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8453A -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8453A
KR20070048453A KR1020050105568A KR20050105568A KR20070048453A KR 20070048453 A KR20070048453 A KR 20070048453A KR 1020050105568 A KR1020050105568 A KR 1020050105568A KR 20050105568 A KR20050105568 A KR 20050105568A KR 20070048453 A KR20070048453 A KR 20070048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select
cable
shif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5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5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8453A/ko
Publication of KR20070048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84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69Interrelationship between two or more final output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변속조작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콘솔 내부에서 차체에 힌지 결합되어 시프트/셀렉트 조작되는 시프트 레버와; 상기 시프트 레버와 연결되고, 상기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조작 방향으로 이동 가능토록 배치된 시프트 케이블과; 상기 시프트 케이블과 나란히 배치된 셀렉트 케이블과; 차체에 힌지 결합되어 셀렉트 조작시 상기 시프트 레버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셀렉트 케이블이 이동되게 하되, 시프트 조작시 상기 시프트 레버가 상대 이동되게 하는 셀렉트 전달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콘솔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고, 실내 공간이 보다 더 넓어질 수 있으며, 구조가 간소해진다.
자동차, 변속조작기구, 시프트 레버, 시프트 케이블, 셀렉트 케이블, 셀렉트 전달 레버

Description

차량의 변속조작기구{SHIFT APPARATUS OF AUTOMOBI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변속조작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변속조작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 콘솔 10 : 시프트 레버
12 : 시프트 케이블 14 : 셀렉트 케이블
20 : 셀렉트 전달 레버 22 : 레버 암
22A: 슬롯 24 : 케이블 암
본 발명은 차량의 변속조작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프트 레버의 셀렉트 조작력을 셀렉트 케이블에 전달하는 셀렉트 전달 레버에 상기 시프트 레버의 시 프트 조작시 상기 시프트 레버가 상대 이동될 수 있도록 슬롯이 형성된 차량의 변속조작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변속조작기구는 엔진과 구동바퀴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 상태에 변화에 따라 엔진의 구동력을 변속시키고 차량을 후진시키는 수동변속기를 운전자의 변속조작의지에 따라 변속 조작되게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변속조작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변속조작기구는, 운전자가 시프트(SI)/셀렉트(SE)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된 시프트 레버(100)와, 상기 시프트 레버(100)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시프트 레버(100)의 시프트 조작시 상기 시프트 레버(100)의 시프트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시프트 레버(100)의 시프트 조작력을 전달하는 시프트 케이블(102)과, 상기 시프트 케이블(102)과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시프트 레버(100)와 T자형 힌지(110)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시프트 레버(100)의 셀렉트 조작시 상기 시프트 레버(100)의 셀렉트 조작력을 전달하는 셀렉트 케이블(104)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프트 레버(100)는 차체에 볼 힌지(101)를 통해 힌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변속조작기구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시프트 레버(100)가 시프트 방향으로 조작되면, 상기 시프트 케이블(102)이 상기 시프트 레버(100)와 함께 상기 시프트 레버(100)의 시프트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시프트 레버(100)가 셀렉트 방향으로 조작되면, 상기 T자형 힌지(110)가 상기 시프트 레버(100)의 셀렉트 방향 조작력을 상기 시프트 레버(100)의 시프트 방향으로 변환하여 상기 셀렉트 케이블(104)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셀렉트 케이블(104)이 상기 시프트 레버(100)의 시프트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변속조작기구는 상기 T자형 힌지(110)가 상기 볼 힌지 (101) 근처에 위치되고 그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상기 시프트 레버(100)를 지지하는 콘솔이 좁은 소형 차량의 경우 설계 상 제약이 많고, 차량 실내를 좁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프트 레버의 하측부에 셀렉트 조작력을 셀렉트 케이블에 전달하는 셀렉트 전달 레버가 구비되되, 상기 셀렉트 전달 레버에 시프트 조작시 상기 시프트 레버가 상대 이동될 수 있도록 슬롯이 형성됨으로써, 콘솔 디자인 자유도가 높아질 수 있고 실내 공간의 여유를 더할 수 있는 차량의 변속조작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변속조작기구는 콘솔 내부에서 차체에 힌지 결합되어 시프트/셀렉트 조작되는 시프트 레버와; 상기 시프트 레버와 연결되고, 상기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조작 방향으로 이동 가능토록 배치된 시프트 케이블과; 상기 시프트 케이블과 나란히 배치된 셀렉트 케이블과; 차체에 힌지 결합되어 셀렉트 조작시 상기 시프트 레버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셀렉트 케이블이 이동되게 하되, 시프트 조작시 상기 시프트 레버가 상대 이동되게 하는 셀렉트 전달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셀렉트 전달 레버는 상기 시프트 레버가 시프트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토록 끼워지는 슬롯이 형성된 레버 암과, 상기 셀렉트 케이블과 연결된 케이블 암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 암과 케이블 암은 직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 암과 케이블 암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셀렉트 전달 레버는 상기 시프트 레버의 하측부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변속조작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변속조작기구는 콘솔(2) 내부에서 차체에 힌지 결합되어 시프트/셀렉트 조작되는 시프트 레버(10)와, 상기 시프트 레버(10)와 연결되고 상기 시프트 레버(10)의 시프트 조작 방향(SI)으로 이동 가능토록 배치된 시프 트 케이블(12)과, 상기 시프트 케이블(12)과 나란히 배치된 셀렉트 케이블(14)과, 상기 시프트 레버(10)의 하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시프트 레버(10)의 셀렉트 조작시 상기 셀렉트 케이블(14)이 상기 시프트 레버(10)의 시프트 조작 방향(SI)으로 이동되게 하는 셀렉트 전달 레버(20)로 구성된다.
상기 시프트 레버(10)는 볼 힌지(11)를 통해 차체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셀렉트 전달 레버(20)는 상기 시프트 레버(10)와 연결된 레버 암(22)과, 상기 셀렉트 케이블(14)과 연결된 케이블 암(24)으로 구성되고, 상기 레버 암(22)과 케이블 암(24) 사이에 위치된 부위가 차체에 힌지(20A) 결합된다.
상기 레버 암(22)은 상기 시프트 레버(10)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시프트 레버(10)가 끼워지는 슬롯(22A)이 형성되는데, 상기 레버 암(22)의 슬롯(22A)은 상기 시프트 레버(10)의 시프트 조작시 상기 시프트 레버(10)가 상기 시프트 레버(10)의 시프트 조작방향(SI)으로 상대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 암(24)은 상기 시프트 레버(10)가 상기 시프트 레버(10)의 셀렉트 조작방향(SE)으로 조작될 때, 상기 셀렉트 케이블(14)이 상기 시프트 레버(10)의 시프트 조작방향(SI)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레버 암(22)와 직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레버 암(22)과 컨트롤 암(24)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변속조작기구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시프트 레버(10)가 시프트 조작되면, 상기 시프트 레버(10)와 함께 상 기 시프트 케이블(12)이 상기 시프트 레버(10)의 시프트 조작방향(SI)으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시프트 레버(10)가 상기 레버 암(22)의 슬롯(22A)을 따라 상기 레버 암(22)을 건들지 않고 상기 레버 암(22)에 대하여 상대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셀렉트 전달 레버(20)가 상기 시프트 레버(10)에 의해 회전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셀렉트 케이블(14)이 움직이지 않는다.
반면, 상기 시프트 레버(10)가 셀렉트 조작되면, 도 3에 은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프트 레버(10)에 의해 상기 셀렉트 전달 레버(20)가 회전되고, 상기 셀렉트 케이블(14)이 상기 시프트 레버(10)의 시프트 조작방향(SI)으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셀렉트 케이블(14)은 상기 컨트롤 암(24)이 상기 셀렉트 전달 레버(20)의 힌지 (20A)를 중심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시프트 레버(10)의 셀렉트 조작 방향으로 약간 유동된다.
아울러, 상기 시프트 케이블(12) 또한 상기 시프트 레버(10)와 함께 상기 시프트 레버(10)의 셀렉트 조작방향으로 유동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변속조작기구는 시프트 레버의 셀렉트 조작력을 셀렉트 케이블에 전달하는 셀렉트 전달 레버가, 차체에 힌지 결합되어 셀렉트 조작시 상기 시프트 레버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셀렉트 케이블이 이 동되게 하되, 시프트 조작시 상기 시프트 레버가 상대 이동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셀렉트 전달 레버가 상기 시프트 레버의 하측부에 위치될 수 있어 콘솔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고, 실내 공간이 보다 더 넓어질 수 있으며, 상기 시프트 레버의 셀렉트 조작력을 상기 셀렉트 케이블에 전달하는 구조가 간소해진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콘솔 내부에서 차체에 힌지 결합되어 시프트/셀렉트 조작되는 시프트 레버와;
    상기 시프트 레버와 연결되고, 상기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조작 방향으로 이동 가능토록 배치된 시프트 케이블과;
    상기 시프트 케이블과 나란히 배치된 셀렉트 케이블과;
    차체에 힌지 결합되어 셀렉트 조작시 상기 시프트 레버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셀렉트 케이블이 이동되게 하되, 시프트 조작시 상기 시프트 레버가 상대 이동되게 하는 셀렉트 전달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전달 레버는 상기 시프트 레버가 시프트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토록 끼워지는 슬롯이 형성된 레버 암과, 상기 셀렉트 케이블과 연결된 케이블 암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암과 케이블 암은 직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암과 케이블 암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전달 레버는 상기 시프트 레버의 하측부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KR1020050105568A 2005-11-04 2005-11-04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KR200700484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568A KR20070048453A (ko) 2005-11-04 2005-11-04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568A KR20070048453A (ko) 2005-11-04 2005-11-04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453A true KR20070048453A (ko) 2007-05-09

Family

ID=38272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568A KR20070048453A (ko) 2005-11-04 2005-11-04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84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319B1 (ko) * 2009-08-21 2012-03-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인사이드 핸들 유닛
KR20190063720A (ko) * 2017-11-30 2019-06-10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조작감이 향상된 수동 변속기 기어 쉬프팅 레버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319B1 (ko) * 2009-08-21 2012-03-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인사이드 핸들 유닛
KR20190063720A (ko) * 2017-11-30 2019-06-10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조작감이 향상된 수동 변속기 기어 쉬프팅 레버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8088B2 (en) Apparatus for removing parking state of shift-by-wire shifting device
CN102428298B (zh) 带有机械式驻车锁操纵装置的线控换档设备
US10352435B2 (en) Integrated electronic shift lever assembly for vehicle
TW331546B (en) The shifting device for vehicle
JP2009202758A (ja) 自動車用変速機のシフト装置
ATE263689T1 (de) Steuereinheit für fahrzeug
US20050056109A1 (en) Shifting device for a shift-by-wire system
US20190072177A1 (en) Shift-by-wire vehicle shifting device for changing shift-range of vehicle among a plurality of shift-ranges based on manipulation made by driver
CN107869578B (zh) 用于电子换档系统的杆设备
JP5880397B2 (ja) 車両のシフト装置
KR20070048453A (ko)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JP4634941B2 (ja) シフト装置
CN104948722A (zh) 车辆用换挡操作设备
US6272944B1 (en) Shift lever system of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
KR20080054956A (ko) 수동 변속기용 자동 변속 조작 장치
JP4748416B2 (ja) 自動変速機
EP2515003B1 (en) Shifting device
JP2007057016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20220151186A (ko) 차량용 변속기의 조작 장치 및 차량
KR101013855B1 (ko)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 어셈블리
JP2010501403A (ja) 自動車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ための操作装置
JP2010501403A5 (ko)
US8225632B2 (en) Key interlock device for vehicle
KR20070049430A (ko) 수동 변속기의 콘트롤 샤프트 디텐트 구조
KR100737022B1 (ko) 자동변속기 파킹시스템의 디텐트 스프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