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3137A -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 Google Patents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3137A
KR20090023137A KR1020080082127A KR20080082127A KR20090023137A KR 20090023137 A KR20090023137 A KR 20090023137A KR 1020080082127 A KR1020080082127 A KR 1020080082127A KR 20080082127 A KR20080082127 A KR 20080082127A KR 20090023137 A KR20090023137 A KR 20090023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djust
slider
compression spring
orig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9775B1 (ko
Inventor
가타노 고이치
Original Assignee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23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3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5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 E05D11/1064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46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E05F1/1253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spring
    • E05F1/1261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spring for counterbalan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38Modular devices, i.e. allowing combinations of separate components, removal or replacement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1Top covers or the like
    • H04N1/00554Latches or hing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기기본체 측에 취부되는 취부부재와,이 취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원고압착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이 지지부재와 상기 취부부재와의 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슬라이더와,이 한 쌍의 슬라이더에 수용되어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를 상기 취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각각 눌러 붙여 상기 원고압착판을 개성방향으로 회전 부세하는 압축스프링과,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의 적어도 한편의 슬라이더에 설치한 상기 압축스프링의 탄력을 조절하는 탄력조절수단으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구성하였다.
Figure P1020080082127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slider, 힌지핀, 복사기

Description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apparatus for opening or closing plate pressing manuscript and office equipment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복사기,인쇄기,팩시밀리,스캐너 등의 원고압착판을 갖는 사무기기에 이용하기 매우 적합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그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인쇄기,팩시밀리,스캐너 등의 사무기기의 기기본체에는 그 기기본체의 윗면 뒷부분에 기기본체에 구비한 콘택트 유리의 윗면을 덮는 원고압착판이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개입시켜 개폐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일종의 힌지 기구이고,원고압착판을 힌지 축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축지하여 기기본체의 윗면의 콘택트 유리 위에 원고압착판을 압착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콘택트 유리를 노출시킬 수 있다.원고를 콘택트 유리 위에 세트하려면 원고압착판을 열고 콘택트 유리의 윗면을 노출시켜 그 콘택트 유리 위에 원고를 재치한 후, 원고압착판을 닫고 원고압착판으로 원고를 콘택트 유리 위에 압착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중에는 압축스프링의 탄력에 의하여 본래의 중 량을 느끼게 하지 않고 원고압착판을 열 수 있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특허문헌 1,2 참조). 이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사무기기의 기기본체에 장착되는 부재와,이 취부(取付)부재에 힌지 핀을 이용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있음과 동시에 원고압착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지지부재와 취부부재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 수(受)부재를 겸하는 한 쌍의 스프링 케이스와,이 한 쌍의 스프링 케이스 사이에 탄설되어 지지부재를 개성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압축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이 압축스프링에 의해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원고압착판이 개성방향으로 회전 부세되어 있기 때문에 원고압착판을 개성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압축스프링의 탄력에 의하여 본래의 중량을 느끼게 하지 않고 원고압착판을 열 수 있다.
[특허문헌 1] 특개2004-101620호
[특허문헌 2] 실공평 5-8599호
특허문헌 1,2에 기재되어 있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압축스프링의 탄력을 변화시켜 지지부재의 회전 토오크(torque)를 조절하는 토오크 조절수단이 설치되어 있다.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서는 압축스프링 내에 수장되어 한 쌍의 스프링 케이스의 어느 쪽이든 한편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를 받는 댐퍼(damper)를 구비하고,이 댐퍼의 외주의 나사부에 댐퍼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만,댐퍼의 축 주위에는 회전할 수 없는 어저스트플레이트(adjust plate)가 나합(螺合)되어 있다. 이 어저스트플레이트에는 압축스프링의 일단부가 당접되어 댐퍼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어저스트플레이트가 댐퍼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여 압축스프링의 탄력이 변화하도록 되어있다.그러나,댐퍼는 스프링 케이스 내의 압축스프링 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댐퍼의 회전을 실시하기 어렵기 때문에 토오크의 조절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없고,조작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특허문헌2에 기재되어 있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서는 한편의 스프링 케이스에 나합되어 있는 조절나사로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스프링 수좌(受坐)를 설치하고,조절나사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프링 케이스 내의 스프링 수좌가 이동하여 압축스프링의 탄력이 변화하도록 되어 있다.조절나사는 스프링 케이스에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조절나사를 회전시켜 스프링 수좌의 위치를 조절하기 가 쉬우나, 조절나사를 회전시킬 때에 스프링 수좌가 스프링 케이스 내에서 회전할 수 있는 상태에서 설치되기 위해서 조절나사의 회전에 의하여 스프링 수좌가 회전하고 이 회전에 수반하여 압축스프링의 단부가 이동하여 압축스프링이 뒤틀리는 것이 있고, 그 결과,압축스프링의 탄력을 원하는 탄력에 조절할 수 없다. 즉,토오크의 조절을 정확하게 행할 수 없는 것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토오크의 조절을 간단하게, 게다가 정확하게 행할 수 있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원고압착판을 갖는 사무기기의 기기본체 측에 장착되는 취부부재와,이 취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원고압착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이 지지부재와 상기 취부부재와의 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슬라이더와,이 한 쌍의 슬라이더에 수용되어,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를 상기 취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각각 눌러 붙여 상기 원고압착판을 개성방향으로 회전 부세하는 압축스프링을 구비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이며,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의 적어도 한편의 슬라이더에 상기 압축스프링의 탄력을 조절하는 탄력조절수단을 설치하고,이 탄력조절수단이 상기 한편의 슬라이더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압축스프링 내에 늘어나는 어저스트부를 갖는 조작플레이트와,이 조작플레이트의 어저스트부에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축 주위에 회전하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압축스프링의 단부가 당접하는 어저스트플레이트와,상기 조작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한편의 슬라이더에 설치된 관통공으로부터 외부에 노출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이 조작부를 이용하여 상기 조작플레이트를 회전시켜 상기 어저스트 부에 대한 상기 어저스트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압축스프링의 탄력을 조절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탄력조절수단이 슬라이더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어저스트부를 갖는 조작플레이트와,어저스트부에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축회전에 회전하지 않음과 동시에 압축스프링의 단부가 당접하는 어저스트플레이트와,조작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슬라이더에 설치된 관통공으로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조작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조작부를 갖는 것으로,조작플레이트를 회전시키면 어저스트부에 대한 어저스트플레이트는 회전하는 일 없이 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압축스프링은 뒤틀리는 일 없이 단부 간의 길이가 조절되어 압축스프링의 탄력이 변화하기 때문에 토오크의 조절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또,조작부가 슬라이더의 관통공으로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플레이트의 조작이 간단하게 된다. 즉,토오크의 조절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있어서,상기 조작플레이트는 원판상으로 형성되어 이 조작플레이트의 한편의 면에 그 축 방향으로 늘어남과 동시에 외주에 나사홈이 설치되어 있는 상기 어저스트부가 설치되어 상기 조작플레이트의 다른 방향의 면에 그 축 방향으로 늘어남과 동시에 상기 관통공에 회전가능하게 감합되고 있는 상기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또,본 발명과 관련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있어서,상기 어저스트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상기 슬라이더 내는 비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어저스트플레이트는 이 슬라이더 내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감합되는 비원형으로 형성되어 이 어저스트플레이트의 중앙부에 상기 어저스트부와 나합하는 어저스트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좋다.또,본 발명과 관련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있어서,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 내에 상기 압축스프링이 2개 이상 병렬되어 이들 압축스프링의 적어도1개의 압축스프링의 적어도, 한편의 단부에 상기 조작플레이트 및 상기 어저스트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좋다.또,본 발명과 관련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있어서,상기 조작플레이트는 상기 지지부재의 자유단부 측의 상기 슬라이더 내에 설치되어 이 슬라이더의 단부에 상기 조작부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상기 관통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좋다.또,본 발명과 관련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자유단부 측에는 이 지지부재에 중합하는 리프트부재가 회동가능하게 취부되어 상기 원고압착판은 상기 리프트부재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 및 상기 압축스프링은 상기 리프트부재와 상기 취부부재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트부재를 상기 지지부재와 중합하는 방향으로 부세함과 동시에 상기 원고압착판을 개성방향으로 회전 부세하는 것이 좋다.
또,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되는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는 상기의 본 발명과 관련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 발명에 의하면,전술과 마찬가지로,탄력조절수단이 슬라이더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어저스트부를 갖는 조작플레이트와,어저스트 부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축 주위에 회전하지 않음과 동시에 압축스프링의 단부가 당접하는 어저스트플레이트와,조작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슬라이더에 설치된 관 통공으로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조작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조작부를 갖는 것으로,슬라이더의 관통공으로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조작부에 의하여 조작플레이트를 회전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어저스트플레이트는 회전하는 일없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압축스프링이 뒤틀리는 일 없이 압축스프링의 탄력이 변화하기 때문에 토오크의 조절을 간단하게, 게다가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과 관련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에 의하면,슬라이더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탄력조절수단이 어저스트 부를 갖는 조작플레이트와,어저스트부에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축 주위에 회전하지 않음과 동시에 압축스프링의 단부가 당접하는 어저스트플레이트와,조작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슬라이더에 설치된 관통공으로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조작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조작부를 갖는 것으로,슬라이더의 관통공으로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조작부에 의하여 조작플레이트를 회전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어저스트플레이트는 회전하는 일없이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압축스프링이 뒤틀리는 일없이 압축스프링의 탄력이 변화하기 때문에 토오크의 조절을 간단하게, 게다가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이하,본 발명과 관련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를 첨부도면에 근거하여 상술한다.
도 1∼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다.본 발명과 관련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사무기기(10)의 기기본체(11)의 후단부에 원고압착판(12)을 개폐가능하게 취부하는 것이다.사무기기(10)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예를 들면,복사기,인쇄기,팩시밀리,스캐너 등을 들 수 있고,특히 복사기가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지만,특히 한정하지 않고 설명한다.또,원고압착판(12)의 상부에는 원고자동이송장치 (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있지만,본 발명과 관련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는 원고자동이송장치가 설치되어 있어도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양쪽 모두에 적용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는 도 1∼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원고압착판(12)을 갖는 사무기기(10)의 기기본체(11) 측에 취부되는 취부부재(2)와 ,이 취부부재(2)에 제1힌지핀(15)을 축에 회동가능하게 취부되어 있음과 동시에 원고압착판(12)을 지지하는 지지부재(3)와,지지부재(3)와 취부부재(2)와의 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슬라이더(6,7)와,이 한 쌍의 슬라이더(6,7)에 수용되어 한 쌍의 슬라이더(6,7)를 취부부재(2) 및 지지부재(3)에 각각 눌러 붙여 원고압착판(12)을 개성방향으로 회전 부세하는 압축스프링(5)을 구비하고,원고압착판(12)을 회동시키어 기기본체(11)의 윗면을 원고압착판(12)으로 덮는 폐성상태와 그 윗면을 노출시킨 개성상태를 형성하는 것이다.이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는 지지부재(3)의 자유단부 측에 이 지지부재(3)에 중합하는 리프트부재(4)가 제2힌지핀(16)을 축에 회동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것이 좋다.이 경우,원고압착판(12)은 리프트부재(4)에 취부되고 또한, 한 쌍의 슬라이더(6,7) 및 압축스프링(5)은 리 프트부재(4)와 취부부재(2)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리프트부재(4)를 지지부재(3)와 중합하는 방향으로 부세함과 동시에 원고압착판(12)을 개성방향으로 회전 부세하도록 되어 있다.
이 본 발명과 관련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는 한 쌍의 슬라이더(6,7)(제1슬라이더(6) 및 제2슬라이더(7))의 적어도 한편의 슬라이더,예를 들면,제1슬라이더(6) 내에 압축스프링(5)의 탄력을 조절하도록 탄력조절수단(8)을 설치하여 이 탄력조절수단(8)이 제1슬라이더(6)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압축스프링(5) 내에 늘어나는 어저스트부(82)를 갖는 조작플레이트(81)와,이 조작플레이트(81)의 어저스트부(82)에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축 주위에 회전하지 않음과 동시에 압축스프링(5)의 단부가 당접하는 어저스트플레이트(84)와, 조작플레이트(81)에 설치되어 제1슬라이더(6)에 설치된 관통공(61)으로부터 외부에 노출되는 조작부(83)를 갖고,이 조작부(83)를 이용하여 조작플레이트(81)를 회전시키어 어저스트부(82)에 대한 어저스트플레이트(84)의 위치를 조절해 압축스프링(5)의 탄력을 조절하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취부부재(2)는 예를 들면,기기본체(11)에 취부되는 저판(底板)(21)과,저판(21)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저판(21)에 대하여 직교하는 윗 방향(거의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한다)에 늘어나는 양측판(22)과,저판(21)의 일단부(후단부)에서 저판(21)에 대하여 직교하는 윗 방향(거의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한다)에 늘어나는 대략 구형모양의 후판(後板)(23)으로 된다.
저판(21)은 대략 구형모양으로 형성되어 나사나 비스 등으로 기기본체(11)에 취부된다.측판(22)에는 제1힌지핀(15)이 회전중지부착의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삽통되는 샤프트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측판(側板)(22)의 샤프트 구멍보다 앞쪽에서, 또한, 내측(앞쪽)에 치우친 위치에는 수압롤러(17)가 삽통되는 수압공 (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수압롤러(17)는 제2슬라이더(7)가 당접하는 수압부재이고,이 수압부재는 수압롤러에 한정되지않고,수압핀 등의 핀이나 그 밖의 부재라도 좋다.
지지부재(3)는 예를 들면,천판(천판)인 상판(31)과,상판(31)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상판(31)에 대하여 직교하는 아래방향(거의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한다)에 늘어나는 양측판(32)와,측판(32)의 선단부를 서로 대향하는 측에 약 90°절곡하는 구지판(拘持板)(33)으로 된다.이러한 상판(31),양측판(32),구지판(33)으로 한 쌍의 제1슬라이더(6) 및 제2슬라이더(7)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34)가 구성되어 있다.
 양측판(32)의 일단부(후단부)에는 샤프트 삽통구멍 (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이들 샤프트 삽통구멍과 취부부재(2)의 양측판(22)의 샤프트 구멍이 구멍맞춤이 됨과 동시에 이들 구멍의 사이, 즉, 지지부재(3)의 측판(32)과 취부부재(2)의 측판(22)과의 사이에, 예를 들면, 와셔(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이들 구멍 및 와셔에 제1힌지핀(15)이 삽통되는 것에 의하여 지지부재(3)가 취부부재(2)에 대해서 제1힌지핀(15)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양측판(32)의 다른 단부(전단부(자유단부))에는 제2힌지핀(16)이 삽통되는 제2힌지핀 구멍(36)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후술하는 작동핀(18)이 들어가 는 절결부(37)가 설치되어 있다. 또,양측판(32)에는 예를 들면,지지부재(3)에 대한 리프트부재(4)의 회동을 행하기 위한 접접부(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해도 좋다.접접부는 예를 들면,양측판(32)의 제2힌지핀 구멍(36)과 절결부(37)와의 사이에 거의 원상에 2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접접부는 리프트부재(4)의 측판(42)의 내면에 접하여 지지부재(3)의 측판(32)의 외면과 리프트부재(4)의 측판(42)의 내면과의 사이에 클리어런스 (clearance)를 설치하는 것으로, 지지부재(3)에 대한 리프트부재(4)의 회동이 양호하게 행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리프트부재(4)는 두께가 두꺼운 원고도 기기본체(11)의 윗면에 안정되어 압착시키기 위한 것이다.리프트부재(4)는 원고압착판(12)의 후단 측에 나사나 비스 등으로 장착되는 구형 평판모양의 상판(41)과,이 상판(41)의 양단부로 부터 각각 상판(41)에 대하여 직교하는 아래방향(거의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한다)에 늘어나는 양측판(42)으로부터 대략 コ자 모양이며 지지부재(3)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리프트부재(4)의 일단부(전단부(취부부재(2)와는 반대측의 단부))의 중앙에서 상판(41) 측의 부분에는 제2힌지핀 삽통구멍 (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2힌지핀 삽통구멍 부터 다른 단부측에서, 또한, 중앙부터 상판(41)측과는 반대 측의 부분에는 작동부재인 작동핀(18)이 삽통되는 작동핀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제2힌지핀 삽통구멍과 지지부재(3)의 양측판(32)의 제2힌지핀 구멍(36)이 구멍맞춤 되어 이들 구멍(36)에 제2힌지핀(16)이 삽통되는 것에 의하여 리프트부재(4)와 지지부재(3)가 제2힌지핀(16)을 축으로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또,양측판(42)의 작동핀 구멍에 작동핀(18)이 삽통되어 고정되고 있다.
또,상판(41)의 후단부 부근에 원고압착판(12)의 수평위치를 조절하는 수평위치조절수단(45)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수평위치조절수단(45)은 예를 들면,상판(41)의 후단부 부근에서 만나며, 그 폭 방향의 중앙부(대략 중앙부를 포함한다)에 설치된 조절나사(46)와 체결너트(47)로 된다.체결너트(47)가 상판(41)에 고정되어 이 체결너트(47)에 조절나사(46)가 나합됨과 동시에,조절나사(46)의 첨단이 지지부재(3)의 상판(31)에 당접하여 조절나사(46)의 조절에 의해 지지부재(3)와 리프트부재(4)와의 간격이 조절되고, 원고압착판(12)의 수평위치가 조절되게 되어있다.
압축스프링(5)은 원고압착판(12)을 개성방향으로 회전 부세함과 동시에,리프트부재(4)를 지지부재(3)로 중합하는 방향으로 부세하고,또한, 원고압착판(12)이 임의의 회동각도 이하의 때,원고압착판(12)을 부세하는 탄력이 원고압착판(12)의 모멘트(moment)보다 작은 것이다. 또한,본 발명에 있어 개성방향이란 원고압착판(12)을 회전시킬 때에 원고압착판(12)이 기기본체(11)의 상부의 콘택트유리(13)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을 말한다.본 발명에 있어 폐성방향이란 개성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서 원고압착판(12)을 회전시킬 때에 원고압착판(12)이 콘택트유리(13)에 근접하는 방향을 말한다.본 발명에 있어서 회동각도란 기기본체(11)의 윗면인 콘택트유리(13)면에 대한 원고압착판(12)의 각도이다.본 발명에 있어서 임의의 회동 각도란 압축스프링(5)의 탄력에 의하여 임의로 설정되는 것으로,예를 들면,압 축스프링(5)에 의한 원고압착판(12)을 부세하는 탄력이 원고압착판(12)의 모멘트보다 작아지는 각도로,예를 들면, 약 20°이하의 각도이다.
압축스프링(5)은 그 개수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1개에서도 2개 이상에서도 좋고 또,2개 이상을 병렬시켜도 좋으며,예를 들면,도시 예로는 지름이 큰 압축스프링(51) 중에 지름이 작은 압축스프링(52)을 넣은 것을 2조 병렬시켜도 좋다.즉,압축스프링(5)은 원고압착판(12)을 개성방향으로 회전 부세함과 동시에,원고압착판(12)이 소정의 회동각도(예를 들면,약 20°) 이하의 때,원고압착판(12)을 부세하는 탄력이 원고압착판(12)의 모멘트보다 작아진다면 어떻게 구성해도 좋다.
제1슬라이더(6) 및 제2슬라이더(7)는 각각 단면 구형의 바닥이 있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제1슬라이더(6) 및 제2슬라이더(7)는 2조의 압축스프링(5)의 단부를 각각 개별적으로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부(65,75)가 2개 각각 설치되어 있다. 조작플레이트(81)가 설치되어 있는 제1슬라이더(6)의 스프링수용부(65)의 내형은 원형 이외의 형상,예를 들면,타원형,삼각형,구형,5각형 이상의 다각형 등의 비원형(도시 예로는 8각형(도 4 참조))에 형성되어 있다.제2슬라이더(7)의 스프링수용부(75)의 내형은 제1슬라이더(6)의 스프링수용부(65)와 동일한 형상 등의 비원형으로 형성해도 좋고,원형으로 형성해도 좋다.또,제1슬라이더(6)의 한편의 스프링수용부(65)를 형성하는 저부에는 그 거의 같은 축상에 원형의 관통공(61)이 설치되어 있다.
제1슬라이더(6) 및 제2슬라이더(7)는 서로의 개구부가 마주봄과 동시에 이들 사이에 압축스프링(5)의 양단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지지부재(3)의 수용부(34)에 각각 개별적으로 접동(摺動) 가능하게 수장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제1슬라이더(6) 및 제2슬라이더(7)는 취부부재(2)의 저판(21)과 지지부재(3)(상판(31))가 거의 평행이 되어있을 때(예를 들면, 기기본체(11)의 윗면의 콘택트유리(13) 위에 원고압착판(12)을 밀착시켰을 때(원고압착판(12)이 폐성위치에 있을 때)),지지부재(3)의 수용부(34) 내에 당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제1슬라이더(6)가 압축스프링(5)의 탄력에 의하여 작동핀(18)을 압압하여,지지부재(3)와 리프트부재(4)가 중합하도록 부세된다.즉,압축스프링(5)의 탄력에 의하여 리프트부재(4)의 상판(41)이 지지부재(3)의 상판(31)에 당접 또는 근접하게 되어 있다.이때,상판(41)이 예를 들면, 콘택트유리(13)에 대하여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되어있는 것이 좋다. 또한, 지지부재(3)의 상판(31)에 리프트부재(4)의 상판(41)을 당접 또는 근접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2슬라이더(7)의 저부(폐색부(閉塞部)라고 하는 것이 있다)의 외표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돌기부(71)가 설치되어 있다.이 돌기부(71)의 하부는 점차 기울어진 경사부(72)로서 형성되어 있다.이 제2슬라이더(7)의 저부의 외표면의 돌기부(71) 및 경사부(72)가 캠으로서 형성되어 있다.즉,폐성위치에 있는 원고압착판(12)(도1 참조)을 콘택트유리(13)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상방)으로 제1힌지핀(15)을 축으로 회전시키면 수압롤러(17)에 당접하는 부분이 돌기부(71)로부터 경사부(72)로 서서히 접동함과 동시에,제2슬라이더(7)가 압축스프링(5)에 의하여 지지부재(3) 내를 후단부 측으로 압압되어 접동해 압축스프링(5)이 서서히 신장한다 (도2 참조).그리고 원고압착판(12)이 최대사용 개방각도(예를 들면,약 60°∼약 70°)가 되면, 그 개폐가 원고압착판 개폐규제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규제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 중 부호(73)는 연장편을 나타내고 있다.이 연장편(73)은 예를 들면,제2슬라이더(7)의 폭보다 약간 짧은 치수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이것에 의해 수압롤러(17)의 외표면에 제2슬라이더(7)와의 접접을 원활히 하는 윤활용의 그리스가 도포되어 있어도,연장편(73)이 수압롤러(17)의 외주의 대부분을 덮기 때문에 원고압착판(12)에 의해서 압압되는 것에 의하여 변형한 원고의 단부가 수압롤러(17)에 돌아도 이 단부가 그리스가 도포되어 있는 수압롤러(17)에 접촉해 더러워져 버리는 것은 없게 되어 있다.
탄력조절수단(8)은 압축스프링(5)의 탄력을 조절하는 것이다.탄력조절수단(8)은 모든 압축스프링(5)의 탄력을 조절하도록 하여도 좋고, 임의의 압축스프링(5)의 양단부나 한편의 단부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고,예를 들면,2조의 압축스프링(5)의 한편의 압축스프링(5)의 한편의 단부(제1슬라이더(6) 측의 단부)에만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탄력조절수단(8)은 한 쌍의 슬라이더(6,7)의 적어도 한편의 슬라이더, 예를 들면, 제1슬라이더(6)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압축스프링(5) 내에 늘어나는 어저스트부(82)를 갖는 조작플레이트(81)와 이 조작플레이트(81)의 어저스트부(82)에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축 회전에 회전하지 않음과 동시에 압축스프링(5)의 단부가 당접하는 어저스트플레이트(84)와 조작플레이트(81)에 설치되어 제1슬라이더(6)에 설치된 관통공(61)으로부터 외부에 노출되는 조작부(83)를 구비한다.
조작플레이트(81)는 도 1 ∼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예를 들면,제1슬라이더(6)의 스프링수용부(65) 내에서 회전가능한 원판상에 형성되어 있다.이 조작플레이트(81)의 한편의 면에는 그 축 방향이고, 압축스프링(5) 내에 늘어나는 어저스트부(82)가 설치되어 있다.어저스트부(82)는 예를 들면,막대모양에 형성되어 이 외주에 나사홈이 설치되어 있다.또,조작플레이트(81)의 다른 방향의 면에는 그 축 방향으로 늘어나는 조작부(83)가 설치되어 있다.조작부(83)는 제1슬라이더(6)의 관통공(61)에 회전가능하게 감합되는 원형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83)의 돌출길이는 관통공(61)을 관통하는 치수라도 좋고,관통공(61)보다 짧은 치수라도 좋다.조작부(83)의 선단면에는 예를 들면, 드라이버 등의 공구에 의하여 조작플레이트(81)를 제1슬라이더(6) 내에서 간단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조작오목부(83a)가 설치되어 있다.
어저스트플레이트(84)는 도 3 및 도 6에 나타나듯이, 제1슬라이더(6)의 스프링수용부(65) 내에서 그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만,축 주위에 회전하지 않는 형상,예를 들면,스프링수용부(65) 보다 약간 작은 8각형 모양의 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즉,어저스트플레이트(84)는 스프링수용부(65)에 감하하여 축 주위에 회전하지 않음과 동시에,스프링수용부(65)의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이 어저스트플레이트(84)의 대략 중앙부에는 어저스트부(82)에 나합하는 어저스트구멍(84a)을 갖는 나합부(84b)가 돌출되어 있고,조작플레이트(81)가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어저스트플레이트(84)가 어저스트부(82)에 대해 그 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이 어저스트플레이트(84)에 압축스프링(5)의 단부가 당 접하고 있고,어저스트플레이트(84)의 위치가 변하는 것에 의하여 압축스프링(5)의 탄력이 조절되게 되어 있다.
또,압축스프링(5) 내에 댐퍼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이 댐퍼장치는 원고압착판(12)이 폐성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원고압착판(12)의 임의의 회동각도 이하의 특정의 회동각도 이하(예를 들면, 약 10°이하)에 있어서만 그 원고압착판(12)의 회전속도를 절감시키도록 동작하는 것이다.댐퍼장치는 예를 들면,오일 댐퍼장치 등이다.
다음으로,본 발명과 관련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 및 사무기기(10)의 작용을 설명한다.
원고압착판(12)은 기기본체(11)가 사용되고 있지않은 상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듯이, 기기본체(11)의 콘택트유리(13)에 밀착되어 있다.콘택트유리(13) 위에 원고를 재치하려면, 먼저 리프트부재(4)가 취부되어 있는 부분과는 반대 측의 원고압착판(12)의 단부 또는 그 부근 등에 설치되어 있는 파지부를 갖고,도 2에 나타낸 것처럼 원고압착판(12)을 상방으로 들어올린다.즉,원고압착판(12)을 제1힌지핀(15)을 축으로만 회전시키어 콘택트유리(13)면을 외부에 노출시킨다.이와 같이 원고압착판(12)을 회전시킬 때,원고압착판(12)은 압축스프링(5)의 탄력에 의하여 개성방향으로 회전 부세되어 있기 때문에 중량을 느끼게 하지 않고 개성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노출한 콘택트유리(13) 면상에 원고를 재치한 후,들어올린 원고압착판(12)을 내린다.즉,원고압착판(12)를 콘택트유리(13)와 접촉하는 폐성방향으로 제1힌 지핀(15)을 축으로 회전시키어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폐성상태로 한다.원고압착판(12)이 폐성상태가 되면 원고가 얇은 종이인 경우에는,원고압착판(12)에 의하여 원고를 콘택트유리(13) 위에서 떠오르는 일 없이 확실하게 콘택트유리(13)에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원고를 양호하게 복사 등 할 수 있다.즉,원고압착판(12)과 콘택트유리(13)와의 사이에 빛이 들어가지 않도록 원고압착판(12)이 콘택트유리(13)에 밀착되어 원고를 양호하게 복사 등 할 수 있다.
또,원고가 예를 들면, 책과 같이 두께가 두꺼운 경우,원고압착판(12)을 폐성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원고의 지지부재(3) 측의 단부 또는 그 부근에 원고압착판(12)의 지지부재(3)의 부근의 일부가 접촉하고,원고의 지지부재(3) 측의 단부와는 반대 측의 단부와 원고압착판(12)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즉,원고압착판(12)은 뜬 상태로 된다.그 뜨고 있는 원고압착판(12)을 콘택트유리(13) 측에 압압하거나 원고압착판(12)의 자중에 의하여,작동핀(18)이 제1슬라이더(6)를 압압하여 압축스프링(5)의 탄력에 대항하여 제1슬라이더(6)가 압축스프링(5) 측에 이동함과 동시에,원고압착판(12)(리프트부재(4))이 제2힌지핀(16)을 축으로 회전한다.즉,원고의 상부를 덮도록 원고압착판(12)이 이동한다.예를 들면,그 원고의 상부가 평탄면인 경우에는,이 상부에 원고압착판(12)이 면 접촉한다.그 결과,두께가 두꺼운 원고가 안정되어 콘택트유리(13)에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원고압착판(12)은 원고의 두께에 관계없이 원고를 안정되게 하여 콘택트유리(13)에 밀착할 수 있어 원고를 양호하게 복사 등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 및 사무기기(10)에서 는 탄력조절수단(8)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스프링(5)의 탄력을 변화시키어 지지부재(3)의 회전 토오크를 조절할 수 있다.즉,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조작부(83)의 조작볼록부(83a)에 계합시킨 후,이 공구를 축 주위에 회전시키면 이 공구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1슬라이더(6) 내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플레이트(81)가 적절히 회전한다.그러면 어저스트부(82)가 회전해 이 어저스트부(82)에 대하여 어저스트플레이트(84)가 제1슬라이더(6)의 스프링수용부(65) 안을 그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이 어저스트플레이트(84)에는 압축스프링(5)의 단부가 당접되어 있기 때문에 이 압축스프링(5)의 양단부 간의 길이가 변하여 압축스프링(5)의 탄력이 변화한다.예를 들면,조작플레이트(81)를 한편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어저스트플레이트(84)가 조작플레이트(8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프링 하중이 약해지고,다른 편 조작플레이트(81)를 다른 편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어저스트플레이트(84)가 조작플레이트(8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프링 하중이 강해진다.이와 같이 스프링 하중을 바꾸는 것으로 토오크의 조절을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조작플레이트(81)를 회전시키면 어저스트부(82)에 대한 어저스트플레이트(84)는 회전하는 일 없이 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압축스프링(5)은 뒤틀리는 일 없이 양단부 간의 길이가 변하여 압축스프링(5)의 탄력이 변화하므로 토오크의 조절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조작부(83)가 제1슬라이더(6)의 관통공(61)으로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플레이트(81)의 조작이 간단한 것으로 토오크의 조절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 된다.또,조작부(83)를 조작하는 관통공(61)이 원고압착판 개폐 장치(1)의 선단부인 제1슬라이더(6)의 단부(폐색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좋고, 한층 용이하게 토오크의 조절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 및 사무기기(10)는 토오크의 조절을 간단하게, 게다가 정확하게 할 수 있다.이것에 의해,깃털이나 가운데가 꺽이거나 구부러짐을 간단하게, 게다가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즉,스프링 하중이 너무 강하면 원고압착판(12)을 개성방향으로 회전시킬 때,그 회전 도중에 압축스프링(5)의 탄력에 의하여 원고압착판(12)이 자동적으로 회전하는 이른바, 깃털현상이 발생하는 일이 있지만,스프링 하중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깃털을 간단하게, 게다가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또,스프링 하중이 너무 약하면 원고압착판(12)을 폐성방향으로 회전시킬 때,그 회전 도중에 압축스프링(5)의 탄력에 대항하여 제2힌지핀(16)을 축으로 지지부재(3)에 대하여 리프트부재(4)가 회전하는 이른바, 가운데가 꺽이거나 구부림 현상이 발생하는 일이 있지만,스프링 하중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가운데가 구부러짐을 간단하게, 게다가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과 관련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슬라이더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어저스트부를 갖는 조작플레이트와,어저스트부에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축 주위에 회전하지 않음과 동시에, 압축스프링의 단부가 당접하는 어저스트플레이트와 조작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슬라이더에 설치된 관통공으로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조작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조작부를 구비한 것으 로,슬라이더의 관통공으로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조작부에 의하여 조작플레이트를 회전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어저스트플레이트는 회전하는 일 없이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압축스프링이 뒤틀리는 일 없이 압축스프링의 탄력이 변화하기 때문에 토오크의 조절을 간단하게, 게다가 정확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특히 복사기,인쇄기,팩시밀리,스캐너 등의 사무기기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로서 매우 적합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구비한 사무기기의 일례를 나타낸 원고압착판을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구비한 사무기기의 일례를 나타낸 원고압착판을 연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1슬라이더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조작플레이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로,(a)는 평면도,(b)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어저스트플레이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로,(a)는 평면도,(b)는 측면도,(c)는 단면도이다.

Claims (7)

  1. 원고압착판을 갖는 사무기기의 기기본체 측에 취부되는 취부부재와,이 취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취부됨과 동시에 상기 원고압착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이 지지부재와 상기 취부부재와의 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슬라이더와,이 한 쌍의 슬라이더에 수용되어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를 상기 취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각각 눌러 붙여 상기 원고압착판을 개성방향으로 회전 부세하는 압축스프링을 구비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의 적어도 한편의 슬라이더에 상기 압축스프링의 탄력을 조절하는 탄력조절수단을 설치하고,
    이 탄력조절수단이 상기 한편의 슬라이더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압축스프링 내에 늘어나는 어저스트부를 갖는 조작플레이트와,이 조작플레이트의 어저스트부에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축 주위에 회전하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압축스프링의 단부가 당접하는 어저스트플레이트와,상기 조작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한편의 슬라이더에 설치된 관통공으로부터 외부에 노출되는 조작부를 갖고,이 조작부를 통하여 상기 조작플레이트를 회전시켜 상기 어저스트부에 대한 상기 어저스트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압축스프링의 탄력을 조절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플레이트는 원판상으로 형성되어 이 조작플레이트의 한편의 면에 그 축 방향으로 늘어남과 동시에 외주에 나사홈이 설치되어 있는 상기 어저스트부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플레이트의 다른 방향의 면에 그 축 방향으로 늘어남과 동시에 상기 관통공에 회전가능하게 감합되고 있는 상기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저스트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상기 슬라이더 안은 비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어저스트플레이트는 이 슬라이더 내에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감합되는 비원형으로 형성되어 이 어저스트플레이트의 중앙부에 상기 어저스트부와 나합하는 어저스트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 내에 상기 압축스프링이 2개 이상 병렬되어 이들 압축스프링의 적어도 1개의 압축스프링의 적어도 한편의 단부에, 상기 조작플레이트 및 상기 어저스트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플레이트는 상기 지지부재의 자유단부 측의 상기 슬라이더 내에 설치되고, 이 슬라이더의 단부에 상기 조작부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상기 관통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자유단부 측에는 이 지지부재에 중합하는 리프트부재가 회동가능하게 취부되고, 상기 원고압착판은 상기 리프트부재에 취부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 및 상기 압축스프링은 상기 리프트부재와 상기 취부부재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트부재를 상기 지지부재와 중합하는 방향으로 부세함과 동시에, 상기 원고압착판을 개성방향으로 회전 부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KR1020080082127A 2007-08-31 2008-08-22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KR1010197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26351 2007-08-31
JP2007226351A JP5429767B2 (ja) 2007-08-31 2007-08-31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137A true KR20090023137A (ko) 2009-03-04
KR101019775B1 KR101019775B1 (ko) 2011-03-04

Family

ID=4042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127A KR101019775B1 (ko) 2007-08-31 2008-08-22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29767B2 (ko)
KR (1) KR101019775B1 (ko)
CN (1) CN101377633B (ko)
TW (1) TWI41287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026B1 (ko) * 2010-04-22 2013-03-18 켐 홍콩 유한회사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KR101367039B1 (ko) * 2011-01-25 2014-02-24 켐 홍콩 유한회사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그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구비한사무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2832B2 (ja) * 2008-03-26 2013-10-09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ヒンジ
JP5645210B2 (ja) * 2009-06-08 2014-12-24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5522518B2 (ja) * 2009-12-28 2014-06-18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この原稿圧着板開閉装置を備えた事務機器
JP5900878B2 (ja) * 2011-08-30 2016-04-06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JP2013055437A (ja) * 2011-09-02 2013-03-2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6233914B2 (ja) * 2013-01-25 2017-11-22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JP6601898B2 (ja) * 2015-03-31 2019-11-06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蓋体の開閉装置
JP6601902B2 (ja) * 2015-07-13 2019-11-06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蓋体開閉装置並びにこの蓋体開閉装置を備えた各種機器
JP6188835B2 (ja) * 2016-01-13 2017-08-30 キヤノン株式会社 原稿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893688B2 (ja) 2017-06-20 2021-06-23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開閉体開閉装置並びにこの開閉体開閉装置を備えた各種被開閉体
JP7045685B2 (ja) * 2017-11-20 2022-04-01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ヒンジ並びにこのヒンジを用いた各種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8139U (ja) * 1984-01-18 1985-08-09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のフリクシヨン機構
JP3235083B2 (ja) * 1992-09-29 2001-12-04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H10104758A (ja) * 1996-10-02 1998-04-24 Futaba Sangyo Kk 原稿押え板開閉装置及びスプリングアジャスタ
JPH10267062A (ja) * 1997-03-24 1998-10-06 Marujiyuu Kasei Kk コイルスプリングのばね圧調整装置
JP3641357B2 (ja) * 1997-09-24 2005-04-20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3728385B2 (ja) * 1998-12-11 2005-12-21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3899213B2 (ja) * 1999-11-30 2007-03-28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3715890B2 (ja) * 2000-12-28 2005-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自動原稿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971276B2 (ja) * 2002-09-05 2007-09-05 加藤電機株式会社 ヒンジ装置
US20040095620A1 (en) * 2002-11-19 2004-05-20 Fang Lin Flat bed scanner
JP4794144B2 (ja) * 2004-06-24 2011-10-19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3963390B2 (ja) * 2004-12-09 2007-08-22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事務機器
JP4498166B2 (ja) 2005-02-16 2010-07-07 株式会社リコー 自動原稿給送装置、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026B1 (ko) * 2010-04-22 2013-03-18 켐 홍콩 유한회사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KR101367039B1 (ko) * 2011-01-25 2014-02-24 켐 홍콩 유한회사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그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구비한사무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12876B (zh) 2013-10-21
CN101377633A (zh) 2009-03-04
CN101377633B (zh) 2011-02-16
JP2009058790A (ja) 2009-03-19
TW200921257A (en) 2009-05-16
JP5429767B2 (ja) 2014-02-26
KR101019775B1 (ko) 201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3137A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KR100675668B1 (ko)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그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구비한사무기기
KR101020611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KR100709297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JP3641357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US7724405B2 (en) Original cover closer and office equipment
KR100773364B1 (ko)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KR20100131919A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JP5966164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CN101021697A (zh) 原稿压接板的开闭装置
JP2007178667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事務機器
KR101367039B1 (ko)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그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구비한사무기기
JP2011227370A5 (ko)
JP2011227370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JP7134470B2 (ja) ヒンジ並びにこのヒンジを用いた各種機器
JP2012155096A5 (ko)
JP2007286630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4351597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5640303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この原稿圧着板開閉装置を備えた事務機器
JP4898216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事務機器
KR100709298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JP2022035090A (ja) ヒンジ及びヒンジを備えた電子機器
TWI796847B (zh) 鉸鏈及使用此鉸鏈的事務機器
TWI804400B (zh) 鉸鏈及使用此鉸鏈的事務機器
JP2020201362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事務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