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531Y1 - 프린터의 톱로딩장치 - Google Patents

프린터의 톱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531Y1
KR0124531Y1 KR2019950020553U KR19950020553U KR0124531Y1 KR 0124531 Y1 KR0124531 Y1 KR 0124531Y1 KR 2019950020553 U KR2019950020553 U KR 2019950020553U KR 19950020553 U KR19950020553 U KR 19950020553U KR 0124531 Y1 KR0124531 Y1 KR 01245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finger
frame
paper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05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8448U (ko
Inventor
이용현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205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531Y1/ko
Priority to US08/689,434 priority patent/US5826996A/en
Publication of KR9700084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4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5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5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4Aprons or guides for the print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1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mprising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61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for separating inclined-stacked articles with separator rollers above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7/00Mea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220/00 – B65H2406/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65H2407/20Mea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220/00 – B65H2406/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manual intervention of operator
    • B65H2407/21Manual fee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잉크제트 또는 레이저빔 프린터 등에서 용지를 로딩시키는 핑거를 사용자가 레버로 동작되도록 하는 동시에 탄력있게 자동으로 원상복귀하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구조의 단순화로 용지삽입시 발생되는 로딩에러를 미연에 방지하는 동시에 원가를 인하시키도록 안출한 프린터의 톱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10)에 굴대설치하여 설정된 각도로 회동하는 레버(20)와, 양단을 프레임(10)과 레버(20)에 고정하여 레버(20)의 원상복귀시 탄력있게 자동으로 복원되도록 하는 토션스프링(30)과, 고정단(41)을 프레임(10)에 굴대설치하여 레버(20)의 동작시 자유단(42)을 회동시켜 용지를 로딩시키는 핑거(40)와, 프레임(10)과 핑거(40)를 탄력있게 연결하여 레버(20)의 원상복귀시 핑거(40)도 동시에 탄력있게 원상복귀시키는 탄력부재(50)로 구성한다.

Description

프린터의 톱로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픽업상태를 나타낸 조립측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의 용지로딩과정을 나타낸 조립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1 :축봉
12,14 : 스프링돌기 13 : 핑거축봉
20 : 레버 21 : 레버몸체
22 : 가압턱 23 : 손잡이돌기
24 : 스프링돌기 30 : 토션스프링
40 : 핑거 41 : 고정단
42 : 자유단 43 : 가압돌편
50 : 탄력부재
본 고안은 잉크제트 또는 레이저빔 프린터 등에서 사용되는 톱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지를 로딩시키는 핑거를 사용자가 레버로 동작되도록 하는 동시에 탄력있게 자동으로 원상복귀하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구조의 단순화로 용지삽입시 발생되는 로딩에러를 미연에 방지하는 동시에 원가를 인하시키도록 안출한 프린터의 톱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제트 또는 레이저빔 프린터등의 용지자동이송(auto sheet feedin밍)방식은 착탈식과 고정식으로 구분되며, 착탈식의 경우 사용자가 카세트를 꺼내어 용지를 로딩한 뒤 세트에 장착하므로 로딩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나, 고정식의 경우 용지의 로딩에러가 자주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용지를 1매씩 분리하여 이송시키는 핑거가 설치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핑거위로 용지를 잘못 삽입시 잘못 이송이나 중첩이송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캠방식에 의하여 작동되는 핑거가 자동으로 용지삽입시 포토센서에 의해 감지되어 로딩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나 기어에 의한 캠방식 구조, 포토센서등으로 구조가 복잡하여 원가가 고가화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용지를 로딩시키는 핑거를 사용자가 레버로 동작되도록 하는 동시에 탄력있게 자동으로 원상복귀하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구조의 단순화로 용지삽입시 발생되는 로딩에러를 미연에 방지하는 동시에 원가를 인하시키고자 프린터의 톱로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은 달성하기 위하여 프린터의 톱로딩장치의 구조를, 프레임에 굴대설치하여 설정된 각도로 회동하는 레버와, 양단을 프레임과 레버에 고정하여 레버의 원상복귀시 탄력있게 자동으로 복원되도록 하는 토션스프링과, 고정단을 프레임에 굴대설치하여 레버의 동작시 자유단을 회동시켜 용지를 로딩시키는 핑거와, 프레임과 핑거를 탄력있게 연결하여 레버의 원상복귀시 핑거도 동시에 탄력있게 원상 복귀시키는 탄력부재로 구성하여, 용지의 로딩시 레버와 함께 핑거를 연동시켜 핑거위로 용지가 잘못 삽입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로딩에러를 미연에 방지하는 동시에 원가를 인하시키도록 한 것이 본 고안의 특징이다.
상기 프레임에는 내측에 녹업플레이트의 일단을 힌지로 굴대설치하여 레버의 회동시 레버로 녹업플레이트를 밀어서 녹업플레이트의 자유단과 픽업로울러사이에 간격을 넓혀 용지가 보급되도록 하며, 축봉을 중심으로 레버의 회동시 녹업플레이트를 가압하도륵 원호형 안내홈을 형성하고, 프레임과 녹업플레이트사이에 탄력부재를 설치하여 녹업플레이트를 탄력있게 받쳐서 항상 픽업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레버는, 프레임의 축봉에 굴대설치되는 레버몸체와, 레버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핑거를 가압하는 가압턱과, 레버몸체에 연장되게 일체로 돌출하여 사용자가 자유로이 회동시키도록 하는 손잡이돌기와, 레버몸체의 일측면에 돌출시켜 프레임의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동시에 레버의 회동시 녹업플레이트를 가압하도륵 하는 안내봉으로 구성한다.
상기 토션스프링은 프레임의 축봉에 끼운 뒤 양단을 프레임과 레버에 돌출된 스프링돌기에 각각 지지되게 고정하여 평상시 레버를 정상적인 픽업상태가 되도록 하고 용지의 로딩시 탄력있게 압축되도록 한다.
상기 핑거는 고정단을 프레임의 핑거축봉에 굴대설치하고, 고정단측에 일체로 가압돌편을 돌출시켜 레버의 가압턱의 가압력에 의하여 자유단이 설정된 각도로 회동되도록 한다.
상기 탄력부재는 프레임과 핑거의 스프링돌기에 양단을 연결하여 로딩시 핑거에 의하여 탄력있게 신장되게 하고 정상적인 픽업시 탄력에 의하여 핑거를 원상복귀하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 내지 제4도에서 본 고안의 프린터의 톱로딩장치는, 프레임(10)에 굴대설치하여 설정된 각도로 회동하는 레버(20)와, 양단을 프레임(10)과 레버(20)에 고정하여 레버(20)의 원상복귀시 탄력있게 자동으로 복원되도록 하는 토션스프링(30)과, 고정단(41)을 프레임(10)에 굴대설치하여 레버(20)의 동작시 자유단(42)을 회동시켜 용지를 로딩시키는 핑거(40)와, 프레임(10)과 핑거(40)를 탄력있게 연결하여 레버(20)의 원상복귀시 핑거(40)도 동시에 탄력있게 원상복귀시키는 탄력부재 (50)로 구성한다.
상기 프레임(10)에는 내측에 녹업플레이트(60)의 일단을 힌지(15)로 굴대설치하여 레버(20)의 회동시 레버(20)로 녹업플레이트(60)를 밀어서 녹업플레이트(60)의 자유단과 픽업로울러(70)사이에 간격을 넓혀 용지가
보급되도록 하며, 축봉(11)을 중심으로 레버(20)의 회동시 녹업플레이트(60)를 가압하도록 원호형 안내홈(16)을 형성하고, 프레임(10)과 녹업플레이트(60)사이에 탄력부재(80)를 설치하여 녹업플레이트(60)를 탄력있게 받쳐서 항상 픽업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레버(20)는, 프레임(10)의 축봉(11)에 굴대설치되는 레버몸체(21)와, 레버몸체(21)의 일단에 형성되어 핑거(40)를 가압하는 가압턱(22)과, 레버몸체(21)에 연장되게 일체로 돌출하여 사용자가 자유로이 회동시키도록 하는 손잡이돌기(23)와, 레버몸체(21)의 일측면에 돌출시켜 프레임(10)의 안내홈(16)을 따라 이동하는 동시에 레버(20)의 회동시 녹업플레이트(60)를 가압하도록 하는 안내봉(25)으로 구성한다.
상기 토션스프링(30)은 프레임(10)의 축봉(11)에 끼운 뒤 양단을 프레임(10)과 레버(20)에 돌출된 스프링돌기(12)(24)에 각각 지지되게 고정하여 평상시 레버(20)를 정상적인 픽업상태가 되도록 하고 용지의 로딩시 탄력있게 압축되도록 한다.
상기 핑거(40)는 고정단(41)을 프레임(10)의 핑거축봉(13)에 굴대설치하고, 고정단(41)측에 일체로 가압돌편(43)을 돌출시켜 레버(20)의 가압턱(22)의 가압력에 의하여 자유단(42)이 설정된 각도로 회동되도록 한다.
상기 탄력부재(50)는 프레임(10)과 핑거(40)의 스프링돌기(14)(44)에 양단을 연결하여 로딩시 핑거(40)에 의하여 탄력있게 신장되게 하고 정상적인 픽업시 탄력에 의하여 핑거(40)를 원상복귀하도록 한다.
상기 탄력부재(50)는 본 고안에서는 탄력스프링을 사용하였으나 그 이외에 본 고안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2도는 토션스프링(30)과 탄력부재(50)에 의하여 각각 레버(20)와 핑거(40)가 정상적인 픽업상태에 놓여져 있다.
따라서 용지를 로딩시키기 위하여 제3도와 같이 레버(20)의 손잡이돌기(23)를 사용자가 잡고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레버(20)의 가압턱(22)이 핑거(40)의 가압돌편(43)에 접촉하게 되며, 이때 토션스프링(30)은 탄력있게 압축하게 된다.
또한 레버(20)의 안내봉(25)은 프레임(10)의 원호홈(16)을 따라 안내되는 동시에 녹업플레이트(60)를 가압하며, 녹업플레이트(60)는 힌지(15)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자유단이 픽업로울러(70)로 부터 점차적으로 이격되고, 녹업플레이트(60)의 회동으로 탄력부재(80)는 탄력있게 압축하게 된다.
그 후 제4도와 같이 레버(20)의 계속적인 회동으로 레버(20)의 가압턱(22)이 핑거(40)의 가압돌편(43)을 가압하면 고정단(41)이 핑거축봉(13)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자유단(42)이 설정된 각도로 회동하면서 용지를 로딩하게 되며, 이때 토션스프링(30)은 더욱 탄력있게 압축하게 되며 탄력부재(50)는 탄력있게 신장된다.
이때, 레버(20)의 안내봉(24)은 프레임(10)을 따라 계속적으로 회동하여 녹업플레이트(60)를 더욱 가압하게 되며, 녹업플레이트(60)의 자유단은 픽업로울러(70)로 부터 더욱 이격되어 녹업플레이트(60)의 자유단과 픽업로울러(70)사이의 간격을 더욱 넓혀 용지의 보급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용지의 로딩 후 핑거(40)를 정상적인 제2도와 같이 픽업상태로 복귀시키고자 할 때 레버(20)에 가해졌던 사용자의 외력을 제거하면 압축되어 있던 토션스프링(30)과 신장되어 있던 탄력부재(50)의 탄력에 의하여 각각 원상복귀하면서 레버(20)와 핑거(40)를 각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원상복귀시키게 되며, 녹업플레이트(60)는 압축되어 있던 탄력부재(80)에 의하여 원상복귀되어 픽업로울러(70)애 용지가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용지의 로딩시 레버(20)와 함께 핑거(40)를 연동시켜 핑거(40)위로 용지가 잘못 삽입되지 않도록 구조를 개선하므로서, 로딩에러를 미연에 방지하는 동시에 구조의 단순화로 원가를 인하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프레임에 굴대설치하여 설정된 각도로 회동하는 레버와, 양단을 프레임과 레버에 고정하여 레버의 원상복귀시 탄력있게 자동으로 복원되도록 하는 토션스프링과, 고정단을 프레임에 굴대설치하여 레버의 동작시 자유단을 회동시켜 용지를 로딩시키는 핑거와, 프레임과 핑거를 탄력있게 연결하여 레버의 원상복귀시 핑거도 동시에 탄력있게 원상복귀시키는 탄력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톱로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프레임의 축봉에 굴대설치되는 레버몸체와, 레버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핑거를 가압하는 가압턱과, 레버몸체에 연장되게 일체로 돌출하여 사용자가 자유로이 회동시키도록 하는 손잡이돌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톱로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는 고정단을 프레임의 핑거축봉에 굴대설치하고, 고정단측에 일체로 가압돌편을 돌출시켜 레버의 가압턱의 가압력에 의하여 자유단이 설정된 각도로 회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톱로딩장치.
KR2019950020553U 1995-08-09 1995-08-09 프린터의 톱로딩장치 KR01245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553U KR0124531Y1 (ko) 1995-08-09 1995-08-09 프린터의 톱로딩장치
US08/689,434 US5826996A (en) 1995-08-09 1996-08-08 Top loading apparatus for a pri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553U KR0124531Y1 (ko) 1995-08-09 1995-08-09 프린터의 톱로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448U KR970008448U (ko) 1997-03-27
KR0124531Y1 true KR0124531Y1 (ko) 1999-03-30

Family

ID=19420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0553U KR0124531Y1 (ko) 1995-08-09 1995-08-09 프린터의 톱로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826996A (ko)
KR (1) KR0124531Y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759A (en) * 1911-10-27 1912-04-30 Monarch Typewriter Co Type-writing machine.
US2015728A (en) * 1931-08-15 1935-10-01 Coxhead Ralph C Corp Paper feeding mechanism
US4684277A (en) * 1980-11-28 1987-08-04 Raytheon Company Apparatus for delaying printer bail clo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448U (ko) 1997-03-27
US5826996A (en) 1998-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2974B1 (ko) 용지운송장치
US20070290433A1 (en) Paper feed cassette
KR0124531Y1 (ko) 프린터의 톱로딩장치
US6659451B2 (en) Paper cassette for an image forming device
US7552920B2 (en) Paper feed cassette
JP2846724B2 (ja) 転写紙搬送ローラ
JP3389758B2 (ja) 給紙カセット
KR100422004B1 (ko)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
US5947471A (en) Document aligning and feeding device
US6505827B2 (en) Urging device provided with multiple loading member and paper feeding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KR100474440B1 (ko) 급지카세트
JP3659073B2 (ja) 給紙装置
KR100233118B1 (ko) 프린터의 봉투 가압장치
JP3077896B2 (ja) 給紙カセット
KR100408303B1 (ko)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KR950002597Y1 (ko) 복사기기의 자동급지롤러 가압장치
JPH11100151A (ja) 手差し給紙装置
JP2580495B2 (ja) 給紙装置
EP0404366B1 (en) Paper pressing arrangement for typewriters
JP3017904B2 (ja) ロール紙の支持装置
KR200168976Y1 (ko) 급지카세트
KR950010077Y1 (ko) 급지장치
JP3666657B2 (ja) シート材の供給装置
JP3628506B2 (ja) 手差し給紙装置
JP3025814U (ja) 記録紙押圧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