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039B1 -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그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구비한사무기기 - Google Patents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그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구비한사무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039B1
KR101367039B1 KR1020120003364A KR20120003364A KR101367039B1 KR 101367039 B1 KR101367039 B1 KR 101367039B1 KR 1020120003364 A KR1020120003364 A KR 1020120003364A KR 20120003364 A KR20120003364 A KR 20120003364A KR 101367039 B1 KR101367039 B1 KR 101367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plate
document
closing device
plat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6248A (ko
Inventor
카타노 코이치
Original Assignee
켐 홍콩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켐 홍콩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켐 홍콩 유한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86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1Top covers or the like
    • H04N1/00554Latches or hing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1Digital copier; digital 'photocop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대한 원고압착판의 전후위치의 조절을 부품점수를 생략한 간단한 구성으로 정확하게 행하여 얻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원고압착판(12)를 사무기기(10)의 장치본체(11)에 대하여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을 이용하여 개폐가능하게 장착할 때, 상기 원고압착판(12)와 상기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과의 사이에 그 전후방향의 취부위치를 조절가능한 원고압착판 전후위치 조절수단(48)을, 상기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의 상기 원고압착판을 장착하는 구성부재에 즉시 설치한 것으로, 해결하였다. 또한 상기 전후위치 조절수단(48)은,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의 리프트부재(4), 지지부재(3) 또는 2힌지샤프트(16)중에서 선택된 어느것인가의 부재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그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구비한사무기기{apparatus for opening or closing a manuscript pressingplate, and office equipment with the apparatus}
본 발명은 복사기, 인쇄기, 팩시밀리, 스캐너등의 사무기기의 원고압착판을 사무기기의 장치 본체에 개폐가능하게 장착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그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구비한 사무기기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인쇄기, 팩시밀리, 스캐너 등의 사무기기의 장치 본체에는, 이 장치 본체에 구비한 콘텍트글라스의 윗면을 덮는 원고 압착판이 장치본체의 윗면후부에 한쌍의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이용하여 개폐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일종의 힌지기구이며, 원고 압착판을 힌지축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축지하여, 장치 본체의 윗면의 콘텍트글라스상에 원고 압착판을 압착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그 콘텍트 글라스를 노출시킬 수 있다.
그와 같은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는, 사무기기의 장치본체에 장착되는 취부부재와, 이 취부부재에 힌지샤프트를 이용하여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있음과 동시에 원고 압착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와 취부부재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부재를 열림방향에 힘을가하는 탄성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탄성수단에 의해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원고압착판이 열림방향에 회전힘을 가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원고 압착판을 열림방향으로 회전할때는, 탄성수단의 탄력에의해 본래의 중량을 감지하는일없이 원고압착판을 여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기처럼 원고압착판에는 자동원고보내는장치[이하, 단지ADF(Automatic Document Feeder)라고함.]를 장착한것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원고 압착판은 이 ADF장착의 것도 포함되어있다.
이와 같은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의해 개폐되는 원고압착판은, 당연히 콘텍트글라스에 대하여 평행한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치수오차, 원고압착판의 설치위치의 오차 등으로부터, 평행위치(전후위치)에 오차가 생기는 것은 피할 수 없다. 원고압착판에 있어서는, 이것을 수평으로했을 때의 좌우단의 전후위치가 틀려있으면 원고압착판이 콘텍트글라스상에 정확히 셋트되지않고, 틀림이 생기는 불체재인위에, ADF의 구성에 의해서는, 콘텍트글라스상에 원고를 보낼 때, 원고가 콘텍트글라스상에 비스듬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스캔화상기울어 지거나, 원고에 주름이생기거나, 종이걸림을 생기게 하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래서 상기 원고압착판을 장착하는 경우의 원고 압착판의 전후방향의 취부위치를 조절하기위한 수단을 설치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가 하기 특허문헌1~2에 개시되어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1] 특허제3641357호 공보
[특허문헌2] 특허제4351597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문헌1,2에 기재되어있는 것은,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측에 장치본체에 대하여 그 전후방향의 취부위치를 조절가능한 조절수단이 설치되어있는것에서, 부품점수가 많아지고,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코스트업의 원인의 한가지가 되어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대한 원고압착판의 전후위치의 조절을 간단한구조로, 게다가 정확하게 행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사무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본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원고압착판을 사무기기의 장치본체에 대하여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이용하여 개폐가능하게 장착하는것에있어, 상기 원고압착판과 상기 원고압착판개폐장치와의 사이에 그 전후방향의 취부위치를 조절가능한 원고압착판 전후 위치조절수단을, 상기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상기 원고 압착판을 장착하는 구성부재에 직접적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때에 원고압착판 전후위치조절수단은, 상기 원고압착판 또는 당해 원고압착판을 장착하는 상기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구성부재의 어느일방 또는 쌍방에 설치한 취부장공과, 상기 원고압착판에 있어서 후방을 향하는면에 대향하는 상기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구성부재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하는곳의 길이조절 가능한 조절부재와, 상기 취부장공을 이용하여 상기 원고압착판을 장착하는 취부나사로 구성 할 수 있다.
더욱이, 조절부재는 상기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구성부재에 장착된 조절나사와 이 조절나사에 장착된 체결너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원고압착판 개폐장치가, 사무기기의 장치본체측에 장착되는 취부부재와 이취부부재에 제1힌지샤프트에의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제2힌지샤프트에의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과 함께 상기 원고압착판이 장착되는 리프트부재를 갖는 경우에있어서는 상기 원고 압착판 전후위치 조절수단이 상기 리프트부재, 상기 지지부재, 또는 상기 제2힌지샤프트중에서 선택된 어느것인가의 구성부재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구성의 경우에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가, 리프트부재에 작동부재를 갖는경우에는, 상기조절부재를 상기 작동부재에 설치할수있다.
더욱이, 원고압착판 개폐장치가, 리프트부재를 갖지않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조절부재를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취부부재는, 저판(바닥판)과 이 저판의 양측으로부터 상방에 세워올린 양측판을 갖는것으로하고, 이 양측판에 제1힌지핀을 이용하여 지지부재의 양측판을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것이다.
상기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서, 장치본체측에 장착되는 취부부재와, 이 취부부재에 힌지핀을 이용하여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부재로부터되는 것은, 상기 원고 압착판 전후위치조절수단을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서, 취부부재와 이 취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부재로부터 되는 것은, 상기 취부부재와 지지부재의 사이, 취부부재와 이 취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한 지지부재와 이 취지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한 리프트부재로부터 되는 것은, 취부부재와 리프트부재의 사이에 각각 상기 원고압착판의 탄성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서 지지부재에 탄성수단을 갖는 것은 이 탄성수단의 탄력을 받는 슬라이더를 당해 탄성수단의 양단부에 씌워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서 취부부재와 이 취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한 지지부재와 이 취지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한 리프트부재로부터 되는 것은, 리프트부재를 일방향으로 회동부세 시키는 탄성수단을 당해 리프트부재를 상기 지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하는 힌지핀에 환 감기 시킬 수 있다.
본발명은 또한, 상기 어느 것에 기재의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사무기기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무기기의 장치 본체와 원고압착판과 좌우한쌍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의해 연결하는것에 있어서는, 적어도 그 일방을 상기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로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사무기기이다.
본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상기와같이, 원고압착판에 있어 후방을 향하는면에 대향하는 상기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상의 부위로부터 전방에 향하여 돌출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원고압착판 전후위치조절수단을 설치한것이기때문에, 이 조절수단의 길이를 조절하고, 그 정(정상) 부가 원고압착판에 있어서 후방을 향하는 면과 당접(접합)하도록 조절하는것에 의해, 당해 원고압착판의 전후위치를 용이하게 조절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원고압착판 전후위치조절수단을 상기 원고압착판 또는 당해 원고압착판을 장착하는 상기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구성부재의 이느쪽인가의 한방 또는 쌍방에 설치한 취부장공과 상기 원고압착판에 있어서 후방을 향하는면에 대향하는 상기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구성부재로부터 전방에 향하여 돌출하는곳의 길이조절가능한 조절부재와, 상기 취부장공을 이용하여 상기 원고압착판을 장착하는 취부나사에의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는 간단한구조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대한 원고압착판의 전후방향의 취부위치의 정확한 조절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원고압착판 전후위치조절수단은, 사용상황에 따라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리프트부재, 지지부재 또는 제2힌지샤프트중에서 선택된 어느것인가의 부재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적용장면이 넓고, 많은 사용상황에 대응할수있다.
또한, 본발명에 관계되는 상기구성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구비한 사무기기이라면, 상기와 같이 간단한 구조이면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대한 원고압착판의 전후위치의 정확한 조절을 할 수 있다.
사무기기의 좌우한쌍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로서, 적어도 그 일방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로서 본발명에 관계되는 상기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이용하는것에의해, 원고압착판이 콘텍트글라스상에서 전후방향에 비스듬하게 치우쳐있는 경우에, 이것을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계략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사무기의 후단부에 장착함과 함께, 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원고압착판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파단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상태에 있어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더욱다른 실시예3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더욱이 다른 실시예4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더욱이 다른 실시예5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더욱이 다른 실시예6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사무기기를 첨부도면에 근거하여 상술한다. 또한, 사무기기로서는 예를들어 복사기, 인쇄기, 팩시밀리, 스캐너등이 드리어져, 특히 복사기가 좋은 것으로 드리어진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복사기를 예를들어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1]
도 1~도 5는 본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은, 도 4에 나타내는것과 같이, 사무기기(10)의 일례로서의 복사기의 장치본체(11)의 후단부에, 원고압착판(12)를 개폐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원고자동보냄장치(ADF)(122)를 갖는 원고압착판(12)를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로부터 지지하는 예가 그려져있지만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는, 원고자동보냄장치의 유무에 관계없이 적용가능한 것이다.
본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은 도 1~도 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원고압착판(12)를 갖는 사무기기(10)의 장치본체(11)측에 장착되는 통칭1본각형의 취부부재(2)와, 이 취부부재(2)에 제1힌지샤프트(15)를 축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있는 지지부재(3)과, 이 지지부재(3)에 제2힌지샤프트(16)에의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것과 함께 상기 원고압착판(12)가 장착되는 리프트부재(4)를 구비하고있다. 또한, 취부부재(2)를 도시와같이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하면, SUS와 같은 금속판을 프레스가공하여 캠부재나 수압핀을 장착하는구성의것 보다도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지지부재(3) 내부에는, 그 축방향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제1 및 제2슬라이더6 및 7과, 이들의 슬라이더를 이용하여 리프트부재(4)를 지지부재(3)과 겹치는 방향에 힘을가함과 함께 원고압착판(12)를 열린방향에 회전힘을가하는 컴프레션스프링에서 되는 탄성수단(5)이 설치되어, 원고압착판(12)를 회동시켜 장치본체(11)의 윗면을 원고압착판(12)로 덮는 닫힘상태와, 그 윗면을 노출시키는 열림상태를 형성하여 얻을 수 있게 되어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은, 당해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에 대한 원고압착판(12)의 전후방향의 장착위치를 조절하기위한 원고압착판 전후위치 조절수단(48) 이 설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즉, 도 1~ 도5에 나타낸 실시예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은 상기 원고압착판(12)에 있어 후방을 향하는면 123R (사절벽123의 후측면. 도4참조.)에 대향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상의 부위로부터 전방에 향해서 돌출한다. 길이 조절가능한 원고 압착판 전후 위치조절 수단(48)이 설치된다. 즉,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원고압착판(12)의 사절벽(123)의 후측면(123R)에 대향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의 리프트부재(4)의 정판(40)상에 원고압착판 전후위치 조절수단(48)이 설치된다.
이 원고압착판 전후위치 조절수단(48)으로서는, 좋게는 상기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의 리프트부재(4)의 정판(40)에 설치된 암나사 구멍(49)에 나사 도착한 조절나사(481)과 이 조절나사(481)에 나사 도착한 체결너트(482)와, 리프트(4)의 플랜지(43)에 설치된 복수의 취부장공(431)과 이들의 취부장공(431)에 원고압착판(12)의 취부부(124)를 장착하는 복수의 취부나사(125)에서 되는 것이 채용되어있다. 취부장공(431)은 원고압착판의 취부부(124)의 측에 설치되어도 좋다. 정판(40)에 대한 조절나사(481)의 체결량을 증감하는것에의해, 원고압착판 전후위치조절수단(48)과 원고압착판(12)의 사절벽(123)의 후측면(123R)과의 사이에 간격W를 증감할수있고, 체결너트(482)로 조이는것에 의해 조절나사(481)을 고정시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원고압착판(12)의 전후위치를 원고압착판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의 장착시, 또는 장착후의 위치조절시에 원고압착판의 전후방향의 장착위치를 조절할수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조절나사(481)으로서는 예를들면, 십자구멍에 붙은 소나사M4 X 14를 이용하여, 이것에 대해 체결너트(482)로서는 너트M4를 이용할수있다. 조절나사의 머리는 4각형상 또는 6각형상에 구성하여 스패너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는것과같이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전후 위치조절수단(48)은, 상기처럼 조절나사 및 체결너트에 한하지않고, 돌출 길이가 조절가능한 것이면, 예를들면 팬터그래프 나 캠기구등의 각종수단을 채용하여 얻는다. 체결너트는 복수 겹쳐 이용하여도 좋다.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에 대한 원고압착판(12)의 취부수단으로서는, 예를들면 도4에 나타내는것처럼, 원고압착판(12)에 설치된 취부부(124)의 하단부에 취부나사(125)에의해 상기 리프트부재(4)의 플랜지(43)을 고정하는것이다. 즉, 취부나사(125)의 나사부는 상기 플랜지(43)에 밝힌 취부장공(431)을 관통하고, 취부부(124)에 나사 도착하는것에의해, 원고압착판(12)가 리프트부재(4)에 장착된느것과같이 되어있다. 이때, 상기 취부장공(431)은 도1등에 나타내는것처럼 장공상으로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상기의 전후위치 조절수단(48)에의한 상기 간격W의 증감에 따른 원고압착판(12)의 전후위치의 조절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리프트부재(4)의 상판(41)의 후단부근방에, 원고압착판(12)의 수평위치(높이)를 조절하는 수평위치 조절수단(46)이 설치되어있다.
수평위치 조절수단(46)은, 예를들면 리프트부재(4)의 상판(41)의 후단부근방에 있어 그 폭방향의 중앙부(약 중앙부를 포함)에 설치된 조절나사(461)과 체결너트(462)에서 된다. 조절나사(461)이 상판(41)의 암나사공(47)에 나사 도착되어 그 선단이 지지부재(3)의 상판(31)에 당접하여있고, 그 조절나사(461)에 체결너트(462)가 나사 도착되어 있다. 조절나사(461)의 좌우 어느것인가의 방향에 회전에의해 리프트 부재(4)가 제2힌지샤프트(16)을 지점으로 회전하여 원고압착판(12)의 장착위치의 수평(높이) 위치가 조절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도 1~ 도5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전후위치 조절수단(48)을 리프트부재(4)의 정판(40)상에 설치했지만, 그 장착개소는 이것에 한하지않고, 리프트부재4의 상판(41)으로부터 조절나사의 취부편을 자르거나, 또는 상기 지지부재(3) 이나 상기 제2힌지샤프트(16)에 장착되는 것과 같이 하여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특징인 원고압착판의 전후 위치조절수단(48)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하에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자체의 전체적 구성에 대하여 설명을 보충하여 채운다.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은, 상기와같이, 원고압착판(12)를 갖는 사무기기(10)의 장치본체(11)측에 장착되는 취부부재(2)와, 이 취부부재(2)에 제1힌지샤프트(15)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있는 지지부재(3)과, 이 지지부재(3)에 제2힌지 샤프트(1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과 함께 상기 원고압착판(12)가 장착되는 리프트부재(4)를 구비하고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취부부재(2)는, 끼워넣는식의 취부각부(2a)를 갖는 이른바1본각형의 취부부재이며, 도4에 나타내는 것처럼, 사무기기(10)의 장치본체(11)의 후단부에 설치한 취부공(112)에 취부각부(2a)를 상하가능하게 삽입 지지되는것과 같이 되어있다. 또한 취부각부(2a)의 하단부에는 계지 돌기부(2b)가 돌설되어있고, 이 돌기부는 장치본체(11)측의 취부공(112)에 설치된 가이드 구(112a) 와 계합하여 취부부재(2)가 불용의하게 장치본체(11)으로부터 빠져나오지않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이 상하동 가능한 취부각부(2a)를 갖는 취부부재(2)는 서물과같이 두께가 두꺼운 원고(후물원고)이어도, 이것을 장치본체11의 윗면(콘텍트글라스111)에 안정하여 압착시키기위한 것이다. 다시말해서, 후물원고를 복사등 하는경우에있어, 후물원고를 콘텍트글라스(111)상에 놓고, 원고압착판(12)를 닫힌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후물원고의 개폐장치1측의 단부 또는 그 근방에 원고압착판(12)의 개폐장치(1)의 근방의 일부가 접촉하고, 후물원고의 개폐장치(1)측의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와 원고압착판(12)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다시말해서, 원고압착판(12)는 후물원고의 윗면에서 뜬상태가된다. 그 떠있는 원고압착판(12)를 콘텍트글라스(111)측에 압압하면 그 힘에의해, 또는 원고압착판(12)의 자중에의해, 원고압착판(12)의 개폐장치(1)측의 단부가 들어올려지는것과 같이 작용하고, 이것에의해 취부부재(2)의 취부각부(2a)를 끌어올리는 힘이 작용하여 취부각부(2a)가 취부공(112)내에서 상방향에 이동한다. 이것에 따라, 원고압착판(12)의 개폐장치(1)과 반대측의 단부는 눌러내려지고, 원고압착판(12)가 후물원고의 상부를 덮도록 이동한다. 예를들면, 그 후물원고의 상부가 평탄면인 경우에는, 이 상부에 원고압착판(12)가 면접촉하여, 그결과 후물원고의 하면이 안정하여 콘텍트글라스(111)에 밀착되는 것이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는 것처럼, 끼워넣는식의 상하동 가능한 취부각부(2a)를 갖는 취부부재(2)를 이용하는것에의해, 원고의 두께에 관계없이, 원고압착판(12)에의해 원고의 윗면전체를 압압하여, 원고 하면(아랫면)을 안정하여 콘텍트글라스에 밀착시킬수있고, 양호한 복사등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에 나타내는것과같이 취부부재(2)의 상반부에는 캠(8)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캠(8)의 정부에는 캠면(81)이 형성되는것과 함께, 캠(8)의 주체부에는, 상기 제1힌지샤프트(15)를 삽통하기위한 제1힌지 샤프트공(82)가 형성되어 있다.
캠(8)에 설치한 상기 제1 힌지샤프트공(82)에 삽통되는 상기 제1힌지샤프트 (15)의 양단은, 지지부재(3)의 측판(32)의 후단 근처에 열린 제1힌지샤프트공(38)에 삽통되어 이것에의해 캠(8)(따라서 또한, 취부부재2)에 대하여 지지부재(3) 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되어있다.
지지부재(3)은, 예를들면 천판인 상판(31)과, 상판(31)의 양측단부로부터 각각 상판(31)에 대하여 직교하는 하방향(약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에 늘어나는 측판(32)와, 측판(32)의 선단부를 서로 대향하는 측에 약90°절곡하여되는 구지판(33)으로부터 된다. 이들의 상판(31), 양측판(32), 구지판(32), 구지판(33)에서 한쌍의 제1슬라이더(6) 및 제2슬라이더(7)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34)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제2 슬라이더(7)의 후면은 상기 캠(8)의 캠면(81)에 당접하도록 되어 있다.
지지부재(3)의 양측판(32)의 전단부(자유단부) 근처에는, 상기 제2힌지샤프트(16) 이 삽통되는 제2힌지샤프트공(36)이 설치되어있음과 함께, 후술하는 작동부재(18)이 들어가는 절결부(37)이 설치되어있다. 또한 양측판(32)에는 예를들면, 지지부재(2)에 대한 리프트부재(4)의 회동을 행하기위한 접접부(도에 나타내지않음)를 설치하여도 좋다. 접접부는 예를들면 양측판(32)의 제2힌지샤프트공(36)과 절결부(37)과의 사이에 약 원상에 2개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접접부는 리프트부재(4)의 측판(42)의 내면에 접하여 지지부재(3)의 측판(32)의 외면과 리프트부재(4)의 측판(42)의 내면과의 사이에 클리어런스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지지부재(3)에 대한 리프트부재(4)의 회동이 양호하게 행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1~5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리프트부재(4)는 상기처럼 이것에 장착된 상기수평위치조절수단(46)에의해, 원고압착판(12)의 수평위치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음과함께, 후술하는것처럼 보조적으로 서물과같이 후물원고를 장치본체(11)의 윗면에 안정하여 압착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리프트부재(4)는 상판(41)과, 이 상판(41)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상판(41)에 대하여 직교하는 하방향(약 직교하는 항향도 포함)에 늘어나는 양측판(42)에서 되는 약 'R자상의 부재이며 상기 지지부재(3)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리프트부재(4)의 양측판(42)의 전단부 근처에서 상판(41) 부터의 개소에는 제2힌지샤프트공(44)가 설치되는것과 함께, 당해 제2힌지샤프트공(44)로부터 아래의 개소에는 작동부재인 작동부재(18)이 삽통되는 작동부재공(45)가 설치되어 있다. 제2힌지샤프트공(44)와 지지부재(3)의 양측판(32)의 제2힌지샤프트공(36)이 공(구멍)맞춰져, 이들의 공에 제2힌지샤프트(16)이 삽통되는 것에의해, 리프트부재(4)와 지지부재(3)이 제2힌지샤프트(16)을 축에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양측판(42)의 작동부재공(45)에는 작동부재(18)이 삽통되어 고정된다.
또한 리프트부재(4)의 상판(41)의 후단부 근처에는 상기처럼, 원고압착판(12)의 수평위치(높이)를 조절하는 수평위치조절수단(46)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컴프레션 스프링에서 되는 탄성수단(5)는, 원고압착판(12)를 열림방향으로 회전힘을 가함과 함께 리프트부재(4)를 지지부재(3)과 겹치는 방향에 힘을가하고, 또한 원고압착판(12)가 임의의 회동각도 이하의경우 원고압착판(12)를 힘을 가하는 탄력이 원고압착판(12)의 모멘트보다 작게되도록 설정되어있다.
또한 본발명에 있어서 열림방향은 원고압착판(12)를 회전시킬 때 원고압착판(12)가 장치본체(11)의 상부의 콘텍트글라스(11)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을 말한다.
본발명에 있어서 열림방향이란, 열림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원고압착판(12)를 회전시킬 때 원고압착판(12)가 콘텍트글라스(111)에 다가가는 방향을 말한다.
본발명에 있어서 회동각도는, 장치본체(11)의 윗면인 콘텍트글라스면에 대한 원고압착판(12)의 개폐각도이다.
탄성수단(5)를 구성하는 컴프레션스프링은 그 갯수와 특히 한정되지않고, 1개라도 2개이상이어도 좋고, 또한 2개이상을 병렬시켜도 좋고, 예를들면 도시예 에서는, 경의 큰 컴프레션스프링(51)의 안에 경의 작은 컴프레션스프링(52)를 넣은 것을 이용하고있다.
다시말해서, 컴프레션스프링으로부터 되는 탄성수단(5)는, 원고압착판(12)를 열림방향으로 회전힘을가함과 함께, 원고압착판(12)가 소정의 회동각도(예를들면, 약20°)이하의 경우, 원고압착판(12)를 힘을가하는 탄력이 원고압착판(12)의 모멘트 보다 작게된다면 어떻게 구성하여도 좋다.
제1슬라이더(6) 및 제2 슬라이더(7)은, 각각 단면구형의 유저통체상에 형성되어있다. 제1슬라이더(6) 및 제2슬라이더(7)에는 상기 대경 및 소경의 2개의 컴프레션스프링(51), (52)에서되는 탄성수단(5)의 단부를 각각 개별로 수용하는 스프링수용부(65), (75)(도3참조)가 각각 설치되어있다.
제1슬라이더(6) 및 제2슬라이더(7)은 서로 개구부가 마주봄과 함께 이들사이의 탄성수단(5)의 양단부가 수용된상태에서 지지부재(3)의 수용부(34)에 각각 개별로 접동가능에 수장된 상태로 삽입되어있다. 제1슬라이더(6) 및 제2슬라이더(7)은, 사무기기의 장치본체(11)의 윗면과 지지부재(3)(그 상판31)이 약 평행이 되어있을 때(예를들면, 장치본체(11)의 윗면의 콘텍트글라스(111)상에 원고압착판(12)를 밀착시켰을때, 다시말해, 원고압착판(12)가 닫힘위치에 있을 때), 지지부재(3)의 수용부(34)내에 감합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제1슬라이더(6)가 컴프레션스프링(5)의 탄력에의해 작동부재(18)을 압압하여, 지지부재(3)과 리프트부재(4)가 겹쳐지도록 힘을가하게 시킨다. 다시말해서, 컴프레션스프링(5)의 탄력에의해 리프트부재(4)의 상판(41)이 지지부재(3)의 상판(31)에 당접 또는 근접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판(41)이 예를들면 콘텍트글라스(111)에 대하여 약 평행이 되도록 되어있는 것이 좋다. 또한 지지부재(3)의 상판(31)에 리프트부재(4)의 상판(41)을 당접 또는 근접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2슬라이더(7)의 저부의 외표면(후면)의 약 중앙부에는 돌부(71)이 설치되어있다. 이 돌부(71)의 하방은 점차경사된 경사부(72)로서 형성되어있다. 이 제2슬라이더(7)의 저부의 외표면의 돌부(71) 및 경사부(72)가 캠으로서 형성되어, 상기 캠(8)의 캠면(81)과 압접하도록 되어있다.
다시말해서, 닫힘위치에 있는 원고압착판(12)를 콘텍트글라스(111)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상방)에 제1힌지샤프트(15)를 축에 회전시키면, 캠(8)의 캠면(81)에 당접하는 개소가 돌부(71)로부터 경사부(72)에 서서히 접동함과 함께, 제2슬라이더(7)이 탄성수단(5)에 의해 지지부재(3)내를 후단부측에 압압되어 접동하고, 탄성수단(5)가 서서히 늘어난다. 그리고 원고압착판(12)가 최대사용개방각도(예를들면, 약60°~약70°)가 되면, 그 개폐가 원고압착판 개폐규제기구(도에 나타내지않음)에 의해 규제되도록 되어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 및 사무기기(10)의 작용을 설명한다.
원고압착판(12)는 사무기기(10)의 장치본체(11)이 사용되지않는 상태에서는 장치본체(11)의 콘텍트글라스(111)에 밀착되어 있다. 콘텍트글라스(111)상에 원고를 적치하려면, 먼저 리프트부재(4)가 장착되어있는 개소는 반대측의 원고압착판(12)의 전단부 또는 그 근방등에 설치되어있는 파지부를 가지고, 원고압착판(12)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린다. 다시말해서, 원고압착판(12)를 제1힌지샤프트(15)만을 축으로하여 회전시켜 콘텍트글라스면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와 같이 원고압착판(12)를 회전시킬 때, 원고압착판(12)는 탄성수단(5)의 탄력에의해 열림방향에 회전힘을 가하게 되어있기 때문에, 중량을 느껴지는일 없이 열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노출한 콘텍트글라스면상에 원고를 적치한후, 들어올린 원고압착판(12)를 내린다. 다시말해서, 원고압착판(12)를 콘텍트글라스(111)과 접촉하는 닫힘방향으로 제1힌지샤프트(15)를 축으로 회전시켜 하방으로 이동시켜 닫힘상태로한다. 원고압착판(12)가 닫힘상태가 되면, 원고가 얇은 종이일경우에는, 원고압착판(12)에의해 원고를 콘텍트글라스상에서 떠올라가는일 없이 확실히 콘텍트글라스(111)에 밀착시킬수있기 때문에, 원고를 양호하게 복사등을 할수있다. 다시말해서, 원고압착판(12)와 콘텍트글라스(111)과의 사이에 빛이 들어가지않도록 원고압착판(12)가 콘텍트글라스(111)에 밀착되어, 원고를 양호하게 복사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1~ 5의 실시예1에 있어서는, 책과 같은 후물원고에 대해서는 상기처럼, 취부부재(2)의 끼워넣는식의 취부각부(2a)의 상하동을 메인으로서 대응하는것이지만, 보조적으로는, 리프트부재(4)의 기능을 이용하여 후물원고에 한층 광범위로 대응하여얻도록 되어있다.
다시말해서, 예를들면 책과 같은 후물원고의 경우, 원고압착판(12)를 닫힘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원고의 지지부재(3)측의 단부 또는 그 근방에 원고압착판(12)의 지지부재(3)의 근방의 일부가 접촉하고, 원고의 지지부재(3)측의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와 원고압착판(12)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다시말해서, 원고압착판(12)는 뜬상태가된다. 그 떠있는 원고압착판(12)를 콘텍트글라스(111)측에 압압하면 그 힘에의해, 또는 원고압착판(12)의 자중에의해 작동부재(18)이 제1슬라이더(6)을 압압하여 탄성수단(5)의 탄력에 저항하여 제1슬라이더(6)이 탄성수단(5)측에 이동함과 함께, 원고압착판(12)(리프트부재4)가 제2힌지샤프트(16)을 축으로 회전한다. 즉, 원고의 상부를 덮도록 원고압착판(12)가 이동한다. 예를들면, 그 원고의 상부가 평탄면인 경우에는, 그 상부에 원고압착판(12)가 면 접촉한다. 그 결과, 두께가 두꺼운 원고가 안정하여 콘텍트글라스에 밀착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원고압착판(12)는 원고의 두께에 관계없이 원고를 안정하게 콘텍트글라스에 밀착할수있고, 원고를 양호하게 복사등을 할 수 있다.
[실시예2]
도 6은 다른 실시예2를 나타내며, 도면에 의하면 이 실시예2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05)의 원고압착판 전후위치조절수단(100)을 구성하는 조절나사(101) 및 체부너트(102)를, 지지부재(103)의 정판(103a)상에 장착되어있다.
이경우, 도1~5의 실시예1에 나타낸것과 같이 리프트부재(104)에 정판은 설치하는일 없이, 지지부재(103)에 설치한 정판(103a)를 노출시키는것에의해 정판(103a)를 상기 원고압착판(12)의 사절벽(123)의 후측면(123R)(도4참조)에 대향시켜, 이 지지부재(103)의 정판(103a)상에 전후위치조절수단(100)을 구성하는 조절나사(101) 및 체부너트(102)를 장착하는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정판(103a)에 대한 조절나사(101)의 체결량을 증감하는것에의해 상기의 간격W를 증감시켜, 원고압착판(12)의 전후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3]
도 7에 나타낸 실시예3에 있어서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06)의 원고압착판 전후위치조절수단(110)을 구성하는 조절나사(115) 및 체부너트(116)을 제2힌지샤프트(117)상에 장착되어있다.
이 경우, 도1~5에 나타낸 실시예1에 있어 리프트부재(4)의 정판(40)이나, 도6에 나타낸 실시예2에 있어 지지부재(103)의 정판(103a)는 설치하는 일없고, 제2힌지샤프트(117)을 노출시키는것에의해, 원고압착판(12)의 사절벽(123)의 후측면(123R)(도4참조)에 대향시켜, 제2힌지샤프트(117)상에 원고압착판 전후위치조절수단(110)을 구성하는 조절나사(115) 및 체부너트(116) 장착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제2힌지샤프트(117)에 대한 조절나사(115)의 체결량을 증감하는 것에의해 상기 간격W를 증감시켜, 원고압착판(12)의 전후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4]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4를 나타내고, 도면에 의하면 이 실시예4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07)은, 실시예2의 것과같이, 리프트부재를 생략시킨것으로, 취부부재(118)의 취부각부(118a)를 사무기기의 장치본체(11)의 취부공(112)에 대하여 상하 움직이게 하는것에 의해, 원고압착판(12)를 후물원고에 대하여 리프트업시키는 것이다. 이 실시예4의 경우에는, 실시예1과 같이 지지부재의 정판측에 설치되는 탄성수단의 슬라이더는 생략되어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4의 경우, 원고압착판 전후위치 조절수단(108)을 구성하는 조절나사(119)와 체부너트(120)는 지지부재(130)의 정판(130a)가 또는 지지부재(130)의 상판(130b)로부터 잘라일으킨 도시하지않은 취부판에 설치되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도시한것은, 지지부재(130)의 정판(130a)에 설치한 암나사공(130c)에 조절나사(119)가 나사 도착되어, 이 조절나사(119)에 체부너트(120)이 장착되어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지부재(130)의 양측판(130d)의 일부가 잘라 열려, 양측판의 하부영역은 외측에 절곡되어 플랜지부(130e)를 형성하고, 양측판의 중앙영역은 내측에 절곡되어 슬라이더 가이드(130g)를 형성하도록 되어있다. 플랜지부(130e)에는, 원고압착판(12)의 취부부(124)를 장착하기위한 취부나사(125)와 계합하는 취부장공(130f)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판(130a)의 좌우단에 형성한 귀부(130a’)는 양측판(130d)의 전단근처에 열린 슬롯(130d’)에 삽입되어, 외력에 대한 정판(130a)의 강도와 안정성을 높이도록 되어있다. 취부부재(118)의 기능이나 작용효과는 실시예1의 것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5]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더욱이 다른 실시예5를 나타내고, 도면에 의하면, 이 실시예5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31)은, 취부부재(132)의 취부각부(132a)를 통상으로 구성하여 그중에 탄성수단(133)과 슬라이더(134)를 수장하고, 이 취부각부(132a)의 상부에 설치한 취부부(132b)에 힌지샤프트(135)를 이용하여 지지부재(136)을 회동가능하게 장착한것이며, 원고압착판(12)가 이 지지부재(136)에 장착되는것이다. 또한 지지부재(136)에는, 그 상판(136f)의 내면에 캠부(136a)가 취부나사(136g)에의해 고착되어, 이 캠부(136a)가 슬라이더(134)의 윗면과 압접하고있다. 이 실시예5의 경우에는, 리프트부재를 지지부재의 자유단부에 제2힌지샤프트를 이용하여 장착하여도 좋고, 도시한것과같이 장치본체(11)측에 설치한 취부각부(132a)를 취부공(112)에 대하여 상하동 가능하게 장착하여도 좋다. 그리고, 이 실시예5의 경우에서 도시한 것은, 리프트부재를 이용하여, 원고압착판 전후위치조절수단(137)의 조절나사(138)과 체부너트(139)는, 지지부재(136)의 정판(136b)에 설치되어있다. 즉, 도시한것은, 지지부재(136)의 정판(136b)에 설치한 암나사공(136c)에 조절나사(138)이 나사도착되어, 이 조절나사(138)에 체부너트(139)가 장착되어있고, 더욱이 지지부재(136)에 원고압착판(12)의 취부부(124)를 장착하는 플랜지부(136d)가 설치되어, 이 플랜지부(136d)에 취부나사(140)과 계합하는 취부장공(136e)가 설치되어있다. 이 변형실시예와 작용효과는 실시예1의 것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6]
도 12와 도 13은, 본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더욱이 다른 실시예6을 나타내고, 도면에의하면, 이 실시예6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45)는, 취부부재(146)을 SUS와 같은 금속판을 프래스가공하여 만든것으로, 다른 구성은 실시예1의 것과 같다. 이 취부부재(146)은, 저판(146a)와, 이 저판(146a)의 양측부에서 일어난 양측판(146b)와, 저판(146a)의 후부에 일으킨 후판(146c)로 구성되어있고, 양측판(146b)에 지지부재(147)의 양측판(147a) 를 제1힌지핀(148)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함과 함께, 양측판(147a)에는 슬라이더(150)을 받는 수압부재(149)가 장착되어있다. 수압부재(149)는 도시의 것은 핀상이지만, 롤러상, 캠상의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이 실시예6에 있어 취부부재(146)은, 도1~5네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끼워넣는식의 취부각부(2a)를 갖는 취부부재(2)와는 그 구성이 다르기 때문에, 책과 같은 후물원고에 대해서, 끼워넣는식의 취부각부(2a)와 같은 상하 움직임에의해 대응하는 것이 아니고, 오로지 리프트부재(4), 작동부재(18), 제1슬라이더(6)등의 작동에의해 대응하도록 되어있다.
다시말해서, 상기처럼, 예를들면 책과 같은 후물원고의 경우, 원고압착판(12)(도13참조)를 닫힘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원고의 개폐장치(145)측의 단부 또는 그 근방에 원고압착판(12)의 개폐장치(145)의 근방의 일부가 접촉하고, 원고의 개폐장치(145)측의 단부는 반대측의 단부와 원고압착판(12)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다시말해서, 원고압착판(12)는 뜬상태가된다. 그 떠있는 원고압착판(12)를 콘텍트글라스(111)측에 압압하면 그 힘에의해, 또는 원고압착판(12)의 자중에의해, 작동부재(18)이 제1슬라이더6을 압압하여 탄성수단(5)의 탄력에 저항하여 제1슬라이더6이 탄성수단(5)측에 이동하는것과 함께 원고압착판(12)(리프트부재4)가 제2힌지샤프트(16)을 축으로 회전한다. 결국, 원고의 상부를 덮도록 원고압착판(12)가 이동한다. 예를들면, 그 원고의 상부가 평탄면인경우에는, 이 상부에 원고압착판(12)가 면 접촉한다. 그 결과, 후물원고가 안정하여 콘텍트 글라스에 밀착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원고압착판(12)는, 원고의 두께에 관계없이 원고를 안정하여 콘텍트글라스(111)에 밀착시킬 수 있고, 원고를 양호하게 복사등을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와 리프트부재, 및 원고 압착판 전후위치조절수단의 구성은 실시예1과 같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발명에 관계되는 사무기기(10)은, 그 장치본체(11)의 후단부에, 상기처럼 구성된 본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 (105), (106), (107), (131), (145)를 구비한것이며, 상기처럼, 원고압착판 전후위치조절수단(48), (100), (110), (108), (137)을 설치하는것에의해, 장치본체(11)에 대한 원고압착판(12)의 전후위치의 조절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행하여 얻도록한 것이다.
또한, 본발명에 관계되는 사무기기(10)의 장치본체(11)과 원고압착판(12)를 좌우한쌍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 (105), (106), (107), (131), (145)에 의해 연결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적어도 그 일방을 상기의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 (105), (106), (107), (131), (145)에 의해 연결하는 것에 의해, 원고압착판(12)의 좌우단의 전후위치의 어긋남을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한쌍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일방을 본 발명에 관계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는 상기 실시예의 것에 한하지않고, 본원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의 기술적범위내에 있어서,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당 업자가 용이하게 상도하여얻는 모든 변경실시예를 포섭하는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대한 원고압착판의 전후위치의 조절을 간단한 기구로, 게다가 정확히 행하여지는 것에서, 특히 복사기, 인쇄기, 팩시밀리, 스캐너등의 사무기기에 호적하게 적용하여 얻는 것이다.
1 :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2 : 취부부재
3 : 지지부재 4 : 리프트부재
5 : 탄성수단(컴프레션스프링) 6 : 제1슬라이더
7 : 제2슬라이더 8 : 캠
10 : 사무기기 11 : 장치본체
12 : 원고압착판 15 : 제1힌지샤프트
16 : 제2힌지샤프트 18 : 작동부재
30 : 정판 31 : 상판
32 : 측판 33 : 구지판
34 : 수용부 36 : 제2힌지샤프트공
37 : 절결부 38 : 제1힌지샤프트공
40 : 정판 41 : 상판
42 : 측판 43 : 플랜지
44 : 제2힌지샤프트공 45 : 작동부재공
46 : 수평위치조절수단 47 : 나사공
48 : 전후위치조절수단 49 : 암나사공
51 : 제1컴프레션 스프링 52 : 제2컴프레션스프링
65 : 스프링수용부 71 : 돌부
72 : 경사부 75 : 스프링수용부
81 : 캠면 82 : 제1힌지 샤프트공
100 : 원고압착판 전후위치조절수단 101 : 조절나사
102 : 체부너트 103 : 지지부재
103a : 정판 105 :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106 :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107 :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108 : 원고압착판 전후위치조절수단
110 : 원고압착판 전후위치조절수단
111 : 콘텍트 글라스
112 : 취부공 112a : 가이드구
115 : 조절나사 116 : 체부너트
117 : 제2힌지샤프트 118 : 취부부재
118a : 취부각부 119 : 조절나사
120 : 체부너트 121 : 천판
122 : ADF 123 : 사절벽
123R : 후방을 향하는면
124 : 취부부 125 : 취부나사
130 : 지지부재 130a : 정판
130b : 상판 130c : 암나사공
130d : 측판 130e : 플랜지부
130f : 취부장공
130g : 슬라이더 가이드
131 : 원고압착판개폐장치
132 : 취부부재 132a : 취부각부
132b : 취부부 133 : 탄성수단
134 : 슬라이더 135 : 힌지샤프트
136 : 지지부재 136a : 캠부
136b : 정판 136c : 암나사공
136d : 플랜지부 136e : 취부장공
136f : 상판 136g : 취부나사
137 : 원고압착판 전후위치조절수단
138 : 조절나사 139 : 체부너트
140 : 취부나사
145 :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146 : 취부부재
146a : 저판 146b : 측판
146c : 후판 147 : 지지부재
147a : 측판 148 : 제1힌지핀
149 : 수압부재 150 : 슬라이더
431 : 취부장공 461 : 조절나사
462 : 체부너트 481 : 조절나사
482 : 체부너트

Claims (13)

  1. 원고압착판을 사무기기의 장치본체에 대하여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이용하여 개폐가능하게 장착할때, 상기 원고압착판과 상기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와의 사이에 그 전후방향의 취부위치를 조절할수있는 원고압착판 전후위치조절수단을 상기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상기원고압착판을 장착하는 구성부재에 직접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압착판 전후 위치 조절수단은, 상기 원고 압착판 또는 당해 원고 압착판을 장착하는 상기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구성부재중 어느 일방 또는 쌍방에 설치한 취부장공과, 상기 원고압착판에 있어 후방을 향하는면에 대향하는 상기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구성부재에서 전방에 향하여 돌출하는곳의 길이 조절가능한 조절부재와, 상기 취부장공을 이용하여 상기 원고압착판을 장착하는 취부나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가 상기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구성부재에 장착되어진 조절나사와, 그 조절나사에 장착된 체결너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압착판 개폐장치가, 사무기기의 장치본체측에 장착되는 취부부재와, 이 취부부재에 제1힌지샤프트에의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제2힌지샤프트에의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됨과 함께 상기 원고압착판이 장착되는 리프트부재를 갖는경우에 있어서, 상기 원고압착판 전후위치 조절수단이, 상기 리프트부재, 상기 지지부재, 또는 상기 제2힌지샤프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것인가의 구성부재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취부부재는, 저판과 이 저판의 양측으로부터 상방에 일으켜세운 양측판을 갖는것이며, 이 양측판에 제1힌지핀을 이용하여 지지부재의 양측판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것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장치본체측에 장착되는 취부부재와 이 취부부재에 힌지핀을 이용하여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원고 압착판 전후 위치조절수단이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고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취부부재와 이 취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부재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은, 상기 취부부재와 지지부재의 사이에, 취부부재와 이 취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부재와 이 취지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한 리프트부재로부터 이루어지는것은, 취부부재와 리프트부재의 사이에 각각 상기 원고압착판의 탄성수단을 설치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탄성수단을 갖는것은, 이 탄성수단의 탄력을받는 슬라이더를 그 탄성수단의 양단부에 덮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로, 취부부재와 이 취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한 지지부재와 이 취지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한 리프트부재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은 리프트부재를 일방향에 회동부세시키는 탄성수단을, 그 리프트부재를 상기 지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힌지핀에 환권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12. 청구항 1항에 기재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
  13. 삭제
KR1020120003364A 2011-01-25 2012-01-11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그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구비한사무기기 KR1013670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13377 2011-01-25
JP2011013377A JP5881137B2 (ja) 2011-01-25 2011-01-25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事務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248A KR20120086248A (ko) 2012-08-02
KR101367039B1 true KR101367039B1 (ko) 2014-02-24

Family

ID=46561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364A KR101367039B1 (ko) 2011-01-25 2012-01-11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그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구비한사무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81137B2 (ko)
KR (1) KR101367039B1 (ko)
CN (1) CN102621844B (ko)
TW (1) TWI5261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33914B2 (ja) * 2013-01-25 2017-11-22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WO2015037829A1 (en) * 2013-09-12 2015-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assembl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6601902B2 (ja) * 2015-07-13 2019-11-06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蓋体開閉装置並びにこの蓋体開閉装置を備えた各種機器
JP2017187699A (ja) * 2016-04-08 2017-10-12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ヒンジ並びにこのヒンジを備えた事務機器
JP7090862B2 (ja) 2017-05-30 2022-06-27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ヒンジ装置並びにこのヒンジ装置を用いた事務機器
JP7133186B2 (ja) * 2017-12-13 2022-09-08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ヒン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1357B2 (ja) * 1997-09-24 2005-04-20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2008240927A (ja) * 2007-03-28 2008-10-09 Shimonishi Giken Kogyo Kk 開閉装置
KR20090023137A (ko) * 2007-08-31 2009-03-04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KR20100066359A (ko) * 2008-12-09 2010-06-17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이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사용한사무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38370A1 (de) * 1979-10-13 1981-04-23 Canon K.K., Tokyo Vorlagen-niederhaltevorrichtung
JPS60118139U (ja) * 1984-01-18 1985-08-09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のフリクシヨン機構
JP2590407Y2 (ja) * 1993-05-28 1999-02-17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3155659B2 (ja) * 1994-02-08 2001-04-16 ニスカ株式会社 原稿処理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010104B2 (ja) * 2000-10-27 2007-11-21 村田機械株式会社 読取部
JP4351597B2 (ja) * 2004-08-02 2009-10-28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4676769B2 (ja) * 2005-01-18 2011-04-27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事務機器
JP5382760B2 (ja) * 2007-11-02 2014-01-08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JP5557176B2 (ja) * 2008-06-05 2014-07-23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の開閉装置並び事務機器
JP2011017391A (ja) * 2009-07-09 2011-01-27 Shimonishi Giken Kogyo Kk 開閉装置の取付位置調整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1357B2 (ja) * 1997-09-24 2005-04-20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2008240927A (ja) * 2007-03-28 2008-10-09 Shimonishi Giken Kogyo Kk 開閉装置
KR20090023137A (ko) * 2007-08-31 2009-03-04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KR20100066359A (ko) * 2008-12-09 2010-06-17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이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사용한사무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248A (ko) 2012-08-02
CN102621844B (zh) 2016-01-20
TW201233295A (en) 2012-08-01
JP2012155096A (ja) 2012-08-16
CN102621844A (zh) 2012-08-01
JP5881137B2 (ja) 2016-03-09
TWI526138B (zh) 2016-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039B1 (ko)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그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구비한사무기기
JP4224079B2 (ja) ヒンジ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原稿給送装置並びに画像読取装置
KR101020611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KR100754413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KR101019775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US9538031B2 (en) Hinge assembl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2155096A5 (ko)
KR100860922B1 (ko)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US20110234733A1 (en) Multifunctional Peripheral
KR101245026B1 (ko)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JPS5926013B2 (ja) 複写機の原稿抑えの保持機構
JP2022035090A (ja) ヒンジ及びヒンジを備えた電子機器
KR100821293B1 (ko)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JP7262091B2 (ja) 開閉装置、並びに情報端末機器
US7580165B2 (en) Paper pressing device
JP7347786B2 (ja) ヒンジ
JP2538147B2 (ja) 自動給紙装置
TWI804400B (zh) 鉸鏈及使用此鉸鏈的事務機器
KR100231885B1 (ko) 원고 자동 급지장치의 낱장 분리장치
KR950002597Y1 (ko) 복사기기의 자동급지롤러 가압장치
US20080224381A1 (en) Paper feeder enabling proper feeding alignment
JP2977634B2 (ja) 自動原稿給送装置
KR20050122903A (ko) 사무기기의 원고가이드장치
JPH07319084A (ja) 複写機の原稿台
JPS5926937B2 (ja) 原稿圧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