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2203A - 차량용 콜럼탑재 스윗치앗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콜럼탑재 스윗치앗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2203A
KR19990082203A KR1019980705930A KR19980705930A KR19990082203A KR 19990082203 A KR19990082203 A KR 19990082203A KR 1019980705930 A KR1019980705930 A KR 1019980705930A KR 19980705930 A KR19980705930 A KR 19980705930A KR 19990082203 A KR19990082203 A KR 19990082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assembly
collar
stark
track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드라간 보고비칸
파벨 부쿠
Original Assignee
로이드 디. 도이간
리어 코포레이션 이이디에스 앤드 인테리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이드 디. 도이간, 리어 코포레이션 이이디에스 앤드 인테리어스 filed Critical 로이드 디. 도이간
Publication of KR19990082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20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B60Q1/1469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스탈크스윗치앗셈블리는 차량의 조향칼럼에 설치가능하고, 이는 제어스탈크를 재치하는 궤도를 가지는 기초부를 포함구성한다. 이 제어스탈크(control stalk)는 궤도상에서 수납되는 칼라(collar)를 구비하는데, 이는 궤도를 따라 움직인다. 실시예에서는, 궤도가 제어스탈크용 피봇포인트로 되는데, 여기에서 피봇포인트는 스탈크와 궤도로부터 공간을 두어 떨어져 있다. 이 제어스탈크는 기초부에서 접촉점과 선택적인 전기접촉을 한다. 가동접촉부(moving contacts)가 전기접촉점과 접촉할 때면, 전기스윗치는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된다. 이 스윗치는 차량의 전회신호에 가장 유용하게 이용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콜럼탑재 스윗치앗셈블리
종래기술의 경우, 스윗치길이를 중개하는 점(point)에서 피봇팅되는 것으로 되어있다. 전기접촉부들은 통상 피봇점(pivot point)의 한쪽면상에 있고, 다른 바깥스탈크 스윗치는 피봇점의 반대편상에 있다.
차량제조자들은 예컨데 우회전, 좌회전과 그리고 회전이 없는 사이에서 피봇팅할 때 스탈크스윗치의 각운동범위를 제한하려고 하여 왔다. 스탈크스윗치의 바깥단부의 운동량이 제한되면, 피봇점의 반대편측에 있는 접촉부(contacts)의 움직임도 역시 줄어드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 접촉점의 가동이 이렇게 감소되면, 피봇팅스탈크스윗치가 움직일 때 만들어지고 부러지는 서로 다른 여러개의 접촉부사이에서 적절한 타이밍을 얻기가 어려워진다. 더우기, 이에 따라 초래되는 전체스윗치의 패키지사이즈는 바람직스럽지 못할 정도로 커지게 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상의 스탈크스윗치앗셈블리 ( A stalk switch assembly )는 전회신호시 전기스윗치용 좁은 프로필 봉함부(narrow profile envelope)내에서 높은 신뢰성을 제공한다. 이 앗셈블리는 궤도( track )위에서 안내되는 제어스탈크( control stalk )로 구성된다. 실시예에서는 스윗치는 이 스탈크스윗치앗셈블리로 부터 공간을 두고 떨어진 포인트에 관하여 기능적으로 피봇팅한다.
전기접촉부들은 궤도(track)에 인접위치된다.
따라서 전기접촉부들은 스탈크스윗치의 거의 전체움직임을 통해 가동된다.
이 움직임은 전기접촉부의 보다 많은 움직임을 가져오도록 궤도위에서 안내되는 것이다. 전기접촉부는, 따라서 비교적 커지게 되고, 예컨데 여러 접촉부사이에서 적절한 타이밍이 이루어지도록 만들어지기도 하고 부러지기도 할 때 접촉부들 사이에서 보다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즉, 스탈크스윗치가 궤도(track)상에서 안내되면 그때부터 스탈크스윗치용 피봇포인트는 궤도로부터 벗어나고 스탈크스윗치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게 된다. 따라서 스탈크스윗치에 필요한 폭은 작게 된다. 더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보다 많은 량의 접촉부의 움직임이 있게 된다.
실시예에서는, 제어스탈크에는 잠금점(locking point)과 스탈크의 칼럼단부(column end)에 배치되는 연장칼라(elongate collar)가 포함구성된다. 칼라와 연설되는 접촉부들은 스탈크스윗치앗셈블리의 기초부(base)에 배치된 전기접촉점과 선택적인 전기연결관계를 가진다.
개시된 실시예에서는, 잠금점에 스프링과 볼(ball)을 수납하는 구멍(bore)이 있다. 이 스프링은 기초부를 향하여 볼과 편기(bias)된다. 그리고 기초부에 있는 멈춤쇠(detents)속으로 편기된다. 두 개의 멈춤쇠는 연설된 접촉부들이 전기스윗치를 가동시키기 위해 전기회로를 완성하는 곳에서 "언(on)"위치로 정의된다. 다른 멈춤쇠는 전기회로가 만들어지든 안만들어지든 그곳에서 "어프(off)"위치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들은 다음의 명세서 및 첨부도면으로 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차량의 조향장치콜럼(Steering Column)상에 탑재되는 본 발명상의 스탈크스윗치앗셈블리(stalk switch assembly)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상의 스탈크스윗치앗셈블리의 조립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상의 스탈크스윗치앗셈블리의 일부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선 4-4 을 따라 잘라 본 스탈크스윗치앗셈블리의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예컨데 전회신호기능 즉, 방향바꿈신호기능(turn signal function)을 포함하는 하나이상의 전기적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차량용 조향콜럼상에 탑재되는 비교적 치밀하거나 빡빡한 스윗치앗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통상 스탈크스윗치는 차량용 조향장치콜럼(steering column)과 피봇에 탑재되어, 차량상의 전회신호제어용 액츄에이션작동을 부여하는데 사용된다. 전회신호제어스탈크는 통상 차량운전자가 헤드라이트, 창문와이퍼와 와샤를 콘트롤하도록 한 다기능스윗치를 또한 포함구성한다.
상당수의 전기통신은 스탈크스윗치로부터 통과되지 않으면 안된다. 이 경우 가동스탈크스윗치(moving stalk switch)의 상대적 피봇팅면과 고정조향콜럼사이에서 다수의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 에는 본 발명상의 스탈크스윗치앗셈블리(stalk switch assembly) 20 가 차량의 조향콜럼(steering column) 22 상에 놓여 설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스탈크스윗치 20 는 제어스탈크(control stalk) 24 의 움직임에 따라 통상 전기적인 역할을 한다. 이 제어스탈크 24 는 여러 가지 추가적인 전기적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 스윗치를 갖는다. 예컨데, 창문와이퍼용 세척기능이 버튼 26 에 의해 제어스탈크 24 의 자유단 28 에 배치되는데 이 들 다기능스탈크스윗치앗셈블리는 종래 잘 알려진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어떤 부품을 구성하고 있지 않다.
도 2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앗셈블리 20 는 콜럼단부 34 를 가진 제어스탈크(control stalk) 24 와 브라켓 30 을 포함구성하는 기초부 및 덮개판 32 으로 구성된다. 콜럼단부 34 는 아래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어스탈크 24 의 가동을 허락하는 방법으로 기초부에 수납된다. 볼트 36 는 제어스탈크 24 의 콜럼단부 34 용 하우징을 성형하기 위하여 브라켓 30 에 덮개판 32 을 보지한다. 하우징에 대한 상세설명은 일실시예로 한다.
도 3 을 보면, 칼럼단부 34 를 수납하고 제어스탈크 24 를 안내하는 궤도 38 를 포함구성하는 브라켓 30 이 있다. 궤도 38 는 통상 원호상의 것으로 되어있다. 제어스탈크 24 의 칼럼단부 34 는 궤도 38 상에서 수납되는 칼라(collar) 40 를 포함구성한다. 이 칼라 40 는 늘어진 U-형의 찬넬( U-Shaped Channel ) 42 로 구성되는데, 이 또한 궤도 38 의 윤곽을 따라 이루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작업자가 제어스탈크 24 를 피봇팅할 때, 칼라 40 는 도 3 의 종이면에서 움직이게 하도록 궤도 38 를 따라 슬라이딩하고 스탈크 24 를 안내한다.
도 4 에서와 같이, 제어스탈크 24 는 또한 칼라 40 를 따라 중앙위치로부터 뻗는 잠금점 44 을 포함구성한다. 보어구멍 48 에 배치되는 스프링 46 은 그리고 기초부 30 를 향하여 볼 50 을 편기시킨다. 기초부 30 는 3개의 멈춤쇠 52, 54, 56 를 갖는데, 이들은 제어스탈크 24 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볼 50 을 수납한다. 멈춤쇠 52, 54, 56 는 공간브라켓 30 에 배치되고, 각각은 전기스윗치에 대해 "on" 또는 "off"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된다.
궤도(track) 38 는 스탈크스윗치앗셈블리 20 로 부터 공간을 가진 기능성 피봇점(functional povot point)A 로 이루어진다. 제어스탈크 24 는 칼라 40 가 궤도단부 58, 59 사이에서 궤도 38 를 따라 슬라이딩할 때 피봇점 A 에 관하여 피봇팅한다. 피봇점 A 은 차량의 조향콜럼(steering column) 22 의 주변을 내향하여 놓여진다.
궤도단부 58, 59 사이에서의 제어스탈크 24 의 움직임은 전기스윗치, 특히 전회신호를 제어한다. 도 3 에서 제어스탈크 24 는 "off" 위치에서 나타나 있다. 볼 50 은 멈춤쇠 54 에서 자리잡는다.
또한, 2개의 공간을 둔 전기접촉부 62 가 궤도의 단부 58 에 인접배치되고, 가동접촉부 63 는 칼라 40 위에 위치된다. 동시에, 다른 공간을 둔 접촉부 64 도 궤도의 단부 59 에 인접형성되고, 가동접촉부 65 는 그 단부에서 칼라 40 에 형성된다. 멈춤쇠 54 에 있는 볼(50)로, 가동접촉부 63, 65 는 접촉부 62, 또는 접촉부 65 사이의 전기적 회로를 완성해주지 않는다. 스윗치가 단부 58, 59 에 있는 위치로 움직이면, 접촉부 63, 65 는 공간을 둔 접촉부 62 또는 접촉부 64 사이의 회로를 완성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정렬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접촉부 63, 65 는 기초부 32 를 향하여 스프링 70 에 의해 스프링편기된다. (spring biased) . 도 4 에서 접촉부 62, 63 의 위치결정은 이 단면내에서 떨어지도록 이동된다.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실상, 이들 접촉부들은 도 4 에 있는 페이퍼(paper)속으로 공간을 둔다. 이들은 그 조직을 알 수 있도록 도 4 에 나타내었다.
작업자는 궤도단부 58 이든 59 이든 어느 한 곳을 향하여 움직이는 제어스탈크 24 에 의해 전기적 스윗치를 작동시킨다. 예컨데, 차량운전자는 도 1 및 도 3 에서는 상향팻션(upward fashion)으로 가동제어스탈그 24 에 의해 우측전회(우측으로 방향회전)를 지시하게 된다. 칼라 40 는 궤도단부 58 를 향하여 궤도 38 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볼 50 은 멈춤쇠 54 의 바깥으로 움직이고, 볼 50 이 멈춤쇠 52 에 다다를 때까지 통로 60 를 따라 움직인다. 멈춤쇠 52 에서 볼 50 으로 전기회로는 접촉부 63, 62 사이에서 깜박이등(blinking light)을 작동시키고, 또한 우측전회를 지시한다. 차량운전자는 또한 좌측전회를 지시하기 위하여 궤도단부 59 를 향하여 하향팻션(downward fashion)에서 가동제어스탈크(moving control stalk) 24 에 의해 제 2 의 깜박이등을 작동시킨다. 도 3 에서 나타나 있는 위치로부터, 볼 50 은 멈춤쇠 56 로 통로 60 를 따라 멈춤쇠 54 의 바깥으로 움직인다. 멈춤쇠 56 에서 볼 50 로 접촉부 65, 64 사이의 전기회로가 좌측전회신호를 지시하기 위하여 깜박이등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완성되게 한다.
접촉부 62, 63, 64, 65 의 구조가 그 작업을 보다 잘 나타내도록 매우 간편화되는데, 스탈크스윗치앗셈블리 24 로 부터 차량제어기로 보내어지는 모든 많은 전기신호는 이들 상대적으로 피봇팅되는 면을 통해 통과되지 않으면 안된다. 접촉부중에는 일정하게 이루어지는 것도 있고 다른 것들은 서로간에 적절한 타이밍으로 만들어지거나 파단되지 않으면 안된다. 이들 여러 접촉부들의 조직과 상호관계는 본 발명상의 부위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고, 따라서 이 분야의 기술자들의 기술내에 있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주특징이 되는 스윗치의 비교적 작은 각도움직임을 가져오는 접촉부의 비교적 큰 가동량이 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은 안내구(guide)상에 있는 스윗치의 집적이다. 또한 안내구가 피봇점으로부터 공간을 띄고 있으므로, 전스윗치의 전폭은 종래기술의 것보다 감소된다.
스탈크스윗치앗셈블리가 전회신호용 전기스윗치를 제어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본 발명상의 스탈크스윗치앗셉블리는 차창닦이 와샤제어와 헤드라이트제어 또는 속도제어를 포함한 다른 전기적 기능도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상의 주 특징이 차량스윗치에 있긴하나, 다른 비차량용의 것도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어느정도의 수정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에서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을 결정하기 위한 다음의 특허청구범위들은 그러한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궤도(track)와 하나이상의 전기접촉점을 가진 기초부(base)와 ;
    전기스윗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스탈크(control stalk)로 구성되고, 이 제어스탈크는 상기 스탈크의 콜럼단부에서 칼라(collar)와 접촉부를 가지며, 이 칼라는 궤도를 따라 가동되고 궤도에 의해 안내되며, 이 가동접촉부(moving contact)는 이 칼라가 궤도를 따라 움직일 때 접촉점과 선택적인 전기접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스윗치앗셈블리(An electrical switch assembly)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은 원호상으로 되고 또한 상기 제어스탈크는 상기 제어스탈크와 궤도로 부터 공간을 둔 원호상의 통로에 관하여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스윗치앗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는 U-형 원호상의 찬넬(U-shaped arcuate channel)을 포함구성하고, 이 찬넬은 상기 궤도를 수납하는 전기스윗치앗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잠금점(locking point)은 상기 칼라상에서 형성되고, 스프링과 잠금부재를 수납하는 보어공을 가지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기초부를 향하여 상기 잠금부재를 편기하도록 한 전기스윗치앗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는 다수의 멈춤쇠(detents)를 가지고, 이 스프링은 선택적으로 상기 잠금부재를 상기 멈춤쇠속으로 선택적으로 편기시키며, 상기 가동접촉부는 상기 잠금부재가 "on" 위치에서 상기 멈춤쇠중 하나에 수납될 때 상기 접촉점과 더불어 정렬되도록 한 전기스윗치앗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멈춤쇠는 2개의 전기접촉부에 대응되고, 각각은 전회신호에 대해서는 "on" 위치로 되며, 제 3 의 멈춤쇠는 "off" 위치로 정의되는 전기스윗치앗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스탈크는 추가적인 전기스윗치제어를 포함구성하는 전기스윗치앗셈블리
  8. 차량의 조향콜럼상에서 가동가능한 스탈크스윗치앗셈블리는 차량의 조향콜럼상에 설치되는 스탈크스윗치앗셈블리는 2개의 전기접촉점과 원호상의 궤도를 가지는 기초부와 ;
    하나이상의 전기스윗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스탈크로 구성되며, 이 스탈크는 스탈크의 콜럼단부에서 칼라와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칼라는 상기 궤도를 따라 움직이고 안내되며, 상기 가동접촉부는 상기 칼라가 궤도를 따라 움직일 때, 상기 접촉점과 선택적으로 전기적 연결을 가지며 ;
    상기 궤도는 상기 스탈크용 피봇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봇점은 상기 스탈크와 궤도로 부터 공간을 가지도록 한 스탈크스윗치앗셈블리 (A stalk switch assembly)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는 U-형 원호상의 찬넬을 포함구성하고, 상기 찬넬은 상기 궤도를 수납하도록 한 스탈크스윗치앗셈블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점은 상기 피봇점과 궤도사이에서 설치되는 스탈크스윗치앗셈블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점은 상기 칼라상에서 형성되고, 스프링을 수납하는 보어와 잠금부재를 포함구성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기초부를 향하여 상기 잠금부재를 편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탈크스윗치앗셈블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는 상기 접촉점과 연설되는 2개이상의 멈춤쇠를 포함구성하고, 전기스윗치에 대하여는 "on"위치로 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멈춤쇠속으로 선택적으로 편기되며, 상기 가동접촉부는 상기 접촉점의 하나와 연설되는 스탈크스윗치앗셈블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의 멈춤쇠는, 상기 2개의 멈춤쇠에 개입하여 "off"위치로 되는 스탈크스윗치앗셈블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스탈크는 추가적으로 전기스윗치제어기를 포함구성하는 스탈크스윗치앗셈블리
  15. 차량의 조향콜럼상에 설치도는 스탈크스윗치앗셈블리는, 원호상의 궤도와 3개이상의 멈춤쇠를 가진 기초부와, 이 2개의 멈춤쇠는 차량전회신호 전기스윗치에 대하여 "on"위치로 되고,
    상기 전기스윗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스탈크는 상기 스탈크의 칼럼단부에서 칼라와 잠금점(locking point)을 가지며, 상기 칼라는 상기 궤도를 따라 가동되고 상기 궤도에 의해 안내되며, 상기 잠금점은 상기 칼라가 상기 궤도를 따라 움직일 때 상기 멈춤쇠에 수납되고, 여기에서 전기연결은 상기 "on"위치로 되는 잠금점이 상기 멈춤쇠에 있을 때 완성되며 ;
    상기 궤도는 상기 스탈크에 대한 피봇포인트로 되고, 상기 잠금포인트는 상기 궤도와 상기 피봇점사이로 위치되는 스탈크스윗치앗셈블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는 상기 궤도를 수납하는 U-형 원호상의 찬넬을 포함구성하고, 상기 궤도는 궤도를 따라 상기 칼라의 움직임을 견고히 안내하는 스탈크스윗치앗셈블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점은 상기 칼라를 따라 중심에 배치되는 스탈크스윗치앗셈블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점은 스프링과 잠금부재를 수납하는 보어공을 포함구성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칼라가 상기 궤도를 따라 움직일 때 상기 멈춤쇠속으로 상기 잠금부재를 선택적으로 편기하는 스탈크스윗치앗셈블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제 3 의 멈춤쇠는 "off"의 위치로 되어 상기 "on"위치와 관련한 상기 멈춤쇠들 사이에서 위치되는 스탈크스윗치앗셈블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스탈크는 추가적인 전기스윗치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스탈크스윗치앗셈블리
KR1019980705930A 1996-03-13 1997-02-25 차량용 콜럼탑재 스윗치앗셈블리 KR199900822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614,738 US5646385A (en) 1996-03-13 1996-03-13 Column mounted switch assembly for a vehicle
US8/614738 1996-03-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203A true KR19990082203A (ko) 1999-11-25

Family

ID=24462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930A KR19990082203A (ko) 1996-03-13 1997-02-25 차량용 콜럼탑재 스윗치앗셈블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646385A (ko)
EP (1) EP0886589B1 (ko)
JP (1) JP2001508581A (ko)
KR (1) KR19990082203A (ko)
CN (1) CN1211218A (ko)
CA (1) CA2248085A1 (ko)
DE (1) DE69704556T2 (ko)
ID (1) ID16232A (ko)
MX (1) MX9806362A (ko)
TW (1) TW343949B (ko)
WO (1) WO19970337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9311A (en) * 1996-08-15 1998-11-03 Roberson; Jarried E. Motorized tilt steering device
US5854458A (en) * 1997-03-03 1998-12-29 Methode Electronics, Inc. Stalk mounted three function switch assembly having a single multiplexed output
US20080042805A1 (en) * 2005-05-17 2008-02-21 Morhard Robert 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monitoring, tracking and identifying explosive materials
US20160144778A1 (en) * 2014-11-24 2016-05-26 David M. Tucker Enhanced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hazard lights
KR102396470B1 (ko) * 2016-09-29 2022-05-09 이에스에스-헬프, 아이엔씨. 차량 비상 라이트를 위한 개선된 통신 시스템
EP3894274A4 (en) 2018-12-11 2022-08-24 Ess-Help, Inc. IMPROVEMENT OF VEHICLE HAZARD SYSTEMS
US11590887B2 (en) 2019-03-15 2023-02-28 Ess-Help, Inc. Control of high visibility vehicle light communication systems
US11518298B2 (en) 2019-03-15 2022-12-06 ESS-Help, lnc. High visibility lighting for autonomous vehicles
EP3938243B1 (en) 2019-03-15 2024-04-24 Ess-Help, Inc. System to control high visibility vehicle lights
CA3135623C (en) 2019-03-28 2023-02-28 Ess-Help, Inc. Remote vehicle hazard and communication beac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7119A (en) * 1961-08-04 1965-06-01 Circuit Controls Corp Switch contact structure with embedded spring biasing means
US3720917A (en) * 1970-08-14 1973-03-13 R Dyksterhouse Directional signal apparatus
CH567329A5 (ko) * 1973-07-10 1975-09-30 Siemens Ag
US4180712A (en) * 1978-07-13 1979-12-25 Switchcraft, Inc. Slide switch
US4296286A (en) * 1979-11-16 1981-10-20 Trw Inc. Self-referencing position switch
DE3128752C2 (de) * 1980-10-04 1984-10-11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Ag, 7990 Friedrichshafen Wendeschalter für Kraftfahrzeuge
JPS6331454Y2 (ko) * 1981-02-18 1988-08-23
DE3905769A1 (de) * 1988-03-01 1989-09-14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Elektrischer fahrschalter
JP2565582Y2 (ja) * 1990-07-18 1998-03-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レバースイッチ
US5385067A (en) * 1993-09-13 1995-01-31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Turn signal cancellation mechanism
US5557081A (en) * 1994-11-14 1996-09-17 Prince Corporation Vehicle lamp slide switch including detent assembly
US5546067A (en) * 1994-12-14 1996-08-13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Rotary potentiometer assembly for a push-pull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48085A1 (en) 1997-09-18
JP2001508581A (ja) 2001-06-26
DE69704556T2 (de) 2001-08-09
MX9806362A (es) 1998-10-31
WO1997033773A1 (en) 1997-09-18
TW343949B (en) 1998-11-01
US5646385A (en) 1997-07-08
EP0886589B1 (en) 2001-04-11
EP0886589A1 (en) 1998-12-30
ID16232A (id) 1997-09-11
CN1211218A (zh) 1999-03-17
DE69704556D1 (de) 200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2056A (en) Control device for use in an electrical switch
EP0939009B1 (en) Lever switch for vehicles
US5610378A (en) Steering column stalk switch apparatus
KR19990082203A (ko) 차량용 콜럼탑재 스윗치앗셈블리
US5546067A (en) Rotary potentiometer assembly for a push-pull switch
KR101603463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 스위치 시스템을 위한 리세팅 장치 및 자동차
US5742014A (en) Multi-function steering column stalk switch
US5385067A (en) Turn signal cancellation mechanism
US4791253A (en) Steering column switch
US4748298A (en) Bistable switch, in particular for use as a headlamp dipswitch on a motor vehicle
US20030019731A1 (en) Multifunction stalk-mounted switch
US6781072B2 (en) Construction of on-vehicle lever switch
JPH09508599A (ja) スイッチ、特に自動車の舵取装置のカラムスイッチ
US4929806A (en) Headlight dimmer switch device
US20030136655A1 (en) Steering column switch
US5959268A (en) Electrical switch having a pair of engaging actuating elements rotational between switching positions
JPS61245422A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スイツチ
US5196659A (en) Turn signal switch with cam operated snap action switches
US4503296A (en) Self-cancelling mechanism for cancelling a turn-signal switch of a vehicle
KR19980063536A (ko) 레버스위치 장치
US5579903A (en) Cam follower assembly for use in a latching switch
RU2121185C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выключатель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оложения зеркала автомобиля
US4543456A (en) Switch device for vehicle-speed control
US5861592A (en) Reset device for turn signal reset switch with trigger finger tensioned by a compression spring
US6759606B2 (en) Membrane slide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