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544B1 - 개폐장치의 빠짐 방지기구 및 이 빠짐 방지기구를 구비한 사무기기 - Google Patents

개폐장치의 빠짐 방지기구 및 이 빠짐 방지기구를 구비한 사무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544B1
KR101285544B1 KR1020100080157A KR20100080157A KR101285544B1 KR 101285544 B1 KR101285544 B1 KR 101285544B1 KR 1020100080157 A KR1020100080157 A KR 1020100080157A KR 20100080157 A KR20100080157 A KR 20100080157A KR 101285544 B1 KR101285544 B1 KR 101285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device
insertion hole
elastic means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9713A (ko
Inventor
카타노 코이치
Original Assignee
켐 홍콩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켐 홍콩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켐 홍콩 유한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19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52Details
    • G03B27/62Holders for the original
    • G03B27/6207Holders for the original in copying cameras
    • G03B27/6221Transparent copy platens
    • G03B27/6228Platen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5Holders for originals or exposure plat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1Top covers or the like
    • H04N1/00554Latches or hinge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부재가 1개발 형의 개폐장치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개폐장치가 장치본체에서 빼내지지 않도록 제안한 개폐장치의 빼냄 방지기구 및 이 빼냄 방지기구를 구비한 사무기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폐체를 설치한 지지부재에 힌지핀을 끼워 회동가능하게 설치한 1개발 형상의 설치부재를 가진 개폐장치와, 이 개폐장치의 상기 설치부재를 끼우고 빼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장치본체 측에 설치된 삽입 설치공으로 구성하고, 상기 설치부재의 하단부측에 오목부와 이 오목부에서 돌출된 계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삽입 설치공에는 상기 계지부를 수용한 가이드 세로홈과 상기 계지부의 계합부를 형성하고, 또한 이 개폐장치를 사무기기에 구비되게 한다.

Description

개폐장치의 빠짐 방지기구 및 이 빠짐 방지기구를 구비한 사무기기{Device for comprising of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nd office machine with the device}
본 발명은 복사기, 인쇄기 및 프린터라고 알려진 OA기기의 원고 압착판과 복사기기라고 칭하는 복사기능 이외에 프린터, 팩시밀리 혹은 스캐너 등의 각종 기능을 가진 것의 개폐체를 장치 본체에 대하여 개폐가능하게 부착 설치 사용할 때에 적합한 승강 기능 부착 개폐장치의 빠짐 방지기구 및 이 빠짐 방지 기구를 구비한 사무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사기, 인쇄기 및 프린터라고 알려진 사무기기에 있어서는, 책과 같은 두께가 두꺼운 물건의 원고에 대처하기 위한 원고압착판의 리프트(lift)기능 부착 개폐장치가 특개2006-39440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공지이다.
이 개폐장치는, 기본적으로 장치본체 측에 설치된 설치부재와, 이 설치부재에 대하여 힌지핀을 끼워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부재를 갖고, 이 지지부재에 원고 압착판의 후단부를 설치하여 개폐하는 것이다.
이 개폐장치에 리프트 기능을 부가하는 구성으로서는 원고 자동전송장치 부착의 원고 압착판이 보급된 현재에서는 크게 나누어 지지부재의 자유단측에 리프트 부재를 힌지핀을 끼워 설치하고 이 리프트 부재에 원고 압착판의 후단부를 설치한 구성의 것과,
상기 특허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설치부재를 1개발(足)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1개발 형상의 설치부재를 장치본체의 후부 상단에 설치한 삽입 설치공으로 상,하 동작 가능하게 삽입한 소위, 1개발 형상이라고 칭하는 것이 있고, 본 발명은 후자인 1개발 형상의 원고 압착판의 개폐장치의 빠짐 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상, 어느 경우에도 두께가 두꺼운 원고의 경우에는 원고 압착판이 리프트하여, 그 두꺼운 원고의 상면을 대략 수평하게 덮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와 같은 기능을 가진 것을 원고압착판의 리프트 기능 부착 개폐장치라 칭하고 있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설치부재를 1개발 형상으로 구성한 1개발형형이고 리프트 기능 부착 원고 압착판의 개폐장치는, 책과 같은 두꺼운 원고를 콘택트유리 상에 세트하고 원고 압착판을 닫으면, 그 원고 압착판이 두꺼운 원고의 모서리에 닿아서, 여기를 지레(막대기)의 지점으로 하여 원고 압착판이 반전하여 그 두꺼운 원고의 상면을 대략 수평하게 덮어 외부 빛이 노광부에 억지로 들어가는 것을 적극 방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때에, 1개발 형상의 설치부재가 삽입 설치공 내를 위쪽으로 슬라이드하여 원고 압착판의 반전을 허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특허공보에 기재된 원고 압착판의 리프트 기능 부착 개폐장치는, 1개발 형상의 설치부재를 겸하는 다리부가 삽입 설치공에서 간단히 빠져 버리면, 원고 압착판 자체가 장치본체에서 빠져 버리기 때문에 취급이 불편하기도 하고, 자동 원고 전송장치 부착의 원고 압착판을 떨어뜨려 버리던가하는 문제가 있어, 개선을 강요받고 있다.
이것은 또한, 복합기라고 칭하는 사무기기에 있어서도 적용되고, 예를 들면 수리점검 시에 한쪽의 사무기기(예를 들면 복사기 본체)에 대하여 다른쪽의 사무기기(예들 들면 스캐너 부분)를 열었을 때 개폐장치의 설치다리부 쪽이 용이하게 삽입 설치공에서 빠져버리면, 낙하하여 상처를 입을 염려나 기기를 파손시켜 버리는 염려가 있는 것이어서, 이 개폐장치에도 같은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개폐장치가 장치본체에서 빼내지지 않도록 제안한 개폐장치의 빼냄 방지기구 및 이 빼냄 방지기구를 구비한 사무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폐체를 설치하는 지지부재를 힌지핀을 끼워 회동가능하게 설치한 1개발 형상의 설치부재를 가진 개폐장치와, 이 개폐장치의 상기 설치부재를 끼우고 빼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장치 본체 측에 설치된 삽입 설치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설치부재의 하단부측에 오목부와 이 오목부에 근접하며 돌출된 계지부와 이 계지부의 반대측에 알(R)부를 설치하고 상기 오목부에 판스프링을 설치하고 동시에 상기 삽입취부공에는 그 입구부에서 약간 아래부분 보다 상기 삽입 취부공의 폭보다 좁은 폭의 가이드 종(세로)홈(구)와 이 가이드 종(세로)홈(구)의 상부에 남아있는 부분에 계합부를 형성시켜 상기 취부부재의 상기 삽입 취부공으로 삽입상태일 때에는 상기 계합부가 상기 가이드종(세로)홈(구) 내에 수용되고 동시에 상기 판스프링이 상기 삽입취부공의 내벽에 압접하기 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취부부재의 상기 삽입 취부공에서 빼어낼 때에는 상기 알(R)부는 상기 계합부에서 상기 계지부의 이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재에, 그 지지부재 내에 수장된 상기 설치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개폐체를 열림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설치부재를 케이스 형상으로 구성하고, 내부에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개폐체의 열림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오목부에 설치한 탄성수단을 판스프링으로 하고, 상기 오목부 내에 그의 일단부에 설치하고, 타단부측을 자유롭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오목부에 설치된 탄성수단을 판스프링으로 하고, 이것을 단면이 볼록형상을 나타내도록 구성하고, 상기 오목부 내에 그 양단부에 있어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오목부에 설치된 탄성수단을 판스프링으로 하고, 그 판스프링을 상기 오목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하여 그의 일단부를 설치부재에 설치하고, 그 자유단측을 상기 오목부에 마주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한 각 개폐장치의 빼냄 방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인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하므로, 설치부재를 겸하는 다리부에 설치한 계지부재와 삽입 설치공에 설치한 계합부가 계합하고, 통상의 상태에서는 다리부가 삽입 설치공에서 빼내어지지 않으므로, 개폐장치를 설치한 예를 들면 자동 원고 전송장치 부착의 원고 압착판과 같은 중량이 있는 개폐체가 낙하하여 파손된다거나, 사용자가 상처를 입는다거나 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리프트 기능을 갖는 개폐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고, 더욱이 설치부재를 겸하는 1개발 형상의 다리부가 장치본체의 삽입 설치공에서 용이하게 빼내어지지 않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특히 복사기 단일체, 혹은 복사기를 포함한 복합기 등의 사무기기의 원고 압착판의 개폐장치의 빠짐 방지기구로서 가장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한 복사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1개발 형으로 리프트 기능 부착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빼냄 방지기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단일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단일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장치본체 측에 설치한 삽입 설치공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빼냄 방지기구의 판스프링을 나타내고, (a)는 그의 정면도, (b)는 그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빼냄 방지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a)는 리프트 동작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리프트 상태를 나타내고, (c)는 빼내어졌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며, (d)는 빼낸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빠짐 방지기구의 판스프링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고, (a)는 그의 정면도, (b)는 그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빼냄 방지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a)는 그의 배면도, (b)는 그의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빼냄 방지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a)는 그의 요부의 부분의 배면도, (b)는 그의 좌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빠짐 방지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빠짐 방지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가장 바람직한 형태는, 복사기의 원고압착판을 구성하는 개폐체를 설치하는 지지부재를 힌지핀을 끼워 회동가능하게 설치한 1개발 형상의 설치부재를 가진 개폐장치와, 이 개폐장치의 상기 설치부재를 끼우고 빼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장치본체 측에 설치된 삽입 설치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설치부재의 하단부측에 탄성수단을 마주대하는 오목부와 이 오목부에서 돌출 설치된 계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삽입 설치공에는 상기 계지부를 수용한 가이드 세로홈을 상기 삽입 설치공의 입구에서 약간 하측에 설치하며 상기 계지부의 계합부를 형성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복사기 단일체의 것에 실시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복사기 이외의 스캐너, 인쇄기 단일체 등에도 실시 가능하고, 복사기와 스캐너, 팩시밀리, 스캐너의 기능을 겸하여 갖는 복합기 등의 사무기기에 광범위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2에 있어서, 지시기호 A로서, 표준형식으로 나타낸 것은 사무기기의 일예로 하는 복사기이다. 이 복사기(A)는, 장치본체(B)와, 이 장치본체(B)의 상면에 개폐장치(C)를 끼워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 개폐체의 일예로서의 원고 압착판(D)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폐장치(C)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적당 간격을 비우고 동일 구성의 것이 한 쌍이 사용되는 구성이다. 또한, 이 개폐장치는 다른 구성의 것과 조합하여 한쌍이 사용되어도 좋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 구성인 한쌍의 것 중 한쪽 것에 대하여 그 구성을 설명한다.
특히, 도 2 내지 도 5에 있어서, 지시기호1로 나타낸 것은 설치부재를 겸하는 1개발 형상의 다리부이고, 이 다리부(1)는 장치본체(B)의 후부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한 평면이 대략 직사각 형상의 삽입 부착공(2)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하여 고정되어 있다.
다리부(1)는, 횡단면이 대략 직사각 형상을 나타낸 케이스 형상의 것으로, 바닥판(1a)과, 이 바닥판(1a)의 양측에서 세워 설치된 양측판(1b, 1b) 및 전부판(1e), 후부판(1f)과, 이 양측판(1b, 1b) 및 전부판(1e), 후부판(1f)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 캠부(1c)로 구성된, 예를 들면 POM과 같은 합성수지의 성형품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프레스 가공품이어도 좋다. 이 다리부(1)의 고정캠부(1c)의 캠부 양측판(1d, 1d)에는 힌지핀(3)을 끼워, 지지부재(4)가 그 양측판(4a, 4a)을 회동가능하게 축 지지하고 있다.
이 지지부재(4)는, 양측판(4a, 4a)을 그 양측부에서 늘어뜨린 상판( 4b)과 이 상판(4b)의 일단부에서 늘어뜨린 폐색판(4c)으로 이루어진, 예를 들면 SUS와 같은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한 케이스 형상의 것으로 양측판(4a, 4a)의 하단측에는 이것을 내측으로 절곡하여 포지부(4d, 4d)가 설치되는 동시에, 이 포지부(4d, 4d)보다 약간 위쪽에 위치하며 양측판 (4a, 4a)의 일부를 절취하여 외측으로 절곡함으로서 제작한 설치판(4e, 4e)이 설치되어 있다. 폐색판(4c)은 양측판(4a, 4a)의 단부를 내측으로 절곡한 보강부(4f, 4f)에 의해 내측에서 밀어 누르는 힘이 가해져도 외측으로 열려 버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지지부재(4)의 양측판(4a, 4a)과 상판(4b)으로 둘러 싸여진 케이스 형상의 부분에 슬라이드 동작 가능하게 수장되어 있는 것은, 일단이 폐색의 통 형상을 나타낸 캠 슬라이더(5)이고, 이 캠 슬라이더(5)는 그의 하부 양측을 포지부(4d, 4d)로 감싸짐으로서 지지부재(4)의 하측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이 지지부재(4)는 이것을 POM과 같은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포지부(4d, 4d)의 부분을 묶어놓아 전체로서, 각 이진 통형상의 것으로 할 수 있다.
캠 슬라이더(5)와 지지부재(4)의 폐색판(4c) 사이에는 예를 들면 콤프레션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6)이 탄력 설치되고, 캠 슬라이더(5)의 캠부 (5a)를 고정캠부(1c)의 캠부(1g)측으로 슬라이드동작 힘을 가하고 있다.
캠 슬라이더(5)와 고정캠부(1c)는 캠 기구(E)를 구성하고, 탄성수단(6)에 의해 서로 캠부(5a)와 캠부(1g)가 압접(壓接)되어 있다.
또한, 지시기호 7로 나타낸 것은, 상세하게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지지부재(4)의 회동 방지수단을 구성하는 요동부재이고, 지지핀(8)을 끼워 지지부재(4)의 양측판(4a, 4a)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지지핀(8)은, 고정 캠부(1c)의 캠부 양측판(1d, 1d)에 설치된 원호 형상의 가이드 공(1h, 1h)에 삽입되어 있다. 이 요동부재(7)와 연계하는 다른 부재나 그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요동부재(7)와 지지핀(8)은 본 발명의 구성과는 반드시 관련 없는 부분이고, 요동부재(7)와 지지핀(8)을 생략하면, 가이드공(1h, 1h)를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설치부재를 겸하는 다리부(1)는 속이찬 형상 혹은 중공의 케이스 형상의 어느 것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C)의 빼냄 방지기구(F)는, 장치본체(B)에 형성된 평면이 직사각형 형상을 나타낸 삽입 설치공(2)과, 이 삽입설치공(2)에 대하여 끼우고 빼내기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장치(C)의 설치부재를 겸하는 다리부(1)로 구성되어 있다.
삽입 설치공(2)에는 특히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의 입구(2a)보다 조금 내려간 위치에서 가이드 세로흠(2b)을 설치함으로서 계합부(2c)를 형성하고 있고, 다리부(1)에는 그 하단부에 그 다리부(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계지부(1j)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1i)내에는 그 중앙부를 외측으로 만곡시켜 판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수단(9)이 그의 일단부에 설치된 삽입 설치공(9b)을 끼워 부착 나사(10)로 부착되어 있고, 이 탄성수단(9)의 만곡부(9a)는 평상시는 다리부(1)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삽입 설치공(2)의 내벽에 압접(壓接)하여 다리부(1)를 삽입 설치공(2)의 편측으로 밀어 누르게 되어 있다.
다리부(1)를 삽입 설치공(2)내로 삽입 통과시킨 상태, 즉 개폐장치(C)의 장치본체(B)에 장착할 때에 있어서, 계지부(1j)와 가이드세로홈(2b)사이에는, 특히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극(a)이 설치되고, 삽입 설치공(2)의 계합부(2c)를 설치한 측과 다리부(1) 사이에도 약간의 간극(b)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책과 같은 두꺼운 원고(11)의 경우에, 이 두꺼운 원고(11)를 콘택트 유리(12) 상에 얹어놓고 그의 상면을 덮기 위해 원고 압착판(D)을 닫으면, 그 원고 압착판(D)은 두꺼운 원고(11)의 단부에 닿고, 그것을 지점으로 하여 지레의 원리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전하고, 그 때에 다리부(1)가 삽입 설치공(2)내를 상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원고 압착판(D)을 리프트시켜 두꺼운 원고(11)의 상면을 수평하게 덮어 외부 빛이 콘택트 유리에 의해 장치본체(B)의 도시하지 않은 노광부에 침입하는 것을 가급적 방지하는 것이다.
이 때에 상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다리부(1)는 그 계지부(1j)가 계합부(2c)와 계합하는 것이어서, 두꺼운 원고(11)의 두께가 다리부(1)의 길이보다 두꺼운 경우에도, 다리부(1)가 삽입 설치공(2)에서 즉시 빠져버리는 일은 없다.
혹은, 복합기라고 칭하고 있는 복합기에 사용하고 싶은 경우로서, 복합기 부분에 겹쳐서 예를 들면, 스캐너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스캐너를 수리하거나 점검할 때에 그 스캐너의 하부에 겹쳐서 배치한 장치 본체에 대하여 열린 상태로 하여도, 개폐장치(C)의 다리부(1)가 삽입 설치공(2)에서 빠져서 복사기 측의 원고 압착판이 낙하하여 버리는 것을 지극히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개폐장치(C)의 지지부재(4)에 설치된 원고 압착판(D)을 장치본체(B)에 대하여 빼낼 때에는 도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1)에 설치된 계지부(1j)가 삽입 설치공(2)에 설치된 계합부(2c)와 계합한 상태에서, 다리부(1)를 계합부(2c)측으로 밀면, 탄성수단(9)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다리부(1)의 하단부가 계합부(2c)측으로 이동하는 것이어서 도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1)를 기울어지게 함으로서, 그 다리부(1)가 삽입 설치공(2)에서 빠져서 도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 빼낼 수 있는 것이다.
이때에, 다리부(1)의 하단부의 계지부(1j)를 설치한 측과 반대측에 라운드부(1k)를 설치하면, 이 빼냄이 보다 스무즈(smooth)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 빼낸 다리부(1)를 다시 삽입 설치공(2)에 삽입시킨 경우에는 방금 전과는 반대로 다리부(1)를 기울이고, 먼저 계지부(1j)를 설치한 측에서 삽입 설치공(2)에 삽입시켜, 그 계지부(1j)를 가이드 세로홈(2b)내에 넣어 다리부(1)를 계지부(2c)의 측으로 밀어 보내면, 삽입 설치공(2)의 계합부(2c)에 맞닿는 탄성수단(9)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다리부(1)가 이동하므로 다리부(1)를 원위치에 되돌리면, 라운드부(1k) 부분이 삽입 설치공(2)내에 끼워진다. 그러면 그대로 다리부(1)를 하방으로 누름으로서, 그 다리부(1)가 삽입 설치공(2)내를 하강하여 장착이 종료된다. 이 상태를 나타낸 것이 도 5이고, 도 8a 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다리부의 삽입 설치공으로의 장착, 리프트동작 및 빼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9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 1의 다리부(1)의 오목부(1i)내에 설치되는 탄성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면에 의하면, 이 실시예에 관한 탄성수단(15)은 평면이 볼록 형상을 나타내고, 양단부에 삽입 설치공(15a, 15a)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는 하지 않았으나, 다리부(1)에 설치된 오목부 내에 부착나사로 부착되고, 볼록부(15b)의 부분이 오목부에서 약간 돌출하는 구성으로 된다.
계지부의 설치위치와 형상은 앞의 실시 예 1의 것과 같다.
도 10은, 실시예 1의 다리부(1)의 오목부(1i)에 마주대하는 탄성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면에 의하면 다리부(16)에 설치한 오목부(16a)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수단(17)이 그의 일단부를 부착나사(18)로 부착하고, 이 탄성수단(17)의 자유단측이 오목부(16a)에서 약간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상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도 빼냄 방지 기구를 구성하는 탄성수단을 다리부에 설치하는 수단은, 부착나사의 다른 코킹(caulking) 그 밖의 공지의 부착수단으로 할 수 있다.
이 탄성수단(17)은 오목부(16a)의 상부에 설치한 설치 오목부(19)에 설치되어 있고, 자유단측을 제외하고는 다리부(1)에서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계지부(16b)의 위치나 크기 형상 등에 대해서는 실시예 1의 것과 같다.
또한, 개폐장치의 그 밖의 구성도 실시예 1의 것과 같으므로 그에 관한 설명을 생락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빠짐 방지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면에 의하면 다리부(20)에 설치한 오목부(20a)내에는 탄성수단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다른 계지부(20b)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것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실시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은 달성할 수 있다.
도 12는, 개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1의 것은 지지부재(4)를 원고 압착판의 열림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이 지지부재(4) 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나, 도 12에 의한 실시예5의 개폐장치(G)는 설치부재를 겸하는 다리부(21)를 케이스 형상으로 구성하고, 내부에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수단(22)을 수장시키고, 이 탄성수단(22)의 상단부에 슬라이더(23)를 덮으며, 이 슬라이더(23)의 상면과 접촉시켜 지지부재(24) 측에 캠부(24a)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개폐장치(G)에 있어서도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고, 다리부(21)의 하단부 측에 실시예 1과 같은 구조의 오목부(21a)와 계지부 (21b)와 탄성수단(25)을 갖고 있다. 따라서, 빠짐 방지 기구(F)로서의 작용효과는 실시예 1의 것과 동일하다.
A : 복사기 B : 장치본체
C : 개폐장치 D : 원고압착판
1 : 다리부 1a : 바닥판
1b : 양측판 1c : 고정캠부
1d : 양측판 1e : 전부판
1f : 후부판 1g : 캠부
1h : 가이드공 1i : 오목부
1j : 계지부 2 : 설치공
2b : 세로홈 2c : 계합부
3 : 힌지핀 4 : 지지부재
4a : 양측판 4b : 상판
4c : 폐색판 4d : 표지부
5 : 캠슬라이더 5a : 캠부
6 : 탄성수단 7 : 요동부재
8 : 지지핀 9 : 탄성수단
9a : 만곡부 10 : 나사
11 : 두꺼운 원고 12 : 콘택트 유리
15 : 탄성수단 15a : 설치공
15b : 볼록부 16 : 다리부
16a : 오목부 16b : 계지부
17 : 탄성수단 18 : 부착나사
19 : 설치오목부 20 : 다리부
20a : 오목부 20b : 계지부
21 : 다리부 21a : 오목부
21b : 계지부 22 : 탄성수단
23 : 슬라이더 24 : 지지부재
24a : 캠부 25 : 탄성수단

Claims (8)

  1. 개폐체를 설치하는 지지부재를 힌지핀을 끼워 회동가능하게 설치한 1개발 형상의 설치부재를 가진 개폐장치와, 이 개폐장치의 상기 설치부재를 끼우고 빼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장치 본체 측에 설치된 삽입 설치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설치부재의 하단부 측에 오목부와 이 오목부에서 근접하여 돌출된 계지부와 이 계지부의 반대측에 R부를 설치하고, 상기 오목부에 판스프링을 설치하고 동시에 상기 삽입 설치공에는 그 입구부분에서 조금 낮은 부분에 상기 삽입 설치공의 폭은 좁은 폭의 가이드 세로홈과 이 가이드 세로홈의 상부에 남은 부분에 계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설치부재의 상기 삽입 설치공에 삽입상태 때에는 상기 계합부가 상기 가이드 세로홈 내에 수용되며 동시에 상기 판스프링이 상기 삽입설치공의 내벽에 압접하기 위해 이루어지며 상기 설치 부재의 상기 삽입 설치공에서 빼어낼 때에는 상기 R부는 상기 계합부에서 상기 계지부의 이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의 빠짐 방지기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그 지지부재 내에 수장된 상기 설치부재의 사이에 상기 개폐체를 열림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의 빠짐 방지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재는 이것을 케이스 형상으로 구성하고, 내부에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개폐체의 열림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의 빠짐 방지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 설치된 탄성수단은 판스프링이고, 상기 오목부 내에 그의 일단부에 설치하고, 타단부측을 자유롭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의 빠짐 방지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 설치된 탄성수단은 판스프링이고, 단면이 볼록형상을 나타낸 상기 오목부 내에 그의 양단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의 빠짐 방지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 설치된 탄성수단은 판스프링이고, 상기 오목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하고 그의 일단부를 설치부재에 설치하며, 그의 자유단측을 상기 오목부에 마주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의 빠짐 방지기구.
  8. 청구항 제 1항 기재의 개폐장치의 빠짐 방지 기구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
KR1020100080157A 2009-08-20 2010-08-19 개폐장치의 빠짐 방지기구 및 이 빠짐 방지기구를 구비한 사무기기 KR1012855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90703A JP5569925B2 (ja) 2009-08-20 2009-08-20 開閉装置の抜け防止機構並びにこの抜け防止機構を備えた事務機器
JPJP-P-2009-190703 2009-08-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713A KR20110019713A (ko) 2011-02-28
KR101285544B1 true KR101285544B1 (ko) 2013-07-11

Family

ID=43776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157A KR101285544B1 (ko) 2009-08-20 2010-08-19 개폐장치의 빠짐 방지기구 및 이 빠짐 방지기구를 구비한 사무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69925B2 (ko)
KR (1) KR101285544B1 (ko)
CN (1) CN101995786B (ko)
TW (1) TWI4059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28585B2 (ja) * 2013-02-13 2017-05-17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この原稿圧着板開閉装置を備えた事務機器
JP5873845B2 (ja) * 2013-07-10 2016-03-0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ヒンジ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6016745B2 (ja) * 2013-09-27 2016-10-2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原稿押えの取付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582289B2 (ja) * 2015-04-24 2019-10-02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ヒンジ
JP5994014B2 (ja) * 2015-12-02 2016-09-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ヒンジ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6819998B2 (ja) * 2016-10-31 2021-01-27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扉体開閉装置並びにこの扉体開閉装置を備えた各種キャビネッ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4289A (ja) 1999-11-25 2001-06-08 Sharp Corp 原稿読取装置
JP2002244233A (ja) 2001-02-22 2002-08-30 Nec Eng Ltd 画像読取装置の原稿押え開閉機構
JP2005338479A (ja) 2004-05-27 2005-12-08 Canon Inc ヒンジ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JP2008240927A (ja) 2007-03-28 2008-10-09 Shimonishi Giken Kogyo Kk 開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831Y2 (ja) * 1986-02-07 1994-05-02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灰皿の組付部構造
JPH081511B2 (ja) * 1988-11-26 1996-01-10 三田工業株式会社 自動原稿送り装置の開閉機構
JP3262457B2 (ja) * 1994-07-20 2002-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原稿自動送り装置
JP2003030959A (ja) * 2001-07-13 2003-01-31 Fuji Photo Film Co Ltd 記録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3749496B2 (ja) * 2002-03-15 2006-03-01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記録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2004053667A (ja) * 2002-07-16 2004-02-19 Sharp Corp 蓋体の支持機構
JP4636826B2 (ja) * 2004-07-30 2011-02-23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2007088996A (ja) * 2005-09-26 2007-04-05 Sharp Corp 画像読取装置
JP5112718B2 (ja) * 2007-03-08 2013-01-09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JP5429765B2 (ja) * 2007-04-19 2014-02-26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JP5160959B2 (ja) * 2007-08-21 2013-03-13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4289A (ja) 1999-11-25 2001-06-08 Sharp Corp 原稿読取装置
JP2002244233A (ja) 2001-02-22 2002-08-30 Nec Eng Ltd 画像読取装置の原稿押え開閉機構
JP2005338479A (ja) 2004-05-27 2005-12-08 Canon Inc ヒンジ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JP2008240927A (ja) 2007-03-28 2008-10-09 Shimonishi Giken Kogyo Kk 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07612A (en) 2011-03-01
CN101995786B (zh) 2014-02-12
JP2011043593A (ja) 2011-03-03
TWI405912B (zh) 2013-08-21
CN101995786A (zh) 2011-03-30
JP5569925B2 (ja) 2014-08-13
KR20110019713A (ko) 2011-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544B1 (ko) 개폐장치의 빠짐 방지기구 및 이 빠짐 방지기구를 구비한 사무기기
JP6210480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US8511818B2 (en) Multifunction peripheral having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JP2009071804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KR100274573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JP5429765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US6448994B1 (en) Laser printer
JP5112718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KR970061527A (ko) 레이져빔프린터의 현상기착탈장치
KR101245026B1 (ko)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JP2008268521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JP663149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257167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KR101341690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JP2011043593A5 (ko)
KR20130092446A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자동화기기
JP2006091640A (ja) ロック機構付きパッケージ及び光トランシーバ
KR20140102135A (ko)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 및 이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를 구비하는 사무기기
KR970061535A (ko) 잠금기구
TWI405028B (zh) The original press pl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the original platen with the office equipment
US5634732A (en) Binding assembly for binders
JP2000231163A (ja) 画像読取装置
CN111480111B (zh) 铰链
JP7300671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事務機器
JP4087285B2 (ja) 開閉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