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3463B1 -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 스위치 시스템을 위한 리세팅 장치 및 자동차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 스위치 시스템을 위한 리세팅 장치 및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463B1
KR101603463B1 KR1020147020379A KR20147020379A KR101603463B1 KR 101603463 B1 KR101603463 B1 KR 101603463B1 KR 1020147020379 A KR1020147020379 A KR 1020147020379A KR 20147020379 A KR20147020379 A KR 20147020379A KR 101603463 B1 KR101603463 B1 KR 101603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tting device
steering
spring
intermediate piece
trigger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0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6132A (ko
Inventor
라이너 립퍼트
마르틴 하쉬
칼 지모니스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샬터 운트 센소렌 게엠베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샬터 운트 센소렌 게엠베아 filed Critical 발레오 샬터 운트 센소렌 게엠베아
Publication of KR20140116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4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having mechanical, electric or electronic automatic return to inoperative position
    • B60Q1/4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having mechanical, electric or electronic automatic return to inoperative position having mechanical automatic return to inoperative position due to steering-wheel position, e.g. with roller wheel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4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having mechanical, electric or electronic automatic return to inoperative position
    • B60Q1/4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having mechanical, electric or electronic automatic return to inoperative position having mechanical automatic return to inoperative position due to steering-wheel position, e.g. with roller wheel control
    • B60Q1/4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having mechanical, electric or electronic automatic return to inoperative position having mechanical automatic return to inoperative position due to steering-wheel position, e.g. with roller wheel control using a latching element for resetting a switch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5/00Springs
    • H01H2235/004Two parallel coil sp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582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 스위치 시스템(1)을 위한 리세팅 장치(6)에 관한 것이며, 이 리세팅 장치는, 스티어링 칼럼 스위치 시스템(1)의 작동 레버(2)가 작동 위치로부터 시작 위치로 될 수 있게 하는 트리거링 요소(10)와, 트리거링 요소(10)가 비작동 위치와, 작동 레버(2)가 시작 위치로 될 수 있는 트리거링 위치 사이에서 피벗축(35)을 중심으로 피벗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중간 피스(22)로서, 중간 피스(22) 상의 트리거링 요소(10)는 또한 피벗축(35)에 수직인 활주 방향(28)으로 변위가능하도록 상에 장착되는, 상기 중간 피스(22)와, 활주 방향(28)에 평행하게 작용하고, 트리거링 요소(10)가 사전응력(prestressed) 방식으로 중간 피스(22) 상에 배열되게 하는 스프링력을 생성하기 위한 스프링 요소(27)와, 전이의 경우에, 작동 레버(2)에 대한 중간 피스(22)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이 스프링(33, 34)을 구비한 전이-보호 시스템(32)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전이 스프링(33, 34) 및 스프링 요소(27)는 활주 방향(28)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 스위치 시스템을 위한 리세팅 장치 및 자동차{RESETTING DEVICE FOR A STEERING COLUMN SWITCH SYSTEM OF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스티어링-칼럼 스위치 유닛(steering-column switch unit)의 작동 레버가 작동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트리거링 요소(triggering element)를 갖고, 트리거링 요소가 휴지 위치(rest position)와 트리거링 위치(여기서 작동 레버는 초기 위치로 이동될 수 있음) 사이에서 피벗축을 중심으로 피벗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중간 피스(intermediate piece)를 갖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 스위치 유닛을 위한 리세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트리거링 요소는, 또한 피벗축에 수직인 활주 방향으로 변위가능하도록 중간 피스 상에 장착된다. 리세팅 장치는 스프링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프링 요소를 또한 포함하는데, 이 스프링력은 활주 방향에 평행하게 작용하고, 이 스프링력에 의해 트리거링 요소는 중간 피스 상에 예하중(preload) 하에 배열된다. 리세팅 장치는, 스위치 오버라이드 상황에서, 작동 레버에 대한 중간 피스의 이동을 허용하며 이에 따라 트리거링 요소 또는 중간 피스의 파괴를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을 구비한 스위치 오버라이드 보호 유닛을 또한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유형의 리세팅 장치를 갖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스티어링-칼럼 스위치를 위한 리세팅 장치(이른바 방향 지시기 리세팅 수단)는 이미 종래 기술의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어, 문헌 US 6,186,022 B1 호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구동되고 이어서 스티어링-칼럼 스위치 또는 작동 레버의 그것의 초기 위치로의 리세팅을 수행하는, 텅(tongue) 또는 핑거(finger)의 형태의 트리거링 요소를 갖는 상기 유형의 리세팅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트리거링 요소는 한편으로는 피벗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트리거링 요소는 또한 구체적으로 활주 방향으로 변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여기서 트리거링 요소는 또한 스프링 요소의 예하중 하에 배열된다. 트리거링 요소가 스티어링 휠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구동될 때, 트리거링 요소는 스티어링-칼럼 스위치를 다시 그것의 초기 위치로 밀어낸다.
스티어링-칼럼 스위치를 위한 리세팅 장치가 또한 문헌 DE 694 14 867 T2 호로부터 알려져 있다.
일반적인 리세팅 장치가 또한 DE 44 18 328 A1 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리세팅 장치는, 스위치 오버라이드 상황에서(스티어링 휠이 다시 중심 위치를 향해 회전할 때 자동차 운전자가 스티어링-칼럼 스위치에 힘을 가하는 경우), 작동 레버에 대한 트리거링 요소의 이동을 허용하며 이에 따라 트리거링 요소의 파괴를 방지하는 스위치 오버라이드 보호 수단을 추가로 갖는다. 상기 스위치 오버라이드 보호 수단은 일반적으로, 소정의 힘의 작용 하에서 편향되며 이에 따라 리세팅 유닛의 파괴를 방지하는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을 포함한다.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의 배열로 인해, 전체로서 리세팅 장치가 특별히 컴팩트한 디자인으로 실현될 수 없다는 것이 종래 기술의 불리한 점인 것으로 여겨진다. 다수의 구성요소로 인해, 기계적 허용오차(tolerance)가 비교적 많은 비용에 의해서만 보상될 수 있다는 것이 추가의 불리한 점이다.
도입부에 언급된 일반적인 유형의 리세팅 장치가 특별히 컴팩트한 구성을 갖고서 실현될 수 있게 하는 해결책을 명시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 목적은 각각의 독립 청구항의 특징을 갖는 리세팅 장치에 의해 그리고 자동차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가 종속 청구항,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규정된다.
자동차의 스티어링-칼럼 스위치 유닛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세팅 장치는 스티어링-칼럼 스위치 유닛의 작동 레버가 작동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트리거링 요소를 포함하고, 또한 트리거링 요소가 휴지 위치와 트리거링 위치(여기서 작동 레버는 초기 위치로 이동될 수 있음) 사이에서 피벗축을 중심으로 피벗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중간 피스를 포함한다. 트리거링 요소는 또한 피벗축에 수직인 활주 방향으로 변위가능하도록 중간 피스 상에 장착된다. 활주 방향에 평행하게 작용하고 트리거링 요소가 중간 피스 상에 예하중 하에 배열되게 하는 스프링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프링 요소가 제공된다. 리세팅 장치는, 스위치 오버라이드 상황에서, 작동 레버에 대한 중간 피스의 이동을 허용하며 이에 따라 트리거링 요소의 파괴를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을 구비한 스위치 오버라이드 보호 유닛을 또한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 및 스프링 요소는 활주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 및 스프링 요소를 서로 인접하게, 특히 서로 평행하게 배열하는 접근법을 따른다. 이는 그것의 스프링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의 돌출부가 스프링 요소와 교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 및 스프링 요소가 서로 일렬식 구성으로 또는 직렬로 그리고 서로 정렬되어 배열되기 때문에 리세팅 장치의 컴팩트한 디자인이 가능하지 않으며, 이는 더욱이 전체적인 스프링 배열이 비교적 길기 때문에 기계적 허용오차가 어렵게만 보상될 수 있다는 불리한 점을 또한 갖는다는 인식에 기초하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 및 스프링 요소가, 특히 스프링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각자의 스프링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다면, 리세팅 장치가 종래 기술에서보다 더 컴팩트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는 인식에 기초하고 있다. 따라서, 리세팅 장치는 특별히 컴팩트하고, 또한 상당한 이점이 기계적 허용오차에 관해서 달성되는데, 그 이유는 2개의 스프링이 더 이상 서로 직렬로 배열되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 및 다른 한편으로는 스프링 요소가 스프링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인접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 요소의 길이의 적어도 주된 부분(및 특히 스프링 요소 전체)이 스프링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과 중첩된다는 것이 특히 여기서 제공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이점이 완전히 시행된다.
스위치 오버라이드 보호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그것의 작동 위치에서 디텐트 작용(detent action)에 의해 작동 레버와 맞물리는 디텐트 구조물을 갖는 디텐트 부품 상에 배열된다.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이 일측부에서 디텐트 부품 상에 지지되고, 타측부에서, 상기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이 중간 피스(이 중간 피스 상에는 작동 레버를 리세팅하는 역할을 하는 트리거링 요소가 또한 장착됨) 상에 지지될 수 있다는 것이 특히 여기서 제공된다. 스위치 오버라이드 보호 유닛의 그러한 배열은 리세팅 장치의 훨씬 더 컴팩트한 디자인을 실현하는 역할을 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은 일측부에서 중간 피스 상에 지지되고 타측부에서 디텐트 부품 상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중간 피스가 스위치 오버라이드 상황에서 강성 디텐트 부품에 대해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여, 트리거링 요소가 또한 디텐트 부품에 대해 이동되고, 트리거링 요소의 파괴가 방지된다. 또한, 이 실시예는 리세팅 장치의 특별히 컴팩트한 디자인을 실현하는 역할을 한다.
리세팅 장치는 또한, 제 2 피벗축을 중심으로 피벗가능하고 작동 레버가 연결될 수 있는 드라이버 부품(driver part)을 가질 수 있다. 드라이버 부품은 피벗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특히 스티어링 스핀들의 방향으로 드라이버 부품의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아암(arm)을 가질 수 있으며, 이 아암 상에는 트리거링 요소의 페그(peg)를 위한 가이드(guide), 특히 슬롯형 가이드(slotted guide)가 형성된다. 트리거링 요소의 페그는 초기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의 작동 레버의 이동 동안에 슬롯형 가이드 또는 가이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트리거링 요소는, 사실상, 드라이버 부품의 아암 상에 배열되며, 이에 따라 드라이버 부품, 및 이에 따라 작동 레버를 초기 위치로 특히 효과적인 방식으로 밀어낼 수 있다.
가이드 반대편에 위치되는 아암의 측에, 작동 레버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관련된 추가의 접촉 요소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접촉 요소가 배열된다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드라이버 부품의 아암은 기본적으로 2가지의 상이한 기능을 수행한다: 첫째, 트리거링 요소를 안내하는 기능, 및 둘째, 작동 레버에 할당된 자동차 기능, 다시 말해서 예를 들어 방향 지시기가 활성 및 비활성될 수 있게 하는 전기 스위치의 기능. 이러한 실시예는 또한 드라이버 부품의 아암이 일측부에서 트리거링 요소와, 타측부에서 인쇄 회로 기판(이 인쇄 회로 기판 상에는 추가의 접촉 요소가 장착됨)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중간 피스는 바람직하게는, 피벗축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트리거링 요소가 그 상에 장착되거나 지지되는 가이드 표면을 갖는다. 여기서, 피벗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트리거링 요소를 가이드 표면에 대해 가압하는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트리거링 요소는 중간 피스의 가이드 표면에 기대도록 배열될 수 있으며, 이 가이드 표면은 트리거링 요소의 피벗축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여기서 트리거링 요소가 가이드 표면에 대해(다시 말해서, 피벗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가압되게 하는 가압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트리거링 요소가 피벗축의 방향으로 유극(play) 없이 중간 피스 상에 배열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그러한 배열에 의해, 작동 레버의 리세팅 동안에 덜거덕거리는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동차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는 방해가 되는 소음이 없으며,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자동차를 운전할 때의 자동차 운전자의 편안함이 개선되는 것이 달성된다.
언급된 수단은 스프링력이 가이드 표면을 향해 트리거링 요소에 작용하여, 스프링력이 가이드 표면에 대해 트리거링 요소를 가압하거나 사전로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력은 특히, 트리거링 요소의 피벗축에 평행한 방향의 힘 성분을 가지며 이에 따라 가이드 표면에 대해 트리거링 요소를 가압하는, 언급된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력일 수 있다. 스프링력에 의해, 허용오차가 보상되는 것이 가능하여, 트리거링 요소가 언제가 유극 없이 중간 피스 상에 배열되거나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요소가 활주 방향으로 변위가능하도록 중간 피스 상에 장착되어(이 슬라이드 요소는 일측부에서 스프링 요소를 통해 중간 피스의 벽 상에 지지되고, 타측부에서 트리거링 요소 상에 지지됨),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력이 슬라이드 요소를 통해 트리거링 요소에 가해지며, 이에 따라 트리거링 요소가 활주 방향으로 예하중 하에 중간 피스 상에 배열되는 것이 제공된다. 상기 유형의 슬라이드 요소에 의해, 첫째로, 활주 방향으로의 트리거링 요소의 예하중이 많은 비용 없이도 그리고 컴팩트한 방식으로 실현되는 것이 가능하고, 둘째로, 이러한 방식으로 트리거링 요소가 효과적인 방식으로 가이드 표면에 대해 가압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슬라이드 요소 및/또는 스프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트리거링 요소가 가이드 표면에 대해 가압되게 하는 상기에 언급된 수단의 구성 부품이다.
슬라이드 요소가, 피벗축에 수직으로 그리고 트리거링 요소의 방향으로 돌출하고, 가이드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트리거링 요소의 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대며, 피벗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트리거링 요소를 가이드 표면에 대해 가압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유형의 돌출부에 의해, 스프링의 힘 성분이 피벗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발생되는 것이 가능하여, 비용 및 구조적 공간에 대해 관련된 불리한 점을 갖는 추가의 스프링 요소의 사용이 제거된다. 임의의 경우에 제공되는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력은, 상기 유형의 돌출부에 의해, 2개의 힘 성분, 구체적으로 활주 방향의 힘 성분 및 피벗축에 평행한 방향의 힘 성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여기서, 트리거링 요소가 그 상에 지지되는 지지 베벨(bevel)을 돌출부가 갖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그렇다면, 큰 비용 없이도, 활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프링 요소의 힘 성분이 피벗축에 평행한 그리고 이에 따라 활주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발생되는 것을 달성하는 것이 구체적으로 가능하다. 더욱이, 지지 베벨은 한편으로는 슬라이드 요소의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트리거링 요소의, 서로를 향하는, 각자의 대면 측이 서로에 대해 작은 간격을 갖고서 배열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스프링력이 지지 베벨을 통해(특히 오로지 지지 베벨을 통해) 트리거링 요소로 전달된다. 이어서 상기 스프링력은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활주 방향의 힘 성분 및 그것에 수직인 힘 성분을 가지며, 이에 의해 트리거링 요소는 가이드 표면에 대해 가압된다. 특히, 지지 베벨은 활주 방향 또는 피벗축에 대해 30° 내지 60°의 각도로 연장된다.
슬라이드 요소는 중간 피스 내에 형성된 통로 개구를 통해 연장될 수 있고, 슬라이드 요소는 중간 피스의 추가의 가이드 표면 상에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이 추가의 가이드 표면은 트리거링 요소를 위한 가이드 표면 반대편에 위치되는 중간 피스의 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트리거링 요소가, 사실상, 일측부에서 그것의 가이드 표면과, 타측부에서 슬라이드 요소의 상기에 언급된 돌출부 사이에 클램핑되는 반면, 슬라이드 요소가 중간 피스의 통로 개구를 통해 추가의 가이드 표면 뒤에서 결합되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중간 피스 상에서의 슬라이드 요소 및 트리거링 요소의 안정한 그리고 미끄러짐 없는 배열이 보장된다.
슬라이드 요소 및 트리거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쪽을 향하는 각자의 대면 측을 갖는다. 대면 측 중 하나, 구체적으로 특히 슬라이드 요소의 대면 측은 바람직하게는 볼록한 곡률(curvature)을 갖는 반면, 다른 대면 측은 바람직하게는 오목한 곡률을 갖는다. 볼록한 곡률 반경이 오목한 곡률 반경보다 크거나 같은 것이 여기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 레버의 그것의 초기 위치로의 리세팅 이동 동안의 딸깍거리는 소음이 최소로 감소되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지지 베벨로 인해 작은 정도로 이격되어 유지되는 2개의 대면 측이 서로 접촉하게 되어 작동 레버의 리세팅 이동 동안에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트리거링 요소는, 긴 형태이고 특히 활주 방향으로 피벗축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텅 요소를 가지며, 이 텅 요소는 굽은 곳(bend)을 빠져나갈 때의 스티어링 복귀 이동 동안에, 또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 동안에 함께 구동되어, 스티어링-칼럼 스위치의 작동 레버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킨다. 베어링 부품이 피벗축에 평행하게 텅 요소로부터 돌출할 수 있으며, 이 베어링 부품을 통해 피벗축이 연장되고, 이 베어링 부품에 의해 트리거링 요소가 중간 피스 상에 장착된다. 상기 베어링 부품은, 중간 피스의 가이드 표면에 기대고 이에 따라 중간 피스 상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어링 부품은 특히 텅 요소와 단일 피스(one piece)로 형성된다. 트리거링 요소의 그러한 디자인에 의해, 한편으로는 텅 요소와, 다른 한편으로는 중간 피스 또는 베어링 부품 사이의 공간적 분리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중간 피스 자체는 심지어 텅 요소에 대한 임의적인 간격을 갖고서 배열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는 리세팅 장치의 정확한 기능 발휘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트리거링 요소를 위한 가이드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텅 요소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중간 피스의 측에 형성되고, 중간 피스는 바람직하게는, 베어링 부품이 관통 연장되어 가이드 표면 뒤에서 맞물리는 통로 개구를 갖는다. 따라서, 트리거링 요소가 트리거링 요소의 피벗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안정하고 덜거덕거림 없는 그리고/또는 유극 없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스티어링-칼럼 스위치 유닛 및 본 발명에 따른 리세팅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세팅 장치에 관하여 논의된 바람직한 실시예, 및 그것의 이점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에 대응하여 적용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이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도면으로부터, 그리고 도면의 설명으로부터 드러날 것이다. 발명의 내용에서 상기에 언급된 모든 특징 및 특징의 조합, 및 도면의 설명에서 하기에 언급되는 그리고/또는 도면에 단독으로 도시되는 특징 및 특징의 조합이, 각각 지정된 조합으로뿐만 아니라 다른 조합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해 그리고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해 본 발명이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칼럼 스위치 유닛을 개략 사시도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스티어링-칼럼 스위치 유닛의 확대도를 개략 사시도로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인쇄 회로 기판을 갖는 스티어링-칼럼 스위치 유닛을 개략 사시도로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스티어링-칼럼 스위치 유닛의 측면도를 개략도로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세팅 장치의 개별 구성요소를 개략 사시도로 도시하는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리세팅 장치의 여러 도면,
도 9 및 도 10은 리세팅 장치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아암을 갖는 드라이버 부품을 구비한 리세팅 장치를 개략 사시도로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트리거 요소가 드라이버 부품 상에 배열되어 있는 리세팅 장치를 개략 사시도로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개별 구성요소가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세팅 장치를 개략 사시도로 도시하는 도면,
도 14 내지 도 19는 리세팅 장치의 여러 도면, 및
도 20a 내지 도 20c는 각각, 드라이버 부품 및 이에 따라 작동 레버의 리세팅 이동이 보다 상세히 설명되어 있는, 스티어링-칼럼 스위치 유닛의 평면도.
도 1은 자동차에 설치될 수 있는 스티어링-칼럼 스위치 유닛(1)을 개략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스티어링-칼럼 스위치 유닛(1)은, 이 경우에, 제 1 및 제 2 작동 레버(2, 3)를 가지며, 여기서 예를 들어 제 1 작동 레버(2)는 자동차의 방향 지시기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작동 레버(2, 3)는 스티어링 스핀들(steering spindle)을 위한 리셉터클(receptacle)(5)이 형성되어 있는 스티어링 칼럼 부품(4) 상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된다. 리셉터클(5)은 대략 원형인 단면 형태를 가지며, 사실상, 스티어링 스핀들을 위한 슬리브를 구성한다. 적어도 제 1 작동 레버(2)(방향 지시기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함)는 리세팅 장치(6)에 할당되는데, 이 리세팅 장치(6)에 의해 작동 레버(2)는, 오로지 스티어링 휠(도시되지 않음)의 회전의 결과로서, 그것의 작동 위치(여기서 방향 지시기는 활성화됨)로부터 초기 위치(여기서 방향 지시기는, 구체적으로 자동적으로, 비활성화됨)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작동 위치(구체적으로 좌측 방향 지시기에 대해 하나의 작동 위치 및 우측 방향 지시기에 대해 하나의 작동 위치)가 제공된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2는 리세팅 장치(6)를 확대도로 도시하고 있다. 리세팅 장치(6)는 전기적 접촉 요소(8)가 부착된 드라이버 부품(7)에 할당된다.
작동 레버(2)가 그것의 작동 위치로 이동되면, 전기적 접촉 요소(8)는 인쇄 회로 기판(9)(도 3 참조) 상에 배열된 대응하는 접촉 요소와 접촉한다. 여기서, 접촉 요소(8)는 자동차의 조작 동안에 자동차 운전자 쪽을 향하는 드라이버 부품(7)의 측에 배열된다.
도 2로부터 또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세팅 장치(6)는, 굽은 곳(bend)을 빠져나갈 때의 스티어링 복귀 이동 동안에 스티어링 휠이 회전함에 따라, 스티어링 스핀들에 연결된 요소에 의해 함께 구동되며, 이에 따라 피벗되는 트리거링 요소(10)를 포함한다. 이 과정에서, 트리거링 요소(10)는 드라이버 부품(7)을 밀어내어, 작동 레버(2)가 초기 위치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드라이버 부품(7)은, 구체적으로 스티어링 스핀들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피벗축(11)을 중심으로 피벗가능하도록 스티어링 칼럼 부품(4) 상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작동 레버(2)는 드라이버 부품(7)에 연결된다. 여기서, 드라이버 부품(7)에 대한 작동 레버(2)의 피벗 운동이 가능하다는 것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초기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작동 레버(2)의 피벗 동안에, 드라이버 부품이 또한 부수적으로 이동되거나 부수적으로 피벗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드라이버 부품(7)이 또한, 구체적으로 피벗축(11)을 중심으로 초기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피벗가능하다.
도 3은 인쇄 회로 기판(9)을 갖는 스티어링-칼럼 스위치 유닛(1)을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추가의 작동 레버(12)를 또한 볼 수 있다. 상기 작동 레버(12)는 예를 들어 자동차 내의 앞유리 와이퍼 및/또는 추가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으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쇄 회로 기판(9)은 작동 레버(2, 3, 12) 모두에 공통인 인쇄 회로 기판이어서, 추가의 인쇄 회로 기판이 사용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 전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구성요소(14)가 드라이버 부품(7)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측(13)에서 인쇄 회로 기판(9)에 부착된다.
인쇄 회로 기판(9)은 스티어링 스핀들이 관통 연장되는(도 3에 도시되지 않음) 원형 통로 개구(15)를 갖는다. 상기 통로 개구(15)는 스티어링 스핀들을 위한 리셉터클(5)에 대해 동심으로 배열된다.
도 4는 리세팅 장치(6)의 측면도를 보다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드라이버 부품(7)의 디자인을 특별히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드라이버 부품(7)은, 중공체(hollow body)이고 작동 레버(2)의 디텐트 핀(detent pin)(17)이 관통 연장되는 본체(16)를 갖는다. 여기서, 디텐트 핀(17)은 디텐트 부품(18)까지 연장되며, 이 디텐트 부품(18) 상에는 작동 위치에서 그리고 초기 위치에서 디텐트 작용에 의해 디텐트 핀(17)과 맞물리는 디텐트 구조물이 형성된다. 상기 디텐트 구조물은 작동 레버(2) 쪽을 향하는 디텐트 부품(18)의 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디텐트 핀(17)은 디텐트 구조물에서 종료되고 디텐트 구조물을 따라 활주하며, 상기 디텐트 구조물 내에 형성된 디텐트 함몰부(depression) 내로 맞물릴 수 있다.
실질적으로 플레이트-유사 형태인 아암(20)이 드라이버 부품(7)의 본체(16)의 에지(19)로부터 돌출하며, 상기 에지는 인쇄 회로 기판(9) 쪽을 향하고, 이 아암은 드라이버 부품(7)의 피벗축(11)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스티어링 스핀들의 방향을 향한다. 따라서, 아암(20)은 본체(16) 또는 본체(16)의 에지(19)와 같은 높이로 종결되는 비교적 평평한 형태의 플레이트-유사 요소이다. 전기적 접촉 요소(8)는 인쇄 회로 기판(9) 쪽을 그리고 트리거링 요소(10)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아암(20)의 측(21)에 부착되며, 이 전기적 접촉 요소는, 구체적으로 작동 위치에서 인쇄 회로 기판(9)의 대응하는 접촉 요소와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촉 요소(8)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배치될 수 있는 대응하는 접촉 요소는 아암(20) 쪽을 향하는 인쇄 회로 기판(9)의 그 측에 부착된다.
대조적으로, 전자 구성요소(14)는 아암(20)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인쇄 회로 기판(9)의 그 측에 부착된다.
작동 레버(2)의 리세팅을 위한 트리거링 요소(10)는 접촉 요소(8) 반대편에 위치되는 아암(20)의 그 측에 위치된다. 상기 트리거링 요소(10)는, 하기에 추가로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아암(20)의 슬롯형 가이드 내에 그것의 페그(peg)에 의해 장착된다.
디텐트 부품(18), 및 또한 도 4에 전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은 중간 피스(22)가 또한 접촉 요소(8) 반대편에 위치되는 아암(20)의 그 측에 위치된다. 트리거링 요소(10)는 상기 중간 피스(22) 상에 장착된다.
리세팅 장치(6)의 일부 구성요소가 도 5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디텐트 부품(18)은 작동 레버(2) 쪽을 향하는 디텐트 부품(18)의 측(24)에 형성된 디텐트 구조물(23)을 갖는다. 상기 디텐트 구조물(23)은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작동 위치에서 그리고 초기 위치에서 작동 레버(2)의 디텐트 핀(17)이 그 내로 맞물리는 디텐트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리세팅 장치(6)는 나선형 스프링의 형태의 스프링 요소(27)가 그 내에 수용될 수 있는 슬리브(26)를 갖는 슬라이드 요소(25)를 또한 포함한다. 하기에 추가로 보다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요소(25)는, 구체적으로 피벗축(11)에 수직으로 배향된 활주 방향(28)으로 변위가능하도록, 디텐트 부품(18) 상에 또는 중간 피스(22) 상에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트리거링 요소(10)가 또한 중간 피스(22) 상에 피벗가능한 그리고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된다. 여기서, 트리거링 요소(10)는, 스트립 및 이에 따라 긴 디자인의 형태인 텅 요소(tongue element)(29)를 갖는다. 따라서, 텅 요소(29)는 짧은 바아의 형태이며, 그것으로부터 수직으로, 트리거링 요소(10)가 중간 피스(22)에 장착되게 하는 베어링 부품(30)이 돌출한다. 트리거링 요소(10)의 정확한 디자인이 하기에 추가로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트리거링 요소(10)는 베어링 부품(30) 반대편에 위치되는 텅 요소(29)의 그 측으로부터 돌출하는 페그(31)를 또한 가지며, 상기 페그는 베어링 부품(30)과 정렬된다.
리세팅 장치(6)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2개의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33, 34)을 포함하는 스위치 오버라이드 보호 유닛(32)을 또한 포함한다. 2개의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33, 34)은 나선형 스프링의 형태이다. 상기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33, 34)은 한 쪽에서 중간 피스(22) 상에 지지되며; 상기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은 다른 쪽에서 디텐트 부품(18) 상에 지지되고 활주 방향(28)을 따라 연장된다.
도 6 내지 도 8은 중간 피스(22)가 장착된 디텐트 부품(18)의 여러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스티어링-칼럼 스위치 유닛(1)에서, 디텐트 부품(18)은 스티어링 칼럼 부품(4)에 대해 이동불가능한 구성요소인데, 다시 말해서 디텐트 부품(18)은, 사실상, 드라이버 부품(7)이 그것에 대해 피벗되는 위치 고정된 요소를 구성한다. 대조적으로, 트리거링 요소(10)는 중간 피스(22) 상에 장착되며 이에 따라, 구체적으로 피벗축(11)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피벗축(35)을 중심으로, 디텐트 부품(18)에 대해 또한 피벗가능하다. 또한, 트리거링 요소(10)는 또한 피벗축(35)에 수직인 활주 방향(28)으로 변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여기서 스프링 요소(27)에 의해 탄성적으로 사전로딩된다.
중간 피스(22)가 또한, 구체적으로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33, 34)에 의해, 디텐트 부품(18) 상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러나, 중간 피스(22)와 디텐트 부품(18) 사이의 상기 상대적 이동은 스위치 오버라이드 상황에서만 발생된다.
도 7에, 중간 피스(22)가 트리거링 요소(10) 없이 도시되어 있어, 슬라이드 요소(25)를 또한 볼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 요소(27)는 슬라이드 요소(25)의 슬리브(26) 내에 위치된다(도 5 참조). 도 9a 및 도 9b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요소(25) 및 또한 트리거링 요소(10) 둘 모두는 중간 피스(22)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슬라이드 요소(25)는 디텐트 부품(18) 상에 장착되는 반면, 트리거링 요소(10)는 중간 피스(22) 상에 장착되는 것이 대안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이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되어 있다. 스프링 요소(27)를 또한 도 10a에서 볼 수 있다. 구성에 무관하게(그것이 도 9a 및 도 9b에 따른 배열이든지 또는 도 10a 및 도 10b에 따른 배열이든지) 리세팅 장치(6)의 작동 모드는 동일하다.
특히 도 10a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디텐트 부품(18)이 활주 방향(28)을 따라 긴 형태인 2개의 홈(36, 37)을 가지며, 이 홈은 중간 피스(22) 쪽을 향하는 디텐트 부품(18)의 측에 형성된다는 것은 모든 실시예에서 사실이다. 상기 홈(36, 37)은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33, 34)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스프링의 형상에 맞추어 구성된 형상을 갖는다. 홈(36, 37)은 각자의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33, 34)이 그 상에 지지되는 지지 요소(38, 39)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도면으로부터 드러나는 바와 같이) 스프링 요소(27)가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33, 34)의 레벨에 배열된다는 것이 실시예 모두에서 제공된다. 여기서, 스프링 요소(27)는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33, 34)에 평행하게, 그리고 또한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33, 34)에 인접하게, 스프링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위치한다. 이는 활주 방향(28)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스프링 요소(27)와 교차하는 가상의 선이 또한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33, 34)을 통해 수직으로 연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스프링 요소(27)가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33, 34) 사이에 배열되고 스프링 요소(27)의 스프링 축이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33, 34)의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게 하는, 스프링 요소(27)의 양쪽에의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33, 34)의 그러한 배열은 특히 리세팅 장치(6)의 컴팩트한 디자인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기계적 허용오차에 관하여 이점을 갖는다.
도 11은, 구체적으로 중간 피스(22), 트리거링 요소(10) 및 슬라이드 요소(25)와 함께, 드라이버 부품(7)을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도 11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 부품(7)의 본체(16)는 시종일관 개방되도록 형성된 공동(cavity)(40)을 갖는 중공체의 형태이다. 디텐트 핀(17)(도 4 참조)은 공동(40)을 통해 연장된다. 본체(16)로부터, 드라이버 부품(7)이 피벗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되게 하고 피벗축(11)을 한정하는 페그(41)가 돌출된다.
아암(20)의 측(42)(상기 측(42)은 측(21) 반대편에 위치되고 접촉 요소(8)가 그것에 부착됨)에는, 트리거링 요소(10)의 페그(31)를 위한 가이드를 구성하는 슬롯형 가이드(43)가 형성된다. 여기서, 아암(20)의 측(42)에는, 슬롯형 가이드(43)를 형성하는 벽(45)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 함몰부(44)가 형성된다. 벽(45) 및 이에 따라 슬롯형 가이드(43)는 삼각형 형태이고, 이 경우에 뾰족한 스타일로 수렴하는, 제 1 슬롯형-가이드 섹션(46) 및 제 2 슬롯형-가이드 섹션(47)을 갖는다. 상기 슬롯형-가이드 섹션은 서로 소정 각도를 이루는 선형의 슬롯형-가이드 섹션(46, 47)이며, 이 각도는 예를 들어 60° 내지 120°의 값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각도는 예를 들어 90°일 수 있다.
이어서 트리거링 요소(10)의 페그(31)가 벽(45)에 기대며, 상기 페그는 슬롯형 가이드(43)를 따라 안내되고, 이 과정에서 함몰부 내에 위치된다. 작동 레버(2)가 초기 위치에 위치된 때, 트리거링 요소(10)의 페그(31)는 슬롯형 가이드(43)의 팁(tip)(48)에 위치된다. 대조적으로, 작동 레버(2)가 작동 위치에 위치된 때, 페그(31)는, 구체적으로 작동 레버(2)가 피벗되는 방향에 좌우되는 방식으로, 각자의 슬롯형-가이드 섹션(46, 47)의 다른 단부에 기댄다. 여기서, 트리거링 요소(10)의 텅 요소(29)는 아암(20)의 표면(49) 상에서 활주하며, 상기 표면(49)은 양쪽에서 웨브(web)(50, 51)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웨브(50, 51)에서, 드라이버 부품(7)은 초기 위치로의 리세팅 이동 동안에 트리거링 요소(10)의 텅 요소(29)에 의해 밀어내진다. 따라서, 드라이버 부품(7)의 리세팅은, 구체적으로 텅 요소(29)에 의해 밀어내지는 상기 드라이버 부품의 각자의 웨브(50, 51)에 의해서 수행된다.
도 12는 그 상에 배열된 트리거링 요소(10), 및 중간 피스(22)와 함께 드라이버 부품(7)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트리거링 요소(10)의 페그(31)는 아암(20) 쪽을 향하고, 슬롯형 가이드(41) 상에서 활주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트리거링 요소(10)는 구체적으로 화살표(52)를 따라 피벗축(35)(도 6 참조)을 중심으로 피벗되는 것, 및 또한 활주 방향(28)으로 변위되는 것 둘 모두를 할 수 있다. 트리거링 요소(10)는 스프링 요소(27)의 스프링력에 의해 활주 방향(28)으로 사전로딩된다.
이제 도 13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트리거링 요소(10) 및 중간 피스(22), 및 또한 슬라이드 요소(25)의 구성이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여기서, 도 13은 서로 분리된, 트리거링 요소(10) 및 슬라이드 요소(25) 및 중간 피스(2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요소(25)는 스프링 요소(27)가 그 내에 수용되는 축방향 슬리브(26)를 갖는다. 슬라이드 요소(25)는, 활주 방향(28)을 향하고 결과적으로 베벨(bevel)(54)을 갖는 돌출부(53)를 갖는다. 슬라이드 요소(25)는 슬라이드 요소(25)가 장착되게 하는 2개의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칼라(collar)(55, 56)를 또한 갖는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트리거링 요소(10)는, 긴 형태이고 베어링 부품(30)이 그것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는 텅 요소(29)를 갖는다. 홈(57)이 베어링 부품(30)의 외측 원주 상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며, 이 홈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반원형의 전체적인 형태를 갖는다.
중간 피스(22)는 통로 개구(58)를 갖는다. 또한, 2개의 페그(59, 60)가 중간 피스(22) 상에 형성되며, 이 페그는 상기에 언급된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33, 34)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페그(59, 60)가 또한 활주 방향(28)을 향한다.
도 14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어링 부품(30)은 중간 피스(22)의 통로 개구(58)를 통해 연장되어, 베어링 부품(30)이 중간 피스(22)의 후방측 뒤에서 맞물린다. 여기서, 가이드 표면(61)이 중간 피스(22) 상에 형성되며, 여기서 베어링 부품(30)은 상기 가이드 표면에 기대어 그 상에서 활주한다. 따라서, 베어링 부품(30)은 가이드 표면(61) 뒤에서 맞물리며, 여기서 긴 형태의 텅 요소(29)는 중간 피스(22)의 반대편 측에 위치된다. 여기서, 중간 피스(22)의 통로 개구(58)의 에지가 베어링 부품(30)의 홈(57) 내로 맞물린다.
슬라이드 요소(25)가 또한 공통의 통로 개구(58)를 통해 연장되고, 일측부에서, 중간 피스(22)의 벽(62)(상기 벽은 통로 개구(58)의 경계를 정함) 상에 스프링 요소(27)를 통해 지지되며, 타측부에서, 베어링 부품(30) 상에 지지된다. 타측부에서, 트리거링 요소(10)는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드라이버 부품(7)의 슬롯형 가이드(43) 상에 지지된다(도 11 참조). 여기서, 슬라이드 요소(25) 및 또한 트리거링 요소(10) 둘 모두는 피벗축(11)에 수직인 활주 방향(28)으로 변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스프링 요소(27)의 스프링력으로 사전로딩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요소(25)는 유극(play) 없이 트리거링 요소(10)에 기댄다.
트리거링 요소(10)의 반대편 측이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슬롯형 가이드(43) 내에 장착된 페그(31)를 특별히 명확하게 볼 수 있다. 트리거링 요소(10)는 페그(31)에 의해 슬롯형 가이드(43) 내에 지지된다.
도 16으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중간 피스(22)는, 가이드 표면(61) 반대편에 위치되는 측에서, 슬라이드 요소(25)의 칼라(55, 56)가 기대며 이에 따라 슬라이드 요소(25)가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되는 추가의 가이드 표면(63)을 갖는다. 여기서, 슬라이드 요소(25)의 돌출부(53)는 중간 피스(22)의 반대편 측에, 또는 통로 개구(58)의 멀리 있는 측에 위치된다. 일측부에서, 슬라이드 요소(25)는 이에 따라 가이드 표면(63) 상에 칼라(55, 56)에 의해 유지되고; 타측부에서, 슬라이드 요소(25)는 트리거링 요소(10)의 베어링 부품(30) 상에 돌출부(53)에 의해 지지되어, 베어링 부품(30)이 돌출부(53)와 가이드 표면 사이에 클램핑된다.
이제 도 17을 참조하면, 베어링 부품(30)은 슬라이드 요소(25)의 돌출부(53)의 베벨(54)에 기댄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슬라이드 요소(25)의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베어링 부품(30)의, 서로 쪽을 향하는, 각자의 대면 측 사이에, 작은 공기 간극(gap)이 형성되며, 상기 대면 측은 서로에 대한 작은 간격을 갖고서 배열된다. 베어링 부품(30)은 베벨(54)과만 접촉하여, 베어링 부품(30)은 피벗축(35)에 평행한 힘 성분을 갖는 스프링력(64)을 받는다. 따라서, 피벗축(35)에 평행한 방향으로도 유극이 없는 배열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력(64)은 활주 방향(28)으로 그리고 또한 피벗축(35)을 따라 트리거링 요소(10)에 작용하여, 2개의 상이한 작용 방향이 단지 하나의 스프링 요소(27)에 의해 얻어진다.
도 18 및 도 19는 배열의 개략 평면도를 다시 한번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도 18에서, 트리거링 요소(10)는 휴지 위치에 위치되는 반면, 도 19에서, 트리거링 요소(10)는 트리거링 위치에 도시된다. 한편으로는 슬라이드 요소(25)의,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베어링 부품(30)의, 각자의 대면 측(65, 66)을 보는 것이 또한 가능하며, 이 대면 측은 서로 쪽을 향한다. 2개의 대면 측(65, 66)은 각각 곡률(curvature)을 갖는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요소(25)는 볼록한 대면 측(65)을 갖는 반면, 베어링 부품(30)의 대면 측(66)은 오목한 형태이고, 사실상, 볼록한 대면 측(65)으로 돌출한다.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요소(25)의 대면 측(65)의 곡률 반경이 베어링 부품(30)의 곡률 반경보다 크거나 같다는 것이 여기서 제공된다. 따라서, 작동 레버(2)의 리세팅 이동 동안의 딸깍거리는 소음이 제거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9에 도시된 트리거링 요소(10)의 트리거링 위치에서, 상기 트리거링 요소(10)는 드라이버 부품(7)을 각자의 웨브(50, 51)에 대해 가압하여, 드라이버 부품(7)이 초기 위치로 이동된다.
이제 도 20a 내지 도 20c를 참조하면, 작동 레버(2) 및 드라이버 부품(7)의 트리거링 과정이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0a에서, 드라이버 부품(7)은 작동 위치(여기서 방향 지시기는 활성화됨)에 위치된다. 이어서 자동차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회전시켜, 스티어링 스핀들에 연결된 요소(67)가 화살표(68)를 따라, 원호를 따라 스티어링 휠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어서 요소(67)는 트리거링 요소(10)를 작동시키며, 이 트리거링 요소(10)는 도 20a에 도시된 휴지 이치로부터 도 20b에 도시된 트리거링 위치로, 구체적으로 피벗축(35)을 중심으로, 피벗된다. 상기 위치에서, 트리거링 요소(10)는 드라이버 부품(7)을 밀어내어, 드라이버 부품(7)은 다시 초기 위치로 이동된다. 여기서, 페그(31)는 슬롯형 가이드(43)를 따라 활주하여, 트리거링 요소(10)가 또한 활주 방향(28)으로 약간 변위된다. 도 20c는 드라이버 부품(7)의 초기 위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때 트리거링 요소(10)는 다시 휴지 위치에 위치해 있다.

Claims (13)

  1. 자동차의 스티어링-칼럼 스위치 유닛(steering-column switch unit)(1)을 위한 리세팅 장치(6)로서,
    상기 스티어링-칼럼 스위치 유닛(1)의 작동 레버(2)가 작동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트리거링 요소(triggering element)(10)와,
    상기 트리거링 요소(10)가 휴지 위치(rest position)와, 상기 작동 레버(2)가 상기 초기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트리거링 위치(triggering position) 사이에서 피벗축(35)을 중심으로 피벗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중간 피스(intermediate piece)(22)로서, 상기 트리거링 요소(10)는 또한 상기 피벗축(35)에 수직인 활주 방향(28)으로 변위가능하도록 상기 중간 피스(22) 상에 장착되는, 상기 중간 피스(22)와,
    상기 활주 방향(28)에 평행하게 작용하고, 상기 트리거링 요소(10)가 상기 중간 피스(22) 상에 예하중(preload) 하에 배열되게 하는 스프링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프링 요소(27)와,
    스위치 오버라이드 상황(switch override situation)에서, 상기 작동 레버(2)에 대한 상기 중간 피스(22)의 이동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33, 34)을 구비한 스위치 오버라이드 보호 유닛(32)을 구비하는, 상기 리세팅 장치(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33, 34) 및 상기 스프링 요소(27)는 상기 활주 방향(28)에 수직인 방향에서 볼 때 서로 중첩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33, 34) 및 상기 스프링 요소(27)는 나선형 스프링의 형태이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칼럼 스위치 유닛을 위한 리세팅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오버라이드 보호 유닛(32)은 디텐트 작용(detent action)에 의해 상기 작동 레버(2)와 맞물리는 디텐트 구조물(23)을 갖는 디텐트 부품(18)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칼럼 스위치 유닛을 위한 리세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33, 34)은 일측부에서 상기 중간 피스(22) 상에 지지되고 타측부에서 상기 디텐트 부품(18) 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칼럼 스위치 유닛을 위한 리세팅 장치.
  5.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오버라이드 보호 유닛(32)은 2개의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33, 34)을 갖고, 상기 스프링 요소(27)는 상기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33, 34)에 평행하게 그리고 상기 스위치 오버라이드 스프링(33, 34)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칼럼 스위치 유닛을 위한 리세팅 장치.
  6.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팅 장치(6)는 제 2 피벗축(11)을 중심으로 피벗가능하고 상기 작동 레버(2)가 연결될 수 있는 드라이버 부품(driver part)(7)을 구비하며, 상기 드라이버 부품(7)은 상기 제 2 피벗축(11)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드라이버 부품(7)의 본체(16)로부터 돌출하는 아암(arm)(20)을 가지며, 상기 아암 상에는, 상기 트리거링 요소(10)의 페그(peg)(31)를 위한 가이드(guide)(4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칼럼 스위치 유닛을 위한 리세팅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43) 반대편에 위치되는 상기 아암(20)의 측(21) 상에는, 상기 작동 레버(2)가 상기 작동 위치에 있을 때, 관련된 추가의 접촉 요소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접촉 요소(8)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칼럼 스위치 유닛을 위한 리세팅 장치.
  8.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피스(22)는, 상기 피벗축(35)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트리거링 요소(10)가 기대는 가이드 표면(61)을 갖고, 상기 피벗축(35)에 평행하고 상기 가이드 표면(61)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트리거링 요소(10)를 상기 가이드 표면(61)에 대해 가압하는 수단(25, 27)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칼럼 스위치 유닛을 위한 리세팅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25, 27)은 스프링력(64)이 상기 가이드 표면(61)을 향해 상기 트리거링 요소(10)에 작용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칼럼 스위치 유닛을 위한 리세팅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요소(slide element)(25)가 상기 활주 방향(28)으로 변위가능하도록 상기 중간 피스(22) 상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드 요소는 일측부에서 상기 스프링 요소(27)를 통해 상기 중간 피스(22)의 벽(62) 상에 지지되고, 타측부에서 상기 트리거링 요소(10) 상에 지지되어, 상기 스프링 요소(27)의 스프링력이 상기 슬라이드 요소(25)를 통해 상기 트리거링 요소(10)에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칼럼 스위치 유닛을 위한 리세팅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요소(25)는, 상기 피벗축(35)에 수직으로 그리고 상기 트리거링 요소(10)의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가이드 표면(61)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상기 트리거링 요소(10)의 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대며, 상기 피벗축(35)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트리거링 요소(10)를 상기 가이드 표면(61)에 대해 가압하는 돌출부(5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칼럼 스위치 유닛을 위한 리세팅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53)는 상기 트리거링 요소(10)가 지지되는 지지 베벨(bevel)(5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칼럼 스위치 유닛을 위한 리세팅 장치.
  13. 스티어링-칼럼 스위치 유닛(1)와,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리세팅 장치(6)를 갖는
    자동차.
KR1020147020379A 2011-12-24 2012-11-29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 스위치 시스템을 위한 리세팅 장치 및 자동차 KR1016034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122445.2 2011-12-24
DE102011122445A DE102011122445A1 (de) 2011-12-24 2011-12-24 Rückstellvorrichtung für eine Lenkstockschalter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PCT/EP2012/073896 WO2013092150A1 (de) 2011-12-24 2012-11-29 Rückstellvorrichtung für eine lenkstockschalter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132A KR20140116132A (ko) 2014-10-01
KR101603463B1 true KR101603463B1 (ko) 2016-03-25

Family

ID=47501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0379A KR101603463B1 (ko) 2011-12-24 2012-11-29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 스위치 시스템을 위한 리세팅 장치 및 자동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51982B2 (ko)
EP (1) EP2794352B1 (ko)
JP (1) JP5893753B2 (ko)
KR (1) KR101603463B1 (ko)
CN (1) CN104185573B (ko)
DE (1) DE102011122445A1 (ko)
WO (1) WO20130921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81515B2 (ja) * 2016-01-14 2019-09-25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入力操作装置
JP2017190005A (ja) * 2016-04-12 2017-10-1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操作装置
JP6712532B2 (ja) 2016-10-31 2020-06-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方向指示機構
DE102017111052A1 (de) * 2017-05-22 2018-11-22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Schalter mit Umlenkhebel und großem Schaltweg
US11352046B2 (en) 2017-07-12 2022-06-07 Ka Group Ag Lever assembly for a steering column of a vehicle
DE102017120347A1 (de) 2017-09-05 2019-03-07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Rückstellvorrichtung für einen Lenkstockhebel
DE102018119801A1 (de) 2018-08-15 2020-02-20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Rückstellvorrichtung für eine Fahrrichtungsanzeigevorrichtung eines Fahrzeugs, Fahrtrichtungsanzeigevorrichtung und Fahrzeug
DE102019202444A1 (de) * 2019-02-22 2020-08-27 Zf Friedrichshafen Ag Bestückungselement für einen Ak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4427B2 (ja) 1999-06-16 2006-12-0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装置
KR100828580B1 (ko) 2006-12-12 2008-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다기능 스위치 레버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200865U (de) * 1972-05-10 Merit-Werk Merten & Co Kg Rückstelleinrichtung an Schaltern, insbesondere an Fahrtrichtungsschaltern für Kraftfahrzeuge
GB1221648A (en) * 1967-08-04 1971-02-03 Lucas Industries Ltd Direction indicator switches
DE8112331U1 (de) * 1981-04-25 1981-09-17 Fa. Leopold Kostal, 5880 Lüdenscheid Lenkstockschalter
DE3644142C1 (en) * 1986-12-23 1987-08-06 Kostal Leopold Gmbh & Co Kg Steering column switch for indicating the direction of travel in motor vehicles
DE4219393C1 (de) * 1992-06-13 1993-11-18 Kostal Leopold Gmbh & Co Kg Lenkstockschalter zur Fahrtrichtungsanzeige an Kraftfahrzeugen
US5385067A (en) 1993-09-13 1995-01-31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Turn signal cancellation mechanism
DE4418328C2 (de) 1994-05-26 2003-03-27 Teves Gmbh Alfred Rückstellvorrichtung für Blinkerrücksteller
DE19601794A1 (de) * 1996-01-19 1997-07-24 Teves Gmbh Alfred Überschaltsicherung für Lenkstockschalter mit automatischer Rückstellung
JPH10203234A (ja) 1997-01-20 1998-08-04 Tokai Rika Co Ltd ターンシグナルキャンセル機構
DE19758288B4 (de) 1997-12-31 2006-10-26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rehrichtungsgekoppelten Rückstellung eines Schalters
DE19904620B4 (de) 1999-02-05 2005-12-29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Einrastvorrichtung mit Rückstellfunktion für einen Blinkerschalter
JP2004237826A (ja) * 2003-02-05 2004-08-26 Asahi Denso Co Ltd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のキャンセル装置
FR2872111B1 (fr) 2004-06-23 2007-10-12 Sc2N Sa Ensemble integre pour l'alimentation de clignotants avec fonction de forcage evoluee
JP2006221933A (ja) * 2005-02-09 2006-08-24 Alps Electric Co Ltd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装置
JP4657198B2 (ja) * 2006-12-28 2011-03-23 東洋電装株式会社 車両用ターンシグナル制御装置
JP2009173198A (ja) * 2008-01-25 2009-08-06 Tokai Rika Co Ltd 車両用ターンレバー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4427B2 (ja) 1999-06-16 2006-12-0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装置
KR100828580B1 (ko) 2006-12-12 2008-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다기능 스위치 레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85573A (zh) 2014-12-03
JP5893753B2 (ja) 2016-03-23
US9651982B2 (en) 2017-05-16
EP2794352A1 (de) 2014-10-29
US20140339057A1 (en) 2014-11-20
CN104185573B (zh) 2017-12-22
EP2794352B1 (de) 2020-08-19
KR20140116132A (ko) 2014-10-01
JP2015508354A (ja) 2015-03-19
DE102011122445A1 (de) 2013-06-27
WO2013092150A1 (de) 201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3463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 스위치 시스템을 위한 리세팅 장치 및 자동차
CN106573641B (zh) 用于机动车辆的转向柱
JPH11506992A (ja) 方向指示キャンセル機構
JP2007533538A (ja) 自動車用の安全ステアリングコラム
JP2000148271A (ja) 調節可能ペダルの取付組立体
EP1707458B1 (en) Automotive windshield wiper switch
CN108027626B (zh) 具有致动阻尼的踏板装置
MX2015005497A (es) Modulo de accionamiento para un elemento de control, brazo de mando asi como modulo de brazo de mando.
US6796202B2 (en) Switch operating mechanism
JP2009523303A (ja) スイッチ、特に自動車用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スイッチ
US9902316B2 (en) Steering-column switch unit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having a steering-column switch unit
KR19990082203A (ko) 차량용 콜럼탑재 스윗치앗셈블리
US8680411B2 (en) On-vehicle lever switch
US6521851B2 (en) Brake lever conjunctive switch device
JP2008041616A5 (ko)
JPH10106398A (ja) レバースイッチ装置
JP3686277B2 (ja) 走行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1171384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CN212750697U (zh) 一种汽车转向灯控制开关的手动复位结构
JP2005047319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4206926A (ja) スイッチ装置
KR100972475B1 (ko)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
JP4349071B2 (ja) レバースイッチ
KR101029849B1 (ko) 중립핀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의 스티어링 롤 커넥터 장치
JP2006306362A (ja) 車両用自動変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