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362B1 -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 Google Patents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362B1
KR101482362B1 KR1020127003300A KR20127003300A KR101482362B1 KR 101482362 B1 KR101482362 B1 KR 101482362B1 KR 1020127003300 A KR1020127003300 A KR 1020127003300A KR 20127003300 A KR20127003300 A KR 20127003300A KR 101482362 B1 KR101482362 B1 KR 101482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ubstituted
unsubstituted
layer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3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2555A (ko
Inventor
유이치로 가와무라
히로유키 사이토
히토시 구마
마사히로 가와무라
유키토시 진데
히로카츠 이토
다카야스 사도
사야카 미즈타니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2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10K50/13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 H10K50/13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with spacer layers between the electroluminescent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10K50/171Electron inj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8Carrier 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4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comprising only nitrogen as hetero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2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nitro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phenanthroline or carbazol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4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oxy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cumarine dy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 H10K2101/30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HOMO], 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LUMO] or Fermi energy valu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 H10K2101/40Interrelation of parameters between multiple constituent active layers or sublayers, e.g. HOMO values in adjacent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1) 는 애노드 (10), 발광층 (20), 블로킹층 (30), 전자 주입층 (40), 및 캐소드 (50) 를 순차적 순서로 포함한다. 발광층 (20) 은 호스트 및 도펀트를 포함한다. 블로킹층 (30) 은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를 포함한다. 블로킹층 (30) 의 삼중항 에너지 ET b (eV) 는 호스트의 삼중항 에너지 ET h (eV) 보다 더 크다. 블로킹층 (30) 의 어피니티 Ab (eV) 및 전자 주입층의 어피니티 Ae (eV) 는 Ae-Ab<0.2 의 관계를 만족한다.

Description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본 발명은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에 관한 것이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이하, 유기 EL 소자라고 함) 는 발광 원리에 따라 2 종류, 즉, 형광 EL 소자 및 인광 EL 소자로 분류될 수 있다. 유기 EL 소자에 전압이 인가되면, 애노드로부터 정공들이 주입되고, 캐소드로부터 전자들이 주입된다. 정공들과 전자들은 발광층에서 재결합되어 여기자들 (excitons) 를 형성한다. 전자 스핀 통계 이론에 따라, 일중항 여기자들과 삼중항 여기자들이 25%:75%의 비율로 발생된다. 일중항 여기자들에 의해 야기된 발광을 이용하는 형광 EL 소자에서는, 내부 양자 효율의 한계 값이 25% 라고 여겨진다. 이것은 외부 양자 효율로 환산하여 약 5% 이다. 심지어 발광을 획득하기 위한 효율에서의 기술 향상을 고려하더라도, CIEy = 약 0.1 을 나타내는 청색 발광 형광 소자에서는, 외부 양자 효율의 한계 값이 8% 이었다. 최대 효율에서 인가된 전압은 약 4 내지 6 V 이었다.
형광 EL 소자에 대한 고효율화를 위한 기술과 관련하여, 지금까지 유효하게 활용되지 않은, 삼중항 여기자들로부터 발광이 획득되는 몇몇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에는, 안트라센 화합물을 호스트로서 사용한 논-도프 (non-doped) 소자가 분석되어 있다. 2개의 삼중항 여기자들의 충돌 및 융합에 의해 일중항 여기자들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형광 발광이 증가되는, 메커니즘이 발견된다. 2개의 삼중항 여기자들의 충돌 및 융합에 의해 일중항 여기자들이 발생되는 이러한 현상을, 이하, TTF (Triplet-Triplet Fusion) 현상이라고 한다.
비특허문헌 2 에는, 방향족 화합물의 층 (효율 증대 층 (efficiency-enhancement layer), EEL 이라고 함) 이, 호스트 및 도펀트를 포함하는 발광층과 전자 수송층 사이에 개재된 청색 발광 형광 OLED 가 개시되어 있다. EEL 로서 화합물 EEL-1 을 사용한 OLED 는, EEL 로서 BPhen 또는 BCP 를 사용한 OLED 에 비해 저전압으로 구동되고, 높은 외부 양자 효율을 나타내고, 장수명을 갖는다고 보고되어 있다. 이 EEL 은 TTF 현상을 일으키기 위한 블로킹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비특허문헌 2 에 개시된 BPhen 및 BCP 에서, TTF 비율은 매우 낮았고, 10 mA/㎠ 에서의 전압은 4.5 V 이상이었다.
Journal of Applied Physics, 102,114504 (2007) SID10 DIGEST, 560 (2010)
그러나, 비특허문헌 1 에는, 호스트만이 사용된 논-도프 소자에 있어서 삼중항 여기자들의 충돌 및 융합에 의해 형광 발광이 증가되는 것만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에 있어서, 삼중항 여기자들에 의한 효율의 증가는 3% 내지 6% 와 같이 낮다.
비특허문헌 2 에는, EEL 로서 BCP 를 사용한 소자의 외부 양자 효율 (EQE) 이 EEL 로서 EEL-1 을 사용한 소자에 비해 수십 % 열악하다고 보고되어 있다. 소정의 삼중항 에너지의 관계를 만족하고 블로킹층에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화합물 (예컨대, BCP) 을 사용하여 TTF 현상을 효율적으로 일으킴으로써, 고효율의 소자를 제조하는 것은 어렵다고 고려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효율로 형광 발광하는 유기 EL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로서, 본 발명자들은 다음과 같이 발견하였다.
발광층과 전자 주입층 사이에 블로킹층이 개재된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전자 주입층의 어피니티 (affinity) 와 블로킹층의 어피니티 간에 차이가 있다. 어피니티 차이가 클 경우, 캐소드로부터 주입된 전자들이 충분히 발광층에 공급될 수 없고, 이로써 정공들과 전자들이 발광층에서 충분히 재결합되지 않는다. 그리하여, 어피니티 차이의 존재가 TTF 현상에 기여하는 여기자들의 충분한 발생을 방해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통상의 전자 수송 재료에서는 TTF 현상에 기여하는 여기자들이 관찰될 수 없다. 그러나, 전자 수송 대역을 적층 구조 (블로킹층/전자 주입층) 로 제공하되 블로킹층과 전자 주입층 간에 소정의 어피니티 차이를 갖도록 함으로써, BCP 와 같은 통상의 전자 수송 재료에서도 TTF 현상의 관찰 및 발광 효율의 향상이 가능한 것을 발견하였다.
먼저, 본 발명자들은, 전자 주입층의 어피니티 Ae 에서 블로킹층의 어피니티 Ab 를 감산한 값이 0.2 eV 미만이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캐소드로부터 공급된 전자들이 발광층에 충분히 공급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발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자들은 이하와 같이 유기 EL 소자의 발명을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는, 애노드, 발광층, 블로킹층, 전자 주입층, 및 캐소드를 순차적 순서로 포함하고, 발광층은 호스트 및 도펀트를 포함하고, 블로킹층은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를 포함하고,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의 삼중항 에너지 ET b (eV) 는 호스트의 삼중항 에너지 ET h (eV) 보다 더 크고, 블로킹층의 어피니티 Ab (eV) 및 전자 주입층의 어피니티 Ae (eV) 는 Ae-Ab<0.2 의 관계를 만족한다.
본 발명의 상기 양태에 따른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에 있어서,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의 삼중항 에너지 ET b (eV) 및 호스트의 삼중항 에너지 ET h (eV) 는 ET h+0.2<ET b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양태에 따른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의 삼중항 에너지 ET b (eV) 및 트리스(8-퀴놀리놀라토)알루미늄 착물의 삼중항 에너지 ET Alq (eV) 는 ET b>ET Alq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양태에 따른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의 전자 이동도는 전계 강도 0.04 MV/cm 내지 0.5 MV/cm 에서 적어도 10-6 cm2/Vs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양태에 따른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전자 주입층은 전계 강도 0.04 MV/cm 내지 0.5 MV/cm 에서 적어도 10-6 cm2/Vs 의 전자 이동도를 갖는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양태에 따른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도펀트는 주 피크 파장 550 nm 이하의 형광 발광을 나타내고,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 ET d (eV) 는 호스트의 삼중항 에너지 ET h (eV) 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양태에 따른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애노드와 발광층 사이에 정공 수송 대역이 위치되고, 정공 수송 대역 내에서 정공 수송층이 발광층에 인접하고, 정공 수송층의 삼중항 에너지 ET ho (eV) 는 호스트의 삼중항 에너지 ET h (eV) 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양태에 따른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전자 주입층 및 블로킹층은 동일 재료로 형성되고, 전자 주입층은 도너로 도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양태에 따른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도펀트는 피렌 유도체, 아미노안트라센 유도체, 아미노크리센 유도체, 아미노피렌 유도체, 플루오란텐 유도체 및 붕소 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양태에 따른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호스트는, 고리형 구조에만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양태에 따른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도펀트는, 고리형 구조에만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양태에 따른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최대 전류 효율 (cd/A) 에서의 인가 전압에 있어서, 발광층에 발생된 삼중항 여기자들의 충돌에 의해 발생된 일중항 여기자들로부터 유래된 발광 강도는, 전체 발광 강도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양태에 따르면, TTF 현상이 효율적으로 발생되고, 이에 따라 고효율로 형광 발광하는 유기 EL 소자를 제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층들 간의 에너지 갭들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층들 간의 에너지 갭들의 관계에 기초한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호스트의 어피니티 (Ah) > 도펀트의 어피니티 (Ad) 가 만족되는 경우를 나타낸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이다.
도 5 는 Ah < Ad 가 만족되고 Ah 와 Ad 간의 차이가 0.2 eV 미만인 경우를 나타낸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이다.
도 6 은 Ah < Ad 가 만족되고 Ah 와 Ad 간의 차이가 0.2 eV 보다 큰 경우를 나타낸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이다.
도 7 은 Ah < Ad 를 만족하는 도펀트와 Ah > Ad 를 만족하는 도펀트가 공존하는 경우를 나타낸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이다.
도 8 은 제 2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제 3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은 제 4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은 과도 EL 파형의 측정계를 나타낸다.
도 12a 는 TTF 로부터 유래된 발광 강도의 비율의 측정 방법을 나타내고, EL 소자의 발광 강도의 시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b 는 TTF 로부터 유래된 발광 강도의 비율의 측정 방법을 나타내고, 발광 강도의 제곱근의 역수의 시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 1 예시적인 실시형태
본 발명은 TTF 현상을 이용한다. TTF 현상이 먼저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애노드 및 캐소드로부터 각각 주입된 정공들 및 전자들은 발광층에서 재결합되어 여기자를 발생시킨다. 그 스핀 상태는, 종래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중항 여기자들이 25% 를 차지하고, 삼중항 여기자들이 75% 를 차지한다. 종래에 공지된 형광 소자에 있어서, 25%의 일중항 여기자들이 기저 상태로 완화될 때 광이 방출된다. 나머지의 75%의 삼중항 여기자들은, 광을 방출하지 않고서 열적 실활 프로세스를 거쳐 기저 상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종래의 형광 소자의 내부 양자 효율의 이론적 한계 값은 25% 라고 여겨진다.
유기물 내부에서 발생된 삼중항 여기자들의 거동이 이론적으로 검토되었다. S. M. Bachilo 등 (J. Phys. Cem. A, 104, 7711(2000)) 에 따르면, 오중항 여기자들과 같은 고차의 여기자들이 신속하게 삼중항 여기자들로 복귀된다고 가정하면, 삼중항 여기자들 (이하, 3A* 라고 약기함) 은 그 밀도의 증가에 따라 서로 충돌하고, 이로써 하기 식에 의해 나타낸 반응이 일어난다. 식에서, 1A 은 기저 상태, 1A* 는 최저 일중항 여기자들을 나타낸다.
3A*+3A*->(4/9)1A+(1/9)1A*+(13/9)3A*
즉, 53A*->41A+1A* 가 되고, 75% 를 차지하는 초기에 발생된 삼중항 여기자들 가운데, 그 1/5 (즉, 20%) 가 일중항 여기자들로 변화되는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발광에 기여하는 일중항 여기자들의 양은, 초기에 발생된 일중항 여기자들의 양 비율인 25% 에 15% (75%*(1/5)=15%) 를 가산한 값인 40% 이다. 이때, 전체 발광 강도에 대하여 TTF 로부터 유래된 발광 강도의 비율 (TTF 비율) 은 15/40, 즉, 37.5% 이다. 75% 를 차지하는 초기에 발생된 삼중항 여기자들의 충돌에 의해 일중항 여기자들이 발생된다 (즉, 2개의 삼중항 여기자들로부터 1개의 일중항 여기자가 발생됨) 고 가정하면, 초기에 발생된 일중항 여기자들의 양 비율인 25% 에 37.5% (75%*(1/2)=37.5%) 를 가산한 값인 62.5% 라고 하는 매우 높은 내부 양자 효율이 획득된다. 이때, TTF 비율은 60% (37.5/62.5) 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일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 는 제 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발광층의 삼중항 에너지와 전자 수송 대역의 삼중항 에너지 간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삼중항 에너지는, 최저 삼중항 상태에서의 에너지와 기저 상태에서의 에너지의 차이를 지칭한다. 일중항 에너지 (종종 에너지 갭이라고 함) 는, 최저 일중항 상태에서의 에너지와 기저 상태에서의 에너지의 차이를 지칭한다.
도 1 에 나타낸 유기 EL 소자 (1) 은, 애노드 (10), 정공 수송 대역 (60), 발광층 (20), 블로킹층 (30), 전자 주입층 (40) 및 캐소드 (50) 를 순차적 순서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에서는 이들 컴포넌트들이 서로 인접한다. 전자 수송 대역 (70) 은 블로킹층 (30) 과 전자 주입층 (40) 을 포함한다. 애노드 (10) 와 발광층 (20) 사이에 정공 수송 대역 (60) 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공 수송 대역은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순히 불리는 블로킹층은, 삼중항 에너지에 대한 장벽 (barrier) 으로서 기능하는 층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블로킹층은, 정공 블로킹층 및 전하 블로킹층과는 상이하게 기능한다.
발광층은 호스트 및 도펀트를 포함한다. 도펀트로서는, 주 피크 파장 550 nm 이하의 형광 광을 방출하는 도펀트 (이하, 주 피크 파장이 550 nm 이하인 형광 도펀트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가 바람직하다. 주 피크 파장은, 농도 10-5 몰/ℓ 내지 10-6 몰/ℓ 의 톨루엔 용액에서 측정된 발광 스펙트럼에 있어서의 최대 발광 강도를 나타내는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파장을 의미한다. 주 피크 파장 550 nm 는 실질적으로 녹색 발광에 상당한다. 이 파장 영역에서, TTF 현상을 이용한 형광 소자의 발광 효율의 향상이 요구된다. 480 nm 이하의 청색 발광 형광 소자에 있어서는, 보다 높은 발광 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550 nm 이상의 적색 발광 형광 소자에 있어서는, 높은 내부 양자 효율을 나타내는 인광 소자가 이미 실용 수준에 있다. 따라서, 형광 소자로서의 발광 효율의 향상이 요구되지 않는다.
도 2 에 있어서, 애노드로부터 주입된 정공들은 정공 수송 대역을 통해 발광층에 주입된다. 캐소드로부터 주입된 전자들은, 전자 주입층 및 블로킹층을 통해 발광층에 주입된다. 그 후, 발광층에서 정공들과 전자들이 재결합되어 일중항 여기자들 및 삼중항 여기자들을 발생시킨다. 재결합의 발생에 대해서는, 호스트 분자들 상에서 재결합이 일어나는 것과 도펀트 분자들 상에서 재결합이 일어나는 것의 2가지 방법이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스트의 삼중항 에너지와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는 각각 ET h 및 ET d 로서 취해지고, ET h<ET d 의 관계가 만족된다. 이 관계가 만족되는 경우에,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스트 상에서의 재결합에 의해 발생된 삼중항 여기자들은 보다 높은 삼중항 에너지를 가지는 도펀트로 이동하지 않는다. 도펀트 분자들 상에서의 재결합에 의해 발생된 삼중항 여기자들은 신속하게 호스트 분자들로 에너지-이동한다. 즉, 호스트 상에서의 삼중항 여기자들은 도펀트로 이동하지 않지만 TTF 현상에 의해 효율적으로 호스트 상에서 서로 충돌하여 일중항 여기자들을 발생시킨다. 게다가, 도펀트의 일중항 에너지 ES d 는 호스트의 일중항 에너지 ES h 보다 더 작아서 다음의 관계
ES d < ES h
를 만족하기 때문에, TTF 현상에 의해 발생된 일중항 여기자들이 에너지-이동하여 도펀트의 형광 발광에 기여한다. 통상 형광 소자에 사용되는 도펀트에 있어서는, 삼중항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의 천이는 금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천이에서는, 삼중항 여기자들이 광학적으로 에너지-실활되지 않지만 열적으로 에너지-실활된다. 호스트의 삼중항 에너지와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가 상기 서술된 관계를 만족하도록 함으로써, 삼중항 여기자들이 열적으로 실활되기 이전에 삼중항 여기자들의 충돌에 의해 일중항 여기자들이 효율적으로 발생된다. 그 결과,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서는, 블로킹층이 발광층에 인접한다. 블로킹층은 발광층에서 발생된 삼중항 여기자들이 전자 수송 대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삼중항 여기자들을 발광층 내에 가두어 그 안의 삼중항 여기자들의 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 TTF 현상을 효율적으로 일으키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블로킹층은 발광층에 전자들을 효율적으로 주입하는 역할도 한다. 발광층으로의 전자 주입성이 열화되는 경우, 발광층에서의 전자-정공 재결합이 감소되기 때문에 삼중항 여기자들의 밀도가 감소된다. 삼중항 여기자들의 밀도가 감소되는 경우, 삼중항 여기자들의 충돌 빈도가 줄어들고, 이로써 효율적으로 TTF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블로킹층은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를 포함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발광층에서 발생된 삼중항 여기자들이 전자 수송 대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발광층에 전자를 효율적으로 주입하기 위해서, 블로킹층의 어피니티 (Ab) 및 전자 주입층의 어피니티 (Ae) 가 하기 식 (1) 의 관계를 만족한다.
Ae - Ab < 0.2 … (1)
이 관계가 만족되지 않는 경우, 전자 주입층으로부터 블로킹층으로의 전자 주입이 곤란해진다.
바람직하게는, 블로킹층의 어피니티 (Ab) 및 전자 주입층의 어피니티 (Ae) 가 하기 식 (2) 의 관계를 만족한다.
-3 < Ae - Ab < 0.2 … (2)
전자 주입층을 형성하는 재료는 블로킹층을 형성하는 재료와 동일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 주입층은 도너로 도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너로 도핑하는 것은, 캐소드로부터 전자를 수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된다. 특히, 전자 주입층은 캐소드와의 계면 근방에 알칼리 금속으로 대표되는 도너로 도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너로서는, 도너 금속, 도너 금속 화합물 및 도너 금속 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도너가 후술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삼중항 여기자들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블로킹층에 포함된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의 삼중항 에너지 ET b 는, 호스트의 삼중항 에너지 ET h 보다 크다. 즉, ET h < ET b 의 관계가 만족된다.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의 삼중항 에너지 ET b 가,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 ET d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ET d < ET b 의 관계가 만족된다.
블로킹층은 삼중항 여기자들이 전자 주입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발광층에 있어서, 호스트의 삼중항 여기자들이 효율적으로 일중항 여기자들이 되고, 그 일중항 여기자들이 도펀트로 이동하여, 광학적으로 에너지-실활된다.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의 삼중항 에너지 ET b 및 호스트의 삼중항 에너지 ET h 가 ET h + 0.2 < ET b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의 삼중항 에너지 ET b 및 호스트의 삼중항 에너지 ET h 가 ET h + 0.3 < ET b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의 삼중항 에너지 ET b 및 호스트의 삼중항 에너지 ET h 가 ET h + 0.4 < ET b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된 바와 같이, 삼중항 에너지의 에너지 장벽이 커짐에 따라, 특히 0.2 를 초과할 경우에, 삼중항 여기자들이 열적 에너지에 의해 발광층과 블로킹층 간에 에너지 평형되기 어렵다. 이 경우, 블로킹층으로의 확산에 더하여, 열적 실활 모드에 의한 효율 저하가 방지된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상기의 관계들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로킹층의 삼중항 에너지 ET b 및 트리스(8-퀴놀리놀라토)알루미늄 착물의 삼중항 에너지 ET Alq 가 ET b > ET Alq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관계를 만족함으로써, 발광층 내에 삼중항 여기자들을 가두는 이점이 향상될 수 있다.
블로킹층이, 6 고리 이상의 고리형 구조를 갖는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회합을 형성하지 않고서 전자 주입층으로부터의 충분한 전자 공급을 허용함으로써 발광층 내의 여기자 밀도가 증가되고, 이로써 TTF 현상에 의해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고 고려된다.
블로킹층이 5 고리 이하의 고리 구조를 갖는 경우, 그것의 작은 분자 사이즈에 의해 박막 형성시의 막 안정성이 낮다. 이는, 이들 화합물들이 블로킹층으로서 사용될 경우, 블로킹층과 전자 주입층의 계면 상태가 변화하기 쉽고, 결과적으로 분자들의 부분적 회합을 가져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회합에 의해 계면 상태가 변화하기 때문에, 전자 주입층으로부터의 전자 공급이 방해된다고 고려된다.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의 고리형 구조를 카운팅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1개의 고리형 구조란, 분자 내에 비금속 원자들의 공유 결합에 의해 형성된 1개의 고리를 갖는 고리형 구조를 지칭한다. 특히, 축합된 고리기의 경우에, 축합된 고리형 구조의 수는, 축합된 고리기의 고리형 구조의 수로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나프탈렌 고리는 2개의 고리형 구조들을 가지며, 디벤조푸란 고리는 3개의 고리형 구조들을 갖는다. 다음의 화학식 (1) 에 의해 나타낸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는 10 개의 고리형 구조들을 갖는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09850762-pct00001
다음의 화학식 (2) 에 의해 나타낸 BAlq 와 같은 착물의 경우에는, 금속에 직접적으로 결합 또는 원소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결합된 방향족 고리형 구조 및 헤테로 고리형 구조 또한 고리형 구조로서 카운팅된다. 따라서, BAlq 는 6개의 고리형 구조를 가진다.
[화학식 2]
Figure 112012009850762-pct00002
다음의 화학식 (3) 에 의해 나타낸 Bphen 은 5개의 고리형 구조들을 갖는다.
[화학식 3]
Figure 112012009850762-pct00003
블로킹층에 포함된 6개 이상의 고리형 구조들을 갖는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의 구체예는, 하기 일반식 (BL-1) 내지 (BL-6) 으로 나타낸 구조들이다. 그러나,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4]
Figure 112012009850762-pct00004
식 (BL-1) 중의 기호들에 대해 설명한다.
A 는 단고리형 헤테로시클릭기를 나타낸다. R 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헤테로아릴기에서 선택된 기, 또는 그것의 2개 이상의 조합의 잔기들을 나타낸다. n 이 1 일 경우, R' 는 R 과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n 이 2 내지 6 일 경우, R' 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헤테로아릴렌기, 및 그것의 2개 이상의 조합의 잔기들로부터 선택된 연결기를 나타낸다.
m 은 0 내지 4 의 정수이다. n 은 1 내지 6 의 정수이다. 복수의 A 및 R 이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A 및 R 은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할 수도 있다. 식 (BL-1) 에서, 분자에 포함된 A, R 및 R' 의 전체 수는 6 이상이고, A, R 및 R' 는 비금속 원자들의 공유 결합에 의해 형성된 고리를 나타낸다.
A 로 나타낸 단고리형 헤테로시클릭기의 예는, 피리딘, 피리미딘, 피라진, 피리다진, 트리아진, 테트라진, 피롤, 이미다졸, 피라졸, 옥사졸, 이소옥사졸, 푸란, 티오펜, 티아졸, 이소티아졸, 트리아졸, 옥사디아졸, 티아디아졸, 푸라잔 및 테트라졸이 바람직하다.
알킬기의 예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이소부틸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및 시클로헥실기가 바람직하다.
아릴기의 예는, 페닐기, 나프틸기, 플루오레닐기, 비페닐기, 터페닐기, 페난트릴기, 플루오란테닐기, 벤조플루오란테닐기, 벤즈안트릴기, 피레닐기, 벤즈페난트릴기, 벤조크리세닐기, 크리세닐기, 트리페닐렌기 및 벤조트리에닐레닐기가 바람직하다.
헤테로아릴기의 예는, 피리딘, 피리미딘, 피라진, 피리다진, 트리아진, 테트라진, 피롤, 이미다졸, 피라졸, 옥사졸, 이소옥사졸, 푸란, 티오펜, 티아졸, 이소티아졸, 트리아졸, 옥사디아졸, 티아디아졸, 푸라잔 및 테트라졸이 바람직하다.
알킬렌기는, 알킬기로서 상기에 열거된 기들의 n-가 잔기가 바람직하다.
아릴렌기는, 아릴기로서 상기에 열거된 기들의 n-가 잔기가 바람직하다.
헤테로아릴렌기는, 헤테로아릴기로서 상기에 열거된 기들의 n-가 잔기가 바람직하다.
일반식 (BL-1) 에 의해 나타낸 구조는 또한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화학식 5]
Figure 112012009850762-pct00005
다음으로, 일반식 (BL-2) 로 나타낸 구조들에 대해 설명한다.
[화학식 6]
Figure 112012009850762-pct00006
식 (BL-2) 중의 기호들에 대해 설명한다.
B1 및 B2 둘다는 고리형 구조를 나타낸다. 인접하는 B들은 축합되어 고리를 형성한다. B1 및 B2 중 적어도 하나는 헤테로 원자를 갖도록 구조화되어 있다. B1 및 B2 에 의해 형성되는 이러한 축합된 고리형 구조는 B1-B2 고리라고 지칭된다.
R 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헤테로아릴기에서 선택된 기, 또는 그것의 2개 이상의 조합의 잔기들을 나타낸다.
n 이 1 일 경우, R' 는 R 과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n 이 2 내지 6 일 경우, R' 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헤테로아릴렌기, 및 그것의 2개 이상의 조합의 잔기들로부터 선택된 연결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 는 단일 결합으로 2개의 B1-B2 고리들을 직접 결합시킨다.
m 은 0 내지 6 의 정수이다. n 은 1 내지 6 의 정수이다.
복수의 B1-B2 고리 및 R 이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B1-B2 고리 및 R 은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할 수도 있다. 식 (BL-2) 에서, 분자에 포함된 B1, B2, R 및 R' 의 전체 수는 6 이상이고, B1, B2, R 및 R' 는 비금속 원자들의 공유 결합에 의해 형성된 고리를 나타낸다.
알킬기 및 아릴기의 예는 일반식 (BL-1) 에 관련하여 설명된 것들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헤테로아릴기의 예는, 피리딘, 피리미딘, 피라진, 피리다진, 트리아진, 테트라진, 피롤, 이미다졸, 피라졸, 옥사졸, 이소옥사졸, 푸란, 티오펜, 티아졸, 이소티아졸, 트리아졸, 옥사디아졸, 티아디아졸, 푸라잔, 테트라졸, 벤즈이미다졸, 이미다조피리딘, 인다졸, 퀴놀린, 이소퀴놀린, 퀴녹살린, 나프티리딘, 벤즈옥사졸 및 벤즈티아졸이 바람직하다.
알킬렌기, 아릴렌기 및 헤테로아릴렌기는, 알킬기, 아릴기 및 헤테로아릴기로서 상기 열거된 기들의 n-가 잔기가 바람직하다.
B1-B2 고리의 구조의 예는, 일반식 (BL-2-1) 에서 이하에 열거되는 축합된 고리형 구조들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7]
Figure 112012009850762-pct00007
식 (BL-2-1) 중의 기호들에 대해 설명한다.
X 는 CR" 또는 N 을 나타낸다.
Y 는 O, S, NR" 또는 C(R")2 를 나타낸다. 단일 구조에서의 Y들 중 적어도 하나는 O, S 또는 NR" 이다.
R"들 중 하나는 R' 에 대한 결합 부위로서 사용된다. 나머지의 R"들은 각각 수소 원자 또는 R 의 것들과 동일한 치환기들이다.
C 는 탄소 원자를 나타낸다. O 는 산소 원자를 나타낸다. S 는 황 원자를 나타낸다. N 은 질소 원자를 나타낸다.
일반식 (BL-2) 에 의해 나타낸 구조는 또한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화학식 8]
Figure 112012009850762-pct00008
다음으로, 일반식 (BL-3) 로 나타낸 구조들에 대해 설명한다.
[화학식 9]
Figure 112012009850762-pct00009
식 (BL-3) 중의 기호들에 대해 설명한다.
C1 내지 C3 은 각각 고리형 구조를 나타낸다. 인접한 C들이 축합되어 고리를 형성한다. C1 내지 C3 중 적어도 하나는 헤테로 원자를 갖도록 구조화되어 있다. 인접한 C들을 가교하는 방식으로 다른 축합된 고리가 형성될 수도 있다. C1 내지 C3 에 의해 형성된 이러한 축합된 고리형 구조는 C1-C3 고리라고 지칭된다.
R 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헤테로아릴기에서 선택된 기, 또는 그것의 2개 이상의 조합의 잔기들을 나타낸다.
n 이 1 일 경우, R' 는 R 과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n 이 2 내지 6 일 경우, R' 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헤테로아릴렌기, 및 그것의 2개 이상의 조합의 잔기들로부터 선택된 연결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 는 단일 결합으로 2개의 C1-C3 고리들을 직접 결합시킨다.
m 은 0 내지 9 의 정수이다. n 은 1 내지 6 의 정수이다.
복수의 C1-C3 고리 및 R 이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C1-C3 고리 및 R 은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할 수도 있다. 식 (BL-3) 에서, 분자에 포함된 C1 내지 C3, R 및 R' 의 전체 수는 6 이상이고, C1 내지 C3, R 및 R' 는 비금속 원자들의 공유 결합에 의해 형성된 고리를 나타낸다.
알킬기 및 아릴기의 예는, 일반식 (BL-1) 에 관련하여 설명된 것들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헤테로아릴기의 예는, 피리딘, 피리미딘, 피라진, 피리다진, 트리아진, 테트라진, 피롤, 이미다졸, 피라졸, 옥사졸, 이소옥사졸, 푸란, 티오펜, 티아졸, 이소티아졸, 트리아졸, 옥사디아졸, 티아디아졸, 푸라잔, 테트라졸, 벤즈이미다졸, 이미다조피리딘, 인다졸, 퀴놀린, 이소퀴놀린, 퀴녹살린, 나프티리딘, 벤즈옥사졸, 벤즈티아졸, 카르바졸, 디벤조푸란, 디벤조티오펜 및 페난트롤린이 바람직하다.
알킬렌기, 아릴렌기 및 헤테로아릴렌기는, 알킬기, 아릴기 및 헤테로아릴기로서 상기 열거된 기들의 n-가 잔기가 바람직하다.
C1-C3 고리의 구조의 예는, 일반식 (BL-3-1) 에서 이하에 열거되는 축합된 고리형 구조들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0]
Figure 112012009850762-pct00010
식 (BL-3-1) 중의 기호들에 대해 설명한다.
X, Y 및 R" 는 식 (BL-2-1) 에 관련하여 설명된 것들과 동일하다. Z 는 CR" 또는 N 을 나타낸다. Z들 중 적어도 하나는 N 이다.
일반식 (BL-3) 으로 나타낸 구조는 또한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화학식 11]
Figure 112012009850762-pct00011
다음으로, 일반식 (BL-4) 로 나타낸 구조들에 대해 설명한다.
[화학식 12]
Figure 112012009850762-pct00012
식 (BL-4) 중의 기호들에 대해 설명한다.
D1 내지 D4 는 각각 고리형 구조를 나타낸다. 인접한 D들이 축합되어 고리를 형성한다. D1 내지 D4 중 적어도 하나는 헤테로 원자를 갖도록 구조화되어 있다. 인접한 D들을 가교하는 방식으로 다른 축합된 고리가 형성될 수도 있다. D1 내지 D4 에 의한 이러한 축합된 고리형 구조는 D1-D4 고리라고 지칭된다.
R 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헤테로아릴기로부터 선택된 기, 또는 그것의 2개 이상의 조합의 잔기들을 나타낸다.
n 이 1 일 경우, R' 는 R 과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n 이 2 내지 6 일 경우, R' 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헤테로아릴렌기, 및 그것의 2개 이상의 조합의 잔기들로부터 선택된 연결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 는 단일 결합으로 2개의 D1-D4 고리들을 직접 결합시킨다.
m 은 0 내지 11 의 정수이다. n 은 1 내지 6 의 정수이다.
복수의 D1-D4 고리 및 R 이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D1-D4 고리 및 R 은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할 수도 있다. 식 (BL-4) 에서, 분자에 포함된 D1-D4, R 및 R' 의 전체 수는 6 이상이고, D1-D4, R 및 R' 는 비금속 원자들의 공유 결합에 의해 형성된 고리를 나타낸다.
알킬기 및 아릴기의 예는, 일반식 (BL-1) 에 관련하여 설명된 것들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헤테로아릴기의 예는, 피리딘, 피리미딘, 피라진, 피리다진, 트리아진, 테트라진, 피롤, 이미다졸, 피라졸, 옥사졸, 이소옥사졸, 푸란, 티오펜, 티아졸, 이소티아졸, 트리아졸, 옥사디아졸, 티아디아졸, 푸라잔, 테트라졸, 벤즈이미다졸, 이미다조피리딘, 인다졸, 퀴놀린, 이소퀴놀린, 퀴녹살린, 나프티리딘, 벤즈옥사졸, 벤즈티아졸, 카르바졸, 디벤조푸란, 디벤조티오펜 및 페난트롤린이 바람직하다.
알킬렌기, 아릴렌기 및 헤테로아릴렌기는, 알킬기, 아릴기 및 헤테로아릴기로서 상기 열거된 기들의 n-가 잔기가 바람직하다.
D1-D4 고리의 구조의 예는, 일반식 (BL-4-1) 에서 이하에 열거되는 축합된 고리형 구조들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3]
Figure 112012009850762-pct00013
식 (BL-4-1) 중의 기호들에 대해 설명한다.
X, Y, Z 및 R" 는 식 (BL-3-1) 에 관련하여 설명된 것들과 동일하다.
일반식 (BL-4) 로 나타낸 구조는 또한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화학식 14]
Figure 112012009850762-pct00014
다음으로, 일반식 (BL-5) 로 나타낸 구조들에 대해 설명한다.
[화학식 15]
Figure 112012009850762-pct00015
식 (BL-5) 중의 기호들에 대해 설명한다.
E1 내지 E4 는 각각 고리형 구조를 나타낸다. 인접한 E들이 축합되어 고리를 형성한다. E1 내지 E4 중 적어도 하나는 헤테로 원자를 갖도록 구조화되어 있다. E2 내지 E4 상의 인접한 치환기들을 가교하는 방식으로 다른 축합된 고리가 형성될 수도 있다. E1 내지 E4 에 의한 이러한 축합된 고리형 구조는 E1-E4 고리라고 지칭된다.
R 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헤테로아릴기로부터 선택된 기, 또는 그것의 2개 이상의 조합의 잔기들을 나타낸다.
n 이 1 일 경우, R' 는 R 과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n 이 2 내지 6 일 경우, R' 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헤테로아릴렌기, 및 그것의 2개 이상의 조합의 잔기들로부터 선택된 연결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 는 단일 결합으로 2개의 E1-E4 고리들을 직접 결합시킨다.
(m+l) 은 0 내지 11 의 정수이다. n 은 1 내지 6 의 정수이다.
복수의 E1-E4 고리 및 R 이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E1-E4 고리 및 R 은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할 수도 있다. 식 (BL-5) 에서, 분자에 포함된 E1-E4, R 및 R' 의 전체 수는 6 이상이고, E1-E4, R 및 R' 는 비금속 원자들의 공유 결합에 의해 형성된 고리를 나타낸다. m 및 l 은 R들의 수를 나타낸다.
알킬기 및 아릴기의 예는, 일반식 (BL-1) 에 관련하여 설명된 것들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헤테로아릴기의 예는, 피리딘, 피리미딘, 피라진, 피리다진, 트리아진, 테트라진, 피롤, 이미다졸, 피라졸, 옥사졸, 이소옥사졸, 푸란, 티오펜, 티아졸, 이소티아졸, 트리아졸, 옥사디아졸, 티아디아졸, 푸라잔, 테트라졸, 벤즈이미다졸, 이미다조피리딘, 인다졸, 퀴놀린, 이소퀴놀린, 퀴녹살린, 나프티리딘, 벤즈옥사졸, 벤즈티아졸, 카르바졸, 디벤조푸란, 디벤조티오펜 및 페난트롤린이 바람직하다.
알킬렌기, 아릴렌기 및 헤테로아릴렌기는, 알킬기, 아릴기 및 헤테로아릴기로서 상기 열거된 기들의 n-가 잔기가 바람직하다.
E1-E4 고리의 구조의 예는, 식 (BL-5-1) 에서 이하 열거되는 축합된 고리형 구조들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6]
Figure 112012009850762-pct00016
식 (BL-5-1) 중의 기호들에 대해 설명한다.
X, Y, Z 및 R" 는 식 (BL-3-1) 에 관련하여 설명된 것들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일반식 (BL-6) 으로 나타낸 구조들에 대해 설명한다.
[화학식 17]
Figure 112012009850762-pct00017
식 (BL-6) 중의 기호들에 대해 설명한다.
F1 내지 F5 는 각각 고리형 구조를 나타낸다. 인접한 F들은 축합되어 고리를 형성한다. F1 내지 F5 중 적어도 하나는 헤테로 원자를 갖도록 구조화되어 있다. F들 각각 상의 인접한 치환기들을 가교하는 방식으로 축합된 고리가 형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인접한 F들을 가교하는 방식으로 축합된 고리가 형성될 수도 있다. F1 내지 F5 에 의해 형성된 이러한 축합된 고리형 구조는 F1-F5 고리라고 지칭된다.
R 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헤테로아릴기로부터 선택된 기, 또는 그것의 2개 이상의 조합의 잔기들을 나타낸다.
n 이 1 일 경우, R' 는 R 과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n 이 2 내지 6 일 경우, R' 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헤테로아릴렌기, 및 그것의 2개 이상의 조합의 잔기들로부터 선택된 연결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 는 단일 결합으로 2개의 F1-F5 고리들을 직접 결합시킨다.
m 은 0 내지 13 의 정수이다. n 은 1 내지 6 의 정수이다.
복수의 F1-F5 고리 및 R 이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F1-F5 고리 및 R 은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할 수도 있다. 식 (BL-6) 에서, 분자에 포함된 F1-F5, R 및 R' 의 전체 수가 6 이상이고, 여기서 F1-F5, R 및 R' 는 분자 내에 비금속 원자들의 공유 결합에 의해 형성된 고리를 나타낸다.
알킬기 및 아릴기의 예는, 일반식 (BL-1) 에 관련하여 설명된 것들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헤테로아릴기의 예는, 피리딘, 피리미딘, 피라진, 피리다진, 트리아진, 테트라진, 피롤, 이미다졸, 피라졸, 옥사졸, 이소옥사졸, 푸란, 티오펜, 티아졸, 이소티아졸, 트리아졸, 옥사디아졸, 티아디아졸, 푸라잔, 테트라졸, 벤즈이미다졸, 이미다조피리딘, 인다졸, 퀴놀린, 이소퀴놀린, 퀴녹살린, 나프티리딘, 벤즈옥사졸, 벤즈티아졸, 카르바졸, 디벤조푸란, 디벤조티오펜 및 페난트롤린이 바람직하다.
알킬렌기, 아릴렌기 및 헤테로아릴렌기는, 알킬기, 아릴기 및 헤테로아릴기로서 상기 열거된 기들의 n-가 잔기가 바람직하다.
F1-F5 고리의 구조의 예는, 일반식 (BL-6-1) 에서 이하 열거되는 축합된 고리형 구조들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8]
Figure 112012009850762-pct00018
식 (BL-6-1) 중의 기호들에 대해 설명한다.
X, Y, Z 및 R" 는 식 (BL-3-1) 에 관련하여 설명된 것들과 동일하다.
일반식 (BL-6) 에 의해 나타낸 구조는 또한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화학식 19]
Figure 112012009850762-pct00019
블로킹층에 6개 이상의 고리형 구조들을 갖는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의 구체예는, 하기 일반식 (BL-7) 로 나타낸 구조들이다. 그러나,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20]
Figure 112012009850762-pct00020
식 (BL-7) 중의 기호들에 대해 설명한다.
Ar 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렌기 또는 헤테로아릴렌기이다.
X 는 독립적으로 CR 또는 N 을 나타낸다. R들 중 하나는 단일 결합으로 Ar 과 결합된다. 나머지의 R들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불소 원자,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알킬실릴기, 아릴실릴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상기 아릴기들 및 상기 헤테로아릴기들 중 2개 또는 3개에 의해 형성된 연결기이다.
n 은 2 또는 3 의 정수이다.
아릴기의 예는, 페닐기, 비페닐기, o-터페닐기, m-터페닐기, p-터페닐기, 나프틸기, 페난트릴기, 크리세닐기, 벤조페난트레닐기, 벤조크리세닐기, 벤즈안트릴기, 트리페닐기, 플루오란테닐기, 벤조플루오란테닐기 및 플루오레닐기가 바람직하다. 헤테로아릴기의 예는, 피리딜기, 피리미디닐기, 피라지닐기, 피리다지닐기, 퀴놀리닐기, 이소퀴놀리닐기, 퀴녹살리닐기, 나프티리디닐기, 이미다조피리딜기, 인돌릴기, 인다졸릴기, 페난트롤릴기, 이미다졸릴기, 피라졸릴기, 피롤릴기, 푸라닐기, 티오페닐기, 옥사졸릴기, 티아졸릴기, 벤즈옥사졸릴기, 벤즈티아졸릴기, 옥사디아졸릴기, 티아디아졸릴기, 트리아졸릴기, 테트라졸릴기, 디벤조푸라닐기, 디벤조티오페닐기 및 카르바졸릴기가 바람직하다. 아릴렌기는, 아릴기의 2가 또는 3가 잔기이다. 헤테로아릴렌기는, 헤테로아릴기의 2가 또는 3가 잔기이다.
일반식 (BL-7) 로 나타낸 구조는 또한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화학식 21]
Figure 112012009850762-pct00021
블로킹층에 6개 이상의 고리형 구조들을 갖는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의 예는, 하기 일반식 (BL-8) 로 나타낸 구조들이다. 그러나,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22]
Figure 112012009850762-pct00022
식 (BL-8) 중의 기호들에 대해 설명한다
Ar1 은 푸란 고리 및 피란 고리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리들을 갖는 4개 이상의 고리들이 축합되어 있는 축합된 고리기이다.
HAr 은 하기 식 (BL-8-2) 내지 (BL-8-5) 에 의해 나타낸 질소 함유 헤테로시클릭기들 중 하나이다.
n 및 m 은 각각 0 내지 5 의 정수이다.
L 은 단일 결합,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3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n+m)-가 아릴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3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n+m)-가 헤테로시클릭기에서 선택된 2개 또는 3개의 기들에 의해 단일 결합으로 형성된 (n+m)-가 연결기이다.
[화학식 23]
Figure 112012009850762-pct00023
식 (BL-8-2) 내지 (BL-8-5) 중의 기호들에 대해 설명한다.
R11, R12, R21, R22, R31 내지 R40 및 R41 내지 R46 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8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기, 3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치환된 실릴기, 시아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2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티오기, 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모노- 또는 디-알킬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3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3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시클릭기이다.
R31 내지 R35 중 하나 및 R36 내지 R40 중 하나는 식 (BL-8-4) 로 나타낸 2개의 피리딘 고리들을 결합하는 단일 결합이다.
X 는 N 또는 CR13 에서 선택된다.
R13 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8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기, 3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치환된 실릴기, 시아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2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티오기, 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모노- 또는 디-알킬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3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3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시클릭기이다.
복수의 R13들이 존재할 경우, R13들은 동일 또는 상이할 수도 있다.
Y 는 N 또는 CR23 에서 선택된다.
R23 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8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기, 3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치환된 실릴기, 시아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2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티오기, 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모노- 또는 디-알킬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3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3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시클릭기이다.
복수의 R23들이 존재할 경우, R23들은 동일 또는 상이할 수도 있다.
Z 는 가교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이다.
R11 내지 R13 중 하나, R21 내지 R23 중 하나, R31 내지 R40 중 하나 및 R41 내지 R46 중 하나는, L 과 결합되는 단일 결합이다.
블로킹층에서의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의 바람직한 예는, 하기 일반식 (BL-9) 또는 (BL-10) 으로 나타낸 화합물 (카르바졸 아진 화합물) 이다.
[화학식 24]
Figure 112012009850762-pct00024
식 (BL-9) 에서, Cz 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카르바졸릴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자카르바졸릴기이다. A 는 아릴-치환 질소 함유 고리기, 디아릴-치환 질소 함유 고리기, 또는 트리아릴-치환 질소 함유 고리기이다. m 은 1 내지 3 의 정수이다.
[화학식 25]
Figure 112012009850762-pct00025
식 (BL-10) 에서, Cz 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카르바졸릴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자카르바졸릴기이다. A 는 아릴-치환 질소 함유 고리기, 디아릴-치환 질소 함유 고리기, 또는 트리아릴-치환 질소 함유 고리기이다. n 은 1 내지 3 의 정수이다.
A 의 예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피리딘, 퀴놀린, 피라진, 피리미딘, 퀴녹살린, 트리아진, 이미다졸, 이미다조피리딘, 피리다진, 및 벤즈이미다졸이다.
블로킹층에서의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의 바람직한 예는, 하기 일반식 (BL-11) 또는 (BL-12) 로 나타낸 화합물 (래더 화합물) 이다.
[화학식 26]
Figure 112012009850762-pct00026
식 (BL-11) 및 (BL-12) 중의 기호들에 대해 설명한다.
Ar1, Ar2 및 Ar3 은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6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6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방향족 헤테로시클릭기이다.
Ar1, Ar2 및 Ar3 은 하나 이상의 치환기 Y를 가질 수도 있다. 복수의 Y는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Y 는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2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기,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콕시기, 7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르알킬기, 실릴기 또는 3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치환된-실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2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축합된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2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방향족 헤테로시클릭기 또는 축합된 방향족 헤테로시클릭기를 나타낸다.
식 (BL-11) 및 (BL-12) 에서, X1, X2, X3 및 X4 는 독립적으로 산소 (O), 황 (S), N-R1 또는 CR2R3 을 나타낸다. CR2R3 은 탄소 원자 (C) 에 결합된 R2 및 R3 을 나타낸다.
R1, R2 및 R3 은 독립적으로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2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기, 7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르알킬기, 실릴기 또는 3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치환된-실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2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축합된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2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방향족 헤테로시클릭기 또는 축합된 방향족 헤테로시클릭기를 나타낸다.
그러나, X1 및 X2 둘다가 N-R1 을 나타내는 경우; o 및 p 는 0 이고; q 는 1 이며, 또는 X1 및 X3 둘다가 N-R1 을 나타내는 경우; p 및 q 는 0 이고; o 는 1 이며, 적어도 하나의 R1 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8 내지 24개의 고리-형성 원자를 갖는 1가의 축합된 방향족 헤테로시클릭기를 나타낸다.
식 (BL-11) 및 (BL-12) 에서, o, p 및 q 는 0 또는 1 을 나타낸다.
s 는 1, 2, 3 또는 4 를 나타내고, 각각 L4 를 연결기로서 사용하는 단량체, 2량체, 3량체 및 4량체이다.
r 은 1, 2, 3 또는 4 를 나타낸다. 식 (BL-11) 및 (BL-12) 에서, L2 는 단일 결합,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2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렌기, 2가의 실릴기 또는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2가의 치환된-실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2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2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축합된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2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1가의 또는 2가의 방향족 헤테로시클릭기 또는 축합된 방향족 헤테로시클릭기를 나타낸다.
식 (BL-11) 에서, L3 은 단일 결합,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2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렌기, 2가의 실릴기 또는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2가의 치환된-실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2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2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축합된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2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2가의 방향족 헤테로시클릭기 또는 축합된 방향족 헤테로시클릭기를 나타낸다.
식 (BL-12) 에서, s 가 2 일 경우, L4 는 단일 결합,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2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렌기, 2가의 실릴기 또는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2가의 치환된-실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2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2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축합된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2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2가의 방향족 헤테로시클릭기 또는 축합된 방향족 헤테로시클릭기를 나타낸다.
s 가 3 일 경우, L4 는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3가의 포화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2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3가의 포화 고리형 탄화수소기, 3가의 실릴기 또는 3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3가의 치환된-실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2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3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축합된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2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3가의 방향족 헤테로시클릭기 또는 축합된 방향족 헤테로시클릭기를 나타낸다.
s 가 4 일 경우, L4 는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4가의 포화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2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4가의 포화 고리형 탄화수소기, 규소 원자,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2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4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축합된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2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4가의 방향족 헤테로시클릭기 또는 축합된 방향족 헤테로시클릭기를 나타낸다.
식 (BL-11) 및 (BL-12) 에서, A1 은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2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기, 실릴기 또는 3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치환된-실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2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축합된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2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방향족 헤테로시클릭기 또는 축합된 방향족 헤테로시클릭기를 나타낸다.
식 (BL-11) 에서, A2 는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2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기, 실릴기 또는 3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치환된-실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2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축합된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2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방향족 헤테로시클릭기 또는 축합된 방향족 헤테로시클릭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 (BL-11) 및 (BL-12) 에서의 X1 및 X4 중 하나 또는 X2 및 X3 중 하나가 산소 원자이고, 식 (BL-11) 및 (BL-12) 에 의해 나타낸 화합물들이 분자 내에 디벤조푸란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 (BL-11) 및 (BL-12) 에서의 X1 및 X4 중 하나와 X2 및 X3 중 하나의 양자가 산소 원자이고, 식 (BL-11) 및 (BL-12) 에 의해 나타낸 화합물들이 분자 내에 벤조푸라노 디벤조푸란 구조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블로킹층에서의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의 바람직한 예는, 하기 일반식 (BL-13) 또는 (BL-14) 로 나타낸 화합물이다.
[화학식 27]
Figure 112012009850762-pct00027
식 (BL-13) 에서, R1 내지 R12 에서 선택된 임의의 기 (그 수는 a 로 나타냄) 는, L1 과 결합되는 단일 결합이다. R1 내지 R12 중 나머지 기 (그 수는 12-a 로 나타냄) 는, 각각 수소 원자, 불소 원자,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3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3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시클릭 고리이다.
L1 은 단일 결합,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3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b+1)-가 탄화수소 고리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3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b+1)-가 헤테로시클릭기이다.
HAr 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질소 함유 헤테로시클릭기이다.
a 및 b 는 각각 1 내지 4 의 정수이고,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이다.
[화학식 28]
Figure 112012009850762-pct00028
식 (BL-14) 에서, R201 내지 R214 에서 선택된 임의의 기 (그 수는 a 로 나타냄) 는, L1 과 결합되는 단일 결합이다. R201 내지 R214 중 나머지 (그 수는 14-a 로 나타냄) 는, 각각 수소 원자, 불소 원자,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실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8 내지 3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실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2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3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3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시클릭기이다.
L1 은 단일 결합,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3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b+1)-가 탄화수소 고리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3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b+1)-가 헤테로시클릭기이다.
HAr 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질소 함유 헤테로시클릭기이다.
a 및 b 는 각각 1 내지 4 의 정수이고,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이다.
상기 식 (BL-13) 및 (BL-14) 에서의 HAr 은 하기 식 (BL-13-1) 내지 (BL-13-5) 에 의해 예시된다.
[화학식 29]
Figure 112012009850762-pct00029
식 (BL-13-1) 내지 (BL-13-5) 에서, R111 내지 R130 은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이다. R111 내지 R130 에서, 인접한 치환기들이 서로 결합되어 포화 또는 불포화의 고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
R111 내지 R115 중 하나, R116 내지 R119 중 하나, R120 내지 R122 중 하나, R123 내지 R126 중 하나, 및 R127 내지 R130 중 하나는 각각 L1 과 결합되는 단일 결합이다.
블로킹층 재료로서, 하기 식 (BL-15) 로 나타낸 질소 함유 헤테로시클릭 유도체가 유용하다.
[화학식 30]
Figure 112012009850762-pct00030
식 (BL-15) 에서, R401 내지 R416 은 각각 수소 원자, 불소 원자,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실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8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실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2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3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3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시클릭기이다. R401 내지 R410 중 하나 및 R411 내지 R416 중 하나는 L1 과 결합되는 단일 결합이다. R411 내지 R416 에서, 인접한 치환기들은 포화 또는 불포화의 고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
L1 은 단일 결합,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3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c+d)-가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3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c+d)-가 헤테로시클릭기이다.
c 및 d 는 각각 1 내지 3 의 정수를 나타내며,
다만, L1 및 R401 내지 R416 은 안트라센 함유 기가 아니다.
블로킹층에서의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의 바람직한 예는 하기 일반식 (BL-18) 로 나타낸 화합물이다.
[화학식 31]
Figure 112012009850762-pct00031
식 (BL-18) 에서, R 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불소 원자,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알킬실릴기, 아릴실릴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상기 아릴기들 및 상기 헤테로아릴기들 중 2개 또는 3개에 의해 형성된 연결기를 나타낸다.
아릴기의 예는, 페닐기, 비페닐기, o-터페닐기, m-터페닐기, p-터페닐기, 나프틸기, 페난트릴기, 크리세닐기, 벤조페난트릴기, 벤조크리세닐기, 벤즈안트릴기, 트리페닐기, 플루오란테닐기, 벤조플루오란테닐기 및 플루오레닐기가 바람직하다. 헤테로아릴기의 예는, 피리딜기, 피리미디닐기, 피라지닐기, 피리다지닐기, 퀴놀리닐기, 이소퀴놀리닐기, 퀴녹살리닐기, 나프티리디닐기, 이미다조피리딜기, 인돌릴기, 인다졸릴기, 페난트롤릴기, 이미다졸릴기, 피라졸릴기, 피롤릴기, 푸라닐기, 티오페닐기, 옥사졸릴기, 티아졸릴기, 벤즈옥사졸릴기, 벤즈티아졸릴기, 옥사디아졸릴기, 티아디아졸릴기, 트리아졸릴기, 테트라졸릴기, 디벤조푸라닐기, 디벤조티오페닐기 및 카르바졸릴기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하기 화합물이 예로서 열거된다.
[화학식 32]
Figure 112012009850762-pct00032
블로킹층에서의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의 바람직한 예는, 하기 일반식 (BL-19) 으로 나타낸 화합물이다.
[화학식 33]
Figure 112012009850762-pct00033
식 (BL-19) 에서, R들 중 하나는 B 와 결합되는 단일 결합이다. 나머지의 R들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불소 원자,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알킬실릴기, 아릴실릴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상기 아릴기들 및 상기 헤테로아릴기들 중 2개 또는 3개에 의해 형성된 연결기를 나타낸다. m 은 2 이상의 정수이다. B 는 단일 결합 또는 연결기이다. 구체적으로, B 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m-가 알킬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m-가 아릴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m-가 헤테로아릴렌기, 2 내지 4개의 아릴기들 및 헤테로아릴기들에 의해 형성된 m-가 연결기, 또는 하기 식 (BL-20) 으로 나타낸 m-가 기이다.
[화학식 34]
Figure 112012009850762-pct00034
식 (BL-20) 에서, Ar' 는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렌기 또는 헤테로아릴렌기이다. a 는 식 (BL-19) 에 나타낸 페난트롤린 구조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Y 는 O, S 또는 CR'2 이다. R' 는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헤테로아릴기이다. R'들은 서로 결합되어 포화 또는 불포화의 고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 j 및 k 는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고, j+k=m 을 만족한다.
아릴기의 예는, 페닐기, 비페닐기, o-터페닐기, m-터페닐기, p-터페닐기, 나프틸기, 페난트릴기, 크리세닐기, 벤조페난트릴기, 벤조크리세닐기, 벤즈안트릴기, 트리페닐기, 플루오란테닐기, 벤조플루오란테닐기 및 플루오레닐기가 바람직하다. 헤테로아릴기의 예는, 피리딜기, 피리미디닐기, 피라지닐기, 피리다지닐기, 퀴놀리닐기, 이소퀴놀리닐기, 퀴녹살리닐기, 나프티리디닐기, 이미다조피리딜기, 인돌릴기, 인다졸릴기, 페난트롤릴기, 이미다졸릴기, 피라졸릴기, 피롤릴기, 푸라닐기, 티오페닐기, 옥사졸릴기, 티아졸릴기, 벤즈옥사졸릴기, 벤즈티아졸릴기, 옥사디아졸릴기, 티아디아졸릴기, 트리아졸릴기, 테트라졸릴기, 디벤조푸라닐기, 디벤조티오페닐기 및 카르바졸릴기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다음의 화합물이 예로서 열거된다.
[화학식 35]
Figure 112012009850762-pct00035
전자 주입층이 블로킹층과 캐소드 사이에 개재된다. 전자 주입층은, 캐소드로부터의 전자 주입을 용이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전자 주입층은 통상적인 전자 수송 재료 상에 알칼리 금속 화합물,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금속 착물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블로킹층을 형성하는 재료는, 알칼리 금속 화합물,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금속 착물로 대표되는 도너로 도핑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블로킹층에서의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의 전자 이동도는, 전계 강도 0.04 MV/cm 내지 0.5 MV/cm 에서 10-6 cm2/Vs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자 이동도는, 발광층으로의 전자 주입을 촉진시키고, 발광층 내의 여기자 밀도를 높여 TTF 현상을 효율적으로 일으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블로킹층의 막 두께는 10 nm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막 두께는, 블로킹층의 낮은 전자 이동도에서도 삼중항 여기자 확산을 방지하고 또한 발광층으로의 전자 주입의 억제를 감소시켜 TTF 현상을 효율적으로 일으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블로킹층에서의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의 전자 이동도는, 전계 강도 0.04 MV/cm 내지 0.5 MV/cm 에서 1*10-8 cm2/Vs 이하인 것이 유효하다.
본 발명의 전자 주입층에 있어서, 전자 이동도는, 전계 강도 0.04 MV/cm 내지 0.5 MV/cm 에서 1*10-6 cm2/Vs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자 이동도는, 발광층으로의 전자 주입을 촉진시키고, 발광층 내의 여기자 밀도를 높여 TTF 현상을 효율적으로 일으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상기 전자 주입층에 도핑되는 도너의 예는, 다음과 같다.
도너 금속이란, 일 함수 3.8 eV 이하의 금속을 지칭한다. 도너 금속은,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및 희토류 금속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Cs, Li, Na, Sr, K, Mg, Ca, Ba, Yb, Eu 및 Ce 이다.
도너 금속 화합물은, 상기 도너 금속을 포함하는 화합물이며,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및 희토류 금속을 포함하는 화합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금속들의 할로겐화물, 산화물, 탄산염, 및 붕산염이다. MOx (M : 도너 금속, x : 0.5 내지 1.5), MFx (x : 1 내지 3), 및 M(CO3)x (x : 0.5 내지 1.5) 로 나타낸 화합물이 예시된다.
도너 금속 착물은, 상기 도너 금속의 착물이며,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또는 희토류 금속의 유기 금속 착물이다. 하기 식 (I) 에 의해 나타낸 유기 금속 착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6]
Figure 112012009850762-pct00036
식 (I) 에서, M 은 도너 금속이고; Q 는 리간드이고,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산 유도체, 디케톤 유도체 또는 퀴놀린 유도체이고; n 은 1 내지 4 의 정수이다.
도너 금속 착물은 JP-A-2005-72012 에 개시된 텅스텐 수차 (tungsten waterwheel) 에 의해 예시된다. 대안적으로, JP-A-11-345687 에 개시된, 중심 금속이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인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등이 도너 금속 착물로서 유용한다.
상기 도너들 중 1종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2종 이상이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전자 주입층에 대한 화합물은, 하기 식 (EIL-1) 로 나타낸 화합물에 의해 예시된다.
[화학식 37]
Figure 112012009850762-pct00037
식 (EIL-1) 에서, HAr1 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질소 함유 헤테로시클릭기이며, 바람직하게는 하기 구조들을 갖는다.
[화학식 38]
Figure 112012009850762-pct00038
식 (EIL-1) 에서의 HAr1 에 대한 치환기의 예는, 불소 원자, 시아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실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8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실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3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3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시클릭기를 포함한다.
식 (EIL-1) 에서, Ar1 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10 내지 3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축합된 고리기이며, 바람직하게는 하기 축합된 고리형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39]
Figure 112012009850762-pct00039
식 (EIL-1) 에서의 Ar1 에 대한 치환기의 예는, 불소 원자, 시아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실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8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실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3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3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시클릭기를 포함한다.
식 (EIL-1) 에서, L1 은 단일 결합,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3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a+b)-가 탄화수소 고리형 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3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a+b)-가 헤테로시클릭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3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탄화수소 고리형 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3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시클릭기를 복수개 연결함으로써 형성된 (a+b)-가 기를 나타낸다.
식 (EIL-1) 에서의 L1 에 대한 치환기의 예는, 불소 원자, 시아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실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8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실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3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3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시클릭기를 포함한다.
식 (EIL-1) 에서, a 는 1 내지 3 의 정수이며, 바람직하게는 a=1 이다.
식 (EIL-1) 에서, b 는 1 내지 3 의 정수이며, 바람직하게는 b=1 이다.
전자 주입층에 대한 화합물은, 하기 식 (EIL-2) 로 나타낸 화합물에 의해 예시된다.
[화학식 40]
Figure 112012009850762-pct00040
식 (EIL-2) 에서, R101 내지 R108 중 하나는 단일 결합으로 L2 에 결합된다. R101 내지 R108 중 나머지는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이다.
식 (EIL-2) 에서 R101 내지 R108 에 대한 치환기의 예는, 식 (EIL-1) 에서 열거된 것들과 동일하다. 바람직한 예는,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 또는 6 내지 3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이다.
식 (EIL-2) 에서, L2 는 단일 결합 또는 연결기를 나타내고, 이 연결기는 c-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하기 식 (EIL-2-1) 로 나타낸 구조를 갖는 c-가의 기이다.
[화학식 41]
Figure 112012009850762-pct00041
식 (EIL-2-1) 에서, R109 내지 R110 은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이다.
식 (EIL-2-1) 에서, d 및 e 는 독립적으로 1 내지 5 의 정수이다.
식 (EIL-2-1) 에서, X 는 하기 구조들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 42]
Figure 112012009850762-pct00042
식 (EIL-2) 에서, c 는 2 내지 4 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c 는 2 이다.
식 (EIL-2) 로 나타낸 화합물들 중에서, R101 에서 L2 와 결합되고 하기 식 (EIL-2-2) 에 의해 나타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43]
Figure 112012009850762-pct00043
식 (EIL-2-2) 에서, R102 내지 R107 은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이며,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이다.
식 (EIL-2-2) 에서, c 및 L2 는 식 (EIL-2) 에서와 동일하다.
식 (EIL-2-2) 에서, c 는 바람직하게는 2 이다.
식 (EIL-2-2) 에서, L2 는 바람직하게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페닐렌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나프틸렌기이다
식 (EIL-2-2) 에서, Ar108 은 수소 원자,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3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t-부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페닐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나프틸기이다.
TTF 현상을 효율적으로 일으키기 위한 조건들에 대해, 호스트의 어피니티와 도펀트의 어피니티 간의 관계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호스트의 어피니티를 Ah, 도펀트의 어피니티를 Ad, 호스트의 이온화 포텐셜을 Ih, 도펀트의 이온화 포텐셜을 Id 라고 기재한다.
여기서, 조건들에 대해 다음의 경우들에 따라 설명한다.
[1] Ah>Ad 의 경우
[2] Ah<Ad 의 경우
[3] Ah<Ad 를 만족하는 도펀트와 Ah>Ad 를 만족하는 도펀트가 공존하는 경우
[1] Ah>Ad 의 경우
Ah>Ad 의 관계가 만족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사용된 도펀트는, 주 피크 파장이 550 nm 이하인 형광 광을 방출하는 도펀트 (이하, 주 피크 파장이 550 nm 이하인 형광 도펀트라고도 함) 이다. 도펀트는 비교적 큰 에너지 갭을 나타낸다. 따라서, Ah>Ad 의 관계가 만족될 경우, Ih>Id 의 관계가 동시에 만족된다. 그 때문에, 도펀트는, 정공 트랩으로서 기능하기 쉽다.
예를 들어, 도 4 는 상기 경우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호스트와 도펀트의 Ip-Af 관계를 나타낸다. 도 4 에 있어서, 발광층에서의 음영 영역은 여기자 밀도 분포를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7 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4 는, Ah>Ab>Ae 의 경우에 있어서의 관계를 나타낸다.
호스트와 도펀트 간의 이온화 포텐셜의 갭이 커지면, 도펀트는 정공 트랩성을 갖는 경향이 있고, 이로써 삼중항 여기자들은, 호스트 분자 상에서 뿐만 아니라 직접 도펀트 분자 상에서도 발생되게 된다. 그 결과, 직접 도펀트 상에서 발생된 삼중항 여기자들이 증가된다. ET h<ET d 의 관계가 만족되는 경우, 도펀트 분자상의 삼중항 여기자 에너지는, 덱스터 (Dexter) 에너지 이동에 의해 호스트 분자 상으로 이동되고, 결과적으로 모든 삼중항 여기자들이 호스트 상에 모인다. 그 결과, TTF 현상이 효율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정공 수송 대역 내에서 정공 수송층이 발광층에 인접하여 있고, 정공 수송층의 삼중항 에너지 ET ho 가 호스트의 삼중항 에너지 ET h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펀트가 정공 트랩성을 갖는 경우, 정공 수송 대역으로부터 발광층에 주입된 정공은 도펀트에 의해 트랩된다. 따라서, 재결합은 종종 발광층 내에서 애노드 근방에서 일어나게 된다. 정공 수송 대역에 사용하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정공 수송 재료는 호스트보다 더 큰 삼중항 에너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정공 측 상에서의 삼중항 여기자들의 확산은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러나, 재결합이 종종 애노드 근방에서 일어나더라도, 전자 수송 대역의 계면에서의 삼중항 여기자 밀도는 무시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상황에 있어서도, 블로킹층의 삼중항 에너지를 증가시킴으로써 고효율로 재결합이 달성될 수 있다.
재결합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다른 요인들은, 정공 수송 대역 및 전자 수송 대역 각각의 캐리어 이동도, 이온화 포텐셜, 어피니티, 및 막 두께이다. 예를 들어, 정공 수송 대역의 막 두께가 전자 수송 대역의 막 두께보다 더 큰 경우, 발광층에 주입된 전자의 양이 상대적으로 감소된다. 그 결과, 재결합 영역이 전자 수송 대역 근방으로 옮겨진다. 이와 같은 경우에, 본 발명에서와 같이 큰 삼중항 에너지를 갖는 블로킹층이 사용될 때, TTF 현상이 효율적으로 도출될 수 있다.
상기 어피니티의 관계를 만족하는 호스트 및 도펀트는, 예를 들어, 이하의 화합물들로부터 선택된다 (JP-A-2010-50227 (일본 특허 출원 2008-212102) 등 참조).
호스트는, 안트라센 유도체 및 다고리형 방향족 골격 함유 화합물이고, 바람직하게는 안트라센 유도체이다.
도펀트는, 피렌 유도체, 아미노안트라센 유도체, 아미노크리센 유도체 및 아미노피렌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다.
호스트와 도펀트의 바람직한 조합의 예는, 호스트로서의 안트라센 유도체와 도펀트로서 피렌 유도체, 아미노안트라센 유도체, 아미노크리센 유도체 및 아미노피렌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다.
아미노안트라센 유도체는 하기 식 (4) 로 나타낸 화합물에 의해 예시된다.
[화학식 44]
Figure 112012009850762-pct00044
식 (4) 에서, A1 및 A2 는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2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질소, 황 또는 산소 원자를 함유하고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19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시클릭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A3 은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2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19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시클릭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헤테로시클릭 방향족 탄화수소기는 질소, 황 또는 산소 원자를 포함한다.
아미노크리센 유도체는 하기 식 (5) 로 나타낸 화합물에 의해 예시된다.
[화학식 45]
Figure 112012009850762-pct00045
식 (5) 에서, X1 내지 X10 은 각각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Y1 및 Y2 는 각각 치환기를 나타낸다.
X1 내지 X10 은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Y1 및 Y2 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3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방향족 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고리의 치환기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방향족 고리는 6 내지 1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방향족 고리 또는 페닐기가 바람직하다.
아미노피렌 유도체는 하기 식 (6) 으로 나타낸 화합물에 의해 예시된다.
[화학식 46]
Figure 112012009850762-pct00046
식 (6) 에서, X1 내지 X10 은 각각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X3 및 X8 또는 X2 및 X7 은 각각 -NY1Y2 (Y1 및 Y2: 치환기들) 를 나타낸다. X3 및 X8 이 각각 -NY1Y2 를 나타내는 경우, X2 ,4,5,7,9,10 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X1 및 X6 은 수소 원자, 알킬기 또는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X2 및 X7 이 각각 -NY1Y2 를 나타내는 경우, X1 ,3-6,8-10 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Y1 및 Y2 는 바람직하게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방향족 고리이며, 예컨대, 페닐기 및 나프틸기이다. 방향족 고리의 치환기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에 의해 예시된다.
안트라센 유도체는 하기 식 (7) 로 나타낸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47]
Figure 112012009850762-pct00047
식 (7) 에서, Ar11 및 Ar12 는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5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5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시클릭기를 나타낸다. R1 내지 R8 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5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5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시클릭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5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5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5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7 내지 5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5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5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티오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2 내지 5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콕시카르보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실릴기, 카르복실기,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및 하이드록시기로부터 선택된 기를 나타낸다.
이들 안트라센 유도체들 중에서, 적용되는 유기 EL 소자의 구성 및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하기 안트라센 유도체들 (A), (B) 및 (C) 중 하나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트라센 유도체 (A)
안트라센 유도체에서, 식 (7) 의 Ar11 및 Ar12 는,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10 내지 5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축합된 아릴기이다. 안트라센 유도체는, Ar11 및 Ar12 로 나타낸 치환 또는 무치환의 축합된 아릴기들이 동일한 경우; 및 Ar11 및 Ar12 로 나타낸 치환 또는 무치환의 축합된 아릴기들이 상이한 경우로 분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트라센 유도체의 예는, 하기 식 (7-1) 내지 (7-3) 으로 나타낸 안트라센 유도체들, 그리고 Ar11 및 Ar12 이 서로 상이한 치환 또는 무치환의 축합된 아릴기들인 안트라센 유도체이다.
하기 식 (7-1) 로 나타낸 안트라센 유도체에서는, Ar11 및 Ar12 가 치환 또는 무치환의 9-페난트레닐기이다.
[화학식 48]
Figure 112012009850762-pct00048
식 (7-1) 에서, R1 내지 R8 은 상기 서술된 바와 같다.
R11 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5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5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시클릭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5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5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5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7 내지 5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5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5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티오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2 내지 5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콕시카르보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실릴기, 카르복실기,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및 하이드록시기로부터 선택된 기를 나타낸다.
a 는 0 내지 9 의 정수이다. a 가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복수의 R11들은, 2개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페난트레닐기들이 동일한 조건하에서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할 수도 있다.
하기 식 (7-2) 로 나타낸 안트라센 유도체에서는, 식 (7) 의 Ar11 및 Ar12 가 치환 또는 무치환의 2-나프틸기이다.
[화학식 49]
Figure 112012009850762-pct00049
식 (7-2) 에서, R1 내지 R8 및 R11 은 상기 서술된 바와 같다.
b 는 1 내지 7 의 정수이다. b 가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복수의 R11들은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할 수도 있고, 다만, 2개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2-나프틸기들이 동일하다.
하기 식 (7-3) 으로 나타낸 안트라센 유도체에서는, 식 (7) 의 Ar11 및 Ar12 가 치환 또는 무치환의 1-나프틸기이다.
[화학식 50]
Figure 112012009850762-pct00050
식 (7-3) 에서, R1 내지 R8 및 R11 및 b 는 상기 서술된 바와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b 가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복수의 R11들은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할 수도 있고, 다만, 2개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1-나프틸기들이 동일하다.
식 (7) 의 Ar11 및 Ar12 가 상이한 치환 또는 무치환의 축합된 아릴기인 안트라센 유도체에 있어서, Ar11 및 Ar12 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9-페난트레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1-나프틸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2-나프틸기 중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Ar11 이 1-나프틸기이고 Ar12 가 2-나프틸기일 경우, Ar11 이 1-나프틸기이고 Ar12 가 9-페난트레닐기인 경우, 그리고 Ar11 이 2-나프틸기이고 Ar12 가 9-페난트레닐기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안트라센 유도체 (B)
이 안트라센 유도체에서는, 식 (7) 의 Ar11 및 Ar12 중 하나가 치환 또는 무치환의 페닐기이고, Ar11 및 Ar12 중 다른 하나가 치환 또는 무치환의 10 내지 5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축합된 아릴기이다. 안트라센 유도체의 예는, 하기 식 (7-4) 내지 (7-5) 로 나타낸 안트라센 유도체들이다.
하기 식 (7-4) 으로 나타낸 안트라센 유도체에서는, 식 (7) 의 Ar11 이 치환 또는 무치환의 1-나프틸기이고, Ar12 이 치환 또는 무치환의 페닐기이다.
[화학식 51]
Figure 112012009850762-pct00051
식 (7-4) 에서, R1 내지 R8 및 R11 및 b 는 상기 서술된 바와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Ar6 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5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5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5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7 내지 5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5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시클릭기, 9,9-디메틸플루오렌-1-일기, 9,9-디메틸플루오렌-2-일기, 9,9-디메틸플루오렌-3-일기, 9,9-디메틸플루오렌-4-일기, 디벤조푸란-1-일기, 디벤조푸란-2-일기, 디벤조푸란-3-일기, 또는 디벤조푸란-4-일기를 나타낸다. Ar6 이 결합된 벤젠 고리와 함께, Ar6 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플루오레닐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디벤조푸라닐기와 같은 고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 b 가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복수의 R11들은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할 수도 있다.
하기 식 (7-5) 로 나타낸 안트라센 유도체에서는, 식 (7) 의 Ar11 이 치환 또는 무치환의 2-나프틸기이고, Ar12 이 치환 또는 무치환의 페닐기이다.
[화학식 52]
Figure 112012009850762-pct00052
식 (7-5) 에서, R1 내지 R8 및 R11 및 b 는 상기 서술된 바와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Ar7 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5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5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시클릭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5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5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7 내지 5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르알킬기, 디벤조푸란-1-일기, 디벤조푸란-2-일기, 디벤조푸란-3-일기, 또는 디벤조푸란-4-일기를 나타낸다. Ar7 이 결합된 벤젠 고리와 함께, Ar7 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플루오레닐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디벤조푸라닐기와 같은 고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 b 가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복수의 R11들은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할 수도 있다.
안트라센 유도체 (C)
이 안트라센 유도체는 하기 식 (7-6) 으로 나타내진다. 구체적으로, 안트라센 유도체는 하기 식 (7-6-1), (7-6-2) 및 (7-6-3) 중 하나로 나타낸 유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53]
Figure 112012009850762-pct00053
식 (7-6) 에서, R1 내지 R8 및 Ar6 은 상기 서술된 바와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Ar5 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5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5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5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7 내지 5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르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5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시클릭기를 나타낸다. Ar5 및 Ar6 은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화학식 54]
Figure 112012009850762-pct00054
식 (7-6-1) 에서, R1 내지 R8 은 상기 서술된 바와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화학식 55]
Figure 112012009850762-pct00055
식 (7-6-2) 에서, R1 내지 R8 은 상기 서술된 바와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Ar8 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10 내지 2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축합된 아릴기이다.
[화학식 56]
Figure 112012009850762-pct00056
식 (7-6-3) 에서, R1 내지 R8 은 식 (7) 에서와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Ar5a 및 Ar6a 는,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10 내지 2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축합된 아릴기이다.
R1 내지 R8, R11, Ar5 내지 Ar7 및 Ar12 에 대한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5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의 예는, 페닐기, 1-나프틸기, 2-나프틸기, 1-안트릴기, 2-안트릴기, 9-안트릴기, 1-페난트릴기, 2-페난트릴기, 3-페난트릴기, 4-페난트릴기, 9-페난트릴기, 1-나프타세닐기, 2-나프타세닐기, 9-나프타세닐기, 1-피레닐기, 2-피레닐기, 6-크리세닐기, 1-벤조[c]페난트릴기, 2-벤조[c]페난트릴기, 3-벤조[c]페난트릴기, 4-벤조[c]페난트릴기, 5-벤조[c]페난트릴기, 6-벤조[c]페난트릴기, 1-벤조[g]크리세닐기, 2-벤조[g]크리세닐기, 3-벤조[g]크리세닐기, 4-벤조[g]크리세닐기, 5-벤조[g]크리세닐기, 6-벤조[g]크리세닐기, 7-벤조[g]크리세닐기, 8-벤조[g]크리세닐기, 9-벤조[g]크리세닐기, 10-벤조[g]크리세닐기, 11-벤조[g]크리세닐기, 12-벤조[g]크리세닐기, 13-벤조[g]크리세닐기, 14-벤조[g]크리세닐기, 1-트리페닐기, 2-트리페닐기, 2-플루오레닐기, 9,9-디메틸플루오렌-2-일기, 벤조플루오레닐기, 디벤조플루오레닐기, 2-비페닐릴기, 3-비페닐릴기, 4-비페닐릴기, p-터페닐-4-일기, p-터페닐-3-일기, p-터페닐-2-일기, m-터페닐-4-일기, m-터페닐-3-일기, m-터페닐-2-일기, o-톨릴기, m-톨릴기, p-톨릴기, p-t-부틸페닐기, p-(2-페닐프로필)페닐기, 3-메틸-2-나프틸기, 4-메틸-1-나프틸기, 4-메틸-1-안트릴기, 4'-메틸비페닐릴기, 및 4"-t-부틸-p-터페닐-4-일기를 포함한다. 무치환의 페닐기, 치환된 페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10 내지 1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 (예컨대, 1-나프틸기, 2-나프틸기, 및 9-페난트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플루오레닐기 (2-플루오레닐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피레닐기 (1-피레닐기, 2-피레닐기, 및 4-피레닐기) 가 바람직하다.
Ar5a, Ar6a 및 Ar8 에 대한 치환 또는 무치환의 10 내지 2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축합된 아릴기의 예는, 1-나프틸기, 2-나프틸기, 1-안트릴기, 2-안트릴기, 9-안트릴기, 1-페난트릴기, 2-페난트릴기, 3-페난트릴기, 4-페난트릴기, 9-페난트릴기, 1-나프타세닐기, 2-나프타세닐기, 9-나프타세닐기, 1-피레닐기, 2-피레닐기, 4-피레닐기, 및 2-플루오레닐기를 포함한다. 특히, 1-나프틸기, 2-나프틸기, 9-페난트릴기, 및 플루오레닐기 (2-플루오레닐기) 가 바람직하다.
R1 내지 R8, R11, Ar5 내지 Ar7, Ar11 및 Ar12 로 나타낸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5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시클릭기의 예는, 1-피롤릴기, 2-피롤릴기, 3-피롤릴기, 피라지닐기, 2-피리디닐기, 3-피리디닐기, 4-피리디닐기, 1-인돌릴기, 2-인돌릴기, 3-인돌릴기, 4-인돌릴기, 5-인돌릴기, 6-인돌릴기, 7-인돌릴기, 1-이소인돌릴기, 2-이소인돌릴기, 3-이소인돌릴기, 4-이소인돌릴기, 5-이소인돌릴기, 6-이소인돌릴기, 7-이소인돌릴기, 2-푸릴기, 3-푸릴기, 2-벤조푸라닐기, 3-벤조푸라닐기, 4-벤조푸라닐기, 5-벤조푸라닐기, 6-벤조푸라닐기, 7-벤조푸라닐기, 1-이소벤조푸라닐기, 3-이소벤조푸라닐기, 4-이소벤조푸라닐기, 5-이소벤조푸라닐기, 6-이소벤조푸라닐기, 7-이소벤조푸라닐기, 1-디벤조푸라닐기, 2-디벤조푸라닐기, 3-디벤조푸라닐기, 4-디벤조푸라닐기, 1-디벤조티오페닐기, 2-디벤조티오페닐기, 3-디벤조티오페닐기, 4-디벤조티오페닐기, 퀴놀릴기, 3-퀴놀릴기, 4-퀴놀릴기, 5-퀴놀릴기, 6-퀴놀릴기, 7-퀴놀릴기, 8-퀴놀릴기, 1-이소퀴놀릴기, 3-이소퀴놀릴기, 4-이소퀴놀릴기, 5-이소퀴놀릴기, 6-이소퀴놀릴기, 7-이소퀴놀릴기, 8-이소퀴놀릴기, 2-퀴녹살리닐기, 5-퀴녹살리닐기, 6-퀴녹살리닐기, 1-카르바졸릴기, 2-카르바졸릴기, 3-카르바졸릴기, 4-카르바졸릴기, 9-카르바졸릴기, 1-페난트리디닐기, 2-페난트리디닐기, 3-페난트리디닐기, 4-페난트리디닐기, 6-페난트리디닐기, 7-페난트리디닐기, 8-페난트리디닐기, 9-페난트리디닐기, 10-페난트리디닐기, 1-아크리디닐기, 2-아크리디닐기, 3-아크리디닐기, 4-아크리디닐기, 9-아크리디닐기, 1,7-페난트롤린-2-일기, 1,7-페난트롤린-3-일기, 1,7-페난트롤린-4-일기, 1,7-페난트롤린-5-일기, 1,7-페난트롤린-6-일기, 1,7-페난트롤린-8-일기, 1,7-페난트롤린-9-일기, 1,7-페난트롤린-10-일기, 1,8-페난트롤린-2-일기, 1,8-페난트롤린-3-일기, 1,8-페난트롤린-4-일기, 1,8-페난트롤린-5-일기, 1,8-페난트롤린-6-일기, 1,8-페난트롤린-7-일기, 1,8-페난트롤린-9-일기, 1,8-페난트롤린-10-일기, 1,9-페난트롤린-2-일기, 1,9-페난트롤린-3-일기, 1,9-페난트롤린-4-일기, 1,9-페난트롤린-5-일기, 1,9-페난트롤린-6-일기, 1,9-페난트롤린-7-일기, 1,9-페난트롤린-8-일기, 1,9-페난트롤린-10-일기, 1,10-페난트롤린-2-일기, 1,10-페난트롤린-3-일기, 1,10-페난트롤린-4-일기, 1,10-페난트롤린-5-일기, 2,9-페난트롤린-1-일기, 2,9-페난트롤린-3-일기, 2,9-페난트롤린-4-일기, 2,9-페난트롤린-5-일기, 2,9-페난트롤린-6-일기, 2,9-페난트롤린-7-일기, 2,9-페난트롤린-8-일기, 2,9-페난트롤린-10-일기, 2,8-페난트롤린-1-일기, 2,8-페난트롤린-3-일기, 2,8-페난트롤린-4-일기, 2,8-페난트롤린-5-일기, 2,8-페난트롤린-6-일기, 2,8-페난트롤린-7-일기, 2,8-페난트롤린-9-일기, 2,8-페난트롤린-10-일기, 2,7-페난트롤린-1-일기, 2,7-페난트롤린-3-일기, 2,7-페난트롤린-4-일기, 2,7-페난트롤린-5-일기, 2,7-페난트롤린-6-일기, 2,7-페난트롤린-8-일기, 2,7-페난트롤린-9-일기, 2,7-페난트롤린-10-일기, 1-페나지닐기, 2-페나지닐기, 1-페노티아지닐기, 2-페노티아지닐기, 3-페노티아지닐기, 4-페노티아지닐기, 10-페노티아지닐기, 1-페녹사지닐기, 2-페녹사지닐기, 3-페녹사지닐기, 4-페녹사지닐기, 10-페녹사지닐기, 2-옥사졸릴기, 4-옥사졸릴기, 5-옥사졸릴기, 2-옥사디아졸릴기, 5-옥사디아졸릴기, 3-푸라자닐기, 2-티에닐기, 3-티에닐기, 2-메틸피롤-1-일기, 2-메틸피롤-3-일기, 2-메틸피롤-4-일기, 2-메틸피롤-5-일기, 3-메틸피롤-1-일기, 3-메틸피롤-2-일기, 3-메틸피롤-4-일기, 3-메틸피롤-5-일기, 2-t-부틸피롤-4-일기, 3-(2-페닐프로필)피롤-1-일기, 2-메틸-1-인돌릴기, 4-메틸-1-인돌릴기, 2-메틸-3-인돌릴기, 4-메틸-3-인돌릴기, 2-t-부틸-1-인돌릴기, 4-t-부틸-1-인돌릴기, 2-t-부틸-3-인돌릴기, 및 4-t-부틸-3-인돌릴기를 포함한다. 이들 중에서도, 1-디벤조푸라닐기, 2-디벤조푸라닐기, 3-디벤조푸라닐기, 4-디벤조푸라닐기, 1-디벤조티오페닐기, 2-디벤조티오페닐기, 3-디벤조티오페닐기, 4-디벤조티오페닐기, 1-카르바졸릴기, 2-카르바졸릴기, 3-카르바졸릴기, 4-카르바졸릴기, 및 9-카르바졸릴기가 바람직하다.
R1 내지 R8, R11 및 Ar5 내지 Ar7 에 대한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5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의 예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n-헵틸기, n-옥틸기, 하이드록시메틸기, 1-하이드록시에틸기, 2-하이드록시에틸기, 2-하이드록시이소부틸기, 1,2-디하이드록시에틸기, 1,3-디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기, 2,3-디하이드록시-t-부틸기, 1,2,3-트리하이드록시프로필기, 클로로메틸기, 1-클로로에틸기, 2-클로로에틸기, 2-클로로이소부틸기, 1,2-디클로로에틸기, 1,3-디클로로이소프로필기, 2,3-디클로로-t-부틸기, 1,2,3-트리클로로프로필기, 브로모메틸기, 1-브로모에틸기, 2-브로모에틸기, 브로모이소부틸기, 1,2-디브로모에틸기, 1,3-디브로모이소프로필기, 2,3-디브로모-t-부틸기, 1,2,3-트리브로모프로필기, 요오도메틸기, 1-요오도에틸기, 2-요오도에틸기, 2-요오도이소부틸기, 1,2-디요오도에틸기, 1,3-디요오도이소프로필기, 2,3-디요오도-t-부틸기, 1,2,3-트리요오도프로필기, 아미노메틸기, 1-아미노에틸기, 2-아미노에틸기, 2-아미노이소부틸기, 1,2-디아미노에틸기, 1,3-디아미노이소프로필기, 2,3-디아미노-t-부틸기, 1,2,3-트리아미노프로필기, 시아노메틸기, 1-시아노에틸기, 2-시아노에틸기, 2-시아노이소부틸기, 1,2-디시아노에틸기, 1,3-디시아노이소프로필기, 2,3-디시아노-t-부틸기, 1,2,3-트리시아노프로필기, 니트로메틸기, 1-니트로에틸기, 2-니트로에틸기, 2-니트로이소부틸기, 1,2-디니트로에틸기, 1,3-디니트로이소프로필기, 2,3-디니트로-t-부틸기, 및 1,2,3-트리니트로프로필기를 포함한다. 이들 중에서도,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부틸기, 이소부틸기, 및 t-부틸기가 바람직하다.
R1 내지 R8, R11, 및 Ar5 내지 Ar7 에 대한 치환 또는 무치환의 3 내지 5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기의 예는,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4-메틸시클로헥실기, 1-아다만틸기, 2-아다만틸기, 1-노르보르닐기, 및 2-노르보르닐기를 포함한다. 이들 중에서도, 시클로펜틸기 및 시클로헥실기가 바람직하다.
R1 내지 R8 및 R11 에 대한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5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콕시기는, -OZ 로 나타낸 기이다. Z 는 R1 내지 R8 에 대한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5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로부터 선택된다.
R1 내지 R8, R11 및 Ar5 내지 Ar7 에 대한 치환 또는 무치환의 7 내지 5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르알킬기 (여기서 아릴 부분은 6 내지 49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며, 알킬 부분은 1 내지 4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짐) 의 예는, 벤질기, 1-페닐에틸기, 2-페닐에틸기, 1-페닐이소프로필기, 2-페닐이소프로필기, 페닐-t-부틸기, 알파-나프틸메틸기, 1-알파-나프틸에틸기, 2-알파-나프틸에틸기, 1-알파-나프틸이소프로필기, 2-알파-나프틸이소프로필기, 베타-나프틸메틸기, 1-베타-나프틸에틸기, 2-베타-나프틸에틸기, 1-베타-나프틸이소프로필기, 2-베타-나프틸이소프로필기, 1-피롤릴메틸기, 2-(1-피롤릴)에틸기, p-메틸벤질기, m-메틸벤질기, o-메틸벤질기, p-클로로벤질기, m-클로로벤질기, o-클로로벤질기, p-브로모벤질기, m-브로모벤질기, o-브로모벤질기, p-요오도벤질기, m-요오도벤질기, o-요오도벤질기, p-하이드록시벤질기, m-하이드록시벤질기, o-하이드록시벤질기, p-아미노벤질기, m-아미노벤질기, o-아미노벤질기, p-니트로벤질기, m-니트로벤질기, o-니트로벤질기, p-시아노벤질기, m-시아노벤질기, o-시아노벤질기, 1-하이드록시-2-페닐이소프로필기, 및 1-클로로-2-페닐이소프로필기를 포함한다.
R1 내지 R8 및 R11 에 대한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5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옥시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5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티오기는, 각각 -OY 및 SY 로 나타내진다. Y 는, R1 내지 R8 에 대한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5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로부터 선택된다.
R1 내지 R8 및 R11 에 대한 치환 또는 무치환의 2 내지 5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콕시카르보닐기 (여기서 알킬 부분은 1 내지 49개의 탄소 원자를 가짐) 는, -COOZ 로 나타내진다. Z 는, R1 내지 R8 에 대한 치환 또는 무치환의 1 내지 5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로부터 선택된다.
R1 내지 R8 및 R11 에 대한 치환된 실릴기의 예는, 트리메틸실릴기, 트리에틸실릴기, t-부틸디메틸실릴기, 비닐디메틸실릴기, 프로필디메틸실릴기, 및 트리페닐실릴기를 포함한다.
R1 내지 R8 및 R11 에 대한 할로겐 원자의 예는,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를 포함한다.
[2] Ah<Ad 의 경우
호스트와 도펀트가 Ah<Ad 를 만족하도록 조합되면, 전자 수송 대역 내에 제공된 블로킹층은 현저한 이점을 나타낼 수 있고, 그리하여 TTF 현상으로 인해 고효율화를 획득한다. 하기[2-1] 및[2-2]의 경우로 설명된다. 일반적으로, 유기 재료는, 측정된 어피니티 레벨보다 대략 0.2 eV 만큼 큰 범위에서 LUMO 레벨의 확대를 가진다.
[2-1] Ad 와 Ah 간의 차이가 0.2 eV 보다 작은 경우
도 5 는 이 경우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발광층에서의 점선들은 도펀트의 에너지 레벨을 나타낸다.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Ad 와 Ah 간의 차이가 0.2 eV 보다 작은 경우, 도펀트의 LUMO 레벨이 호스트의 LUMO 레벨의 확대의 범위에 포함되므로, 발광층 내에서 전도되는 전자들은 도펀트에 의해 트랩되기 어렵다. 즉, 이 도펀트는 전자 트랩성을 나타내기 어렵다. 게다가, 본 발명의 도펀트는, 주 피크 파장이 550 nm 이하인 와이드-갭 형광 도펀트이다. Ah<Ad 의 관계가 만족되는 경우, Ah 와 Ad 간의 차이가 대략 0.2 eV 이므로, 호스트의 이온화 포텐셜과 도펀트의 이온화 포텐셜 간의 차이가 작아진다. 그 결과, 도펀트는, 현저한 정공 트랩성을 갖지 않는 경향이 있다. 도 5 는, Ah>Ab>Ae 의 경우에 있어서의 관계를 나타낸다.
즉, 이 경우의 도펀트는, 전자 및 정공 둘다에 대해 현저한 트랩성을 갖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 경우, 도 5 에서 발광층의 음영 영역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정공 재결합은, 발광층 내의 넓은 전역에 있어서 주로 호스트 분자 상에서 일어나고, 이로써 25% 의 일중항 여기자들과 75% 의 삼중항 여기자들이 주로 호스트 분자 상에 발생한다. 호스트 상에서 발생된 일중항 여기자들의 에너지는, 푀르스터 (Foerster) 에너지 이동에 의해 도펀트로 이동되어 도펀트 분자의 형광 발광에 기여한다. 한편, 삼중항 여기자들의 에너지의 이동 방향은, 호스트 및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 관계에 의존한다. 관계가 ET h>ET d 인 경우, 호스트 상에 발생된 삼중항 여기자들은, 덱스터 에너지 이동에 의해 도펀트 가까이로 이동된다. 형광 소자의 발광층 내의 도펀트의 농도는, 통상 수 질량% 내지 대략 20 질량% 로 낮다. 따라서, 도펀트로 이동되는 삼중항 여기자들이 서로 덜 충돌하고, 그리하여 TTF 현상의 발생 가능성이 적어진다. 그러나,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ET h<ET d 의 관계가 만족되면, 삼중항 여기자들이 호스트 분자 상에 존재하기 때문에, 충돌 빈도가 증가되고, 그리하여 TTF 현상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일어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블로킹층은 발광층에 인접해 있다. 블로킹층의 삼중항 에너지 ET b 가 호스트의 삼중항 에너지 ET h 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삼중항 여기자들은 전자 수송 대역에 확산하는 것이 방지되고, 그리하여 TTF 현상이 발광층 내에서 효율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2-2] Ad 와 Ah 간의 차이가 0.2 eV 보다 큰 경우
도 6 은 이 경우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펀트와 호스트 간의 어피니티 차이가 증가되고, 그리하여 도펀트의 LUMO 레벨이 호스트의 LUMO 레벨 대역보다 더욱 높은 위치에 존재한다. 그 때문에, 도펀트는 현저한 전자 트랩성을 나타내는 경향이 강해진다. 도펀트에 의해 트랩된 전자들은, 정공들이 호스트로부터 도펀트로 이동된 후에 정공들과 재결합된다. 즉, 도 5 에 나타낸 상황과는 달리, 전자들과 정공들은, 호스트 분자 상에서뿐만 아니라, 도펀트 분자 상에서도 쌍으로 재결합된다. 그 결과, 삼중항 여기자들이 호스트 분자 상에서뿐만 아니라, 직접 도펀트 분자 상에서도 발생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ET h<ET d 의 관계가 만족되는 경우, 직접 도펀트 상에서 발생된 삼중항 여기자들도 또한 덱스터 에너지 이동에 의해 호스트 상에 모이므로, TTF 현상이 효율적으로 일어난다.
어피니티가 상기 서술된 관계를 만족하는 경우에, 도펀트에 의한 전자들의 트랩 가능성은, 발광층과 블로킹층 간의 계면을 향해 높아진다. 그 결과, 발광층과 블로킹층 간의 계면 근방에서 재결합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 경우, 블로킹층에 의해 삼중항 여기자들을 가두는 효과는, [2-1] 에서 언급된 경우에 비해 커지고, 발광층과 블로킹층 간의 계면에 있어서의 삼중항 여기자들의 밀도가 증가된다. 도 6 은 Ah>Ab>Ae 의 경우에 있어서의 관계를 나타낸다.
상기 Ah<Ad 의 관계를 만족하는 호스트 및 도펀트는, 예를 들어, 하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JP-A-2010-50227 (일본 특허 출원 2008-212102) 등 참조).
호스트의 예는, 안트라센 유도체 및 다고리형 방향족 골격 함유 화합물이며, 바람직하게는 안트라센 유도체이다.
도펀트의 예는, 플루오란텐 유도체, 피렌 유도체, 아릴아세틸렌 유도체, 플루오렌 유도체, 붕소 착물, 페릴렌 유도체, 옥사디아졸 유도체 및 안트라센 유도체이며,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란텐 유도체, 피렌 유도체, 및 붕소 착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란텐 유도체 및 붕소 착물이다. 호스트와 도펀트의 조합에 대해서는, 호스트가 안트라센 유도체이고 도펀트가 플루오란텐 유도체 또는 붕소 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플루오란텐 유도체는 하기 화합물에 의해 예시된다.
[화학식 57]
Figure 112012009850762-pct00057
식 (8) 에서, X1 내지 X12 는 각각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이 화합물에서, X1 내지 X2 , X4 내지 X6 및 X8 내지 X11 은 수소 원자이고, X3 , X7 및 X12 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5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아릴기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 화합물에서, X1 내지 X2 , X4 내지 X6 및 X8 내지 X11 는 수소 원자이고, X7 및 X12 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5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아릴기이고, X3 은 -Ar1-Ar2-Ar3 이며, 여기서 Ar1 및 Ar3 은 각각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5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아릴렌기이고 Ar2 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5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아릴기이다.
바람직하게는, 이 화합물에서, X1 내지 X2 , X4 내지 X6 및 X8 내지 X11 은 수소 원자이고, X7 및 X12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5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아릴기이고, 및 X3 은 -Ar1-Ar2 이며, 여기서 Ar1 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5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아릴렌기이고 Ar2 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5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아릴기이다.
붕소 착물은 하기 화합물에 의해 예시된다.
[화학식 58]
Figure 112012009850762-pct00058
식 (9) 에서, A 및 A' 는 하나 이상의 질소를 함유하는 6-원 방향족 고리에 상당하는 독립적인 아진 고리계를 나타낸다. Xa 및 Xb 는 각각 독립적으로-선택된 치환기들을 나타내며, 이들은 함께 결합되어 고리 A 또는 고리 A' 에 대해 축합된 고리를 형성한다. 이 축합된 고리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치환기를 함유한다. m 및 n 은 독립적으로 0 내지 4 를 나타낸다. Za 및 Zb 는 각각 독립적으로-선택된 할로겐화물을 나타낸다. 1, 2, 3, 4, 1', 2', 3' 및 4' 는 각각 독립적으로-선택된 탄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 아진 고리는, 1, 2, 3, 4, 1', 2', 3' 및 4' 는 모두 탄소 원자이고, m 및 n 은 각각 2 이상이고, Xa 및 Xb 는 서로 결합되어 방향족 고리를 형성하는 2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치환기인, 퀴놀리닐 고리 또는 이소퀴놀리닐 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Za 및 Zb 는 불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2] 의 경우의 호스트로서의 안트라센 유도체는, 상기 "[1] Ah>Ad 의 경우" 에서 설명된 것들과 동일하다.
[3] Ah<Ad 를 만족하는 도펀트와 Ah>Ad 를 만족하는 도펀트가 공존하는 경우
도 7 은 발광층에 Ah<Ad 를 만족하는 도펀트와 Ah>Ad 를 만족하는 도펀트 양자가 포함되는 경우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전자들 및 정공들 양자가 적절히 트랩되고, 이로써 발광층 전역에서 재결합이 발생된다. 따라서, 재결합은 또한 캐소드 측 상에 빈번하게 일어난다. 큰 삼중항 에너지를 갖는 블로킹층을 제공할 때, TTF 현상이 효율적으로 일어난다. 도 7 은 Ah>Ab>Ae 의 경우에 있어서의 관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여기자들의 밀도는 발광층과 블로킹층 간의 계면에서 크다. 이 경우, 발광층 내에서 재결합에 기여하지 않은 정공들이 블로킹층에 주입되는 확률이 높다. 그 때문에, 상기 서술된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들 중에서도, 우수한 산화 내구성을 갖는 재료가, 블로킹층에 사용되는 재료로서 바람직하다.
블로킹층 재료는 사이클릭 볼타메트리 측정으로 가역적 산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임피던스 분광법에 의한 이동도 측정에 대해 설명한다. 두께가 대략 100 nm 내지 200 nm 인 블로킹층 재료를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어스 DC 전압을 인가하면서, 100 mV 이하의 작은 교류 전압을 인가한다. 이때에 흐르는 교류 전류 (절대값과 위상) 의 값을 측정한다. 교류 전압의 주파수를 바꾸면서 이 측정을 실시하고, 전류 값과 전압 값으로부터 복소 임피던스(Z) 를 산출한다. 모듈러스 M=iwZ (i:허수 단위, w:각 주파수) 의 허수부 (ImM) 의 주파수 의존성이 획득된다. ImM 이 최대가 되는 주파수 w 의 역수를, 블로킹층 내에 전도되는 전자들의 응답 시간으로 정의한다. 전자 이동도는 하기 식에 따라 산출된다.
전자 이동도 = (블로킹층 재료의 막 두께)2/(응답 시간 전압)
발광층은, 주 피크 파장이 550 nm 이하인 2 개 이상의 형광 도펀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발광층이 2개 이상의 형광 도펀트들을 포함하면, 적어도 1개의 도펀트의 어피니티 Ad 가 호스트의 어피니티 Ah 이상이며, 이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 ET d 가 호스트의 삼중항 에너지 ET h 보다 크다. 예를 들어, 도펀트들의 나머지 중 적어도 1개의 도펀트의 어피니티 Ad 가 호스트의 어피니티 Ah 보다 작을 수도 있다. 이러한 2 종류의 도펀트들을 포함하는 것은, 상기 서술된 바와 같이 Ah<Ad 를 만족하는 도펀트와 Ah>Ad 를 만족하는 도펀트의 양자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큰 삼중항 에너지를 갖는 블로킹층을 제공함으로써 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호스트의 어피니티 Ah 보다 더 작은 어피니티 Ad 를 갖는 도펀트의 예는, 피렌 유도체, 아미노안트라센 유도체, 아미노크리센 유도체, 및 아미노피렌 유도체를 포함한다.
상기 서술된 호스트들에 추가하여, WO05/113531 및 JP2005-314239 에 개시된 디벤조푸란 화합물, WO02/14244 에 개시된 플루오렌 화합물, 그리고 WO08/145,239에 개시된 벤즈안트라센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서술된 도펀트들에 추가하여, JP2004-204238, WO05/108348, WO04/83162, WO09/84512, KR10-2008-79956, KR10-2007-115588 및 KR10-2010-24894 에 개시된 피렌 화합물, WO04/44088 에 개시된 크리센 화합물, 그리고 WO07/21117 에 개시된 안트라센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호스트 및 도펀트는, 각각 고리 구조들 또는 단일 원자들을 결합시킴으로써 형성된 화합물 (고리 구조와 단일 원자의 결합을 포함함) 이며, 여기서 상기 결합은 단일 결합이다. 그 고리 구조 이외의 부분에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 이유는, 호스트 및 도펀트 상에서 발생된 삼중항 에너지들이, TTF 현상에 사용되지 않고 이중 결합의 구조 변화에 사용되기 때문이다.
제 2 예시적인 실시형태
본 발명의 소자는, 발광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유기층 유닛들이 제공되는 탠덤 소자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2개의 발광층들 사이에 중간층 (중간 도전층, 전하 발생층 또는 CGL 이라고도 함) 이 개재된다. 각각의 유닛에 전자 수송 대역이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1개의 발광층이 형광 발광층이며, 그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닛이 상기 서술된 요건을 만족한다. 적층 순서의 구체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하기 발광층은, 발광층들의 다층 적층체 또는 후술되는 제 3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전하 블로킹층을 포함하는 하나의 유기층 유닛일 수도 있다.
애노드 / 형광 발광층 / 중간층 / 형광 발광층 / 블로킹층 / 전자 주입층 / 캐소드.
애노드 / 형광 발광층 / 블로킹층 / 전자 주입층 / 중간층 / 형광 발광층 / 캐소드.
애노드 / 형광 발광층 / 블로킹층 / 전자 주입층 / 중간층 / 형광 발광층 / 블로킹층 / 캐소드.
애노드 / 형광 발광층 / 블로킹층 / 중간층 / 형광 발광층 / 블로킹층 / 전자 주입층 / 캐소드.
애노드 / 인광 발광층 / 중간층 / 형광 발광층 / 블로킹층 / 전자 주입층 / 캐소드.
애노드 / 형광 발광층 / 블로킹층 / 전자 주입층 / 중간층 / 인광 발광층 / 캐소드.
도 8 은 제 2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유기 EL 소자 (2) 는 애노드 (10), 발광층들 (22 및 24) 그리고 캐소드 (50) 를 순차적 순서로 포함한다. 발광층들 (22 및 24) 사이에 중간층 (80) 이 개재된다. 블로킹층 (32) 은 발광층 (24) 에 인접하여 있다. 전자 주입층 (40) 은 블로킹층 (32) 과 캐소드 (50) 사이에 개재된다. 블로킹층 (32), 전자 주입층 (40) 및 발광층 (24) 은 각각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하는 블로킹층, 전자 주입층 및 형광 발광층이다. 다른 하나의 발광층은, 형광 발광층 또는 인광 발광층일 수도 있다. 발광층 (22) 에 인접하여 다른 블로킹층 및 다른 전자 주입층이 순차적 순서로 제공된다. 이들 블로킹층 및 전자 주입층 및 발광층 (22) 은 각각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하는 블로킹층, 전자 주입층 및 형광 발광층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전자 수송 대역 및 정공 수송 대역 중 적어도 하나가 2개의 발광층들 (22 및 24)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다. 3개 이상의 발광층들이 제공될 수도 있고, 2개 이상의 중간층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3개 이상의 발광층들이 존재하는 경우, 모든 발광층들 사이에 중간층이 있을 수도 있고 또는 없을 수도 있다.
중간층은, 중간 도전층 및 전하 발생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층, 또는 중간 도전층 및 전하 발생층 중 적어도 하나이다. 중간층은, 발광 유닛에 주입되는 전자들 또는 정공들을 공급하기 위한 소스로서 작용한다. 1 쌍의 전극들로부터 주입된 전하들에 추가하여, 중간층으로부터 공급된 전하들이 발광 유닛에 주입된다. 따라서, 중간층을 제공함으로써, 주입된 전류에 대한 발광 효율 (전류 효율) 이 향상된다.
중간층의 예는, 금속, 금속 산화물, 금속 산화물들의 혼합물, 복합 산화물, 및 전자 수용성 유기 화합물을 포함한다. 금속의 예는, Mg, Al, 및 Mg 와 Al 을 공증착함으로써 형성된 막이 바람직하다. 금속 산화물의 예는, ZnO, WO3, MoO3, MoO2 를 포함한다. 금속 산화물들의 혼합물의 예는, ITO, IZO (등록상표), 및 ZnO:Al 을 포함한다. 전자 수용성 유기 화합물의 예는, CN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한다. CN기를 갖는 유기 화합물의 바람직한 예는, 트리페닐렌 유도체,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유도체, 및 인데노플루오렌 유도체를 포함한다. 트리페닐렌 유도체는, 헥사시아노헥사아자트리페닐렌이 바람직하다.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유도체는, 테트라플루오로퀴노디메탄 및 디시아노퀴노디메탄이 바람직하다. 인데노플루오렌 유도체는, 국제 공개 WO 2009/011327, WO2009/069717, 또는 WO2010/064655 에 개시된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전자 수용성 물질은 단일 물질일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유기 화합물들과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전하 발생층으로부터 전자들을 용이하게 수용하기 위해서는, 전자 수송층 내의 전하 발생층의 계면 근방에 알칼리 금속으로 대표되는 도너를 도핑하는 것이 적합하다. 도너로서는, 도너 금속, 도너 금속 화합물 및 도너 금속 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도너 금속, 도너 금속 화합물 및 도너 금속 착물에 사용되는 화합물들의 구체예는, 일본 특허 출원 PCT/JP2010/003434 (국제 공개 WO2010/134352) 에 개시된 화합물이다.
제 3 예시적인 실시형태
제 3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애노드, 복수의 발광층들, 발광층들 중 하나에 인접하는 블로킹층 및 이 블로킹층에 인접하는 전자 주입층을 포함하는 전자 수송 대역, 그리고 캐소드가 순차적 순서로 제공된다. 복수의 발광층들 중 2개의 발광층들 사이에 전하 블로킹층이 제공된다. 전하 블로킹층에 접하는 발광층들은 형광 발광층들이다. 형광 발광층, 그리고 전자 수송 대역에서의 블로킹층 및 전자 주입층이 상기 요건을 만족한다.
제 3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적합한 유기 EL 소자의 구성으로서, 일본 특허 4134280, 미국 특허 공개 US2007/0273270 A1, 국제 공개 WO2008/023623 A1 에 개시된 바와 같은 구성이 주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애노드, 제 1 발광층, 전하 블로킹층, 제 2 발광층 및 캐소드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제 2 발광층과 캐소드 사이에 삼중항 여기자들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블로킹층 및 전자 주입층을 갖는 전자 수송 대역이 더욱 제공된 구성이다. 여기서, 전하 블로킹층이란, 인접한 발광층들 사이에 HOMO 레벨 및 LUMO 레벨의 에너지 장벽을 제공함으로써, 발광층으로의 캐리어 주입을 제어하고 발광층에 주입된 전자와 정공 간의 캐리어 밸런스를 제어하기 위한 층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구체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애노드 / 제 1 발광층 / 전하 블로킹층 / 제 2 발광층 / 전자 수송 대역 / 캐소드
애노드 / 제 1 발광층 / 전하 블로킹층 / 제 2 발광층 / 제 3 발광층 / 전자 수송 대역 / 캐소드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애노드와 제 1 발광층의 사이에 정공 수송 대역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는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9 의 상부 도면은, 소자 구성, 그리고 각층의 HOMO 및 LUMO 에너지 레벨들을 나타낸다. 도 9 의 하부 도면은, 제 3 발광층과 블로킹층의 에너지 갭들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9 의 상부 도면은 Ah>Ab>Ae 의 경우에 있어서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 유기 EL 소자는, 애노드, 제 1 발광층, 제 2 발광층, 제 3 발광층, 전자 수송 대역, 및 캐소드를 순차적 순서로 포함한다. 제 1 발광층과 제 2 발광층 사이에는 전하 블로킹층이 개재되어 있다. 전자 수송 대역은 블로킹층으로 형성된다. 이 블로킹층 및 제 3 발광층은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하는 블로킹층 및 형광 발광층이다. 제 1 발광층 및 제 2 발광층은, 형광 발광층 또는 인광 발광층일 수도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소자는 백색 발광 소자로서 적합하다. 이 소자는, 제 1 발광층, 제 2 발광층 및 제 3 발광층의 발광색들을 조절함으로써 백색 발광 소자로 될 수 있다. 또한, 이 소자는, 제 1 발광층 및 제 2 발광층만을 배열하고 이들 2개의 발광층들의 발광색들을 조절함으로써 백색 발광 소자로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발광층은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하는 형광 발광층이다.
특히, 제 1 발광층의 호스트로서 정공 수송성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주 피크 파장이 550 nm 보다 큰 형광 발광 도펀트를 첨가함으로써, 제 2 발광층 (및 제 3 발광층) 의 호스트로서 전자 수송성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그리고 주 피크 파장이 550 nm 이하인 형광 발광 도펀트를 첨가함으로써, 심지어 그들 모두가 전적으로 형광 재료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종래의 백색 발광 소자에 비해 높은 발광 효율을 나타내는 백색 발광 소자를 실현할 수 있다.
발광층과 인접해 있는 정공 수송층을 특히 참조한다. 본 발명의 TTF 현상을 효과적으로 일으키기 위해서는, 정공 수송 재료의 삼중항 에너지와 호스트의 삼중항 에너지를 비교할 경우에, 정공 수송 재료의 삼중항 에너지가 호스트의 삼중항 에너지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 4 예시적인 실시형태
제 4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청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적색 화소가 기판 상에 병렬로 배열된다. 이들 3색 화소들 가운데, 청색 화소 및 녹색 화소 중 적어도 하나가 제 1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구성을 갖는다.
도 10 은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10 에 나타낸 상면 발광형 유기 EL 소자 (4) 는, 청색 화소 (B), 녹색 화소 (G) 및 적색 화소 (R) 가 공통 기판 (100) 상에 병렬로 배열되어 있다.
청색 화소 (B) 는, 애노드 (10), 정공 수송 대역 (60), 청색 발광층 (20B), 블로킹층 (32), 전자 주입층 (40), 캐소드 (50) 및 보호층 (90) 을 기판 (100) 상에서 순차적 순서로 포함한다.
녹색 화소 (G) 는, 애노드 (10), 정공 수송 대역 (60), 녹색 발광층 (20G), 블로킹층 (32), 전자 주입층 (40), 캐소드 (50) 및 보호층 (90) 을 기판 (100) 상에서 순차적 순서로 포함한다.
적색 화소 (R) 는, 애노드 (10), 정공 수송 대역 (60), 적색 발광층 (20R), 블로킹층 (32), 전자 주입층 (40), 캐소드 (50) 및 보호층 (90) 을 기판 (100) 상에서 순차적 순서로 포함한다.
인접하는 화소들의 애노드들 사이에 절연막 (200) 이 형성되어 화소들 간의 절연을 유지한다. 전자 수송 대역은 블로킹층 (32) 및 전자 주입층 (40) 으로 형성된다.
유기 EL 소자 (4) 에서, 블로킹층은 청색 화소 (B), 적색 화소 (R) 및 녹색 화소 (G) 에 대한 공통 블로킹층으로서 제공된다.
블로킹층에 의해 제공되는 유리한 효과는, 청색 형광 소자에서 종래에 얻어졌던 발광 효율에 비해 현저한 것이다. 녹색 형광 소자 및 적색 형광 소자에 있어서, 삼중항 에너지를 발광층 내에 가두는 것과 같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발광 효율의 향상을 또한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인광 발광층에 있어서는, 삼중항 에너지를 발광층 내에 가두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결과적으로, 삼중항 에너지의 확산을 방지하고, 인광 도펀트의 발광 효율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정공 수송 대역은, 예를 들어, 정공 수송층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정공 수송층과 정공 주입층의 조합으로 형성된다. 청색 화소 (B), 적색 화소 (R) 및 녹색 화소 (G) 에 대해 공통 정공 수송 대역이 제공될 수도 있고 또는 상이한 정공 수송 대역이 제공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정공 수송 대역은, 각각 발광색에 적절한 구성을 갖는다.
발광층들 (20B, G 및 R) 과 블로킹층으로 형성된 유기층의 구성은, 도면에 나타낸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호스트 및 도펀트에 대해서는 상기에 설명되어 있다. 특히, 각 색 발광층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녹색 발광층은 이하의 호스트 재료 및 도펀트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스트 재료는 축합된 방향족 고리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축합된 방향족 고리 유도체로는, 안트라센 유도체, 피렌 유도체 등이 발광 효율 및 발광 수명의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호스트 재료는 헤테로고리 함유 화합물에 의해 예시된다. 헤테로고리 함유 화합물의 예는, 카르바졸 유도체, 디벤조푸란 유도체, 래더-형 푸란 화합물 및 피리미딘 유도체이다.
도펀트 재료는, 도펀트로서 기능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발광 효율 등의 관점에서 방향족 아민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방향족 아민 유도체로서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아미노기를 갖는 축합된 방향족 고리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화합물의 예는, 아릴아미노기를 갖는, 피렌, 안트라센, 및 크리센이다.
스티릴아민 화합물이 또한 도펀트 재료로서 바람직하다. 스티릴아민 화합물의 예는, 스티릴아민, 스티릴디아민, 스티릴트리아민 및 스티릴테트라아민이다. 여기서, 스티릴아민이란,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아민이 적어도 하나의 아릴비닐기로 치환된 화합물을 의미한다. 아릴비닐기는, 아릴기, 실릴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또는 아릴아미노기와 같은 치환기로 치환될 수도 있고, 이 치환기는 치환기를 더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도펀트 재료로서, 붕소 착물 및 플루오란텐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금속 착물이 또한 도펀트 재료로서 바람직하다. 금속 착물은, 이리듐 착물 또는 백금 착물에 의해 예시된다.
적색 발광층은, 이하의 호스트 재료 및 도펀트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스트 재료는 축합된 방향족 고리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축합된 방향족 고리 유도체로서는, 나프타센 유도체, 펜타센 유도체 등이 발광 효율 및 발광 수명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호스트 재료는, 축합된 다고리형 방향족 화합물에 의해 예시된다. 축합된 다고리형 방향족 화합물은, 나프탈렌 화합물, 페난트렌 화합물 및 플루오란텐 화합물이다.
도펀트 재료는 방향족 아민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방향족 아민 유도체로서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아미노기를 갖는 축합된 방향족 고리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화합물은, 아릴아미노기를 갖는 페리플란텐에 의해 예시된다.
금속 착물이 또한 도펀트 재료로서 바람직하다. 금속 착물은, 이리듐 착물 또는 백금 착물에 의해 예시된다.
제 4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유기 EL 소자는, 이하와 같이 제작된다.
기판 상에, 은 합금층인 APC (Ag-Pd-Cu) 층 (반사층) 및 아연 산화물 (IZO) 막 및 주석 산화물 막과 같은 투명 도전층이 순차적 순서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통상적인 리소그래피 기술에 의해, 레지스트 패턴을 갖는 마스크를 사용한 에칭에 의해 이 도전 재료층을 패터닝함으로써, 애노드를 형성한다. 그후, 스핀 코팅법에 의해, 애노드 상에 코팅에 의해 폴리이미드와 같은 감광성 수지로 형성된 절연막을 형성한다. 그후, 획득된 막을 노광, 현상, 및 경화하여, 애노드가 노출되게 하고, 이로써 청색 발광 영역, 녹색 발광 영역 및 적색 발광 영역에 대한 애노드들을 패터닝한다.
3종류의 전극, 즉, 적색 화소용 전극, 녹색 화소용 전극 및 청색 화소용 전극이 있다. 이들은 각각 청색 발광 영역, 녹색 발광 영역 및 적색 발광 영역에 대응하고, 각각 애노드에 대응한다. 이소프로필 알코올 안에서 5분간 세정을 행한 후, UV 오존 세정을 30분간 행한다. 그후,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을 형성하면, 정공 주입층이 기판 전체 표면에 걸쳐 적층되고, 그 위에 정공 수송층이 적층된다. 발광층들은, 적색 화소용 애노드, 녹색 화소용 애노드 및 청색 화소 용 애노드의 위치들에 대응되게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진공 증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청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적색 발광층을 섀도우 마스크를 이용하여 미세하게 패터닝한다.
다음으로, 블로킹층을 전체 표면에 걸쳐 적층한다. 후속하여, 전자 주입층을 전체 표면에 걸쳐 적층한다. 그후, Mg 와 Ag 를 증착에 의해 성막하고, 이로써 반투과성의 Mg-Ag 합금으로 형성된 캐소드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판, 애노드, 캐소드,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과 같은 다른 부재에 대해서는, PCT/JP2009/053247 (국제 공개 WO2009/107596), PCT/JP2008/073180 (국제 공개 WO2009/081857호), 미국 특허 출원 12/376,236 (미국 특허 출원 공개 2009/251886), 미국 특허 출원 11/766,281 (미국 특허 출원 공개 2008/014464), 미국 특허 출원 12/280,364 (미국 특허 출원 공개 2009/0021160) 등에 개시되어 있는 공지된 부재들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정공 수송층은 하기 식 (a-1) 내지 (a-5)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는 방향족 아민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59]
Figure 112012009850762-pct00059
식 (a-1) 내지 식 (a-5) 중, Ar1 내지 Ar24 는,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5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5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아릴기이다.
L1 내지 L9 는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5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렌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5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아릴렌기이다.
Ar1 내지 Ar24 및 L1 내지 L9 에 포함될 수도 있는 치환기의 예는, 1 내지 15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기형 알킬기, 3 내지 15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기, 1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기형 알킬기를 갖는 트리알킬실릴기, 6 내지 1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를 갖는 트리아릴실릴기, 1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기형 알킬기 및 6 내지 1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를 갖는 알킬아릴실릴기, 6 내지 5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 5 내지 5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아릴기, 할로겐 원자, 및 시아노기를 포함한다. 인접한 치환기들은 서로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하는 포화 또는 불포화의 2가의 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Ar1 내지 Ar24 중 적어도 하나는, 하기 식 (a-6) 또는 (a-7) 로 나타낸 치환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60]
Figure 112012009850762-pct00060
식 (a-6) 에서, X 는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N-Ra 이다. Ra 는 1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기형 알킬기, 3 내지 15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기, 6 내지 5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 또는 5 내지 5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아릴기이다.
L10 은 단일 결합,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5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렌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5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아릴렌기이다.
식 (a-7) 에서, L11 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5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렌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5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아릴렌기이다.
식 (a-6) 및 (a-7) 에서, R1 내지 R4 는 독립적으로 1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기형 알킬기, 3 내지 15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기, 1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기형 알킬기를 갖는 트리알킬실릴기, 6 내지 1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를 갖는 트리아릴실릴기, 1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기형 알킬기 및 6 내지 1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를 갖는 알킬아릴실릴기, 6 내지 1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 5 내지 5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아릴기, 할로겐 원자, 및 시아노기이다. R1들 내지 R4들 중 인접한 기들은 서로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
a, c 및 d 는 각각 0 내지 4 의 정수이다.
b 는 0 내지 3 의 정수이다.
식 (a-1) 로 나타낸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a-8) 로 나타낸 화합물이다.
[화학식 61]
Figure 112012009850762-pct00061
식 (a-8) 에서, Cz 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카르바졸릴기이다.
L12 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5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렌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5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아릴렌기이다.
Ar25 및 Ar26 은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6 내지 5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내지 5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아릴기이다.
식 (a-8) 로 나타낸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a-9) 로 나타낸 화합물이다.
[화학식 62]
Figure 112012009850762-pct00062
식 (a-9) 에서, R5 및 R6 은 독립적으로 1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기형 알킬기, 3 내지 15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기, 1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기형 알킬기를 갖는 트리알킬실릴기, 6 내지 1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를 갖는 트리아릴실릴기, 1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기형 알킬기 및 6 내지 1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를 갖는 알킬아릴실릴기, 6 내지 1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 5 내지 5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아릴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이다. R5들 내지 R6들 중 인접한 기들은 서로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
e 및 f 는 각각 0 내지 4 의 정수이다.
L12 , Ar25 및 Ar26 은 식 (a-8) 에서의 L12 , Ar25 및 Ar26 와 동일하다.
식 (a-9) 로 나타낸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a-10) 으로 나타낸 화합물이다.
[화학식 63]
Figure 112012009850762-pct00063
식 (a-10) 에서, R7 및 R8 은 독립적으로 1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기형 알킬기, 3 내지 15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기, 1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기형 알킬기를 갖는 트리알킬실릴기, 6 내지 1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를 갖는 트리아릴실릴기, 1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기형 알킬기 및 6 내지 1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를 갖는 알킬아릴실릴기, 6 내지 1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 5 내지 5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아릴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이다. R5들 내지 R6들 중 인접한 기들은 서로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
g 및 h 는 각각 0 내지 4 의 정수이다.
R5 , R6 , e, f, Ar25 및 Ar26 는 식 (a-9) 에서의 R5 , R6 , e, f, Ar25 및 Ar26 와 동일하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하에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사용된 재료들을 이하에 나타낸다.
[화학식 64]
Figure 112012009850762-pct00064
[화학식 65]
Figure 112012009850762-pct00065
[화학식 66]
Figure 112012009850762-pct00066
[화학식 67]
Figure 112012009850762-pct00067
상기에 나타낸 화합물들 BH-1, BD-1 및 BD-2 의 삼중항 에너지들은 다음과 같다.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BH-1 EgT : 1.83eV
BD-1 EgT : 1.94eV
BD-2 EgT : 2.13eV
[화학식 68]
Figure 112012009850762-pct00068
재료들의 상기 물리적 특성의 측정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1) 삼중항 에너지 (ET)
시판되는 측정 머신 F-4500 (Hitachi, Ltd. 제조) 이 측정에 이용되었다. ET 의 환산식은 다음과 같다.
환산식 ET (eV) = 1239.85/Lph
"Lph" 는, 세로축이 인광 강도를 나타내고 가로축이 파장을 나타내는 좌표에서 인광 스펙트럼을 표현하고, 인광 스펙트럼의 단파장측에서의 상승에 대해 접선을 그릴 경우에, 그 접선과 가로축의 교점에서의 파장 값이다. 단위:nm
각 화합물을 용매 (시료 10 (마이크로 몰/ℓ), EPA (디에틸에테르:이소펜탄:에탄올 = 5:5:5 (체적비), 분광용 그레이드 용매) 에 용해시켜 인광 측정용 시료를 제공하였다. 인광 측정용 시료를 석영 셀에 넣고, 77(K) 로 냉각시키고, 여기 광을 조사하여, 파장을 바꾸면서 인광 강도를 측정하였다. 인광 스펙트럼은, 세로축이 인광 강도를 나타내고 가로축이 파장을 나타내는 좌표에서 표현되었다.
이 인광 스펙트럼의 단파장측에서의 상승에 대해 접선을 그려, 그 접선과 가로축의 교점에서의 파장 값 Lph (nm) 를 획득하였다.
인광 스펙트럼의 단파장측에서의 상승에 대한 접선은 다음과 같이 그려진다.
인광 스펙트럼의 곡선 상에서 단파장측으로부터 최대 스펙트럼 값들 가운데 단파장측에 가장 가까운 최대 스펙트럼 값으로 이동할 때에, 인광 스펙트럼의 장파장측을 향하여 곡선 상의 각 점에 있어서의 접선을 체크한다. 이 접선의 기울기는, 곡선이 상승함에 따라 (즉, 세로축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최대 기울기의 점에서 고려진 접선이, 인광 스펙트럼의 단파장측에서의 상승에 대한 접선으로 정의된다.
스펙트럼의 최대 피크 강도의 10% 이하의 피크 강도를 가지는 최대치는, 스펙트럼의 단파장측에 가장 가까운 상기 서술된 최대치에 포함되지 않는다. 최대 기울기를 가지며 단파장측에 가장 가까운 최대 스펙트럼 값의 점에서 그려진 접선이, 인광 스펙트럼의 단파장측에서의 상승에 대한 접선으로서 정의된다.
(2) 전자 이동도
임피던스 분광법을 이용하여 전자 이동도를 평가하였다. 기판 상에 애노드로서의 Al, 블로킹층 재료, 전자 주입 재료, LiF, 및 캐소드로서의 Al 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전자-온리 소자를 제작하였다. 100 mV 의 AC 전압을 실은 DC 전압을 거기에 인가하고, 그들의 복소 모듈러스 값을 측정하였다. 모듈러스의 허수부가 최대가 되는 주파수를 fmax (Hz) 로 설정할 때, 응답 시간 T (초) 를 식 T=1/2/Pi/fmax 에 기초하여 산출하였다. 이 값을 이용하여, 전자 이동도의 전계 강도 의존성을 결정하였다.
전자 이동도 Mu 환산식은 다음과 같다.
[수식 1]
Figure 112012009850762-pct00069
식에 있어서: V 는 DC 전압의 크기를 나타내고; d 는 전자-온리 소자에 있어서의 블로킹층 재료, 전자 주입 재료 및 LiF 의 총 막 두께를 나타내고, tIS 는 임피던스 분광법에 의해 측정된 응답 시간 T 를 나타낸다.
(3) 이온화 포텐셜 (Ip)
별도로, 유기 EL 소자를 형성하는 각 층의 단독층을 유리 기판 상에 진공 증착에 의해 제작하였다. 이온화 포텐셜은, 유리 기판 상의 박막을 이용하여 그리고 대기하에서 광전자 분광장치 (Riken Keiki Co., Ltd. 제조, AC-3) 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구체적으로, 재료에 광을 조사한 후, 전하 분리에 의해 발생된 전자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이온화 포텐셜을 측정하였다. 조사 광의 에너지에 응답하여 방출된 광전자의 제곱근을 플롯하였다. 광전자 방출 에너지의 임계치를 이온화 포텐셜 (Ip) 로서 정의하였다.
(4) 어피니티
어피니티는, 이온화 포텐셜 Ip 와 에너지 갭 Eg 의 측정된 값으로부터 산출되었다. 산출식은 다음과 같다.
Af=Ip-Eg
에너지 갭 Eg 는, 톨루엔 용액 중의 흡수 스펙트럼의 흡수단에 기초하여 측정되었다. 구체적으로, 흡수 스펙트럼은, 시판되는 자외-가시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에너지 갭은, 흡수 스펙트럼의 장파장측에서의 하강의 파장으로부터 산출되었다.
환산식은 다음과 같다.
Eg (eV)=1239.85/Lab
세로축은 흡광도를 나타내고 가로축은 파장을 나타내는 좌표에서 흡수 스펙트럼이 표현되었다. 에너지 갭 Eg 에 관한 환산식에 있어서, Lab 는 흡수 스펙트럼의 장파장측에서의 하강에 대해 그려진 접선과 가로축의 교점에서의 파장 값을 의미한다. 단위:nm
각 화합물을 톨루엔 용매 (시료 2*10-5 몰/ℓ) 에 용해하여, 광로 길이 1 cm 인 시료를 준비하였다. 파장을 바꾸면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수 스펙트럼의 장파장측에서의 하강에 대한 접선은 다음과 같이 그려진다.
흡수 스펙트럼의 곡선 상에서 장파장측에 가장 가까운 최대 스펙트럼 값으로부터 장파장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곡선 상의 각 점에 있어서의 접선을 체크한다.
접선의 기울기는, 곡선이 하강함에 따라 (즉, 세로축의 값이 감소함에 따라) 반복적으로 감소 및 증가된다. 장파장측에 가장 가까운 최소 기울기의 점에서 (흡광도가 0.1 이하인 경우는 제외함) 그려진 접선이, 흡수 스펙트럼의 장파장측에서의 하강에 대한 접선으로서 정의된다.
최대 흡광도 0.2 이하는, 장파장측에서의 상기 서술된 최대 흡광도에 포함되지 않는다.
(5) TTF 비율의 측정
호스트, 도펀트 및 블로킹층 재료의 삼중항 에너지가 소정의 관계를 만족하는 경우에, 전체 발광에 대한 TTF 로부터 유래된 발광 강도의 비율이 높을 수 있고, 그리하여 형광 소자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형광 소자에 의해 달성할 수 없었던 수준으로 고효율화될 수 있다.
TTF 로부터 유래된 발광 강도의 비율은, 과도 EL 법에 의해 측정 가능하다. 과도 EL 법이란, 소자에 인가된 DC 전압을 제거한 후에 EL 발광의 감소 거동 (과도 특성) 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EL 발광 강도는, 최초의 재결합으로 발생된 일중항 여기자들로부터의 발광 성분과 TTF 현상을 통해 발생된 일중항 여기자들로부터의 발광 성분으로 분류된다. 일중항 여기자들의 수명이 나노초 정도로 매우 짧기 때문에, EL 발광은 DC 전압 제거 이후에 신속하게 감소된다.
한편, TTF 현상은 수명이 긴 삼중항 여기자들을 통해 발생된 일중항 여기자들로부터 발광을 제공하기 때문에, EL 발광은 완만하게 감소된다. 그리하여, 일중항 여기자들로부터의 발광과 삼중항 여기자들로부터의 발광 사이에는 시간적으로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TTF 로부터 유래된 발광 강도가 획득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발광 강도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과도 EL 파형은 이하와 같이 측정된다 (도 11 참조). 전압 펄스 발생기 (PG) 로부터 출력된 펄스 전압 파형을 EL 소자에 인가한다. 인가된 전압 파형을 오실로스코프 (OSC) 에 로딩한다. 펄스 전압을 EL 소자에 인가하면, EL 소자는 펄스 발광을 발생시킨다. 이 발광을, 광전자증배관 (PMT) 을 통해서 오실로스코프 (OSC) 로 로딩한다. 전압 파형과 펄스 발광을 동기시켜 퍼스널 컴퓨터 (PC) 에 로딩한다.
발광 강도의 비율은, 과도 EL 파형의 해석에 기초하여 이하와 같이 결정된다.
삼중항 여기자들의 감소 거동의 레이트 방정식을 풀어, TTF 현상에 기초한 발광 강도의 감소 거동을 모델화한다. 발광층 내부의 삼중항 여기자들의 밀도 nT 의 시간 변화에 따른 감소는, 삼중항 여기자들의 수명에 의한 감소 속도 vA 와 삼중항 여기자들의 충돌에 의한 감소 속도 vC 를 이용하여 하기 레이트 방정식으로 나타내진다.
[수식 2]
Figure 112012009850762-pct00070
이 미분 방정식을 근사적으로 풀면, 다음의 식이 얻어진다. 여기서, ITTF 는 TTF 로부터 유래된 발광 강도를 나타낸다. A 는 상수이다. 그리하여, 과도 EL 발광이 TTF 에 기초하는 경우, 과도 EL 발광의 강도의 제곱근의 역수는 근사적으로 직선으로 나타내진다. 측정된 과도 EL 파형 데이터는 하기 근사식에 피팅되어 상수 A를 구한다. 이때, DC 전압이 제거될 때의 t=0 에서의 발광 강도 1/A2 가 TTF 로부터 유래된 발광 강도의 비율이라고 정의된다.
[수식 3]
Figure 112012009850762-pct00071
도 12a 의 그래프는, EL 소자에 소정의 DC 전압을 인가한 후 DC 전압을 제거한 경우의 측정 예를 나타내고, EL 소자의 시간 변화에 따른 발광 강도를 나타낸다. 도 12a 의 그래프에서는 DC 전압이 시간 약 3*10-8 초에 제거되었다. 그래프에서, 전압을 제거한 경우의 발광 강도를 1 로서 정의한다. 약 2*10-7 초가 경과하기 전의 급속한 감소 이후에, 완만한 감소 성분이 나타난다. 도 12b 의 그래프에서는, 전압 제거 시간이 시작점이고, 전압 제거 후 10-5 초 경과 전의 발광 강도의 제곱근의 역수가 근사적으로 직선으로 플롯된다. 그 직선을 시작점으로 연장한 것과 세로축의 교점 A 에서의 값이 2.41 이다. 따라서, 과도 EL파형으로부터 얻어지는 TTF 로부터 유래된 발광 강도의 비율은, 1/2.412=0.17 이고, 이는 전체 발광 강도 중 17% 가 TTF 로부터 유래되었음을 의미한다.
발광 강도는, 최소 자승법에 의해 직선으로 피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10-5 초 경과 이전의 발광 강도가 피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로킹층에 사용되는 화합물들의 삼중항 에너지들을 표 1 에서 T1TB 로서 나타낸다.
블로킹층 및 전자 주입층에 사용되는 화합물들의 어피니티들을 각각, 표 1 에서 AfBT 및 AfET 로서 나타낸다. 전자 주입층에 사용되는 화합물들의 어피니티로부터 블로킹층에 사용되는 화합물들의 어피니티를 감산한 값들을, 표 1 에서 D(AfET-AfTB) 로서 나타낸다.
유기 EL 소자를 이하의 방식으로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1
ITO 투명 전극 (애노드) 을 갖는 유리 기판 (사이즈: 25 mm*75 mm*1.1 mm 두께, Geomatec Co., Ltd. 제조) 을 5분간 이소프로필 알콜 중에서 초음파 세정한 후, 30분간 UV/오존 세정하였다. 투명 전극 라인을 갖는 유리 기판을 세정한 후, 유리 기판을 진공 증착 장치의 기판 홀더에 장착하였다. 먼저, 투명 전극 라인이 제공되어 있는 유리 기판의 표면 상에서 투명 전극을 덮도록 하는 방식으로 화합물 HT-1 을 증착하고, 이로써 50 nm 두께의 화합물 HT-1 막을 형성하였다. HT-1 막은 정공 주입층으로서 기능한다.
HT-1 막의 성막 이후에, HT-1 막 상에 화합물 HT-2 를 증착하여 HT-1 막 상에 45 nm 두께의 HT-2 막을 형성하였다. HT-2 막은 정공 수송층으로서 기능한다.
그후, HT-2 막 상에 화합물 BH-1 (호스트 재료) 및 화합물 BD-1 (도펀트 재료) (BH-1 대 BD-1 의 질량비는 20 : 1 임) 을 공증착하여 25 nm 두께의 발광층을 형성하였다.
이 발광층 상에 TB-1 을 증착하여 5 nm 두께의 블로킹층을 형성하였다.
블로킹층 상에 ET-1 (전자 수송 재료) 을 증착하여 20 nm 두께의 전자 주입층을 형성하였다.
전자 주입층 상에 LiF 를 증착하여 1 nm 두께의 LiF 막을 형성하였다.
LiF 막 상에 금속 Al 을 증착하여 150 nm 두께의 금속 캐소드를 형성하였다.
그리하여, 실시예 1의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6
발광층의 도펀트와 블로킹층 및 전자 주입층의 화합물들로서 표 1 에 나타낸 화합물들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유기 EL 소자들을 제작하였다.
유기 EL 소자의 평가
제작된 유기 EL 소자에 대해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초기 성능
전류 밀도가 1 mA/cm2 이도록 유기 EL 소자에 전압을 인가하였고, 그때 전압의 값 (V) 을 측정하였다. 그때의 EL 발광 스펙트럼을 분광 방사휘도계 (CS-1000: KONICA MINOLTA 제조) 로 측정하였다. 얻어진 분광 방사휘도 스펙트럼으로부터, 색도 CIEx, CIEy, 전류 효율 L/J (cd/A), 외부 양자 효율 EQE(%), 및 주 피크 파장 Lp (nm) 를 산출하였다.
TTF 비율
펄스 발생기 (8114A: Agilent Technologies 제조) 로부터 출력된 전압 펄스 파형 (펄스폭:500 마이크로초, 주파수:20 Hz, 전압:0.1 내지 100 mA/cm2 상당하는 전압) 을 인가하였다. EL 발광을 광전자증배관 (R928: Hamamatsu Photonics K.K. 제조) 에 입력하였다. 펄스 전압 파형 및 EL 발광을 동기시켜 오실로스코프 (2440: Tektronix) 에 로딩하여 과도 EL 파형을 얻었다. 이 과도 EL 파형을 분석하여 TTF 비율을 결정하였다.
실시예 1 의 유기 EL 소자에 대해 실온에서 전압을 인가하였다. 펄스 전압을 약 3*10-8 초의 시간에 제거하였다.
전압 제거 시간이 시작점이고 전압 제거 후 10-5 초 경과 전의 발광 강도의 제곱근의 역수를 플롯한 그래프에 기초하여, TTF 비율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2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6 에서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Figure 112012009850762-pct00072
실시예 1 내지 7 의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블로킹층의 삼중항 에너지가 호스트의 삼중항 에너지보다 더 크고, 전자 주입층의 어피니티로부터 블로킹층의 어피니티를 감산한 값이 0.15 eV 이하이었다. 그 결과, 캐소드로부터 전자들이 양호하게 공급되고, 캐리어 밸런스가 향상되어, 높은 외부 양자 효율이 획득되었다.
한편, 비교예 1 내지 6 의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전자 주입층의 어피니티로부터 블로킹층의 어피니티를 감산한 값이 0.2 eV 이상이었다. 그 결과, 캐소드로부터 전자들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고, 캐리어 밸런스가 맞지 않아, 획득된 외부 양자 효율은 실시예 1 내지 7 의 외부 양자 효율에 보다 낮았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는 디스플레이 및 조명 장치에 적용가능하다.
1, 2, 4 : 유기 EL 소자
10 : 애노드
20, 22, 24 : 발광층
30, 32 : 블로킹층
40 : 전자 주입층
50 : 캐소드
60 : 정공 수송 대역
70 : 전자 수송 대역

Claims (15)

  1. 애노드, 발광층, 블로킹층, 전자 주입층, 및 캐소드를 순차적 순서로 포함하고,
    상기 발광층은 호스트 및 도펀트를 포함하고,
    상기 블로킹층은 하기 일반식 (BL-6) 으로 나타내는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의 삼중항 에너지 ET b (eV) 는 상기 호스트의 삼중항 에너지 ET h (eV) 보다 더 크고,
    상기 블로킹층의 어피니티 (affinity) Ab (eV) 및 상기 전자 주입층의 어피니티 Ae (eV) 는 Ae-Ab<0.2 의 관계를 만족하며,
    상기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 ET d (eV) 는 상기 호스트의 삼중항 에너지 ET h (eV) 보다 더 큰,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Figure 112014058472500-pct00086

    (상기 일반식 (BL-6) 중,
    F1 ~ F5 는, 모두 고리형 구조를 나타내고,
    F1 ~ F5 중 적어도 하나는 헤테로 원자를 가진 구조이고,
    F1 ~ F5 고리는, F1, F2, F3, F4 및 F5 로 구성되는 축합 고리이고,
    각각의 고리형 구조 F 상에서 인접한 치환기끼리를 가교하는 형태로 축합 고리를 형성해도 되고,
    인접한 고리형 구조 F 끼리를 가교하는 형태로 새로운 축합 고리를 형성해도 되고,
    R 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헤테로아릴기에서 선택되는 기, 또는 그것들이 복수 연결된 잔기이고,
    R' 는, n 이 1 일 때,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헤테로아릴기에서 선택되는 기, 또는 그것들이 복수 연결된 잔기이고, n 이 2 ~ 6 일 때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렌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헤테로아릴렌기 또는 그것들이 복수 연결된 잔기에서 선택되는 연결기가 되거나, 또는 단결합으로서 2 개의 F1 ~ F5 고리를 직접 결합시키고,
    m 은 0 ~ 13 의 정수이고, n 은 1 ~ 6 의 정수이고,
    F1 ~ F5 고리, R 이 복수 존재할 때에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의 삼중항 에너지 ET b (eV) 및 상기 호스트의 삼중항 에너지 ET h (eV) 는 ET h+0.2<ET b 의 관계를 만족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의 삼중항 에너지 ET b (eV) 및 트리스(8-퀴놀리놀라토)알루미늄 착물의 삼중항 에너지 ET Alq (eV) 는 ET b>ET Alq 의 관계를 만족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유도체의 전자 이동도는 전계 강도 0.04 MV/cm 내지 0.5 MV/cm 에서 적어도 10-6 cm2/Vs 인,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주입층은 전계 강도 0.04 MV/cm 내지 0.5 MV/cm 에서 적어도 10-6 cm2/Vs 의 전자 이동도를 갖는 재료를 포함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펀트는 주 피크 파장 550 nm 이하의 형광 발광을 나타내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와 상기 발광층 사이에 정공 수송 대역이 위치되고,
    상기 정공 수송 대역 내에서 정공 수송층이 상기 발광층에 인접하고,
    상기 정공 수송층의 삼중항 에너지 ET ho (eV) 는 상기 호스트의 삼중항 에너지 ET h (eV) 보다 더 큰,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주입층 및 상기 블로킹층은 동일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전자 주입층은 도너로 도핑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펀트는 피렌 유도체, 아미노안트라센 유도체, 아미노크리센 유도체, 아미노피렌 유도체, 플루오란텐 유도체 및 붕소 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인,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고리형 구조에만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인,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11.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펀트는, 고리형 구조에만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인,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12.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대 전류 효율 (cd/A) 에서의 인가 전압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에 발생된 삼중항 여기자들의 충돌에 의해 발생된 일중항 여기자들로부터 유래된 발광 강도는, 전체 발광 강도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펀트는 파장 480 nm 이하의 형광 발광을 나타내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펀트는, 청색 형광 발광을 나타내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층은, 상기 발광층에 인접하고 있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KR1020127003300A 2010-11-22 2011-11-22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KR1014823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60674 2010-11-22
JP2010260674 2010-11-22
JPJP-P-2011-165670 2011-07-28
JP2011165670 2011-07-28
PCT/JP2011/006510 WO2012070233A1 (en) 2010-11-22 2011-11-22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555A KR20120092555A (ko) 2012-08-21
KR101482362B1 true KR101482362B1 (ko) 2015-01-13

Family

ID=461455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2764A KR101482829B1 (ko) 2010-11-22 2011-11-22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KR1020127003300A KR101482362B1 (ko) 2010-11-22 2011-11-22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2764A KR101482829B1 (ko) 2010-11-22 2011-11-22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2) EP2643867B1 (ko)
JP (2) JP5480364B2 (ko)
KR (2) KR101482829B1 (ko)
CN (2) CN102668160B (ko)
TW (2) TW201232864A (ko)
WO (2) WO20120702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5857B2 (en) 2019-01-09 2022-05-17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000B1 (ko) * 2010-12-21 2015-01-05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채용하고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6197265B2 (ja) * 2011-03-28 2017-09-20 東レ株式会社 発光素子材料および発光素子
WO2013012298A1 (en) * 2011-07-21 2013-01-24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Korea Ltd. 9h-carbazole compounds and electroluminescent devices involving them
KR101887003B1 (ko) * 2011-07-21 2018-08-13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채용하고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WO2013024872A1 (ja) * 2011-08-18 2013-02-21 出光興産株式会社 ビスカルバゾール誘導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5692011B2 (ja) * 2011-11-08 2015-04-0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材料、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表示装置、並びに照明装置
CN103380508B (zh) * 2011-11-22 2017-09-08 出光兴产株式会社 芳香族杂环衍生物、有机电致发光元件用材料以及有机电致发光元件
TWI564297B (zh) * 2012-06-18 2017-01-01 Tosoh Corp ring A compou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ntaining the same
KR102148539B1 (ko) * 2012-06-18 2020-08-26 토소가부시키가이샤 환상 아진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함유하는 유기 전계발광소자
JP6312960B2 (ja) * 2012-08-03 2018-04-1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素子、発光装置、電子機器、照明装置及び複素環化合物
JP2015216135A (ja) * 2012-08-10 2015-12-03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電子機器
KR101497138B1 (ko) * 2012-08-21 2015-02-27 제일모직 주식회사 유기광전자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6335428B2 (ja) * 2012-12-21 2018-05-30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電子機器
KR102050484B1 (ko) 2013-03-04 2019-1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CN104037326A (zh) * 2013-03-06 2014-09-10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叠层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N104051639A (zh) * 2013-03-12 2014-09-17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N104051659A (zh) * 2013-03-12 2014-09-17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叠层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KR102107106B1 (ko) 2013-05-09 2020-05-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티릴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KR102407604B1 (ko) * 2013-05-16 2022-06-1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소자, 발광 장치,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
WO2014199637A1 (ja) * 2013-06-11 2014-12-18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材料、こ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電子機器
KR102269131B1 (ko) 2013-07-01 2021-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KR102116496B1 (ko) 2013-08-26 2020-05-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327025B1 (ko) * 2013-08-26 2021-11-1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소자, 발광 장치, 표시 장치, 조명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2289329B1 (ko) 2013-12-02 2021-08-1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소자, 발광 장치,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
US10062850B2 (en) 2013-12-12 2018-08-28 Samsung Display Co., Ltd. Amine-based compounds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comprising the same
KR101742359B1 (ko) * 2013-12-27 2017-05-31 주식회사 두산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221106B1 (ko) * 2014-01-17 2021-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1670056B1 (ko) 2014-02-20 2016-10-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411748B1 (ko) 2014-03-17 2022-06-23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전자 버퍼 재료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
WO2015142040A1 (en) 2014-03-17 2015-09-24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Korea Ltd. Electron buffering material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JP2017123352A (ja) 2014-03-31 2017-07-13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電子機器
KR101537500B1 (ko) * 2014-04-04 2015-07-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 발광 소자
KR102255197B1 (ko) 2014-05-02 2021-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124045B1 (ko) 2014-05-02 2020-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244071B1 (ko) 2014-05-02 2021-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030354B1 (ko) * 2014-05-13 2019-10-10 에스에프씨주식회사 방향족 아민기를 포함하는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20150132795A (ko) 2014-05-16 2015-1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283457B1 (ko) 2014-06-03 2021-07-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332591B1 (ko) 2014-06-09 2021-1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327086B1 (ko) 2014-06-11 2021-1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US10644244B2 (en) 2014-06-27 2020-05-05 Lt Materials Co., Ltd. Heterocyclic compoun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ing same
US20170222159A1 (en) * 2014-07-29 2017-08-03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Korea Ltd. Electron buffering material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2526212B1 (ko) 2014-08-08 2023-04-28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유기 전계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220107076A (ko) 2014-08-08 2022-08-01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
KR102287341B1 (ko) 2014-08-19 2021-08-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04720B1 (ko) 2014-09-19 2021-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291896B1 (ko) * 2014-10-13 2021-08-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하생성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708097B1 (ko) * 2014-10-22 2017-02-17 주식회사 두산 유기 전계 발광 소자
EP3214151B1 (en) * 2014-10-27 2020-10-14 LG Chem,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KR102384649B1 (ko) 2014-11-10 2022-04-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285388B1 (ko) 2014-11-13 2021-08-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385230B1 (ko) 2014-11-19 2022-04-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364220B1 (ko) 2014-12-03 2022-0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363260B1 (ko) 2014-12-19 2022-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190108B1 (ko) * 2014-12-31 2020-12-11 에스에프씨주식회사 고효율과 장수명을 갖는 유기 발광 소자
KR102343145B1 (ko) 2015-01-12 2021-1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축합환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KR102201104B1 (ko) * 2015-01-13 2021-01-11 에스에프씨주식회사 고효율과 장수명을 갖는 유기 발광 소자
WO2016117429A1 (ja) * 2015-01-20 2016-07-28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ピリミジン誘導体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TWI723007B (zh) * 2015-02-18 2021-04-01 德商諾瓦發光二極體有限公司 半導體材料及其萘并呋喃基質化合物
US10903440B2 (en) 2015-02-24 2021-01-2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lighting device
KR101847431B1 (ko) 2015-04-20 2018-04-10 에스에프씨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WO2016171429A2 (ko) 2015-04-23 2016-10-27 에스에프씨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WO2017010749A1 (ko) 2015-07-13 2017-01-19 에스에프씨 주식회사 고효율의 유기 발광 소자
KR102002023B1 (ko) 2015-07-14 2019-07-22 에스에프씨주식회사 고효율의 유기 발광 소자
EP3333241B1 (en) 2015-08-06 2022-10-05 SFC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having high efficiency
KR102500272B1 (ko) 2015-09-16 2023-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102399570B1 (ko) 2015-11-26 2022-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20180088818A (ko) 2015-12-01 2018-08-0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소자, 발광 장치,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
CN108369992B (zh) * 2015-12-08 2021-09-10 出光兴产株式会社 有机el发光装置和电子设备
KR102384293B1 (ko) 2015-12-22 2022-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579752B1 (ko) 2015-12-22 2023-09-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20170075114A (ko) 2015-12-22 2017-07-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20170075122A (ko) 2015-12-22 2017-07-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US11910707B2 (en) 2015-12-23 2024-02-20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CN105609650A (zh) * 2015-12-27 2016-05-25 复旦大学 一种基于电荷产生层的在交流电压下驱动的有机发光器件
EP3436452B1 (en) 2016-03-15 2023-09-13 Dow Global Technologies Llc Organic electroluminescent compoun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thereof
CN105576146B (zh) 2016-03-23 2017-09-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发光器件及其制造方法和显示装置
KR20170127101A (ko) 2016-05-10 2017-1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JP6804869B2 (ja) * 2016-05-19 2020-12-23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材料、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電子機器
KR101958059B1 (ko) * 2016-07-29 2019-03-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6449715A (zh) * 2016-11-09 2017-02-22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US10153445B2 (en) * 2016-11-21 2018-12-11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CN110226241B (zh) 2017-01-30 2022-08-30 出光兴产株式会社 有机电致发光元件和电子设备
EP3584243A4 (en) * 2017-02-14 2020-10-21 Idemitsu Kosan Co.,Ltd. NOVEL JOINT,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WITH USE OF IT AND ELECTRONIC DEVICE
US20190198772A1 (en) 2017-06-22 2019-06-27 Samsung Sdi Co., Ltd. Compound for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composition for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and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deivce
KR102008897B1 (ko) 2017-06-22 2019-10-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광전자 소자 및 표시 장치
KR101947747B1 (ko) 2018-05-04 2019-02-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광전자 소자용 화합물, 유기 광전자 소자용 조성물, 유기 광전자 소자 및 표시 장치
KR102162402B1 (ko) 2017-07-21 2020-10-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광전자 소자 및 표시 장치
KR102497284B1 (ko) * 2017-12-18 2023-0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084906B1 (ko) * 2018-03-23 2020-03-04 에스케이머티리얼즈 주식회사 화합물, 유기 발광 소자 및 표시 장치
KR102148289B1 (ko) 2018-07-04 2020-08-26 에스에프씨주식회사 고효율의 유기 발광 소자
KR20200091979A (ko) * 2019-01-23 2020-08-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118011B1 (ko) 2019-03-20 2020-06-04 에스에프씨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JP2020188199A (ja) * 2019-05-16 2020-11-19 株式会社Joled 有機el素子、有機el表示パネル、および、有機el素子の製造方法
KR20200138568A (ko) 2019-05-31 2020-1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전자 장치
KR20210068229A (ko) * 2019-11-29 2021-06-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아민 화합물
KR102651334B1 (ko) * 2020-01-16 2024-03-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 발광 소자
WO2022209812A1 (ja) * 2021-03-31 2022-10-06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電子機器、及び組成物
WO2023223855A1 (ja) * 2022-05-20 2023-11-23 出光興産株式会社 化合物、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材料、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電子機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747A (ko) * 2003-06-24 2005-01-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도핑된 정공수송층 및/또는 정공주입층을 갖는유기전계발광소자
KR20060114001A (ko) * 2004-02-09 2006-11-03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전기 발광 소자
JP2009016693A (ja) * 2007-07-07 2009-01-22 Idemitsu Kosan Co Ltd ホスト材料および有機el素子
JP2010171363A (ja) * 2008-12-24 2010-08-05 Idemitsu Kosan Co Ltd 有機el素子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0879B2 (ja) 1990-09-27 1999-08-25 株式会社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鉛蓄電池の開路電圧測定法
JP4208290B2 (ja) 1998-06-01 2009-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発光素子
EP1221434B1 (en) 2000-08-10 2012-06-27 Mitsui Chemicals, Inc. Hydrocarbon compound, material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TWI267315B (en) 2002-07-01 2006-11-21 Sony Ericsson Mobile Comm Ab Communication terminal
JP4483167B2 (ja) * 2002-10-17 2010-06-16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を有する表示装置
WO2004044088A1 (ja) 2002-11-12 2004-05-27 Idemitsu Kosan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EP1437395B2 (en) 2002-12-24 2015-08-26 LG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1109561B1 (ko) 2003-03-20 2012-01-31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방향족 아민 유도체 및 이를 사용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
WO2005011332A1 (ja) * 2003-07-24 2005-02-0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発光素子の作製方法
DE10339772B4 (de) 2003-08-27 2006-07-13 Novaled Gmbh Licht emittierend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TW200541401A (en) * 2004-02-13 2005-12-16 Idemitsu Kosan Co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JP4393249B2 (ja) * 2004-03-31 2010-01-06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有機発光素子,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384536B2 (ja) 2004-04-27 2009-12-16 三井化学株式会社 アントラセン化合物、および該アントラセン化合物を含有する有機電界発光素子
EP1746080A4 (en) 2004-05-12 2007-07-04 Idemitsu Kosan Co 1,6-SUBSTITUTED 3,8-DIHALOGENOPYREN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TWI373506B (en) 2004-05-21 2012-10-01 Toray Industries Light-emitting element material and light-emitting material
JP2006049438A (ja) * 2004-08-02 2006-02-16 Fuji Photo Film Co Ltd 有機電界発光素子
KR100788254B1 (ko) 2005-08-16 2007-12-27 (주)그라쎌 녹색 발광 화합물 및 이를 발광재료로서 채용하고 있는발광소자
JP4853010B2 (ja) * 2005-12-15 2012-01-11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ディスプレイ
EP1808909A1 (de) * 2006-01-11 2007-07-18 Novaled AG Elekrolumineszente Lichtemissionseinrichtung
JP4864476B2 (ja) * 2006-02-14 2012-02-01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EP1995291A4 (en) 2006-02-23 2013-04-17 Idemitsu Kosan Co MATERIAL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ZING DEVICE, PRODUCTION METHO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SE DEVICE
US7768195B2 (en) * 2006-05-25 2010-08-03 Idemitsu Kosan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improved luminous efficiency
EP1933397A4 (en) * 2006-05-25 2008-12-17 Idemitsu Kosan Co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COLOR LIGHT EMITTING DEVICE
KR100874749B1 (ko) * 2006-06-01 2008-12-29 에스에프씨 주식회사 청색발광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EP2031670B1 (en) 2006-06-22 2013-11-27 Idemitsu Kosan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employing heterocycle-containing arylamine derivative
KR100769884B1 (ko) 2006-07-14 2007-10-30 해성쏠라(주) 투명 크리스탈을 응용한 발광소자 표시장치
US20080049413A1 (en) 2006-08-22 2008-02-28 Idemitsu Kosan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8945722B2 (en) * 2006-10-27 2015-02-03 Th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Materials and architectures for efficient harvesting of singlet and triplet excitons for white light emitting OLEDs
KR100874472B1 (ko) 2007-02-28 2008-12-18 에스에프씨 주식회사 청색발광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JP2008212102A (ja) 2007-03-07 2008-09-18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
US8207526B2 (en) * 2007-03-23 2012-06-26 Idemitsu Kosan Co., Ltd. Organic EL device
CN102558065B (zh) * 2007-03-29 2015-04-22 巴斯夫欧洲公司 杂环桥连联苯
DE102007024850A1 (de) 2007-05-29 2008-12-04 Merck Patent Gmbh Neue Materialien für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en
JPWO2009008344A1 (ja) * 2007-07-07 2010-09-09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el素子
TW200915918A (en) * 2007-07-07 2009-04-01 Idemitsu Kosan Co Organic EL device
KR101414914B1 (ko) 2007-07-18 2014-07-04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전계발광 소자용 재료 및 유기 전계발광 소자
WO2009069717A1 (ja) 2007-11-30 2009-06-04 Idemitsu Kosan Co., Ltd. アザインデノフルオレンジオン誘導体、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材料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1428840B1 (ko) 2007-12-21 2014-08-08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5191496B2 (ja) 2007-12-28 2013-05-08 出光興産株式会社 芳香族アミン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20090191427A1 (en) * 2008-01-30 2009-07-30 Liang-Sheng Liao Phosphorescent oled having double hole-blocking layers
WO2009107596A1 (ja) 2008-02-25 2009-09-03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発光媒体及び有機el素子
TWI472074B (zh) * 2008-03-17 2015-02-01 Nippon Steel & Sumikin Chem Co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s
JP5090534B2 (ja) * 2008-08-04 2012-12-0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
JP5432487B2 (ja) 2008-08-20 2014-03-05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1132635B1 (ko) 2008-08-26 2012-04-03 에스에프씨 주식회사 피렌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WO2010064655A1 (ja) 2008-12-03 2010-06-10 出光興産株式会社 インデノフルオレンジオン誘導体、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材料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1741415B1 (ko) * 2009-04-29 2017-05-30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채용하고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US20100295445A1 (en) 2009-05-22 2010-11-25 Idemitsu Kosan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20100295444A1 (en) * 2009-05-22 2010-11-25 Idemitsu Kosan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CN102473857A (zh) * 2010-01-15 2012-05-23 出光兴产株式会社 有机电致发光元件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747A (ko) * 2003-06-24 2005-01-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도핑된 정공수송층 및/또는 정공주입층을 갖는유기전계발광소자
KR20060114001A (ko) * 2004-02-09 2006-11-03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전기 발광 소자
JP2009016693A (ja) * 2007-07-07 2009-01-22 Idemitsu Kosan Co Ltd ホスト材料および有機el素子
JP2010171363A (ja) * 2008-12-24 2010-08-05 Idemitsu Kosan Co Ltd 有機el素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5857B2 (en) 2019-01-09 2022-05-17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43866B1 (en) 2019-05-08
EP2643866A1 (en) 2013-10-02
JP2014503979A (ja) 2014-02-13
EP2643867A1 (en) 2013-10-02
JP5405653B1 (ja) 2014-02-05
EP2643867B1 (en) 2019-10-30
KR20120092550A (ko) 2012-08-21
EP2643867A4 (en) 2014-12-03
CN102668160A (zh) 2012-09-12
JP2013543250A (ja) 2013-11-28
TW201232864A (en) 2012-08-01
EP2643866A4 (en) 2014-11-26
WO2012070233A1 (en) 2012-05-31
KR101482829B1 (ko) 2015-01-14
CN102668159B (zh) 2016-08-10
WO2012070234A1 (en) 2012-05-31
CN102668160B (zh) 2016-06-22
TW201301598A (zh) 2013-01-01
KR20120092555A (ko) 2012-08-21
CN102668159A (zh) 2012-09-12
JP5480364B2 (ja)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2362B1 (ko)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US11322711B2 (en) Organic EL light emit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instrument
JP6434073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8883323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9324950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9847501B2 (en) Aromatic heterocyclic derivative, material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JP5208271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5208270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20120126205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WO2012070227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