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597Y1 - 복사기기의 자동급지롤러 가압장치 - Google Patents

복사기기의 자동급지롤러 가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597Y1
KR950002597Y1 KR92017382U KR920017382U KR950002597Y1 KR 950002597 Y1 KR950002597 Y1 KR 950002597Y1 KR 92017382 U KR92017382 U KR 92017382U KR 920017382 U KR920017382 U KR 920017382U KR 950002597 Y1 KR950002597 Y1 KR 9500025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ever arm
support
feed roller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73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8837U (ko
Inventor
김상균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920173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597Y1/ko
Publication of KR9400088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8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5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5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사기기의 자동급지롤러 가압장치
제1도는 종래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2도는 종래 장치에 의해 자동급지 롤러를 가 하는 상태의 측면 개략도.
제3도는 본 고안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본안 장치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5도는 본 고안 장치에 의해 지동급지 롤러롤 가압하는 상태의 측면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3 : 러버
4 : 지지대 5 : 돌출편
6 : 돌기 7 : 레버
8 : 기이드펀 9 : 걸림홈
10 : 요입홈 11 :레버암
12 : 걸림돌기 13 : 회동판
14 : 스프링
본 고안은복사기, 레이져빔 프린터, 팩시밀리등과 같은 복사기기의 자동급지롤러 가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동급지롤러의 기압력을 선택하여 조절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기에는 원고복사시 용지를 자동으로 급지시켜 줄수 있도록 자동 급지롤러(Auto Docu-ment Feeller : ADF롤러)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자동급지롤러를 가압시켜 용지가 한장씩 차례대로 급지되도록 가압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종래 복사기기의 자동급지롤러 가압장치는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21)내에 자동급지롤러(22)의 둘려면과 끝단이 접속되게 러버(23)가 설치되어있고, 상기 러버의 상부에는 끝단부가 러버(23)와 접속되게 회동판(24)이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판의 상부에는 회동판(24)과 접속되게 판스프링(25)이 설치되어 있어 판스프링(25)의 탄력을 받아 회동판(24)이 회동할때 러버(23)가 자동급지롤러(22)를 가입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회동판(24)의 상부면에는 상면돌기(26)가, 양측면에는 각각 측면돌기(27)가 일체형성되어 상기 상면도릭(26)에 판스프링(25)의 상단내측이 접속되고 양측면돌기 (27)에는 판스프링(25)의 양끝단이 각각 접속됨에 따라 회동판(24)이 탄력을 갖도록 한다.
따라서 복사를 하기위해 작동버튼을 선택하면 본체(21)내의 자동급지롤러(22)가 모터(도시는 생략함)의 구동력을 받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카세트(도시는 생략함)내에 쌓여진 용지를 한장씩 자동으로 급지시키는데, 이때 회동판(24)이 판스프링(25)의 탄력을 받아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력을 가짐으로 용지가 한장씩 급지된다.
상기에서 용지가 한장씩 급지되는 것은 기설명된 바와같이 러버(23)의 끝단이 자동 급지롤러(22)를 가압시키고 있으므로 이 가압력에의해 한장의 용지 만이 급지되고 나머지 용지는 급지될려고하지만 상기러버(23)에 걸리게 됨으로 가능하다.
한편, 러버(23)의 가압력이 적당하여야만 용지가 한장씩 원활하게 급지되는데, 만약 러버(23)의 가압력이 너무크면 용지가 한장씩 급지는 되지만 급지되는 용지가 원활하지 못하고 러버(23)의 가압력이 너무 작으면 여러장의 용지가 한꺼번에 급지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장치는 기기를 장시간 사용시 러버를 가압 시키는 판스프링과 회동판이 변형되어 버림으로 러버의 최초가압력이 그대로 유지되지 못하는 급지되는 용지가 원활하지 못하거나 여러장의 용지가 한꺼번에 급지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데, 이 문제점은 급지용지의 두께를 바꾸어 사용하더라도 또한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부품이 변형되거나 급지용지를 바꿀때는 언제든지 러버의 가압력을 조절할수 있도록하여 용지가 한장씩 원활하게 급지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형태에 따르면, 본체내에 일체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와, 상기 지지대에 축결합되어 레버의 좌, 우이동에 따라 회동하는 레버암과, 상기 지지대에 축결합되어 레버암의 회동에 따라 탄력 회동하면서 러버를 눌러주는 회동판으로 구성하여서된 본 고안 복사기기의 자동급지롤러 가압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3도 내지 제5도를 참고로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3도는 본 고안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4도는 작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제5도는 자동급지롤러를 가압하는 상태의 측면 개략도로서, 본 고안은 본체(1)내에 자동급지롤러(2)의 둘레면과 끝단이 접속되게 러버(3)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본체(1)내에 지지대(4)를 일체 형성하여 상기 지지대에 상부로 돌출편(5)이 형성됨과 함께 하부 일측으로는 돌기(6)가 형성된 레버(7)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4)에는 가이드편(8)을 형성하여 돌출편(5)를 본체(1)외부에서 좌, 우로 이동시킬 때 레버(7)가 상기 가이드편(8)에 안내되면서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지지대(4)에는 일측으로 걸림홈(9)이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복수개의 요입홈(10)이 계단식으로 형성된 레버암(11)을 축결합하여 레버(7)의 이동시 상기레버에 형성된 돌출편(5)이 요입홈(10)에 순차적으로 끼워짐에 따라 레버암(11)이 단계적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그리고 지지대(4)에는 걸림돌기(12)가 형성된 회동판(13)을 힌지결합하여 상기 회동판의 일측끝단을 러버(3)에 접속하고 레버암(11)에 형성된 걸림홈(9)에는 스프링(14)의 일단을 끼움과 함께 상기 회동판(13)에 형성된 걸림돌기(12)에는 스프링(14)의 타단을 끼워 상기 레버암(11)의 회전시 회동판(13)도 스프링(14)에 의해 레버암(11)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탄력회동하면서 러버(3)를 누르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대(4)에 설치된 레버(7)의 하부일측 돌출편(6)이 레버암(11)의 타측을 누르고 있으므로 상기 레버암이 측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있고, 상기 레버암(11)은 스프링(14)에 의해 회동편(13)을 당기고 있으므로 상기 회동편이 힌지를 중심으로 레버암과 직교되게 탄력 회동되어 있으며, 러버(3)는 회동편(13)의 누름력을 받아 자동급지롤러(2)를 가압 시킨다.
즉, 첨부도면 제3도의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는 러버(3)가 자동급지롤러(2)를 가압시키는 가압력이 가장 작을 때인데, 이와같은 상태에서 러버(3)의 가압력을 크게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본체(1)외부에서 레버(7)에 일체 혈성된 돌출편(5)을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밀면 상기 레버(7)가 지지대(4)에 형성된 가이드편(8)에 안내를 받아 일점쇄선과 같이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때 레버(7)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돌기(6)가 레버암(11)의 타측 상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요입홈(10)에 순차적으로 끼워짐으로 상기 레버암(11)이 축을 중심으로 일점쇄선과 같이 단계적으로 회전한다.
상기 레버암(11)이 회전하면 레버암에 형성된 걸림홈(9)에 스프링(14)의 일단이 끼워져 있고 회동판(13)에 형성된 걸림돌기(12)에는 스프링(13)의 타단이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회동판(13)은 스프링(14)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하여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따라 러버(3)를 누르는 힘이 커짐으로 자동급지롤러(2)를 가압시키는 러버(3)의 가압력도 커지게 된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러버(3)의 가압력을 작게 할 경우에는 레버(7)에 형성된 돌출편(5)을 다시 도면성 좌측으로 밀면 상기 레버(7)가 제3도의 실선과 같이 이동되므로 그의 모든 동작이 기설명된 러버(3)의 가압력을 크게 할때의 역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자동급지롤러(2)를 가압시키는 러버(3)의 가압력이 작아진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부품이 변형되거나 급지용지를 바꿀 때 본체의 외부에서 언제든지 러버의 가압력을 적당하게 조절할수 있으므로 용지를 한장씩 원활하게 급지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본체(1)내에 일체 형성된 지지대(4)와,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7)와, 상기 지지대(4)에 축결합되어 레버(7)의 좌, 우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레버암(11)과, 상기 지지대(4)에 힌지결합되어 레버암(11)의 회전에 따라 탄력 회동하면서 러버(3)을 눌러주는 회동판(13)으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지으로 하는 복사기기의 자동급지롤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레버(7)의 상부에 돌출편(5)을 형성하고 지지대(4)에는 가이드편(8)을 형성하여 기기의 외부에서 상기 돌출편(5)을 좌. 우로 이동시킴에 따라 레버(7)가 가이드편(8)에 안내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한 복사기기의 자동급지롤러 가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레버(7)의 일측하부에 돌기(6)를 형성하고 레버암(11)의 타측 상부에는 복수개의 요입홈(10)을 계단식으로 형성하여 레버(7)의 이동시 상기 돌기(6)가 복수개의 요입홈(10)에 순차적으로 끼워짐에 따라 레버암(11)이 단계적으로 회전되도록한 복사기기의 자동급지롤러 가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레버암(11)에 걸림홈(9)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홈에 스프링(14)의 일단을 끼우고 회동판(13)에는 걸림돌기(12)를 형성하여 상기 걸립돌기에 스프링(14)의 타단을 끼워 레버암(11)의 회전에 따라 레버암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동판(13)이 탄력적으로 회동되도록한 복사기기의 자동급지롤러 가압장치.
KR92017382U 1992-09-14 1992-09-14 복사기기의 자동급지롤러 가압장치 KR9500025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7382U KR950002597Y1 (ko) 1992-09-14 1992-09-14 복사기기의 자동급지롤러 가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7382U KR950002597Y1 (ko) 1992-09-14 1992-09-14 복사기기의 자동급지롤러 가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837U KR940008837U (ko) 1994-04-21
KR950002597Y1 true KR950002597Y1 (ko) 1995-04-12

Family

ID=19340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7382U KR950002597Y1 (ko) 1992-09-14 1992-09-14 복사기기의 자동급지롤러 가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5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837U (ko) 199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2891B1 (ko) 시트 공급 장치 및 기록 장치
US5278677A (en) Device for removing document jamming generated at a transmitter of a facsimile using a contact image sensor
US6893015B2 (en) Paper tray for a printing mechanism
KR950002597Y1 (ko) 복사기기의 자동급지롤러 가압장치
US6089562A (en) Device for feeding a recordable paper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1080753A (ja) 給紙装置
JP2002128286A (ja) 給紙装置及び該給紙装置を備えた記録装置
US7580165B2 (en) Paper pressing device
US5193798A (en) Automatic paper feeder
JP3568139B2 (ja) 給紙装置
US5700005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sheet feed-out from an automatic sheet feeder into a receiving tray
JP3877413B2 (ja) 画像形成装置
US6398209B1 (en) Sheet supply apparatus
EP0908405B1 (en) Paper feeding cassette with adjustable pressing means
JP3752813B2 (ja) 給紙装置
KR100233118B1 (ko) 프린터의 봉투 가압장치
KR970003657B1 (ko) 프린터의 연속용지 자동 적재장치
KR970001874Y1 (ko) 급지장치
KR900010837Y1 (ko) 팩시밀리의 송신원고 분리장치
JP3628506B2 (ja) 手差し給紙装置
JP3666657B2 (ja) シート材の供給装置
KR100431422B1 (ko) 상호이동가능한레코드캐리어구동용롤러및프린팅디바이스를갖는장치
KR0124531Y1 (ko) 프린터의 톱로딩장치
KR950000351Y1 (ko) 급지카세트의 저판 이동장치
JPH0614558Y2 (ja) イメージ読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