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4413B1 -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 Google Patents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4413B1
KR100754413B1 KR1020060000831A KR20060000831A KR100754413B1 KR 100754413 B1 KR100754413 B1 KR 100754413B1 KR 1020060000831 A KR1020060000831 A KR 1020060000831A KR 20060000831 A KR20060000831 A KR 20060000831A KR 100754413 B1 KR100754413 B1 KR 100754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ocument
pressing plate
original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0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3861A (ko
Inventor
테추오 콘도
Original Assignee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3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1Top covers or the like
    • H04N1/00554Latches or hing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5Holders for originals or exposure plat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9Structural door desig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1Digital copier; digital 'photocop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원고압착판의 위치조정과 위치결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콤팩트화를 도모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를 제공하기 위해, 사무기기의 기기본체에 대하여 원고압착판을 개폐가능하게 지지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로서, 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장치본체에, 상기 기기본체에 대한 상기 원고압착판의 평행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을 설치하고, 그 위치조절수단의 조작부를, 상기 장치본체의 측부측에서 조작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사무기기,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위치조절수단, 위치조정, 위치결정, 콤팩트화.

Description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manuscript pressing plate and office apparatus}
도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사무기기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서의 원고압착판의 닫힌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3은, 기기본체에 대한 원고압착판의 평행위치의 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관련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일예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관련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일예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관련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일예를 보인 배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관련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중요 부위의 일예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관련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중요 부위의 일예를 보인 평면도로, (a)는 도7중의 선 a-a 시시(矢視)도이고, (b)는 장치본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c)는 장치본체를 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에 관련된 조절판의 일예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관련된 작동부재의 일예를 보인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작동부재의 다른 일예를 보인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관련된 나사결합부재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개폐장치
2: 기기본체
3: 원고압착판
4: 장치본체
5: 위치조절수단
6: 설치부재
7: 지지부재
8: 리프트부재
본 발명은, 복사기, 인쇄기, 팩스밀리, 스캐너 등의 사무기기에 사용하기에 잘 맞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그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에 관하는 것이다.
복사기, 인쇄기, 팩스밀리, 스캐너 등의 사무기기의 기기본체에는, 그 기기본체의 상면후방에 원고압착판이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개재하여 개폐가능하게 설 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통상, 기기본체측의 접촉유리상으로 위치시킨 원고를 그 접촉유리에 압착하는 기능을 하지만, 복수매의 원고를 효율좋게 복사하거나 인쇄하거나 또는 송신하거나 하기 위해, 원고자동이송장치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 원고자동이송장치는, 원고압착판의 상부의 일측에 설치된 원고이송부에 원고를 세트하면, 자동적으로 기기본체의 원고독취부로 원고를 이송하여 복사나 인쇄, 또는 송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히 복수매의 원고를 복사하거나, 인쇄하거나, 또는 송신하거나 하는 것이 편리하다. 그래서, 원고가 원고이송부에서 원고독취부에 대해 평행하게 송출되지 아니하면, 원고의 독취가 틀어지면서 행하여져, 정확한 복사나 인쇄, 또한 송신이 가능하지 아니하게 된다.
그래서, 이와 같은 원고자동이송장치부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가운데에, 원고압착판을 개폐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원고압착판의 평행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 공지문헌으로는, 일본국특허 제3155659호를 들 수 있다. 그 공지문헌에 기재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기기본체의 상면의 후부원고압착판을 개폐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수단과, 원고압착판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 위치조정수단은,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원고압착판의 평행위치의 조정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앞에서 서술한 공지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위치조정수단의 조작부가 축지지수단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축지지수단의 후방측으로 조작하는 사람이 가지 않아도 조작부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원고압착판의 평행위치의 조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위치조정수단의 조작부가 축지지수단의 전방측으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원고를 기기본체의 상면의 접촉유리면상에 올려놓는 때에, 그 조작부가 방해되는 일도 있고, 또, 축지지수단의 전방측의 조작부가 돌출하여 있어, 콤팩트화에 방해로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원고압착판의 위치조정과 위치결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콤팩트화를 도모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련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사무기기의 기기본체에 대하여 원고압착판을 개폐가능하게 지지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있어서, 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장치본체에, 상기 기기본체에 대한 상기 원고압착판의 평행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을 설치하고, 그 위치조절수단의 조작부를, 상기 장치본체의 측부측에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발명에 의하면, 위치조절수단의 조작부를 장치본체의 측부측에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조작하는 사람이 장치본체의 후방측으로 가지 않아도 조작부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원고압착판의 위치조정과 위치결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또, 조작부가 장치본체의 측부측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원고를 기기본체의 상면상에 올려놓는 때에는, 조작부를 방해하는 일도 없다. 따라서, 원고압착판의 위치조정과 위치결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콤팩트화를 도모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가, 상기 기기본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양측판을 지니는 설치부재와, 그 설치부재의 양측판에 회전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고 상기 원고압착판이 설치된 지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조절수단이, 상기 기기본체에 설치된 조절판과, 상기 설치부재의 양측판에 지지되고 상기 조절판과 결합하여 상기 기기본체에 대한 상기 설치부재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작동부재와, 상기 양측판의 일방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부재를 동작시키는 상기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있어,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양 측판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작동부재 및 상기 조절판의 일방에 결합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작동부재 및 상기 조절판의 타방에 상기 결합돌출부와 결합하는 결합요홈부가 설치되며,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양 측판사이를 이동하고 상기 설치부재가 상기 기기본체에 대하여 이동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있어,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원고압착판의 사이에, 상기 지지부재에 중첩됨과 동시에 그 지지부재의 자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고, 또한, 상기 원고압착판에 설치되는 리프트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설치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원고압착판을 개성방향에 회전하여 힘을 전달하는 함께, 상기 리프트부재를 상기 지지부재와의 중첩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관련된 사무기기는, 상기의 본 발명에 관련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하는 사람이 장치본체의 후측에서 가지 않아도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원고압착판의 위치조정과 위치결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원고를 기기본체의 상면상에 올려놓는 때에, 조작부를 방해하는 것은 아니하므로, 콤팩트화를 도모하는 것으로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에 의하면, 위치조절수단의 조작부를 장치본체의 측부측으로 조작하는 일이 가능하게 구성한 것으로, 조작하는 사람이 장치본체의 후측으로 가지 않아도 조작부를 조작하는 일이 가능하고, 원고압착판의 위치조정과 위치결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원고를 기기본체의 접촉유리의 상면상에 올려놓는 때에는, 조작부를 방해하는 일이 없이 콤팩트화를 도모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를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에 관련된 사무기기의 일예를 보인 도면이며, 도3은 기기본체에 대한 원고압착판의 평행위치의 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도3에 있어, 본 발명에 관련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위치관계를 알 수 있도록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실선으로 나타낸다. 도4∼도8은 본 발명에 관련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일예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도1∼도8에서와 같이, 사무기기의 기기본체(2)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원고압착판(3)을 개폐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사무기기로서는, 특정한 것에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면, 복사기, 인쇄기, 팩스밀리, 스캐너 등을 들 수 있으며, 복사기, 특히 팩스밀리부 복사기가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원고압착판(3)의 상부에는, 원고자동이송장치(31)가 설치되어 있다. 원고자동이송장치(31)는, 다수매의 원고를 효율좋게 복사하거나 인쇄하거나 또는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 원고자동이송장치(31)는, 원고압착판(3)의 상부의 일측에 설치된 원고이송부(32)를 구비하고, 그 원고이송부(32)에로 원고를 세트하면, 자동적으로 기기본체(2)의 원고독취부(23)(원고독취부가(20)인 경우도 있다)로 다수매의 원고가 차례대로 이송되게 하여 복사나 인쇄, 혹은 송신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는, 사무기기의 기기본체(2)에 대하여 원고압착판(3)을 개폐가능하게 지지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이고, 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의 장치본체(4)에, 상기 기기본체(2)에 대한 상기 원고압착판(3)의 평행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5)을 설치하고, 그 위치조절수단(5)의 조작부(51)를, 상기 장치본체(4)의 측부측에서 조작하는 일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원고압착판(3)을 개폐가능하게 지지하는 개폐장치는, 기기본체(2)의 후단부에 2개 설치되며, 2개의 개폐장치중 일방이 본 발명에 관련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라면 좋다. 즉, 2개의 개폐장치중 일방이 본 발명에 관련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라도 좋고, 양방이 본 발명에 관련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라도 좋으며, 도시예에서는 양방이 본 발명에 관련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인 경우이다.
장치본체(4)는, 기기본체(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양측판(62, 62)를 지니는 설치부재(6)와, 그 설치부재(6)의 양측판(62, 62)에 회전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고 원고압착판(3)이 설치되는 지지부재(7)를 구비하며, 또, 지지부재(7)와 원고압착판(3)사이에, 지지부재(7)에 중첩됨과 동시에 지지부재(7)의 자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고, 또한, 원고압착판(3)에 설치된 리프트부재(8)가 설치되며, 설치부재(6)와 지지부재(7)사이에, 원고압착판(3)에 개방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함과 동시에 리프트부재(8)에 지지부재(7)와 중첩하는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는 탄성수단(도시 생략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치부재(6)는, 기기본체(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저판(61)과, 저판(61)의 양측단부로 각각 저판(61)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함)을 따르는 양 측판(62, 62)과, 그 저판(61)의 일단부(후단부)로부터 저판(61)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함)을 따르는 대략 사각형상의 후판(63)으로 구성된다.
저판(61)은, 대략 사각형상에 형성되어 있다. 그 저판(61)에는, 예를 들어 나사나 볼트 등의 2개의 체결부재(25, 26)에 의해 설치부재(6)를 기기본체(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설치구멍(65)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체결부재는, 기기본체(2)의 전방측의 제1설치구멍(21)에 나사결합되는 제1체결부재(25)와, 기기본체(2)의 후방측의 제2설치구멍(22)에 나사결합되는 제2체결부재(26)로 구성된다. 제1체결부재(25)는, 제1설치구멍(21)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부(25a)와, 나사결합부(25a)보다 직경이 큰 칫수로 형성되어 있는 머리부(25b)로 구성된다. 제2체결부재 (26)는, 제2설치구멍(22)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부(26a)와, 나사결합부(26a)보다 직경이 큰 칫수로 형성되어 있는 머리부(26b)와, 나사결합부(26a)와 머리부(26b)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부(26c)로 구성된다. 제2체결부재(26)의 슬라이드부(26c)는, 나사결합부(26a)보다 직경이 크고 머리부(26b)보다는 직경이 작으며, 또한, 저판(61)의 두께보다 축방향의 길이가 긴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설치구멍(65)은, 저판(61)의 폭방향의 중앙부에 그 긴 방향을 따르는 대략 긴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설치구멍(65)의 중앙부는, 제1체결부재(25)의 머리부(25b) 및 제2체결부재(26)의 머리부(26b)보다 직경이 큰 칫수의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설치구멍(65)의 전방측의 전방부(65a)가 제1설치구멍(21)과 일치하는 개소이다. 그 전방부(65a)의 폭은, 제1체결부재(25)의 나사결합부(25a)보다 직경이 크고 그 머리부(25b)보다 직경이 작은 칫수로 형성되어 있다. 설치구멍(65)의 후방측의 후방부(65b)는 제2설치구멍(22)에 일치하는 개소이다. 그 후방부(65b)의 폭은, 제2체결부재(26)의 슬라이드부(26c)보다 약간 큰 칫수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설치구멍(65)의 전방부(65a)가 제1설치구멍(21)과, 후방부(65b)는 제2설치구멍(22)과 각각 일치시킨 상태로 그 제1설치구멍(21)에 제1체결부재(25)의 나사결합부(25a)를 나사결합시킴과 동시에, 그 제2설치구멍(22)에 제2체결부재(26)의 나사결합부(26a)를 나사결합시켜, 슬라이드부(26c)의 단부를 기기본체(2)의 상면에 접촉 또는 근접시키는 것으로, 기기본체(2)의 전후방향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부재(6) 즉 장치본체(4)가 기기본체(2)에 설치되는 것으로 된다.
설치부재(6)의 측판(62)은, 약L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저판(61)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함)으로 연장되며, 그 선단부(상부)에, 제1힌지핀(11)이 삽입관통되도록 샤프트공(도시생략됨)이 설치되어있다. 측판(62)의 샤프트공보다 저판(61)측(하방)으로, 또한, 내측(전방)으로 편심된 위치에는, 수압(受壓)핀(13)이 삽입관통되도록 수압핀공(도시생략됨)이 설치되어 있다. 수압핀(13)은, 캠슬라이더(92)의 저부의 외표면이 접촉하는 수압부재이고, 그 수압부재는, 수압핀(13)등의 핀에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면, 수압롤러라도 좋다.
지지부재(7)는, 천판인 상판(71)과, 상판(71)의 양측단부로부터 각각 상판(71)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함)으로 연장되는 양측판(72, 72)과, 측판(72, 72)의 선단부를 서로 대향하는 측으로 90도 절곡하여 형성되는 구지(拘持)판(73)으로 구성된다. 이들 상판(71), 양측판(72, 72), 구지판(73)으로 수용부(78)가 구성되어 있다.
양측판(72, 72)의 일단부(후단부)에는, 제2힌지핀(12)이 삽입관통되는 제2힌지핀공(도시생략됨)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작동핀(14)은 삽입되는 절결부(74)가 설치되어 있다. 양측판(72, 72)의 타단부(전단부)에는, 샤프트삽입관통공(도시생략됨)이 설치되어 있다. 양측판(72, 72)의 샤프트삽입관통공과 설치부재(6)의 샤프트공이 일치되어 이들 공(孔)에 제1힌지핀(11)이 삽입관통되는 것에 의해, 지지부재(7)가 설치부재(6)에 제1힌지핀(11)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리프트부재(8)는, 두께가 두꺼운 원고도 기기본체(2)의 상면에 안정되게 압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리프트부재(8)는, 원고압착판(3)의 후단측에 나사 등으로 설치되는 상판(81)과, 그 상판(81)의 양단부로 각각 상판(81)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함)으로 연장되는 양측판(82)으로 되는 약ㄷ자 형상으로서, 지지부재(7)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리프트부재(8)의 일단부(후단부)의 중앙보다 상판(81)측의 개소에는 제2힌지핀삽입관통공(도시생략됨)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2힌지핀삽입관통공보다 타단부측으로, 또한, 중앙에서 상판(81)측과는 반대측의 개소에는 작동핀(14)이 삽입관통되는 작동핀공(도시생략됨)이 설치되어 있다. 양측판(82, 82)의 작동핀공에 작동핀(14)이 삽입관통되어 고정되어 있다. 리프트부재(8)의 양측판(82, 82)의 제2힌지핀삽입관통공과 지지부재(7)의 양측판(72, 72)의 제2힌지핀공이 일치되고 이들 각공에 제2힌지핀(12)이 삽입관통되는 것에 의해, 리프트부재(8)와 지지부재(7)가 제2힌지핀(12)을 축으로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탄성수단은, 원고압착판(3)을 개방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전달함과 동시에, 리프트부재(8)를 지지부재(7)과 중첩하는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며, 또한, 원고압착판(3)이 소정의 개방각도이하인 때, 원고압착판(3)에 가해지는 탄성력이 원고압착판(3)의 모멘트보다 작은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 개방방향이라 함은, 원고압착판(3)을 회전시키는 때에 원고압착판(3)이 접촉유리(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개방각도라 함은, 기기본체(2)의 상면인 접촉유리(20)면에 대한 원고압착판(3)의 각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소정의 개방각도라 함은, 예를 들면, 탄성수단에 의한 원고압착판(3)에 작용하는 힘이 원고압착판(3)의 모멘트보다 작게 되는 각도이다.
탄성수단은, 예를 들면, 압축코일스프링(도시생략됨)이다. 압축코일스프링 은, 지지부재(7)내에 삽입되어 작동핀(14)와 수압핀(13)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압축코일스프링의 작동핀(14)과의 사이에는, 스프링받침부재(91)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압축코일스프링의 수압핀(13)과의 사이에는, 캠슬라이더(92)가 설치되어 있다.
압축코일스프링은, 그 개수에는 특정한 것에 한정됨이 없이, 1개라도 2개이상이라도 좋고, 스프링받침부재(91) 및 캠슬라이더(92)를 각각 서로 멀어지는 방향에 힘을 가하는 것이다. 압축코일스프링은, 원고압착판(3)을 개방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전달함과 동시에, 원고압착판(3)이 소정의 개방각도(예를 들면, 20도(20도 전후도 포함함))이하인 때, 원고압착판(3)에 전달되는 탄성력이 원고압착판(3)의 모멘트보다 작은 것이다.
스프링받침부재(91) 및 캠슬라이더(92)는, 단면사각형의 바닥있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스프링받침부재(91) 및 캠슬라이더(92)는, 서로의 개구부가 마주함과 동시에 이들사이에 압축코일스프링이 수용된 상태로, 지지부재(7)의 수용부(78)에서 각각 개별적으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스프링받침부재(91) 및 캠슬라이더(92)는, 설치부재(6)의 저판(61)과 지지부재(7)(상판(71))이 대략 평행으로 되어 있는 때(예를 들면, 기기본체(2)의 상면의 접촉유리(20)상에 원고압착판(3)을 밀착시킨 때(원고압착판이 폐쇄위치에 있을 때)), 지지부재(7)의 수용부(78)내에 결합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캠슬라이더(92)의 저부(폐쇄부라고도 한다)의 외표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돌출부(92a)가 설치되어있다. 그 돌출부(92a)는, 지지부재7의 상판(71)에 대략 평행 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92a)에서 구지판(73)측의 캠슬라이더(92)의 저부 외표면은 점차 경사진 경사부(92b)로 형성되어 있다. 그 캠슬라이더(92)의 저부의 외표면의 돌출부(92a) 및 경사부(92b)가 일종의 캠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원고압착판(3)을, 접촉유리(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상방)으로 제1힌지핀(11)을 축으로 회전시키면, 수압핀(13)에 접촉하는 개소가 돌출부(92a)에서 경사부(92b)로 서서히 미끄럼운동하는 사이에, 캠슬라이더(92)가 압축코일스프링에 의해 지지부재(7)내를 후단부측으로 가압되어 미끄럼운동하고, 압축코일스프링이 서서히 신장된다. 그리고, 원고압착판(3)이 최대사용 개방각도(예를 들면, 60도(60도전후를 포함함)∼70도(70도전후를 포함함))로 되면, 그 개폐가 원고압착판 개폐규제기구(도시생략됨)에 의해 규제된다.
압축코일스프링 내에는, 댐퍼장치(도시생략됨)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그 댐퍼장치는, 원고압착판(3)이 폐쇄방향으로 회전한 때에, 원고압착판(3)의 소정의 회전각도인 개방각도이하의 특정의 각도이하(예를 들면, 10도전후이하)에 있어서만 그 원고압착판(3)의 회전속도를 저감시키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 폐쇄방향이라 함은, 원고압착판(3)을 회전시키는 때에 원고압착판(3)이 접촉유리(20)에 근접하는 방향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의 특정의 각도이하라 함은, 상기의 소정의 개방각도이하의 각도이면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댐퍼장치는, 예를 들면, 오일댐퍼장치등이다. 댐퍼장치는, 원고압착판(3)의 특정의 각도이하(예를 들면, 10도전후이하)에 있어서만 그 원고압착판(3)의 회전속도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댐퍼장치는, 예 를 들면, 실리콘오일 등의 오일이 충전되어 있고, 실린더와, 실린더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피스톤 로드가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 피스톤 로드의 실린더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길이가 길게 되도록 힘이 작용하는 피스톤(도시생략됨)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위치조절수단(5)은, 설치부재(6)를 개재하여 기기본체(2)에 대한 장치본체(4)의 평행위치, 즉, 원고압착판(3)의 평행위치를 조절하는 것이다. 그 위치조절수단(5)은, 예를 들면, 기기본체(2)에 설치된 조절판(52)과, 설치부재(6)의 양측판(62, 62)에 지지되고 결합수단(54)을 개재하여 조절판(52)과 결합하며 기기본체(2)에 대한 설치부재(6)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작동부재(53)와, 설치부재(6)의 양측판(62, 62)의 일방에 설치되고 작동부재(53)를 동작시키는 조작부(51)를 구비하고 있다.
조절판(52)은, 도7∼도9에서와 같이, 설치부재(6)의 저판(61)보다 약간 작은 대략 사각형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절판(52)의 폭은, 설치부재(6)의 측판(62, 62)사이의 길이보다 약간 짧게 형성되어 있다. 그 조절판(52)은, 저판(61)상에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조절판(52)의 일방의 단부(전방측으로 되는 단부)근방에는, 제1체결부재(25)의 나사결합부(25a)가 삽입되는 삽입구멍(52a)이 설치되며, 그 삽입구멍(52a)을 제1설치구멍(21) 및 설치구멍(65)의 전방부(65a)를 일치시키고 제1체결부재(25)의 나사결합부(25a)를 삽입구멍(52a) 및 전방부(65a)를 관통시킨 후, 제1설치구멍(21)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조절판(52)이 기기본체(2)에 설치된다. 또, 조절판(52)에는, 설치구멍(65)의 중앙부 및 후방부(65b)를 노출시키는 긴 원형상 의 관통구멍(52b)이 설치되어 있고, 설치부재(6) 즉 장치본체(4)의 기기본체(2)의 전후방향으로의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작동부재(53)는, 도7, 도8 및 도10에서와 같이, 조절판(52)에 결합되어 기기본체(2)에 대한 설치부재(6)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면 어떻게 형성되어도 좋은, 예를 들면, 사각형 통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작동부재(53)의 외형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내부의 형상이 원형이고, 내면에 나사홈(53a)이 설치되어 있다. 작 동부재(53)의 길이(축방향의 길이)는, 설치부재(6)의 측판(62, 62)사이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그 작동부재(53)의 나사홈(53a)에 나사결합부재(55)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나사결합부재(55)는, 작동부재(53)의 나사홈(53a)에 나사결합되어 작동부재(53)를 이동시키는 것이고, 작동부재(53)를 이동시킬 수 있다면, 특정한 것에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면, 나사(56) 등이 채용될 수 있다. 그 나사(56)는, 설치부재(6)의 양측판(62, 62)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측판(62, 62)에는, 나사(56)가 삽입되는 나사삽입구멍(도시생략됨)이 각각 서로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나사삽입구멍은, 나사(56)의 나사결합부(56a)보다 직경이 크며, 그 머리부(56b)보다 직경이 작은, 예를 들면,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나사삽입구멍의 위치는, 설치구멍(65)보다 후방측이고, 측판(62, 62)사이의 작동부재(53)에 나사(56)가 나사결합된 때, 그 작동부재(53)의 일면(하면이라고도 한다)이 저판(61)과 저마찰력으로 접촉 또는 근접하게 되는 개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사(56)의 나사결합부(56a)의 길이는, 양측판(62, 62)간의 길이보다 긴 칫 수로 양측판(62, 62)의 나사삽입구멍을 관통시킨 때, 선단부가 측판(62)으로 돌출하며, 그 돌출한 선단부에 예를 들면, 너트(57)를 2개 나사결합시킬 수 있는 칫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나사(56)는, 측판(62, 6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게 된다. 즉, 나사(56)의 나사결합부(56a)를 양측판(62, 62)의 나사삽입구멍에 삽입하고 각각 관통시켜서, 측판(62)으로 돌출한 나사결합부(56a)에 첫번째의 너트(57)를 나사(56)가 회전할 수 있도록 나사결합시킨다. 예를 들면, 나사(56)의 머리부(56b)를 일방의 측판(62)의 외표면에 접촉 또는 근접시킨 상태에, 타방의 측판(62)의 외표면으로 돌출한 나사결합부(56a)에 첫번째의 너트(57)를 너트(57)가 타방의 측판(62)의 외표면에 근접하도록 나사결합시킨다. 나사결합후, 2번째의 너트(57)를 나사결합부(56a)에 나사결합시켜서 첫번째의 너트(57)에 접촉시킨다. 이에 따라, 나사(56)는, 측판(62, 62)에 회전가능하게, 또한, 더블너트로 이완되는 일없이 설치되게 된다. 그 나사(56)의 머리부(56b)가 조작부(51)이고, 그 조작부(51)를, 예를 들면,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시키는(조작하는) 것에 의해, 작동부재(53)가 측판(62, 62)사이를 왕복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결합수단(54)은, 조절판(52)과 작동부재(53)를 결합시키고 기기본체(2)에 대하는 설치부재(6), 즉, 장치본체(4)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것이며, 설치부재(6)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면 어떻게 형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조절판(52) 및 작동부재(53)의 일방에 결합돌출부(58)을 설치하고, 조절판(52) 및 작동부재(53)의 타방에 결합돌출부(58)와 결합하는 결합요홈부(59)를 설치하여도 좋다.
결합돌출부(58)는, 예를 들면, 작동부재(53)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다. 그 결 합돌출부(58)는, 어떻게 형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작동부재(53)의 하면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작동부재(53)의 긴 방향에 대하여 45도(45도전후를 포함함) 경사지게 하면의 폭전체에 걸쳐 직선상으로 형성하여도 좋으며, 또, 예를 들면, 도11에 보이도록, 원주(圓柱)형상의 환보스 등의 돌출부(68)를 2개 이상, 예를 들어 2개 밑면으로 돌출시킴과 동시에, 이들 2개의 돌출부(68, 68)를 작동부재(53)의 긴 방향에 대하여 45도(45도전후를 포함함) 경사진 직선상에 배치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결합요홈부(59)는, 예를 들면, 도7∼도9에서와 같이, 조절판(52)에 설치되어 있다. 그 결합요홈부(59)는, 예를 들면, 조절판(52)의 설치구멍(65)보다 후방측에 결합돌출부(58)와 대향하도록, 즉 조절판(5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45도(45도전후를 포함함) 경사진 조절판(52)의 양측부 근방까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 결합요홈부(59)의 폭이 결합돌출부(58)의 폭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 결합요홈부(59)에 결합돌출부(58)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조작부(51)를 조작하면, 작동부재(53)가 측판(62, 62)사이를 이동하고 결합돌출부(58)가 결합요홈부(59)에 안내되면서, 설치부재(6), 즉, 장치본체(4)가 기기본체(2)에 대하여 전후방향의 어느 일방에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련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원고압착판(3)은, 기기본체(2)가 사용되지 아니하는 상태에서는, 도2 및 도4에서와 같이, 기기본체(2)의 접촉유리(20)에 밀착되어 있다. 접촉유리(20)상에 원고를 올려놓는 때에는, 먼저, 원고압착판(3)의 리프트부재(8)가 설치되어 있는 개소와는 반대측의 단부 또는 그 근방 등에 설치되어있는 파지부를 잡고, 도1에서와 같이, 원고압착판(3)을 상방으로 들어 올린다. 즉, 원고압착판(3)을 제1힌지핀(11)을 축만으로 회동시켜 접촉유리(20)면을 외부에 노출시킨다. 이와 같이 원고압착판(3)을 회전시키는 때, 원고압착판(3)은, 압축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하여, 중량감을 느낌이 없이 개방방향에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노출한 접촉유리(20)면상에 원고를 놓고, 들어올린 원고압착판(3)을 복귀시킨다. 즉, 원고압착판(3)을 접촉유리(20)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제1힌지핀(11)을 축으로 회전시킨다(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원고압착판(3)을 회전시키는 경우, 최초에는 압축코일스프링의 전달하는 힘에 저항하기 때문에 다소의 힘이 필요하게 되지만, 예를 들면, 원고압착판(3)의 개방각도가 20도(20도전후를 포함함)이하로 되면, 원고압착판(3)의 중량이 압축코일스프링의 전달하는 힘보다 강하므로, 원고압착판(3)은 낙하하도록 회전한다. 원고압착판(3)의 개방각도가 특정의 각도, 예를 들어 10도(10도전후를 포함함)로 되면, 댐퍼장치의 피스톤 로드의 선단이 캠슬라이더(92)의 저부의 내면에 접촉하고, 피스톤 로드가 실린더내로 이동하여 피스톤 로드의 노출된 길이가 짧게 되며, 원고압착판(3)의 회전속도가 저감된다. 그 결과, 원고압착판(3)의 회전속도가 댐퍼장치에 의해 제어되므로, 원고압착판(3)이 세게 접촉유리(20)에 충돌하는 일은 없다.
또, 원고가 책과 같이 두꺼운 경우, 원고압착판(3)을 회전시키면(하방에 이동시키면), 원고의 지지부재(7)측의 단부 또는 그 근방에 원고압착판(3)의 지지부재(7)의 근방의 일부가 접촉하고, 원고의 지지부재(7)측의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 와 원고압착판(3)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즉, 파지부측의 단부의 원고압착판(3)은 뜬 상태로 된다. 그 떠 있는 원고압착판(3)의, 예를 들면, 파지부측의 단부근방을 접촉유리(20)측으로 가압하면, 작동핀(14)이 스프링받침부재(91)를 캠슬라이더(92)측으로 가압하고 압축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스프링받침부재(91)가 캠슬라이더(92)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원고압착판(3)(리프트부재(8))이 제2힌지핀(12)을 축으로 회전한다. 즉, 원고의 상부를 덮도록 원고압착판(3)이 이동한다. 예를 들면, 그 원고의 상부가 평탄면인 경우에는, 그 상부에 원고압착판(3)이 면접촉한다. 따라서, 두께가 두꺼운 원고가 안정되게 접촉유리(20)의 면상에 밀착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원고압착판(3)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데, 원고의 두께에 관계없이 원고를 안정되게 접촉유리(20)면상에 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수매의 원고를, 예를 들면, 복사하는 때에는, 도2 및 도4에서와 같이, 기기본체(2)의 접촉유리(20)에 원고압착판(3)이 밀착되어 있는 상태대로, 원고압착판(3)의 상부의 원고이송부(32)에 다수매의 원고를 세트한다. 세트후, 스타트 버턴을 가압조작하는 일에 의해, 다수매의 원고가, 자동적으로 순차 원고이송부(32)로부터 원고독취부(23)로 이송하게 되어 1매씩 연속적으로 복사된다.
원고가 원고이송부(32)로부터 원고독취부(23)로 이송되는 때, 원고독취부(23)에 대하여 원고가 평행하게 이송되지 않으면, 원고의 독취가 틀어지게 이루어져, 정확한 복사 등이 되지 아니한다. 그 경우,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관련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에는, 위치조절수단(5)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기기본체(2)에 대 한 원고압착판(3)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예를 들면, 원고압착판(3)이 기기본체(2)의 접촉유리(20)에 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원고압착판(3)을 상방으로 들어올리고 제1힌지핀(11)을 축으로 회전시켜, 2개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의 제1체결부재(25)의 머리부(25b)를 각각 노출시킨다.
그리고, 예를 들면, 우측(원고자동이송장치(31)이 설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의 제1체결부재(25)를 회전시키고 제1체결부재(25)에 의한 체결을 이완하여 설치부재(6)를 전후방향에 슬라이드가능하게 한다. 그 상태대로, 조작부(51)인 나사(56)의 머리부(56b)를, 예를 들면,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시키면(조작하면), 작동부재(53)가 측판(62, 62) 사이를 이동하여 결합돌출부(58)가 결합요홈부(59)에 안내되면서, 설치부재(6), 즉, 원고압착판(3)이 기기본체(2)에 대하여 전후방향의 어느 일방으로 슬라이드이동하며, 도3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원고압착판(3)이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8(a)에서와 같이, 작동부재(53)가 측판(62, 62) 사이의 중앙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 나사(56)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8(b)에서와 같이, 작동부재(53)가 일방의 측판(62)에 접촉 또는 근접함과 동시에 설치부재(6), 즉, 장치본체(4)가 전방으로 슬라이드이동한다. 또, 나사(56)를 역방향에 회전시키면, 도8(c)에서와 같이, 작동부재(53)가 타방의 측판(62)에 접촉 또는 근접함과 동시에, 설치부재(6), 즉, 장치본체(4)가 후방으로 슬라이드이동한다. 이와 같이, 조작부(51)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설치부재(6)가 슬라이드이동하고 기기본체(2)에 대한 원고압착판(3)의 평행위치를 미세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원고가 원고이송부(32)로부터 원고독취부(23)로 평행하게 이송되도록 기기본체(2)에 대한 원고압착판(3)의 평행위치를 미세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경우, 조작부(51)가 설치부재(6)의 측판(62)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작하는 사람이 기기본체(2)의 후방으로 가지 않아도 조작부(51)를 조작하는 일이 가능하고, 원고압착판(3)의 위치조정과 위치결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설치부재(6)의 저판(61) 상에서 조절판(52)의 전방측의 단부가 이동하는 위치에 눈금(35)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장치본체(4)의 기기본체(2)에 대한 위치조절의 조절량을 시인할 수 있고, 장치본체(4)의 조절을 일층 간단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조작부(51)가 측판(62)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원고를 기기본체(2)의 상면상에 위치시키는 때에는, 조작부(51)가 방해되는 일이 없으므로,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련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는, 위치조절수단(5)의 조작부(51)를 장치본체(4)의 측부에 설치한 것이므로, 조작하는 사람이 장치본체(4)의 후방으로 가지 않아도 조작부(51)를 조작하는 일이 가능하고, 원고압착판(3)의 위치조정과 위치결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원고를 기기본체(2)의 상면상에 올려놓는 때에는, 조작부(51)가 방해되는 일 없이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이상의 본 발명의 형태에서는 댐퍼장치를 채용한 것이 도시되지만, 그 댐퍼장치를 채용하지 아니한 구성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나사(56)의 머리부(56b)는, 구면(球面)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대략 십자 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시키는(조작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면, 도12에서와 같이, 머리부(101)를 원주(圓柱)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그 원주면에 다수의 홈을 설치하여, 즉, 머리부(101)에 널링(knurling)을 하여, 손으로 직접 머리부를 회전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또, 나사결합부재(55)는, 측판(62, 62) 사이의 주위가 작동부재(53)와 나사결합하는 나사홈이 설치되어있는 것이면 좋으며, 동시에 너트를 채용할 필요없이 측판(62, 62)에 회전가능하게 취부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12에서와 같이, 머리부(101)가 널링으로 형성되어 있는 나사결합부재(55)를 측판(62, 62)의 나사삽입구멍에 삽입하고, 머리부(101)와는 반대측의 측판(62)으로 돌출하는 선단부(102)에 E형의 멈춤링(103)을 취부하여, 측판(62, 62)에 회전가능하게 나사결합부재(55)를 취부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조작하는 사람이 장치본체의 후방으로 가지 않아도 조작부를 조작하는 일이 가능하여, 원고압착판의 위치조정과 위치결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또, 원고를 기기본체의 접촉유리의 상면상에 위치시키는 때에는, 조작부가 방해되는 일이 없이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특히 복사기, 인쇄기, 팩스밀리, 스캐너 등의 사무기기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로서 최적으로 채용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원고자동이송장치를 구비한 원고압착판을 사무기기의 기기본체에 대하여 개폐가능하게 지지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있어서,
    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장치본체에, 상기 기기본체에 대한 상기 원고압착판의 평행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을 설치하고, 그 위치조절수단부를, 상기 기기본체에 설치된 조절판과, 상기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설치부재의 양측판에 지지되고 상기 조절판에 결합하여 상기 기기본체에 대한 상기 설치부재의 전후방향의 취부위치를 가변시키는 작동부재와, 상기 양측판의 일방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부재를 동작시키는 상기 조작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이 상기 설치부재의 저판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조작부가 상기 설치부재의 양 측판사이에 설치되는 곳의 상기 작동부재와 나사체결되는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양측판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작동부재 및 상기 조절판의 일방에 결합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작동부재 및 상기 조절판의 타방에 상기 결합돌출부와 결합하는 결합요홈부가 설치되며,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양측사이를 이동하여 상기 설치부재가 상기 기기본체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압착판개폐장치가, 상기 기기본체측에로 설치되는 설치부재와, 그 설치부재에 대해 힌지핀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부재와, 그 지지부재의 자유단측에 상기 지지부재의 회동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되도록 설치된 리프트부재와, 상기 설치부재와 지지부재의 자유단측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리프트부재에로 설치된 원고압착판을 개방방향으로 회동력을 가함과 동시에 상기 리프트부재를 상기 지지부재와 중첩하는 방향으로 회동력을 가하는 탄성수단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5. 제 1 장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
KR1020060000831A 2005-01-18 2006-01-04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KR1007544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10760A JP4676769B2 (ja) 2005-01-18 2005-01-18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事務機器
JPJP-P-2005-00010760 2005-0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861A KR20060083861A (ko) 2006-07-21
KR100754413B1 true KR100754413B1 (ko) 2007-08-31

Family

ID=36683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831A KR100754413B1 (ko) 2005-01-18 2006-01-04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24405B2 (ko)
JP (1) JP4676769B2 (ko)
KR (1) KR100754413B1 (ko)
CN (1) CN10046425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3766B2 (ja) * 2006-02-27 2011-04-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4306686B2 (ja) * 2006-02-27 2009-08-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4577295B2 (ja) * 2006-10-25 2010-11-10 村田機械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TWI405028B (zh) * 2007-04-19 2013-08-11 Kem Hongkong Ltd The original press pl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the original platen with the office equipment
JP5382760B2 (ja) * 2007-11-02 2014-01-08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US20090154974A1 (en) * 2007-12-13 2009-06-18 Simotec Inc. Original cover closer with quickly adjustable energy absorption capability
CN101534618B (zh) * 2008-03-10 2014-05-28 下西技研工业株式会社 启闭装置
US8224228B2 (en) * 2008-10-20 2012-07-17 Simotec Inc. Cover closer
JP4883122B2 (ja) * 2009-03-30 2012-02-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2011017391A (ja) * 2009-07-09 2011-01-27 Shimonishi Giken Kogyo Kk 開閉装置の取付位置調整機構
JP5541592B2 (ja) * 2009-12-14 2014-07-09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原稿圧着板用開閉装置の取り付け固定構造
JP5881137B2 (ja) * 2011-01-25 2016-03-09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事務機器
JP5995046B2 (ja) * 2012-02-10 2016-09-21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oa機器
CN103471636B (zh) * 2012-06-06 2016-01-27 维嘉数控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光学检测设备的玻璃压板装置
CN103900627B (zh) * 2012-12-26 2016-12-28 维嘉数控科技(苏州)有限公司 工作台玻璃盖板打开装置
JP6210480B2 (ja) * 2013-01-18 2017-10-11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
US9100521B2 (en) * 2013-06-13 2015-08-0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484889B2 (ja) * 2015-03-30 2019-03-20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ヒンジ
JP6975439B2 (ja) * 2017-01-10 2021-12-01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JP2019176338A (ja) * 2018-03-28 2019-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9288A (ja) * 1994-02-08 1995-08-18 Nisca Corp 原稿処理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9990029774A (ko) * 1997-09-24 1999-04-26 야마다 미쯔요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JP2001223962A (ja) * 2000-02-09 2001-08-17 Alpine Electronics Inc 回動式電子機器
KR200249563Y1 (ko) 1997-06-11 2001-12-17 엄인자 절첩구조를갖춘자동차용흙받이의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5659A (ja) * 1989-11-14 1991-07-03 Matsushita Electron Corp 半導体装置
JP2590407Y2 (ja) * 1993-05-28 1999-02-17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H0831679A (ja) * 1994-07-14 1996-02-02 Mitsubishi Electric Corp コイル用巻型
JPH10197971A (ja) * 1997-01-10 1998-07-31 Canon Inc 画像読取装置
JP3798921B2 (ja) * 1999-04-14 2006-07-19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装置の開閉装置
TW534547U (en) * 2001-02-23 2003-05-21 Avision Inc Adjustable document cover height for scanner
JP3930267B2 (ja) * 2001-06-18 2007-06-13 ニスカ株式会社 ヒンジ装置
JP2003315939A (ja) * 2002-04-22 2003-11-06 Sharp Corp 原稿読取装置の原稿カバー開閉機構
JP3971276B2 (ja) * 2002-09-05 2007-09-05 加藤電機株式会社 ヒンジ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9288A (ja) * 1994-02-08 1995-08-18 Nisca Corp 原稿処理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0249563Y1 (ko) 1997-06-11 2001-12-17 엄인자 절첩구조를갖춘자동차용흙받이의어셈블리
KR19990029774A (ko) * 1997-09-24 1999-04-26 야마다 미쯔요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JP2001223962A (ja) * 2000-02-09 2001-08-17 Alpine Electronics Inc 回動式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201293A (ja) 2006-08-03
CN1808295A (zh) 2006-07-26
CN100464254C (zh) 2009-02-25
JP4676769B2 (ja) 2011-04-27
US7724405B2 (en) 2010-05-25
KR20060083861A (ko) 2006-07-21
US20060158702A1 (en) 200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413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JP4898215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事務機器
KR101019775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US5278677A (en) Device for removing document jamming generated at a transmitter of a facsimile using a contact image sensor
KR100773364B1 (ko)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KR20060048307A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KR101367039B1 (ko)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그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구비한사무기기
JP2012155096A5 (ko)
JP4898216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事務機器
US6557848B2 (en) Paper-stopping mechanism of automatic document feeder
US20060225585A1 (en) Sheet feeding mechanism capable of adjusting sheet feeding force
JP6606731B2 (ja) ヒンジ
EP0316870B1 (en) Original-holding cover
JP2538147B2 (ja) 自動給紙装置
JP2022035090A (ja) ヒンジ及びヒンジを備えた電子機器
US20020158408A1 (en) Structure for fixing roller
JP2008044678A (ja) 用紙搬送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955444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26503Y2 (ja) ガイドの切り替え装置をもつ見当合わせ装置
KR950002597Y1 (ko) 복사기기의 자동급지롤러 가압장치
JPH0865446A (ja) ペーパー解除機構
JPS60209440A (ja) フアクシミリ送信機の原稿ガイド装置
KR200141101Y1 (ko) 복합화상형성기기의 커버개폐 장치
JPH089092Y2 (ja) 見当合わせ位置調整装置
KR20030066969A (ko)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