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5280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5280A
KR20210075280A KR1020190165993A KR20190165993A KR20210075280A KR 20210075280 A KR20210075280 A KR 20210075280A KR 1020190165993 A KR1020190165993 A KR 1020190165993A KR 20190165993 A KR20190165993 A KR 20190165993A KR 20210075280 A KR20210075280 A KR 20210075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pixel
subpixel
pixels
intermediat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향율
김선화
김재홍
김효민
정현호
정희성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5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5280A/ko
Priority to US16/911,872 priority patent/US11329103B2/en
Priority to EP20213173.6A priority patent/EP3836223A3/en
Priority to CN202011456644.3A priority patent/CN112992983A/zh
Publication of KR20210075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280A/ko
Priority to US17/737,981 priority patent/US1197448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 H01L27/3218
    • H01L51/5284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10K59/1315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compris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lowering the resistan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the areas of the RGB subpixels being differ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10K71/16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using selective deposition, e.g. using a mask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사각형 형태인 제1부화소와, 상기 제1부화소의 제1변 및 제2변을 각각 바라보도록 배치되며, 사각형 형태인 제2부화소와, 상기 제1부화소의 제1변 및 제2변을 각각 바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부화소로부터 이격되며, 사각형 형태인 제3부화소와, 상기 제1부화소,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상에 배치되며,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제1부화소,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차단층을 포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화소의 일변으로부터 상기 제2부화소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1부화소의 일변으로부터 상기 제3부화소까지의 거리는 서로 상이하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성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 기기가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동용 전자 기기로는 모바일 폰과 같은 소형 전자 기기 이외에도 최근 들어 태블릿 PC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형 전자 기기는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미지 또는 영상과 같은 시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최근, 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기타 부품들이 소형화됨에 따라, 표시장치가 전자 기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평평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구부릴 수 있는 구조도 개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표시 장치가 자동차 등에 배치되는 경우 표시 장치가 배치되는 차량의 윈도우에 표시 장치의 영상이 맺힐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다.
종래의 표시 장치가 차량 등에 배치되는 경우 표시 장치로 인해 외광 반사 등으로 인하여 눈부심 현상이 발생하거나 차량 등의 윈도우에 표시 장치의 이미지가 맺힐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미지가 외부 물체에 맺히지 않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각형 형태인 제1부화소와, 상기 제1부화소의 제1변 및 제2변을 각각 바라보도록 배치되며, 사각형 형태인 제2부화소와, 상기 제1부화소의 제1변 및 제2변을 각각 바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부화소로부터 이격되며, 사각형 형태인 제3부화소와, 상기 제1부화소,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상에 배치되며,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제1부화소,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차단층을 포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화소의 일변으로부터 상기 제2부화소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1부화소의 일변으로부터 상기 제3부화소까지의 거리는 서로 상이한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상기 제1부화소,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의 2개의 변과 평면 상으로 볼 때 중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차단층은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보호층과, 상기 차단층이 삽입되는 베이스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의 끝단은 오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가 배치되는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층의 길이 방향은 상기 기판의 장변 또는 단변에 평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가 배치되는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부화소의 한 변과 상기 차단층의 길이 방향이 형성하는 각도는 5도 이상이면서 85도 이하의 범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부화소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제3부화소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1변 또는 상기 제2변 중 하나의 길이 범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부화소의 단변은 상기 제1변 또는 상기 제2변과 평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부화소의 단변은 상기 제1변 또는 상기 제2변과 평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는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각 제1부화소의 중심은 제1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배치되며, 제2방향으로 서펜타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표시 장치의 장변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 각각은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2부화소 또는 상기 복수개의 제3부화소 중 하나의 일부의 중심은 일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엇,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 각각은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2부화소 또는 상기 복수개의 제3부화소 중 하나의 일부의 중심은 일방향으로 서펜타인(serpentine)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는 제1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되며, 상기 제1변을 바라보는 상기 제2부화소와 상기 제2변을 바라보는 상기 제2부화소 또는 상기 제3부화소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각 제1부화소의 중심을 연결한 임의의 직선에 대해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부화소의 장변의 길이와 상기 제3부화소의 장변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와 상기 제2부화소 사이 및/또는 상기 제1부화소와 상기 제3부화소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부화소로부터 상기 스페이서까지의 최단거리는 상기 제3부화소로부터 상기 스페이서까지의 최단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부화소의 단변 또는 상기 제3부화소의 단변은 상기 제1부화소의 일변과 중첩되며, 상기 제1부화소의 일변으로부터 연장한 임의의 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는 제1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되며, 상기 제2부화소의 장변 또는 상기 제3부화소의 장변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각 제1부화소의 중심을 연결한 임의의 직선에 대해서 45도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의 면적은 상기 제2부화소의 면적 및 상기 제3부화소의 면적 중 적어도 하나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부화소의 면적과 상기 제3부화소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부화소의 테두리 중 일부와 상기 제3부화소의 테두리 중 일부를 연결하는 임의의 외곽선은 정사각형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의 꼭지점은 모따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는 파란색을 발광하고, 상기 제2부화소 또는 상기 제3부화소 중 하나는 빨간색을 발광하며, 상기 제2부화소 또는 상기 제3부화소 중 다른 하나는 녹색을 발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각형 형태인 복수개의 제1부화소와, 상기 각 제1부화소의 제1변 및 제2변을 각각 바라보도록 배치되며, 사각형 형태인 복수개의 제2부화소와, 상기 각 제1부화소의 제1변 및 제2변을 각각 바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각 제2부화소로부터 이격되며, 사각형 형태인 복수개의 제3부화소와, 상기 각 제1부화소, 상기 각 제2부화소 및 상기 각 제3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상에 배치되는 차단층을 포함한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부화소 중 일부의 중심은 일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배열되며, 상기 각 제1부화소의 적어도 하나의 변은 상기 복수개의 제1부화소 중 일부의 중심이 형성하는 일직선에 대해서 틸팅(tilting)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부화소 중 일부의 중심들이 형성하는 일직선과 상기 차단층의 길이 방향은 서로 동일하거나 수직한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의 길이 방향과 상기 복수개의 제1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의 한 변이 이루는 각도는 5도 이상이면서 85도 이하의 범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상기 제1부화소,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의 2개의 변과 평면 상으로 볼 때 중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보호층과, 상기 차단층이 삽입되는 베이스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의 끝단은 오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가 배치되는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층의 길이 방향은 상기 기판의 장변 또는 단변에 평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각 제1부화소, 상기 각 제2부화소 및 상기 각 제3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의 크기는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와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는 정사각형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제1부화소의 일변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상기 각 제2부화소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각 제3부화소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각 제2부화소와 상기 각 제3부화소가 마주보는 상기 각 제1부화소의 일변의 길이 범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부화소 중 일부의 중심 및 상기 복수개의 제3부화소 중 일부의 중심 중 하나는 서펜타인(serpentine)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의 꼭지점은 모따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제1부화소와, 상기 제1부화소를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제2부화소와, 상기 제1부화소를 바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부화소로부터 이격되는 제3부화소와, 상기 제1부화소와 상기 제2부화소 사이 및/또는 상기 제1부화소와 상기 제3부화소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와, 상기 각 제1부화소, 상기 각 제2부화소 및 상기 각 제3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상에 배치되는 차단층을 포함한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부화소 중 일부의 중심은 일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배열되며, 상기 각 제1부화소의 적어도 하나의 변은 상기 복수개의 제1부화소 중 일부의 중심이 형성하는 일직선에 대해서 틸팅(tilting)된 상기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부화소 중 일부의 중심들이 형성하는 일직선과 상기 차단층의 길이 방향은 서로 동일하거나 수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의 길이 방향과 상기 복수개의 제1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의 한 변이 이루는 각도는 5도 이상이면서 85도 이하의 범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상기 제1부화소,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의 2개의 변과 평면 상으로 볼 때 중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보호층과, 상기 차단층이 삽입되는 베이스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의 끝단은 오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가 배치되는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층의 길이 방향은 상기 기판의 장변 또는 단변에 평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각 제1부화소, 상기 각 제2부화소 및 상기 각 제3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의 크기는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와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는 정사각형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부화소의 크기와 상기 제3부화소의 크기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부화소의 크기와 상기 제3부화소의 크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제2부화소까지의 최단 거리와 상기 스페이서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제3부화소까지의 최단 거리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부화소 또는 상기 제3부화소 중 하나와 상기 스페이서의 테두리까지의 최단거리는 상기 제1부화소와 상기 스페이서의 테두리까지의 최단거리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부화소와 상기 제3부화소는 각각 직사각형이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부화소와 상기 제2부화소의 장변 사이의 거리,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2부화소의 장변과 상기 제3부화소의 장변까지의 거리 및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3부화소의 장변과 상기 제1부화소 사이의 거리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부화소와 상기 제3부화소가 마주보는 상기 제1부화소의 일변으로부터 상기 제2부화소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1부화소의 일변으로부터 상기 제3부화소까지의 거리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표시 장치는 외광반사를 최소화함으로써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표시 장치는 차량 등의 윈도우에 표시 장치의 이미지가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가 배치된 차량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c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부화소, 제2부화소 및 제3부화소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제1부화소, 제2부화소 및 제3부화소와 차단층의 배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2a 및 도 2b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증착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마스크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마스크 시트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제2증착부에서 사용하는 제2마스크 시트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제3증착부에서 사용하는 제3마스크 시트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부화소, 제2부화소 및 제3부화소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제1부화소, 제2부화소 및 제3부화소와 차단층의 배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제2중간층을 증착하기 위한 제2마스크 시트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제3중간층을 증착하기 위한 제3마스크 시트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부화소, 제2부화소 및 제3부화소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4b는 도 14a에 도시된 제1부화소, 제2부화소 및 제3부화소와 차단층의 배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제1중간층을 증착하기 위한 제1마스크 시트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제2중간층을 증착하기 위한 제2마스크 시트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제3중간층을 증착하기 위한 제3마스크 시트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부화소, 제2부화소 및 제3부화소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8b는 도 18a에 도시된 제1부화소, 제2부화소 및 제3부화소와 차단층의 배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제2중간층을 증착하기 위한 제2마스크 시트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제3중간층을 증착하기 위한 제3마스크 시트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부화소, 제2부화소 및 제3부화소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부화소, 제2부화소 및 제3부화소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부화소, 제2부화소 및 제3부화소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부화소, 제2부화소 및 제3부화소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가 배치된 차량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고하면,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2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20)은 기판(21) 상에서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의 외곽에 비표시 영역(NDA)이 정의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는 발광부가 배치되고, 비표시 영역에는 전원 배선(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비표시 영역에는 패드부(C)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표시 영역(DA)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영역(DA)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원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외에도 표시 영역(DA)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다각형 또는 원형 등을 제외한 비정형의 형상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시 영역(DA)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표시 장치(1)의 차량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 장치(1)는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 글자 등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표시 장치(1)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장재에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표시 장치(1)는 다양한 형태일 수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는 외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표시 장치(1)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시 장치(1)는 사각각형 형태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표시 장치(1)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 장치(1)는 단변 및 장변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표시 장치(1)의 장변 또는 표시 장치(1)의 단변은 차량의 윈도우(WD)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변이 차량의 내부 프레임의 일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b의 표시 장치(1)의 장변은 윈도우(WD)에 평행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1)의 측면에서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은 표시 장치(1)의 단변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도 1a의 핸들(H)에서 표시 장치(1)를 바라보거나 핸들(H)의 반대쪽에서 표시 장치(1)를 바라볼 수 있다.
반면, 도 1c의 표시 장치(1)는 단변이 윈도우(WD)에 평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 장치(1)의 장변은 차량의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표시 장치(1)는 차단층(52)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층(52)은 표시 장치(1)에서 표시되는 이미지, 글자 등이 윈도우(WD)에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차단층(52)은 표시 장치(1)의 각 부화소에서 발광하는 빛이 표시 장치(1)의 표면에 대해서 일정 각도로 진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단층(52)을 포함한 표시 장치(1)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윈도우[WD]에 표시장치(1)가 비쳐서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한다. 그리고 차단층(52)을 포함한 표시 장치(1)가 작동할 경우 외광 또는 표시 장치(1)의 작동에 의하여 모아레(Moire) 현상으로 표시 장치(1) 상에 잔상이나 줄무늬(또는 물결무늬)가 시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모아레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표시 장치(1)에 무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차단층(52)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복수개가 이격되는 형태가 아니라 일직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c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20), 광학적 기능부재(30), 접착부(40) 및 차단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2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20)은 기판(21), 표시부(D) 및 봉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봉지부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SA)와 봉지기판(EC)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SA)는 봉지기판(EC)과 기판(21)을 서로 연결하여 봉지기판(EC)과 함께 표시부(D)를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봉지기판(EC)은 기판(21)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실링부(SA)에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봉지기판(EC)은 기판(21)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상기 봉지부는 박막 봉지층(E)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E)은 복수의 무기층들을 포함하거나, 무기층 및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E)의 상기 유기층은 고분자로 형성되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설포네이트,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아릴레이트, 헥사메틸디실록산, 아크릴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 등)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E)의 상기 무기층은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질화물을 포함하는 단일막 또는 적층막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층은 SiNx, Al2O3, SiO2, TiO2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E) 중 외부로 노출된 최상층은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한 투습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기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E)은 적어도 2개의 무기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적어도 2개의 유기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적어도 2개의 무기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 및 적어도 2개의 유기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박막 봉지층(E)은 유기 발광 소자(28)의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무기층, 제1 유기층, 제2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유기 발광 소자(28)의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무기층, 제1 유기층, 제2 무기층, 제2 유기층, 제3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28)의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무기층, 제1 유기층, 제2 무기층, 상기 제2 유기층, 제3 무기층, 제3 유기층, 제4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28)와 제1 무기층 사이에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보호층(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LiF를 포함하는 할로겐화 금속층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할로겐화 금속층은 제1 무기층을 스퍼터링 방식으로 형성할 때 상기 유기 발광 소자(28)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유기층은 제2 무기층 보다 면적이 좁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유기층도 제3 무기층 보다 면적이 좁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무기층이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무기층은 표시 패널(20)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서로 직접 접촉하도록 증착될 수 있으며, 유기층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표시 패널(20)은 터치층(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층은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봉지부와 표시부(D)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기 봉지부 상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터치층은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봉지부에 부착되거나 상기 봉지부에 패턴 형태로 직접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부(D)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패시베이션막(27) 및 유기 발광 소자(28)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21)은 플라스틱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SUS, Ti과 같은 금속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기판(21)는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21)은 상기 물질의 단층 또는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다층구조의 경우 무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판(21)이 폴리이미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판(21)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되고,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덮도록 패시베이션막(27)이 형성되며, 이 패시베이션막(27) 상에 유기 발광 소자(28)가 형성될 수 있다.
기판(21)의 상면에는 유기화합물 및/또는 무기화합물로 이루어진 버퍼층(22)이 더 형성되는 데, SiOx(x≥1), SiNx(x≥1)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버퍼층(22) 상에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된 활성층(23)이 형성된 후, 활성층(23)이 게이트 절연층(24)에 의해 매립된다. 활성층(23)은 소스 영역(23-1)과 드레인 영역(23-3)을 갖고, 그 사이에 채널 영역(23-2)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활성층(23)은 다양한 물질을 함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활성층(23)은 비정질 실리콘 또는 결정질 실리콘과 같은 무기 반도체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활성층(23)은 산화물 반도체를 함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활성층(23)은 유기 반도체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활성층(23)이 비정질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활성층(23)은 버퍼층(22) 상에 비정질 실리콘막을 형성한 후, 이를 결정화하여 다결정질 실리콘막으로 형성하고, 이 다결정질 실리콘막을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활성층(23)은 구동 TFT(미도시), 스위칭 TFT(미도시) 등 TFT 종류에 따라, 그 소스 영역(23-1) 및 드레인 영역(23-3)이 불순물에 의해 도핑 된다.
게이트 절연층(24)의 상면에는 활성층(23)과 대응되는 게이트 전극(25)과 이를 매립하는 층간 절연층(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층간 절연층(26)과 게이트 절연층(24)에 콘택홀(H1)을 형성한 후, 층간 절연층(26) 상에 소스 전극(27-1) 및 드레인 전극(27-2)을 각각 소스 영역(23-1) 및 드레인 영역(23-3)에 콘택되도록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부로는 패시베이션막(27)이 형성되고, 이 패시베이션막(27) 상부에 유기 발광 소자(28, OLED)의 화소 전극(28-1)이 형성된다. 이 화소 전극(28-1)은 패시베이션막(27)에 형성된 비아 홀(H2)에 의해 TFT의 드레인 전극(27-2)에 콘택된다. 상기 패시베이션막(27)은 무기물 및/또는 유기물, 단층 또는 2개 층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데, 하부 막의 굴곡에 관계없이 상면이 평탄하게 되도록 평탄화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반면, 하부에 위치한 막의 굴곡을 따라 굴곡이 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패시베이션막(27)은, 공진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투명 절연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시베이션막(27) 상에 화소 전극(28-1)을 형성한 후에는 이 화소 전극(28-1) 및 패시베이션막(27)을 덮도록 화소정의막(29)이 유기물 및/또는 무기물에 의해 형성되고, 화소 전극(28-1)이 노출되도록 개구된다.
이때, 화소정의막(29) 상에는 스페이서(P)가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P)는 화소정의막(29) 상에 배치되거나 화소정의막(29)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P)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페이서(P)는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복수개 구비되며, 복수개의 스페이서(P)는 화소정의막(29)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스페이서(P)는 서로 인접하는 부화소 사이(또는 서로 인접하는 중간층 사이)의 공간에 하나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스페이서(P)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마스크 시트가 화소정의막(29)의 개구 내부로 진입하거나 기판(21)에 증착물질을 증착 시 상기 각 마스크 시트가 화소정의막(29)에 밀착하여 기판(21)에 상기 각 마스크 시트가 접촉함으로써 기판(21)의 일부를 손상시키거나 파손시키는 찍힘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스페이서(P)는 각 마스크 조립체를 기판(21)에 밀착 시 화소정의막(29)의 개구영역의 끝단과 각 마스크 조립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스페이서(P)는 각 중간층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페이서(P)는 화소정의막(29)의 형성 시 화소정의막(29)과 일체로 동시에 형성하거나 화소정의막(29)을 형성한 후 화소정의막(29) 상에 별도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페이서(P)는 화소정의막(29)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스페이서(P)가 화소정의막(P)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적어도 상기 화소 전극(28-1) 상에 중간층(28-2) 및 대향 전극(28-3)이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대향 전극(28-3)은 기판(21)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대향 전극(28-3)은 중간층(28-2), 화소정의막(29)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대향 전극(28-3)이 중간층(28-2), 화소정의막(29) 상에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화소 전극(28-1)은 애노드 전극의 기능을 하고, 대향 전극(28-3)은 캐소오드 전극의 기능을 하는 데, 물론, 이들 화소 전극(28-1)과 대향 전극(28-3)의 극성은 반대로 되어도 무방하다.
화소 전극(28-1)과 대향 전극(28-3)은 상기 중간층(28-2)에 의해 서로 절연되어 있으며, 중간층(28-2)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을 가해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이 이뤄지도록 한다.
중간층(28-2)은 유기 발광층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인 다른 예로서, 중간층(28-2)은 유기 발광층(organic emission layer)을 구비하고, 그 외에 정공 주입층(HIL:hole injection layer),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중간층(28-2)이 유기 발광층을 구비하고, 기타 다양한 기능층(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중간층(28-2)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중간층(28-2)은 표시 영역(D)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중간층(28-2)은 표시 영역(D) 내부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단위 화소는 복수의 부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부화소는 다양한 색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하나의 부화소는 하나의 색을 갖는 빛이 발광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하나의 부화소는 화소정의막(29)의 개구된 영역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화소 전극(28-1)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부화소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은 화소정의막(29)의 개구된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화소 전극(28-1) 부분의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부화소는 하나의 색을 갖는 빛이 발광하는 영역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복수의 부화소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빛을 방출하는 부화소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복수의 부화소는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의 빛을 방출하는 부화소를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에로써 복수의 부화소는 적색, 노란색 및 청색의 빛을 방출하는 부화소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부화소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상이한 색을 방출하는 부화소를 구비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부화소가 청색, 적색 및 녹색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할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미도시)는 기판(21)에 다양한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는 기판(21)에 중간층(28-2)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는 중간층(28-2) 중 유기 발광층,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주입층, 전자 수송층 및 기능층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가 기판(21)에 중간층(28-2)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는 하나의 층을 복수개의 증착물질을 통하여 제조하거나 복수개의 층을 동시에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광학적 기능부재(30)는 위상지연자(retarder) 및 편광자(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위상지연자는 필름타입 또는 액정 코팅타입일 수 있고,
Figure pat00001
/2 위상지연자 및/또는
Figure pat00002
/4 위상지연자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 역시 필름타입 또는 액정 코팅타입일 수 있다. 필름타입은 연신형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하고, 액정 코팅타입은 소정의 배열로 배열된 액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광학적 기능부재(30)는 블랙매트릭스와 컬러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러필터들은 표시 장치(10)의 화소들 각각에서 방출되는 빛의 색상을 고려하여 배열될 수 있다. 컬러필터들 각각은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의 안료나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컬러필터들 각각은 전술한 안료나 염료 외에 양자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컬러필터들 중 일부는 전술한 안료나 염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산화티타늄과 같은 산란입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광학적 기능부재(30)는 상쇄간섭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쇄간섭 구조물은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된 제1반사층과 제1반사층을 포함할 있다. 제1반사층 및 제1반사층에서 각각 반사된 제1반사광과 제1반사광은 상쇄 간섭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외부광 반사율이 감소될 수 있다.
접착부(40)는 광학적 기능부재(30)와 차단부(5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접착부(40)는 광투과성 접착제(OCA, Optically Clear Adhesive)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부(50)는 베이스층(51), 차단층(52) 및 보호층(53)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51)은 나노 임플린트용 투명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층(51)은 폴리에틸렌 메타크릴산 메틸, 광경화성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층(52)은 베이스층(51)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단층(52)은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의 빛이나 표시 패널(20)의 빛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특히 차단층(52)은 복수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됨으로써 표시 영역(DA)이 형성하는 평면에 대해서 도 1b 및 도 1c의 Z축 방향으로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영역으로 표시 영역(DA)의 빛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차단층(52)은 잉크 형태로 형성되어 베이스층(51)에 홈에 삽입되어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차단층(52)의 끝단 중 베이스층(51)의 외면과 인접한 차단층(52)의 끝단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차단층(52)의 끝단은 베이스층(51)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접착부(40)의 일부는 차단층(52)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접착부(40)의 일부는 볼록한 형상이 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 참고) 상기와 같은 차단층(52)의 길이 방향(예를 들면, 도 2a 및 도 2b의 Y축 방향)은 표시 장치(1)가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표시 장치(1)의 일 변과 평행하거나 일정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보호층(53)은 외부에 배치되어 차단층(52) 및 표시 패널(2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호층(53)은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부화소, 제2부화소 및 제3부화소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제1부화소, 제2부화소 및 제3부화소와 차단층의 배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복수의 부화소는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는 사각형일 수 있다. 이때,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하나는 실질적으로 네변이 모두 같은 사각형일 수 있으며,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다른 두 개는 실질적으로 두쌍의 변이 서로 동일한 사각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하나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마름모일 수 있으며,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다른 두 개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실질적으로 정사각형(또는 마름모)인 경우는 정사각형의 모든 변 중 하나를 기준으로 모든 변 중 다른 나머지 변의 크기가 모든 변 중 기준이 되는 하나의 변으로부터 일정한 오차 범위 내의 길이를 갖는 형태의 사각형을 말할 수 있다. 또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경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변 중 하나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변 중 다른 하나를 기준으로 일정한 오차 범위 내의 길이를 갖는 형태의 사각형을 말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은 후술할 증착 공정을 통하여 형성되는 바 상기와 같이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는 형상이 실질적으로 정사각형(또는 마름모) 또는 직사각형이면서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지거나 모따기 되는 등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는 서로 연결되는 변이 형성하는 각 모서리의 각도는 모든 모서리에서 90도로 동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일정한 오차 범위 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부화소(F1)가 정사각형이며,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가 직사각형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이하에서는 설명하는 정사각형 및 직사각형은 모두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질적인 정사각형 및 실질적인 직사각형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하나는 청색 빛을 방출하고,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다른 하나는 적색의 빛을 방출하며,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또 다른 하나는 녹색의 빛을 방출한다. 이러한 경우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각각의 형상에 따라 청색, 적색 또는 녹색 중 하나의 빛은 정사각형일 수 있으며, 청색, 적색 또는 녹색 중 나머지 빛은 직사각형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부화소(F1)는 청색의 빛을 방출하고, 제2부화소(F2)는 적색의 빛을 방출하며, 제3부화소(F3)는 녹색의 빛을 방출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에 한정되지 안흥며, 제1부화소(F1)이 녹색의 빛을 방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각각의 면적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부화소의 개구율을 조절 가능하므로 다양한 형태 및 다양한 작동이 가능한 표시 패널(미표기)의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는 각각 제1중간층(28-2A), 제2중간층(28-2B) 및 제3중간층(28-2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중간층(28-2A), 제2중간층(28-2B) 및 제3중간층(28-2C)은 외부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서로 상이한 빛을 발광하는 물질(예를 들면,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중간층(28-2A), 제2중간층(28-2B) 및 제3중간층(28-2C)은 각각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중간층(28-2A)은 제1부화소(F1)의 형상인 정사각형에 대응되도록 정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중간층(28-2B) 및 제3중간층(28-2C)은 각각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의 형상인 직사각형에 대응되도록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중간층의 평면 상의 면적은 각 부화소의 평면 상의 면적과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로써 제1중간층(28-2A)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1부화소(F1)의 평면 상의 면적과 상이할 수 있으며, 제2중간층(28-2B)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은 동일하고 제3중간층(28-2C)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은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2중간층(28-2B)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과 상이할 수 있으며, 제1중간층(28-2A)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1부화소(F1)의 평면 상의 면적은 동일하고 제3중간층(28-2C)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은 동일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3중간층(28-2C)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과 상이할 수 있으며, 제2중간층(28-2B)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은 동일하고 제1중간층(28-2A)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1부화소(F1)의 평면 상의 면적은 동일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중간층(28-2A)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1부화소(F1)의 평면 상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으며, 제2중간층(28-2B)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은 서로 상이하고, 제3중간층(28-2C)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2중간층(28-2B)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으며, 제1중간층(28-2A)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1부화소(F1)의 평면 상의 면적은 서로 상이하고, 제3중간층(28-2C)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3중간층(28-2C)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으며, 제1중간층(28-2A)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1부화소(F1)의 평면 상의 면적은 서로 상이하고, 제2중간층(28-2B)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중간층(28-2A)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1부화소(F1)의 평면 상의 면적과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제2중간층(28-2B)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은 서로 상이하고, 제3중간층(28-2C)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중간층(28-2A)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1부화소(F1)의 평면 상의 면적과 서로 동일할 수 있으며, 제2중간층(28-2B)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은 서로 동일하고, 제3중간층(28-2C)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때, 평면 상의 면적은 표시 장치(미도시)의 표시 영역(미도시)이 형성하는 평면 상에서의 면적일 수 있다. 또는 평면 상의 면적은 이미지가 구현될 때 이미지가 구현되는 면 상에서의 면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중간층의 평면 상의 면적과 각 부화소의 평면 상의 면적이 상이한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 각 부화소의 평면 상의 면적은 각 중간층의 평면 상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경우 각 중간층은 각 부화소에 대해서 충분한 마진을 갖도록 기판(21)에 증착될 수 있으므로 각 부화소에서 정확한 형상의 빛을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각 부화소 사이의 관계와 각 중간층 사이의 관계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부화소 사이의 관계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는 각각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부화소(F1)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1부화소(F1) 중 일부는 제1 방향(예를 들면, 도 1의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 중 하나)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1부화소(F1) 중 다른 일부는 제2 방향(예를 들면, 도 1의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 중 다른 하나)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방향은 도 1의 X축 방향을 의미하고, 제2방향은 도 2의 Y축 방향을 의미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개의 제1부화소(F1) 중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부화소(F1)의 중심은 하나의 직선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제1부화소(F1) 중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부화소(F1)는 제1 방향으로 일렬(또는 일직선)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방향은 표시 패널(20)의 장변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부화소(F1)는 시인성이 높은 녹색을 발광할 수 있다. 특히 제1부화소(F1)이 녹색을 발광하는 경우 표시 패널(20)에서 구현되는 이미지 중 글자에 대한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1부화소(F1) 중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부화소(F1)의 중심은 하나의 직선 상에 배열되지 않으며, 서펜타인(Serpentine 또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각 제1부화소(F1)의 제1변(S1)과 다른 제2변(S2)은 서로 일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제1부화소(F1)의 제1변(S1)과 제2변(S2)은 서로 직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변(S1)과 제2변(S2)은 각각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 상이한 방향으로 틸팅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제1부화소(F1)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하나의 방향을 기준으로 마름모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각 제1부화소(F1)의 각 꼭지점에 인접하는 두변(S1,S2)이 형성하는 각도가 90도일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각 제1부화소(F1)는 정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제1부화소(F1)의 제1변(S1) 또는 제2변(S2)에는 하나의 제2부화소(F2) 및 하나의 제3부화소(F3)가 제1부화소(F1)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하나에 대해서 틸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하나에 대해서 45도를 형성하도록 틸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중 적어도 하나의 단변 및 장변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1부화소(F1)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에 대해서 45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부화소(F2)의 일변 및 제3부화소(F3)의 일변은 제1부화소(F1)의 일변과 평행할 수 있다.
제2부화소(F2)와 제3부화소(F3)는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중 적어도 하나의 면적은 제1부화소(F1)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제1부화소(F1)를 마주보는 제2부화소(F2)와 제3부화소(F3) 중 적어도 하나는 제2부화소(F2)와 제3부화소(F3)가 마주보는 제1부화소(F1)의 일변(예를 들면, 제1변(S1) 또는 제2변(S2)) 또는 이러한 제1부화소(F1)의 일변의 연장선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서로 인접하는 제2부화소(F2)의 적어도 일부와 제3부화소(F3)의 적어도 일부는 제1변(S1) 또는 제2변(S2) 중 하나의 길이 범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제1부화소(F1)와 마주보는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중 적어도 하나의 단변 또는 장변은 제1변(S1) 또는 제2변(S2)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로써 제1변(S1) 및 제2변(S2)을 각각 마주보는 서로 다른 제2부화소(F2)의 단변의 연장선은 서로 교차하거나 제1변(S1) 및 제2변(S2)을 각각 마주보는 서로 다른 제2부화소(F2)의 장변의 연장선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변(S1) 및 제2변(S2)을 각각 마주보는 각 제3부화소(F3)의 단변의 연장선은 서로 교차하거나 제1변(S1) 및 제2변(S2)을 각각 마주보는 각 제3부화소(F3)의 장변의 연장선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변(S1)을 마주보는 제2부화소(F2)의 단변의 연장선과 및 제2변(S2)을 마주보는 제3부화소(F3)의 단변의 연장선은 서로 교차하거나 제1변(S1)을 마주보는 제2부화소(F2)의 장변의 연장선과 제2변(S2)을 마주보는 제3부화소(F3)의 장변의 연장선이 서로 교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변(S1)을 마주보는 제2부화소(F2)의 장변의 연장선은 제2변(S2)을 마주보는 제3부화소(F3)의 단변의 연장선과 서로 교차하거나 단 제1변(S1)을 마주보는 제2부화소(F2)의 단변의 연장선은 제2변(S2)을 마주보는 제3부화소(F3)의 장변의 연장선과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복수개의 제2부화소(F2)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2부화소(F2)의 일부의 중심은 일직선 상에 배치되고,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2부화소(F2)의 다른 일부의 중심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다른 하나의 방향을 따라 서펜타인(Serpentine, 또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2부화소(F2) 중 일부의 중심은 직선으로 배열되고,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2부화소(F2) 중 다른 일부의 중심은 서펜타인 형태로 배열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개의 제3부화소(F3)도 제2부화소(F2)와 유사하게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3부화소(F3)도 제2부화소(F2)와 유사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제3부화소(F3) 중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3부화소(F3) 중 일부의 중심은 일직선 상에 배열되고, 복수개의 제3부화소(F3) 중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3부화소(F3) 중 다른 일부의 중심은 서펜타인 형태로 배열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 하나의 제1부화소(F1)의 제1변(S1)을 마주보는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하나는 제1부화소(F1)의 제2변(S2)을 마주보는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하나와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부화소(F1)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또는 인접하는 두개의 부화소의 중심을 지나면서 제1 방향과 평행한 임의의 직선)에 대해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로써 제1변(S1)을 마주보는 제2부화소(F2)는 제2변(S2)을 마주보는 제3부화소(F3)와 상기의 직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될 수 있다. 또한, 제1변(S1)을 마주보는 제3부화소(F3)는 제2변(S2)을 마주보는 제2부화소(F2)와 상기의 직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이때, 서로 인접하는 제2부화소(F2)의 중심 사이의 거리와 서로 인접하는 제3부화소(F3)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변(S1)을 마주보는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각각은 제2변(S2)을 마주보는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와 상기의 직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이때,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제2부화소(F2) 또는 한쌍의 제3부화소(F3) 중 하나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제2부화소(F2) 또는 한쌍의 제3부화소(F3) 중 다른 하나의 중심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제2부화소(F2)는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제3부화소(F3) 사이에 배치되거나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제3부화소(F3)는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제2부화소(F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부화소(F2)와 제3부화소(F3)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부화소(F1)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에 대해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부화소(F2)와 제3부화소(F3)는 서로 크기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부화소(F2)의 단변의 크기는 제3부화소(F3)의 단변의 크기와 동일하며, 제2부화소(F2)의 장변의 크기는 제3부화소(F3)의 장변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각각에 배치되는 제2중간층(28-2B) 및 제3중간층(28-2C)도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서로 크기가 동일할 수 있다.
제1부화소(F1)의 일변을 마주보는 2개의 부화소로부터 제1부화소(F1)의 일변까지의 최단거리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부화소(F1)의 테두리로부터 제2부화소(F2)까지의 최단거리인 제1 거리(L1)와 제1부화소(F1)의 테두리로부터 제3부화소(F3)까지의 최단거리인 제2 거리(L2)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제1 거리(L1)는 제2 거리(L2)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최단거리는 제1변(S1) 또는 제2변(S2) 중 하나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제1변(S1) 또는 제2변(S2)으로부터 제2부화소(F2)의 일변 또는 제3부화소(F3)의 일변까지 측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최단거리는 제1변(S1) 또는 제2변(S2) 중 하나의 연장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2부화소(F2)의 일변 또는 제3부화소(F3)의 일변까지 측정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최단거리는 제1변(S1)을 마주보는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에 대해서 제1변(S1) 또는 제1변(S1)의 연장선에서 측정한 거리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또 다른 실시예로써 최단거리는 제1부화소(F1)의 중심으로부터 제2부화소(F2)의 중심까지의 거리 또는 제1부화소(F1)의 중심으로부터 제3부화소(F3)의 중심까지의 거리로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에로써 최단거리는 제1부화소(F1)의 제1변(S1) 또는 제1변(S1)의 연장선으로부터 제2부화소(F2)의 중심까지의 거리 또는 제3부화소(F3)의 중심까지의 거리로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서로 동일한 제1부화소(F1)를 마주보는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하나의 테두리로부터 제1부화소(F1)의 테두리까지의 거리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제1부화소(F1)의 제1변(S1)을 마주보는 제2부화소(F2)의 단변으부터 제1변(S1)까지의 제1 거리(L1)는 제2변(S2)을 마주보는 제2부화소(F2)의 단변으로부터 제2변(S2)까지의 제3 거리(L3)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제1부화소(F1)의 제1변(S1)을 마주보는 제3부화소(F3)의 단변으로부터 제1변(S1)까지의 제2 거리(L2)는 제2변(S2)을 마주보는 제3부화소(F3)의 단변으로부터 제2변(S2)까지의 제4 거리(L4)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때, 제3 거리(L3)는 제2 거리(L2)와 동일할 수 있으며, 제4 거리(L4)는 제1 거리(L1)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제1부화소(F1) 사이에 배치되는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하나의 테두리로부터 서로 다른 제1부화소(F1)의 테두리까지의 최단 거리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부화소(F1)의 제1변(S1)을 마주보는 제2부화소(F2)의 단변으로부터 제1변(S1)까지의 제1 거리(L1)는 인접하는 다른 제1부화소(F1)의 일변을 마주보는 제2부화소(F2)의 단변으로부터 인접하는 다른 제1부화소(F1)의 일변까지의 제5 거리(L5)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제1부화소(F1)의 제1변(S1)을 마주보는 제3부화소(F3)의 단변으로부터 제1변(S1)까지의 제2 거리(L2)는 인접하는 다른 제1부화소(F1)의 일변을 마주보는 제3부화소(F3)의 단변으로부터 인접하는 다른 제1부화소(F1)의 일변까지의 제6 거리(L6)와 상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관계는 제2부화소(F2)의 장변 및 제3부화소(F3)의 장변에서도 동일할 수 있으며, 제1중간층(28-2A), 제2중간층(28-2B) 및 제3중간층(28-2C)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서로 마주보는 제1부화소(F1)의 일변으로부터 제2부화소(F2)의 장변까지의 제7 거리(L7), 서로 마주보는 제2부화소(F2)의 장변과 제3부화소(F3)의 장변 사이의 제8 거리(L8) 및 서로 마주보는 제3부화소(F3)의 장변으로부터 제1부화소(F1)의 일변까지의 제9 거리(L9)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제7 거리(L7) 내지 제9 거리(L9)는 제1 거리(L1) 이상일 수 있으며, 제2 거리(L2) 미만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거리는 후술할 마스크 시트(미도시)의 개구부 사이의 배치되는 상기 마스크 시트 부분의 폭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마스크 시트의 강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거리를 통하여 각 중간층이 서로 중첩되거나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나의 제1부화소(F1)의 일변을 마주보는 제2부화소(F2)의 테두리 일부와 및 제3부화소(F3)의 일부를 연결한 임의의 외곽선(R)은 정사각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부화소(F2)와 제3부화소(F3)가 서로 마주보는 제2부화소(F2)의 일변과 제3부화소(F3)의 일변을 제외한 제2부화소(F2)의 나머지 테두리 및 제3부화소(F3)의 나머지 테두리를 연결하고, 제2부화소(F2)와 제3부화소(F3)가 서로 이격된 부분에서 서로 마주보는 제2부화소(F2)의 꼭지점과 제3부화소(F3)의 꼭지점을 서로 연결하면 임의의 외곽선(R)을 그릴 수 있다. 이러한 외곽선(R)은 정사각형을 형성함으로써 제1변(S1) 부분에 배치된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를 회전시켜 제2변(S2) 부분에서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를 배치하여 제2변(S2)에 배치되는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의 배치가 제1변(S1)을 마주보는 제2부화소(F2)와 제3부화소(F3)의 배치에 대응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를 형성하는 제1중간층(28-2A), 제2중간층(28-2B) 및 제3중간층(28-2C) 각각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되며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중간층(28-2A), 제2중간층(28-2B) 및 제3중간층(28-2C) 각각의 중심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각각의 중심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에서 설명한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의 내용은 제1중간층(28-2A), 제2중간층(28-2B) 및 제3중간층(28-2C)에 각각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와 제2부화소(F2) 사이 및 제1부화소(F1)와 제2부화소(F2)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스페이서(P)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와 같은 경우 하나의 제1변(S1)과 제2부화소(F2) 사이 및 제2변(S2)과 제3부화소(F3) 사이에 스페이서(P)가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스페이서(P)의 테두리와 마주보는 부화소로부터 스페이서(P)의 테두리까지의 거리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페이서(P)의 테두리와 마주보는 제1부화소(F1)의 일변으로부터 스페이서(P)의 테두리까지의 제10 거리(L10), 스페이서(P)의 테두리와 마주보는 제2부화소(F2)의 단변으로부터 스페이서(P)의 테두리까지의 제11 거리(L11), 스페이서(P)의 테두리와 마주보는 제3부화소(F3)의 단변으로부터 스페이서(P)의 테두리까지의 제12 거리(L12)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중 적어도 하나의 상에는 차단층(52)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차단층(52)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차단층(52)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각 차단층(52)은 평면 상으로 볼 때 복수개의 제1부화소(F1) 중 일부의 중심이 배열되는 중심선(CL)과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차단층(52)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의 제1부화소(F1) 중 적어도 하나의 두 변과 평면 상에 볼 때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b에서 차단층(52) 중 하나는 평면 상에서 볼 때 제1부화소(F1)의 제1변(S1)과 제2변(S2)와 중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중심선(CL)은 제1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중심선(CL)과 차단층(52)은 평면 상에서 볼 때 제2각도(θ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2각도(θ2)는 직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차단층(52)의 길이 방향은 기판(21)의 장변 또는 단변 중 하나의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가 배치되는 경우 차단층(52)의 길이 방향은 기판(21)의 장변의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가 배치되는 경우 차단층(52)의 길이 방향은 기판(21)의 단변의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즉, 차단층(52)의 길이 방향은 차량 내부에 배치되는 윈도우의 일면과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차단층(52)의 길이 방향은 표시 장치의 측면에 앉은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차단층(52)의 길이 방향과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중 적어도 하나의 한 변은 일정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차단층(52)의 길이 방향과 제1부화소(F1)의 일변이 형성하는 각도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차단층(52)의 길이 방향과 제1부화소(F1)의 길이 방향은 제1각도(θ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각도(θ1)는 5도 이상이면서 85도 이하의 범위일 수 있다. 특히 제1각도(θ1)가 5도 미만이거나 85도를 초과하는 경우 차단층(52)으로 인하여 표시 장치(미도시)에 시인되는 모아레 현상이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표시 패널(20)은 차량, 비행기 등과 같이 사용자를 이동시키는 장치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에 대해서 사용자 눈이 바라보는 시선 방향과 0도가 아닌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상기 장치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20)은 사용자의 눈이 표시 패널(20)을 바라보는 시선 방향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이 90도를 형성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부화소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시선 방향(예를 들면, 도 1의 Y축 방향)에 대해서 틸팅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부화소의 일 변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에 대해서 틸팅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부화소의 일 변은 차단층(52), 중심선(CL), 표시 장치의 장변, 표시 장치의 단변 중 하나에 대해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시 패널(20)을 바라보는 시선 방향과 제1 방향이 90도를 형성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표시 패널(20)을 바라보는 경우 화소정의막(29)의 경사진 부분과 시선 방향에 수직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화소정의막(29)의 경사진 부분을 통하여 외부의 광이 반사되어 사용자의 눈으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는 외부의 광에 의하여 사용자의 눈부심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는 차단층(52)을 통하여 외부의 광에 의해 발생하는 모아레 현상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시 장치는 작동 시 차량 등의 윈도우에 표시 장치의 이미지, 글자 등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2a 및 도 2b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증착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마스크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마스크 시트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제2증착부에서 사용하는 제2마스크 시트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제3증착부에서 사용하는 제3마스크 시트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는 기판(21)을 로딩하는 장치, 기판(21)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를 제조하는 장치, 기판(21)에 화소전극(미도시), 화소정의막,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장치, 기판(21)에 중간층(미도시)을 형성하는 장치, 기판(21)에 대향 전극(미도시)을 형성하는 장치, 기판(21)에 봉지부(미도시)를 형성하는 장치, 기판(21)을 언로딩하는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로써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는 상기에서 설명한 장치들이 인라인(In-line)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는 상기에서 설명한 장치들 중 일부만 인라인 형태로 배열되고, 다른 일부는 인라인 형태의 일부와 서로 분리되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는 각 장치가 개별적으로 구분되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가 로딩하는 장치, 상기 중간층을 형성하는 장치 및 언로딩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는 로딩부(110), 제1증착부(120), 제2증착부(130), 제3증착부(140) 및 언로딩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는 서로 연결되는 각 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각 장치의 공간을 단절시커거나 연결시키는 차폐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증착부(120), 제2증착부(130) 및 제3증착부(140)는 다양한 순서로 제1중간층(미도시), 제2중간층(미도시) 및 제3중간층(미도시)을 기판(21) 상에 증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증착부(120)가 상기 제1중간층, 상기 제2중간층 또는 상기 제3중간층 중 하나를 기판(21) 상에 증착하고, 제2증착부(130)는 상기 제1중간층, 상기 제2중간층 또는 상기 제3중간층 중 다른 하나를 기판(21) 상에 증착하며, 제3증착부(140)는 상기 제1중간층, 상기 제2중간층 또는 상기 제3중간층 중 또 다른 하나를 기판(21) 상에 증착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증착부(120)는 상기 제1중간층을 기판(21) 상에 증착하고, 제2증착부(130)는 상기 제2중간층을 기판(21) 상에 증착하며, 제3증착부(140)는 상기 제3중간층을 기판(21) 상에 증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중간층, 상기 제2중간층 및 상기 제3중간층의 형태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제1부화소(미도시), 제2부화소(미도시) 및 제3부화소(미도시)와 동일한 형태 및 배열을 갖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로딩부(110)는 외부로부터 기판(21) 상이 삽입되어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로딩부(110)는 기판(21) 상을 복수개 저장하거나 하나의 기판(21) 상을 저장할 수 있다. 로딩부(110)에는 내부에 배치된 로봇암 또는 이동 가능한 셔틀 등을 통하여 기판(21) 상을 외부로부터 공급 받아 제1증착부(12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기판(21) 상에는 화소정의막(미도시)까지 적층된 상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로딩부(110)는 내부의 로봇암을 통하여 기판(21)을 지지하고, 로봇암에서 공급되는 기판(21)은 셔틀에 안착되어 로딩부(110)로부터 제1증착부(120)로 기판(21)을 공급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증착부(120)는 기판(21) 상에 상기 제1중간층을 증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증착부(120)는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예들 들면, 일 실시예로써 제1증착부(120)가 한 개 구비되는 경우 하나의 제1증착부(120)는 상기 제1중간층의 적어도 하나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제1증착부(120)는 기판(21) 상에 상기 제1중간층의 하나의 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증착원(122)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제1 증착원(122)이 복수개 구비되어 제1증착부(120)가 상기 중간층 중 복수개의 층을 형성하는 경우 각 제1 증착원(122)은 교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각 제1 증착원(122)은 서로 상이한 증착물질이 수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증착부(120)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각 제1증착부(120)는 상기 제1중간층의 각 층을 개별적으로 기판(21) 상에 증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각 제1증착부(120)은 서로 상이한 증착물질을 기판(21) 상에 증착시킬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증착원(122)은 하나만 구비되고, 제1 증착원(122)은 상기 제1중간층 중 유기 발광층만을 형성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증착부(120)는 제1 챔버(121), 제1 증착원(122), 제1 마스크 조립체(123), 제1 기판지지부(124), 제1 마스크지지부(125), 제1 자기력생성부(126) 및 제1 압력조절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챔버(12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기판(21)이 인출되거나 수납될 수 있다. 이때, 개구된 제1 챔버(121) 부분에는 게이트 밸브 등을 포함하는 차폐부(160)가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제1 증착원(122)은 상기 제1중간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형성하는 제1증착물질이 수납될 수 있다. 이때, 제1 증착원(122)은 에너지(예를 들면, 열에너지, 빛에니저, 진동에너지 등)를 가하여 제1증착물질을 기화시키거나 승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증착원(122)은 교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제1 증착원(122)은 수납된 제1증착물질이 소진되는 경우 새로운 제1 증착원(122)로 교체될 수 있다.
제1 마스크 조립체(123)는 제1 마스크 프레임(123-1), 제1마스크 시트(123-2) 및 제1 지지프레임(12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스크 프레임(123-1)은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마스크 프레임(123-1)은 창틀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마스크 프레임(123-1)은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개구부를 격자 형태로 나누는 별도의 프레임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마스크 프레임(123-1)은 중앙에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마스크 시트(123-2)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인장된 상태로 제1 마스크 프레임(123-1)의 일면에 배치되어 용접 등을 통하여 제1 마스크 프레임(123-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마스크 프레임(123-1)에는 제1마스크 시트(123-2)가 수납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마스크 시트(123-2)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마스크 프레임(123-1)의 일변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마스크 시트(123-2)는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마스크 시트(123-2)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1마스크 시트(123-2)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도록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경우 제1마스크 시트(123-2)의 장변은 제1 마스크 프레임(123-1)의 장변 또는 단변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마스크 시트(123-2)의 장변이 도 6의 X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마스크 시트(123-2)에는 복수개의 제1개구부(123-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1개구부(123-4)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특히 각 제1개구부(123-4)는 제1마스크 시트(123-2)의 인장 방향으로 꼭지점이 배치된 마름모꼴일 수 있다. 특히 각 제1개구부(123-4)는 각 꼭지점에 인접한 두변이 형성하는 각도가 90도인 정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제1개구부(123-4) 중 일부의 중심은 제1마스크 시트(123-2)의 인장방향 또는 제1마스크 시트(123-2)의 인장방향과 수직한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1개구부(123-4) 중 다른 일부의 중심은 제1마스크 시트(123-2)의 인장방향 또는 제1마스크 시트(123-2)의 인장방향과 수직한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서펜타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1개구부(123-4)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상기 제1부화소의 배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개구부(123-4)가 형성되는 경우 제1마스크 시트(123-2)가 인장되더라도 제1마스크 시트(123-2)의 인장 형상은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제1 지지프레임(123-3)은 제1 마스크 프레임(123-1)에 배치되어 제1 마스크 프레임(123-1)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제1마스크 시트(123-2)를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1 지지프레임(123-3)은 격자 형태로 제1 마스크 프레임(123-1)에 배치됨으로써 하나의 표시 장치(미도시)의 표시 영역(미도시)를 정의할 수 있다. 즉, 제1 지지프레임(123-3)은 제1 마스크 프레임(123-1)의 중앙 개구부를 복수개 영역으로 구분함으로써 복수개의 표시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제1 기판지지부(124)는 기판(21)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판지지부(124)는 기판(21)이 안착하여 기판(21)을 지지하거나 기판(21)의 일면을 흡착하거나 부착하여 기판(21)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기판지지부(124)는 제1 챔버(121) 내부에 고정되는 프레임, 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기판지지부(124)는 기판(21)을 파지하는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 기판지지부(124)는 점착척이나 정전척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제1 기판지지부(124)는 제1 자기력생성부(126)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 기판지지부(124)는 로딩부(110)에서 기판(21)을 이송시키는 셔틀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기판지지부(124)는 셔틀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마스크지지부(125)는 제1 마스크 조립체(123)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마스크지지부(125)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 기판지지부(124)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1 마스크지지부(125)가 제1 챔버(121) 내부에 고정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제1 마스크 조립체(123)는 상기 프레임에 안착하여 지지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자기력생성부(126)는 제1 챔버(121)에 배치되어 제1 마스크 프레임(123-1)을 기판(21)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자기력생성부(126)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력조절부(127)는 제1 챔버(121)와 연결되어 제1 챔버(121)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1 압력조절부(127)는 제1 챔버(121)와 연결되는 배관과 배관에 배치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증착부(130)는 상기 제1중간층이 형성된 기판(21)에 제2증착물질을 증착시켜 상기 제2중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증착부(130)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증착부(120)와 유사할 수 있다. 이때, 제2증착부(130)는 제2마스크 시트(1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마스크 시트(133-2)는 제1마스크 시트(123-2)와 유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마스크 시트(133-2)는 복수개의 제2개구부(133-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개구부(133-4)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2개구부(133-4) 중 일부는 제2마스크 시트(133-2)의 인장 방향(예를 들면, 도 7의 X축 방향 또는 제2마스크 시트(133-2)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일 방향으로 틸팅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2개구부(133-4) 중 다른 일부는 제2마스크 시트(133-2)의 인장 방향에 대해서 복수개의 제2개구부(133-4) 중 일부와 다른 방향으로 틸팅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2개구부(133-4)는 제2마스크 시트(133-2)의 인장 방향에 대해서 0도가 아닌 각도를 갖도록 틸팅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제2개구부(133-4)는 제2마스크 시트(133-2)의 인장 방향에 대해서 45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상기와 같은 복수개의 제2개구부(133-4)는 일 방향으로 각 제2개구부(133-4)의 중심이 일직선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2개구부(133-4) 중 일부의 중심은 일직선을 형성하고, 복수개의 제2개구부(133-4) 중 다른 일부의 중심은 일직선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은 복수개의 제2개구부(133-4) 중 제2마스크 시트(133-2)의 인장 방향 또는 제2마스크 시트(133-2)의 인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배열되는 일렬의 제2개구부(133-4)의 중심은 일직선을 형성할 수 있다. 반면, 복수개의 제2개구부(133-4) 중 제2마스크 시트(133-2)의 인장 방향 또는 제2마스크 시트(133-2)의 인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 중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2개구부(133-4)의 중심은 서펜타인 형태(또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제2개구부(133-4) 중 일부의 중심은 일직선을 형성하고, 복수개의 제2개구부(133-4) 중 다른 일부의 중심은 일직선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복수개의 제2개구부(133-4)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마스크 시트(133-2)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장력이 가재해진 상태로 제2 마스크 프레임(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제2개구부(133-4)가 모두 제2마스크 시트(133-2)의 인장 방향에 대해서 동일한 방향으로 틸팅되면 제2마스크 시트(133-2)의 변형 시 좌우 또는 전후 사이의 변형 정도가 상이해짐으로써 제2마스크 시트(133-2)의 변형이 예측 가능 범위를 넘을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경우 제2마스크 시트(133-2)의 어느 한쪽은 변형이 많이 발생하고 제2마스크 시트(133-2)의 다른 한쪽은 변형이 되지 않거나 적게 됨으로써 제2개구부(133-4)의 형태가 어그러지거나 복수개의 제2개구부(133-4) 중 일부와 복수개의 제2개구부(133-4) 중 다른 일부의 형상이 상이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경우 복수개의 제2개구부(133-4) 중 일부의 중심이 일렬로 배열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제2개구부(133-4) 중 일부와 복수개의 제2개구부(133-4) 중 다른 일부를 제2마스크 시트(133-2)의 인장 방향에 대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틸팅시켜 제2마스크 시트(133-2)에 형성함으로써 제2마스크 시트(133-2)의 인장 시 변형 정도를 제2마스크 시트(133-2) 전체에서 어느 정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특히 서로 인접하는 제2개구부(133-4)를 제2마스크 시트(133-2)의 인장방향에 대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틸팅시킴으로써 제2마스크 시트(133-2)의 전체에서 균일한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제3증착부(140)는 상기 제1중간층 및 상기 제2중간층이 형성된 기판(21) 상에 제3증착물질을 증착시켜 상기 제3중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중간층, 상기 제2중간층 및 상기 제3중간층은 평면 상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증착부(140)는 제1증착부(120)와 유사할 수 있다. 이때, 제3증착부(140)는 복수개의 제3개구부(143-4)를 포함하는 제3마스크 시트(14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마스크 시트(143-2)는 제2마스크 시트(133-2)와 유사할 수 있으며, 제3개구부(143-4)는 제2개구부(133-4)와 유사하게 배열될 수 있다. 다만, 제2마스크 시트(133-2)와 제3마스크 시트(143-2)를 서로 적층되도록 배치하는 경우 제2개구부(133-4)와 제3개구부(143-4)는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제2마스크 시트(133-2)와 제3마스크 시트(143-2)는 제작될 수 있다.
언로딩부(150)는 상기 제1중간층, 상기 제2중간층 및 상기 제3중간층이 형성된 기판(21)을 임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외부로 반출하거나 다른 장비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언로딩부(150)는 내부에 기판(21)을 이송시키는 로봇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중간층, 상기 제2중간층 및 상기 제3중간층이 각각 형성된 기판(21)은 상기 제1중간층, 상기 제2중간층 및 상기 제3중간층 상에 상기 대향 전극등을 형성하고, 상기 봉지부를 형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화소,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를 다양한 순서로 제조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가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상기 제1부화소, 상기 제2부화소 내지 상기 제3부화소를 순차적으로 제조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판(21)이 로딩부(110)로 이송된 후 로딩부(110)는 기판(21)을 제1증착부(12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제1증착부(120)는 제1 증착원(122)으로 제1증착물질을 공급하여 기판(21) 상에 상기 제1중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증착물질은 제1개구부(123-4)를 통과하여 기판(21) 상에 증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중간층은 제1마스크 시트(123-2)의 인장 방향에 대해서 틸팅된 정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기판(21)은 제1증착부(120)에서 제2증착부(130)로 이송된 후 제2증착부(130)에서 제2증착물질을 기판(21) 상에 증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제2증착부(130)는 제2마스크 시트(133-2)의 인장 방향에 대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틸팅되며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상기 제2중간층을 기판(21) 상에 복수개 형성할 수 있다.
이후 기판(21)은 제2증착부(130)에서 제3증착부(140)로 이송될 수 있다. 제3증착부(140)는 제3증착물질을 기판(21) 상에 공급할 수 있으며, 제3개구부(143-4)를 통과한 제3증착물질은 기판(21) 상에 증착될 수 있다. 이때, 제3증착부(140)는 제3마스크 시트(143-2)의 인장 방향에 대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틸팅되며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상기 제3중간층을 기판(21) 상에 복수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중간층, 상기 제2중간층 및 상기 제3중간층이 형성된 기판(21)은 언로딩부(150)를 통하여 외부로 반출되거나 다음 단계를 위한 장치(또는 장비)로 공급될 수 있다. 이후 기판(21) 상에 상기 대향 전극 및 상기 박박 봉지층 등을 형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제조를 완료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표시 패널 상에 광학적 기능부재(미도시)를 배치하고 차단부(미도시)를 상기 광학적 기능부재 상에 배치하여 표시 장치(미도시)의 제조를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정밀한 증착 패턴을 갖는 상기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제조 시 발생할 수 있는 설계 패턴과 실제 증착 패턴 사이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부화소, 제2부화소 및 제3부화소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제1부화소, 제2부화소 및 제3부화소와 차단층의 배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제2중간층을 증착하기 위한 제2마스크 시트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제3중간층을 증착하기 위한 제3마스크 시트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표시 장치(미도시)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이때, 표시 패널(미도시)은 기판(미도시) 상에서 표시 영역(미도시)과 상기 표시 영역의 외곽에 비표시 영역(미도시)이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에는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부화소가 배치되고, 비표시 영역에는 전원 배선(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표시 영역에는 패드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는 서로 상이한 색을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하나는 청색을 발광하고,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다른 하나는 적색을 발광하며,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또 다른 하나는 녹색을 발광한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하나는 정사각형일 수 있으며,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나머지 2개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부화소(F1)는 정사각형이면서 적색을 발광하고, 제2부화소(F2)는 직사각형이면서 녹색을 발광하며, 제3부화소(F3)는 직사각형이면서 청색을 발광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는 제1중간층(28-2A)을 포함하며, 제1중간층(28-2A)은 제1부화소(F1)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제1중간층(28-2A)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1부화소(F1)의 평면 상의 면적이상 일 수 있으며, 제1부화소(F1)는 제1중간층(28-2A)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부화소(F2)는 제2중간층(28-2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중간층(28-2B)은 제2부화소(F2)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제2부화소(F2)는 제2중간층(28-2B)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부화소(F3)는 제3중간층(28-2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중간층(28-2C)은 제3부화소(F3)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제3부화소(F3)는 제3중간층(28-2C)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은 다양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복수개의 제2부화소(F2) 중 일부의 평면 상의 면적과 복수개의 제2부화소(F2) 중 다른 일부의 평면 상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3부화소(F3) 중 일부의 평면 상의 면적과 복수개의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복수개의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은 모두 동일하고, 복수개의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 또는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 중 하나는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 또는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 중 다른 하나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각 부화소에서 발광하는 빛의 개구율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2부화소(F2)의 장변과 제3부화소(F3)의 장변은 서로 동일한 크기일 수 있다. 다만, 제2부화소(F2)의 단변과 제3부화소(F3)의 단변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중 적어도 하나의 면적을 조절하는 것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화소정의막(미도시)이 화소 전극(미도시)을 노출시키는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제3부화소(F3)에 각각 증착되어 형성되는 제1중간층(28-2A), 제2중간층(28-2B) 및 제3중간층(28-2C)의 면적 및 형상은 각 부화소가 서로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 부화소에 대응되는 면적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중간층(28-2B)과 제3중간층(28-2C)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2마스크 시트(133-2)와 제3마스크 시트(143-2)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제2마스크 시트(133-2)는 복수개의 제2개구부(133-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마스크 시트(143-2)는 제3개구부(14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제2개구부(133-4)의 면적과 각 제3개구부(143-4)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특히 각 제2개구부(133-4)의 면적과 각 제3개구부(143-4)의 면적은 제2중간층(28-2B)의 면적 및 제3중간층(28-2C)의 면적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각 부화소, 각 중간층 및 각 개구부와의 관계는 본원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개구부(133-4) 중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제2개구부(133-4)는 제2마스크 시트(133-2)의 인장 방향에 대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틸팅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개구부(143-4) 중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제3개구부(143-4)는 제3마스크 시트(143-2)의 인장 방향에 대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틸팅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2마스크 시트(133-2) 및 제3마스크 시트(143-2)를 인장하는 경우에도 제2개구부(133-4) 및 제3개구부(143-4)의 형상이 최초와 거의 유사하게 유지될 뿐만 아니라 제2개구부(133-4) 및 제3개구부(143-4)의 위치가 초기 위치에서 가변할 때 어느 정도 예상 가능한 범위로 이동 가능하므로 향후 제2증착물질 및 제3증착물질을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에 증착 시 패턴을 보정하는 것이 어느 정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경우 스페이서(P)가 복수개의 부화소 중 일부 부화소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페이서(P)는 상기 도 4a 내지 도 4b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각 부화소의 배치, 부화소의 테두리부터 다른 부화소의 테두리까지의 거리, 스페이서(P)의 테두리로부터 각 부화소의 테두리까지의 거리 등은 상기 도 4a 내지 도 4b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차량 등과 같이 사용자를 이동시키는 장치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에 대해서 사용자 눈이 바라보는 시선 방향과 0도가 아닌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상기 장치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 장치는 사용자의 눈이 상기 표시 장치를 바라보는 시선 방향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이 90도를 형성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상기 표시 장치를 바라보는 경우 화소정의막(미도시)의 경사진 부분과 시선 방향에 수직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상기 화소정의막의 경사진 부분을 통하여 외부의 광이 반사되어 사용자의 눈으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는 각 부화소를 통하여 정밀한 이미지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표시 장치는 차단층(52)을 포함한 차단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차단층(52)은 복수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차단층(52)은 상기 도 4a 및 도 4b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는 외광이나 표시 장치의 작동에 따라 모아레 현상이 상기 표시 장치에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는 차단층(52)를 구비함으로써 차량 등의 윈도우에 이미지나 글자 등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는 상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증착부(미도시)와 제3증착부(미도시)에서는 도 7에 도시된 제1 마스크 조립체(123)을 사용하여 제1중간층(28-2A)을 형성하고,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제2마스크 시트(133-2) 및 제3마스크 시트(143-2)를 사용하여 제2개구부(133-4) 및 제3개구부(143-4)를 각각 통과한 증착물질을 통하여 제2중간층(28-2B) 및 제3중간층(28-2C)을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에 형성할 수 있다.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미도시)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각 마스크 시트의 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정밀한 증착 패턴을 갖는 상기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제조 시 발생할 수 있는 설계 패턴과 실제 증착 패턴 사이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부화소, 제2부화소 및 제3부화소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4b는 도 14a에 도시된 제1부화소, 제2부화소 및 제3부화소와 차단층의 배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제1중간층을 증착하기 위한 제1마스크 시트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제2중간층을 증착하기 위한 제2마스크 시트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제3중간층을 증착하기 위한 제3마스크 시트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표시 장치(미도시)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이때, 표시 패널(미도시)은 기판(미도시) 상에서 표시 영역(미도시)과 상기 표시 영역의 외곽에 비표시 영역(미도시)이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에는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부화소가 배치되고, 비표시 영역에는 전원 배선(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표시 영역에는 패드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는 서로 상이한 색을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하나는 청색을 발광하고,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다른 하나는 적색을 발광하며,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또 다른 하나는 녹색을 발광한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하나는 정사각형일 수 있으며,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나머지 2개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부화소(F1)는 정사각형이면서 적색을 발광하고, 제2부화소(F2)는 직사각형이면서 녹색을 발광하며, 제3부화소(F3)는 직사각형이면서 청색을 발광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다만, 각 부화소의 모서리는 모따기된 상태일 수 있다. 즉, 각 부화소의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지거나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는 제1중간층(28-2A)을 포함하며, 제1중간층(28-2A)은 제1부화소(F1)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제1중간층(28-2A)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1부화소(F1)의 평면 상의 면적이상 일 수 있으며, 제1부화소(F1)는 제1중간층(28-2A)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부화소(F2)는 제2중간층(28-2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중간층(28-2B)은 제2부화소(F2)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제2부화소(F2)는 제2중간층(28-2B)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부화소(F3)는 제3중간층(28-2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중간층(28-2C)은 제3부화소(F3)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제3부화소(F3)는 제3중간층(28-2C)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부화소(F2)는 제2중간층(28-2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중간층(28-2B)은 제2부화소(F2)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제2부화소(F2)는 제2중간층(28-2B)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부화소(F3)는 제3중간층(28-2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중간층(28-2C)은 제3부화소(F3)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제3부화소(F3)는 제3중간층(28-2C)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각 부화소 사이에는 스페이서(P)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스페이서(P)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를 제조하기 위하여 기판(미도시)을 상기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미도시)로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증착부(미도시)에서는 제1증착물질을 상기 기판에 공급하여 제1중간층(28-2A)을 형성하고, 제2증착부(미도시)는 제2증착물질을 상기 기판에 공급하여 제2중간층(28-2B)을 형성하며, 제3증착부(미도시)는 제3증착물질을 상기 기판에 공급하여 제3중간층(28-2C)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증착부에서 사용하는 제1마스크 시트(123-2)는 제1부화소(F1)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1개구부(12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제1개구부(123-4)의 평면 상의 면적은 대응되는 하나의 제1부화소(F1)의 평면 상의 면적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제1개구부(123-4)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1개구부(123-4)를 통과한 제1증착물질이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에 증착되어 형성되는 제1중간층(28-2A)의 평면 상의 면적 이하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서로 대응되는 제1개구부(123-4)의 형상, 제1중간층(28-2A)의 형상 및 제1부화소(F1)의 형상은 정사각형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2증착부에서 사용되는 제2마스크 시트(133-2)의 제2개구부(133-4)도 제2부화소(F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개구부(133-4)는 상기의 제2부화소(F2)가 배열된 것과 동일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개구부(133-4)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 이상일 수 있으며, 제2증착물질이 상기 기판에 증착되어 형성되는 제2중간층(28-2B)의 평면 상의 면적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3증착부에서 사용되는 제3마스크 시트(143-2)의 제3개구부(143-4)도 제3부화소(F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제3개구부(143-4)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제3개구부(143-4)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3중간층(28-2C)의 평면 상의 면적 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사이의 관계는 상기 도 4a 내지 도 4b에서 설명한 내용과 유사할 수 있다. 또한, 제1중간층(28-2A), 제2중간층(28-2B) 및 제3중간층(28-2C) 사이의 관계는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사이의 관계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2부화소(F2) 중 일부의 중심은 일 방향으로 일직선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제2부화소(F2) 중 다른 일부의 중심은 다른 방향으로 서펜타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3부화소(F3) 중 일부의 중심은 일직선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제3부화소(F3) 중 다른 일부의 중심은 다른 방향으로 서펜타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부화소(F1)의 중심은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배열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동일한 제1부화소(F1)를 마주보는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는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각각의 일변이 제2마스크 시트(133-2)의 인장 방향 및 제3마스크 시트(143-2)의 인장방향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경우 서로 인접하는 제2부화소(F2)는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제2마스크 시트(133-2)의 인장 방향에 대해서 45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마스크 시트(133-2)에 형성되며, 서로 인접한 제2개구부(133-4)의 일변도 제2마스크 시트(133-2)의 인장 방향에 대해서 45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제3부화소(F3)의 일변은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제3마스크 시트(143-2)의 인장 방향에 대해서 45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3마스크 시트(143-2)에 형성되며, 서로 인접한 제3개구부(143-4)의 일변도 제3마스크 시트(143-2)의 인장 방향에 대해서 45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2중간층(28-2B) 및 제3중간층(28-2C)은 각각 제2개구부(133-4) 및 제3개구부(143-4)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제1개구부(132-4)의 일변 내지 제3개구부(134-4)의 일변의 방향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부화소(F1) 내지 제3부화소(F3)의 위치에 따라 가변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1개구부(132-4)의 일변 내지 제3개구부(134-4)의 일변의 방향 각각은 제1마스크 시트(132-3)의 인장 방향 내지 제3마스크 시트(134-3)의 인장 방향에 대해서 5도 이상이면서 85도 이하의 범위를 갖도록 틸팅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표시 장치는 차단층(52)을 포함한 차단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차단층(52)은 복수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차단층(52)은 상기 도 4a 및 도 4b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는 외광이나 표시 장치의 작동에 따라 모아레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장치의 작동 시 차량 등의 윈도우에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차량 등과 같이 사용자를 이동시키는 장치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에 대해서 사용자 눈이 바라보는 시선 방향과 0도가 아닌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상기 장치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 장치는 사용자의 눈이 상기 표시 장치를 바라보는 시선 방향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이 90도를 형성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상기 표시 장치를 바라보는 경우 화소정의막(미도시)의 경사진 부분과 시선 방향에 수직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상기 화소정의막의 경사진 부분을 통하여 외부의 광이 반사되어 사용자의 눈으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는 각 부화소를 통하여 정밀한 이미지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장치의 작동 시 또는 외광으로 인한 상기 표시 장치의 표면에 모아레 무늬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정밀한 증착 패턴을 갖는 상기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제조 시 발생할 수 있는 설계 패턴과 실제 증착 패턴 사이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부화소, 제2부화소 및 제3부화소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8b는 도 18a에 도시된 제1부화소, 제2부화소 및 제3부화소와 차단층의 배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제2중간층을 증착하기 위한 제2마스크 시트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제3중간층을 증착하기 위한 제3마스크 시트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8a 내지 도 20을 참고하면, 표시 장치(미도시)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이때, 표시 패널(미도시)은 기판(미도시) 상에서 표시 영역(미도시)과 상기 표시 영역의 외곽에 비표시 영역(미도시)이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에는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부화소가 배치되고, 비표시 영역에는 전원 배선(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비표시 영역에는 패드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는 서로 상이한 색을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하나는 청색을 발광하고,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다른 하나는 적색을 발광하며,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또 다른 하나는 녹색을 발광한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하나는 정사각형일 수 있으며,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나머지 2개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부화소(F1)는 정사각형이면서 적색을 발광하고, 제2부화소(F2)는 직사각형이면서 녹색을 발광하며, 제3부화소(F3)는 직사각형이면서 청색을 발광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는 제1중간층(28-2A)을 포함하며, 제1중간층(28-2A)은 제1부화소(F1)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제1중간층(28-2A)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1부화소(F1)의 평면 상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부화소(F1)는 제1중간층(28-2A)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부화소(F2)는 제2중간층(28-2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중간층(28-2B)은 제2부화소(F2)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제2부화소(F2)는 제2중간층(28-2B)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부화소(F3)는 제3중간층(28-2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중간층(28-2C)은 제3부화소(F3)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제3부화소(F3)는 제3중간층(28-2C)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는 상기 도 11a 미 도 11b에서 도시된 구조에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는 상기 도 11a 미 도 11b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중 적어도 하나는 모서리가 모따기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로써 제1부화소(F1)의 꼭지점, 제2부화소(F2)의 꼭지점 또는 제3부화소(F3)의 꼭지점 중 하나는 모따기 될 수 있으며, 제1부화소(F1)의 꼭지점, 제2부화소(F2)의 꼭지점 또는 제3부화소(F3)의 꼭지점 중 나머지 2개는 모따기 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부화소(F1)의 꼭지점, 제2부화소(F2)의 꼭지점 또는 제3부화소(F3)의 꼭지점 중 2개는 모따기 될 수 있으며, 제1부화소(F1)의 꼭지점, 제2부화소(F2)의 꼭지점 또는 제3부화소(F3)의 꼭지점 중 나머지 하나는 모따기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부화소(F1)의 꼭지점, 제2부화소(F2)의 꼭지점 또는 제3부화소(F3)의 꼭지점 모두 모따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부화소(F1)의 꼭지점, 제2부화소(F2)의 꼭지점 또는 제3부화소(F3)의 꼭지점 모두 모따기된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모따기된 제1부화소(F1)의 꼭지점, 제2부화소(F2)의 꼭지점 또는 제3부화소(F3)의 꼭지점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마스크 시트(미도시)의 제1개구부(미도시)의 꼭지점(또는 모서리), 제2마스크 시트(133-2)의 제2개구부(133-4)의 꼭지점(또는 모서리) 및 제3마스크 시트(143-2)의 제3개구부(143-4)의 꼭지점(또는 모서리)을 모따기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개구부, 제2개구부(133-4) 및 제3개구부(143-4)는 각각 팔각형 형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개구부, 제2개구부(133-4) 및 제3개구부(143-4)에서 모따기 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으며, 상기 제1개구부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개구부(133-4) 및 제3개구부(143-4)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개구부의 꼭지점, 제2개구부(133-4)의 꼭지점 및 제3개구부(143-4)의 꼭지점이 모따기 되는 경우 상기 제1마스크 시트, 제2마스크 시트(133-2) 및 제3마스크 시트(143-2)가 각각 인장될 때 상기 제1개구부의 꼭지점, 제2개구부(133-4)의 꼭지점 및 제3개구부(143-4)의 꼭지점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마스크 시트, 제2마스크 시트(133-2) 및 제3마스크 시트(143-2)를 각각 인장 시 상기 제1마스크 시트, 제2마스크 시트(133-2) 및 제3마스크 시트(143-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개구부의 꼭지점, 제2개구부(133-4)의 꼭지점 및 제3개구부(143-4)의 꼭지점 부분에 제1증착물질, 제2증착물질 및 제3증착물질이 서로 증착되어 막히지 않음으로써 정확한 형상의 제1중간층(28-2A), 제2중간층(28-2B) 및 제3중간층(28-2C)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의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미도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의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를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경우 제1증착부(미도시)에서는 제1증착물질을 상기 기판에 공급하여 제1중간층(28-2A)을 형성하고, 제2증착부(미도시)는 제2증착물질을 상기 기판에 공급하여 제2중간층(28-2B)을 형성하며, 제3증착부(미도시)는 제3증착물질을 상기 기판에 공급하여 제3중간층(28-2C)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증착부에서 사용하는 상기 제1마스크 시트는 제1부화소(F1)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제1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하나의 제1개구부의 평면 상의 면적은 대응되는 하나의 제1부화소(F1)의 평면 상의 면적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상기 제1개구부의 평면 상의 면적은 상기 제1개구부를 통과한 제1증착물질이 상기 기판에 증착되어 형성되는 제1중간층(28-2A)의 평면 상의 면적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1개구부의 형상, 제1중간층(28-2A)의 형상 및 제1부화소(F1)의 형상은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2증착부에서 사용되는 제2마스크 시트(133-2)의 제2개구부(133-4)도 제2부화소(F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개구부(133-4)는 상기의 제2부화소(F2)가 배열된 것과 동일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개구부(133-4)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 이상일 수 있으며, 제2증착물질이 상기 기판에 증착되어 형성되는 제2중간층(28-2B)의 평면 상의 면적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3증착부에서 사용되는 제3마스크 시트(143-2)의 제3개구부(143-4)도 제3부화소(F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제3개구부(143-4)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제3개구부(143-4)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3중간층(28-2C )의 평면 상의 면적 이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는 상기 도 15a 및 도 15b에서 설명한 내용과 유사할 수 있다. 또한, 제1중간층(28-2A), 제2중간층(28-2B) 및 제3중간층(28-2C) 사이의 관계는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사이의 관계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2부화소(F2) 중 일부의 중심은 일 방향으로 일직선에 배치되며, 복수개이 제2부화소(F2) 중 다른 일부의 중심은 다른 방향으로 서펜타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3부화소(F3) 중 일부의 중심은 일직선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제3부화소(F3) 중 다른 일부의 중심은 다른 방향으로 서펜타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부화소(F1)의 중심은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배열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동일한 제1부화소(F1)를 마주보는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는 제2마스크 시트(133-2)의 인장 방향 및 제3마스크 시트(143-2)의 인장방향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경우 서로 인접하는 제2부화소(F2)는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제2마스크 시트(133-2)의 인장 방향에 대해서 45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마스크 시트(133-2)에 형성되며, 서로 인접한 제2개구부(133-4)도 제2마스크 시트(133-2)의 인장 방향에 대해서 45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인접하는 제3부화소(F3)는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제3마스크 시트(143-2)의 인장 방향에 대해서 45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3마스크 시트(143-2)에 형성되며, 서로 인접한 제3개구부(143-4)도 제3마스크 시트(143-2)의 인장 방향에 대해서 45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2중간층(28-2B) 및 제3중간층(28-2C)은 각각 제2개구부(133-4) 및 제3개구부(143-4)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차량 등과 같이 사용자를 이동시키는 장치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에 대해서 사용자 눈이 바라보는 시선 방향과 0도가 아닌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상기 장치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 장치는 사용자의 눈이 상기 표시 장치를 바라보는 시선 방향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이 90도를 형성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상기 표시 장치를 바라보는 경우 상기 화소정의막의 경사진 부분과 시선 방향에 수직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상기 화소정의막의 경사진 부분을 통하여 외부의 광이 반사되어 사용자의 눈으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는 각 부화소를 통하여 정밀한 이미지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표시 장치는 차단층(52)을 포함한 차단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차단층(52)은 복수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차단층(52)은 상기 도 4a 및 도 4b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는 외광이나 표시 장치의 작동에 따라 모아레 현상이 상기 표시 장치의 외부에서 신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정밀한 증착 패턴을 갖는 상기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제조 시 발생할 수 있는 설계 패턴과 실제 증착 패턴 사이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부화소, 제2부화소 및 제3부화소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1을 참고하면, 표시 장치(미도시)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이때, 표시 패널(미도시)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 장치는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부화소는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하나는 정사각형일 수 있으며,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다른 두개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부화소(F1)가 정사각형이며,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가 직사각형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하나는 청색 빛을 방출하고,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다른 하나는 적색의 빛을 방출하며,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또 다른 하나는 녹색의 빛을 방출한다. 이러한 경우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각각의 형상에 따라 청색, 적색 또는 녹색 중 하나의 빛은 정사각형일 수 있으며, 청색, 적색 또는 녹색 중 나머지 빛은 직사각형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부화소(F1)는 청색의 빛을 방출하고, 제2부화소(F2)는 적색의 빛을 방출하며, 제3부화소(F3)는 녹색의 빛을 방출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각각의 면적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부화소의 개구율을 조절 가능하므로 다양한 형태 및 다양한 작동이 가능한 표시 장치(1)의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는 각각 제1중간층(28-2A), 제2중간층(28-2B) 및 제3중간층(28-2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중간층(28-2A), 제2중간층(28-2B) 및 제3중간층(28-2C)은 외부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서로 상이한 빛을 발광하는 물질(예를 들면,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중간층(28-2A), 제2중간층(28-2B) 및 제3중간층(28-2C)은 각각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중간층(28-2A)은 제1부화소(F1)의 형상인 정사각형에 대응되도록 정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중간층(28-2B) 및 제3중간층(28-2C)은 각각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의 형상인 직사각형에 대응되도록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중간층의 평면 상의 면적은 각 부화소의 평면 상의 면적과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로써 제1중간층(28-2A)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1부화소(F1)의 평면 상의 면적과 상이할 수 있으며, 제2중간층(28-2B)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은 동일하고 제3중간층(28-2C)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은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2중간층(28-2B)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과 상이할 수 있으며, 제1중간층(28-2A)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1부화소(F1)의 평면 상의 면적은 동일하고 제3중간층(28-2C)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은 동일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3중간층(28-2C)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과 상이할 수 있으며, 제2중간층(28-2B)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은 동일하고 제1중간층(28-2A)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1부화소(F1)의 평면 상의 면적은 동일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중간층(28-2A)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1부화소(F1)의 평면 상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으며, 제2중간층(28-2B)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은 서로 상이하고, 제3중간층(28-2C)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2중간층(28-2B)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으며, 제1중간층(28-2A)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1부화소(F1)의 평면 상의 면적은 서로 상이하고, 제3중간층(28-2C)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3중간층(28-2C)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으며, 제1중간층(28-2A)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1부화소(F1)의 평면 상의 면적은 서로 상이하고, 제2중간층(28-2B)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중간층(28-2A)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1부화소(F1)의 평면 상의 면적과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제2중간층(28-2B)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은 서로 상이하고, 제3중간층(28-2C)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중간층(28-2A)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1부화소(F1)의 평면 상의 면적과 서로 동일할 수 있으며, 제2중간층(28-2B)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은 서로 동일하고, 제3중간층(28-2C)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때, 평면 상의 면적은 표시 장치(1)의 표시 영역(DA)이 형성하는 평면 상에서의 면적일 수 있다. 또는 평면 상의 면적은 이미지가 구현될 때 이미지가 구현되는 면 상에서의 면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중간층의 평면 상의 면적과 각 부화소의 평면 상의 면적이 상이한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는 각각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부화소(F1)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1부화소(F1) 중 일부는 제1 방향(예를 들면, 도 1의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 중 하나)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1부화소(F1) 중 다른 일부는 제2 방향(예를 들면, 도 1의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 중 다른 하나)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1부화소(F1) 중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부화소(F1)의 중심은 하나의 직선 상에 배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직선은 제1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1부화소(F1) 중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부화소(F1)의 중심은 하나의 직선 상에 배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직선은 제2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각 제1부화소(F1)의 제1변(S1)과 다른 제2변(S2)은 서로 일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제1부화소(F1)의 제1변(S1)과 제2변(S2)은 서로 직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변(S1)과 제2변(S2)은 각각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 상이한 방향으로 틸팅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제1부화소(F1)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하나의 방향을 기준으로 마름모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각 제1부화소(F1)의 각 꼭지점에 인접하는 두변(S1,S2)이 형성하는 각도가 90도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제1부화소(F1)의 제1변(S1) 또는 제2변(S2)에는 하나의 제2부화소(F2) 및 하나의 제3부화소(F3)가 제1부화소(F1)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하나에 대해서 틸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하나에 대해서 45도를 형성하도록 틸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중 적어도 하나의 단변 및 장변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1부화소(F1)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에 대해서 45도를 형성할 수 있다.
제2부화소(F2)와 제3부화소(F3)는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중 적어도 하나의 면적은 제1부화소(F1)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제1부화소(F1)를 마주보는 제2부화소(F2)와 제3부화소(F3) 중 적어도 하나는 제2부화소(F2)와 제3부화소(F3)가 마주보는 제1부화소(F1)의 일변(예를 들면, 제1변(S1) 또는 제2변(S2) 또는 이러한 제1부화소(F1)의 일변의 연장선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서로 인접하는 제2부화소(F2)의 적어도 일부와 제3부화소(F3)의 적어도 일부는 제1변(S1) 또는 제2변(S2) 중 하나의 길이 범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제1부화소(F1)와 마주보는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중 적어도 하나의 단변 또는 장변은 제1변(S1) 또는 제2변(S2)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로써 제1변(S1) 및 제2변(S2)을 각각 마주보는 서로 다른 제2부화소(F2)의 단변의 연장선은 서로 교차하거나 제1변(S1) 및 제2변(S2)을 각각 마주보는 서로 다른 제2부화소(F2)의장변의 연장선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변(S1) 및 제2변(S2)을 각각 마주보는 각 제3부화소(F3)의 단변의 연장선은 서로 교차하거나 제1변(S1) 및 제2변(S2)을 각각 마주보는 각 제3부화소(F3)의 장변의 연장선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변(S1)을 마주보는 제2부화소(F2)의 단변의 연장선과 및 제2변(S2)을 마주보는 제3부화소(F3)의 단변의 연장선은 서로 교차하거나 제1변(S1)을 마주보는 제2부화소(F2)의 장변의 연장선과 제2변(S2)을 마주보는 제3부화소(F3)의 장변의 연장선이 서로 교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변(S1)을 마주보는 제2부화소(F2)의 장변의 연장선은 제2변(S2)을 마주보는 제3부화소(F3)의 단변의 연장선과 서로 교차하거나 단 제1변(S1)을 마주보는 제2부화소(F2)의 단변의 연장선은 제2변(S2)을 마주보는 제3부화소(F3)의 장변의 연장선과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복수개의 제2부화소(F2)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2부화소(F2)의 일부의 중심은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2부화소(F2)의 일부의 중심은 일직선 상에 배치되고,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2부화소(F2)의 다른 일부의 중심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다른 하나의 방향을 따라 서펜타인(Serpetine, 또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2부화소(F2) 중 일부의 중심은 직선으로 배열되고,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2부화소(F2) 중 다른 일부의 중심은 서펜타인 형태로 배열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개의 제3부화소(F3)도 제2부화소(F2)와 유사하게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3부화소(F3)도 제2부화소(F2)와 유사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제3부화소(F3) 중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3부화소(F3) 중 일부의 중심은 직선으로 배열되고, 복수개의 제3부화소(F3) 중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3부화소(F3) 중 다른 일부의 중심은 서펜타인 형태로 배열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 하나의 제1부화소(F1)의 제1변(S1)을 마주보는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하나는 제1부화소(F1)의 제2변(S2)을 마주보는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하나와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부화소(F1)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또는 인접하는 두개의 부화소의 중심을 지나면서 제1 방향과 평행한 임의의 직선)에 대해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변(S1)을 마주보는 제2부화소(F2)는 제2변(S2)을 마주보는 제3부화소(F3)와 상기의 직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될 수 있다. 또한, 제1변(S1)을 마주보는 제3부화소(F3)는 제2변(S2)을 마주보는 제2부화소(F2)와 상기의 직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이때, 서로 인접하는 제2부화소(F2)의 중심 사이의 거리와 서로 인접하는 제3부화소(F3)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변(S1)을 마주보는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각각은 제2변(S2)을 마주보는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와 상기의 직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이때,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제2부화소(F2) 또는 한쌍의 제3부화소(F3) 중 하나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제2부화소(F2) 또는 한쌍의 제3부화소(F3) 중 다른 하나의 중심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제2부화소(F2)는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제3부화소(F3) 사이에 배치되거나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제3부화소(F3)는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제2부화소(F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부화소(F2)는 제3부화소(F3)와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부화소(F1)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에 대해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배치되는 경우 제1부화소(F1)의 테두리로부터 제2부화소(F2)까지의 최단거리인 제1 거리(L1)와 제1부화소(F1)의 테두리로부터 제3부화소(F3)까지의 최단거리인 제2 거리(L2)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최단거리는 제1변(S1) 또는 제2변(S2) 중 하나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제1변(S1) 또는 제2변(S2)으로부터 제2부화소(F2)의 일변 또는 제3부화소(F3)의 일변까지 측정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는 최단거리는 제1변(S1) 또는 제2변(S2) 중 하나의 연장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2부화소(F2)의 일변 또는 제3부화소(F3)의 일변까지 측정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최단거리는 제1변(S1)을 마주보는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에 대해서 제1변(S1) 또는 제1변(S1)의 연장선에서 측정한 거리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다른 실시예로써 최단거리는 제1부화소(F1)의 중심으로부터 제2부화소(F2)의 중심까지의 거리 또는 제1부화소(F1)의 중심으로부터 제3부화소(F3)의 중심까지의 거리로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에로써 최단거리는 제1부화소(F1)의 제1변(S1) 또는 제1변(S1)의 연장선으로부터 제2부화소(F2)의 중심까지의 거리 또는 제3부화소(F3)의 중심까지의 거리로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변(S1) 또는 제1변(S1)의 연장선에서 측정된 제1 거리(L1)와 제2 거리(L2)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제1 거리(L1)는 제1변(S1) 또는 제1변(S1)의 연장선 중 하나에서 제2부화소(F2)의 단변까지의 거리일 수 있으며, 제2 거리(L2)는 제1변(S1) 또는 제1변(S1)의 연장선 중 하나에서 제3부화소(F3)의 단변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하나의 제1부화소(F1)의 일변을 마주보는 제2부화소(F2)의 테두리 일부와 및 제3부화소(F3)의 일부를 연결한 임의의 외곽선(R)은 정사각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부화소(F2)와 제3부화소(F3)가 서로 마주보는 제2부화소(F2)의 일변과 제3부화소(F3)의 일변을 제외한 제2부화소(F2)의 나머지 테두리 및 제3부화소(F3)의 나머지 테두리를 연결하고, 제2부화소(F2)와 제3부화소(F3)가 서로 이격된 부분에서 서로 마주보는 제2부화소(F2)의 꼭지점과 제3부화소(F3)의 꼭지점을 서로 연결하면 임의의 외곽선(R)을 그릴 수 있다. 이러한 외곽선(R)은 정사각형을 형성함으로써 제2변(S2) 부분에서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를 제1변(S1)을 마주보는 제2부화소(F2)와 제3부화소(F3)의 배치에 대응되도록 미러(mirror) 배치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를 형성하는 제1중간층(28-2A), 제2중간층(28-2B) 및 제3중간층(28-2C) 각각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되며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중간층(28-2A), 제2중간층(28-2B) 및 제3중간층(28-2C) 각각의 중심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각각의 중심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에서 설명한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의 내용은 제1중간층(28-2A), 제2중간층(28-2B) 및 제3중간층(28-2C)에 각각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표시 장치는 차단층(52)을 포함한 차단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차단층(52)은 복수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차단층(52)은 상기 도 4a 및 도 4b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는 외광이나 표시 장치의 작동에 따라 모아레 현상이 상기 표시 장치의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는 상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제1마스크 시트(미도시) 내지 제3마스크 시트(미도시)와 유사한 형태의 마스크 시트를 사용하여 제1중간층(28-2A) 내지 제3중간층(28-2C)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중간층(28-2A) 내지 제3중간층(28-2C)에 각각 형성하는 각 마스크 시트의 개구부는 각 중간층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부화소, 제2부화소 및 제3부화소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2를 참고하면, 표시 장치(미도시)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이때, 표시 패널(미도시)은 기판(미도시) 상에서 표시 영역(미도시)과 상기 표시 영역의 외곽에 비표시 영역(미도시)이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에는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부화소가 배치되고, 비표시 영역에는 전원 배선(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표시 영역에는 패드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기판(미도시),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중간층(미표기), 대향 전극(미도시) 및 박막 봉지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는 서로 상이한 색을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하나는 청색을 발광하고,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다른 하나는 적색을 발광하며,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또 다른 하나는 녹색을 발광한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하나는 정사각형일 수 있으며,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나머지 2개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부화소(F1)는 정사각형이면서 적색을 발광하고, 제2부화소(F2)는 직사각형이면서 녹색을 발광하며, 제3부화소(F3)는 직사각형이면서 청색을 발광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는 제1중간층(28-2A)을 포함하며, 제1중간층(28-2A)은 제1부화소(F1)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제1중간층(28-2A)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1부화소(F1)의 평면 상의 면적이상 일 수 있으며, 제1부화소(F1)는 제1중간층(28-2A)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부화소(F2)는 제2중간층(28-2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중간층(28-2B)은 제2부화소(F2)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제2부화소(F2)는 제2중간층(28-2B)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부화소(F3)는 제3중간층(28-2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중간층(28-2C)은 제3부화소(F3)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제3부화소(F3)는 제3중간층(28-2C)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 또는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 중 하나는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 또는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 중 다른 하나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각 부화소에서 발광하는 빛의 개구율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중 적어도 하나의 면적을 조절하는 것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화소정의막(미도시)이 화소 전극(미도시)을 노출시키는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제3부화소(F3)에 각각 증착되어 형성되는 제1중간층(28-2A), 제2중간층(28-2B) 및 제3중간층(28-2C)의 면적 및 형상은 각 부화소가 서로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 부화소에 대응되는 면적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표시 장치는 차단층(52)을 포함한 차단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차단층(52)은 복수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차단층(52)은 상기 도 4a 및 도 4b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는 외광이나 표시 장치의 작동에 따라 모아레 현상이 상기 표시 장치의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는 상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제1마스크 시트(미도시) 내지 제3마스크 시트(미도시)와 유사한 형태의 마스크 시트를 사용하여 제1중간층(28-2A) 내지 제3중간층(28-2C)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중간층(28-2A) 내지 제3중간층(28-2C)에 각각 형성하는 각 마스크 시트의 개구부는 각 중간층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상기 표시 장치는 차량 등과 같이 사용자를 이동시키는 장치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에 대해서 사용자 눈이 바라보는 시선 방향과 0도가 아닌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상기 장치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 장치는 사용자의 눈이 상기 표시 장치를 바라보는 시선 방향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이 90도를 형성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상기 표시 장치를 바라보는 경우 화소정의막(미도시)의 경사진 부분과 시선 방향에 수직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상기 화소정의막의 경사진 부분을 통하여 외부의 광이 반사되어 사용자의 눈으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는 각 부화소를 통하여 정밀한 이미지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부화소, 제2부화소 및 제3부화소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3을 참고하면, 표시 장치(미도시)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이때, 표시 패널(미도시)은 기판(21) 상에서 표시 영역(미도시)과 상기 표시 영역의 외곽에 비표시 영역(미도시)이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에는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부화소가 배치되고, 비표시 영역에는 전원 배선(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표시 영역에는 패드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기판(21),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중간층(미표기), 대향 전극(28-3) 및 박막 봉지층(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는 서로 상이한 색을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하나는 청색을 발광하고,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다른 하나는 적색을 발광하며,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또 다른 하나는 녹색을 발광한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하나는 정사각형일 수 있으며,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나머지 2개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부화소(F1)는 정사각형이면서 적색을 발광하고, 제2부화소(F2)는 직사각형이면서 녹색을 발광하며, 제3부화소(F3)는 직사각형이면서 청색을 발광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는 제1중간층(28-2A)을 포함하며, 제1중간층(28-2A)은 제1부화소(F1)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제1중간층(28-2A)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1부화소(F1)의 평면 상의 면적이상 일 수 있으며, 제1부화소(F1)는 제1중간층(28-2A)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부화소(F2)는 제2중간층(28-2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중간층(28-2B)은 제2부화소(F2)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제2부화소(F2)는 제2중간층(28-2B)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부화소(F3)는 제3중간층(28-2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중간층(28-2C)은 제3부화소(F3)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제3부화소(F3)는 제3중간층(28-2C)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부화소(F2)는 제2중간층(28-2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중간층(28-2B)은 제2부화소(F2)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제2부화소(F2)는 제2중간층(28-2B)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부화소(F3)는 제3중간층(28-2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중간층(28-2C)은 제3부화소(F3)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제3부화소(F3)는 제3중간층(28-2C)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과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은 다양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2부화소(F2) 중 일부는 복수개의 제2부화소(F2) 중 다른 일부와 상기의 면적이 상이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제1부화소(F1)를 마주보며,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도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3부화소(F3) 중 일부는 복수개의 제3부화소(F3) 중 다른 일부와 상기의 면적이 상이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제1부화소(F1)를 마주보며, 서로 인접하는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1부화소(F1)의 제1변(S1) 또는 제2변(S2) 중 하나 또는 제1부화소(F1)의 제1변(S1) 또는 제2변(S2) 중 하나의 연장선 중 하나로부터 제1변(S1) 또는 제2변(S2) 중 하나를 마주보는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사이의 거리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변(S1) 또는 제1변(S1)의 연장선과 마주보는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는 제1변(S1) 또는 제1변(S1)의 연장선 중 하나로부터 제2부화소(F2)의 단변(또는 일변, 제2부화소(F2)의 중심)까지의 최단거리인 제1 거리(L1)와 제1변(S1) 또는 제1변(S1)의 연장선 중 하나로부터 제3부화소(F3)의 단변(또는 일변, 제3부화소(F3)의 중심)까지의 최단거리인 제2 거리(L2)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제1 거리(L1)는 제2 거리(L2)보다 길 수 있다.
반면 제2변(S2) 또는 제2변(S2)의 연장선과 마주보는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는 제2변(S2) 또는 제2변(S2)의 연장선 중 하나로부터 제2부화소(F2)의 단변(또는 일변, 제2부화소(F2)의 중심)까지의 최단거리인 제3 거리(L3)와 제2변(S2) 또는 제2변(S2)의 연장선 중 하나로부터 제3부화소(F3)의 단변(또는 일변, 제3부화소(F3)의 중심)까지의 최단거리인 제4 거리(L4)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제3 거리(L3)는 제4 거리(L4)보다 짧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복수개의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은 각각 동일하고, 복수개의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은 각각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제2부화소(F2)의 평면 상의 면적은 각 제3부화소(F3)의 평면 상의 면적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일 실시예로써 제1변(S1)과 제2변(S2)을 각각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제2부화소(F2) 사이에 제1변(S1)과 제2변(S2)을 각각 마주보도록 한쌍의 제3부화소(F3)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변(S1) 또는 제2변(S2)에서 제2부화소(F2)의 단변(또는 일변, 제2부화소(F2)의 중심)까지의 최단거리는 제1변(S1) 또는 제2변(S2)에서 제3부화소(F3)의 단변(또는 일변, 제3부화소(F3)의 중심)까지의 최단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써 제1변(S1)과 제2변(S2)을 각각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제3부화소(F3) 사이에 제1변(S1)과 제2변(S2)을 각각 마주보도록 한쌍의 제2부화소(F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변(S1) 또는 제2변(S2)에서 제2부화소(F2)의 단변(또는 일변, 제2부화소(F2)의 중심)까지의 최단거리는 제1변(S1) 또는 제2변(S2)에서 제3부화소(F3)의 단변(또는 일변, 제3부화소(F3)의 중심)까지의 최단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제2부화소(F2) 중 일부의 평면 상의 면적이 복수개의 제2부화소(F2) 중 다른 일부의 평면 상의 면적과 서로 상이하며, 제3부화소(F3) 중 일부의 평면 상의 면적이 복수개의 제3부화소(F3) 중 다른 일부의 평면 상의 면적과 서로 상이하고, 제1 거리(L1)와 제2 거리(L2)가 서로 상이하며, 제3 거리(L3)와 제4 거리(L4)가 서로 상이한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각 부화소 사이에는 스페이서(P)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스페이서(P)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각각에 제1중간층(28-2A), 제2중간층(28-2B) 및 제3중간층(28-2C)이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중간층(28-2A), 제2중간층(28-2B) 및 제3중간층(28-2C) 사이의 관계는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사이의 관계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2부화소(F2) 중 일부의 중심은 일 방향으로 일직선에 배치되며, 복수개이 제2부화소(F2) 중 다른 일부의 중심은 다른 방향으로 서펜타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3부화소(F3) 중 일부의 중심은 일직선에 배치되며, 복수개이 제3부화소(F3) 중 다른 일부의 중심은 다른 방향으로 서펜타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부화소(F1)의 중심은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배열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동일한 제1부화소(F1)를 마주보는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는 제2마스크 시트(미도시)의 인장 방향 및 제3마스크 시트(미도시)의 인장방향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경우 서로 인접하는 제2부화소(F2)는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2마스크 시트의 인장 방향에 대해서 45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마스크 시트에 형성되며, 서로 인접한 제2개구부(미도시)도 상기 제2마스크 시트의 인장 방향에 대해서 45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인접하는 제3부화소(F3)는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3마스크 시트의 인장 방향에 대해서 45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마스크 시트에 형성되며, 서로 인접한 제3개구부(미도시)도 상기 제3마스크 시트의 인장 방향에 대해서 45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2중간층(28-2B) 및 제3중간층(28-2C)은 각각 상기 제2개구부 및 상기 제3개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기판(2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표시 장치는 차단층(52)을 포함한 차단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차단층(52)은 복수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차단층(52)은 상기 도 4a 및 도 4b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는 외광이나 표시 장치의 작동에 따라 모아레 현상이 상기 표시 장치의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는 상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제1마스크 시트(미도시) 내지 제3마스크 시트(미도시)와 유사한 형태의 마스크 시트를 사용하여 제1중간층(28-2A) 내지 제3중간층(28-2C)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중간층(28-2A) 내지 제3중간층(28-2C)에 각각 형성하는 각 마스크 시트의 개구부는 각 중간층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부화소, 제2부화소 및 제3부화소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4를 참고하면, 표시 장치(미도시)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이때, 표시 패널(미도시)은 기판(미도시) 상에서 표시 영역(미도시)과 상기 표시 영역의 외곽에 비표시 영역(미도시)이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에는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부화소가 배치되고, 비표시 영역에는 전원 배선(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비표시 영역에는 패드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기판(미도시),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중간층(미도시), 대향 전극(미도시) 및 박막 봉지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는 서로 상이한 색을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하나는 청색을 발광하고,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다른 하나는 적색을 발광하며,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또 다른 하나는 녹색을 발광한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하나는 정사각형일 수 있으며,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또는 제3부화소(F3) 중 나머지 2개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부화소(F1)는 정사각형이면서 적색을 발광하고, 제2부화소(F2)는 직사각형이면서 녹색을 발광하며, 제3부화소(F3)는 직사각형이면서 청색을 발광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는 제1중간층(28-2A)을 포함하며, 제1중간층(28-2A)은 제1부화소(F1)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제1중간층(28-2A)의 평면 상의 면적은 제1부화소(F1)의 평면 상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부화소(F1)는 제1중간층(28-2A)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부화소(F2)는 제2중간층(28-2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중간층(28-2B)은 제2부화소(F2)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제2부화소(F2)는 제2중간층(28-2B)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부화소(F3)는 제3중간층(28-2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중간층(28-2C)은 제3부화소(F3)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제3부화소(F3)는 제3중간층(28-2C)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는 상기에 도시된 구조에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중 적어도 하나는 모시리가 모따기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로써 제1부화소(F1)의 꼭지점, 제2부화소(F2)의 꼭지점 또는 제3부화소(F3)의 꼭지점 중 하나는 모따기 될 수 있으며, 제1부화소(F1)의 꼭지점, 제2부화소(F2)의 꼭지점 또는 제3부화소(F3)의 꼭지점 중 나머지 2개는 모따기 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부화소(F1)의 꼭지점, 제2부화소(F2)의 꼭지점 또는 제3부화소(F3)의 꼭지점 중 2개는 모따기 될 수 있으며, 제1부화소(F1)의 꼭지점, 제2부화소(F2)의 꼭지점 또는 제3부화소(F3)의 꼭지점 중 나머지 하나는 모따기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부화소(F1)의 꼭지점, 제2부화소(F2)의 꼭지점 또는 제3부화소(F3)의 꼭지점 모두 모따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부화소(F1)의 꼭지점, 제2부화소(F2)의 꼭지점 또는 제3부화소(F3)의 꼭지점 모두 모따기된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표시 장치는 차단층(52)을 포함한 차단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차단층(52)은 복수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차단층(52)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는 외광이나 표시 장치의 작동에 따라 모아레 현상이 상기 표시 장치의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는 상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제1마스크 시트(미도시) 내지 제3마스크 시트(미도시)와 유사한 형태의 마스크 시트를 사용하여 제1중간층(28-2A) 내지 제3중간층(28-2C)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중간층(28-2A) 내지 제3중간층(28-2C)에 각각 형성하는 각 마스크 시트의 개구부는 각 중간층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는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과 유사할 수 있다. 또한, 제1중간층(28-2A), 제2중간층(28-2B) 및 제3중간층(28-2C) 사이의 관계는 제1부화소(F1),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 사이의 관계와 동일할 수 있다. 이때, 각 중간층의 평면 상의 면적은 각 중간층에 대응되는 각 부화소의 평면 상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2부화소(F2) 중 일부의 중심은 일 방향으로 일직선에 배치되며, 복수개이 제2부화소(F2) 중 다른 일부의 중심은 다른 방향으로 서펜타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3부화소(F3) 중 일부의 중심은 일직선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제3부화소(F3) 중 다른 일부의 중심은 다른 방향으로 서펜타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부화소(F1)의 중심은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배열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동일한 제1부화소(F1)를 마주보는 제2부화소(F2) 및 제3부화소(F3)는 제2마스크 시트(미도시)의 인장 방향 및 제3마스크 시트(미도시)의 인장방향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경우 서로 인접하는 제2부화소(F2)는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2마스크 시트의 인장 방향에 대해서 45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마스크 시트에 형성되며, 서로 인접한 제2개구부(미도시)도 상기 제2마스크 시트의 인장 방향에 대해서 45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인접하는 제3부화소(F3)는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3마스크 시트의 인장 방향에 대해서 45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마스크 시트에 형성되며, 서로 인접한 제3개구부(미도시)도 상기 제3마스크 시트의 인장 방향에 대해서 45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2중간층(28-2B) 및 제3중간층(28-2C)은 각각 상기 제2개구부 및 상기 제3개구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차량 등과 같이 사용자를 이동시키는 장치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에 대해서 사용자 눈이 바라보는 시선 방향과 0도가 아닌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상기 장치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 장치는 사용자의 눈이 상기 표시 장치를 바라보는 시선 방향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이 90도를 형성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상기 표시 장치를 바라보는 경우 상기 화소정의막의 경사진 부분과 시선 방향에 수직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상기 화소정의막의 경사진 부분을 통하여 외부의 광이 반사되어 사용자의 눈으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는 각 부화소를 통하여 정밀한 이미지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표시 장치 110: 로딩부
20: 표시 패널 120: 제1증착부
21: 기판 121: 제1 챔버
22: 버퍼층 122: 제1 증착원
28: 유기 발광 소자 123: 제1 마스크 조립체
30: 광학적 기능부재 124: 제1 기판지지부
40: 접착부 125: 제1 마스크지지부
50: 차단부 126: 제1 자기력생성부
51: 베이스층 127: 제1 압력조절부
52: 차단층 140: 제3증착부
53: 보호층 150: 언로딩부
100: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160: 차폐부
130: 제2증착부

Claims (54)

  1. 사각형 형태인 제1부화소; 및
    상기 제1부화소의 제1변 및 제2변을 각각 바라보도록 배치되며, 사각형 형태인 제2부화소;
    상기 제1부화소의 제1변 및 제2변을 각각 바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부화소로부터 이격되며, 사각형 형태인 제3부화소; 및
    상기 제1부화소,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상에 배치되며,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제1부화소,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차단층을 포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화소의 일변으로부터 상기 제2부화소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1부화소의 일변으로부터 상기 제3부화소까지의 거리는 서로 상이한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상기 제1부화소,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의 2개의 변과 평면 상으로 볼 때 중첩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차단층은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보호층; 및
    상기 차단층이 삽입되는 베이스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의 끝단은 오목한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가 배치되는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층의 길이 방향은 상기 기판의 장변 또는 단변에 평행한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가 배치되는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부화소의 한 변과 상기 차단층의 길이 방향이 형성하는 각도는 5도 이상이면서 85도 이하의 범위인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화소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제3부화소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1변 또는 상기 제2변 중 하나의 길이 범위 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화소의 단변은 상기 제1변 또는 상기 제2변과 평행한 표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부화소의 단변은 상기 제1변 또는 상기 제2변과 평행한 표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는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각 제1부화소의 중심은 제1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배치되며, 제2방향으로 서펜타인 형태로 배열되는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표시 장치의 장변과 평행한 방향인 표시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 각각은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2부화소 또는 상기 복수개의 제3부화소 중 하나의 일부의 중심은 일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 각각은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2부화소 또는 상기 복수개의 제3부화소 중 하나의 일부의 중심은 일방향으로 서펜타인(serpentine) 형태로 배열되는 표시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는 제1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되며,
    상기 제1변을 바라보는 상기 제2부화소와 상기 제2변을 바라보는 상기 제2부화소 또는 상기 제3부화소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각 제1부화소의 중심을 연결한 임의의 직선에 대해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 표시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화소의 장변의 길이와 상기 제3부화소의 장변의 길이는 서로 동일한 표시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와 상기 제2부화소 사이 및/또는 상기 제1부화소와 상기 제3부화소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화소로부터 상기 스페이서까지의 최단거리는 상기 제3부화소로부터 상기 스페이서까지의 최단거리와 상이한 표시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화소의 단변 또는 상기 제3부화소의 단변은 상기 제1부화소의 일변과 중첩되며, 상기 제1부화소의 일변으로부터 연장한 임의의 직선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는 제1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되며,
    상기 제2부화소의 장변 또는 상기 제3부화소의 장변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각 제1부화소의 중심을 연결한 임의의 직선에 대해서 45도를 형성하는 표시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의 면적은 상기 제2부화소의 면적 및 상기 제3부화소의 면적 중 적어도 하나보다 큰 표시 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화소의 면적과 상기 제3부화소의 면적은 서로 상이한 표시 장치.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화소의 테두리 중 일부와 상기 제3부화소의 테두리 중 일부를 연결하는 임의의 외곽선은 정사각형인 표시 장치.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의 꼭지점은 모따기된 표시 장치.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는 파란색을 발광하고, 상기 제2부화소 또는 상기 제3부화소 중 하나는 빨간색을 발광하며, 상기 제2부화소 또는 상기 제3부화소 중 다른 하나는 녹색을 발광하는 표시 장치.
  26. 사각형 형태인 복수개의 제1부화소; 및
    상기 각 제1부화소의 제1변 및 제2변을 각각 바라보도록 배치되며, 사각형 형태인 복수개의 제2부화소;
    상기 각 제1부화소의 제1변 및 제2변을 각각 바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각 제2부화소로부터 이격되며, 사각형 형태인 복수개의 제3부화소; 및
    상기 각 제1부화소, 상기 각 제2부화소 및 상기 각 제3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상에 배치되는 차단층을 포함한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부화소 중 일부의 중심은 일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배열되며, 상기 각 제1부화소의 적어도 하나의 변은 상기 복수개의 제1부화소 중 일부의 중심이 형성하는 일직선에 대해서 틸팅(tilting)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부화소 중 일부의 중심들이 형성하는 일직선과 상기 차단층의 길이 방향은 서로 동일하거나 수직한 표시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의 길이 방향과 상기 복수개의 제1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의 한 변이 이루는 각도는 5도 이상이면서 85도 이하의 범위인 표시 장치.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상기 제1부화소,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의 2개의 변과 평면 상으로 볼 때 중첩하는 표시 장치.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보호층; 및
    상기 차단층이 삽입되는 베이스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의 끝단은 오목한 표시 장치.
  31.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가 배치되는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층의 길이 방향은 상기 기판의 장변 또는 단변에 평행한 표시 장치.
  32.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각 제1부화소, 상기 각 제2부화소 및 상기 각 제3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표시 장치.
  33.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의 크기는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와 상이한 표시 장치.
  34.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는 정사각형인 표시 장치.
  35.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직사각형인 표시 장치.
  36.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부화소의 일변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상기 각 제2부화소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각 제3부화소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각 제2부화소와 상기 각 제3부화소가 마주보는 상기 각 제1부화소의 일변의 길이 범위 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3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부화소 중 일부의 중심 및 상기 복수개의 제3부화소 중 일부의 중심 중 하나는 서펜타인(serpentine)형태로 배열되는 표시 장치.
  3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의 꼭지점은 모따기된 표시 장치.
  39. 제1부화소;
    상기 제1부화소를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제2부화소;
    상기 제1부화소를 바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부화소로부터 이격되는 제3부화소;
    상기 제1부화소와 상기 제2부화소 사이 및/또는 상기 제1부화소와 상기 제3부화소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및
    상기 각 제1부화소, 상기 각 제2부화소 및 상기 각 제3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상에 배치되는 차단층을 포함한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부화소 중 일부의 중심은 일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배열되며, 상기 각 제1부화소의 적어도 하나의 변은 상기 복수개의 제1부화소 중 일부의 중심이 형성하는 일직선에 대해서 틸팅(tilting)된 상기 표시 장치.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부화소 중 일부의 중심들이 형성하는 일직선과 상기 차단층의 길이 방향은 서로 동일하거나 수직한 표시 장치.
  4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의 길이 방향과 상기 복수개의 제1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의 한 변이 이루는 각도는 5도 이상이면서 85도 이하의 범위인 표시 장치.
  42.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상기 제1부화소,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의 2개의 변과 평면 상으로 볼 때 중첩하는 표시 장치.
  43.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보호층; 및
    상기 차단층이 삽입되는 베이스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44.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의 끝단은 오목한 표시 장치.
  45.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가 배치되는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층의 길이 방향은 상기 기판의 장변 또는 단변에 평행한 표시 장치.
  46.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각 제1부화소, 상기 각 제2부화소 및 상기 각 제3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표시 장치.
  47.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의 크기는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와 상이한 표시 장치.
  48.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는 정사각형인 표시 장치.
  49.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화소의 크기와 상기 제3부화소의 크기는 서로 동일한 표시 장치.
  5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화소의 크기와 상기 제3부화소의 크기는 서로 상이한 표시 장치.
  5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제2부화소까지의 최단 거리와 상기 스페이서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제3부화소까지의 최단 거리는 서로 동일한 표시 장치.
  52.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화소 또는 상기 제3부화소 중 하나와 상기 스페이서의 테두리까지의 최단거리는 상기 제1부화소와 상기 스페이서의 테두리까지의 최단거리와 서로 동일한 표시 장치.
  53.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화소와 상기 제3부화소는 각각 직사각형이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부화소와 상기 제2부화소의 장변 사이의 거리,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2부화소의 장변과 상기 제3부화소의 장변까지의 거리 및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3부화소의 장변과 상기 제1부화소 사이의 거리는 서로 동일한 표시 장치.
  54.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화소와 상기 제3부화소가 마주보는 상기 제1부화소의 일변으로부터 상기 제2부화소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1부화소의 일변으로부터 상기 제3부화소까지의 거리는 서로 상이한 표시 장치.
KR1020190165993A 2019-12-12 2019-12-12 표시 장치 KR20210075280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993A KR20210075280A (ko) 2019-12-12 2019-12-12 표시 장치
US16/911,872 US11329103B2 (en) 2019-12-12 2020-06-25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blocking portion for reducing reflection of light
EP20213173.6A EP3836223A3 (en) 2019-12-12 2020-12-10 Display apparatus
CN202011456644.3A CN112992983A (zh) 2019-12-12 2020-12-11 显示设备
US17/737,981 US11974483B2 (en) 2019-12-12 2022-05-05 Display apparatus including blocking material for reducing reflection of l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993A KR20210075280A (ko) 2019-12-12 2019-12-12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280A true KR20210075280A (ko) 2021-06-23

Family

ID=73793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993A KR20210075280A (ko) 2019-12-12 2019-12-12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329103B2 (ko)
EP (1) EP3836223A3 (ko)
KR (1) KR20210075280A (ko)
CN (1) CN11299298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589A (ko) 2019-03-04 2020-09-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20200145955A (ko) * 2019-06-21 2020-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18588A (ko) * 2019-08-05 2021-0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557635B2 (en) * 2019-12-10 2023-01-1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mask assembly,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KR20240009015A (ko) * 2022-07-12 2024-0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그 제조 방법, 및 발광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CN116648095B (zh) * 2023-07-24 2023-12-22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2936A (ja) 2002-03-29 2003-10-24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ディスプレイ装置、oledパネル、薄膜トランジスタの制御装置、薄膜トランジスタの制御方法およびoledディスプレイの制御方法
KR100500477B1 (ko) 2004-03-25 2005-07-11 (주)세화피앤씨 보안필름
KR200377830Y1 (ko) 2004-12-07 2005-03-08 (주)세화피앤씨 플라스틱 카드
KR100750867B1 (ko) 2005-05-30 2007-08-22 (주)세화피앤씨 루버필름을 구비한 보안필름의 제조방법 및 연속식 필름제조장치
KR20070090662A (ko) 2006-03-03 2007-09-0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개선된 광 제어 필름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lcd 장치
KR20070090654A (ko) 2006-03-03 2007-09-0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광 제어 필름을 포함하는 lcd 장치에서의 모아레 현상의감소
KR200423887Y1 (ko) 2006-05-23 2006-08-11 (주)세화피앤씨 휴대전화 보호케이스
KR200423548Y1 (ko) 2006-05-23 2006-08-08 (주)세화피앤씨 액정표시장치 보호필름
US20080292820A1 (en) 2007-05-23 2008-11-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 diffusing solar control film
US20080291541A1 (en) 2007-05-23 2008-11-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 redirecting solar control film
CN104375224A (zh) 2007-10-16 2015-02-25 3M创新有限公司 透射率更高的光控膜
US20090115943A1 (en) 2007-11-07 2009-05-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ow birefringence light control film and methods of making
EP2235570A4 (en) 2007-12-21 2014-10-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LIGHTING CONTROL FILM
TWI365005B (en) 2008-01-04 2012-05-21 Chimei Innolux Corp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s, modules, and electronic devices
JP5748655B2 (ja) 2008-05-16 2015-07-1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軸外の可視のしるしを有する光制御フィルム
WO2010075373A1 (en) 2008-12-22 2010-07-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optical films suitable for bi-level internal patterning
WO2010090924A2 (en) 2009-02-06 2010-08-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 control film and multi-layer optical film stack
KR101714807B1 (ko) 2009-06-18 2017-03-0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광 제어 필름
JP5830831B2 (ja) 2010-03-05 2015-12-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EP2601546A4 (en) 2010-08-05 2014-11-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 MULTILAYER FILM COMPRISING A MATTE SURFACE LAYER, AND ARTICLES
EP2715413A4 (en) 2011-05-25 2014-11-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 LIGHT CONTROL FILM
CN202383391U (zh) 2011-09-07 2012-08-15 3M创新有限公司 一种调光隔热膜
US20150009563A1 (en) 2012-03-26 2015-01-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 control film and p-polarization multi-layer film optical film stack
JP6054763B2 (ja) * 2013-02-12 2016-12-2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el表示装置
JP5794369B2 (ja) 2013-11-26 2015-10-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ウィンドウフィルム
CN104752469B (zh) * 2013-12-31 2018-08-03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像素结构及采用该像素结构的有机发光显示器
JP2015176132A (ja) 2014-03-18 2015-10-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シート、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発光ユニット、及び表示装置
CN103943032B (zh) 2014-04-01 2016-03-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显示装置
JP6369799B2 (ja) 2014-04-23 2018-08-08 Tianma Japan株式会社 画素アレイ及び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気機器
KR20150128470A (ko) 2014-05-09 2015-11-18 (주)세화피앤씨 색변이 방지필름
KR101550004B1 (ko) 2014-05-26 2015-09-07 (주)세화피앤씨 보안필름
WO2016003669A1 (en) 2014-06-30 2016-01-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360 degree privacy film
KR102500994B1 (ko) 2014-10-17 2023-02-1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터치 패널
US10147772B2 (en) 2016-08-23 2018-12-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oldable OLED device with compatible flexural stiffness of layers
US10948734B2 (en) 2016-10-28 2021-03-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 control film with varied viewing angle
KR20180083020A (ko) 2017-01-11 2018-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I615661B (zh) * 2017-06-13 2018-02-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CN110794628B (zh) * 2018-07-27 2023-05-02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62871A1 (en) 2022-08-18
US11329103B2 (en) 2022-05-10
US11974483B2 (en) 2024-04-30
CN112992983A (zh) 2021-06-18
EP3836223A3 (en) 2021-08-25
EP3836223A2 (en) 2021-06-16
US20210183961A1 (en)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75280A (ko) 표시 장치
US10224350B2 (en) Mask for depositio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with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having mask for deposition
KR102632617B1 (ko) 마스크 조립체,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및 표시 장치
US20210175299A1 (en) Display device, mask assembly,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9847485B2 (en) Mask frame assembly, display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ask fram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using mask frame assembly
KR102113622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74177A (ko) 표시 장치, 마스크 조립체 및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US11417714B2 (en) Display apparatus
KR20200106589A (ko)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20180036865A (ko)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96361A (ko) 마스크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2411539B1 (ko) 마스크 조립체,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JP6612309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US11956996B2 (en) Display device with enhanced light transmission capabilities
KR20210145897A (ko) 마스크 조립체, 마스크 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KR20210146501A (ko) 마스크 조립체, 마스크 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CN220376763U (zh) 用于制造显示装置的装置
KR102640018B1 (ko) 미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43223A (ko)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20220046738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