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293B1 -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 Google Patents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293B1
KR100821293B1 KR1020060123747A KR20060123747A KR100821293B1 KR 100821293 B1 KR100821293 B1 KR 100821293B1 KR 1020060123747 A KR1020060123747 A KR 1020060123747A KR 20060123747 A KR20060123747 A KR 20060123747A KR 100821293 B1 KR100821293 B1 KR 100821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original
pressing plate
document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3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9020A (ko
Inventor
고이치 가타노
Original Assignee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9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9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04N1/121Feeding arrangements
    • H04N1/1225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between the sheet and the image sensor, e.g. press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49Counter-measures for mechanical vibr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원고 압착판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그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구비한 사무기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무기기의 기기 본체에 부착되는 부착부재와, 그 부착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된 지지부재와, 그 지지부재에 중첩되는 동시에 그 지지부재의 자유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며, 또한, 원고 압착판에 부착되는 리프트부재와, 상기 부착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원고 압착판을 개방방향으로 회전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리프트부재를 상기 지지부재와 중첩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원고 압착판을 회동시켜 상기 기기 본체의 상면을 원고 압착판으로 덮는 폐쇄상태와 그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로서, 상기 원고 압착판을 폐쇄방향으로 회전시켜 폐쇄상태로 되기 직전 또는 폐쇄상태로 된 때에 상기 탄성수단에 의한 리프트부재에의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탄성수단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원고 압착판을 기기 본체의 상면에 밀착시키는 가압해제수단을 설치한다.
Figure R1020060123747
원고압착판, 자동높이조절, 개폐장치, 지지부재, 리프트부재, 가압해제수단.

Description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opening-closing device of original pressing plate and office apparatus}
도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일 예를 도시하며, 통상의 폐쇄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일 예를 도시하며, 개방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일 예를 도시하며, 원고 압착판의 높이가 최소인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일 예를 도시하며, 원고 압착판의 높이가 최대인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일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로서, (a)는 통상의 폐쇄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b)는 원고 압착판의 높이가 최소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c)는 원고 압착판의 높이가 최대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지지부재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좌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2: 부착부재
3: 지지부재 4: 리프트부재
5: 탄성수단 7: 가압해제수단
8: 댐퍼장치 10: 사무기기
11: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12: 원고 압착판
13: 접촉유리
본 발명은 복사기, 인쇄기, 팩시밀리, 스캐너 등의 사무기기에 사용되기 적합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그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구비한 사무기기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인쇄기, 팩시밀리, 스캐너 등의 사무기기의 기기 본체에는 그 기기 본체의 상면 후부에 원고 압착판이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통해 개폐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는 일종의 힌지기구로서, 원고 압착판을 힌지축에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하여, 기기 본체의 상면의 접촉유리 위에 원고 압착판을 압착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접촉유리를 노출시킬 수 있다. 원고를 접촉유리 위에 배치함에는, 원고 압착판을 위로 회전시켜(원고압착판이 접촉유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개방방향이라 한다)으로 이동시켜) 접촉유리를 노출(개방)시키고, 그 접 촉유리 위에 원고를 놓은 후, 원고 압착판을 역 방향으로 회전시켜 폐쇄하고, 원고 압착판으로 원고를 접촉유리 위에 압착시킴으로써, 원고를 접촉유리 위에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중에는 리프트부재를 설치하여 두께에 관계없이 원고를 접촉유리에 밀착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중량을 느끼는 일 없이 원고 압착판을 회동시킬 수 있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 공지 문헌으로서, 일본국 특개평11-95339호 공개특허공보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 공개특허공보에 기재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는 기기 본체 측의 접촉유리 위에 놓은 원고를 두께에 관계없이 접촉유리에 밀착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원고 압착판의 높이를 조절하여 원고 압착판을 수평으로 하기 위한 수평위치 조절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그렇지만, 원고 압착판으로서는 복수 매의 원고를 효율 좋게 복사하거나 인쇄하거나 또는 송신하거나 하기 위해 원고 자동 이송장치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 원고 자동 이송장치는 원고 압착판의 상부의 일측에 설치된 원고 이송부에 원고를 세트하면, 자동으로 기기 본체의 원고 판독부로 원고를 보내 복사나 인쇄, 혹은 송신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특히 복수 매의 원고를 복사하거나, 인쇄하거나, 혹은 송신하거나 함에 편리하다. 그러나, 원고가 원고 이송부로부터 원고 판독부에 대해 평행으로 송출되지 않으면, 원고 판독의 오류가 행해져서, 정확한 복사나 인쇄, 더욱이 송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된다. 따라서, 설치시에 원고 압착판이 수평으 로 되도록 수평위치 조절수단에 의해 원고 압착판의 높이를 조절하여 원고 압착판을 수평으로 하는 것이 행해지지만, 그 조절은 설치시 혹은 보수 시에 메이커 등의 전문 인력이 행하지 않으면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원고 압착판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그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구비한 사무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는, 사무기기의 기기 본체에 부착되는 부착부재와, 그 부착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된 지지부재와, 그 지지부재에 중첩됨과 동시에 그 지지부재의 자유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고, 또한, 원고 압착판에 부착되는 리프트부재와, 상기 부착부재와 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원고 압착판을 개방방향으로 회전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리프트부재를 상기 지지부재와 중첩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원고 압착판을 회동시켜 기기 본체의 상면을 원고 압착판으로 덮는 폐쇄상태와 그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고 압착판을 폐쇄방향으로 회전시켜 폐쇄상태로 되기 직전 또는 폐쇄상태로 된 때에 상기 탄성수단에 의한 상기 리프트부재에의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탄성수단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원고 압착판을 기기 본체의 상면에 밀착시키는 가압해제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가압이 라는 의미는 탄성수단의 탄성력과 같은 힘을 가하는 것을 말하며, 회전 가압이라 함은, 회전시키도록 힘을 가한다는 의미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원고 압착판을 폐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해제수단에 의해 폐쇄상태로 되기 직전 또는 폐쇄상태로 된 때에 탄성수단에 의한 리프트부재에의 가압이 해제되어, 원고 압착판이 탄성수단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 있으므로 자동으로 원고 압착판의 위치가 조절되어 원고 압착판을 기기 본체의 상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재와 상기 탄성수단의 사이에는 스프링받이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가압해제수단이 상기 부착부재에 설치된 가압해제부재와, 그 가압해제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받이부재에 설치된 캠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해제부재는, 가압해제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원고 압착판이 폐쇄방향으로회전하면, 상기 원고 압착판의 소정의 폐쇄각도 이하에서만 동작하여 상기 원고 압착판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댐퍼장치를 구비하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사무기기는, 상기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원고 압착판을 폐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해제수단에 의해 폐쇄상태로 되기 직전 또는 폐쇄상태로 된 때에 탄성수단에 의한 리프트부재에의 가압이 해제되며, 원고 압착판이 탄성수단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 있으므로, 자동으로 원고 압착판의 위치가 조절되어 원고 압착판을 기기 본체의 상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에 의하면, 원고 압착판을 폐쇄방향으로 회전시켜 폐쇄상태로 되기 직전 또는 폐쇄상태로 된 때에 탄성수단에 의한 리프트부재에의 가압을 해제하여, 원고 압착판을 상기 탄성수단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기기 본체의 상면에 밀착시키는 가압해제수단이 설치되므로, 자동으로 원고 압착판의 위치가 조절되어 원고 압착판을 기기 본체의 상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술한다.
도1∼도5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는 도1∼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무기기(10)의 기기 본체(11)의 후단부에 원고 압착판(12)을 회동가능하게 부착한 것이다. 사무기기(10)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복사기, 인쇄기, 팩시밀리, 스캐너 등이 열거될 수 있고, 특히, 복사기가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으나, 특히 한정하지 않고 설명한다.
원고 압착판(12)의 위에는 예를 들면, 원고 자동이송장치(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원고 자동이송장치는 복수 매의 원고를 효율적으로 복사하거나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 원고 자동이송장치는 원고 압착판(12)의 위의 일 측에 설치된 원고 이송부를 구비하며, 그 원고 이송부에 원고를 배치하면, 자동으로 기기 본체(11)의 원고 판독부(원고 판독부가 접촉유리(13)인 경우도 있다)위에 복수 매의 원고가 순차로 이송되어 복사나 송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1)는 사무기기(10)의 기기 본체(11)에 부착되는 부착부재(2)와, 그 부착부재(2)에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된 지지부재(3)와, 그 지지부재(3)에 중첩됨과 동시에 그 지지부재(3)의 자유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며, 또한, 원고 압착판(12)에 부착되는 리프트부재(4)와, 부착부재(2)와 지지부재(3)의 사이에 설치되어 원고 압착판(12)을 개방방향으로 회전 가압함과 동시에 리프트부재(4)를 지지부재(3)와 중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수단(5)을 구비하며, 원고 압착판(12)을 회동시켜 기기 본체(11)의 상면을 원고 압착판(12)으로 덮는 폐쇄상태와 그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1)는 원고 압착판(12)을 폐쇄방향으로 회전시켜 폐쇄상태로 되기 직전 또는 폐쇄상태로 된 때에 탄성수단(5)에 의한 리프트부재(4)에의 가압을 해제시켜 탄성수단(5)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원고 압착판(12)을 기기 본체(11)의 상면에 밀착시키는 가압해제수단(7)을 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다.
부착부재(2)는 예를 들면, 기기 본체(11)에 부착되는 바닥판(21)과, 바닥판(21)의 양 측단부로부터 각각 바닥판(2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으로 연장하는 양 측판(22)과, 바닥판(21)의 일 단부(후단부)로부터 바닥판(2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으로 연장하는 대략 사각 형상의 후판(23)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판(21)은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나사나 볼트 등으로 기기 본체(11)에 부착된다. 측판(22)에는 제1 힌지핀(15)이 회전방지구가 부착된 축받침(도시생략)을 통해 삽입되는 샤프트 구멍(25)이 설치되어 있다. 측판(22)의 샤프트구멍(25)으로부터 전방으로, 또한, 내측(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는 압력받이핀(16)이 삽입되는 압력받이핀 구멍(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압력받이핀(16)은 캠 슬라이더(52)의 바닥부의 외부 표면이 접촉하는 압력받이부재로서, 그 압력받이부재는 압력받이핀(16) 등의 핀에 한정되지 않으며, 롤러, 예를 들면, 압력받이 롤러이어도 좋다.
지지부재(3)는 도1∼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천정판인 상판(31)과, 상판(31)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상판(3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으로 연장하는 양 측판(32)과, 측판(32)의 선단부를 서로 대향하는 측으로 90° 절곡하여 이루어지는 지지판(33)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상판(31), 양 측판(32), 지지판(33)으로 수용부(34)가 구성되어 있다.
양 측판(32)의 일 단부(후단부)에는 제2 힌지핀(17)이 삽입되는 제2 힌지핀구멍(36)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후술하는 작동핀(18)이 삽입되는 절개부(35)가 설치되어 있다. 양 측판(32)의 타 단부(전단부)에는 샤프트 삽입구멍(38)이 설치되어 있다. 양 측판(32)의 샤프트 삽입구멍(38)과 부착부재(2)의 측판(22)의 샤프트 구멍(25)이 일치됨과 동시에, 이들 구멍(38, 25)의 사이, 즉, 지지부재(3)의 측판(32)과 부착부재(2)의 측판(22)의 사이에 와셔(19)가 설치되고, 이들 구멍(38, 25) 및 와셔(19)에 제1 힌지핀(15)이 삽입되어, 지지부재(3)가 부착부재(2)에 제1 힌지핀(15)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양 측판(32)에는 지지부재(3)에 대한 리프트부재(4)의 회동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한 미끄럼접촉부(39)가 각각 돌출되어 있다. 미끄럼접촉부(39)는 예를 들면, 양 측판(32)의 제2 힌지핀 구멍(36)과 절개부(35)의 사이에 대략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미끄럼접촉부(39)는 리프트부재(4)의 측판(42)의 내면에 접하여 지지부재(3)의 측판(32)의 외면과 리프트부재(4)의 측판(42)의 내면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지지부재(3)에 대한 리프트부재(4)의 회동이 양호하게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리프트부재(4)는 두께가 두꺼운 원고도 기기 본체(11)의 상면에 안정되게 압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리프트부재(4)는 원고 압착판(12)의 후단측에 나사나 볼트 등으로 부착되는 상판(41)과, 그 상판(41)의 양 단부로부터 각각 상판(4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으로 연장되는 양 측판(42)으로부터 대략 “ㄷ”자 형상으로 지지부재(3)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리프트부재(4)의 일 단부(후단부)의 중앙으로부터 상판(41) 측의 부위에는 제2 힌지핀 삽입구멍(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2 힌지핀 삽입구멍으로부터 타 단부 측으로, 또한, 중앙으로부터 상판(41) 측과는 반대측의 부위에는 작동핀(18)이 삽입되는 작동핀 구멍(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양 측판(42)의 작동핀 구멍에 작동핀(18)이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리프트부재(4)의 양 측판(42)의 제2 힌지핀 삽입구멍과 지지부재(3)의 양 측판(32)의 제2 힌지핀 구멍이 일렬로 정열되어 이들 구멍에 제2 힌지핀(17)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 리프트부재(4)와 지지부재(3)가 제2 힌지핀(17) 을 축으로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탄성수단(5)은 원고 압착판(12)을 개방방향으로 회전 가압하는 동시에, 리프트부재(4)를 지지부재(3)와 중첩방향으로 가압하고, 또한, 원고 압착판(12)이 임의의 회동각도 이하이면, 원고 압착판(12)을 가압하는 탄력이 원고 압착판(12)의 모멘트 보다 작은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개방방향이란 원고 압착판(12)을 회전시키는 때에 원고 압착판(12)이 접촉유리(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폐쇄방향은 개방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원고 압착판(12)을 회전시키는 때, 원고 압착판(12)이 접촉유리(13)에 근접하는 방향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회동각도는 기기 본체(11)의 상면인 접촉유리(13) 면에 대한 원고 압착판(12)의 각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임의의 회동각도는 탄성수단(5)의 탄성력에 의해 임의로 설정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탄성수단(5)에 의한 원고 압착판(12)을 가압하는 탄성력이 원고 압착판(12)의 모멘트 보다 작은 각도이다.
탄성수단(5)은 특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압축코일스프링(53)이다. 압축코일스프링(53)은 지지부재(3) 내에 삽입되어 작동핀(18)과 압력받이핀(16)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압축코일스프링(53)의 작동핀(18)의 사이에는 스프링받이부재(51)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압축코일스프링(53)의 압력받이핀(16)의 사이에는 캠 슬라이더(52)가 설치되어 있다.
압축코일스프링(53)은 그 갯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1개이어도 좋고 2개 이상이어도 좋으며, 스프링받이부재(51) 및 캠슬라이더(52)를 각각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이다. 압축코일스프링(53)은 원고 압착판(12)을 개방방향으로 회전 가압함과 동시에, 원고 압착판(12)이 소정의 회동각도(예를 들면, 20°(20°전후도 포함))이하이면, 원고 압착판(12)을 가압하는 탄성력이 원고 압착판(12)의 모멘트 보다 작은 것이다.
스프링받이부재(51) 및 캠 슬라이더(52)는 단면 사각형의 바닥을 가진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스프링받이부재(51) 및 캠 슬라이더(52)는 서로 개구부가 대향하는 동시에 이들 사이에 압축코일스프링(53)이 수용된 상태에서 지지부재(3)의 수용부(34)에 각각 개별적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 스프링받이부재(51) 및 캠 슬라이더(52)는 부착부재(2)의 바닥판(21)과 지지부재(3)(상판(31))가 대략 평행으로 되면(예를 들면, 기기 본체(11)의 상면의 접촉유리(13) 위에 원고 압착판(12)을 밀착시키면(원고 압착판(12)이 폐쇄 위치에 있는 때)), 지지부재(3)의 수용부(34) 내에 결합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받이부재(51)가 압축코일스프링(53)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핀(18)을 가압하고 이에 따라 지지부재(3)와 리프트부재(4)가 중첩하도록 가압된다. 즉, 압축코일스프링(53)의 탄성력에 의해 리프트부재(4)의 상판(41)이 지지부재(3)의 상판(31)의 일부인 접촉부(31a)에 접촉 또는 근접하도록 되어 있다. 그 때, 상판(41)이 예를 들면, 접촉유리(13)에 대해 대략 평행으로 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재(3)의 상판(31)에 리프트부재(4)의 상판(41)을 접촉 또는 근접하도록 하여도 좋다.
캠 슬라이더(52)의 바닥부(폐쇄부라고도 한다)의 외부 표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돌출부(52a)가 설치되어 있다. 그 돌출부(52a)는 지지부재(3)의 상판(31)에 대 략 평행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52a)로부터 상판(31) 측의 캠 슬라이더(52)의 바닥부 외부 표면은 후술하는 스토퍼구멍(37)에 스토퍼핀(도시생략)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스토퍼핀이 접촉하는 핀접촉부(52c)로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52a) 아래는 점차로 경사지는 경사부(52b)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 캠 슬라이더(52)의 바닥부의 외부 표면의 돌출부(52a) 및 경사부(52b)가 일종의 캠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폐쇄위치에 있는 원고 압착판(12)(도1 참조)을 접촉유리(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위)으로 제1 힌지핀(15)을 축으로 회전시키면, 압력받이핀(16)에 접촉하는 부위가 돌출부(52a)로부터 경사부(52b)로 서서히 미끄럼 이동함과 동시에, 캠 슬라이더(52)가 압축코일스프링(53)에 의해 후단부측으로 가압되여 지지부재(3) 내를 미끄럼 이동하고, 압축코일스프링(53)이 서서히 신장한다. 그리고, 원고 압착판(12)이 최대 사용 개방각도(예를 들면, 60°(60°전후를 포함)∼70°(70° 전후를 포함))으로 되면(도2 참조), 그 개폐가 원고 압착판(12) 개폐 규제기구(도시생략)에 의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재(3)의 양측판(32)에는 스토퍼 구멍(3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스토퍼 구멍(37)은 캠 슬라이더(52)가 압축코일스프링(53)의 탄성력에 의해 샤프트 삽입구멍(38)을 폐쇄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특히 조립시에 효과적으로 이용되는 것이다. 스토퍼 구멍(37)의 위치는 지지부재(3)의 자유단부와 샤프트 삽입구멍의 사이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부착부재(2)의 샤프트 구멍(25)과 지지부재(3)의 샤프트 삽입구멍의 구멍 합치가 이루어지면, 캠 슬라이더(52)의 단면이 압력받이핀(16)에 접촉하여 방해로 되지 않는 위치라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결과, 지지부재(3)의 샤프트 삽입구멍과 부착부재(2)의 샤프트구멍(25)이 와셔(19)를 통하여 일렬로 정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또, 제1 힌지핀(15)의 삽입이 용이하게 되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압축코일스프링(53) 내에는 댐퍼장치(8)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댐퍼장치(8)는 원고 압착판(12)이 폐쇄방향으로 회전하면, 원고 압착판(12)의 임의의 회동각도 이하의 특정의 회동각도 이하(예를 들면, 10° 전후 이하)에서만, 그 원고 압착판(12)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댐퍼장치(8)는 예를 들면, 오일 댐퍼장치 등이다. 댐퍼장치(8)는 원고 압착판(12)의 특정의 각도 이하(예를 들면, 10° 전후 이하)에서만 그 원고 압착판(12)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댐퍼장치(8)는, 예를 들면, 실리콘 오일 등의 오일이 충전되어 있는 실린더(도시생략)와, 실린더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실린더로부터 노출하는 노출 길이가 길게 되도록 가압되는 피스톤로드(81)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댐퍼장치가 설치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댐퍼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가압해제수단(7)은 원고 압착판(12)을 폐쇄방향으로 회전시켜 폐쇄상태로 되기 직전 또는 폐쇄상태로 된 때에 압축코일스프링(53)에 의한 리프트부재(4)에의 가압을 해제하여 원고 압착판(12)을 압축코일스프링(53)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기기 본체(11)의 상면에 밀착시키는 것이다. 가압해제수단(7)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부착부재(2)에 설치된 가압해제부재와, 그 가압해제부재에 결합하고, 스프링받이부재(51)에 설치된 캠부(7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해제부재는 캠부(72)가 접촉하여 압축코일스프링(53)에 의한 리프트부재(4)에의 가압을 해제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부착부재(2)의 양 측판(22)의 전방 상부에 부착되어 있다. 가압해제부재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양 측판(22)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가압해제롤러(71)이어도 좋고, 핀이어도 좋다. 캠부(72)는 스프링받이 부재(5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캠부(72)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대략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캠부(72)가 원고 압착판(12)을 폐쇄방향으로 회전시켜 폐쇄상태로 되기 직전 또는 폐쇄상태로 된 때에 가압해제롤러(71)에 접촉하여, 압축코일스프링(53)에 의한 리프트부재(4)에의 가압이 해제되며, 원고 압착판(12)이 제2 힌지핀(17)을 축으로 자유로 회동하여 원고 압착판(12)의 높이조절이 자동으로 행해지며, 원고 압착판(12)의 수평위치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1) 및 사무기기(10)의 작용을 설명한다.
원고 압착판(12)은 기기 본체(11)가 사용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기 본체(11)의 접촉유리(13)에 밀착되어 있다. 접촉유리(13) 위에 원고를 배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리프트부재(4)가 부착되어있는 부위와는 반대측의 원고 압착판(12)의 단부 또는 그 근처 등에 설치되어 있는 파지부를 잡고, 원고 압착판(12)을 위로 들어올린다. 즉, 원고 압착판(12)을 제1 힌지핀(15)을 축으로 회전시켜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유리(13) 면을 외부에 노출시킨다. 이와 같이, 원고 압착판(12)을 회전시키는 때, 원고 압착판(12)은 압축코일스프링(53)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방향으로 회전 가압되므로, 중량감을 느끼는 일 없이 개방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노출한 접촉유리(13) 면 위에 원고를 놓은 후, 들어 올린 원고 압착판(12)을 내린다. 즉, 원고 압착판(12)을 접촉유리(13)와 접촉하는 폐쇄방향으로 제1 힌지핀(15)을 축으로 회전시켜 아래로 이동시켜서 폐쇄상태로 한다. 원고 압착판(12)을 회전시키는 경우, 최초에는 압축코일스프링(53)의 탄성력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다소의 힘이 필요하지만, 예를 들면, 원고 압착판(12)의 회동각도가 20°(20° 전후를 포함)이하로 되면, 원고 압착판(12)의 중량에 의해 원고 압착판(12)이 아래로 회전하는 힘이 압축코일스프링(53)의 탄성력 보다 강하게 되므로, 원고 압착판(12)은 아래로 이동한다. 원고 압착판(12)의 회동각도가 특정의 회동각도, 예를 들면, 10°(10° 전후를 포함)로 되면, 댐퍼장치(8)의 피스톤로드(81)의 선단이 캠 슬라이더(52)의 내면에 접촉하여, 피스톤로드(81)가 실린더 내로 이동하여 피스톤로드(81)의 노출 길이가 짧게 되며, 원고 압착판(12)의 회전속도가 감소된다. 그 결과, 원고 압착판(12)의 회전속도가 댐퍼장치(8)에 의해 제어되므로, 원고 압착판(12)이 강하게 접촉유리(13)에 충돌하는 일이 없다.
원고 압착판(12)을 폐쇄방향으로 회전시켜 폐쇄상태로 하면, 그 폐쇄상태로 되기 직전 또는 폐쇄상태로 된 때에 캠부(72)가 가압해제롤러(71)에 접촉하여 압축코일스프링(53)에 의한 리프트부재(4)에의 가압이 해제되고, 원고 압착판(12)이 리 프트부재(4)를 통하여 제2 힌지핀(17)을 축으로 자유 회동하여, 원고 압착판(12)이 접촉유리(13) 면에 밀착하도록 원고 압착판(12)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된다. 그 때, 원고 압착판(12)의 자중에 의해 제1 힌지핀(15)을 축으로 원고 압착판(12)이 회동하므로, 원고 압착판(12)이 접촉유리(13) 면에 확실하게 밀착하게 된다. 즉, 원고 압착판(12)이 접촉유리(13) 위에 원고가 없는 상태에서는 접촉유리(13)에 대해 대략 평행으로 밀착하도록, 원고 압착판(12)의 높이조절이 자동으로 행해지며, 원고 압착판(12)의 수평위치가 조절된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원고가 얇은 종이이면, 원고 압착판(12)에 의해 원고를 접촉유리(13) 위로 부상(浮上)시키는 일 없이 확실하게 접촉유리(13)에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원고를 양호하게 복사 등을 할 수 있다. 즉, 원고 압착판(12)과 접촉유리(13)의 사이에 빛이 들어가지 않도록 원고 압착판(12)이 접촉유리(13)에 밀착되어, 양호하게 원고의 복사 등을 할 수가 있다.
또한, 원고가 책과 같이, 두께가 두꺼운 경우, 원고 압착판(12)을 회전시키면(아래로 이동시키면), 원고의 지지부재(3) 측의 단부 또는 그 근처에 원고 압착판(12)의 지지부재(3)의 근처의 일부가 접촉하여, 원고의 지지부재(3) 측의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와 원고 압착판(12)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즉, 파지부 측의 단부의 원고 압착판(12)이 부상 상태로 된다. 그 부상되는 원고 압착판(12)의, 예를 들면, 파지부 측의 단부 근처를 접촉유리(13)측으로 누르면, 작동핀(18)이 스프링받이부재(51)를 캠 슬라이더(52) 측으로 눌러서 압축코일스프링(53)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스프링받이부재(51)가 캠 슬라이더(52) 측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원고 압착판(12)(리프트부재(4))이 제2 힌지핀(17)을 축으로 회전한다. 즉, 원고의 상부를 덮도록 원고 압착판(12)이 이동한다. 예를 들면, 그 원고의 상부가 평탄면인 경우에는, 그 상부에 원고 압착판(12)이 면접촉한다. 그 결과, 두께가 두꺼운 원고가 안정되게 접촉유리(13)에 밀착되는 것으로 되므로써, 원고 압착판(12)은 원고의 두께에 관계없이 원고를 안정되게 접촉유리(13)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매의 원고를, 예를 들면, 복사하는 경우에는, 기기 본체(11)의 접촉유리(13)에 원고 압착판(12)이 밀착되어 있는 상태인 채로, 원고 압착판(12)의 상부의 원고 이송부에 복수매의 원고를 배치한다. 배치 후에, 시작 보턴을 누름 조작하는 것에 의해, 복수매의 원고가 자동으로 순차로 원고 이송부로부터 예를 들면, 접촉유리(13)위로 이송되어 일 매씩 연속적으로 복사된다.
원고가 원고 이송부로부터 접촉유리(13) 위로 이송되는 경우, 리프트부재(4)가 부착되어 있는 원고 압착판(12)의 부위가 접촉유리(13)의 면으로부터 부상하여 원고 판독부에 대해 원고가 평행으로(정상으로) 이송되지 않는, 즉, 원고가 굽어져서 접촉유리(13) 위로 이송되면, 원고의 판독의 오류가 발생하여 정확한 복사 등이 이루어질 수 없지만,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1) 및 사무기기(10)에 있어서는 가압해제수단(7)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기기 본체(11)에 대한 원고 압착판(12)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원고 판독부에 대해 원고를 정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즉, 원고 압착판(12)을 폐쇄방향으로 회전시켜 폐쇄상태로 하면, 그 폐쇄상태로 되기 직전 또는 폐쇄상태로 된 때에 캠부(72)가 가압해제롤러(71)에 접촉하여 압축코일스프링(53)에 의한 리프트부재(4)에의 가압이 해제되며, 원고 압착판(12) 이 리프트부재(4)를 통하여 제2 힌지핀(17)을 축으로 자유 회동하여, 원고 압착판(12)이 접촉유리(13) 면에 밀착하도록, 원고 압착판(12)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된다. 그 때, 원고 압착판(12)의 자중에 의해 제1 힌지핀(15)을 축으로 원고 압착판(12)이 회동하므로, 원고 압착판(12)이 접촉유리(13) 면에 확실하게 밀착하게 된다. 즉, 원고 압착판(12)이 접촉유리(13) 위에 원고가 없는 상태에서는 접촉유리(13)에 대해 대략 평행으로 밀착하도록 원고 압착판(12)의 높이 조절이 자동으로 행해져서 원고 압착판(12)의 수평위치가 조절된다. 그 결과, 원고가 원고 이송부로부터 접촉유리(13) 위로 평행으로 이송되므로, 복수 매의 원고를 자동으로 순차적으로 접촉유리(13) 위로 이송하여 일 매씩 연속적으로 복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1) 및 사무기기(10)는 원고 압착판(12)을 폐쇄방향으로 회전시켜 폐쇄상태로 되기 직전 또는 폐쇄상태로 된 때에 탄성수단(5)에 의한 리프트부재(4)에의 가압을 해제하여, 원고 압착판(12)을 탄성수단(5)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기기 본체(11)의 상면에 밀착시키는 가압해제수단(7)이 설치되므로, 자동으로 원고 압착판(12)의 위치가 조절되어 원고 압착판(12)을 기기 본체(11)의 상면에 밀착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복사 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복수 매의 원고의 복사 등도 연속적으로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1) 및 사무기기(10)는 캠부(72)가 가압해제롤러(71)에 접촉하여 압축코일스프링(53)에 의한 리프트부재(4)에의 가압이 해제되어, 최초에 상판(41)이 접촉유리(13)에 대략 평행으로 되는 상 태(도4 및 도5(c)참조)로부터 리프트부재(4)의 상판(41)이 지지부재(3)의 상판(31)의 접촉부(31a)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상태(도3 및 도5(b)참조)까지의 사이에서 원고 압착판(12)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예를 들면, 그 사이의 대략 중간 사이에서 원고 압착판(12)이 접촉유리(13)에 밀착되도록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1)를 설정(도1 및 도5(a)참조)하여 기기 본체(11)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원고 압착판(12)의 높이가 상하 방향으로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원고 압착판(12)을 기기 본체(11)의 상면에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압해제롤러(71) 및 캠부(72)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원고 압착판(12)의 자동 조절 높이가 변화하므로, 사무기기(10)에 따라 원고 압착판(12)의 자동 조절 높이를 선택할 수 있어, 범용성이 우수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는, 원고 압착판을 폐쇄방향으로 회동시켜 폐쇄상태로 되기 직전 또는 폐쇄상태로 된 때에 탄성수단에 의한 가압을 해제하여, 탄성수단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원고 압착판을 기기 본체의 상면에 밀착시키는 가압해제수단을 설치하므로, 자동으로 원고 압착판의 위치가 조절되어 원고 압착판을 기기 본체의 상면에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복사기, 인쇄기, 팩시밀리, 스캐너 등의 사무기기의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로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Claims (5)

  1. 원고 압착판(12)을 지니는 사무기기(10)의 기기 본체에 부착되는 부착부재(2)와, 그 부착부재(2)에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된 지지부재(3)와, 그 지지부재(3)에 중첩됨과 동시에 그 지지부재(3)의 자유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고, 또한, 상기 원고 압착판(12)에 부착되는 리프트부재(4)와, 상기 부착부재(2)와 지지부재(3)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원고 압착판(12)을 개방방향으로 회전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리프트부재(4)를 상기 지지부재(3)와 중첩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수단(5)을 구비하며, 상기 원고 압착판(12)을 회동시켜 기기 본체의 상면을 상기 원고 압착판(12)으로 덮는 폐쇄상태와 그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는 상기 원고 압착판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고 압착판(12)을 폐쇄방향으로 회전시켜 폐쇄상태로 되기 직전 또는 폐쇄상태로 된 때에 상기 탄성수단(5)에 의한 상기 리프트부재(4)에의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탄성수단(5)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원고 압착판(12)을 기기 본체의 상면에 밀착시키는 가압해제수단(7)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재와 상기 탄성수단의 사이에 스프링받이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가압해제수단이, 부착부재에 설치된 가압해제부재와, 그 가압해제부재에 결합하고, 상기 스프링받이부재에 설치된 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해제부재가, 가압해제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와 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원고 압착판이 폐쇄방향으로 회전한 때, 상기 원고 압착판의 소정의 폐쇄각도 이하에서만 동작하여 상기 원고 압착판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댐퍼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5. 청구항1에 기재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
KR1020060123747A 2005-12-27 2006-12-07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KR100821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76301 2005-12-27
JP2005376301A JP4898216B2 (ja) 2005-12-27 2005-12-27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事務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020A KR20070069020A (ko) 2007-07-02
KR100821293B1 true KR100821293B1 (ko) 2008-04-11

Family

ID=38213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3747A KR100821293B1 (ko) 2005-12-27 2006-12-07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898216B2 (ko)
KR (1) KR100821293B1 (ko)
CN (1) CN199160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1097B2 (ja) * 2008-12-09 2014-03-12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JP5807943B2 (ja) * 2010-04-22 2015-11-10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JP5640303B2 (ja) * 2013-02-04 2014-12-17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この原稿圧着板開閉装置を備えた事務機器
CN108769452B (zh) * 2018-07-31 2024-04-16 苏州格莱博扫描有限公司 一种按压式扫描仪升降结构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393A (ko) * 1992-08-28 1994-03-15 이헌조 복사기의 원고덮개 자동 개폐장치 및 그 방법
KR940008352A (ko) * 1992-09-26 1994-04-29 정용문 디지탈 교환기의 동기 시험 방법 및 회로
KR960020752A (ko) * 1994-12-07 1996-07-18 김광희 참깨가 피복된 볶음구기자의 제조방법
KR19980087123A (ko) * 1997-05-15 1998-12-05 야마다 미쯔요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KR19990029774A (ko) * 1997-09-24 1999-04-26 야마다 미쯔요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KR20040028227A (ko) * 2002-09-30 2004-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쇠부를 갖는 플래튼 커버의 개폐 지지장치
KR20050007809A (ko) * 2003-07-11 2005-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래튼 커버의 개폐 검출장치를 구비한 복사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1276B2 (ja) * 2002-09-05 2007-09-05 加藤電機株式会社 ヒンジ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393A (ko) * 1992-08-28 1994-03-15 이헌조 복사기의 원고덮개 자동 개폐장치 및 그 방법
KR940008352A (ko) * 1992-09-26 1994-04-29 정용문 디지탈 교환기의 동기 시험 방법 및 회로
KR960020752A (ko) * 1994-12-07 1996-07-18 김광희 참깨가 피복된 볶음구기자의 제조방법
KR19980087123A (ko) * 1997-05-15 1998-12-05 야마다 미쯔요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KR19990029774A (ko) * 1997-09-24 1999-04-26 야마다 미쯔요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KR20040028227A (ko) * 2002-09-30 2004-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쇠부를 갖는 플래튼 커버의 개폐 지지장치
KR20050007809A (ko) * 2003-07-11 2005-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래튼 커버의 개폐 검출장치를 구비한 복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91608A (zh) 2007-07-04
KR20070069020A (ko) 2007-07-02
JP2007178670A (ja) 2007-07-12
JP4898216B2 (ja) 201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0922B1 (ko)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KR100754413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KR100675668B1 (ko)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그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구비한사무기기
KR101019775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KR100821293B1 (ko)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KR101245026B1 (ko)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KR20060048307A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JP2010282158A5 (ko)
KR20060065496A (ko)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JP2011227370A5 (ko)
KR20080082444A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JP5148228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TWI526138B (zh) 原稿壓合板開闔裝置及事務機器
KR101341690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JP2008268522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KR101363806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자동화기기
US6557848B2 (en) Paper-stopping mechanism of automatic document feeder
JP3411438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
JP4569517B2 (ja) 画像形成装置
JP5217002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H10221789A (ja) 画像読取装置
JPS6026331A (ja) 複写機等の原稿押さえ装置
JP5645227B6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5645227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3589875B2 (ja) 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