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580B1 - 자동차의 다기능 스위치 레버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다기능 스위치 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580B1
KR100828580B1 KR1020060126213A KR20060126213A KR100828580B1 KR 100828580 B1 KR100828580 B1 KR 100828580B1 KR 1020060126213 A KR1020060126213 A KR 1020060126213A KR 20060126213 A KR20060126213 A KR 20060126213A KR 100828580 B1 KR100828580 B1 KR 100828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ylinder
drive shaft
lever
helical gear
de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6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남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6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43Manually actuated switch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B60K31/0008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potential obstacles in vehicl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다기능 스위치 레버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레버의 길이 신축구조 및 조작력 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레버의 길이를 신축조절함과 아울러 조작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단을 상ㆍ하 케이스(14)(15)에 지지한 중공상의 레버 본체(10)와; 상기 레버 본체(10) 내에 제 1 구동축(21)을 지지하고, 상기 제 1 구동축(21)의 하단에 제 2 구동축(22)을 유니버설 조인트(23)로 연결하여 모터(24)로 구동하는 구동수단(20)과; 조작 스위치(31)의 하부에 지지원통(32)을 설치하여 상기 지지원통(32)과 제 1 구동축(21)의 상단을 기어로 이물림한 지지원통 신축수단(30)과; 상기 제 2 구동축(22)과 디텐트 수단(51) 사이에 설치하고, 상ㆍ하 케이스(14)(15)에 지지한 조작력 조절기구(50)로 구성한 것이다.
Figure R1020060126213
레버 본체, 구동수단, 제 1 구동축, 제 2 구동축, 유니버설 조인트, 지지원통 신축수단, 지지원통, 인터널 헬리컬 기어, 헬리컬 기어, 조작력 조절기구, 디텐트 수단, 디텐트 캡

Description

자동차의 다기능 스위치 레버 {MULTI-FUNCTION SWITCH LEVER OF AUTOMOBI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
도 3a,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레버 본체 20 : 구동수단 21 : 제 1 구동축
22 : 제 2 구동축 23 : 유니버설 조인트 30 : 지지원통 신축수단
32 : 지지원통 35,56 : 인터널 헬리컬 기어 36,57 : 헬리컬 기어
50 : 조작력 조절기구 51 : 디텐트 수단 55 : 디텐트 캡
본 발명은 자동차의 다기능 스위치 레버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레버의 길이 신축구조 및 조작력 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다기능 스위치(Multi-Function Switch)는 그 레버를 스티어링 컬럼에 설치한 브라켓에 스티어링 핸들의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하여 방향지시등 조작, 와이퍼 조작, 오토 크루즈 조작 등에 사용된다.
상기한 다기능 스위치는 레버의 외측단에 스위치를 설치하고, 레버의 하단을 상ㆍ하부 케이스에 지지하며, 상기 레버의 하단에 가동접점을 부설한 가동 플레이트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가동접점을 하부 케이스를 통하여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는 프린트 기판(PCB)으로 형성되고 고정접점을 형성한 고정 플레이트의 고정접점에 선택적으로 1개 이상 접촉되게 설치하여서, 상기 레버를 그 하단의 지지점을 지점으로 전ㆍ후ㆍ상ㆍ하 조작하여 스위치 기능을 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가동 플레이트에는 디텐트 스프링을 수납한 디텐트 핀을 설치하여 레버의 전ㆍ후ㆍ상ㆍ하 조작시 상기 디텐트 핀이 하부 케이스에 형성한 요철부 중 임의의 요철부에 삽입됨으로써 레버의 고정기능을 함과 아울러 자동차의 주행시 진동방지기능을 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다기능 스위치의 레버는 그 길이가 일정한 길이로 고정되어 있음으로 운전자의 다양한 신체조건, 예를 들면 손가락이 짧거나 긴사람, 손가락의 마디 절단 장애자 등이 레버를 상하 좌우 조작할 때 불편한 실정이다.
또한 그 조작력도 디텐트 스프링의 탄성에만 의존함으로 즉 부드러운 조작을 원하는 운전자나 강한 조작을 원하는 운전자 모두가 동일한 조작력 및 조작감으로 조작됨으로써 편의성이 떨어지고 운전자의 감성에 부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레버의 길이를 신축조절함과 아울러 조작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다기능 스위치 레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단을 상ㆍ하 케이스에 지지한 중공상의 레버 본체와; 상기 레버 본체 내에 제 1 구동축을 지지하고, 상기 제 1 구동축의 하단에 제 2 구동축을 유니버설 조인트로 연결하여 모터로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조작 스위치의 하부에 지지원통을 설치하여 상기 지지원통과 제 1 구동축의 상단을 기어로 이물림한 지지원통 신축수단과; 상기 제 2 구동축과 디텐트 수단 사이에 설치하고, 상ㆍ하 케이스에 지지한 조작력 조절기구로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로서, 10은 레버 본체로서, 상기 레버 본체(10)는 중공상으로 형성하여 그 하단에 지지부(11)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11)의 상하에 핀(12)(13)을 설치하여 상부 핀(12)은 상부 케이스(14)에 지지하고, 하부 핀(13)은 하부 케이스(15)에 요동운동할 수 있게 지지한 것이다.
20은 구동수단으로서, 상기 구동수단(20)은 제 1 구동축(21)을 상기 레버 본체(10)의 중공부에 지지하고, 상기 제 1 구동축(21)의 하단에 제 2 구동축(22)을 유니버설 조인트(23)로 연결하여 제 2 구동축(22)과 모터(24)를 V벨트 등의 전동수단(25)으로 연결하여서 모터(24)의 정ㆍ역구동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구동축(21) (22)이 레버 본체(10)의 상ㆍ하ㆍ좌ㆍ우 조작시에 일정각의 교차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하는 것이다.
30은 지지원통 신축수단으로서, 상기 지지원통 신축수단(30)은 조작 스위치 (31)의 하부에 지지원통(32)을 설치하여 상기 지지원통(32)과 제 1 구동축(21)의 상단을 기어로 이물림하여서 구동수단(20)이 정ㆍ역회전하면 지지원통(32)이 레버 본체(10) 내부로 진입하거나 돌출됨으로써 레버 본체(10)와 조작 스위치(31)의 상단 사이의 길이를 신축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원통(32)과 제 1 구동축(21)의 상단의 기어 이물림은 지지원통(32)에 인터널 헬리컬 기어(35)를 형성하고, 제 1 구동축(21)의 상단에 헬리컬 기어 (36)를 형성하여 인터널 헬리컬 기어(35)를 헬리컬 기어(36)에 이물림하여 지지원통(32)의 신축을 정확하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원통(32)과 레버 본체(10)의 상단에 지지원통 가이드수단(39)을 설치하여 지지원통(32)이 직선상으로 신축하게 함으로써 조작 스위치(31)의 조작오류를 방지하고, 상기 지지원통 가이드수단(39)은 지지원통(32)에 가이드 홈 (139)을 형성하고, 레버 본체(10)의 상단 내면에 가이드 돌기(140)를 형성하여 가이드 홈(139)을 가이드 돌기(140)에서 슬라이딩하게 한 것이다.
50은 조작력 조절기구로서, 상기 상ㆍ하 케이스(14)(15) 사이에 디텐트 수단(51)인 디텐트 핀(52)을 좌우 슬라이딩할 수 있게 지지함과 아울러 내부에 중공부(53)를 형성하여 디텐트 스프링(54)을 수납하고, 또한 상기 상ㆍ하 케이스(14) (15) 사이에 디텐트 캡(55)을 지지하여 그 일단을 상기 중공부(53)에 삽입하며, 상기 디텐트 캡(55)에 인터널 헬리컬 기어(56)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구동축(22)에 헬리컬 기어(57)를 형성하여 헬리컬 기어(57)를 인터널 헬리컬 기어(56)에 이물림하여 모터(24)의 구동시 디텐트 캡(55)을 상기 지지원통 신축수단(30)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며, 상기 디텐트 핀(52)의 자유단은 하부 케이스(15)의 측면에 형성한 요철부(절도산부)(58) 중 임의의 요철부(58)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게 하여 제 2 구동축(22)의 정ㆍ역회전에 따라 디텐트 캡(55)이 좌우 슬라이딩할 때 디텐트 스프링(54)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디텐트 핀(52)의 요철부(58)의 접촉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조작력을 조절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모터(24)에 모터제어스위치(59)가 설치되며, 상기 모터제어스위치(59)는 스티어링 컬럼 슈라우드(미도시)에 노출되게 설치하여 조작을 간편하게 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60은 프린트 기판(PCB)으로 형성되고 고정접점을 형성한 고정 플레이트이고, 61은 조작 스위치(31)와 PCB를 연결하는 와이어링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도 1과 같은 중립위치에서 레버의 길이를 신장시킬 때에는 모터제어스위치(59)를 A접점으로 절환하면 모터(24)는 정회전하고 구동수단 (20)의 제 1 및 제 2 구동축(21)(22)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1 및 제 2 구동축(21)(22)에 형성한 헬리컬 기어(36)(57)가 지지원통(32)과 디텐트 캡(55)을 각 구동축(21)(22)의 자유단 외측(도 3a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레버는 지지원통(32)이 이동한 거리만큼 신장되고, 한편 디텐트 캡(55)은 디텐트 핀 (52)의 중공부(53) 내로 삽입되면서 디텐트 스프링(54)을 압축함으로써 디텐트 핀 (52)의 요철부(58)의 접촉압력이 커지게 되어 조작력이 증대되는 것이다.
한편 레버의 길이를 축소시킬 때에는 모터제어스위치(59)를 B접점으로 절환하면 모터(24)와 제 1 및 제 2 구동축(21)(22)은 상기 신장시와 반대로 회전하고, 지지원통(32)과 디텐트 캡(55)은 각 구동축(21)(22)의 자유단 반대측으로 이동함으 로써 레버의 길이가 축소되고, 또한 디텐트 핀(52) 내에 수납한 디텐트 스프링(54)이 신장함에 따라 디텐트 핀(52)의 요철부(58)의 접촉압력이 감소되어 조작력이 작아지는 것이다.
상기한 작용은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부합시키기 위한 레버의 신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조작력을 증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하여 조작력 조절기구(50)를 조작하면 지지원통 신축수단(30)은 조작력의 증대 또는 감소에 비례하여 신장 또는 축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레버 본체 내에 구동수단인 제 1 및 제 2 구동축을 설치하여 레버 본체의 상단과 제 1 구동축에 지지원통 신축수단을 설치하고, 제 2 구동축에 조작력 조절기구를 설치하여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부합되게 레버의 길이를 신축조절함으로써 운전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것이다.
또한 레버의 조작력을 운전자의 팔힘에 부합되게 조절하여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부합된 조작감을 유지함으로써 팔의 피로를 줄이고 운전자 각 개인의 감성에 부합되는 운전을 할 수 있게 되어 운전을 즐거웁고 명랑하게 함과 아울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하단을 상ㆍ하 케이스에 지지한 중공상의 레버 본체와; 상기 레버 본체 내에 제 1 구동축을 지지하고, 상기 제 1 구동축의 하단에 제 2 구동축을 유니버설 조인트로 연결하여 모터로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조작 스위치의 하부에 지지원통을 설치하여 상기 지지원통과 제 1 구동축의 상단을 기어로 이물림한 지지원통 신축수단과; 상기 제 2 구동축과 디텐트 수단 사이에 설치하고, 상ㆍ하 케이스에 지지한 조작력 조절기구로 구성한 자동차의 다기능 스위치 레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원통과 제 1 구동축의 상단의 기어 이물림은 지지원통에 인터널 헬리컬 기어를 형성하고, 제 1 구동축의 상단에 헬리컬 기어를 형성하여 인터널 헬리컬 기어를 헬리컬 기어에 이물림한 자동차의 다기능 스위치 레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원통과 레버 본체의 상단에 지지원통 가이드수단을 설치한 자동차의 다기능 스위치 레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지지원통 가이드수단은 지지원통에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레버 본체의 상단 내면에 가이드 돌기를 형성하여 가이드 홈을 가이드 돌기에서 슬라이딩하게 한 자동차의 다기능 스위치 레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조작력 조절기구는 상ㆍ하 케이스 사이에 디텐트 핀을 좌우 슬라이딩할 수 있게 지지함과 아울러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여 디텐트 스프링을 수납하고, 상기 상ㆍ하 케이스 사이에 디텐트 캡을 지지하여 그 일단을 상기 중공부에 삽입하며, 상기 디텐트 캡에 인터널 헬리컬 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구동축에 헬리컬 기어를 형성하여 헬리컬 기어를 인터널 헬리컬 기어에 이물림하여 모터의 구동시 디텐트 캡을 지지원통 신축수단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 자동차의 다기능 스위치 레버.
  6. 제 1 항에 있어서, 모터에 모터제어스위치를 설치하며, 상기 모터제어스위치는 스티어링 컬럼 슈라우드에 노출되게 설치한 자동차의 다기능 스위치 레버.
KR1020060126213A 2006-12-12 2006-12-12 자동차의 다기능 스위치 레버 KR100828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213A KR100828580B1 (ko) 2006-12-12 2006-12-12 자동차의 다기능 스위치 레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213A KR100828580B1 (ko) 2006-12-12 2006-12-12 자동차의 다기능 스위치 레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8580B1 true KR100828580B1 (ko) 2008-05-09

Family

ID=39650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6213A KR100828580B1 (ko) 2006-12-12 2006-12-12 자동차의 다기능 스위치 레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85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463B1 (ko) 2011-12-24 2016-03-25 발레오 샬터 운트 센소렌 게엠베아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 스위치 시스템을 위한 리세팅 장치 및 자동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417B1 (ko) * 1995-12-21 1998-04-30 김태구 자동차의 레버스위치용 방진관장착구조
KR200158499Y1 (ko) 1996-12-30 1999-10-15 정몽규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구조
KR20000016827U (ko) * 1999-02-09 2000-09-25 정몽규 자동차의 가변 변속레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417B1 (ko) * 1995-12-21 1998-04-30 김태구 자동차의 레버스위치용 방진관장착구조
KR200158499Y1 (ko) 1996-12-30 1999-10-15 정몽규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구조
KR20000016827U (ko) * 1999-02-09 2000-09-25 정몽규 자동차의 가변 변속레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463B1 (ko) 2011-12-24 2016-03-25 발레오 샬터 운트 센소렌 게엠베아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 스위치 시스템을 위한 리세팅 장치 및 자동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52214B2 (ja) 車両用シフト装置
US7862084B2 (en) Vehicle steering apparatus
EP2033874B1 (en) Vehicle steering apparatus
KR20080039255A (ko) 모듈형 자동 트랜스미션 시프터
US9283983B2 (en) Tilt steering system
JPH069939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装置
US20110036194A1 (en) Shift device
KR100828580B1 (ko) 자동차의 다기능 스위치 레버
KR20080021689A (ko) 자동차 제어 장치
JP5547025B2 (ja) シフト装置
JP4695467B2 (ja) トラクタの変速操作装置
JP4973340B2 (ja) 車両用変速機のマニュアルプレート構造
JP5087826B2 (ja) トラクタ
KR101865759B1 (ko) 대시보드의 디스플레이 이동장치
JP2007076458A (ja) トラクタの変速操作装置
KR200197121Y1 (ko) 차량 운행용 보조스위치가 부착된 자동변속기 레버
JP3871553B2 (ja) ラックピニオン式舵取装置
JP3475711B2 (ja) 手動変速機の操作装置
KR20070048453A (ko)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KR100471898B1 (ko) 자동차 조향축용 텔레스코픽 장치
JPH0713105U (ja) 作業用走行車における変速レバーガイド構造
KR19980041159U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레버
KR101662541B1 (ko) 전자식 컴팩트 변속 레버
JP2001254824A (ja) 車両用変速機のケーブル式操作装置
KR200267319Y1 (ko) 자동차용 클러치 조작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