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640B1 - 오일 시일 - Google Patents

오일 시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640B1
KR101421640B1 KR1020087019802A KR20087019802A KR101421640B1 KR 101421640 B1 KR101421640 B1 KR 101421640B1 KR 1020087019802 A KR1020087019802 A KR 1020087019802A KR 20087019802 A KR20087019802 A KR 20087019802A KR 101421640 B1 KR101421640 B1 KR 101421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rojection
seal
shaft
seal 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9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7195A (ko
Inventor
사토시 야마나카
타케히로 나카가와
마사유키 타니다
히데하루 햐쿠타케
히로키 마츠이
히데유키 후루야마
고 칸자키
신야 타케다
케이 사사키
아키라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7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7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4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r cooling of the sealing itsel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With Elastic Sealing 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21)에 부착되는 부착부(2)와, 축(23)의 둘레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접촉하는 시일 립(4)을 갖는 오일 시일(1)로서, 시일 립(4)의 슬라이딩부에 대한 윤활유의 공급기능을 높일 수 있으며, 이로써 시일 립(4)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일 시일(1)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착부(2)의 선단부위에, 부착되는 오일을 모아 축(23) 위로 적하시키는 윤활유 보급부(11)를 설치한다. 윤활유 보급부(11)는, 부착부(2)의 내주면 원주상에 복수로 설치된 돌기(12)를 가지며, 돌기(12)의 표면에서 오일을 모은다. 돌기(12)의 표면에는, 오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오목부(13), 또는 오일을 집중시키는 가이드 돌기 내지는 경사면을 설치한다. 또한, 부착부(2)의 선단면(2a)에, 상기 선단면(2a) 위를 원주방향을 따라 흘러내리는 오일을 막아 돌기(12)쪽으로 안내하는 댐(dam)부를 설치한다.

Description

오일 시일{OIL SEAL}
본 발명은 밀봉장치의 일종인 오일 시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일 립 슬라이딩부에 대한 윤활유의 공급기능을 높이도록 한 오일 시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오일 시일은 예컨대, 자동차 관련분야에서 이용되거나, 또는 기타 범용기계 등에서 이용된다.
예컨대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부터, 하우징(도시생략)에 부착되는 링형상의 부착부(52)와, 상기 하우징의 축구멍 내주에 삽입통과된 축(도시생략)의 둘레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밀착접촉하는 시일 립(53)을 일체로 갖는 오일 시일(51)이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종류의 오일 시일(51)에서는, 소정의 고무상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시일 립(53)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 슬라이딩 마모를 저감시키도록 시일 립 슬라이딩부(54)에 윤활유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밀봉대상이 되는 오일이, 예컨대 미스트(mist) 상태로 존재하는 등의 경우에는, 시일 립 슬라이딩부가 윤활이 부족한 상태가 되기 쉬워, 조기 마모나 발열 등에 의해 시일 수명이 현저히 단축될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5-282841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3-056718호
본 발명은 이상의 사항을 감안하여, 시일 립 슬라이딩부에 대한 윤활유의 공급기능을 높일 수 있으며, 이로써 시일 립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일 시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한 오일 시일은, 하우징에 부착되는 링형상의 부착부와, 축의 둘레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접촉하는 시일 립을 갖는 오일 시일로서, 상기 부착부의 선단(先端) 부위에, 부착되는 오일을 모아 상기 축 위로 적하(滴下)시키는 윤활유 보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한 오일 시일은, 하우징에 부착되는 링형상의 부착부와, 축의 둘레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접촉하는 시일 립을 갖는 오일 시일로서, 상기 부착부의 선단 부위에, 부착되는 오일을 모아 상기 축과 시일 립의 슬라이딩부로 공급하는 윤활유 보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의한 오일 시일은, 상기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오일 시일에 있어서, 윤활유 보급부는, 부착부의 내주면(內周面) 원주상에 복수로 설치된 돌기를 가지며, 상기 돌기의 표면에서 오일을 모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의한 오일 시일은, 상기 청구항 3에 기재된 오일 시일에 있어서, 돌기의 표면에, 오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오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의한 오일 시일은, 상기 청구항 3에 기재된 오일 시일에 있어서, 돌기의 표면에, 오일을 집중시키기 위한 가이드 돌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의한 오일 시일은, 상기 청구항 3에 기재된 오일 시일에 있어서, 돌기의 표면에, 오일을 집중시키기 위한 경사면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의한 오일 시일은, 상기 청구항 3에 기재된 오일 시일에 있어서, 돌기의 선단면을 부착부의 선단면과 단차없이 면일치되는 형상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의한 오일 시일은, 상기 청구항 3에 기재된 오일 시일에 있어서, 돌기의 선단면의 내주 가장자리를 원호형상이 아닌 상기 원호의 양단(兩端)을 연결하는 스트레이트형상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의한 오일 시일은, 상기 청구항 3에 기재된 오일 시일에 있어서, 부착부의 선단면에, 상기 부착부의 선단면 위를 원주방향을 따라 흘러내리는 오일을 막아 돌기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댐(dam)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의한 오일 시일은, 상기 청구항 3에 기재된 오일 시일에 있어서, 시일 립의 외주 부위에 오일 전달편(oil receiving piece)을 지름방향 외측을 향해 일체 성형하여, 돌기에 모이는 오일을 상기 오일 전달편을 통해 시일 립쪽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한 오일 시일에서는, 상기 오일 시일의 부착부의 선단 부위에 윤활유 보급부가 설치되고, 상기 윤활유 보급부가 부착되는 오일을 모아서 축 위로 적하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적하하는 오일에 의해 시일 립 슬라이딩부를 윤활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한 오일 시일에서는, 상기 오일 시일의 부착부의 선단 부위에 윤활유 보급부가 설치되고, 상기 윤활유 보급부가 부착되는 오일을 모아서 축과 시일 립의 슬라이딩부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그 공급되는 오일에 의해 시일 립 슬라이딩부를 윤활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청구항 1에 관한 발명과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모두 시일 립 슬라이딩부에 윤활유를 보급한다는 점에서 동일하지만, 청구항 1에서는, 오일은 윤활유 보급부로부터 축 위로 적하하고, 축 위에서 시일 립 슬라이딩부로 공급된다. 이에 대하여 청구항 2에서는, 청구항 1과 동일한 공급경로 외에, 오일이 윤활유 보급부로부터 시일 립을 따라 시일 립 슬라이딩부로 공급되는 경우가 포함된다.
윤활유 보급부는, 밀봉대상공간 내에 미스트(mist) 상태로 존재하는 오일을 상기 보급부의 표면에 부착시키고, 이것을 모아서 오일 방울로서 시일 립 슬라이딩부로 공급한다. 따라서 윤활유 보급부의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오일의 부착면적을 크게 확보하도록 부착부의 내주면에 돌기를 설치하고, 상기 돌기의 표면에서 오일을 모으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돌기는 이것을 오일 시일의 전체 둘레에 걸쳐 링형상으로 설정하면, 모은 오일이 돌기의 표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흘러가게 되어 적하하지 않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돌기는 오일 시일의 원주상에 복수로 분할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오일은 돌기 단위로 모이며, 복수의 돌기 중 축의 상방에 배치되는 돌기에서 모이는 오일이 축 위로 적하하게 된다.
돌기는, 소정의 체적을 갖는 형상이기 때문에, 그 표면에서 오일 부착면적을 확대하는데 유효한 구조이다. 돌기를 오일 시일의 부착부 내주면 원주상에 복수 개 설치하는 경우, 돌기는 각각 일반적으로 축방향으로 긴 형상이 되어 축방향 단면(선단면)을 가지며, 이 축방향 단면이 밀봉대상공간에 면하게 되므로, 상기 축방향 단면에 특히 많은 오일이 부착된다. 또, 오일 시일의 부착부의 축방향 단면에 부착되는 오일이 돌기를 따라 이동해 오는 경우가 있으며, 오일 시일을 장착하는 하우징의 형상에 따라서는 하우징의 표면에 부착되는 오일이 오일 시일의 부착부를 경유하여 돌기를 따라 이동해 오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조금이라도 많은 오일을 모을 수 있도록 이하와 같은 구조를 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의 표면에, 오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오목부를 형성한다(청구항 4). 이에 따르면 오목부 내부의 공간에 오일이 저류(貯留)되므로, 보다 많은 오일을 모을 수 있게 된다.
돌기의 표면에, 오일을 집중시키기 위한 가이드 돌기를 설치한다(청구항 5). 이에 따르면 가이드 돌기를 따라 오일이 집속(集束)되므로, 보다 많은 오일을 모을 수 있게 된다.
돌기의 표면에, 오일을 집중시키기 위한 경사면을 설치한다(청구항 6). 이에 따르면 경사면을 따라 오일이 집속되므로, 보다 많은 오일을 모을 수 있게 된다.
돌기의 선단면을 부착부의 선단면과 단차없이 면일치되는 형상으로 설정한다(청구항 7). 돌기의 선단면과 부착부의 선단면의 사이(경계)에 단차가 있으면, 상기 단차에 의해 오일의 흐름이 저해되어 오일이 부착부의 선단면으로부터 돌기의 선단면으로 전달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으나, 돌기의 선단면을 부착부의 선단면과 면일치하는 형상으로 설정함으로써 오일이 부착부의 선단면으로부터 돌기의 선단면으로 전달되기 쉬워져 보다 많은 오일을 모을 수 있게 된다.
돌기의 선단면의 내주 가장자리를 원호형상이 아닌 상기 원호의 양단을 연결하는 스트레이트형상으로 설정한다. 즉, 돌기의 선단면의 내주 가장자리를 오일 시일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원호의 양단을 직선으로 연결한 형상인 스트레이트형상으로 설정한다(청구항 8). 이에 따르면 돌기의 선단면의 내주 가장자리를 원호형상으로 설정하는 경우보다 돌기의 선단면의 표면적이 크게 설정되므로, 보다 많은 오일을 모을 수 있게 된다.
부착부의 선단면에, 상기 부착부의 선단면 위를 원주방향을 따라 흘러내리는 오일을 막아 돌기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댐(dam)부를 설치한다(청구항 9). 축의 상방(수직 상방) 이외의 부위에서는, 부착부의 선단면에 부착되는 오일이 돌기쪽으로 흐르지 않고 부착부의 선단면 위를 원주방향을 따라 흘러가는 것이 우려되지만, 이 유로 위에 댐부를 설치함으로써 오일이 부착부로부터 돌기로 전달되기 쉬워지므로, 보다 많은 오일을 모을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돌기를 보조하는 것으로서, 시일 립의 외주부위에 오일 전달편을 지름방향 외측을 향해 일체 성형하면, 돌기에 모이는 오일이 상기 오일 전달편을 따라 시일 립쪽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돌기로부터 시일 립 슬라이딩부로 오일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게 된다(청구항 10). 일반적으로 오일 전달편은 립형상으로 성형되며, 그 기능면에서 볼 때 박막이어도 되므로 성형상의 버(burr)를 이용할 수도 있다.
(효과)
본 발명은 이하의 효과를 거둔다.
즉,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한 오일 시일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부착부의 선단 부위에 윤활유 보급부가 설치되고, 상기 윤활유 보급부가 부착되는 오일을 모아서 축 위로 적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적하되는 오일을 시일 립 슬라이딩부에 공급하고, 이로써 시일 립 슬라이딩부를 윤활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기의 목적대로, 시일 립 슬라이딩부에 대한 윤활유의 공급기능을 높일 수 있으며, 이로써 시일 립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한 오일 시일에서는, 부착부의 선단 부위에 윤활유 보급부가 설치되고, 상기 윤활유 보급부가 부착되는 오일을 모아서 축과 시일 립의 슬라이딩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오일을 시일 립 슬라이딩부에 공급하고, 이로써 시일 립 슬라이딩부를 윤활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기의 목적대로, 시일 립 슬라이딩부에 대한 윤활유의 공급기능을 높일 수 있으며, 이로써 시일 립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의한 오일 시일에서는, 상기 청구항 1 또는 2에서의 윤활유 보급부로서 부착부의 내주면에 돌기가 설치되며, 상기 돌기의 표면에서 오일을 모으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오일을 모아서 축 위로 적하시키거나 또는 슬라이딩부로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돌기가 원주상에 복수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축의 상방에 배치되는 돌기로부터 축 위 또는 슬라이딩부로 오일을 확실히 적하·공급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의한 오일 시일에서는, 돌기의 표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오목부에서 오일을 일시적으로 저장함으로써 보다 많은 오일을 모을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의한 오일 시일에서는, 돌기의 표면에 가이드 돌기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돌기에서 오일을 집중시킴으로써 보다 많은 오일을 모을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의한 오일 시일에서는, 돌기의 표면에 경사면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경사면에서 오일을 집중시킴으로써 보다 많은 오일을 모을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의한 오일 시일에서는, 돌기의 선단면이 부착부의 선단면과 단차없이 면일치되는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오일이 부착부의 선단면으로부터 돌기로 전달되기 쉬워지고, 이로써 보다 많은 오일을 모을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의한 오일 시일에서는, 돌기 선단면의 내주 가장자리가 원호형상이 아닌 원호의 양단을 연결하는 스트레이트형상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오일이 부착되기 쉬운 돌기의 선단면의 표면적을 크게 설정할 수 있고, 따라서 보다 많은 오일을 모을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의한 오일 시일에서는, 부착부의 선단면에 댐(dam)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일이 부착부의 선단면으로부터 돌기로 전달되기 쉬워지고, 이로써 보다 많은 오일을 모을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의한 오일 시일에서는, 상기 돌기를 보조하는 것으로서 시일 립의 외주부위에 오일 전달편이 지름방향 외측을 향해 일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돌기로부터 상기 오일 전달편 및 시일 립을 경유하여 시일 립 슬라이딩부로 오일이 확실히 공급된다. 따라서 오일의 공급을 한층 원활하게 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계된 오일 시일의 반으로 자른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오일 시일의 주요부 단면도로서 도 1의 A-A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오일 시일의 주요부 단면도로서 도 1의 B-B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오일 시일에서의 윤활유 보급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계된 오일 시일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오일 시일에서의 윤활유 보급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계된 오일 시일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오일 시일에서의 윤활유 보급부의 정면도로서 도 7에서의 C방향 화살선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계된 오일 시일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오일 시일에서의 윤활유 보급부의 정면도로서 도 9에서의 D방향 화살선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관계된 오일 시일의 반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오일 시일에서의 윤활유 보급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관계된 오일 시일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오일 시일에서의 윤활유 보급부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관계된 오일 시일의 단면도이다.
도 16의 (A)는 상기 오일 시일에서의 윤활유 보급부의 정면도로서 도 15에서의 E방향 화살선도, (B)는 비교예에 관한 윤활유 보급부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관계된 오일 시일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8의 (A)는 상기 오일 시일에서의 윤활유 보급부의 정면도로서 도 17에서의 G방향 화살선도, (B)는 동 도면(A)에서의 H방향 화살선도이다.
도 19의 (A) 및 (B) 모두 상기 오일 시일에서의 윤활유 보급부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관계된 오일 시일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관계된 오일 시일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종래예에 관한 오일 시일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오일 시일 2 : 부착부
2a, 4a, 12a : 선단면 3 : 연결부
4 : 시일 립 5 : 금속링
6 : 고무상 탄성체 7 : 가터 스프링
8 : 서브 립(sub-lip) 11 : 윤활유 보급부
12 : 돌기 12b : 내주면
12c : 내주 가장자리 12d,12e : 내주 가장자리 양단
12f : 돌출부 12g : 측면
13 : 오목부 13a : 안쪽 단부벽
14 : 주입구 15 : 핀(fin)
16, 17, 18 : 가이드 돌기 19 : 댐(dam)부
20 : 오일 전달편(oil receiving piece) 21 : 하우징
22 : 축 구멍 23 : 축
U : 오일 방울
본 발명에는 이하의 실시형태가 포함된다.
(A) 부착 튜브부가 기기의 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끼워지고, 상기 부착 튜브부의 내주로부터 밀봉대상공간쪽을 향해 연이어 존재하는 시일 립의 선단 근방의 내주부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통과된 축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접촉하며, 축심이 횡방향을 향하는 오일 시일로서, 상기 부착 튜브부의 내주에, 액체를 유지하며 상기 시일 립의 선단부의 정면으로 적하시키는 집액(集液)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시일.
(B) 집액 돌기가 다수의 핀으로 이루어지며, 각 핀 사이에 모세관현상에 의해 액체를 유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A)에 기재된 오일 시일.
(C) 집액 돌기의 하면이, 액체의 적하 위치를 시일 립의 선단부의 정면과 대응되는 위치로 규정하는 경사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A)에 기재된 오일 시일.
(D) 집액 돌기에, 액체의 적하 위치를 시일 립의 선단부의 정면과 대응되는 위치로 유도하는 안내홈, 안내 돌출부 또는 댐(dam)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A)에 기재된 오일 시일.
(E) 시일 립에, 집액 돌기로부터 적하된 액체를 받아 상기 시일 립의 선단부의 정면으로 유도하는 액체받이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A)에 기재된 오일 시일.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오일 시일(1)을 축방향 일측에서 본 반으로 자른 정면도를 나타내며, 그 A-A선 단면도가 도 2로 도시되어 있으며, B-B선 단면도가 도 3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윤활유 보급부(11)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오일 시일(1)은, 하우징(21, 도 3)에 부착되는 링형상의 부착부(2)와, 하우징(21)의 축 구멍(22) 내주에 삽입통과된 축(회전축 ; 23, 도 3)의 둘레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접촉하는 시일 립(4)을 갖는 오일 시일(1)로서, 부착부(2)의 선단 부위에, 부착되는 오일을 모아서 축(23) 위로 적하시키는 윤활유 보급부(11)를 설치한 것이며, 또한, 부착되는 오일을 모아서 축(23)과 시일 립(4)의 슬라이딩부로 공급하는 윤활유 보급부(11)를 설치한 것이다. 윤활유 보급부(11)는, 부착부(2)의 내주면 원주상에 복수 개 설치된 돌기(12)로 이루어지며, 돌기(12)의 표면에 오일을 부착시켜 오일을 모으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돌기(12)의 표면에는, 부착된 오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오목부(13)가 형성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돌기(12)의 표면에는, 부착된 오일을 집중시키기 위한 경사면(돌기(12)의 내주면(12b))이 설치되어 있다.
각 부 내지 각 부품의 상세는 이하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즉, 먼저 상기 오일 시일(1)을 하우징(21)의 축 구멍(22) 내주에 부착하기 위한 링형상의 부착부(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부(2)의 내주측에 링형상의 연결부(시일 립 유지부 ; 3)를 통해, 축(23)의 둘레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접촉하는 링형상의 시일 립(4)이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3)에서 볼 때, 부착부(2)는 축방향 일측(도 3의 우측이자 기기의 내측)을 향해 설치되어 있으며, 시일 립(4)도 같은 축방향 일측을 향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오일 시일(1)은 그 구성부품으로서, 금속링(5)과, 상기 금속링(5)에 피착(被着)된 고무상 탄성체(6)와, 상기 고무상 탄성체(6)의 일부인 시일 립(4)에 끼움부착된 가터 스프링(7, garter spring)을 갖는다.
금속링(5)은, 하우징(21)의 축 구멍(22) 내주에 끼움결합되는 통형상부(5a)와, 상기 통형상부(5a)의 축방향 타측(도 3의 좌측이자 기기의 외측)의 단부에 지 름방향 내측을 향해 일체 성형된 플랜지부(5b)를 일체로 갖는다. 고무상 탄성체(6)는, 금속링(5)의 통형상부(5a)의 외주면에 피착되어 금속링(5) 및 하우징(21) 사이를 시일하는 외주면 피착부(외주 시일부 ; 6a)와, 통형상부(5a)의 선단면에 피착된 선단면 피착부(6b)와, 통형상부(5a)의 내주면에 피착된 내주면 피착부(6c)와, 플랜지부(5b)의 축방향 일측의 단면(내측단면)에 피착된 내측단면 피착부(6d)와, 플랜지부(5b)의 내주단에 피착된 내주단 피착부(6e)와, 플랜지부(5b)의 축방향 타측의 단면(외측단면)에 피착된 외측단면 피착부(6f)를 일체로 가지며, 더욱이 상기 시일 립(4)과 서브 립(8)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또, 상기 오일 시일(1)에는 특히, 상기 부착부(2)의 축방향 선단 부위로서 그 내주측에, 상기 윤활유 보급부(11)에 부착되는 오일을 모아서 축(23)의 둘레면 상으로 적하시키기 위한 윤활유 보급부(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윤활유 보급부(11)는, 상기 부착부(2)의 내주면에 설치된 복수의 돌기(12)로 이루어지며, 각 돌기(12)의 표면, 특히 축방향 선단면(12a)에 미스트(mist) 상태의 오일을 부착시키고, 부착된 오일을 모으며, 축(23)의 상방에 배치되는 돌기(12)에 있어서, 모은 오일을 오일 방울로 하여 그 중력 낙하에 의해 축(23)의 둘레면 상으로 적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돌기(12)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곳)로 균등하게 배치되는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돌기(12) 사이에는 원주방향의 간격이 설정되어 있다. 도면에서 돌기(12)는 4개가 균등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4 내지 16개 정도가 균등하게 배치되는 것이 적합 하다. 돌기(12)는 각각 고무상 탄성체(6)의 일부로서 성형되어 있으며, 선단면 피착부(6b) 및 내주면 피착부(6c)의 내주면에 일체 성형되어 있다. 돌기(12)는 지름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형성되고, 또한 축방향으로 긴 리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기(12)의 축방향 선단면(12a)에는, 부착된 오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오목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돌기(12)의 내주면(12b)에는, 부착된 오일을 집중시키기 위한 경사면이 설치되어 있다. 후자의 경사면은, 축(23)의 상방에 배치되는 돌기(12)에 있어서, 그 내주면(12b)에 부착되는 오일이나 상기 내주면(12b)으로 흘러 온 오일을 돌기(12)의 선단면(12a)의 내주 가장자리로 모으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내주 가장자리를 향해 하향 구배(句配)의 경사면(언더컷형상의 원추형상 경사면)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오일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선단면(12a)의 내주 가장자리로 모이고, 선단면(12a)쪽으로부터 흘러 온 오일과 합류하여 여기서부터 적하되게 된다. 윤활유 보급부(11)의 축방향 선단부, 즉 돌기(12)의 축방향 선단면(12a)은, 오일을 시일 립(4) 위가 아닌 축(23)의 둘레면 위로 직접 적하시킬 수 있도록, 시일 립(4)의 축방향 선단면(4a)보다 축방향 일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오일 시일(1)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1) 및 축(23) 사이에 장착되어 기기 내측의 오일을 시일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구성에 의해 이하의 작용효과를 거둔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상기한 구성의 오일 시일(1)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부착부(2)의 선단 부위에 윤활유 보급부(11)가 설치되고, 상기 윤활유 보급부(11)가, 부착되는 오일 을 모아 축(23)의 둘레면 상으로 적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적하되는 오일에 의해 시일 립(4)의 슬라이딩부를 윤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시일 립(4)의 슬라이딩부에 대한 윤활유의 공급기능을 높일 수 있고, 이로써 시일 립(4)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윤활유 보급부(11)에 돌기(12) 및 오목부(13)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돌기(12)에 의해 오일의 집적면적을 확대하고, 오목부(13)에 의해, 모은 오일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많은 오일을 모아서 이것을 축(23)의 둘레면 위로 적하시킬 수가 있다.
또, 돌기(12)가 원주 상에 복수로 설치되고 돌기(12)마다 오목부(1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기(12)나 오목부(13)가 전체 둘레에 걸쳐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와 같이 오일이 돌기(12)나 오목부(13)를 따라 흘러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에서도, 많은 오일을 모아서 이것을 축(23)의 둘레면 위로 적하시킬 수가 있다.
또, 복수의 돌기(12)가 원주 상에 균등하게 배치된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돌기(12) 중 어느 하나의 돌기(12)는 반드시 축(23)의 상방에 배치되어 오일을 축(23)의 둘레면 상으로 확실히 적하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오일 시일(1)의 장착에 관하여 원주방향의 방향성이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원주 상에 부분적으로 돌기(12)를 설치하는 것으로 하여도 오일 시일(1)의 장착의 작업성이 저하되는 일은 없다(돌기(12)를 원주 상의 한 곳에만 설치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돌기(12)가 축(23)의 상방에 배치되도록 오일 시일(1)의 장착에 관하여 원주 방향의 방향성이 한정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돌기(12)가 원주 상에 균등하게 배치되는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의 방향을 특별히 개의치 않고도 어느 하나의 돌기(12)를 축(23)의 상방에 배치할 수가 있다. 이러한 효과를 충분히 얻으려면, 돌기(12)의 설치 수는 4개 이상이 균등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의 사시도는, 오목부(13)의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도 4에서 오목부(13)는 원주방향으로 긴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형상의 오목부(13)는 그 원주방향 중앙이 가장 깊고, 원주방향의 양측에 걸쳐 서서히 얕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단, 이러한 형상은 단순한 일례에 불과하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오목부(13)는 예컨대 이하와 같은 것이어도 무방하다.
(제 2 실시예)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12)의 선단면(12a)에 홈형상의 오목부(13)를 형성하는 동시에 여기에 추가로 돌기(12)의 선단면(12a)으로서 오목부(13) 내주측의 폭방향 중앙 부위에 절결된 형상을 나타내는 오일 주입구(오목형상 주입구 ; 14)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오목부(13)에 저장된 오일이 절결된 형상의 주입구(14)로부터 축(23) 위로 적하하게 되며, 주입구(14)의 절결부의 크기 여하에 따라, 적하하는 오일 방울(U)의 크기 등을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상기 도 5 및 도 6의 예에서는, 돌기(12)의 선단면(12a)이 부착부(2)의 선단면(2a)과 단차없이 면일치하는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는 점에서도 많은 오일을 모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제 3 실시예)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12)를 다수(도면에서는 11개)의 평행 핀(fin ; 박판형상의 돌기 ; 15)에 의해 형성하고, 서로 이웃하는 핀(15) 사이의 간극(間隙)(간극공간)을 오일 저장용의 오목부(13)로서 이용한다. 이 경우, 핀(15) 사이의 간극, 즉 오목부(13)는 축방향 일측으로 개구되는 동시에 지름방향 내측으로도 개구된 것이 된다. 핀(15) 사이의 간극, 즉 오목부(13)의 크기 여하에 따라서는 해당 부분에 모세관현상이 발생하므로, 오일을 다량으로 저장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핀(15) 사이의 간극, 즉 오목부(13)의 축방향 타측에는, 이 방향으로의 오일의 흐름을 막기 위해 안쪽 단부벽(축방향 단부벽 ; 13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 7 및 도 8의 예에서는, 돌기(12), 즉 각 핀(15)의 내주면(12b)에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은, 부착된 오일을 집중시키기 위한 경사면이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서도 많은 오일을 모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윤활유 보급부(11)가 다수의 핀(15)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핀(15)에 부착되며 핀(15) 사이의 간극, 즉 오목부(13)에 저장된 오일은 해당 오일 시일(1)의 원주방향으로 흐르기 어려우므로(핀(15)에서 이웃하는 핀(15)으로, 또는 오목부(13)에서 이웃하는 오목부(13)를 따라 이동하도록 흐르기는 어려우므로), 핀(15)은 이것을 오일 시일(1)의 전체 둘레에 걸쳐 빠짐없이 설정하는 방법도 고려된다. 이 경우, 핀(15)은 오일 시일(1)의 전체 둘레에 걸쳐 일정한 둘레방향 간격(피치)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게 된다.
또,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시예 외에, 돌기(12)의 표면에 많은 오일을 모아 오일 방울로서 적하하기 쉽게 하려면 이하의 구조가 유효하다.
(제 4 실시예)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12)의 선단면(12a)에, 오일을 집중시키기 위한 가이드 돌기(16)를 설치한다. 상기 도 9 및 도 10의 예에서는, 돌기(12)의 선단면(12a)에 리브형상의 가이드 돌기(16)가 복수(도면에서는 3개)로 설치되고, 서로 이웃하는 가이드 돌기(16) 사이의 간격이 지름방향 내측을 향해 점차 좁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돌기(12)의 선단면(12a)에 부착된 오일이 가이드 돌기(16)를 따라 흘러 서서히 집속되므로, 보다 많은 오일을 모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상기 도 9 및 도 10의 예에서는, 돌기(12)의 선단면(12a)의 내주 가장자리가 원호형상이 아닌 원호의 양단을 연결하는 스트레이트형상으로 설정되고, 돌기(12)의 선단면(12a)이 부착부(2)의 선단면(2a)과 단차없이 면일치하는 형상으로 설정되며, 또 각 가이드 돌기(16)의 외주단부가 돌기(12)의 선단면(12a)으로부터 튀어나와 부착부(2)의 선단면(2a)까지 도달해 있다는 점(가이드 돌기(16)의 외주단부가 청구항 9에 기재된 댐(dam)부를 구성함)에서도, 많은 오일을 모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제 5 실시예)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12)의 선단면(12a)에, 오일을 집중시키기 위한 가이드 돌기(17,18)를 설치한다. 상기 도 11 및 도 12의 예에서는, 돌기(12)의 선단면(12a)의 내주 가장자리를 따라 가이드 돌기(1단째 가이드 돌기 ; 17)가 축방향 일측을 향해 돌출형성되고, 그 폭방향 중앙에 비교적 폭이 좁은 가이 드 돌기(2단째 가이드 돌기, 볼록형상 주입구 ; 18)가 마찬가지로 축방향 일측을 향해 돌출설치되어, 이러한 축방향의 2단에 걸치는 가이드 돌기(17,18)에 의해 오일을 단계적으로 집속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도면상, 돌기(12)는 이것을 축방향 일측에서 볼 때 대략 반원형(지름방향 내측을 향해 볼록한 형상의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선단면(12a)의 내주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1단째 가이드 돌기(17)는 대략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호형상의 1단째 가이드 돌기(17)의 원호 중앙부위에 2단째 가이드 돌기(18)가 설치되어 있다. 원호는 오일이 고이기 쉬운 형상이다. 또, 상기 도 11 및 도 12의 예에서는, 돌기(12)의 내주면(12b)에 제 1 실시예와 같은, 부착된 오일을 집중시키기 위한 경사면이 설치되고, 돌기(12)의 선단면(12a)이 부착부(2)의 선단면(2a)과 단차없이 면일치하는 형상으로 설정되며, 또 원호형상의 가이드 돌기(17)의 좌우 외주단부가 돌기(12)의 선단면(12a)으로부터 튀어나와 부착부(2)의 선단면(2a)까지 도달해 있다는 점(가이드 돌기(17)의 좌우 외주단부가 청구항 9에 기재된 댐부를 구성함)에서도, 많은 오일을 모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제 6 실시예)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12)의 내주면(12b)에, 오일을 집중시키기 위한 경사면을 설치한다. 또, 돌기(12)의 선단면(12a)을 부착부(2)의 선단면(2a)과 단차없이 면일치하는 형상으로 설정한다. 이러한 것은 모두 그 구성 및 작용의 상세에 관해 이미 기술하였는데, 모두 오일을 많이 모으는데 있어서 유효하다. 또한, 가급적 많은 오일을 모을 수 있도록 돌기(12)는 그 축방향 길이를 가능한 한 길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7 실시예)
도 15 및 도 1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12)의 선단면(12a)의 내주 가장자리(12c)를 원호형상이 아닌 스트레이트형상으로 설정한다. 즉, 비교예로서 나타낸 도 16의 (B)와 같이 돌기(12)의 선단면(12a)의 내주 가장자리(12c)를 오일 시일(1)의 중심축선(O)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동 도면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원호의 양단(12d,12e)을 직선으로 연결한 형상인 스트레이트형상으로 설정한다. 이로써 전자보다 후자쪽이 돌기(12)의 선단면(12a)의 표면적이 크게 설정되므로, 오일방울(U)의 유지성이 향상되어 보다 많은 오일을 모을 수 있게 된다. 또, 비교예로서 나타낸 도 16의 (B)와 같이 돌기(12)의 선단면(12a)의 내주 가장자리(12c)가 원호인 경우에는, 형성된 오일방울(U)이 원호를 따라 좌우방향(원주방향)으로 흐르는 힘(F)이 가해질 가능성이 있지만, 스트레이트이면 이러한 힘(F)이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적하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제 8 실시예)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부(2)의 선단면(2a)에, 상기 부착부(2)의 선단면(2a) 위를 원주방향을 따라 흘러내리는 오일을 막아 돌기(12)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댐(dam)부(19)를 설치한다.
즉, 축의 상방(수직 상방) 부위에서는, 부착부(2)의 하방에 돌기(12)가 배치되므로, 부착부(2)의 선단면(2a)에 부착된 오일은 비교적 용이하게 돌기(12)쪽으로 흘러오지만, 축의 상방(수직상방) 이외의 부위에서는, 부착부(2)의 하방이 아닌 옆쪽 또는 옆쪽 근방에 돌기(12)가 배치되므로, 부착부(2)의 선단면(2a)에 부착된 오일이 상기 선단면(2a) 위를 원주방향을 따라 흘러갈 것이 우려된다. 이에, 이러한 유로의 도중에 상기 유로를 차단하도록 댐부(19)를 설치함으로써 오일이 부착부(2)로부터 돌기(12)쪽으로 전해지기 쉬워지므로, 보다 많은 오일을 모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부착부(2)의 선단면(2a)에 돌기(12)마다 댐부(19)가 설치되어 있으며, 도면에서 댐부(19)는 돌기(12)의 축방향 돌출부(12f)와 양자의 선단면이 면일치하는 형상이 되도록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댐부(19)가 설치되면,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부(2)의 선단면(2a) 위를 원주방향을 따라 흘러 온 오일(화살표 I)이 댐부(19)에 의해 막혀 돌기(12)쪽을 따라 가므로(화살표 J), 돌기(12)에 의해 많은 오일을 모을 수가 있다. 또, 상기 도 17 및 도 18의 예에서는, 돌기(12)의 원주방향 측면(12g) 부위에도 각각, 부착되는 오일을 집중시키기 위한 경사면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점에서도 많은 오일을 모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오일은 상기 경사면을 따라 돌기(12)의 선단면(12a)쪽으로 모이게 된다(화살표 K).
(제 9 실시예)
또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각 실시예에서의 돌기(12)에 의한 윤활유 보급기능을 보조하는 것으로서, 시일 립(4)의 외주부위에 오일 전달편(20)을 지름방향 외측을 향해 일체성형하고, 돌기(12)에 모이는 오일을 상기 오일 전달편(20)을 통해 시일 립(4)쪽으로 안내하여 시일 립 슬라이딩부로 공급한다. 이와 같이 시일 립(4)의 외주부위에 오일 전달편(20)을 지름방향 외측을 향해 일체성형하면, 돌기(12)에 모이는 오일이 상기 오일 전달편(20)을 따라 시일 립(4)쪽으로 안내되며, 시일 립(4)의 선단면(4a)을 따라 시일 립 슬라이딩부로 공급되기 때문에, 오일의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는, 시일 립(4)의 선단면(4a)이자 그 최외주 부위에, 지름방향 외측이면서 또한 축방향 일측을 향해 비스듬히 오일 전달편(2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오일 전달편(20)은 립형상으로 성형되어 있고, 그 기능면에서 볼 때 박막이면 되므로 성형상의 버(burr)를 이용할 수도 있게 되어 있다.
오일 전달편(20)은 돌기(12)의 내주측에 배치되지만, 돌기(12)의 내주면(12b)에 대하여 접촉하지는 않으며, 양자(12,20)의 사이에는 지름방향의 간극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돌기(12)로부터 적하하는 오일(오일방울)은 상기 오일 전달편(20)에 받아 내어지고, 시일 립(4)의 선단면(4a)을 따라 시일 립 슬라이딩부로 공급된다(화살표 L). 또한, 오일 전달편(20)과 돌기(12)의 지름방향 간극이 좁은 경우나, 적하되는 오일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오일은 돌기(12)로부터 적하하기 이전에 돌기(12)로부터 오일 전달편(20)으로 직접 전달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오일은 오일 전달편(20)으로부터 시일 립(4)의 선단면(4a)을 따라 시일 립 슬라이딩부로 공급된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돌기(12)로부터 오일 전달편(20), 시일 립 선단면(4a)을 경유하여 시일 립 슬라이딩부에 이르는 오일의 공급경로가 확보되기 때문에, 오일을 원활히 공급할 수가 있다.
또, 하우징(21)에 대하여 축(23)이 편심작동하였을 때, 오일 전달편(20)이 돌기(12)의 내주면(12a)과 간섭하는 경우가 상정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오일 전달편(20)은 박막이어도 되고 부드럽기 때문에, 시일 립(4)의 시일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다. 또한, 오일 전달편(20)은 링형상으로 설정되지만, 원주상에 복수로 설치되는 돌기(12)에 대응하여 원주상에 복수로 설치되면 그 기능을 다할 수가 있다. 링형상으로 설정하여 원주상의 여기저기에 절결부나 구멍 류를 만들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제 10 실시예)
또한, 상기 오일 전달편(20)의 형성위치는, 돌기(12)로부터 적하하는 오일을 받아낼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21의 예에서는, 시일 립(4)의 선단면(4a)이자 그 최외주 부위로부터 약간 지름방향 내측으로 변위된 위치에 상기 오일 전달편(20)이 설치되어 있다.

Claims (10)

  1. 하우징에 부착되는 링형상의 부착부와, 축의 둘레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접촉하는 시일 립을 갖는 오일 시일로서,
    상기 부착부의 선단(先端) 부위에, 부착되는 오일을 모아 상기 축 위로 적하(滴下) 또는 상기 축과 시일 립의 슬라이딩부로 공급하는 윤활유 보급부를 갖고,
    상기 윤활유 보급부는, 상기 부착부의 내주면(內周面)에 원주상 복수 설치된 돌기를 가지며, 상기 돌기의 표면에서 오일을 모으고,
    상기 돌기의 선단면에, 오일을 집중시키기 위한 가이드 돌기를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돌기의 선단면의 내주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동시에 축방향 일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 1단째 가이드 돌기와, 상기 1단째 가이드 돌기의 폭방향 중앙에 설치되는 동시에 축방향 일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 2단째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는 축방향 2단에 걸친 가이드 돌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시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하우징에 부착되는 링형상의 부착부와, 축의 둘레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접촉하는 시일 립을 갖는 오일 시일로서,
    상기 부착부의 선단 부위에, 부착되는 오일을 모아 상기 축 위로 적하 또는 상기 축과 시일 립의 슬라이딩부로 공급하는 윤활유 보급부를 갖고,
    상기 윤활유 보급부는, 상기 부착부의 내주면에 원주상 복수 설치된 돌기를 가지며, 상기 돌기의 표면에서 오일을 모으고,
    상기 부착부의 선단면에, 상기 부착부의 선단면 위를 원주방향을 따라 흘러내리는 오일을 막아 상기 돌기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댐(dam)부를 설치하며,
    상기 돌기는, 축방향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댐부는, 상기 돌기의 축방향 돌출부와 양자의 선단면이 면일치 형상이 되도록 상기 돌기의 축방향 돌출부에 대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시일.
  10. 삭제
KR1020087019802A 2006-02-06 2007-02-02 오일 시일 KR1014216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28335 2006-02-06
JP2006028335 2006-02-06
JP2006117848 2006-04-21
JPJP-P-2006-00117848 2006-04-21
JP2006229096A JP5110250B2 (ja) 2006-02-06 2006-08-25 オイルシール
JPJP-P-2006-00229096 2006-08-25
PCT/JP2007/051762 WO2007091485A1 (ja) 2006-02-06 2007-02-02 オイルシ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195A KR20080097195A (ko) 2008-11-04
KR101421640B1 true KR101421640B1 (ko) 2014-07-22

Family

ID=38345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9802A KR101421640B1 (ko) 2006-02-06 2007-02-02 오일 시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8136818B2 (ko)
EP (3) EP2469132B1 (ko)
JP (1) JP5110250B2 (ko)
KR (1) KR101421640B1 (ko)
CN (1) CN101379326B (ko)
WO (1) WO20070914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70365B2 (ja) * 2007-02-16 2013-03-27 Nok株式会社 密封装置
JP2009103301A (ja) 2007-10-02 2009-05-14 Nok Corp 密封装置
JP5757453B2 (ja) * 2010-10-12 2015-07-29 Nok株式会社 オイルシール
EP2668422A4 (en) * 2011-01-28 2016-05-25 Skf Publ Ab REINFORCED SEAL FOR ROTATING SHAFTS
US20120313329A1 (en) * 2011-06-10 2012-12-13 Freudenberg-Nok General Partnership Vented Dual Lip Seal And Method Of Making
JP5964201B2 (ja) 2012-10-23 2016-08-03 Nok株式会社 オイルシール
DE102012223448A1 (de) * 2012-12-17 2014-06-18 Aktiebolaget Skf D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Dichtung
JP2014139451A (ja) * 2013-01-21 2014-07-31 Nok Corp 密封装置
JP7095445B2 (ja) * 2018-07-18 2022-07-05 株式会社デンソー シールリング及びこれを用いた弁装置
CN109595342A (zh) * 2018-11-21 2019-04-09 重庆市璧山区瑞通精密压铸有限公司 一种旋转油封
CN112576729B (zh) * 2019-09-30 2022-06-1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润滑油封的支撑座、动力总成和车辆
CN111497300A (zh) * 2020-03-30 2020-08-07 安徽建盛铸业有限公司 一种带内嵌式密封装置的液压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68055U (ko) * 1977-10-24 1979-05-15
JPS5793663U (ko) * 1980-11-28 1982-06-09
JPH01109651U (ko) * 1988-01-19 1989-07-25
JPH0439362U (ko) * 1990-07-26 1992-04-03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62486A (en) * 1937-06-21 1939-06-13 Letourneau Inc Sealing means for centrifugal pump impellers
US2478649A (en) * 1945-12-29 1949-08-09 Gen Electric Fluid seal
US3021161A (en) * 1959-09-14 1962-02-13 Federal Mogul Bower Bearings Unitized shaft seal
US3368819A (en) * 1965-02-03 1968-02-13 Timken Roller Bearing Co Dual face rotary shaft seal assembly
US3682488A (en) * 1969-09-10 1972-08-08 Nippon Oil Seal Ind Co Ltd Sealing device
JPS5154170A (ko) * 1974-11-07 1976-05-13 Showa Mfg
JPS5468055A (en) * 1977-11-09 1979-05-31 Okada Sangyo Kk Method of purifying organic sewage
JPS54145736U (ko) * 1978-03-31 1979-10-09
JPS5793663A (en) 1980-11-29 1982-06-10 Fuji Heavy Ind Ltd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plural power sources
GB2124329B (en) * 1982-07-20 1986-02-26 Hillman Newby Ltd Hydraulic seal for pit prop
JPS61146660A (ja) 1984-12-19 1986-07-04 Nippon Air Brake Co Ltd アンチスキツド装置用液圧調整装置
JPS61118977U (ko) * 1985-01-09 1986-07-26
JPH0446129Y2 (ko) * 1985-03-01 1992-10-29
DE3638515C1 (de) * 1986-11-11 1988-05-26 Freudenberg Carl Fa Kassettendichtung
JP2651158B2 (ja) 1987-10-23 1997-09-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開先検出方法及び、同装置
JPH01115070U (ko) * 1988-01-29 1989-08-02
JPH0614136Y2 (ja) * 1988-05-30 1994-04-13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密封装置
US5022659A (en) * 1988-12-27 1991-06-11 The Timken Company Seal assembly for antifriction bearings
JP2549452B2 (ja) 1990-06-06 1996-10-30 工業技術院長 塗料用アルミナ顔料
DE4124521A1 (de) * 1991-07-24 1993-01-28 Freudenberg Carl Fa Kassettendichtung
US5398942A (en) * 1992-09-02 1995-03-21 Dana Corporation Annular lubricant seal assembly
NL9202086A (nl) * 1992-12-01 1994-07-01 Skf Ind Trading & Dev Een wentellagersysteem met een filterafdichtring.
US5329898A (en) * 1993-05-05 1994-07-19 Freudenerg-Nok General Partnership Shaft seal and bore assembly
JP3753199B2 (ja) * 1996-06-28 2006-03-0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アキシャルピストンポンプ
JP3890750B2 (ja) * 1998-06-09 2007-03-07 Nok株式会社 バルブステムシール
US6224322B1 (en) * 1998-11-16 2001-05-01 A. R. Wilfley & Sons, Inc. Seal assembly for centrifugal pumps with barrier ring
FR2786547B1 (fr) * 1998-12-01 2001-02-16 Hutchinson Joint d'etancheite pour arbre tournant, et dispositif comportant un tel joint
JP3754572B2 (ja) * 1999-04-13 2006-03-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におけるオイルシールの潤滑装置
KR100739402B1 (ko) * 1999-09-27 2007-07-18 가부시키가이샤 제이텍트 시일 및 이것을 이용한 회전 어셈블리
JP2003056718A (ja) 2001-08-22 2003-02-26 Koyo Seiko Co Ltd オイルシール
JP2005282841A (ja) 2004-03-31 2005-10-13 Nok Corp ブレーキポンプ用オイルシール
JP5170365B2 (ja) * 2007-02-16 2013-03-27 Nok株式会社 密封装置
JP5310990B2 (ja) * 2007-05-11 2013-10-09 Nok株式会社 密封装置
JP2009103301A (ja) * 2007-10-02 2009-05-14 Nok Corp 密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68055U (ko) * 1977-10-24 1979-05-15
JPS5793663U (ko) * 1980-11-28 1982-06-09
JPH01109651U (ko) * 1988-01-19 1989-07-25
JPH0439362U (ko) * 1990-07-26 1992-04-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309509A (ja) 2007-11-29
EP1983237A4 (en) 2011-10-19
CN101379326A (zh) 2009-03-04
EP1983237A1 (en) 2008-10-22
US20120080855A1 (en) 2012-04-05
EP2469133A1 (en) 2012-06-27
EP2469132A1 (en) 2012-06-27
US8220803B2 (en) 2012-07-17
US8714561B2 (en) 2014-05-06
US8136818B2 (en) 2012-03-20
EP2469133B1 (en) 2014-05-28
EP2469132B1 (en) 2014-05-14
EP1983237B1 (en) 2015-07-01
US20120086173A1 (en) 2012-04-12
WO2007091485A1 (ja) 2007-08-16
KR20080097195A (ko) 2008-11-04
US20090224485A1 (en) 2009-09-10
JP5110250B2 (ja) 2012-12-26
CN101379326B (zh)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640B1 (ko) 오일 시일
JP4478684B2 (ja) 球面滑り軸受システム
US20080205813A1 (en) Tapered roller bearing
JP5109721B2 (ja) 円すいころ軸受
JP2002022094A (ja) リニアユニット
JP2008223891A (ja) 円すいころ軸受
KR20100065144A (ko) 밀봉장치
JP5408460B2 (ja) オイルシール
JP2008089045A (ja) 運動案内装置
JP2008240950A (ja) 転がり軸受用保持器
JP2007032711A (ja) 油圧式オートテンショナ
JP6606201B2 (ja) 玉軸受用保持器及び玉軸受
WO2020235270A1 (ja) 密封装置
JP2008025652A (ja) 密封装置
JP4265579B2 (ja) 密封装置
JP2011153669A (ja) 運動案内装置、及びこの運動案内装置に用いられるアタッチメント
JP2008256207A (ja) 円すいころ軸受
JPH11173337A (ja) ウォーターポンプ用ベアリングシール
KR100272345B1 (ko) 변속기 입력축의 윤활방법 및 윤활구조
CN116635611A (zh) 具有放油螺丝的油底壳
JP2008286221A (ja) センターベアリングサポート
KR20010059784A (ko) 차량용 구조물의 윤활 구조
KR20110043130A (ko) 차량용 오일 여과기의 넌리턴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