 위치 정보 D1 및 도트 위치 정보 D2는 메모리(509)에 미리 기억된다. 도 5c와 도 5d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도트 위치 정보 D1은 미리 공장에서 측정해서 얻어지고, 각 주 주사 위치 h1 내지 h6에 있어서의 소정의 2개의 레이저 빔(부 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대향 단부에 해당하는 레이저 빔 1 및 4) 사이의 상대적 노광 위치 시프트량만을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도트 위치 정보 D1는 레이저 빔 1에 대한 레이저 빔 4의 상대적 노광 위치 시프트량(위상 μm)을 나타낸다. 이제, 각 주 주사 위치 h의 위치 번호는 일반적으로 "i"로 표시되고, 각 레이저 빔의 빔 번호는 "j"로 표시된다. 또한, 주 주사 위치 "hi"에 있어서의 레이저 빔 1에 대한 레이저 빔 4의 상대적 노광 위치 시프트량은 "mi"로 표시된다.
도 5b에 나타내는 도트 위치 정보 D2는 각 주 주사 위치 hi에 있어서의 레이저 빔 2에 대한 각 레이저 빔 j의 노광 위치 시프트를 나타내는 노광 위치 시프트량 pij을 기억한다. 정보는 보정 데이터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주 주사 위치 h2에 있어서의 레이저 빔 1의 노광 위치 시프트량은 p21이다. CPU(501)는 주 주사 위치 hi에 있어서의 위치 시프트량 pij을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연산한다.
pij = (mi÷L) × (j-r) . . . (1)
상기 수학식 (1)에 있어서, L은 도트 위치 정보 D1에 있어서 상대적 노광 위치 시프트량 정보가 결정되는 것에 기초한 레이저 빔의 빔 번호로부터 정해진다. 이 예에서, 레이저 빔 1 및 4는 도트 위치 정보 D1에 사용되고, L은 3이다 (L= 4-1 =3). (mi÷L) 항의 값은 인접하는 레이저 빔 간의 시프트량에 해당한다. 심볼 r는 기준 레이저 빔의 번호 (여기서는, 2)를 나타낸다. (mi÷L) 항의 값은 (j-r) 항의 값에 의해 승산되어, 기준 레이저 빔과 타겟 레이저 빔 간의 시프트량이 얻어진다. 기준 레이저 빔은 노광 위치 시프트를 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의 레이저 빔이다. 기준 레이저 빔으로서 레이저 빔 2와 관련된 노광 위치 시프트량은 항상 0이 된다.
노광 위치 시프트량 mi 및 pij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의해 보조 화소의 제어 단위보다도 충분히 높은 정밀도로 기억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보조 화소의 각 제어 단위(보조 화소 제어 단위)가 1 μm의 범위에서 제어가능할 경우에는, 제어가 오차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 μm의 소수점 제1 자리까지의 값이 기억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화상 형성 장치(100)의 조립 변동에 의한 노광 위치의 상대적 시프트량이 12 μm 이하인 것으로 가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트 위치 정보에 필요한 비트는 부호를 위해 1개의 비트가 필요하고, 정수부를 위해 4개의 비트가 필요하며, 소수부를 위해 4개의 비트가 필요하다. 즉, 총 9개의 비트가 필요하다. 정수부에 대해서는, 최대치가 12이기 때문에, 0 내지 15가 표현될 수 있는 4개의 비트가 있으면 필요 충분하다. 소수부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10진수의 값이 2진수로 변환했을 경우, 비트 수에 따라 값이 반올림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소수부가 2 비트로 형성되었을 경우, 그 값은 1/22 (1/(2의 2승)) = 0.25의 단위의 값으로 반올림된다.
그 결과, 0.7은 0.75로, 그리고 0.3은 0.25로 반올림되도록, 그 값은 0.25의 배수로서 원래 수에 가장 가까운 수로 반올림된다. 따라서, 제어가 오차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정밀도보다도 1 자리 많은 단위 형성 비트 수가 소수부에 필요하다. 이하에서, 비트 수에 따라 반올림된 값을 나타낸다.
1 비트 → 0.5 = 1/(21)
2 비트 → 0.25 = 1/(22)
3 비트 → 0.125 = 1/(23)
4 비트 → 0.0625 = 1/(24)
5 비트 → 0.3125 = 1/(25)
6 비트 → 0.15625 = 1/(26)
7 비트 → 0.0078125 = 1/(27)
·········
16 비트 → 0.0000153···= 1/(216)
17 비트 → 0.0000076···= 1/(217)
이들로부터, 도트 위치 정보를 소수점 제1 자리까지 유효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소수점 제2 자리에서 도트 위치 정보를 반올림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0.0625의 단위를 제공하는 4-비트 데이터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보조 화소 정밀도나 설계 정보가 다른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에도, 상기 원리에 기초해서 최적의 필요한 비트 수를 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상기 연산을 행한 결과, 각 주 주사 위치 및 각 레이저 빔과 관련하여, 도 5b에 나타낸 도트 위치 정보 D2는 도 5a에 나타낸 상대적 도트 위치 정보 D1로부터 도출된다.
그 다음에, 각 주 주사 위치 및 각 레이저 빔과 관련된 도트 위치 보정량의 산출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각 빔과 관련된 기입 개시 위치 조정량의 산출을 행한다. 보조 화소의 사이즈를 Sp로 표시하고, 레이저 빔 j과 관련하여 주 주사 위치 h1에 인접한 상류측 영역에 대해 삽입되거나 제거되는 보조 화소의 수를 b1j라고 표시한다. 삽입되거나 제거된 보조 화소의 수 b1j의 부호가 +이면, 이는 화소의 삽입을 나타내고, 반면에 부호가 -이면, 화소 제거를 나타낸다. 보조 화소 삽입/제거 수 b1j는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된다.
b1j = p1j ÷ Sp (정수로 반올림) . . . (2)
보조 화소는 기입 개시 위치, 즉, 각 레이저 빔 1, 3 및 4의 주 주사 위치 h1에 인접하는 상류측 영역들의 각각에서 관련된 보조 화소 삽입/제거 수 b1j만큼 삽입되거나 제거됨으로써, 각 레이저 빔 1, 3 및 4의 기입 개시 위치가 레이저 빔 2의 기입 개시 위치와 정렬된다.
그 다음에, 다음의 주 주사 위치 h2를 포함하는 다음의 각 주 주사 위치 h에 있어서 주 주사 방향의 각 레이저 빔에 대한 도트 위치 조정이 수행된다. 각 주 주사 위치 h에 인접한 상류측 주 주사 영역 A에 있어서의 레이저 빔 j과 관련된 보조 화소의 삽입/제거 수는 bij로 표시하고 , f-θ 렌즈(406)의 온도 계수를 α로 표시하며, 공장 측정시의 온도로부터의 온도 변화량을 ΔT로 표시한다. 보조 화소 삽입/제거 수bij는 하기 수학식 (3)에 의해 산출된다.
bij = (bij- b1j × Sp + α×ΔT)/Sp ...(3)
예를 들면, 각 레이저 빔 1, 3 및 4와 관련된 주 주사 위치 h2에 인접한 상류측 주 주사 영역 A1의 각각에 있어서, 보조 화소는 보조 화소 삽입/제거 수 b21, b23 및 b24 중 관련된 하나에 대응하는 수만큼 삽입되거나 제거됨으로써, 주 주사 위치 h2에 있어서의 각 레이저 빔 1, 3 및 4의 도트 위치가 레이저 빔 2의 도트 위치와 정렬된다.
온도 계수 α은 환경 온도에 의한 도트 위치의 변동 특성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도 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장 측정시의 온도를 T로 표시하고, 온도 T에서의 도트 위치를 초기 값으로 설정하면, 온도의 변화에 따라 도트 위치가 변화된다. 온도 계수 α는 각 주 주사 위치 h에 상관없이 거의 일정하기 때문에, 수학식 (3)에 표시되는 것 같이, 각 주 주사 위치 h에 대하여 동일한 값이 가산된다. 또한, 온도 계수 α는 광학계의 배치에 따라 상이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험에 의해 얻어진 대표적인 특성 값을 연산에 이용한다.
변화량 ΔT는 공장 측정시의 온도 T와 써미스터(507)에 의해 검출된 분위기 온도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정해진다. 온도가 상승하면, 도트 위치가 상류측으로 시프트하므로, 변화량 ΔT의 + 부호는 상류측 시프트를 나타낸다. 따라서, "α×ΔT"의 항은 온도 증가로 인한 상류측 시프트량을 상쇄하도록 제공된 화상 시프트량에 해당한다.
또한,주 주사 위치 h1에 인접하는 상류측 영역에 대한 보조 화소의 삽입/삭제는 주 주사 영역 A2의 선두 위치(주 주사 위치 h2)가 하류측/상류측으로 시프트되게 한다. "b1j×Sp"의 항은 선두 위치의 시프트량을 상쇄하도록 제공된 화상 시프트량에 해당한다.
그 다음에, 각 레이저 빔에 대한 기입 개시 위치 조정과 각 주 주사 영역에서의 부분 배율 조정이 인쇄 작업(JOB) 실행 처리 중에 수행되는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인쇄 작업 실행 처리의 플로우 챠트다.
CPU(501)는 인쇄 작업의 실행 지시를 수신하고, 단계(S101)에서, 인쇄 작업을 개시한다. 단계(S102)에서, CPU(501)는 메모리(509)로부터 도트 위치 정보 D2(도 5b 참조)를 판독한다. 단계(S103)에서, CPU(501)는 써미스터(507)로부터 분위기 온도의 검출 값을 판독한다.
단계(S104)에서, CPU(501)는 써미스터(507)로부터 판독한 검출 값이 공장 측정시의 온도와 동일한 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여기서, 공장 측정시의 온도는 메모리(509)에 기억된 도트 위치 정보 D1(도 5a 참조)를 얻기 위해 공장에서 측정했을 때의 온도를 가리킨다. 또한, 공장에서의 측정 환경의 온도는 공장 측정 시의 온도가 항상 일정하도록 제어되고, CPU(501)는 공장에서 관리된 공지의 온도, 즉 공장 측정시의 온도와 써미스터(507)의 검출 결과를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판별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써미스터(507)로부터 판독한 검출 값이 공장 측정시의 온도와 동일할 경우, CPU(501)는 처리를 단계(S106)로 진행시킨다. 한편, 양자의 온도가 서로 다른 경우, CPU(501)는 단계(S105)로 처리를 진행시키는데, 여기서 도트 위치 정보 D2에 온도 계수 α을 승산하여 얻어진 값이 새로운 도트 위치 정보 D2로서 설정된다.
단계(S106)에서, CPU(501)는 보정 데이터인 도트 위치 정보 D2에 기초하여, 기입 개시 위치 조정 값 및 부분 배율 조정 값을 산출한다. 기입 개시 위치 조정 값은 상술한 보조 화소 삽입/제거 수 b1j이며, 식 (2)에 의해 얻어진다. 부분 배율 조정 값은 상술한 보조 화소 삽입/제거 수 bij이며, 식 (3)에 의해 얻어진다.
단계(S107)에서, CPU(501)는 도 3에 나타낸 도트 위치 조정부(510)의 기입 개시 조정부(503) 내에 기입 개시 위치 조정 값(보조 화소의 삽입/제거 수 b1j)을 설정하고, 도트 위치 조정부의 부분 배율 조정부(504) 내에는 부분 배율 조정 값(보조 화소 삽입/제거 수 bij)을 설정한다.
단계(S108)에서, CPU(501)는 도트 위치 조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1 페이지의 화상을 형성한다. 특히, 도트 위치 조정부(510) 내에 기입 개시 위치 조정 값 및 부분 배율 조정 값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화상을 형성한다. 이때, 도 4a와 도 4b에 예시한 것 같이, 조정 값에 따라 보조 화소의 삽입/제거가 수행된다.
구동 데이터 및 구동 신호의 생성, 및 조정 값의 출력은 발광 소자마다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CPU(501)는 입력 화상 데이터에 기초해서 반도체 레이저(401)의 각 발광 소자용의 구동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기준 레이저 빔 2을 출사하는 발광 소자에 대해서, CPU(501)는 구동 데이터에 기초해서 관련된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기준 발광 소자 이외의 다른 발광 소자 각각에 대해서, CPU(501)는 구동 데이터와 조정 값에 기초해서 관련된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그 다음, 생성된 구동 신호에 기초해서, 반도체 레이저 구동 회로(505)가 각 발광 소자를 구동시켜 각 레이저 빔을 출사하도록, CPU(501)는 반도체 레이저 구동 회로(505)를 제어한다.
그 다음에, 단계(S109)에서, CPU(501)는 인쇄 작업이 종료했는지를 판별한다. 인쇄 작업이 종료되지 않았을 경우, 처리를 단계(S103)로 복귀시키는 한편, 인쇄 작업이 종료했을 경우에는, 인쇄 작업 실행 처리를 종료시킨다(단계 S110).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계(S103 내지 S105)에서, 페이지마다 온도 검출 값에 기초해서 도트 위치 조정을 행하지만, 화상 형성 장치(100)의 내부의 승온 속도가 느릴 경우에는 검출의 빈도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S103 내지 S105)에 해당하는 처리는 복수 페이지마다 한번 씩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온도의 변화가 거의 없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또는 온도 변화에 의한 노광 위치 시프트량이 문제가 안될 정도로 소량일 경우에, 온도 검출을 행할 필요는 없다. 온도 검출을 행하지 않을 경우, 단계(S103 내지 S105)의 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 그 경우, 단계(S106)에서, CPU(501)는 단계(S102)에서 판독된 도트 위치 정보 D2를 기초로 해서 조정 값을 산출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면 만곡의 요인에 의해 주사면 내에서 도트 위치가 시프트되는 경우에도, 조정 값을 이용하여 화상 영역 전역에서 도트 위치 조정을 행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므와레 무늬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면 만곡 특성이 각 광 빔 주사 디바이스(104) 간의 변동(개별 변동)을 갖게 되면, 미리 공장에서 개별 광 빔 주사 디바이스(104)에 대해 측정한 노광 위치 시프트량을 메모리(509)에 기억시키고, 이에 기초하여 조정을 행한다. 이는, 부품의 변동이나 장치 제조시에 발생하는 조립 작업에서의 변동에 의해 야기되는 개별 변동으로 인해 노광 위치 시프트를 상쇄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도트 위치 정보 D1(도 5a 참조)는 레이저 빔 1과 레이저 빔 4의 위상을 기억하고 있는 정보라고 가정된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주 주사 위치 h에 있어서의 도트 위치의 기울기 정보 k를 도트 위치 정보 D1로서 기억할 수 있다. 기울기 정보 k는 부 주사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레이저 빔의 대향 단부 레이저 빔 간의 주 주사 방향에서의 노광 위치 시프트량을 레이저 빔의 수로 나눔으로써 얻어진 양을 나타낸다.
한편, 개별 변동이 작을 경우에는, 대표적인 노광 위치 시프트 정보를 기초로 해서 도트 위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광 빔 주사 디바이스 내에 메모리를 제공할 필요는 없고, CPU(501)는 미리 결정된 노광 위치 시프트 정보에 기초하여 도트 위치 조정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준 발광 소자 이외의 각 발광 소자와 관련된 구동 신호는, 주 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도트(노광) 위치 시프트 보정에 사용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로서 도트 위치 정보 D2(도 5b 참조)에 기초해서 생성된다. 따라서, 레이저 빔 간의 노광 위치 시프트를 적절히 보정함으로써, 므와레 등의 화상 폐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보정 데이터는 각 주 주사 위치 h 또는 주 주사 영역 A와 관련하여 출력되므로,각 분할 영역마다 보정이 수행될 수 있고, 주 주사 방향의 위치에 따라 노광 위치 시프트량이 다른 경우에도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이는, 각 화상 영역에서 므와레 등의 화상 폐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한다.
또한,수식 (3)에 있어서, 보조 화소 삽입/제거 수 bij는 "α×ΔT"를 반영하고, 검출한 환경 온도에 기초해서 보정 데이터가 보정된다. 이는, 환경 온도의 변화에 기인하는 노광 위치 시프트에 대응해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며, 이에 의해 온도 변화에 의한 시프트량을 상쇄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도트 위치 조정은 레이저 빔마다 하나 이상의 보조 화소를 삽입 또는 제거함으로써 수행되고, 이에 의해 각 레이저 빔과 관련된 기입 개시 위치와 부분 배율을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각 기입 개시 위치에 있어서의 노광 위치 시프트가 매우 작으면, 레이저 빔마다 부분 배율을 조정하는 기능만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PLL(위상 동기 루프) 등의 클럭 제어 유닛은, 위상 제어에 의한 개시 위치 조정이나, 화상 클럭의 주파수 변조에 의한 부분 배율 조정에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 데이터 생성부(502)로부터 반도체 레이저 구동 회로(505)에 전송된 화상 데이터의 전송 클럭(화상 클럭)은 기입 개시 조정부(503)에 의해 위상 조정된다. 또한, 부분 배율 조정부(504)에 의해 영역 특정 주파수 변조를 행함으로써, 발광 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 다각형 미러(405)의 반사면인 미러면 사이에서 도트 위치 정보는 절환되고, 이에 의해 미러면마다 도트 위치의 변동을 조정한다. 제2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에 참조된 도 3 및 도 6 대신에, 도 7 및 도 8a와 도 8b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도트 위치 조정을 행하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제어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어 블록은, 다각형 모터 홈 위치 센서(512)(식별 유닛)가 추가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제어 블록(도 3 참조)과는 구별된다. 제어 블록의 다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다각형 모터 홈 위치 센서 (이하, "다각형 모터 HP 센서")(512)는 다각형 미러(405)의 회전부의 상부에 광을 조사하고, 그 반사광을 모니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각형 미러(405)의 회전부의 상부의 소정 부분은 광을 반사하는 반사 재료로 도포되어 있으므로, 다각형 미러(405)가 소정 회전 위치를 통과할 때마다 반사광이 검출된다. 반사 재료는 소정의 한 부분에만 도포되어 있어, 다각형 미러(405)의 1 회전마다 한번 신호가 출력된다.
CPU(501)는 다각형 모터 HP 센서(512)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하여, 다각형 미러(405)가 소정 위치를 통과하는 타이밍을 검출한다. 그 후, CPU(501)가 BD 센서(410)로부터의 출력 신호(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각 미러면의 회전 위상을 항상 파악한다. 이는, CPU(501)가 복수의 미러면으로부터, 각 레이저 빔 1, 2, 3 및 4을 수광할 미러면을 구별하게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기입 개시 위치 조정 값 및 부분 배율 조정 값은 다각형 미러(405)의 각 미러면과 관련하여 설정된다. 메모리(509)는 각 미러면과 관련하여, 도 5b에 도시된 도트 위치 정보 D2를 기억하고 있다. 도트 위치 정보 D2는 제1 실시 형태에서와 같이, CPU(501)에 의해 판독되고, 미러면마다 기입 개시 위치 조정 값 및 부분 배율 조정 값이 산출된다. 다음에 주사에 사용될 미러면과 관련된 조정 값이 비 화상 영역 내에 설정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 다음, 각 레이저 빔에 대한 기입 개시 위치 조정과 주 주사 영역에서의 부분 배율 조정이 인쇄 작업 실행 처리 중에 행해지는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a는 제2 실시 형태에서 실행된 인쇄 작업 실행 처리의 플로우 챠트다. 도 8b는 도 8a의 단계(S207)에서 실행된 화상 형성 처리의 플로우 챠트다.
단계(S201 내지 S206)에서, CPU(501)는 도 6의 단계(S101 내지 S106)에서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행한다. 특히, 단계(S206)에서, 다각형 미러(405)의 각 미러면과 관련하여, 기입 개시 위치 조정 값 및 부분 배율 조정 값이 산출된다.
단계(S207)에서, CPU(501)는 도 8b의 화상 형성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다각형 미러(405)의 각 미러면에 따라 조정 값을 설정하면서, 1 페이지의 화상을 형성한다. 단계(S208 및 S209)에서, CPU(501)는 도 6의 단계(S109 및 S110)에서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한다.
도 8b의 단계(S301)에서, CPU(501)는 다각형 미러(405)의 회전 개시를 지시한다. 단계(S302)에서, CPU(501)는 다각형 미러(405)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값에 수렴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회전 속도가 그 소정의 값에 수렴되면, CPU(501)는 단계(S303)로 진행한다.
단계(S303)에서, CPU(501)는 다각형 모터 HP 센서(512)로부터의 출력이 검출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출력이 검출되면, CPU(501)는 단계(S304)로 진행한다. 이는, 다각형 모터 HP 센서(512)로부터의 출력이 검출되는 타이밍에서, 미러면의 회전 위상이 검출된 다음, 다음 주사에 사용될 미러면이 식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S304)에서, CPU(501)는 도 8a의 단계(S206)에서 산출된 기입 개시 위치 조정 값과 부분 배율 조정 값 중 선택된 조정 값을, 다음 주사에 사용될 미러면으로서 식별된 미러면과 관련된 값으로서 설정한다. 특히, 식별된 미러면과 관련하여, CPU(501)는 도트 위치 조정부(510)의 기입 개시 조정부(503) 내에 기입 개시 위치 조정 값(보조 화소 삽입/제거 수 b1j)을 설정하고, 도트 위치 조정부(510)의 부분 배율 조정부(504) 내에 부분 배율 조정 값(보조 화소 삽입/제거 수 bij)을 설정한다. 그 다음, CPU(501)는 도트 위치 조정부(510) 내에 기입 개시 위치 조정 값과 부분 배율 조정 값이 설정되어 있는 화상 형성을 행한다. 이때, 도 4a와 도 4b에 예시한 것 같이, 각 조정 값에 대응하는 수만큼 보조 화소가 삽입되거나 제거된다.
단계(S305)에서, CPU(501)는 BD 센서(410)로부터의 출력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여기서, CPU(501)는 BD 센서(410)의 출력을 검출함으로써, 미러면 간의 절환을 검출하고, 다음 주사에 사용될 미러면을 식별한다. BD 센서(410)로부터의 출력이 검출되면, CPU(501)는 처리를 단계(S306)로 진행시킨다.
단계(S306)에서, CPU(501)는 1 페이지의 화상 형성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1-페이지의 화상 형성이 종료했을 경우에는, 화상 형성 처리를 종료한다(단계 S307). 한편, 1-페이지의 화상 형성이 종료되지 않았을 경우, CPU(501)는 처리를 단계(S304)로 복귀시킨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다각형 미러(405)가 6개의 미러면을 가질 경우, 다각형 미러(405)의 1 회전당 BD 신호가 6회 출력되므로,BD 신호가 6회 수신될 때마다 제1 미러면에 대한 조정 값이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각형 미러(405)의 각 미러면과 관련하여 도트 위치가 조정된다. 다각형 미러(405)의 미러면의 평면도는 제조 변동에 의해 손상되어, 미러면의 요철을 발생시킨다. 이런 경우, 레이저 빔을 주사하는 광로가 미러면 위에서 우회되는데, 이는 미러면마다 도트 위치가 변동되게 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미러면의 요철에 상관없이, 도트(노광) 위치 시프트를 상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는, 레이저 빔 간의 노광 위치 시프트를 적절히 보정함으로써, 므와레 무늬 등의 화상 폐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서 제공된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 미러면마다 도트 위치의 변동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공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음과 같은 청구의 범위는 모든 수정, 등가의 구조와 기능을 포괄할 만큼 폭 넓은 해석을 부여 할 수 있다.
이 출원은, 그 전체 내용이 본원에서 원용되는, 2012년 4월 26일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번호 2012-101251호, 및 2013년 4월 15일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번호 2013-084762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Claims (38)

  1. 화상 형성 장치로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감광체;
    제1 레이저 빔을 출사하는 제1 발광 소자와 제2 레이저 빔을 출사하는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기록 매체 위에 형성될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을 상기 감광체 위에 형성하기 위해 상기 감광체를 노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레이저 빔과 상기 제2 레이저 빔이 상기 감광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상기 감광체 위의 각 위치를 노광하도록 상기 제1 발광 소자 및 상기 제2 발광 소자가 배열되어 있는, 광원;
    상기 제1 레이저 빔과 상기 제2 레이저 빔이 상기 감광체를 주사하도록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상기 제1 레이저 빔과 상기 제2 레이저 빔을 편향하도록 구성된 편향 유닛;
    상기 편향 유닛에 의해 편향된 상기 제1 레이저 빔과 상기 제2 레이저 빔을 상기 감광체에 유도하도록 구성된 렌즈;
    상기 제1 레이저 빔과 상기 제2 레이저 빔의 주사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 위의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보정 데이터 및 상기 감광체 위의 상기 제1 영역과는 다른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제2 보정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 유닛으로서, 상기 제1 보정 데이터와 상기 제2 보정 데이터의 각각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2 레이저 빔에 의해 형성된 화상의 길이를 보정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레이저 빔에 의해 형성된 화상의 길이를 보정하는 데에는 사용되지 않는, 상기 출력 유닛;
    상기 제1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제1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제2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제2 구동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유닛으로서, 상기 제2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신호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 신호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신호는,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되도록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2 구동 신호에 포함되고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신호는,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되도록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상기 생성 유닛; 및
    상기 제1 발광 소자 및 상기 제2 발광 소자의 각각과 관련하여 상기 생성 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광원이 상기 제1 레이저 빔 및 상기 제2 레이저 빔을 출사시키도록 구성된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기억 유닛과, 상기 기억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보정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된 상기 제1 및 제2 보정 데이터를 상기 생성 유닛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유닛에 의해 편향된 상기 제1 레이저 빔과 상기 제2 레이저 빔 중 하나 이상의 수광에 응답하여 동기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광학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광학 센서로부터 출력된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레이저 빔의 노광 위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노광 위치와 관련된 상기 제1 및 제2 보정 데이터를 상기 생성 유닛에 출력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환경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기억 유닛으로부터 판독한 상기 제1 및 제2 보정 데이터를 보정하고, 보정한 상기 제1 및 제2 보정 데이터를 상기 생성 유닛에 출력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유닛은 상기 제1 레이저 빔 및 상기 제2 레이저 빔을 편향하기 위한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하는 회전 다각형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회전 다각형 미러의 상기 복수의 반사면 중에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상기 제1 레이저 빔 및 상기 제2 레이저 빔을 수광하는 반사면을 식별하도록 구성된 식별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억 유닛은 상기 회전 다각형 미러의 상기 반사면들의 각각과 관련된 상기 제1 및 제2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식별 유닛에 의해 식별된 반사면과 관련된 상기 제1 및 제2 보정 데이터를 상기 생성 유닛에 출력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유닛은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의 각각에 포함되는 화소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보정 데이터는 상기 화소 또는 상기 화소를 분할하여 취득된 보조 화소를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에 삽입하거나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데이터인, 화상 형성 장치.
  8. 화상 형성 장치로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감광체;
    기록 매체 위에 형성될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감광체를 노광하는 복수의 레이저 빔을 출사하고, 상기 레이저 빔이 상기 감광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상기 감광체 위의 각각의 위치를 노광할 수 있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광원;
    상기 레이저 빔들이 상기 감광체를 주사하도록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상기 복수의 레이저 빔을 편향하도록 구성된 편향 유닛;
    상기 편향 유닛에 의해 편향된 상기 레이저 빔들을 상기 감광체에 유도하도록 구성된 렌즈;
    상기 복수의 레이저 빔의 주사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각각에 대응하며 상기 감광체 위의 복수의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보정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 유닛으로서, 상기 복수의 보정 데이터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레이저 빔의 각각에 의해 형성되도록 상기 주사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의 각각에 대응하는 화상의 길이를 보정하는 데 사용되는, 상기 출력 유닛;
    상기 복수의 보정 데이터의 각각에 의해 보정되도록 입력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각각에 대응하는 구동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각각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구동 데이터 및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출력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보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각각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유닛; 및
    상기 생성 유닛에 의해 생성된 구동 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광원이 상기 복수의 레이저 빔을 출사시키도록 구성된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유닛은, 상기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기억 유닛과, 상기 기억 유닛으로부터 상기 보정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된 보정 데이터를 상기 생성 유닛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유닛에 의해 편향된 상기 레이저 빔들 중 하나 이상의 수광에 응답하여 동기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광학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광학 센서로부터 출력된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레이저 빔 각각의 노광 위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노광 위치와 관련된 상기 보정 데이터를 상기 생성 유닛에 출력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환경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기억 유닛으로부터 판독한 상기 보정 데이터를 보정하고, 보정한 보정 데이터를 상기 생성 유닛에 출력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유닛은 상기 복수의 레이저 빔을 편향하기 위한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하는 회전 다각형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회전 다각형 미러의 상기 복수의 반사면 중에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상기 복수의 레이저 빔을 수광하는 반사면들의 각각을 식별하도록 구성된 식별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억 유닛은 상기 회전 다각형 미러의 상기 반사면들의 각각과 관련된 상기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식별 유닛에 의해 식별된 반사면과 관련된 상기 보정 데이터를 상기 생성 유닛에 출력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유닛은 각각의 화상에 포함되는 화소를 형성하도록 상기 구동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보정 데이터는 상기 화소 또는 상기 화소를 분할하여 취득된 보조 화소를 상기 화상에 삽입하거나 상기 화상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데이터인, 화상 형성 장치.
  15. 화상 형성 장치로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감광체;
    제1 레이저 빔을 출사하는 제1 발광 소자와 제2 레이저 빔을 출사하는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기록 매체 위에 형성될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을 상기 감광체 위에 형성하기 위해 상기 감광체를 노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레이저 빔과 상기 제2 레이저 빔이 상기 감광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상기 감광체 위의 각 위치를 노광하도록 상기 제1 발광 소자와 상기 제2 발광 소자가 배열되어 있는, 광원;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 빔이 상기 감광체를 주사할 수 있도록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 빔을 편향하도록 구성된 편향 유닛;
    상기 편향 유닛에 의해 편향된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 빔을 상기 감광체에 유도하도록 구성된 렌즈;
    상기 제1 레이저 빔과 상기 제2 레이저 빔의 주사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 위의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보정 데이터 및 상기 감광체 위의 상기 제1 영역과는 다른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제2 보정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 유닛으로서, 상기 제1 보정 데이터와 상기 제2 보정 데이터의 각각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2 레이저 빔의 노광 위치를 보정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레이저 빔의 노광 위치를 보정하는 데에는 사용되지 않는, 상기 출력 유닛;
    상기 제1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제1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제2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제2 구동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유닛으로서, 상기 제2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신호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 신호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신호는,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되도록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2 구동 신호에 포함되고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신호는,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되도록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상기 생성 유닛; 및
    상기 제1 발광 소자 및 상기 제2 발광 소자의 각각과 관련하여 상기 생성 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광원이 상기 제1 레이저 빔과 상기 제2 레이저 빔을 출사시키도록 구성된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기억 유닛과, 상기 기억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보정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된 상기 제1 및 제2 보정 데이터를 상기 생성 유닛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유닛에 의해 편향된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 빔 중 하나 이상의 수광에 응답하여 동기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광학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광학 센서로부터 출력된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레이저 빔의 노광 위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노광 위치와 관련된 상기 제1 및 제2 보정 데이터를 상기 생성 유닛에 출력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환경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기억 유닛으로부터 판독한 상기 제1 및 제2 보정 데이터를 보정하고, 보정한 상기 제1 및 제2 보정 데이터를 상기 생성 유닛에 출력하는, 화상 형성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유닛은 상기 제1 레이저 빔 및 상기 제2 레이저 빔을 편향하기 위한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하는 회전 다각형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회전 다각형 미러의 상기 복수의 반사면 중에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상기 제1 레이저 빔 및 상기 제2 레이저 빔을 수광하는 반사면을 식별하도록 구성된 식별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억 유닛은 상기 회전 다각형 미러의 상기 반사면들의 각각과 관련된 상기 제1 및 제2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식별 유닛에 의해 식별된 반사면과 관련된 상기 제1 및 제2 보정 데이터를 상기 생성 유닛에 출력하는, 화상 형성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화상 데이터의 각각에 포함되는 화소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보정 데이터는 상기 화소 또는 상기 화소를 분할하여 취득된 보조 화소를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에 삽입하거나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데이터인, 화상 형성 장치.
  21. 화상 형성 장치로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감광체;
    기록 매체 위에 형성될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감광체를 노광하도록 복수의 레이저 빔을 출사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빔들이 상기 감광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상기 감광체 위의 각 위치를 노광하도록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가 배열되어 있는, 광원;
    상기 레이저 빔들이 상기 감광체를 주사할 수 있도록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상기 복수의 레이저 빔을 편향하도록 구성된 편향 유닛;
    상기 편향 유닛에 의해 편향된 상기 레이저 빔들을 상기 감광체에 유도하도록 구성된 렌즈;
    상기 복수의 레이저 빔의 주사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에 각각 대응하며 상기 감광체 위의 복수의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보정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 유닛으로서, 상기 복수의 보정 데이터의 각각은 상기 주사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레이저 빔의 노광 위치를 보정하는 데 사용되는, 상기 출력 유닛;
    상기 복수의 보정 데이터의 각각에 의해 보정되도록 입력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각각에 대응하는 구동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각각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구동 데이터 및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출력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보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들을 각각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유닛; 및
    상기 생성 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구동 신호들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이 상기 복수의 레이저 빔을 출사시키도록 구성된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유닛은, 상기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기억 유닛과, 상기 기억 유닛으로부터 상기 보정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된 보정 데이터를 상기 생성 유닛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유닛에 의해 편향된 상기 레이저 빔들 중 하나 이상의 수광에 응답하여 동기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광학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광학 센서로부터 출력된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레이저 빔의 각각의 노광 위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노광 위치와 관련된 상기 보정 데이터를 상기 생성 유닛에 출력하는, 화상 형성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환경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기억 유닛으로부터 판독한 상기 보정 데이터를 보정하고, 보정한 보정 데이터를 상기 생성 유닛에 출력하는, 화상 형성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유닛은 상기 복수의 레이저 빔을 편향하기 위한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하는 회전 다각형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회전 다각형 미러의 상기 복수의 반사면 중에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복수의 레이저 빔을 수광하는 반사면들의 각각을 식별하도록 구성된 식별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억 유닛은 상기 회전 다각형 미러의 상기 반사면들의 각각과 관련된 상기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식별 유닛에 의해 식별된 반사면과 관련된 상기 보정 데이터를 상기 생성 유닛에 출력하는, 화상 형성 장치.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유닛은 각 화상에 포함되는 화소를 형성하도록 상기 구동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보정 데이터는 상기 화소 또는 상기 화소를 분할하여 취득된 보조 화소를 상기 화상에 삽입하거나 상기 화상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데이터인, 화상 형성 장치.
  27. 화상 형성 장치로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감광체;
    제1 광 빔을 출사하도록 구성된 제1 발광 소자와 제2 광 빔을 출사하도록 구성된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기록 매체 위에 형성될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을 상기 감광체 위에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광 빔과 상기 제2 광 빔이 상기 감광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 위의 서로 다른 위치들을 노광하도록 상기 제1 발광 소자 및 상기 제2 발광 소자가 배열되어 있는, 광원;
    상기 제1 광 빔과 상기 제2 광 빔이 상기 감광체를 주사하도록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상기 제1 광 빔과 상기 제2 광 빔을 편향하도록 구성된 편향 유닛;
    상기 편향 유닛에 의해 편향된 상기 제1 광 빔과 상기 제2 광 빔을 상기 감광체에 유도하도록 구성된 렌즈;
    상기 감광체 위의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보정 데이터, 상기 제1 광 빔과 상기 제2 광 빔의 주사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 위의 상기 제1 영역과는 다른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제2 보정 데이터,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제3 보정 데이터,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제4 보정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 유닛으로서, 상기 제1 보정 데이터와 상기 제2 보정 데이터의 각각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1 광 빔에 의해 형성된 화상의 길이를 보정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3 보정 데이터와 상기 제4 보정 데이터의 각각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2 광 빔에 의해 형성된 화상의 길이를 보정하는 데 사용되는, 상기 출력 유닛;
    상기 제1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제1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제2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제2 구동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유닛으로서, 상기 제1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되도록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신호,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되도록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3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되도록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신호,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4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되도록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생성 유닛; 및
    상기 제1 발광 소자가 상기 제1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광 빔을 출사하게 하고 상기 제2 발광 소자가 상기 제2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광 빔을 출사하게 하도록 구성된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유닛은,
    상기 제1 보정 데이터, 상기 제2 보정 데이터, 상기 제3 보정 데이터, 및 상기 제4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기억 유닛, 및
    상기 기억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보정 데이터, 상기 제2 보정 데이터, 상기 제3 보정 데이터, 및 상기 제4 보정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된 상기 제1 보정 데이터, 판독된 상기 제2 보정 데이터, 판독된 상기 제3 보정 데이터, 및 판독된 상기 제4 보정 데이터를 상기 생성 유닛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환경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 유닛은,
    상기 제1 보정 데이터, 상기 제2 보정 데이터, 상기 제3 보정 데이터, 및 상기 제4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기억 유닛, 및
    상기 기억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보정 데이터, 상기 제2 보정 데이터, 상기 제3 보정 데이터, 및 상기 제4 보정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검출 유닛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보정 데이터, 상기 제2 보정 데이터, 상기 제3 보정 데이터, 및 상기 제4 보정 데이터를 보정하고, 보정된 상기 제1 보정 데이터, 보정된 상기 제2 보정 데이터, 보정된 상기 제3 보정 데이터, 및 보정된 상기 제4 보정 데이터를 상기 생성 유닛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유닛은 상기 제1 광 빔 및 상기 제2 광 빔을 편향하기 위한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하는 회전 다각형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회전 다각형 미러의 상기 복수의 반사면 중에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상기 제1 광 빔 및 상기 제2 광 빔을 반사하는 반사면을 식별하도록 구성된 식별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억 유닛은, 상기 회전 다각형 미러의 상기 반사면들의 각각과 관련된 상기 제1 보정 데이터, 상기 제2 보정 데이터, 상기 제3 보정 데이터, 및 상기 제4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식별 유닛에 의해 식별된 반사면과 관련된 상기 제1 보정 데이터, 상기 제2 보정 데이터, 상기 제3 보정 데이터, 및 상기 제4 보정 데이터를 상기 생성 유닛에 출력하는, 화상 형성 장치.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유닛은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의 각각에 포함되는 화소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구동 신호와 상기 제2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보정 데이터와 상기 제2 보정 데이터는 상기 화소 또는 상기 화소를 분할하여 취득된 보조 화소를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에 삽입하거나 상기 제1 화상 데이터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데이터이고, 상기 제3 보정 데이터와 상기 제4 보정 데이터는 상기 화소 또는 상기 화소를 분할하여 취득된 보조 화소를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에 삽입하거나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데이터인, 화상 형성 장치.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제1 레이저 빔을 상기 제1 광 빔으로서 출사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1 발광 소자 및 제2 레이저 빔을 상기 제2 광 빔으로서 출사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레이저인, 화상 형성 장치.
  33. 화상 형성 장치로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감광체;
    제1 광 빔을 출사하도록 구성된 제1 발광 소자와 제2 광 빔을 출사하도록 구성된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기록 매체 위에 형성될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을 상기 감광체 위에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광 빔과 상기 제2 광 빔이 상기 감광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 위의 서로 다른 위치들을 노광하도록 상기 제1 발광 소자 및 상기 제2 발광 소자가 배열되어 있는, 광원;
    상기 제1 광 빔과 상기 제2 광 빔이 상기 감광체를 주사하도록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상기 제1 광 빔과 상기 제2 광 빔을 편향하도록 구성된 편향 유닛;
    상기 편향 유닛에 의해 편향된 상기 제1 광 빔과 상기 제2 광 빔을 상기 감광체에 유도하도록 구성된 렌즈;
    상기 감광체 위의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보정 데이터, 상기 제1 광 빔과 상기 제2 광 빔의 주사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 위의 상기 제1 영역과는 다른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제2 보정 데이터,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제3 보정 데이터,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제4 보정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 유닛으로서, 상기 제1 보정 데이터와 상기 제2 보정 데이터의 각각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1 광 빔의 노광 위치를 보정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3 보정 데이터와 상기 제4 보정 데이터의 각각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2 광 빔의 노광 위치를 보정하는 데 사용되는, 상기 출력 유닛;
    상기 제1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제1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제2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제2 구동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유닛으로서, 상기 제1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되도록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신호,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되도록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3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되도록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신호,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4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되도록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생성 유닛; 및
    상기 제1 발광 소자가 상기 제1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광 빔을 출사하게 하고 상기 제2 발광 소자가 상기 제2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광 빔을 출사하게 하도록 구성된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유닛은,
    상기 제1 보정 데이터, 상기 제2 보정 데이터, 상기 제3 보정 데이터, 및 상기 제4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기억 유닛, 및
    상기 기억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보정 데이터, 상기 제2 보정 데이터, 상기 제3 보정 데이터, 및 상기 제4 보정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된 상기 제1 보정 데이터, 판독된 상기 제2 보정 데이터, 판독된 상기 제3 보정 데이터, 및 판독된 상기 제4 보정 데이터를 상기 생성 유닛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35. 제33항에 있어서, 환경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 유닛은,
    상기 제1 보정 데이터, 상기 제2 보정 데이터, 상기 제3 보정 데이터, 및 상기 제4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기억 유닛, 및
    상기 기억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보정 데이터, 상기 제2 보정 데이터, 상기 제3 보정 데이터, 및 상기 제4 보정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검출 유닛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보정 데이터, 상기 제2 보정 데이터, 상기 제3 보정 데이터, 및 상기 제4 보정 데이터를 보정하고, 보정된 상기 제1 보정 데이터, 보정된 상기 제2 보정 데이터, 보정된 상기 제3 보정 데이터, 및 보정된 상기 제4 보정 데이터를 상기 생성 유닛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유닛은 상기 제1 광 빔 및 상기 제2 광 빔을 편향하기 위한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하는 회전 다각형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회전 다각형 미러의 상기 복수의 반사면 중에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상기 제1 광 빔 및 상기 제2 광 빔을 반사하는 반사면을 식별하도록 구성된 식별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억 유닛은, 상기 회전 다각형 미러의 상기 반사면들의 각각과 관련된 상기 제1 보정 데이터, 상기 제2 보정 데이터, 상기 제3 보정 데이터, 및 상기 제4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식별 유닛에 의해 식별된 반사면과 관련된 상기 제1 보정 데이터, 상기 제2 보정 데이터, 상기 제3 보정 데이터, 및 상기 제4 보정 데이터를 상기 생성 유닛에 출력하는, 화상 형성 장치.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유닛은 상기 제1 화상 및 상기 제2 화상의 각각에 포함되는 화소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구동 신호와 상기 제2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보정 데이터와 상기 제2 보정 데이터는 상기 화소 또는 상기 화소를 분할하여 취득된 보조 화소를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에 삽입하거나 상기 제1 화상 데이터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데이터이고, 상기 제3 보정 데이터와 상기 제4 보정 데이터는 상기 화소 또는 상기 화소를 분할하여 취득된 보조 화소를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에 삽입하거나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데이터인, 화상 형성 장치.
  38.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제1 레이저 빔을 상기 제1 광 빔으로서 출사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1 발광 소자 및 제2 레이저 빔을 상기 제2 광 빔으로서 출사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레이저인, 화상 형성 장치.
KR1020130043510A 2012-04-26 2013-04-19 레이저 빔 간의 상대 위치를 보정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KR1016468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01251 2012-04-26
JPJP-P-2012-101251 2012-04-26
JPJP-P-2013-084762 2013-04-15
JP2013084762A JP2013240994A (ja) 2012-04-26 2013-04-15 レーザ光間の位置ずれを補正する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026A KR20130121026A (ko) 2013-11-05
KR101646821B1 true KR101646821B1 (ko) 2016-08-08

Family

ID=48143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510A KR101646821B1 (ko) 2012-04-26 2013-04-19 레이저 빔 간의 상대 위치를 보정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20346B2 (ko)
EP (1) EP2657783B1 (ko)
JP (1) JP2013240994A (ko)
KR (1) KR101646821B1 (ko)
CN (1) CN1033766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86430B2 (ja) * 2012-04-26 2019-03-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ーザ光間の位置ずれを補正する画像形成装置
JP6128817B2 (ja) * 2012-11-30 2017-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6150698B2 (ja) 2013-09-25 2017-06-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261323B2 (ja) * 2013-12-18 2018-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制御方法
JP6401496B2 (ja) 2014-05-23 2018-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3722880B1 (en) 2014-06-12 2022-10-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forming apparatus
JP6137164B2 (ja) * 2014-12-25 2017-05-3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光束の走査位置の補正方法
JP6711699B2 (ja) 2016-06-09 2020-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824653B2 (ja) * 2016-07-13 2021-02-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726046B2 (ja) * 2016-07-13 2020-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1030598A (ja) * 2019-08-26 2021-03-0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US11674893B2 (en) * 2020-02-17 2023-06-13 Canon Kabushiki Kaisha Structure of optical sensor having light-emitting element and light-receiving element
US11579081B2 (en) 2020-02-17 2023-02-14 Canon Kabushiki Kaisha Structure of optical sensor having light-emitting element and plurality of light-receiving elements
CN113888449B (zh) * 2021-12-08 2022-02-22 深圳市先地图像科技有限公司 一种激光成像用的图像处理方法、系统及相关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8323A (ja) * 2004-01-22 2005-08-04 Ricoh Co Ltd 光書き込み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058557A (ja) 2004-08-19 2006-03-02 Noritsu Koki Co Ltd レーザー露光装置
JP2011170149A (ja) * 2010-02-19 2011-09-0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と画像形成装置の補正方法
JP2011242618A (ja) * 2010-05-19 2011-12-0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6313B2 (ja) * 1995-07-01 2003-10-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像書き込み装置
JP3231610B2 (ja) * 1995-12-22 2001-11-26 富士通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2096499A (ja) * 2000-09-22 2002-04-0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2341279A (ja) * 2001-05-14 2002-11-2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3270562A (ja) * 2002-03-18 2003-09-25 Ricoh Co Ltd 光ビーム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3322810A (ja) * 2002-05-01 2003-11-14 Ricoh Co Ltd 画素クロック生成装置、光走査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主走査ドット位置ずれ補正方法
EP1455520A3 (en) * 2003-03-03 2005-10-05 Canon Kabushiki Kaisha Frequency modulation apparatus and frequency modulation method
JP4355549B2 (ja) * 2003-09-26 2009-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走査位置の修正方法
US7719558B1 (en) * 2007-07-18 2010-05-18 Marvell International Ltd. Apparatus and method to generate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for a printer
JP2010069626A (ja) * 2008-09-16 2010-04-0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404321B2 (ja) * 2008-11-05 2014-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0167568A (ja) * 2009-01-20 2010-08-05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5554941B2 (ja) * 2009-05-22 2014-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主走査倍率補正方法
JP5743573B2 (ja) * 2011-01-28 2015-07-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6141074B2 (ja) * 2012-04-25 2017-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走査光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8323A (ja) * 2004-01-22 2005-08-04 Ricoh Co Ltd 光書き込み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058557A (ja) 2004-08-19 2006-03-02 Noritsu Koki Co Ltd レーザー露光装置
JP2011170149A (ja) * 2010-02-19 2011-09-0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と画像形成装置の補正方法
JP2011242618A (ja) * 2010-05-19 2011-12-0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20346B2 (en) 2017-08-01
CN103376694A (zh) 2013-10-30
JP2013240994A (ja) 2013-12-05
KR20130121026A (ko) 2013-11-05
EP2657783A2 (en) 2013-10-30
EP2657783B1 (en) 2018-10-10
CN103376694B (zh) 2016-03-02
US20130286133A1 (en) 2013-10-31
EP2657783A3 (en) 2014-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6821B1 (ko) 레이저 빔 간의 상대 위치를 보정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JP2005140922A (ja) 光走査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位置ずれ補正方法
JP4804082B2 (ja) 画像形成装置
JP6029314B2 (ja) 画像形成装置
JP6335639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07008152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5790285B2 (ja) 画像形成装置
JP5484614B2 (ja) 画像形成装置
JP6726046B2 (ja) 画像形成装置
JP4390200B2 (ja) 多色画像形成装置、多色画像形成装置に用いる光走査装置および多色画像形成装置の色ずれ補正方法
JP6486430B2 (ja) レーザ光間の位置ずれを補正する画像形成装置
JP2017132084A (ja) 画像形成装置
JP6878901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制御プログラム
JP2020049767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368120B2 (ja) 画像形成装置
JP7418122B2 (ja) 画像形成装置
US8054502B2 (en) Scanning optical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clock correction method
JP2016004116A (ja) レーザ光間の位置ずれを補正する画像形成装置
JP2009175470A (ja) 光学走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758906B2 (ja) 画像形成装置
JP6393082B2 (ja) 画像形成装置
JP4458415B2 (ja) 多色画像形成装置
JP2011178067A (ja) 画像形成装置
JP5446168B2 (ja) 光ビーム走査装置と画像形成装置
JP2005189339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