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5496A -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 Google Patents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5496A
KR20060065496A KR1020050117461A KR20050117461A KR20060065496A KR 20060065496 A KR20060065496 A KR 20060065496A KR 1020050117461 A KR1020050117461 A KR 1020050117461A KR 20050117461 A KR20050117461 A KR 20050117461A KR 20060065496 A KR20060065496 A KR 20060065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pin
side plates
hinge pin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3364B1 (ko
Inventor
테추오 콘도
Original Assignee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65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5Holders for originals or exposure plat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9Structural door desig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또, 탄성수단을 이용하여도 원고압착판이 소정의 개방각도로부터 급격하게 튀어 오르지 아니하도록 고안된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구비하는 사무기기를 제공하기 위해, 사무기기의 기기본체에 설치되는 곳의 양측판에 연결공을 지니는 설치부재와, 양측판에 연결공을 지니는 지지부재와, 그 지지부재의 연결공과 상기 설치부재의 연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설치부재를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제1힌지핀과,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판의 자유단부측에 제2힌지핀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양측판을 지니며, 원고압착판에 설치되는 리프트부재와, 상기 설치부재의 양측판에 상기 제2힌지핀과는 다른 위치에 설치된 수압(受壓)핀과, 상기 리프트부재의 양측판에 상기 제2힌지핀과는 다른 위치에 설치된 작동핀과, 상기 지지부재내에 삽입되어 상기 수압핀과 상기 작동핀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된 탄성수단과, 그 탄성수단 및 상기 수압핀사이에 개재된 캠슬라이더를 구비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판에, 당해 지지부재를 상기 설치부재에로 상기 제1힌지핀으로 연결하는 때에 상기 캠슬라이더를 상기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지지부재내에 압입하고, 그 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핀을 삽입시키는 스토퍼공을 설치하였다.
조립작업성, 원고압착판개폐장치, 탄성수단, 캠슬라이더, 스토퍼공.

Description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사무기기{Opening-closing device of a manuscript pressing plate and office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조립의 일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조립의 일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조립의 일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조립의 일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조립의 일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구조의 일예를 도시하며, 원고압착판을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구조의 일예를 도시하며, 원고압착판이 소정의 회동각도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일예를 도시하며, 원고압착판 이 최대 개방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원고압착판개폐장치 2: 기기본체
4: 설치부재 5: 지지부재
6: 리프트부재 7: 탄성수단
9: 스토퍼공 10: 스토퍼핀
11: 제1힌지핀 13: 수압핀
71: 스프링받침부재 72: 캠슬라이더
73: 압축코일스프링
본 발명은, 복사기, 인쇄기 , 팩스, 스캐너 등의 사무기기에 채용하기 적합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그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구비한 사무기기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인쇄기, 팩스, 스캐너 등의 사무기기의 기기본체에는, 그 기기본체의 상면 후방에 원고압착판이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개재하여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 원고압착판개폐장치는, 일종의 힌지기구이고, 원고압착판을 힌지축 주위에 개폐가능하게 축으로 지지시켜 기기본체의 상면의 접촉유리면상에 원고압착판을 압착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접촉유리를 노출시킬 수 있다. 원고를 접촉유리 면상에 세트하는 데에는, 원고압착판을 상방으로 회동시켜(원고압착판이 접촉유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개방방향이라고 하기도 한다)으로 이동시켜) 접촉유리면을 노출(개방)시키고, 그 접촉유리의 면위에 원고를 놓은 후, 원고압착판을 역방향으로 회동시켜 폐쇄하고, 원고압착판으로 원고를 접촉유리면상에 압착시킴으로써, 원고를 접촉유리면상에 세트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원고압착판개폐장치중에는,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중량감을 느낌이 없이 원고압착판을 상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가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아래의 특허문헌 참조).
그 원고압착판개폐장치는, 기기본체에 설치되는 설치부재와, 그 설치부재에 힌지핀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부재와, 그 설치부재 및 지지부재사이에 설치되고, 원고압착판을 상방으로 회동력을 작용시키는 탄성수단을 구비한다. 그 탄성수단은, 지지부재측에 설치된 작동핀과 설치부재측에 설치된 수압(受壓)핀과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된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고, 그 압축코일스프링과 수압핀사이에 캠슬라이터를 개재시키고 있다. 그 공지문헌으로서, 일본국특개평 11-95339호의 공개특허공보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공지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서는, 원고압착판을 개방방향으로 회동력을 작용시키는 탄성수단을 설치하고, 그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중량감을 느끼지 아니하고 원고압착판을 개방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지만, 그러나, 조립시에 압축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캠슬라이더가 지지부재보다 돌출 하기 때문에, 그 캠슬라이더가 설치부재의 양측판으로 지지부재의 양측판을 연결하 는 힌지핀 설치공을 폐쇄하는 것으로부터 설치부재의 양측판의 연결공에로 힌지핀을 개재하여 지지부재의 양측판을 연결하는 조립작업이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상기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조립은, 지지부재를 설치부재에로 힌지핀을 개재하여 연결시키는 때에 지지부재에 탄성수단을 캠슬라이더와 함께 조립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때, 탄성수단은, 그 일단부를 지지부재의 자유단부측의 작동핀에 스프링받침부재를 개재하여 접촉하고 있으므로, 캠슬라이더는 탄성수단에 가압되어 지지부재의 힌지핀을 삽입,관통시키는 힌지핀설치공을 폐쇄시키게 된다. 결국, 그 탄성수단을 조립한 지지부재의 힌지핀설치공과 설치부재의 힌지핀을 삽입,관통시키는 연결공에 설치한 축받침부재의 축받침공을 일치시켜, 이들 일치시킨 각 구멍으로 힌지핀을 삽입,관통시킴으로써, 지지부재가 설치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캠슬라이더가 힌지핀측으로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어 돌출하면, 그 캠슬라이더가 힌지핀설치공을 폐쇄하지 않도록 지지부재의 가운데로 캠슬라이더를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압입시키면서, 연결공에로 축받침부재를 설치하고, 또, 와셔를 개재시킨 뒤, 힌지핀에 의한 삽입,관통으로 연결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지지부재의 설치부재에로의 연결작업을 행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 공지된 원고압착판개폐장치는, 이것을 기기본체에로 세트시킨 때, 원고압착판이 소정 각도이상 개방되면, 탄성수단의 탄성력이 우세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급격하게 원고압착판을 튀어 올라, 기기본체에 충격을 준다고 하는 문제가 있 으며, 특히 사무기기가 복사기이어서, 원고압착판에 원고의 자동이송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원고압착판도 상당한 중량물이기 때문에, 기기본체에 충격을 준다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원고자동이송장치에도 영향을 줄 염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제1목적은,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탄성수단을 이용하여도 원고압착판이 소정의 개방각도로부터 급격하게 튀어 오르지 아니하도록 고안된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상기 목적을 달성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구비하는 사무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개폐장치는, 사무기기의 기기본체에 설치되는 곳의 양측판에 연결공을 지니는 설치부재와, 양측판에 연결공을 지니는 지지부재와, 그 지지부재의 연결공과 상기 설치부재의 연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설치부재를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제1힌지핀과,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판의 자유단부측에 제2힌지핀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양측판을 지니며, 원고압착판에 설치되는 리프트부재와, 상기 설치부재의 양측판에 상기 제2힌지핀과는 다른 위치에 설치된 수압(受壓)핀과, 상기 리프 트부재의 양측판에 상기 제2힌지핀과는 다른 위치에 설치된 작동핀과, 상기 지지부재내에 삽입되어 상기 수압핀과 상기 작동핀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된 탄성수단과, 그 탄성수단 및 상기 수압핀사이에 개재된 캠슬라이더를 구비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판에, 당해 지지부재를 상기 설치부재에로 상기 제1힌지핀으로 연결하는 때에 상기 캠슬라이더를 상기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지지부재내에 압입하고, 그 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핀을 삽입시키는 스토퍼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캠슬라이더를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지지부재내에 압입하고, 그 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핀을 삽입시키는 스토퍼공을 지지부재의 양측판에 설치함으로써, 조립시, 스토퍼공에 스토퍼핀을 삽입하여 캠슬라이더의 이동을 방지하고, 캠슬라이더에 의한 지지부재의 연결공의 폐쇄를 방지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지지부재의 연결공과 설치부재의 연결공의 일치 및 그 일치시킨 각 연결공에로의 제1힌지핀의 삽입,관통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압핀을, 상기 설치부재의 양측판에로 설치하는 캠부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이, 압축코일스프링이고, 그 압축코일스프링중에 상기 지지부재의 소정의 회동각도이하에서 동작하는 댐퍼장치를 설치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상기 작동핀과 압접하는 측에는, 통상의 스프링받침부재가 씌워져 있 고, 그 스프링받침부재와 상기 캠슬라이더는, 상기 지지부재의 천판(天板)과 상기 양측판과 구지판(拘持板)으로 구성된 수용부에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와 함께 삽입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다수의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슬라이더는, 상기 지지부재의 소정의 회동각도이상에서 상기 제1힌지핀에 접촉하고, 그 소정의 회동각도보다 큰 회동각도에서, 상기 수압핀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발명에 의하면, 원고압착판이 소정의 회동각도이상 개방되면, 캠슬라이더가 제1힌지핀에 접촉한 후에 수압핀에 접촉하지 아니하게 되기 때문에, 원고압착판에 탄성수단의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급격하게 원고압착판이 튀어 오르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에 따른 사무기기는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시, 스토퍼공에 스토퍼핀을 삽입하여 캠슬라이더의 이동을 방지하고, 캠슬라이더에 의한 지지부재의 힌지핀설치공의 폐쇄를 저지할 수 있으므로, 지지부재의 힌지핀설치공과 설치부재의 연결공에 설치한 축받침부재의 축받침공과의 일치 및 이들의 일치시킨 각 힌지핀설치공 및 축받침공에로 와셔를 개재한 제1힌지핀의 삽입,관통을 용이하게 행하여 조립작업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사무기기에 의하면, 조립시, 스토퍼공에 스토퍼핀을 삽입하여 캠슬라이더의 이동을 저지하 고, 캠슬라이더에 의한 지지부재의 힌지핀설치공의 폐쇄를 저지할 수 있으므로, 지지부재의 힌지핀설치공과 설치부재의 연결공에 설치한 축받침부재의 축받침공과의 일치, 및 이들 일치시킨 각 구멍에로의 와셔를 개재한 제1힌지핀의 삽입,관통을 용이하게 행하여,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개폐장치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무기기의 기기본체(2)의 후단부에, 원고압착판(3)을 개폐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다. 사무기기로서는, 특히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면, 복사기, 인쇄기, 팩스, 스캐너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복사기가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개폐장치(1)는, 사무기기의 기기본체(2)에 설치되고, 양측판(42,42)에 연결공(16,16)을 지니는 설치부재(4)와, 양측판(52,52)에 힌지핀설치공(17,17)을 지니는 지지부재(5)와, 그 지지부재(5)의 힌지핀설치공(17,17)과, 설치부재(4)의 연결공(16,16)에 설치한 축받침부재(44,44)의 축받침공(45,45)에로, 와셔(46,46)를 개재하여 삽입되어 지지부재(5)와 설치부재(4)를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힌지핀(11)과, 지지부재(5)의 양측판(52,52)의 자유단부측에 제(2)힌지핀(12)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양측판(62,62)을 지니며, 원고압착판(3)에 설치되는 리프트부재(6)와, 설치부재(4)의 양측판(42,42,)에 상기 제1힌지핀(11)과는 다른 위치에 설치한 수압핀(13)과, 리프트부재(6)의 양측 판(62,62)에 제2힌지핀(12)과는 다른 위치에 설치한 작동핀(14)과, 지지부재(5)내에 삽입되어 수압핀(13)과 작동핀(14)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된 탄성수단(7)과, 그 탄성수단(7)과 수압핀(13)사이에 개재시킨 캠슬라이더(72)를 구비하며, 지지부재(5)의 양측판(52,52)에 당해 지지부재(5)를 설치부재(4)에로 제1힌지핀(11)으로 연결하는 때에 캠슬라이더(72)를 탄성수단(7)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지지부재(5)내에 압입하고, 그 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핀(10)을 삽입시키는 스토퍼공(9,9)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설치부재(4)는, 기기본체(2)에 설치되는 저판(41)과, 저판(41)의 양측단부로부터 각각 저판(4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한다)을 따르는 양측판(42,42)과, 저판(41)의 일단부(후단부)로부터 저판(4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함)을 따르는 대략 사각형상의 후판(43)으로 구성된다.
저판(41)은, 약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나사 등으로 기기본체(2)에 설치된다. 측판(42)은, 약L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저판(4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함)을 따르는 양측판(42,42)에, 제1힌지핀(11)이 삽입,관통되는 연결공(16,16)이 설치된다. 그 연결공(16,16)에는 회전이 구속된 채 축받침부재(44,44)가 설치되고, 또, 와셔(46,46)가 지지부재(5)의 양측판(52,52)과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구성된다. 연결공(16,16)에서 저판(41)측(하방)으로, 또, 내측(전방)으로 향한 위치에는 수압핀설치공(47,47)가 설치된다. 그 수압핀설치공(47,47)에 수압핀(13)이 삽입,관통되고, 코킹이나 리벳팅 등에 의해 고정된다. 수압핀(13)은, 캠슬라이더의 저부의 외표면이 접촉하는 수압(受壓)부재이고, 그 수압부재는, 수압핀(13) 등의 핀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면 수압롤러이어도 좋다.
지지부재(5)는, 천판(天板)인 상판(51)과, 상판(51)의 양측단부로부터 각각 상판(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함)을 따르는 양측판(52,52)과, 그 양측판(52,52)의 선단부를 서로 대향하는 측으로 90도 절곡하여 형성된 구지판(53)으로 구성된다. 이들 상판(51), 양측판(52,52) 및 구지판(53)으로 수용부(58)가 구성된다.
리프트부재(6)의 상판(61)의 후단부근방에는, 원고압착판(3)의 수평 위치를 조절하는 수평위치조절수단(59)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수평위치조절수단(59)은, 예를 들어, 상판(61)의 후단부 근방으로서 그 폭방향의 중앙부(대략 중앙부를 포함함)에 설치된 조절나사(59a)와 체결너트(59b)로 구성된다. 체결너트(59b)가 상판(61)에 고정되고, 그 체결너트(59b)에 조절나사(59a)가 나사체결됨과 동시에, 조절나사(59a)의 선단이 지지부재(5)의 상판(51)에 접촉하여 조절나사(59a)의 조절에 의해 지지부재(5)와 리프트부재(6)사이의 간격이 조절되고, 원고압착판(3)의 수평위치가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재(5)의 양측판(52,52)의 일단부(후단부)에는, 제2힌지핀(12)이 삽입,관통되는 제2힌지핀공(57)이 설치됨과 동시에, 후술하는 작동핀(14)이 들어가는 절결부(54)가 형성된다. 양측판(52,52)의 타단부(전단부)에는, 힌지핀설치공(17)이 설치된다. 양측판(52,52)의 힌지핀설치공(17)과 설치부재(4)의 연결공(16)이 일치되고 이들 각 구멍들(17,16)에 제1힌지핀(11)이 삽입,관통되는 것에 의해 지지부재 (5)가 설치부재(4)에 제1힌지핀(11)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리프트부재(6)는, 두께가 두꺼운 원고도 기기본체(2)의 상면에 안정되게 압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원고압착판(3)의 후단측에 나사 등으로 설치되는 상판(61)과, 그 상판(61)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상판(61)에 직교하는 방향(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함)을 따르는 양측판(62)으로 구성되어 대략 ㄷ자 형상이어서 지지부재(5)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리프트부재(6)의 일단부(후단부)의 중앙에서 상판(61)측의 개소에는 제2힌지핀삽입관통공(도시 생략됨)이 설치됨과 동시에, 제2힌지핀삽입관통공에서 타단부측으로, 또 중앙보다 상판(61)측과는 반대측의 개소에는 작동핀(14)이 삽입,관통되는 작동핀공(도시 생략됨)이 설치되어 있다. 양측판(62,62)의 작동핀공에 작동핀(14)이 삽입,관통되어 고정되어 있다. 리프트부재(6)의 양측판(62,62)의 제2힌지핀삽입관통공(67)과 지지부재(5)의 양측판(52,52)의 제2힌지핀공(57)이 일치되고 이들 각 구멍(67,57)에 제2힌지핀(12)이 삽입,관통됨으로써 리프트부재(6)와 지지부재(5)가 제2힌지핀(12)을 축으로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탄성수단(7)은, 원고압착판(3)을 개방방향으로 회동력을 작용시킴과 동시에, 리프트부재(6)를 지지부재(5)와 중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시키며, 또한, 원고압착판(3)이 소정의 개방각도이하인 때, 원고압착판(3)에 가해지는 탄성력이 원고압착판(3)의 모멘트보다 작은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개방방향이라 함은, 원고압착판(3)을 회동시키는 때에 원고압착판(3)이 접촉유리(2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의 개방각도라 함은, 기기본체(2)의 상면인 접촉유리(20)의 면에 대한 원고압착판(3)의 각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소정의 개방각도라 함은, 예를 들어, 탄성수단(7)에 의해 원고압착판(3)에 가해지는 탄성력이 원고압착판(3)의 모멘트보다 작은 범위의 각도이다.
탄성수단(7)은, 예를 들어, 압축코일스프링(73)이다. 압축코일스프링(73)은, 지지부재(5)내에 삽입되어 작동핀(14)과 수압핀(13)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된다. 압축코일스프링(73)의 작동핀(14)과의 사이에는, 스프링받침부재(71)가 설치됨과 동시에, 압축코일스프링(73)의 수압핀(13)과의 사이에는 캠슬라이더(72)가 설치되어 있다.
압축코일스프링(73)은, 그 갯수에는 특히 한정됨이 없이, 1개라도, 2개이상 이라도 좋으며, 스프링받침부재(71) 및 캠슬라이더(72)를 각각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압축코일스프링(73)은, 원고압착판(3)을 개방방향으로 회동력을 작용시킴과 동시에, 원고압착판(3)이 소정의 개방각도(예를 들어, 20도(20도 전후도 포함함))이하인 때, 원고압착판(3)에 가해지는 탄성력이 원고압착판(3)의 모멘트보다 작게 되는 것이다.
스프링받침부재(71) 및 캠슬라이더(72)는, 사각형상 단면의 바닥있는 통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스프링받침부재(71) 및 캠슬라이더(72)는, 서로의 개구부가 대향함과 동시에 이들 사이에 압축코일스프링(73)이 수용된 상태에서 지지부재(5)의 수용부(58)에 각각 개별적으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 스프링받침부재(71) 및 캠슬라이더(72)는, 설치부재(4)의 저판(41)과 지지부재(5)(상판51)가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는 때(예를 들어 기기본체(2)의 상면 의 접촉유리(20) 상에 원고압착판(3)을 밀착시킨 때(원고압착판이 폐쇄위치에 있는 때)), 지지부재(5)의 수용부(58)내에 결합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받침부재(71)의 폐쇄면(71a)의 외표면에는 작동핀(14)이 접촉하며, 압축코일스프링(73)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핀(14)을 가압하여, 지지부재(5)와 리프트부재(6)가 중첩하도록 되어 있다. 즉, 압축코일스프링(73)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부재(5)의 상판(51)에 조절나사(59a)의 선단이 접촉하고, 지지부재(5)의 상판(51)과 리프트부재(6)의 상판(61)이 대략 평행으로, 또 근접하도록 되어 있다.
캠슬라이더(72)의 저부(폐쇄부라고 하기도 함)의 외표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돌출부(72a)가 설치되어 있다. 그 돌출부(72a)는, 지지부재(5)의 상판(51)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돌출부(72a)보다 상판(51)측의 캠슬라이더(72)의 저부 외표면은, 스토퍼공(9)에 스토퍼핀(10)이 삽입,관통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스토퍼핀(10)이 접촉하는 핀접촉부(72f)로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72a)의 구지판(53)측의 캠슬라이더(72)의 저부 외표면은 점차 경사진 경사부(72b)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 캠슬라이더(72)의 저부의 외표면의 돌출부(72a) 및 경사부(72b)가 일종의 캠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폐쇄위치에 있는 원고압착판(3)(도 6 참조)을 접촉유리(20)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상방)으로 제1힌지핀(11)을 축으로 개폐시키면, 수압핀(13)에 접촉하는 개소가 돌출부(72a)로부터 경사부(72b)에로 서서히 미끄럼운동함과 동시에, 캠슬라이더(72)가 압축코일스프링(73)에 의해 지지부재(5)내에서 후단부측으로 가압되어 미끄럼운동하고, 압축코일스프링(73)이 서서히 신장한다. 그리고, 원고압착판 (3)이 최대 사용 개방각도(예를 들어, 60도(60도전후를 포함함) 내지 70도(70도 전후를 포함함))로 되면(도 7참조), 그 개폐가 원고압착판 개폐규제기구(도시 생략됨)에 의해 규제된다. 또, 도 6 내지 도 8중, 부호 "72c"는 연장편을 도시하며, 그 연장편(72c)과 캠슬라이더(72)를 형성하는 벽부와의 사이에, 구지판(53)이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압축코일스프링(73)내에는, 댐퍼장치(8)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그 댐퍼장치(8)는, 원고압착판(3)이 폐쇄방향으로 회동한 때, 원고압착판(3)의 소정의 회동각도인 개방각도이하의 특정 각도이하(예들 들어 10도 전후이하)에서만, 그 원고압착판(3)의 회동속도를 저감시키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서의 폐쇄방향이라 함은, 원고압착판(3)을 회동시키는 때에 원고압착판(3)이 접촉유리(20)에 접근하는 방향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의 특정 각도이하라 함은, 상기 소정의 개방각도이하의 각도이면 특히 한정되지 아니한다.
댐퍼장치(8)는, 예를 들면, 오일댐퍼장치 등이다. 그 댐퍼장치(8)는, 원고압착판(3)의 특정 각도이하(예를 들어 10도 전후이하)에서만 그 원고압착판(3)의 개폐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면, 특히 한정되지 아니한다. 댐퍼장치(8)는, 예를 들어, 실리콘오일 등의 오일이 충전되어 있는 실린더(81)와, 그 실린더(81)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피스톤 로드(83)가 연결됨과 동시에, 피스톤 로드(83)의 실린더(81)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노출길이가 길게 되도록 작용하는 피스톤(도시 생략됨)으로 주로 구성된다.
스토퍼공(9)은, 캠슬라이더(72)가 압축코일스프링(73)의 탄성력에 의해 힌지 핀설치공(17)을 폐쇄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특히 조립시에 유효하게 이용되는 것이다. 스토퍼공(9)의 위치는, 지지부재(5)의 자유단부와 힌지핀설치공(17)사이라면 특히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설치부재(4)의 연결공(16)과 지지부재(5)의 힌지핀설치공(17)이 일치한 때에, 캠슬라이더(72)의 단부면이 수압핀(13)에 접촉하는 데에 지장이 없는 위치라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그 스토퍼공(9)에 스토퍼부재인 예를 들어 스토퍼핀(10)을 삽입하고, 그 스토퍼핀(10)에 캠슬라이더(72)을 접촉시킴으로써 캠슬라이더(72)가 힌지핀설치공(17)을 폐쇄하는 것을 저지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지지부재(5)의 힌지핀설치공(17,17)와 설치부재(4)의 연결공(16,16)에 설치한 축받침부재(44,44)의 축받침공(45,45)의 일치 및 와셔(46,46)를 개재한 작업, 더욱 제1힌지핀(11)의 삽입,관통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조립작업성이 향상된다. 그 때, 수압핀(13)은, 미리 설치부재(4)의 양측판(42,42)사이에 축으로 설치하여 고정하여도 좋으며, 제1힌지핀(11)에 의한 연결후에 설치하여도 좋다.
그 조립성의 향상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개폐장치(1)를 조립하는 것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작동핀공에 작동핀(14)이 삽입,관통되어 고정된 리프트부재(6)의 제2힌지핀삽입관통공과 지지부재(5)의 제2힌지핀공(57)을 일치시킨다. 그 일치시킨 구멍에 제2힌지핀(12)을 삽입,관통하여, 리프트부재(6)와 지지부재(5)가 제2힌지핀(12)을 축으로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킨다. 물론, 그 조립작업을 역으로 하여도 좋다.
이어서, 지지부재(5)의 기단부(힌지핀설치공(17)측의 단부)측으로부터 댐퍼장치(8)를 설치한 스프링받침부재(71)를 압축코일스프링(73) 마다, 그 위에 캠슬라이더(72)를 덮는 상태에서, 지지부재(5)의 수용부(58)내로 삽입한다. 그러면, 스프링받침부재(71)가 작동핀(14)에 접촉하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슬라이더(72)가 지지부재(5)의 힌지핀설치공(17)을 폐쇄한 상태로 되므로, 도시하지 아니한 지그를 이용, 압축코일스프링(73)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캠슬라이더(72)를 가압하고, 그 캠슬라이더(72)의 단부면이 스토퍼공(9)을 통과한 곳에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공(9)에로 스토퍼핀(10)을 삽입시키면, 캠슬라이더(72)는 스토퍼핀(10)에 접촉하여 그 위치에서 정지되게 된다. 이에 따라, 힌지핀설치공(17)을 폐쇄시키지 아니하게 되므로, 설치부재(4)의 연결공(16,16)에로의 축받침부재(44,44)의 설치작업, 그 축받침부재(44,44)의 축받침공(45,45)과 지지부재(5)의 힌지핀설치공(17,17)과의 일치 및 와셔(46,46)를 개재한 작업 등이 용이하게 되고, 제1힌지핀(11)을 힌지핀설치공(17,17)과 축받침공(45,45)에로 관통하여, 설치부재(4)에 지지부재(5)를 연결시키는 것이다. 또, 수압핀(13)은 미리 설치부재(4)의 양측판(42,42)사이에 축으로 고정시키고 있다. 다음, 스토퍼핀(10)을 인출하면, 캠슬라이더(72)은, 수압핀(13)에 접촉하여 조립이 완료되게 된다. 그 상태를 도시한 것이 도 5와 도 7이다.
특히, 원고압착판(3)에 원고자동이송장치가 설치되면, 원고압착판(3)의 중량이 증대하기 때문에, 압축코일스프링(73)으로서는 보다 탄성력이 강한 것이 채용되므로, 조립시에 캠슬라이더(72)를 가압하는 데에 큰 힘이 필요하게 되어 일치 및 제1힌지핀(11)의 삽입,관통작업이 어렵게 된다. 이에 대해서, 본 발명에서는, 캠슬라이더(72)가 스토퍼핀(10)에 접촉하여 힌지핀설치공(17)이 항상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힌지핀설치공(17,17)과 축받침부재(44,44)의 축받침공(45,45)의 일치 및 와셔(46,46)를 개재시킨 제1힌지핀(11)의 삽입,관통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그 결과, 지지부재(5)를 용이하게 설치부재(4)에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조립작업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캠슬라이더(72)가, 예를 들어, 핀접촉부(72f)가, 원고압착판(3) 또는 지지부재(5)가 소정의 회동각도(제1회동각도라고 하기도 함)이상에서 제1힌지핀(11)에 접촉하고, 제1회동각도보다 큰 각도에서 수압핀(13)이 접촉하지 아니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제1회동각도라 함은, 최대개방각도의 90도 보다 소정의 각도 작은 각도, 예를 들어, 최대개방각도보다 25도전후에서 35도전후의 작은 각도(소정의 개방각도라고 하기도 함)이다. 이에 따라, 원고압착판(3)이 제1회동각도를 넘은 때에는, 캠슬라이더(72)가 제1힌지핀(11)에 접촉하고, 그 뒤에 캠슬라이더(72)가 수압핀(13)으로부터 이격하며, 원고압착판(3)에 탄성수단(7)의 탄성력 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즉, 원고압착판(3)은, 기기본체(2)가 사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기본체(2)의 접촉유리(20)에 밀착된다. 접촉유리(20)의 면상에 원고를 놓는 데에는, 먼저, 원고압착판(3)의 리프트부재(6)가 설치되어 있는 개소와는 반대측 단부 또는 그 근방 등에 설치되어 있는 파지부를 잡고 원고압착판(3)을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즉, 원고압착판(3)을, 제1힌지핀(11)을 축만으로 회동 시켜 접촉유리(20)의 면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와 같이 원고압착판(3)을 회동시키는 때에, 원고압착판(3)은, 압축코일스프링(73)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방향으로 회동되려고 하므로, 중량감을 느끼는 일 없이 개방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원고압착판(3)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회동각도로 되면, 캠슬라이더(72)가 제1힌지핀(11)에 접촉하고, 그런 뒤에 캠슬라이더(72)가 수압핀(13)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예를 들어 도 8 참조), 압축코일스프링(73)의 원고압착판(3)에로의 탄성력이 해제되고, 원고압착판(3)의 회동속도가 늦추어져 정지하게 되므로, 원고압착판(3)이 급격하게 튀어 오르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원고압착판(3)의 정지시의 충격에 의해 복사기 등의 사무기기 등이 고장나거나 하는 일이 없게 된다. 또, 원고압착판개폐장치(1)에 자동원고이송장치가 구비되어 있어도, 정지시의 충격에 의해 자동원고이송장치가 고장나거나 원고누름판 등이 파손하거나 하는 일이 없게 된다.
노출된 접촉유리(20)의 면상에 원고를 놓고 난 후, 들어 올린 원고압착판(3)을 내린다. 즉, 원고압착판(3)을 폐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원고압착판(3)은 접촉유리(20)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제1힌지핀(11)을 축으로 하여 회동한다(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압축코일스프링(73)의 탄성력에 의해 리프트부재(6)의 상판(61)에 조절나사(59a)의 선단이 접촉한 상태대로, 결국, 원고압착판(3)(리프트부재(6)가 제2힌지핀(12)을 축으로 회동하는 일이 없이 그대로, 원고압착판(3)이 제1힌지핀(11)을 축만으로 하여 하방으로 회동한다.
이와 같이 원고압착판(3)을 폐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최초에는 압축코 일스프링(73)의 탄성력에 저항하기 때문에 다소의 힘이 필요하지만, 예를 들어, 원고압착판(3)의 개방각도가 20도(20도 전후를 포함함)이하로 되면, 원고압착판(3)의 중량이 압축코일스프링(73)의 탄성력보다 강하게 되므로, 원고압착판(3)은 낙하하도록 회동한다. 원고압착판(3)의 개방각도가 특정 각도, 예를 들어 10도(10도 전후를 포함함)로 되면, 댐퍼장치(8)의 피스톤 로드(83)의 선단이 캠슬라이더( 72)의 저부의 내면(72d)에 접촉하여, 피스톤 로드(83)가 실린더(81)내에서 이동하여 피스톤 로드(83)의 노출길이가 짧게 되고, 원고압착판(3)의 회동속도가 저감된다. 그 결과, 원고압착판(3)의 회동속도가 댐퍼장치(8)에 의해 제어되므로, 원고압착판(3)이 세게 접촉유리(20)에 충돌하는 일이 없게 된다.
다음에, 원고를 접촉유리(20)상에서 제거하고 원고압착판(3)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때에는, 도시예에서는 시계방향으로 개폐하는 리프트부재(6)에 설치한 작동핀(14)이 스프링받침부재(71)의 외표면을 미끄럼운동하면서 이동하므로, 시계방향의 개폐가 용이하게 되고, 원고압착판(3)은 용이하게 원 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그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개폐장치(1)는, 조립작업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원고압착판(3)이 급격하게 튀어 오르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또한, 반전시킨 원고압착판(3)을 용이하게 원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이상의 본 발명의 형태에서는 댐퍼장치(8)를 이용한 것을 도시하지만, 그 댐퍼장치(8)를 채용하지 아니한 구성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개폐장치는, 특히 탄성수단을 작용시킨 캠슬라이더를 이용한 것에 있어서, 조립시에 지지부재의 힌지핀설치공과 설치부재의 연결공에 설치한 축받침부재의 축받침공과의 일치 및 제1힌지핀의 삽입,관통이 용이하게 되고, 조립을 용역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고압착판의 개방시에 당해 원고압착판이 흔들리고 복사기나 원고자동이송장치에 충격을 주는 일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특히 복사기, 인쇄기, 팩스, 스캐너 등의 사무기기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로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사무기기의 기기본체에 설치되는 곳의 양측판에 연결공을 지니는 설치부재와, 양측판에 연결공을 지니는 지지부재와, 그 지지부재의 연결공과 상기 설치부재의 연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설치부재를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제1힌지핀과,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판의 자유단부측에 제2힌지핀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양측판을 지니며, 원고압착판에 설치되는 리프트부재와, 상기 설치부재의 양측판에 상기 제2힌지핀과는 다른 위치에 설치된 수압핀과, 상기 리프트부재의 양측판에 상기 제2힌지핀과는 다른 위치에 설치된 작동핀과, 상기 지지부재내에 삽입되어 상기 수압핀과 상기 작동핀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된 탄성수단과, 그 탄성수단 및 상기 수압핀사이에 개재된 캠슬라이더를 구비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판에, 당해 지지부재를 상기 설치부재에로 상기 제1힌지핀으로 연결하는 때에 상기 캠슬라이더를 상기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지지부재내에 압입하고, 그 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핀을 삽입시키는 스토퍼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핀을, 상기 설치부재의 양측판에로 설치하는 캠부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이, 압축코일스프링이고, 그 압축코일스프링중에 상기 지지부재의 소정의 회동각도이하에서 동작하는 댐퍼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상기 작동핀과 압접하는 측에는, 통상의 스프링받침부재가 씌워져 있고, 그 스프링받침부재와 상기 캠슬라이더는, 상기 지지부재의 천판(天板)과 상기 양측판과 구지판(拘持板)으로 구성된 수용부에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와 함께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다수의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슬라이더는, 상기 지지부재의 소정의 회동각도이상에서 상기 제1힌지핀에 접촉하고, 그 소정의 회동각도보다 큰 회동각도에서, 상기 수압핀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한 항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
KR1020050117461A 2004-12-09 2005-12-05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KR1007733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57101A JP3963390B2 (ja) 2004-12-09 2004-12-09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事務機器
JPJP-P-2004-00357101 2004-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496A true KR20060065496A (ko) 2006-06-14
KR100773364B1 KR100773364B1 (ko) 2007-11-05

Family

ID=36665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461A KR100773364B1 (ko) 2004-12-09 2005-12-05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963390B2 (ko)
KR (1) KR100773364B1 (ko)
CN (1) CN10047660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29765B2 (ja) * 2007-04-19 2014-02-26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JP5429767B2 (ja) * 2007-08-31 2014-02-26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KR200447946Y1 (ko) 2008-02-21 2010-03-05 주식회사 새한하이텍 커버 개폐용 힌지 장치
JP2010152350A (ja) * 2008-11-27 2010-07-08 Shimonishi Giken Kogyo Kk 原稿圧着板の開閉装置
JP5463074B2 (ja) * 2009-05-25 2014-04-09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原稿圧着板の開閉装置
JP5463518B2 (ja) * 2009-12-28 2014-04-09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事務機器の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JP5807943B2 (ja) * 2010-04-22 2015-11-10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JP2015001619A (ja) * 2013-06-14 2015-01-05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ヒンジ
JP5704620B2 (ja) * 2014-01-06 2015-04-22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7045690B2 (ja) * 2018-02-22 2022-04-01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蓋体開閉装置並びに各種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8111B2 (ja) * 1997-05-15 2003-05-19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3641357B2 (ja) * 1997-09-24 2005-04-20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76603C (zh) 2009-04-08
JP3963390B2 (ja) 2007-08-22
CN1786837A (zh) 2006-06-14
KR100773364B1 (ko) 2007-11-05
JP2006163180A (ja) 200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3364B1 (ko)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KR100675668B1 (ko)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그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구비한사무기기
KR101020611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KR100303219B1 (ko) 원고압착판개폐장치
KR20090023137A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KR100754413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JP5692692B2 (ja) 事務機器の自動開閉装置並びにこの自動開閉装置を用いた事務機器
KR20060048307A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KR100274573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WO2001090594A1 (en) Cover damping mechanism
KR20070069019A (ko)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KR101245026B1 (ko)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JP5148228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JP2011227370A5 (ko)
KR101435728B1 (ko) 원고압착판 개폐유지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사무기기
KR20080082444A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CN110187623B (zh) 盖体开合装置及各种机器
KR100709298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CN114488730A (zh) 原稿压合板开合装置及办公机器
KR100957026B1 (ko)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JP4898216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事務機器
JP3492854B2 (ja) スイッチ切換装置
TWI838975B (zh) 插入式鉸鏈及使用此插入式鉸鏈的事務機器
TWI810047B (zh) 原稿壓合板開闔裝置及包含此原稿壓合板開闔裝置的事務機器
KR20050076126A (ko) 개선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