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491B1 - 데이터 처리 장치, 결로 제거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데이터 처리 장치, 결로 제거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491B1
KR101543491B1 KR1020110096833A KR20110096833A KR101543491B1 KR 101543491 B1 KR101543491 B1 KR 101543491B1 KR 1020110096833 A KR1020110096833 A KR 1020110096833A KR 20110096833 A KR20110096833 A KR 20110096833A KR 101543491 B1 KR101543491 B1 KR 101543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condensation
instruction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1907A (ko
Inventor
히로찌까 사또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1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1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03G21/203Humid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G03G15/502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relating to the structure of the control menu, e.g. pop-up menus, help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75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 G03G15/5079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for maintenan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75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 G03G15/5087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for receiving image dat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4Electronic sequencing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25Machine control, e.g. regulating different parts of the machine
    • G03G2215/00109Remote control of apparatus, e.g. by a ho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내의 결로 제거를 수행하기 위한 지시를 사용자로부터 접수하기 위한 접수 수단; 결로 제거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수단; 및 상기 판정 수단이, 상기 조건이 만족된다고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지시에 따라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내의 결로 제거를 수행하기 위한 결로 제거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처리 장치, 결로 제거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DATA PROCESSING APPARATUS, CONDENSATION REMOVA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결로 제거를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 따른 것이다.
결로 제거를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122814호는, 화상 형성 장치가 그 내부에 결로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결로가 발생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결로 제거를 수행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화상 형성 장치는 그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해서 판정한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144995호는, 사용자가 결로 해소 모드로 이행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사용자가 결로 해소 모드로 이행하기로 선택한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는 결로 제거를 수행한다.
룰에 따라 결로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만으로, 결로 제거가 언제나 올바른 타이밍에서 수행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결로 제거를 실행할 것을 지시할 수 있는 것은 유용하다.
그러나, 사용자에 의한 지시에 따라서만 결로 제거가 실행되면, 결로 제거를 수행하기에 바람직하지 않은 타이밍에서 결로 제거가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결로가 적절하게 제거되지 않을 수 있거나,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잡이 방해받을 수 있다.
또한, 결로 제거의 수행 동안에, 다른 잡이 수행되기 시작하면, 결로 제거가 방해를 받아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보다 적절한 타이밍에서 수행되는 결로 제거에 따른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내의 결로 제거를 수행하기 위한 지시를 사용자로부터 접수하도록 구성된 접수 유닛; 결로 제거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유닛; 및 상기 판정 유닛이, 상기 조건이 만족된다고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접수 유닛에 의해 접수된 지시에 따라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내의 결로 제거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결로 제거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양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이에 통합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 특징 및 양태를 나타내고,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화상 형성 유닛(11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조작 유닛(112)에 표시되는 결로 제거 조작 화면을 예시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결로 제거가 수행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인쇄 잡의 수행과 결로 제거의 수행이 서로 경합하는 경우에 수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특징 및 양태들을 상세하게 후술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의 예로서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 인쇄 시스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1)와 화상 형성 장치(102)가 네트워크(103)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정보 처리 장치(101)는 데스크탑 퍼스널 컴퓨터(PC) 및 랩탑(laptop) PC를 포함한다. 네트워크(103)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 인터넷 및 USB(universal serial bus)를 포함한다. 네트워크(103)는 무선 LAN일수도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1)는 네트워크 통신 유닛(104), 저장 유닛(105) 및 제어 유닛(106)을 포함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1)는 도 1에 나타내지 않은 키보드, 마우스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통신 유닛(104)은 화상 형성 장치(102)로 인쇄 데이터를 송신하고, 화상 형성 장치(102)로부터 장치 정보 및 인쇄 결과를 수신한다. 저장 유닛(105)은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및 HDD(hard disk drive)를 포함한다. 저장 유닛(105)은 인쇄 잡의 설정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인쇄 설정값)와 인쇄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 유닛(106)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한다. CPU는 저장 유닛(105)에 저장되어 있는 문서 작성 어플리케이션 및 프린터 드라이버와 같은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다양한 종류의 정보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 유닛(106)은 네트워크 통신 유닛(104)을 제어하여 저장 유닛(105)으로부터 인쇄 데이터 및 인쇄 설정값을 판독하고, 이들을 화상 형성 장치(102)에 송신한다. 화상 형성 장치(102)는 네트워크 통신 유닛(107), 저장 유닛(108), 제어 유닛(109), 화상 입력 유닛(110), 화상 형성 유닛(111) 및 조작 유닛(112)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통신 유닛(107)은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 인쇄 데이터 및 인쇄 설정값을 수신하고, 화상 형성 장치(102)에 대한 장치 정보와 인쇄 결과를 정보 처리 장치(101)에 송신한다. 저장 유닛(108)은 ROM, RAM 및 HDD를 포함한다. 저장 유닛(108)은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 및 인쇄 설정값, 화상 입력 유닛(110)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 다양한 종류의 프로그램, 및 조작 유닛(112)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 유닛(109)은 CPU를 포함한다. CPU는 저장 유닛(108)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화상 형성 장치(102)를 제어한다. 제어 유닛(109)은 조작 유닛(112)을 통해 입력된 인쇄 개시 지시에 따라 인쇄 잡(예를 들어, 복사 잡)을 생성하고, 저장 유닛(108)은 화상 입력 유닛(110)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이하, 이러한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여 "인쇄 데이터"라 칭함)를 저장한다.
또한, 제어 유닛(109)은,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따라 인쇄 잡(예를 들어, PDL(page description language) 인쇄 잡)을 생성하고, 저장 유닛(108)은 인쇄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 유닛(109)은, 생성된 인쇄 잡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자(잡 식별 ID)를 저장 유닛(108)에 저장되어 있는 잡 리스트에 추가한다.
제어 유닛(109)은 화상 형성 유닛(111)을 제어하여, 잡 리스트의 순서에 따라 저장 유닛(108)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를 판독하고,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기록지 상에 형성한다. 인쇄 잡에 기초하는 화상 형성이 완료되는 경우에, 제어 유닛(109)은 그 인쇄 잡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잡 리스트로부터 소거한다.
또한, 제어 유닛(109)은 결로 제거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조작 유닛(112)을 통해 입력된 결로 제거 지시에 따라 화상 형성 유닛(111)으로 결로 제거 요구를 송신하고, 화상 형성 유닛(111)에게 결로 제거를 수행하라고 지시한다.
화상 입력 유닛(110)은 예를 들어, 화상을 판독하여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캐너이다. 화상 형성 유닛(111)은 예를 들어,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기록지에 인쇄하는 프린터 엔진이다. 조작 유닛(112)은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 유닛으로서 기능하고,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터치 패널이다.
도 2는 화상 형성 유닛(11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제어 유닛(109)은 화상 형성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기록지에 형성하도록 화상 형성 유닛(111)을 제어한다. 이 경우에, 제어 유닛(109)은 화상 형성 유닛(111)으로/으로부터 인쇄 데이터, 제어 커맨드, 및 화상 형성 유닛(111)에 대한 상태 정보를 송신/수신한다. 제어 커맨드는 급지 요구 및 결로 제거 요구와 같은 지시이다.
화상 형성 유닛(111)이 제어 유닛(109)으로부터 급지 요구를 수신하는 경우에, 화상 형성 유닛(111)은 급지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급지가 가능한 경우에, 화상 형성 유닛(111)은 급지가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제어 유닛(109)으로 송신한다.
또한, 화상 형성 유닛(111)은 인쇄 데이터에 따라 레이저 빔을 감광 드럼(200)에 조사하여 인쇄 데이터에 따른 잠상을 그 위에 형성한다. 현상 유닛(201)은 그 내부의 토너를 감광 드럼(200)의 잠상 부분에 부착시킨다. 레이저 빔의 조사의 개시와 동기화된 타이밍에서, 화상 형성 유닛(111)은, 급지 카세트(202 또는 203)가 기록지를 급지하게 하고, 기록지를 중간 전사 벨트(205)에 반송한다. 전사 유닛(204)은 감광 드럼(200)에 부착된 토너를 중간 전사 벨트(205)에 전사한다.
중간 전사 벨트(205)는 토너를 기록지에 전사하고, 토너가 부착된 기록지를 정착 유닛(206)으로 반송한다. 정착 유닛(206)은 열과 압력으로 토너를 기록지에 정착한다. 화상 형성 유닛(111)은 인쇄 개시 전에 정착 유닛(206)의 온도 상승과 같은 전처리를 수행하고, 전처리 동안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제어 유닛(109)으로 송신한다. 또한, 화상 형성 유닛(111)은 인쇄 완료 후에 정착 유닛(206)의 온도 하강과 같은 후처리를 수행하고, 후처리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제어 유닛(109)으로 송신한다. 정착 유닛(206)을 통과한 기록지는 배지 롤러(207)에 의해 배지 트레이(208)로 배출된다.
화상 형성 유닛(111)은, 토너가 기록지에 전사된 후에 남은 토너(폐토너)를 폐토너 박스(209)로 배출한다.
인쇄 잡이 양면 인쇄를 수행하는 경우에, 그 제1 면에 인쇄가 수행된 기록지가 배지 롤러(207)까지 반송된 후에, 화상 형성 유닛(111)은 배지 롤러(207)를 역회전시킨다. 그 후에, 기록지는 플래퍼(flapper)(210)에 의해 재급지 반송로(211)로 유도되고, 또한 재급지 반송로(211)로부터 전사 유닛(204)으로 반송된다. 기록지의 제2 면에 인쇄가 수행된 후에, 화상 형성 유닛(111)은, 그 제2 면에 인쇄가 수행된 기록지를 배지 롤러(207)까지 반송한다. 배지 롤러(207)는, 양면 인쇄가 수행된 기록지를 배지 트레이(208)로 배출한다.
급지가 불가능한 경우에, 화상 형성 유닛(111)은 급지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제어 유닛(109)으로 송신하여, 잠상, 급지, 반송, 전사 및 정착에 대한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다.
화상 형성 유닛(111)은 상술한 화상 형성 처리를 응용함으로써 결로 제거를 수행한다. 제어 유닛(109)은 결로 제거 요구를 화상 형성 유닛(111)으로 송신한다. 결로 제거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화상 형성 유닛(111)은, 결로 제거가 수행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제어 유닛(109)으로 송신하고, 또한 후술하는 결로 제거 처리를 수행한다.
결로 제거 처리에서, 화상 형성 유닛(111)은 결로 제거에 대한 화상 데이터에 따른 잠상을 감광 드럼(200) 상에 형성하고, 현상 유닛(201)은 토너를 감광 드럼(200)의 잠상 부분에 부착시킨다. 이 경우에, 토너가 감광 드럼(200) 위에 발생된 결로를 흡착하여 결로를 제거한다.
그 후에, 화상 형성 유닛(111)은, 급지 카세트(202 또는 203)가 기록지를 급지하게 하지 않고, 중간 전사 벨트(205)를 구동한다. 토너는 중간 전사 벨트(205) 위로 전사된다. 화상 형성 유닛(111)은 중간 전사 벨트(205) 위로 전사된 토너를 폐토너로서 폐토너 박스(209)로 배출한다. 또한, 폐토너를 폐토너 박스(209)로 배출한 후에, 화상 형성 유닛(111)은 중간 전사 벨트(205)를 공회전시켜서, 화상 형성 장치(102) 내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이러한 구성으로, 결로가 더욱 제거된다.
결로 제거 처리를 완료한 후에, 화상 형성 유닛(111)은 결로 제거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제어 유닛(109)으로 송신한다.
토너를 사용한 결로 제거에서, 토너의 소비량 및 공회전 시간이 클수록, 결로 제거의 효과가 더 높게 획득될 수 있다. 한편, 토너의 감소가 더 빨라지고, 결로 제거에 필요한 시간이 더 길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 유닛(112)에 표시되는 설정 화면을 통해 결로 제거의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 유닛(109)은, 저장 유닛(108)이 조작 유닛(112)을 통해 입력된 레벨값을 저장하게 하고, 제어 유닛(109)은 결로 제거 요구와 함께 레벨값을 화상 형성 유닛(111)으로 송신한다. 화상 형성 유닛(111)은 제어 유닛(109)으로부터 수신된 레벨값에 따른 토너 사용량과 공회전 시간을 결정하고, 결정된 토너 사용량과 공회전 시간에 기초하여 결로 제거를 수행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화상 형성 유닛(111)은 결정된 토너 사용량에 대응하는 토너를 감광 드럼(200)에 부착시킨다. 또한, 화상 형성 유닛(111)은 결정된 공회전 시간 동안 중간 전사 벨트(205)를 공회전시킨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는 토너 사용량과 결로 제거에 필요한 시간과 결로 제거의 효과 사이의 균형을 선택할 수 있다.
도 3은 조작 유닛(112)에 표시되는 결로 제거 조작 화면을 나타내는 예이다.
조작 유닛(112)에는 결로 제거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 제공된다. 제어 유닛(109)이 버튼이 눌러졌다고 검출한 경우에, 제어 유닛(109)은, 조작 유닛(112)이 조작 화면(300)을 표시하게 한다. 이 경우에, 제어 유닛(109)은 후술하는 판정 처리를 수행하여 결로 제거가 수행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결로 제거가 수행될 수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제어 유닛(109)은 개시 버튼(301)이 눌러질 수 있도록 설정한다. 개시 버튼(301)이 눌러졌다고 검출한 경우에, 제어 유닛(109)은 결로 제거 요구를 화상 형성 유닛(111)으로 송신하고, 또한 제어 유닛(109)은 조작 유닛(112)이 조작 화면(310)을 표시하게 한다.
결로 제거가 수행될 수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 제어 유닛(109)은 개시 버튼(301)을 그레이(gray)로 표시하여 개시 버튼(301)이 눌러졌다는 것을 검출하지 않는다. 제어 유닛(109)이 복귀 버튼(302)이 눌러졌다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 제어 유닛(109)은, 조작 유닛(112)이 조작 화면(300)이 표시되기 전에 표시되었던 화면을 표시하게 한다.
조작 화면(310)은, 결로 제거가 수행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문구를 표시한다. 화상 형성 유닛(111)이 결로 제거 처리를 완료한 경우에, 제어 유닛(109)은 조작 유닛(112)이 조작 화면(320)을 표시하게 한다. 조작 화면(320)은, 결로 제거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문구를 표시한다. 제어 유닛(109)이, 버튼(321)이 눌러졌다고 검출한 경우에, 제어 유닛(109)은, 조작 유닛(112)이 조작 화면(300)이 표시되기 전에 표시되었던 화면을 표시하게 한다.
도 4는 결로 제거가 수행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PU가 도 4에 나타낸 흐름도에 기초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도 4에 나타낸 흐름도에 기초하는 판정 처리를 수행한다.
스텝 S401에서, 제어 유닛(109)은 저장 유닛(108)에 저장되어 있는 잡 리스트를 판독하고, 잡 리스트에 기초하여 수행되고 있는 인쇄 잡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인쇄 잡은 예를 들어, 외부의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는 PDL 인쇄 잡이나 조작 유닛(112)으로부터 지시된 복사 잡을 지칭한다. 잡이 수행되고 있는 경우에(스텝 S401의 예), 처리는 스텝 S406으로 진행한다.
수행되고 있는 잡이 없는 경우에는(스텝 S401의 아니오), 스텝 S402에서, 제어 유닛(109)은 화상 형성 유닛(111)으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를 감시하고, 그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유닛(111)이 후처리를 수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화상 형성 유닛(111)이 후처리를 수행하고 있는 경우에(스텝 S402의 예), 처리는 스텝 S406으로 진행한다.
화상 형성 유닛(111)이 후처리를 수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스텝 S402의 아니오), 스텝 S403에서, 제어 유닛(109)은, 소정량의 토너가 화상 형성 유닛(111)에 남아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 유닛(109)은 남아있는 토너량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화상 형성 유닛(111)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그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량의 토너가 화상 형성 유닛(111)에 남아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량의 토너가 남아있지 않는 경우에(스텝 S403의 아니오), 처리는 스텝 S406으로 진행한다.
소정량의 토너가 남아있는 경우에(스텝 S403의 예), 스텝 S404에서, 제어 유닛(109)은 폐토너 박스(209)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폐토너 박스(209)에 저장될 수 있는 폐토너의 양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정기적으로 폐토너 박스(209)를 화상 형성 장치(102)로부터 제거하여 폐토너 박스(209) 내에 저장된 폐토너를 폐기해야 한다.
따라서, 폐토너 박스(209)가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폐토너 박스(209)가 저장되는 영역에 제공된 센서를 사용하여, 폐토너 박스(209)가 제거되었는지 여부가 검출될 수 있다. 이 센서는 예를 들어, 무게 센서를 포함한다. 폐토너 박스(209)가 없는 경우에는(스텝 S404의 아니오), 처리는 스텝 S406으로 진행한다.
폐토너 박스(209)가 있는 경우에는(스텝 S404의 예), 스텝 S405에서, 제어 유닛(109)은, 조작 유닛(112)이 조작 화면(300)을 표시하게 하고, 제어 유닛(109)은 도 3에 나타낸 개시 버튼(301)이 눌러질 수 있도록 설정한다. 제어 유닛(109)은 개시 버튼(301)이 눌러지는 것을 검출하기 시작한다. 한편, 스텝 S406에서, 제어 유닛(109)이, 조작 유닛(112)이 조작 화면(300)을 표시하게 하지만, 제어 유닛(109)은 조작 유닛(112)이 개시 버튼(301)을 그레이로 표시하게 한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결로 제거를 개시하기 위한 지시를 할 수 없다. 개시 버튼을 그레이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개시 버튼이 눌러질 수 없다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4의 설명에 따르면, 잡이 수행되고 있거나 후처리가 수행되고 있는 경우에, 제어 유닛(109)은 결로 제거 요구를 화상 형성 유닛(111)으로 송신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어 유닛(109)이 결로 제거 요구를 화상 형성 유닛(111)으로 송신한 후이며, 제어 유닛(109)이 결로 제거가 수행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화상 형성 유닛(111)으로부터 수신하기 전에, 인쇄 잡이 생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인쇄 잡의 수행과 결로 제거의 수행이 서로 경합하는 경우에 수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PU가 도 5에 나타낸 흐름도에 기초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도 5에 나타낸 흐름도에 기초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스텝 S501에서, 제어 유닛(109)은, 조작 유닛(112)을 통해 입력된 인쇄를 개시하기 위한 지시와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따라 인쇄 잡을 생성한다. 스텝 S502에서, 인쇄 잡에 대한 급지 요구를 화상 형성 유닛(111)으로 송신하기 전에, 제어 유닛(109)은 결로 제거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화상 형성 유닛(111)으로 송신된 결로 제거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서 결로 제거가 수행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스텝 S502의 예), 제어 유닛(109)은 결로 제거가 수행되고 있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에, 제어 유닛(109)은, 결로 제거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화상 형성 유닛(111)으로부터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 결로 제거가 수행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스텝 S502의 아니오) 또는 결로 제거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제어 유닛(109)은 결로 제거가 수행되지 않고 있다고 판정한다.
결로 제거가 수행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 스텝 S503에서, 제어 유닛(109)은 급지 요구를 화상 형성 유닛(111)으로 송신한다. 스텝 S504에서, 제어 유닛(109)은 급지 결과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화상 형성 유닛(111)으로부터 수신한다. 급지 결과는 급지의 성공 또는 실패를 나타낸다. 또한, 급지 결과가 급지의 실패를 나타내는 경우에, 급지 결과는 그 요인을 포함한다.
실패의 요인은, 급지 카세트가 기록지를 저장하지 않는 경우, 반송 중의 기록지가 잼(jam)되는 경우, 또는 결로 제거가 수행 중인 경우를 포함한다. 급지의 실패는, 급지가 어떠한 요인으로 인해 개시될 수 없는 것을 포함한다. 도 5에서, 제어 유닛(109)은 급지가 결로 제거로 인해 실패되었는지 여부에 주목한다. 다른 요인에 대한 동작은 도 5에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스텝 S505에서, 급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109)은 급지가 결로 제거로 인해 실패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급지가 실패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505의 아니오), 스텝 S506에서, 제어 유닛(109)은 인쇄 잡에 기초하여 모든 페이지에 대해 인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모든 페이지에 대해 인쇄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스텝 S506의 아니오), 제어 유닛(109)은 다음 페이지를 인쇄하기 위해서 다시 급지 요구를 화상 형성 유닛(111)으로 송신한다.
급지가 실패된 경우에(스텝 S505의 예), 스텝 S507에서, 제어 유닛(109)은 결로 제거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제어 유닛(109)은 결로 제거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화상 형성 유닛(111)으로부터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 결로 제거가 완료된 경우에(스텝 S507의 예), 제어 유닛(109)은 다시 인쇄 잡에 대한 급지 요구를 화상 형성 유닛(111)으로 송신한다.
도 3 및 4에 나타낸 실시예에 따르면, 결로 제거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에, 제어 유닛(109)은 개시 버튼(301)을 그레이로 설정한다. 그러나, 제어 유닛(109)은, 개시 버튼(301)을 그레이로 설정하는 대신, 개시 버튼(301)이 눌러지는 경우에도 개시 버튼(301)이 결로 제거 요구를 화상 형성 유닛(111)으로 송신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개시 버튼(301)이 눌러짐에 따라, 제어 유닛(109)은, 조작 유닛(112)이 "결로 제거가 수행될 수 없음"이라는 문구를 표시하게 한다.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에 따르면, 결로 제거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조건으로서 4개의 조건이 예시된다. 또한, 결로 제거의 방법에 따른 다른 조건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건은, 이전의 결로 제거가 수행된 후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것, 또는 인쇄 잡이 수행된 후에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조건을 제공함으로써, 필요 이상의 결로 제거 처리가 수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쇄 잡의 수행과 결로 제거의 수행이 서로 경합하는 경우에도, 결로 제거를 방해하지 않고도 인쇄 잡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인쇄 잡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도, 결로 제거가 적절한 타이밍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술하는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프로그램)가 네트워크 또는 다양한 종류의 저장 매체를 통해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micro processing unit))가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처리를 수행한다.
다른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양태들은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와 같은 디바이스), 및 그 스텝들이 예를 들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프로그램이 예를 들어, 메모리 디바이스로서의 역할을 하는 다양한 종류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부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에 공급된다. 이 경우에, 시스템 또는 장치와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포함된다.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 동등한 구성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의 해석에 따라야 한다.

Claims (18)

  1.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내에서 토너로 결로를 흡착하는 결로 제거를 수행하기 위한 지시를 사용자로부터 접수하기 위한 접수 수단;
    미리 정해진 양의 토너가 남아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수단; 및
    상기 미리 정해진 양의 토너가 남아 있다고 상기 판정 수단이 판정하고 상기 접수 수단이 상기 지시를 접수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내에서 결로 제거를 수행하기 위한 결로 제거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2.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내에서 결로 제거를 수행하기 위한 지시를 사용자로부터 접수하기 위한 접수 수단;
    미리 정해진 양의 토너가 남아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수단; 및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지시에 따라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내에서 결로 제거를 수행하기 위한 결로 제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양의 토너가 남아 있다고 상기 판정 수단이 판정하면, 상기 접수 수단은 상기 지시의 접수를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내에서 토너로 결로를 흡착하는 결로 제거를 수행하기 위한 지시를 사용자로부터 접수하기 위한 접수 수단;
    결로를 흡착하는 데 사용된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상기 저장 수단이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에 세팅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수단; 및
    상기 저장 수단이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에 세팅되어 있다고 상기 판정 수단이 판정하고 상기 접수 수단이 상기 지시를 접수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내에서 결로 제거를 수행하기 위한 결로 제거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7.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내에서 결로 제거를 수행하기 위한 지시를 접수하는 버튼을 표시하기 위한 접수 수단;
    미리 정해진 양의 토너가 남아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수단; 및
    상기 지시에 따라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내에서 결로 제거를 수행하기 위한 결로 제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양의 토너가 남아 있다고 상기 판정 수단이 판정하면, 상기 접수 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버튼이 눌러질 수 있다고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양의 토너가 남아 있지 않다고 상기 판정 수단이 판정하면, 상기 접수 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버튼이 눌러질 수 없다고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버튼을 표시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8.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기록지에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 수단;
    상기 인쇄 수단에게 결로 제거를 수행하라고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수단; 및
    상기 인쇄 수단에게 기록지에 인쇄를 수행하라고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 수단은, 결로 제거를 수행하라고 지시받은 후이며 결로 제거를 완료하기 전에, 기록지에 인쇄를 수행하라고 지시받은 경우에는, 기록지에 인쇄를 개시하지 않고, 상기 인쇄 수단이 기록지에 인쇄를 개시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2 지시 수단으로 송신하고,
    상기 인쇄 수단은, 결로 제거를 완료한 경우에, 결로 제거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2 지시 수단으로 송신하고,
    상기 제2 지시 수단은, 기록지에의 인쇄가 개시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결로 제거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 후에, 다시 인쇄 수단에게 기록지에 인쇄를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9. 삭제
  10. 데이터 처리 장치 내에서 수행되는 결로 제거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내에서 토너로 결로를 흡착하는 결로 제거를 수행하기 위한 지시를 사용자로부터 접수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양의 토너가 남아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정해진 양의 토너가 남아 있다고 판정되고 상기 지시가 접수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내에서 결로 제거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로 제거 방법.
  11. 기록지에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결로 제거 방법으로서,
    제1 지시 수단에 의해, 상기 인쇄 수단에게 결로 제거를 수행하라고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를 부여하는 단계; 및
    제2 지시 수단에 의해, 상기 인쇄 수단에게 기록지에 인쇄를 수행하라고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를 부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수단은, 결로 제거를 수행하라고 지시받은 후이며 결로 제거를 완료하기 전에, 기록지에 인쇄를 수행하라고 지시받은 경우에는, 기록지에 인쇄를 개시하지 않고, 상기 인쇄 수단이 기록지에 인쇄를 개시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2 지시 수단으로 송신하고,
    상기 인쇄 수단은, 결로 제거를 완료한 경우에, 결로 제거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2 지시 수단으로 송신하고,
    상기 제2 지시 수단은, 기록지에의 인쇄가 개시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결로 제거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 후에, 다시 인쇄 수단에게 기록지에 인쇄를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결로 제거 방법.
  12.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결로 제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결로 제거 방법은,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내에서 토너로 결로를 흡착하는 결로 제거를 수행하기 위한 지시를 사용자로부터 접수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양의 토너가 남아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정해진 양의 토너가 남아 있다고 판정되고 상기 지시가 접수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내에서 결로 제거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3. 기록지에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결로 제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결로 제거 방법은,
    제1 지시 수단에 의해, 상기 인쇄 수단에게 결로 제거를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제1 지시 단계; 및
    제2 지시 수단에 의해, 상기 인쇄 수단에게 기록지에 인쇄를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제2 지시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수단은, 결로 제거를 수행하라고 지시받은 후이며 결로 제거를 완료하기 전에, 기록지에 인쇄를 수행하라고 지시받은 경우에는, 기록지에 인쇄를 개시하지 않고, 상기 인쇄 수단이 기록지에 인쇄를 개시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2 지시 수단으로 송신하고,
    상기 인쇄 수단은, 결로 제거를 완료한 경우에, 결로 제거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2 지시 수단으로 송신하고,
    상기 제2 지시 수단은, 기록지에의 인쇄가 개시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결로 제거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 후에, 다시 인쇄 수단에게 기록지에 인쇄를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양의 토너가 남아있다고 상기 판정 수단이 판정하면, 상기 접수 수단은 상기 지시의 접수를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 수단은 상기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양의 토너가 남아있다고 상기 판정 수단이 판정하면, 상기 접수 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버튼이 눌러질 수 있다고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양의 토너가 남아있지 않다고 상기 판정 수단이 판정하면, 상기 접수 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버튼이 눌러질 수 없다고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버튼을 표시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 제거 수단은 토너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의 드럼 상에 화상을 형성하고 기록지 상에는 토너를 전사하지 않는, 데이터 처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결로를 흡착하는데 사용된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로 제거 수단은 사용된 토너가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되도록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KR1020110096833A 2010-09-27 2011-09-26 데이터 처리 장치, 결로 제거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1543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15665 2010-09-27
JP2010215665 2010-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907A KR20120031907A (ko) 2012-04-04
KR101543491B1 true KR101543491B1 (ko) 2015-08-10

Family

ID=44799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833A KR101543491B1 (ko) 2010-09-27 2011-09-26 데이터 처리 장치, 결로 제거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811852B2 (ko)
EP (1) EP2434351B1 (ko)
JP (1) JP6128728B2 (ko)
KR (1) KR1015434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23445B2 (ja) * 2013-06-07 2015-11-2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6206329A (ja) * 2015-04-20 2016-12-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821420B2 (ja) * 2016-07-25 2021-01-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10694062B2 (en) * 2016-07-25 2020-06-2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hich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processors, and memory storing instructions to determine whether to perform image formation, and to perform operations for controlling execution of dew condensation elimination processing having occurred in the image forming unit
US10823439B2 (en) * 2016-12-14 2020-11-03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reliability control of information handling system
JP7058975B2 (ja) * 2017-10-26 2022-04-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6666A (ja) * 2000-10-05 2002-04-19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552A (en) * 1980-06-19 1982-01-16 Canon Inc Image forming apparatus
JPS58147770A (ja) * 1982-02-26 1983-09-02 Ricoh Co Ltd 複写機の結露警報装置
JPS6180186A (ja) * 1984-09-27 1986-04-23 Mita Ind Co Ltd 感光体ドラムの結露除去装置
JPS6180185A (ja) * 1984-09-27 1986-04-23 Mita Ind Co Ltd 感光体ドラムの結露除去装置
JPS6243684A (ja) * 1985-08-22 1987-02-25 Ricoh Co Ltd 電子写真複写機感光体の結露クリ−ニング装置
JPS62288877A (ja) * 1986-06-09 1987-12-15 Ricoh Co Ltd 複写機の結露除去装置
JPH0795217B2 (ja) * 1986-11-19 1995-10-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
JPS6449061A (en) * 1987-08-19 1989-02-23 Minolta Camera Kk Operation part for dew condensation prevention and removal of recording device
JPH0222688A (ja) * 1988-07-08 1990-01-25 Minolta Camera Co Ltd 廃棄トナー回収装置
JPH02163768A (ja) * 1988-12-16 1990-06-25 Minolta Camera Co Ltd 作像装置
JPH0887228A (ja) * 1994-09-16 1996-04-02 Fujitsu Ltd 電子写真装置
JPH08234649A (ja) * 1995-02-22 1996-09-1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感光体の結露除去方法
JP3372881B2 (ja) * 1998-12-15 2003-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157671B2 (ja) * 2000-06-30 2008-10-01 京セラ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用像担持体の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装置
JP2004144995A (ja) * 2002-10-24 2004-05-20 Canon Inc 走査光生成装置
JP2005003769A (ja) * 2003-06-10 2005-01-06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5300738A (ja) * 2004-04-08 2005-10-27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6206236A (ja) * 2005-01-27 2006-08-10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6208996A (ja) * 2005-01-31 2006-08-10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US7177561B2 (en) * 2005-03-31 2007-02-13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dew formation inside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5062404B2 (ja) * 2006-07-03 2012-10-31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8111923A (ja) * 2006-10-30 2008-05-15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2008122814A (ja) 2006-11-15 2008-05-29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および該装値における結露判定方法
JP2008152132A (ja) * 2006-12-19 2008-07-03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4976860B2 (ja) * 2007-01-15 2012-07-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761018B2 (en) * 2007-07-31 2010-07-20 Ricoh Company, Limite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069764A (ja) * 2007-09-18 2009-04-02 Hoya Corp トナー環境監視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0060758A (ja) * 2008-09-03 2010-03-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5171601B2 (ja) * 2008-12-22 2013-03-2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6666A (ja) * 2000-10-05 2002-04-19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93718A (ja) 2012-05-17
US9239567B2 (en) 2016-01-19
JP6128728B2 (ja) 2017-05-17
US20140321879A1 (en) 2014-10-30
EP2434351A3 (en) 2015-01-21
US20120076561A1 (en) 2012-03-29
US8811852B2 (en) 2014-08-19
KR20120031907A (ko) 2012-04-04
EP2434351A2 (en) 2012-03-28
EP2434351B1 (en) 202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3491B1 (ko) 데이터 처리 장치, 결로 제거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JP2012011769A (ja)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61889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800793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プログラム、画像形成方法
US8947691B2 (en) Print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5253008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201008306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94255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2007168103A (ja) 印刷装置およびそのリカバリ印刷方法
EP2562601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int control method
JP2010151883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5786314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9216780A (ja) 画像形成装置、その印刷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092165A (ja) 印刷処理方法及び印刷処理装置
JP2016115221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33511B2 (ja) 印刷制御装置
JP5188196B2 (ja) 画像形成装置の用紙搬送装置、用紙搬送方法および用紙搬送プログラム
JP2013071269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制御方法及び画像形成制御プログラム
JP5054556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8102284A (ja)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651840B2 (ja) 画像形成プログラム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5349693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JP6237029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制御方法及び画像形成制御プログラム
JP2007136675A (ja) ジャム管理システム
JP2008151877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