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297B1 -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9297B1
KR100709297B1 KR1020050049217A KR20050049217A KR100709297B1 KR 100709297 B1 KR100709297 B1 KR 100709297B1 KR 1020050049217 A KR1020050049217 A KR 1020050049217A KR 20050049217 A KR20050049217 A KR 20050049217A KR 100709297 B1 KR100709297 B1 KR 100709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plate
maximum
open position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9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8307A (ko
Inventor
히로아키 호사카
Original Assignee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8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04N1/31Mechanical arrangements for picture transmission, e.g. adaptation of clutches, gearing, gear transmissions

Abstract

본 발명은 복사기, 인쇄기, 팩시밀리, 스캐너 등에 채용되는 원고압착판이 최대개방위치로부터 최대사용개방위치에로 중력방향으로 회동하는 때의 속도를 완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장치본체에 취부되어 있는 취부부재와, 그 취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원고압착판에 취부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그 지지부재가, 통상 사용시, 상기 고압착판을 장치본체의 상면에 접촉하는 폐쇄위치에서 최대사용개방위치까지 회동하며, 또한, 상기 지지부재가, 메인티넌스시, 더욱 최대사용개방위치로부터 최대개방위치까지 회동하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최대개방위치로부터 최대사용개방위치로 회동하는 때, 그 지지부재에 작용하는 토크를 발생시키는 토크발생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고압착판, 최대개방위치, 최대사용개방위치, 토크발생수단

Description

원고압착판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or closing a manuscript pressing plate}
도 1은 본 발명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일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일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일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일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일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일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일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측면도이고, (b)는 평면도이며, (c)는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슬라이더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측면도이고, (b)는 배면도이며, (c)는 정면도이고, (d)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2: 장치본체
3: 원고압착판 4: 취부부재
5: 지지부재 6: 리프트부재
7: 토크발생수단 11: 제1힌지핀
12: 제2힌지핀 13: 캠핀
14: 작동핀 21: 압착코일스프링
31: 제1슬라이더 32: 제2슬라이더
33: 돌출부 34,42b: 경사부
71: 돌기부 72: 받침부
본 발명은, 복사기, 인쇄기, 팩시밀리, 스캐너 등에 구비되는 원고압착판이 최대개방위치로부터 최대사용개방위치에로 중력방향으로 회동하는 때 즉, 회동낙하하는 때의 속도를 완화할 수 있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인쇄기, 팩시밀리, 스캐너 등의 장치본체에는, 그 장치본체의 상면 후방에 대해 원고압착판이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원고압착판개폐장치는, 일종의 힌지기구이고, 원고압착판을 힌지축주위로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하여 장치본체의 상면의 접촉유리면사에 원고압착판을 밀착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접촉유리를 노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원고를 접촉유리면상에 세트시킴에 있어, 원고압착판을 회동시켜, 즉, 상방으로 이동시켜 접촉유리면을 노출(개방)시키고, 그 접촉유리면상에 원고를 놓은 후, 원고압착판을 회동시켜 즉, 하방으로 이동시켜 원고압착판으로 원고를 접촉유리면상에 압착시킴으로 써 원고를 접촉유리면상에 세트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는, 원고압착판의 회동을 규제하는 원고압착판 회동규제기구가 설치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참조). 원고압착판 회동규제기구는 통상사용시에 장치본체의 상면(접촉유리면)에 대한 원고압착판의 최대사용개방각도를 60∼70도로 규제하는 것이다. 또, 원고압착판 회동규제기구는, 장치본체의 점검, 수리 등의 메인티넌스를 할 때에 접촉유리를 용역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접촉유리면에 대한 원고압착판의 최대개방각도를 90도로 하는 것이 가능한 최대개방기능를 지닌다. 공지문헌으로서, 일본국 특개평11-95339호 공개특허공보(특허문헌1참조)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장치본체의 점검, 수리 등의 메인티넌스를 행하는 때에는 접촉유리면에 밀착되어 있는 원고압착판을 접촉유리에 대해 90도로 회동시킴으로써 접촉유리면의 상방이 개방된 상태로 되고, 용이하게 접촉유리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즉, 원고압착판이 장치본체의 상면(접촉유리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즉 대략 수직방향을 따라 세워진 상태이므로, 용이하게 접촉유리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원고압착판이 세워진 상태에서는 중력방향으로 회동하는 일이 있게 된다. 이 경우, 최대개방위치에서 최대사용개방위치까지의 원고압착판에 작용하는 토크가 제로이므로, 원고압착판이 큰 가속도로 중력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고압착판이 최대개방위치로부터 최대사용개방위치로 중력방향으로 회동하는 때의 속도를 완화할 수 있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는, 복사기, 인쇄기, 팩시밀리, 스캐너 등의 장치본체에 취부되어 있는 취부부재와, 그 취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원고압착판에 취부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그 지지부재가, 통상 사용시, 상기 고압착판을 장치본체의 상면에 접촉하는 폐쇄위치에서 최대사용개방위치까지 회동하며, 또한, 상기 지지부재가, 메인티넌스시, 더욱 최대사용개방위치로부터 최대개방위치까지 회동하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최대개방위치로부터 최대사용개방위치로 중력방향으로 회동하는 때, 그 지지부재에 작용하는 토크를 발생시키는 토크발생수단을 설치하고, 그 토크발생수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일방향으로 미끄럼운동력을 가하여 취부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취부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그 지지부재의 소정의 회동각도로부터 당접하는 받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재가 최대개방위치로부터 최대사용개방위치에로 회동하는 때, 지지부재에 작용하는 토크를 크게 하는 토크발생수단을 설치한 것으로, 원고압착판이 최대개방위치로부터 최대사용개방위치에로 중력방향으로 회동하는 때의 속도를 완화할 수 있게 된다. 즉, 원고압착판은 지지부재에 취부됨과 동시에 취부부재가 장치본체에 취부되고, 원고압착판이 최대개방위치에 위치하는 세워진 상태로부터 중력방향으로 회동하면, 원고압착판과 함께 지지부재가 최대개방위치에서 최대사용개방위치에로 회동한다. 이때, 원고압착판에 작용하는 토크가 토크발생수단에 의해 커지게 되므로, 원고압착판이 최대개방위치에서 최대사용개방위치에로 중력방향으로 회동하는 때의 속도가 완화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고압착판을 손으로 잡고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시키면, 그 슬라이더에 설치한 돌기부가 상기 받침부에 당접하는 때의 클리크감이 조작자에세 느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받침부를, 취부부재에 취부된 캠부재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부재의 자유단측에는 리프트부재가 회동가능하게 취부되고, 그 리프트부재에 상기 원고압착판이 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의하면, 지지부재가 최대개방위치로부터 최대사용개방위치에로 회동하는 때, 지지부재에 작용하는 토크를 크게 하는 토크발생수단을 설치한 것으로, 원고압착판이 최대개방위치로부터 최대사용개방위치에로 중력방향으로 회동하는 때의 속도를 완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 원고압착판개폐장치는, 복사기, 인쇄기, 팩시밀리, 스캐너 등의 장치본체에, 그 장치본체의 상면에 대해 원고압착판을 회동가능하게 취부하는 일종의 힌지기구이다. 그 원고압착판개폐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본체(2)에 취부되는 취부부재(4)와, 취부부재(4)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원고압착판(3)에 취부되는 지지부재(5)를 구비하며, 그 지지부재(5)는, 통상의 사용시에는 원고압착판(3)을 장치본체(2)의 상면에 접촉하는 폐쇄위치로부터 최대사용개방위치까지 회동하고, 또, 메인티넌스시에는 더욱 최대사용개방위치로부터 최대개방위치까지 회동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의 특징은, 지지부재(5)가 최대개방위치로부터 최대사용개방위치에로 회동하는 때, 지지부재(5)에 작용하는 토크를 크게 하는 토크발생수단(7)를 설치한 것에 있다.
취부부재(4)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본체(2)에 취부되는 저판(41)과, 그 저판(41)의 양측단부로부터 각각 저판(4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한다)으로 연장되는 양 측판(42)과, 저판(41)의 일단부(후단부)로부터 저판(4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한다)으로 연장되는 대략 구형(矩形) 형상의 후판(43)으로 구성되고, 양 측판(42)의 후판(43)측에 스토퍼부(48)가 설치되어 있다.
저판(41)은, 대략 구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나사 등으로 장치본체(2)에 취부하기 위한 취부공(45)이 설치되어 있다. 측판(42)은,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저판(4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한다)으로 연장되는 취부편(42a)의 선단부(상부)에 제1힌지핀공(46)이 설치되어 있다. 그 취부편(42a)의 제1힌지핀공(46)보다 저판(41)측(하방)으로 또한 내측(전방)으로 편심된 위치에는 고정핀공(47)이 설치되어 있다. 양 취부편(42a)의 고정핀공(47)에 고정핀(13)이 삽입관통되어 있다. 또, 취부편(42a)의 선단부의 면은, 제1힌지핀공(46)과 고정핀공(47)을 연결하는 직선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경사부(42b)로서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재(5)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51)과, 그 상판 (51)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상판(5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한다)으로 연장되는 양 측판(52)과, 측판(52)의 선단부를 서로 대향하는 측에 90도 절곡하여 형성되는 안내판(53)으로 구성된다. 상판(51)의 타단부(전단부)는 측판(52)과 반대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당접부(55)가 설치되어 있다.
양 측판(52)의 일단부(후단부)에는, 제2힌지핀(12)이 삽입관통되는 제2힌지핀공(도시생략됨)이 설치됨과 동시에 후술하는 작동핀(14)이 삽입되는 절결부(54)가 설치되어 있다. 양 측판(52)의 타단부(전단부)에는 제1힌지핀삽입관통공(도시생략됨)이 설치되어 있다. 양 측판(52)의 제1힌지핀삽입관통공과 취부부재(4)의 제1힌지핀공(46)을 동일축으로 하여 그 제1힌지핀공(46)에 제1힌지핀(11)이 삽입관통됨으로써 지지부재(5)가 취부편(42a)에 제1힌지핀(11)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지지부재(5)는, 원고압착판(3)에 취부되지만, 원고압착판(3)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취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지지부재(5)가 원고압착판(3)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취부됨으로써 두께가 얇은 원고도 장치본체(2)의 상면에 안정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 지지부재(5)는 장치본체(2)에 직접 취부되어도 좋지만, 리프트부재(6)를 개재하여 원고압착판(3)에 취부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리프트부재(6)는 원고압착판(3)의 후단측에 나사 등으로 취부되는 상판(61)과, 그 상판(61)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상판(6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한다)으로 연장되는 양 측판(62)으로 구성되어 대략 L자 형상으로 지지부재(5)를 덮는 것 같이 형성되어 있다. 리프트부재(6)의 일단부(후단부)의 중 앙보다 상판(61) 측의 개소에는 제2힌지핀삽입관통공(도시생략됨)이 설치됨과 동시에 그 제2힌지핀삽입관통공에서 타단부측으로 또한 중앙보다 상판(61)측과는 반대측의 개소에는 작동핀(14)이 삽입관통되는 작동핀공(도시생략됨)이 설치되어 있다. 양 측판(62)의 작동핀공에 작동핀(14)이 삽입관통되어 고정된다. 리프트부재(6)의 양 측판(62)의 제2힌지핀삽입관통공과 지지부재(5)의 양 측판(52)의 제2힌지핀공이 동축으로 맞추어 제2힌지핀(12)이 삽입관통됨으로써 리프트부재(6)와 지지부재(5)가 제2힌지핀(12)을 축으로 하여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지지부재(5)내에는 한쌍의 슬라이더(31,32)가 설치되어 있다. 그 한쌍의 슬라이더(31,32)는 단면이 사각형인 바닥있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한쌍의 슬라이더(31,32)는, 서로의 개구부가 대향하도록 지지부재(5)내에 각각 개별적으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한쌍의 슬라이더(31,32)내에 압축스프링(21)이 설치되어 있다. 즉, 슬라이더(31,32)의 요홈형상 내부가 압착코일스프링(21)을 수용하는 스프링수용부(31c,32c)로 형성된다. 압착코일스프링(21)은, 1개 또는 2개 이상이라도 좋으며, 예를 들어 2개를 병렬 또는 중첩하여 설치될 수 있고, 한쌍의 슬라이더(31,32)를 각각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것이다.
한쌍의 슬라이더(31,32)는, 취부부재(4)의 저판(41)과 지지부재(5)(상판(51))이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는 때(예를 들면 본 발명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를 복사기 등에 취부한 경우에 있어서의 장치본체(2)의 상면의 접촉유리면상에 원고압착판(3)을 밀착시킨 때(원고압착판밀착시)), 지지부재(5)내에 삽입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선단부측의 슬라이더(31), 즉 제1슬라이더(31)의 저면인 폐색면(31a)의 외표면은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폐색면(31a)이 압착코일스프링(21)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핀(14)을 가압하여 지지부재(5)와 리프트부재(6)가 중첩되게 된다. 즉, 압착코일스프링(21)의 탄성력에 의해 리프트부재(6)의 상판(61)이 지지부재(5)의 스토퍼부(55)에 당접하여 지지부재(5)의 상판(51)과 리프트부재(6)의 상판(61)이 대략 평행이면서 근접하게 된다.
후단부측의 슬라이더(32), 즉 제2슬라이더(32)의 폐색면의 외표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도 1 내지 도 7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33)가 설치되어 있다. 그 돌출부(33)는, 지지부재(5)의 상면(51)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 돌출부(33)의 안내판(53) 측은 점차 경사진 경사부(34)로 형성되고, 원고압착판의 밀착시, 돌출부(33)가 고정핀(13)에 당접하며, 리프트부재(6)가 제2힌지핀(12)을 축으로 회동함으로써 고정핀(13)이 당접하는 개소가 돌출부(33)로부터 서서히 경사부(34)로 미끄럼운동한다.
즉, 장치본체(2)의 상면의 접촉유리면상에 원고압착판(3)이 밀착하고 있는 상태(폐쇄위치(도 1 및 도 2))로부터 원고압착판(3)의 앞측을 파지하여 장치본체(2)의 상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상방)으로 제1힌지핀(11)을 축으로 하여 회동시키면, 고정핀(13)에 당접하는 개소가 돌출부(33)로부터 경사부(34)에로 서서히 미끄럼운동함과 동시에 제2슬라이더(32)가 압착코일스프링(21)에 의해 지지부재(5)내를 후단부측으로 미압되어 미끄럼운동하며, 압착코일스프링(21)이 서서히 신장하게 된다. 그리고, 원고압착판(3)이 장치본체(2)의 상면에 대한 최대사용개방위치로 되면(도 3 및 도 4 참조), 슬라이더(32)의 양측에 설치한 돌기부(71)가 받침부(72)의 앞으로 떨어져 들어가는 때의 클리크감이 원고압착판(3)을 개재하여 조작자의 손에 감지될 수 있다. 물론, 이 곳은 기타 공지된 구성의 원고압착판의 회동규제기구(도시생략됨)에 의해 규제하여도 좋다. 또, 도 1 내지 도 7, 및 도 9중에서 "38"은 연장돌출편을 나타내며, 그 연장돌출편(38)과 제2슬라이더(32)를 형성하는 벽부 사이에 안내판(53)이 위치되게 된다.
원고압착판회동규제기구는, 원고압착판(3)(지지부재(5))의 회동을 규제하는 것으로, 원고압착판(3)의 통상 사용시에 있어서의 장치본체(2)의 상면에 대한 최대사용개방각도를 60 내지 70도(대략 60 내지 70도)로 규제하는 것이다(도 3 및 도 4 참조). 또, 원고압착판회동규제기구는, 장치본체(2)의 점검, 수리 등의 메인티넌스를 행하는 때에 접촉유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취부편(42a)의 양 측판에 설치한 스토퍼부(48)와 지지부재(5)의 L자형상 당접부(55)에 의해 원고압착판(3)(지지부재(5))의 상면에 대한 최대개방각도를 90도로 규제하는 것이 가능한 최대개방기능을 지닌다(도 5 및 도 6 참조). 또, 당접부(55)는 이를 지지부재(5)의 다른 개소로 하여도 좋으며, 리프트부재(6)의 측에 설치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의 특징은 지지부재(5)가 최대개방위치로부터 최대사용개방위치로 회동하는 때, 지지부재(5)에 작용하는 토크를 크게 하는 토크발생수단(7)을 설치하는 것에 있다.
토크발생수단(7)은, 지지부재(5)에 작용하는 토크를 크게 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히 한정됨이 없으며, 예를 들어 탄성부재인 상기 압착코일스프링(21)과 제2 슬라이더(32)에 설치한 돌기부(71)와, 취부편(42a)에 설치한 받침부(72)로 구성되어 있다.
돌기부(71)는 제2슬라이더(32)의 폐색면의 외표면의 양측부가 중앙부보다 오목한 단부에 형성되며, 그 양측부의 단부(32b)의 대략 중앙에 설치된다. 돌기부(71)는, 예를 들어 대략 반원형상으로 형성된다. 받침부(72)는, 취부부재(4)의 취부편(42a)의 경사부(42b)의 대략 중앙부에 돌출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압착코일스프링(21)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부재(5)가 최대사용개방위치로부터 최대개방위치까지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을 때에, 돌기부(71)가 받침부(72)에 당접하여 가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3 내지 도 6참조).
이와 같이, 압착코일스프링(21)의 탄성력에 의해 돌기부(71)가 받침부(72)에 당접하여 가압됨으로써 지지부재(5)(원고압착판(3))이 최대개방위치(도 5 및 도 6 참조)로부터 최대사용개방위치(도 3 및 도 4 참조)로 회동할 때, 지지부재(5)(원고압착판(3))에 작용하는 토크가 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는, 원고압착판(3)이 최대개방위치로부터 최대사용개방위치로 중력방향으로 회동하는 때의 속도를 완화할 수 있게 된다.
또, 제2슬라이더(32)의 양측부의 단부(32b)의 지지부재(5)의 상판(51)측에는, 만곡형상으로 오목한 요홈부(36)가 설치되어 있다. 그 요홈부(36)는, 취부부재(4)의 취부편(42a)의 선단부가 면접촉하는 요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요홈부(36)는, 지지부재(5)(원고압착판(3))이 최대개방위치(도 5 및 도 6 참조)에 도달한 때, 취부편(42a)의 선단부가 면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지지부재 (5)(원고압착판(3))이 최대사용개방위치(도 3 및 도 4 참조)로부터 최대개방위치(도 5 및 도 6 참조)로 회동한 때, 취부편(42a)의 선단부가 면접촉하므로, 지지부재(5)(원고압착판(3))이 안정된 상태로 세워질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는, 두께에 관계없이 원고를 장치본체(2)의 상면에 안정되게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압착코일스프링(21)의 탄성력에 의해 리프트부재(6)의 상판(61)이 지지부재(5)의 당접부(55)에 당접하고, 지지부재(5)의 상판(51)과 리프트부재(6)의 상판(61)이 대략 평행하며, 또한, 근접하므로, 리프트부재(6)의 후단부가 하방으로 회동하는 일이 없게 된다. 이를 위해 원고압착판(3)을 들어 올려 장치본체(2)의 상면의 접촉유리면에 원고를 놓는 경우, 통상, 원고압착판(3)의 리프트부재(6)가 취부되어 있는 개소와는 반대측의 단부 또는 그 근방 등에 설치되어 있는 파지부를 잡고 원고압착판(3)을 상방으로 들어 올리면, 원고압착판(3)은 제1힌지핀(11)을 축으로만 하여 회동하고, 접촉유리면이 외부로 노출한다. 그 노출한 접촉유리면상에 원고를 놓는다.
원고를 놓은 후, 들어 올린 원고압착판(3)을 놓으면, 원고압착판(3)은, 접촉유리면과 접촉하는 방향으로 제1힌지핀(11)을 축으로 회동한다(하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압착코일스프링(21)의 탄성력에 의해 리프트부재(6)의 상판(61)이 지지부재(5)의 당접부(55)에 당접한 상태대로, 결국, 원고압착판(3)(리프트부재(6))가 제2힌지핀(12)을 축으로 회동하는 일없이 원고압착판(3)이 이동한다.
이때, 접촉유리면에 놓은 원고가 종이와 같이 두께가 얇을 때에는 원고압착 판(3)은, 종이에 접촉하는 대에는 면접촉한다. 그 결과, 원고 전체가 원고압착판(3)에 접촉하여 원고가 접촉유리면에 압착되므로, 원고가 안정되게 접촉유리에 밀착되게 된다.
원고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책과 같이 두꺼운 경우, 원고압착판(3)을 회동시키면(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원고(80)의 지지부재(5) 측의 단부(80a) 또는 그 근방에 원고압착판(3)의 지지부재(5)의 근방의 일부가 접촉하고, 원고(80)의 지지부재(5) 측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와 원고압착판(3)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즉, 파지부측의 단부의 원고압착판(3)은 떠 있는 상태로 된다. 그 떠 있는 원고압착판(3)의 예를 들어 파지부측의 단부근방을 접촉유리면측으로 가압하면, 작동핀(14)이 제1슬라이더(31)를 제2슬라이더(32)측으로 가압하여 압착코일스프링(21)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제1슬라이더(31)을 제2슬라이더(32) 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원고압착판(3)(리프트부재(6))가 제2힌지핀(12)를 축으로 회동한다. 즉, 원고(80)의 상부를 덮도록 원고압착판(3)이 이동한다. 예를 들면, 그 원고(80)의 상부가 평탄면인 경우에는, 그 상부에 원고압착판(3)이 면접촉한다. 이에 따라, 두께가 두꺼운 원고(80)도 안정되게 접촉유리면에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은, 두께에 관계없이 원고를 장치본체(2)의 상면에 안정되게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 토크발생수단은, 당접부(55)에 상당하는 부분을, 취부부재(4)로부터 독립하여 별체로 설치한 캠핀과 일체로 형성한 캠부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그 캠부재는, 캠핀(13)과 별체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특히 복사기의 원고자동이송장치부의 것과 같이 중량있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실시하기에 적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원고압착판이 최대개방위치로부터 최대사용개방위치로 중력방향으로 회동하는 때의 속도를 완화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복사기, 인쇄기, 팩시밀리, 스캐너 등의 장치본체에 취부되어 있는 취부부재와, 그 취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원고압착판에 취부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그 지지부재가, 통상 사용시, 상기 고압착판을 장치본체의 상면에 접촉하는 폐쇄위치에서 최대사용개방위치까지 회동하며, 또한, 상기 지지부재가, 메인티넌스시, 더욱 최대사용개방위치로부터 최대개방위치까지 회동하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최대개방위치로부터 최대사용개방위치로 중력방향으로 회동하는 때, 그 지지부재에 작용하는 토크를 발생시키는 토크발생수단을 설치하고, 그 토크발생수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일방향으로 미끄럼운동력을 가하여 취부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취부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그 지지부재의 소정의 회동각도로부터 당접하는 받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압착판을 손으로 잡고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시키면, 그 슬라이더에 설치한 돌기부가 상기 받침부에 당접하는 때의 클리크감이 조작자에세 느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가, 취부부재에 취부된 캠부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자유단측에는 리프트부재가 회동가능하게 취부되고, 그 리프트부재에 상기 원고압착판이 취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KR1020050049217A 2004-06-24 2005-06-09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KR1007092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86866 2004-06-24
JP2004186866A JP4794144B2 (ja) 2004-06-24 2004-06-24 原稿圧着板開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307A KR20060048307A (ko) 2006-05-18
KR100709297B1 true KR100709297B1 (ko) 2007-04-19

Family

ID=35778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9217A KR100709297B1 (ko) 2004-06-24 2005-06-09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794144B2 (ko)
KR (1) KR100709297B1 (ko)
CN (1) CN10041958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47570B2 (ja) * 2006-02-13 2012-06-06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原稿圧着板の開閉装置
JP5223070B2 (ja) * 2007-05-24 2013-06-26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5382757B2 (ja) * 2007-08-01 2014-01-08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自動開閉装置及びこの原稿圧着板自動開閉装置を備えた事務機器
JP5429767B2 (ja) * 2007-08-31 2014-02-26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JP5557176B2 (ja) * 2008-06-05 2014-07-23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の開閉装置並び事務機器
JP2011107485A (ja) * 2009-11-18 2011-06-02 Katoh Electrical Machinery Co Ltd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JP5641389B2 (ja) * 2009-11-25 2014-12-17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原稿圧着板の開閉装置
JP5541592B2 (ja) * 2009-12-14 2014-07-09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原稿圧着板用開閉装置の取り付け固定構造
JP5811433B2 (ja) * 2010-07-15 2015-11-11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JP5966164B2 (ja) * 2011-11-07 2016-08-10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JP6606731B2 (ja) * 2015-06-22 2019-11-20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ヒンジ
JP7090862B2 (ja) * 2017-05-30 2022-06-27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ヒンジ装置並びにこのヒンジ装置を用いた事務機器
JP7045690B2 (ja) * 2018-02-22 2022-04-01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蓋体開閉装置並びに各種機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5339A (ja) * 1997-09-24 1999-04-09 Kato Electrical Mach Co Ltd 原稿圧着板開閉装置
KR20020000495A (ko) * 2000-06-20 2002-01-05 마찌다 가쯔히꼬 반도체 집적 회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0718A (en) * 1978-01-25 1979-08-08 Ricoh Co Ltd Pressure plate device for copier
JPS5529855A (en) * 1978-08-24 1980-03-03 Canon Inc Press-contacting device of original
JPS5593145A (en) * 1978-12-30 1980-07-15 Ricoh Co Ltd Original pressure contact device of copying machine
JPS58190938A (ja) * 1982-04-30 1983-11-08 Kato Denki Kk 原稿圧着装置
JPS6055334A (ja) * 1983-09-06 1985-03-30 Kato Denki Kk 原稿圧着板の開閉装置
JPH0746923Y2 (ja) * 1989-02-17 1995-10-25 コニカ株式会社 原稿搬送装置
JP3584242B2 (ja) * 2002-03-20 2004-11-04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5339A (ja) * 1997-09-24 1999-04-09 Kato Electrical Mach Co Ltd 原稿圧着板開閉装置
KR19990029774A (ko) * 1997-09-24 1999-04-26 야마다 미쯔요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KR20020000495A (ko) * 2000-06-20 2002-01-05 마찌다 가쯔히꼬 반도체 집적 회로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90029774
11095339
200249563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19583C (zh) 2008-09-17
KR20060048307A (ko) 2006-05-18
CN1716112A (zh) 2006-01-04
JP4794144B2 (ja) 2011-10-19
JP2006010979A (ja) 200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297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KR101019775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KR100675668B1 (ko)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그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구비한사무기기
JP3641357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KR100860922B1 (ko)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CN101021697A (zh) 原稿压接板的开闭装置
KR20060065496A (ko)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JP5223070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CN109424631B (zh) 原稿压接板开闭装置及具备该装置的事务机器
JP5807943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JP2011227370A5 (ko)
JP7223400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この原稿圧着板開閉装置を備えた事務機器
JP2008268522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JP4898216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事務機器
JP4351597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KR100709298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JP2008032984A (ja) 画像読取装置
CN102207705A (zh) 上部单元外壳的开关装置
KR100957026B1 (ko)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JP5645227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5645227B6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2020060625A (ja) ヒンジ
TWI796847B (zh) 鉸鏈及使用此鉸鏈的事務機器
JP2004109792A (ja) ヒンジ装置及びこのヒンジ装置を備えた画像処理装置
JP2000201258A (ja) 画像読取装置用の圧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