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2444A -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 Google Patents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2444A
KR20080082444A KR1020080014883A KR20080014883A KR20080082444A KR 20080082444 A KR20080082444 A KR 20080082444A KR 1020080014883 A KR1020080014883 A KR 1020080014883A KR 20080014883 A KR20080014883 A KR 20080014883A KR 20080082444 A KR20080082444 A KR 20080082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portion
pressing plate
protrusion
installation hole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3964B1 (ko
Inventor
테추오 콘도
Original Assignee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2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5Script supports connected to the typewriter or print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5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 E05D11/1064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46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E05F1/1253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spring
    • E05F1/1261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spring for counterbalan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38Modular devices, i.e. allowing combinations of separate components, removal or replacement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1Top covers or the like
    • H04N1/00554Latches or hinges therefor

Abstract

기기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설치공을 지니며, 그 설치공에 상하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다리부를 지니는 것에 있어서, 다리부의 이동을 확실히 부드럽게 행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를 제공하기 위해, 원고압착판을 지니는 사무기기의 기기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설치공에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본체의 다리부가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본체에 상기 원고압착판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기기본체에 대하여 상기 원고압착판을 개폐가능하게 지지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에, 상기 설치공의 내벽에 가압,미끄럼접촉하는 구형상의 미끄럼운동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설치공, 다리부, 미끄럼운동부재

Description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Opening-closing device of manuscript pressing plate and office automation equipment therewith}
본 발명은, 복사기, 인쇄기, 팩스, 스캐너 등의 원고압착판을 지니는 사무기기에 사용하기 적합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복사기, 인쇄기, 팩스, 스캐너 등의 사무기기의 기기본체에는, 그 기기본체의 상면 후방에 원고압착판이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개재하여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일종의 힌지기구이고, 원고압착판을 힌지축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하여, 기기본체의 상면의 접촉유리상에 원고압착판을 압착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접촉유리를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원고를 접촉유리상에 세트하는 때에는, 원고압착판을 상방으로 회전시켜서(원고압착판이 접촉유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개방방향이라고 하기도 함)으로 이동시켜서) 접촉유리를 노출(개방)시키고, 그 접촉유리상에 원고를 둔 뒤, 원고압착판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폐쇄하며, 원고압착판으로 원고를 접촉유리상에 압착시키는 것에 의해, 원고를 접촉유리상에 세트시킬 수 있다.
이러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중에는, 책 등과 같은 두께가 두꺼운 원고를 기기본체의 상면에 안정되게 압착시키기 위해, 원고압착판 개폐장치가 기기본체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기기본체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리부를 구비하고, 그 다리부가 기기본체에 설치된 설치공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원고압착판 개폐장치가 기기본체에 그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허문헌1: 일본특허제3262457호]
그 특허문헌1에 기재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책 등과 같은 두께가 두꺼운 원고의 경우, 원고를 접촉유리상에 세트한 뒤에 원고압착판을 폐쇄하면, 원고압착판 개폐장치가 기기본체의 상방으로 이동하여 원고압착판이 접촉유리에 대해 평행하게 된 상태에서, 원고에 면접촉하여 접촉유리를 덮을 수 있으므로, 책 등과 같은 두께가 두꺼운 원고를 기기본체의 상면에 안정되게 압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광이 기기본체의 내부로 침입하여 노광을 방해하는 일은 극력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상기 특허문헌1에 기재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다리부에는, 원 기둥형상의 롤러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다리부를 설치공내에서 이동하는 때에 롤러부재가 설치공의 내벽을 구르는 것에 의해,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다리부)의 이동이 부드럽게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다리부의 이동이 롤러부재가 구르는 방향이 아니면, 롤러부재가 회전하지 아니하므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다리부)의 이동을 부드럽게 행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 롤러부재가 다리부에 휘어져 설치된다거나, 사용중에 롤러부재의 축이 어긋나거나 하면, 다리부의 이동시에 롤러부재가 구르지 아니하므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다리부)의 이동이 부드럽게 행하여지지 아니하고, 오히려 그 이동이 어렵게 되는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기기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설치공를 지니며, 그 설치공에 상하방향으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다리부를 지니는 것에 있어서, 다리부의 이동를 확실하게 부드럽게 행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목적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원고압착판을 지니는 사무기기의 기기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설치공에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본체의 다리부가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본체에 상기 원고압착판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기기본체에 대하여 상기 원고압착 판을 개폐가능하게 지지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에, 상기 설치공의 내벽에 가압,미끄럼접촉하는 구형상의 미끄럼운동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리부에 설치공의 내벽에 미끄럼접촉하는 구형상의 미끄럼운동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것으로, 설치공에 삽입된 다리부가 설치공 내부를 상하방향으로 어떻게 이동하여도 설치공의 내벽에 접촉하고 있는 구형상의 미끄럼운동부재가 회전하므로, 다리부의 이동를 확실하게 부드럽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운동부재는, 상기 다리부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상하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에는, 상기 설치공에 설치된 결합요홈부와 결합하는 결합돌출부를 지니는 결합수단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결합돌출부와 상기 결합요홈부와의 결합상태를 해제하는 해제수단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는, 상기 다리부의 양측면으로 출몰가능함과 동시에 돌출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다리부의 전면의 대략 하방으로, 출몰가능함과 동시에 돌출방향으로 가압되고, 또한, 몰입방향으로 이동한 때, 상기 결합돌출부를 몰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인출돌출부를 지니며, 상기 다리부를 후방측으로 넘어뜨리면, 상기 인출돌출부 가 상기 설치공을 형성하는 벽면에 접촉하여 몰입방향으로 이동해서, 상기 다리부를 상기 설치공으로부터 인출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결합돌출부는, 상기 다리부에 그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결합돌출부재에 각각 설치되고, 이들 결합돌출부재는, 서로 접촉하여 상기 결합돌출부를 상기 다리부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다리부의 전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결합돌출부가 상기 다리부로부터 돌출하여 있는 때에 서로 이간하고, 상기 결합돌출부가 상기 다리부에 몰입한 때에 서로 접촉 또는 근접하는 결합작동요홈부를 지니며, 상기 인출돌출부는, 상기 다리부에 그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인출돌출부재에 설치되고, 그 인출돌출부재의 후면에, 상기 결합돌출부재의 각 결합작동요홈부와 결합하여 이들 결합작동요홈부가 멀어지면, 상기 인출돌출부가 상기 다리부로부터 돌출하고, 그 인출돌출부를 상기 다리부에 몰입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2개의 결합작동요홈부가 서로 접촉 또는 근접하여 상기 결합돌출부가 상기 다리부에 몰입하는 결합작동돌출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공에 삽입된 다리부가 설치공 내부를 상하방향으로 어떻게 이동하여도 설치공의 내벽에 접촉하고 있는 구형상의 미끄럼운동부재가 회전하므로, 다리부의 이동를 확실하게 부드럽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에 의하면, 다리부에 설치공의 내벽에 미끄럼접촉하는 구형상의 미끄럼운동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이므로, 설치공에 삽입된 다리부가 설치공 내부를 상하방향으로 어떻게 이동하여도 설치공의 내벽에 접촉하고 있는 구형상의 미끄럼운동부재가 회전하기 때문에, 다리부의 이동를 확실하게 부드럽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도 1∼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무기기(10)의 기기본체(11)의 후단부에, 원고압착판(12)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다. 사무기기(10로서는, 특히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면, 복사기, 인쇄기, 팩스, 스캐너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복사기가 적합한 것이지만, 특히 한정됨이 없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는, 도 1∼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고압착판(12)을 지니는 사무기기(10)의 기기본체(11))에 설치된 설치 공(15)에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본체(2)의 다리부(3)가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본체(2)에 원고압착판(12)이 설치되어서, 기기본체(11)에 대하여 원고압착판(12)를 개폐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설치공(15)의 내벽에 가압,미끄럼접촉하는 구형상의 미끄럼운동부재(4)를 회전가능하게 다리부(3)에 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가압은 탄성적인 가압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기기본체(11)의 상면에는, 예를 들면, 접촉유리(도시하지 아니함)가 설치되고, 그 접촉유리에 원고를 원고압착판(12)에 의해 밀착시킴과 동시에, 접촉유리가 원고압착판(12)에 의해 덮여 가려지도록 되어 있다. 기기본체(11)의 상면의 후단부 근방의 2개소에는, 상하방향(높이방향이라고 하기도 함)으로 연장되는 설치공(15)이 각각 설치된다. 설치공(15)은, 사각 횡단면 형상으로서 돌출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설치공(15)의 양측면에는,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요홈부(16)가 설치된다. 결합요홈부(16)의 높이방향의 길이는, 특히 한정됨이 없이, 임의로 설정된다.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본체(2)는, 사무기기(10)의 기기본체(11)에 다리부(3)를 개재하여 설치되는 베이스부재(21)와, 그 베이스부재(21)에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됨과 동시에, 원고압착판(12)에 설치되는 지지부재(22)와, 베이스부재(21) 및 지지부재(22)의 사이에 설치되고, 원고압착판(12)를 개방방향으로 회전가압하는 탄성부재(23)를 구비하고, 원고압착판(12)을 회전시켜서 기기본체(11)의 상면를 원고압착판(12)으로 덮는 폐쇄상태와 그 상면를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는 것이다.
베이스부재(21)는, 도 1∼도 5B,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다리부(3)를 지니는 저판(21a)과, 저판(21a)의 양측단부으로부터 각각 저판(21a)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판(21b)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저판(21a)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저판(21a)의 하면에는,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리부(3)가 설치되고, 그 다리부(3)가 기기본체(11)의 설치공(15)에 삽입되어,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본체(2)가 기기본체(11)에 설치된다. 측판(21b)에는, 힌지핀(24)이 삽입,관통되는 축공(21c)이 설치된다. 측판(21b)의 축공(21c)에서 전방에는, 수압(受壓)핀인 압력지지핀(25)이 삽입,관통되는 압력지지핀공(21d)이 설치된다. 압력지지핀(25)은, 캠슬라이더(26)를 개재하여 탄성부재(23)가 접촉하는 압력지지부재이고, 그 압력지지부재는, 압력지지핀(25) 등의 핀에 한정됨이 없이, 롤러 예를 들면 압력지지롤러이라도 좋다.
지지부재(22)는, 예를 들면, 천정판인 상판(22a)과, 상판(22a)의 양측단부으로부터 각각 상판(22a)에 대하여 하방으로 대략 90도 절곡되는 양측판(22b)과, 상판(22a)의 선단부를 상판(22a)에 대하여 하방으로 대략 90도 절곡되는 탄성부재지지부(22c)로 구성된다.
양측판(22b)의 대략 중앙부에는, 원고압착판(12)의 후단측에 나사 등으로 설치되는 설치편(22d)이 각각 설치된다. 양측판(22b)의 일단부(전방단부)에는, 축삽입관통공(도시하지 아니함)이 설치된다. 양측판(22b)의 축삽입관통공과 베이스부재(21)의 축공(21c)이 서로 결합되고, 이들 축공(21c)에 와셔 등을 개재하여 힌지 핀(24)이 삽입,관통되는 것에 의해, 지지부재(22)가 베이스부재(21)에 힌지핀(24)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탄성부재(23)는, 원고압착판(12)을 개방방향으로 회전가압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개방방향이라 함은, 원고압착판(12)을 회전시키는 때에 원고압착판(12)이 접촉유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폐쇄방향이라 함은, 개방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원고압착판(12)을 회전시키는 때에 원고압착판(12)이 접촉유리에 근접하는 방향을 말한다.
탄성부재(23)는, 특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압축코일스프링(23a)이다. 압축코일스프링(23a)은, 지지부재(22)내에 수용되어 탄성부재지지부(22c)와 압력지지핀(25)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된다. 압축코일스프링(23a)의 일단부는 탄성부재지지부(22c)에 지지됨과 동시에, 압축코일스프링(23a)의 타단부는, 예를 들면, 사각형상의 바닥있는 통형상으로 형성된 캠슬라이더(26)에 수용되고, 그 캠슬라이더(26)를 개재하여 압력지지핀(25)에 지지된다. 압축코일스프링(23a)는, 그 개수는 특히 한정됨이 없이, 1개이어도, 2개이상이어도 좋다. 도시예에서는 1개로서, 캠슬라이더(26)를 압력지지핀(25)에 접촉시키도록 가압하는 것이다.
베이스부재(21)에 설치되어 있는 다리부(3)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리부(3)의 폭은, 결합요홈부(16)가 설치되어 있지 아니한 설치공(15)의 폭보다 약간 긴 칫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리부(3)의 전후방향의 길이는, 설치공(15)의 전후방향의 길이보다 약간 긴(다리부(3)의 폭과 설치공(15)의 폭사이의 차보다 긴) 칫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리 부(3)의 길이(길이방향의 길이)는, 특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설치공(15)의 길이방향(깊이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칫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리부(3)의 전면의 하방은, 경사되어 테이퍼면(3a)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리부(3)의 높이방향의 중앙부보다 약간 상방으로는, 전후방향으로 연장하여 전면 및 후면을 각각 관통하는 제1미끄럼운동부재설치공(31)이 설치된다. 그 제1미끄럼운동부재설치공(31)내는, 전면측에 배치된 미끄럼운동부재 수용부(31a)와, 후면측에 배치되어 미끄럼운동부재 수용부(31a)보다 대경인 나사홈을 지니는 나사부(31b)로 2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운동부재 수용부(31a)의 전방은, 선단부로 가면서 점차 축소되어 형성되어 있다. 즉, 미끄럼운동부재 수용부(31a)의 선단개구부(제1개구부(31c)라고 하기도 함)의 직경이 제일 작은 칫수로 형성되어 있다.
그 제1미끄럼운동부재 설치공(31)의 미끄럼운동부재 수용부(31a)내에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끄럼운동부재인 예를 들면 볼베어링(41)이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볼베어링(41)은, 제1개구부(31c)의 직경보다 크고, 미끄럼운동부재 수용부(31a)(제1개구부(31c) 및 그 전방의 축소된 부분을 제외함)의 직경보다 작은 칫수, 예를 들면, 그 미끄럼운동부재 수용부(31a)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칫수로 형성되며, 미끄럼운동부재 수용부(31a)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개구부(31c)로부터 일부가 돌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미끄럼운동부재 설치공(31)의 나사부(31b)에는, 덮개(32)가 나사결합되어, 제1미끄럼운동부재 설치공(31)의 후면측이 폐쇄된다. 덮개(32)는, 제1미끄럼운동부재 설치공(31)의 후면측를 폐쇄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나사부(31b)에 나사결 합하는 나사결합부재이다. 이것에 의해, 볼베어링(41)은, 제1미끄럼운동부재 설치공(31)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제1미끄럼운동부재 설치공(31)내에 수용된다. 덮개(32)와 볼베어링(41)의 사이에는, 가압부재인 예를 들면압축코일스프링(33)이 설치된다. 압축코일스프링(33)과 볼베어링(41)의 사이에는, 와셔(34)가 설치되어 있고, 압축코일스프링(33)의 가압력에 의해 와셔(34)를 개재하여 볼베어링(41)의 일부가 제1개구부(31c)로부터 돌출하고, 다리부(3)가 설치공(15)에 삽입된 때, 볼베어링(41)이 설치공(15)의 내벽에 가압,미끄럼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 다리부(3)의 높이방향의 하방으로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연장하여 전면의 테이퍼면(3a) 및 후면을 각각 관통하는 제2미끄럼운동부재 설치공(35)이 설치된다. 그 제2미끄럼운동부재 설치공(35)내부는, 제1미끄럼운동부재 설치공(31)과는 반대로, 후면측에 배치된 미끄럼운동부재 수용부(35a)와, 후면측에 배치되어 미끄럼운동부재 수용부(35a)보다 대경인 나사홈을 지니는 나사부(35b)로 2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운동부재 수용부(35a)의 후방은, 후방측의 개구부(제2개구부(35c)라고 하기도 함)에 걸쳐서 점차 축소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미끄럼운동부재 수용부(35a)의 제2개구부(35c)의 직경이 제일 작은 칫수로 형성되어 있다.
그 제2미끄럼운동부재 설치공(35)의 미끄럼운동부재 수용부(35a)내에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끄럼운동부재(4)인 예를 들면볼베어링(42)이 회전가능하게 수용된다. 볼베어링(42)은, 제2개구부(35c)의 직경보다 크고, 미끄럼운동부재 수용부(35a)(제2개구부(35c) 및 축소된 개소를 제외함)의 직경보다 작은 칫수, 예를 들 면, 그 미끄럼운동부재 수용부(35a)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칫수로 형성되고, 미끄럼운동부재 수용부(35a)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2개구부(35c)로부터 볼베어링(42)의 일부가 돌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2미끄럼운동부재 설치공(35)의 나사부(35b)에는, 덮개(36)가 나사결합되어, 제2미끄럼운동부재 설치공(35)의 전면측이 폐쇄된다. 덮개(36)는, 제2미끄럼운동부재 설치공(35)의 전면측을 폐쇄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나사부에 나사결합하는 나사결합부재이다. 이것에 의해, 볼베어링(42)은, 제2미끄럼운동부재 설치공(35)으로부터 빠지지 아니하도록 제2미끄럼운동부재 설치공(35)에 수용된다. 덮개(36)와 볼베어링(42)의 사이에는, 가압부재인 예를 들면 압축코일스프링(37)이 설치된다. 압축코일스프링(37)과 볼베어링(42)의 사이에는, 와셔(38)가 설치되어 있고, 압축코일스프링(37)의 가압력에 의해 와셔(38)를 개재하여 볼베어링(42)의 일부가 제2개구부(35c)로부터 돌출하고, 다리부(3)가 설치공(15)에 삽입된 때, 볼베어링(41)이 설치공(15)의 내벽에 가압,미끄럼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그 제2개구부(35c)로부터 돌출한 볼베어링(42)이 설치공(15)의 후면에 가압,미끄럼접촉함과 동시에, 제1개구부(31c)로부터 돌출한 볼베어링(41)이 설치공(15)의 전면에 가압,미끄럼접촉하고, 다리부(3)(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본체(2))가 높이방향으로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다리부(3)에는, 설치공(15)에 설치된 결합요홈부(16)와 결합하는 결합돌출부(62,72)를 지니는 결합수단(5)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수단(5)은, 결합돌출부(62,72)와 결합요홈부(16)의 결합상태를 해제하는 해제수단(8)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수단(5)으로서는, 결합요홈부(16)의 결합 및 그 결합상태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특히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면, 결합돌출부(62,72)를 지니는 한쌍의 결합돌출부재(61,71)와, 해제수단(8)의 구성요소인 인출돌출부재이동부(53)에 인출돌출부재(81)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리부(3)의 높이방향의 하방으로서 테이퍼면(3a)보다 상방으로는, 도 8∼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방향(좌우방향)으로 연장하여 양측면을 각각 관통하는 결합돌출부재 작동부(51)가 설치된다. 그 결합돌출부재 작동부(51)는, 측면에서 보아 전면측이 돌출한 대략 돌출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출부재 작동부(51)의 뒷부분에는, 관통공(52)이 2개 설치된다. 이들 관통공(52)은, 폭방향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배치된다. 또, 결합돌출부재 작동부(51)의 돌출형상의 선단부와 전면측이 원형으로 관통하여 인출돌출부재 이동부(53)로서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출부재 작동부(51)에 한쌍의 결합돌출부재(61,71)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결합돌출부재 작동부(51) 및 인출돌출부재 이동부(53)에 인출돌출부재(81)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한쌍의 결합돌출부재는, 좌결합돌출부재(61)와 우결합돌출부재(71)로 된다. 좌결합돌출부재(61)의 좌측의 측면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의 결합돌출부재 작동부(51)(다리부(3)의 좌측면)로부터 돌출하는 결합돌출부(62)이고, 높이방향의 상방과 중앙부의 대략 사이로부터 하방에 걸쳐서 경사져서 경사면(62a)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좌결합돌출부재좌측의 전면에는, 결합돌출부와 반대측의 측단부로부터 경사진 삼각형 단면형상의 결합작동요홈부(63)가 설치된다. 또, 좌결합돌 출부재(61)의 후면으로서 결합돌출부(62)와 반대측의 측단부측의 후면은, 전후방향으로 돌출하여 이탈방지를 위한 인출(이탈)방지돌출부(64)로 형성되어 있다. 또, 좌결합돌출부재(61)의 결합돌출부(62)와 반대측의 측부에는, 하단부에 설치되어 경사진 판스프링(65)이 설치된다. 판스프링(65)은 가압부재의 일예이고, 다른 가압부재를 이용하여도 좋다. 판스프링(65)이 설치되어 있는 좌결합돌출부재(61)의 면(제1면(61a)이라고 하기도 함)에는, 가압력에 대항하여 그 판스프링(65)을 수용하는 스프링수용부(66)가 설치된다.
우결합돌출부재(71)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결합돌출부재(61)와 판스프링을 제외하고는 좌우대칭으로 설치된다. 즉, 우결합돌출부재(71)은, 우측의 측면에 결합돌출부(72)가 설치되고, 전면에 결합작동요홈부(73)가 설치되고, 후면에 인출방지돌출부(74)가 설치된다. 우결합돌출부재(71)의 판스프링(75)은, 좌결합돌출부재(61)의 판스프링(65)과 상하가 역으로, 우결합돌출부재(71)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판스프링(75)은 가압부재의 일예이고, 다른 가압부재를 이용하여도 좋다. 판스프링(75)이 설치되어 있는 우결합돌출부재(71)의 면(제2면(71a)이라고 하기도 함)에는, 가압력에 대항하여 그 판스프링(75)를 수용하는 스프링수용부(76)가 설치된다. 좌결합돌출부재(61) 및 우결합돌출부재(71)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의 판스프링(65,75)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제1면(61a) 및 제2면(71a)을 서로 면접촉한 때, 좌결합돌출부재(61) 및 우결합돌출부재(71)의 폭이 결합돌출부재 작동부(51)의 폭(다리부(3)의 폭)보다 약간 짧은 칫수로 형성되어 있다. 즉, 한쌍의 결합돌출부(62,72)가 결합돌출부재 작동부(51)내에 수용할 수 있는 칫수로 좌결합돌 출부재(61) 및 우결합돌출부재(71)의 폭이 형성되어 있다.
인출돌출부재(81)는, 도 8, 도 9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출돌출부재 이동부(53)에 삽입,관통되는 인출돌출부(82)와, 결합돌출부재 작동부(51)내에 설치되는 작동부(83)로 구성된다. 인출돌출부(82)는, 인출돌출부재 이동부(53)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의 원형으로서 인출돌출부재 이동부(53)의 축방향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인출돌출부(82)의 선단면의 하면은,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부(83)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작동부(83)의 후면은, 중앙부로부터 양측단부까지가 후방측으로 각각 돌출한 2개의 결합작동돌출부(84)가 설치된다. 즉, 작동부(83)의 후면은,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결합작동돌출부(84)는, 한쌍의 결합돌출부재(61,71)의 결합작동요홈부(63,73)에 각각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결합작동돌출부(84)의 경사면과 결합작동요홈부(63,73)의 경사면이 서로 면접촉하여 결합하도록 결합작동돌출부(84) 및 결합작동요홈부(63,7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결합돌출부재(61,71)는, 인출돌출부재 이동부(53)에 인출돌출부(82)가 삽입된 인출돌출부재(81)의 결합작동돌출부(84)에 결합작동요홈부(63,73)가 결합됨과 동시에, 한쌍의 결합돌출부재(61,71)와 결합돌출부재 작동부(51)의 후면측의 벽면의 사이에 설치된 2개의 인출방지부재(91)에 의해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으로서 결합돌출부재 작동부(5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인출방지부재(91)는, 도 8, 도 9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대략 90도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인출결합부(92)를 지니는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인 출방지부재(91)에는, 내주면에 나사홈을 지니는 설치공(93)이 설치되어 있고, 관통공(52)를 개재한 나사(95) 등을 설치공(93)에 나사결합시켜서 인출방지부재(91)가 다리부(3)의 결합돌출부재 작동부(51)내에 고정되고, 결합돌출부(62,72)가 결합돌출부재 작동부(51)(다리부(3)의 측면)로부터 돌출한 때, 한쌍의 결합돌출부재(61,71)의 인출방지돌출부(64,74)와 인출방지부재(91)의 인출결합부(92)가 결합하는 동시에, 인출돌출부재(81)의 결합작동돌출부(84)와 한쌍의 결합돌출부재(61,71)의 각 결합작동요홈부(63,73)가 각각 결합하고, 한쌍의 결합돌출부재(61,71)가 결합돌출부재 작동부(51)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한쌍의 결합돌출부재(61,71)의 판스프링(65,75)이 서로 접촉하여 서로의 가압력에 한쌍의 결합돌출부재(61,71)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서 한쌍의 결합돌출부(62,72)가 결합돌출부재 작동부(51)(다리부(3)의 측면)로부터 돌출하도록 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때, 한쌍의 결합돌출부재(61,71)의 각 결합작동요홈부(63,73)와 인출돌출부재(81)의 결합작동돌출부(84)가 결합하여 인출돌출부(82)가 인출돌출부재 이동부(53)(다리부(3)의 전면)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또, 인출돌출부(82)를 인출돌출부재 이동부(53)내에 몰입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인출돌출부재(81)가 결합돌출부재 작동부(51)내에 가압되어서, 결합작동돌출부(84)의 경사면을 따라 결합작동요홈부(63,73)가 이동하여 한쌍의 결합돌출부재(61,71)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판스프링(65,75)의 가압력에 저항하면서 이동하고, 좌결합돌출부재(61)의 제1면(61a)과 우결합돌출부재(71)의 제2면(71a)이 접촉 또는 근접함과 동시에, 2개의 결합돌출부(62,72)가 다리부(3)의 측면내에 몰입 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1) 및 사무기기(10)의 작용을 설명한다.
원고압착판(12)은, 기기본체(11)가 사용되지 아니하는 상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기본체(11)의 접촉유리에 밀착되어 접촉유리가 덮여진다. 접촉유리상에 원고를 놓은 때에는, 먼저,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본체(2)가 설치되어 있는 개소와는 반대측의 원고압착판(12)의 단부 또는 그 근방 등을 잡아 원고압착판(12)을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즉, 원고압착판(12)을, 힌지핀(24)을 축으로 회전시켜서 접촉유리면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와 같이 원고압착판(12)을 회전시키는 때, 원고압착판(12)은, 압축코일스프링(23a)의 가압력에 의해 개방방향으로 회전가압되므로, 중량을 느끼는 일 없이 개방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노출된 접촉유리면상에 원고를 둔 뒤, 들어올린 원고압착판(12)을 하강시킨다. 즉, 원고압착판(12)을 접촉유리과 접촉하는 폐쇄 방향으로 힌지핀(24)를 축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하방으로 이동시켜 폐쇄상태로 한다. 그때, 원고가 얇은 물건, 예를 들면 얇은 종이 1매이면, 원고압착판(12)은 힌지핀(24)을 축으로 회전만 하여 원고압착판(12)에 의해 원고가 접촉유리상으로부터 부상하는 일없이 접촉유리에 밀착되고, 원고를 양호하게 복사 등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원고가 책과 같이 두께가 두꺼운 경우, 원고압착판(12)을 회전시키면(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원고압착판(12)이 폐쇄상태로 되기 전에, 즉, 원고압착판(12)이 기기본체의 상면(접촉유리)과 대략 평행하게 되기 전에, 원고압착판이 원고(17)(도 3참조)의 단부에 접촉하고, 그 원고(17)의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와 원고압착판(12)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즉, 원고압착판(12)은,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본체(2)와 반대측의 단부가 뜬 상태로 된다. 그 뜬 측의 원고압착판(12)을 기기본체(11)측에 가압시키거나 원고압착판(12)의 자중에 의해, 다리부(3)가 설치공(15)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상방)으로 이동하여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본체(2)가 상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원고압착판(12)이 힌지핀(24)을 축으로 회전한다. 즉, 원고(17)의 상부를 덮도록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본체(2)의 높이가 자동적으로 조절되어 원고압착판(12)이 이동한다. 예를 들면, 그 원고(17)의 상부가 평탄면인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상부에 원고압착판(12)이 면접촉한다. 그 결과, 두께가 두꺼운 원고가 안정되게 접촉유리에 밀착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원고압착판(12)은, 원고의 두께에 관계없이 원고를 안정되게 접촉유리에 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다리부(3)가 설치공(15)내를 이동하는 때, 다리부(3)에 볼베어링(41,4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볼베어링(41,42)dll 설치공(15)을 형성하는 전면 및 후면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그 볼베어링(41,42)이 회전하므로, 다리부(3)의 이동을 확실히 부드럽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다리부(3)가 어떻게 이동하여도 설치공(15)의 내벽에 접촉하고 있는 볼베어링(41,42)이 회전하므로, 다리부(3)의 이동을 부드럽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원고압착판(12)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 때, 다리부(3)의 높이방향의 중앙부보다 상방의 전면이 설치공(15)을 형성하는 전면측의 벽면에 접촉함과 동시에, 다리부(3)의 하방의 후면이 설치공(15)을 형성하는 후면측의 벽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설치공(15)을 형성하는 벽면에 접촉하는 다리부(3)의 높이방향의 중앙부보다 약간 상방의 전면과 하방의 후면에 볼베어링(41,42)을 각각 설치하는 것으로, 다리부(3)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때에, 볼베어링(41,42)이 확실하게 설치공(15)을 형성하는 벽면에 접촉한다. 따라서, 다리부(3)의 이동를 확실히 부드럽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리부(3)의 양측면으로부터 결합돌출부(62,72)가 각각 돌출함과 동시에, 이들 결합돌출부(62,72)가 설치공(15)의 결합요홈부(16)내에 돌출하므로, 다리부(3)를 설치공(15)으로부터 이탈시키려고 하여도 결합돌출부(62,72)가 결합요홈부(16)에 결합하여 (도 4A(b) 및 도 4B(c)참조)사무기기(10)를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다리부(3)가 설치공(15)으로부터 이탈하는 일이 없게 된다.
또, 메인티넌스 등의 경우에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본체(2)를 개재하여 다리부(3)를 후방측으로 넘어뜨리면(도 4B(c) 및 (d)참조), 다리부(3)의 전면의 하방이 설치공(15)을 형성하는 전면측의 벽면에 접촉함과 동시에, 그 벽면에 인출돌출부(82)의 선단부가 접촉하고, 인출돌출부(82)가 인출돌출부재 이동부(53)내에 몰입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인출돌출부재(81)가 결합돌출부재 작동부(51)내에 가압되어, 결합작동돌출부(84)의 경사면을 따라 결합작동요홈부(63,73)가 이동해서 한쌍의 결합돌출부재(61,71)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판스프링(65,7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이동하고, 좌결합돌출부재(61)의 제1면(61a)과 우결합돌출부재(71)의 제2면(71a)이 접촉 또는 근접함과 동시에, 2개의 결합돌출부(62,72)가 다리부(3)의 측면내로 몰입한다. 이것에 의해, 결합돌출부(62,72)와 결합요홈부(16)의 결합이 해제되므로, 다리부(3)를 후방측으로 넘어뜨린 상태대로 다리부(3)를 설치공(15)으로부터 이탈(인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다리부(3)를 설치공(15)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도 4B(e)참조). 또, 다리부(3)의 전면의 하부가 테이퍼면(3a)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확실하게 인출돌출부재(81)를 설치공(15)을 형성하는 벽에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다리부(3)를 설치공(15)으로부터 확실하게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리부(3)를 후방측에 넘어뜨리는 것에 의해 다리부(3)를 설치공(15)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으므로, 메인티넌스나 부품 등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리부(3)를 설치공(15)에 설치하는 때에는, 다리부(3)를 선단부으로부터 설치공(15)에 삽입하면, 다리부(3)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결합돌출부(62,72)가 설치공(15)을 형성하는 벽의 단부에 접촉한다. 그 때, 결합돌출부(62,72)의 하방이 경사면(62a,72a)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리부(3)의 이동과 동시에 결합돌출부(62,72)가 판스프링(65,7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몰입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다리부(3)를 설치공(15)내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몰입방향으로 이동한 결합돌출부(62,72)는, 설치공(15)의 결합요홈부(16)에 이르면, 판스프링(65,75)의 가압력에 의해 다리부(3)의 양측부로부터 돌출하여 결합요홈부(16)에 결합한다. 그 결과, 다리부(3)를 설치공(15)에 삽입하는 것으로, 다리부(3)가 설치공(15)에 설치되어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본체(2)를 개재하여 원고압착판(12)을 기기본체(11)에 간단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러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본체(2) 및 원고압착판(12)의 설치 및 해체를 간단하게 행할 수 있고, 또 한, 부품점수가 적어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다리부에 설치공의 내벽에 미끄럼접촉하는 구형상의 미끄럼운동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으로, 설치공에 삽입된 다리부가 설치공 내부를 상하방향으로 어떻게 이동하여도 설치공의 내벽에 접촉하고 있는 구형상의 미끄럼운동부재가 회전하므로, 다리부의 이동를 확실히 부드럽게 행하는 것이 가느하며, 이에 따라 특히 복사기, 인쇄기, 팩스, 스캐너 등의 사무기기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로서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구비한 사무기기의 일예를 도시하고, 원고압착판을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a)는 개략 평면도, (b)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구비한 사무기기의 일예를 도시하고, 원고압착판을 90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구비한 사무기기의 일예를 도시하고, 두꺼운 원고를 개재하여 원고압착판을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a)는 다리부가 설치공의 내부까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b)는 결합돌출부가 결합요홈부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c)는 결합돌출부가 결합요홈부에 결합하여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d)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본체를 후방측으로 넘어뜨려 결합돌출부를 몰입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e)는 다리부를 설치공으로부터 인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c)는 배면도, (d)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A(a)중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A(a)중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A(a)중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돌출부를 몰입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부재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a)는 사시도, (b)는 배면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부재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c)는 右측면도, (d)는 도 10A(b)중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좌결합돌출부재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a)는 사시도, (b)는 평면도, (c)는 정면도, (d)는 우측면도, (e)는 저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우결합돌출부재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a)는 사시도, (b)는 평면도, (c)는 정면도, (d)는 좌측면도, (e)는 저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돌출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a)는 사시도, (b)는 평면도, (c)는 우측면도, (d)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부재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a)는 사시도, (b)는 평면도, (c)는 정면도, (d)는 우측면도이다.

Claims (7)

  1. 원고압착판을 지니는 사무기기의 기기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설치공에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본체의 다리부가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본체에 상기 원고압착판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기기본체에 대하여 상기 원고압착판을 개폐가능하게 지지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에, 상기 설치공의 내벽에 가압,미끄럼접촉하는 구형상의 미끄럼운동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운동부재는, 상기 다리부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상하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에는, 상기 설치공에 설치된 결합요홈부와 결합하는 결합돌출부를 지니는 결합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결합돌출부와 상기 결합요홈부와의 결합상태를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는, 상기 다리부의 양측면으로 출몰가능함과 동시에 돌출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다리부의 전면의 대략 하방에서 출몰가능함과 동시에 돌출방향으로 가압되고, 또한, 몰입방향으로 이동한 때, 상기 결합돌출부를 몰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인출돌출부를 지니며, 상기 다리부를 후방측으로 넘어뜨리면, 상기 인출돌출부가 상기 설치공을 형성하는 벽면에 접촉하여 몰입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다리부를 상기 설치공으로부터 인출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결합돌출부는, 상기 다리부에 그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결합돌출부재에 각각 설치되고, 이들 결합돌출부재는, 서로 접촉하여 상기 결합돌출부를 상기 다리부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가압 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다리부의 전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결합돌출부가 상기 다리부로부터 돌출하여 있는 때에 서로 이간하고, 상기 결합돌출부가 상기 다리부에 몰입한 때에 서로 접촉 또는 근접하는 결합작동요홈부를 지니며;
    상기 인출돌출부는, 상기 다리부에 그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인출돌출부재에 설치되고, 그 인출돌출부재의 후면에, 상기 결합돌출부재의 각 결합작동요홈부와 결합하여 이들 결합작동요홈부가 멀어지면, 상기 인출돌출부가 상기 다리부로부터 돌출하고, 그 인출돌출부를 상기 다리부에 몰입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2개의 결합작동요홈부가 서로 접촉 또는 근접하여 상기 결합돌출부가 상기 다리부에 몰입하는 결합작동돌출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KR1020080014883A 2007-03-08 2008-02-19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KR100993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58329 2007-03-08
JP2007058329A JP5112718B2 (ja) 2007-03-08 2007-03-08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444A true KR20080082444A (ko) 2008-09-11
KR100993964B1 KR100993964B1 (ko) 2010-11-11

Family

ID=39843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883A KR100993964B1 (ko) 2007-03-08 2008-02-19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112718B2 (ko)
KR (1) KR100993964B1 (ko)
CN (1) CN101261460B (ko)
TW (1) TW20090314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9925B2 (ja) * 2009-08-20 2014-08-13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開閉装置の抜け防止機構並びにこの抜け防止機構を備えた事務機器
JP2011107485A (ja) * 2009-11-18 2011-06-02 Katoh Electrical Machinery Co Ltd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JP5900878B2 (ja) * 2011-08-30 2016-04-06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JP6210480B2 (ja) 2013-01-18 2017-10-11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6128585B2 (ja) * 2013-02-13 2017-05-17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この原稿圧着板開閉装置を備えた事務機器
JP6016745B2 (ja) * 2013-09-27 2016-10-2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原稿押えの取付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704620B2 (ja) * 2014-01-06 2015-04-22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2020065020A (ja) * 2018-10-19 2020-04-23 キヤノン株式会社 ねじりコイルバネ支持構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094Y2 (ko) * 1986-03-27 1992-07-07
JPH0313932A (ja) * 1989-06-13 1991-01-22 Ricoh Co Ltd 原稿読み取り装置
JP3262457B2 (ja) * 1994-07-20 2002-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原稿自動送り装置
JPH09208098A (ja) * 1996-02-07 1997-08-12 Canon Inc 原稿自動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H1035023A (ja) * 1996-07-19 1998-02-10 Brother Ind Ltd 走査装置
JP3121111U (ja) * 2006-02-03 2006-04-27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原稿圧着板の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61460B (zh) 2010-06-09
CN101261460A (zh) 2008-09-10
KR100993964B1 (ko) 2010-11-11
TWI367390B (ko) 2012-07-01
JP5112718B2 (ja) 2013-01-09
JP2008224704A (ja) 2008-09-25
TW200903141A (en) 200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964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KR101020611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TWI412876B (zh) Original press pl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ur) and the original platen of the office equipment
TWI422955B (zh) 原稿壓合板開闔裝置及事務機器
JP4898538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JP5429765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KR20100066359A (ko)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이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사용한사무기기
KR20060048307A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JP3121111U (ja) 原稿圧着板の開閉装置
KR101245026B1 (ko)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KR20060065496A (ko)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JP5881137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事務機器
KR101285544B1 (ko) 개폐장치의 빠짐 방지기구 및 이 빠짐 방지기구를 구비한 사무기기
JP2012155096A5 (ko)
TWI682094B (zh) 鉸鏈及使用此鉸鏈的各種機器
KR101341690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JP2008257167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TW201302496A (zh) 原稿壓合板開闔裝置及辦公室自動化機器
KR100821293B1 (ko)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KR100957026B1 (ko)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JP5217002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2023006216A (ja) 電子機器
KR20030065081A (ko) 스캐너의 원고압착장치
JP5645227B6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5645227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