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488B1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488B1
KR101407488B1 KR1020127023121A KR20127023121A KR101407488B1 KR 101407488 B1 KR101407488 B1 KR 101407488B1 KR 1020127023121 A KR1020127023121 A KR 1020127023121A KR 20127023121 A KR20127023121 A KR 20127023121A KR 101407488 B1 KR101407488 B1 KR 101407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quid crystal
light
display device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281A (ko
Inventor
마꼬또 혼다
노리나가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04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충격성이 높고, 표시 특성이 양호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액정 패널의 관찰측 면에, 강성을 갖는 투명 기재가,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융착층을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면이 보호되어 내충격성과 함께 표시 특성이 우수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배향막이나 전극 등이 형성된 2장의 얇은 기판 사이에 액정을 끼움 지지하고, 도광판, 편광판, 또한 방현 필름이나 반사 방지 필름 등의 기능성 필름을 층상으로 포갠 액정 패널의 주위를 하우징으로 보호한 구조를 갖고 있다. 액정 패널의 표시면은 얇은 기능성 필름이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약하다. 액정 패널에 대하여 충격이 가해지면, 액정 패널이 파손되거나, 액정의 배향이 흐트러져서 배향 결함이 발생해 표시 특성이 열화되어버린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를 반송, 수송 또는 보관할 때, 또한 액정 표시 장치를 사용할 때, 액정 표시 장치에는 내충격성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과제에 대하여, 액정 패널의 전방면에 외부 충격으로부터 액정 패널을 보호하는 전방면 기판을 배치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이 경우, 액정 패널과 전방면 기판 사이에 공기층이 개재되어 있으면, 특히 밝은 옥외에서 공기층과의 계면에서 광이 반사되어 시인성이 저하되어버린다.
따라서, 액정 패널의 전방면에 강화 유리 등의 강화 기판과 강화 기판상에 형성된 저반사층을 갖는 보호 부재를, 액정 패널의 편광판 및 보호 부재의 강화 기판과 유사한 굴절률을 갖는 점착층을 개재하여 밀착시킴으로써 외부 충격에 대한 신뢰성과 옥외 시인성을 동시에 개선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265593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액정 패널의 편광판 및 보호 부재의 강화 기판과 유사한 굴절률을 갖는 점착층에,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 열경화형 점착제 또는 OCA(Optical Clear Adhesive)라고 불리는 투명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강화 기판상 또는 액정 패널상에 점착제를 배치하고, 강화 기판 및 액정 패널을 포개어 자외선 조사, 가열에 의해 점착제를 경화 또는 가압함으로써 강화 기판 및 액정 패널을 접합하고 있다. 그러나, 경화형 점착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점착제의 경화 변형에 기인하는 편광판의 변형에 의한 색 불균일이나 엣지 부분으로부터 점착제가 비어져 나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투명 점착 테이프를 사용할 경우에는 강화 기판 및 액정 패널의 위치 정렬의 어려움, 테이프 부착시의 기포 혼입, 오토클레이브 공정을 거침으로 인한 생산성의 나쁨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내충격성이 높고, 표시 특성이 양호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액정 패널의 관찰측 면에, 강성을 갖는 투명 기재가,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융착층을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정 패널의 관찰측 면에, 강성을 갖는 투명 기재가 융착층을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으므로, 외부 충격으로부터 액정 패널을 보호할 수 있고, 내충격성을 높여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융착층은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열가소성 수지를 시트 형상 혹은 필름 형상으로 성형하여 액정 패널과 시트 형상 혹은 필름 형상의 융착층과 투명 기재를 가열 압착시킴으로써 일체화시킬 수 있고, 화질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액정 패널 및 투명 기재를 접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투명 기재가 유리 기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충격성뿐만 아니라 내마찰 손상성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투명 기재의 두께가 0.5mm 내지 4m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기재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이면, 투명 기재의 강성이나 강도와, 액정 표시 장치의 경량화나 박형화를 양립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융착층의 두께가 0.05mm 내지 0.5m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융착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이면, 열가소성 수지를 시트 형상 혹은 필름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고, 시트 형상 혹은 필름 형상의 융착층을 사용하여 액정 패널 및 투명 기재를 접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융착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이면, 액정 패널 및 투명 기재의 밀착성과 액정 표시 장치의 경량화나 박형화를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융착층이 가교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융착층의 가열 융착 후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융착층으로서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시트 형상 혹은 필름 형상의 융착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 형상 혹은 필름 형상의 융착층의 표면에 요철 형상이 있으면, 액정 패널 및 투명 기재의 접합시에 혼입되는 기포를 방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액정 패널의 관찰측에 광확산층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패널에 투명 기재를 융착층을 개재하여 접합시킴으로써 액정 패널이나 백라이트 유닛에 의한 표시 결함이 시인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지만, 액정 패널의 관찰측에 광확산층이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표시 결함을 시인하기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광확산층이 광확산 입자 및 바인더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확산층이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번쩍거림(신틸레이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의 경우, 상기 광확산 입자와 상기 바인더의 굴절률 비가 1.000 초과 1.020 미만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확산 입자와 바인더의 굴절률 비가 크면 백화에 의한 콘트라스트의 저하가 발생할 경우가 있으므로, 광확산 입자 및 바인더의 굴절률의 차는 0은 아니지만, 광확산 입자와 바인더의 굴절률 비는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광확산층이 광확산 입자를 함유함과 동시에 표면에 요철을 갖는 경우에는, 광확산 입자와 바인더의 굴절률 비를 가능한 한 작게 함으로써 번쩍거림을 방지하면서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광확산 입자와 바인더의 굴절률 비란, 광확산 입자 및 바인더 중 굴절률이 작은 것에 대한 굴절률이 큰 것의 비율을 말한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광확산층이 표면에 요철을 갖는 것도 바람직하다. 광확산층이 표면에 요철을 갖는 경우에는, 광확산층이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는 경우에 비해 요철 계면에서의 굴절률 비가 크더라도 백화로 인한 콘트라스트의 저하가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액정 패널과 상기 융착층 사이에,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제2 융착층과 상기 광확산층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시판의 시트 형상 혹은 필름 형상의 광확산층을 사용할 수 있어 저렴하게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광확산층과 상기 제2 융착층이 접하고 있고, 상기 광확산층이 상기 제2 융착층측의 표면에 요철을 갖고, 상기 광확산층을 구성하는 재료와 상기 제2 융착층에 함유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굴절률 비가 1.010 이상 1.300 미만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굴절률 비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광확산층 및 제2 융착층의 계면 요철에 의한 확산이 작아지므로 불균일의 불량이 생길 우려가 있고, 또한 상기 굴절률 비가 상기 범위 이상에서는 광확산층 및 제2 융착층의 계면 요철에서의 외광 반사에 의해 콘트라스트가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광확산층을 구성하는 재료와 제2 융착층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의 굴절률 비란, 광확산층을 구성하는 재료와 제2 융착층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 중 굴절률이 작은 것에 대한 굴절률이 큰 것의 비율을 말한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광확산층이 고굴절 초미립자 또는 저굴절 초미립자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광확산층이 고굴절 초미립자 또는 저굴절 초미립자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광확산층의 구성 재료의 굴절률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2 융착층이 고굴절 초미립자 또는 저굴절 초미립자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제2 융착층의 열가소성 수지가 고굴절 초미립자 또는 저굴절 초미립자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열가소성 수지의 굴절률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융착층이 상기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고, 상기 광확산층을 겸하고 있어도 된다. 융착층이 액정 패널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융착층이 광확산층을 겸하고 있음으로써 이중상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층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액정 패널의 관찰측 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의 투영면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에 포함되는 상기 광확산 입자의 면내 투영 면적의 총합이 전체의 8% 내지 63%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표시 불균일의 억제 및 콘트라스트의 향상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광확산층의 정투과 강도를 Q, 정투과±2도 및 정투과±1도에서의 투과 강도를 연결하는 직선을 정투과 각도에 외삽한 투과 강도를 U라고 했을 때,
2<Q/U<22
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Q/U가 상기 범위보다 작으면 흑채감이 열화될 우려가 있고, Q/U가 상기 범위보다 크면 표시 불균일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Q/U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표시 불균일의 억제 및 흑채감의 향상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흑채감이란, 동화상에 요구되는 콘트라스트, 입체감 및 약동감을 겸비한 성능(예를 들어, 푸른 하늘 아래의 젊은이의 장면을 예로 들면, 화면에 표시된 머리카락은 보송보송한 감이 있는 검정이며, 눈동자는 촉촉함이 있는 검정이며, 또한 피부에 젊은이 특유의 윤기가 있어 생기가 넘쳐 보이는 등)을 말한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액정 패널의 횡방향의 화소 피치를 P, 상기 광확산층의 두께를 T라고 했을 때,
T<P/2
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확산층의 두께가 상기 식을 만족시킴으로써 통상 모니터링 영역에서의 이중상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액정 패널의 세로 및 가로의 길이를 각각 L1 및 W1, 상기 투명 기재의 세로 및 가로의 길이를 각각 L2 및 W2라고 했을 때,
L1≤L2 및/또는 W1≤W2
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패널에 응력이 걸려 휨이나 변형이 발생하여 화상의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액정 패널의 관찰측에 띠 형상의 투과부와 차광부가 교대로 배열된 루버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루버층에 의해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투과부 및 상기 차광부가 상기 액정 패널의 좌우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루버층이 확산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이와 같이 투과부 및 차광부가 액정 패널의 좌우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표시 장치의 좌우 방향의 화각을 좁게 하지 않고 루버층에 의해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투과부 및 상기 차광부가 상기 액정 패널의 상하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루버층이 확산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이와 같이 투과부 및 차광부가 액정 패널 상하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면서 액정 표시 장치의 좌우 방향의 화각을 보다 넓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의 경우, 상기 루버층의 관찰측 면의 법선 방향에 대한 상기 루버층의 상기 투과부로부터 출사될 수 있는 광의 최대 각도가 45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광을 흡수할 수 있는 동시에 액정 표시 장치의 상하 방향의 통상 모니터링 영역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의 경우, 상기 루버층이 상기 광확산층의 관찰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확산층에 입사하는 외광을 감소시키고, 또한 광확산층에서의 외광 반사를 흡수하여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중상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광확산층이 액정 패널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의 경우, 상기 액정 패널과 상기 융착층 사이에,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제2 융착층과 상기 루버층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융착층 및 제2 융착층에 의해 액정 패널과 루버층과 투명 기재를 밀착성 좋게 접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액정 패널의 관찰측에 파장 400nm 내지 750nm의 범위 내에서의 평균 광흡수율이 1% 내지 30%의 범위 내인 광흡수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광흡수층에 의해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광흡수층이 영상광 자체가 갖는 소정의 파장 이외의 파장을 흡수하는 선택 흡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광은 모든 파장을 갖고 있고, 영상광은 특정한 파장(예를 들어, 광의 삼원색인 적, 녹, 청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만을 갖고 있으므로, 광흡수층이 선택 흡수성을 가짐으로써 광흡수층에 의한 영상광의 감쇠를 억제하고, 외광의 흡수를 증대시킴으로써 보다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광흡수층이 선택 흡수성을 갖는 경우,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가 파장이 상이한 LED 광원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LED 광원의 발광 파장에 동기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필드 시퀀셜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일 파장인 LED 광원은 광흡수층에 의한 선택 흡수의 파장의 영역을 넓힐 수 있기 때문이고, LED를 사용한 필드 시퀀셜 방식으로 컬러 필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영상광 자체가 소정의 파장을 갖는 것이 되므로, 광흡수층에 의한 선택 흡수의 파장의 영역을 보다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콘트라스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광흡수층이 상기 광확산층의 관찰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중상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광확산층이 액정 패널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 같은 배치로 함으로써, 광확산층에 입사하는 외광의 흡수 및 광확산층에 의해 반사된 외광의 흡수의 양쪽에 광흡수층이 효과를 나타내어 콘트라스트 향상에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액정 패널로부터 광흡수층에 입사되는 영상광 중 광확산층을 통과할 때에 발생하는 미광은 광흡수층을 비스듬히 통과하므로, 영상광에 비해 흡수가 보다 크고, 플레어(백색 표시부의 광의 일부가 미광이 되어 흑색 표시부로부터 출사된다)가 감소됨으로써 화상이 선명하고, 콘트라스트도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융착층이 상기 광흡수층을 겸하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액정 패널과 상기 융착층 사이에,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제2 융착층과 상기 광흡수층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융착층 및 제2 융착층에 의해 액정 패널과 광흡수층과 투명 기재를 밀착성 좋게 접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2 융착층이 상기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고, 상기 광확산층을 겸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확산층을 겸하는 제2 융착층을 액정 패널의 근방에 배치하여 이중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2 융착층이 가교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융착층의 가열 융착 후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2 융착층으로서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시트 형상 혹은 필름 형상의 제2 융착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 형상 혹은 필름 형상의 제2 융착층의 표면에 요철 형상이 있으면 액정 패널 및 투명 기재의 접합시에 혼입되는 기포를 방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액정 패널의 관찰측 면에, 강성을 갖는 투명 기재가 융착층을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으므로, 내충격성을 향상시켜 신뢰성을 높이는 동시에, 융착층을 개재시켜서 액정 패널 및 투명 기재를 접합시킴으로써, 표시 품질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광확산층, 루버층, 광흡수층 등의 기능층을 설치함으로써, 불균일 등의 표시 결함의 저감, 콘트라스트의 향상 등이 가능해져서 표시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확산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패널의 관찰측 면에, 강성을 갖는 투명 기재가,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융착층을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예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1)는 액정 패널(20)과, 액정 패널(20)의 배면에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31)과, 액정 패널(20) 및 백라이트 유닛(31)을 보호하는 하우징(32)을 갖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1)에 있어서는, 액정 패널(20)의 관찰측(10)의 표면에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융착층(3)을 통하여 강성을 갖는 투명 기재(2)가 접합되어 있다. 액정 패널(20)은 액정 셀(21)과, 액정 셀(21)의 관찰측(10)에 배치된 관찰측 편광판(22a)과, 액정 셀(21)의 배면에 배치된 배면 편광판(22b)과, 관찰측 편광판(22a)의 관찰측(10)에 배치된 방현성 필름이나 반사 방지 필름 등의 기능성 필름(23)을 갖고 있다. 액정 셀(21)은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한 쌍의 지지판과, 지지판 사이에 끼움 지지된 액정과,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는 배향막과, 액정 분자의 배향을 전장에 의해 제어하는 전극과, 컬러 필터를 갖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정 패널의 관찰측 면에, 강성을 갖는 투명 기재가 융착층을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으므로, 액정 표시 장치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반송, 수송 또는 보관시, 또한 사용시의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융착층은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열가소성 수지를 시트 형상 혹은 필름 형상으로 성형하여 액정 패널과 시트 형상 혹은 필름 형상의 융착층과 투명 기재를 순서대로 적층하고, 이것들을 가열 압착하는 라미네이션법 등을 이용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할 수 있고, 표시 품질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간편한 방법으로 내충격성이 우수한 액정 표시 장치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에 예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1)에 있어서는, 액정 패널(20)의 관찰측(10)의 표면에 융착층(3)을 통하여 강성을 갖는 투명 기재(2)가 접합되어 있다. 융착층(3)은 열가소성 수지에 광확산 입자가 분산된 것이며, 광확산층(5)을 겸하고 있다.
도 3에 예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1)에 있어서는, 액정 패널(20)의 관찰측(10)의 표면에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제2 융착층(6)과, 수지에 광확산 입자가 분산된 광확산층(5)과,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융착층(3)과, 강성을 갖는 투명 기재(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
도 4에 예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1)에 있어서는, 액정 패널(20)의 관찰측(10)의 표면에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융착층(3)을 통하여 강성을 갖는 투명 기재(2)가 접합되어 있다. 투명 기재(2)는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고 있고, 광확산층(5)을 겸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액정 패널의 관찰측에 광확산층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1)에 있어서, 액정 패널(20)의 관찰측(10)의 표면을 구성하는 기능성 필름(23)이 관찰측(10)의 표면에 요철을 가질 경우, 기능성 필름(23)의 관찰측(10)의 표면에 융착층(3) 또는 융착층(3) 및 제2 융착층(6)을 통하여 투명 기재(2)가 부착되면, 기능성 필름(23)의 요철이 융착층(3) 또는 제2 융착층(6)에 의해 메워져버린다. 일반적으로, 기능성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와 융착층 또는 제2 융착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굴절률 비는 기능성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와 공기의 굴절률 비보다 작으므로, 융착층 또는 제2 융착층에 의해 기능성 필름의 요철에 의한 광확산성이 손상되어버릴 우려가 있다. 광확산성이 손상되면 액정 패널이나 백라이트 유닛에 의한 색 불균일이나 휘도 불균일 등의 표시 결함이 시인되기 쉬워진다. 예를 들어,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액정 패널의 편광판 및 강화 기판과 유사한 굴절률을 갖는 점착층을 사용하므로, 액정 표시 패널 표면에 존재하는 요철면에서의 광확산이 없어지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 자체에 의한 불균일 등의 결함이 보이기 쉬워져서 수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액정 패널의 관찰측에 광확산층이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표시 결함을 시인하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내부 확산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영상광에 중첩되어 오는 불균일 등의 표시 결함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에 예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1)에 있어서는, 액정 패널(20)의 관찰측(10)의 표면에 제2 융착층(6)과, 띠 형상의 투과부(7a) 및 차광부(7b)가 교대로 배열된 루버층(7)과, 융착층(3)과, 투명 기재(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 제2 융착층(6)은 열가소성 수지에 광확산 입자가 분산된 것이며, 광확산층(5)을 겸하고 있다.
도 6에 예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1)에 있어서는, 액정 패널(20)의 관찰측(10)의 표면에 제2 융착층(6)과, 광확산층(5)과, 띠 형상의 투과부(7a) 및 차광부(7b)가 교대로 배열된 루버층(7)과, 융착층(3)과, 투명 기재(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액정 패널의 관찰측에 루버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액정 패널의 관찰측에 루버층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스듬한 외광이 루버층의 차광부에서 차단되고, 표시면에서 반사하는 외광의 양이 감소하므로 정면 방향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외광 흡수의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콘트라스트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에 예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1)에 있어서는, 액정 패널(20)의 관찰측(10)의 표면에 제2 융착층(6)과 광흡수층(8)과 융착층(3)과 투명 기재(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 제2 융착층(6)은 열가소성 수지에 광확산 입자가 분산된 것이며, 광확산층(5)을 겸하고 있다.
도 8에 예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1)에 있어서는, 액정 패널(20)의 관찰측(10)의 표면에 제2 융착층(6)과 광확산층(5)과 광흡수층(8)과 융착층(3)과 투명 기재(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광흡수층(8)은 파장 400nm 내지 750nm의 범위 내에서의 평균 광흡수율이 1% 내지 30%의 범위 내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액정 패널의 관찰측에 광흡수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액정 패널의 관찰측에 광흡수층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콘트라스트나 화상의 선명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외광 흡수의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콘트라스트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1. 투명 기재
본 발명에 있어서의 투명 기재는 강성을 갖고, 액정 패널의 관찰측 면에 융착층을 개재하여 접합되는 것이다.
투명 기재로서는 강성을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유리 기재, 수지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수지 기재의 재료로서는 강성을 갖는 수지 기재를 얻을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유기 유리계 수지, 아크릴 스티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 기재는 유리 기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휨에 대한 내성이나 내충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액정 패널의 표시면은 얇은 기능성 필름이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특히 긁힌 자국이 나기 쉽지만, 투명 기재가 유리 기재임으로써 내마찰 손상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리 기재는 자외선을 흡수하므로 자외선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 부재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유리 기재는 수지 기재에 비해 내수성이나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저렴하다는 이점도 갖고 있다.
투명 기재의 두께로서는 원하는 강성이 얻어지는 두께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0.5mm 내지 4mm 정도이면 되고, 그 중에서도 0.7mm 내지 3.5m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1mm 내지 3m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기재의 두께가 얇으면 원하는 강성이나 강도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고, 투명 기재의 두께가 두꺼우면 액정 표시 장치의 경량화 및 박형화를 실현하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투명 기재의 크기로서는 액정 패널의 세로 및 가로의 길이를 각각 L1 및 W1, 투명 기재의 세로 및 가로의 길이를 각각 L2 및 W2라고 했을 때,
L1≤L2 및/또는 W1≤W2
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기재가 액정 패널보다 작으면 액정 패널에 응력이 걸려 휨이나 변형이 발생하여 표시 특성이 열화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세로 및 가로의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해서 투명 기재가 액정 패널과 동등 또는 액정 패널보다 크면 되지만, 그 중에서도 세로 및 가로의 길이 중 긴 쪽에 대해서 투명 기재가 액정 패널과 동등 또는 액정 패널보다 큰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긴 경우에는 W1≤W2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세로 및 가로의 길이의 양쪽에 대해서 투명 기재가 액정 패널과 동등 또는 액정 패널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L1≤L2이고 W1≤W2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기재는 후술하는 광확산층을 겸하고 있어도 된다. 도 4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투명 기재(2)가 광확산층(5)을 겸하고 있음으로써 액정 패널이나 백라이트 유닛에 의한 표시 결함을 시인하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투명 기재가 광확산층을 겸하는 경우, 투명 기재는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또한 관찰측 및/또는 액정 패널측의 표면에 요철을 갖고 있어도 된다.
표면에 요철을 갖는 투명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불투명 유리나, 유리 기재상에 수지로 이루어지는 요철이 형성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불투명 유리의 제작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샌드블라스트 가공, 프로스트 가공, 엠보스 가공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유리 기재상에 수지로 이루어지는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요철 부형 수지의 코팅 가공, 표면에 요철을 갖는 필름을 접합하는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투명 기재가 광확산층을 겸하는 경우, 광확산층에 대해서는 후술하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투명 기재는 띠 형상의 투과부와 차광부가 교대로 배열된 것이어도 된다. 즉, 투명 기재가 후술하는 루버층을 겸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투명 기재가 루버층을 겸하는 경우, 루버층에 대해서는 후술하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투명 기재는 파장 400nm 내지 750nm의 범위 내에서의 평균 광흡수율이 1% 내지 30%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즉, 투명 기재가 후술하는 광흡수층을 겸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투명 기재가 광흡수층을 겸하는 경우, 광흡수층에 대해서는 후술하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2. 융착층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융착층은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고 있고, 액정 패널 및 투명 기재를 접착시키는 것이다.
융착층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원하는 온도에서 용융하는 수지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중에서도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은 50℃ 내지 13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20℃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의 범위 내이다. 융점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열 융착시에 액정 패널의 편광판이 열화될 가능성이 있고, 융점이 상기 범위를 만족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완성된 액정 표시 장치를 사용할 때에 주변의 환경에 따라 융착층이 연화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스티렌,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등의 폴리올레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트산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메트)아크릴산과 그의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수지,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접착성이나 광투과성의 점에서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올레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실란 변성 수지 및 산 변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특히, 폴리비닐부티랄,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가 적합하다.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는 접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이고, 폴리비닐부티랄은 투명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융착층이 투명 기재에 접해 있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는 투명 기재를 구성하는 재료와의 굴절률 비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융착층이 액정 패널에 접해 있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는 액정 패널의 최표면의 부재(예를 들어, 기능성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와의 굴절률 비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기재 또는 액정 패널 계면에서의 반사를 줄여 미광의 발생을 억제하고, 해상도나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융착층은 광 안정화제, 자외선 흡수제, 열 안정제, 산화 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 첨가제를 포함함으로써 장기에 걸쳐 안정된 기계 강도, 황변 방지, 균열 방지, 우수한 가공 적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융착층은 또한 가교제, 분산제, 레벨링제, 가소제, 소포제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융착층이 가교제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가열 융착 후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융착층은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즉, 융착층이 열가소성 수지에 광확산 입자가 분산된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융착층이 후술하는 광확산층을 겸할 수 있다. 도 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융착층(3)이 광확산층(5)을 겸하고 있음으로써 액정 패널이나 백라이트 유닛에 의한 표시 결함을 시인하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융착층이 액정 패널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융착층은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여 광확산층을 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융착층이 광확산층을 겸하는 경우, 광확산층에 대해서는 후술하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융착층은 띠 형상의 투과부와 차광부가 교대로 배열된 것이어도 된다. 즉, 융착층이 후술하는 루버층을 겸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융착층이 루버층을 겸하는 경우, 루버층에 대해서는 후술하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융착층은 파장 400nm 내지 750nm의 범위 내에서의 평균 광흡수율이 1% 내지 30%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즉, 융착층이 후술하는 광흡수층을 겸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융착층이 광흡수층을 겸하는 경우, 광흡수층에 대해서는 후술하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융착층의 두께는 원하는 접착력을 발현할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정된다. 구체적으로, 융착층의 두께로서는 0.05mm 내지 0.5m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mm 내지 0.3mm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0.1mm 내지 0.3mm의 범위 내이다. 융착층의 두께가 얇으면 원하는 접착력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고, 또한 융착층의 두께가 두꺼우면 융착층에 의해 층간 접착 강도를 충분히 발현시키기 위해서 과잉된 가열이 필요해져, 액정 패널이나 투명 기재로의 열 손상이 커질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액정 패널 및 투명 기재를 융착층을 개재하여 접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를 시트 형상 혹은 필름 형상으로 성형하고, 시트 형상 혹은 필름 형상의 융착층을 통하여 액정 패널과 투명 기재를 라미네이트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를 시트 형상 혹은 필름 형상으로 성형하는 방법으로서는, 균일한 두께의 시트 형상 혹은 필름 형상의 융착층을 제작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수지 시트 혹은 수지 필름의 제막 방법, 예를 들어 용액 제막 방법이나 용융 제막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접합시키기 전의 시트 형상 혹은 필름 형상의 융착층은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융착층으로서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시트 형상 혹은 필름 형상의 융착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 형상 혹은 필름 형상의 융착층의 표면에 요철 형상이 있으면, 액정 패널 및 투명 기재의 접합시에 혼입되는 기포를 방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요철 형상으로서는 액정 패널 및 투명 기재의 접합시에 혼입되는 기포를 방출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점 평균 거칠기(Rz)가 0.2μ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10점 평균 거칠기(Rz)가 상기 범위이면 액정 패널 및 투명 기재의 접합시의 거품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컷오프값은 0.8mm인 것이 바람직하다.
3. 제2 융착층
본 발명에 있어서, 액정 패널의 관찰측에 후술하는 광확산층, 루버층, 광흡수층 등의 기능층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액정 패널과 융착층 사이에,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제2 융착층과 상기의 기능층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20)의 관찰측(10)에 광확산층(5)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액정 패널(20)의 관찰측(10)의 표면에 제2 융착층(6)과 광확산층(5)과 융착층(3)과 투명 기재(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고, 액정 패널(20) 및 광확산층(5)이 제2 융착층(6)을 개재하여 접합되고, 광확산층(5) 및 투명 기재(2)가 융착층(3)을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20)의 관찰측(10)에 루버층(7)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액정 패널(20)의 관찰측(10)의 표면에 제2 융착층(6)과 루버층(7)과 융착층(3)과 투명 기재(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고, 액정 패널(20) 및 루버층(7)이 제2 융착층(6)을 개재하여 접합되고, 루버층(7) 및 투명 기재(2)가 융착층(3)을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20)의 관찰측(10)에 광흡수층(8)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액정 패널(20)의 관찰측(10)의 표면에 제2 융착층(6)과 광흡수층(8)과 융착층(3)과 투명 기재(2)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고, 액정 패널(20) 및 광흡수층(8)이 제2 융착층(6)을 개재하여 접합되고, 광흡수층(8) 및 투명 기재(2)가 융착층(3)을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융착층 및 제2 융착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를 시트 형상 혹은 필름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고, 시트 형상 혹은 필름 형상의 융착층 및 제2 융착층을 사용하여 표시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간편한 방법으로 액정 패널과 상기의 기능층과 투명 기재를 접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융착층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상기 융착층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와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도 3, 도 6 및 도 8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융착층(6)이 광확산층(5)에 접해 있는 경우이며 또한 광확산층(5)이 제2 융착층(6)측의 표면에 요철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제2 융착층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의 굴절률이 광확산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굴절률과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고, 제2 융착층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와 광확산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굴절률 비가 큰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융착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와 광확산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굴절률 비가 클수록 광확산층이 갖는 요철면에 의한 광확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굴절률 비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광확산층의 항에 기재하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 융착층이 광확산층에 접해 있는 경우이며 또한 광확산층이 제2 융착층측의 표면에 요철을 갖고 있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에는 굴절률을 조정하기 위해서 평균 입경이 1nm 내지 300nm의 범위 내인 고굴절률 초미립자 또는 저굴절률 초미립자가 함유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의 굴절률을 조정함으로써 제2 융착층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와 광확산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굴절률 비를 크게 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광확산층 표면의 요철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광을 확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고굴절률 초미립자 및 저굴절률 초미립자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광확산층의 항에 기재하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 융착층이 액정 패널에 접해 있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는 액정 패널의 최표면의 부재(예를 들어, 기능성 필름)를 구성하는 재료와의 굴절률 비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융착층은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즉, 제2 융착층이 열가소성 수지에 광확산 입자가 분산된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제2 융착층이 후술하는 광확산층을 겸할 수 있다. 도 5 및 도 7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융착층(6)이 광확산층(5)을 겸하고 있음으로써 액정 패널이나 백라이트 유닛에 의한 표시 결함을 시인하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융착층이 액정 패널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융착층은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고 광확산층을 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융착층이 광확산층을 겸하는 경우, 광확산층에 대해서는 후술하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융착층의 배치로서는 액정 패널과 융착층의 사이이며, 통상 액정 패널의 바로 위에 배치된다. 제2 융착층과 융착층의 사이에는 광확산층, 루버층, 광흡수층 등의 기능층이 배치된다.
제2 융착층의 두께로서는 상기 융착층의 두께와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도 3, 도 6 및 도 8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융착층(6)이 광확산층(5)에 접하고 있는 경우이며, 광확산층(5)이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고, 이 광확산 입자에 의한 요철을 표면에 갖고 있는 경우에는, 광확산층 표면의 요철에 의한 확산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광확산 입자에 의해 발생하는 광확산층 표면의 요철보다 제2 융착층의 두께가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융착층의 형성 방법 및 그 밖의 점에 대해서는 상기 융착층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4. 광확산층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액정 패널의 관찰측에 광확산층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패널에 투명 기재를 융착층을 개재하여 접합시킴으로써 액정 패널이나 백라이트 유닛에 의한 색 불균일이나 휘도 불균일 등의 표시 결함이 시인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지만, 액정 패널의 관찰측에 광확산층이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표시 결함을 시인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광확산층으로서는 바인더에 광확산 입자가 분산된 것(이하, 입자 확산이라고 한다)이나, 층 표면에 요철을 갖는 것(이하, 계면 확산이라고 한다)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광확산층은 입자 확산 및/또는 계면 확산에 의한 내부 확산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입자 확산 및 계면 확산의 양쪽에 의한 내부 확산 기능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입자 확산 및 계면 확산의 양쪽에 의한 내부 확산 기능을 갖는 광확산층은 도 9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바인더(5a)에 광확산 입자(5b)가 분산되고, 표면에 요철을 갖는 광확산층(5)이다. 또한, 도 9에서 15는 광확산층(5)에 접하는 임의의 층을 나타낸다.
입자 확산은 번쩍거림(신틸레이션)의 방지에 효과를 발휘하지만, 표시 결함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광확산성을 입자 확산에만 의존하여 바인더와 광확산 입자의 굴절률 비를 크게 하면, 백화로 의한 콘트라스트의 저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계면 확산에서는 요철의 경사각을 입자(입자는 0도 내지 90도의 경사각을 갖는다)에 비해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요철 계면에서의 굴절률 비(광확산층과 광확산층에 접하는 층의 굴절률 비)가 커도 백화는 그만큼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계면 확산만으로는 번쩍거림(신틸레이션)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입자 확산 및 계면 확산의 양쪽의 기능을 분리시켜서, 계면 확산에 의해 표시 결함을 방지하고, 입자 확산에 의해 번쩍거림을 방지함으로써 양호한 화질을 실현할 수 있다.
입자 확산의 경우, 광확산 입자와 바인더의 굴절률 비로서는 광확산 입자 및 바인더의 굴절률이 상이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중에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입자는 0도 내지 90도의 경사각을 갖고 있기 때문에, 광확산 입자와 바인더의 굴절률 비가 크면 백화로 인한 콘트라스트의 저하가 발생할 경우가 있으므로, 광확산 입자 및 바인더의 굴절률의 차는 0은 아니지만, 광확산 입자와 바인더의 굴절률 비는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광확산층이 입자 확산 및 계면 확산의 양쪽에 의한 내부 확산 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광확산 입자와 바인더의 굴절률 비를 가능한 한 작게 함으로써 번쩍거림을 방지하면서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광확산 입자 및 바인더 중 굴절률이 작은 것에 대한 굴절률이 큰 것의 비율이 1.000 초과 1.02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 초과 1.010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0 초과 1.005 미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광확산 입자 및 바인더의 굴절률은 각각 사용하는 재료의 문헌값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광확산 입자 및 바인더의 각각의 굴절률로서는, 상술한 굴절률 비를 만족하고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확산 입자의 굴절률은 바인더의 굴절률보다 높아도 되고 낮아도 된다.
한편, 계면 확산의 경우, 광확산층을 구성하는 재료와 광확산층에 접하는 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굴절률 비로서는, 광확산층을 구성하는 재료 및 광확산층에 접하는 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굴절률이 상이하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중에서도 광확산층을 구성하는 재료와 광확산층에 접하는 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굴절률 비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광확산층을 구성하는 재료와 광확산층에 접하는 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굴절률 비가 클수록 광확산층 표면의 요철에 의한 광확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광확산층이 입자 확산 및 계면 확산의 양쪽에 의한 내부 확산 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광확산층을 구성하는 재료와 광확산층에 접하는 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굴절률 비를 크게 함으로써 표시 결함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광확산층을 구성하는 재료 및 광확산층에 접하는 층을 구성하는 재료 중 굴절률이 작은 것에 대한 굴절률이 큰 것의 비율이 1.010 이상 1.300 미만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020 이상 1.250 미만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30 이상 1.200 미만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굴절률 비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요철에 의한 확산이 작으므로 불균일의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상기 범위 이상에서는 요철면에서의 외광 반사로 인해 콘트라스트가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굴절률은 각각 사용하는 재료의 문헌값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광확산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굴절률이란, 광확산층이 광확산 입자와 바인더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바인더의 굴절률을 말하고, 광확산층이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는 광확산층의 구성 재료의 굴절률을 말한다.
여기서, 계면 확산의 경우, 광확산층(5)에 접하는 층으로서는 융착층(3)(도 3), 제2 융착층(6)(도 3, 도 6, 도 8), 광흡수층(8)(도 7, 도 8) 등을 들 수 있다. 융착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굴절률이란, 융착층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의 굴절률을 말한다. 마찬가지로, 제2 융착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굴절률이란, 제2 융착층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의 굴절률을 말한다.
계면 확산의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중상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광확산층은 액정 패널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점에서, 광확산층의 양측에 임의의 층이 접해 있는 경우에는 광확산층을 구성하는 재료와 광확산층의 액정 패널측에 접하는 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굴절률 비가 상술한 굴절률 비를 만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확산층(5)이 융착층(3) 및 제2 융착층(6)에 접해 있는 경우에는, 광확산층(5)의 액정 패널(20)측에 제2 융착층(6)이 접해 있는 점에서, 광확산층을 구성하는 재료와 제2 융착층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의 굴절률 비가 상술한 굴절률 비를 만족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광확산층(5)이 광흡수층(8) 및 제2 융착층(6)에 접해 있는 경우에는, 광확산층을 구성하는 재료와 제2 융착층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의 굴절률 비가 상술한 굴절률 비를 만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확산층을 구성하는 재료 및 광확산층에 접하는 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각각의 굴절률로서는, 상기의 굴절률 비를 만족하고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확산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굴절률은 광확산층에 접하는 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굴절률보다 높아도 되고 낮아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투명 기재가 광확산층을 겸하고 있어도 되고, 융착층이 광확산층을 겸하고 있어도 되고, 제2 융착층이 광확산층을 겸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투명 기재, 융착층, 제2 융착층과는 달리 광확산층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액정 패널의 바로 위에 융착층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융착층(3)이 광확산층(5)을 겸하고 있어도 되고, 도 3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투명 기재(2)가 광확산층(5)을 겸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액정 패널의 바로 위에 제2 융착층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5 및 도 7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융착층(6)이 광확산층(5)을 겸하고 있어도 되고, 도 6 및 도 8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광확산층(5)이 별도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융착층이 광확산층을 겸하고 있어도 되며, 투명 기재가 광확산층을 겸하고 있어도 된다.
투명 기재가 광확산층을 겸하는 경우, 입자 확산 및 계면 확산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융착층이나 제2 융착층이 광확산층을 겸하는 경우, 액정 패널 및 투명 기재를 접합시킬 때에 융착층 및 제2 융착층은 용융하는 것으로부터 입자 확산만을 적용할 수 있다.
광확산층이 바인더에 광확산 입자가 분산된 것인 경우이며, 융착층이나 제2 융착층이 광확산층을 겸하는 경우에는, 바인더는 융착층이나 제2 융착층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가 된다. 또한, 투명 기재가 광확산층을 겸하는 경우에는, 바인더는 투명 기재에 함유되는 유리나 수지가 된다. 또한, 광확산층이 투명 기재, 융착층, 제2 융착층 등과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바인더는 광확산층에 함유되는 수지가 된다.
또한, 융착층이나 제2 융착층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 투명 기재에 함유되는 유리나 수지에 대해서는 상기의 융착층, 제2 융착층, 투명 기재의 항에 기재했으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광확산층이 투명 기재, 융착층, 제2 융착층 등과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의 광확산층에 함유되는 수지로서는, 투명성을 갖고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아크릴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에틸렌 수지, 스티렌 수지, 페놀 수지, 이미드 수지, 에폭시 수지, 아미노 수지, 우레탄 수지, 비닐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및 상술한 수지의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확산층이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서도 광확산층에는 이들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광확산층이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는 경우, 상술한 바인더에는 굴절률을 조정하기 위해서 평균 입경이 1nm 내지 300nm의 범위 내인 고굴절률 초미립자 또는 저굴절률 초미립자가 함유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광확산층이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 상술한 수지에는 마찬가지로 상술한 고굴절률 초미립자 또는 저굴절률 초미립자가 함유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고굴절률 초미립자로서는 ZnO(굴절률 1.90), TiO2(굴절률 2.3 내지 2.7), CeO2(굴절률 1.95), Sb2O5(굴절률 1.71), SnO2, ITO(굴절률 1.95), Y2O3(굴절률 1.87), La2O3(굴절률 1.95), ZrO2(굴절률 2.05), Al2O3(굴절률 1.63) 등을 들 수 있다. 저굴절률 초미립자로서는 실리카 미립자, 중공 실리카 미립자, 불화마그네슘, 불화리튬, 불화알루미늄, 불화칼슘, 불화나트륨 등의 불화물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확산의 경우에는, 바인더나 수지의 굴절률을 조정함으로써 광확산층에 함유되는 바인더나 수지와 광확산층에 접하는 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굴절률 비를 크게 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광확산층 표면의 요철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광을 확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입자 확산 및 계면 확산의 양쪽의 경우에는, 바인더의 굴절률을 조정함으로써 바인더와 광확산 입자의 굴절률 비를 작게 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번쩍거림을 방지하면서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광확산 입자로서는, 바인더와 굴절률이 상이하고, 투명성을 갖고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인더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다. 구체적으로는, 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등의 무기 입자,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디비닐벤젠계 수지, 벤조구아나민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아크릴-스티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 등의 유기 입자, 혹은 이것들의 2종 이상의 혼합계 등의 입자를 들 수 있다.
또한, 광확산 입자의 평균 입경으로서는, 광확산층이 입자 확산 및 계면 확산의 양쪽에 의한 내부 확산 기능을 가질 경우, 광확산층의 두께를 1로 했을 때, 광확산 입자의 평균 입경의 하한은 0.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6 이상, 특히 0.8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확산층 표면에 의해 확실하게 요철 표면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광확산층의 두께를 1로 했을 때, 광확산 입자의 평균 입경의 상한은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액정 패널 및 투명 기재의 접합 과정에서의 기포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구체적으로, 광확산 입자의 평균 입경은 0.5μm 내지 15μ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0μm 내지 10μm의 범위 내, 특히 2μm 내지 8μ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경이 상기 범위보다 작으면 입자 확산이 뒤떨어지고, 상기 범위보다 크면 번쩍거림 방지 효과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평균 입경은 개개의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경우에는 1차 입자 직경을 의미하고, 개개의 입자가 응집되어 있는 경우에는 2차 입자 직경을 의미한다.
여기서, 평균 입경이란, 일반적으로 입자의 입도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며, 광산란법이나 전자 현미경 사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레이저법으로 측정한 값으로 한다. 레이저법이란, 입자를 용매중에 분산시키고, 그 분산 용매에 레이저 광선을 쏘아서 얻어진 산란광을 잘게 하여 연산함으로써 평균 입경, 입도 분포 등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또한, 상기 평균 입경은 레이저법에 의한 입경 측정기로서, 리즈 앤 노스럽(Leeds & Northrup)사 제조의 입도 분석계 마이크로 트랙 UPA Model-9230을 사용하여 측정한 값이다.
광확산 입자의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차 입자 직경이 0.5μm 이상인 입자의 경우에는 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정형이면 외광 반사가 강해져서 콘트라스트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또한 미광의 발생으로 인해 선명함이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액정 패널의 관찰측 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의 투영면에 있어서, 광확산층에 포함되는 광확산 입자의 면내 투영 면적의 총합이 전체의 8% 내지 63%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5% 내지 53%의 범위 내, 특히 23% 내지 42%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확산층에 포함되는 광확산 입자의 면내 투영 면적의 총합이 지나치게 적으면, 광확산층에 입사하는 광선의 광확산 입자에 충돌하는 확률이 지나치게 낮아지므로 번쩍거림의 방지에 충분한 광확산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광확산층에 포함되는 광확산 입자의 면내 투영 면적의 총합이 지나치게 많으면, 광확산 입자에 의한 외광 반사로 콘트라스트의 저하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한, 광확산층에 포함되는 광확산 입자의 면내 투영 면적은 광확산층의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으로 측정할 수 있다.
광확산층 중의 광확산 입자의 함유량으로서는, 광을 확산시키는 것이 가능한 양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사된 광이 광확산 입자에 충돌하는 확률은 광확산층의 두께에 의존하므로, 상기의 광확산층에 포함되는 광확산 입자의 면내 투영 면적의 총합을 얻기 위한 광확산 입자의 바람직한 함유량도 광확산층의 두께에 의존하게 된다. 그러므로, 광확산층 중의 광확산 입자의 함유량은 광확산층의 두께를 T(μm)라고 했을 때, 광확산층 중의 바인더 100중량부당 32/T중량부 내지 375/T중량부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63/T중량부 내지 312/T중량부의 범위 내, 특히 94/T중량부 내지 250/T중량부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광확산층의 정투과 강도를 Q, 정투과±2도 및 정투과±1도에서의 투과 강도를 연결하는 직선을 정투과 각도에 외삽한 투과 강도를 U라고 했을 때,
2<Q/U<22
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광확산층 중의 광확산 입자의 함유량, 광확산 입자의 입경, 광확산 입자와 바인더의 굴절비, 광확산층 표면의 요철, 광확산층을 구성하는 재료와 광확산층에 접하는 층의 구성하는 재료의 굴절률 비, 광확산 입자와 광확산 표면의 요철의 위치 관계는 상기 식을 만족시키도록 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표시 불균일의 억제 및 흑채감의 향상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Q/U가 상기 범위인 것은 콘트라스트가 높고 번쩍거림이 적은 우수한 화상이 된다. 또한, 이 이유는 영상광이 작은 확산을 적절하게 갖게 하면서 광확산 입자 및 계면 요철에 의해 발생하는 미광 성분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즉, (a)투과 확산이 작은(정투과 강도가 높은) 것, (b)큰 확산을 감소시키고, (c)정투과 근방의 확산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여기서, 등방 확산의 경우의 정투과 근방의 확산 강도에 대해서 고찰한다.
확산 강도는 확산 투과 강도 분포가 상이한 층을 적층하면, 0도에 가까울수록 확산 투과 강도의 감소 비율은 크므로, 정투과 강도(Q)를 작게 하면 정투과 각도 근방의 확산 강도는 커진다. 또한, 광확산 입자 및 계면 요철의 분포가 성긴 경우에는, 확산 특성의 강도 분포는 상기 확산 요소에 의한 확산 강도 분포와, 상기 광확산 입자 및 계면 요철의 양자 모두에 존재하지 않고, 정투과만의 강도를 갖는 2개의 강도 분포의 합이 된다. 이 강도 분포는 ±1도 및 ±2도의 강도의 기울기를 정투과 각도에 외삽했을 때의 강도를 가상 정투과 강도(U)라고 했을 때, U는 확산 요소에 의한 확산 특성의 정투과를 근사한 것이 되고, Q/U는 「확산 요소를 갖지 않는 부분(Q)」과 「확산 요소 부분의 정투과 강도(U)」의 비율, 즉 정투과 근방의 확산 상태의 척도가 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미소 편각 휘도계로 정투과±45도의 범위에서 투과 강도를 1도마다 측정하여 Q 및 U를 산출할 수 있다.
광확산층의 두께로서는, 액정 패널의 횡방향의 화소 피치를 P, 광확산층의 두께를 T라고 했을 때,
T<P/2
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확산층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이중상이 발생하여 화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광확산층의 두께가 상기 식을 만족시킬 경우에는 시야각 ±60도에서 이중상이 관찰되기 어려워진다. 구체적으로, 20인치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광확산층의 두께는 50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확산층의 두께란, 광확산층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액정 패널의 가장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는 광확산층의 두께를 말한다.
광확산층의 배치로서는 액정 패널의 관찰측이면 되며, 적절하게 선택된다. 투명 기재, 융착층 또는 제2 융착층이 광확산층을 겸하는 경우, 광확산층의 배치는 각각의 층의 배치가 된다. 광확산층이 투명 기재, 융착층, 제2 융착층과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 광확산층은 융착층 및 제2 융착층 사이에 배치된다. 그 중에서도 도 2, 도 5 및 도 7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광확산층(5)은 액정 패널(20)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융착층(3) 또는 제2 융착층(6)이 광확산층(5)을 겸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액정 패널에는 그의 최표면에 광확산 필름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 점에서, 액정 패널 및 광확산층 사이의 거리가 길면, 광확산층과 액정 패널이 갖는 광확산 필름에 의해 이중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광확산층이 액정 패널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으면, 액정 패널 및 광확산층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고, 이중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액정 패널 및 광확산층 사이의 거리란, 광확산층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액정 패널의 관찰측 면과 액정 패널의 가장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는 광확산층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5. 루버층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액정 패널의 관찰측에 띠 형상의 투과부와 차광부가 교대로 배열된 루버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루버층은 띠 형상의 투과부 및 차광부가 일정 간격으로 교대로 배치된 것이며, 일정 입사 각도 이상의 입사광은 차광부에 입사하여 흡수되고 투과시킬 수 없게 되는 것이고, 루버층의 두께와 차광부간의 간격과 루버층 표면에 대한 차광부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서 소정 범위의 입사 각도의 광만을 투과시킨다. 따라서, 루버층에 의해 표시 광을 차단하지 않고 입사각이 큰 외광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비스듬한 외광이 루버층의 차광부에서 차단되고, 표시면에서 반사되는 외광의 양이 감소하므로 정면 방향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루버층으로서는 띠 형상의 투과부와 차광부가 교대로 배열된 것이면 되고, 일반적인 루버층을 사용할 수 있다.
액정 패널에 대한 루버층의 투과부 및 차광부의 배치로서는 사용하는 루버층의 특성에 맞춰서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좌우 방향의 확산을 상하 방향의 확산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3M사 제조의 루버에서는 투명층과 차광층이 병행으로 배열되어 있고 광확산 기능을 갖고 있지 않으므로, 투명층(차광층)이 액정 패널의 좌우 방향이 되도록 루버층의 투과부 및 차광부를 액정 패널의 좌우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표시 장치의 좌우 방향의 화각을 좁게 하지 않고 루버층에 의해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루버에서는 투명 필름상에 웨지 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의 차광층이 형성되고, 차광부의 사이가 투명 수지로 충전되어 있고, 웨지 또는 사다리꼴의 사변에 의한 광확산 기능을 가지므로, 차광층이 액정 패널 상하 방향이 되도록 루버층의 투과부 및 차광부를 액정 패널의 상하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면서 액정 표시 장치의 좌우 방향의 화각을 보다 넓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집광 기능을 갖는 루버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집광하여 정면 휘도를 높이도록 루버층의 투과부 및 차광부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변형예로서는, 루버층의 차광부가 기울어지도록 배치하여 투과(차광)하는 각도를 상하(좌우)에서 다르게 하고, 모니터링 범위를 보다 크게 하고 싶은 방향에 합치하도록(예를 들어, 텔레비전의 경우에서는 상방향으로의 시야각은 넓게 하방향의 시야각은 좁게 한다)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루버층이 확산 기능을 갖지 않을 경우에는, 루버층의 관찰측 면의 법선 방향에 대한 루버층의 투과부로부터 출사될 수 있는 광의 최대 각도가 45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최대 각도가 45도 이상이 되도록 루버층의 두께와 차광부간의 간격과 루버층 표면에 대한 차광부가 이루는 각도가 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광을 흡수할 수 있는 동시에 액정 표시 장치의 상하 방향의 통상 모니터링 영역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최대 각도가 상기 범위이라면, 액정 패널을 구성하는 편광판에 의한 광 누설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광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루버층의 두께로서는 상기 최대 각도를 소정의 범위로 할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루버층의 배치로서는 액정 패널의 관찰측이면 되지만, 그 중에서도 광확산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광확산층의 관찰측에 루버층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확산층에 입사하는 외광을 줄임으로써 광확산층에 의한 반사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광확산층에 의해 발생하는 영상광의 미광 성분이 흡수되므로 콘트라스트의 향상에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투명 기재가 루버층을 겸하고 있어도 되고, 융착층이나 제2 융착층이 루버층을 겸하고 있어도 되고, 또한 투명 기재, 융착층, 제2 융착층과는 별도로 루버층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루버층은 투명 기재, 융착층, 제2 융착층과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루버 기능을 갖는 투명 기재는 고가이기 때문이다.
6. 광흡수층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액정 패널의 관찰측에 파장 400nm 내지 750nm의 범위 내에서의 평균 광흡수율이 1% 내지 30%의 범위 내인 광흡수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콘트라스트나 화상의 선명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영상광의 파장을 투과시키고 다른 가시광 영역의 파장을 흡수하는 바와 같은 특정 파장의 외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염료나 안료를 사용한 광흡수층으로 함으로써, 영상광의 밝기를 유지하면서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광확산층의 관찰측에 광흡수층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외광이 광흡수층에 의해 흡수되고, 광확산층에 입사하는 광량이 감소함과 동시에 광확산층에 의해 반사되는 외광이 다시 광흡수층에서 흡수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광흡수층은 파장 400nm 내지 750nm의 범위 내에서의 평균 광흡수율이 1% 내지 30%의 범위 내이면 되지만, 그 중에서도 4% 내지 25%의 범위 내, 특히 5% 내지 2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광흡수율이 상기 범위보다 작으면 외광의 흡수에 의한 콘트라스트의 향상 효과가 낮고, 평균 광흡수율이 상기 범위보다 크면 영상광의 흡수에 의한 화상의 휘도 저하가 지나치게 크기 때문이다. 평균 광흡수율이 4% 내지 25%의 범위 내, 특히 5% 내지 20%의 범위 내이면, 상기의 작용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균 광흡수율은, 예를 들어 분광 투과율계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광흡수층은 액정 표시 장치로부터 영사되는 영상광의 발광 파장에 대응하는 파장의 광흡수율이 낮고(투과율이 높고), 그 이외의 파장에서의 광흡수율은 높은(투과율은 낮은), 소위 선택 흡수 기능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광흡수층은 영상광 자체가 갖는 소정의 파장 이외의 파장을 흡수하는 선택 흡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광은 모든 파장을 갖고 있고, 영상광은 특정한 파장(예를 들어, 광의 삼원색인 적, 녹, 청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만을 갖고 있으므로, 광흡수층이 선택 흡수 기능을 가짐으로써 광흡수층에 의한 영상광의 감쇠를 억제하고, 외광의 흡수를 증대시킴으로써 보다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광흡수층이 선택 흡수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가 파장이 상이한 LED 광원인 것이 바람직하고, LED 광원의 발광 파장에 동기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필드 시퀀셜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를 LED를 사용한 필드 시퀀셜 방식으로 구동하는 경우에는, 광흡수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일 파장인 LED 광원은 광흡수층에 의한 선택 흡수의 파장의 영역을 넓힐 수 있고, LED를 사용한 필드 시퀀셜 방식으로 컬러 필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영상광 자체가 소정의 파장을 갖는 것이 되므로, 광흡수층에 의한 선택 흡수의 파장의 영역을 보다 넓힐 수 있다. 이 경우, 콘트라스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광흡수층의 재료로서는 상기 평균 광흡수율을 만족시키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아닐린 블랙 등의 흑색 염료;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램프 블랙, 미네랄 블랙 등의 흑색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선택 투과성을 갖는 재료로서는, 영상광의 파장 중 휘도가 높은 범위의 파장의 광에 대해서는 높은 투과율을 나타내고 다른 파장의 광에 대해서는 낮은 투과율을 나타내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크산텐계 염료, 안트라퀴논계 염료, 프탈로시아닌계 염료, 트리페놀메탄계 염료, 아조계 염료, 인디고이드계 염료, 카르보늄 이온계 염료 및 안료, 네오듐 등의 금속 킬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재료는 혼합하여 사용해도 되고, 적층하여 사용해도 된다.
광흡수층의 두께로서는 상기 평균 광흡수율을 만족시키고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흡수층의 배치로서는 액정 패널의 관찰측이면 되지만, 그 중에서도 광확산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광확산층의 관찰측에 광흡수층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광이 광흡수층에 의해 흡수되어 광확산층에 입사하는 광량이 감소함과 동시에 광확산층에 의해 반사되는 외광이 다시 광흡수층에서 흡수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투명 기재가 광흡수층을 겸하고 있어도 되고, 융착층이나 제2 융착층이 광흡수층을 겸하고 있어도 되고, 또한 투명 기재, 융착층, 제2 융착층과는 별도로 광흡수층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7. 액정 패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은 그의 관찰측 면에 투명 기재가 융착층을 개재하여 접합되는 것이다.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패널(20)은 액정 셀(21)과, 액정 셀(21)의 관찰측(10)에 배치된 관찰측 편광판(22a)과, 액정 셀(21)의 배면에 배치된 배면 편광판(22b)과, 관찰측 편광판(22a)의 관찰측(10)에 배치된 방현성 필름이나 반사 방지 필름 등의 기능성 필름(23)을 갖고 있다. 액정 셀(21)은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한 쌍의 지지판과, 지지판 사이에 끼움 지지된 액정과,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는 배향막과, 액정 분자의 배향을 전장에 의해 제어하는 전극과, 컬러 필터를 갖고 있다.
또한, 액정 패널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액정 패널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8. 그 밖의 부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광확산층, 루버층, 광흡수층 등의 기능층 이외에도 액정 패널에 관찰측에 임의의 기능을 갖는 기능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액정 패널과 투명 기재 사이에 내충격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25℃, 1000Hz 내지 10000Hz의 조건 하에서의 동적 저장 탄성률이 9×104Pa 내지 4×106Pa의 범위 내인 충격 흡수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충격 흡수층은 상술한 부재가 겸하고 있어도 되고, 새롭게 설치되는 층이어도 된다.
상술한 부재가 충격 흡수층을 겸하고 있는 경우에는 쌍극자 모멘트를 크게 하는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충격 흡수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쌍극자 모멘트를 크게 하는 화합물로서는, N,N-디시클로헥실벤조티아질-2-술펜아미드(DCHBSA), 2-머캅토벤조티아졸(MBT), 디벤조티아질술피드(MBTS), N-시클로헥실벤조티아질-2-술펜아미드(CBS), N-tert-부틸벤조티아질-2-술펜아미드(BBS), N-옥시디에틸렌벤조티아질-2-술펜아미드(OBS), N,N-디이소프로필벤조티아질-2-술펜아미드(DPBS) 등의 머캅토벤조티아질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벤젠환에 아졸기가 결합된 벤조트리아졸을 모핵으로 하고, 이것에 페닐기가 결합된 2-{2'-하이드록시-3'-(3",4",5",6" 테트라하이드로프탈이미드메틸)-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2HPMMB),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2HMPB), 2-{2'-하이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2HBMPCB), 2-{2'-하이드록시-3',5'-디-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2HDBPCB) 등의 벤조트리아졸기를 갖는 화합물, 혹은 에틸-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등의 디페닐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각종 기능층을 임의로 조합시켜도 된다.
9.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액정 패널과 시트 형상 혹은 필름 형상의 융착층과 투명 기재를 가열 압착시키는 라미네이션법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 품질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간편한 방법으로 내충격성이 우수한 액정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1)의 경우, 액정 패널(20)과 시트 형상 혹은 필름 형상의 융착층(3)과 투명 기재(2)를 순서대로 적층하고, 이것들을 가열 압착시킴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도 3에 예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1)의 경우, 액정 패널(20)과 시트 형상 혹은 필름 형상의 제2 융착층(6)과 광확산층(5)과 시트 형상 혹은 필름 형상의 융착층(3)과 투명 기재(2)를 순서대로 적층하고, 이것들을 가열 압착시킴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융착층과 각종 기능층이 적층되어 있는 경우에는, 융착층과 각종 기능층의 적층체를 미리 제작한 후에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수를 줄임으로써 파손 등으로 인한 고가의 액정 표시 장치의 손실을 저감시키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 형태는 예시이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고,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어떠한 것이어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1)열가소성 수지의 조제
아세트산 비닐 함유량:28중량%, MFR:15g/10분의 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에 실란 커플링제(메타크릴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를 0.3중량부 첨가하고, 또한 산화 방지제를 0.2중량부 첨가하고 혼련하여 열가소성 수지를 얻었다.
(2)융착 필름의 제조
상기의 열가소성 수지를 150mmφ 압출기, 1000mm 폭의 T 다이스를 갖는 필름 성형기를 사용하고, 수지 온도:90℃, 인수 속도:5m/min으로 두께 300μm의 필름 형상의 융착층을 얻었다.
(3)유리 기재/융착 필름/액정 패널의 접합
상기 융착 필름을 유리 기재(922mm×542mm)와 횡방향의 화소 피치:0.2mm의 액정 패널(920mm×540mm) 사이에, 액정 패널이 유리 기재의 주변부보다 내측이 되도록 하여 끼워 넣고, 진공 라미네이트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구체적인 제작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우선 라미네이터 상에 설치한 박리 시트 위에 청판 유리(두께:3mm), 상기 융착 필름(두께:300μm), 상기 액정 패널, 박리 시트를 순서대로 적층했다. 이어서, 라미네이터를 90℃의 설정 온도로 설정하고, 덮개를 내린 후, 샘플을 진공 배기시켜 70℃까지 승온시키고, 승온 후, 상부 챔버의 압력을 30KPa로 설정하고, 진공 라미네이터의 상부/하부 챔버 사이의 다이어프램 시트로 프레스한 채, 5분간 보유 지지하고, 마지막에 상부/하부 챔버 모두 대기 개방을 행함으로써 유리 기재/융착 필름/액정 패널의 적층체를 안쪽 치수법 922mm×542mm의 프레임에 주변부를 고정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실시예 2]
(1)열가소성 수지의 조제
아세트산 비닐 함유량:10중량%, MFR:25g/10분의 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에 실란 커플링제(메타크릴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를 0.3중량부 첨가하고, 또한 산화 방지제를 0.2중량부 첨가하고 혼련하여 굴절률:1.462의 열가소성 수지를 얻었다.
(2)융착 필름의 제조
상기의 열가소성 수지를 150mmφ 압출기, 1000mm 폭의 T 다이스를 갖는 필름 성형기를 사용하고, 수지 온도:120℃, 인수 속도:30m/min으로 두께 50μm의 필름 형상의 융착층을 얻었다.
(3)융착 필름/광확산층이 부착된 필름/융착 필름의 제조
우선, UV 경화성 수지(굴절률:1.520) 100중량부에 대하여 입경:4μm의 아크릴스티렌 비즈(굴절률:1.520) 27.5중량부를 첨가한 광확산층용 수지 조성물을 두께:80μm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의 면에 건조막 두께가 5μm가 되도록 도포하고 경화시켜서 광확산층을 형성했다. 다음에, 광확산층이 부착된 필름의 양면에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을 이용하여 2액 경화형의 에스테르계 수지의 접착제(굴절률:1.462)를 사용하여 상기의 융착 필름(두께:50μm)을 적층하여, 융착 필름/광확산층이 부착된 필름/융착 필름의 적층체를 제작했다.
(4)유리 기재/융착 시트/액정 패널의 접합
실시예 1의 (4)유리 기재/융착 필름/액정 패널의 접합 방법에 따라, 융착 필름 대신에 융착 필름/광확산층이 부착된 필름/융착 필름의 적층체를 사용하여 광확산층이 부착된 필름의 광확산층이 액정 패널측이 되도록 배치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실시예 3]
실시예 2의 광확산층이 부착된 필름의 제작에 있어서, 굴절률:1.525의 아크릴스티렌 비즈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실시예 4]
실시예 2의 광확산층이 부착된 필름의 제작에 있어서, 굴절률:1.558의 아크릴스티렌 비즈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실시예 5]
실시예 2의 광확산층이 부착된 필름의 제작에 있어서, UV 경화성 수지에 입경:4nm의 불화마그네슘 분말을 첨가함으로써 수지의 굴절률을 1.462로 하고, 아크릴스티렌 비즈 대신에 입경:4μm, 굴절률:1.458의 실리콘 비즈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실시예 6]
실시예 2에 있어서,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확산층이 부착된 필름을 제작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우선, 실리콘 본뜨기제를 도포하고 경화시켜서 얻은 광확산층 형성용 표면 요철을 갖는 전사체에 니켈 전기 주조를 2번 행함으로써 실시예 2의 표면 요철의 반대 형상을 갖는 금형을 제작했다. 다음에, 이 금형과 폴리에스테르 필름(두께:80μm) 사이에 UV 경화성 수지(굴절률:1.520) 100중량부에 대하여 입경:4μm, 굴절률:1.525의 아크릴스티렌 비즈 3.2중량부를 첨가한 광확산층용 수지 조성물을 개재시키고, 폴리에스테르 필름측으로부터 UV 조사한 후, 상기 금형으로부터 박리시킴으로써 광확산층의 두께가 5μm인 광확산층이 부착된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7]
실시예 3에 있어서, 아크릴스티렌 비즈의 첨가량을 53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실시예 8]
실시예 2에 있어서,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확산층이 부착된 필름을 제작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두께:150μm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양면에 각각 UV 경화성 수지(굴절률:1.520) 100중량부에 대하여 입경:4μm, 굴절률:1.525의 아크릴스티렌 비즈 13.75중량부를 첨가한 광확산층용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막 두께가 5μm가 되도록 도포하고 경화시켜서 광확산층을 형성했다.
[실시예 9]
실시예 3에 있어서, 광확산층이 부착된 필름의 광확산층에 접하는 융착 필름을 제작할 때에, 열가소성 수지에 평균 광흡수율이 15%가 되도록 카본 안료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실시예 10]
실시예 3에 있어서, 광확산층이 부착된 필름의 광확산층에 접하는 융착 필름을 제작할 때에, 열가소성 수지에 평균 광흡수율이 34%가 되도록 카본 안료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실시예 11]
유리 기재의 크기를 918mm×538mm로 한 것, 및 안쪽 치수법:920mm×540mm의 프레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실시예 12]
실시예 3의 광확산층이 부착된 필름의 제작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대신에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루버 필름(차광층과 직각 방향으로 확산 기능을 갖는다. 두께:80μm)을 사용하여 차광층이 액정 패널의 횡방향으로 신장되도록 배치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실시예 13]
실시예 9의 광확산층이 부착된 필름의 제작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대신에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루버 필름(차광층과 직각 방향으로 확산 기능을 갖는다. 두께:80μm)을 사용하여 차광층이 액정 패널의 종방향으로 신장되도록 배치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실시예 14]
실시예 1에 있어서, 액정 패널을 안쪽 치수법 920mm×540mm의 프레임에 주변부를 고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평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4의 액정 표시 장치의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광확산층에 포함되는 광확산 입자의 면내 투영 면적에 대해서는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평균 광흡수율에 대해서는 분광 투과율계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광확산층의 정투과 강도(Q)와, 정투과±2도 및 정투과±1도에서의 투과 강도를 연결하는 직선을 정투과 각도에 외삽한 투과 강도(U)에 대해서는 미소 편각 휘도계를 이용하여 정투과±45도의 범위에서 투과 강도를 1도마다 측정하여 산출했다.
불균일, 흑채감, 번쩍거림, 이중상, 콘트라스트, 밝기 및 화각에 관해서는 액정 표시 장치를 조도가 약 1,000Lx인 환경 하의 실내에 설치하고, 미디어 팩토리사의 DVD 「오페라의 유령」을 표시하여 액정 표시 장치(액정 텔레비전)로부터 1.5m 내지 2.0m 정도 이격된 장소로부터 상기 영상을 감상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했다. 특히 우수한 경우를 ◎, 우수한 것을 ○, 마음에 걸리지 않는 한계를 △, 마음에 걸리는 경우를 ×라고 했다.
또한, 화상의 흐트러짐에 관해서는 액정 표시 장치의 중앙을 눌렀을 때에 액정 화면의 착색 정도가 변화하는지 아닌지의 관능 평가를 행했다.
Figure 112012071228748-pct00001
1 : 액정 표시 장치
2 : 투명 기재
3 : 융착층
5 : 광확산층
6 : 제2 융착층
7 : 루버층
7a : 투과부
7b : 차광부
8 : 광흡수층
10 : 관찰측
20 : 액정 패널
21 : 액정 셀
22a : 관찰측 편광판
22b : 배면 편광판
23 : 기능성 필름
31 : 백라이트 유닛
32 : 하우징

Claims (34)

  1. 액정 패널의 관찰측 면에, 강성을 갖는 투명 기재가,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융착층을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고,
    상기 융착층의 두께가 0.1mm 내지 0.5mm의 범위 내이며,
    상기 융착층으로서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시트 형상 혹은 필름 형상의 융착층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가 유리 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의 두께가 0.5mm 내지 4mm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삭제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층이 가교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의 관찰측에 광확산층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이 광확산 입자 및 바인더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입자 및 상기 바인더 중 굴절률이 작은 것에 대한 굴절률이 큰 것의 비가 1.000 초과 1.020 미만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이 표면에 요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과 상기 융착층 사이에,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제2 융착층과 상기 광확산층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과 상기 제2 융착층이 접하고 있고, 상기 광확산층이 상기 제2 융착층측의 표면에 요철을 갖고, 상기 광확산층을 구성하는 재료와 상기 제2 융착층에 함유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굴절률 비가 1.010 이상 1.300 미만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이 고굴절 초미립자 또는 저굴절 초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융착층이 고굴절 초미립자 또는 저굴절 초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층이 상기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고, 상기 광확산층을 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의 관찰측 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의 투영면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에 포함되는 상기 광확산 입자의 면내 투영 면적의 총합이 전체의 8% 내지 63%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의 정투과 강도를 Q, 정투과±2도 및 정투과±1도에서의 투과 강도를 연결하는 직선을 정투과 각도에 외삽한 투과 강도를 U라고 했을 때,
    2<Q/U<22
    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의 횡방향의 화소 피치를 P, 상기 광확산층의 두께를 T라고 했을 때,
    T<P/2
    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의 세로 및 가로의 길이를 각각 L1 및 W1, 상기 투명 기재의 세로 및 가로의 길이를 각각 L2 및 W2라고 했을 때,
    L1≤L2, W1≤W2 또는 양자 모두
    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의 관찰측에 띠 형상의 투과부와 차광부가 교대로 배열된 루버층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 및 상기 차광부가 상기 액정 패널의 좌우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 및 상기 차광부가 상기 액정 패널의 상하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층의 관찰측 면의 법선 방향에 대한 상기 루버층의 상기 투과부로부터 출사될 수 있는 광의 최대 각도가 45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4.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의 관찰측에 광확산층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루버층이 상기 광확산층의 관찰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과 상기 융착층 사이에,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제2 융착층과 상기 루버층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의 관찰측에 파장 400nm 내지 750nm의 범위 내에서의 평균 광흡수율이 1% 내지 30%의 범위 내인 광흡수층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7.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이 영상광 자체가 갖는 소정의 파장 이외의 파장을 흡수하는 선택 흡수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백라이트가 파장이 상이한 LED 광원이고, 상기 LED 광원의 발광 파장에 동기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필드 시퀀셜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9. 청구항 2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의 관찰측에 광확산층이 배치되어 있으며,상기 광흡수층이 상기 광확산층의 관찰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층이 상기 광흡수층을 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1. 청구항 3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과 상기 융착층 사이에,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제2 융착층과 상기 광흡수층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2.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의 관찰측에 광확산층이 배치되어 있으며,상기 제2 융착층이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고, 상기 광확산층을 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3. 청구항 3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융착층이 가교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4. 청구항 3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융착층으로서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시트 형상 혹은 필름 형상의 제2 융착층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127023121A 2010-03-05 2010-10-27 액정 표시 장치 KR1014074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49643A JP5830831B2 (ja) 2010-03-05 2010-03-05 液晶表示装置
JPJP-P-2010-049643 2010-03-05
PCT/JP2010/069099 WO2011108140A1 (ja) 2010-03-05 2010-10-27 液晶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281A KR20130004281A (ko) 2013-01-09
KR101407488B1 true KR101407488B1 (ko) 2014-06-17

Family

ID=44541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121A KR101407488B1 (ko) 2010-03-05 2010-10-27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82619B2 (ko)
JP (1) JP5830831B2 (ko)
KR (1) KR101407488B1 (ko)
CN (1) CN102859421B (ko)
TW (2) TWI597542B (ko)
WO (1) WO20111081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2019A1 (ja) * 2010-06-29 2012-01-05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TWI486674B (zh) * 2011-10-14 2015-06-01 Tdk Taiwan Corp A manufacturing method of a protective layer for a display panel, and a protective layer structure
KR20140042517A (ko) * 2012-09-28 2014-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 접착 부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14117333A1 (en) * 2013-01-30 2014-08-07 Stokvis Tapes (Shanghai) Co. Ltd. Display devices and methods of assembly
CN104570173A (zh) * 2014-12-11 2015-04-29 太湖金张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蓝光阻隔光学扩散结构及背光源器件
CN104460095B (zh) * 2015-01-05 2018-05-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KR102365738B1 (ko) * 2015-03-10 2022-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20160117817A (ko) * 2015-03-31 2016-10-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소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CN104791715B (zh) * 2015-04-16 2018-04-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胶框、背光模组和显示装置
JP2019082615A (ja) * 2017-10-31 2019-05-3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撮像装置
CN109243314A (zh) * 2018-10-22 2019-01-18 厦门华联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双屏显示的led显示模块
CN109903691A (zh) * 2019-03-22 2019-06-18 深圳立泰触控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防眩光的电子显示广告牌
JP6856720B2 (ja) * 2019-08-20 2021-04-07 日東電工株式会社 ガラス層付積層体および該ガラス層付積層体を含む画像表示装置
KR20210075280A (ko) 2019-12-12 2021-06-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R3110108B1 (fr) * 2020-05-18 2023-04-28 Saint Gobain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vitrage feuilleté imprimé
KR20220030338A (ko) * 2020-08-27 2022-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에 포함된 윈도우 모듈 교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0748A (ja) * 2004-06-22 2006-01-12 Seiko Epson Corp 光学シート、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8107404A (ja) * 2006-10-23 2008-05-08 Nec Lcd Technologies Ltd 光学素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照明光学装置、表示装置、電子機器
JP2010008475A (ja) * 2008-06-24 2010-01-14 Toshiba Mobile Display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10036502A (ja) * 2008-08-07 2010-02-18 Nissha Printing Co Ltd 反射像のゆらぎを抑制した積層体及び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7920B2 (ja) * 1995-06-01 2004-06-14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3743422B2 (ja) * 1996-04-26 2006-02-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パネルの取付け方法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H10186397A (ja) * 1996-10-29 1998-07-14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02842B2 (ja) * 1998-07-07 2006-07-26 住友化学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上部透明電極板およびそれを含む装置
JP2002107750A (ja) * 2000-10-04 2002-04-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パネルとその駆動方法
JP3992922B2 (ja) * 2000-11-27 2007-10-17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用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JP2003195018A (ja) * 2001-12-26 2003-07-09 Toppan Printing Co Ltd 光散乱効果を有する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WO2005116700A1 (ja) * 2004-05-26 2005-12-08 Nitto Denko Corporation 楕円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060246233A1 (en) 2005-04-28 2006-11-02 Fuji Photo Film Co., Ltd. Light diffusion film, anti-refl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6330705A (ja) * 2005-04-28 2006-12-07 Fujifilm Holdings Corp 光拡散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並びにそのような光拡散フィルムまたは反射防止フィルムを用いた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7187841A (ja) * 2006-01-12 2007-07-26 Fujifilm Corp 画像表示装置
WO2007119560A1 (ja) * 2006-03-31 2007-10-25 Zeon Corporation 偏光板, 液晶表示装置, および, 保護フィルム
US8289484B2 (en) * 2007-01-31 2012-10-16 Seiko Instruments Inc. Display device
US8305524B2 (en) * 2007-07-11 2012-11-06 Dai Nippon Printing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polarizing plate, method for producing liquid crystal display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CN101816026A (zh) * 2007-10-22 2010-08-25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JP2009265593A (ja) 2008-04-21 2009-11-12 Lg Display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10008457A (ja) * 2008-06-24 2010-01-14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0748A (ja) * 2004-06-22 2006-01-12 Seiko Epson Corp 光学シート、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8107404A (ja) * 2006-10-23 2008-05-08 Nec Lcd Technologies Ltd 光学素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照明光学装置、表示装置、電子機器
JP2010008475A (ja) * 2008-06-24 2010-01-14 Toshiba Mobile Display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10036502A (ja) * 2008-08-07 2010-02-18 Nissha Printing Co Ltd 反射像のゆらぎを抑制した積層体及び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86074A (ja) 2011-09-22
US9182619B2 (en) 2015-11-10
WO2011108140A1 (ja) 2011-09-09
TWI470308B (zh) 2015-01-21
CN102859421A (zh) 2013-01-02
US20120327341A1 (en) 2012-12-27
TW201523083A (zh) 2015-06-16
CN102859421B (zh) 2016-05-18
TW201133075A (en) 2011-10-01
TWI597542B (zh) 2017-09-01
JP5830831B2 (ja) 2015-12-09
KR20130004281A (ko)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7488B1 (ko) 액정 표시 장치
US9946147B2 (en) Transmission-type transparent screen,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display method
JP4788314B2 (ja) 光拡散シート、透過型スクリーン、背面投射型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1039093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用光学部材セット
JP6186760B2 (ja) スクリーン、及び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CN101470214A (zh) 防眩膜、防眩性偏振片及图像显示装置
KR20110112084A (ko) 디스플레이 장치
TWI485466B (zh) 液晶顯示裝置
JP5007550B2 (ja) 光学シート
JP2014119738A (ja) 採光シート、採光装置、及び建物
JP2007225972A (ja) 光拡散フィルム、光学部材、背面投射型スクリーン及び背面投射型ディスプレイ装置
WO2019159529A1 (ja) 映像投影システム
JP2014115600A (ja) 表示システム
JP2002006403A (ja) 透過型スクリーン
JP2017207586A (ja) 光学素子およびそれを備える映像投影システム
JP6031986B2 (ja) 反射スクリーンおよび映像表示装置
JP6135740B2 (ja) 液晶表示装置
KR100980068B1 (ko) 광학용 복합 필름
JP2014115589A (ja) スクリーン
JP2014115581A (ja) スクリーン構造体
JP6194581B2 (ja) 透過スクリーンおよび映像表示装置
JP2015031799A (ja) スクリーン
JP2014115598A (ja) 映像表示装置
JP2006184695A (ja) 画像表示装置用の視野角規制シート
JP2000314924A (ja) 透過型スクリ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