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685B1 - 충격 흡수 울타리 - Google Patents

충격 흡수 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685B1
KR101470685B1 KR1020107017942A KR20107017942A KR101470685B1 KR 101470685 B1 KR101470685 B1 KR 101470685B1 KR 1020107017942 A KR1020107017942 A KR 1020107017942A KR 20107017942 A KR20107017942 A KR 20107017942A KR 101470685 B1 KR101470685 B1 KR 101470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rope
safety net
safety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7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8577A (ko
Inventor
요이치 나시타
토모히로 후지이
토시미쓰 노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텍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텍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텍 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100118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석발생시 방호네트의 유효높이의 변화를 억제하면서 낙석의 포착성능을 개선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충격 흡수 울타리는 방호네트의 하측부와 지면 사이에 안전네트를 장착하고, 낙석발생시에 상기 안전네트가 방호네트의 하부 틈새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 채, 방호네트의 휨 변형에 추종하는 신장 변형을 허용하도록 구성하였다.

Description

충격 흡수 울타리{SHOCK ABSORBING FENCE}
본 발명은 낙석이나 토사와 같은 낙하물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낙석의 포착성능을 개선한 충격 흡수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산허리의 사면부에 간격을 두고 세로구멍을 뚫고, 이 세로구멍에 박아넣어 파이프 지주를 세워 설치함과 동시에, 이들 각 파이프 지주에 복수단의 케이블과 함께 금속망제의 네트를 펴서 설치한 충격 흡수 울타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낙석 등의 충격을 마찰에너지로 변환하여 흡수하는 충격 흡수 울타리로서, 소정 간격으로 설치한 각 지주들 사이에 수평로프재를 수평방향의 슬라이딩을 허용한 상태로 계류하고, 수평로프재의 양단은 고정하며, 각 지주들 사이를 수평로프재에 걸어 고정시킨 와이어제 네트로 차폐한 기본 구성에 더하여, 수평로프재의 중간에 로프재를 중합시켜 형성한 여분길이부, 및 여분길이부를 사이에 끼워 일정한 힘으로 지지하는 협지구에 의해, 수평로프재에 설정장력 이상의 장력이 작용할 때, 수평로프재가 일정한 마찰력을 계속 유지한 채 여분길이부가 신장되어 장력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형성한 충격 흡수 울타리(예를 들면, 특허문헌 2, 특허문헌 3)도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개 평7-197423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특허공개 평6-173221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특허공개 평6-336709호 공보
(1) 이러한 충격 흡수 울타리는 낙석 등을 지주들 사이에 둘러친 띠 형상의 네트로 막아내기 위한 것인데, 낙석을 포착할 때에 네트의 중앙부가 사면 하측으로 크게 휘어 변형됨과 동시에 네트의 울타리 높이(유효높이)가 크게 변화된다.
즉, 네트는 낙석 충격을 받은 부위를 중심으로 크게 휘어 변형됨으로 인해, 네트의 상변에서 하변까지의 길이(높이방향의 네트 폭)가 작아진다.
그 때문에, 낙석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후속 낙석이 네트의 하단과 지면 사이의 크게 벌어진 틈새를 통해 빠져나가거나 낙석이 네트를 뛰어넘게 되어, 낙석의 포착성에 문제가 있었다.
(2) 비용을 고려하지 않으면 완충구를 많이 사용하거나 로프의 사용개수를 늘림으로써 네트의 변형량을 억제하고, 혹은 충격 흡수 울타리를 다중으로 설치하거나 함으로써 낙석의 포착성능을 늘리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최근의 혹독한 경제환경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비싼 비용이 드는 대책 시공의 실시가 어려우며, 그 때문에 방호성능을 희생하지 않고도 설치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충격 흡수 울타리의 제안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적어도 다음 중 하나의 충격 흡수 울타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1) 낙석발생시 방호네트의 유효높이의 변화를 억제하는 것.
(2) 낙석의 포착성능을 개선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것.
(3) 저비용이면서도 완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
(4)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것.
본 발명은, 소정 간격을 두고 세워 설치한 지주들 사이에 방호네트를 설치한 충격 흡수 울타리로서, 방호네트의 하측부와 지면과의 사이에 안전네트를 설치하고, 낙석발생시에 상기 안전네트가 방호네트의 하부 틈새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 채, 방호네트의 휨 변형에 추종하는 신장 변형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울타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안전네트의 상변부를 방호네트의 하측부에 연결함과 동시에, 안전네트의 하변부를 지면에 고정하는 수단이 안전네트의 하변부를 따라 설치한 수평버팀로프재와, 상기 수평버팀로프재와 산측 앙카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산측버팀로프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울타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호네트가 각 지주들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한 완충기능을 갖는 상하의 수평로프재와, 각 지주들 사이에 비스듬히 설치한 완충기능을 갖는 경사로프재와, 상기 복수의 로프재들에 설치한 띠 형상의 망재와, 상기 수평로프재에 장착된 완충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울타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망재 및 안전네트를 금속망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울타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안전네트가 사면의 횡단방향의 신장에 비해 사면의 종단방향의 신장이 탁월한 마름모꼴 금속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울타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다음 중 하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낙석을 받을 때에 지주들 사이의 방호네트와 함께 안전네트가 동시에 움직여 낙석을 확실하게 포착할 수 있다.
(2) 낙석발생시에 안전네트는 방호네트의 하부 틈새를 폐쇄한 채 방호네트의 휨 변형에 추종하여 신장되므로, 방호네트의 유효높이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낙석의 빠져나감이나 뛰어나감을 방지할 수 있어 낙석의 포착성능이 매우 향상된다.
(3) 방호네트에 안전네트를 장착한 부위가 이중네트 구조로 되어 보강되므로, 충격 흡수 울타리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성이 보다 향상된다.
(4) 낙석을 받을 때, 방호네트의 중량이동에 수반되는 충격에너지의 흡수량이 안전네트의 중량분만큼 증가함과 동시에, 산측 사면과 안전네트 간의 마찰저항에 의해서도 충격에너지 흡수량이 증가한다.
그 때문에, 종래보다도 방호네트의 휨 변형량이 작아진다.
특히, 방호네트의 휨 변형량이 엄격히 제한을 받는, 예를 들면 도로시설이나 철도시설, 주택 등에 근접한 장소에의 설치에 적합하다.
(5) 충격 흡수 울타리에 충격력의 흡수작용을 발휘하는 안전네트를 단순히 장착하는 간단한 추가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설치될 수 있으므로, 저비용이면서 충격흡수성능이 높은 충격 흡수 울타리를 제공할 수 있다.
(6) 지주와 방호네트를 구비한 공지의 각종 충격 흡수 울타리에 적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풍부하다.
(7) 충격 흡수 울타리의 구성부재를 현장에 반입하여, 기초 콘크리트의 구축 없이 경도식(傾倒式) 지주를 세워 설치하고, 이들 지주 사이에 복수의 로프재와 망재를 펴서 설치한 후, 망재의 하측부에 안전네트를 장착하기만 하면 되므로, 대형 차량의 통행이 곤란한 산간부나 구릉지대에의 설치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 울타리의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
도 2는 충격 흡수 울타리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수평로프재의 접속형태를 나타낸 지주헤드부의 확대도.
도 5는 수평로프재의 다른 접속형태를 나타낸 충격 흡수 울타리의 상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낙석의 포착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충격 흡수 울타리의 모델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1) 충격 흡수 울타리의 개요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 울타리의 일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소정 간격을 두고 세워 설치한 지주(10)와, 이들 지주(10) 사이에 둘러친 방호네트(20)를 구비한 충격 흡수 울타리를 전제로 하고 있으며, 방호네트(20)의 유효 높이의 변화를 억제하는 수단으로서, 방호네트(20)의 하측부와 사면(40) 사이에 안전네트(30)를 설치한 것이다.
본 예에서 나타내는 충격 흡수 울타리는 일 예로서, 방호용 네트를 구비한 것이라면 공지된 각종 충격 흡수 울타리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 울타리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하기에 서술한다.
(2) 지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사면(40)에 세워 설치하는 지주(10)는 중공의 파이프재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일반적인 지주는 설치위치에 기초 콘크리트를 구축한 후 여기에 세워 설치하는데, 본 예에서는 기초콘크리트의 설치를 생략하고 사면(40)에 대해 지주(10)를 기울어질 수 있게 설치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각 지주(10)의 설치위치의 땅 속에 미리 앙카나 로크볼트를 정착하고, 이들과 일체로 접속된 지주로프재(11)를 지표에 노출시켜 둔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10)의 하측 개구를 통해 지주로프재(11)를 내부에 삽입하고, 지주(10)의 상측 개구를 통해 돌출된 지주로프재(11)의 기저부에 완충구(12)를 고정함으로써 지주(10)의 기립자세를 유지하도록 세워 설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지주(10)의 상부에 씌운 지주캡(15)으로부터 지주로프재(11)를 인출하고, 지주캡(15)의 개구를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완충구(12)로 지주로프재(11)의 기저부를 고정한 경우를 나타낸다.
완충구(12)는 지주로프재(11)와 완충구(12)의 파지부에서 마찰저항 이상의 장력이 작용했을 때에, 지주로프재(11)의 슬라이딩을 허용하여, 지주(10)가 기울어질 때 충격에너지를 감쇄하는 것이다.
완충구(12)로서는 예를 들면 2장의 판체를 볼트, 너트로 양쪽에서 지지한 것 등, 공지의 마찰저항식 완충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지주(10)의 각 상하부와 사면(40)의 앙카(41)와의 사이에 버팀로프(13)를 접속하거나, 이 버팀로프(13)의 단부 또는 중간에 완충구(17)를 배설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각 지주(10)의 상부와 접속한 버팀로프(13) 외부에 파이프형상의 분리가능한 지지체(14)를 씌워 낙석발생시에 울타리가 산 쪽으로 기울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경우에 대해 나타낸다.
(3) 방호네트
방호네트(20)는 낙석 등을 받아내기 위한 부재로, 본 예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지주들(10) 사이에 설치한 상하의 수평로프재(21, 21), 경사로프재(22, 22), 및 이들 로프재(21, 22)에 나선형 코일 등을 통해 장착한 띠 형상의 망재(23)로 이루어진다.
로프재(21, 22)와 망재(23)를 조합한 것은 망재(23)로부터 전달된 낙석의 충격력이나, 이들 로프재(21, 22)에 직접 작용하는 충격력이나 하중을 최종적으로 지주(10)에 전달하기 위함이며, 망재(23)와 협동하여 충격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하기 위함이다.
또한, 로프재(21, 22)와 망재(23) 사이에서 큰 힘이 전달될 수 있게 하기 위해, 각 로프재(21, 22)를 망재(23)의 각 눈에 통과시키거나, 혹은 망재(23)의 일면에 배치된 각 로프재(21, 22)를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나선형 코일로 꿰매어 붙인다.
방호네트(20)의 각 구성부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3-1) 로프재
지주들(10)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한 상하의 수평로프재(21)는 그 단부 부근에 완충구(16)를 설치하여 완충기능이 부여되어 있다.
상하의 각 수평로프재(21)는 각각 연속성을 갖고 지주들(10) 사이에 가로로 걸쳐져 있다.
본 예에서는 이웃하는 지주들(10) 사이마다 상하의 각 수평로프재(21)를 펴서 설치한 경우에 대해 나타내는데, 지주(10)의 설치 스팬을 넘어 상하의 각 수평로프재(21)를 설치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수평로프재(21)의 접속형태를 확대한 것으로, 지주(10)의 상하부에 각각 관통시킨 2개의 수평로프재(21)의 관통단부에 개별적으로 완충구(16)를 파지시켜 설치하고, 좌우 한 쌍의 완충구(16, 16)를 지주(10)의 각각 일측에 접촉시킴으로써, 이웃하는 2개의 수평로프재(21, 21)들 사이에 지주(10)를 개재시켜 접속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5는 완충구(16)를 지주(10)에 접촉시키지 않고 2개의 수평로프재(21)를 접속하는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각 지주(10)를 관통시킨 2개의 수평로프재(21)를 지주(10)들 사이에서 중합시켜 2개의 수평로프재(21, 21)의 중합부를 완충구(16)로 파지함으로써, 이웃하는 2개의 수평로프재(21, 21) 사이를 접속한 경우를 나타낸다.
하부의 수평로프재(21)의 가로걸침 형태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상부의 수평로프재(21)의 가로걸침 형태와 동일하므로, 그 도시를 생략한다.
완충구(16)는 1개 또는 2개의 로프재(21)를 파지하며, 파지부의 마찰저항 이상의 장력이 작용할 때에, 로프재(21)의 슬라이딩을 허용하여 에너지를 감쇄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면 되며, 예를 들어 2장의 판체를 볼트, 너트로 양쪽에서 지지한 것 등, 공지의 마찰저항식 완충구를 사용할 수 있다.
이웃하는 지주들(10)의 상하부 사이에는 경사로프재(22)를 교차시켜 걸쳐놓고 있다.
경사로프재(22)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10)의 측부 상하에 각각 돌출형성된 걸림후크들 사이에 경사로프재(22)를 걸쳐 놓고, 경사로프재(22)의 단부 부근, 또는 중간부에 와이어 클립 등의 완충구(도시를 생략)를 배설할 수도 있다.
(3-2) 망재
망재(23)는 예를 들면 금속망이나 아라미드섬유 등의 고강도 섬유를 망 형태로 형성한 망체, 또는 합성수지제의 망체로 구성된다. 시공성이나 비용을 고려하면, 마름모꼴 금속망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프재(21, 22)의 전체길이에 걸쳐, 또는 그 일부에 나선형 코일을 감는 등, 망재(23)가 이동가능한 상태로 연결된다.
망재(23)로 마름모꼴 금속망을 사용할 경우, 마름모꼴 금속망은 제법(製法)의 관계에서 볼 때 원래 가로세로 방향의 신장에 차이가 있다. 그 때문에, 망재(23)를 지주들(10) 사이에 배설할 때에는 망재(23)에 의한 낙석 포착성을 높이기 위해, 도 1에서 세로방향의 신장에 비해 가로방향의 신장이 탁월하도록 마름모꼴 금속망을 배치한다.
(4) 안전네트
안전네트(30)는 방호네트(20)와 경사면(40) 사이의 틈새 이상의 길이를 갖고 있으며, 예를 들면 금속망이나 아라미드섬유 등의 고강도 섬유를 망 형태로 형성한 망체로 구성된다. 시공성이나 비용을 고려하면, 마름모꼴 금속망이 바람직하다.
안전네트(30)의 일단(상단)을 망재(23)의 하측부에 나선형 코일 등을 감아 일체로 연결함과 동시에, 안전네트(30)의 타단(하단)을 사면(40)에 고정함으로써, 망재(23)의 하측부와 사면(4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안전네트(30)로 차폐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예에서는 복수의 안전네트(30)의 타단(하단)에 걸쳐 일체로 장착한 수평버팀로프재(31)에, 사면(40)의 산 쪽에 마련된 앙카(41)로부터 신장하는 복수의 산측버팀로프재(32)를 각각 연결하여, 안전네트(30)에 작용하는 외력을 앙카(41)에 지지시키는 경우에 대해 나타낸다.
또한, 앙카 핀 등을 이용하여 안전네트(30)의 타단(하단)을 사면(40)에 직접 고정할 수도 있다.
안전네트(30)는 망재(23)의 하측부의 틈새를 막아, 낙석이 물리적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과, 낙석 발생시에 방호네트(20)의 유효높이의 변화를 억제하는 기능을 병행하여 갖는 것이다.
그 때문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전네트(30)의 중간부, 또는 하부측을 주름형태로 느슨하게 하거나 되접거나 하여 길이에 여유를 갖게 하고, 낙석발생시에 산자락 쪽으로 안전네트(30)가 전개되어 방호네트(20)의 휨 변형에 추종할 수 있도록 여유분을 마련해 두는 것이 긴요하다.
따라서, 낙석발생시에 있어 방호네트(20)의 사면 하측으로의 휨 변형량과 방호네트(20)의 유효높이는 안전네트(30)의 전체길이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현장의 모든 조건에 따라 안전네트(30)의 전체길이를 적절한 길이로 선택한다.
방호네트(20)에 안전네트(30)를 장착한 범위가 이중구조로 되어 보강되기 때문에, 방호네트(20)에 대한 안전네트(30)의 일단(상단)의 연결위치를 높일수록 방호네트(20)의 보강범위가 넓어진다.
방호네트(20)에 대한 안전네트(30)의 일단(상단)의 연결위치는 충격 흡수 울타리의 설치현장에 따라 적절한 높이를 선택하면 된다.
안전네트(30)에 마름모꼴 금속망을 사용할 경우에는, 도 1에서 가로방향(사면(40)의 횡단방향)의 신장에 비해 세로방향(사면(40)의 종단방향)의 신장이 탁월하도록 마름모꼴 금속망을 배치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망재(23)를 따라 안전네트(30)를 배치할 경우, 복수의 마름모꼴 금속망을 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격 흡수 울타리의 작용]
이어서 도 6에 기초하여 충격 흡수 울타리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1) 방호네트 및 지주에 의한 충격흡수
상술한 지주(10) 및 방호네트(20)로 구성한 충격 흡수 울타리에 낙석 등이 충돌하면, 방호네트(20)의 망재(23)를 구성하는 선재의 슬라이딩 및 사면 하측으로의 휨 변형에 의해 충격에너지를 감쇄한다.
또한, 방호네트(20)에 작용한 충격에너지는 상하의 수평로프재(21, 21)에도 작용한다.
각 수평로프재(21, 21)에 완충구(16) 파지부의 마찰저항 이상의 장력이 작용하면, 각 수평로프재(21, 21)는 파지력에 대항하여 완충구(16) 안을 슬라이딩한다. 그 때의 마찰력에 의해 충격에너지가 감쇄된다.
망재(23), 로프재(21, 22)를 거친 충격에너지는 최종적으로 지주(10)에 전달된다.
지주(10)에 충격에너지가 작용하여, 지주(10)의 상단에 설치한 완충구(12)의 파지력을 초과하면, 완충구(12)의 내측을 지주로프재(11)가 슬라이딩하며, 그 마찰력이 하중에 대한 브레이크력이 되어 흡수하면서, 지주(10)가 기울게 된다.
또한, 지주(10)에 버팀로프(13)가 접속되거나 버팀로프(13)에 완충구(17)가 배설되어 있는 경우에는, 버팀로프(13)나 완충구(17)의 슬라이딩 저항에 의해 충격에너지가 감쇄된다.
(2) 안전네트에 의한 충격흡수
상술한 바와 같이 낙석이 충격 흡수 울타리의 방호네트(20)에 충돌하면, 지주(10)가 쓰러지면서 방호네트(20)가 사면 하측으로 휘어 변형된다.
방호네트(20)가 사면 하측으로 휘어 변형됨에 따라, 망재(23)의 하측부에 접속한 안전네트(30)가 방호네트(20)의 휨 변형에 추종하여 산기슭 쪽으로 전개된다.
이 때 안전네트(30)의 마찰저항과, 안전네트(30)의 중량이동저항과, 안전네트(30)의 변형저항에 의해서도 충격에너지가 감쇄된다.
(3) 유효높이의 변형억제
방호네트(20)의 하측부와 사면(40)의 틈새가 안전네트(30)로 막혀 있다.
그 때문에, 방호네트(20)의 하측부의 틈새를 통해 낙석이 빠져나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방호네트(20)의 하측부나 안전네트(30)에 충돌한 낙석은 방호네트(20) 쪽으로 유도되어 포착된다.
방호네트(20)와 사면(40) 사이에 설치한 안전네트(30)는 단순히 낙석의 빠져나감을 방지하는 차폐부재로서만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이하에 설명하듯이 방호네트(20)의 유효높이의 변형을 억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즉, 낙석발생시에 있어 사면 하측으로 향하는 안전네트(30)의 신장이 방호네트(20)보다 큰 관련이 있다.
따라서, 안전네트(30)가 방호네트(20)의 사면 하측으로 휨 변형에 따라 산기슭 쪽으로 전개되어 신장하면, 안전네트(30)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방호네트(20)의 상부에 작용하는 네트 중심부를 향한 인장력이 대폭 완화된다.
그 결과, 방호네트(20)가 사면 하측을 향해 크게 휨 변형되어도, 방호네트(20)의 실질적인 유효높이(울타리 높이)는 크게 변화되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방호네트(20)에 안전네트(30)를 부설함으로써, 후속하는 낙석이 방호네트(20)를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호네트(20)를 뛰어넘는 것도 억제할 수 있어 낙석의 포착성능이 특별히 향상된다.
(4) 방호네트의 휨 억제
낙석을 받을 때, 방호네트(20)의 중량이동에 수반되는 충격에너지의 흡수량이 안전네트(30)의 중량분만큼 증가한다. 또한, 사면(40)과 안전네트(30) 간의 마찰저항에 의해서도 충격에너지 흡수량이 증가한다.
그 때문에, 종래보다도 방호네트(20)의 휨 변형량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5) 기타의 실시형태
상기 실시예는 방호네트(20)의 하측부의 틈새를 별도 부재의 안전네트(30)로 막은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방호네트(20)의 하측부를 연장 형성하여, 방호네트(20)의 연장부를 안전네트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10 : 지주
11 : 지주로프재
12 : 완충구
13 : 버팀로프
14 : 분리가능한 지지체
15 : 지주캡
20 : 방호네트
21 : 상하의 수평로프재
22 : 경사로프재
23 : 망재
30 : 안전네트
31 : 수평버팀로프재
32 : 산측버팀로프재
40 : 사면
41 : 앙카

Claims (5)

  1. 소정 간격을 두고 세워 설치한 지주(10)들 사이에 방호네트(20)를 설치한 충격 흡수 울타리로서,
    상기 방호네트(20)의 하측부와 지면과의 사이에 안전네트(30)를 설치하고,
    상기 안전네트(30)의 상변부를 상기 방호네트(20)의 하측부에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안전네트(30)의 하변부를 지면에 고정하는 수단이, 상기 안전네트(30)의 하변부를 따라 설치한 수평버팀로프재(31)와, 상기 수평버팀로프재(31)와 산측 앙카(41)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산측버팀로프재(32)로 구성되며,
    낙석발생시에 상기 안전네트(30)가 상기 방호네트(20)의 하부 틈새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방호네트(20)의 휨 변형에 추종하는 신장 변형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울타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네트(20)는 각 지주(10)들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한 완충기능을 갖는 상하의 수평로프재(21)와, 각 지주(10)들 사이에 비스듬히 설치한 완충기능을 갖는 경사로프재(22)와, 상기 복수의 로프재(21, 22)들에 설치한 띠 형상의 망재(23)와, 상기 수평로프재(21)에 장착된 완충구(1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울타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망재(23) 및 안전네트(30)를 금속망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울타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네트(30)는 사면의 횡단방향의 신장에 비해 사면의 종단방향의 신장이 탁월한 마름모꼴 금속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울타리.
KR1020107017942A 2008-02-06 2008-04-10 충격 흡수 울타리 KR1014706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26345A JP4808226B2 (ja) 2008-02-06 2008-02-06 衝撃吸収柵
JPJP-P-2008-026345 2008-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577A KR20100118577A (ko) 2010-11-05
KR101470685B1 true KR101470685B1 (ko) 2014-12-08

Family

ID=40951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7942A KR101470685B1 (ko) 2008-02-06 2008-04-10 충격 흡수 울타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79571B2 (ko)
JP (1) JP4808226B2 (ko)
KR (1) KR101470685B1 (ko)
CN (1) CN101939488B (ko)
WO (1) WO20090987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067B1 (ko) 2020-03-19 2021-06-24 심석래 방호내트망의 낙하물 충격흡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8239B2 (ja) * 2010-06-18 2015-03-25 神鋼建材工業株式会社 落石防止柵
JP5557166B2 (ja) * 2010-09-17 2014-07-23 日本サミコン株式会社 防護柵
NO339295B1 (no) * 2010-10-12 2016-11-21 Nat Oilwell Varco Norway As Fangkurvsystem for en underdekks rørhåndteringsmaskin
JP5595325B2 (ja) * 2011-04-19 2014-09-24 株式会社ライテク 防護柵
JP5670927B2 (ja) * 2012-01-27 2015-02-18 株式会社ライテク 防護柵
JP6125158B2 (ja) * 2012-06-14 2017-05-10 東京製綱株式会社 落下物防護装置及びその補強方法
JP6073614B2 (ja) * 2012-09-19 2017-02-01 神鋼建材工業株式会社 土石流防止柵
CN103882829A (zh) * 2014-03-07 2014-06-25 哈尔滨工业大学深圳研究生院 用于预防泥石流灾害的气泡混凝土挡墙及建造维护方法
US20170321448A1 (en) * 2014-06-17 2017-11-09 C.E. Shepherd Company, L.P. Game Saver Fence, Method, and System
CN104674686B (zh) * 2015-02-15 2016-07-13 三峡大学 一种边坡落石缓冲防护系统
JP5760156B1 (ja) * 2015-03-09 2015-08-05 有限会社吉田構造デザイン 衝撃吸収柵
CN104863065B (zh) * 2015-04-28 2017-02-01 同济大学 一种用于防治落石的阻力缓冲装置
JP6689697B2 (ja) * 2016-07-21 2020-04-28 Jfe建材株式会社 落石防護装置
CN115162221A (zh) * 2016-10-14 2022-10-11 杜邦公司 用于隧道中拦截落石的防护网
ES2939666T3 (es) 2017-05-24 2023-04-25 Bekaert Sa Nv Barrera dinámica contra desprendimientos de rocas con un dispositivo de absorción de impactos
JP6860908B2 (ja) * 2017-05-26 2021-04-21 筑豊金網工業株式会社 落石防護柵
US10738424B2 (en) 2017-08-04 2020-08-11 R&B Leas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rockfalls
US11391005B2 (en) 2017-08-04 2022-07-19 R&B Leas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rockfalls
JP6986750B2 (ja) * 2018-02-05 2021-12-22 ディガード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崩落物の捕捉施設
JP6550185B1 (ja) * 2018-11-01 2019-07-24 株式会社四国ネット ポケット式落石防護網における支柱、上段横ロープ及び吊りロープ
CN109629820B (zh) * 2019-01-31 2024-02-09 山东新活新材料科技有限公司 爬架防护网
CN109826491B (zh) * 2019-04-03 2020-07-14 华体建设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滑雪场防护网支撑装置
JP6675631B1 (ja) 2019-11-08 2020-04-01 株式会社プロテックエンジニアリング 衝撃吸収柵
CN111501592B (zh) * 2020-04-01 2021-11-09 安徽金联地矿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环境治理的矿石边坡预防装置
JP6885555B1 (ja) * 2020-11-12 2021-06-16 有限会社吉田構造デザイン 防護柵
CN112431476B (zh) * 2020-11-28 2022-04-19 中实翊(福建)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工程防护结构及施工方法
CN112359736B (zh) * 2020-11-30 2022-04-05 陈国俊 一种边坡滚石防护用缓冲装置
CN112813862B (zh) * 2021-01-11 2021-11-05 西南交通大学 景区栈道全粒径落石防护组合式柔性玻璃网及其安装方法
CN113090279B (zh) * 2021-04-02 2023-09-05 江苏宏远科技工程有限公司 一种防落石的隧道口压缩波减小装置
WO2023281734A1 (ja) * 2021-07-09 2023-01-12 東京製綱株式会社 落石防護柵
CN115341802A (zh) * 2022-08-19 2022-11-15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安全围网的专用卡扣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2118A (ja) * 1993-08-02 1995-02-10 Koiwa Kanaami Kk 落石防止用柵における支柱保護装置
JP2772505B2 (ja) * 1993-05-27 1998-07-02 博 吉田 衝撃吸収柵
KR100654633B1 (ko) * 2006-08-19 2006-12-08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철도 선로의 낙석 받이망 구조
US20070080331A1 (en) * 2005-10-10 2007-04-12 Andrea Roth Wire rope anchor, in particular for rockfall or avalanche protection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6949A (en) * 1980-09-08 1983-01-04 Staub Sr Thomas J Leaf catching and collecting device
DE8412166U1 (de) * 1984-04-18 1985-08-08 fretchies Baby- und Kinderartikel GmbH, 6230 Frankfurt Baby- oder Kinderhöschen aus textilem Material
US5299781A (en) * 1991-07-10 1994-04-05 State Department Of Highways, State Of Colorado Flex post fence
JPH0718134B2 (ja) * 1991-08-28 1995-03-01 株式会社エイ・シイ・デイ 衝撃吸収柵
JPH05295713A (ja) 1992-04-22 1993-11-09 Nippon Samikon Kk 落石防止体の衝撃力吸収装置
JP2829819B2 (ja) 1994-01-07 1998-12-02 東京製綱株式会社 落石等の防護柵
JPH0913330A (ja) * 1995-06-30 1997-01-14 Fuji Kogyo Kk 落石防護網への動物落下防止装置
US5961099A (en) * 1998-01-23 1999-10-05 Brugg Cable Products, Inc. Safety net system for debris and mud slides
CH695104A5 (de) * 2000-11-13 2005-12-15 Fatzer Ag Auffangnetz insbesondere für Steinschlagverbauungen
JP2002275835A (ja) * 2001-03-14 2002-09-25 Yoshida Kouzou Design:Kk 落石防護柵
JP3954414B2 (ja) * 2002-03-11 2007-08-08 開発コンクリート株式会社 網を用いた防護体
US7562453B1 (en) * 2004-04-08 2009-07-21 David Alan Benner Confinement fence structure for climbing animals and its associated methods of construction and installation
JP2006090088A (ja) * 2004-09-27 2006-04-06 Purotekku Engineering:Kk 防護柵
JP4704143B2 (ja) * 2005-07-25 2011-06-15 株式会社ライテク 防護柵の施工方法
JP4188998B2 (ja) 2006-12-27 2008-12-03 株式会社プロテックエンジニアリング 衝撃吸収防護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2505B2 (ja) * 1993-05-27 1998-07-02 博 吉田 衝撃吸収柵
JPH0742118A (ja) * 1993-08-02 1995-02-10 Koiwa Kanaami Kk 落石防止用柵における支柱保護装置
US20070080331A1 (en) * 2005-10-10 2007-04-12 Andrea Roth Wire rope anchor, in particular for rockfall or avalanche protection systems
KR100654633B1 (ko) * 2006-08-19 2006-12-08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철도 선로의 낙석 받이망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067B1 (ko) 2020-03-19 2021-06-24 심석래 방호내트망의 낙하물 충격흡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08226B2 (ja) 2011-11-02
CN101939488A (zh) 2011-01-05
WO2009098736A1 (ja) 2009-08-13
CN101939488B (zh) 2012-11-21
JP2009185514A (ja) 2009-08-20
US8079571B2 (en) 2011-12-20
US20100327244A1 (en) 2010-12-30
KR20100118577A (ko) 201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685B1 (ko) 충격 흡수 울타리
JP4188998B2 (ja) 衝撃吸収防護柵
JP6047678B1 (ja) 衝撃吸収体
JP5557166B2 (ja) 防護柵
JP2907214B1 (ja) 衝撃吸収柵
JP5919098B2 (ja) 防護柵
JP6934768B2 (ja) 防護柵
JP5793633B1 (ja) 防護柵
JP5953281B2 (ja) 防護柵
JP3143816U (ja) 落石防護ネット構造
JP5996258B2 (ja) 防護柵
JP2016166461A (ja) 衝撃吸収柵
TW201435181A (zh) 落石防護柵
JP5414555B2 (ja) 防護柵
JP4996198B2 (ja) 衝撃吸収フェンス
KR102679585B1 (ko) 충격 흡수 펜스
JP3639950B2 (ja) 衝撃吸収防護柵
JP5490670B2 (ja) 落石防護ネット構造
JP2018100484A (ja) 落石防護柵
JP2003003425A (ja) 衝撃吸収防護柵
JP3433350B2 (ja) 衝撃吸収ネットおよび衝撃吸収方法
JP6990474B1 (ja) 防護柵
KR101704771B1 (ko) 낙석 방지 장치
JP7355426B1 (ja) 落石防護網およびその改良方法
JP7377582B1 (ja) 衝撃吸収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