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612B1 - 배터리 탑재 구조 - Google Patents

배터리 탑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612B1
KR101606612B1 KR1020117019523A KR20117019523A KR101606612B1 KR 101606612 B1 KR101606612 B1 KR 101606612B1 KR 1020117019523 A KR1020117019523 A KR 1020117019523A KR 20117019523 A KR20117019523 A KR 20117019523A KR 101606612 B1 KR101606612 B1 KR 101606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ehicle
battery unit
groups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9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2436A (ko
Inventor
마꼬또 이와사
히데또시 가도따
다다요시 하시무라
사또시 시게마쯔
노부히로 모리
겐따로 핫따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12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7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fuel cells
    • B60L50/71Arrangement of fuel cells with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7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fuel cells
    • B60L50/72Constructional details of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38Arrangement under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1)의 플로어 패널(16)의 하측에 복수의 배터리(3)로 이루어지는 배터리 유닛(38F)과, 배터리 유닛(38F)에 관한 전기적 접속을 제어하는 접속 제어 기기(35a, 35b, 36a, 36b, 36d, 36e)를 배치한다. 배터리 유닛(38F)은 스페이스(G)를 사이에 두고 배치한 2개의 배터리군(S1R, S1L)을 구비하고, 접속 제어 기기(35a, 35b, 36a, 36b, 36d, 36e)는 스페이스(G)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접속 제어 기기(35a, 35b, 36a, 36b, 36d, 36e)의 배치를 최적화하여, 하네스(34)의 길이를 단축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탑재 구조 {BATTERY MOUN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수많은 배터리를 차량에 탑재할 때의 접속 제어 기기의 배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청이 2001년에 발행한 특허 제3199296호는 차량에 가능한 한 많은 배터리를 탑재하기 위해, 차량의 플로어 패널의 하측에 배터리를 나란히 배치하는 것을 알리고 있다.
수많은 배터리는 평면 상에 있어서 차량 횡단 방향과 차량 종단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배터리군을 구성한다.
이 종래 기술에 있어서, 배터리군은 차량의 프론트 시트로부터 리어 시트에 걸친 영역의 바닥 하부에 배치되어, 배터리군으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는 차량 구동용 전동 모터나 인버터 등의 전기 장치는 차량의 프론트 컴파트먼트에 탑재되어 있다.
배터리는 하네스에 접속되어, 하네스를 통해 전기 장치에 접속된다. 하네스에는 스위치 등의 접속 제어 기기가 개재 장착된다.
여기서, 배터리는 배터리군으로서 밀집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접속 제어 기기는 필연적으로 배터리군과 전기 기기 사이에 설치된다. 그 결과, 프론트 시트와 프론트 컴파트먼트 사이에 접속 제어 기기를 배치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해야만 한다. 그러나, 이 스페이스를 최적 위치에 확보할 수 있다고는 한정되지 않고, 최적 위치에 접속 제어 기기를 배치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는, 하네스의 길이가 증가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군과 전기 기기 사이에 개재하는 접속 제어 기기의 배치를 최적화함으로써 필요한 하네스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플로어 패널의 하측에 복수의 배터리를 배치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를 제공한다. 배터리 탑재 구조는 복수의 배터리로 구성되는 배터리 유닛과, 배터리 유닛에 관한 전기적 접속을 제어하는 접속 제어 기기를 구비하고 있다. 배터리 유닛은 스페이스를 사이에 두고 배치한 2개의 배터리군을 구비하고, 접속 제어 기기는 스페이스의 내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배터리를 구비하여 차량의 플로어 패널의 하측에 탑재되는 배터리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배터리 어셈블리는 복수의 배터리로 구성되는 배터리 유닛과, 배터리 유닛에 관한 전기적 접속을 제어하는 접속 제어 기기를 구비하고 있다. 배터리 유닛은 스페이스를 사이에 두고 배치한 2개의 배터리군을 구비하고, 접속 제어 기기는 스페이스의 내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상세 및 다른 특징이나 이점은 명세서의 이하의 기재 중에서 설명되는 동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탑재 구조를 도시하는 차량 주요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배터리 탑재 구조를 도시하는 차량 주요부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라서 잘라낸 차량 주요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배터리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탑재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직 방향 적층부의 배터리 적층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횡단 방향 적층부의 배터리 적층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배터리 어셈블리를 수납 장착하는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배터리 어셈블리의 전기 회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동 릴레이와 서포트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유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서포트를 도시하는 배터리 어셈블리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은 차실(2)과, 차실(2)의 전방에 형성된 프론트 컴파트먼트(11)를 구비한다. 도면의 화살표 UP는 수직 방향 상향을 나타내고, 도면의 화살표 FR은 차량(1)의 주행 방향에 관하여 전방을 나타낸다. 차량(1)은 프론트 컴파트먼트(11)에 수납한 전동 모터(12)의 동력을 사용하여 주행하는, 소위 전기 자동차이다. 차량(1)은 전동 모터와 내연 엔진을 동력원으로 하여 주행하는 하이브리드 구동 차량이나, 연료 전지가 발생하는 전력으로 구동되는 전동 모터의 동력으로 주행하는 연료 전지 차량이라도 좋다.
전동 모터(12)를 구동하기 위해, 차량(1)의 차실(2)의 바닥 하부에는 수많은 배터리(3)가 배치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차량(1)의 차체에는 차실(2)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16)의 하방에, 차량 종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평행한 사이드 멤버(4)가 배치된다. 도면의 화살표 WD는 차량(1)의 횡단 방향이며, 또한 차량(1)의 전방을 향해 우측 방향을 나타낸다. 한 쌍의 사이드 멤버(4)의 전단부는 차량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로스 멤버(6)에 고정된다. 한 쌍의 사이드 멤버(4)의 후단부에는 한 쌍의 리어 사이드 멤버(9)가 고정된다. 한 쌍의 리어 사이드 멤버(9)에는 차량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어 크로스 멤버(10)가 고정된다.
크로스 멤버(6)의 양단부와 리어 크로스 멤버(10)의 양단부는 차체의 일부로서 차량의 도어용 개구부의 하단부를 형성하는 사이드 실(7)에 고정된다. 한 쌍의 사이드 멤버(4)는 사이드 실(7)의 내측에 배치되고, 한쪽의 사이드 멤버(4)에 관하여 3개의 아웃리거(8)에 의해 사이드 실(7)에 고정된다. 또한, 도 2와 도 3에 있어서 부재 번호 7이 나타내는 부위는 사이드 실의 내측의 벽면에 상당한다. 부재 4, 6, 9, 10은 미리 차체의 일부로서 플로어 패널(16)의 하방에 배치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의 프론트 컴파트먼트(11)에는 차량(1)의 주행 동력원으로서의 전동 모터(12)와, 관련 디바이스로서 배터리 차져(13)와 인버터(14)가 수납된다. 배터리 차져(13)는 배터리(3)에 충전을 행하기 위한 디바이스, 인버터(14)는 배터리(3)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동 모터(12)와 관련 디바이스를 전기 장치라고 총칭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배터리(3)는 미리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이루는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의 내측에 적층되어, 배터리 어셈블리(22)로서 한 쌍의 사이드 멤버(4)와, 크로스 멤버(6)와, 한 쌍의 리어 사이드 멤버(9)와, 리어 크로스 멤버(10)에 둘러싸인 스페이스에 하방으로부터 설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은 직사각형 프레임(23)과, 직사각형 프레임(23)의 내측에 배치된 보강 부재(24)로 이루어진다.
직사각형 프레임(23)은 전단부 부재(23f)와 후단부 부재(23r) 및 전단부 부재(23f)의 양단부와 후단부 부재(23r)의 양단부를 결합하는 한 쌍의 측단부 부재(23s)로 이루어진다. 전단부 부재(23f)와 후단부 부재(23r)와 한 쌍의 측단부 부재(23s)가 직사각형의 4개의 변을 구성한다. 또한, 배터리 어셈블리(22)의 설명 중에서 사용하는 전후 혹은 전단부/후단부라고 하는 용어는, 배터리 어셈블리(22)를 차체에 설치한 상태에서의 전후 혹은 전단부/후단부를 의미한다.
전단부 부재(23f), 후단부 부재(23r) 및 한 쌍의 측단부 부재(23s)는 각각 종벽부(28)와 종벽부(28)의 하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29)를 구비한 역T자형 단면의 부재로 구성된다.
보강 부재(24)는 직사각형 프레임(23)의 내측에 차량 횡단 방향으로 고정된 거더(24w)와, 거더(24w)의 중간부와 전단부 부재(23f)의 중간부를 결합하는 빔(24c)으로 이루어진다. 보강 부재(24)는 거더(24w)와 빔(24c)을 용접에 의해 T자형으로 결합하고, 또한 T자의 각 단부를 직사각형 프레임(23)에 용접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으로서 미리 일체화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의 내측에는 거더(24w)에 의해 전방의 직사각형 영역과 후방의 직사각형 영역(26R)이 형성된다. 전방의 직사각형 영역은 또한 빔(24c)에 의해, 2개의 직사각형 영역(26F)으로 형성된다. 전방의 2개의 직사각형 영역(26F, 26F)과 후방의 직사각형 영역(26R)은 대략 동일한 면적을 갖는다. 각 직사각형 영역(26F, 26F, 26R)은 장변이 단변의 대략 2배인 직사각형을 이루도록 설계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배터리(3)는 편평한 직육면체로 형성된다. 배터리(3)는 직육면체의 3개의 변 중 최단변의 방향으로 적층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남은 2변을 그 길이에 따라서 장변과 단변이라고 칭한다.
전방의 2개의 직사각형 영역(26F)에는 배터리(3)가, 장변을 차량 횡단 방향을 향하고, 단변을 차량 종단 방향을 향한 상태로 상향으로 적층된다. 각 직사각형 영역(26F)에는 적층체가 차량 종단 방향으로 4기 나란히 배치된다. 각 적층체의 배터리(3)의 적층수는 동일하지 않고, 전방의 2기에 대해서는, 배터리(3)가 4층으로 적층되고, 후방의 2기에 대해서는 배터리(3)가 2층으로 적층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직사각형 영역(26F)에 12개의 배터리(3)가 적층된다.
전방의 각 직사각형 영역(26F)의 각 적층체에 있어서, 배터리(3)는 스페이서(37b)와 띠 형상 플레이트(37a)를 통해 적층된다. 스페이서(37b)는 원기둥 형상의 부재의 중간에 단차를 통해 대경부를 형성한 부재이다. 배터리의 4코너에는 미리, 스페이서(37b)의 원기둥 형상 부분을 수납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다. 띠 형상 플레이트(37a)의 양단부에도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배터리(3)를 적층할 때에는 스페이서(37b)의 대경부의 양측의 원기둥 형상 부분의 한쪽을 띠 형상 플레이트(37a)의 관통 구멍에 관통시킨 후에 배터리(3)의 관통 구멍에 삽입하고, 원기둥 형상 부분의 다른 한쪽을 다른 띠 형상 플레이트(37a)의 관통 구멍을 관통시킨 후에 인접하는 배터리(3)의 관통 구멍에 삽입한다. 이에 의해, 인접하는 배터리(3) 사이에 2매의 띠 형상 플레이트(37a)를 통해 스페이서(37b)의 대경부가 끼움 지지되고, 배터리(3)의 적층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최상단부 및 최하단부의 배터리(3)에는 띠 형상의 플레이트(37a)와 원기둥 형상의 부재의 일단부에 대경부를 형성한 스페이서(37c)가 설치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스페이서(37b와 37c)의 중심에는 미리 축 방향으로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결정된 수의 배터리(3)를 적층한 후, 스페이서(37b와 37c)의 관통 구멍을 이용하여 핀을 적층한 배터리(3)에 관통시켜, 핀의 양단부에 너트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배터리(3)는 적층체로서 일체화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방의 직사각형 영역(26F, 26F)의 한쪽의 적층체열과, 전방의 직사각형 영역(26F, 26F)의 다른 한쪽의 적층체열 사이에 스페이스(G)가 형성된다. 스페이스(G)는 빔(24c)과 그 주변 영역의 상방에 위치한다. 전방의 직사각형 영역(26F, 26F)에 적층되는 배터리(3)는 모두 단자(3a)를 스페이스(G)를 향한 상태로 적층된다. 스페이스(G)에는 각 배터리(3)의 단자(3a)와 프론트 컴파트먼트(11) 내의 전기 장치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하네스(34)와, 하네스(34)의 도중에 설치한 스위치 박스(35) 및 정션 박스(36)가 수납 장착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후방의 직사각형 영역(26R)에는 24개의 배터리(3)가 장변을, 차량 종단 방향을 향한 형태로 차량 횡단 방향으로 적층된다. 배터리(3)는 단자(3a)를 전방을 향하게 하고, 전술한 스페이서(37b)를 통해 일정 간격으로 적층된다. 적층체의 양단부에는 엔드 플레이트(37e)가 적층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스페이서(37b)의 중심에는 미리 축 방향으로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결정된 수의 배터리(3)를 적층한 후, 스페이서(37b)의 관통 구멍을 이용하여 핀을 적층한 배터리(3)에 관통시켜, 핀의 양단부에 너트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배터리(3)는 적층체로서 일체화된다.
적층체의 전방 및 후방의 측면에는 차량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플레이트(37d)가 나사(37f)에 의해 고정된다. 후방의 직사각형 영역(26R)에는 이와 같이 하여 적층된 적층체가 1기만 배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상의 배치에 의해,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의 내측의 전방의 2개의 직사각형 영역(26F)에, 배터리(3)를 수직 방향으로 4층으로 적층한 배터리군(S1R, S1L)과, 배터리(3)를 수직 방향으로 2층으로 적층한 배터리군(S2R, S2L)이 각각 설치된다.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의 내측의 후방의 직사각형 영역(26R)에는 배터리(3)를 차량 횡단 방향으로 24층으로 적층한 배터리군(S3)이 설치된다. 적층 방향에 관하여 말하면, 배터리군(S1R, S1L과 S2R, S2L)이 수직 방향으로 적층된 배터리(3)의 집합체로서의 제1 배터리 유닛(38F)을 구성하고, 배터리군(S3)이 차량 횡단 방향으로 적층된 배터리(3)의 집합체로서의 제2 배터리 유닛(38R)을 구성한다.
도 3과 도 9를 참조하면,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에는 배터리 어셈블리(22)를 수용하는 케이스(22a)가 고정된다. 배터리(3)의 적층체는, 예를 들어 케이스(22a)에 나사를 사용하여 고정된다. 종벽부(28)의 내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부(29)를 적층체의 고정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케이스(22a)는 미리 배터리(3)의 적층체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되고, 적층체의 차량 종단 방향, 차량 횡단 방향 및 수직 방향의 변위를 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적층한 배터리(3)의 하방을 덮는 케이스(22a)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배터리(3)의 냉각성을 높이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 경우에 개구부의 수나 형상은 임의로 설계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면, 한쪽의 엔드 플레이트(37e)의 측방의 케이스(22a)의 내측에, 정션 박스(36) 내의 기기의 제어를 행하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된 제어 유닛(45)을 배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 경우에는, 배터리 탑재 프레임(21), 케이스(22a), 배터리(3)의 적층체, 하네스(34), 스위치 박스(35), 정션 박스(36) 및 제어 유닛(45)이 배터리 어셈블리(22)를 구성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은 종벽부(28)의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부(29)를 관통하는 볼트와 볼트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에 의해, 사이드 멤버(4)와, 크로스 멤버(6)와, 한 쌍의 리어 사이드 멤버(9)와, 리어 크로스 멤버(10)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전단부 부재(23f)의 종벽부(28)는 크로스 멤버(6)에, 후단부 부재(23r)의 종벽부(28)는 리어 크로스 멤버(10)에, 한 쌍의 측단부 부재(23s)의 종벽부(28)는 한 쌍의 사이드 멤버(4)와 그 연장상의 한 쌍의 리어 사이드 멤버(9)의 일부에 각각 상대한다. 한 쌍의 사이드 멤버(4)와, 크로스 멤버(6)와, 한 쌍의 리어 사이드 멤버(9)와, 리어 크로스 멤버(10)가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을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구성한다.
고정 부재에 고정된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은 차체의 강성이나 강도를 늘리는 데 공헌한다. 직사각형 프레임(23) 및 보강 부재(24)는 차량의 충돌 시에 입력되는 하중의 전달 경로로서 기능한다.
차체에는 고정 부재인 한 쌍의 사이드 멤버(4)와, 크로스 멤버(6)와, 한 쌍의 리어 사이드 멤버(9)와, 리어 크로스 멤버(10)에 의해 도 3에 도시하는 하향의 개구부(30)가 형성된다. 개구부(30)의 상방은 플로어 패널(16)에 의해 덮이고, 배터리 어셈블리(22)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31)가 형성된다.
배터리 어셈블리(22)의 차체로의 설치는 배터리 어셈블리(22)를 차체의 하방으로부터 수용 오목부(31)에 삽입하고,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을 고정 부재에 볼트로 고정함으로써 행해진다. 수많은 배터리(3)를 미리 배터리 어셈블리(22)에 일체화해 둠으로써, 배터리(3)의 차체로의 탑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3)의 교환 등의 필요에 따라서 배터리(3)를 차체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1)은 차실(2) 내에 프론트 시트(32F)와 리어 시트(32R)를 구비한다. 배터리 어셈블리(22)를 수용 오목부(31)에 설치한 상태에서, 배터리군(S1R, S1L)이 프론트 시트(32F)의 대략 하방에 위치하고, 배터리군(S2R, S2L)이 프론트 시트(32F)와 리어 시트(32R) 사이의 플로어(33)의 하방에 위치하고, 배터리군(S3)이 리어 시트(32R)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배터리 어셈블리(22)의 형상과 치수, 배터리(3)의 형상과 치수와 적층수, 고정 부재의 위치 등을 미리 설정한다. 또한, 배터리 어셈블리(22)의 형상에 기초하여 플로어 패널(16) 및 케이스(22a)의 형상을 결정한다.
배터리군(S1R, S1L)의 높이를 h1, 배터리군(S2R, S2L)의 높이를 h2, 배터리군(S3)의 높이를 h3으로 하면, h3>h1>h2로 된다. 높이(h1과 h2)는 좌우의 2개의 직사각형 영역(26F)에서 동일하다.
배터리군(S1R, S1L)은 프론트 시트(32F)의 하방에 위치하고, 배터리군(S3)은 리어 시트(32R)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배터리군(S1R, S1L과 S3)의 높이(h1과 h3)를 플로어(33)의 하방에 위치하는 배터리군(S2R, S2L)의 높이(h2)보다 크게 함으로써, 차실(2) 내의 시트 하방의 스페이스를 배터리(3)의 탑재 스페이스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차실(2)의 쾌적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수많은 배터리(3)를 차량(1)에 탑재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군(S3)의 높이가 배터리군(S1R, S1L)의 높이(h1)보다 크기 때문에, 차실(2) 내에 있어서 리어 시트(32R)의 시트면이 프론트 시트(32F)의 시트면보다 높아진다. 이 설정은 리어 시트(32R)의 승객의 양호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좌우의 배터리군(S1R, S1L)은 합계 16개의 배터리(3)로 구성된다. 좌우의 배터리군(S2R, S2L)은 합계 8개의 배터리(3)로 구성된다. 배터리군(S3)은 24개의 배터리(3)로 구성된다. 즉, 거더(24w)를 경계로 하여 전후에 24개씩의 배터리(3)가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군(S3)의 배터리 중량은 좌우의 배터리군(S2R, S2L)의 합계 배터리 중량과 좌우의 배터리군(S1R, S1L)의 합계 배터리 중량 중 어느 것보다도 무겁고, 또한 좌우의 배터리군(S2R, S2L)과 좌우의 배터리군(S1R, S1L)의 합계 배터리 중량에 대략 동등하다.
결과적으로 배터리 어셈블리(22)의 무게 중심은 배터리 어셈블리(22)의 평면도의 도심(圖心) 위치의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도 4의 Cv를 차량(1)의 도심으로 하면, 결과적으로 배터리 어셈블리(22)의 무게 중심은 차량의 도심(Cv)의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전동 모터(12), 배터리 차져(13), 인버터(14)로 이루어지는 전기 장치가 차량(1)의 전방부의 프론트 컴파트먼트(11)에 수납 장착되는 것을 고려하면, 배터리 어셈블리(22)의 무게 중심 위치가 차량(1)의 도심(Cv)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은, 차량(1)의 전후 방향의 중량 밸런스를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배터리군(S1R, S1L과 S2R, S2L)에 있어서, 배터리(3)는 장변을 차량 횡단 방향을, 단변을 차량 종단 방향을 향한 상태로 적층된다. 이 경우에, 도 2에 도시하는 차체 하부의 폭(W)과, 도 4에 도시하는 배터리(3)의 장변(Wb)의 길이에 의존하여, 차량 횡단 방향의 배터리(3)의 밀집도, 혹은 간격이 결정된다. 배터리군(S1R, S1L과 S2R, S2L)에 관하여, 한쪽의 직사각형 영역(26F)의 적층체열과, 다른 한쪽의 직사각형 영역(26F)의 적층체열 사이에 형성된 스페이스(G)는, 이 간격의 조정을 용이하게 한다. 배터리군(S1R, S1L과 S2R, S2L)에 있어서는 배터리(3)가 수직 방향으로 적층된다. 따라서, 배터리군(S1R, S1L과 S2R, S2L)의 높이(h1과 h2)는 배터리(3)의 최단변의 길이를 개략의 조정 단위로 하는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다.
한편, 배터리군(S3)에 관해서는, 배터리(3)는 최단의 변을 따라서 차량 횡단 방향으로 적층된다. 이로 인해, 차체 하부의 폭(W)에 따라서 배터리(3)의 적층수와 배터리(3) 사이의 스페이스를 조정함으로써 배터리군(S3)의 차량 횡단 방향의 길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리어 시트(32R)의 하방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수많은 배터리(3)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차종에 따라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리어 휠하우스(25)나 리어 서스펜션으로 인해, 차실(2)의 후방부의 스페이스에 제약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차실(2)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배터리군(S3)의 차량 횡단 방향의 치수가 상기와 같이 미세하게 조정 가능하므로, 차종에 의한 차실(2)의 후방부의 스페이스의 차이로의 대응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배터리군(S1R, S1L과 S2R, S2L)은 모두, 차량 종단 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적층체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 적층체수는 차량(1)의 종단 방향의 치수에 따라서 임의로 변수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배터리군(S1R, S1L)을 각 3개의 적층체로 구성하고, 배터리군(S2R, S2L)을 1열뿐인 적층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차량(1)의 시트 레이아웃 등에 변경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도,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에 변경을 가하지 않고, 배터리군(S1R, S1L, S2R, S2L, S3)의 구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차종에서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을 공용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 하에서는,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의 후단부 부재(23r)와 거더(24w)가, 리어 서스펜션에 비교적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이들 부재는 차량의 배면이 충돌했을 때의 차체로의 입력 하중이나, 리어 서스펜션으로부터 차체로의 밀어올림 하중에 대해, 차체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작용을 초래한다. 배터리군(S3)에 있어서, 배터리(3)를 밀착시켜 적층하는 동시에, 지지 플레이트(37d) 등의 부재의 강도를 늘림으로써, 차체의 강성 및 강도의 향상에 기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하네스(34), 스위치 박스(35) 및 정션 박스(36)를 스페이스(G)에 배치하여, 단자(3a)가 스페이스(G)를 향하도록, 배터리군(S1R, S1L과 S2R, S2L)의 배터리(3)를 적층하였으므로, 배터리(3)의 적층에 사용되지 않는 스페이스(G)를 이들 부재의 배치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수직 방향 적층부를 차량 횡단 방향 적층부의 전방에 배치하는 것은, 이들 부재의 배치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의미에서도 바람직하다.
배터리군(S3)에서는 단자(3a)를 차량(1)의 전방, 바꿔 말하면 거더(24w)의 상방의 스페이스를 향해 배터리(3)가 적층된다. 이 배치는 차량의 충돌 시에 단자(3a)를 보호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배치에 의해, 단자(3a)로의 하네스(34)의 접속을 거더(24w)의 상방의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거더(24w)를 이용하여 하네스(34)를 지지함으로써, 하네스(34)의 내구성도 향상된다.
다음에, 도 10을 참조하여, 배터리 어셈블리(22)의 전기 회로를 설명한다.
전기 회로는 배터리군(S3)의 배터리(3)와 좌우의 직사각형 영역(26F)의 배터리군(S1R, S1L과 S2R, S2L)을 하네스(34)에 의해 직렬로 접속한다. 스위치 박스(35)는 배터리군(S3)과 배터리군(S1R, S1L, S2R, S2L)을 접속하는 하네스(34)의 도중에 개재한다. 정션 박스(36)는 전체 배터리(3)의 양단부 사이에 개재한다.
스위치 박스(35)는 직렬로 접속된 수동 릴레이(35a)와 휴즈(35b)로 이루어진다. 수동 릴레이(35a)는 배터리군(S3)과 배터리군(S1R, S1L, S2R, S2L)을 수동 조작으로 전기적으로 접속 혹은 차단하는 릴레이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배터리 어셈블리(22)의 전기 회로를 스위치 박스(35)에서, 배터리군(S3)의 배터리(3)가 구성하는 배터리 유닛(38R)과, 좌우의 직사각형 영역(26F)에 위치하는 배터리군(S1R, S1L과 S2R, S2L)의 배터리(3)가 구성하는 배터리 유닛(38F)으로 분단하고 있다. 배터리 유닛(38F)과 배터리 유닛(38R)의 단자간 전압은 SAEJ2344에 준하여 동등하게 설정된다. 배터리 유닛(38F)과 배터리 유닛(38R)의 배터리(3)의 적층수는 모두 24개이다. 수동 릴레이(35a)와 휴즈(35b)가 스위칭 장치를 구성한다.
정션 박스(36)는 배터리 유닛(38F)의 정극 단자와 인버터(14)를 전기적으로 접속 혹은 차단하는 메인 컨택터(36a)와, 배터리 유닛(38R)의 부극 단자와 인버터(14)를 전기적으로 접속 혹은 차단하는 서브 컨택터(36b)를 구비한다.
또한, 정션 박스(36)에는 저항(36d)과 프리챠지 컨택터(36e)를 직렬로 접속한 프리챠지 회로(36c)가 메인 컨택터(36a)와 병렬로 설치된다. 메인 컨택터(36a), 서브 컨택터(36b) 및 프리챠지 컨택터(36e)의 개폐는 전술한 제어 유닛(45)이 출력하는 개폐 신호에 의해 행해진다. 정션 박스(36) 내에, 배터리 유닛(38F와 38R)의 단자간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나, 배터리 유닛(38F와 38R)의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를 설치해도 좋다. 메인 컨택터(36a), 서브 컨택터(36b), 저항(36d) 및 프리챠지 컨택터(36e)가 결선 장치를 구성한다.
스페이스(G) 내에 있어서, 스위치 박스(35)는 정션 박스(36)보다도 인버터(14)로부터 먼 위치, 즉 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스위치 박스(35)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유닛(38F)과 배터리 유닛(38R)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스위치 박스(35)는 물리적 배치에 있어서도, 배터리 유닛(38F)과 배터리 유닛(38R)의 중간점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하네스(34)를 짧게 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정션 박스(36)는, 도 10에 있어서 배터리 유닛(38F, 38R)과 전기 장치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물리적으로도 정션 박스(36)를 스위치 박스(35)의 전방에 배치하는 것이, 하네스(34)를 짧게 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전기 장치가 배터리 어셈블리(22)의 후방에 배치되는 차량에서는, 반대로 정션 박스(36)를 스위치 박스(35)의 후방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을 참조하여, 스위치 박스(35)의 지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스위치 박스(35)는 빔(24c)에 고정된 서포트(47)에 지지된다. 서포트(47)는 스위치 박스(35)를 고정하는 데크(53)와, 데크(53)를 빔(24c)에 지지하는 4기의 다리부(49)를 구비한다. 4기의 다리부(49)는 각각 볼트(51)로 빔(24c)에 고정된다. 스위치 박스(35)는 데크(53)에 볼트(55)로 고정된 플레이트(35d)를 구비한다.
수동 릴레이(35a)는 플레이트(35d)로부터 상향으로 돌출 설치된 기부(35c)와 기부(35c)에 축(39)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레버(37)를 구비한다. 조작 레버(37)를 축(39)을 지지점으로 상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배터리 유닛(38F)과 제2 배터리 유닛(38R)의 전기적 접속이 차단된다. 휴즈(35b)는, 예를 들어 기부(35c)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다리부(49)를 구비한 서포트(47)로 스위치 박스(35)를 지지함으로써, 다리부(49) 사이의 스페이스를 하네스(34)의 배선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데크(53)를 케이스(22a)에 고정하면 케이스(22a)의 강성의 강화에 바람직한 효과가 얻어진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스위치 박스(35) 내의 수동 릴레이(35a)를 차실(2) 내로부터 조작하기 위해, 수동 릴레이(35a)의 상방을 덮는 케이스(22a)와 플로어 패널(16)에 개구부(22b)가 형성된다. 또한, 개구부(22b)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리드(39)가 설치된다. 스위치 박스(35)는 좌우의 프론트 시트(32F) 사이에 위치한다. 스위치 박스(35)를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프론트 시트(32F)를 이동시키지 않고 리드(39)의 개폐 및 수동 릴레이(35a)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스위치 박스(35)는 다른 위치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를 참조하여, 스위치 박스(35)의 지지 구조에 관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서포트(47) 대신에, 서포트(61)를 사용하여 스위치 박스(35)를 빔(24c)에 지지한다.
서포트(61)는 데크(53)와 보톰(bottom) 플레이트(63)와, 데크(53)를 보톰 플레이트(63)에 지지하는 4기의 다리부(67)를 구비한다. 데크(53)와 보톰 플레이트(63)와 다리부(67)는 미리 일체로 형성된다. 보톰 플레이트(63)는 볼트(65)에 의해 빔(24c)에 고정된다.
서포트(61)를 사용하여 스위치 박스(35)를 지지하는 경우에도, 제1 실시예에 의한 서포트(47)로 스위치 박스(35)를 지지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네스(34)의 배치 스페이스의 확보에 관한 바람직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서포트(61)는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서포트(47)보다 높은 스위치 박스(35)의 지지 강성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스위치 박스(35)의 지지 구조에 관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위치 박스(35)를 빔(24c)에 지지하는 대신에, 제1 배터리 유닛(38F)으로 지지한다.
즉, 제1 배터리 유닛(38F)을 구성하는 배터리군(S2R와 S2L)에 걸치는 지지 플레이트(71)를 설치하여, 스위치 박스(35)의 플레이트(35d)를 지지 플레이트(71)에 볼트(55)로 고정한다.
지지 플레이트(71)는 4개의 볼트(75)에 의해 배터리군(S2R와 S2L)에 고정된다.
이 실시예에 의해서도, 제1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위치 박스(35)의 하방에 스페이스가 확보되므로 하네스(34)를 효율적으로 배선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 관하여 2009년 2월 24일을 출원일로 하는 일본에 있어서의 일본 특허 출원 제2009-41227호와 2009년 7월 17일을 출원일로 하는 일본에 있어서의 일본 특허 출원 제2009-169005호의 내용을 여기에 인용에 의해 합체한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개의 특정한 실시 형태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각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이들 실시 형태에 다양한 수정 혹은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배터리(3)의 형상은 반드시 편평한 직육면체가 아니라도 좋다. 또한, 모든 배터리(3)가 반드시 동일한 치수와 형상일 필요도 없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배터리 유닛(38F)으로서 2개의 배터리군(S1R, S1L과 S2R, S2L)을 설치하고 있지만, 제1 배터리 유닛(38F)을 1개의 배터리군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빔(24c)의 상방에 스페이스(G)를 형성함으로써, 배터리군(S1R, S1L과 S2R, S2L)을 좌우로 분할하고 있지만, 차체 하부의 폭(W)과 배터리(3)의 치수에 따라서는, 스페이스(G)를 형성하지 않고, 제1 배터리 유닛(38F)의 배터리 스택을 차량 횡단 방향으로 간극 없이 배열해도 좋다.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은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차량(1)의 형상에 맞추어 다양하게 설계 변경 가능하다. 거더(24w)와 빔(24c)을 T자형으로 결합하는 대신에, 십자형으로 교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은 본 발명에 관하여 필수의 요건은 아니고,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을 개재하지 않고 차량(1)에 배터리(3)를 탑재하는 경우에도, 수직 방향 적층부와 차량 횡단 방향 적층부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바람직한 전후 방향 중량 밸런스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배터리 어셈블리(22)의 전기 회로도 본 발명에 관하여 필수의 요건은 아니고, 복수의 배터리(3)를 탑재하는 차량에 있어서는, 배터리(3)의 전기 회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분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탑재 구조는 전기 차량에 적합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가 포함하는 배타적 성질 혹은 특징은 이하와 같이 청구된다.

Claims (22)

  1. 차량(1)의 플로어 패널(16)의 하측에 복수의 배터리(3)를 배치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에 있어서,
    각각이 배터리 단자(3a)를 갖는 복수의 배터리로 구성되는 배터리군(S1R, S1L)과,
    상기 배터리군(S1R, S1L)에 관한 전기적 접속을 접속 또는 차단하는 접속 제어 기기(35a, 35b, 36a, 36b, 36d, 36e)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군(S1R, S1L)은 스페이스(G)를 사이에 두고 복수 배치되고,
    상기 접속 제어 기기(35a, 35b, 36a, 36b, 36d, 36e)와 상기 배터리 단자(3a)가 상기 스페이스(G)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터리군(S1R, S1L)이 제1 배터리 유닛(38F)을 구성하는 한편, 상기 접속 제어 기기(35a, 35b, 36a, 36b, 36d, 36e)를 통해 상기 제1 배터리 유닛(38F)과 접속되는, 복수의 배터리(3)로 구성된 제2 배터리 유닛(38R)을 더 구비하고, 상기 차량(1)은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유닛(38F, 38R)의 전력을 사용하는 전기 기기(12, 13, 14)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배터리 유닛(38F)은 상기 제2 배터리 유닛(38R)보다 상기 전기 기기(12, 13, 14)의 근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 유닛(38F)과 상기 제2 배터리 유닛(38R)과 상기 전기 기기(12, 13, 14)는 차량 종단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배터리군(S1R, S1L)은 차량 횡단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스페이스는 차량 종단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제어 기기(35a, 35b, 36a, 36b, 36d, 36e)는 상기 제1 배터리 유닛(38F)과 상기 제2 배터리 유닛(38R)을 전기적으로 접속 및 차단하는 스위칭 장치(35a, 35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제어 기기(35a, 35b, 36a, 36b, 36d, 36e)는 직렬로 접속된 제1 배터리 유닛(38F) 및 제2 배터리 유닛(38R)과, 전기 기기(12, 13, 14)의 접속을 제어하는 결선 장치(36a, 36b, 36d, 36e)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터리군(S1R, S1L)은 2개의 제1 배터리군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배터리 유닛(38F)은 상기 2개의 배터리군의 후방에 2개의 제2 배터리군(S2R, S2L)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배터리군(S2R, S2L)은 상기 제1 배터리군의 스페이스(G)에 연속되는 스페이스(G)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1)은 프론트 시트(32F)와, 리어 시트(32R)와, 상기 프론트 시트(32F)와 상기 리어 시트(32R) 사이에 설치된 플로어(33)를 구비하는 차실(2)과, 상기 차실(2)의 차량 종단 방향 전방에 형성된 프론트 컴파트먼트(11)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배터리군은 상기 프론트 시트(32F)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배터리군(S2R, S2LR, S2R, S2LL)은 상기 플로어(33)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배터리 유닛(38R)은 상기 리어 시트(32R)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제어 기기(35a, 35b, 36a, 36b, 36d, 36e)는 상기 차실(2) 내로부터 수동 조작되어, 상기 차실(2) 내에 노출되는 조작 부재(35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10.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 유닛(38F)과 상기 제2 배터리 유닛(38R)과 상기 접속 제어 기기(35a, 35b, 36a, 36b, 36d, 36e)는 차량(1)의 플로어 패널(16)의 하측에 고정하기 위해, 미리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에 배터리 어셈블리(22)로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은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이루는 직사각형 프레임(23)과,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23)의 내측에 고정된 보강 부재(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은 차량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단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보강 부재(24)는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23)의 내측에 차량 횡단 방향으로 고정된 거더(24w)와, 상기 거더(24w)와 상기 전단부 부재를 접속하여 T자의 평면 형상을 형성하는 빔(24c)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 유닛(38F)은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23)의 내측의 상기 빔(24c)의 양측에 배치되고, 직사각형의 상기 제2 배터리 유닛(38R)은 상기 거더(24w)를 사이에 두고 상기 빔(24c)과 반대측이며,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1)은 상기 배터리 탑재 프레임(21)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4, 6, 9, 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제어 기기(35a, 35b, 36a, 36b, 36d, 36e)는 상기 제1 배터리 유닛(38F)과 상기 제2 배터리 유닛(38R)을 전기적으로 접속 및 차단하는 스위칭 장치(35a, 35b)와, 직렬로 접속된 상기 제1 배터리 유닛(38F) 및 상기 제2 배터리 유닛(38R)과, 상기 전기 기기(12, 13, 14)의 접속을 제어하는 결선 장치(36a, 36b, 36d, 36e)를 구비하고, 상기 결선 장치(36a, 36b, 36d, 36e)는 상기 스위칭 장치(35a, 35b)보다도 상기 전기 기기(12, 13, 14)의 근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 유닛(38F)과 상기 제2 배터리 유닛(38R)과 상기 접속 제어 기기(35a, 35b, 36a, 36b, 36d, 36e)는 미리 케이스(22a)에 수납 장착된 상태로 상기 차량(1)의 상기 플로어 패널(16)의 하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12, 13, 14)는 상기 차량(1)의 주행용 동력원으로서의 전동 모터(12)와 관련 장치(13, 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제어 기기(35a, 35b, 36a, 36b, 36d, 36e)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군(S1R, S1L) 내부의 전기적인 접속과 차단을 행하는 스위칭 장치(35a, 35b)를 구비하고, 배터리 탑재 구조는 상기 스위칭 장치(35a, 35b)를 상기 스페이스(G)의 저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진 위치에 지지하는 지지 부재(47, 61, 71)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터리군(S1R, S1L)을 수납 장착하는 케이스(22a)를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22a)와 상기 플로어 패널(16)에 상기 스위칭 장치(35a, 35b)에 면하는 개구부(22b)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47, 61, 71)는 스위칭 장치(35a, 35b)를 고정하는 데크(53)와, 데크(53)를 지지하는 다리부(49, 6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21.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47, 61, 71)는 상기 스페이스(G)의 양측의 배터리군에 걸쳐서 상기 스페이스(G)의 양측의 배터리군에 고정된 지지 플레이트(71)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스위칭 장치(35a, 35b)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71)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탑재 구조.
  22. 차량(1)의 플로어 패널(16)의 하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배터리(3)를 구비한 배터리 어셈블리에 있어서,
    각각이 배터리 단자(3a)를 갖는 복수의 배터리(3)로 구성되는 배터리군(S1R, S1L)과,
    상기 배터리군(S1R, S1L)에 관한 전기적 접속을 제어하는 접속 제어 기기(35a, 35b, 36a, 36b, 36d, 36e)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군(S1R, S1L)은 스페이스(G)를 사이에 두고 복수 배치되고,
    상기 접속 제어 기기(35a, 35b, 36a, 36b, 36d, 36e)와 상기 배터리 단자(3a)가 스페이스(G)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어셈블리.
KR1020117019523A 2009-02-24 2010-02-19 배터리 탑재 구조 KR1016066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41227 2009-02-24
JPJP-P-2009-041227 2009-02-24
JP2009169005 2009-07-17
JPJP-P-2009-169005 2009-07-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436A KR20110112436A (ko) 2011-10-12
KR101606612B1 true KR101606612B1 (ko) 2016-03-25

Family

ID=42665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523A KR101606612B1 (ko) 2009-02-24 2010-02-19 배터리 탑재 구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766347B2 (ko)
EP (1) EP2402193B1 (ko)
JP (4) JP5163804B2 (ko)
KR (1) KR101606612B1 (ko)
CN (1) CN102317097B (ko)
BR (1) BRPI1011225A2 (ko)
CA (1) CA2753116C (ko)
MX (1) MX338345B (ko)
MY (1) MY160128A (ko)
RU (1) RU2489271C2 (ko)
WO (1) WO20100984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53464A1 (de) * 2010-12-03 2012-06-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ahmenstruktur für ein Kraftfahrzeug, hintere Rahmenstruktur und Fahrzeugkarosserie
US8875828B2 (en) 2010-12-22 2014-11-04 Tesla Motors, Inc. Vehicle battery pack thermal barrier
US20120161472A1 (en) 2010-12-22 2012-06-28 Tesla Motors, Inc. System for Absorbing and Distributing Side Impact Energy Utilizing an Integrated Battery Pack
US8702161B2 (en) 2010-12-22 2014-04-22 Tesla Motors, Inc. System for absorbing and distributing side impact energy utilizing an integrated battery pack and side sill assembly
US8833499B2 (en) 2010-12-22 2014-09-16 Tesla Motors, Inc. Integration system for a vehicle battery pack
EP2671777B1 (en) * 2011-02-03 2017-07-05 Teijin Limited Vehicle floor structure
JP5549647B2 (ja) * 2011-06-23 2014-07-1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
KR101273080B1 (ko) * 2011-07-21 2013-06-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장착구조
CN202174925U (zh) * 2011-07-29 2012-03-2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动力电池的安装结构
CN202174924U (zh) * 2011-07-29 2012-03-2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动力电池的安装结构
JP5740284B2 (ja) * 2011-10-28 2015-06-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高電圧制御機器ユニットの搭載構造
US20130162075A1 (en) * 2011-12-21 2013-06-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able Assembly for an Electric Vehicle that Includes Floor Supported and Sub-Floor Components
FR2984811B1 (fr) * 2011-12-22 2014-02-2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Vehicule hybride hydraulique a stockeur d'energie electrique implante de maniere optimisee
JP5970870B2 (ja) * 2012-03-06 2016-08-17 スズ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電気部品取り付け構造
FR2987789A1 (fr) * 2012-03-12 2013-09-1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Vehicule a batteries rechargeables montees en serie
JP6118051B2 (ja) 2012-08-31 2017-04-19 矢崎総業株式会社 サービスプラグの浸水防止取付構造
JP5958545B2 (ja) * 2012-09-14 2016-08-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載用バッテリパックの圧力開放構造
DE102013016100A1 (de) * 2013-09-27 2015-04-16 Audi Ag Energiespeicheranordnung
JP6171946B2 (ja) * 2014-01-22 2017-08-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パックを搭載した自動車
US9187136B1 (en) * 2014-08-01 2015-11-17 Honda Motor Co., Ltd. Structural pan for automotive body/frame
US20160093848A1 (en) * 2014-09-30 2016-03-3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Modular approach for advanced battery modules having different electrical characteristics
JP6136075B2 (ja) * 2014-11-14 2017-05-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6167096B2 (ja) 2014-11-18 2017-07-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バッテリユニット
JP6629515B2 (ja) * 2015-03-25 2020-01-15 株式会社Subaru 車載用バッテリー
CN107848386B (zh) * 2015-07-27 2020-06-12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辆
CN105128644B (zh) * 2015-09-29 2017-08-22 北京理工大学 一种分布式四轮轮毂电机驱动电动汽车的动力电池组的布置结构
JP6680872B2 (ja) * 2016-04-14 2020-04-1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装置
CN206086908U (zh) * 2016-09-05 2017-04-1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辆
KR102085344B1 (ko) * 2016-10-24 2020-04-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JP6631472B2 (ja) * 2016-11-07 2020-0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JP6729340B2 (ja) * 2016-12-14 2020-07-22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装置
JP6884570B2 (ja) * 2016-12-19 2021-06-09 マレリ株式会社 組電池
CA3051817C (en) * 2017-01-30 2020-05-26 Nissan Motor Co., Ltd. Vehicle-mounting structure for contactless power reception device
DE102017105709A1 (de) * 2017-03-16 2018-09-20 Thyssenkrupp Ag Batterieaufnahme mit Verstärkungsstruktur und Verwendung
JP7359527B2 (ja) 2017-05-31 2023-10-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搭載構造
DE102017118120B4 (de) * 2017-08-09 2022-11-0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lektrisch angetriebenen Fahrzeugs
CN107644962B (zh) * 2017-08-11 2024-02-02 长沙先度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包箱体与单体锂电池的连接结构
JP6400808B1 (ja) * 2017-08-28 2018-10-03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組電池
JP2019040813A (ja) * 2017-08-28 2019-03-14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リレー及び組電池
WO2019044291A1 (ja) * 2017-08-31 2019-03-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
US10710635B2 (en) 2017-12-18 2020-07-14 Honda Motor Co., Ltd. Autonomous all-terrain vehicle frame structure
JP6683744B2 (ja) * 2018-01-23 2020-04-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バッテリユニット
JP6954154B2 (ja) * 2018-01-30 2021-10-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フロア構造
DE102018207536A1 (de) * 2018-05-15 2019-11-21 Audi Ag Hochvoltbatterie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JP7004219B2 (ja) 2018-05-23 2022-01-2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源装置
JP6743098B2 (ja) * 2018-08-31 2020-08-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のバッテリパック
JP7189711B2 (ja) * 2018-09-19 2022-12-14 株式会社Subaru 車載用バッテリ
JP7135813B2 (ja) * 2018-12-10 2022-09-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
JP7110974B2 (ja) * 2018-12-26 2022-08-0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給電システム及び自動車
JP7124719B2 (ja) * 2019-01-11 2022-08-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CN110323385A (zh) * 2019-07-08 2019-10-11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电池包以及车辆
JP7264070B2 (ja) * 2020-01-20 2023-04-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の搭載構造
JP7372228B2 (ja) * 2020-11-25 2023-10-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池パック搭載車両
JP7348159B2 (ja) * 2020-12-04 2023-09-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力制御ユニットのケーブル接続部構造
JP2022111787A (ja) * 2021-01-20 2022-08-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搭載用電池パック
JP7396321B2 (ja) * 2021-03-31 2023-12-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ユニットおよび車両
CN115347294A (zh) * 2021-05-14 2022-11-15 中创新航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包
DE102022112734A1 (de) 2022-05-20 2023-11-2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atteriesystem und Fahrzeu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9986A (ja) * 2002-06-11 2004-01-15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電気自動車の車体構造

Family Cites Families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5681A (en) 1980-12-22 1982-12-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Battery support structure
JP3324172B2 (ja) 1993-01-22 2002-09-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フロア構造
US5501289A (en) 1993-01-22 1996-03-26 Nissan Motor Co., Ltd. Floor structure of electric vehicle
JP3350189B2 (ja) * 1993-04-30 2002-11-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ボックス装置
US5601942A (en) * 1993-08-31 1997-02-11 Vst Technologies, Inc. Portable battery pack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reof
JP3199296B2 (ja) 1993-12-06 2001-08-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組立構造
US5378555A (en) 1993-12-27 1995-01-03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US6085854A (en) 1994-12-13 2000-07-11 Nissan Motor Co., Ltd. Battery frame structure for electric motorcar
JP3309671B2 (ja) 1995-10-11 2002-07-2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強電部品搭載構造
US5858568A (en) * 1996-09-19 1999-01-12 Ztek Corporation Fuel cell power supply system
RU2113366C1 (ru) 1997-04-07 1998-06-20 Пименов Борис Иванович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н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тяге
JP2000038035A (ja) 1998-07-21 2000-02-08 Honda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ブレーカボックス取付け構造
JP2000040535A (ja) * 1998-07-21 2000-02-08 Honda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冷却構造
US20030209375A1 (en) 1999-01-25 2003-11-13 Zip Charge Corporation Electrical vehicle energy supply system, electrical vehicle battery, electrical vehicle battery charging apparatus, battery supply apparatus, and electrical vehicle battery management system
US6893757B2 (en) * 2001-01-26 2005-05-17 Kabushikikaisha Equos Research Fuel cel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fuel cell apparatus
US6632560B1 (en) 2001-01-29 2003-10-14 Shijian Zhou Retention frame for a battery pack
JP4303430B2 (ja) * 2001-07-02 2009-07-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二次電池および組電池
DE60206719T2 (de) * 2001-09-17 2006-05-11 Nissan Motor Co., Ltd., Yokohama Zusammengesetzte Batterie
JP2004026008A (ja) 2002-06-25 2004-01-29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電気自動車
US7052799B2 (en) 2002-06-27 2006-05-30 Vocollect, Inc. Wearable terminal with a battery latch mechanism
JP2004127747A (ja) 2002-10-03 2004-04-22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搭載車両
JP4096718B2 (ja) 2002-11-28 2008-06-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イポーラ電池、バイポーラ電池の製造方法、組電池および車両
JP4127046B2 (ja) 2002-12-20 2008-07-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自動車
US6833215B2 (en) 2003-01-03 2004-12-21 The Gillette Company Alkaline cell with flat housing
US6986969B2 (en) 2003-01-03 2006-01-17 The Gillette Company Alkaline cell with flat housing and improved current collector
JP4078998B2 (ja) 2003-02-04 2008-04-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バッテリ搭載構造
JP4178986B2 (ja) 2003-02-13 2008-11-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気機器の搭載構造
RU2260538C2 (ru) 2003-07-03 2005-09-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роект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ая фирма "Автодизайн" Полое днище легк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JP4281109B2 (ja) 2003-12-11 2009-06-1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補機診断システム
KR20050100436A (ko) 2004-04-14 2005-10-19 주식회사 에이티티알앤디 화물 운반용 전기자동차
JP4606095B2 (ja) * 2004-08-31 2011-01-05 三洋電機株式会社 車両用の電源装置
JP4848733B2 (ja) 2004-10-22 2011-12-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組電池
JP2006182295A (ja) 2004-12-28 2006-07-13 Honda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車体構造
JP4984404B2 (ja) * 2005-03-03 2012-07-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源ユニット
WO2006109413A1 (ja) * 2005-03-30 2006-10-1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二次電池の冷却構造
CN2816566Y (zh) 2005-04-04 2006-09-13 袁仕杰 手持充电式光电子照明灯具
KR200388941Y1 (ko) 2005-04-11 2005-07-07 남정태 동물 알람 시계
US20070009787A1 (en) 2005-05-12 2007-01-11 Straubel Jeffrey B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cooling, connecting and protecting batteries
US7641017B2 (en) 2005-06-02 2010-01-05 Honda Motor Co., Ltd. Fuel cell vehicle
CN100429805C (zh) 2005-06-16 2008-10-2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车电池包
CN100429806C (zh) 2005-06-20 2008-10-2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动车电池包
US7896115B2 (en) 2005-07-08 2011-03-01 Honda Motor Co., Ltd. Fuel cell vehicle
JP5467705B2 (ja) 2006-03-24 2014-04-09 Hoya株式会社 磁気ディスク用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磁気ディスクの製造方法
JP2007280806A (ja) 2006-04-07 2007-10-25 Nissan Motor Co Ltd 電池用電極
JP2007314989A (ja) 2006-05-24 2007-12-06 Sumitomo Bakelite Co Ltd 陸屋根建物における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設置方法
JP2007323729A (ja) 2006-05-31 2007-12-13 Alpine Electronics Inc ディスクプレーヤ
JP4812529B2 (ja) 2006-06-14 2011-1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源装置および車両
JP2007331669A (ja) 2006-06-16 2007-12-27 Toyota Auto Body Co Ltd バッテリー支持部材
JP5153097B2 (ja) * 2006-07-31 2013-02-27 三洋電機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
CN200977849Y (zh) * 2006-12-04 2007-11-21 吴建中 蓄电池电动汽车的动力电池组布置结构
JP4420018B2 (ja) * 2006-12-28 2010-02-2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搭載構造
JP4345812B2 (ja) 2006-12-28 2009-10-1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搭載構造
JP4434213B2 (ja) * 2007-01-26 2010-03-1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搭載構造
JP2008260382A (ja) 2007-04-11 2008-10-30 Toyota Motor Corp 車両
JP2009041227A (ja) 2007-08-07 2009-02-26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プレキャスト床版の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JP5045340B2 (ja) 2007-09-28 2012-10-1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
JP4910964B2 (ja) * 2007-09-28 2012-04-0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
JP5194687B2 (ja) 2007-09-28 2013-05-0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ユニット
JP4386131B2 (ja) * 2007-12-05 2009-12-1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
JP4306783B2 (ja) * 2007-12-14 2009-08-0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ユニット取付構造
JP5317480B2 (ja) 2008-01-15 2013-10-16 カンタツ株式会社 撮像レンズ
JP5061941B2 (ja) * 2008-02-18 2012-10-3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バッテリ搭載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9986A (ja) * 2002-06-11 2004-01-15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電気自動車の車体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02193A1 (en) 2012-01-04
MY160128A (en) 2017-02-28
JPWO2010098418A1 (ja) 2012-09-06
JP5163804B2 (ja) 2013-03-13
CN102317097B (zh) 2015-12-02
JP5333643B2 (ja) 2013-11-06
CA2753116A1 (en) 2010-09-02
EP2402193A4 (en) 2014-06-04
EP2402193B1 (en) 2015-09-30
CN102317097A (zh) 2012-01-11
MX338345B (es) 2016-04-13
US10766347B2 (en) 2020-09-08
JP2013060195A (ja) 2013-04-04
JP2013010503A (ja) 2013-01-17
RU2489271C2 (ru) 2013-08-10
KR20110112436A (ko) 2011-10-12
RU2011139113A (ru) 2013-04-10
JP2013067381A (ja) 2013-04-18
JP5333642B2 (ja) 2013-11-06
WO2010098418A1 (ja) 2010-09-02
CA2753116C (en) 2013-08-06
MX2011008827A (es) 2011-09-21
BRPI1011225A2 (pt) 2018-04-17
US20110300427A1 (en) 201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612B1 (ko) 배터리 탑재 구조
KR101626638B1 (ko) 배터리 탑재 구조
JP5083454B2 (ja) バッテリ搭載構造
RU2684972C1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установки аккумуляторной батареи
JP2022540234A (ja) 自動車用アンダーボディ
JP2019050170A (ja) 車両のバッテリ搭載構造
JP7490609B2 (ja) 車両用バッテ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927

Effective date: 20141014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212

Effective date: 2015091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016

Effective date: 201510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